KR100219444B1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444B1
KR100219444B1 KR1019970004719A KR19970004719A KR100219444B1 KR 100219444 B1 KR100219444 B1 KR 100219444B1 KR 1019970004719 A KR1019970004719 A KR 1019970004719A KR 19970004719 A KR19970004719 A KR 19970004719A KR 100219444 B1 KR100219444 B1 KR 100219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der
slider
cup
h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021A (ko
Inventor
다케시 시노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8001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흘더에 관한 것으로서, 양 홀더절반부를 각각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압압함으로써, 홀더본체를 케이스내로 밀어 넣을 때의 힘이 비교적 증가되지 않도록 하였다.
절첩장치(50)는 캠편(51)을 구비한다. 캠편(51)은, 그 일단부가 슬라이더(8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타단의 자유단부가 양 홀더절반부(90,100)의 전개축{예를 들면 돌기축(91), 축핀(120)}을 사이에 두고 그 좌우 양측에 각각 맞닿고, 케이스(30)내로 삽입될 때에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양 홀더절반부(90,100)를 하측을 향하여 각각 압압하여 양 홀더절반부(90,100)를 2분할하여 접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더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홀더본체가 전개되거나 2번 접어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차량용 컵홀더로서는 차량내에 고정되는 중공을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링 형상의 홀더본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 6-183295호, 미국 특허 제2,778,702호).
상기 종래의 홀더본체는,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며 컵의 바닥이 놓이는 재치부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전개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하측을 향하여 2번 접힌 상태로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 밖으로 돌출한 상태로 상측을 향하여 전개되며, 상측에서 슬라이더의 재치부를 향하여 컵을 끼울 수 있는 컵삽입구를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C자형의 홀더반쪽부와, 양 홀더반쪽부를 전개상태를 향하여 탄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케이스 좌우의 벽부의 개구측 가장자리에는 오목형상으로 절결된 좌우 1쌍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상태의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로 밀어 넣으면 전개상태로 열린 양 홀더의 반쪽부의 각 외측둘레부가 케이스 좌우의 절결부에 각각 미끄럼접함하며, 코일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양 홀더반쪽부를 하측을 향하여 2번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문에 홀더본체를 케이스내로 밀어 넣을 때에 양 홀더반쪽부가 2번 접혀 케이스내에 수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컵홀더에서는 홀더본체를 케이스내에 밀어 넣을 때에 비교적 큰 힘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컵홀더에서는 케이스 좌우의 절결부에 양 홀더반쪽부의 각 외측 둘레부를 각각 슬라이드접합시키고 양 홀더반쪽부를 하측을 향하여 2번 접히게하고 있다.
이때문에 케이스 좌우의 절결부와 양 홀더반쪽부가 홀더본체의 밀어넣기 방향과 동일하거나 또는 양 홀더반쪽부의 회전방향과 상이하기 때문에 홀더본체를 밀어넣는 힘이 증가해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청구항 1)
여기에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에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양 홀더반쪽부를 각각의 각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누르게 함으로써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에 끼울때의 힘이 비교적 증가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외에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캠편을 캠기능에 의하여 회전하게 함으로써 홀더본체의 밀어넣는 힘을 한층 경감시키면서 또한 양 홀더의 반쪽부를 확실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외에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에서 돌출되게 함으로써 홀더본체를 잡아당기기 쉽게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외에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에 로크하여 불시에 홀더본체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외에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컵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컵홀더(인출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컵홀더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케이스를 투과한 컵홀더(수납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컵홀더(수납상태)의 종단면
제5도는 컵홀더(수납상태)의 횡단면
제6도는 양 홀더의 반을 접어 갤 때의 캠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양 홀더의 반이 전개된 상태로 펴질 때의 캠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돌출장치에 의하여 컵홀더 본체가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컵홀더의 종단면
제9도는 컵홀더(인출상태)의 종단면
제10도는 컵홀더(인출상태)의 평면도
제11도는 컵홀더(인출상태)의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홀더 20 : 컵
30 : 케이스 31 : 출입구
32 : 캠홈 33 : 가이드홈
34 : 보조홈 35 : 슬라이드홈
36 : 직선부분 37 : 굴곡부분
38 : 관통구멍 39 : 로크구멍
40 : 홀더본체 41 : 컵삽입구
50 : 절첩장치 51 : 캠편
52 : 회전축 53 : 트레이스핀
6() : 돌출장치 61 : 돌출편
62 : 돌출용수철 70 : 로크장치
71 : 미는 버튼 72 : 로크편
80 : 슬라이더 81 : 재치부
82 : 전방부 83 : 중간부
84 : 후방부 85 : 가이드핀
86 : 돌출핀 87 : 슬라이드핀
90 : 홀더의 반쪽부 91 : 돌출축
100 : 홀더의 반쪽부 101 : 축구멍
110 : 커버 120 : 축핀
130 : 코일스프링 140 : 컵미는 장치
141 : 미는 편 142 : 미는 용수철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절첩장치(5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편(5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편(51)은 일단부가 슬라이더(8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며, 타단의 자유단이 양 홀더반쪽부(90,100)의 전개축{예를 들면 돌출축(29), 축핀(120)}을 사이에 두고 그 좌우 양측에 각각 맞닿고, 케이스(30) 내에 끼워질 때에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양 홀더의 반쪽부(90,100)를 하측을 향하여 각각 누르고,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홀더의반쪽부(90,100)를 2번 접는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 외에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절첩장치(5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스핀(53)과, 캠홈(32)과, 굴곡부분(3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스핀(53)은 캠편(51)에서 케이스(30)를 향하여 돌출해 있다.
상기 캠홈(32)은 케이스(30)에 설치되며 트레이스핀(53)이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굴곡부분(37)은 캠홈(32)에 설치되며 양 홀더의 반쪽부(90,100)가 슬라이더(80)와 함께 케이스(30) 내에 수납될 때에 캠편(51)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 외에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케이스(30) 내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를 케이스(30) 내에서 돌출하는 돌출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 외에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케이스(30) 내와 슬라이더(80) 사이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를 케이스(30) 내의 수납위치에 로크하는 해제가능한 로크장치(70)를 하고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 외에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슬라이더(80)에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상태의 양 흘더의 반쪽부(90,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컵삽입구(41)에 삽입된 컵(20,21)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컵미는 장치(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홈(32)은 케이스(30)에 설치되며 트레이스핀(53)이 끼워지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면의 설명)
도 1∼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컵홀더(인출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컵홀더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5는 홀더본체가 케이스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케이스를 투과한 컵홀더의 사시도, 도 4는 컵홀더의 종단면도, 도 5는 컵홀더의 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7은 캠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나타내며, 도 6은 양 홀더의 반쪽부를 접는 설명도, 도 7은 양 홀더의 반쪽부가 전개상태로 열릴 때의 설명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돌출장치에 의하여 홀더본체가 케이스에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컵홀더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1l은 홀더본체가 케이스내로 잡아당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컵 홀더의 종단면도, 도 10은 컵홀더의 평면도, 도 11은 컵홀더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컵홀더)
도면중 10은 컵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이 컵홀더(10)는 도시하지 않는데 차내의 프론트패널 등에 매설형상으로 고정되고, 도 9,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쪽으로 잡아당겨 사용한다.그리고, 잡아당긴 컵홀더(10)에는 도 9,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수 등의 컵류, 캔류, 종이백류, 소형의 페트병(PET bottle)류 등의 컵(20,21)을 삽입하고, 컵(20,21)이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컵홀더(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차실내에 고정되는 중공을 가지는 케이스(30)와, 이 케이스(3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흘더본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30)와 홀더본체(40) 사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본체(40)를 케이스(30) 내에 밀어 넣을 때에 홀더본체(40)를 2번 절첩장치(50)와, 홀더본체(40)를 케이스(30)에서 돌출시키는 돌출장치(60)와, 이 돌츨장치(40)의 돌출력에 저항하여 홀더본체(40)를 케이스(3)) 내의 수납위치에 로크하는 해제가능한 로크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상기 케이스(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을 가지는 케이스형상으로 그 앞면에는 세로로 긴 장방형으로 트여 홀더본체(40)가 출입하는 출입구(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0)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예를 들면 ABS에 의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30)는 도시하지는 않으나 그 출입구(31)를 차실내의 프론트패널 등을 향하게 하고 매설형상으로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30)의 좌우의 측벽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을 표리방향으로 관통함과 아울러 홀더본체(40)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떨어진 총4개의 좌우 1쌍의 홈(32∼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홈은 캠홈(32)으로, 이 캠홈(3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J자형으로 굴곡되고, 후술하겠지만 홀더본체(40)를 2번 꺽이게 접는 절첩장치(30)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캠홈(32)은 홀더본체(4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부분(36)과, 이 직선부분(36)에 연이어 설치되고 케이스(30)의 출입구(31)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대략 J자형으로 굴곡된 굴곡부분(37)을 구비하고 있다.
중상단의 홈은 가이드홈(33)으로서, 이 가이드홈(33)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본체(40)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홈(34)의 케이스(30)의 출입구(31)측에는 조금 떨어진 위치에 원형의 관통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홈은 슬라이드홈(35)으로서, 이 슬라이드홈(3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본체(4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유지되며, 컵(20,21)의 바닥이 놓이는 재치부(81)를 가지는 슬라이더(80)와, 이 슬라이더(80)에 전개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을 향하여 2번 꺾이게 접은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8)와 함게 케이스(30) 내에 수납되고, 상기 슬라이더(80)와 함께 케이스(3[))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여 전개되고 상측에서 슬라이더(80)의 재치부(81)를 향하여 컵(20,21)을 향하여 컵(20,21)을 끼울 수 있는 컵삽입구(41)를 형성하는 좌우 1쌍의 홀더반쪽부(90,10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8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자형을 이루며, 케이스(30)의 출입구(31)를 막는 전면부(82)와, 이 전면부(82)에 연속하여 오목하게 들어가서 컵(20,21)의 바닥이 놓이게 되는 재치부(81)를 가지는 중간부(83)와, 이 중간부(83)에 연속한 후면부(8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80)는 케이스(30)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강성이 높은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예를 들면 ABS에 의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8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1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커버(11)는 슬라이더(80)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강성이 높은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예를 들면 ABS에 의하여 일체성형되어 있다.
상기 후면부(84)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전후로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2개의 가이드핀(85…)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핀(85)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 좌우의 측벽의 각 가이드홈(33)에 각각 끼어들어가서 슬라이드시의 슬라이더(80)의 요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핀(85)의 하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부(84)의 좌우양측면에서 반원형으로 돌출한 좌우 1쌍의 돌출핀(86)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돌출핀(8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 좌우측벽의 각 보조홈(34) 및 관통구멍(38)에 각각 끼어 들어간다. 그리고, 각 돌출핀(86)은 슬라이더(80)의 손쪽으로 잡아당길 때 일단 보조홈(34)에서 케이스(30)내로 들어가고, 슬라이더(80)가 최대로 잡아당겨진 위치에서 관통구멍(38) 내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주는 것이다.
또한 돌출핀(86)의 하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부(84)의 좌우 양측면에서 돌출하여 전후로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2개의 슬라이드핀(87…)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핀(87)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 좌우측벽의 각 슬라이드홈(35)에 각각 끼워지고 슬라이드핀(87)이 슬라이드홈(33)을 따라 이동하므로써 슬라이드시의 슬라이드(80)의 요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홀더반쪽부)
상기 양 홀더의 반쪽부(90,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C'자형으로 각각 형성되며, 비교적 강성이 높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예를 들면 POM에 의하여 각각 일체성형되고 있다.
양 홀더반쪽부(90,100)의 일측, 즉 도 2에서는 마주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흘더반쪽부(90)의 손압쪽의 단부에는 손압쪽으로 돌출한 돌출축(9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타측 즉 우측에 위치하는 홀더반쪽부(100)의 손쪽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축(91)을 축구멍(101)을 통하여 슬라이더(80)의 전면부(82)에 축지지하고 있다.
또한 양 홀더반쪽부(90,100)의 안쪽의 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핀(120)을 통하여 슬라이더(80)의 후면부(84)에 축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양 홀더반쪽부(90,100)는 돌출축(91) 및 축핀(120)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고, 돌출축(91) 및 축핀(120)이 양홀더반쪽부(90,100)의 전개축이 된다.
상기 축핀(12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이 통하고, 이 코일스프링(l30)이 풀어지려는 힘에 의하여 양 홀더반쪽부(90,10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상태로 열리도록 탄지하고 있다.
그리고, 양 홀더반쪽부(90,100)가 전개상태로 열린 위치에서는 양홀더반쪽부(90,100)의 대향간격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20,21)을 삽입가능한 원형의 컵삽입구(41)가 형성된다.
(절첩장치)
상기 절첩장치(5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더(80)의 후면부(84)에 측지지되어 회전하는 캠편(51)을 가지고, 이 캠편(51)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열가소성의 플라스틱 예를 들면 POM에 의하여 각각 일체상형되어 있다.
상기 캠편(5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면이 개방된 단면이 'コ'자형을 이루고, 그 좌우의 측벽의 각 내측벽에는 서로 대향하여 돌출한 좌우 한쌍의 회전축(52,52)을 구비하고 있다. 각 회전축(52)은 슬라이더(80)의 후면부(84)에 축지지되며 양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캠편(51)은 슬라이드한다.
또한, 캠편(51)의 좌우의 측벽의 각 외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배향하여 돌출한 좌우 한쌍의 트레이스핀(53,53)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은 케이스(30)의 좌우의 측벽의 캠홈(32)에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좌우의 캠편(51)이 슬라이더(80)와 함께 슬라이드하고, 그때에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이 좌우의 캠홈(32)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즉,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캠홈(32)의 직선부분(36)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캠편(51)은 하측을 향하여 회전하고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를 하측을 향하여 누른다. 이때문에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을 향하여 2번 꺾이게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대하여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내로부터 잡아당겨지면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캠홈(32)의 상측을 향하여 대략 'J'자형으로 굴곡된 굴곡부분(37)에 각각 위치한다. 이 때 캠편(51)은 좌우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하여 회전하여 캠편(51)이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의 상측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이때문에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의하여 상측을 향하여 전개상태로 열린다.
이어서,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 내에 다시 삽입하면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은 도 7,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캠홈(32)의 굴곡부분(37)을 따라 각각 이동하고, 그 때에 캠편(51)이 좌우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회전한다. 이 때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캠편(51)에 의하여 하측을 향하여 눌러진다. 이때문에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을 향하여 2번 꺾이게 접히면서 케이스(30) 내에 수납된다.
(돌출장치)
상기 돌출장치(6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의 후면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며, 케이스(30)의 안쪽의 후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편(61)과, 이 돌출편(61)을 돌출시키는 돌출스프링(62)을 구비한다.
즉,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61)이 케이스(30)의 안쪽의 후벽으로밀어져서 슬라이더(8)의 내부에 수납되며, 돌출스프링(62)은 슬라이더(80)와 돌출편(61)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이 때 슬라이더(80)는 돌출스프링(62)의 압축복원력에 저항하여 후술할 로크장치(70)에 의하여 케이스(30) 내의 수납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장치(70)의 로크상태가 해제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스프링(62)의 압축복원력에 의하여 돌출편(61)이 케이스(30)의 안쪽의 후벽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때문에 돌출편(61)이 케이스(30)의 안쪽의 후벽을 제자리로 미는 힘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의 출입구(31)로부터 조금 튀어나온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돌출장치(60)에 의하여 슬라이더(80)의 일부가 케이스(30)의 출입구(31)에서 튀어나오게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더(80)의 전체가 케이스(30)에서 조금 튀어나오게 해도 된다.
(로크장치)
상기 로크장치(7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의 전면부(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커버(110)를 통하여 돌출시키는 미는 버튼(71)과, 이 미는 버튼(71)의 하측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미는 버튼(71)을 누르는 것으로 상승하게 되는 로크편(72)과, 케이스(30)의 바닥벽에 위치하며 상기 로크편(72)이 끼워지는 로크구멍(39)을 구비한다.
그리고, 로크편(72)이 로크구멍(39)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대하여 미는 버튼(71)을 밀면 로크편(72)이 상승하고, 로크구멍(39)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벗겨진다. 이때문에 슬라이더(80)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돌출장치(60)의 움직임에 의하여 케이스(30)의 출입구로부터 조금 튀어오른다.
그 후 홀더본체(40)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에서 잡아당겨지면 도시하지는 않으나 미는 버튼(71)의 내부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로크편(72)이 다시돌출한다.
한편 슬라이더(80)가 케이스(30) 내에 다시 밀어넣어지면 로크편(72)이 케이스(30)의 바닥벽으로 밀어지고 일단 들어간 후 도시하지는 않으나 미는 버튼(71)의 내부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로크편(72)이 다시 돌출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바닥벽의 로크구멍(39)에 들어간다.
(컵누름장치)
상기 슬라이더(80)의 전면벽(8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누름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누름장치(1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슬라이더(80)의 전면벽(8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의 자유단부가 전개상태의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의 간격내에 형성되는 컵삽입구(41) 내에 삽입된 컵(20,21)에 맞닿는 컵누름편(141)과, 컵누름편(141)을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탄지하는 누름스프링(142)을 구비한다.
상기 컵누름편(14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42)의 탄지력에 의하여 컵삽입구(41) 내에 삽입된 컵(20,21)에 탄성적으로 맞닿고 외측지름이 다른 컵(20,21)을 컵삽입구(41) 내에 요동없이 유지하는 것이다.
즉, 도 9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지름이 큰 컵(20)의 경우에는 컵누름편(141)의 자유단부가 컵(20)의 외측둘레로 밀어지고 누름스프링(14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비스듬히 하측으로 회전한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3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작은 지름의 컵(21)의 경우에는 컵누름편(141)의 자유단부가 누름스프링(142)의 탄지력에 의하여 대략 수평으로 회전하고, 그 자유단부의 선단이 컵(21)의 외측둘레에 접하는 것으로 컵삽입구(41) 내중에서의 작은 지름의 컵(21)의 요동을 방지한다.
(사용방법)
이어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컵홀더(10)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상태의 홀더본체(40)를 사용하는데는 그 전면의 미는 버튼(71)을 밀어넣으면 된다.
이에 의하여 미는 버튼(71)의 후단부의 로크편(72)이 상승하고, 케이스(30)의 바닥벽의 로크구멍(39)에서 벗겨진다.
이때문에 돌출스프링(62)의 압축복원력에 의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61)이 케이스(30)의 안쪽의 후벽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 때 슬라이더(80)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출입구(30)에서 조금 튀어나온다.
이어서 슬라이더(80)가 튀어나온 전면부(82)를 가지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쪽으로 잡아당긴다.
이 때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의하여 상측을 향하여 전개상태로 열린다.
그 후 전개상태로 열린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의 간격내에 형성되는 컵삽입구(41) 내에 컵(20,21)을 상측에서 삽입하여 시용한다.
사용후 슬라이더(80)를 케이스(30)내에 밀어넣으면 좌우의 트레이스핀(53)이 도 7,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캠홈(32)의 굴곡부분(37)을 따라 각각 이동하고, 그 때에 캠편(51)이 좌우의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하측을 향하여 서서히 회전한다.
이 때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코일스프링(1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캠편(51)에 의하여 하측을 향하여 눌린다.
이때문에 좌우의 홀더반쪽부(90,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을 향하여 2번 접히면서 케이스내에 수납된다.
슬라이더를 좀더 밀어 넣으면 로크편(72)이 일단 들어간 후 도시하지는 않으나 미는 버튼(71)의 내부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로크편(72)이 다시 돌출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바닥벽의 로크구멍(39)에 끼워진다.
이때문에 홀더본체(40)는 케이스(30)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로크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양 홀더반쪽부를 각각의 각 회전방향에 동일한 방향에서 누르는 것으로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로 밀어 넣을 때의 힘이 비교적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캠편을 캠기능에 의하여 회전시키므로써 홀더본체의 삽입력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양 홀더반쪽부를 확실히 접을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에서 돌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홀더본체를 잡아당기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홀더본체를 케이스 내에 로크하여 불시에 홀더본체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2 중 어느 일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컵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내에 고정되는 증공(中空)을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는 홀더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유지되며 컵의 바닥이 놓이는 재치부를 가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전개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측을 향하여 2번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케이스내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여 전개되며 상측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재치부를 향하여 상기 컵을 끼울 수 있는 컵삽입구를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홀더반쪽부와,
    상기 홀더반쪽부를 전개상태를 향하여 탄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내로 밀어 넣을 때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홀더반쪽부를 2번 접어개는 절첩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첩장치에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며 타단의 자유단부가 상기 홀더반쪽부의 전개축을 사이에 두고 그 좌우 양측에 각각 맞닿고, 상기 케이스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홀더반쪽부를 하측을 향하여 각각 누르고, 상기 양 홀더반쪽부를 2번 접어개는 캠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캠편에서 케이스를 향하여 돌출한 트레이스핀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핀이 끼워지는 캠홈과,
    상기 캠홈에 설치되며 양 홀더반쪽부가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상기 케이스내에 수납될 때에 상기 캠편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스내에는,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하는 돌출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스내와 슬라이더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케이스내의 수납위치에 로크하는 해제가능한 로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개상태의 양 홀더반쪽부에 형성되는 컵삽입구에 삽입된 컵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컵미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장치.
KR1019970004719A 1996-08-12 1997-02-17 차량용 컵 홀더 KR100219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23996A JP3702049B2 (ja) 1996-08-12 1996-08-12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96-212239 1996-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021A KR19980018021A (ko) 1998-06-05
KR100219444B1 true KR100219444B1 (ko) 1999-09-01

Family

ID=1661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719A KR100219444B1 (ko) 1996-08-12 1997-02-17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02049B2 (ko)
KR (1) KR100219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5930C2 (de) * 1998-10-06 2000-08-03 Sego Gmbh Becherhalt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031360A1 (de) * 2000-06-28 2002-01-10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zum stehenden Einbau in einem Kraftwagen
JP4832652B2 (ja) * 2001-03-19 2011-12-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483270B1 (ko) * 2002-07-05 2005-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컵 홀더구조
CN106585465B (zh) * 2017-01-06 2018-11-20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的可伸缩杯托
CN112158115B (zh) * 2020-08-18 2022-04-15 东风延锋汽车饰件***有限公司 可隐藏杯托结构及汽车
CN113442812B (zh) * 2021-07-01 2023-06-13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隐藏式托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021A (ko) 1998-06-05
JPH1059047A (ja) 1998-03-03
JP3702049B2 (ja)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395A (en) Retractable cup holder for automobiles
KR100219444B1 (ko) 차량용 컵 홀더
FR2652046A1 (fr) Dispositif de coussin pneumatique de securite pour passager de vehicule.
KR100212422B1 (ko) 컵 홀더장치
JP3973989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2017193303A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3706536B2 (ja) 車両用物品保持装置
JP2002104052A (ja) 小物収納装置
JP2671039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6562327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KR0122123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2005096614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H02102841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4435936B2 (ja) 乗物用引出式ホルダー
JP2657677B2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KR930004242Y1 (ko) 우산보관용구
JP483265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CN218476725U (zh) 一种带锁折叠刀
KR0117353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200155980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열쇠 보관함
KR100214952B1 (ko) 원터치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JPH06117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H11301334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0111668Y1 (ko) 자동차의 아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