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087B1 -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087B1
KR100216087B1 KR1019950021750A KR19950021750A KR100216087B1 KR 100216087 B1 KR100216087 B1 KR 100216087B1 KR 1019950021750 A KR1019950021750 A KR 1019950021750A KR 19950021750 A KR19950021750 A KR 19950021750A KR 100216087 B1 KR100216087 B1 KR 10021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umidity
temperature
lens group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오기노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동렌즈를 지닌 결상광하계와, 상기 가동렌즈를 상기 결상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구동기와, 상기 결상광학계에서 서미스터가 배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온도영역마다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온도영역중에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온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이동렌즈군의 캠궤적의 설명도
제3도는 온도변화에 대한 캠궤적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각 이동렌즈군의 이동범위를 복수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계(RFZ)렌즈 2 : 렌즈 배럴
3 : 아이리스부재 3a : 아이리스블레이드
3b : 개구부 4 : 필터유닛
4a : 광학적 로패스필터 4b : 적외선차단필터
5, 6 : 스테핑모터(렌즈구동수단) 5a, 6a : 리드나사
7 : 구동수단 8a, 10a : 포토인터럽터
8b, 10b : 차광판 9 : 아이리스엔코더
11, 11a, 11b : 줌스위치 12 : 온도검출수단(서미스터)
13 : 제어수단 14 : 기억수단(ROM)
15∼17 : 구동회로 18 : 광전변환소자(CCD)
19 : 카메라프로세스회로 20 : 아이리스제어회로
21∼24, 27 : 검출회로 25 : 전원
26 : 습도검출수단 101 : 프론트렌즈
102 : 배리에이터렌즈 103 : 어포컬렌즈
104 : RR렌즈
101a, 102a, 103a, 104a : 렌즈유지부재(이동링)
102b, 104b : 랙(rack) 105 : 광축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 은염카메라 및 전자스틸카메라 등의 광학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커싱(focusing) 또는 주밍(zooming)시 그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렌즈군을 지닌 광학계(촬영광학계), 예를들면, 단일초점거리렌즈 또는 줌렌즈 등의 촬영광학계에 있어서,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초점이탈을 보정하도록 한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카메라 등의 광학기기의 분야에서는, 촬영광학계의 소형화 및 고체촬영소자의 이미지사이즈의 소폭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 그런 촬영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재료로서는 플라스틱재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플라스틱재료를 이용하면 렌즈의 몰딩이 용이하므로 그 형상을 임의로 제조할 수 있고 또, 유리재료에 비해 현저한 코스트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플라스틱재료로 만든 렌즈가 뷰파인더계, 적외선액티브방식의 오토포커스유닛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그런, 그런 플라스틱재료는 무기유리재료에 비해 환경변화에 대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가 크다. 예를 들면 선팽창계수가 커서, 플라스틱재료의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대표치가 67.9×10-6/℃인제 반해, 무기유리의 LaK 14(오하라제)는 대표치가 1자리수 더 작은 57×10-7/℃이다. 또, 온도변화에 대한 굴절률의 변화에 있어서도 PMMA의 대표치는 1.0∼1.2×10-4/℃인 반면 LaK 14의 D선굴절률은, 3.9∼4.4×10-6/℃로 2자리수 더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재료는 무기유리 재료에 비해서 온도변화에 대해 큰 변화를 보이는 광학적 정수(굴절률, 형상등)를 갖는다. 따라서, 플라스틱재료로 만든 렌즈(플라스틱렌즈)는 무기유리재료로 만든 렌즈에 비해 온도변화에 대해 초점거리가 크게 변화한다.
또, 플라스틱재료는 무기유리재료에 비해 흡수율이 크다. 이런 이유로, 플라스틱렌즈의 광학적 정수는 무기유리재료로 만든 렌즈에 비해 온도변화뿐만 아니라 습도변화에 대해서도 크게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그런 플라스틱렌즈를 사용하면, 환경변화, 특히 온도 또는 습도변화의 발생시 무기유리재료로 만든 렌즈에 비해 초점거리 등의 광학적성질이 크게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촬영광학계의 소형화, 고체촬상소자의 소형화 및 구성요소의 고밀도화를 도모하는 최근의 소형사이즈의 광학기기의 경우에 있어서, 플라스틱렌즈는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 등의 환경변화의 영향에 의한 광학계의 결상면의 소정의 결상면으로부터의 이탈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 등의 환경변화로 인한 결상위치의 오차를 감소할 수 있는 광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의하면,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동렌즈를 지닌 결상광학계와, 상기 가동렌즈를 상기 결상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구동기와, 상기 결상광학계에 관련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온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온도영역중에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온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의하면,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동렌즈를 지닌 결상광학계와, 상기 가동렌즈를 상기 결상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구동기와, 상기 결상광학계에 관련된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습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및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습도영역중에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를 포함하는 습도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습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광학계(1)는 4개의 렌즈군을 지닌 소위 4군구성의 리어포커스줌(rear focus zoom)렌즈(이하, RFZ렌즈라 칭함)이다. RFZ렌주(1)는 고정렌즈군인 제 1렌즈군(이하 프론트렌즈라 칭함)(101), 이동렌즈군으로 배율가변기능을 지닌 제 2렌즈군(이하, 배리에이터 렌즈라 칭함)(102), 고정렌즈군인 제 3렌즈군(이하, 어포컬렌즈라 칭함)(103), 및 이동렌즈군으로 포커싱기능과 배리에이터렌즈(102)에 의한 주밍으로 인한 결상면변동을 보정하는 보정기능(일종의 포커싱기능임)을 지닌 제 4렌즈군(이하, RR렌즈라 칭함)(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 제 1실시예에서, RFZ렌즈(1)는 예를 들면, 프론트렌즈(101)는 3개, 배리에이터 렌즈(102)도 3개, 어포컬렌즈(103)는 1개, RR렌즈(104)는 2개의 렌즈요소를 지닌 4군 9요소 렌즈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각 렌즈군(101)∼(104)의 적어도 1개의 렌즈군은 플라스틱재료로 만든 플라스틱렌즈를 사용한다. 플라스틱렌즈의 재료로서는 아크릴계재료, 폴리올레핀계재료, 폴리카보네이트계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렌즈를 각 렌즈군(101)∼(104)중 임의로 선택한 1개의 렌즈군에 사용해도 되고 또는 각 렌즈군(101)∼(104)중 어느 것에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유리렌즈의 초점거리도 환경변화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한 구성은 배리에이터렌즈(102)를 유지하는 부재(이하, V이동링)(102a)와 RR렌즈(104)를 유지하는 부재(이하, RR이동링)(104a)를 포함한다. 각 이동링(102a), (104a)은 PC(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몰딩 또는 절삭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도시한 구성은 상기 렌즈군(101)∼(104)을 유지하는 부재(이하 렌즈배럴)(2)도 포함하며, 상기 렌즈배럴(2)은 PC(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몰딩 또는 절삭가공에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배럴(2) 및 이동링(102a), (104a)의 제작에 대해 특히 상기 재료 및 제작방법으로 한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이외의 재료 및 제작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하거나 다이캐스팅 후 2차가공을 행해도 좋고, 또는 알루미늄블록을 직접 절삭에 의해 가공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렌즈배럴(2)의 구조를 특정한 1개로 제한하지 않으므로,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튜브 또는 박스형상의 렌즈배럴(2)을 RFZ렌즈(1)의 광축(105)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2개의 부재로 나누어 형성해도 된다. 각 경우에서 렌즈배럴(2)은 2개이상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프론트렌즈(101) 및 어포컬렌즈(103)를 각 유지부재(101a), (103a)에 고정한 후, 상기 유지부재(101a), (103a)에 의해 렌즈배럴(2)에 고정한다. 하지만, 프론트렌즈(101) 및 어포컬렌즈(103)를 렌즈배럴(2)에 직접 고정해도 되며, 고정방법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리스부재(3)는 CCD등의 광전변환소자(18)에 입사하는 광속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다. 상기 아이리스부재(3)의 개구부(3b)면적은 IG미터(또는 스테핑모터등)의 구동수단(7)에 의해 아이리스부재(3)내외 아이리스블레이드(3a)를 광축(105)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변화시킨다. 아이리스엔코더(9)는 IG미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한다. 광전변환소자(18)에 입사하는 광속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아이리스제어회로(20) 및 구동회로(16)에 의해 구동수단(7) 및 아이리스엔코더(9)가 아이리스부재(3)의 아이리스블레이드(3a)를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개구부(3b)의 면적을 제어하여 상기 광속의 광량이 일정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검출회로(22)는 아이리스엔코더(9)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식의 아이리스부재(3), 구동수단(7) 및 아이리스엔코더(9)가 아이리스유닛을 구성하고 있지만, 아이리스유닛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전기화학작용에 의한 광흡수작용을 제어하는 일렉트로크로믹기능을 가진 물성아이리스유닛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필터유닛(4)은 광전변환소자(18)의 앞에 설치되어 있고, 수정 등의 광학적 로패스(1ow-pass)필터(4a), 적외선차단필터(4b)등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각 필터(4a), (4b)는 광전변환소자(18) 직전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지만, 각각 별도로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필터(4a), (4b)는 RFZ렌즈(1)의 각 필터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스테핑모터 또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보이스코일모터(voice coil motor) 등의 구동수단(렌즈구동수단)(5) 및 (6)은 각각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5), (6)으로서 스테핑모터를 각각 사용한다. 각 리드나사(5a), (6a)의 표면은 소정의 피치로 외부에 줄이 나있다. 랙(102b), (104b)은 각각 V이동링(102a) 및 RR이동링(104a)과 동일부재, 또응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랙(102b), (104b)이 별도의 부재로서 제작되면 접착등에 의해 V이동링(102a) 및 RR이동링(104a)과 일체화하면 된다. 랙(102b), (104b)은 각 리드나사(5a), (6a)와 맞물려 있으므로 스테핑모터(5), (6)를 전후로 구동하면 V이동링(102a) 및 RR이동링(104a)이 광축(105)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배리에이터렌즈(102) 및 RR렌즈(104)가 광축(10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 도시한 구성은 포토인터럽터(8a), (10a)와 차광판(8b), (10b)을 포함한다. 포토인터럽터(8a)와 차광판(8b) 및 포토인터럽터(10a)와 차광판(10b)은 각각 V이동링(102a) 및 RR이동링(104a)과 동일부재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별도의 부재로서 제작되면 접착등에 의해 V이동링(102a) 및 RR이동힐(104a)과 일체화하면 된다. V이동링(102a) 및 RR이동링(104a)이 이동하여 차광판(8b), (10b)이 각 포토인터럽터(8a), (10a)의 위치에 도달하면 각 포토인터럽터(8a), (10a)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변화하고 이들 신호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배리에이터렌즈(102) 및 RR렌즈(104)의 기준위치를 결정한다. 부수적으로 포토인터럽터(8a), (10a)와 차광판(8b), (10b)은 배리에이터렌즈(102)(RR렌즈(104))의 초기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의 1요소를 구성하고 있다. 검출회로(21), (23)는 각 포토인터럽터(8a), (10a)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렌즈초기위치 검출수단으로서 포토인터럽터(8a), (10a)와 차광판(8b), (10b)의 조합을 채용하고 있지만, 홀소자와 마그넷의 조합, PSD(위치감지검출기)와 iRED(적외발광다이오드)의 조합 또는 다른 조합을 이용해도 된다.
구동회로(15) 및 (17)는 스테핑모터(렌즈구동수단)(5), (6)를 구동한다. 서미스터 또는 감열저항(12)은 온도검출수단으로서 작용하고, 검출회로(24)는 상기서미스터(12)로부터의 온도를 검출하여 해당 온도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는 제어회로(13)로 공급한다. 이하, 온도검출수단을 서미스터(12)라 칭하지만 감열저항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미스터(12)는 프론트렌즈(101)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프론트렌즈(101)가 계산상, 온도변화에 대한 프론트렌즈(101)의 초점거리의 변화량이 다른 렌즈군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온도검출수단(서미스터 또는 감열저항)은 렌즈전체의 초점거리의 변화량에 대해 그 렌즈군의 초점거리의 변화가 지배적인 렌즈군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시한 구성은 또한 광전변환소자(18)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화상신호로서 출력하는 카메라프로세스회로(19)와, 배리에이터 렌즈(102) 및 RR렌즈(104)의 구동정보가 격납된 기억수단인 ROM(롬)(14)과, 주밍스위치(11a), (11b)를 지닌 줌스위치(11)를 포함한다. 광각측으로 주밍을 실행하고 싶을 때는 주밍스위치(11a)를 누르고 망원측으로 주밍을 실행하고 싶을 때는 주밍스위치(11b)를 누른다. 줌스위치(11)가 조작되면, 제어회로(13)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의해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가 구동되어 주밍동작이 실행된다. (25)는 전원이다.
이하에,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RFZ렌즈(1)는 포커스상태를 유지하면서 주밍을 행하기 위해서, 각 피사체거리마다 배리에이터렌즈(102)의 광축(105)상의 렌즈정지위치에 대한 RR렌즈(104)의 광축(105)상의 정지위치를 결정한다.
제2도는 피사체거리에 대해 RFZ렌즈(1)의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광축(105)상의 정지위치(이하, 캠궤적)를 플롯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서, 예를 들어, 피사체거리가 무한(또는 2m)하고 배리에이터렌즈(102)가 광각측으로부터 망원측으로 광축(105)상 이동하면, RR렌즈(104)는 곡선 Y∞(또는 Y2)와 같이 광축상 물체측으로 블록형상의 궤적을 가지면서 이동한다.
제1실시예에서, 광각측으로부터 망원측 또는 그 반대로 주밍시에는, RR렌즈(104)가 피사체거리에 의한 상기 캠궤적을 트레이스할 수 있도록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제어하고, 이것에 의해 포커스이탈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개의 렌즈군에 플라스틱렌즈를 사용한다. 이때, 플라스틱렌즈의 주위에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 등의 환경변화가 생기면 플라스틱렌즈의 형상 또는 굴절률이 변화하여 초점거리가 변화한다. 부수적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환경변화로서 온도변화를 서술한다.
플라스틱렌즈의 초점거리가 변화하면 RFZ렌즈(1)의 전체초점거리도 빈화한다. 그 결과, 기준온도 Tref(본 실시예에서는, 20℃)시의 결상면의 위치로부터 온도변화발생시의 결상면의 위치가 이탈하는 즉, 포커스이탈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밍의 경우 온도변화가 생길시는, 온도변화로 인한 결상면의 이탈을 보정할 수 있모록 이동렌즈군에 의해 트레이스하는 상기 캠궤적의 형상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제3도는 기준온도 Tref=20℃인 때, Tref+30℃의 온도인 때, 및 Tref-30℃의 온도인 때의 피사체거리가 무한대인 3가지 경우의 캠궤적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온도 Tref보다도 높은 온도범위에서는 RR렌즈(104)의물체측으로의 이동량이 증가하는 반면, 기준온도 Tref보다도 낮은 온도범위에서는 RR렌즈(104)의 물체측으로의 이동량이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변화로 인한 최대포커스이탈이 망원단에서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광축(105)상의 이동범위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다수개의 위치영역(I)∼(VII)…을 형성한다.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위치영 역분할데이터로서 다수개의 기준위치데이터(제 7도의 위치좌표)가 ROM(14)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위치영역에 대해 주밍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구동데이터인 배리에이터 렌즈(102)와 RR렌즈(104)의 대표속도가 ROM(14)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각 위치를 검출하면, 해당 검출된 위치로부터 해당하는 위치영역을 결정하여 해당 위치영역의 대표속도를 ROM(14)에 의해 판독하고 판독한 대표속도에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각각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커스이탈이 없는 주밍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위치영역분할데이터와 대표속도를 각각 상이한 온도(영역)마다개별로 설정하고, 그 작동온도영역을 소정의 온도범위 △GT에 의해 다수의 부분온도영역으로 분할한다. 그 부분온도영역에 대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각 온도기준위치데이터(제 7도의 베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각 위치좌표)와 각 위치영역에 대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데이터는 ROM(14)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가 발생하면, 변화후의 부분온도영역에 대응하는 온도기준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기준위치데이터를 갱신하고, 현재의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위치 데이터와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대응하는 각 온도기준위치데이터와의 차분치로부터 상기 위치영역을 결정한다. 해당 위치영역의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데이터를 ROM(14)으로부터 판독하여 판독한 온도대표속도데이터에 의거하여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제어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온도범위 -10℃∼+70℃를 1℃이상의 온도범위로 분할한다. ROM(14)에 격납된 상기 온도기준위치데이터와 상기 온도대표속도데이터는 RFZ렌즈(1)의 각 렌즈군을 유지하는 기계부재의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으로 인한 렌즈간폭의 변화 또는 기준온도 Tref에 대한 온도변화로 인한 플라스틱렌즈의 초점거리의 변화에 의해 야기된 포커스이탈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한 데이터이다. 그런 데이터는 서미스터(12)에 의해 검출한 온도와 플라스틱렌즈 및 유지부재의 실제온도와의 차를 고려함으로써 보정하여 산출한다. 이는 각 렌즈의 위치 즉, 예를 들면, CCD(18)근방에 배치된 렌즈나 기계부재가 예를들면, 프론트렌즈(101)에 비해서 CCD(18)의 발열로 인한 온도상승이 큰 경우의 현상을 고려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4도,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투입된다. 다음에 제어회로(13)는 포토인터럽터(8a), (10a)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각 검출회로(21), (23)를 통해 판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각 판독신호에 대응한 방향 즉, 각 검출회로(21), (23)로부터 판독한 신호가, 신호의 레벨이 높을 때는 하이레벨에서 로레벨로되는 방향으로 또는 신호의 레벨이 낮을 때는 로레벨에서 하이례벨로 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각 포토인터럽터(8a), (10a)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레벨에서 상기 변화가 검출될 때까지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하여 광축(105)을 따라 이동시킨다.
각 포토인터럽터(8a), (10a)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레벨에서 변화가 검출될때 얻은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위치를 각각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초기리셋위치로 각각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레벨에서 변화가 검출된 위치에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정지시키고 제어회로(13)내의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용의 각 카운터를 클리어한다. 상기 카운터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에 적용한 구동펄스의 수를 카운트(계수)하고, 그것에 의해 배리에이터렌즈(102) 및 RR렌즈(104)의 초기리셋 위치로부터의 이동거리 즉,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프론트렌즈(101)의 주위에 배치된 서미스터(1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회로(24)를 통해 제어회로(13)에 입력하면, 서미스터(12)가 배치된 장소의 온도 Ts가검출된다. 이하, 전원(25)이 투입된 후 K번째 검출에 의해 얻은 검출온도를 Ts(K)라 한다. 당 검출온도 Ts(1)에 대응하는 은도영역을 결정한다. 검출된 온도 Ts(1)에 대응하는 각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기준위치데이터와 온도리셋위치 데이터를 ROM(14)으로부터 판독하여 제어회로(13)내에 격납한다.
해당 온도리셋위치데이터는, 기준온도 Tref에서의 초기리셋위치와 그외의 온도 Ts에서의 초기리셋위치가 온도변화로 인한 기계부재의 신축이나 포토인터럽터(8a), (10a)의 온도특성에 의해 서로 이탈하기 때문에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초기리셋위치를 보정하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검출온도 Ts(K)가, 기준온도 Tref가 수용된 영역이외에 속하는 것이라면, 상기 온도리셋위치데이터에 의해 상기 카운터는 카운트를 행하고 그것에 의해 초기리셋위치를 보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상기 초기리셋위치가 복수영역으로 분할된 상기 이동범위외에 설정되어 있지만, 이동범위내로 설정해도 된다. 격납되어 있는 온도리셋위치데이터는 초기리셋위치데이터(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에이러렌즈(102)와 RR렌즈(104)가 각 카운터의 값이 0인 경우에 위치하고 그 장소는 어느 온도에서도 공통임)에 대한 차분치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줌스위치(11)가 눌러져 있는지를 체크한다. 주밍스위치(11a)가 눌리져 있을시는 광각측으로 주밍이 행해지는 반면, 주밍스위치(11b)가 눌러져 있을시는 망원측으로 주밍이 행해진다. 눌러져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밍동작을 하지 않는다.
이하, 망원측으로 주밍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사실상 광각측으로도 동일한 루틴을 사용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대응하는 카운터로부터 배리에이터렌즈(102)의 위치 PV(K)를 판독하고, 대응하는 카운터로부터 RR렌즈(104)의 위치 PRR(K)를 판독한다. 프론트렌즈(101)의 주위에 배치된 서미스터(1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회로(24)를 통해 제어회로(13)에 입력하고, 서미스터(12)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 Ts를 검출하여, 이 온도 Ts에 해당하는 온도를 결정한다.
상기 온도영역에 대응하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기준위치데이터 PVTref와 PRRTref를 ROM(14)으로부터 판독하여 제어회로(13)내에 격납시킨다. 배리에이터 렌즈(102)의 온도위치데이터:
PVT(K)=PV(K)-PVTref
및 RR렌즈(104)의 온도위치데이터:
PRRT(K)=PRR(K)-PRRTref
를 구하여 위치영역을 결정한다.
다음에, 상기 위치영역에 대응하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데이터 VVT(K)와 VRRT(K)를 R0M(14)으로부터 판독하여 제어회로(13)내에 격납한다. 온도변화가 큰 경우에는, 현재의 온도계측회수를 K라고 할 때 이하의 관계를 만족하면:
△ T | Ts (K ) -Ts(K-1)|I
현재 기억하고 있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데이터를 보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기억하고 있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각각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T는 △T≤△GT/2로 설정하고 있다. 현재 기억하고 있는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온도대표속도를 각각 VVT(K)와 VRRT(K)라 하고 배리에이터 렌즈(102)와 RR렌즈(104)의 보정온도대표속도를 각각 V* VT(K)와 V* RRT(K)라 한다.
V* VT(K)=V* VT(K)
V* RRT(K)=V* RRT(K)+Ca×(PVT(K)-PVT(K-1))
여기서, Ca는 임의의 정수이다·
V* RRT(K)VRRmax
이면 이하의 식을 이용한다:
V* VT(K)=(V* RRmax/V* RRT(K))×VVT(K)
V* RRT(K)= VRRmax
여기서, VRRmax는 구동수단(6)의 최고속도이다.
상기 보정온도대표속도데이터에 의거해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한다.
이상은 주밍시의 보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다음은 AF(자동포커스검출)시의 보정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RFZ(1)의 포커싱동작은 예를들면, 일본국 특원평 6-82374호와 일본국특원평 6-102236호 등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R렌즈(104)를 광축(105)과 평행방향으로 진동시키고 이 때 CCD(18)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고주파성분이 최대레벨에 근접할 수 있도록 RR렌즈(104)를 구동제어 한다. 이 방식을 언덕오름(hil1-climbing)자동포커스검출이라 하고, 언덕의 기슭에서는 RR렌즈(104)의 구동속도가 빠르지만 언덕의 정상부근에서는 구동속도가 느려지므로 언덕의 정상에서 RR렌즈(104)가 정지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포커싱동작중에 기준온도영역에 대해 온도변화가 생기면 언덕의 정상 즉, RR렌즈(104)의 도달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거나 근접하게 이동할지도 모른다. 이 때 채용한 RR렌즈(104)의 구동수단(6)의 속도에서 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경우는, RR렌즈(104)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RR렌즈(104)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는 RR렌즈(104)가 목표위치를 지나쳐 버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서미스터(12)의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온도 Ts에 의해 RR렌즈(104)의 기준온도영역에 대응하는 구동속도 VRRAF에 무게를 가함으로써 RR렌즈(104)를 구동제어한다. 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경우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 Caf를 구동속도 VRRAF에 곱하는 반면, 목표위치가 RR렌즈(104)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보다 작은 임의의 정수 Caff를 구동속도 VRRAF에 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광학기기의 사용중에 환경온도(일정)가 기준온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는 물론, 주밍 또는 자동포커싱중에 온도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포커스이탈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검출수단으로서 서미스터(12)를 1개 사용하지만, 복수개를 사용해도 된다. 복수개의 서미스터를 사용하면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리셋위치의 온도변화에 의한 보정을 행하지만, 이 보정은 보정량이 상이탈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행하지 않아도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8도중, 제1도에서 도시한 요소와 동일요소에는 동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는 또 하나의 환경변화인 습도변화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동도에서,(26)은 정전용량식 또는 서미스터를 사용한 습도검출센서이고, (27)은 습도검출센서(26)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습도를 검출하는 검출회로이다. 검출회로(27)는 검출된 습도정보에 상당하는 출력신호를 제어회로(13)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는 환경변화로서 습도변화가 생길 때 발생하는 플라스틱렌즈의 형상변화나 재질의 굴절률의 변화에 의한 플라스틱렌즈의 초점거리의 변화로 야기된 포커스이탈을, 제1실시예의 온도변화보정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정한다. 즉, 습도와 온도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2실시예의 그외의 기본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렌즈군에 플라스틱렌즈를 사용한다. 이 경우, 플라스틱렌즈 주위에 습도변화가 생기면, 플라스틱렌즈의 형상이 변화하여 그 초점거리가 변화하므로 RFZ렌즈(1)의 전체초점거리도 변화할 것이다. 그 결과, 기준습도 Href(제2실시예에서는 50%)의 결상면의 위치로부터 이때의 결상면의 위치가 이탈하므로 즉, 포커스이탈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밍하는 경우에 습도변화가 발생하면 습도변화에 의한 결상면의 이탈을 보정할 수 있도록 각 이동렌즈군에 의해 트레이스되는 캠궤적의 형상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습도영역을 소정의 습도범위 △GH에 의해 국부습도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각 국부습도영역에 대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습도기준위치데이터와 각 위치영역에 대한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습도대표속도데이터가 ROM(14)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따라서, 습도변화가 생기면,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습도기준위치데이터를 갱신하여, 현재의 배리에이터 렌즈(102)와 RR렌즈(104)의 위치데이터와 배리에이터 렌즈(102)와 RR렌즈(104)의 대응하는 습도기준위치데이터와의 차분치로부터 상기 위치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위치영역의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의 습도대표속도데이터를 ROM(14)으로부터 판독하여 판독한 습도대표속도데이터에 의거하여 배리에이터렌즈(102)와 RR렌즈(104)를 구동제어 한다.
ROM(14)에 격납된 상기 습도기준위치데이터와 상기 습도대표속도데이터는 기준습도 Href에 대한 습도변화로 인한 각 플라스틱렌즈의 초점거리 변화로 야기된 포커스이탈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한 데이터이다. 또 이러한 데이터는 습도검출센서(26)에 의해 검출된 습도와 플라스틱렌즈의 실제의 습도와의 차를 고려하여 보정하고 산출한다. 이것은 각 렌즈의 위치 즉, 예를들면 CCD(18)의 근방에 배치된 렌즈부근의 습도가 예를들면 프론트렌즈(101)에 비해 작은 경우 등을 고려하고자 한 것이다. 이상은 주밍중의 보정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이하는 AF중의 보정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RFZ렌즈(1)의 포커싱동작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RR렌즈(104)를 광축(105)과 평행하게 진동시키고 이 때 CCD(18)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고주파성분이 최대레벨에 근접하도록 RR렌즈(104)를 구동제어한다. 이 방법을 소위 언덕오름자동포커싱이라 하고, 언덕의 기슭에서는 RR렌즈(104)의 구동속도가 빠르지만 언덕의 정상부근에서는 구동속도가 느려지므로 언덕의 정상에서 RR렌즈(104)가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포커싱동작중에 습도변화가 생기면 언덕의 정상 즉, RR렌즈(104)의 도달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거나 근접하게 이동할 지도 모른다. 이 때 채용한 RR렌즈(104)의 구동수단(6)의 속도에서 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경우는 RR렌즈(104)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RR렌즈(104)에 근접하게 이동하는 경우는 RR렌즈(104)가 목표위치를 지나쳐 버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검출센서(26)의 출력으로부터 검출된 습도 Hs에 의해 RR렌즈(104)의 기준구동속도 VHRRAF에 무게를 가함으로써 RR렌즈(104)를 구동제어한다. 목표위치가 RR렌즈(104)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경우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 CHaf를 구동속도 VHRRAF곱하는 반면, 목표위치가 RR렌즈(104)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1보다 작은 임의의 정수 CHaff를 구동속도 VHRRAF에 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광학기기의 사용중에 환경습도(일정)가 기준습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는 물론 주밍 또는 자동포커싱중에 습도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도 포커스이탈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검출센서(26)를 1개 사용하지만, 복수개를 사용해도 된다. 복수개의 습도검출센서를 사용하면 보다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온도검출수단과 습도검출수단을 각각 설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온도 및 습도의 양검출수단을 1개의 광학기기내에 설치하여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온도변화와 습도변화로 인한 포커스이탈을 보정해도 좋다.

Claims (39)

  1.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동렌즈를 지닌 결상광학계와, 상기 가동렌즈를 상기 결상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구동기와, 상기 결상광학계에서 프론트렌즈의 주위에 배치된 서미스터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서미스터가 배치된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온도영역마다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온도기준위치데이터와 온도대표속도데이터인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온도영역중에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포함하는 온도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온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기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테핑모터에 대한 구동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를 이용한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의 검출시 상기 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차광판을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마그넷에 의한 자력을 검출하는 홀소자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온 광을 검출하는 위치감지검출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서미스터 또는 감열저항과, 상기 서미스터 또는 감열서항의 출력을 수신하는 검출회로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줌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는 배율가변동작을 행하는 제 1렌즈군보다도 배율가변동작으로 인한 결상위치의 변화를 보정하는 제 2렌즈군이 상쪽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의 물체쪽에 가장 근접한 렌즈군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제 2렌즈군의 캠궤적에 대한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다수개의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과 상기 제 2렌즈군의 각 위치를 검출하고,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데이터에 의해 결정된 다수개의 위치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 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의 검출위치와 상기 제 2렌즈군의 검출위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위치영역중에서 위치영역을 특정화하고, 이 특정화한 위치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기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기를 지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테핑모터에 대한 구동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지녀,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를 이용한 상기 렌즈의 스타트위치의 검출시 상기 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의 검출위치, 상기 제 2렌즈군의 검출위치 및 상기 제 2렌즈군의 각 위치데이터의 차이분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개의 위치영역중에서 위치영역을 특정화하고, 이 특정화한 위치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와 스타트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판독전용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에 관련된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습도영역마다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습도기준위치데이터와 습도대표속도데이터인 제 2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제 2메모리를 부가하여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습도영역중에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를 포함하는 습도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습도영역에 대응하는 제 2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1. 결상위치를 변화시키는 가동렌즈를 지닌 결상광학계와, 상기 가동렌즈를 상기 결상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구동기와, 상기 결상광학계에서 플라스틱렌즈 주위의 습도를 검출하는 정전용량식 또는 서미스터를 사용한 습도센서와, 다수개의 서로 다른 습도영역마다 상기 렌즈구동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습도기준위치데이터와 습도대표속도데이터인 제어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개의 습도영역중에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를 포함하는 습도영역을 검출하고, 해당검출된 습도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이동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4. 제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기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테핑모터에 대한 구동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를 이용한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의 검출시 상기 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차광판을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마그넷에 의한 자력을 검출하는 홀소자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는 상기 가동렌즈를 유지하는 부재상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온 광을 검출하는 위치감지검출기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정전용량식센서와 상기 정전용량식센서의 출력을 수신하는 검출회로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광학계는 줌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는 배율가변동작을 행하는 제 1렌즈군보다도 배율가변동작으로 인한 결상위치의 변화를 보정하는 제 2렌즈군이 상쪽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의 물체쪽에 가장 근접한 렌즈군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제 2렌즈군의 캠궤적에 대한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다수개의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과 상기 제 2렌즈군의 각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데이터에 의해 결정된 다수개의 위치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 1렌즈군과 상기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의 검출위치와 상기 제 2렌즈군의 검출위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위치영역중에서 위치영역을 특정화하고, 이 특정화한 위치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기는 스테핑모터와, 상기 가동렌즈의 스타트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기를 지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테핑모터에 대한 구동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지녀, 상기 렌즈위치검출기를 이용한 상기 렌즈의 스타트위치의 검출시 상기 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렌즈군의 검출위치, 상기 제 2렌즈군의 검출위치 및 상기 제 2렌즈군의 각 위치데이터의 차이분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개의 위치영역중에서 위치영역을 특정화하고, 이 특정화한 위치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렌즈군의 각각의 속도데이터와 스타트위치데이터를 이용하어 상기 렌즈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판독전용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KR1019950021750A 1994-07-26 1995-07-22 광학기기 KR100216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3723 1994-07-26
JP19372394 1994-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087B1 true KR100216087B1 (ko) 1999-08-16

Family

ID=1631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750A KR100216087B1 (ko) 1994-07-26 1995-07-22 광학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44805A (ko)
EP (1) EP0694799B1 (ko)
KR (1) KR100216087B1 (ko)
DE (1) DE69532223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400A (ko) * 1999-11-29 2001-06-25 이수정 성에 방지용 보호경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399B1 (ko) 2003-03-31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의 경통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885B1 (en) * 1996-01-31 2001-07-31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for correcting focus based on temperature and humidity
JP4642168B2 (ja) * 1998-12-28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レンズの駆動制御装置、焦点調節装置及びカメラ
JP2000199865A (ja) 1998-12-30 2000-07-18 Canon Inc ファインダ光学系
JP2002122778A (ja) * 2000-10-19 2002-04-26 Fuji Electric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電子的撮像装置
JP3950707B2 (ja) * 2002-02-22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WO2004036162A1 (ja) * 2002-07-26 2006-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US7773802B2 (en) * 2002-07-26 2010-08-10 Olympu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multiple imaging modes
CN1836184A (zh) * 2003-08-21 2006-09-20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图像拾取装置
US6826361B1 (en) * 2003-12-29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lens temperature
JP4088313B2 (ja) * 2004-01-23 2008-05-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院内処理システム
JP2005234075A (ja) * 2004-02-18 2005-09-02 Sony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20060055415A1 (en) * 2004-09-15 2006-03-16 Mark Takita Environmentally compensated capacitive sensor
JP4639799B2 (ja) * 2004-12-27 2011-02-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レンズ駆動方法
KR100820966B1 (ko) * 2006-12-07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 검출에 따른 카메라 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
US7679849B2 (en) 2007-06-01 2010-03-16 Stmicroelectronics (Grenoble) Sas Mobile lens unit with detection device
KR100890590B1 (ko) * 2008-10-02 2009-03-25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그의 구동 방법
JP5379118B2 (ja) * 2010-12-17 2013-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3389559B (zh) * 2013-08-01 2015-12-02 山东神戎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温度变化补偿的红外镜头及补偿方法
CN107003499B (zh) * 2014-12-01 2022-04-15 科磊股份有限公司 用于提供在其中执行光学接触的湿度受控环境的设备及方法
CN109240022B (zh) * 2017-07-11 2021-09-28 光芒光学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
CN111722355A (zh) * 2019-03-19 2020-09-29 杭州海康微影传感科技有限公司 基于温度补偿对热成像镜头进行调焦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511A (ja) * 1983-01-21 1984-07-31 Canon Inc ズ−ムレンズ
GB2141260B (en) * 1983-06-09 1986-12-10 Barr & Stroud Ltd Zoom lens assembly
JPH0664223B2 (ja) * 1984-12-04 1994-08-22 株式会社ニコン トラッキング調整機構を備えるズームレンズ
FR2616231B1 (fr) * 1987-06-04 1990-11-16 Trt Telecom Radio Electr Systeme optique a focale variable et commande electromecanique associee
US4920369A (en) * 1988-05-06 1990-04-24 Canon Kabushiki Kaisha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JPH01288806A (ja) * 1988-05-16 1989-11-21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におけるレンズバック変動補正装置
JPH0387801A (ja) * 1989-08-31 1991-04-12 Hirakawa Kogyosha:Kk 焦点位置の温度補償装置
JP3017250B2 (ja) * 1990-06-11 2000-03-0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温度補正装置
JPH0538196A (ja) * 1991-07-30 1993-02-12 Seikosha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JPH0682374A (ja) 1992-09-01 1994-03-22 Nikon Corp 欠陥検査方法
JPH06102236A (ja) 1992-09-22 1994-04-1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銅転炉の酸素分圧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70674A (ja) * 1994-03-29 1995-10-20 Canon Inc 合焦検出装置
JPH07287162A (ja) * 1994-04-15 1995-10-31 Canon Inc 自動焦点調節手段を有した画像入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400A (ko) * 1999-11-29 2001-06-25 이수정 성에 방지용 보호경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399B1 (ko) 2003-03-31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의 경통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32223T2 (de) 2004-10-07
US6144805A (en) 2000-11-07
EP0694799B1 (en) 2003-12-03
DE69532223D1 (de) 2004-01-15
EP0694799A3 (en) 1998-03-18
EP0694799A2 (en)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6087B1 (ko) 광학기기
JP3581513B2 (ja) 光学機器
US6822688B2 (en) Movable-lens position control apparatus
US4950054A (en)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KR100346865B1 (ko) 줌렌즈장치
JPH11271831A (ja) 交換レンズ及びブレ補正カメラ
JP3893203B2 (ja) 光学機器
US5276318A (en) Optical apparatus with lens position detection and control
US20090161233A1 (en) Lens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lens position detecting method
JP3584088B2 (ja) 光学機器
EP1591819A1 (en) Drive controller of a lens system
JP3412990B2 (ja) 光学機器
JPH0440405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3782484B2 (ja) 光学機器
JPH03212631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3359201B2 (ja) 光学機器
JP2003185908A (ja) 光学機器
JP2017106954A (ja) レンズ装置、カメラ本体および光学機器
JPH11183775A (ja) 光学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H09222544A (ja) 光学機器
JPH09159896A (ja) 光学機器
JP5288913B2 (ja) 光学機器
JPH09311267A (ja) 光学機器
KR100211775B1 (ko) 줌 렌즈의 초점 거리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US5493361A (en) Focus correcting apparatus for an auto focus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