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396B1 -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396B1
KR0177396B1 KR1019950043926A KR19950043926A KR0177396B1 KR 0177396 B1 KR0177396 B1 KR 0177396B1 KR 1019950043926 A KR1019950043926 A KR 1019950043926A KR 19950043926 A KR19950043926 A KR 19950043926A KR 0177396 B1 KR0177396 B1 KR 017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arization layer
polishing
layer
forming
polish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432A (ko
Inventor
김용권
박내학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5004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396B1/ko
Priority to JP8216347A priority patent/JPH09153494A/ja
Publication of KR97003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으로서,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연마 공정 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지층의 상에 하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 위에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평탄화층과 하부 평탄화층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연마하여 상기 정지층이 노출되면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정지층을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 평탄화층을 상기 정지층과 상기 상부 평탄화층에 비하여 연마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또 하나의 구성은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하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 상에 상기 하부 평탄화층과 연마율이 다른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평탄화층과 하부 평탄화층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연마하여 하부 평탄화층이 소정 부분 제거될 때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제1도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제2도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공정도.
제3도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공정도.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연마율(갈리는 율 : POLISH RATE)의 차이를 이용한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제조 방법도 복잡하여지고, 여러 가지 단위 요소들을 형성하고 나면 소자의 표면도 많은 굴곡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반도체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평탄화 방법 중에 화학기계적연마(CMP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은 웨이퍼의 표면을 화학적 및 기계적으로 연마하여 평탄하게 될 때까지 표면을 갈아내는 것이다.
즉, 먼저 기판에 필요한 회로 요소들을 다양한 공정을 통하여 반도체기판에 형성한다. 일예로, 기판(1)에 필드산화막(2)을 형성하고, 트렌치를 판 후 여러 층의 필요한 얇은 막들(3,4,5)을 형성하고, 폴리실리콘층(6)을 두껍게 형성하는데, 이렇게 되면 제1도의 (a)와 같이 트렌치가 충진되고 표면에 다수의 산과 골짜기가 형성된 형태로 된다.
다음에는 슬러리(SLURRY)를 바른 연마포로 고속 회전시키면서 표면을 연마하여 굴곡진 표면을 깍아내어 제1도의 b와 같이 평탄화 한다.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에 관하여 미국 특허 NO : 4671851(KLAUS D. BEYER, 1985)에 종래의 기술이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질화막(NITRIDE) 상에 산화막(OXIDE)이나 폴리실리콘(POLY-Si)을 형성시키고 연마(POLISHING)를 실시하여, 질화막 상의 산화막과 폴리실리콘을 제거할 때 하부의 질화막을 연마 정지막(POLISH STOP)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표면층을 연마하기 전에 표면층보다 연마율이 낮은 막을 표면층 하부에 먼저 형성시켜서 표면층을 연마할 때 하부층이 연마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하부를 보호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은 표면에 상부 평탄화막만을 연마하고 연마율이 낮은 물질을 연마 정지막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연마 시에 연마율이 낮은 물질이 없는 부분, 즉 하부에 패턴이 없는 부분이나 트렌치가 형성되어 연마율이 큰 물질이 많이 적층된 부분에는 더욱더 많은 연마가 이루어져 연마가 완료됐을때 하부 패턴의 높낮이에 따른 연마 전의 굴곡의 형태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일부분의 굴곡 형태는 잔류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을 이용한 표면 평탄화 방법에서 표면의 평탄화막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에 의하여 평탄화할 때 연마율이 서로 다른 평탄화막을 형성한 후 화학기계적연마를 실시함으로서 연마후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평탄화막을 상부 평탄화막과 하부 평탄화막으로 중첩하여 형성하고, 하부의 평탄화막을 상부의 평탄화막보다 연마율이 오히려 높은 물질로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의 평탄화막으로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화학기계적연마 공정 진행시 굴곡진 패턴의 웨이퍼 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은,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연마 공정 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지층 상에 하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 상에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상기 정지층이 노출되면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정지층을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고, 하부 평탄화층은 상부 평탄화층에 비하여 연마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실현하는 다른 예로서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은,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하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보다 연마율이 큰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상기 상부 평탄화층과 하부 평탄화층의 소정 부분까지 계속적으로 연마하여 표면이 평탄화 되었을 때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평탄화층은 붕소(B)와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BPSG, 붕소(B)가 함유된 산화물인 BSG,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PSG, 불소(F)가 함유된 산화물 또는 SOG(SPIN ON GLASS)등과 같은 연마율이 큰물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형성하고, 상부 평탄화층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 또는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연마 공정은 평탄화층 내에 첨가된 이온을 연마 공정 중 검출하여 공정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고, 연마 공정은 아교질의 실리카를 함유한 연마제와, KOH 등을 함유한 슬러리를 이용하여, 하부 평탄화층이 상부 평탄화층에 비해 연마율이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로 높도록 하여 연마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그 공정별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의 평탄화 방법은, 먼저 제2도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기판(21)위에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 폴리실리콘(POLY-Si) 또는 실리사이드(SILICIDE) 등의 도전체 층을 형성하고, 사진 식각 작업에 의하여 배선(22)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2도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이미 형성된 배선을 절연하기 위하여 제1절연막(23)을 산화 물질로 형성한다.
이때 산화 물질로는 TEOS 등을 이용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이나,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제1절연막의 두께는 최종 절연막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제2도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제1절연막(23) 위에 평탄화막의 하부층으로서 제2절연막(24)을 형성한다. 이때 제2절연막(24)은 제1절연막에 비하여 연마되는 비율(연마율이라 한다)이 높은 물질로서 붕소(B)와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BPSG, 붕소(B)가 함유된 산화물인 BSG,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PSG, 불소(F)가 함유된 산화 물질 또는 SOG 등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제2도의 d에 보인 바와 같이, 제2절연막(24) 위에 평탄화막의 상부층으로서 제3절연막(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절연막(25)은 상기 제2절연막(24)보다 연마율이 낮도록 제1절연막(23)과 같은 물질 및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하부의 평탄화막인 제3절연막과 제2절연막을 CMP 방법으로 연마한다.
연마 공정은 아교질의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함유한 연마제와, KOH 등을 함유한 슬러리(SLURRY)에 의해 이루어지며 페하(PH)는 약 7∼12정도로 한다. 이때 BPSG와 같은 제2절연막은 산화막인 제1절연막 및 제3절연막에 비해 연마율이 약 1.5 : 1 내지 2.5 : 1로 높도록 하여 연마가 빨리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제2도의 e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패턴의 높은 부위 a와 낮은 부위 b가 동시에 갈아져서, 제3절연막의 높은 부위가 먼저 제거되어 제2절연막(24)이 드러날 때 제3절연막의 낮은 부위는 높은 부위 a에 비하여 표면이 낮으므로 덜 갈려 나가서 도면 부호 25'로 가리킨 바와 같이 조금 남아 있게 된다.
계속하여 연마하여 나가면, 제2절연막(24)의 높은 부위 a는 제3절연막의 잔류 부분(25')에 비하여 연마율이 빠르므로 보다 많이 갈려 나간다. 이렇게 계속 연마를 하여 나가다가 제1절연막(23)의 상부가 노출되면 공정을 완료한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연마를 종료하였을 때는 제2도의 f에 보인 바와 같이, 높은 부위 a의 제3절연막과 제2절연막은 갈려서 제거되고, 낮은 부위 b의 제3절연막(25)과 제2절연막(24')만 남아서 평탄화 표면을 얻게 된다.
연마 공정의 종료는 연마에 의해 제거되는 제2절연막의 불순물을 검출함으로서 공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서 막의 두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별 단면도이다.
이 방법은, 먼저 제3도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기판(31)위에 알루미늄(Al), 구리(Cu), 폴리실리콘(POLY-Si) 또는 실리사이드(SILICIDE) 등의 도전체층을 형성하고, 사진 식각 작업에 의하여 배선(32)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3도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이 배선을 절연하기 위하고 아울러 하부 평탄화막으로서 제1절연막(33)을 산화 물질로 형성한다.
이때 제1절연막은 다음에 형성할 제2절연막에 비하여 연마율이 높게 되도록 붕소(B)와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BPSG, 붕소(B)가 함유된 산화물인 BSG, 인(P)이 함유된 산화물인 PSG 또는 불소(F)가 함유된 산화물 등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1절연막의 두께는 상부 절연막의 두께와 연마되어 갈려 나갈 두께를 고려하여 두껍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3도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제1절연막(33) 위에 상부 평탄화막으로서 제2절연막(34)을 산화 물질로 형성한다.
이때 산화 물질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이나, 높은 밀도의 플라즈마 등에 의한 콘포멀한 산화막(CONFORMAL OXIDE)을 형성하거나,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하부 및 상부의 평탄화막(33,34)이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CMP 방법에 의하여 평탄화막인 제2절연막과 제1절연막을 연마하여 갈아낸다. 연마 공정은 아교질의 실리카를 함유한 연마제와, KOH 등을 함유한 슬러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페하(PH)는 약 7∼12 정도로 한다. 이때 BPSG와 같은 제1절연막은 산화막인 제2절연막에 비해 연마율이 약 1.5 : 1 내지 2.5 : 1로 높도록하여 연마가 빨리 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마하여 연마를 완료하면 제3도의 d에서 보인 바와 같이 된다.
이때의 연마 과정은 패턴의 높은 부위와 낮은 부위가 동시에 갈아지기 시작하여 제2절연막의 높은 부위가 먼저 전부 제거되어 제1절연막이 드러날 때 제2절연막의 낮은 부위는 조금 남아 있게 되고 계속하여 연마하여 나가면 제1절연막의 높은 부위가 제2절연막의 잔류 부분에 비하여 연마율이 빠르므로 보다 많이 갈려 나가서 소정의 시간만큼 계속 연마를 하면 제1절연막의 잔류 부분과 제2절연막의 잔류 부분의 높이가 같아지는 위치가 발생하게 되고, 연마 공정은 이때 중지한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연마를 종료하였을 때는 제3도의 d에 보인 바와 같이, 높은 부위의 제1절연막과 낮은 부위의 제2절연막(34')이 남아서 평탄한 표면을 얻게 된다.
연마 공정의 종료는 연마에 의해 제거되는 제2절연막의 불순물을 검출함으로서 공정의 완료 시점을 적의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CMP에 의한 평탄화 공정시 패턴의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결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연마중 물질 내의 첨가물을 검출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공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7)

  1.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으로서,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연마 공정 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지층 상에 하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 상에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평탄화층과 하부 평탄화층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연마하여 상기 정지층이 노출되면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평탄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층을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탄화층과 상기 상부 평탄화층은 연마율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탄화층을 상기 정지층과 상기 상부 평탄화층에 비하여 연마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평탄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탄화층은 BPSG나 BSG, PSG 혹은 F가 첨가된 산화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층과 상부 평탄화층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층과 상부 평탄화층은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정은 하부 평탄화층 내에 첨가된 이온을 연마 공정 중 검출하여 공정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9.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으로서, 평탄화할 기판의 표면에 하부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평탄화층 상에 상기 하부 평탄화층과 연마율이 다른 상부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평탄화층과 하부 평탄화층을 화학기계적연마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연마하여 하부 평탄화층이 소정 부분 제거될 때 연마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평탄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평탄화층은 상기 하부 평탄화층보다 연마율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탄화층을 BPSG나 BSG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편탄화층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탄화층은 PSG 혹은 F가 첨가된 산화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 평탄화층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탄화층은 BPSG나 BSG, PSG 혹은 F가 첨가된 산화물과 같이 불순물이 첨가된 산화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평탄화층은 TEOS 등을 이용한 CVD 방법 또는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연마 공정은 상부평탄화층 내에 첨가된 이온을 연마 공정 중 검출하여 공정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하부평탄화층에 첨가된 이온을 연마중 검출하여 연마 공정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연마 공정은 아교질의 실리카를 함유한 연마제와, KOH 등을 함유한 슬러리를 이용하여, 하부 평탄화층이 상부 평탄화층에 비해 연마율이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로 높도록 하여 연마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연마 공정은 아교질의 실리카를 함유한 연마제와, KOH 등을 함유한 슬러리를 이용하여, 하부 평탄화층이 상부 평탄화층에 비해 연마율이 약 1.5배 내지 2.5배 정도로 높도록 하여 연마하는 것이 특징인 표면 평탄화 방법.
KR1019950043926A 1995-11-27 1995-11-27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KR017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26A KR0177396B1 (ko) 1995-11-27 1995-11-27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JP8216347A JPH09153494A (ja) 1995-11-27 1996-08-16 半導体素子の表面平坦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26A KR0177396B1 (ko) 1995-11-27 1995-11-27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432A KR970030432A (ko) 1997-06-26
KR0177396B1 true KR0177396B1 (ko) 1999-04-15

Family

ID=1943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926A KR0177396B1 (ko) 1995-11-27 1995-11-27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53494A (ko)
KR (1) KR0177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291B1 (ko) * 1998-12-30 2006-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99A (ko) * 1998-12-22 2000-07-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평탄화 공정을 위한 화학적기계적연마 방법
JP2004228519A (ja) 2003-01-27 2004-08-1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549B2 (ja) * 1993-01-20 2001-06-18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ウェハ研磨量の検出装置及びウェハ研磨量の検出方法
JPH0766290A (ja) * 1993-08-31 1995-03-10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1486B2 (ja) * 1994-04-28 2002-08-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集積回路平坦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291B1 (ko) * 1998-12-30 2006-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53494A (ja) 1997-06-10
KR970030432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2233A (en) Method for shaping features of a semiconductor structure using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MP)
US5872043A (en) Method of planarizing wafers with shallow trench isolation
US5913712A (en) Scratch reduction in semiconductor circuit fabrication using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US5923993A (en) Method for fabricating dishing free shallow isolation trenches
US5494857A (en)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of shallow trenches in semiconductor substrates
US8389410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method
JPH07245306A (ja) 半導体装置における膜平坦化方法
KR100211540B1 (ko)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방법
JP3946880B2 (ja)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プラグ形成方法
WO2000002235A1 (en) Method of planarizing integrated circuits
KR0177396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표면 평탄화 방법
US20050170661A1 (en) Method of forming a trench structure
US6180489B1 (en) Formation of finely controlled shallow trench isolation for ULSI process
US5840623A (en) Efficient and economical method of planarization of multilevel metallization structures in integrated circuits using CMP
US672364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wo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es to polish regions having different conductive pattern densities
US20060258158A1 (en) Polish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planarization
JP312798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566249B1 (en) Planarized semiconductor interconnect topography and method for polishing a metal layer to form wide interconnect structures
US5965459A (en) Method for removing crevices induced by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US6897121B2 (en) Method of removing HDP oxide deposition
KR100478481B1 (ko)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방법
JP2000357674A (ja) 集積回路チップおよび平面化方法
US6899597B2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using fixed abrasive pads
KR0156143B1 (ko) 반도체장치의 평탄화방법
KR100312647B1 (ko)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