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511B1 -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511B1
KR0168511B1 KR1019960058658A KR19960058658A KR0168511B1 KR 0168511 B1 KR0168511 B1 KR 0168511B1 KR 1019960058658 A KR1019960058658 A KR 1019960058658A KR 19960058658 A KR19960058658 A KR 19960058658A KR 0168511 B1 KR0168511 B1 KR 016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linear motion
tire
motion guide
tire vulc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01A (ko
Inventor
가시로 우레시노
히로유키 다케바야시
히사아키 오니시
히사시 미타무라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27121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85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7002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를 제공한다. 언로우더는 타이어 가황기의 주프레임에 연직으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긴 홈을 갖춘 선형 운동 안내 레일 ; 선형 운동안내 레일의 긴 홈 위를 구르는 볼이 조립되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더를 갖춘 가동 운반체 ; 가동 운반체에 구비되고 베어링에 의해 연직으로 지지된 회전 로드를 갖춘 회전 현수 부재 ;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로드에 구비되고 척 기구를 지지하는 척 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제1도는 타이머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 평면도.
제2도는 타이머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 측면도.
제3도는 타이머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 정면도.
제4도는 타이머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 측면도.
제5도는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슬라이더의 결합상태의 설명도.
제6도는 회전현수부재의 개략적 구조의 설명도.
제7도는 척기구의 개략도.
제8도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도.
제9도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도.
제10도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개략도.
제12도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에 의해 가황타이어가 운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배경]
[발병의 분야]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기로부터 경과후 팽창기로 가황 타이어를 이송하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에 관한 것이다.
[관련 배경기술]
지금까지, 그린 타이어의 가황 금형이 타이어 가황기에서 종결되었을 때 가황 타이어는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되어 그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경사진 컨베이어를 경유하여 경화 후 팽창기(이하 PCI 라고 함)로 이동된다. 그 후, 가황타이어가 PCI의 스토퍼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가황타이어는 PCI의 중앙부에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따르면, 가황타이어와 PCI의 중앙부는 고 정확도로 위치 설정되지 않으며, 타이어의 품질이 저하된다. 최근에 가황타이어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에 의해 타이어 가황기로부터 PCI로 이동한다.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일본 특원평 제3-67006호)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안내 로드(68)는 지지부재(66 및 67)를 경유하여 타이어 가황기(61)의 주 프레임(65)에 연직으로 구비된다. 척 붐(69)은 연직으로 및 회전가능하게 이동하도록 부싱(72a 및 72b)을 경유하여 가이드 로드(68)에 구비된다. 척 기구(70)는 척 붐(69)의 단부에서 가황타이어(64)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구성에 따르면, 가황타이어(64)는 안내 로드(68)의 회전과 안내 로드(68)를 따른 선형이동에 의하여 타이어 가황기(61)로부터 PCI(62)의 소정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내 로드(68)에 고 정확도를 부여함으로써 가황타이어(64)는 고 정확도 PCI(62)에 위치될 수 있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품질 타이어를 얻기 위하여,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는 일탈되거나 경사지지 않도록 타이어(64)를 위치설정하면서 가황타이어(64)를 PCI(62)의 저부 림(73)에 놓을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저부 림(73)에 대한 가황타이어(64)의 일탈 및 경사는 척 기구(70)가 가황타이어(64)를 유지하고, 타이어(64)를 금형(71)으로부터 분리할 때 척 기구(70)가 가황타이어(64)에 대하여 일탈되고 경사지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므로,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는 척 기구(70)가 정확하게 위치되고 가황 타이어(64)가 금형(71)에서 분리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가황타이어(64)가 일탈되거나 경사지지 않도록 고 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특히,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가 생산성에 관점에서 고속으로 작동될 때,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에 대하여 매우 고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로서, 안내 로드(68)가 척 붐(69)을 경유하여 척 기구(70)를 지지하는 구성에서, 가황타이어(64)가 금형에서 분리될 때, 안내 로드(68)는 편향된다. 따라서, 최근에 타이어의 더 고품질에 해당하는 강성과 생산성의 개선이 얻어질 수 없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주 프레임(65)가 PCI(62) 사이의 공간이 안내로드(68)와 주 프레임(65)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양에 의해 크고, 따라서, 전체 타이어 가황기의 대형을 야기시키는 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로서, 부싱(72a 및 72b)이 안내 로드(68)에 끼워지는 구조에서, 안내 로드(68)와 부싱(72a 및 72b) 사이의 간극은 부싱(72a 및 72b)의 마모에 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져서 척 기구(70)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빠르게 열화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 기구(70)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고 강성에 의해 개선될 수 있으며,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전체 타이어 가황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척 기구를 연직으로 및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황 타이어는 척 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타이어 가황기로부터 경화 후 팽창기로 이송되고 경화 후 팽창기내 소정위치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가황기의 주 프레임에 연직으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긴 홈을 갖춘 선형 운동 안내 레일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의 긴 홈 위를 구르는 볼이 조립되고, 선형 운동 안내레일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더를 갖춘 가동 운반체 ; 가동 운반체에 구비되고 베어링에 의해 연직으로 지지된 회전 로드를 갖춘 회전현수부재 ;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로드에 구비되고 척 기구를 지지하는 척 붐으로 이루어진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척 붐은 타이어 가황기와 경화 후 팽창기 사이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아암은 지지 로드에 의하여 척 붐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은 가동 운반체에 구비된 선회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밀고 당겨져서 척 붐을 선회시킨다.
척 붐의 선회는 가동 운반체에 대한 선회용 액츄에이터의 수평 이동량 및/또는 선회용 액츄에이터의 스트로우크량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은 주 프레임에 고정되어 따라서 고강성을 갖는다. 심지어 척 밸브가 상승되고 큰 힘이 슬라이더로부터 인가되어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편향시킬 때에도,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은 거의 편향되지 않는다. 간극은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슬라이더 사이에서 생기지 않는다. 척 붐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드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 로드와 베어링 사이의 간극은 매우 작다.
그러므로, 편향과 간극으로 인한 척 기구와 척 붐의 경사는 극도로 감소되고 가황 타이어는 고 위치설정 정확도로 적재될 수 있다. 베어링의 마찰계수는 매우 작기 때문에 회전 로드와 베어링 사이의 간극은 마찰로 커지지 않는다. 고 위치 설정 정확도는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은 주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주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없기 때문에, 주 프레임과 경화후 팽창기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고, 전체 타이어 가황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척 붐과 척 기구는 가황기와 경화 후 팽창기 사이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정비, 점검 및 금형의 교환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승강 베이스는 죄우 두 개의 승강기구와 회전기구를 갖기 때문에,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는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 붐의 회전은 가동 운반체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수평 방향 이동량 및/또는 엑츄에이터의 스트로우크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구체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예에 따르면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가황기의 주 프레임(1)에 제공된다. 주 프레임(1)은 고 강성을 갖도록 중심부재(2)의 양쪽에 판형상부재(3 및 4)를 결합함으로써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기구(5), 금형(도시않음) 등을 각각 갖는 타이어 가황기의 한쌍의 가황금형장치(6, 6)가 주 프레임(1)의 관형상부재(4)의 좌우 양쪽에 제공되어 있다.
가황타이어(7)를 기냉처리하기 위한 PCI(8, 8)는 주 프레임(1)의 다른 쪽에 좌우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I(8, 8)쪽에 위치하는 주 프레임(1)의 판형상부재(3)에서,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를 구성하는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9)은 평행하게 연직으로 배열된다. 슬라이더(10.......)는 틈을 일으키지 않도록 레일에 예비하중을 슬라이더(10)가 가하는 상태로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9)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9)과 슬라이더(10) 사이의 결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긴 홈(9a)이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의 견부(9b)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중 볼로우(11a)와 이탈 볼로우(11b)로 이루어지는 4개의 볼로우(11)가 슬라이더(10)에 형성되어 있다. 볼로우(11)의 하중 볼로우(11a)와 이탈 볼로우(11b)는 2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하중 볼로우(11a)는 스스로 회전하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의 긴 홈(9a)에서 굴러, 슬라이더(10)가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에서 이동한다. 하중 볼로우(11a)는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의 견부(9b)를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슬라이더(10)는 모든 방향으로부터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9)과 슬라이더(10)의 각각은 고 강성을 갖는다. 거의 볼의 직경을 갖는 R형상으로 긴 홈(9a)의 각각을 형성함으로써, 볼(12)은 긴 홈(9a)과 선 접촉해 있다. 결국, 전체로서 고 강성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선형 운동 안애 레일(9)과 슬라이더(10)는 정확히 설정되고 단위 상태로 형성된다. 예비하중이 가해지고 긴 홈(9a)과 볼로우(11) 사이의 백래쉬가 제거되고, 이로써 슬라이더(10)가 진동 또는 점착 미끄러짐없이 선형으로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9)과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0.......)는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프레임(1)의 배면쪽에서 가동 운반체(13)의 네 구석부에 조립되어 있다.
한편 판형상의 붐용 지지부재(14)는 가동 운반체(13)의 최정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실린더(21)의 실린더 로드(21a)는 붐용 지지부재(14)의 최정상면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21)에서, 실린더 케이스(21b)는 실린더 로드(21a)가 연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22)를 통해서 주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21a)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운반체(13)는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을 따라서 들어 올려진다.
붐용 지지부재(14)는 좌우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양단이 주 프레임(1)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연직방향으로 관통구멍(15a)을 각각 가지고 있는 회전 현수부재(15, 15)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용 지지부재(14)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35, 35)은 각각의 관통구멍(15a)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5)에 끼워져서 연직방향에서 지지되는 회전로드(26a, 26b)는 회전현수부재(15, 15)내에 삽입되어 있다.
회전로드(26a, 26b)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한편 하단부는 다른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각의 척붐(16, 16)의 한단부는 각각의 회전로드(26a, 26b)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7도의 척기구(20, 20)는 척붐(16, 16)의 자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부재(17, 17)는 척붐(16, 16)의 아래면에 부착되어 있다. 핀스토퍼(18)의 결합핀(18a, 18b)은 유지부재(17, 17)내에 끼워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스토퍼(18, 18)는 가황금형장치(6)와 PCI(8) 사이에 위치되도록 핀 스토퍼 지지부재(19, 19)를 통해서 회전현수부재(15, 15)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핀(18a, 18b)을 유지부재(17, 17)에 끼움으로써 척붐(16, 16) 및 척기구(20, 20)는 가황금형장치(6)와 PCI(8) 사이에 핀스토퍼(18, 18)에 의해 고정된다. 결국, 정비, 점검 및 금형 교환 등과 같은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아암(23, 23)의 한 단부가 각각의 회전로드(26a, 26b)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가의 회전아암(23, 23)의 다른 단부는 가동 운반체(13)의 앞에 위치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회전실린더(24, 24)의 실린더로드(24a, 24a)는 회전아암(23, 23)의 다른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실린더(24, 24)는 트러니온으로서의 실린더 지지부재(25, 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로드(24a, 24a)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실린더(24, 24)는 회전아암(23, 23)을 밀거나 당기며, 척붐(16, 16)은 중심으로서의 회전로드(26a, 26a) 주위에서 선회한다. 척붐(16)의 선회는 회전실린더(24)의 적어도 한 스트로우크량과 실린더 지지부재(25)의 수평방향에서의 배열위치를 변경시킴으로서 조정된다.
실린더 스토퍼(27, 27)는 회전실린더(24, 24)의 스트로우크량을 조정하도록 회전실린더(24, 24)의 실린더 케이스(24b, 24b)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PCI용 척기구(20)의 위치 설정 정확도가 조정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기구(20)에는 가황타이어(7)의 비드부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복수개의 클로부재(28)가 있다. 클로부재(28)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개구(29a)를 가지고 척본체(29)상에 설치되어 있다. 척본체(29)는 회전실린더(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디스크(31)와 클로부재(28)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로드(도시않됨)를 가지고 있어서 클로부재(28)는 개구(29a)의 중앙부로부터 또는 중앙부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디스크(31)에서 제일관통구멍(31a)는 클로부재(2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일관통구멍(31a)은 원형개구(29a)의 반경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원형개구(29a)는 클로부재(2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척본체(29)의 최상부면에 개방되어 있다. 클로부재(28)에 대해 설치된 클로이동핀(34)은 척본체(29)의 원형개구(29a)와 회전디스크(31)의 제일관통구멍(31a)에 삽입되어 있다. 결국, 척기구(20)에서 회전실린더(30)에 의해 회전디스크(3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로이동핀(34)는 회전디스크(31)의 제일관통구멍(31a)과 척본체(29)의 원형개구(29a)에 의해 원형개구(29a)의 반경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클로부재(28)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구조의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황타이어(7)의 가황 금형이 타이어 가황기의 가황금형장치(6)에서 종료될 때, 척 기구(20)는 소정 위치로 들어 올려져서 가황금형장치(6)를 향해 선회한다. 척 기구(20)가 가황 타이어(7) 위의 위치에 도달할 때, 그것은 가황 타이어(7)로 낮추어진다. 그 다음 가황 타이어(7)는 척 기구(20)에 의해 유지된다. 그 후에 가황 타이어(7)는 척 기구(20)와 함께 들어 올려지고 PCI(8)로 돌려져서 PCI(8)내로 이송되고 공기 냉각된다.
가황 타이어(7)가 가황금형장치(6)에서 PCI(8)로 이송될 때, 승강 실린더(21)는 가동 운반체(13)를 들어올림으로써 척 기구(20)를 들어올린다. 가동 운반체(13)는 슬라이더(10...)를 통해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9)과 결합한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9)은 주 프레임(1)에 고정됨으로써 극히 높은 강성을 가진다. 가동 운반체(13)에 의해 지지된 척 기구(20)는 고 위치 설정 정확도로 연직으로 이동하고, 가황 타이어(7)에 대해 일탈하여 경사지지 않고 가황 타이어(7)를 유지한다. 또한 척 기구(20)는 가황 타이어(7)의 타이어 트레드부의 패턴홈이 금형에서 분리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유발되는 일탈 및 경사없이 가황 타이어(7)를 들어올린다. 따라서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는 고위치 설정 정확도로 PCI(8)에 가황 타이어(7)를 언로우드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따르면, 가동 운반체(13)는 슬라이더(10.....)를 통해 주 프레임(1)에 고정된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9)과 결합되고, 척 기구(20)는 가동 운반체(13)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척 기구(20)는 경사짐이 없이 고 정확도로 위치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따른 언로우더는 안내 로드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종래의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우선,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의 편향으로 인한 경사도(평행도 및 동심도)를 시험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구체예의 구성에서, 현수력 F=4,830kg(가황타이어(7)의 중량 : 30kg, 금형으로부터의 분리력 ; 4,800kg), L1=750mm, l1=930mm 및 l2=500mm라고 가정할 때, 하중 P=4,830×930/500=8,984kgf이다. 그러므로 편향도 δmax=-PL1 3/3EI= 0.084mm, 편향각 imax=-(3/2L1)δmax=0.00017rad=0.0097o이다. 그러한 조건에서 평행도는 tan 0.0097o×381=0.06mm이고 동심도는 tan 0.0097o×150=0.025mm이라고 밝혀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 현수력 F=4,830kg(가황 타이어(7)의 중량 : 30kg, 금형으로부터의 분리력 : 4,800kg), L1=1,500mm, L2=750mm, l1=930mm, l2=500mm 및 D=100mm라고 가정할 때, 하중 P=4,830×930/500=8,984kgf이고 I=(π/64)D4=(π/64)1004=4,910,000mm4이다. 그러므로 편향도 δmax=-PL1 3/48EI=6.13mm, 편향각 imax=-(3/L1)δmax=0.01226rad=0.7o이다. 그러한 조건에서 평행도는 tan 0.7o×481=4.66mm이고, 동심도는 tan 0.7o×150=1.83mm이라고 밝혀졌다.
본 구체예의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편향으로 인한 경사도(평행도 및 동심도)가 더 작고, PCI(8)로의 언로우드 작동이 더 높은 위치 설정 정확도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다음에, 간극으로 인한 경사도(평행도 및 동심도)를 시험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구체예의 구성에서,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및 슬라이더(10) 사이의 간극과 베어링(35, 35) 및 지지로드(37) 사이의 간극은 척 기구(20) 등의 경사를 유발한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간극을 시험할 때,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및 슬라이더(10) 사이의 간극은 예비하중의 선형 운동 안내 레일(9) 및 슬라이더(10) 사이에 가해지기 때문에 제로인 것으로 판단된다. 베어링(35, 35) 및 지지로드(37) 사이의 간극은 0.005mm이하이며, 이것은 극히 작아서 베어링(35, 35) 및 지지로드(37)가 장기간동안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극히 작은 간극이 장기간동안 유지된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간극으로 인한 경사는 장기간동안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정확도를 전부 만족시킨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9도의 종래 구성에서와 같이 부싱(72a, 72b)이 안내로드(68)내로 끼워질 때, 안내로드(68) 및 부싱(72a, 72b)의 결합허용오차에 의해 0.071 내지 0.036mm 범위의 간극이 존재한다. 간극에 의한 경사각이 최대값 (tan 0.071/500=0.008o)으로부터 얻어진 평행도 및 동심도는 각각 0.05mm 및 0.02mm이다. 그러므로 종래 구조는 필요 내역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안내로드(68) 및 부싱(72a, 72b)은 면 접촉에 의해 마모되고, 간극은 신속히 증가한다. 그러므로 종래 구성은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의 정확도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체예의 구성에서 필요 승강력은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9)과 슬라이더(10) 사이의 마찰계수(μ)가 0.002이므로 F+Pμ=4.830+8.984×0.002=4.848kgf의 필요 승강력이 얻어진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의 필요 승강력도 또한 얻어진다. 안내 로드(68)와 부싱(72a, 72b)간의 마찰계수(μ)가 0.2이므로 F+Pμ=4,830+8,984×0.2=6,627kgf의 필요 승강력이 얻어진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의 필요 승강력도 또한 얻어진다.
안내로드(68)와 부싱(72a, 72b)간의 마찰계수(μ)가 0.2이므로 F+Pμ=4.830+8.984×0.2=6.627kgf의 필요 승강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다음을 확인하였다. 본 구체예의 구성에 따르면 필요 승강력이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더 많이 감소된다. 승강력에 의해 야기되는 경사가 최소화되며, 고속 조작으로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8도의 구체예에서 척 붐(16)의 자유단부상의 관성에 의한 충격력을 시험하였다.
이 충격은, (1) 선형 운동 안내 레일(9)의 주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어 충분한 강성이 얻어지고, (2) 선형 운동 안내 레일(9)과 슬라이더(10) 사이의 간극이 제로이고, (3) 베어링(35, 35)과 지지 로드(37) 사이의 간극이 작기 때문에 작다고 판단된다.
종래 척 붐(69)의 자유단부상의 관성에 의한 충격력도 또한 시험하였다. 이 충격력은 (1) 안내 로드(68)의 불충분한 강성 및 (2) 안내 로드(68)가 부싱(72a, 72b) 사이의 큰 간격으로 인해 본 구체예의 구성보다 더 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구체예의 구성에서의 자유단부상의 관성에 의한 충격력이 종래 구성에서의 것보다 작기 때문에 충격력으로 인한 척 기구(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을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구비되는 가황금형 장치(6, 6)에 한 개의 주 프레임(1)이 구비되는 트윈형의 타이어 가황용 언로우더에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설명은 이 유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가황 금형장치(6)에 주프레임(1)의 각각 구비되는 개별형의 언로우더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연직 로우더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척 기구를 연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황 타이어를 척 기구에 유지하여 타이어 가황기로부터 경화 후 팽창기로 언로우드시켜 경화 후 팽창기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언로우더는 타이어 가황기의 주 프레임에 연직으로 고정된 선형 운동 안내 레일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슬라이더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더를 갖는 가동 운반체 ; 가동 운반체상에 구비된 회전 로드를 가지며, 베어링에 의해 연직으로 지지된 회전 현수부재 ; 및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회전 로드에 부착되며, 척 기구를 지지하는 척 붐으로 이루어진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은 주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결과 고강성을 갖는다. 척 기구가 상승되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편향시킬 정도로 슬라이더로부터 큰 힘이 가해질 때 조차도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은 거의 편향되지 않는다.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슬라이더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며 회전로드와 베어링 사이의 간극은 극히 작다. 따라서, 편형 및 간극으로 인한 척 기구 및 척 붐의 경사가 극히 감소되어 가황 타이어를 고 위치설정 정확도로 언로우드시킬 수 있다. 베어링의 마찰계수가 매우 작으므로, 회전 로드와 베어링 사이의 간극이 마모에 의해 증가되지 않아서 고 위치설정 정확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이 주 프레임에 고정되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주 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주 프레임과 경화 후 팽창기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어 전체 타이어 가황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 붐을 가황기와 경화 후 팽창기 사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척 붐과 척 기구를 타이어 가황기와 경화 후 팽창기 사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정비,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아암을 지지 로드를 통해 척 붐에 연결하고 회전 아암을 가동 운반체 위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밀고 당김으로써 척 붐을 선회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개의 승강 베이스가 좌우 두 개의 승강기구 및 회전 기구를 가지고 있으므로, 타이어 가황용 언로우더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 붐의 선회를 가동 운반체용 액츄에이터의 수평방향 이동량 및/또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우크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척 붐의 선회를 가동 운반체용 액츄에이터의 수평 이동량 및/또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우크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4)

  1. 척 기구를 연직으로 및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황 타이어는 척 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동안 타이어 가황기로부터 경화 후 팽창기로 이송되고 경화 후 팽창기내 소정위치로 위치되며, 타이어 가황기의 주 프레임에 연직으로 고정되고 복수개의 긴 홈을 갖춘 선형 운동 안내 레일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의 긴 홈 위를 구르는 볼이 조립되고 선형 운동 안내 레일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 ; 선형 운동 안내 레일을 따라 상승하도록 슬라이더를 갖춘 가동 운반체 ; 가동 운반체에 구비되고 베어링에 의해 연직으로 지지된 회전 로드를 갖춘 회전현수 부재 ;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로드에 구비되고 척 기구를 지지하는 척 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2. 제1항에 있어서, 척 붐은 타이어 가황기의 경화 후 팽창기 사이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아암은 지지 로드에 의하여 척 붐에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 아암은 가동 운반체에 구비된 선회용 액츄에이터에 의해 밀고 당겨져서 척 붐을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4. 제3항에 있어서, 척 붐의 선회는 가동 운반체에 대한 액츄에이터의 수평 이동량 및/또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우크량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KR1019960058658A 1995-11-28 1996-11-28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KR0168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33900A JP2896108B2 (ja) 1995-11-28 1995-11-28 タイヤ加硫機用アンローダ
JP95-333900 1995-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01A KR970025901A (ko) 1997-06-24
KR0168511B1 true KR0168511B1 (ko) 1999-03-20

Family

ID=182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658A KR0168511B1 (ko) 1995-11-28 1996-11-28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18950B1 (ko)
JP (2) JP2896108B2 (ko)
KR (1) KR0168511B1 (ko)
DE (1) DE1964921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2725A1 (en) * 2009-01-07 2010-07-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ceiving and Presenting Parts to an Operating Station
JP5968249B2 (ja)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CN104044279B (zh) * 2014-06-13 2016-04-20 山东丰源轮胎制造股份有限公司 硫化机后定型装置
CN113474144B (zh) * 2019-02-20 2023-07-07 三菱重工机械***株式会社 轮胎硫化***及硫化完毕轮胎的制造方法
CN110370513B (zh) * 2019-08-05 2024-05-10 桂林橡胶机械有限公司 轮胎硫化机后卸胎装置
WO2021078326A2 (de) * 2019-10-21 2021-04-29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reifen sowie reifenheizpres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8887A (en) * 1956-08-14 1961-09-05 Us Industries Inc Transfer mechanism
US3031906A (en) * 1956-10-30 1962-05-01 Voit Rubber Corp Stacking machine
US3918861A (en) 1974-10-11 1975-11-11 Cooper Tire & Rubber Co Vulcanizing press with rotary locking mechanism
JPS5958224A (ja) * 1982-05-20 1984-04-03 Hiroshi Teramachi 直線摺動ベアリング
FR2527967B1 (fr) * 1982-06-07 1985-07-19 Merlin Gerin Robot industriel perfectionne pilote par un automate programmable
JPS597032A (ja) 1982-07-06 1984-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生タイヤの供給装置
US4504186A (en) * 1982-09-24 1985-03-12 Braner Enterprises Turret stacker
DE3443947C2 (de) 1984-12-01 1996-02-22 Krupp Ag Hoesch Krupp Beschickungssystem
US4619575A (en) * 1985-01-28 1986-10-28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of thin trays and sheets
JPS62203786A (ja) * 1986-03-03 1987-09-08 株式会社東芝 産業用ロボツト
DE8903980U1 (de) * 1989-04-01 1989-05-18 Ina Wae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Wälzgelagerte Linearführungseinheit
FR2652529B1 (fr) * 1989-10-02 1992-02-07 Vega Automation Robot.
JP2749990B2 (ja) 1990-10-09 1998-05-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ダ
ATE147313T1 (de) * 1992-02-18 1997-01-15 Krzysztof Dudzik Armroboter
JPH08155961A (ja) 1994-12-05 1996-06-1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用のローダ又はアン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49211A1 (de) 1997-06-05
KR970025901A (ko) 1997-06-24
US6318950B1 (en) 2001-11-20
JP2896108B2 (ja) 1999-05-31
DE19649211C2 (de) 1999-12-23
JPH09150418A (ja) 1997-06-10
JPH11129257A (ja) 199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359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KR0155224B1 (ko) 타이어 가황 시스템
KR0168511B1 (ko) 타이어 가황기용 언로우더
US6250901B1 (en) Segmented mold for pneumatic tires
US7749052B2 (en) Carrier head using flexure restraints for retaining ring alignment
EP0444718A1 (en) Tyre vulcanizer
US5445508A (en) Vulcanizing mold setting apparatus
GB1565598A (en) Tyre curing press
US6070332A (en) Wheel alignment apparatus
KR101700128B1 (ko) 인서트 공급 및 이송 시스템
JP4700550B2 (ja) タイヤ加硫機
CN1530210B (zh) 轮胎硫化机
KR900001924B1 (ko) 성형기의 금형 개폐 장치
US6610238B1 (en)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US4725212A (en) Tire curing press and loader
JP386550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US7001164B2 (en)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of post-curing inflator
JP2793730B2 (ja) 竪型ロータリ成形機用金型交換装置
JP4921047B2 (ja)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WO1994025241A1 (en) Apparatus for unloading tires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KR910009687B1 (ko) 타이어 가황기의 타이어 취출장치
WO1999025542A1 (en)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KR810001869B1 (ko) 타이어 경화장치
JPH04276408A (ja) タイヤ用割モールド
JP2002361631A (ja) タイヤ加硫機および加硫処理済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