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307B1 -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307B1
KR0156307B1 KR1019950007234A KR19950007234A KR0156307B1 KR 0156307 B1 KR0156307 B1 KR 0156307B1 KR 1019950007234 A KR1019950007234 A KR 1019950007234A KR 19950007234 A KR19950007234 A KR 19950007234A KR 0156307 B1 KR0156307 B1 KR 015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m
movable
moving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322A (ko
Inventor
히로시 구라나가
히로시 후루하라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6002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3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캠 기어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를 진퇴 이동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모드 레버 및 제2헤드 다이를 진퇴 이동시키고, 모드 레버를 제1내지 제3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모드 레버가 제1포지션일 때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는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하고, 제2헤드 다이는 제2아이들러 레버에 의해 진출이 저지된다. 모드 레버가 제2포지션일 때 제2헤드 다이의 이동 저지가 해제되고,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는 이동하지 않는다. 모드 레버가 제3포지션일 때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와 제2헤드 다이는 이동 가능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 수단의 수가 적어지면,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제1 및 제2메카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제1 및 제2메카부의 정지모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압의 파형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에 있어서의 캠 기어의 각 캠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및 모드 레버의 캠 결합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에 있어서의 제2메카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에 있어서의 제2메카부의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및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의 형상과 모드 레버가 취할 수 있는 각 포지션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2헤드 다이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9도(a)는 제1도에 도시한 모드 레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제9도(b)는 그 평면도.
제9도(c)는 그 우측면도.
제9도(d)는 그 정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2아이들러 레버의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제6도에 도시한 조속이송/되감기 구동 기구의 솔레노이드와 조속이송/되감기 레버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캠 기어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제14도는 상기 캠 기어의 하면을 도시하는 상면 측으로부터의 투시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Y-Y선 단면도.
제16도(a)는 회전 캠에 의한 테이프 엔드 검출 스위치의 ON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6도(b)는 그 OFF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7도(a)는 개방된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 테이프를 장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2메카부 부근의 개략적 측면도.
제17도(b)는 카세트 홀더를 폐쇄하여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카세트 테이프를 장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2메카부 부근의 개략적 측면도.
제17도(c)는 카세트 테이프에 자기 헤드를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제2메카부 부근의 개략적 측면도.
제18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의 상태로부터의 솔레노이드 흡인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제2메카부의 평면도.
제19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의 상태로부터의 제1메카 재생모드, 제2메카 재생모드, 또는 더빙 모드로의 이행 시에 있어서의 제2메카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0도는 제6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의 상태로부터 제1메카 재생모드, 제2메카 재생모드, 또는 더빙 모드로의 이행 시에 있어서의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1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제1메카 재생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한 제1메카 재생모드에 있어서의 캠 기어의 각 캠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및 모드 레버의 캠 결합축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3도는 제6도에 도시한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에 있어서의 제1메카 재생모드, 제2메카 재생모드, 또는 더빙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4도는 제21도에 도시한 모드 레버가 제1포지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의 제2핀치 롤러 레버 부근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제2메카 재생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 도시한 제2메카 재생모드에 있어서의 캠 기어의 각 캠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및 모드 레버의 캠 결합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7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제2메카부에 있어서의 제2메카 재생모드, 또는 더빙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8도는 제25도에 도시한 모드 레버가 제2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제2핀치 롤러 레버 부근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9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더빙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한 더빙 모드에 있어서의 캠 기어의 각 캠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및 모드 레버의 캠 결합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1도는 제29도에 도시한 모드 레버가 제3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제2핀치 롤러 부근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2도는 제5도에 도시한 제2메카부에 있어서의 제2메카 조속이송 또는 되감기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3도는 제6도에 도시한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에 있어서의 조속 이송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4도는 제6도에 도시한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에 있어서의 정지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5도는 제6도에 도시한 조속이송/되감기 구동기구에 있어서의 되감기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6도는 제1도에 도시한 구성으로부터 제1메카부를 제외하고 제2메카부의 싱글 메카로 한 경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7도는 종래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블록도.
제38도는 제37도에 도시한 테이프 반송기구에 있어서의 정지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9도는 제38도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의 더빙 모드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반송 기구 2 : 구동 회로
3 : 제어 회로 4 : 입력 조작부
11 : 모터 12 : 솔레노이드
13 :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 14 : 기대
20 : 제1메카부 21 : 제1헤드 다이
21a, 21b : 가이드 구멍 21c : 걸림 모서리
21d : 절결부 22a : 코일부
23c : 부착편 22 :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
23 :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23a, 23b : 가이드 구멍
23c : 부착편 24 : 제1권취 릴대
25 : 제1핀치 롤러 레버 26 : 제1핀치 롤러
27 : 제1캡스턴 28 : 제1아이들러 레버
29 : 제1아이들러 기어 30 : 스프링
50 : 제2메카부 51 : 제2헤드 다이
52 :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53 :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
54 : 모드 레버 55 : 제2핀치 롤러 레버
56 : 제2핀치 롤러 57 : 제2캡스턴
58 : 제2아이들러 레버 59 : 제2아이들러 기어
60 : 스프링 61 : 제2권취 릴대
62 : 제2공급 릴대 63 : 조속이송 기어
64 : 조속이송/되감기 레버 65 :조속이송/되감기 기어
66 : 솔레노이드 레버 67 : 캠 기어
68 : 플라이 기어
본 발명은 두 개의 카세트 테이프가 좌우에 장전되고, 이를 동시에 구동 가능한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반송기구(301), 구동회로(302), 제어회로(303) 및 입력 조작부(304)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반송기구(301)는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 회로(302)는 테이프 반송기구(301)를 구동하는 것이다. 제어회로(303)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고, 구동 회로(302)를 제어하여 테이프 반송기구(30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입력조작부(304)는 제어회로(303)에 대해 각종 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
테이프 반송기구(301)는 제1 및 제2카세트 테이프를 각각 구동하는 제1 및 제2기구(이하, 메카부라 약칭함)(310,330)를 탑재하고 있다. 제1메카부(310)는 제1메카 모터(311) 및 제1메카 솔레노이드(312)를 구비하고, 제2메카부(330)는 제2메카 모터(331) 및 제2메카 솔레노이드(332)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조작부(304)는 더빙 버튼(304a), 제1메카 재생 버튼(304b), 제1메카 조속이송 버튼(304c), 제1메카 되감기 버튼(304d), 제2메카 재생 버튼(304e), 제2메카 조속이송 버튼(304f), 제2메카 되감기 버튼(304g) 및 정지버튼(304h)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제1메카부(310)에 의한 제1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재생, 조속이송, 되감기 및 정지 기능을 갖는 동시에 제2메카부(330)에 의한 제2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재생, 조속이송, 되감기 및 정지 기능을 갖고, 또 제1카세트 테이프의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제2카세트 테이프에 의한 녹음을 동시에 행하는 더빙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각 버튼(304a 내지 304h)은 스위치를 갖고 있으며, 조작자가 이들 버튼(304a 내지 304h)을 조작하면 제어 회로(303)에 조작된 버튼(304a 내지 304h)고유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제어 회로(303)에 각 버튼(304a 내지 304h)에 의해 지령된 동작이 행해지도록 구동회로(302), 즉 테이프 반송기구(301)를 제어한다.
상기 테이프 반송기구(301)는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5)에 구성되어 있다. 이 도면은 제1메카부(310) 및 제2메카부(330)의 정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메카부(310)는 상기 제1메카 모터(311)(도시 않음) 및 제1메카 솔레노이드(312) 외에, 제1헤드 다이(313),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314),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315), 제1솔레노이드 레버(316),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있는 제1캠 기어(317)를 구비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메카부(330)는 상기 제2메카 모터(331)(도시 않음) 및 제2메카 솔레노이드(332)외에, 제2헤드 다이(333),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334),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335), 제2솔레노이드 레버(336) 및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입되고 있는 제2캠 기어(337)를 구비하고 있다.
제38도에 도시한 정지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예를 들면 제1메카 재생버튼(304b)을 조작하면 이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03)에 입력되고, 제1메카부(310)는 제어 회로(303)의 제어에 의해 다음의 동작을 행한다.
우선 제1메카모터(311)가 기동하고, 입상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회로(303)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1메카 솔레노이드(312)가 가동철심(312a)의 흡인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가동철심(312a)과 결합하고 있는 제1솔레노이드 레버(3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솔레노이드 레버(316)의 결합편(316a)과 제1캠 기어(317)의 결합편(317a)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캠 기어(317)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 회전에 의해,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 기어(317)의 캠(317c)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314)의 캠 결합축(314a)가 결합하고,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314)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헤드 다이(313)는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315)을 거쳐서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314)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C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1메카 솔레노이드(312)에의 급전이 종료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있는 제1솔레노이드 레버(316)의 결합편(316a)과, 제1캠 기어(317)의 결합편(317b)이 결합하고, 제1캠 기어(317)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제1메카부(310)는 구동상태, 즉 재생동작 상태로 된다.
또, 제38도에 도시한 정지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예를 들면 제2메카 재생버튼(304e)을 조작하면 이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03)에 입력되고 제2메카부(330)는 제어 회로(30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메카부(310)의 동작과 같은 다음의 동작을 행한다.
우선, 제2메카 모터(331)가 기동하고, 입상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 회로(303)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2메카 솔레노이드(332)가 가동 철심(332a)의 흡인 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가동 철심(332a)과 결합하고 있는 제2솔레노이드 레버(3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솔레노이드 레버(336)의 결합편(336a)과 제2캠 기어(337)의 결합편(337a)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2캠 기어(337)가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한다.
이 회전에 의해,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 기어(337)의 캠(337c)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334)의 캠 결합축(334a)이 결합하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334)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2헤드 다이(333)는 제2오버스트로크 스프링(335)을 거쳐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334)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2메카 솔레노이드(332)에의 급전이 종료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있는 제2솔레노이드 레버(336)의 결합편(336a)과, 제2캠 기어(337)의 결합편(337b)이 결합하고, 제2캠 기어(337)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로써, 제2메카부(330)는 재생 동작 상태로 된다.
또, 제38도에 도시한 정지 상태에 있어서, 조작자가 예를 들어 더빙 버튼(304a)을 조작하면 이 버튼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03)에 입력되고, 제어 회로(303)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메카부(310,330)는 상기 제1 및 제2메카 재생버튼(304b, 304e)이 조작된 때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제1메카부(310)와 제2메카부(330)가 각각 별개로, 제1메카 모터(311) 및 제1메카 솔레노이드(312)와, 제2메카 모터(331) 및 제2솔레노이드(332)라는 전용 구동원을 구비하고, 제어 회로(303)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각 구동원을 별개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원이 다수 필요한 동시에 부품 개수가 많아지며,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구동수단으로 구성할 수가 있고, 비용절감이 가능한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위치 및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동 부재와,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에 제3이동부재를 배치하는 진출 위치와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후퇴 위치에 제3이동 부재를 배치하는 후퇴 위치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이동 부재와, 이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동작 가능위치 및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한 제3이동 부재와 상기 동작 가능 위치로의 제3이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이동 저지 부재와,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진퇴 이동을 행하는 한편, 상기 이동 저지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이동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포지션, 및 이동 저지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또 제1이동 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제2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절환 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상기 진출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동작 절환 부재를 상기 제1포지션 및 제2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수단에 구동되어 동작 절환 부재가 제1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제2이동 부재가 진출 위치로 이동할 때, 제1이동 부재는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카세트의 가지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저지 이동 부재가 이동 위치로 이동하므로 제3이동 부재는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가능해지는 한편,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불가능해 진다.
또, 구동수단에 구동되어, 동작 절환 부재가 제2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제2이동 부재가 진출 위치로 이동할 때 제1이동 부재는 상기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이동 저지 부재가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제3이동 부재는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한편,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가능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1조의 구동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적은 구동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제시하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6도를 기초로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반송기구(1), 구동회로(2), 제어 회로(3) 및 입력 조작부(4)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반송기구(1)는 카세트 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구동회로(2)는 테이프 반송기구(1)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회로(3)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갖고 구동회로(2)를 제어하여 테이프 반송기구(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입력 조작부(4)는 제어 회로(3)에 대해 각종 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
테이프 반송기구(1)는 모터(11), 솔레노이드(12) 및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카세트 테이프를 각각 구동하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기구(이하, 메카부라 약칭함)(20,5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조작부(4)는 정지 버튼(4a), 제1메카 재생 버튼(4b), 제2메카 재생 버튼(4c), 더빙버튼(4d), 제2메카 조속이송 버튼(4e) 및 제2메카 되감기 버튼(4f)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상기 제1메카부(20)에 의한 제1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재생 및 정지 기능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2메카부(50)에 의한 제2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재생, 조속이송, 되감기 및 정지기능을 갖고, 또 제1카세트 테이프와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제2카세트 테이프에 의한 녹음을 동시에 행하는 더빙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각 버튼(4a 내지 4f)은 스위치를 갖고 있으며, 조작자가 이들 버튼(4a 내지 4f)을 조작하면 제어 회로(3)에 각 버튼(4a 내지 4f) 고유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 회로(3)는 구동회로(2)를 거쳐서 솔레노이드(12)에 펄스 신호를 공급한다. 이때의 각 펄스 신호는 제3도에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3)는 조작된 버튼(4a 내지 4f)에 의해 지령된 동작이 행해지도록 테이프 반송기구(1)를 제어한다.
본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입력 조작부(4)의 각 버튼(4a 내지 4f)을 조작함으로써, 하기의 ① 내지 ⑥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①정지모드
②제1메카 재생모드
③제2메카 재생모드
④더빙 모드
⑤제2메카 조속이송 모드
⑥제2메카 되감기 모드
또, 상기 더빙 모드는 제1메카부(20)를 재생 동작 상태로 하는 한편, 제2메카부(50)를 녹음 동작 상태로 하고, 제1카세트 테이프 재생신호를 제2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 반송기구(1)는 제1도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상기 모터(11)(제1도에는 도시 않음), 솔레노이드(12) 및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외에 또 제1기구 부로서의 제1메카부(20) 및 제2기구부로서의 제2메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 및 제2메카부(20,50)는 같은 도면에 있어서 좌우로 병설되어 있다.
제1메카부(20)는 제1헤드 다이(21), 탄성 부재로서의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 제1이동 부재로서의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 제1권취 릴대(24), 제1핀치 롤러 레버(25), 제1 핀치 롤러(26), 제1캡스턴(27), 제1아이들러 레버(28) 및 제1아이들러 기어(29)를 구비하고 있다.
제1헤드 다이(21)는 그 표면상에 자기 헤드(도시 않음)를 탑재하고, 화살표로 표시한 C방향 및 D방향의 단부에 화살표 CD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21a, 21b)을 각각 갖고 있다. 이들 가이드 구멍(21a, 21b)에는 기대(14)의 가이드 핀(14a, 14b)이 각각 삽입되어 있으며, 제1헤드 다이(21)는 화살표 C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제7도에 도시한 형상을 갖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헤드 다이(21)와 제2메카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C방향의 위치와 D방향측 위치로 화살표 CD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23a, 23b)을 각각 갖고 있다. 가이드 구멍(23a, 23b)에는 기대(14)의 가이드핀(14c, 14d)이 삽입되어 있으며,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화살표 C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C방향측 위치에 가이드 구멍(23e)을 갖고, D방향측 위치에 직립형 결합편(23f)을 갖고, A방향측 단부에 결합편(23i)을 갖고 있다. 가이드 구멍(23e)은 D방향측 부분인 허용부(23h)가 C방향측 부분인 저지부(23g)에 대해 화살표 B방향으로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D방향측 단부에 직립형상으로 형성된 부착편(23c)에 코일부(22a)를 끼워 넣어서 부착하고 있다.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은 일단부가 기대(14)의 축(14e)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헤드 다이(21)의 걸림 모서리(21c)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에 의해 항상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제1헤드 다이(21)측의 측부 모서리 부에 돌기부(23d)를 갖고, 이 돌기부(23d)는 제1헤드 다이(21)의 절결부(21d)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헤드 다이(21)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와는 일체적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권취 릴대(24)는 제1카세트 테이프의 릴에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것이며, 기대(14)에 부착되어 있다.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축(14h)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기대(14)에 지지되고, 이 제1핀치 롤러 레버(25)에는 제1핀치 롤러(26)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1캡스턴(2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제1캡스턴(27)은 도시하지 않은 무단 벨트에 의해 모터(11)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핀치 롤러(26)가 제1캡스턴(27)에 압접되면, 이들 양자간에 협지된 제1카세트 테이프의 자기 테이프는 제1권취 릴대(24)에 결합하는 제1카세트 테이프 릴측으로 보내진다.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축(14i)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1아이들러 레버(28)에는 제1권취 릴대(2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아이들러 기어(29)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으며, C방향측의 위치에 직립한 형상의 결합편(28a)을 갖고 있다. 이 결합편(28a)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가이드 구멍(23e)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편(28a)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가 D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가이드 구멍(23e)의 저지부(23g)와 결합한다. 이 경우, 반시계방향으로의 제1아이들러 레버(28)의 회전이 규제되고, 제1아이들러 기어(29)는 제1권취 릴대(24)의 기어와 맞물리지 않는다. 한편, 상기 결합편(28a)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가 C방향측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가이드 구멍(23e)의 허용부(23h)와 결합한다. 이 경우, 반시계방향으로의 제1아이들러 레버(28)의 소정 각도의 회전이 허용되고, 제1아이들러 기어(29)는 제1권취 릴대(24)의 기어와 맞물린다.
제2메카부(50)는 제1도에 도시한 제3이동 부재로서의 제2헤드 다이(51), 제2이동 부재로서의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 탄성 부재 및 가압 수단으로서의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 작동 절환 부재로서의 모드 레버(54), 제2핀치 롤러 지지 부재로서의 제2핀치 롤러 레버(55), 제2핀치 롤러(56), 제2캡스턴(57), 이동 저지 부재로서의 제2아이들러 레버(58), 제2아이들러 기어(59), 제2핀치 롤러 레버(55)와 함께 제2핀치 롤러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스프링(60), 제6도에 도시한 제2권취 릴대(61), 제2공급 릴대(62), 조속이송 기어(63),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 솔레노이드(12)와 함께 정지 수단을 구성하고 정지 레버인 솔레노이드(66), 캠 수단이며 모터(11)와 함께 구동수단을 구성한 캠 기어(67), 캠 구동 기어로서의 플라이 기어(68) 및 솔레노이드(12)를 구비하고 있다.
제2헤드 다이(51)는 제8도에 도시한 형상이며, 그 상면에 제17도에 도시한 자기 헤드(73)를 탑재하고 있다. 제2헤드 다이(51)는 C방향측 및 D방향측의 단부에 화살표 CD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51a,52b)을 갖고 있다 제2헤드 다이(5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상에 유지되고, 그 가이드 구멍(51a,51b)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가이드축(52a,52b)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에 대해 화살표 C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제2헤드 다이(51)는 A방향측의 C방향측 단부 위치에 결합편(51d)을 갖고 있다.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며, 화살표 CD방향으로 나란한 상기 가이드 축(52a,52b), C방향측의 단부 부근에 형성되고 화살표 CD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52c), 및 D방향측 단부에 직립 형성된 부착편(52d)을 갖고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52c)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4)의 가이드 축(14f)이 삽입되어 있으며,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CD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화살표 CD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있어서 화살표 AB방향으로 나란하고, 화살표 AB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52e,52f), D방향측 부분의 양측에 있어서 화살표 AB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52g,52h), 및 화살표 CD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A방향측으로 돌출하는 결합모서리(52i)를 갖고 있다. 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중앙부 부근에 설치되고 캠 기어(67)의 캠과 결합하는 캠 결합축(52m), B방향측 위치에 있어서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편(52n), 및 C방향측 부위의 B방향 단부로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결합편(52o)을 갖고 있다. 상기 결합 모서리(52i)는 D방향측 부위인 허용부(52k)가 C방향측 부위인 저지부(52j)보다도 화살표 B방향으로 퇴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은 상기 부착편(52d)에 코일부(53b)를 끼워 넣어 부착하고 있다.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은 일단부가 기대(14)의 축(14g)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헤드 다이(51)의 걸림 모서리(51c)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제2오버스트로크 스프링(53)에 의해 항상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모드 레버(54)는 제9도(a) 내지 (d)에 도시한 형상이며,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드 레버(54)는 상면 측에 화살표 BA방향으로 나란한 가이드 축(54a,54b)을 갖고, D방향측 부분의 양단에 상방으로 직립된 가이드편(54c,54d)을 갖고, 한 쪽 가이드편(54d)의 위치에 걸림편(54i)을 갖고 있다. 상기 가이드 축(54a,54b)은 각각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가이드 구멍(52e,52f)에 삽입되고, 가이드편(54c,54d)은 각각 가이드 구멍(52g,52h)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모드 레버(54)는 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이동에 수반하여, 화살표 CD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 모드 레버(54)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모드 레버(54)는 각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가이드편(54c)이 제7도에 도시한 각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포지션으로 이동한다. 이들 각 포지션은 하기의 각 모드의 경우의 위치이다.
제1포지션 : 제1메카 재생모드
제2포지션 : 제2메카 재생, 제2메카 조속이송, 제2메카 되감기의 각 모드
제3포지션 : 더빙 모드
제4포지션 : 정지모드
또, 모드 레버(54)는 상기 가이드편(54d)의 위치에 있어서 하방으로 절곡된 결합편(54e), 가이드편(54c,54d)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캠 기어(67)와 결합하는 결합축(54f),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을 캠 기어(67)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54g), 및 C방향측의 B방향 단부에 형성된 결합편(54h)을 갖고 있다. 상기 결합편(54e)은 모드 레버(54)가 가장 화살표 B방향측의 상기 제1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결합편(58b)과 결합하여 제2아이들러(5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14j)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기대(14)에 지지되고, 이 제2핀치 롤러 레버(55)에는 제2핀치 롤러(56)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도시하지 않은 제2캡스턴(5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제2캡스턴(57)은 도시하지 않은 무단 벨트에 의해 모터(11)로부터의 회전력을 받아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핀치 롤러(56)가 제2 캡스턴(57)에 압접되면 이들 양자간에 협지된 제2카세트 테이프의 자기 테이프는 제2권취 릴대(61)에 결합하는 제2카세트 테이프 릴측으로 보내진다.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며, 축(14k)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기대(14)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2아이들러 레버(58)에는 제2권취 릴대(6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아이들러 기어(59)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또,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C방향측 위치에 직립형상의 결합편(58a)을 갖고, D방향측 단부에 결합편(58b)을 갖고 있다.
상기 결합편(58a)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결합모서리(52i)와 결합한다. 결합편(58a)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D방향측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결합모서리(52i)의 저지부(52j)와 결합한다. 이 경우, 반시계방향으로의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회전이 규제되고,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의 기어와 맞물리지 않는다. 한편,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C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을 때 결합모서리(52i)의 허용부(52k)와 결합한다. 이 경우, 반시계방향으로의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소정 각도의 회전이 허용되고,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의 기어와 맞물린다.
제6도에 도시한 제2권취 릴대(61)는 제2카세트 테이프의 한 쪽 릴에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것이며, 제2공급 릴대(62)는 제2카세트 테이프의 다른 쪽 릴에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되감기 위한 것이다. 조속이송 기어(63)는 제2권취 릴대(61)와 맞물려서 제2카세트 테이프를 고속으로 권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기대(14)에 부착되어 있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11도에 도시한 형상이며, 축(14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기대(14)에 부착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시계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D방향측 부위에 화살표 B방향, 즉 솔레노이드 레버(66) 방향으로 신장되는 결합 갈고리(64a)를 갖고, D방향 단부에 캠 기어(67)에 결합하는 결합편(64b)을 갖고 있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C방향측 부위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C방향측 단부에 결합 핀(6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제2공급 릴대(62)와 맞물림, 혹은 제2권취 릴대(61)와 맞물리고 있는 조속이송 기어(63)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2카세트 테이프의 되감기, 조속이송을 행하는 것이다. 이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회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행해진다.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이며, 축(14n)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기대(14)에 부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레버(66)는 B방향 단부에 대략 ㄷ자형 절결 모양의 솔레노이드 결합부(66a)를 갖고, 그 A방향측 위치에 걸림편(66e)을 갖고, A방향 단부에 결합 갈고리(66b)와 결합편(66c)을 갖고 있다. 또, 솔레노이드 레버(66)는 D방향으로 분기하여 연장된 부위의 선단부에 결합갈고리(66d)를 갖고 있다. 또,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제1도에 도시한 대략 L자형 스프링(69)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솔레노이드(1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철심(12a), 고정 철심(12b), 및 권선(12c)을 갖고, 가동 철심(12a)이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고, 통전에 의해 가동 철심(12a)을 화살표 C방향으로 퇴행시키는 것이다.
가동 철심(12a)의 결합부(12d)는 솔레노이드 레버(66)의 솔레노이드 결합부(66a)와 결합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의 사용방법에는 흡인과 흡착의 두 종류가 있다. 흡인이라 함은 가동 철심(12a)이 솔레노이드(12)의 본체 방향으로 흡인됨으로써 일을 하는 것이다. 또, 흡착이라 함은 가동 철심(12a)이 완전히 솔레노이드(12)의 본체에 흡착되고, 유지됨으로써 일을 하는 것이다. 본 솔레노이드에서는 통전되면, 가동 철심(21a)이 고정 철심(21b)에 끌려서 충돌한다.
캠 기어(67)는 상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인 제12도, 제12도에 있어서의 X-X선 화살표 단면도인 제13도, 하면측을 상면측으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평면도인 제14도, 및 제14도에 있어서의 Y-Y선 화살표 단면도인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고, 상면과 하면에 각종 캠을 갖고 있다. 캠 기어(67)는 축(14o)에 의해 기대(1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제12도 및 제14도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같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각도를 설정하고 있다.
캠 기어(67)의 외주면에는 거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외주 기어(67a)가 형성되고, 이 외주 기어(67a)에는 0°위치를 시단하는 반시계 주위 방향과 270°위치를 시단으로 하는 반시계 주위 방향의 두 곳에 치면이 제거된 결치부(67b,67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치부(67b,67c)는 제5도에 도시한 캠 기어(67)와 맞물리는 플라이 기어(68)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고, 캠 기어(67)를 정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캠 기어(67)의 상면에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캠(A,B,C,D,E)이 형성되어 있다. 캠(A,B)은 제1캠이며, 캠(C내지 E)은 제2캠이다. 캠(A)은 중앙부에 위치하고, 캠면(A1내지 A7)을 갖고 있다. 이 캠(A)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과 결합함으로써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를 화살표 CD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캠(B)은 캠(A)의 한 쪽 측방에 위치하고, 캠면(B1내지 B3)을 갖고 있다. 이 캠(B)은 제1메카부(20) 혹은 제2메카부(50)에 의한 재생 동작시, 또는 더빙 동작시에 캠 기어(67)가 약 190° 회전한 때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과 결합하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동작가능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다.
캠(C)은 캠 기어(67)의 외주 모서리에 대략 따라서 형성되고, 캠면(C1내지 C2)을 갖고 있다. 캠(C)은 제1메카부(20)에 의한 재생 동작시에, 캠 기어(67)가 약 10° 회전한 때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과 결합하고, 모드 레버(54)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캠 기어(67)가 270°회전한 때 모드 레버(54)를 제7도에 도시한 제1포지션에 유지하는 것이다.
캠(D)은 캠 기어(6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캠(C)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캠(D)은 더빙 동작시, 캠 기어(67)가 60°이상 회전한 때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에 결합하고, 캠 기어(67)가 270°회전한 때 모드 레버(54)를 제7도에 도시한 제3포지션에 유지하는 것이다.
캠(E)은 캠(A)에 있어서의 캠(B)과는 반대측의 측방에 위치하고, 캠 면(E1E2)을 갖고 있다. 캠(E)은 제1메카부(20)혹은 제2메카부(50)의 재생동작시에, 또는 더빙시(캠 기어(67)의 270°회전시)로부터 정지시(캠 기어(67)의 360°회전시)의 사이에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과 결합하여 모드 레버(54)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캠 기어(19)가 360°회전한 때 모드 레버(54)를 제7도에 도시한 제4포지션에 유지하는 것이다.
캠 기어(67)의 하면에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F) 내지 캠(I), 로크편(67d) 및 로크편(67e)이 형성되어 있다. 캠(F)은 캠 기어(67)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캠면(F1내지 F3)을 갖고 있다. 캠(F)은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과 결합하고,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축(14m)을 중심으로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를 정지 위치와 조속이송 동작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캠(G)은 캠(F)의 측방에 형성되고, 캠면(G1,G2)을 갖고 있다. 캠(G)은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과 결합하고, 제2메카부(50)의 재생동작시,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를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에 설치되어 있는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를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가 조속이송 기어(63) 및 제2공급 릴대(62)와 맞물리지 않는 재생 동작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캠(H)은 캠 기어(6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캠(G)의 외측에 위치하고, 캠면(H1,H2)을 갖고 있다. 캠(H)은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과 결합하고,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를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가 조속이송 기어(63)와 결합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캠(F 내지 H)은 제3캠이다.
로크편(67d)은 제14도에 도시한 90°위치에 형성되고, 로크편(67e)은 0°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로크편(67d,67e)은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결합하고, 그 회전 위치에서 캠 기어(67)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캠 기어(67)는 로크편(67d)이 결합편(66c)과 결합하는 경우, 제14도에 도시한 위치에 유지되고, 로크편(67e)이 결합편(66c)과 결합하는 경우, 제14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270°회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플라이 기어(68)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A방향 위치에 플라이 기어(68)의 외주 기어(67a)와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플라이 기어(68)는 제2캡스턴(57)과 일체적으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플라이 기어(68)와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하는 캠 기어(67)는 캠 기어(67)의 결치부(67b,67c)가 플라이 기어(68)와 대향한 위치에서 각각 정지하고, 또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67e)이 결합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금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캠 기어(67)를 회전시키려면 솔레노이드(12)에 통전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67e)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러나, 이 로크 해제 동작만으로는 캠 기어(67)의 외주 기어(67a)는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릴 수가 없다. 그래서 캠 기어(67)에 대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시계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가해진다. 다음에, 이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메카부(50)의 재생동작시, 또는 더빙동작시에 있어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B)의 캠면(B2)을 가압하고 있다. 이 위치관계는 제1메카부(20)의 재생 동작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도면의 상태에 있어서, 캠 결합축(52m)은 캠 기어(67)의 회전 중심에 대해 화살표 A방향에 있어서 A방향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캠 기어(67)에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과 캠 결합축(52m)에 의한 화살표 D방향으로의 가압력의 분력이 캠 기어(6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e)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면, 캠 기어(67)는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외주 기어(67a)가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린다. 이로써 캠 기어(67)는 그 후 플라이 기어(68)로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메카부(50)의 조속이송 또는 되감기 동작시에 있어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A)의 캠면(A7)을 가압하고 있다. 이 도면의 상태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캠 결합축(52m)은 캠 기어(67)의 회전 중심에 대해 화살표 AB방향에 있어서 A방향측으로 위치하므로 캠 기어(67)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그 후, 캠 기어(67)는 마찬가지로 플라이 기어(68)에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동작시에 있어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에 의해 화살표 D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A)의 캠면(A1)을 가압하고 있다. 이 도면의 상태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캠 결합축(52m)은 캠 기어(67)의 회전 중심에 대해 화살표 AB방향에 있어서 A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캠 기어(67)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그 후, 캠 기어(67)는 마찬가지로 플라이 기어(68)에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2)에 부여되는 전압의 타이밍 및 시간에 대해 설명한다. 솔레노이드(12)에는 각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6종류의 전압 파형의 신호 a내지 신호 f가 부여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경과시간, 종축은 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정지신호 a, 제1메카 재생신호 b, 제2메카 재생신호 c, 더빙신호 d,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 및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는 각각 정지 버튼(4a), 제1메카 재생버튼(4b), 제2메카 재생버튼(4c), 더빙버튼(4d), 제2메카 조속이송버튼(4e) 및 제2되감기 버튼(4f)이 조작된 때 발생되는 것이다.
정지 신호 a 는 짧은 펄스, 예를 들면 150msec의 펄스만으로 이루어진다. 제1메카 재생신호 b는 상기 정지 신호 a보다도 늦은 타이밍에서 입상하는 예를 들면 400msec의 펄스만으로 이루어진다. 제2메카 재생신호 c는 상기 제1메카 재생신호 b와 같은 타이밍에서 입상하는 짧은 펄스, 예를 들면 60msec의 펄스만으로 이루어진다. 더빙 신호 d는 상기 제1메카 재생 신호 b와 같은 타이밍에서 입상하는 예를 들면 200msec의 펄스만으로 이루어진다.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는 상기 제1메카 재생 신호 b와 같은 타이밍에서 입상하는 예를 들면 60msec의 제1펄스와, 이 펄스의 400msec후에 입상하는 약 210msec의 제2펄스로 이루어진다.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는 상기 제1메카 재생신호 b와 같은 타이밍에서 입상하는 예를 들면 60msec의 제1펄스와, 이 펄스의 400msec의 제2펄스로 이루어진다.
소정 동작 모드로부터 정지 버튼(4a)을 조작한 경우, 정지 신호 a는 즉석에서 발생된다. 한편, 정지모드로부터 소정 동작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버튼(4b 내지 4f)을 조작한 경우, 그에 따른 각 신호 b 내지 f 는 소정의, 예를 들면 200msec의 시간을 둔 후에 발생된다. 이는 정지모드로부터 소정 동작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에, 모터(11)가 소정 회전수에 달할 때까지의 입상 시간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또, 어떤 동작 모드로부터 다른 동작 모드로의 절환의 버튼(4b 내지 4f)의 조작을 행한 경우, 즉시 정지모드로부터 다른 동작모드의 절환버튼(4b 내지 4f)의 조작을 행한 경우, 즉시 정지모드용 정지 신호 a가 발생되고, 예를 들면 약 350msec의 입상 시간을 둔 후에, 즉 정지모드에의 이행 완료 후에 다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 신호가 발생된다.
또, 제1권취 릴대(24)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회전 캠(2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력(24a)은 제1권취 릴대(24)의 회전 증시에 대해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1권취 릴대(2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회전 캠(24a)의 외주부에는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는 제16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캠(24a)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부(13a), 및 고정부(13b)를 갖고 있다. 가동부(13a)는 회전 캠(24a), 즉 제1권취 릴대(24)의 회전시, 회전 캠(24a)에 구동되어 고정부(13b)에 대한 분리 접촉 동작, 즉 온/오프 동작을 행한다. 제16도(a)는 온 동작, 제16도(b)는 오프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동작에 의해 펄스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는 제어 회로(3)에 입력된다. 한편, 회전 캠(24a), 즉 제1권취 릴대(24)의 정지시에, 제어 회로(3)에는 펄스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회로(3)는 상기 펄스 신호의 유무를 기초로 하여 제1카세트 테이프의 권취 완료인지 아닌지, 즉 제1메카부(20)가 재생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 회로(3)는 재생상태 완료라고 판정한 때 상기 정지 신호 a를 출력한다.
또,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제1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카세트 홀더(71)에 카세트 테이프(72)가 장전되고,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71)를 닫음으로써 카세트 테이프(72)를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장전하는 형식의 것이다. 또 제17도(a) 내지 (c)는 제2메카부(50)의 측면의 개략을 도시한 것이며, 제17도(b)의 상태로부터 제2헤드 다이(51)를 C방향, 즉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자기 헤드(73)를 카세트 홀더(71)의 자기 테이프와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각 모드 절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1] 정지모드로부터 제1메카 재생모드로의 절환 동작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1메카 재생 버튼(4b)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에 입력된다. 이로써 제어 회로(3)는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입상 시간이 경과한 후, 구동 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에 대해 제1메카 재생 신호 b를 공급한다.
정지모드에 있어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d)에 맞닿고, 캠 기어(67)는 그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메카 재생신호 b를 받으면, 솔레노이드(12)는 가동 철심(12a)의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결합편(66c)과 로크편(67d)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I)에 충돌한다.
로크가 해제된 캠 기어(67)는 전술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3)와 캠 결합축(52m)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리고, 더 크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솔레노이드(12)는 제1메카 재생 신호 b의 펄스 부분이 경과하면 전압이 차단되고, 그 가동 철심(12a)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이끌려서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편(66c)이 캠(1)으로부터 떨어지고, 원래상태로 복귀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한 캠 기어(67)의 로크편(67e)에 맞닿고,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에, 모드 레버(5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은 정지모드에 있어서 캠(E)의 캠면(E1)과 결합하고 있다. 그 후,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레버(66)가 솔레노이드(12)에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캠 기어(67)가 정지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걸림편(66e)과 모드 레버(54)의 결합편(53h)가 결합하고, 화살표 A방향으로의 모드 레버(54)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로써,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은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C)의 캠면(C1)에 결합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만 시계방향으로의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캠 결합축(54f)이 캠면(C1)과 결합한다. 또, 제23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 때 모드레버(54)는 캠면(C2)과의 결합에 의해 가장 B방향측, 즉 가장 제1메카부(20)측의 포지션인 제7도에 도시한 제1포지션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은 정지모드에 있어서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A)의 캠면(A1)과 결합하고 있다. 정지 상태로부터 캠 기어(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결합축(52m)은 모드 레버(54)가 상기 제1포지션으로 이동한 후, 캠면(A2)을 거쳐서 캠면(A3)에 달한다. 캠면(A3)에 의해 얻어지는 캠 결합축(52m)의 위치는 캠 기어(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때 캠 결합축(52m)이 캠(B)에 결합 가능한 위치이다. 또, 이때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캠면(A1)에 밀려서 C방향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 그 후, 캠 결합축(52m)은 캠면(A3)을 타고 넘는다. 한편, 솔레노이드(12)에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솔레노이드 레버(66)는 그 후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만 이때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66d)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걸림편(52n)과 결합한다. 이로써,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캠 결합축(25m)이 캠(B)의 캠면(B1)에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유지된다. 그 후,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캠 결합축(52m)은 캠(B)의 캠면(B1)에 맞닿고, 캠 결합축(52m)은 제22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중심으로부터 화살표 C방향으로 가장 멀어지는 캠면(B2)에 달한다. 이 시점에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가장 C방향측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 레버(54)는 가장 제1메카부(20)측으로 이동한 제1포지션을 취하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모드 레버(54)의 가이드편(54c)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i)에 결합하고,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이 때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의 개재에 의해 제1헤드 다이(21)도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제1헤드 다이(21)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21a,21b)의 단부 모서리부가 기대(14)의 가이드 핀(14a,14b)과 맞닿을 때 정지한다.
다음에, 제1아이들러 레버(28)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정지모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28a)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저지부(23g)에 결합하고,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1아이들러 기어(29)는 제1권취 릴대(24)와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이들러 레버(28)의 결합편(28a)이 허용부(23h)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축(14i)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제1아이들러 기어(29)가 제1권취 릴대(24)와 맞물린다.
다음에, 제1핀치 롤러 레버(2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지모드에 있어서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f)이 스프링(30)의 일단부를 화살표 C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핀치 롤러(26)가 제1캡스턴(27)에 압접된다.
또, 제2메카부(50)에 있어서 모드 레버(54)가 가장 제1메카부(20)측으로 이동한 제1포지션으로 위치할 때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결합편(58b)이 모드 레버(54)의 결합편(54e)으로 밀림으로써 축(14k)을 중심으로 제1도의 상태로부터 제21도의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결합편(58a)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저지부(52j)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와 크게 이격된다.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오버스트로크 스프링(53)의 개재에 의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일체적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려 한다. 그러나, 이 이동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제2아이들러 레버(58)에 제2헤드 다이(51)의 결합편(51d)이 결합함으로써, 저지된다.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상기 제2헤드 다이(51)의 위치는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헤드 다이(51)에 탑재된 자기 헤드(73)가 카세트 홀더(71)에 유지된 카세트 테이프(72), 즉 제2카세트 테이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며, 제1메카 재생모드에 있어서, 제2메카부(50)의 제2카세트 테이프의 탈착에 지장이 없는 위치이다.
또, 모드 레버(54)가 가장 제1메카부(20)방향측의 제1포지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모드 레버(54)의 결합편(54i)이 제2핀치 롤러 레버(55)에 설치된 스프링(60)의 B방향측 단부와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제2캡스턴(57)과 이격된 위치를 유지한다. 이로써,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메카부(20)의 재생 동작 상태로 된다.
또,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정지모드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F)의 캠면(F1)에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제2공급 릴대(62) 및 조속이송 기어(63)와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그 후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결합편(64b)이 캠면(F2,F3)과 결합한다. 이 결합이 종료된 때,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B)과 결합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중인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결합편(52o)에 결합 핀(64c)이 결합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은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G)의 캠면(G1)과 결합하고, 결합편(64b)이 캠면(G2)과 결합하고 있을 때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1메카부(20)의 재생 동작중에 있어서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제2공급 릴대(62) 및 조속이송 기어(63)와 이격된 위치에 유지된다.
[2] 정지모드로부터 제2메카 재생모드로의 절환동작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2메카 재생버튼(4c)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에 입력된다. 이로써, 제어 회로(3)는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입상시간이 경과한 후, 구동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에 대해 제2메카 재생신호 c를 공급한다.
제2메카 재생신호 c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의 결합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캠 기어(6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리고, 더욱 크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2)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제23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 결합하고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에, 모드 레버(5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은 정지모드에 있어서 캠(E)의 캠면(E1)과 결합하고 있다. 그 후, 캠 기어(67)의 회전이 시작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캠 결합축(54f)은 상기 [1]의 절환 동작의 경우와는 달리,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4)에 개구 형성된 걸림 모서리(14p)에 맞닿는다. 이 동작은 제2메카 재생신호 c의 펄스 폭이 제1메카 재생신호 b의 펄스폭보다 짧고, 솔레노이드(66)의 정지편(66e)이 원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로써, 모드 레버(54)는 가장 A방향측 위치로 이동한 제7도에 도시한 제2포지션에 배치된다.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동작은 상기 [1]의 절환 동작의 경우와 같다. 즉,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C방향측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의 캠 결합측(52m)의 위치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B)의 캠면(B2)에 달하게 된다.
다음에, 제2헤드 다이(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스프링(53)의 개재에 의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모드로부터 제2메타 재생모드로의 이행 과정에 있어서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지모드에 있어서,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58a)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저지부(52j)와 결합하고,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와 이격되어 있다. 한편,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결합편(58a)가 허용부(52k)와 결합한다. 이로써, 제2아이들러 레버(58)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와 맞물린다.
다음에, 제2핀치 롤러 레버(5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정지모드에 있어서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핀치 롤러(56)가 제2캡스턴(57)과 이격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한편, 모드레버(54)는 상기와 같이 가장 A방향측인 제2포지션으로 이동한 후,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 있어서 모드레버(54)의 결합편(54i)의 제2핀치 롤러 레버(55)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60)의 B방향측 단부와 결합하고,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캡스턴(57)에 압접된다.
또, 모드 레버(54)가 제2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가이드편(54c)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i)과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화살표 C방향으로의 모드 레버(54)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일이 없고 제1메카부(20)는 제1도에 도시한 정지모드상태로 유지된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동작은 상기[1]의 절환동작의 경우와 같다. 즉,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가 제2공급 릴대(62) 및 조속이송 기어(63)와 이격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3] 정지모드로부터 더빙 모드로의 절환 동작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작자가 더빙 버튼(4d)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라서 신호가 제어회로(3)에 입력된다. 이로써 제어 회로(3)는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입상시간이 경과한 후, 구동 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에 더빙 신호 d를 공급한다.
더빙 신호 d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과의 결합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캠 기어(6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리고, 더욱 큰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2)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제23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 결합하고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에, 모드 레버(5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은 정지모드에 있어서 캠(E)의 캠면(E1)과 결합하고 있다. 그 후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레버(66)가 솔레노이드(12)로 구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캠 기어(67)가 정지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걸림편(66e)과 모드 레버(54)의 결합편(54h)이 결합하고, 화살표 A방향으로의 모드 레버(54)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 후,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이 캠 기어(67)의 캠(D)에 결합가능한 때 더빙 신호 d를 기초로하여 솔레노이드(12)에의 급전이 종료하고, 솔레노이드(12) 및 솔레노이드 레버(66)는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레버(66)와 모드 레버(54)의 상기 결합이 해제되고,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이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D)과 결합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레버(66)의 로크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의 결합에 의한 캠 기어(67)의 정지시, 모드 레버(54)는 제1포지션과 제2포지션 사이인 제7도에 도시한 제3포지션에 배치된다.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동작은 상기 [1]의 절환동작의 경우와 같다. 즉,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C방향측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의 캠 결합축(52m)의 위치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B)의 캠면(B2)에 달하게 된다.
다음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 및 제1헤드 다이(2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모드 레버(54)가 배치되어 있는 제3포지션은 모드 레버(54)의 가이드편(54c)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i)과 결합 가능한 위치이다. 따라서 모드 레버(54)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오브스트로크 레버(23)이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의 개재에 의해 제1헤드 다이(21)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제1헤드 다이(21)에 있어서의 가이드 구멍(21a,21b)의 단부 모서리부가 기대(14)의 가이드핀(14a,14b)과 맞닿은 때에 정지한다.
제1아이들러 레버(28) 및 제1핀치 롤러 레버(25)의 동작은 상기 [1]의 절환동작의 경우와 같다. 즉,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제1아이들러 기어(29)가 제1권취 릴대(24)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된다. 또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핀치 롤러(26)가 제1캡스턴(27)에 압접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제2핀치 롤러 레버(55)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모드 레버(54)의 제3포지션은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결합편(54i)이 제2핀치 롤러 레버(55)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60)의 B방향측 단부와 결합 가능한 위치이다. 따라서, 모드 레버(54)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핀치 롤러(56)가 제2캡스턴(57)에 압접된다.
제2핀치 롤러(56)가 제2캡스턴(57)에 압접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31도와 제28도에 도시한 스프링(60)의 B방향측 부분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이동 방향으로 대략 수직이다. 즉, 제31도와 제28도의 상태에 있어서 제2핀치 롤러(56)는 제2캡스턴(57)에 대해서 동일한 압접력에 의해 압접되어 있다.
제2헤드 다이(51) 및 제2아이들러 레버(58)의 동작은 상기 [2]의 절환 동작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함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제2아이들러 기어(59)가 제2권치 릴대(61)와 맞물리는 위치에 유지된다.
[4] 정지모드로부터 제2메카 조속이송 모드에의 절환동작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2메카 조속이송 버튼(4e)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3)는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입상시간이 경과한 후 구동 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에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를 공급한다.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의 결합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캠 기어(6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리고, 또 크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2)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 결합하고,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펄스와 이에 이어지는 제2펄스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동작 사이에 솔레노이드(12)는 2회의 흡인동작을 행하고, 2회째인 흡인 동작의 종료 후에 상기 결합편(66c)과 로크편(67e)의 결합이 행해진다.
모드레버(54)의 동작은 상기[2]의 절환동작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모드 레버(54)는 가장 A방향측 위치로 이동한 제7도에 도시한 제2포지션에 배치된다.
다음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은 정지모드에 있어서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A)의 캠면(A1)과 결합하고 있다. 정지 상태로부터 캠 기어(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결합축(52m)은 모드 레버(54)가 상기와 같이 제2 포지션으로 이동한 후, 캠면(A2)을 경유하여 캠면(A3)에 이른다.
캠 결합축(52m)이 캠면(A3)을 통과할 때 솔레노이드(12)는 제2메카 조속이송 신호 e의 제2펄스에 의해 통전되므로 흡인 동작을 행한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레버(6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 갈고리(66d)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결합편(52n)과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캠 결합축(52m)은 캠면(A3)과 결합한 후, 캠면(A4,A5,A6,A7)과 차례로 결합해 간다. 그리고, 캠 결합축(52m)이 캠면(A7)과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캠 기어(67)가 정지하고,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이동을 정지한다.
또, 모드 레버(54)가 제2포지션에 배치되어 있을 때 그 가이드편(54c)은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i)과 결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 즉 모드레버(54)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메카부(20)의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 제1헤드 다이(21), 제1아이들러 레버(28) 및 제1핀치 롤러 레버(25)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2헤드 다이(51)는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캠 결합축(52m)이 캠 기어(67)의 캠면(A7)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의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 및 제2헤드 다이(51)의 위치는 정지모드의 경우의 위치로부터 약간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이다. 이 제2헤드 다이(51)의 위치에 있어서는 제2헤드 다이(51)에 탑재되어 있는 자기 헤드가 제2카세트 테이프의 자기 테이프와 맞닿지 않는다.
제2아이들러 레버(58)는 그 결합편(58a)과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저지부(52j)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아이들러 기어(59)는 제2권취 릴대(61)와 이격된 채 남는 상태로 된다.
제2핀치 롤러 레버(55)는 화살표 C방향으로의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움직임이 적고, 모드 레버(54)의 결합편(54i)에 의해 스프링(60)의 일단부가 C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핀치 롤러(56)는 제2캡스턴(57)과 이격된 채 남는 상태로 된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F)의 캠면(F1)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제2공급 릴대(62) 및 조속이송 기어(63)와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은 캠(F)의 캠면(F2,F3)과 차례로 결합한다. 그 후,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결합편(64b)이 캠면(F3)과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축(14m)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핀(64c)이 기대(14)의 개구부에 형성된 걸림 모서리(14q)에 맞닿음으로써 정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조속이송 기어(63)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2메카부(50)는 조속이송 동작상태로 된다.
[5] 정지모드로부터 제2메카 되감기 모드에의 절환기구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작자가 제2메카 되감기 버튼(4f)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른 신호가 제어 회로(3)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3)는 모터(11)를 기동시키고, 입상 시간이 경과한 후, 구동 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에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를 공급한다.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과의 결합에 의한 로크 상태가 해제되고, 캠 기어(6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라이 기어(68)와 맞물리고, 더 크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솔레노이드(12)는 원래상태로 복귀하고,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66)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은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의 결합, 캠 기어(67)의 회전이 행해진다.
또,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펄스와 이에 이어지는 제2펄스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동작 사이에 솔레노이드(12)는 2회의 흡인 동작을 행하고, 2회째의 흡인 동작 종료 후에 상기 결합편(66c)과 로크편(67e)의 결합이 행해진다.
모드 레버(54) 및 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동작은 상기 [4]의 절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즉, 모드 레버(54)는 가장 A방향측 위치로 이동한 제7도에 도시한 제2포지션에 배치된다. 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정지모드의 경우의 위치로부터 약간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된다.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모드에 있어서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이 캠 기어(67)에 있어서의 캠(F)의 캠면(F1)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는 제2공급 릴대(62) 및 조속이송 기어(63)와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은 캠(F)의 캠면(F2,F3)과 차례로 결합한다. 그 후, 또 캠 기어(67)가 회전할 때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의 제2펄스에 의해 솔레노이드(12)가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66)의 결합 갈고리(66b)의 외주 모서리부가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 갈고리(64a)의 외주 모서리부에 결합하고, 시계방향으로의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회전이 저지된다.
다음에,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의 결합편(64b)은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캠(H)의 캠면(H1)과 결합하고, 솔레노이드(12)는 제2메카 되감기 신호 f 의 종료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수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6)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결합 갈고리(66b,64a)끼리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후,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는 제3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편(64b)이 캠(H)의 캠면(H1,H2)과 차례로 결합함으로써 축(14m)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결합편(64b)이 캠면(H2)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하고,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가 공급 릴대(28)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2메카부(50)는 되감기 동작 상태로 된다.
[6] 테이프 단부 검출에 의한 제1메카 재생모드로부터 정지모드로의 절환 동작
제어 회로(3)는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로부터의 펄스 신호의 유무를 기초로하여 제1메카 재생 상태의 종료를 검출하면, 구동 회로(2)를 경유하여 솔레노이드(12)의 정지 신호 a를 공급한다.
제1메카 재생상태에 있어서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이 캠 기어(67)의 로크편(67e)과 결합하고, 캠 기어(67)는 이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한편, 정지 신호 a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흡인 동작을 행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상기 결합편(66c)과 로크편(67e)의 결합이 해제되고, 캠 기어(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캠 결합축(52m)의 결합은 캠 기어(67)의 캠면(B2)으로부터 캠면(B3)으로 절환하고, 또 캠면(A1)으로 절환된다. 이 때에는 정지신호 a의 펄스 부분이 경과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12) 및 솔레노이드 레저(66)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레버(66)의 결합편(66c)과 캠 기어(67)의 로크편(67d)이 결합하고,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캠 결합축(52m)의 결합이 캠면(B2)으로부터 캠면(A1)으로 절환됨으로써,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는 화살표 D방향의 정지모드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모드 레버(54)의 가이드편(54c)에 의해 C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던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는 제1헤드 다이(21)와 화살표 D방향의 정지모드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상기 이동에 의해 제1아이들러 레버(28)는 결합편(28a)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저지부(23g)와 결합함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아이들러 기어(29)는 제1권취 릴대(24)와 이격된다.
제1핀치 레버(4)는, 스프링(30)에 대해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의 결합편(23f)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핀치 롤러(26)는 제1캡스턴(27)과 이격된다.
모드 레버(54)의 캠 결합축(54f)은 캠 기어(67)의 회전에 의해 캠(C)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캠(E)의 캠면(E1)과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캠 기어(67)의 회전이 정지한다. 따라서 모드 레버(54)는 제7도에 도시한 제4포지션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예의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구성의 간략화를 위해 제1메카부(20)에 있어서, 즉 제1카세트 테이프에 대해서 재생 동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C방향으로의 제1헤드 다이(21)의 진출에 의해 재생 및 기록이 가능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 제2메카부(50)에 있어서도 화살표 C방향으로의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의 이동에 의해, 또 독립하여 기록이 가능한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한 개의 캠 기어(67)에 의해 제1메카부(20)의 재생 동작, 제2메카부(50)의 재생동작, 및 제1카세트 테이프의 재생 신호를 제2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는 더빙 동작의 절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구동수단의 수가 적어지면,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 한 쪽과 다른 쪽의 면에 다수의 캠면을 갖고, 회전하는 캠 기어(67)를 구동 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구동수단이 간단한 구성으로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캠 기어(67)는 한 쪽면에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결합하여 이를 구동하는 캠면과, 모드 레버(54)와 결합하여 이를 구동하는 캠면을 갖고, 회전 구동되는 것이므로,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와 모드 레버(54)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카세트를 구동하는 제1메카부(20)와, 제2카세트를 구동하는 제2메카부(50)를 단독 및 동시에 구동하는 것은 모드 레버(54)와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이 구동은 본 장치와 같이 구동수단으로서 1개의 회전하는 캠 기어를 구비한 극히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또,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제2아이들러 레버(58)에 C방향으로의 제2헤드 다이(51)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부재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부품갯수가 감소하고, 간략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제1핀치 롤러(26)를 제1캡스턴(27)에 압접시키는 기능을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에 갖게 하고, 제2핀치 롤러(56)를 제2캡스턴(57)에 압접되는 기능을 모드 레버(54)에 갖게 하고 있으므로부품 갯수가 감소하고, 간략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모드 레버(54)가 제2포지션에 있을 때와 제3포지션에 있을 때에 모드 레버(54)에 의해 제2캡스턴(57)에 압접된 때의 제2핀치 롤러(56)의 위치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카세트 테이프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 시와 더빙 동작 시에 있어서 제2핀치 롤러(56)에 의한 제2캡스턴(57)에의 제2카세트 테이프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가압력은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상기 동작 시에 있어서 제2카세트 테이프의 주행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서는 테이프 반송기구(1)로부터 제1메카부(20)를 제거함으로써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를 제2메카부(50)에 의해 싱글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싱글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가 필요한 경우에 별도로 개발할 필요가 없고, 싱글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싱글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반송기구의 구성은 제36도에 도시한 것이 된다. 이 구성에 사용되는 부재는 제1도에 도시한 부재 중 솔레노이드(12), 제2헤드다이(51),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52), 제2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53), 제2핀치 롤러 레버(55), 제2핀치 롤러(56), 제2캡스턴(57), 제2아이들러 레버(58), 제2아이들러 기어(59), 스프링(60), 제2권취 릴대(61), 솔레노이드 레버(66) 및 캠 기어(67) 및 제6도에 도시한 제2공급 릴대(62), 조속이송 기어(63), 조속이송/되감기 레버(64), 조속이송/되감기 기어(65) 및 플라이 기어(68)이다. 한편, 사용되지 않는 부재는 제1도에 도시한 부재 중 테이프 단부 검출 스위치(13), 제1헤드 다이(21),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 스프링(22), 제1오버스트로크 레버(23), 제1권취 릴대(24), 제1핀치 롤러 레버(25), 제1핀치 롤러(26), 제1캡스턴(27), 제1아이들러 레버(28), 제1아이들러 기어(29) 및 스프링(30)이다. 또, 기대(14)는 제2메카부(50)에 상당하는 크기가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5)

  1.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 및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동 부재와,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에 제3이동 부재를 배치하는 진출 위치와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후퇴 위치에 제3이동부재를 배치하는 후퇴 위치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이동부재와, 이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동작 가능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한 제3이동 부재와, 상기 동작 가능 위치로의 제3이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이동 저지부재와,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진퇴 이동을 행하는 한편, 상기 이동 저지 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이동 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포지션, 및 이동 저지 부재를 이동 저지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또 제1이동 부재를 동작가능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제2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절환 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상기 진출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동작 절환 부재를 상기 제1포지션 및 제2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2.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 위치 및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 지는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동 부재와,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가능케 하는 동작 가능위치에 제3이동 부재를 배치하는 진출 위치 및 상기 동작이 불가능해지는 후퇴위치로 제3이동 부재를 배치하는 후퇴 위치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이동 부재와, 이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동작 가능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 가능한 제3이동 부재와, 상기 동작 가능 위치로의 제3이동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 가능한 이동 저지 부재와,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진퇴 이동을 행하는 한편, 상기 이동 저지 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이동 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포지션, 이동 저지 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또 제1이동 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제2포지션 및 이동 저지 부재를 이동 저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또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이동 부재를 동작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한 동작 절환 부재와, 제2이동 부재를 상기 진출 위치 및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동작 절환 부재를 상기 제1포지션, 제2포지션 및 제3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는 제1카세트의 제1릴에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제1카세트측 제1릴대와, 이 제1카세트측 제1릴대에 테이프 권취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아이들러 기어와, 이 제1아이들러 기어가 부착된 제1아이들러 레버를 포함하고, 제1아이들러 레버는 제1이동 부재가 상기 동작 가능 위치에 배치된 때 이 위치로의 제1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카세트측 제1릴대와 제1아이들러 기어와의 결합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며, 제1이동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 배치된 때 이 위치로의 제1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카세트측 제1릴대와 제1아이들러 기어의 결합을 저지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2카세트의 제1릴대에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권취하기 위한 제2카세트측 제1릴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저지 부재는 상기 제2카세트측 제1릴대에 테이프 권취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아이들러 기어와 이 제2아이들러 기어가 부착된 제2아이들러 레버를 포함하고, 이 제2아이들러 레버는 동작 절환 부재에 구동되어 상기 이동 저지 위치에 배치된 때 제2카세트측 제1릴대와 제2아이들러 기어와의 결합을 저지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이들러 레버는 제2이동 부재가 상기 진출 위치에 배치된 때 이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카세트측 제2릴대와 제2아이들러 기어와의 결합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며, 제2이동 부재가 상기 후퇴 위치에 배치된 때 이 위치에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카세트측 제1릴대와 제2아이들러 기어의 결합을 저지하는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제1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를 협지하여 주행시키는 제1캡스턴과 제1핀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 부재는 상기 동작 가능 위치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핀치 롤러를 제1캡스턴에 압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제2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를 협지하여 주행시키는 제2캡스틴과 제2핀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절환 부재는 제2포지션 및 제3포지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진출 이동할 때 제2핀치 롤러를 제2 캡스턴에 압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절환 부재의 제1내지 제3포지션은 제1포지션이 제2핀치 롤러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고, 이 제1포지션보다도 제2핀치 롤러에 가까운 측에 제2 및 제3포지션이 설정되고, 제2핀치 롤러를 지지하는 제2핀치 롤러지지 부재는 1점을 중심으로 하여 제2핀치 롤러가 제2캡스턴과 압접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동작 절환 부재에 의해 제2핀치 롤러가 제2캡스턴에 압접될 때의 제2핀치 롤러에 있어서의 제2이동 부재 진출 방향의 위치는 동작 절환 부재가 제2포지션에 있을 때와 제3포지션에 있을 때에 동일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제1이동 부재의 진퇴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동작 가능 위치와 후퇴 위치로 진퇴 이동하는 제4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이 제4이동 부재에는 제1카세트용 자기 헤드가 탑재되는 한편, 상기 제3이동 부재에는 제2카세트용 자기 헤드가 탑재되고, 이들 제3이동 부재와 제4이동 부재의 상기 동작 가능 위치 및 후퇴 위치로의 진퇴 이동 방향은 동일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와 제2카세트는 각 릴의 측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상태로 좌우의 위치로 장전되고, 상기 제1이동 부재는 제1카세트측 위치에 설치된 제1기구부에 포함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 이동 저지 부재, 동작 절환 부재, 구동 수단, 및 이 구동 수단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와, 제2카세트측 위치에 설치된 제2기구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세트와 제2카세트는 각 릴의 축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상태로 좌우의 위치에 장전되고, 상기 제1이동 부재와 제2이동 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후퇴 위치 방향으로 가입되고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제1 내지 제3포지션으로의 동작 절환 부재의 구동 방향은 제2이동 부재의 진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3포지션은 진출 위치로의 제2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동작 절환 부재가 이동할 때 동작 절환 부재가 제1이동 부재와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회전 구동되는 캠 수단을 포함하고, 이 캠 수단은 제2이동 부재와 결합하여 이를 구동하는 제1캠과, 동작 절환 부재와 결합하여, 이를 구동하는 제2캠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카세트의 제2릴과 결합하는 제2카세트측 제2릴대와, 상기 제2카세트측 제1릴대 및 제2카세트측 제2릴대에 자기 테이프의 권취 및 조속이송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속이송/되감기 기어와, 이 조속이송/되감기 기어가 부착된 조속이송/되감기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캠 수단은 상기 조속이송/되감기 레버를 이동시키는 제3캠을 갖고 상기 제1캠과 제2캠 수단에 있어서의 동일 측의 면에 설치되고, 이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제3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또 상기 캠 수단과 결합하여 캠 수단을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절환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제1포지션으로부터 제3포지션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캠 수단의 제2 캠은 동작 절환 부재를 상기 제1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원호형의 제1포지션용 캠과, 동작 절환 부재를 상기 제3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원호형의 제3포지션용 캠과, 동작 절환 부재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는 대기 위치용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3포지션 용 캠은 제1포지션용 캠보다도 직경이 작으면서 제3포지션용 캠의 내주 측에 설치되고 이들 제1 및 제3포지션용 캠에 있어서의 캠 수단 회전 방향의 전방단 위치인 시단부는 제3포지션용 캠 쪽이 제1포지션용 캠보다도 전방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대기 위치용 캠은 제1 및 제3포지션용 캠의 시단부의 전방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 수단과 동작 절환 부재에는 정지 수단이 캠 수단 정지를 위한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때 서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가압 방향으로의 동작 절환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캠 수단과 결합하는 정지 레버와, 이 정지 레버를 캠 수단과 결합 방향 및 결합 해제 방향으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장치.
KR1019950007234A 1994-12-27 1995-03-31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0156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6352A JP3056660B2 (ja) 1994-12-27 1994-12-27 ダブルカセット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94-326352 199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322A KR960025322A (ko) 1996-07-20
KR0156307B1 true KR0156307B1 (ko) 1998-12-15

Family

ID=1818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234A KR0156307B1 (ko) 1994-12-27 1995-03-31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02706A (ko)
EP (1) EP0720162B1 (ko)
JP (1) JP3056660B2 (ko)
KR (1) KR0156307B1 (ko)
CN (1) CN1095161C (ko)
DE (1) DE69527264T2 (ko)
MY (1) MY112719A (ko)
TW (1) TW256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6956C (zh) * 2005-04-29 2008-12-31 台湾玄丽国际股份有限公司 涡形可挠性材质内部轴心埋入射出的方法
JP4402008B2 (ja) 2005-05-17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775A (en) * 1980-12-24 1985-11-05 Sharp Kabushiki Kaisha Tape recorder with two recording/playing mechanisms
JPS5956274A (ja) * 1982-09-24 1984-03-31 Sanyo Electric Co Ltd テ−プレコ−ダ−の動作切換装置
US4571459A (en) * 1983-07-18 1986-0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lephone answering machine
JPS60160044A (ja) * 1984-01-31 1985-08-21 Olympus Optical Co Ltd 磁気記録テ−プ走行装置
JPH0430671Y2 (ko) * 1985-04-17 1992-07-23
KR910009298B1 (ko) * 1985-04-17 1991-11-09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카세트 테이프를 구비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AT386089B (de) * 1986-06-17 1988-06-27 Philips Nv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aet fuer in kassetten untergebrachte bandfoermige aufzeichnungstraeger
US4816943A (en) * 1986-11-06 1989-03-28 Tanashin Denki Co., Ltd. Dubbing tape recorder having a common tape driving motor
JPH087899B2 (ja) * 1989-06-30 1996-01-29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式テープレコーダーのブレーキ解除機構
JP2969919B2 (ja) * 1990-11-13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カムギヤ式制御機構及びテーププレーヤ
JP3331646B2 (ja) * 1992-12-22 2002-10-07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02706A (en) 1997-02-11
JPH08180512A (ja) 1996-07-12
CN1095161C (zh) 2002-11-27
MY112719A (en) 2001-08-30
EP0720162A3 (en) 1997-11-12
JP3056660B2 (ja) 2000-06-26
DE69527264D1 (de) 2002-08-08
DE69527264T2 (de) 2003-01-23
KR960025322A (ko) 1996-07-20
TW256912B (en) 1995-09-11
EP0720162B1 (en) 2002-07-03
EP0720162A2 (en) 1996-07-03
CN1131787A (zh) 199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381A (en)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US4404610A (en) Mode selection assembly for use in tape recorders or the like
KR0156307B1 (ko) 더블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2980499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S5843820B2 (ja) カセット式テ−プレコ−ダ−
JPH0150983B2 (ko)
JP2737178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機構
US4985788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1037603A (en) Cartridge tape player system having reverse and fast-forward nodes of operation
US7540443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tape threading method thereof
US61221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JPH0422422Y2 (ko)
JPH0422421Y2 (ko)
JPH0422420Y2 (ko)
JP2544495B2 (ja) オ―トリバ―ス式テ―ププレ―ヤ
JPH0516657Y2 (ko)
JP2511161B2 (ja) オ―トリバ―ス式テ―ププレ―ヤ
JPH054120Y2 (ko)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2938902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プレーヤ
JPH0339345B2 (ko)
JPS5839565Y2 (ja) テ−プレコ−ダ
JPH0368461B2 (ko)
JPH05992Y2 (ko)
JPS596524Y2 (ja) テ−プレコ−ダの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