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305B1 - 디스크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305B1
KR0156305B1 KR1019950033428A KR19950033428A KR0156305B1 KR 0156305 B1 KR0156305 B1 KR 0156305B1 KR 1019950033428 A KR1019950033428 A KR 1019950033428A KR 19950033428 A KR19950033428 A KR 19950033428A KR 0156305 B1 KR0156305 B1 KR 0156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egeneration
trays
rack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036A (ko
Inventor
사또루 고이즈미
히로시 마쯔까와
히로아끼 미야시게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7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가요성을 지닌 래크 부재에는 대략 V자 형상의 캠부가 형성되고, 베이스 대에서의 격벽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안내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재생 유닛에 형성된 지지 바아는 안내 슬릿을 관통해서 캠부에 감입되고 있다. 각 트레이의 대향 측면에는 트레이 래크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 부재의 양 단부에 설치된 계합 핀이, 각 트레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계합하면서 안내된다. 이로 인해, 래크 부재가 각 트레이간을 이동하는 것만으로 재생 유닛의 승강, 각 트레이간에서의 이동 및 각 트레이의 개폐를 연속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원은 트레이 기어체 뿐이며, 안내 홈이 구비되는 맞닿음부가 각 동작 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서 고정밀도한 타이밍으로 동작을 절환할 수 있는 저렴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탑재한 오디오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제2트레이의 언로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a)는 상기 디스크 재생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제4도(b)는 동 정면도, 제4도(c)는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캠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제4도(a)에서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a) 및 제6도(b)는 디스크 재생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와 그 절환 부재로서의 절환 레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a)는 재생 유닛이 재생 위치에서 하강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7도(b)는 제7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c)는 제7(a)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a) 및 제8도(b)는 제7도(a) 내지 제7도(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절환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a)는 재생 유닛이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하강 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9도(b)는 제9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c)는 제9도(a)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a)는 재생 유닛의 재생 위치-후퇴 위치간 이동과 각 후퇴 위치간 이동을 절환하는 사행 슬릿의 역할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0도(b)는 제10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0도(c)는 제10도(a)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a)는 재생 유닛의 재생 위치-후퇴 위치간 이동이 각 후퇴 위치간 이동으로 절환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1도(b)는 제11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1도(c)는 제11도(a)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a)는 재생 유닛이 제1트레이의 후퇴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2도(b)는 제12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2도(c)는 제12도(a)의 X-X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a)는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후퇴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3도(b)는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b)는 제13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3도(c)는 제13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4도(a)는 재생 유닛의 각 후퇴 위치간 이동이 재생 위치-후퇴 위치간 이동으로 절환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4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b)는 제14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4도(c)는 제14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5도(a)는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재생 위치를 향해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5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5도(b)는 제15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5도(c)는 제15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6도(a)는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후퇴 위치에서 재생 위치로 상승 중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6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6도(b)는 제16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6도(c)는 제16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7도(a)는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7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7도(b)는 제17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7도(c)는 제17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8도(a)는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도달한 것을 제2스위치에게 검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18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18도(b)는 제18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18도(c)는 제18도(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절환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8도(d)는 제18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9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를 언로딩 위치로 이동시키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9도(b)는 제19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0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를 언로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트레이의 안내 홈에서의 맞닿음부가, 트레이 래크와 상부 기어를 맞물리게 하는 역할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0도(b)는 래크 부재의 제1캠의 역할을 도시하는 주요부 설명도.
제21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를 언로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래크부와 래크 구동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1도(b)는 제21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2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가 언로딩 위치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2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2도(b)는 제22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22도(c)는 제22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3도(a)는 재생 유닛을 도달한 것이 검출된 시점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3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3도(b)는 제23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23도(c)는 제23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4도는 제23도(a) 내지 제23도(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절환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5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가 언로딩 위치에서 로딩 위치로 복귀를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5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5도(b)는 제25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25도(c)는 제25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6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가 로딩 위치로의 복귀를 종료하는 단계에서, 제2트레이의 트레이 래크와 상부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6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6도(b)는 제26도(a)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7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가 로딩 위치로의 복귀를 종료하는 단계에서, 제2트레이의 트레이 래크와 상부 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래크부와 래크 구동 기어가 맞물림을 재개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7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7도(b)는 제27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27도(c)는 제27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8도(a)는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가 로딩 위치로 복귀한 것이 검출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28도(b)의 Y-Y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8도(b)는 제28도(a)의 상태에 대응하는 평면도, 제28도(c)는 제28도(b)에 대응하는 래크 부재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9도(a) 및 제29도(b)는 제28도(a) 내지 제28도(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절환 레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0도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 장치인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1도는 제30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가 구비하는 재생 구동부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한 재생 구동부를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의 구성을 재생 구동부의 저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33도는 종래의 다른 디스크 재생 장치인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 도시한 디스크 재생 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재생 장치 3 : 제1트레이
3e : 트레이 래크(트레이용 래크) 4 : 제2트레이
4e : 트레이 래크(트레이용 래크) 5 : CD(디스크)
6 : 베이스 대(기대) 6s : 유닛 받침 레일(제1안내수단)
6t : 하강 안내 홈(제2안내수단) 8 : 안내 홈
8c : 제3안내부(이동체 안내 홈)
8d : 맞닿음부(왕복 이동용 캠부, 제1왕복 이동용 캠부)
8h : 규제편(규제부) 9 : 안내 홈(제2안내부)
9c : 제3안내부(이동체 안내 홈)
9d : 맞닿음부(왕복 이동용 캠부, 제2왕복 이동용 캠부)
9h : 규제편(규제부) 10 : 래크 부재(이동체, 래크, 이동수단)
10a : 래크부(래크) 10c : 제1계합핀(제1계합부재)
10d : 제2계합핀(제2계합부재) 11 : 캠부(이동 캠)
11b : 제1경사 캠(승강용 캠부, 계합부, 승강용 캠부)
11c : 제1캠(도피부, 유지용 홈)
11d : 제2경사 캠(승강용 캠부, 계합부, 승강용 캠부)
11e : 제2캠(도피부, 유지용 홈)
16 : 트레이 기어체(구동 수단, 구동원) 16b : 하부 기어(구동원 기어)
19 : 래크 구동 기어(구동 기어) 21 : 제1절환레버(제1절환부재)
22 : 제2절환레버(제2절환부재) 25 : 안내 슬릿
25a : 제1수직슬릿(제1수직안내슬릿)
25b : 제1사행슬릿 25c : 수평 슬릿(수평 안내 슬릿)
25d : 제2사행슬릿
25e : 제2수직슬릿(제2수직안내슬릿)
26 : 제1스위치 27 : 제2스위치
29 : 재생 유닛 30 : 홀딩 샤시(재생 유닛)
30b :지지 바아(계합핀) 30e : 유닛 계합 홈(제1맞물림부)
30f : 계합단(제2맞물림부) 30g : 성형 스프링(가압 수단)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와 같은 기록 담체로서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복수개 구비하고, 예를 들면 하나의 디스크 재생 중에, 다른 디스크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를 별도의 디스크로 교환할 수 있으며, 그로써 다수매의 디스크 재생을 각각의 디스크 트레이마다 차례로 연속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는 디스크 재생 장치 등의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생 전용 콤팩트디스크나, 기록 재생이 가능한 미니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상 기록 담체의 보급에 의해 최소한 디스크 재생 기능을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예 1]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1-80,654호 공보에는 하나의 장치 캐비닛 내에 2개의 디스크 트레이를 탑재하고, 한 쪽 디스크 트레이에 장착한 디스크의 재생 중에 다른 쪽 디스크 트레이에서는 디스크 교환을 가능하게 한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샤시(200) 위에 2개의 디스크 트레이(201,202)가 병설되어 있다. 각 디스크 트레이(201,202)는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의 정면 방향인 M방향 및 역방향의 N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201,202)의 M-N방향으로의 이동을 이하에는 로딩 동작이라 약칭한다.
이 로딩 동작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기구로서, 로딩 구동부(203)가, 디스크 트레이(201,202) 각각에 설치되고 있다. 각 로딩 구동부(203)는 치차 기구(203a)와 로딩용 모터(204)를 구비하고 있다. 로딩용 모터(204)의 회전은, 예를 들면 디스크 트레이(201) 측면에 형성된 트레이용 래크(205)에 치차 기구(203a)를 통해서 전달되고, 디스크 트레이(201)의 로딩 동작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06)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모터나 광학식 픽업 및 그 구동 기구로 구성되는 재생 구동부가 서브 샤시(207)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서브 샤시(207)는 서브 샤시(207)의 N방향측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부(208)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함과 동시에, 베어링부(208)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M-N방향에 직교하는 O-P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가이드 축을 따라서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서브 샤시(207)의 회동에 의한 승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로서, 승강 구동부(210)가 설치되는 한편, 서브 샤시(207)의 O-P방향으로의 슬라이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로서,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구동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2도는 서브 샤시(207) 및 슬라이드 구동부(211)를 저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제31도에 도시한 상기 승강 구동부(210)는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규제되는 승강용 모터(212)와, 승강용 모터(212)의 회전을 서브 샤시(207)의 승강 동작으로 변환하는 캠 기구(2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 기구(213)는 소용돌이 형상의 승강용 캠(213a)과 서브 샤시(207) 측면에 돌출 설치된 핀(2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승강용 모터(212)의 회전은 차차 기구에 의해 승강용 캠(213)에 전달되고, 승강용 캠(213)의 소용돌이 회전에 핀(213b)이 미끄럼 접촉하여 종동함으로써, 서브 샤시(207)가 베어링부(208)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제32도에 도시한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211)는 서브 샤시(207)를 O-P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슬라이드 모터(214)와 치차 및 래크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기구(2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06)에서 기록 정보를 재생할 때, 디스크(206)는 클램퍼(216)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에 압접된다. 이 클램퍼(216)는 서브 샤시(207) 내부측에 설치된 클램퍼 승강 기구(217)의 동작에 따라서 승강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디스크 트레이(201,202)의 로딩 동작 중에는 재생 구동부는 승강 구동부(210)의 동작에 따라 하강하고 있다. 디스크 트레이(201) 또는 디스크 트레이(202)에 디스크(206)가 장착되고, 디스크 트레이(201) 또는 디스크 트레이(202)가, 로딩부(203)의 동작에 따라서 N방향으로 후퇴하여 재생 가능한 위치에 이르면, 재생 구동부는 승강 구동부(21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한다. 재생 장치의 상승과 동시에, 클램퍼(216)는 클램퍼 승강 기구(217)의 동작에 따라서 디스크(206) 상으로 하강한다.
또, 디스크 트레이(201) 또는 디스크 트레이(202)의 한 쪽이 재생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비재생 상태의 디스크 트레이(201) 또는 디스크 트레이(202)에서는 디스크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된 디스크의 재생 지시가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에 입력되면 재생 구동부는 승강 구동부(210)의 동작에 따라 하강한 후 슬라이드 구동부(211)의 동작에 따라서 디스크 트레이(201,202) 사이를 이동하고 재차 승강 구동부(21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한다. 이리하여, 교체된 디스크로부터 기록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1-80,654호 공보에 개시된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는 디스크 트레이(201,202)를 M-N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트레이 이동 수단), 재생 구동부를 O-P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수단(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 재생 구동부를 승강시키는 수단(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을 지니고 있고, 2개의 디스크 트레이(201,202) 위에 적재된 디스크를 1개의 재생 구동부에서 수시 재생하고 디스크 트레이(201,202)를 각각 캐비닛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각 디스크 트레이(201,202)에서의 디스크 교환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각 로딩 구동부(203)에 로딩용 모터(204)를 설치하고, 승강 구동부(210) 및 슬라이드 구동부(211)에서도, 각각 전용 승강용 모터(212) 및 슬라이드용 모터(214)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별로 구동원용 모터를 설치하는 것은, 각 모터의 동작을 각각의 제어 회로에 의해서 임의적인 타이밍으로, 또한 개별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터에 관한 비용, 배선재에 관한 비용, 배선에 관한 조립 비용 등에 의해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의 현저한 비용 상승이 초래되고, 또 부품 수의 증대로 인해 디스크 레코드 재생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곤란해지고 있다.
[종래예 2]
상기 종래예 1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 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개 소63-304,4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로딩 장치에서는 상기 종래예 1과 마찬가지로, 서로 병설된 2개의 디스크 트레이와 각 디스크 트레이 각각에 독립된 구동원을 지닌 트레이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으로서,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부채꼴의 스윙 기어(222)가 설치되어 있다. 스윙 기어(222)는 일단이 피봇 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디스크 트레이(201,202)의 병설면에 평행하게 회동한다. 또,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구동부(223)가, 스윙 기어(222)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스윙 기어(222)와 일체적으로 피봇 되고, 지지축(224)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으로써, 베이스 부재(225)와 베이스 부재(225) 위에 설치된 승강용 캠 기구(226)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225)는 상기 스윙 기어(222)와 재생 구동부(223)의 사이에서, 스윙 기어(222)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승강용 캠 기구(226)는 베이스 부재(225) 위에 설치되고, 재생 구동부(223)를 디스크 트레이(220) 또는 디스크 트레이(221)에 대향해서 승강시킨다. 이 승강용 캠 기구(226)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주 기어(226a), 주 기어(226a) 상면에 형성된 사면부(226b), 및 재생 구동부(223) 저면에서 사면부(226b)에 근접하게 돌출 설치된 돌기(226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220,221)의 송출 방향을 로딩 장치의 정면 방향으로 하면, 주 기어(226a) 상면에서의 정면측은 평탄면이 되어 있고, 상면 도중에서 상기 사면부(226b)가 뒤쪽을 향해서 점차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기어(226a) 저면에는 캠 홈(227)이 형성되고, 주 기어(226a)의 근방이면서 또한 스윙 기어(222) 상면에는 절환 레버(228)가 피봇 되어 있다. 절환 레버(228)에는 도시하지 않은 핀이 세워 설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캠 홈(227)에 계합하고 있다. 절환 레버(228)의 회동단 근방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UP 스위치(229) 및 DOWN 스위치(230)가 배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229,230)는 스윙 기어(222)와 일체로 회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예를 들면 디스크 트레이(221)에서 재생이 행해질 때, 스윙 기어(222)는 재생 구동부(223)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얻어 디스크 트레이(221)측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주 기어(226a)가 같은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주 기어(226a) 위에 사면부(226b)에 재생 구동부(223)의 돌기(226c)가 미끄럼 접촉되고, 사면부(226b)의 밀어올림과 동시에 돌기(226c)가 위쪽을 향해서 사면부(226b) 위를 이동한다. 이 결과, 재생 구동부(203)가 디스크 트레이(221)를 향해서 상승한다. 또, 절환 레버(228)의 핀이 캠 홈(227)의 단부 부근까지 안내됨으로써, 절환 레버(228)의 회동단이 UP 스위치(229)를 ON으로 한다.
또한, UP 스위치(229)가 ON되면, 구동 모터의 회전은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정지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구동부(223)의 상승 위치를 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221)의 디스크를 교체할 때는 주 기어(226a)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돌기(226c)가 사면부(226b) 위를 미끄럼 접촉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재생 구동부(223)도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절환 레버(228)의 핀이 캠 홈(227)의 중앙 부근까지 안내됨으로써, 절환 레버(228)의 회동판이 DOWN 스위치(230)를 ON으로 하고, 재생 구동부(223)의 하강이 검출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로써, 디스크 트레이(221)를 출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 구동부(223)를 디스크 트레이(220)에 이동시킬 경우에는 DOWN 스위치(230)가 ON이 되어도 구동 모터의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스윙 기어(222)는 재생 구동부(223)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디스크 트레이(222)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3-304,480호 공보에 개시된 로딩 장치에서는 사면 형상의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과 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이, 하나의 구동 모터에서 구동력을 얻도록 되어 있다.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의 동작은 스윙 기어(222)의 회전 운동이 기본이 되어 있고, 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의 동작은 사면부(226b)의 회전 운동이 기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 및 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의 동작을 모두 회전 운동하게 하는 쪽이, 종래예 1과 같이 한 쪽의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의 동작이 직선 운동인 것 보다 설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 2의 구성에서는 종래예 1에 비해 구동 모터의 개수가 1개 감소된 것, 트레이 이동 수단에 다시 2개 구동 모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요망에 대해, 아직 충분하게 답할 수 없게 되어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재생 구동부를 디스크 트레이 사이에서 회동시키기 때문에, 회전축에서 재생 구동부의 회동단까지의 거리를 최소 필요 반경으로 하는 회전 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2개의 디스크 트레이를 병설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크 구동장치 전체의 폭은 이 회전 공간을 상회하게 설계해야 하며, 디스크 구동 장치의 소형화가 저해되는 문제점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 이동 수단, 재생 구동부 이동 수단 및 재생 구동부 승강 수단을 지니며, 2개의 디스크 트레이 위에 적재된 디스크를 하나의 재생 구동부에서 소정 수준으로 임의적으로 재생되며, 각각의 디스크 트레이를 언로딩함으로써 디스크 교환이 행해지게 되고 있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아래의 점을 달성함에 있다.
(a) 상기 3개의 각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하나로 함으로써, 디스크 재생 장치의 대폭적인 원가 절감을 도모한다.
(b) 디스크 재생 장치의 사이즈를 소형화한다.
(c) (a)를 달성하기 위해 수반되는 여러 종류의 곤란성을 극복하고, 또한 하기 점을 달성한다.
·예를 들면, 2개의 디스크 트레이의 한 쪽에 적재된 디스크가 재생 중에, 다른 쪽 디스크 트레이의 디스크를 교환할 수 있다.
·재생 중인 디스크의 재생을 정지하고, 그 디스크를 언로딩 위치에서 교환할 수 있다.
·2개의 디스크 트레이에 적재된 각 디스크의 재생을 재생 지시를 다시 새로 부여하지 않고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재생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1) 디스크(예를 들면, CD)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
(2) 디스크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에서 각각 왕복 이동시키고, 기대상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
(3)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체(예를 들면, 래크 부재),
(4) 이동체가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체와 일체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재생 유닛을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에 적재된 특정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에서, 그 특정한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격리된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계속해서 제1, 제2트레이의 상기 다른 쪽 재생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캠(예를 들면, 래크 부재에 슬릿상으로 형성된 캠부),
(5)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의 상기 한 쪽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의 상기 다른 쪽을 이동체와의 계합에 의해서 안내된 상태에서,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예를 들면, 트레이 기어체),
(6) 상기 구동 수단이 상기 이동체의 구동원을 겸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트레이는 기대상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트레이에 적재된 디스크가 기록면도 거의 동일 평면 내에서 병렬된다. 이에 대해, 각 트레이에서의 후퇴 위치는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격리되어 있으므로, 각 트레이에서의 재생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의 제1이동방향은, 제1, 제2트레이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대략 수직이 된다. 또, 한 쪽 후퇴 위치에서 다른 쪽 후퇴 위치로의 제2이동방향은,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각 트레이의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의 제3이동방향은, 제1, 제2트레이의 병렬 방향, 즉 제2이동방향과는 다르며, 제1이동방향과도 다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3종류 이동방향에 대해, 각각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하나의 구동원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구동원끼리 구동을 절환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 등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값싼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구동 수단은 이동체를 제2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구동 수단이 이동체를 제2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이동체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캠이, 이동체의 제2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을 재생 유닛의 제1이동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재생 유닛을 제2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는 이와 같은 기능을 지닌 이동 캠의 형성 모체가 됨과 동시에,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을 제3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으로도 되어 있다. 이 결과, 다종류 동작을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부품 점수로 행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크 재생 장치의 코스트 퍼포먼스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이동체를 아래의 (7) 내지 (9)와 같은 구성으로 하려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정확한 타이밍으로 재생 유닛의 이동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7) 재생 유닛의 이동과 평행하게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래크와 상기 이동 캠을 이동체에 설치한다.
(8) 상기 래크를,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는 구동 기어에 맞물림 시킨다.
(9) 상기 이동 캠은, 래크의 이동에 따라서, 재생 유닛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는 분력을 산출하는 승강용 캠부(예를 들면, 제1경사캠 및 제2경사캠)와, 각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을 이동시키는 계합부(예를 들면, 제1경사캠, 제2경사캠 및 수평부)를 구비하고, 재생 유닛이 승강용 캠부 및 계합부에 연속해서 계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아래의 (10) 내지 (12)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려면, 하나의 구동원에서 재생 유닛의 제1 및 제2이동방향으로의 이동과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구동하는 심플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10)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림 하는 구동원 기어를 상기 구동 수단에 설치한다.
(11) 이 구동원 기어와 맞물림 하는 트레이용 래크를 제1, 제2트레이 각각에 형성한다.
(12)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 한 쪽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구동원 기어를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에 맞물림 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 수단의 구동력은, 구동원 기어에서 구동 기어를 통해서 이동체의 래크에 전달됨과 동시에, 구동원 기어를 통해서 각 트레이용 래크에 전달된다. 이로써, 하나의 구동원에서, 이동체 및 제1, 제2트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제2트레이는 구동 수단에 의해서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 아니고,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이, 그 트레이용 래크와 구동원 기어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구동되게 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 수단에 구동원 기어를 설치하고, 제1, 제2트레이 각각에게 트레이용 래크를 형성한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한 쪽 트레이에서의 재생 동작 중에 다른 쪽 트레이의 디스크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13) 내지 (17)의 구성을 채택하려면, 재생 유닛을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 재생 위치에 배치하고, 그 재생 상태를 유지한 채,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을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고, 디스크의 교환 등을 행할 수 있다.
(13) 상기 이동체에서의 제1트레이측 단부에 제1계합부재(예를 들면, 제1계합핀)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2트레이측 단부에 제2계합부재(예를 들면, 제2계합핀)를 설치한다.
(14) 제1트레이에는 상기 제1계합부재가 계합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1안내홈을 형성하고, 제2트레이에는 상기 제2계합부재가 계합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2안내홈을 형성한다.
(15) 제1, 제2트레이 사이에서의 이동체 왕복 이동을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 기어와 트레이용 래크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행하게 하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 제2왕복이동용 캠부를 상기 제1, 제2안내홈 각각에 설치한다.
(16)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의 상기 다른 쪽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의 상기 한 쪽에서 상기 다른 쪽을 향하는 이동체의 이동 중에도 재생 유닛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도피부(예를 들면, 수평부)를 상기 이동 캠에 설치한다.
(17) 재생 유닛이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는 제2계합부재가 제2왕복이동용 캠부에 인접하고,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는 제1계합부재가 제1왕복이동용 캠부에 인접하도록, 제1왕복이동용 캠부를 제1트레이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2왕복이동용 캠부를 제2트레이에 설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재생 유닛이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래크의 제2트레이측 단부에 설치된 제2계합부재는 제2트레이에 형성된 제2왕복이동용 캠부에 인접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래크가 제2트레이에서 제1트레이 쪽으로 이동하면, 이동 캠은 도피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재생 유닛을 제1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계합부재에 다시 제2왕복이동용 캠부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동원 기어와 제2트레이의 트레이용 래크를 맞물림시키도록 제2트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원 기어와 제2트레이의 트레이용 래크가 맞물림한 후는 제2계합부재에 제2안내홈을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제2트레이를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재생 유닛이 제2트레이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도 제1트레이에 대해 동일한 동작이 된다.
또한, 상기 재생 유닛을, 재생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지지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킬 경우에는 아래의 (18) 내지 (21)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재생 유닛의 동작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18) 상기 이동체를 재생 유닛의 회동 단측에 설치한다.
(19) 양 후퇴 위치 사이의 재생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예를 들면, 유닛 받침 레일)을, 상기 회동 중심이 되는 지지축을 겸해서 기대에 설치한다.
(20) 양 후퇴 위치 사이의 재생 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예를 들면, 하강 안내 홈)을, 상기 회동단측에서 기대어 설치한다.
(21) 상기 제1안내수단과 맞물림 하는 제1맞물림부(예를 들면, 유닛 계합 홈)를, 재생 유닛의 회동 중심측에 형성하고, 상기 제2안내수단과 맞물림 하는 제2맞물림부(예를 들면, 계합단)를, 재생 유닛의 회동단측에 형성한다.
(22) 상기 제1안내수단과 제1맞물림부와의 맞물림 관계를, 제2안내수단과 제2맞물림부와의 맞물림 관계보다 느슨하게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재생 장치가 아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23) 디스크(예를 들면, CD)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
(24) 디스크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 상에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
(25)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예를 들면, 트레이 기어체),
(26) 구동원에 구비된 구동원 기어(예를 들면, 하부 기어),
(27) 구동원 기어와 맞물림 하는 구동 기어(예를 들면, 래크 구동 기어),
(28) 구동 기어와 맞물림 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에 계합하고, 제1트레이에 적재된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이탈한 제1트레이의 후퇴 위치와 제2트레이에 적재된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탈한 제2트레이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을 이동시키는 래크,
(29) 제1, 제2트레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원 기어와 맞물림 하는 트레이용 래크,
(30) 상기 래크와 계합하고, 또한 제1, 제2트레이 한 쪽에서 다른 쪽을 향하는 래크의 직선 이동을 제1, 제2트레이 한 쪽의 상기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제1, 제2트레이 각각에 설치된 왕복 이동용 캠부(예를 들면, 맞닿음부),
(31) 상기 구동원 기어는 재생 유닛이 제1, 제2트레이 한 쪽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 맞물림 한다.
(32) 상기 래크에는 상기 재생 유닛을 각 트레이의 재생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재생 유닛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에 걸리는 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용 캠 홈(예를 들면, 제1, 제2경사캠)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재생 유닛이 어떤 재생 위치에 있을 때에, 래크의 직선 이동에 따라서 상기 왕복 이동용 캠부를 동작시키고, 비재생축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와 상기 구동원 기어를 감함 또는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동안, 재생 유닛을 재생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33) 상기 승강용 캠 홈은, 재생 유닛을 직선 이동시키는 계합부를 겸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재생 유닛과 계합하는 래크는, 구동 기어를 통해서 구동원에서 구동력을 수취하여, 제1, 제2트레이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직선 이동한다. 래크가 직선 이동하면, 래크에 형성된 승강용 캠 홈이 재생 유닛에 대략 수직 방향의 힘을 미치게 한다. 이로써, 래크의 직선 이동에 따라서, 재생 유닛은 직선 이동의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 예를 들면 하강하여, 한 쪽 트레이에서의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에, 래크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용 캠 홈이, 재생 유닛을 래크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계합부가 된다. 이로써, 재생 유닛은, 래크와 동체적으로 한 쪽 후퇴위치에서 다른 쪽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래크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재차 승강용 캠 홈이 재생 유닛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에 걸리는 분력을 발생시키고, 도달한 다른 쪽 트레이 후퇴 위치에서 그 재생 위치에 재생 유닛을 이동, 예를 들면 상승시킨다.
재생 유닛이 다른 쪽 재생 위치에 도달한 후, 래크가 다시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비재생측 트레이에 설치된 왕복 이동용 캠 홈이 동작하고, 비재생측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와 구동원 기어가 맞물림 하도록, 비재생측 트레이를 왕복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래크에는 비재생측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와 상기 구동원 기어를 맞물림 또는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동안, 재생 유닛을 재생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용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재생 유닛의 재생 위치는 래크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유지된다.
이로써, 비재생측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는 구동원 기어에 의해서 구동되고, 한 쪽 트레이를 재생 상태로 한 채, 비재생측 트레이는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 이로 인해, 비재생측 트레이에서 디스크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재생 유닛의 직선 이동 및 승강과, 제1, 제2트레이의 왕복 이동과의 3종류 동작을, 하나의 구동원에서 래크를 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절환할 수 있다. 또, 래크에서의 승강용 캠 홈 및 유지용 홈의 형상 설치에 의해 3종류 동작의 절환 타이밍을 쉽고 정밀도 있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아래에 도시하는 기재에 의해서 충분히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재생 장치(1)를 탑재한 오디오 장치인 이른바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는 콤팩트디스크(이하, CD라 약칭함)의 같은 광 디스크의 재생 외에,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 및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에 대한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에서 재생 가능한 광 디스크로서, CD 외에, LD(레이저디스크),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CDG(CD그래픽스), 싱글CD, CDV(CD비디오)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의 정면 방향을 A방향, 그 반대 방향을 B방향, B방향을 향해서 오른쪽 방향을 E방향, 왼쪽 방향을 F방향, 연직 위쪽 방향을 G방향, 연직 아래쪽 방향을 H방향, H방향을 향해서 시계 방향을 I방향, 시계 반대 방향을 J방향, E방향을 향해서 시계 방향을 K방향, 시계 반대 방향을 L방향이라 한다.
제2도에 도시한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 정면에는 직사각형의 트레이 수납구(2a,2a)가 E-F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트레이 수납구(2a) 내에는 상기 디스크 재생 장치(1)가 구비하는 제1트레이(3) 및 제2트레이(4)가, E-F방향으로 병렬되게 수납하고 있다. 각 트레이(3,4)는 A-B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도의 상태에서는 제1트레이(3)가 CD(5)를 취출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후에는 각 트레이(3,4)의 A-B방향에서의 이동 위치로서, 각 트레이(3,4)가 트레이 수납구(2a)에서 A방향으로 송출되고 CD교체가 가능해지는 위치를 언로딩 위치, 각 트레이(3,4)가 트레이 수납구(2a) 내에 수납되고 CD로부터 정보의 독취가 가능해지는 위치를 로딩 위치라 하고, 또한 각 트레이(3,4)가 각각의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언로딩 상태, 각 트레이(3,4)가 각각의 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로딩 상태로 호칭하기로 한다.
상기 CD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2)에서는 각 트레이(3,4)에 적재된 합계 2매의 CD를 연속해서 재생할 수 있다. 또,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CD를 재생하면서, 또는 CD의 재생 상태를 유지한 채, 트레이(3,4)의 다른 쪽을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CD를 교체할 수도 있다. CD교체 후, 트레이(3,4)의 다른 쪽을 로딩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연속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재생 중인 CD를 수시로 취출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3도는 상기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외장 부재로서, 베이스대(6)(기대)와 베이스대(6)의 개체로서 배치된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대(6)는 상면이 개구하고, 외형이 대략 박스 형상을 이루고, 각 트레이(3,4)의 A-B방향 이동을 안내 및 규제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각 트레이(3,4)의 A-B방향 이동은, 베이스대(6)와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간극에서 행해진다. 이때,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은, 각 트레이(3,4)에 적재된 CD를 로딩 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과, 각 트레이(3,4)의 A-B방향 이동을 베이스대(6)와 함께 안내 및 규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디스크 누름 받침판(7)에는 각 트레이(3,4)가 로딩 위치에서 장착된 CD의 회전축에 각각 대응해서, 뒤에 상세히 기술하는 디스크 가압부재(28,28)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제1도에 기초해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각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의 구성]
제1트레이(3)는 각판상을 이루고, CD(5)를 적재하는 디스크 적재부(3a)가, CD(5) 두께 정도의 요철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트레이(3)의 E-F방향의 폭은, CD(5)직경에 거의 균등하게 되어 있다. 디스크 적재부(3a)에는 그 중앙부 부근에서 B방향을 걸쳐 트레이 개구부(3b)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개구부(3b)는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이 CD(5)를 회전 구동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광 주사하고, CD(5)에서 기록 정보를 독취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 제1트레이(3) 이면에는 제4도(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F방향 단부에 안내 홈(3c)이 A-B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E방향 단부에 안내 홈(3d)이 A-B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트레이(3)의 F방향측 측면에는 제1트레이(3)가 베이스대(6)에 의해서 지지되고, A-B방향으로 안내되기 위한 가이드 림(3f)(제1도 참조)이, A-B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제1트레이(3)의 E방향측 측면에는 제1트레이(3)가 디스크 누름 받침판(7)에 의해서 지지되기 위한 가이드 림(3g)이, A-B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홈(3d)의 E방향 외부측으로는 치차와 맞물림 하는 래크가, A-B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안내 홈(3d)의 A,B 양방향 단부에는 래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트레이(3)에 형성된 래크를 이하 트레이 래크(3e)라 호칭한다. 이 트레이 래크(3e)와 후술하는 트레이 래크(4e)는, 청구 범위에 기재한 트레이용 래크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트레이(3) 이면에는 상기 안내 홈(3c) 및 안내 홈(3d) 사이의 영역에 안내 홈(8)(제1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8)은, 제1트레이(3)의 A방향 단부에서, 안내 홈(3d)에 인접하고 F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제1안내부(8a)와, 제1안내부(8a)가 B방향으로 방향을 바꿔서, E방향으로 반환하기 위한 원호상의 제2안내부(8b)와, 제2안내부(8b)에서 계속해서 E방향으로 트레이 개구부(3b)를 통과하기까지 연장 설치된 제3안내부로서의 가로홈부(8c)(이동체 안내 홈)와, E방향에 대해 B방향으로 45°경사를 유지해서 안내 홈(3d) 근방까지 형성된 맞닿음부(8d)(왕복 이동용 캠부 또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와, 안내 홈(3d)을 따라서 제1트레이(3)의 B방향 단부 근방까지 연장 설치된 제4안내부(8e)와, 제4안내부(8e)에 계속해서 E방향으로 약간 만곡하는 캠부(8f)로 구성되어 있다.
제1트레이(3)의 구성 설명의 최후로서, 제3안내부로서의 가로홈부(8c)에서의 B방향측 측면의 일부가 H방향으로 연장 돌출하고, 제1도 및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8h)(규제부)으로 되어 있다. 규제편(8h)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2트레이(4)는 제1트레이(3)와는 경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디스크 적재부(3a)에는 디스크 적재부(4a), 트레이 개구부(3b)에는 트레이 개구부(4b), 안내 홈(3c)에는 안내 홈(4c), 안내 홈(3d)에는 안내 홈(4d), 트레이 래크(3e)에는 트레이 래크(4e), 가이드 림(3f)에는 가이드 림(4f), 가이드 림(3g)에는 가이드 림(4g), 안내 홈(8)에는 안내 홈(9)(제2안내홈), 제1안내부(8g)에는 제1안내부(9a), 제2안내부(8b)에는 제2안내부(9b),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8c)에는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이동체 안내 홈), 맞닿음부(8d)에는 맞닿음부(9d)(왕복 이동용 캠부 또는 제2왕복이동용 캠부), 제4안내부(8e)에는 제4안내부(9e), 캠부(8f)에는 캠부(9f), 규제편(8h)에는 규제편(9h)(규제부)이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트레이 래크(3e)와 트레이 래크(4e)가,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래크 부재의 구성]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는 하나의 구동원에서,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의 G-H방향을 따르는 승강, E-F방향을 따르는 이동 및 각 트레이(3,4)의 A-B방향을 따르는 이동의 3동작이 행해진다. 이들 3동작을 1구동원으로 행하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는 부재가, 청구 범위에 기재한 이동체, 래크 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래크 부재(10)이다. 래크 부재(10)는 각 트레이(3,4) 사이를 주로 E-F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다만, 래크 부재(10)의 E-F방향 이동 스트로크 확보와, 디스크 재생 장치(1)의 E-F방향 폭을 소형화하는 것을 양립시키기 위해, 래크 부재(10)는 E-F방향의 직선 궤도와 그 양단의 원호상 궤도를 조합한 타원 궤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래크 부재(10)는 가요성을 지닌 비교적 유연한 재료(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로 E-F방향으로 길다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크 부재(10)의 E-F방향 길이는 병설된 양 트레이(3,4)의 합계 폭을 약간 상회하고 있다. 또, 래크 부재(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 부근을 제외한 래크부(10a)에는 래크의 복수 치열이 래크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즉 G-H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래크부(10a)의 치저와 래크 부재(10) 이면인 이면부(10b) 사이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mm 내지 0.5mm정도로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부(10a)가 내부측이 되는 I방향 또는 J방향으로, 래크 부재(10)를 쉽게 만곡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래크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폭을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향으로는 래크 부재(10)가 만곡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기 이면부(10b)는 제1트레이(3)의 상기 규제편(8h) 및 제2트레이(4)의 상기 규제편(9h)과 맞닿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각 트레이(3,4)의 A방향으로의 이동은, 래크 부재(10)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서 저지된다. 이로써, 각 트레이(3,4)의 로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래크 부재(10)의 길이 방향 양단의 각 위쪽 구석에는 제1계합핀(10c)(제1계합부재) 및 제2계합핀(10d)(제2계합부재)이 각각 G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1계합핀(10c)은, 안내 홈(8)에 감삽되고, 안내 홈(8)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한편, 제2계합핀(10d)은, 안내 홈(9)에 감삽되고, 안내 홈(9) 내를 미끄럼 이동한다. 각 계합핀(10c,10d)은, 각 트레이(3,4)의 로딩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이나, 각 트레이(3,4)의 A-B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한편, 제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부재(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는 제1계합핀(10c) 및 제2계합핀(10d)의 각 아래쪽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약간 절결되어, 절결부(10e,10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10e,10f)의 각 U자형 맞닿음편(10g)과 제2맞닿음편(10h)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10e,10f)와 같은 높이 위치이며, 래크부(10a)의 양단 근방에는 절결부(10e)측으로 도피 구멍(10i)이 형성되고, 절결부(10f)측으로 도피 구멍(10j)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피 구멍(10i,10j)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래크 부재(10) 중앙부에는 대략 V자 형상의 슬릿이, 캠부(11)(이동 캠)로서 형성되어 있다. 캠부(11)는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의 승강, 및 양 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을 주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략 V자 형상의 뾰족한 저부는 래크 부재(10) 중앙부에서 약간 E방향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E-F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수평부(11a)로 되어 있다. 이 수평부(11a)에서 B방향을 향해서 오른쪽 상부에 제1경사캠(11b)이 형성되고, 또한 E방향으로 평행하게 제1캠(11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평부(11a)에서 B방향을 향해서 왼쪽 상부에 제2경사캠(11d)이 형성되고, 또한 F방향으로 평행하게 제2캠(1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캠(11b) 및 제2경사캠(11d)은, 청구 범위에 기재한 승강용 캠부, 계합부 또는 승강용 캠 홈에 대응하고, 제1캠(11c) 및 제2캠(11e)은, 청구 범위에 기재한 도피부 및 유지용 홈에 대응하고 있다.
[베이스대의 구성]
베이스대(6)는 디스크 재생 장치(1)의 각 구성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기대이다. 베이스대(6)는 크게 나누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크 부재(10)의 수납 공간 및 이동 공간과 후술하는 각종 기어의 수납 공간을 A방향측으로 설치한 래크 수납부(12)와,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의 수납 공간 및 이동 공간을 B방향측으로 설치한 재생 유닛 수납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크 수납부(12)에는 E-F방향으로 길다란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의 E-F방향 양단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의 내부측벽을 따라서 얇은 격벽(14)이 형성되고, 요철부 내부측면과 격벽(14)의 간극을 래크 수납홈(15)으로 함으로써, 래크 부재(10) 일부를 원호상으로 만곡시켜서 수납하는 공간 및 이동 공간으로 하고 있다. 또, 격벽(14)의 내부측이 각종 기어의 수납 공간으로 되어 있다.
상기 래크 수납 홈(15)은, 래크 수납부(12)의 B방향측에서 E-F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수납홈(15a), 제1수납홈(15a)의 F방향 단부에서 A방향으로 만곡하는 원호상의 제2수납홈(15b), 제2수납홈(15b)에서 E방향으로 래크 수납부(12) 중앙 부근까지 연장하는 제3수납홈(15c), 제1수납홈(15a)의 E방향 단부에서 A방향으로 만곡하는 원호상의 제4수납홈(15d), 및 제4수납홈(15d)에서 F방향으로 래크 수납부(12) 중앙 부근까지 연장하는 제5수납홈(15e)으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 수납 홈(15)의 윤곽 형상은, 전술한 각 트레이(3,4)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 홈(8) 및 안내 홈(9)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래크 수납 홈(15)의 배치 위치는 각 트레이(3,4)가 로딩 위치에 있을 때의 안내 홈(8) 및 안내 홈(9)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래크 수납부(12) 상면에서의 A방향 단부에는 제1트레이(3)의 안내 홈(3c)에 계합하는 안내부(6a), 제1트레이(3)의 안내 홈(3d)에 계합하는 안내부(6b), 제2트레이(4)의 안내 홈(4c)에 계합하는 안내부(6c), 제2트레이(4)의 안내 홈(4d)에 계합하는 안내부(6d)가 각각 G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래크 수납부(12) 상면에서 상기 안내부(6a)에서 B방향 근처 위치에, 안내부(6a)와 마찬가지로 제1트레이(3)의 안내 홈(3d)에 계합하는 안내부(6e)가 G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안내부(6c)에서 B방향 근처 위치에, 제2트레이(4)의 안내 홈(4d)에 계합하는 안내부(6f)가 G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대(6)의 F방향측 측벽은, 래크 수납부(12) 상면 및 재생 유닛 수납부(13) 상면에서 각각 세워지고, 수직벽(6g) 및 수직벽(6h)으로 되어 있다. 수직벽(6g,6h)에서, 상기 안내부(6a,6e)의 약간 상부측에 각각 위치해서, 제1트레이(3)의 가이드 림(3f) 상면에 맞닿고, 제1트레이(3)의 부상을 규제하는 부상 규제편(6i,6j)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재생 유닛 수납부(13) 상면에서 수직벽(6h)에 인접해서, 제1트레이(3)가 자중에 의해 H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6k)가 G방향으로 융기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대(6)의 E방향측 단부에서, 제2트레이(4)를 위해, 규제편(6i,6j) 및 지지부(6k)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래크 수납부(12) 상면에서의 A방향 단부 및 B방향 단부의 합계 4개소에는 각 트레이(3,4) 저면에 설치한 상기 규제편(8h,9h)을 도피시키기 위한 요철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래크 수납부(12)의 격벽(14) 내 수납 공간에서 상기 안내부(6b,6d) 사이의 중심에서 B방향 근처 위치에, 제5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17)이, 래크 수납부(12)의 저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기어체(16) 상부에는 각 트레이(3,4)의 트레이 래크(3e,4e)에 협지 장착 상태로 맞물림 하는 상부 기어(16a)가 장착되고, 트레이 기어체(16) 하부에는 상부 기어(16a)와 같은 치형으로 같은 잇수를 지닌 하부 기어(16b)가, 구동원 기어로서 장착되어 있다. 상부 기어(16a)와 하부 기어(16b) 사이에는 전달부(16c)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부(16c)는 통상 기어 또는 풀리 등으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예를 들면 모터 등)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기어체(16)를 디스크 재생 장치(1)의 구동원 또는 구동 수단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기어(16a), 하부 기어(16b) 및 전달부(16c)는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기어(16a)와 하부 기어(16b)를 전달부(16c) 위쪽 또는 아래쪽에 일체화하고, 하나의 구동원 기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축(17) B방향측으로는 지지축(18)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어(16b)와 항시 맞물림 하는 구동 기어로서의 래크 구동 기어(19)가 지지축(1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래크 구동 기어(19)는 상부 기어(16a) 및 하부 기어(16b)와 같은 톱니형으로 같은 잇수를 지니고 있다. 다만, 래크 구동 기어(19)는 트레이 기어체(16)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래크 구동 기어(19)는 래크 부재(10)의 래크부(10a)와 맞물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래크부(10a)를 래크 부재(10)의 G-H방향 폭에 걸쳐서 형성하고, 래크부(10a)에 캠부(11)를 형성하고 있으나,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크 구동 기어(19)는 래크부(10a)의 H방향 단부와 맞물림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래크부(10a)의 G-H방향의 형성 폭을 더욱 좁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캠부(11)는 래크부(10a) 외부에 형성되게 되지만, 래크 부재(10)가 동작에는 변함은 없다.
또,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3e,4e)의 맞물림 및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의 맞물림에 있어서, 각각의 톱니 끝끼리가 맞닿는 일이 없도록, 맞물림 타이밍이 서로 조정되어 있다.
다음에, 지지축(17)을 협지하여 대칭적으로, 또한, 제3수납홈(15c) 및 제5수납홈(15e)에 근접해서, 지지축(20a,20b)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지지축(20a)은, 래크 부재(10)의 제1계합핀(10c)이 제3수납홈(15c)을 E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의 종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지지축(20b)은, 래크 부재(10)의 제2계합핀(10d)이 제5수납홈(15e)을 F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의 종점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20a)은 제1절환레버(21)의 회전 중심이며, 지지축(20b)은 마찬가지로 제2절환레버(22)의 회전 중심이다.
제1도 및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환레버(21)는 상기 지지축(20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점 고리(21a)에서 대략 B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는 스위치 맞닿음 아암(21b)과, 지지점 고리(21a)에서 대략 F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는 제1게합 아암[21c]과, 지지점 고리[21a]에서 대략 A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는 제2계합아암(21d)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맞닿음 아암(21b) 선단은, 다시 두 갈래로 나뉘어서, 제1가압부(21b) 및 제2가압부(21b2)로 되어 있다. 제1계합아암(21c) 및 제2계합아암(21d) 선단은, 각각 제3수납홈(15c) 내에 돌출하고, 래크 부재(10)의 제1계합핀(10c)과 맞닿는다. 이로써, 래크 부재(10)의 이동에 연동하고, 제1절환레버(21)가 I방향 또는 J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점 고리(21a) 하부는 다시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한 보스부(21e)로 되어 있고, 스프링(24)이 권취되어 고정되고 있다.
상기 제2절환레버(22)도, 제1절환레버(2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점 고리(22a), 스위치 맞닿음 아암(22b), 제1계합아암(22c), 제2계합아암(22d), 제1가압부(22b), 제2가압부(22b2), 및 보수부(22e)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지지축(20a,20b)의 B방향 근처에는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핀(23a,23b)이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절환레버(21,22) 이면에는 각각 제1계합핀(21f), 제2계합핀(22f)이 H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21e)에 권취되어 고정된 스프링(24)의 두 갈래 각부는 규제 핀(23a)과 제1계합핀(21f)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절환레버(21)가 I방향 또는 J방향으로 회전해도, 스프링(24)의 가압력이, 제1절환레버(21)를 중립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보스부(22e)에 권취되어 고정된 스프링(24)의 가압력이, 제2절환레버(22)를 중립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절환레버(21)는 래크 부재(10)의 이동에 연동해서 회전함으로써, 스위치 맞닿음 아암(21b) 선단이 제1스위치(26)에 맞닿고, 제1스위치(26)를 ON/OFF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스위치(26)는 래크 수납부(12) 저면에 형성된 스위치 구멍(6m)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래크 수납부(12) 이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절환레버(22)에 의해서 ON/OFF되는 제2스위치(27)에 관해서도 제1스위치(26)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26)는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회로 2접점형 스위치이며, 제1절환레버(21)의 제1가압부(21b) 및 제2가압부(21b2) 한 쪽에 의해서 가압된 때 휘어지도록 탄성을 지닌 가동편(26a)과, 제1절환레버(21)의 I방향 회전에 의해 가동편(26a)이 맞닿는 제1접점(26b), 제1절환레버(21)의 J방향 회전에 의해 가동편(26a)이 맞닿는 제2접점(26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스위치(27)에 관해서도, 제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6)와 마찬가지로, 가동편(27a), 제1접점(27b) 및 제2접점(27c)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제1접점(27b)은, 제2절환레버(22)의 J방향 회전에 의해 가동편(27a)이 맞닿고, 제2접점(27c)은, 제2절환레버(22)가 I방향 회전에 의해 가동편(27a)이 맞닿는 점에서, 제1스위치(26)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수납부(12)의 B방향측 수직면에는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의 승강 및 각 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슬릿(25)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슬릿(25)은 제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E-F방향으로 연장된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안내 슬릿(25)은, 제1트레이(3)의 로딩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된 G-H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슬릿(25a)(제1수직안내 슬릿), E-F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슬릿(25c)(수평 안내 슬릿), 제1수직슬릿(25a)과 수평 슬릿(25c)을 극히 짧은 길이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1사행슬릿(25b), 제2트레이(4)의 로딩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된 G-H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슬릿(25e)(제2수직안내 슬릿), 및 제2수직슬릿(25e)과 수평 슬릿(25c)을 극히 짧은 길이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제2사행슬릿(25d)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사행슬릿(25b) 및 제2사행슬릿(25d)은 곡선 상이어도 좋다.
제1수직슬릿(25a) 및 제2수직슬릿(25e)의 길이는 상기 캠부(11)에서의 제1캠(11c) 또는 제2캠(11e)과 수평부(11a)의 고저차와 같게 되어 있다. 또한, 안내 슬릿(25)과 캠부(11)와는 항시, 일부가 연통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대(6)의 B방향측 단면에는 상기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을 나사 등으로 장착하기 위한 부착 시트(6n,6n)가 G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장착에는 제3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수직벽(6h,6h)도 이용된다. 또한, 베이스대(6)의 A방향측 수직벽, 즉 전방면에는 창부(6p)(제1도 참조)가 설치되고, 트레이 기어체(16)를 모터로 구동하지 않아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수리시 등에 있어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임의적인 부품의 동작을 반복시켜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크 누름 받침판의 구성]
디스크 누름 받침판(7)에는 각 트레이(3,4)의 로딩 위치에서 장착된 CD의 회전축에 중심이 각각 일치하도록, 유지 서클(7a,7a)이 형성되어 있다. 단, 유지 서클(7a,7a)은,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두께 중에서 G방향으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술한 디스크 가압 부재(28)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유지 서클(7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유지판(28a), 유지 서클(7a)에 맞물림 되는 고리상의 지지부(28b), 지지부(28b) 내의 요철부에 배치된 고리상의 자석(28c)을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재생 유닛(29)의 턴테이블 위에 적재된 CD(5)에서 기록 정보가 재생될 때, 자석(28c)과 턴테이블 사이에 자성 인력이 작용해서,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이면측으로 배치된 상기 유지판(28a)이 디스크 누름 받침판(7) 이면에서 이탈되고, CD(5)를 턴테이블에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 CD(5) 및 유지판(28a)은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한, 자석(28c)과 턴테이블이, 자성 인력을 미치게 해서 합류되지 않은 위치 관계인 때는 유지판(28a)은 자중으로 H방향으로 하강하고 있으나, A-B방향으로 이동하는 각 트레이(3,4)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이면 중앙에는 H방향으로 길게 나온 리브판(7b)이 A-B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리브판(7b)의 F방향측 측면에는 F방향으로 돌출한 후 G방향으로 곡절된 가이드 부재(7c)가 설치되고, 리브판(7b)의 E방향측 측면에는 E방향으로 돌출한 후 G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 부재(7d)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c,7d)는, 베이스대(6)의 상기 안내부(6a,6b)와 마찬가지로, 그 상단이 각 트레이(3,4)의 안내 홈(3d,4d)에 맞물림 되고, 각 트레이(3,4)의 A-B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제3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판(7b)의 A방향 단부에는 E-F 양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규제 돌기(7e)가, A-B방향으로 이동하는 각 트레이(3,4)의 가이드 림(3g,4g)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부재(7c,7d)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고, 또한 디스크 누름 받침판(7) 이면에서 규제 돌기(7e)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규제 돌기(7f,7g)가 리브판(7b)에서 각각 E방향 및 F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규제 돌기(7f,7g)도 규제 돌기(7e)와 마찬가지로 각 트레이(3,4)의 가이드 림(3g,4g)의 부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 부재(7c,7d)와 규제 돌기(7e) 사이에 위치하는 리브판(7b) 저부는 래크 부재(10)의 상단에서 G방향으로 약간 이탈해서 배치되기 때문에 래크 부재(10)가 G방향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디스크 누름 받침판(7) 이면에서의 B방향 단부 근방에는 H방향으로 길게 나온 규제판(7h)이, E-F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규제판(7h)과 각 유지 서클(7a) 사이이며 규제판(7h) 근방 위치에는 가압 핀(7i,7i)이 디스크 누름 받침판(7) 이면에서 H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규제판(7h) 및 가압핀(7i,7i) 기능에 관해서는 재생 유닛(29)의 구성과 함께 나중에 설명한다.
[재생 유닛의 구성]
전술한 재생 유닛(29)은, 로딩 위치에 있는 각 트레이(3,4)에 적재된 CD(5)를 회전 구동하면서 CD(5)에서 기록 정보를 독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재생 유닛(29)은 로딩 위치에 있는 각 트레이(3,4)에 대해 이격, 접근함과 동시에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핀들 모터(29a)가 샤시(29b) 이면에서의 A방향 단부 근처에 장착되고, 샤시(29b) 표면에 돌출하는 스핀들 모터(29a)의 회전축에, 턴테이블(29c)이 장착되어 있다. CD(5)를 그 반경 방향으로 광 주사하는 광 픽업(29d)은, 스핀들 모터(29a)의 장착 위치와 샤시(29b)의 B방향 단부 사이에서 A-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샤시(29b)에 지지되어 있다.
또, 샤시(29b) 주연부에는 복수의 진동 방지 고무(29e)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진동 방지 고무(29e)를 개재시켜서, 샤시(29b)는 위뚜껑 형상의 홀딩 샤시(30) 이면측으로 나사못(29f) 등을 이용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재생 유닛(29) 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진동 방지 고무(29e)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재생 유닛(29)은 진동을 받기 어려운 부유 상태로 된다. 또한, 일체로 된 재생 유닛(29) 및 홀딩 샤시(30)가, 청구 범위에 기재한 유닛에 대응하고 있다.
홀딩 샤시(30)에는 턴테이블(29c) 및 A-B방향으로 이동하는 광 픽업(29d)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딩 샤시(30)의 E-F방향 폭은 제1트레이(3) 또는 제2트레이(4)의 E-F방향 폭보다 한바퀴 작게 설치되고 홀딩 샤시(30)의 A-B방향 길이는 상기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A-B방향 길이와 같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홀딩 샤시(30)의 A방향 단면이 되는 수직벽에는 계합 핀으로서의 지지 바아(30b)가 A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래크 수납부(12)에 형성된 안내 슬릿(25)을 관통해서, 래크 부재(10)의 캠부(11)에 감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홀딩 샤시(30)의 F방향 단면이 되는 측벽의 A방향 단부에는 규제 핀(30c)이 F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편, 홀딩 샤시(30)의 E방향 단면이 되는 측벽의 A방향 단부에는 규제핀(30d)이 E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래크 수납부(12)와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경계에서의 F방향 모퉁이부에는 재생 유닛(29)이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규제 핀(32c)이 끼워 넣어지는 규제 홈(6q)(제4도(a)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래크 수납부(12)와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경계에서의 E방향 모퉁이부에는 재생 유닛(29)이 제2트레이(4)에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규제 핀(30d)이 끼워 넣어지는 규제 홈(6r)(제4도(a)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즉, 규제 핀(30c)과 규제 홈(6q)의 계합에 의해, 재생 유닛(29)이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재생 유닛(29)의 A-B방향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규제 핀(30d)과 규제 홈(6r)의 계합에 의해, 재생 유닛(29)이 제2트레이(4)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재생 유닛(29)의 A-B방향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재생 유닛(29)의 G-H방향 승강 및 E-F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홀딩 샤시(30) 이면에서의 B방향 단부에는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E-F방향으로 연장하는 유닛 계합 홈(30e)(제1맞물림부)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대(6)의 B방향 단면이 되는 후방벽 내면에는 상기 유닛 계합 홈(30e)과 맞물림 하는 유닛 받침 레일(6s)(제1안내수단)이,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E-F방향의 폭 전체에 걸쳐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유닛 계합 홈(30e)이 유닛 받침 레일(6s) 상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재생 유닛(29)은 E-F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유닛 받침 레일(6s)은, 홀딩 샤시(30)가, 재생 유닛(29)과 일체로 되어 L-K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회동축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홀딩 샤시(30)가 K방향으로 회동하면, 재생 유닛(29)은 제1트레이(3) 또는 제2트레이(4)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강된다. 한편, 홀딩샤시(30)가 L방향으로 회동하면, 재생 유닛(29)은 제1트레이(3) 또는 제2트레이(4)에 접근하도록 상승한다.
재생 유닛(29)의 하강은, 제4도(a) 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수납부(12)와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경계면 하부에 형성된 하강 안내 홈(6t)(제2안내수단)에 의해서 규제된다. 즉, 홀딩 샤시(30)의 A방향 단면이 되는 수직 벽 하단은, H방향으로 길게 나온 계합단(30f)(제2맞물림부)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계합단(30f)이 하강 안내 홈(6t)에 감입함으로써, 재생 유닛(29)의 하강이 규제된다.
또한, 하강 안내 홈(6t)은, 유닛 받침 레일(6s)과 마찬가지로, 재생 유닛 수납부(13)의 E-F방향의 폭 전체에 걸쳐 연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생 유닛(29)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E-F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단, 유닛 받침 레일(6s)과 유닛 계합 홈(30e)의 계합은, 계합단(30f)과 하강 안내 홈(6t)의 계합에 비해 느슨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계합단(30f)과 하강 안내 홈(6t)의 A-B방향 클리어런스는 유닛 받침 레일(6s)과 유닛 계합 홈(30e)의 A-B방향 클리어런스보다 작게 취해지고 있다. 이로써, 유닛 받침 레일(6s)을 회동축으로 하는 홀딩 샤시(30)의 회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29)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E-F방향으로 안내할 때, 재생 유닛(29)이 I-J방향으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재생 유닛(29)의 E-F방향의 이동이 원활하게 또한 신속하게 된다.
다음에, 홀딩 샤시(30) 상면에서의 B방향 단부 근방에는 U자형 절단면을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유지시킨 가압 수단으로서의 설편(이하, 성형 스프링(30g)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재생 유닛(29)이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이 성형 스프링(30g)에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전술한 가압핀(7i)이 맞닿여, H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성형 스프링(30g)의 가압력이 생겨나고, 상기 유닛 계합 홈(30e)이 유닛 받침 레일(6s)에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유닛(29)에 상기 가압핀(7i)을 설치하고 디스크 누름 받침판(7)에 성형 스프링(30g)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전술한 규제판(7h)은, 재생 유닛(29)이 각 트레이(3,4)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었을 때,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샤시(30)의 B방향 단부에 접근하도록 배치된다. 제5도에서는 홀딩 샤시(30)의 B방향 단부를 규제판(7h)과 유닛 받침 레일(6s)에서 협지하고 있는 것처럼 도시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홀딩 샤시(30)의 B방향 단부와 규제판(7h) 사이에는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G-H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홀딩 샤시(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유닛 계합 홈(30e)이 유닛 받침 레일(6s)에서 외부 진동 등에 의해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성 설명의 최후로서, 베이스대(6)의 B방향 단부면이 되는 후방벽에는 상기 유닛 받침 레일(6s)의 하부 쪽으로 위치해서, 재생 유닛(29)의 배선류를 디스크 재생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6u)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u)의 E-F방향의 폭은, 재생 유닛(29)의 E-F방향의 이동 범위와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제1트레이의 재생 가능 상태]
상기 구성에서, 먼저, 제1도, 제4도(a) 내지 제6도에 기초해서, 제1트레이(3)의 재생 가능 상태에 있어서의 각종 부재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트레이(3,4)는 함께 로딩 위치에 있다. 재생 유닛(29)은 턴테이블(29c)이 제1트레이(3)의 트레이 개구부(3b)에서 돌출하는 위치에 있다. 이때, 홀딩 샤시(30)에서 F방향으로 돌출한 규제 핀(30c)이, 베이스대(6)의 규제 홈(6a)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재생 유닛(29)은 A-B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있다.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샤시(30)의 성형 스프링(30g)을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가압 핀(7i)이 H방향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유닛 계합 홈(30e)이 유닛 받침 레일(6s)로부터 부상하는 일은 없다.
또한, 턴테이블(29c)에 적재된 CD(5)는 디스크 가압 부재(28)에 의해서 턴테이블(29c) 상에 흡착 유지되고, 회전 구동되면서 광 픽업(29d)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광 주사된다.
한편, 제4도(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트레이(3,4)가 로딩 위치에 있을 때, 안내 홈(3c,4c)의 각 A방향 단부가 각각 안내부(6a) 및 안내부(6c)에 계지되기 때문에, 각 트레이(3,4)는 로딩 위치에서 다시 B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트레이(3)의 규제편(8h)이 래크 부재(10) 이면부(10)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제1트레이(3)는 A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따라서 제1트레이(3)의 재생 가능 상태에서는 제1트레이(3)가 로딩 위치에 유지된다. 래크 부재(10)의 래크부(10a)와 래크 구동 기어(19)는 맞물리고 있으나, 제1트레이(3)의 측면에 형성된 트레이 래크(3e)가 상부 기어(16a)와는 끼워 맞물리지 않으므로, 트레이 기어체(16)가 회전해도 트레이 래크(3e)에 그 회전이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 제1트레이(3)의 재생 가능 상태에서는 제2트레이(4)의 이면에 형성된 안내 홈(9)에서, 제2계합핀(10d)이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의 F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트레이(4)의 A방향으로의 이동은, 래크 부재(10)의 제2계합핀(10d)에 의해서 저지되고 있다.
다음에, 제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샤시(30)로부터 A방향으로 돌출한 지지 바아(30b)는 래크 부재(10)에 형성된 캠부(11)가 제1캠(11c)에 있어서의 F방향 단부 근방, 및 안내 슬릿(25)의 제1수직슬릿(25a)에 있어서의 G방향 단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재생 유닛(29)이 CD(5)를 회전 구동할 때의 수평한 자세는 지지 바아(30b)와 제1캠(11c)의 계합 및 유닛 계합 홈(30e)과 유닛 받침 레일(6s)의 계합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가 제1수직슬릿(25a)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재생 유닛(29)의 E-F방향 위치 결정이 행해져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부재(10)는 래크 수납부(12)의 래크 수납 홈(15)에 수납되고 이동이 안내되지만, 특히 제1트레이(3)의 재생 가능 상태에서는 래크 부재(10)는 제1수납홈(15a), 제2수납홈(15b), 제3수납홈(15c)에 수납되고 있다.
래크 부재(10)의 제1계합핀(10c)은, 제3수납홈(15c)에 위치하고, 제1절환부재로서의 제1맞닿음편(10g)이, 제1절환레버(21)의 제1계합아암(21c) 선단을 E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제1절환레버(21)를 스프링(24)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I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력이, 제1맞닿음편(10g)과 제1계합아암(21c) 선단과의 맞닿음 위치에서 발생한다. 제1절환레버(21)가 I방향으로 회전하면,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압부(20b1)가 제1스위치(26)의 가동편(26a)을 변위시켜서, 제1접점(26b)에 맞닿게 한다. 가동편(26a)과 제1접점(26b)의 도통에 의해 제1스위치(26)가 ON으로 되면, 제1트레이(3)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가 검출된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를 검출하면, 모터 등의 구동원을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제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위치(27)는 스프링(24)과 제1계합핀(22f) 및 규제 핀(23b)의 계합에 의해, 가동편(27a)이 제1접점(27b), 제2접점(27c) 어느 곳에도 접속하지 않는 OFF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1트레이에서 제2트레이로의 재생 가능 상태의 절환]
다음에, 제4도(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모터 등)에 의해 트레이 기어체(16)를 J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트레이 기어체(16)의 하부 기어(16b)의 J방향 회전에 의해, 래크 구동 기어(19)가 반대 방향인 I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제7도(a) 내지 제7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는 E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제2계합핀(10d)은 제2트레이(4)의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를 E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계합핀(10c)은 제1트레이(3)의 제1안내부(8a)를 F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킨다. 또, 이에 따라서 상기 제1맞닿음편(10g)은 F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맞닿음편(10g)과 제1절환레버(21)의 맞닿음이 해제되고, 제1절환레버(21)는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상태로 복귀한다. 이 결과, 제8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6)가 OFF 상태로 된다. 또한, 제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위치(27)는 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홀딩 샤시(30)의 지지 바아(30b)는 제1캠(11c)을 따라서 그 F방향 단부까지 이동하고 있다. 다만, 제1캠(11c)은, E-F방향으로 평행, 즉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5도와 제7도(c)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 바아(30b)가 제1캠(11c) 내를 이동하는 한, 재생 유닛(29)의 수평 상태, 즉 재생 가능 상태는 유지된다.
제7도(a) 내지 제7도(c)의 상태에서 트레이 기어체(16)를 다시 J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9도(a) 및 제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는 다시 E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하면, 지지 바아(30b)는 제1캠(11c)에서 제1경사캠(11b)으로 이동한다. 지지 바아(30b)는 제1수직슬릿(25a)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제1경사캠(11b)은 제1수직슬릿(25a)과의 협동에 의해 래크 부재(10)의 E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 바아(30b)의 H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제1트레이(3)의 재생 가능 상태에서, 트레이 기어체(16)를 J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래크부(10a)를 E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9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은 H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때, 재생 유닛(29)은 실제로는 유닛 받침 레일(6s)을 회동축으로 해서 K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H방향으로 하강한다. 이에 따라, 성형 스프링(30g)에서 가압핀(7i)이 이간하여, 유닛 받침 레일(6s)과 유닛 계합 홈(30e) 사이에 소정 간극이 발생한다. 그러나, 유닛 계합 홈(30e)의 형성 위치에서, 홀딩 샤시(30)는 규제판(7h)에 의해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유닛 받침 레일(6s)과 유닛 계합 홈(30e)의 계합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9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샤시(30)에서 F방향으로 돌출한 규제 핀(30c)은, 규제 홈(6q)을 따라서 하강한다.
또, 턴테이블(29c)을 흡착하여 CD(5)를 유지하고 있던 디스크 가압 부재(28)는,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유지 서클(7a)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 유닛(29)의 K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디스크 가압 부재(28)와 턴테이블(29c)의 흡착은 해제되고, 턴테이블(29c)은 디스크 가압 부재(28)로부터 이격된다. 이 결과, 턴테이블(29c)은 트레이 개구부(3b)보다 H방향으로 더욱 하강될 때, CD(5)는 턴테이블(29c)에서 벗어나, 디스크 적재부(3a)에 남게 된다.
제10도(a) 내지 제10도(c)는 트레이 기어체(16)가 다시 J방향으로 회전해서, 래크 구동 기어(19)에 의해 래크 부재(10)가 이동이 진행하고, 지지 바아(30b)가 안내 슬릿(25)의 제1사행슬릿(25b)과 맞닿음을 개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는 재생 유닛(29)이 H방향 최하위에 위치하기 직전이며, 또한 하강 중이다. 턴테이블(29c)의 G방향 상부와 제1트레이(3)의 하부(3h)는 A-B방향으로 평행한 동일 평면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지지 바아(30b)가 제1사행슬릿(25b)과 맞닿음을 개시한 시점에서는 홀딩 샤시(30)에서 H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계합단(30f)은, 최하위에서 계합하는 베이스대(6)의 하강 안내 홈(6t)에 끼워 넣음을 시작하고 있다.
트레이 기어체(26)가 다시 J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1경사캠(11b)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제1사행슬릿(25b)을 수평 슬릿(25c)을 향해서 미끄럼 이동시킨다. 제1사행슬릿(25b)은, 제1수직슬릿(25a)에서 수평 슬릿(25c)으로 지지 바아(30b)를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만일, 제1수직슬릿(25a)에서 수평 슬릿(25c)으로 지지 바아(30b)가 이동할 수 없었다고 하면, 지지 바아(30b)가 다음에 제2경사캠(11d)과 맞닿았을 때, 제2경사캠(11d)에 의해서 가압되고, 제1수직슬릿(25a)을 역동작 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역동작은,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위아래를 반대로 한 경우에, 역동작 방향이 재생 유닛(29)에 걸리는 중력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사행슬릿(25b)과 수평 슬릿(25c)을 사행 슬릿 또는 곡면 슬릿으로 접속함으로써, 지지 바아(30b)를 제1수직슬릿(25a) 외부로 유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로써,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위아래를 반대로 해서 조작한 경우라도, 오동작의 발생을 없앨 수 있으며,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조작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디스크 재생 장치(1)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지지 바아(30b)가 제1사행슬릿(25b)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E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므로, 제1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이 E방향, 즉 제2트레이(4)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재생 유닛(29) E방향으로의 이동은, 유닛 계합 홈(30e)에 계합하는 유닛 받침 레일(6s), 및 계합단(30f)이 계합하는 하강 안내 홈(6t)에 의해서 안내된다.
제11도(a) 내지 제11도(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가 다시 E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가 제1경사캠(11b)과의 미끄럼 접촉을 끝내고, 수평부(11a)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사행슬릿(25b)과의 미끄럼 접촉을 종료하여 수평 슬릿(25c)과의 미끄럼 접촉을 개시한다. 이로써, 제12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은 K방향으로의 회동을 완료하여 최하위에 이르고, 턴테이블(29c)과 제1트레이(3)의 하부(3h) 사이에 간극이 생김과 동시에, 계합단(30f)은 하강 안내 홈(6t)에 완전히 끼워 넣어진다. 이 상태가, 재생 유닛(29)의 E-F방향으로의 이동 가능 상태로 된다.
이 때, 유닛 계합 홈(30e)과 유닛 받침 레일(6s)의 계합은, 계합단(30f)과 하강 안내 홈(6t)의 계합에 비해서 느슨하게 되어 있으므로, 재생 유닛(29)의 E-F방향의 이동을, 하강 안내 홈(6t)이 주 안내 부재로서 안내하고, 유닛 받침 레일(6s)은 보조 안내 부재로서 안내한다. 또, 계합단(30f)이 하강 안내 홈(6t)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재생 유닛(29)은 A-B방향이나 I-J방향으로 요동 없이, E-F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레이(4)의 하부(4h)는 제1트레이(3)의 하부(3h)와 같은 형상이며, 턴테이블(29c)의 이동에 지장은 없다. 또, 제1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트레이(4)의 A-B방향 이동은,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에 계합 중인 제2계합핀(10d)에 의해서 지지됨과 동시에, 제2트레이(4)에서 H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규제편(9h)이 래크 부재(10)의 이면부(10b)에 맞닿음으로써도 저지되며, 재생 유닛(29)의 E-F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제2트레이(4)의 로딩 위치가 변동하는 일은 없다.
이어서,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래크부(10a)가 다시 E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2경사캠(11d)에 의해서 E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수평 슬릿(25c)으로 안내되고, E방향으로 제2사행슬릿(25d)에 이르기까지 미끄럼 이동한다. 이 결과, 홀딩 샤시(30)가 하강 안내 홈(6t)과 유닛 받침 레일(6s)에 안내된 상태에서, 재생 유닛(29)은 제2트레이(4)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래크 부재(10)가 제1수납홈(15a)을 통과해서, 제4수납홈(15d)에서 만곡되고, 제5수납홈(15e)으로 돌아 들어감과 동시에, 제2계합핀(10d)이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제2안내부(9b)→제1안내부(9a)를 차례로 미끄럼 이동한다. 이 때, 제1트레이(3)의 규제편(8h)이, 래크 부재(10) 이면부(10b)와 대향하지 않게 되지만, 제1계합핀(10c)이 제3안내부로서의 제1가로홈부(8c)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1트레이(3)의 A-B방향으로의 이동은 여전히 저지되고 있다.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래크부(10a)가 다시 E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2경사캠(11d)에 의해서 E방향으로 가압된 채 제2사행슬릿(25d)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제15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2사행슬릿(25d)을 이동할수록, 수평부(11a)에서 G방향으로 이간되고, 제14도(a) 및 제15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은 G방향으로 약간 상승한다. 이 결과, 계합단(30f)과 하강 안내 홈(6t)의 계합이 해제되기 시작한다.
또, 제14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가 제2사행슬릿(25d)에 맞닿기 시작한 시점에서, 홀딩 샤시(30)에서 E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규제 핀(30d)은 제1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홈(6r) 내에 끼워 맞춰지기 시작한다.
제15도(a) 내지 제15도(c)에 도시한 상태에서, 래크 구동 기어(19)와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가 다시 E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6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2경사캠(11d)에 의해서 G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제2수직 슬릿(25e)에 G방향의 이동이 안내된다. 이 결과, 홀딩 샤시(30)가, 유닛 받침 레일(6s)을 회동축으로 하여 L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재생 유닛(29)도 L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트레이(4)의 개구부(4b)를 향해서 상승한다. 또, 이에 따라, 계합단(30f)과 규제 홈(6r)의 계합이 해제되고, 성형 스프링(30g)이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가압 핀(7i)과의 맞닿음을 개시한다.
한편, 제2트레이(4)의 디스크 적재부(4a)에 적재되어 있던 CD는 턴테이블(29c) 위에 교체 적재되어, 디스크 가압 부재(28)에 맞닿는다. 이로써, 턴테이블(29c)은 자석(28c)에 흡착되기 때문에, CD는 턴테이블(29c) 위에 유지된다.
이어서, 래크부(10a)가 다시 E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7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2경사캠(11d) 최상단에 맞닿고 제2수직슬릿(25e) 최상단에 도달한다. 이로써, 제1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은, L방향으로 다시 회동해서 제2트레이(4)에 대한 최상위까지 상승한다. 이 결과 디스크 가압 부재(28)는 디스크 누름 받침판(7)으로부터 이격되어 재생 유닛(29), CD, 디스크 가압 부재(28)는, 진동 방지 고무(29e)에 의해서 상기한 부유 상태로 된다.
또, 재생 유닛(29)은, 최상위까지 상승했을 때 수평한 재생 가능 자세로 되지만,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이 제1안내부(9a) 도중에 있고, 제2맞닿음편(10h)이 제2절환레버(22)에 도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는 아직 검출되고 있지 않다. 즉, 트레이 기어체(16)는 다시 J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 결과, 지지 바아(30b)는 제3경사캠(11d) 최상단에서 제2캠(11e)에 안내된다.
래크 부재(10)의 이동, 즉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은 제2맞닿음편(10h)이 제2절환레버(22)의 제1계합아암(22c)를 가압하기까지 속행된다. 제1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절환부재로서의 제2맞닿음편(10h)이 제1계합아암(22c) 선단부에 맞닿아서 F방향으로 가압하면, 제2절환레버(22)는 스프링(2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J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스위치 맞닿음 아암(22b)의 제1가압부(22b1)가 제2스위치(27)의 가동편(27a)을 F방향으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제1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편(27a)이 제1접점(27b)에 맞닿는다. 가동편(27a)과 제1접점(27b)의 도통에 의해 제2스위치(27)가 ON으로 되면, 제1스위치(2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트레이(4)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가 제어부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리해서, 제어부가 제1트레이(4)의 재생 가능 상태를 검출하면, 모터 등의 구동원을 정지시키므로, 트레이 기어체(16)의 J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되어, 래크 부재(10)도 제18도(b)에 도시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또한, 제2절환레버(22)를 회전시키기 위해 래크 부재(10)가 F방향으로 이동해도, 제18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F방향으로 평행하게, 즉 수평으로 형성된 제2캠(11e)을 미끄럼 이동하므로 제18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유닛(29)의 수평 자세는 유지되고 있다.
한편, 제1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계합핀(10c)은, 제1트레이(3)의 제3안내부(8c)에서의 E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트레이(3)의 규제편(8h)은 래크 부재(10)의 이면부(10b)에 대항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트레이(3)의 A-B방향의 이동은, 이면부(10b)와 규제편(8h)의 맞닿음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계합핀(10c)과 제3안내부(8c)의 계합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와 같이, 제1트레이(3)에서의 CD의 재생을 제2트레이(4)에서의 CD의 재생으로 절환하고 싶을 때는 트레이 기어체(16)를 J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스위치(26)를 OFF로 하고, 제2스위치(27)의 제1접점(27b)이 ON이 되기까지 모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재생 유닛(29)이 제1트레이(3)에 대응한 재생 가능 상태로부터 제2트레이(4)에 대응한 재생 가능 상태로 절환하므로, 간단하고도 확실하면서 저렴한 절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재생 가능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연주 회로에 의해 스핀들 모터(29a) 및 광 픽업(29d)을 동작시키고, CD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또,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재생중인 CD 연주를 도중에 정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CD 연주가 종료된 것을 기초로 하여 재생 유닛(29)을 각 트레이(3,4)의 다른 쪽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트레이(3,4)의 다른 쪽에 장착 완료된 CD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재생 유닛(29)을 왕복시키고 각 트레이(3,4)에 적재된 CD정보를 교대로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재생중인 CD 연주를 계속시킨 채, 각 트레이(3,4)의 다른 쪽의 CD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2트레이(4)에서의 CD 재생을 제1트레이(3)에서의 CD 재생으로 절환할 때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트레이 기어체(16)를 I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래크 구동 기어(19)가 J방향으로 회전해서, 래크 구동 기어(19)에 맞물리는 래크부(10a)는 F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2스위치(27)가 OFF로 되어, 제1스위치(26)의 제1접점(26b)이 ON이 되기까지, 트레이 기어체(16)를 회전시키려면, 재생 유닛(29)을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각 부의 동작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이 반대 순서로 진행해 가는 데 불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트레이의 개방 동작]
다음에,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CD 정보를 재생 중에, 트레이(3,4)의 다른 쪽을 언로딩 위치로 배출시키는 개방 동작, 및 CD를 교체한 후, 언로딩 위치에서 로딩 위치로 복귀시키는 폐쇄 동작을 행하게 해서, 연속 재생을 행하게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는 트레이(3,4)의 한 쪽에 대응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를 유지한 채, 즉,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CD 재생 중에, 트레이(3,4)의 다른 쪽을 개폐하고, CD의 교체를 행할 수 있다.
제4도(a) 내지 제6도는 이미 설명했듯이, 제1트레이(3)에 대응한 재생 유닛(29)이 재생 가능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를 유지한 채,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 제2트레이(4)를 배출시킬 경우, 먼저, 재생 유닛(29)을 제2트레이(4)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와는 반대로, 트레이 기어체(16)를 I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래크 구동 기어(19)가 I방향으로 회전해서, 래크 구동 기어(19)에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가 F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19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은, 제2트레이(4)의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와 맞닿음부(9d)의 경계에 도달한다. 이 때, 제1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샤시(30)의 지지 바아(30b)는 래크 부재(10)에 E-F방향으로 평행하게, 즉 수평으로 형성된 제1캠(11c)을 E방향 단부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하므로, 재생 유닛(29)의 수평한 재생 가능 자세는 유지된다.
또한, 재생 유닛(29)은, 진동방지 고무(29e)에 의해서 상기 부유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1캠(11c)을 미끄럼 이동할 때 진동이 발생했다 해도, 재생 유닛(29)에는 진동이 전달되기 어렵고, 양호한 재생을 속행할 수 있다.
한편, 제1절환레버(21)의 제1계합아암(21c)을 E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던 제1맞닿음편(10g)은 E방향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제1절환레버(21)는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J방향으로 회전해서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써, 제1스위치(26)는 OFF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래크 구동 기어(19)에 맞물림 하는 래크부(10a)가 F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에 감압된다. 이때, 맞닿음부(9d)에는 제2계합핀(10d)에서 A방향으로 가압하는 분력이 걸리기 때문에, 제20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트레이(4)는 A방향으로 압출된다. 또,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를 제4안내부(9e)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하면, 제20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제1캠(11c)을 E방향 단부를 향해서 다시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재생 유닛(29)은, 지지 바아(30b)가 제1캠(11c)에 위치하고 있는 한, 그 수평한 재생 가능 자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트레이(4)가 A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트레이(4)에 형성된 트레이 래크(4e)가 A방향, 즉 트레이 기어체(16)의 상부 기어(16a)를 향해서 진출한다. 이 결과 제20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래크(4e)의 제1톱니가 상부 기어(16a)에 맞물림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안내 홈(9)의 상기 맞닿음부(9d)는 A-B방향 및 E-F방향에 대해 45°경사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끼리 및 트레이 래크(4e)와 상부 기어(16a)끼리가 맞물린 상태에서, 래크부(10a)는 E-F방향, 트레이 래크(4e)는 A-B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닿음부(9d)는 트레이 래크(4e)의 제1톱니가 상부 기어(16a) 톱니 끝에 올라타지 않는 타이밍을 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0도(a) 및 제20도(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트레이 기어체(16)를 다시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크 구동 기어(19)는 제2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부(10a)를 다시 F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어(16a)가 트레이 래크(4e)을 다시 A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2트레이(4)가 다시 A방향으로 진출한다. 이로써, 제2계합핀(10d)은, 맞닿음부(9d)와 제4안내부(9e)의 경계에 도달하는 한편, 제1계합핀(10c)은 제1안내부(8a)를 E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제1절환레버(21)의 제2계합아암(21d) 근방에 도달한다.
이 시점에서,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이 래크부(10a)에 전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래크 부재(10)는 정지한다.
한편,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는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22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부재(10)가 정지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도,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은, 상부 기어(16a)를 통해서 트레이 래크(4e)에 전달된다. 이로써, 제22도(a) 및 제2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트레이(4)는 다시 A방향으로 진출한다. 이 결과, 제2계합핀(10d)은, 제4안내부(9e)를 상대적으로 B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제2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안내부(9e)와 캠부(9f)의 경계에 도달한다.
또한, 제2트레이(4)의 A-B방향 이동은, 안내 홈(4c)에 계합하는 베이스대(6)의 안내부(6c,6f), 안내 홈(4d)에 계합하는 안내부(6d) 및 디스크 누름 받침판(7)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7d)에 의해서 안내된다. 또, 제2트레이(4)의 G방향으로의 부상은, 베이스대(6)의 규제편(6i,6j) 및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규제 돌기(7e,7f,7g)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디스크 재생 장치(1)를 수평으로부터 경사시킨 상태에서도 그 동작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제22도(a) 내지 제22도(c)에 도시한 상태에서, 트레이 기어체(16)가 더욱 I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기어(16a)가 트레이 래크(4e)를 구동한 결과 제2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은 캠부(9f)에 감입되고, 제2트레이(4)의 B방향 단부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한다. 캠부(9f)는 F방향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제2트레이(4)가 A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캠부(9f)의 E측 내벽이 제2계합핀(10d)을 F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결과, 제1계합핀(10c)이 제1안내부(8a)를 E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맞닿음편(10g)이 제1절환레버(21)의 제2계합아암(21d)에 맞닿고, 제1절환레버(21)를 J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리하여, 제1절환레버(21)가 J방향으로 회전하면, 스위치 맞닿음 아암(21b)의 제2가압부(21b2)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편(26a)을 제2접점(26c)에 맞닿도록 변위시킨다. 가동편(26a)이 제2접점(26c)에 맞닿음으로써, 제1스위치(26)가 ON 상태로 되면, 제어부는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해서, 제2트레이(4)의 개방 동작이 완료했음을 인식한다. 이 인식을 기초로 하여, 제어부는 모터 등의 구동원을 정지시키므로,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이 정지되어, 각 부분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2트레이(4)에 대해 CD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계합핀(10d)이 캠부(9f)의 B방향 단부에 도달했을 때, 제23도(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트레이(4)는 A방향의 최전단 위치까지 진출한다. 또, 제2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 부재(10)에 있어서의 제1맞닿음편(10g) 근방에는 도피 구멍(10i)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절환레버(21)가 J방향으로 회전해도, 제1계합아암(21c)의 선단을 도피 구멍(10i)을 통과해서 A방향으로 도피시킬 수 있다.
제2도는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상태로 되었을 때의 CD(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장치(2)의 외관을 도시하고, 제3도는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상태로 되었을 때의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 트레이(3,4)의 언로딩 상태에서, 각각의 디스크 적재부(3a,4a)에 CD(5)를 적재, 또는 적재되고 있던 CD(5)를 다른 CD로 교체할 수 있다.
[트레이의 폐쇄 동작]
다음에, 제2트레이(4)를 언로딩 위치에서 로딩 위치로 복귀시키는 폐쇄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23도(a) 내지 제23도(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개방 동작과는 반대로 트레이 기어체(16)를 J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5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래크(4e)는 상부 기어(16a)의 J방향 회전에 의해서 B방향으로 복귀하도록 구동된다. 이로써, 제24도(b) 및 제2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은, 캠부(9f)에서 제4안내부(9e)에 이동한다. 이때, 캠부(9f)의 만곡 형상에 의해 제2계합핀(10d)은 E방향으로 복귀된다. 이에 연동해서, 제2계합아암(21d)에 맞닿고 있던 제1맞닿음편(10g)이 F방향으로 복귀되고, 제2계합아암(21d)에서 이격되므로 제1절환레버(21)는 스프링(24)의 가압력에 의해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이 결과, 제1스위치(26)는 OFF 상태로 된다.
또한, 트레이 기어체(16)를 J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6도(a) 및 제26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래크(4e)는 다시 B방향으로 복귀되고, 제2계합핀(10d)은 제4안내부(9e)를 상대적으로 A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해서, 제4안내부(9e)와 맞닿음부(9d)의 경계에 도달한다. 또한, 재생 유닛(29) 및 래크 부재(10)는 제2트레이(4)의 개방 동작 중과 마찬가지로, 제2계합핀(10d)이 제4안내부(9e) 및 캠부(9f)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의 맞물림은 해제되어 있으므로, 제25도(c) 및 제26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2계합핀(10d)이, 제4안내부(9e)와 맞닿음부(9d)의 경계에 도달한 시점에서, 트레이 기어체(16)를 다시 J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을 맞닿음부(9d)를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를 향해서 미끄럼 이동한다. 이로써, 제27도(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트레이(4)는 다시 B방향으로 돌아옴과 동시에, 제2계합핀(10d)은 E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제27도(c)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부(10a)에서의 제2계합핀(10d)측 제1톱니와 래크 구동 기어(19)의 맞물림이 재개된다.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를 미끄럼 이동해서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에 접근하기까지,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의 맞물림이 해제된 다음은, 래크부(10a)가 래크 구동 기어(19)에 의해서 E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를 B방향으로 가압하고, 제2트레이(4)를 B방향으로 다시 퇴행시키게 된다.
이리하여, 제2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에서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에 끼워 넣어지면, 제2트레이(4)는 로딩 위치로 복귀해서, 제2트레이(4)의 폐쇄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를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 제27도(c) 및 제28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바아(30b)는 상대적으로 제1캠(11c)을 F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재생 유닛(29)은 수평한 재생 가능 자세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CD의 재생 동작을 속행시킬 수 있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제2계합핀(10d)이 맞닿음부(9d)를 미끄럼 이동하는 동안, 제1맞닿음편(10g)은, 제1절환레버(21)의 제2계합아암(21d)과 제1계합아암(21c) 사이를 F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제29도(a) 및 제2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위치(27)가 OFF 상태로 되어 있음은 물론, 제1스위치(26)에 있어서도 제1절환레버(21)가 중립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OFF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후, 트레이 기어체(16)를 다시 J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계합핀(10d)이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를 E방향으로 진행하는 한편, 제1계합핀(10c)이 제1안내부(8a)를 F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결과, 제4도(a) 내지 제4도(c)에 기초해서 이미 설명한 상태로 돌아와서, 제1트레이(3)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가, 제1스위치(26)의 ON 상태를 기초로 하여 검출된다. 제1트레이(3)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의 검출을 기초로 하여 제어부는 제2트레이(4)가 로딩 위치로 이동 종료한 것을 인식함과 동시에, 모터 등의 구동원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1트레이(3)에서 CD의 정보를 재생하고, 그 재생 동작을 계속하면서 제2트레이(4)의 CD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트레이(4)에서의 재생 가능 상태(제18도(a) 내지 제18도(c)의 상태)를 속행하면서 제1트레이(3)의 CD를 교체하려면 트레이 기어체(16)를 반대의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은, 디스크 재생 장치(1)의 각 부분이 디스크 누름 받침판(7)의 리브판(7b)을 포함한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작과 동일하게 된다. 단, 제1트레이(3)의 개방 동작 완료는 가동편(27a)과 제2접점(27c)의 맞닿음에 의해서 제2스위치(27)가 ON 상태로 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검출된다.
[각 동작 상태의 검출의 정리]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 및 각 트레이(3,4)의 언로딩/로딩 상태와, 각 스위치(26,27)의 ON 상태와의 관계를 아래에 정리해서 도시한다.
① 제1트레이(3)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 검출(제4도(a)) 제2스위치(26)의 제1접점(26b)이 ON(제6도(a))
② 제2트레이(4)에 대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 검출(제18도(b)) 제2스위치(27)의 제1접점(27b)이 ON(제19도)
③ 제1트레이(3)의 언로딩 상태(제2도) 제2스위치(27)의 제2접점(27c)이 ON(해당 도면 없음)
④ 제2트레이(4)의 언로딩 상태(제23도(a)) 제1스위치(26)의 제2접점(26c)이 ON(제24도)
또한, 상기와 같이, 제어부는 제1트레이(3)의 로딩 상태를 ①에 기초해서 인식하는 한편, 제2트레이(4)의 로딩 상태를 ①에 기초해서 인식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재생 장치(1)에서는 띠형의 래크 부재(10)에 형성한 슬릿상의 캠부(11)와, 베이스대(6)에 U자형으로 형성한 안내 슬릿(25)을 위치 맞춤하고, 그 쌍방에 홀딩 샤시(30)의 지지 바아(30b)를 끼워 넣고 있다. 이로써 각 트레이(3,4) 이면에 형성한 안내 홈(8,9)에 래크 부재(10)를 계합시키고,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래크 부재(10)를 왕복시킬 뿐이며,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던 재생 유닛(29)을 하강시키고 각 트레이(3,4)의 다른 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각 트레이(3,4)의 다른 쪽에서 재생 유닛(29)을 상승시켜서, 재생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래크 부재(10)와 캠부(11)는 성형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안내 슬릿(25)도 베이스대(6)와 일체 성형할 수 있으므로, 트레이 기어체(16)의 회전을 재생 유닛(29)의 수직 이동 및 수평 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특별한 캠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 재생 장치(1)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래크 부재(10)를 가용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대(6)의 래크 수납 홈(15)에 래크 부재(10)의 양 단부를 원호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수납하고, 이동 스트로크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을 그리도록 래크 부재(10)를 기대(6)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재생 유닛(29)을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래크 부재(10)의 이동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베이스대(6)의 폭을 각 트레이(3,4)의 합계 폭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래크 부재(10)가 래크부(10a)를 구동하는 래크 구동 기어(19)에도, 각 트레이(3,4) 측면에 형성한 트레이 래크(3e,4e)에도, 동일한 트레이 기어체(16)에서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게다가, 래크 부재(10)를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 뿐으로, 래크부(10a)와 래크 구동 기어(19)가 맞물림할 때는 트레이 래크(3e,4e)와 트레이 기어체(16)의 상부 기어(16a)와 맞물림이 해제되며, 트레이 래크(3e,4e)와 상부 기어(16a)가 맞물릴 때는 래크부(10a)와 래크 구동 기어(19)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각 트레이(3,4) 이면에 형성한 안내 홈(8,9)의 형상을 연구하고 있다.
이로써, 래크 부재(10)와 각 트레이(3,4)의 각각에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 각각 구동원을 설치했을 때의 구동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어 회로 등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재생 유닛(29)의 수직 이동과 수평 이동의 절환을 캠부(11) 및 안내 슬릿(25)에서의 연속 슬릿의 형상 변화에 의해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회로에 의한 절환 제어에 비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절환을 정확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래크 부재(10)와 래크 구동 기어(19)의 맞물림과, 트레이 래크(3e,4e)와 상부 기어(16a)의 맞물림 절환을 안내 홈(8,9)에 있어서의 연속된 홈 형상 변화에 의해서 행하고 있다. 이로써, 래크 부재(10)가 제1계합핀(10c) 및 제2계합핀(10d)을 안내 홈(8,9)에 의해서 계합시키고, 래크 부재(10)를 각 트레이(3,4)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재생 유닛(29)의 승강, 수평 이동과 각 트레이(3,4)의 개폐 이동을 절환할 수 있다.
또, 래크 부재(10)와 래크 구동 기어(19)가 맞물려 있고, 각 트레이(3,4)의 한 쪽에 대해 재생 유닛(29)이 재생 가능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제1계합핀(10c) 및 제2계합핀(10d)의 한 쪽이, 안내 홈(8,9)의 형상 변화 부분(맞닿음부(8d,9d))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재생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트레이가 실수로 개방 동작을 행하는 일은 없다.
또한, 각 트레이(3,4)의 로딩 위치의 유지는, 래크 부재(10)와 각 트레이(3,4)의 계합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기구를 부가할 필요가 없다.
또, 캠부(11)의 제1경사캠(11b) 및 제2경사캠(11d)이 각각은, 재생 유닛(29)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캠부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제1경사캠(11b) 및 제2경사캠(11d)의 하단부가, 재생 유닛(29)을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계합부로 되어 있다. 이로써, 재생 유닛(29)은 승강용 캠부와 계합부에 연속해서 계합하여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재생 위치-후퇴 위치간 이동과 각 후퇴 위치간 이동의 절환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유닛(29)과 승강용 캠부와의 계합을 재생 유닛(29)과 계합부의 계합으로 이행시키는 것만으로, 재생 위치-후퇴 위치간 이동과 각 후퇴 위치간 이동의 절환을 정확한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래크부(10a) 형성한 래크 부재(10) 자체를, 구동 기어(19)에 의해서 구동함으로써 래크 부재(10)의 구동 기구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래크 부재(10)에 캠부(11)를 형성함으로써 재생 유닛(29)의 이동 기구의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을 래크 부재(10)에 설치하고, 래크 부재(10)와 일체로 이동함으로서, 제1스위치(26) 및 제2스위치(23)의 절환을 행한다. 따라서,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과 래크 부재(10)는 일체 성형되므로,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을 위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래크 부재(10)가 재생 유닛(29)을 재생 위치에 배치하는 동작의 타이밍과,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이 제1스위치(26) 및 제2스위치(27)를 절환하는 타이밍은 래크 부재(10)에서의 맞닿음편(10g,10h)이 배치 설정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심플하고 또한 값싼 구성으로, 재생 유닛(29)의 재생 위치를 검출하는 타이밍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기대(6)의 격벽에 형성된 안내 슬릿(25)을 거쳐서 재생 유닛의 지지 바아(30b)를 캠부(11)에 계합시키고, 캠부(11)에서 지지 바아(30b)에 동작하는 힘에 의해 지지 바아(30b)를 안내 슬릿(25)을 따라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제1수직슬릿(25a), 제2수직슬릿(25e)과 수평 슬릿(25c)은 그 연장 설치 방향이 서로 거의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수직 슬릿(25a,25e) 각각을 제1사행슬릿(25b) 및 제2사행슬릿(25d)을 통해서 수평 슬릿(25c)과 접속함으로써, 안내 슬릿(25)에서의 지지 바아(30b)의 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디스크 재생 장치의 위아래를 반대로 해서 사용했다 해도, 예를 들면 제1수직슬릿(25a)에서 수평 슬릿(25c)으로, 지지 바아(30b)가 이행할 수 없으며, 제1수직슬릿(25a)을 역행할 우려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기대(6)의 격벽에 안내 슬릿(25)을 설치하고 안내 슬릿(25) 중에 사행 슬릿(25b,25d)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 자세에 관계없이 오동작이 없는 조작성이 양호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래크 부재(10)와 계합하는 왕복 이동용 캠부로서의 맞닿음부(8d,9d)를 각 트레이(3,4)에 설치했으므로, 예를 들면 재생 유닛(29)을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배치하는 래크 부재(10)의 이동은, 맞닿음부(9d)의 작용에 의해 제2트레이(4)에서의 언로딩 위치를 향하는 진행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가 맞물림 하므로, 트레이 기어체(16)의 구동력은, 상부 기어(16a)를 통해서 트레이 래크(4e)에 전달되고, 제2트레이(4)는 다시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이 제2트레이(4)에서의 진행 방향으로의 이동은, 맞닿음부(9d)의 작용에 의해 래크 부재(10)의 제1트레이(3)를 향하는 이동으로 변환되므로, 이 결과,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래크 부재(10)는 이동을 정지하므로, 재생 유닛(29)은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의 맞물림은 계속하고 있으므로, 재생 유닛(29)을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유지한 채, 제2트레이(4)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한 쪽 트레이를 재생 상태로 한 채, 다른 쪽 트레이에서 디스크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와는 반대로, 제2트레이(4)가 로딩 위치로 돌아오는 복귀 방향으로의 이동은, 맞닿음부(9d)의 작용에 의해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의 래크 부재(10)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던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가 재차 맞물린다. 이 때, 래크 구동 기어(19)는 트레이 기어체(16)에 의해서 상기와 역방향으로 반전 구동되고 있으므로, 래크 부재(10)는 다시 이동한다. 이 이동이, 맞닿음부(9d) 역할에 의해 제2트레이(4)에서의 복귀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되게 되어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2트레이(4)에 전달되고 있던 트레이 기어체(16)의 구동력은 차단되므로, 제2트레이(4)는 로딩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8d,9d)는 각 트레이(3,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기어(16a)와 트레이 래크(4e)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및 래크 구동 기어(19)와 래크부(10a)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를 위한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트레이 래크와 맞닿음부 래크 부재(10)의 이동을 트레이(3,4) 중 어느 것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전달 기구가 간소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래크 부재(10)의 이동과 트레이(3,4)의 왕복 이동의 절환 타이밍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트레이(3,4)에 형성된 안내 홈(8,9)의 각각은 래크 부재(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안내부(8c,9c)를 이동체 안내홈으로써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래크 부재(10)의 이동은, 한 쪽의 트레이에서 다른 쪽 트레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행해지므로, 제3안내부(8c,9c)는 그와 같은 래크 부재(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 쪽 트레이에서 다른 쪽 트레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3안내부(8c,9c)는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의 각 트레이(3,4)의 왕복 이동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재생 유닛(29)을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배치하도록, 래크 부재(10)가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쪽으로 이동할 때, 최소한 제2계합핀(10d)은 제2트레이(4)의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를 맞닿음부(9d)에 인접하기까지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재생 유닛(29)을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로 이동시키는 동안 및 재생 유닛(29)을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배치했을 때, 제1계합핀(10d)은 제3안내부로서의 제2가로홈부(9c)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2계합핀(10d)이 재생 상태에 없는 제2트레이(4)의 왕복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 재생중인 트레이의 위치 유지를 위한 별도의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저렴한 트레이 래크 기구를 지닌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재생 유닛(29)이 각 트레이(3,4)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래크 부재(10)의 본체에 맞닿아서 각 트레이(3,4)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편(8h,9h)을 각 트레이(3,4)에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재생 유닛(29)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2트레이(4)를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로 두면서, 제1트레이(3)의 재생 상태를 래크 부재(10)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다. 또, 재생 유닛(29)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로, 제2트레이(4)의 재생 상태를 래크 부재(10)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트레이(3,4)의 재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새로이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하고도 저렴한 구성으로 오동작이 없는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기대(6) 상에 설치한 제1스위치(26) 및 제2스위치(27)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맞닿음편(10g) 및 제2맞닿음편(10h)과, 제1계합핀(10c) 및 제2계합핀(10d)을 래크 부재(10)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트레이(3)에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제2계합핀(10d)을 맞닿음부(9d)에 인접시키는 타이밍이나, 제2트레이(4)에서 재생 유닛(29)의 재생 가능 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제1계합핀(10c)을 맞닿음부(8d)에 인접시키는 타이밍을, 래크 부재(10)에서의 제1계합핀(10c) 및 제1맞닿음편(10g)의 배치의 설정, 또는 래크 부재(10)에서의 제2계합핀(10d) 및 제2맞닿음편(10h)의 배치의 설정에 의해서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유닛(29)을 재생 위치에 배치한 후, 비재생 상태의 트레이를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동작 이행을,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트레이(3,4)를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재생 장치(1)는 간단하고도 저렴한 기구로 각 동작의 절환을 정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재생 장치(1)의 코스트 퍼포먼스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항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이며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해서 협의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7)

  1.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위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제1트레이(3)와 제2트레이(4)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체(10)와, 이동체(10)가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이동체(10)와 일체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재생 유닛(29,30)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에 적재된 특정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에서, 그 특정한 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떨어진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 재생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캠(11)과,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가 상기 한 쪽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을 로딩 위치와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6)을 포함하고,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 구동 수단(16)에 의한 왕복 이동은 이동체(10)와의 계합에 의해서 안내되고, 상기 구동 수단(16)은 상기 이동체(10)의 구동원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체(10)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19)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10)에는 구동 기어(19)에 맞물리고 재생 유닛(29,30)의 이동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래크(10a)와 상기 이동 캠(11)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 캠(11)은, 래크(10a)의 이동에 따라서, 재생 유닛(29,30)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을 부여해서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방향으로 동작하게 하는 승강용 캠부(11b,11d) 및 각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는 계합부(11b,11d)를 구비하고, 재생 유닛(29,30)은 래크(10a)의 이동에 따라서, 승강용 캠부(11b,11d) 및 계합부(11b,11d)에 연속해서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방지 수단(29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으며,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으며,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스위치는 상기 기대(6) 위에 설치되고,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와,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스위치(27)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상기 이동체(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 및 제2스위치(27)는 각각 2회로 2접점형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에는 계합 핀(30b)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기대(6)에는 상기 이동체(10)와 재생 유닛(29,30)을 격리하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계합 핀(30b)이 이동체(10)의 이동 캠(11)과 계합하도록 끼워 넣고 또 이동 캠(11)에 의한 계합 핀(30b)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슬릿(25)이 상기 격벽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 슬릿(25)은, 상기 승강용 캠부(11b,11d)에 의한 계합 핀(30b)의 상기 대략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1트레이(3)에 대응해서 안내하는 제1수직안내슬릿(25a)과, 제2트레이(4)에 대응해서 안내하는 제2수직안내슬릿(25e)과, 상기 계합부(11b,11d)에 의한 계합 핀(30b)의 각 후퇴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 슬릿(25c)을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안내슬릿(25a)과 수평 안내 슬릿(25c) 및 제2수직안내슬릿(25e)과 수평 안내 슬릿(25c) 각각이 상기 대략 수직 방향 및 후퇴 위치 사이에서의 쌍방에 대해 사행하는 사행 슬릿(25b,25d)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10) 본체에 맞닿아서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부(8h)가 제1트레이(3)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이동체(10) 본체에 맞닿아서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부(9h)가 제2트레이(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은 상기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구동원 기어(16)를 포함하고, 이 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트레이용 래크(3e,4e)가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구동원 기어(16)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용 래크(3e,4e)는 제1, 제2트레이(3,4)의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가 한 쪽을 향하는 제1방향(F)으로의 이동체(10)의 이동과,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로딩 위치로부터 언로딩 위치를 향하는 진행 방향(A)으로의 이동을 상호 변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방향(F)과는 반대 방향인 제2방향(E)으로의 이동체(10)의 이동과, 제1, 제2트레이(3,4)가 상기 다른 쪽의 언로딩 위치로부터 로딩 위치로 복귀하는 복귀 방향(B)으로의 이동을 상호 변환하는 왕복 이동용 캠부(8d,9d)가 상기 이동체(10)와의 계합 관계를 유지하도록,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재생 유닛(29,30)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 재생 위치로 배치하는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왕복 이동용 캠부(8d,9d)가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의 맞물림과, 상기 구동 기어(19)와 래크(10a)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한편, 제1, 제2트레이(3,4)의 상기 다른 쪽에서의 복귀 방향(B)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구동 기어(19)와 래크(10a)의 맞물림과, 구동원 기어(16)와 상기 다른 쪽 트레이용 래크와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용 래크(3e,4e)는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의 상기 진행 방향(A) 단부 및 복귀 방향(B) 단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래크(10a)는,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 및 제2트레이(4)측 단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구동원 기어(16)는 제1, 제2트레이(3,4)간 간격에서의 진행 방향(A)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에는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제1계합부재(10c)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2트레이(4)측 단부에 제2계합부재(10d)가 설치되고, 제1트레이(3)에는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계합 미끄럼 이동하는 제1안내홈(9)이 형성되고, 제2트레이(4)에는 상기 제2계합 부재(10d)가 계합 미끄럼 이동하는 제2안내 홈(9)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8)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1트레이(3)의 왕복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제1트레이(3)의 트레이용 래크(3e)의 맞물림과,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에서 상기 래크(10a)와 구동 기어(19)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홈(9)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2트레이(4)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제2트레이(4)의 트레이용 래크(4e)의 맞물림과, 상기 이동체(10)의 제2트레이(4)측 단부에서 상기 래크(10a)와 구동 기어(19)의 맞물림 해제를 차례로 행하게 하는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홈(8)은,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를 향하는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가로홈부(8c)와, 제1가로홈부(8c)와 직교하도록 연장 설치된 제1세로홈부(8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는 제1가로홈부(8c) 및 제1세로홈부(8e) 각각에 대해 45°각도를 이루도록, 제1가로홈부(8c)와 제1세로홈부(8e)를 접속하고 있고, 상기 제2안내홈(9)은, 제1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하는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2가로홈부(9c)와, 제2가로홈부(9c)와 직교하도록 연장 설치된 제2세로홈부(9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는 제2가로홈부(9c) 및 제2세로홈부(9e) 각각에 대해 45° 각도를 이루도록 제2가로홈부(9c)와 제2세로홈부(9e)를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의 어느 로딩 위치에서 언로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A)이라 하면, 상기 제1안내홈(8)은, 또한 상기 제1가로홈부(8c)의 제1방향(F) 단부가 제3방향(A)으로 방향을 바꾸고, 제2방향(E)을 향해서 반환하기 위한 원호상의 제1원호홈(8b)과, 제1원호홈(8b)에서 계속해서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안내홈(8a)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안내홈(9)은 또한 상기 제2가로홈부(9c)의 제2방향(E) 단부가 제3방향(A)으로 방향을 바꿔서, 제1방향(F)을 향해서 반환하기 위한 원호상의 제2원호홈(9b)과, 제2원호홈(9b)에서 계속해서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2가이드홈(9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기대(6)에는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이 로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안내홈(8) 및 제2안내홈(9)과 정면으로 마주 대하고, 또한 상기 이동체(10)를 수납하는 래크 수납 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한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10)의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상기 제1안내홈(8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가 상기 이동체(10)의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0)의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상기 제2안내홈(9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2스위치(27)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상기 이동체(10)의 제2트레이(4)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 근방에서 기대(6)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되고, 제1스위치(26)를 OFF로 하는 상태로 가압되어, 상기 제1절환부재(10g)에 의해 가압되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스위치(26)를 ON으로 하는 제1절환레버(21)와, 상기 제2스위치(27) 근방에서 기대(6)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되고, 제2스위치(27)를 OFF로 하는 상태로 가압되어,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스위치(27)를 ON으로 하는 제2절환레버(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26)는 또한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2회로 2접점형 스위치이며, 상기 제1절환레버(21)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에 있음을 상기 제1스위치(26)가 검출할 때 상기 제1절환부재(19g)에 의해 가압되는 제1계합아암(21c)과, 제2트레이(4)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상기 제1스위치(26)가 검출할 때 상기 제1절환부재(19g)에 의해 가압되는 제2계합아암(21d)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27)는 또한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2회로 2접점형 스위치이며, 상기 제2절환레버(22)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에 대해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상기 제2스위치(27)가 검출할 때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는 제1계합아암(22c)과, 제1트레이(3)가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상기 제2스위치(27)가 검출할 때 상기 제2절환부재(10h)에 의해 가압되는 제2계합아암(22d)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에는 제1트레이(3)측 단부에 제1계합부재(10c)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2트레이(4)측 단부에 제2계합부재(10d)가 설치되고, 제1트레이(3)에는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계합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1안내홈(8)이 형성되고, 제2트레이(4)에는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계합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2안내홈(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안내홈(8,9)은, 제1, 제2트레이(3,4) 사이에서의 이동체(10)의 왕복 이동을 제1, 제2트레이(3,4)의 한 쪽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구동원 기어(16)와 트레이용 래크(3e,4e)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를 행하게 하는 제1왕복이동용 캠부(8d),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이동 캠(11)은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제1왕복이동용 캠부(8d)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체(10)가 제2트레이(4)에서 제1트레이(3)를 향해서 이동하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의 제1트레이(3)에서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제1도피부(11c)를 포함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제2왕복이동용 캠부(9d)를 미끄럼 이동하면서 이동체(10)가 제1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해서 이동하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의 제2트레이(4)에서의 재생 위치를 유지하는 제2도피부(11e)를 포함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제2계합부재(10d)가 제2왕복이동용 캠부(9d)에 인접하고,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제1계합부재(10c)가 제1왕복이동용 캠부(8d)에 인접하도록 제1왕복이동용 캠부(8d)가 제1트레이(3)에 배채됨과 동시에, 제2왕복이동용 캠부(9d)가 제2트레이(4)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안내홈(8,9) 각각은, 이동체의 (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체 안내 홈(8c,9c)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트레이(3)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스위치(26)와,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2트레이(4)의 재생 위치에 있고 또 재생 가능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스위치(2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스위치는 상기 기대(6) 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1스위치(26)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1절환부재(10g)와, 상기 이동체(10)의 이동에 따라서 제2스위치(27)의 ON, OFF를 절환하는 제2절환부재(10h)가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계합부재(10c)와 제1절환부재(10g), 제2계합부재(10d)와 제2절환부재(10h) 각각은 이동체(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캠부는 제1트레이(3)에 대해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제1승강용캠부(11b)와, 제2트레이(4)에 대해 재생 유닛(29,30)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제2승강용캠부(11d)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에는 계합 핀(30b)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이동 캠(11)은, 상기 이동체(10)에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합 핀(30b)이 감입하는 슬릿이며, 상기 슬릿의 V자 저부에, 상기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용캠부(11b) 및 제2승강용캠부(11d)는 상기 계합부 양측에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도피부(11c)는 상기 제1승강용캠부(11b)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2도피부(11e)는 상기 제2승강용캠부(11d)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제2트레이(4)로부터 제1트레이(3)를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F), 제1트레이(3)에서 제2트레이(4)를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E)이라 하면, 상기 제1도피부(11c)는 제1방향(F)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도피부(11e)는 제2방향(E)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9)와 구동원 기어(16)는 같은 치형으로 같은 잇수를 지님과 동시에,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6)에는 상기 구동원 기어(16)를 수동 회전시키기 위한 창부(6p)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9.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상에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구동원에 구비된 구동원 기어(16)와, 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19)와, 구동 기어(19)와 맞물리는 동시에 재생 유닛(29,30)에 계합하고 재생 유닛(29,30)을 제1트레이(3)의 후퇴 위치와 제2트레이(4)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시키는 래크(1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는 이 구동원 기어(16)와 맞물리는 트레이용 래크(3e,4e)가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서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 구동원 기어(16)가 제1, 제2트레이(3,4)의 다른 쪽의 트레이용 래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크(10a)와 계합하고, 또한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서 다른 쪽을 향하는 래크(10a)의 직선 이동을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의 상기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왕복이동용 캠부(8d,9d)가 제1, 제2트레이(3,4)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래크(10a)에는 각 트레이에 적재된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와 디스크(5)의 기록면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탈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도록, 재생 유닛(29,30)에 대해 상기 대략 수직 방향에 걸리는 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용 캠 홈(11b,11d)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어느 재생 위치에 있을 때 래크(10a)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왕복 이동용 캠부(8d,9d)를 동작시키고 비재생측 트레이에서의 트레이용 래크와 상기 구동원 기어(16)를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시키는 동안 재생 유닛(29,30)을 재생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용 홈(11c,11e)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용 캠 홈(11b,11d)은, 재생 유닛(29,30)을 직선 이동시키는 계합부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0. 디스크(5)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유닛(29,30)과, 디스크(5)를 취출 가능한 언로딩 위치 및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 가능한 로딩 위치 사이를 각각 왕복 이동하고, 기대(6) 위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제1, 제2트레이(3,4)와, 제1, 제2트레이(3,4) 한 쪽에 적재된 디스크(5)로부터 정보를 독취하는 재생 위치와 디스크(5)의 기록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탈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지지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고, 다시 제1트레이(3)가 후퇴 위치와 제2트레이(4)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생 유닛(29,30)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10)과, 상기 회동 중심의 지지축을 겸해서 기대(6)에 설치되고, 양 후퇴 위치간의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6g)과, 상기 회동단측에서 기대(6)에 설치되고, 양 후퇴 위치간의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6t)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10)은 재생 유닛(29,30)의 회동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맞물림 하는 제1맞물림부(30e)가 재생 유닛(29,30)의 회동 중심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수단(6t)과 맞물림 하는 제2맞물림부(30f)가 재생 유닛(29,30)의 회동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제1맞물림부(30e)의 맞물림 관계는 제2안내수단(6t)과 제2맞물림부(30f)의 맞물림 관계보다 느슨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이 제1, 제2트레이(3,4) 각각의 재생 위치에 있을 때만 재생 유닛(29,30)을 재생 위치에서 후퇴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수단(30g)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를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제2트레이(3,4) 중 어느 것에 적재된 디스크(5)를 재생할 때 디스크(5)를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된 뚜껑(7)을 포함하고, 뚜껑(7) 이면에는 돌기(7i)가 설치되고,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위 뚜껑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홀딩 샤시(30) 상면에는 상면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설편(30g)이 상기 가압 수단으로서 형성되고, 재생 유닛(29,30)이 상기 재생 장치에 배치되면, 설편(30g)이 상기 돌기(7i)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재생 유닛(29,30)의 부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6)에는 상기 재생 유닛(29,30)을 격납함과 동시에, 재생 유닛(29,30)의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수단(6s)은 재생 유닛(29,30)의 이동 범위 전체에 걸치도록 레일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위뚜껑 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맞물림부(30e)는 홀딩 샤시(30) 이면에서,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계합하는 레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 제2트레이(3,4) 어딘가에 적재된 디스크(5)를 재생할 때, 디스크(5)를 유지하는 기구가 설치된 뚜껑(7)을 포함하고, 뚜껑(7) 이면에서의 재생 유닛(29,30)이 회동 중심측에는 제1맞물림부(30e)와 제1안내수단(6s)의 계합 상태를 유지하는 규제편(7h)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수단(6t)은 상기 기대(6)에서 상기 제1안내수단(6s)과 대향하는 벽면에, 재생 유닛(29,30)이 이동 범위 전체에 걸치도록 레일형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닛(29,30)은, 위뚜껑 상의 홀딩 샤시(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맞물림부(30f)는 홀딩 샤시(30) 이면에서 제2안내수단(6t)과 계합하는 레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KR1019950033428A 1995-06-07 1995-09-30 디스크 재생 장치 KR0156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40953A JP3086154B2 (ja) 1995-06-07 1995-06-07 ディスク再生装置
JP95-140953 1995-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36A KR970003036A (ko) 1997-01-28
KR0156305B1 true KR0156305B1 (ko) 1998-12-15

Family

ID=1528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428A KR0156305B1 (ko) 1995-06-07 1995-09-30 디스크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68790A (ko)
EP (1) EP0747899B1 (ko)
JP (1) JP3086154B2 (ko)
KR (1) KR0156305B1 (ko)
CN (1) CN1153203C (ko)
DE (1) DE69525043T2 (ko)
MY (1) MY113763A (ko)
TW (1) TW270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1442U (en) * 1995-09-04 1997-03-21 Asahi Seiko Co Ltd Plate-like article dispensing device
JPH11126401A (ja) * 1997-10-20 1999-05-11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2001052406A (ja) * 1999-08-06 2001-02-23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搬送機構および移動体搬送機構
US20030063898A1 (en) * 2001-10-01 2003-04-03 Sanyo Electric Co., Ltd Disk player and television receiver incorporating same
WO2006038410A1 (ja) 2004-09-30 2006-04-13 Sharp Kabushiki Kaisha 記録再生装置
JP5071128B2 (ja) 2008-01-30 2012-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ディア処理装置
DE102009050909A1 (de) * 2009-10-26 2011-04-28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enwechsler
CN107146634B (zh) * 2017-05-29 2018-05-11 湖南中融汇智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654A (ja) * 1984-09-28 1986-04-24 Toshiba Corp ディ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2523644B2 (ja) 1987-06-05 1996-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装置
EP0330731A3 (en) * 1988-03-04 1991-01-2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 loading disk player
DE68920512T2 (de) * 1988-08-30 1995-08-31 Sanyo Electric Co Plattenspieler.
KR910007430B1 (ko) * 1989-05-31 1991-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투윈 디스크플레이어
JPH0812733B2 (ja) * 1990-07-31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のトイレ機構
JP3017266B2 (ja) * 1990-10-08 2000-03-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KR920009778B1 (ko) * 1990-11-12 1992-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연속 플레이장치
JP3079828B2 (ja) * 1992-11-09 2000-08-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939092B2 (ja) * 1993-06-10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48848B2 (ja) * 1994-08-17 2000-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0200B (en) 1996-02-11
EP0747899B1 (en) 2002-01-16
EP0747899A2 (en) 1996-12-11
DE69525043D1 (de) 2002-02-21
MY113763A (en) 2002-05-31
CN1143243A (zh) 1997-02-19
CN1153203C (zh) 2004-06-09
DE69525043T2 (de) 2002-09-19
KR970003036A (ko) 1997-01-28
JP3086154B2 (ja) 2000-09-11
EP0747899A3 (en) 1998-02-11
JPH08335385A (ja) 1996-12-17
US5668790A (en) 1997-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305B1 (ko) 디스크 재생 장치
JPH11162068A (ja) ディスク装置
US7106663B2 (en)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magnet head ascending/descending mechanism
JP2537694B2 (ja) マガジン収納式ディスクプレ―ヤ
JPH043866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665689B2 (ja)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
JPH0470711B2 (ko)
JPH043867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62714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540381B2 (ja) マガジン収納式ディスクプレ―ヤ
JP2942492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3078219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2679229B2 (ja) 記録再生装置
JP308150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540380B2 (ja) マガジン収納式ディスクプレ―ヤ
JP2670712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24026Y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636964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50010965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KR100267794B1 (ko) 광기록 매체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JP2572303B2 (ja) ディスク選択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JP2942493B2 (ja) ディスク移送装置
JP265471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24030Y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618284B2 (ja) ディスクマガ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