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604B1 -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604B1
KR0154604B1 KR1019950023623A KR19950023623A KR0154604B1 KR 0154604 B1 KR0154604 B1 KR 0154604B1 KR 1019950023623 A KR1019950023623 A KR 1019950023623A KR 19950023623 A KR19950023623 A KR 19950023623A KR 0154604 B1 KR0154604 B1 KR 015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weight
propylene
rubbe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676A (ko
Inventor
다카노부 가와무라
가쓰히코 오노
오사무 고지마
고우이치 하타다
시네이 기마
다카오 노무라
다케요시 니시오
Original Assignee
고토 순기치
칫소 가부시키가이샤
와다 아키히로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0610&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46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8141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85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141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9517B2/ja
Application filed by 고토 순기치, 칫소 가부시키가이샤, 와다 아키히로,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토 순기치
Publication of KR96000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 40 내지 95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및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 (b) 및 (c)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은 사용되는 고무의 분산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탁월한 성형품이 수득되므로, 강성 및 내충격성을 요하는 성형품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a') 프로필렌을 단독중합시켜 제1중합체로서 용융 유량(MFR)이 80 내지 500g/10분이고 MFR과 펜타드(pantad) 아이소택틱 지수(P)와의 관계가
1.00P0.015log MFR+0.945
를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수득한 다음,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전체 중합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의 에틸렌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제1중합체와 중합시켜 수득한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50 내지 80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 및 (d) 활석 1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 (b), (c) 및 (d)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은 고무 성분의 분산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수득한 성형품은 강성 및 내충격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이의 용융물은 유동성이 탁월하므로, 자동차 내장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 고무와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혼합물에 대한 상용화제로서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탁월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유동성이 탁월하고, 강성과 내충격성이 탁월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강성과 고온 강성이 탁월하고 자동차 뿐만 아니라 가정용 전기 용품, 잡화품 및 필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충격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이의 사용범위는 여전히 한정된다.
성형품의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몇몇 기술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한가지 기술은 폴리프로필렌으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기술은 탄성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 고무를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는 것이다. 이들 수지는 자동차 범퍼 및 계기판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품에 주로 사용되며, 필요한 경우, 무기 충전제, 예를 들면, 활석을 수지에 혼입시킨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내충격성이 이들 기술에 의해 개선되었지만. 이러한 개선은 강성과 고온 강성을 저하시키며, 또한 다량의 고무의 혼입에 기인하는 유동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강성, 고온 강성 및 유동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재료 개발에 촛점을 맞추었다.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제안된 몇몇 방법 중에는 중합 이외에도 혼합 동안 결정상 폴리프로필렌에 분산되고 혼입되는 입자크기가 작은 에틸렌/α-올레핀 고무를 감소시켜 고무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여 고무의 첨가량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현재 달성되는 분산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는 통상 약 2 내지 5μm이므로, 고무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이 고려되는 경우에도 통상의 용융-혼련 기술을 사용하여 고무를 1μm이하의 입자 크기로 미세하게 분산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고무의 사용은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고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과 고무 상과의 분리가 성형시 가열하면서 잔류시키는 동안 진행될 수 있으므로 분산 고무 입자를 약 5 내지 10μm로 확대시켜 내충격성 및 인장신도를 상당히 저하시키고 기타 물리적 특성도 저하시킨다.
또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입체 규칙성이 향상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저하된 강성 및 고온 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참조:JP-B 제1-254706호 및 JP-A 제62-187707호) 및 무기 충전제(예:활석)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혼입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JP-B 및 JP-A는 각각 심사된 일본국 특허공보 및 미심사된 일본국 공개특허원을 의미한다). 물론,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부분의 입체 규칙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비중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강성 및 고온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활석을 혼입시키는 기술은 활석이 다량으로 혼입되어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성형 생성물의 비중이 상승되고 중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생성된 조성물 자체의 유동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실시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한편,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백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소화된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혼입시키는 몇몇의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면,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무기 충전제를 생성된 수지 조성물에 혼입시켜 수득한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더우기, 수소화 폴리부타디엔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혼입시켜 수득한 수지 조성물은 JP-B 제59-3729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수호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디블록 공중합체는 JP-B 제62-45883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JP-A 제4-342752호 및 JP-A 제5-132606호는 수소화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혼입시켜 수득한 수지 조성물을 기술한다. JP-A 제1-168743호 및 JP-A 제168744호는 수소화 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혼입시켜 수득한 수지 조성물을 기술한다.
이들 수지 조성물의 백화의 발생 및 내충격성이 둘 다 개선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이의 강성 및 고온 강성이 내충격성 개선의 경우 상당히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안된 이들 수지 조성물의 실제 사용은 연성 성형품 분야로 한정된다.
상기의 기술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강성 및 유동성의 조화가 탁월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성이 탁월하고, 강성 및 내충격성이 탁월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철저하게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결정상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및 연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을 갖는 특정 블록 공중합체가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α-올레핀 고무에 대한 상용화제로서 혼입되는 경우, 내충격성과 강성과의 조화가 탁월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수득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유동성, 강성 및 내충격성이 탁월한 자동차 내장품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특정도의 분자간 입체 규칙성을 갖는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티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고무 및 활석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혼입시켜 수득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사항들에 속한다:
(1) (a)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 40 내지 95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및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b) 및 (c)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2)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a)가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성의 일원인 (1)에서 기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3) 에틸렌/α-올레핀 고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부텐-1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1)에서 기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1)에서 기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5) (a') 프로필렌을 단독중합시켜 제1중합체로서 용융 유량(MFR)이 80 내지 500g/10분이고 MFR과 펜타드(pantad) 아이소택틱 지수(P)와의 관계가
1.00P0.015log MFR+0.945
를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수득한 다음,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전체 중합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의 에틸렌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제1중합체와 중합시켜 수득한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50 내지 80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 및
(d) 활석 1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 (b), (c) 및 (d)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6) 에틸렌/α-올레핀 고무(b)가, 각각 에틸렌 함량이 45중량% 이상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부텐-1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5)에서 기술한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7)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5)에서 기술한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8) 활석(d)이 평균 입자 크기가 2μm 이하이고 크기가 4μm 이상인 입자의 함량이 4중량% 이하인 초미세 활석인 (5)에서 기술한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9) 통상의 온도에서의 굽힘 모듈러스(ASTM 0790)가 2,200MPa 이상이고 열변형 온도(ASTM D648:하중 1.820kPa)가 70℃ 이상이고 통상의 온도에서의 아이조드 내충격 강도(ASTM D256)가 150J/m 이상인 성형품을 제공하고, MFR(ASTM D1238)이 20 이상인, (5)에서 기술한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a)는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결정상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이다.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또는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의 분자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의 용융 유량(MFR; 230℃, 2.16kg 하중)은 0.01 내지 50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 20 내지 200g/10분이다.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a)는 강성 및 고온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조성물 중 이의 함량은 성분(a), (b) 및 (c)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중량%이다. 이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인 경우, 성형품의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저하된다. 이의 함량이 9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품의 내충격성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a')는, 예를 들면, JP-B 제1-254706호 및 JP-A 제62-187707호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즉, 제1단계로서 프로필렌의 중합을 수행하여 용융 유량이 80 내지 500g/10분이고 용융 유량(MFR)과 분자간 입체 규칙성 지수로서의 펜타드 아이소택틱 지수(P)와의 관계가
1.00P0.015log MFR+0.945
를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수득한다. MFR이 높을수록 P의 값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MFR은 80 내지 500g/10분이어야 한다. 후속의 단계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공중합시킨다. 용어 1단계는 중합 작업이 이들 단량체를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급하는 한 작용에 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공중합에 의해 생성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부분의 에틸렌 함량은 모든 공중합체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이다. 위에서 기술한 MFR은 ASTM D1238에 따라 230℃에서 2.16kg의 하중하에서 측정한다. 위에서 기술한 에틸렌 함량은 적외선 흡수 분광법으로 측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펩타드 아이소택틱 지수(P)는 문헌[참조:A. Zambelli et al., Macromolecules, Vol. 6, No. 6, November-December, pp, 925-926(1973)]에 제안된 방법에 따라13C-NMR에 의해 측정한 폴리프로필렌 분자 사슬내의 펜타드 아이소택틱 지수를 의미한다. 즉, 이러한 지수는 아이소택틱 식으로 결합된 5개의 연속적인 프로필렌 단량체 단위의 지수를 의미한다. NMR에 의한 위에서 기술한 시험에서, 피이크의 지정은 문헌[참조:Macromolecules, Vol. 8, No. 5, September-October, pp. 687-689(1975)]에 제안된 방법에 따라 결정한다. 이후 기술되는 실시예에서 수행한 NMR 분석에서, FT-NMR 기를 270MHz에서 사용하고, 27,000회의 측정 결과를 모아 펜타드 아이소택틱 지수의 시그날 검출 한계를 0.001로 개선시킨다. 지수(P)가 0.945 미만인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조성물은, 굽힘 모듈러스 및 내충격성은 향상되지만 강성 및 고온 강성이 낮은 성형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품에 요구되는 목적하는 강성 특성인, 2,200MPa 이상의 굽힘 모듈러스(통상의 온도) 및 70℃ 이상의 열변형 온도(하중, 264Psi)를 만족시킬 수 없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용융 유량은 80 내지 500g/10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g/10분이다. 용융 유량이 80g/10분 미만인 경우, 수득되는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된다. 용융 유량이 50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수득되는 조성물은 내충격성이 상당히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이의 용융 유량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용융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g/10분이다. 10g/10분 미만의 용융 유량은 수득되는 조성물이 자동차 내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경우 불충분한 유동성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150g/10분을 초과하는 용융 유량은 수득되는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조성물 내의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성분(a'), (b), (c) 및 (d)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80중량%이다. 이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저하되는 반면, 이의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부텐-1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고무 및 에틸렌/헥센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부텐-1 고무가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의 분자량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무늬(Mooney) 점도 ML1+4(100℃)는 5 내지 150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의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중량%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는 내충격성 개선 효과를 가지며, 이의 함량은 성분(a), (b) 및 (c) 또는 (a'), (b), (c) 및 (d)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40중량%이다. 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다. 이의 함량이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생성된 조성물의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저하되거나 유동성이 손상되거나 흐름 마크(flow mark)를 갖는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특정 블록 공중합체(c)의 구조는 A-B-A 또는 A-B의 형태이다.
일반식에서, A는 시차 주사 열량계기(DSC)로 측정한 최대 용융 온도 피이크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인 반면, B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이다.
폴리에틸렌 블록 A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용융 온도가 80℃ 미만의 폴리에틸렌 블록은 결정화도가 낮고 상용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단편 B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함량은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특정 블록 공중합체(c)는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a) 또는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a')와 에틸렌/α-올레핀 고무(b)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상용화제로서 작용하고 고무를 입자 크기 1μm 미만으로 미세하게 분산시킨다.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상용성이 비교적 우수한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한 상용화제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α-올레핀 고무와의 상용성에 거의 효과적이지 않다.
조성물에서 특정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성분(a), (b) 및 (c) 또는 성분(a'), (b), (c) 및 (d)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중량%이다. 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상용화제로서의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의 분산에 덜 효과적이므로 내충격성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다. 한편, 이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불유익하게 기소화되고 연화되므로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저하된다.
특정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의 예는 JP-B 제62-458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선택성을 조절하면서 1,2-부탄디엔을 1,4-부탄디엔과 중합시켜 수득한 부타디엔 블록 중합체를 수소화시켜 수득하고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블록을 포함하는 디블록 공중합체; JP-A 제1-16874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부타디엔/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화하여 수득하고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블럭을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 블록 공중합체 및 JP-A 제4-34275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블록,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블록 및 폴리에틸렌 블록을 포함하여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다.
폴리에틸렌 블록 및 에틸렌/부텐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블록을 포함하는 직쇄 디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블록,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블록 및 폴리에틸렌 블록을 포함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석은 성형품의 강성 개선 효과를 갖는다. 수지 조성물에서 활성의 함량이 요구되는 최소량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활석이 조성물에 역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활석은 조성물의 유동성을 손상시키고 조성물의 비중을 증가시켜 성형품의 표면에 흐름마크를 생기게 할 수 있다. 활석의 함량은 조성물 중의 성분(a'), (b), (c) 및 (d)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30중량%이다. 이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은 강성 및 고온 강성이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하므로, 자동차 내장품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특성인 2,200MPa 이상의 굽힘 모듈러스 및 70℃ 이상의 열 변형 온도를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활석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2μm 이하이고 크기가 4μm 이상인 입자의 함량이 4중량% 이하인 초미세 활석이다. 평균 입자 크기가 2μm를 초과하고 크기가 4μm 이상인 입자의 함량이 4중량%를 초과하는 활석 분말의 혼입은 내충격성, 특히 평면 내충격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운모, 탄산칼슘, 황산바륨, 유리 섬유, 황산마그네슘, 티탄 칼륨, 목분, 방염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착색제(안료), 핵생성제, 활주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내후제, 가소제 및 유리 라디칼 생성제를 본 발명의 효과가 사용되는 첨가제에 의해 역으로 영향받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하게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첫번째로, 주어진 양의 필수 성분을 리본 혼합기, 텀블링 혼합기, 헨쉘(Henschel, 상표명) 혼합기 또는 슈퍼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안정화제 및 착색제와 함께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롤 밀, 밴버리 혼합기, 라보플라스토밀,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15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50℃에서 용융 혼련시킨 다음, 펠릿화한다.
이렇게 수득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 여러 가지의 성형 기술,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출, 진공 형성화 및 가압 형상화에 의해 여러 가지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성형 기술중에서, 사출 성형이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할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조성 성분 및 사용되는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조성 성분
(a)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
a-1)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용융 유량, 100g/10분
a-2)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5중량%
용융 유량, 45g/10분
(a')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a'-1)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4.5중량%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MFR, 200g/10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펜타드 아이소택틱
지수(p), 0.985
블록 중합체의 용융 유량, 48g/10분
a'-2)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4.7중량%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MFR, 70g/10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부분의 펜타드 아이소택틱
지수(p), 0.935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 유량, 46g/10분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b-1)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961SP, 제조원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Japan)
에틸렌 함량, 77중량%
무늬 점도 ML1+4(100℃), 63
MFR(230℃, 2.16kg 하중), 0.8g/10분
b-2)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921, 제조원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에틸렌 함량, 50중량%
무늬 점도 ML1+4(100℃), 27
MFR(230℃, 2.16kg 하중), 4.0g/10분
b-3) 에틸렌/부텐-1 고무
2041P, 제조원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에틸렌 함량, 80중량%
MI(190℃, 2.16kg 하중), 3.7g/10분
(c) 특정 블록 공중합체
c-1) 에틸렌-에틸렌/부텐-에틸렌 블록 공중합체(CEBC)
HSB-604, 제조원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구조, A-B-A 형태
MFR(230℃, 2.16kg 하중), 1.5g/10분
단편 A:함량, 30중량%
DSC에 의한 피이크 용융 온도, 97℃
단편 B:함량, 70중량%
c-2)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CEP)
XE103, 제조원 Kuraray, Co., Ltd.(Japan)
구조, A-B 형태
MFR(230℃, 2.16kg 하중), 14g/10분
단편 A:함량, 30중량%
DSC에 의한 피이크 용융 온도, 92℃
단편 B:함량, 70중량%
(d) 활성
d-1) 초미세 활석
LMS300, 제조원 Fuji Talc Industry Co., Ltd.(Japan)
평균 입자 크기, 1.3μm
크기가 4μm 이상인 입자의 함량, 2.5중량%
2) 평가 방법
(1) 용융 유량(g/10분)
수득한 펠렛을(ASTM D1238에 따라) 230℃ 및 하중 2.16kg의 조건하에서 시험하여 유동성을 평가한다.
(2) 굽힘 모듈러스(3-포인트 휩 모듈러스)(MPa)
길이가 130mm이고 폭이 13mm이고 두께가 6.4mm인 시험편을 수득한 펠렛으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키고(ASTM D790에 따라) 23℃의 조건에서 굽힘 모듈러스에 대해 시험하여 강성을 평가한다.
(3) 열 변형온도(℃)
길이가 130℃이고 폭이 13mm이고 두께가 6.4mm인 시험편을 수득한 펠렛으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키고(ASTM D648에 따라:하중 455kPa) 열변형 온도에 대해 시험하여 고온 강성을 평가한다.
(4) 인장 시험(MPa, %)
길이 246mm이고 폭이 19mm이고 두께가 3.2mm인 시험편을 수득한 펠렛으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키고, (ASTM D638에 따라) 23℃의 조건하에서 항복점에서의 인장 강도 및 파단 신도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5) 아이조드 내충격 강도(J/m)
길이가 63.5mm이고 폭이 12.7mm이고 두께가 6.4mm인 시험편을 수득한 펠렛으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킨다. 시험편을 노치시키고(ASTM D256에 따라) 23℃에서 아이조드 내충격 강도를 시험하여 내충격성을 평가한다.
(6) 분산된 고무 입자의 평균 크기(μm)
위에서 기술한 성형시킨 인장 시험편을 24시간 동안 루테늄(RuO4) 증기로 염색하고, 초박편 절단기를 사용하여 다이아몬드 칼로 600 내지 900A의 두께로 절단하여 초박편 필름을 제조한다.
이렇게 수득한 초박편 필름을 5,000 내지 10,000의 배율로 투과형 전자 현미경(JEOL JEM100CX)으로 시험한다. 전자 현미경 사진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분산된 고무 입자의 평균 크기를 측정한다. 시험한 초박편 필름을 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0.1mm의 깊이에 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4]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또는 에틸렌/부텐-1 고무 및 특정 블럭 공중합체를 주어진 양(참조:표 1)으로 가한다. 혼합물을 Henschel(상표명) 혼합기로 3분 동안 교반하고, 이축 압출기 PCM-45(제조원:Ikegai Tekko K.K., Japan)로 용융-혼련시킨 다음, 펠렛화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펠렛의 MFR을 측정한다. 주어진 크기의 시험편을 펠렛으로부터 220℃의 성형 온도 및 30℃의 금형 온도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키고, 평가시험 한다. 수득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내지 11 및 비교 실시예 5 내지 8]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부텐-1 고무 및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주어진(참조:표 2)으로 가한다. 혼합물을 실시예 1 내지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펠렛화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 시험한다. 수득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실시예 1 내지 6)은 다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성형품의 분산된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는 1μm 이하이고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탁월하다. 대조적으로,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분산된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가 2μm 이상이고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특히 내충격성이 불량하고, 파단 인장 신도가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2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4의 조성물은, 내충격성은 향상되었지만 강성 및 고온 강성이 극히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표 2(실시예 7 내지 11)은 다음을 보여준다. 표 1에서의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대신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성형품의 경우에도 분산된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가 1μm 이하이고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탁월하다. 대조적으로,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5 내지 7의 조성물은 표 1에서 나타낸 성형품(비교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분산된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가 2μm 이상이고 강성 및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특히 내충격성이 불량하고 파단 인장 신도가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2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8의 조성물은, 내충격성은 향상되었지만 강성 및 고온 강성이 극히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12 내지 19 및 비교 실시예 9 내지 15]
하기 표 3에 나타낸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또는 에틸렌/부텐-1 고무, 특정 블록 공중합체 및 활석을 각각 표 3에 나타낸 양으로 가한다. 안정화제로서 열안정화제, 중화제 및 분산제를 각각 0.2중량부 가한다. 혼합물을 Henschel(상표명) 혼합기로 3분 동안 교반하고, 이축 압출기 PCM-45(제조원:Ikegai Tekko K.K.)로 200℃에서 용융 혼련시킨 다음, 펠렛화한다. 이렇게 하여 실시예 12 내지 19의 자동차 내장품용 펠렛화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한편, 하기 표 4에 나타낸 각각의 배합에 따라, 실시예 12 내지 1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성분을 혼합하고, 용융 혼련시킨 다음, 펠렛화한다. 이렇게 하여, 비교 실시예 9 내지 15의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한 펠렛화된 조성물 각각에 대한 MFR을 측정한다. 주어진 크기의 시험편을 각각의 펠렛화된 조성물로부터 220℃의 성형 온도 및 30℃의 금형 온도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키고, 평가 시험한다. 수득한 결과는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표 3(실시예 12 내지 19)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유동성이 탁월하고 분산된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가 1μm 이하이며 강성 및 내충격성이 탁월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수득한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내장품에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킨다. 즉, 수지 조성물의 MFR은 20g/10분 이상이고 수지 조성물로부터 수득한 성형품의 굽힘 모듈러스는 통상의 온도에서 2,200MPa 이상이고, 열변형 온도는 70℃ 이상이고, 통상의 온도에서의 아이조드 내충격 강도는 150J/m 이상이다.
대조적으로, 특정 블록 공중합체(c)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9 내지 11의 조성물은 분산된 고무의 평균입자 크기가 2μm 이상이고 강성과 내충격성과의 조화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특히 내충격성이 불량하고 파단 인장 신도가 저하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특정 블록 공중합체(c)를 2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12 및 13의 조성물은, 내충격성은 향상되었지만 강성과 고온 강성이 극히 저하된 성형품은 제공하기 때문에 실시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대신 통상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 실시예 14의 조성물은, 내충격성은 향상되었지만 강성 및 고온 강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활석을 3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15의 조성물은 다량의 활석의 혼입에 기인하여 유동성이 불량하고 파단 인장 신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실시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사용되는 고무의 분산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강성 및 내충격성의 조화가 탁월한 성형품을 이로부터 수득한다. 따라서, 조성물은 강성 및 내충격성을 요하는 성형품 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은 고무성분의 분산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이로부터 수득한 성형품의 강성 및 내충격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은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낸다. 그 결과,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내장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을 특정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a)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 40 내지 95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및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 (b) 및 (c)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결정상 프로필렌 중합체(a)가 결정상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부텐-1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블록 단편 B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5. (a') 프로필렌을 단독중합시켜 제1중합체로서 용융 유량(MFR)이 80 내지 500g/10분이고 MFR과 펜타드(pantad) 아이소택틱 지수(P)와의 관계가
    1.00P0.015log MFR+0.945
    를 만족시키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수득한 다음,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전체 중합체 양을 기준으로 하여 10중량% 이하의 에틸렌 함량을 제공하는 양으로 제1중합체와 중합시켜 수득한 고도의 결정상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50 내지 80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5 내지 40중량%, (c) 시차 주사 열량계기로 측정한 용융 온도가 80 내지 120℃인 폴리에틸렌 블록 단편 A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를 함유하는 특정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20중량% 및 (d) 활석 1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성분(a'), (b), (c) 및 (d)의 전체 함량이 100중량%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b)가, 각각 에틸렌 함량이 47중량% 이상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에틸렌/부텐-1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블록 단편 B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일원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활석(d)이, 평균 입자 크기가 2μm 이하이고, 크기가 4μm 이상인 입자의 함량이 4중량% 이하인 초미세 활석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통상의 온도에서의 굽힘 모듈러스(ASTM D790)가 2,200MPa 이상이고 열변형온도(ASTM D648; 하중 1,820kPa)가 70℃ 이상이고 통상의 온도에서의 아이조드 내충격 강도(ASTM D256)가 150J/m 이상인 성형품을 제공하고, MFR(ASTM D1238)이 20 이상인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KR1019950023623A 1994-08-02 1995-08-01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KR0154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1418 1994-08-02
JP18141894A JP3238575B2 (ja) 1994-08-02 1994-08-02 自動車内装用樹脂組成物
JP18141794A JP3729517B2 (ja) 1994-08-02 1994-08-02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94-181417 1994-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676A KR960007676A (ko) 1996-03-22
KR0154604B1 true KR0154604B1 (ko) 1998-12-01

Family

ID=2650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623A KR0154604B1 (ko) 1994-08-02 1995-08-01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8083A (ko)
EP (1) EP0695781B1 (ko)
KR (1) KR0154604B1 (ko)
CN (2) CN1085996C (ko)
AU (1) AU686398B2 (ko)
CA (1) CA2154645C (ko)
DE (1) DE69513237T2 (ko)
TW (1) TW4026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003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저선팽창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9050B4 (de) * 1995-07-21 2009-05-07 Toyoda Gosei Co., Ltd. Polyolefin-Elastomer-Zusammensetzung
JP3401386B2 (ja) * 1996-04-26 2003-04-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の組成物を含む自動車用ピラー成形体
JP3492847B2 (ja) * 1996-04-26 2004-02-0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製自動車内装用部品
DE19717574C2 (de) * 1996-04-26 2003-08-07 Nissan Motor Harzzusammensetzung auf Polyolefinbasis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ormkörper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3347958B2 (ja) * 1996-11-26 2002-11-20 日本ポリケム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WO1998031744A1 (en) * 1997-01-21 1998-07-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Impact polypropylene composition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and stiffness
AT408229B (de) * 1997-02-11 2001-09-25 Borealis Ag Verwendung von thermoplastischen elastomeren zur verbesserung der stabilität von polyolefinen gegenüber ionisierender strahlung
WO1998046680A1 (fr) * 1997-04-16 1998-10-22 Chisso Corporation Composition de resine polyolefine
TW473489B (en) * 1997-05-26 2002-01-21 Chisso Corp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US6040374A (en) * 1997-08-07 2000-03-21 Japan Polychem Corporatio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same
DE69917733T2 (de) 1998-10-28 2005-07-21 Bridgestone Corp. Regenerierter Kautschuk und Verfahren zum Regenerieren von vulkanisiertem Kautschuk
US6639020B1 (en) * 1999-09-03 2003-10-28 Exxon 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propylene thermoplastics
US8106122B2 (en) * 2005-03-29 2012-01-31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ve use and laminate thereof
CN101759929B (zh) * 2008-12-19 2012-01-18 上海日之升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高透明高流动增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EP2391677B1 (en) * 2009-01-30 2016-09-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ic compositions and filled tpo articles having improved aesthetics
EP2649878A1 (en) 2010-04-14 2013-10-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s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agents in polymeric films
US9283735B2 (en) 2010-04-14 2016-03-15 Avery Dennison Corporation Low noise flexible barrier films
CN106364103B (zh) * 2011-06-30 2019-08-02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一体化背部片材和封装性能且包括包含结晶嵌段共聚物复合物或嵌段共聚物复合物的层的基于聚烯烃的多层膜
MY162978A (en) 2011-06-30 2017-07-3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ed polyolefin-based films having a layer comprising a crystalline block copolymer composite or a block copolymer composite resin
WO2013036312A1 (en) 2011-08-19 2013-03-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Blends of ethylene copolymers and propylene based plastomers in multilayer films for low noise and rf welding
EP2918408A1 (en) 2011-12-22 2015-09-16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exible Barrier Films Containing Cyclic Olefins
US10807757B2 (en) 2013-04-26 2020-10-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bels onto a substrate
KR102519282B1 (ko) 2013-10-15 2023-04-10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혼화성 폴리올레핀 블렌드
US9449535B2 (en) 2013-10-21 2016-09-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dispensing low-stiffness labels
EP3333222A1 (en) * 2016-12-12 2018-06-1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mposition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KR101943224B1 (ko) * 2017-12-12 2019-01-28 한화토탈 주식회사 이종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전선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1987575B1 (ko) * 2018-01-12 2019-06-10 한화토탈 주식회사 내백화 특성을 갖는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2703224B (zh) * 2018-09-21 2023-11-03 凸版印刷株式会社 疏液层形成用树脂组合物、以及使用了其的疏液性膜、疏液性层叠体、包装材料及容器
CN109517278B (zh) * 2018-11-27 2021-07-0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952A (en) * 1979-08-20 1980-10-07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 blends of alpha-olefin polymers and hydrogenated medium and high vinyl butadiene polymers
US4237245A (en) * 1979-08-20 1980-12-02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of butadiene containing a block of 1,4 and a block of 1,2-microstructure
JPS5937294A (ja) * 1982-08-27 1984-02-29 Hitachi Ltd 液体金属用ポンプ
DE3529418C1 (en) * 1985-08-16 1987-04-23 Mayer Fa Karl Blind web of a slatted bli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2553117B2 (ja) * 1987-12-24 1996-11-13 株式会社クラレ エチレ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93900B2 (ja) * 1987-12-24 1997-03-26 株式会社クラレ 樹脂組成物
JP2618735B2 (ja) * 1990-04-27 1997-06-11 豊田合成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843120B2 (ja) * 1990-06-27 1999-01-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バンパー用樹脂組成物
US5173536A (en) * 1990-12-11 1992-12-22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Impact polymer blend
JPH04342752A (ja) * 1991-05-17 1992-11-3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医療器具用成形材料
JPH04372637A (ja) * 1991-06-21 1992-12-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CA2077033A1 (en) * 1991-08-30 1993-03-01 Ikunori Sakai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2988080B2 (ja) * 1991-11-13 1999-12-06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3219306B2 (ja) * 1992-06-04 2001-10-15 東燃化学株式会社 塗装性に優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003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저선팽창 폴리올레핀계 복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86398B2 (en) 1998-02-05
CA2154645C (en) 2000-04-25
CN1085996C (zh) 2002-06-05
CN1306035A (zh) 2001-08-01
KR960007676A (ko) 1996-03-22
TW402621B (en) 2000-08-21
DE69513237T2 (de) 2000-04-13
EP0695781A1 (en) 1996-02-07
AU2724995A (en) 1996-02-15
EP0695781B1 (en) 1999-11-10
DE69513237D1 (de) 1999-12-16
CN1121093A (zh) 1996-04-24
US5708083A (en) 1998-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604B1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장품용 수지 조성물
US5001182A (en) Resin composition for automobile bumper
EP113005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object thereof
CN109867900B (zh) 用于未涂覆的防震垫的聚丙烯树脂组合物
KR20000029586A (ko) 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및자동차내부트림부품
JP488152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69960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52138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用材料
JPH0715762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678338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3238575B2 (ja) 自動車内装用樹脂組成物
JP3189477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品
JPH0715762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729517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820690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複合組成物
JP3338247B2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3196547B2 (ja) ポリプロピレン複合組成物
JPH0629904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6896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240070175A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333100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450779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JPH0828352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334895B2 (ko)
JP200414341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