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35B1 -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35B1
KR0152135B1 KR1019940700379A KR19940700379A KR0152135B1 KR 0152135 B1 KR0152135 B1 KR 0152135B1 KR 1019940700379 A KR1019940700379 A KR 1019940700379A KR 19940700379 A KR19940700379 A KR 19940700379A KR 0152135 B1 KR0152135 B1 KR 015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ipc
terminal device
clamp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베크 베른하르트
엠메리흐 헤르베르트
콜러 스테판
메브스 한스-페터
Original Assignee
알베크; 괴딕케
보슬로 쉬바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0551&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21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베크; 괴딕케, 보슬로 쉬바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알베크; 괴딕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절연재료로된 하우징(1)에 위치된 IDC 접점(16)을 구비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는 IDC 접점의 삽입 슬릿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상에서 컨덕터용으로 삽입 슬릿쪽으로 개방한 슬릿형이나 홉형 만입부(21)을 하우징이 갖도록 특히 자동 배선에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만입부의 칫수는, IDC 접점에 근접 위치되고 IDC 접점에 접속된 라인(24)의 자유 단부(27)가 충격 위험 보호법으로 만입부에 수납되도록 선택된다.

Description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단자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4도의 전선(Ⅲ-Ⅲ)을 따라 취한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측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전선 도입 영역을 다른 축척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도에 대응하는 상세 단면도이다.
제6도는 및 제7도는 각각 제5도의 전선(Ⅵ-Ⅵ, Ⅶ-Ⅶ)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9도는 고정 엣지가 제공된 IPC 접촉부를 구비한 제1도의 클램프 단자로서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1도의 두개의 클램프 단자를 구비한 전기 형광 램프 초크(choke)의 사시도이다.
제11도는 관련된 리테이너(retainer)를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단자 장치를 구비한 캐패시터의 사시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클램프 단자 장치를 구비한 로드형(rod-like) 가스 배출 램프용 램프 기초부의 사시도이다.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두개의 연속 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의 클램프 단자의 접속을 도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개략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제1도의 접속된 클램프 단자를 도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4도와, 제1도의 접촉된 클램프 단자에 대응하는 평면도로서, 접촉된 절연 전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클램프 단자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1)을 가지며, 장방형의 상기 하우징(1)은 편평 바닥면의 부근에 배치된 연속 종방향 슬릿(3) 형태의 체결 또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성형 기초부(2)상에 배치된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클램프 단자는 예컨대 전기 형광 램프 초크(electrical fluorescent lamp choke)(5)의 기초판(4)상에 그 바닥면이 위치되며, 태브(6)에 의해 기초판에 부착되고 기초판 밖으로 노치아웃되어 상향 만곡되며, 종방향 슬릿(3)을 통해 돌출한다.
상부에서 전선 도입측 쪽으로 개방되는 하우징(1)의 두 측벽(7)은 그 내부에 두개의 대향 리브(rib)(8)를 가지며, 이들 리브(8)는 하우징(1)의 두 단부측부(9)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고 이 리브 사이에는 도입 슬릿(10)이, 상부에서 도입 경사부(11)에 의해 넓어지는 쐐기 형상 또는 평행측부 형태로 형성된다. 두개의 대향하는 좁은 홈(13, 제5도)이 아래로부터 리브(8)내로 도입 경사부(11)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 청동으로 제조된 IPC 접촉부(16)의(엣지에서 개방되는 IPC 슬릿(14)을 형성하는) 두개의 레그(15)를 수용한다.
작은 판형상이고 IPC 슬릿(14)의 영역에서는 U자형인 좁은 IPC 접촉부(16)는, 레그(15)에 형성된 절단 세그먼트를 제외하고 모든 측부에서 하우징(1)의 절연재료에 매입되어 IPC 슬릿(14)을 향하며, 그 양 레그(15)는 홈(13)내에서 제한된 만큼 이동 안내된다. 두개의 레그(15)와 인접하는 그 비슬릿 영역에서, IPC 접촉부는 17(제3도)에 적절하게 형성되어 기초부(2)의 홈내로 도입되며, 이 홈에서 역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초크(5)의 전기 권선체는 전도체(19)를 경유하여 접속되는데, 이는 초크(choke)(5)의 상부에서 절연성 재질의 성형부(20)에 수납되고 그 타단부에서는 IPC 접촉부(16)에 전기 전도적으로 접속된다. IPC 슬릿(14)과 함께, IPC 접촉부(16)는 클램프 단자의 접속 영역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슬릿(10)에 인접하고 리브(8)의 양 측면상에 있는 하우징(1)은 하나의 홈형 만입부(21)를 가지며, 이 만입부의 장방형 또는 약간의 쐐기형 수렴 단면을 갖고 도입 슬릿(10)에 이웃하여 하우징(1)의 도입측으로 개방된다. 도입 슬릿(10)을 갖는 두개의 홈형 만입부(21)가 상호 정렬하여 위치되며, 마찬가지로 도입 경사부(22)에 의해 상부쪽으로 형성된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홈형 만입부(21)의 깊이가 도입 슬릿(10)이 깊이보다 크고, 만입부의 폭(23)이 도입 슬릿(10)의 폭보다 실제로 크다는 것을 도시했다.
각 부분의 칫수는, 제16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도입 슬릿(10)을 통해 가압끼워진 절연 전선(24)을 위해 절연체(25)가 IPC 접촉부(16)의 레그(15)에 의해 IPC 슬릿(14)에 절단 개방되고, 동시에 클램프 포인트(clamp point)에서 변형되는 금속 전도체(26)와 IPC 접촉부(16) 사이에서 기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선택된다. 가압끼워진 전선(24)은 두개의 리브(8) 사이에서 절연체(25)에 의해 도입 슬릿(10)에 단단히 클램핑되며, 도면부호 12에서의 확장부(제6도)는 도입슬릿(10)내로 가압끼워질 때 그 절연체(25)에서 멈춤쇠(detent) 형태로 로킹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고정되어 접속된 전선(24)은 홈형 만입부(21)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고, 그 클리핑된 단부(27)는 제14도 내지 제16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홈형 만입부(21)에 위치된다.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깊이 및 그 축방향 길이는 전선(24)의 클리핑된 단부에 대해 접촉보호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치수 형성된다. 이는 충격위험 방지를 위한 테스트에서 표준 감지 프롱(prong)이 관련 홈형 만입부(21)의 깊이에서 전선(24) 단부(27)의 벗겨지고 클리핑된 절단면까지 관통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속제 IPC 접촉부(16) 자체는 절연성 재질 하우징(12)의 홈(13)에 있는 그 레그(15)에 의해 외부쪽으로 완전히 보호된다. 이는 도입 슬릿(10)의 영역에서도 확실하게 충격위험이 방지되는 깊이로 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하우징(1)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정렬되는 두개의 홈형 만입부(21)가 도입 슬릿(10)의 어느 한 측면에 제공되며, 그 폭(23) 및 깊이는 수용될 전선(24)의 직경보다 크다. 전선(24)이 단지 접촉 영역을 통해 연속으로 놓여 있는 상태라면, 특별히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는 홈형 만입부(21) 중 하나를 생략할 수도 있다. 각 경우에, 두개의 홈형 만입부(21)도 생략될 수 있다.
제8도는 하우징(1)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는, 단 하나의 홈형 만입부(21)가 존재하는데, 이는 도입 슬릿(10)이 개재되는 한쌍의 리브(8)에 의해 하우징(1a) 내에서 양 측면에 형성되므로 챔버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들 리브 쌍(8)은 각각 하우징(1a)에 측벽(9a)을 갖고 단부에서는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 도입 슬릿(10)에 의해 홈형 만입부(21)의 종방향 축과 정렬된다.
제8도의 두개의 도입 슬릿(10)의 영역에서는, 홈(13)이 대응하는 리브(8)쌍 각각에 형성되며, 이 홈에서 두개의 IPC 접촉부(16)의 레그(1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멀리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레그(15)쌍 각각은 관련 도입 슬릿(10)과 정렬되는 IPC 슬릿(14)을 형성한다. 제8도의 실시예는 접속 영역에서 접속된 전도체를 즉시 클립 오프(clip off) 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IPC 접촉부(16)는 예컨대 제16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가압끼워진 전도체(26)와의 접속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선(24)이 접촉 지역에서 클립 오프되면 이는 이하에서 제13도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듯이 그 자체 공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우징(1, 1a)에는 IPC 슬릿(10)에 가압끼워지는 전선(24)용의 적어도 하나의 클리퍼 엣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끼워짐과 동시에 전선은 클립 오프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우징내로 도입된 IPC 접촉부(160)는 제한적으로 펼쳐지도록 두개의 탄성 금속 레그(150)에 의해 다시 두 개의 홈(13)에 지지된다. 그러나, 레그(150)의 양 측면에서, IPC 접촉부(160)는 그 U자로 구부러진 성형 레그 부분(29)에, 레그(150)로부터 횡방향으로 도입 슬릿(10)까지 약간 측방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두개의 상부 지시 클리퍼 엣지(upper-pointing clipper edge)(28)를 가지고 있다. 클리퍼 엣지(28)는, 도입 슬릿(10)을 통해 위로부터 가압끼워진 전선(24)이 IPC 슬릿(14)에서 그 전도체(26)가 접촉된 후에 최종적으로 하나의 클리퍼 엣지(28)상으로 하향 가압되어 그곳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도입 슬릿(10)의 바닥(30) 위 일정 거리에 위치된다.
제9도에서, 두개의 클리퍼 엣지는 리브(8)의 내부에 위치되며, 그로 인해 전선(24)의 절단면은 여전히 도입 슬릿(10)의 측방 경계의 내부에 잔류된다. 원칙적으로는 클리퍼 엣지(28)를 레그(150)로부터 측방으로 약간 멀리 이동시킬 수 있고, 단 하나의 클리퍼 엣지(8)를 IPC 접촉부(160)와 연관시킬 수도 있다.
제1도 내지 9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클램프 단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배선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 설비, 스위치 요소 및 장치 시스템을 구비한 독립적인 클램프 단자로서 연관될 수 있다. 그 예가 제3도 및 제10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두개의 클램프는 전술한 방식으로 가스 배출 램프의 자기 초크(5)의 기초판상에 그 하우징(1)과 함께 위치된다.
또한 클램프 단자는, 제1도에 도시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의 기초부(33)상에 단일 크램프 단자(32)와 함께 조인트로 배치되는 이중 클램프 단자의 형태로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클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캐패시터(capacitor)(34)는 절연성 재질의 기초부(33)에 고정되며,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IPC 접촉부 또는 이중 클램프 단자(31)에 전기 접속된다. 상기 이중 클램프 단자(31)는, 두 개의 클램프 단자가 조합되어 하나의 유니트를 만들고 그 두개의 하우징(1b)은 홈형 만입부(21)의 깊이를 지나 다소 연장되는 슬릿(34)에 의해 상호 분리되며 이들 하우징은 그 단면이 제3도와 동등한 공통의 성형된 연속 기초판(2b)에 착좌(seat)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도 내지 제7도와 연관하여 기술된 클램핑 단자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접속될 전기 장치 또는 전기 장치 시스템에 따라, 클램프 단자 장치는 이 장치 또는 장치 시스템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그 한 예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다. 봉형 가스 배출 램프용 램프 소켓(35)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따라 기본적으로 설계된 두 개의 클램핑 단자의 두 하우징(12)이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 플라스틱 체결 다리(formed-on plastic fastening foot)(36)를 갖는다.
두개의 클램프 단자 장치의 홈형 만입부(21)의 축은 램프 소켓(35)내로 도입될 가스 배출 램프의 종방향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그 기본 구조는 제1도 내지 제7도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새로운 클램프 단자 장치는 특히 자동 직접 배선(automatic direct wiring)을 위한 자동화에 적합하게 설계된 것이다. 이것은 제13도 및 제14도와 관련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자동 직접 배선에서, 도면부호 37로 개략적으로만 도시한 배선 공구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프로그램 제어되는 산업 로봇에 의해, 배선될 미리조립된 전기 장치 위의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이들 경로는 배선 코스와 일치하며 전자 부품의 다양한 단자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들 단자의 각각은 제1도에 도시한 형태와 비슷한 클램프 단자 장치를 가지며, 제13도와 제14도에서는 제5도에 대응하여 하우징(1)의 상부에 의해 제안된다.
배선 공구(37)는 그 하부에 장방형 단면의 강성 배선 프롱(38)을 갖는데, 도면에 대해 직각으로의 그 최소 운동을 위한 폭은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동일하다(제7도 참조).
배선 프롱(38)에는 전선 안내 도관(39)이 형성되며, 공급 장치를 경유하여 코일등으로부터 연속 인발된 전선은 상기 도관으로 공급되며, 상기 도관은, 마우쓰(mouth)(41)에서 나온 전선(24) 세그먼트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평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측면(40)의 41에서 개방된다.
편평 측면(40)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이와 평행하게 램(42)이 제공되며, 이 램은 배선 공구(36)상에서 승강되도록 지지되며, 마우쓰(41)로부터 돌출되는 전선(24)의 수평 세그먼트상에 가압면(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세그먼트는 한편으로는 가압면(43) 상에 고정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마우쓰(41)의 영역에서 전선 안내 도관(39)의 상부 경계상에 고정 지지된다.
램(42)과 측면(40) 사이에는 틈새(44)가 형성되는데, 그 폭은 하우징(1)의 한쌍의 리브(8) 폭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다. 램(42) 자체는 장방형의 단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 도면의 평면과 직각 방향의 폭은, 운동을 위한 필요 간격을 포함하여 도입 슬릿(10)의 폭과 일치하지만, 홈형 만입부(21)의 폭(23)과 일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자동 직접 배선에서, 배선 공구(31)는 산업 로봇과 감지 수단의 협력하에 단자의 클램프 단자 장치의 하우징(12) 위에 정밀 정확하게 위치되며, 그로 인해 전체 시스템은 램(42)이 그 전진된 지지 위치에 있게 되는 제13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된다.
배선 공구(37)는 이제 그 배선 프롱(38)에 의해 수직으로 하방 이동되며, 배선 프롱(38)은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위로부터 오른쪽 홈형 만입부(21) 내로 이동하며, 동시에 램(42)은 왼쪽 홈형 만입부(21) 내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도입 슬릿(10)내로 활주한다. IPC 접촉부(16)는 측면(40)과 램(42) 사이의 틈새(44)에 놓인다.
배선 공구(37)의 하방 운동시에, IPC 접촉부(16)의 양 측면상의 두 지점에서 가압면(43)과 마우쓰(41) 상부 사이에 정확히 지지 및 유지되는 전선 세그먼트는, 확대부(12)(제5도)내로 들어가서 멈춤쇠 형태로 로크되기까지 위로부터 도입 슬릿(10)을 통해 IPC 슬릿(14)내로 가압된다. 이렇게 해서 전기 전도체(26)가 IPC 접촉부(16)에 완벽하게 접촉되며, 전선(24)의 전기 절연체(25)는 측방으로 클램프되어 도입 슬릿(10)에서 대향 리브(8)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선(24)은 기밀한 (air-tight) 형태로 접속될 분 아니라 긴장 완화 방식으로 그 절연체(25)에 고정된다(제16도 참조).
전선(24)을 도입 슬릿(10)과 IPC 슬릿(14)내로 도입하는 데 있어서, 홈형 만입부(21)는 배선 프롱(38)과 램(42)이 상술한 두개의 슬릿과 완벽하고 정확하게 측방 연관되도록 보장한다.
클램프 단자 장치의 조립시의 작은 에러는 도입 경사부(22)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된다. 만입부(21)의 측면은 안내면으로서 작동한다.
전선(24)이 단자에 단지 관통 배선된다면, 즉 단자를 통해 연속하여 배치된다면, 전선(24)이 도입 슬릿(10) 내로 도입되고 전도체(26)가 IPC 슬릿(14)에 접촉된 후에, 램(42)은 단지 배선공구(37)내의 먼 휴지 위치로 상향 이동되며, 이 때, 산업 로봇은 제13도에 따라 트리거되는 유사한 설계의 클램프 단자 장치에 의해, 배선 공구(37)를 그 배선 프롱(38)과 함께 프로그래밍된 경로를 따라 다음 경로로 이동시킨다. 상기 배선 공구(36)의 이러한 변위 이동 중에 필수 전선 길이가 전선 안내 도관(39)을 거쳐 변위 이동과 동기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전선(24)이 단자에서 클리핑되게 되면, 이후 제9도에 대응하는 하나의 다른 IPC 접촉부가 이 단자에 제공될 수도 있고, 그 클리퍼 엣지(28)에서 램(42)은 전도체(26)를 클리퍼 엣지(28)상에 간단히 가압하여 접촉한 후에 전도체(26)를 클리핑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배선 공구(37)상에 제어된 클리퍼 블레이드(45)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측면(40)상에 지지되므로써 상하로 승강될 수 있고 그 클리퍼 엣지(46)와 함께 제13도에 도시하는 위치를 벗어나 전방으로 제14도에 도시되는 클리핑 위치로 이동되며 이 위치에서 클리퍼 엣지(46)는 마우쓰(41)를 추월하여 전선(24)을 절단한다.
클리퍼 블레이드(45)는 하우징(1)의 홈형 만입부(21)내에 블레이드를 위한 공간이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엣지(46) 부근에는 경사면(47)이 존재하며, 이 경사면은 클리핑 과정에서 절연체(25)에 의해 도입 슬릿(10)에 단단히 클램프된 전선 단부(27)를 약 90°정도 하방으로 구부리므로써 전도체(26)의 노출된 금속 절단면이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입부(21)의 바닥부쪽으로 향하도록 하게 한다.
일단 전선(24)이 클리핑되면, 클리퍼 블레이드(45)와 램(42)이 그 휴지 위치로 복귀되며, 배선 공구(37)는 단자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클램프 단자 장치는 제15도에 도시한 상황에 있게 된다.
금속 전도체의 절단면이 외부로부터 우연히 접촉되지 않도록 홈형 만입부(21)의 깊이, 폭, 길이가 선택되므로, 제14도에 도시한 클리핑 작업이 완성되면 전선 단부(27)는 단자에서 자동적으로 확실히 충격위헙 보호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설비가 필요없다.
제8도에 도시된 형태의 클램프 단자 장치가 사용된다면, 클리핑된 전선 단부(27)는 챔버형 만입부(21)에 휴지 위치되어, 상기 만입부에서 다시 충격 위험이 방지되지만, 동시에 클램핑 단자 장치는 보다 짧은 구조적 길이로 형성될수 있다. 더구나, 두개의 전선이 양 측부로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입 측을 향하여 엣지(edge)에서 개방되어 있는 전선용의 하나 이상의 도입 슬릿(introduction slit)과, 하우징에 배치되어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클램프 또는 IPC(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접촉부로서 그 IPC슬릿이 전도체(conductor)와 접속되도록 엣지에서 개방되고 도입 슬릿과 정렬되는 IPC 접촉부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housing)을 구비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 장치 또는 전기 부품을 배선의 전선에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예컨대, 나사 접속, 플러그-인 접속, 땜납 및 IPC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속 기술에 따라 설계된 클램프 단자 장치의 대부분은 배선이 제조될 때 많은 조작 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들 단계는 주로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때로는 전기 접속을 행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기술과 주의를 요한다. 이것은 장치가 메인 파워 시스템(main power system)에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전기 장치의 일부 클램프 단자(clamp terminal)를 접속하는 것이 유일한 관심사인 경우에는 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단자가 있는 복잡한 배선을 위해서나 동일한 전기 장치를 다량 제조할 때, 완벽하게 접촉된 전기 접속체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및 재료의 소비는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전기 접속을 이루는데 필요한 조작 단계의 복잡성은 배선의 자동화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상당히 중요한 산업적 노력으로만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접속 기술중에 절단-클램프(cut-clamp) 또는 IPC(절연 관통 접속) 방법으로 공지된 것은 조립을 위해 단지 전선을 고정하여 IPC 접촉부내로 누르는 것만을 요구하므로 배교적 적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속법의 기본 특징에 따라 설계된 클램프 단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2 330 159호, 독일 실용신안(DE-GM) 제88 04 388호, 87 14 703호, 88 12 057호 및 미국 특허 제2, 501, 187호 등이 있으며, 1982년도분 측정+테스트/자동 시스템(Measurement+Testing/Automatic Systems) 7/월호의 491 및 492 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관점에서 설계된 이들 접속 장치는 그 어느것도 전기 장치 또는 전기 장치 시스템을 완전히 직접 자동 배선하는데 적합하게 된 기능적 특성을 갖는 것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 배선 조작을 자동화하기에 적당하게 설계된 소위 IPC 방법에 의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두에 언급한 본 발명의 클램프 단자 장치는, 하우징이 도입 슬릿과 인접하는 일 측부에 도입측에 향해 개방되는 슬릿형(slitlike) 또는 홈형(groovelike)의 만입부(indentation)를 가지며, 만입부의 칫수는 IPC 접촉부에 접촉되는 전선의 IPC접촉부 부근에 위치하는 자유단부가 충격 위험 방지식(shock+-hazard-proof manner)으로 만입부에 수납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질 때 전도체가 IPC 접촉부에 이웃하여 클립핑되면 전도체가 접촉될 때 그 자유단부가 자동으로 완벽하게 충격위험 방지된다. 동시에, 클램프 단자 장치는 완전한 자동 직접 권선체를 위한 모든 조건이 이용될 수 있도록 관통 배선을 할 수 있다. 하우징의 도입 슬릿은 가압 끼워진 전선의 클램핑 고정을 유발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충격 위험 방지뿐 아니라 접촉 과정에서 인장 완화를 즉각적으로 얻어낼 수 있게 한다. 접속을 실행하는데 다른 단계가 필요없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에는 직접 배선을 자동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 조건인 배선 공구를 한 번만 접근시키면 된다.
상기 IPC 슬릿은 또한 전도체가 가압 끼워넣어질때 일정한 높이오차를 허용하므로 배선의 자동화에 기여한다. 동시에, 넓은 표면적 위에 전도체를 기밀하게 접촉하는 것이 보장되며, 가압하여 끼워넣을 때 전도체는, 전도체 절연체가 우선적으로 별도의 단계로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에 그러하듯이 전도체 표면의 산화가 불가능하도록 냉간 용접 방식으로 즉각적으로 접촉된다. 전도체가 IPC 접촉부에 바로 이웃하여 클리핑되고 이후 자동으로 그 자유단부가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에서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보호된다는 사실은 매우 짧은 마무리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는 즉 일체의 낭비없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많은 단자를 갖는 보다 넓은 배선 레이아웃의 경우 이는 재료의 상당한 절감으로 이어진다.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의 폭은 도입 슬릿의 폭보다 실제로 크다. 충격 위험 방지를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클램프 장치의 설계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가 도입 슬릿보다 깊어야 유리한데, 이는 클리핑된 전도체의 자유 단부가 IPC 접촉부 뒤에서 만입부의 기초부 또는 바닥을 향해 하방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홈형 또는 슬릿형 만입부를 IPC 접촉부의 한측면 또는 양 측면에 제공하고, 일단부에서 개방되는 채널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가 챔버로서 형성되어 접촉된 전도체의 노출 단부가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보호되도록 만드는 것도 실제적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클램프 단자 장치의 구조적 길이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그 각각이 관련 도입 슬릿을 갖는 IPC 접촉부에 의해 양 측부에 형성되며, 이는 두 개의 전도체를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클립하거나 클램프 단자 장치를 사용하여 단일의 전도체를 좌우로 접속하거나 최종적으로 이를 관통 배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전선의 자동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려면,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를 예컨대 도입 경사부(introduction bevel)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확대부(widening)를 갖는 도입측부상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슬릿형 또는 홈형의 만입부는 배선 공구용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면 전선이 도입되어 접촉될 때 추가적인 안내 장치 없이도 배선 공구를 IPC 슬릿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클램프 단자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특정 단자에 전선을 클립시키면, 이는 자동 배선 공구상에 나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는 전선을 IPC 슬릿내로 가압 끼워넣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리퍼 엣지를 클램프 단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있다. 클리퍼 엣지는 예를 들어 IPC 접촉부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도체가 밀어넣어질때 작동한다.
독립적인 클램프 단자로서 단일 또는 다중 클램핑 버전으로서의 새로운 클램프 단자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은 성형된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하우징이 전기 스위치 요소의 일부로 형성되거나 스위치 소자의 일부로 형성되므로, 클램프 단자 장치를 전기 스위치 요소와 직접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한다.

Claims (12)

  1. 배선공구로 자동 배선하기 위한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로서, 절연된 전선(24)을 수용하도록 엣지에서 도입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도입 슬릿(10)과, 하우징(1)에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설치되어 접촉영역을 형성하는 IPC(insulating piercing connector) 단자(16)를 구비하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1)을 구비하며, 상기 IPC 단자에는 전도체와 접속되도록 도입 엣지에서 개방되고 상기 도입 슬릿(10)과 정렬되는 IPC 슬릿(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 1a)의 적어도 한 측부에는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가 IPC 단자에 대해 바깥쪽으로 그리고 도입 슬릿(10)과 정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21)는 도입 슬릿(10)보다 큰 폭을 가지며, 그 일단부에서는 도입 슬릿과 인접하고 도입측을 향해 개방되며, 타단부에서는 도입 슬릿(10)으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멀어지고(face away), 상기 만입부(21)는 IPC단자에 접촉되는 전선(24)의 선택적으로 절단된 자유단부(27)를 충격위험 방지식으로 수용하여 위치시키도록 치수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하우징(1)은, 상기 전선이 IPC 슬릿(14)내로 도입되어 접촉될 때 상기 배선공구를 IPC 슬릿에 대해 안내 또는 중심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의 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의 폭(23)은 도입 슬릿(10)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슬릿(10)은 가압끼워진 전선(24)의 클램프 고정을 유발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도입 슬릿(10) 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시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챔버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양 측면에서 IPC 접촉부(16)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접촉부는 관련 도입 슬릿(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도입측에 확대부(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형 또는 홈형 만입부(21)는 배선 공구(37, 38, 42)용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IPC슬릿(14)내로 가압끼워질 전선(24)용의 하나 이상의 클리퍼 엣지(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퍼 엣지(28)는 IPC 접촉부(160)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1a)은 성형 고정 수단(3, formed-on securing mean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전기 스위치 요소(35, electrical switch element)의 일부분(36)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KR1019940700379A 1992-06-06 1993-05-25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KR0152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8740A DE4218740C2 (de) 1992-06-06 1992-06-06 Elektrische Anschlußklemmeinrichtung
DEP4218740.0 1992-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2135B1 true KR0152135B1 (ko) 1998-10-15

Family

ID=646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379A KR0152135B1 (ko) 1992-06-06 1993-05-25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573792B1 (ko)
JP (1) JP2620056B2 (ko)
KR (1) KR0152135B1 (ko)
AT (1) ATE170336T1 (ko)
AU (1) AU668566B2 (ko)
DE (2) DE4218740C2 (ko)
ES (1) ES2119829T3 (ko)
HK (1) HK1009714A1 (ko)
RU (1) RU2082262C1 (ko)
SG (1) SG52271A1 (ko)
TW (1) TW303987U (ko)
WO (1) WO1993026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2776C2 (de) * 1993-04-20 1995-08-31 Vossloh Schwabe Gmbh Fassung für elektrische Betriebsmittel
DE4413643C2 (de) * 1994-04-20 1996-03-28 Vossloh Schwabe Gmbh Elektrische Anschluß- und Verbindungsklemme
DE19701795A1 (de) * 1997-01-20 1998-07-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euchte
DE19701796A1 (de) * 1997-01-20 1998-07-23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lektrische Leuchte
DE10055148C2 (de) * 2000-11-07 2003-05-22 Phoenix Contact Gmbh & Co Kabelanschluß- oder -verbindungseinrichtung
JP4804249B2 (ja) * 2006-07-13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CN114172000A (zh) * 2021-11-26 2022-03-11 浙江启明电力集团有限公司电力建设分公司 一种接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1187A (en) * 1945-03-14 1950-03-21 Oortgijsen Jan Connector for joining conductors
CA963552A (en) * 1971-06-28 1975-02-25 James H. Bazille (Jr.) Solderless wire connector
CA981352A (en) * 1972-04-08 1976-01-06 Roberto Plana Electrical connectors
FR2330159A1 (fr) * 1975-10-27 1977-05-27 Carpano & Pons Organ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conducteurs electriques
AR208483A1 (es) * 1975-11-10 1976-12-27 Amp Inc Terminal electrico
NL7513722A (nl) * 1975-11-25 1977-05-27 Du Pont Meervoudige contactinrichting, alsmede werkwijze en assembleringsmachine voor het monteren van dergelijke contactinrichtingen aan geisoleerde stroomdraden ter verkrijging van een voorprodukt.
US4210999A (en) * 1977-05-31 1980-07-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for wiring electrical bays
GB2112217A (en) * 1981-12-17 1983-07-13 Broomadit Limited An electrical connector
JPS6099331A (ja) * 1983-11-07 1985-06-03 Hoshizaki Electric Co Ltd 炭酸飲料製造装置
US4679881A (en) * 1985-05-07 1987-07-14 American District Telegraph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technique
JPS62299775A (ja) * 1986-06-19 1987-12-26 Kurieito Syst Kk 圧接型コネクタへの電線押込型における導通試験型
DE8714703U1 (de) * 1987-11-04 1989-03-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ontaktelement mit Schneidklemmenanschluß für Litzenleiter
DE8804388U1 (de) * 1988-03-31 1988-08-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neidklemme,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ischen Schaltdrahtes
DE8812057U1 (de) * 1988-09-23 1988-1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ischer Verbinder zum Anschluß von Einzelleitern mittels der Schneid-Klemmtechnik
US5061203A (en) * 1991-04-15 1991-10-29 Amp Incorporated Magnetic ballast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059693A (en) 1994-01-04
DE4218740C2 (de) 1995-07-06
EP0573792B1 (de) 1998-08-26
SG52271A1 (en) 1998-09-28
HK1009714A1 (en) 1999-06-04
TW303987U (en) 1997-04-21
JPH07500946A (ja) 1995-01-26
ATE170336T1 (de) 1998-09-15
RU2082262C1 (ru) 1997-06-20
AU668566B2 (en) 1996-05-09
DE4218740A1 (de) 1993-12-09
JP2620056B2 (ja) 1997-06-11
DE59308914D1 (de) 1998-10-01
EP0573792A1 (de) 1993-12-15
ES2119829T3 (es) 1998-10-16
WO1993026060A1 (de) 199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292B2 (en) Terminal block with knife contact and connector means
US4871330A (en)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US4340270A (en) Electrical terminal unit
US4932891A (en) Dual flat-spring electrical contact
US5415562A (en) Pressure welding connector
US20020155750A1 (en) Resilient contact and assembly thereof
US3848954A (en) Clip terminal and applicator tool combination
KR100225022B1 (ko) 전기 장치의 단자와이어링 방법과 그 배선 수단 및 단자
US4897040A (en) Cutting and clamp sleeve contact and method of connecting insulated electrical wire conductors
US5575679A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rrangement
KR0152135B1 (ko) 전기 클램프 단자 장치
EP0185153A1 (en) Crimp-on connector for flat cable
KR0148395B1 (ko) 공통 전기 커넥터
KR950002035B1 (ko) 인쇄 회로판에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기
US4749366A (en) Heavy current electrical termination means
US5720625A (en) Electrical clamping terminal arrangement
US4412374A (en) Device for clamping an insulated cable wire to a terminal element
US5480323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t least one electrical device
US3629794A (en) Folded box splice terminal
US4611874A (en) Device for making LSA-PLUS contact with conductor wire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EP0634812B1 (en) Wire connecting apparatus and terminal therefor
US4575168A (en) Bridging clip with centering tab
US7024766B2 (en) Method of wiring electrical terminals
US5879167A (en) Contact element for anticipatory earthing
CN108551026B (zh) 一种紧凑型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