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43962A1 -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43962A1
WO2023243962A1 PCT/KR2023/008029 KR2023008029W WO2023243962A1 WO 2023243962 A1 WO2023243962 A1 WO 2023243962A1 KR 2023008029 W KR2023008029 W KR 2023008029W WO 2023243962 A1 WO2023243962 A1 WO 20232439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aterial
thermoelectric
present
formula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80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인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2439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439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3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arsenic, antimony or bismu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the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the thermoelectric material.
  • Thermoelectric material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formula (1).
  • Ch Te or Se
  • A Li, Na, K, Rb, or Cs
  • Q S, Se, or Te
  • x 1 ⁇ 6, 0 ⁇ y ⁇ 0.4
  • the A may be located at least one of an interlayer site, an interstitial site, and an ionic site of the Bi-Te-based compound of the thermoelectric material.
  • the reactant may be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0 to 700°C for 22 to 26 hours.
  • the sintering may be performed using a discharge plasma sintering method.
  • Figure 1 shows the power factor (PF) and thermal conductivity of Bi 2 Te 3 -9% K 2 Se 6 , a thermoelectr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Bi 2 Te 3 .
  • Figure 2 shows the power factor (PF) and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ZT) of Bi 2 Te 3 -9% K 2 Se 6 , a thermoelectr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Bi 2 Te 3 .
  • Ch Te or Se
  • A Li, Na, K, Rb, or Cs
  • Q S, Se, or Te
  • x 1 ⁇ 6, 0 ⁇ y ⁇ 0.4
  • thermoelectric material may have polycrystalline properties.
  • the thermoelectric material may be an n-type semiconductor.
  • the reactant may be heated at a temperature of 600 to 700°C for 22 to 26 hours.
  • the sintering may be performed using a discharge plasma sintering method.
  • SPS spark plasma sintering
  • thermoelectric material may have the following formula (1).
  • Ch Te or Se
  • A Li, Na, K, Rb, or Cs
  • Q S, Se, or Te
  • x 1 ⁇ 6, 0 ⁇ y ⁇ 0.4
  • the m:n:l ratio of Formula 1 is as follows. This ratio was calculated based on the unit cell structure of each solid compound.
  • the thermoelectric material has a composition in which an excess of an alkali metal and a chalcogen element exist, and as a result, an alkali metal atom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interlayer site, interstitial site, and ionic site of the Bi-Te-based compound.
  • an alkali metal atom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interlayer site, interstitial site, and ionic site of the Bi-Te-based compound.
  • it induces the development of microstructures of Bi-Te-based homologous compound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rent compound locally within the thermoelectric material.
  • BiTe defects, etc. may be formed locally in the Bi 2 Te 3 lattice.
  •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thermoelectric material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were measured.
  • the pellet sample obtained through the SPS process was cut and polished to creat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ecimen of 2.5 mm ⁇ 2.5 mm ⁇ 10 mm,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eebeck coefficient were measured.
  •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ame pellet sample was cut and polished to create a disk-shaped specimen with a thickness of 8 mm and a height of 1.5 mm, coated with graphite, and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 thermoelectric materials obtained i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induc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t was found to have a non-stoichiometric composi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 Thermoelectric material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 an overall layered structure while introducing various point defects and heterogeneous structures.
  • alkali metals are located in interlayer and interstitial spaces while maintaining the layered structure unique to Bi-Te based materials, providing additional electrons as charge carriers and inducing modulation of the electronic band structure.
  • the reduction in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alloying is minimized, the Seebeck coefficient is improved, and the overall electrical transport characteristics are maintained.
  • Various types of point defects such as interlayer sites, interstitial sites, and ionic sites are induced, and the scattering of phonons can be maximized through local expression of heterogeneous Bi-Te compounds, which are homologous compounds.
  • Figure 1 shows the PF (power factor) and thermal conductivity of Bi 2 Te 3 -9% K 2 Se 6, a thermoelectric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Bi 2 Te 3
  • Figure 2 shows the thermoelectric material Bi 2 Te 3 -9% K 2 S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factor (PF) and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ZT) of Bi 2 Te 3 -9% K 2 Se 6 , a thermoelectric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compared with those of Bi 2 Te 3 .
  • Figure 3 shows the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of thermoelectric material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moelectric material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excellent performance.
  • the thermoelectric material may have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and an improv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dex.
  • the thermoelectric material can be combined with a p-type material to implement a thermoelectric module with improve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bstract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다.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상기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은,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밀봉한 후 가열하여 용융시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의 결과물을 냉각시켜 잉곳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곳을 분말로 분쇄한 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본 발명은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전 현상은 열전 재료 내 전자 및 정공의 흐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과 열의 이동에 의해 유도된 전자 및 정공의 이동 현상을 포함한다. 이는 재료에 인가한 전류에 의해 양단에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펠티어 효과(Petier effect)에 기반한 냉각분야 응용과 소재 내 온도구배가 존재할 때 내부에 기전력이 발생하는 제백 효과(Seebeck effect)를 활용한 발전분야 응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의 발전 및 냉각 성능은 소자를 구성하는 p형 및 n형 반도체 재료의 열전변환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열전변환효율은 전기전도도(σ), 열전도도(κ), 제백계수(S), 절대온도(T)의 관계로 표현되는 무차원 열전성능지수(ZT = σS2T/κ)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열전성능지수는 구성 변수 간 강한 상호연관성으로 인해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성능을 갖는 열전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다.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상기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에 대하여 고상합성 반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는 상기 열전 재료의 Bi-Te계 화합물의 층간 자리, 틈새 자리, 및 이온 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은,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밀봉한 후 가열하여 용융시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의 결과물을 냉각시켜 잉곳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곳을 분말로 분쇄한 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상기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은 600 ~ 700℃의 온도에서 22 ~ 26시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소결은 방전플라즈마소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향상된 열전성능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p형 재료와 결합하여 발전 효율이 향상된 열전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재료인 Bi2Te3-9% K2Se6의 PF(power factor)와 열전도도를 Bi2Te3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재료인 Bi2Te3-9% K2Se6의 PF(power factor)와 열전성능지수(ZT)를 Bi2Te3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의 열전성능지수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다.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상기 화학식 1에서, (Bi2)m(Bi2Ch3)n는 Bi2의 2중층(bilayer)과 Bi2Ch3의 5중층(quintuple layer)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동족계열(homologous series)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m은 상기 열전 재료의 결정학적 단위 구조체 중 Bi2 2중층의 수를 나타내고, n은 상기 열전 재료의 결정학적 단위 구조체 중 Bi2Ch3 5중층의 수를 나타내며, l은 동족계열 화합물의 구성원소인 Bi와 Ch(Te, Se)의 구성비를 정수로 표기할 수 있는 최대공약수를 나타낸다.
상기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에 대하여 고상합성 반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는 상기 열전 재료의 Bi-Te계 화합물의 층간 자리, 틈새 자리, 및 이온 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은,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밀봉한 후 가열하여 용융시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의 결과물을 냉각시켜 잉곳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곳을 분말로 분쇄한 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 재료는 상기 화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은 600 ~ 700℃의 온도에서 22 ~ 26시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소결은 방전플라즈마소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석영 튜브관에 Bi, Te, Se, A2Qx(A = Li, Na, K, Rb, Cs; Q = S, Se, Te; x = 1 ~ 6)을 포함하는 반응물을 목표 조성에 맞게 정량하여 넣은 후 상기 튜브관을 고진공 하에서 고온 토치를 활용하여 밀봉한다. 밀봉된 반응물을 65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잉곳을 얻는다. 상기 잉곳을 분말로 분쇄화한 후 방전플라즈마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열전 재료를 얻는다.
상기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m:n:l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이 비율은 각각의 고체화합물의 단위 격자 구조에 기반하여 산정되었다.
(1) m:n:l = 0:3:3, (2) m:n:l = 1:5:4, (3) m:n:l = 2:7:3, (4) m:n:l = 3:9:3, (5) m:n:l = 1:2:6, (6) m:n:l = 3:3:3, (7) m:n:l = 2:1:3, (8) m:n:l = 15:6:6, (9) m:n:l = 3:0:3
상기 열전 재료는 과량의 알칼리 금속 및 칼코겐 원소가 존재하는 조성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알칼리 금속 원자는 Bi-Te계 화합물의 층간 자리, 틈새 자리, 및 이온 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결함을 토대로 열전 재료 내 국소적으로 모화합물과 다른 Bi-Te계 동족 화합물 미소구조 발현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Bi2Te3 격자 내에 BiTe 결함 등이 국소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얻은 열전 재료의 열전특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전기적 이송 특성 측정을 위해 SPS 과정을 통해 얻은 펠렛 시료를 절삭 및 연마하여 2.5mm×2.5mm×10mm의 직육면체 형태의 시편을 만들어 전기 전도도와 제백 계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열적 이송 특성 측정을 위해 동일한 펠릿 시료의 남은 부분을 절삭 및 연마하여 두께 8mm, 높이 1.5mm의 디스크 형태의 시편을 만들어 흑연으로 코팅한 후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은 열전 재료를 유도플라즈마 원자 방출 분광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 표 1과 같이 비화학양론적 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Figure PCTKR2023008029-appb-img-000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전체적인 층상형 구조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점결함 및 이종구조가 도입되었다. 특히 알칼리 금속이 Bi-Te계 소재 특유의 층상 구조를 유지한 채 층간 자리, 틈새 자리에 위치하면서 추가 전하 운반자인 전자를 제공하고 전자 밴드 구조의 변조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합금화에 따른 전기전도도 저감을 최소화하고 제백계수가 향상되어 전체적인 전기적 이송 특성이 유지된다. 층간 자리, 틈새 자리, 이온 자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점결함이 유도되고 이로 인한 동족 화합물인 이종의 Bi-Te계 화합물의 국부 발현으로 포논의 산란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재료인 Bi2Te3-9% K2Se6의 PF(power factor)와 열전도도를 Bi2Te3와 비교하여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재료인 Bi2Te3-9% K2Se6의 PF(power factor)와 열전성능지수(ZT)를 Bi2Te3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Bi2Te3-9% K2Se6는 상온에서 약 40μWcm-1K-2에 달하는 우수한 전기적 이송 특성을 유지하면서 100℃에서 열전도도가 약 0.88Wm-1K-1 수준으로 저감하였다. 또, Bi2Te3-9% K2Se6는 100℃에서 약 1.4의 높은 열전성능지수(ZT)를 보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의 열전성능지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전 재료에 포함되는 A2Qx(Li2Se3, Na2SE3, Li2Se6, Na2Se6)의 함량 및 알칼리 금속(Li, Na) 대 Se의 비율에 따라 열전 재료의 열전성능지수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높은 열전성능지수를 보인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열전 재료는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향상된 열전성능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재료는 p형 재료와 결합하여 발전 효율이 향상된 열전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열전 재료.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재료는 n형 반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재료는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에 대하여 고상합성 반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열전 재료의 Bi-Te계 화합물의 층간 자리, 틈새 자리, 및 이온 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
  6. Bi, Te, Se, 및 A2Qx(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밀봉한 후 가열하여 용융시켜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의 결과물을 냉각시켜 잉곳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잉곳을 분말로 분쇄한 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
    [화학식 1]
    [(Bi2)m(Bi2Ch3)n](1-y)/l[A2Qx]y
    (상기 화학식 1에서 Ch = Te 또는 Se, A = Li, Na, K, Rb, 또는 Cs, Q = S, Se, 또는 Te, x = 1 ~ 6, 0≤y≤0.4)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재료는 다결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은 600 ~ 700℃의 온도에서 22 ~ 26시간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은 방전플라즈마소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재료의 형성 방법.
PCT/KR2023/008029 2022-06-16 2023-06-12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WO20232439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167A KR102657048B1 (ko) 2022-06-16 2022-06-16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KR10-2022-0073167 2022-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962A1 true WO2023243962A1 (ko) 2023-12-21

Family

ID=8919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8029 WO2023243962A1 (ko) 2022-06-16 2023-06-12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7048B1 (ko)
WO (1) WO20232439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701A (ko) * 2010-08-26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재료,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과 열전장치
KR20140065721A (ko) * 2012-11-20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재료,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및 열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0868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성능 화합물 반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72300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칼코겐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KR20220039123A (ko) * 2020-09-21 2022-03-29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고효율 열전소재의 조성, 제조방법 및 그를 활용한 열전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701A (ko) * 2010-08-26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재료,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과 열전장치
KR20140065721A (ko) * 2012-11-20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재료,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및 열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0868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성능 화합물 반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72300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칼코겐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소자
KR20220039123A (ko) * 2020-09-21 2022-03-29 브이메모리 주식회사 고효율 열전소재의 조성, 제조방법 및 그를 활용한 열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690A (ko) 2023-12-26
KR102657048B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ng et al. High efficiency GeTe-based materials and modules fo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WO2015050420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0024641A2 (ko) 신규한 열전 변환 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열전 변환 소자
WO2015080527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1122888A2 (en)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material
WO2014157909A1 (ko) 자연 초격자 구조 열전소재
WO2015046810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157904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026775A2 (en) Thermoelectric material, and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thermoelectric material
WO2012157913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157917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026678A2 (en) Thermoelectric module comprising thermoelectric element doped with nano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12165855A2 (en) Method of develop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rmoelectric efficiency of thermoelectric material through annealing process
WO2012148197A2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5057019A1 (ko) 열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4372B1 (ko) 고압 고온 소결 처리가 열전 성능 지수(zt)에 미치는 영향
WO2013151378A1 (ko) 투명 화합물 반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3243962A1 (ko) 열전 재료 및 그 형성 방법
WO2012157914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157910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20050466A1 (ko) 주석 디셀레니드계 열전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onstantinov et al. Transport phenomena in mixed layered tetradymite-like compounds in the GeTe–Bi2Te3 system
WO2012157909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157911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WO2012157905A1 (ko) 신규한 화합물 반도체 및 그 활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241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