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8937A1 -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8937A1
WO2019198937A1 PCT/KR2019/003127 KR2019003127W WO2019198937A1 WO 2019198937 A1 WO2019198937 A1 WO 2019198937A1 KR 2019003127 W KR2019003127 W KR 2019003127W WO 2019198937 A1 WO2019198937 A1 WO 20191989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erconducting
layer
laminated
layers
met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1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하홍수
오상수
김성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1989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8937A1/ko
Priority to US16/890,01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597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29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 H10N60/0576Processes for depositing or forming copper oxide superconducto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H10N60/0632Intermediate layers, e.g. for growth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2/06Films or wires on bases or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8Superconductive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6/00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oils
    • H01F6/06Coils, e.g. winding, insulating, terminating or cas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661Processes performed after copper oxide formation, e.g. pattern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60/026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mprising copper oxide
    • H10N60/0661Processes performed after copper oxide formation, e.g. patterning
    • H10N60/0716Passiv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in which a superconducting layer is laminat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biaxially oriented superconducting layer is laminated in plural to improve conduction characteristics, and the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AC loss is achieved. It relates to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laminated with a superconducting layer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Superconducting wire means a material with zero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object, and the material near the current resistance near zero near 4K, the temperature of liquid helium, is a 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 (LTS) and liquid nitrogen temperature higher than liquid helium.
  • the material exhibiting superconductivity at 77K is referred to as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HTS).
  •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is manufactured by coating a plurality of buffer layers on the tape-shaped metal layer and coating the superconducting layer on the buffer layer by physical or chemical methods.
  • the superconducting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in which the metal layer, the buffer layer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is further coated with silver (Ag) as necessary.
  •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exhibits high critical temperature, critical current density and critical magnetic fiel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power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such as superconducting magnets, superconducting cables, superconducting motors or superconducting generators.
  •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are mainly used in the form of coils other than current transfer devices such as cables and busbars.
  •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during energization.
  • an application field is used in a magnetic field generating region of about 3 to 5 Tesla. Therefore, if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coil generating magnetic field of 3 to 5 Tesla at liquid nitrogen temperature, it will be able to significantly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superconducting application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aminate a plurality of biaxially oriented superconducting layers to improve conduction characteristics, and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reduce AC loss, and thus to manufacture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laminated with a superconducting layer.
  • the above object is to prepare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composed of a metal substrate-buffer layer-superconducting layer-protective layer; Stacking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such that the protective layers face each other; Bonding the protective layer by heat-treating the stacked superconducting wires; Separating the metal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on one side;
  •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laminated by the superconduct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op of the exposed superconducting layer.
  • the protective layer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n the superconducting wires are wound and laminated on the winding bobbin while applying tension to continuously pressurize the superconducting wires through a winding. It is preferable.
  • the protective layer is diffusely bonded through heat treatment to form a single protective layer having no interface
  • the superconducting wire is a metal substrate-buffer layer-superconducting layer-protective layer-superconducting layer-metal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board
  • the separating of the metal substrate may include peeling the buffer layer and the metal substrate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wherein the buffer layer and the metal substrate, which are relatively weaker than the bonding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by using a physic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board
  • the metal substrate and the buffer layer separated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may be recycled.
  •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repeated by laminating another superconducting wire, bonding the protective layer, separating the metal substrate, and forming the protective lay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are repeatedly laminat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of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is made of a superconducting layer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and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is cut into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lamination directio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ut superconducting wires. .
  • the superconducting layer has a biaxially oriented structure and is a rare earth element-barium-copper-oxygen (RE-Ba-Cu-O) -based material including a rare earth or a material including a magnetic flux fixation point, and the protective layer is It is composed of a precious metal material, the precious metal is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palladium (Pd), ruthenium (Ru), rhodium (Rh), iridium (Ir), osmium (Os), rhenium I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 and mixtures thereof.
  • RE-Ba-Cu-O rare earth element-barium-copper-oxygen
  • the above object is also a metal substrate;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stacked on top of the metal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protective layers stack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to separate the superconducting layers from each other, wherein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also achieved by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having a superconducting layer stacked thereon.
  • a biaxially oriented superconducting layer is laminated in plural to improve conduction characteristics, and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obtain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which reduces AC loss.
  • 1 to 3 is a flow chart of the laminate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e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s are c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erconducting wire used is made of one superconducting layer because it uses a thin film coating method.
  • a technique of making a superconducting conductor capable of conducting a large current by making a superconducting wire unit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d superimposing th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s by soldering is used.
  • the stacked superconducting wire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urrent value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stacking thickness because various layers except the superconducting layer are stacked together.
  •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in which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lamin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al substrate,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stacked on top of the metal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protective layers lamin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to separate the superconducting layers from each other. It is preferred that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biaxially oriented. He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uffer layer between the metal substrate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laminated on the metal substrate.
  •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composed of a metal substrate, a buffer layer, a superconducting layer, and a protective layer is prepared as shown in FIGS. 1 to 3 (S1).
  •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having a superconducting layer having the same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may be prepared, or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having a superconducting layer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may be prepared.
  •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consisting of metal substrates 110 and 110'-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and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prepared, where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are prepared.
  •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 may not be included or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may be replaced with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instead of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 may be made of hastelloy or stainless steel having oxidation resistanc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oxide buffer layers 130 and 130 'formed on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are formed between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to cushion various external magnetic poles. Do it.
  •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are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 the metal material of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 is diffused into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It prevents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from being contaminated and improves the superconductivity of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 apply biaxially oriented buffer layers 130 and 130 ′, and when the biaxially oriented buffer layers 130 and 130 ′ are applie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150 ') biaxially oriented crystal growth is achieved.
  • Such biaxial alignment buffer layers 130 and 130 ′ may be formed through a thin film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IBAD, RABiTs, or ISD.
  •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formed on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are formed by vapor deposition,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are also biaxially oriented by the biaxially oriented buffer layers 130 and 130'.
  • Biaxially oriented structure means a c-axis orient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n ab pla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biaxial orientation has an in-plane orientation ( ⁇ ) of 2 ° ⁇ ⁇ 10 ° and an out-of-plane orientation ( ⁇ ⁇ ). ) Corresponds to 1 ° ⁇ ⁇ 7 °.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made of a noble metal may be formed between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without forming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separately. , It can be suitably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r use of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to be finally manufactured.
  •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form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through a material including a magnetic flux fixation point or a material in which rare earths are mixed.
  • a rare earth element-barium-copper-oxygen (RE-Ba-Cu-O) system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made of the rare earth element.
  •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 2 O 3 oxides exist,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pper oxides exist outside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 the metal substrates 110 and 110', the buffer layers 130 and 13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noble metals do not react with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and prevent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from being separated and deteriorated. do.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exposed to air in the subsequent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made of a noble metal material which does not oxidize even when contacted with air.
  • Precious metals are silver (Ag), gold (Au), platinum (Pt), palladium (Pd), ruthenium (Ru), rhodium (Rh), iridium (Ir), osmium (Os), rhenium (Re) and mixtures thereof I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 have a thickness of 0.5 to 10 ⁇ 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5 ⁇ m,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may not be properly protected.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 may be selected from biaxially oriented or non-biaxially oriented like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are laminated so that the protective layers face each other (S2).
  • a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made of metal substrates 110 and 110'-buffer layers 130 and 130'-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170, 170 ') are stacked to face each other.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made of a noble metal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is not oxidized, and the materials of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preferably the same.
  •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 may be lamin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are laminated,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are made of a very long length at the time of production.
  • the pair of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is arranged so that the protective layers face each other, and then applying a tension to the winding bobbin 30 ) Can be wound and laminated.
  •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pressure.
  •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having a long length can be easily laminated and pressed through the continuous pressing method using the winding bobbin 30.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wind the dummy wire together.
  •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is heat treated to bond a protective layer (S3).
  • the superconducting wires 100 and 100 'laminated so that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made of the same material face each other are heat treated so that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do not have interfaces. ')
  •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made of a noble metal the surface is not oxidized even when exposed to air, and when the non-oxidized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are laminated and heat treated thereto, the protective layer 170 , 170 'are diffusely bonded to form one protective layer 170, 170' without an interface.
  •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made at 400 to 600 °C, less than 400 °C diffusion bonding between the protective layers (170, 170 ') does not occur completely, it is difficult to bon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s (170, 170') and exceed 600 °C In this case,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may lose superconductivit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400 to 600 ° C., which is a temperature at which the protective layers 170 and 170 ′ can be maintained while being bonded to each other.
  •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may b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having the same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r may b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erconducting layers are formed in different types or mixed by mixing superconducting layers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so that the superconducting layers have high conduction characteristics in both low and high magnetic fiel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perconducting layer.
  • the metal substrate is separated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on one side (S4).
  •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consisting of a metal substrate 110-buffer layer 130-superconducting layer 150-protective layer 170-superconducting layer 150 '-buffer layer 130'-metal substrate 110 '.
  • the metal substrate 110 ′ and the buffer layer 130 ′ on one side are delaminated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 a method of separating the metal substrate 110 ′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may be performed by peeling the metal substrate 110 ′ with a physical force.
  • the relatively strong protective layer 17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are present in a firmly coupled state,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having a relatively weak bond.
  • the buffer layer 130 ′ or the metal substrate 110 ′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to peel off the buffer layer 130 ′ or the metal substrate 110 ′.
  • the metal substrate 110 ′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substrate 110, the buffer layer 130,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the protective layer 17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remain as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is laminated on the outermost side and exposed.
  •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When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is present in the winding bobbin 30,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and the metal substrate 110 'are wound on different bobbins so that a tension is applied to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 the metal substrate 110 ′ When the metal substrate 110 ′ is separated, the metal substrate may be separated more easily.
  • the metal substrate 110 ′ and the buffer layer 130 ′ or the metal substrate 110 ′ separated from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may be recycled.
  • the superconducting layer may be re-deposited on the buffer layer 130 'by recycling the separated metal substrate 110' and the buffer layer 130 ', and in some cases,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deposited superconducting layer.
  • Superconducting wire can be obtained.
  •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perconducting layer (S5).
  •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superconducting wire 100, which exists as the metal substrate 110, the buffer layer 130,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the protective layer 170,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 the superconducting layer 150 ′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70 ′′.
  • the protective layer 170 ′′ is preferably made of a noble metal material which is hardly oxidized.
  • the superconducting layer 10 having the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150 ′ composed of two layers may be obtained.
  • the superconducting layer-protective layer may be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s desired by repeating steps S2 to S5.
  • the step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op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S5) the step of laminating another superconducting wire (S2), the step of bonding the protective layer (S3), separating the metal substrate (S4) ) And the step (S5)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may be repeated to form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and protective layers to form a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having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repeatedly stacked.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constituting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may be composed of superconducting layers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the superconducting layers may be formed in different kinds or may be mixed by using a mixture of superconducting layers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and thus may be formed to have high conduction characteristics in both low and high magnetic fiel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perconducting layer.
  •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in which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150 and a protective layer 170 are stacked by repeating steps S2 to S5.
  • Figure 4b is a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200 made of a metal coating 210 to protect the superconducting wire after manufacturing the superconducting wire, as shown in Figure 4a, where the metal is suitably used copper, bronze, brass, stainless steel, etc. It is possible.
  • FIG. 4C illustrates a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300 having a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and then removing a metal substrate as shown in FIG. 4A.
  • 4D illustrates a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400 having a metal coating 410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including FIG. 4C.
  • 4E is a soldering 510 and an additional metal substrate 5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superconducting wires 10, 200, 300, and 400 corresponding to FIGS. 4A, 4B, 4C, and 4D.
  •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500 may be increased.
  •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may be cut into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an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ut superconducting wires 10 ′ in which the superconducting layer having a reduced area is repeatedly stacked.
  • the AC los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The AC loss can be reduced by cutting the laminated superconducting wire 10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 the thickness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simply increased, the biaxial orientation of the superconducting layer is collapsed and high current cannot flow. Therefore, conventionally, a superconducting wire unit was manufactured by simply laminating the entire superconducting wire and used.
  • the buffer layer and the metal substrate except for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removed, and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repeatedly stacked to manufacture a superconducting wire capable of flowing a high current to the thickness.
  • the wound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is taken out after oxygen heat treatment at 500 ° C. for about 3 hours, and through this, the laminated protective layer is diffusion-bonded into one layer having no interface. Then, when the superconducting wire is separated by physical force, the protective layer is bonded to one layer, so that the relatively weakly bonded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buffer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composed of a metal-buffer layer-superconducting layer-protective layer-superconducting layer. The superconducting wire and the wire made of the metal substrate-buffer layer are separated.
  • the silver is coated with a protective layer on top of the superconducting wire exposed to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n the winding and heat treatment are repeated on the bobbin together with the other superconducting wires to bond the protective layer into one layer, and the metal substrate from the superconducting wire.
  •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of a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 in which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layers and protective layers are lamina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uperconducting layer and the silver (Ag) protective layer are firmly stack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 9 is a graph of measuring the critical current using the sample 1, the actual measured superconducting wire width can be seen that the threshold current value is 980A / cmw. When converted to 1mm or 10mm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은,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으로 구성된 초전도선재 한 쌍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적층된 상기 초전도선재를 열처리하여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와; 일측의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상기 금속기판 및 상기 완충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표면이 노출된 상기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이축배향된 초전도층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통전특성을 향상시키며,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교류 손실을 감소시키는 고온초전도선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축배향된 초전도층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통전특성을 향상시키며,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교류 손실을 감소시키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선재는 물체의 전기저항이 0인 물질을 의미하며, 액체 헬륨의 온도인 4K 근처에서 전류저항이 0에 가까운 물질을 저온초전도선재(Low temperature superconductor, LTS), 액체 헬륨보다 고온의 액체 질소 온도인 77K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고온초전도선재(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HTS)라 일컫는다. 그 중 고온초전도선재는 테이프 형태의 금속층의 상부에 복수의 완충층을 코팅하고, 완충층의 상부에 초전도층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금속층, 완충층 및 초전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중 외부로 노출된 초전도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은(Ag)을 추가로 코팅한다. 이러한 고온초전도선재는 높은 임계온도, 임계전류밀도 및 임계자기장을 나타내기 때문에 초전도 마그넷, 초전도 케이블, 초전도 모터 또는 초전도 발전기 등과 같은 전력용 초전도 응용기기에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체질소 온도에서 사용 가능한 고온초전도선재를 포함하는 응용기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높은 통전특성과 자기장 내에서 우수한 통전특성이 요구되는데, 고온초전도선재는 그 특성이 낮아 액체질소 온도에서는 주로 케이블과 같이 발생자장이 매우 낮은 응용에는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장 중 임계전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속고정점 도입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액체질소 온도에서 응용할 수 있을 정도의 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다.
초전도 응용기기는 케이블, 버스바 등의 전류 이송기기 이외에는 주로 코일 형태로 이용이 된다. 이러한 코일의 경우 통전시 자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응용기기의 경우 대부분 3 내지 5Tesla 정도의 자장 발생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액체질소 온도에서 3 내지 5Tesla 정도의 자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에 적용할 수 있는 고온초전도선재를 제조할 수 있다면 초전도 응용기기의 상용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축배향된 초전도층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통전특성을 향상시키며,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교류 손실을 감소시키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으로 구성된 초전도선재 한 쌍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적층된 상기 초전도선재를 열처리하여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와; 일측의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상기 금속기판 및 완충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표면이 노출된 상기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다음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초전도선재를 권선보빈에 권선하여 적층하며, 권선을 통해 상기 초전도선재를 연속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는, 열처리를 통해 상기 보호층이 확산 접합되어 계면이 없는 하나의 보호층이 되며, 상기 초전도선재는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초전도층-금속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기 초전도층과 상기 보호층의 결합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완충층 및 상기 금속기판을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박리시키며, 상기 초전도선재는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초전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금속기판 및 상기 완충층은 재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다른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초전도층 및 보호층을 복수 개 적층함으로써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반복 적층된 적층초전도선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초전도선재의 상기 복수 개의 초전도층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장 특성이 상이한 초전도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초전도선재는 적층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단되어 복수 개의 절단초전도선재로 나누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전도층은 이축배향 구조를 가지며, 자속고정점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희토류가 포함된 희토류원소-바륨-구리-산소(RE-Ba-Cu-O) 계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층은 귀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귀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루테늄(Ru), 로듐(Rh), 이리듐(Ir), 오스뮴(Os), 레늄(R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금속기판과; 상기 금속기판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초전도층과; 복수 개의 상기 초전도층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초전도층을 상호 분리하는 복수 개의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층은 이축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이축배향된 초전도층을 복수 개로 적층하여 통전특성을 향상시키며,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교류 손실을 감소시키는 고온초전도선재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가 복수 개로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는 평면 가압 치구를 사용하여 초전도선재를 적층한 후 금속기판을 분리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권선 보빈을 이용하여 초전도선재에 연속 가압한 후 금속기판을 분리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의 단면 사진이고,
도 9은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의 임계전류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초전도선재는 박막코팅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전도층이 1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초전도선재를 여러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초전도선재를 솔더링을 통하여 적층된 초전도선재 유니트를 만들어 대전류 통전이 가능한 도체로 만드는 기술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따른 적층된 초전도선재 유니트는 초전도층을 제외한 다양한 층이 복수 개로 함께 적층되기 때문에 적층 두께에 비해 전류 값이 크게 상승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는, 금속기판과, 금속기판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초전도층과, 복수 개의 초전도층 사이에 적층되어 초전도층을 상호 분리하는 복수 개의 보호층을 포함하며, 초전도층은 이축배향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기판과 금속기판 상부에 적층된 초전도층 사이에는 완충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으로는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으로 구성된 초전도선재 한 쌍을 준비한다(S1).
이때, 자기장 특성이 동일한 초전도층을 가지는 한 쌍의 초전도 선재를 준비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상이한 자기장 특성을 가지는 초전도층을 가지는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준비할 수 있다.
금속기판(110, 110')-초전도층(150, 150')-보호층(170, 170')으로 구성된 초전도선재(100, 100') 한 쌍을 준비하는데, 여기서 초전도선재(100, 100')는 금속기판(110, 110')과 초전도층(150, 150') 사이에 완충층(130, 130')을 더 포함한 금속기판(110, 110')-완충층(130, 130')-초전도층(150, 150')-보호층(170, 1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완충층(130, 130')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완충층(130, 130') 대신 보호층(170, 170')을 금속기판(110, 110')과 초전도층(150, 150')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적층초전도선재(10)의 적용분야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금속기판(110, 110')은 내산화성을 지닌 하스텔로이(hastelloy)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금속기판(110, 110')의 상부에 형성된 산화물 완충층(130, 130')은 금속기판(110, 110')과 초전도층(150, 150')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다양한 자극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초전도선재(100, 100')를 제조시 초전도층(150, 150')은 고온에서 형성되는데 이때 금속기판(110, 110')의 금속물질이 초전도층(150, 150')에 확산되어 초전도층(150, 15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초전도층(150, 150')의 초전도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층(130, 130')은 이축배향(biaxial texture)된 완충층(130, 130')을 적용하는데, 이축배향된 완충층(130, 130')을 적용할 경우 그 위에 구성되는 초전도층(150, 150')의 이축배향된 결정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축배향 완충층(130, 130')은 IBAD, RABiTs, ISD 등과 같은 박막제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완충층(130, 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초전도층(150, 150')은 증착을 통해 형성되며, 이축배향 완충층(130, 130')에 의해 초전도층(150, 150') 또한 이축배향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축배향 구조는 두께방향으로는 c-축 배향이며 길이방향으로는 a-b면이 놓여진 구조를 의미하며, 이축배향도는 면내배향도(△φ)가 2°<△φ<10°, 면외배향도(△ω)가 1°<△ω<7°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이축배향 초전도층(150, 150')을 형성할 경우 통전특성이 매우 우수한 초전도선재(100, 100')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완충층(130, 130')을 따로 형성하지 않고 금속기판(110, 110')과 초전도층(150, 150') 사이에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보호층(170, 17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최종으로 제조되는 적층초전도선재(10)의 형상 또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 가능하다.
초전도층(150, 150')은 자속고정점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희토류가 혼합된 소재를 통해 초전도층(150, 150')을 이루게 된다. 희토류계 원소로 제조되는 초전도층(150, 150')의 재료는 희토류원소-바륨-구리-산소(RE-Ba-Cu-O) 계를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돌리늄-바륨-구리-산소(GdBCO), 사마륨-바륨-구리-산소(SmBCO), 유로퓸-바륨-구리-산소(EuBCO), 이트륨-바륨-구리-산소(YBCO), 홀뮴-바륨-구리-산소(HoBCO)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초전도층(150, 150')은 다수의 Re2O3 산화물이 존재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초전도층(150, 150')의 바깥에 구리 산화물이 다수 존재하는 구조로도 형성 가능하다.
금속기판(110, 110'), 완충층(130, 130') 및 초전도층(150, 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초전도선재(100, 100')에서 초전도층(150, 150')의 상부에는 보호층(170, 170')이 적층된다. 보호층(170, 170')은 초전도층(150, 150')의 상부에 얇게 코팅되며, 외부로부터 초전도층(150, 1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층(170, 170')은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귀금속은 초전도층(150, 150')과 접촉하여 반응하지 않으며 초전도층(150, 150')의 분리 및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후의 과정에서 보호층(170, 170')이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공기와 접촉하더라도 산화되지 않는 귀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귀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루테늄(Ru), 로듐(Rh), 이리듐(Ir), 오스뮴(Os), 레늄(R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보호층(170, 170')의 두께는 0.5 내지 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0.5㎛ 미만일 경우 초전도층(150, 150')을 제대로 보호할 수 없으며 10㎛를 초과할 경우 보호층(170, 17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초전도선재(100, 1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두께 비율에 대비하여 고전류의 적층초전도선재(10)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보호층(170, 170')은 초전도층(150, 150')과 같이 이축배향되거나 또는 이축배향되지 않은 것 중 선택 가능하다.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한다(S2).
금속기판(110, 110')-완충층(130, 130')-초전도층(150, 150')-보호층(170, 170')으로 이루어진 초전도선재(100, 100') 한 쌍을 보호층(170, 17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한다. 이때 보호층(170, 170')은 귀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면에 산화가 일어나지 않은 금속 상태이며, 보호층(170, 170')의 소재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초전도선재(100, 100')의 적층시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할 수도 있으나, 초전도선재(100, 100')는 생산시 기본적으로 매우 긴 길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만 적층하여 평면 가압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초전도선재(100, 100')를 각각이 권선된 보빈으로부터 공급하여 한 쌍의 초전도선재(100, 100')를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다음 장력을 인가하면서 권선보빈(30)에 권선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장력을 가하면서 초전도선재(100, 100')를 권선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초전도선재(100, 100')끼리 서로 밀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권선보빈(30)을 이용한 연속 가압 방법을 통해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초전도선재(100, 100')를 용이하게 적층 및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더미선재를 같이 권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층된 초전도선재를 열처리하여 보호층을 접합한다(S3).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층(170, 17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된 초전도선재(100, 100')를 열처리하여 보호층(170, 170')이 서로 계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보호층(170, 170')을 접합한다. 보호층(170, 170')의 경우 귀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 중에 노출해도 표면이 산화되지 않으며, 산화되지 않은 보호층(170, 170')을 적층한 후 여기에 열처리를 하게 되면 보호층(170, 170')이 확산 접합되어 계면이 없는 하나의 보호층(170, 170')이 된다. 이와 같이 보호층(170, 170')이 접합되면 적층된 초전도선재(100, 100')는 금속기판(110)-완충층(130)-초전도층(150)-보호층(170)-초전도층(150')-완충층(130')-금속기판(110')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초전도선재가 된다.
열처리 온도는 400 내지 6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400℃ 미만으로는 보호층(170, 170') 간의 확산접합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아 보호층(170, 170') 간에 접합이 어려우며 600℃를 초과할 경우 초전도층(150, 150')이 초전도 특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170, 17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서로 접합이 가능한 온도인 400 내지 600℃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초전도층(150, 150')은 자기장 특성이 동일한 초전도층(150, 150')일 수 있고 또는 자기장 특성이 서로 상이한 초전도층(150, 150')일 수 있다. 즉, 초전도층을 각각 다른 종류로 형성되거나 자기장 특성이 상이한 초전도층을 섞어서 사용하여 복합화 함으로써 각각의 초전도층이 가지는 특성에 따라 낮은 자장 및 높은 자장 모두에서 높은 통전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의 초전도층으로부터 금속기판을 분리한다(S4).
금속기판(110)-완충층(130)-초전도층(150)-보호층(170)-초전도층(150')-완충층(130')-금속기판(110')으로 이루어진 초전도선재(100) 중 일측에 있는 금속기판(110') 및 완충층(130')을 초전도층(150')으로부터 분리(delamination)한다. 이때 초전도층(150')으로부터 금속기판(110')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힘으로 금속기판(110')을 박리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물리적인 힘으로 금속기판(110')을 뜯어내면 상대적으로 결합이 강한 보호층(170)과 초전도층(150')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결합이 약한 초전도층(150')과 완충층(130') 또는 금속기판(110')은 초전도층(150')으로부터 서로 분리되어 완충층(130') 또는 금속기판(110')을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기판(110')이 분리되면 금속기판(110)-완충층(130)-초전도층(150)-보호층(170)-초전도층(150')이 초전도선재(100)로 남게되고, 초전도층(150')이 가장 외부에 적층되어 노출된다.
초전도선재(100)가 권선보빈(30)에 권선된 상태로 존재할 경우 초전도선재(100)에 장력(tension)이 가해지도록 초전도선재(100)와 금속기판(110')을 각각 다른 보빈에 권선하면서 금속기판(110')을 분리하게 되면 보다 쉽게 금속기판이 분리될 수 있다.
초전도층(150')으로부터 분리된 금속기판(110')과 완충층(130‘) 또는 금속기판(110’)은 재활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된 금속기판(110‘)과 완충층(130‘)을 재활용하여 완충층(130’) 상부에 초전도층을 다시 증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증착된 초전도층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초전도선재를 얻을 수 있다.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한다(S5).
금속기판(110)-완충층(130)-초전도층(150)-보호층(170)-초전도층(150')으로 존재하는 초전도선재(100)에서 초전도층(150')이 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초전도층(150')의 상부에 보호층(170'')을 형성한다. 여기서 보호층(170'')은 S1 단계와 마찬가지로 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귀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호층(170'')을 적층할 경우 초전도층(150, 150')과 보호층(170, 170'')이 복수 개로 적층된 적층초전도선재(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S1 내지 S5 단계를 통해 초전도층(150, 150')이 두 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초전도선재(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적층초전도선재(10)가 더 높은 전류밀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적용될 경우 S2 내지 S5 단계를 반복하여 초전도층-보호층을 원하는 만큼 복수의 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5) 이후에, 다른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S2),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S3),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S4) 및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5)를 반복하여 초전도층 및 보호층을 복수 개 적층함으로써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반복 적층된 적층초전도선재(1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초전도선재(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초전도층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장 특성이 상이한 초전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초전도층을 각각 다른 종류로 형성되거나 자기장 특성이 상이한 초전도층을 섞어서 사용하여 복합화함으로써 각각의 초전도층이 가지는 특성에 따라 낮은 자장 및 높은 자장 모두에서 높은 통전특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a의 경우 S2 내지 S5 단계를 반복하여 초전도층(150) 및 보호층(170)이 복수 개로 적층된 적층초전도선재(10)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초전도층(150)이 복수 개로 적층될 경우 그만큼 전류특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 같이 초전도선재를 제조한 다음 초전도선재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코팅(210)이 이루어진 적층초전도선재(200)로, 여기서 금속은 구리, 청동, 황동, 스테인레스스틸 등을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4c는 도 4a와 같이 초전도선재를 제조한 다음 금속기판을 제거한 적층초전도선재(300)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형상은 적용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4d는 도 4c를 포함하여 표면에 금속코팅(410)이 이루어진 적층초전도선재(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e는 도 4a, 4b, 4c, 4d에 해당하는 각각의 초전도선재(10, 200, 300, 400)의 외표면에 솔더링(510) 및 추가 금속기판(530)이 형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일 경우 적층초전도선재(50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층초전도선재(10)는 적층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단되어, 면적이 감소된 상기 초전도층이 반복 적층된 복수 개의 절단초전도선재(1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전도층의 단면적에 비례해서 교류손실이 증가하게 되는데, 적층초전도선재(10)를 적층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초전도층의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교류손실을 줄일 수 있다.
초전도선재에서 초전도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더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초전도선재 전체 두께 중 초전도층의 비율이 클수록 특성이 높은 초전도선재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초전도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초전도층의 이축배향이 무너져 고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순히 초전도선재 전체를 적층하여 초전도선재 유니트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전도선재를 적층한 후 초전도층 및 보호층을 제외한 완충층 및 금속기판을 제거하고, 초전도층과 보호층을 반복 적층하여 두께 대비 고전류를 흘릴 수 있는 초전도선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지며 보호층이 은(Ag)으로 코팅된 12mmw. 초전도선재 한 쌍을 준비한다. 준비된 초전도선재를 권선용 보빈인 인코넬 원형 권선보빈에 은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권선한다. 이때 더미선재를 co-winding하는데 더미선재는 0.05t.×10mmw. LMO코팅 하스텔로이 선재를 권선한다. 권선 방법으로는 더미선재를 ~3kgf로 10turn 정도 권선한 후 초전도선재 한 쌍을 보호층이 마주보도록 적층한 후 더미선재를 co-winding 한다. 이때 더미선재를 추가로 30turn 정도 감아서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권선된 초전도선재를 500℃에서 3시간 정도 산소 열처리 후 꺼내며, 이를 통해 적층된 보호층이 계면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인 하나의 층으로 확산 접합된다. 그 후 물리적인 힘으로 초전도선재를 분리하면 보호층이 하나의 층으로 접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된 초전도층과 완충층이 서로 분리되어 금속-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초전도층으로 이루어진 초전도선재와, 금속기판-완충층으로 이루어진 선재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초전도층이 노출된 초전도선재의 상부에 보호층으로 은을 코팅한 다음 이를 다른 초전도선재와 함께 보빈에 권선 및 열처리를 반복하여 다시 보호층을 하나의 층으로 접합시키고, 초전도선재로부터 금속기판-완충층으로 이루어진 선재 분리를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초전도층이 반복 적층된 초전도선재를 얻는다.
도 6은 평면 가압 치구를 사용하여 초전도선재를 적층한 후 금속기판을 분리한 것으로 이 경우 긴 길이의 초전도선재를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가압 후 금속기판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용하기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비해 도 7과 같이 권선 보빈을 이용하여 초전도선재에 연속 가압한 후 금속기판을 제거할 경우 초전도층으로부터 금속기판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을 통해 초전도층 및 보호층이 복수 개로 적층된 초전도선재의 단면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초전도층과 은(Ag) 보호층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적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sample 1을 이용하여 임계전류를 측정한 그래프로, 실제 측정한 초전도선재의 폭은 1mm이나 10mm 폭으로 환산하였을 때 임계전류 값이 980A/cmw.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속기판-완충충-초전도층-보호층으로 구성된 초전도선재 한 쌍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와;
    적층된 상기 초전도선재를 열처리하여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와;
    일측의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상기 금속기판 및 완충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표면이 노출된 상기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다음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초전도선재를 권선보빈에 권선하여 적층하며, 권선을 통해 상기 초전도선재를 연속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는,
    열처리를 통해 상기 보호층이 확산 접합되어 계면이 없는 하나의 보호층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전도선재는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초전도층-금속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기 초전도층과 상기 보호층의 결합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완충층 및 상기 금속기판을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전도층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금속기판 및 상기 완충층은 재활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전도선재는 금속기판-완충층-초전도층-보호층-초전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층의 상부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다른 초전도선재를 적층하는 단계, 보호층을 접합하는 단계, 금속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초전도층 및 보호층을 복수 개 적층함으로써 복수 개의 초전도층이 반복 적층된 적층초전도선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초전도선재의 상기 복수 개의 초전도층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장 특성이 상이한 초전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초전도선재는 적층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절단되어 복수 개의 절단초전도선재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층은 이축배향 구조를 가지며,
    자속고정점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희토류가 포함된 희토류원소-바륨-구리-산소(RE-Ba-Cu-O) 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귀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귀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루테늄(Ru), 로듐(Rh), 이리듐(Ir), 오스뮴(Os), 레늄(R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제조방법.
  13.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에 있어서,
    금속기판과;
    상기 금속기판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초전도층과;
    복수 개의 상기 초전도층 사이에 적층되어 상기 초전도층을 상호 분리하는 복수 개의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초전도층은 이축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PCT/KR2019/003127 2018-04-10 2019-03-19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989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90,011 US11659776B2 (en) 2018-04-10 2020-06-02 High temperature-superconducting wire having superconducting layer staked there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60 2018-04-10
KR1020180041360A KR102453489B1 (ko) 2018-04-10 2018-04-10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890,011 Continuation US11659776B2 (en) 2018-04-10 2020-06-02 High temperature-superconducting wire having superconducting layer staked there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37A1 true WO2019198937A1 (ko) 2019-10-17

Family

ID=6816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127 WO2019198937A1 (ko) 2018-04-10 2019-03-19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9776B2 (ko)
KR (1) KR102453489B1 (ko)
WO (1) WO2019198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42A (ko) * 2019-11-28 2021-06-07 한국전기연구원 확산접합을 이용한 고온초전도코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고온초전도코일
KR102606833B1 (ko) * 2022-11-18 2023-11-24 한국전기연구원 균일자기장 발생이 가능한 굽힘형상 고온초전도 벌크자석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73A (ja) * 2003-02-18 2004-09-09 Sharp Corp 薄膜太陽電池製造方法および薄膜太陽電池および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7266149A (ja) * 2006-03-28 2007-10-11 Toshiba Corp 超電導線材の接続方法及び超電導線材
KR20160019684A (ko) * 2014-08-12 2016-02-22 한국전기연구원 적층 고온초전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57985A1 (ko) * 2015-10-02 2017-04-06 한국전기연구원 적층된 초전도선재의 접합방법 및 이를 통해 적층 접합되는 초전도선재유니트
JP2017117523A (ja) * 2015-12-21 2017-06-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及び超電導線材の接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5646D0 (en) * 1998-03-18 1998-05-13 Bicc Plc Superconducting tapes
US6765151B2 (en) * 1999-07-23 2004-07-20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Enhanced high temperature coated superconductors
US7071148B1 (en) * 2005-04-08 2006-07-04 Superpower, Inc. Joined superconductive articles
EP1912785B1 (en) * 2005-08-01 2011-02-16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Electrodeposition of biaxially textured layers on a substrate
US7288332B2 (en) * 2005-10-06 2007-10-30 Los Almos National Security, Llc Conductive layer for biaxially oriented semiconductor film growth
US7674751B2 (en) * 2006-01-10 2010-03-09 American Superconductor Corporation Fabrication of seale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wires
JP5838596B2 (ja) * 2011-05-30 2016-01-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薄膜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5406B1 (ko) 2015-11-04 2018-04-04 한국전기연구원 구리 이온을 이용한 초전도선재의 접합방법 및 이를 통해 적층 접합되는 초전도선재유니트
US11289640B2 (en) * 2016-01-21 2022-03-29 Brookhaven Technology Group, Inc. Second generation superconducting filaments and c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73A (ja) * 2003-02-18 2004-09-09 Sharp Corp 薄膜太陽電池製造方法および薄膜太陽電池および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7266149A (ja) * 2006-03-28 2007-10-11 Toshiba Corp 超電導線材の接続方法及び超電導線材
KR20160019684A (ko) * 2014-08-12 2016-02-22 한국전기연구원 적층 고온초전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57985A1 (ko) * 2015-10-02 2017-04-06 한국전기연구원 적층된 초전도선재의 접합방법 및 이를 통해 적층 접합되는 초전도선재유니트
JP2017117523A (ja) * 2015-12-21 2017-06-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及び超電導線材の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13064A1 (en) 2020-10-01
KR20190118245A (ko) 2019-10-18
KR102453489B1 (ko) 2022-10-11
US11659776B2 (en)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0925B (zh) 提高工程电流密度的高温超导导线
WO2019198937A1 (ko) 초전도층이 적층된 고온초전도선재 및 그 제조방법
JPH06325629A (ja) 酸化物超電導導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た酸化物超電導電力ケーブル
US769880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ully transposed high Tc composite superconductor and a superconductor produced by said method
WO2015129272A1 (ja) 超電導ケーブルの端末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97509A (ko) 코일 권선들 및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초전도 코일 장치
EP0807994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uperconducting conductors
EP1479111B1 (en) Improved superconductor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superconductors
US20220246329A1 (en)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having multiple superconducting layers, an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US8260387B2 (en) Superconducting articl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with reduced AC magnetic field losses
US957021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ursor, method for manufacturing superconducting wire, precursor, and superconducting wire
KR102668419B1 (ko) 다중 초전도층을 가지는 고온초전도선재
WO2021107248A1 (ko) 확산접합을 이용한 고온초전도코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고온초전도코일
EP3696826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oxide superconducting wire materials
JP6724125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207727A1 (ja) 超電導線材および超電導コイル
KR20210026613A (ko) 다중 초전도층을 가지는 고온초전도선재
Hornung et al. Investigation of Bi-HTS wires for high field insert coils
JP2018195612A (ja) 超電導コイル
JP6318284B1 (ja) 超電導線材
WO2019172432A1 (ja) 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体および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20167039A (ja) 超電導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25391B2 (ja) 超電導素子
JP2019075201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
JPH02216713A (ja) 超伝導線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48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48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