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24998A1 -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 Google Patents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24998A1
WO2019124998A1 PCT/KR2018/016301 KR2018016301W WO2019124998A1 WO 2019124998 A1 WO2019124998 A1 WO 2019124998A1 KR 2018016301 W KR2018016301 W KR 2018016301W WO 2019124998 A1 WO2019124998 A1 WO 20191249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be
region
eye
intraocular press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3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종철
기창원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US16/955,41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93673B2/en
Priority to CN201880089644.9A priority patent/CN111757718A/zh
Priority to JP2020554998A priority patent/JP7063499B2/ja
Priority to EP18891618.3A priority patent/EP3730104A4/en
Publication of WO20191249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24998A1/ko
Priority to US17/672,299 priority patent/US1177159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adsorbability or resorbability, i.e. in adsorption or resorption time
    • A61F2250/003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adsorbability or resorbability, i.e. in adsorption or resorption time made from both resorbable and non-resorbable prosthetic parts, e.g. adjac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s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device composed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in an implantable device.
  • Glaucoma is a disease that causes the optic nerve to function abnormally due to increased pressure of the optic nerve or impaired blood supply.
  • the optic nerve is a nerve that transmits the light received by the eye to the brain, so if there is a disability, the visual field defect appears, and at the end, the sight is lost.
  • the main cause of glaucoma is optic nerve damage due to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ntraocular pressur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anastomoses (water produced in the eye, which maintains the shape of the eye and serves to supply nutrients to the eye).
  • glaucoma treatments include glaucoma filtration, which is used to administer eye drops or intraocular pressure lowering agents, or to open a small hole in the iris through a laser to aid in the circulation and release of water.
  • glaucoma filtration which is used to administer eye drops or intraocular pressure lowering agents, or to open a small hole in the iris through a laser to aid in the circulation and release of water.
  • the operation of inserting an implant device to maintain the intraocular pressure at a certain level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intracanal water.
  • Implant devices to be inserted into the eye through the above-described surgery are tube-shaped devices having a diameter of a certain size and made of silicon. Since the implant devices have a certain size, once they are inserted, their intraocular pressure It has been difficult to control the intraocular pressure effectively.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58811 discloses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device and the implant device is formed in a lance shape.
  • the eye tissue may be injured in the process, and the problem of the problem that the discharge of the anoxic water can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ance type may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phthalmic implan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generated in the front of the eyeball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
  • the implant device for an eye disease includes a first tube through which an ointment water is introduced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nd a second tube formed inside the first tube, 2 tube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which is broken down in a gui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ye, and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re formed by a distance from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ball
  •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nd may be an inflatable structure have.
  •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be circular,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be elliptical.
  •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may be greater than 100 m (micro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ube may be formed to have a range of from 30 m to less than 100 m. have.
  •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ange of 7 mm (millimeter) to 10 mm.
  • the second tube further comprises a rear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tube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r narrower diameter as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ube, And a rear protective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tube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ar tube to protect the rear tube.
  • the implantable device for an eye disease since the inner tube of the device is decompos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amount of the generated water generated in the front of the eye is controlled, Can be done.
  • the inner pressure of the tube due to inflow of the inflow water can be adjusted, the inflow water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and the inflow water can be fixe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secure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mplant device for an eye dise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guide to discharge the surging wat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ye implant implant devic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A to 3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ye implant implant devic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ye implant implant devic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ye implant implant devic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in which a pore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plant device for an eye disease includes a first tube through which an ointment water is introduced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nd a second tube formed inside the first tube, 2 tube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which is broken down in a gui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ye, and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re formed by a distance from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ball
  •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nd may be an inflatable structure have.
  •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be circular,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may be elliptical.
  •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may be greater than 100 m (micrometer),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ube may be formed to have a range of from 30 m to less than 100 m. have.
  •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ange of 7 mm (millimeter) to 10 mm.
  • the second tube further comprises a rear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tube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r narrower diameter as the first region of the second tube, And a rear protective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tube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ar tube to protect the rear tube.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mplant device for an eye dise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guide to discharge the surging water.
  • the implant device 100 for an eye disease is designe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intraocular pressure of the intraocular lens To adjust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 the implant device 100 for eye diseases can be inserted into the conjunctival tissue of the eye or the Tenon's tissue 4 by being peeled off, and after the insertion, the conjunctival tissue or the Tenon's tissue 4 is covered again .
  • the eye implant device 100 when the eye implant device 100 is inserted, one side of the device is inserted in the front of the eyeball (i.e., intraocular)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conjunctival tissue or tenon tissue 4
  • the extraocular area of the outer sclera can be inserted into the extraocular region of the outer sclera so that the anterior mouth generated from the front 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conjunctival tissue or the tenon tissue 4 through the ocular implant system 100.
  • the ocular disease may include glaucoma which is caused by an in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 glaucoma may include congenital glaucoma, traumatic glaucoma, glaucoma, ocular hypertension, primary open-angle glaucoma, Chronic glaucoma, chronic glaucoma, hypotonic glaucoma, pigmentary glaucoma, primary closed right-angle glaucoma, acute closed right-angle glaucoma, chronic occlusion right glaucoma, intermittent closed right-angle glaucoma, glaucoma secondary to trauma to the eye, Glaucoma secondary to inflammation of the eye, glaucoma secondary to the drug, secondary glaucoma secondary to neovascular glaucoma or uveitis, and the lik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ye implant 100 for eye disea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a to 3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djustment of the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cular disease impla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eye implant device 100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includes a first tube 10 into which an intravascular water is introduced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nd a second tube 20 formed inside the first tube 10, wherein the second tube 20 is biodegradable, which is decomposed at a predetermined tim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eye, And the like.
  •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can be divided into first regions 11 and 21 and second regions 12 and 22 according to distances from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ball,
  •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ar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regions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May be an inflatable structure.
  • an implant device 100 for an eye disease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that is disassembled in a gui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And a second tube 20 formed inside the tube 10.
  • the biodegradable material may be collagen, chitin, or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the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 that can be decomposed in vivo and does not cause various diseases even after decomposition and has no side effects.
  • the second tube 20 may be formed so as to be completely decomposed for one month, and the time taken until the second tube 20 is completely decompos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ocular disease, The second tube 20 can be formed.
  •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may be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which is decomposed in the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predetermined time, like the second tube 2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region 11 of the first tube 10 is formed of a non-decomposable material such as silicon and the second region 12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such as collagen or chiti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The first region 11 of the first tube 1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not be decomposed and is supported so as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water. It can serve as a channel. If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like the second tube 20,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internal water by decomposition.
  • a region where the distance is relatively close to the front of the eyeball is referred to as a reg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11, 21 and the first region 11, 21 and is distant from the front of the eyeball Can be divided into the second regions (12, 22).
  •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are designed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inflow water, so that the inflow water can be discharged at a proper flow rate and flow rate.
  •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is opened by the needles or the like by the clinician at the time when the second tube 20 is completely decomposed at the time when the above- And after the second area 22 has been removed, only the first area 11 of the first tube 10 in the guide is allowed to drain leav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by controlling the intraocular pressure .
  •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taken along the X-axis and the Y-axis. 2 and 3A,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are wider than the first regions 11 and 21 in the Y-axis direction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as the wastewater flows in.
  •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with reference to the X axis and the Z axis.
  • one surface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100 may be curv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eyeball.
  • one surface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refers to a portion of the eye that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vitreous body when the eye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As shown in FIG. 3D, 22, or the like.
  • this one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eyeball, the implant tube 100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e guide.
  •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regions 11 and 21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cross sections of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bent in the upward direction (i.e., the Z axis) of the tube 100. That is, since the first regions 11 and 21 of the tube 100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diameter, they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 the second regions 12 and 21 may have a long diameter formed in the Y-axis direction, a short diameter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 elliptical shape bent in the Z-axis direction.
  • the reason why the second regions 12 and 21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bent in the Z-axis direction is that the one surface of the tube 100 (i.e.,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second regions 11 and 22) As shown in FIG.
  • the thicknesses of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are set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gion 10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 20 of the second tube 20, (11, 21). Since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have an inflatable structure in order to control the pressure formed inside the tube by flowing the water into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may be relatively thin as compared with the first regions 11 and 2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flow fixedly.
  • a hole may be formed a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 the diseased implant tube 100 can be easily fixed in the guide. That is, after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the hole formed at the contact point where the first region 11 and the second region 12 meet by the clinical procedure of the first tub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is moved or shaken to another region in the region where the eye 100 is inserted by pressure or guiding fiber tissue.
  •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first areas 11 and 21,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reas 12 and 22, and is discharged effectively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inflow water.
  •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 and 21.
  • the first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11) of the tube (10) (r 2) is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21 may be formed of more than 100 ⁇ m
  • the second tube (20) (r 1) May be formed to have a range value of 30 mu m or more and less than 100 mu m.
  • the diameter r 1 of the first region 21 of the second tube 20 before disintegration can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45 ⁇ .
  • the diameter r 3 of the second region 22 of the second tube 20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11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region 1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r 1 ) of the first region (11) of the first tube (10).
  •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1 region 11 and 21, respectively.
  • the diameters of the outlets of the second regions 12 and 22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may be selectively formed to be equal to or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first region 11 and 21 have.
  • the lengths of the first regions 11 and 21 of the first tube 10 and the second tube 20 may have a range of 7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region 12 is removed by a clinician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front of the eyeball to the conjunctival tissue or the tenon tissue only through the first region 11,
  • the first regions 11 and 2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ranging from 7 mm to 10 mm.
  • Clinically significant effects may be prominent within the aforementioned numerical ranges, but these valu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values. And may be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or length value by a patient's eye size, treatment timing, period, or the lik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n eye implant system 100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5A to 5C are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mplantable medical device 100 for eye diseases.
  • a second tube 20 is connected to a second region 22 of the second tube 20, And a rear tube 23 having a diameter the same as or narrower than the first area 21 of the rear tube 23.
  • the first tube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and has a rear protection 23 formed to surround the rear tube 23 from outside in order to protect the rear tube 23 And may further include a tube 13.
  • the rear tube 23 of the second tube 20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22 of the second tube 20 for effective pressure control of the inner tube, (R 4 ) of the rear tube 23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r (r) of the first region 21 of the second tube 20 by determining the discharge amount and the discharge speed of the wastewa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ocular disease, 1 ) or a diameter that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 the rear protective tube 13 of the first tube 10 prevents the rear tube 23 of the second tube 20 from being clogged or damaged by the fiber structure by the fiber structure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rear tube 23 from the outside.
  • the rear protective tube 1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and is intended to protect the rear tube 23 from the fiber tissue, 12). ≪ / RTI >
  • the rear protective tube 13 and the rear tube 23 are formed at the time when the second tube 20 is completely disassembled In a manner such as opening it with a needle or the like by a clinician or the like. If the rear protective tube 13 and the rear tube 23 are formed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y can be decomposed naturally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remove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discharge amount It can be easily adjusted.
  • FIG. 5C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ectional view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based on the X-axis and the Z-axis.
  • one surface of the eye 100 for ocular disease may be curv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eyeball.
  • the one surface of the implantable medical implant tube 100 refers to a portion of the eye that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vitreous body when the eye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 FIG. 5C , 22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ar tube 23, and the like.
  • this one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eyeball, the implant tube 100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e guide.
  • FIGS.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mplant device 100 for eye diseases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in which a por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 a pore 3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for fixation of the ocular implant device 100.
  • the pores 30 when the pores 30 ar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ular disease from developing after the eye implant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The tissue can flow into the pores 30 to fix the implant device 100 for eye diseases.
  • the pores 30 are formed in the second tube 20, the pores 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ube 10, because the fiber structure may flow into the tubes and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ater.
  • the second tube 20 may be formed of a metal.
  • a pore 30 for fixing the implant device 100 may be formed.
  • the rear protection tube 13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for protecting the rear tube 23 than the second region 12 of the first tube 10, the rear protection tube 13 The pores 30 are preferably formed but not limit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는, 안압의 조절을 위해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 및 제 1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를 포함하되, 제 2 튜브는 안(eye)내부로 삽입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는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 가능하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은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에 비해 직경이 넓고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Description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본 발명은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내장 등의 안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안방수를 효과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이중 구조로 형성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녹내장은 안압의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의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시신경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여 보게 하는 신경이므로 여기에 장애가 생기면 시야 결손이 나타나고, 말기에는 시력을 상실하게 된다. 녹내장의 발병의 주요 원인은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의 손상이다. 안압은 주로 안방수(눈 안에서 만들어지는 물을 말하며, 눈의 형태를 유지하고 눈 내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녹내장의 치료 방법에는 안압하강제를 점안 또는 복용하거나, 레이저를 통해 홍채에 작은 구멍을 뚫어 안방수의 순환 및 배출을 돕는 녹내장 여과술 등이 있는데, 이러한 약물 치료 및 여과술이 실패하거나 약물 치료 및 여과술 이후 안압의 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안내에 안방수의 양을 조절하여 안압을 일정 수준 유지하기 위한 임플란트 장치를 삽입하는 수술을 진행한다.
전술한 수술을 통해 안구에 삽입되는 종래의 임플란트 장치들은 대부분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며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튜브 형태의 장치로,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므로 한번 삽입되고 나면 안압이 어느 정도 수치인지와 상관없이 일정한 양의 안방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효과적인 안압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내에서 안정적으로 임플란트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8811호에서는 임플란트 장치의 외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임플란트 장치를 ㄱ자 형태로 구성하였는데, 이와 같이 장치가 형성될 경우 삽입 과정에서 안구 조직에 상처가 생길 수 있으며, ㄱ자 형태의 구성으로 인해 안방수의 배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안질환의 치료를 위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구의 앞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장치의 이탈로 인한 문제 등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안방수를 배출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안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안압의 조절을 위해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 및 제 1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를 포함하되, 제 2 튜브는 안(eye)내부로 삽입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는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 가능하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은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에 비해 직경이 넓고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100μm(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30μm 이상 100μm 미만의 범위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길이는 7mm(밀리미터) 이상 10mm 이하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튜브는 제 2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튜브를 더 포함하며, 제 1 튜브는 제 1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후방 튜브를 보호하기 위해 후방 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내부 튜브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해됨으로써, 안구의 앞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효과적인 안질환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방수의 유입에 따라 튜브의 일부분이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방수의 유입으로 인한 튜브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안방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안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가 안내에 삽입되어 안방수를 배출하는 형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어(pore)가 형성된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안압의 조절을 위해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 및 제 1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를 포함하되, 제 2 튜브는 안(eye)내부로 삽입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는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 가능하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은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에 비해 직경이 넓고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100μm(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되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30μm 이상 100μm 미만의 범위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길이는 7mm(밀리미터) 이상 10mm 이하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튜브는 제 2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튜브를 더 포함하며, 제 1 튜브는 제 1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후방 튜브를 보호하기 위해 후방 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가 안내에 삽입되어 안방수를 배출하는 형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는 안질환으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여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에서 생성되는 안방수(aqueous humor)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튜브 형태의 임플란트 장치를 말한다.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는 안구의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을 박리시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을 덮는 방식으로 안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가 삽입될 시, 장치의 일측이 안구의 앞방(i.e. 안구 내, intraocular)에 삽입되고 반대편 일측이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i.e. 안구 밖의 공막 상측, extraocular)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방에서 생성되는 안방수가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를 통해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4)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질환에는 안압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녹내장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녹내장에는 선천성 녹내장, 외상성 녹내장, 녹내장 의증, 고안압증, 원발성 개방우각 녹내장, 정상안압 녹내장, 수정체의 가성낙설을 동반한 수정체낭성 녹내장, 만성 단순 녹내장, 저안압 녹내장, 색소성 녹내장, 원발성 폐쇄우각 녹내장, 급성 폐쇄우각 녹내장, 만성 폐쇄우각 녹내장, 간헐성 폐쇄우각 녹내장, 눈의 외상에 속발된 녹내장, 눈의 염증에 속발된 녹내장, 약물에 속발된 녹내장, 신생혈관 녹내장 또는 포도막염에 의한 이차녹내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 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는, 안압의 조절을 위해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10) 및 제 1 튜브(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20)를 포함하되, 제 2 튜브(20)는 안(eye)내부로 삽입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는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 1 영역(11, 21) 및 제 2 영역(12, 22)으로 구분 가능하고,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은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에 비해 직경이 넓고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녹내장 등의 안질환으로 인해 안압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방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야 효율적으로 안압을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인 녹내장 등의 안질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며, 장치의 외부를 형성하는 제 1 튜브(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생분해성 물질은 콜라겐(collagen), 키틴(chitin)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체 내에서 분해될 수 있으며 분해가 된 이후에도 각종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부작용이 없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튜브(20)는 바람직하게는 한달동안 완전히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안질환의 정도, 안구의 상태 등에 따라 제 2 튜브(20)가 완전히 분해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제 2 튜브(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은 전술한 제 2 튜브(2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은 실리콘 등과 같이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고, 제 2 영역(12)은 전체 또는 상측 일부가 콜라겐, 키틴 등과 같은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영역(11)과 제 2 영역(12)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안압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목적에 따른 것으로,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은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안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이 제 2 튜브(20)와 같이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소정의 시간 흐름에 따라 제 2 영역(12, 22)이 분해됨으로써 안방수의 조절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안구의 앞방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을 제 1 영역(11, 21), 제 1 영역(11, 21)과 연결되며 안구의 앞방으로부터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영역을 제 2 영역(12, 22)으로 구분할 수 있는다. 이때, 제 2 영역(12, 22)은 유입되는 안방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안방수가 적절한 유속 및 유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이 달성되어 더 이상 필요성이 없어진 시점인 제 2 튜브(20)가 완전히 분해되는 시점에 임상의 등에 의해 주사침 등으로 열어주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22)이 제거된 이후에는 안내에서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만이 남아 일정한 양의 안방수를 배출하도록 하여 안압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a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즉,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은 Y축 방향으로 제 1 영역(11, 21)에 비해 직경이 넓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Y축 및 Z축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d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X축 및 Z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일면은 안구의 곡면과 유사한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일면이라 함은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가 안내에 삽입되었을 때 안구의 유리체 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도 3d와 같이 제 2 영역(11, 22)의 하단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일면이 안구의 곡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임플란트 튜브(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11, 2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의 단면은 튜브(100)의 상측(i.e. Z축) 방향으로 휘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튜브(100)의 제 1 영역(11, 21)은 직경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2, 21)은 긴 지름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짧은 지름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Z축 방향으로 휘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영역(12, 21)이 이와 같이 Z축 방향으로 휘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튜브(100)의 일면(i.e. 제 2 영역(11, 22)의 하단면)이 안구의 곡면과 유사한 형태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영역(12, 22)이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팽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의 두께는 제 1 영역(11, 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영역(12, 22)이 팽창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안방수가 유입되어 튜브 내부에서 형성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여 제 2 영역(12, 22)이 팽창되기 위해 안방수가 고정되어 흐를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 1 영역(11, 21)과 비교하여 제 2 영역(12, 22)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과 제 2 영역(12)이 만나는 접점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멍을 통해 의료용 실 등이 연결되어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가 안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가 안내에 삽입된 이후 제 1 튜브(10)의 임상의 등에 의해 제 1 영역(11)과 제 2 영역(12)이 만나는 접점에 형성된 구멍이 의료용 실 등을 통해 안내의 조직과 연결됨으로써,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가 안방수의 압력 또는 안내의 섬유조직 등에 의해 삽입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안방수는 제 1 영역(11, 21)으로 유입되어 제 2 영역(12, 22)을 통과하여 배출되며, 유입되는 안방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안방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영역(11, 21)에 비해 제 2 영역(12, 22)의 직경이 더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의 직경(r2)은 100μ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21)의 직경(r1)은 30μm 이상 100μm 미만의 범위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해되기 전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21)의 직경(r1)은 45μm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 2 영역(12, 22)의 직경이 제 1 영역(11, 21)에 비해 넓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22)의 직경(r3)는 제 1 튜브(10)의 제 1 영역(11)의 직경(r1)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방수가 배출되는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의 배출구는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11, 21)의 유입구와 동일하거나 더 넓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구의 직경은 최종적으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안방수의 유속을 결정하므로, 안질환의 정도, 안구의 상태 등에 따라 안방수의 배출 속도 및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의 배출구의 직경이 제 1 영역(11, 21)의 유입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넓도록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11, 21)의 길이는 7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 2 영역(12)이 임상의 등에 의해 제거되고 나면 제 1 영역(11)만을 통해 안방수를 안구의 앞방으로부터 결막조직 또는 테논조직으로 배출해야 하므로, 안정적으로 안방수를 배출하기 위해 길이가 7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값을 가지도록 제 1 영역(11, 2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수치 범위 내에서 임상적으로 효과(ex. 적정 안방수 유지 또는 안방수 유출 등)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이러한 수치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안구 크기, 치료 시기, 기간(period) 등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직경 또는 길이 값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튜브(20)는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22)과 연결되며,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21)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튜브(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튜브(10)는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과 연결되며, 후방 튜브(23)를 보호하기 위해 후방 튜브(23)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보호 튜브(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b를 참조하면 제 2 튜브(20)의 후방 튜브(23)는 효과적인 안방수의 압력 조절을 위해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22)과 연결되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안질환의 정도, 안구의 상태 등에 따라 안방수의 배출량, 배출속도 등을 결정하여 후방 튜브(23)의 직경(r4)을 제 2 튜브(20)의 제 1 영역(21)의 직경(r1)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튜브(10)의 후방 보호 튜브(13)는 섬유조직에 의해 제 2 튜브(20)의 후방 튜브(23)가 섬유조직에 의해 막히거나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후방 튜브(23)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보호 튜브(13)는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후방 튜브(23)를 섬유조직으로부터 보호가기 위한 것이므로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보호 튜브(13) 및 후방 튜브(23)는 제 1 튜브(10) 및 제 2 튜브(20)의 제 2 영역(12, 22)과 마찬가지로 제 2 튜브(20)가 완전히 분해되는 시점에 임상의 등에 의해 주사침 등으로 열어주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거되는 방식이 아니더라도, 후방 보호 튜브(13) 및 후방 튜브(23)가 전술한 바와 같은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안방수의 유압 및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c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X축 및 Z축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일면은 안구의 곡면과 유사한 형태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의 일면이라 함은 안질환용 임플란트 튜브(100)가 안내에 삽입되었을 때 안구의 유리체 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도 5c와 같이 제 2 영역(11, 22) 및 후방 튜브(23)의 하단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일면이 안구의 곡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임플란트 튜브(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어(pore)(30)가 형성된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에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고정을 위한 포어(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에 포어(30)가 형성되는 경우,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가 안내에 삽입된 이후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라난 안구의 섬유조직이 포어(30)로 유입되어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튜브(20)에 포어(30)가 형성되면 섬유조직이 튜브 내부로 유입되어 안방수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포어(30)는 제 1 튜브(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목적에 따라 제 2 튜브(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후방 튜브(23) 및 후방 보호 튜브(13)가 추가로 형성된 경우에도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 또는 후방 보호 튜브(13) 중 적어도 하나에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100)의 고정을 위한 포어(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보호 튜브(13)의 경우 제 1 튜브(10)의 제 2 영역(12)보다 후방 튜브(23)의 보호를 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므로 후방 보호 튜브(13)에 포어(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압의 조절을 위해 안방수가 유입되는 제 1 튜브; 및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튜브는 안(eye)내부로 삽입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안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는 안구의 앞방(anterior chamber)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 가능하고,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에 비해 직경이 넓고 상기 안방수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2 영역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100μm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직경은 30μm 이상 100μm 미만의 범위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및 제 2 튜브의 제 1 영역의 길이는 7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는 상기 제 2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튜브의 제 1 영역과 동일하거나 더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튜브는 상기 제 1 튜브의 제 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 튜브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후방 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보호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PCT/KR2018/016301 2017-12-20 2018-12-20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WO20191249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55,414 US11793673B2 (en) 2017-12-20 2018-12-20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for adjusting intraocular pressure
CN201880089644.9A CN111757718A (zh) 2017-12-20 2018-12-20 用于调节眼压的眼部疾病用植入装置
JP2020554998A JP7063499B2 (ja) 2017-12-20 2018-12-20 眼圧の調節のための眼疾患用インプラント装置
EP18891618.3A EP3730104A4 (en) 2017-12-20 2018-12-20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INTENDED TO REGULATE INTRAOCULAR PRESSURE
US17/672,299 US11771595B2 (en) 2017-12-20 2022-02-15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for adjusting intraocular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08A KR102190257B1 (ko) 2017-12-20 2017-12-20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KR10-2017-0176208 2017-1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955,414 A-371-Of-International US11793673B2 (en) 2017-12-20 2018-12-20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for adjusting intraocular pressure
US17/672,299 Continuation US11771595B2 (en) 2017-12-20 2022-02-15 Implant device for eye disease for adjusting intraocular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998A1 true WO2019124998A1 (ko) 2019-06-27

Family

ID=6699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6301 WO2019124998A1 (ko) 2017-12-20 2018-12-20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93673B2 (ko)
EP (1) EP3730104A4 (ko)
JP (1) JP7063499B2 (ko)
KR (1) KR102190257B1 (ko)
CN (1) CN111757718A (ko)
WO (1) WO2019124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314B1 (ko) * 2019-02-27 2022-06-3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코팅층을 포함하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KR102329546B1 (ko) * 2019-07-13 2021-11-23 주식회사 딥바이오 뉴럴 네트워크 및 비국소적 블록을 이용하여 세그멘테이션을 수행하는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1072315A1 (en) 2019-10-10 2021-04-15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flow glaucoma shu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1151007A1 (en) 2020-01-23 2021-07-29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flow glaucoma shu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23514234A (ja) 2020-02-14 2023-04-05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回転ベースの流動制御アセンブリを有するシャントシステム、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737920B2 (en) 2020-02-18 2023-08-29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flow glaucoma shunts having non-linearly arranged flow control ele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3367885B (zh) * 2020-03-10 2022-07-29 成都米戈思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青光眼引流管及其材料和植入装置
WO2021188952A1 (en) 2020-03-19 2021-09-23 Shifamed Holdings, Llc Intraocular shunts with low-profile actuation ele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1212007A2 (en) 2020-04-16 2021-10-21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40130892A1 (en) * 2020-12-23 2024-04-25 Tmd Lab Co. Ltd Novel aqueous humor drainage device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WO2022159723A1 (en) 2021-01-22 2022-07-28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shunting systems with plat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1863A1 (en) * 2006-01-17 2007-08-16 De Juan Eugene Jr Glaucoma Treatment Device
US20140236066A1 (en) * 2013-02-19 2014-08-21 Aquesys, Inc. Adjustable intraocular flow regulation
US20140343476A1 (en) * 2011-11-11 2014-11-20 Opr Group Ltd. Ocular implant with intraocular fluid pressure regulation
WO2016109639A2 (en) * 2014-12-31 2016-07-07 Brown J David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70058811A (ko) 2015-11-19 2017-05-29 글라우코스 코포레이션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WO2017156530A1 (en) * 2016-03-11 2017-09-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artially degradable stents for controlled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345A1 (en) * 2002-04-19 2004-02-05 Morteza Gharib Glaucoma implant with valveless flow bias
US7025740B2 (en) * 2003-04-22 2006-04-11 Ahmed A Mateen Device for treating glaucoma & method of manufacture
CN101027012B (zh) * 2004-07-28 2011-01-19 伊西康公司 最小侵入的医学植入物和***装置
US7476249B2 (en) * 2004-08-06 2009-01-13 Frank Robert E Implantable prosthesis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a breast implant
CN100415190C (zh) * 2005-10-17 2008-09-03 西安交通大学 一种青光眼房水引流装置
US20120123315A1 (en) * 2010-11-15 2012-05-17 Aquesys, Inc. Intraocular shunts
CN101305947B (zh) * 2007-05-18 2011-10-12 吴烈 青光眼睫状体平坦部专用引流器
US8328774B2 (en) 2008-01-16 2012-12-11 Tokuichiro Hasegawa Vision corrective jig and cooling fluid injection tool for the jig
WO2010088258A2 (en) 2009-01-28 2010-08-05 Transcend Medical, Inc. Ocular implant with stiffness qualities, methods of implantation and system
EP2603185B1 (en) * 2010-08-12 2016-10-0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 glaucoma valve comprising a degradable polymer with a steroid
CN102283720A (zh) * 2011-08-01 2011-12-21 姚晓明 一种人工角膜
US20130220346A1 (en) * 2012-02-28 2013-08-29 Victor Lust Balloon punctal plug
US10342699B2 (en) 2012-08-03 2019-07-09 J.D. Franco & C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eye diseases
ITMI20130783A1 (it) * 2013-05-13 2014-11-14 Asag Valvola di drenaggio migliorata impiantabile nell'occhio di paziente per il trattamento del glaucoma
US9044301B1 (en) * 2013-11-25 2015-06-02 Innfocu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eating glaucoma
CN203749684U (zh) * 2014-02-20 2014-08-06 深圳市盐田区人民医院 可调式青光眼引流装置
JP6782391B2 (ja) * 2014-08-05 2020-11-11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生体磁気計測装置
US9345619B2 (en) * 2014-09-10 2016-05-24 Novartis A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sterior segment drainage
CN205198262U (zh) * 2015-11-19 2016-05-0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中耳术腔冲洗装置
CN205286691U (zh) * 2015-12-24 2016-06-0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便于定位的视网膜下注射装置
JP2017140112A (ja) 2016-02-08 2017-08-17 テルモ株式会社 治療方法、およびステント
CN205924299U (zh) * 2016-03-28 2017-02-08 中山大学中山眼科中心 房水取材与收集装置
US10596035B2 (en) * 2016-06-06 2020-03-24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Apparatus for treating excess intraocular flui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1863A1 (en) * 2006-01-17 2007-08-16 De Juan Eugene Jr Glaucoma Treatment Device
US20140343476A1 (en) * 2011-11-11 2014-11-20 Opr Group Ltd. Ocular implant with intraocular fluid pressure regulation
US20140236066A1 (en) * 2013-02-19 2014-08-21 Aquesys, Inc. Adjustable intraocular flow regulation
WO2016109639A2 (en) * 2014-12-31 2016-07-07 Brown J David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70058811A (ko) 2015-11-19 2017-05-29 글라우코스 코포레이션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녹내장 치료용 임플란트
WO2017156530A1 (en) * 2016-03-11 2017-09-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artially degradable stents for controlled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0104A1 (en) 2020-10-28
KR102190257B1 (ko) 2020-12-16
US20220168147A1 (en) 2022-06-02
EP3730104A4 (en) 2021-09-22
CN111757718A (zh) 2020-10-09
JP2021507803A (ja) 2021-02-25
US11771595B2 (en) 2023-10-03
US20200345550A1 (en) 2020-11-05
JP7063499B2 (ja) 2022-05-09
US11793673B2 (en) 2023-10-24
KR20190074673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998A1 (ko) 안압의 조절을 위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US8267995B2 (en) Method and intra sclera implant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presbyopia
CN100591372C (zh) 色素层巩膜引流装置
US5486165A (en) Method and appliance for maintaining the natural intraocular pressure
US4678466A (en) Internal medication delivery method and vehicle
KR100456090B1 (ko) 스텐트 장치와 녹내장 치료방법
KR101735536B1 (ko) 눈의 쉴렘관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임플란트
US20070027537A1 (en) Method and intra-sclera implant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presbyopia
RU2004107571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шун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лаукомы
US11833077B2 (en) Modular glaucoma implant
WO1996020742A1 (en) Improve eye implant for relief of glaucoma
WO2003015667A1 (en) Method and intra sclera implant for treatment of glaucoma and presbyopia
WO2022114358A1 (ko) 전방 내 형성 압력이 조절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CN106963543A (zh) 引流型柔性微型支架及医疗器械
MXPA04001076A (es) Metodo e implante intraescleral para tratamiento de glaucoma y presbicia.
WO2021101080A1 (ko) 쉽고 안전한 방법으로 안압을 내릴 수 있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WO2020046054A1 (ko) 형태 및 물성 변경이 용이한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WO2012157991A1 (ko)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WO2024014628A1 (ko) 안질환용 임플란트의 삽입장치
WO2024025138A1 (ko) 복수 개의 채널을 갖는 안질환용 임플란트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290436A1 (en) Acute glaucoma device
KR100332235B1 (ko) 인공수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16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5499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916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