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472B1 -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472B1
KR970008472B1 KR1019900004826A KR900004826A KR970008472B1 KR 970008472 B1 KR970008472 B1 KR 970008472B1 KR 1019900004826 A KR1019900004826 A KR 1019900004826A KR 900004826 A KR900004826 A KR 900004826A KR 970008472 B1 KR970008472 B1 KR 97000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llet
movable part
movable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848A (ko
Inventor
도시오 히사세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96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44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3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2631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31Work holder cha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05Electrical coupling combined with fluidic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24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with means to feed work intermittently from one tool station to an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6Multiple station with convey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83/00Tool changing
    • Y10T483/19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팰렛 교환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체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팰렛 이동적재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코넥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주요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코넥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코넥터장치의 조립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일부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일부확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코넥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자동분할대등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탑재한 팰렛을 공작기계측으로 이동 및 연결하고, 이 어태치먼트의 운전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와, 여기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팰렛 체인저는 머시닝(machining) 센터와 같은 자동공작기계와의 조합에 의해 장시간의 자동무인운전을 행하고, 그 가동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때, 가공물은 팰렛상에 적재되고, 공작기계의 가공테이블상에 반입되어 반출된다.
또, 가공내용이 가령 각도 분할기능을 필요로 할 경우에 있어서는 자동분할대와 같은 고도의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가공물을 팰렛에 적재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어태치먼트는 구동부와 검출부를 가지고, 외부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압력하여 그 결과를 검출부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로서 외부에 전하고, 소정각도 분할등의 조작을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작기계의 제어장치와 어태치먼트 사이에는 입출력 케이블 등을 필요로 하고, 종래 이 입출력 케이블은 팰렛의 이동범위내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길이의 가요성 케이블을 사용하고, 예컨대 상면을 벗기는 이른바 굴리는 배선을 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팰렛을 이동할 때마다 팰렛상의 어태치먼트에 접속하고 있는 입출력 케이블도 이에 수반하여 끌려서 이동하므로 케이블의 조기파손 가능성이 높았다.
또 팰렛 이동범위가 케이블의 길이에 의해 제약받고, 상면에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작업장이 난잡해지고, 또는 낙지발처럼 여기 저기 흩어진 배선이 되어버리는 등의 각종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팰렛상의 어태치먼트와 공작기계측의 제어장치를 접속하는 입출력 케이블 등이 콤팩트하게 설치되고, 작업장의 간소화를 달성하는 점에 있다. 더구나 상기 입출력 케이블은 어테치먼트와 상기 제어장치를 확실하게 접속함과 함께 이 입출력 케이블등은 전기케이블 및 제어유체배관의 여하를 묻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으로서는 2 이상의 입출력 케이블 계통이 일괄하여 설치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케이블 계통사이에서 상호 영향이 미쳐 작동불량이나 오작동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실드부재를 설치한 코넥터장치를 채용하고, 제어장치에 입출력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코넥터장치의 한쪽을 공작기계 테이블측에, 어태치먼트에 접속된 코넥터 장치의 다른쪽을 팰렛측에 설치하여 팰렛측에 설치하여 팰렛의 공작기계 테이블상에의 반입시에 이들 코넥터장치가 접속되어 제어장치와 어태치먼트가 입출력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고, 팰렛 반출시에는 이들 코넥터장치가 이탈하여 팰렛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종속을 단절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공작기게의 가공테이블(MT)에 함께 설치한 팰렛테이블(PT)과, 가공테이블(MT)상에 설치한 코넥터장치용 가동부(10)와, 각 팰렛(P)상에 설치한 코넥터장치용 고정부(20,20…)를 주요부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공작기계는 가령 임의의 형식의 머시닝센터로서 그 가공테이블(MT)은 팰렛테이블(PT)과의 사이에서 쇄선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상이한 2개소에 있어서 팰렛(P)의 이동탑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제1도의 실선과 이점쇄선).
팰렛테이블(PT)은 가공테이블(MT)과 동일높이로, 더구나 적어도 2개의 팰렛(P,P)을 가지런히 적재할 수 있는 가대이다.
또 상기 가동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제어장치(CT)와 접속됨과 동시에 고정부(20)는 각 팰렛상에서 어태치먼트(AC)에 접속된다.
가공테이블(MT)과 팰렛테이블(PT)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팰렛(P)의 이동탑재동작은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팰렛 이동탑재장치(40)를 사용하여 행한다.
팰렛 이동탑재장치(40)는 팰렛 클램프기구(44)와 함께 가공테이블(MT)상에 설치되어 있다.
팰렛 이동탑재장치(40)는 한쌍의 체인스프로켓(41,41)과 이들을 건너지른 무단(無端)의 구동체인(42) 및 이 구동체인(42)의 일부에 돌출설치한 걸림핀(43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한쪽의 체인스프로켓(41)은 팰렛테이블(PT)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도면에서는 우측).
각 팰렛(P)의 전단부에는 하면측에 걸어맞춤홈(P20)을 갖는 걸림부(P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43a)은 걸어맞춤홈(P20)에 대하여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된다.
또, 가공테이블(MT)상의 소정위치에 반입된 팰렛(P)을 팰렛클램프 기구(44)에 의해 기계적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제, 가공테이블(MT)상의 팰렛(P)이 A 위치에 있다고 하면 팰렛 클램프기구(44)를 개방하여 구동체인(42)을 동도면 화살표(K1)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걸림핀(43a)은 팰렛테이블(PT)에 가장 가까운 위치(43b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되고, 팰렛(P)을 가공테이블(MT)에서 팰렛테이블(PT)상의 B 위치로 이동탑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팰렛(P)을 A 위치 및 B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공테이블(MT)을 화살표(K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핀은 부호(43c)에 표시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팰렛테이블(PT) 상의 C 위치에 있는 다른 팰렛(P)의 걸어맞춤홈(P20)에 걸어맞춤할 수 있다.
계속하여 구동체인(42)을 화살표(K3)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 팰렛(P)을 가공테이블(MT)상이 D위치로도 이동탑재시킬수 있고, 여기서도 팰렛(P)을 C 위치 및 D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다만, 팰렛테이블(PT) 상의 팰렛(P,P')은 그 걸어맞춤홈(P2a,P2a')은 정연하게 배열되고, 팰렛테이블(PT) 측으로 이동한 걸림핀(43b 또는 43c 위치)이 순차로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하여 팰렛 이동탑재장치(40)에 의해 가공테이블(MT)상의 소정위치에 반입된 팰렛(P)은 팰렛 클램프기구(44)에 의해 고정된다.
각 팰렛(P)상에는 제1도와 같이 자동분할대와 같은 소정의 어태치먼트(AC)와, 코넥터장치용의 고정부(20)가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가공물은 팰렛테이블(PT)상에서 이 어태치먼트(AC)에 떼고 붙이게 되는 것으로 한다.
또, 어태치먼트(AC)와 상기 고정부(20)는 짧은 접속케이블(AC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코넥터장치용 가동부(10)는 가공테이블(MT)상에 설치되어 있고, 가공테이블(MT)의 이동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의 가요성 케이블(CT1)을 통하여 공작기계의 제어장치(CT)에 접속되어 있다.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가동부(10)는 전기용 코넥터블록(11a,11a)과 유체용 코넥터블록(11b)을 가동부재(12)에 일렬로 배열한다.
다른쪽 고정부(20)는 상기 가동부(10)와 쌍을 이루고, 전기용 코넥터블록(21a,21a)과 유체용 코넥터블록(21b)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서로 대면하는 코넥터블록(11a-21a,11b-21b)은 각각 한 거동으로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유체용 코넥터블록(11b,21b)은 이른바 원터치코넥터로서, 양 부재를 접속함으로써 서로 연통하고, 분리함으로써 체크밸브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한쌍의 가이드레일(13,13)과 요동레버(14) 및 실린더(15)를 주요부재로 하는 구동유니트에 의해 상기 가동부(10)는 고정부(20)에 떼고 부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3,13)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드유니트(12a,12a)가 가동부재(12)의 양측면에 고착되고, 또 이 가동부재(12)에는 후방에 돌출하는 연결부(1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이동레버(14)는 고정축(14a) 주변에 미끄럼이동 자유로운 L형 부재이고, 그 일단은 연결편(14b)을 통하여 연결부(12b)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은 실린더(15)의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단, 연결편(14b)의 양단부 및 레버(14)와 실린더(15)와의 연결부분은 모두 핀결합에 의해 접속되어 가동부재의 직선이동을 가능케 하고 있으며, 실린더(15) 기초부는 고정부재(15a)에 축받이 되고 있다.
각 코넥터블록(11a, 11b)에는 공작기계측의 제어장치(CT)에 연계되는 가요성 케이블(CT1)이 접속되고, 유체용 코넥터블록(11b)에 대한 가요성 케이블(CT1)은 고정파이프재(16)를 타고 넘도록 하여 안내되고, 그 곡률반경이 과소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12)에는 브라켓(12c,12c)을 통하여 전면이 개방된 이동커버(17 ; 제4도의 쇄선으로 표시됨)가 부착되고, 이동커버(17)의 전방 내면에는 한쌍의 작동레버(17a,17a)가 고착되어 있다. 이동 커버(17)를 포함하는 가동부(10)의 전체를 덮도록 하여 고정커버(18)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 고정부(20)의 코넥터블록(21a,21a,21b)은 브라켓(22)을 통하여 팰렛(P)에 부착되고, 각각 어태치먼트(AC)에 연결되는 케이블(AC1)이 접속되어 있다.
또, 코넥터블록(21a,21a,21b) 후부에는 케이스(23)가 배설되어 있다. 코넥터블록(21a,21a,21b)의 전면측에는 힌지(24a,24a…)를 통하여 위쪽으로 여는 전면커버(24)가 설치되고, 이 전면커버(24)의 양측 단부에는 브라켓(24c,24c)을 통하여 캠로울러(24 b,24b)가 돌설되고, 이 캠로울러(24b,24b)는 가동부(10)측의 작동레버(17a,17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제 팰렛 이동탑재장치(40)에 의해 미가공의 가공물을 적재한 팰렛(P)을 가공테이블(MT) 상에 반입하고, 팰렛 클램프기구(44)에 의해 위치결정 고정했을때, 팰렛(P)상의 고정부(20)는 가공테이블(MT)에 있어서의 가동부(10)에 대하여 정확하게 대치하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실린더(15)를 신장하면 가동부(10)는 요동레버(14)등을 통하여 가이드레일(13,13)에 안내되어 전진하고, 최종적으로 가동부(10)는 제3도의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0)의 전진에 수반하여 이동커버(17)도 전진하기 때문에 작동레버(17a,17a)는 대면하는 캠로울러(24b,24b)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4)를 위쪽으로 개방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코넥터블록(11a-21a,11b-21b) 끼리의 접속이 행해진다.
또 이동커버(17)는 가동부(10)와 고정부(20)와의 접속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고정부(20)의 위쪽까지 전진하므로 가공물의 가공중에 있어서도 고정부(20)도 방호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가동부(10)와 고정부(20)를 접속함으로써 팰렛(P)상의 어태치먼트(AC)와 제어장치(CT)는 가요성 케이블(CT1), 가동부(10), 고정부(20), 부속케이블(AC1)을 통하여 접속되고, 어태치먼트(AC)상의 가공물의 가공개시제어나 어태치먼트(AC)에 대한 소정의 구동제어를 상기 제어장치(CT)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물 가공이 완료되면 실린더(15)를 단축시켜 가동부(10)를 후퇴함으로써 가동부(10)를 고정부(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0)와 함께 이동커버(17)도 후퇴하기 때문에 고정부(20)측의 전면커버(24)는 자동적으로 아래쪽으로 닫힌다.
이후, 상기 수순에 의해 팰렛(P)을 팰렛테이블(PT)상으로 반출하고, 미가공 가공물을 적재한 새 팰렛(P)을 가공테이블(MT)로 반입하여 동일 수순을 반복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유체용 코넥터블록(11b,21b)은 유압용, 공압용의 어느쪽이라도 좋다.
또, 사용하는 코넥터블록(21a,21a,21b)의 수와 종류는 예시 이외의 임의의 조합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한 나위 없다.
또, 팰렛테이블(PT) 상의 소정위치에도 가공테이블(MT)상의 가동부(10)와 동일 구성의 다른 가동부, 또는 이와같은 형의 더미(dummy) 장치를 배치해두면 팰렛(P)을 팰렛테이블(PT)상으로 반출하고 있을 때에 팰렛(P)상의 고정부(20)가 부주의로 오손되거나 여기에 절삭 부스러기 등이 침입하거나 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팰렛테이블(PT)은 가공테이블(MT)의 양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팰렛테이블(PT)상에는 1개 이상의 임의의 수의 팰렛(P,P…)을 적재하여도 좋다.
또, 팰렛 이동탑재장치(40)는 팰렛테이블(PT)측에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이상의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면 종래와 같이 가요성 케이블을 끌면서 팰렛을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고, 따라서 이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일소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의 고정부 및 가동부에 있어서 접속되는 입출력 케이블 등에는 구동용 전력신호 외에 분할 지령신호나 분할 각도센서의 출력신호와 같은 저레벨의 제어신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양 신호간의 분리실드가 완전할 것, 열악한 작업환경에 견딜 수 있을 것 등의 제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5,6도에 도시하는 코넥터장치를 개발하였다.
고정부(20)는 베이스부재(111)와 뚜껑판(112)을 통하여 베이스부재(111) 전면에 고정하는 코넥터유니트(113)와, 이 코넥터유니트(113)에 조립한 전기용 코넥터블록(114)과 유체용 코넥터블록(115)을 주요부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전기용 코넥터블록(114,114)은 각각 소정개수의 코넥터핀(114a,114a…)을 장착한 절연부재이고, 코넥터유니트(113)에 형성한 단붙이 변형구멍(113a,113a)에 수납되어 볼트(114b)에 의해 고정된다. 코넥터핀(114a,114a…)은 소요전류용량에 의해 상이한 지름의 것을 사용하고, 그 전단부는 코넥터블록(114) 전면에 돌출하고, 후부측은 코넥터블록(114)을 관통하여 변형구멍(113a) 후부에 돌출하여 각 입출력 케이블(AC1)과 접속된다.
유체용 코넥터블록(115)도 코넥터유니트(113)에 형성한 단붙이 구멍(113b)에 수납되어 있다(제7도 참조).
코넥터블록(115)은 쌍이 되는 가동부(10)측 코넥터블록(124)과 함께 이른바 원터치 유체 이음매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코넥터유니트(113)는 코넥터블록(114,114,115)을 유지하는 두꺼운 원판상의 금속부재이고, 그 전단 가장자리에는 끝이 가느다란 가이드링(113c)을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부재(111)의 각부는 팰렛(P)상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코넥터블록(114,114)마다 구획된 케이블 접속공간(111a,111a)이 형성된다. 또, 코넥터유니트(113)의 변형구멍(113a,113a)은 각각 뚜껑판(112)에 설치한 트인 구멍(112a)을 통하여 대응하는 케이블 접속공간(111a)에 연통되어 잇다.
케이블 접속공간(111a,111a)에는 케이블(AC1,AC1)을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유체용 다른 케이블(AC1)도 케이블 접속공간(111a,111a)에서 독립한, 도시하지 않는 공간을 통하여 베이스부재(111), 뚜껑판(112)을 관통하여 유체용 코넥터블록(115)에 연결되고, 베이스부재(111) 후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가동부(10)는 마운트부재(121)와 코넥터유니트(122)와 전기용 코넥터블록(123,123)과, 유체용 코넥터블록(124)을 주요부재로 한다.
전기용 코넥터블록(123,123)은 코넥터 소켓(123,123a…)을 장착하고, 고정부(20)측의 코넥터블록(114,114)과 쌍이 되어 있다.
코넥터유니트(122)는 그 단붙이의 변형구멍(122a,122a)에 코넥터블록(123,123)을 수납하고, 다른 단붙이구멍(122b)에 코넥코넥터블록(124)을 수납한다.
다만,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넥터블록(123,123)은 볼트(123b)를 통하여 적당한 클리어런스(d,d)를 설정하여 체결하고, 소위 플로팅구조에 의해 코넥터유니트(122)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코넥터블록(123,123)의 돌출높이(h)와 동일높이의 실드부재(125)가 코넥터블록(123,123)을 구획하도록 코넥터유니트전면측에 설치된다.
또한, 코넥터유니트(122)의 전면 둘레가장자리에는 실부재(122b)를 통하여 고정부(20)측의 코넥터유니트(113)의 가이드링(113c)을 끼워 맞추는 링부(1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코넥터유니트(122) 저부에는 해변 형상의 충전물을 통하여 봉해지는 배수구(122d)가 형성되고, 코넥터유니트(122)의 중앙부에는 대경의 트인 구멍(122e)이 관통하고 있다.
제5도와 같이 변형구멍(122a,122a)은 마운트부재(121)의 케이블 접속공간(121a,121a)에 연통되어 있고, 단붙이 구멍(122b)은 마운트부재(121)에 형성한 연통구멍(121b)을 통하여 유체입구 포트(121c)에 연통되어 있다.
다만 코넥터블록(124) 후단부는 제7도와 같이 오링(121d)을 통하여 연통공(121b)에 개구하고 있다.
케이블 접속공간(121a,121a)은 코넥터블록(123,123) 마다 구획되어 있고, 각각 가요성 케이블(CT1)을 관통 고정할 수 있는 뚜껑판(126)에 의해 닫혀 있다.
또 유체입구포트(121c)에도 다른 유체용 가요성 케이블(CT1)을 접속한다.
마운트부재(121) 중앙부에는 나사부재(127)가 장착되고, 구동유니트(130)의 볼나사축(131)과 나사 맞춤된다.
또 마운트부재(121)의 좌우 양측에는 부시(128,128)를 통하여 가이드로드(132,132)가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구동유니트(130)는 베이스부재(133)상에 구동원인 초음파 모우터(134)를 부착함과 동시에 전면측에 볼 나사축(131)과 가이드로드(132,132)를 돌출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초음파 모우터(134)는 링형상 또는 원판형상의 압전소자에 스테인레스와 같은 탄성체를 접착하여 스테이터를 구성하고, 이 스테이터에 가압접촉하도록 하여 로우터를 설치하고, 원주방향으로 분할하여 분극처리한 압전소자를 적당한 조건으로 여진(勵振)하면 탄성체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진행하는 진행파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고, 로우터에는 스테이터와의 마찰에 의한 회전 토오크가 발생한다. 초음파 모우터는 권선이 필요치 않으며, 자기회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자기를 발생하지 않는다.
소형 경량 저속 고토오크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응답성·위치제어성에 뛰어나고, 유지토오크가 크며, 형상의 자유도도 크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
초음파 모우터(134)는 다른 가요성 케이블(CT1)을 통하여 공작기계의 제어장치(CT)에 접속되어 있다.
볼나사축(131)은 초음파 모우터(134)의 도시하지 않는 로우터에 직결되어 있고, 베어링(131a,131a), 베어링케이스(131b), 베어링누르기(131c)를 통하여 베이스부재(133)에 회전 자유롭게 축받이 되어 있다.
초음파모우터(134)의 등부분쪽에는 코정커버(135)가 설치된다. 또, 가동부(10)의 뚜껑판(126)에는 이동커버(1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커버(128)는 실 패킹(128a)을 통하여 고정커버(135)에 대하여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구성된다.
구동유니트(130)의 베이스부재(133) 양측에는 제5도와 같이 리미트스위치(LS,LS)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부(10) 후방에 돌출설치한 도그(dog ; 129)에 의해 가동부(10)의 전진한도와 후진한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단, 도그(129)는 베이스부재(133)에 형성한 트인 구멍(133a)을 관통하고, 가동부(10)와 함께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착탈 코넥터장치는 구동유니트(130)의 초음파 모우터(134)를 구동함으로써 볼나사축(131)을 통하여 가동부(10)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가동부(10)를 공작기계의 가공테이블(MT)에 탑재해두고, 팰렛(P)을 가공테이블(MT)상으로 반입하여 소정위치에 위치결정 고정할때, 팰렛(P)상이 고정부(20)가 가동부(10)에 정확하게 대치하도록 해두면 제어장치(CT)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초음파모우터(134)를 구동함으로써, 가동부(10)를 전진시켜서 고정부(20)에 자동접속시킬 수가 있다.
고정부(20)와 가동부(10)가 접속되면 팰렛(P)상의 어태치먼트(AC)와, 제어장치(CT)는, 케이블(AC1), 고정부(20)의 코넥터블록(114,114,115), 가동부(10)의 코넥터블록(123,123,124), 가요성 케이블(CT1)을 통하여 그 접속을 완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CT)는 공작기계와 어태치먼트(AC)를 임의로 구동제어하여 어태치먼트(AC)상에 적재되어 있는 가공물의 가공을 실행한다.
가공물의 가공이 완료되면 초음파모우터(134)를 구동하고, 가동부(10)를 고정부(20)에서 분리함으로써 팰렛(P)은 제어장치(CT)와는 관계없이 되며, 가공테이블(MT)에서 팰렛테이블(PT)로 반입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전기용 코넥터블록(114,114,123,123)은 접속되는 케이블(AC1, AC1), 가요성 케이블(CT1,CT1)에의 접속부분을 포함하고, 코넥터유니트(113,122), 베이스부재(111), 마운트부재(121)에 있어서, 각 코넥터블록(114,123)별로 구획된 변형구멍(113a,113a,122a,122a), 케이블 접속공간(111a,111a,121a,121a)에 수납된다.
또, 가동부(10)측의 코넥터유니트(122)의 전면에 있어서도 실드부재(125)에 의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상이한 코넥터블록(113,123)에 속하는 전기신호는 서로 엄밀한 분리실드가 이루어져 있고, 각 신호레벨이 극단으로 상이할 경우에도 유해한 노이즈를 서로 혼입할 우려는 없다.
또 유체용 코넥터블록(115,124)은 코넥터유니트(113,122)의 최하측에 수납하는 것이 좋으며, 코넥터블록(115,124)에서 누설한 오일등은 전기용 코넥터블록(114,114,123,123)으로 침입하지 않고 배출구(122d)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9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실드부재(125)는 전기용 코넥터블록(123,123)을 칸막이 하게 하여 가동부(10)의 코엑터유니트(122) 전면을 구획할 뿐 아니라 유체용 코넥터블록(124)을 포함하여 각 코넥터블록마다 코넥터유니트(122) 전면을 구획하게 하여도 좋다. 따라서, 유체용 코넥터블록(115,124)에서 만일 유체가 분출했을 경우에도 전기용 코넥터블록(114,114,123,123)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유체용 코넥터블록(115,124)은 유압용 또는 공압용 어느쪽이라도 좋고, 또, 이들의 것은 고정부(20), 가동부(10)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각 코넥터블록(114,123,115,124)의 종류와 수는 필요에 따라 예시 이외의 임의의 조합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용 코넥터블록(114,123)은 고정부(20)측이 코넥터핀(114a,114a…)을 갖는 수(雄)측이 되고, 가동부(10)측이 코넥터소켓(123a,123a…)을 갖는 암(雌)측이 되어 있으나, 이것을 반대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코넥터블록(123) 대신 코넥터블록(114)을 플로팅 구조에 의해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넥터핀(114a,114a…), 코넥터소켓(123a,123a…)을 코넥터블록(114,123)에 대하여 플로팅 구조로 하여도 좋다.

Claims (9)

  1. 공작기계의 가공테이블과 팰렛테이블 사이에 팰렛을 상호 이동탑재하는 팰렛 이동탑재장치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공작기계의 제어장치와 팰렛상의 어테치먼트는 코넥터장리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 코넥터장치는 상기 가공테이블에 설치되는 가공부 및 팰렛측에 설치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는 구동유니트를 통하여 상기 가공테이블 상에서 진퇴가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동부에 대하여 떼고 붙이기 자유롭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및 고정부에는 복수의 코넥터블록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3. 코넥터장치는 공작기계의 가공테이블상에 설치되는 가동부와, 팰렛측에 설치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는 구동유니트를 통하여 상기 가공테이블상에서 진퇴가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공작기계의 제어장치에 접속되고,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동부에 대하여 떼고 붙이기 자유롭게 형성됨과 동시에 팰렛상의 어테치먼트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부 및 고정부에는 복수의 코넥터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와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코넥터블록을 구획하는 실드부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블록은 전기 접속용 코넥터핀 또는 코넥터소켓을 구비한 절연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블록에는 유체연통용 끼움수납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요동레버 및 이 요동레버를 구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이 요동레버 선단에는 코넥터블록을 구비한 가동부가 연결되고, 이 가동부는 슬라이드 유니트가 부착됨과 동시에 이 슬라이드 유니트와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는 가이드레일이 상기 가동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초음파 모우터 및 이 모우터에 연결된 볼나사축으로 이루어지고, 이 나사축은 마운트 부재에 나사맞춤되며, 이 마운트 부재에는 코넥터블록을 구비한 가동부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가동부와 접근에 의해 열리는 전면 커버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터블록은 플로팅 구조에 의해 가동부 또는 고정부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장치.
KR1019900004826A 1989-04-14 1990-04-09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KR970008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65 1989-04-14
JP1096065A JPH02274451A (ja) 1989-04-14 1989-04-14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装置
JP1-96065 1989-04-14
JP1-123768 1989-05-17
JP123768 1989-05-17
JP1123768A JP2912631B2 (ja) 1989-05-17 1989-05-17 自動着脱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848A KR900015848A (ko) 1990-11-10
KR970008472B1 true KR970008472B1 (ko) 1997-05-24

Family

ID=2643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826A KR970008472B1 (ko) 1989-04-14 1990-04-09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61662A (ko)
KR (1) KR970008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241A (en) * 1997-03-24 1999-12-07 Midaco Corporation Automatic pallet loading system and a method for loading pallets
DE19748336C2 (de) * 1997-11-01 2000-11-23 Chiron Werke Gmbh Maschinenzentrum, bei dem Werkstückhalter eine Mehrfachkupplung mit Abdeckung aufweisen
US6308815B1 (en) 1999-10-15 2001-10-30 Midaco Corporation Rotatable pallet chan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WI326631B (en) * 2004-04-28 2010-07-01 Sankyo Seisakusho Kk Machine tool and detachable/attachable motor
US7975998B2 (en) * 2006-04-03 2011-07-12 Midaco Corporation Pallet changer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2303236B (zh) * 2011-06-28 2013-06-0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变位机
CN109987392B (zh) * 2019-04-18 2024-04-30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输送带的调偏***及一种饼干生产线的输送带机构
US11489287B1 (en) * 2022-05-31 2022-11-01 Techniks, LLC Electrical connector alignment system for a pallet 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9377A (en) * 1970-07-31 1973-01-09 Monarch Machine Tool Co Tool changer
US4373840A (en) * 1980-03-28 1983-02-15 Giddings & Lewis, Inc. Pallet transfer system
JPS5851009A (ja) * 1981-09-24 1983-03-25 Toyoda Mach Works Ltd パレツト交換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US4747193A (en) * 1986-05-20 1988-05-31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Pallet supply apparatus for machin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61662A (en) 1992-11-10
KR900015848A (ko) 199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472B1 (ko) 공작기계의 팰렛 교환기구 및 이에 사용하는 코넥터장치
KR100741142B1 (ko) 복수의 테이블을 가진 리니어 가이드 장치
US6142030A (en) Actuator and actuator system
US4121504A (en) Cylinder positioning systems
EP1240974A3 (en) A machine tool with at least two machining units
JP2000158256A (ja) 複合加工装置
SE7508226L (sv) Mobil maskin avsedd att arbeta pa botten i vatten.
JPS57184647A (en) Device for replacement of workpiece
EP0398030B1 (en) Connector device for machine tool
JP2014121775A (ja) 金具加工方法
KR101505814B1 (ko) 바이스장치
US5213192A (en) Pallet changing mechanism for machine tool and connector device used therefor
SE7708394L (sv) Verktygsmaskin, foretredesvis stans- eller nibblingsmaskin
CN209077847U (zh) 一种多孔钻设备
CN105128000A (zh) 一种浮动导杆与定滑套复合式梯次传动机械手
CN215999466U (zh) 一种数控铣床加工中心的主滑台结构
US3717893A (en) Automatic tape-controlled work finishing machine
CN108972100B (zh) 一种具备间歇和连续工作的旋转装置
US5988430A (en) Part supply apparatus
KR200408239Y1 (ko) 복수의 테이블을 가진 리니어 가이드 장치
CN211588732U (zh) 一种上拉式外拉机床
EP2687308A2 (en) Lathe for machining curved surfaces
SU1516342A1 (ru) Манипул тор
CN219610387U (zh) 一种多功能工作台
CN216780001U (zh) 凸轮轴盖加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