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32B1 - N-치환 아미드 유도체 - Google Patents

N-치환 아미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32B1
KR970002232B1 KR1019890009687A KR890009687A KR970002232B1 KR 970002232 B1 KR970002232 B1 KR 970002232B1 KR 1019890009687 A KR1019890009687 A KR 1019890009687A KR 890009687 A KR890009687 A KR 890009687A KR 970002232 B1 KR970002232 B1 KR 97000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ethylenedioxyphenacyl
formula
solution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673A (ko
Inventor
겡타우 리우
리앙 후앙
에르창 라오
진 즈호우
얀 리
가쓰오 하따야마
다쓰히꼬 사노
겐세이 요시까와
쇼헤이 히구찌
이와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우에하라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우에하라 아끼라 filed Critical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50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58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N-치환 아미드 유도체
본 발명은 의약 분야, 특히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신규한 N-치환 아미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간은 급성 또는 만성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이러스, 알코올, 영상실조 및 간 순환 손상과 같은 각종 원인에 의한 지방간, 황달 및 간경변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간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말루틸레이트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식이요법, 및 스테로이드 또는 면역 활성제를 투여하는 투약법과 같은 증상치료법을 포함하여, 실제로 효과적인 요법 및 치료제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 질환, 특히 만발 및 만성 간 질환에 대해 만족할만한 어떠한 요법도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스테로이드 및 면역활성제를 투여하는 투약요법은 심각한 약제 부작용이라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간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N-치환 아미드유도체를 합성한 결과, 특정 화합물들이 간 손상 모델 실험에서 간 손상에 대해 현저한 억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N-치환 아미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 중, A는 -CH(OH)- 또는 -C(=O)-이고, R1은 소수 원자이거나 또는 1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R2는 1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n-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N-(3,4 -메틸렌디옥시페나실)아세트아미드, N-메틸-N-(3, 4-메틸렌디옥시페나실)아세트아미드, N-메틸-N-(3,4-메틸렌 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부탄아미드,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 및 N-메틸-N-(β-히드록시-3,4-메틸렌디옥시페네틸)아세트아미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반응식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반응식 중, R1및 R2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 및 X'은 각각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방법 1]
구조식 Ⅱ의 아민을 유기 용매 중에서 구조식 Ⅱ의 산 할로겐화물과 반응시켜서 구조식 Ⅳ의 아미드 유도체를 얻는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 및 에틸 에테르,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가 있다. 반응 온도는 -10℃ 내지 용매의 비점,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이 좋다. 반응은 약 1시간 내에 충분히 종결될 수 있다.
이어서, 구조식 Ⅳ의 화합물을 유기 용매 중에서 또는 용매없이 염기 존재 하에 디할로메탄과 반응시켜서 본 발명의 구조식 Ⅴ의 화합물을 얻는다. 디할로메탄은 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메탄 등일 수 있다.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예를 들면,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이 있다. 반응 온도는 실온 내지 용매의 비점이다. 반응 시간은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출발물질이 사라짐을 관찰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방법 2]
구조식 Ⅵ의 α-할로게노아세토페논 화합물을 용매 중에서 구조식 Ⅶ의 아민과 반응시켜서 구조식 Ⅷ의 아미노 유도체를 얻는다.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에틸 에테르,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아세톤, 벤젠, 물 등이 있다. 반응 온도는 -10℃내지 용매의 비점 온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내지 실온이 좋다. 이 반응은 일시에 종료되지만, 0.5내지 2시간동안 교반하에 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생성된 구조식 Ⅷ의 아미노 유도체를 통상적인 아실화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구조식 Ⅴ의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통상의 아실화 반응의 예로는, 산 무수물 (예,무수아세트산,무수프로피온산,무수부티르산 등)과 같은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염기 존재 하에 행하는 방법, 산 할로겐화물(예,염화아세틸,브롬화프로피오닐,염화핵사노일 등)과 같은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행하여 방법, 아세트산에 틸, 프로피온산에틸, 부티드산메틸 등과 축합시켜서 행하여 반법, 축합제(예,디시클로핵실카르보디이미드,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등)존재하에 아세트산,프로피온산,부티르산 등의 탄산 유도체와 축합시킴으로써 행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반응은 예를 들면 피리딘,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술폭시드, 에틸 에테르, 벤젠, 톨루엔, 물 등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의 예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피리딘, 트리에 틸아민 등이 있다.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은 통상의 아실화 반응의 것과 동일하다.
[방법3]
구조식 Ⅵ의 α-할로게노아세토페논는 화합물을 용매 중에서 핵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켜서 구조식 IX인 4급 암모늄염을 얻는다. 이러한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할로겐화탄화수소가 좋다.
이어서, 구조식 IX의 4급 암모늄염을 알코올(예,메탄올 및 에탄올)중의 광산(예, 염산)를 첨가함으로써 분해시켜서 1급 암모늄염을 얻고, 이어서, 이것을 상기방법2와 유사하게 아실화시켜서, R1이 수소원자인 본 발명의 구조식 Ⅴ의 화합물을 얻는다.
[방법 4]
A가-CH(OH)-인 본 발명의 구조식 I의 화합물은 상기에서 얻은 본 발명의 구조식 Ⅴ의 화합물에 용매 중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으로 환원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및 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간 손상 모델 실험에서 혈청 GPT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므로, 간 손상에 대한 우수한 억제 효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만성간염 및 간경병과 같은 간 손상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러한 화합물들을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 예컨대 정맥내, 근육내, 피하 및 경피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환제 등이며, 이러한 모든 제형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립제는 충전제로서 만니톨 및 옥수수전분을 결합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정제는 충전제로서 결정질 셀룰로오스 및 락토오소를, 붕해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을, 결합제로서 풀리비닐피룰리돈을, 윤활제로서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형태는 주사제, 연고 등이며, 이러한 제형은 모두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 화합물, 투여 경로 및 질병의 심도에 좌우되지만, 일반적으로는 0.5내지 10㎎/㎏/일의 범위이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N-메틸-N-(3, 4-메틸렌디옥시페나실)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클로로포름 30㎖ 중의 아드레날론 히드로클로라이드 33g(0.15몰)의 현탁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0 내지 2℃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5㎖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75㎖ 및 클로로포름 150㎖중의 염화아세틸 13.5㎖(0.19 몰)용액을 적가하거나, 또는 방법으로 상기 수산화나트륨용액 2.5㎖와 상기 염화아세틸 용액 5㎖를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이 혼합물을 0 내지 2℃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한 후, 수층에 4N염산75㎖를 첨가하여 PH를 2로 조절하였다. 이 혼합물을 황산 암모늄으로 포화시킨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모으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고, 물로 재결정화시켜서 N-아세틸 아드레날론 27.63g를 얻었다. 융점 175-176℃.
무수 탄산칼륨 98g(0.7 몰)에 N, N-디메틸포름아미드 150㎖ 및 디클로로메탄 335㎖를 첨가하고, 상기에서 얻은 N-아세틸아드레날론 22.32g(0.1 몰)을 N, N-디메틸포름 아미드 150㎖에 용해시킨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환류로 상기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출발 물질을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트그래피에 의해 출발 물질의 반점이 사라짐이 관찰될 때까지 계속 환류시키고, 이 용액을 철야 방치 하였다. 불용물은 여과로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 0.2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건조 시켰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디클로로메탄 : 이소프로필알코올=100 : 1)하였다. 단일 반점을 갖는 분획물을 한데 모으고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95% 에탄올 : 물(1 : 1.5)로 재결정화시켜서 표제 화합물 14.24g를 얻었다.
융점 99∼110℃
NMR(CDCl3) δ(ppm);
2.04 2.24(2s,3H), 3.05, 3.16(2s,3H), 4.76, 4.86(2s,2H), 6.16, 6.18(2s,3H), 6.92∼7.76(m,3H)
MS(m/e);
235(M+), 44(기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N-메틸-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를 얻었다. 융점 69∼70℃
NMR(CDCl3) δ(ppm);
0.94(t,3H), 1.34(m,4H), 1.70(m,2H), 2.40(m,2H), 3.04, 3.14(2s,3H), 4.76, 4.82(2s,2H), 6.14(s,2H), 6.94(m,1H), 7.64(m,2H)
MS(m/e);
291(M+), 44(기저)
[실시예 2]
N-메틸-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
에탄올 530㎖에 용해시킨 α-브로모-3, 4-메틸렌디옥시 아세토페논 65.6g(0.27 몰) 용액에 40% 메틸아민 수용액 160㎖를 5℃에서 적가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피리딘 85.3g(1.07 몰)을 첨가한 후, 무수 아세트산 82.6g(0.81 몰)을 5℃에서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점차 가온 후, 철야 방치시켰다.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얼음물을 첨가한 후,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시켜서, 점성 오일을 얻고, 이것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아세트산에틸)하여 표제 화합물 27.0g을 얻었다. 융점 99∼101℃(n-헥산-아세트산에틸로 재결정화).
[실시예 3]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클로로포름 80㎖ 중의 헥사메틸렌테트라민 7.01g(0.55 몰)의 용액을 얼음에서 냉각시키고, 여기에 클로로포름 70㎖ 중의 α-브로모-3, 4-메틸렌디옥시아세토페논 12.16g(0.05 몰) 용액을 적가하여, 백색 고상물을 침전시켰다. 24시간 방치 후, 침전 고상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여 4급 암모늄염 18.46g을 얻었다. 융점 159∼159.5℃(분해).
에탄올 150㎖와 진한 염산 15㎖의 혼합물에 상기에서 얻은 4급 암모늄를 서서히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45내지 5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과립화된 고상물을 얻었다. 철야 방치 후, 침전 고상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1급 암모늄염 17g를 얻었다.
물 중의 1급 암모늄염 3.5g(0.01 몰 당량)의 냉각(5℃)용액에, 무수 아세트산 10㎖(0.1 몰)를 첨가하고, 이어서 무수 탄산수소나트륨 20g(0.24 몰)를 서서히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 고상물을 여과로 모으고, 여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고상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추출물을 한데 모은 후, 4N염산,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연속해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상물을 50% 에탄올로 재결정화시켜서 표제 화합물 1.6g를 얻었다.
융점 152∼153.5℃
NMR(CDCl3) δ(ppm);
2.14(s,3H), 4.72, 4.78(2s,2H), 6.16(s,2H), 6.62(br,1H), 6.97∼7.70(m,3H)
MS(m/e);
249(M+), 149(기저)
실시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들을 얻었다.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부탄아미드
융점 107∼180℃(에탄올-물로 재결정화됨)
NMR(CDCl3) δ(ppm);
1.01(t,3H), 1.77(m,2H), 2.32, 2.34(2t,2H), 4.74, 4.78(2s,2H), 6.16(s,2H), 6.62(br,1H), 6.98∼7.70(m,3H)
MS(m/e);
221(M+), 149(기저)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
융점 110.5∼112℃(에탄올-물로 재결정화됨)
NMR(CDCL3) 8(ppm);
0.93(t,3H), 1.38(m,4H), 1.70(m,2H), 2.35(t,2H), 4.76(d,2H), 6.16(s,2H), 6.62(br,1H), 6.98∼7.70(m,3H)
MS(m/e);
277(M+), 149(기저)
[실시예 4]
N-(β-히드록시-3,4-메틸렌디옥시페네틸)-N-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 방법
에탄올 20㎖ 중의 N-메틸-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 아세트아미드 0.47g(0.002 몰) 용액을 얼음에서 냉각시키고, 여기에 수소화붕소나트륨 0.227g(0.006 몰)을 서서히 첨가한 후, 이 혼합물 1.5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불용물은 여과로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염화나트륨으로 포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고상물을 얻은 후, 이 고상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재결정화 시켜서 표제 화합물 0.41g를 얻었다.
융점 111∼112℃
NMR(CDCl3) δ(ppm);
2.16(s,3H), 2.98(s,3H), 3.66(m,3H), 4.94(p,1H), 6.04(s,2H), 6.90(s,2H), 6.98(s,1H)
MS(m/e);
237(M+), 44(기저)
[시험예 1]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급성 간 손상에 대한효과
각 군당 10마리의 ICR 계통 수컷 생쥐(연령 6주,체중 약30g)를 이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을 5% 아라비아검 용액에 현탁시킨 각종 농도의 현탁액을 시험 약제용으로 제조하였다. 대조용으로는 5% 아라비아검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험 약제 및 5% 아라비아검 용액을 각기 다른 동물들에게 10㎖/㎏(체중)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18시간이 경과한 후, 동물을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다음, 혈청 GPT치를 측정하였다. 비교시험 약제 로는 말로틸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다음의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3
A :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B : 말로틸레이트
* : 평균 ±표준오차
[시험예 2]
D-갈락토오스아민에 의해 유발된 급성 간 손상에 대한 효과
각 군당 6마리의 위스터(Wister) 계통 수컷 생쥐(연령 8주,체중 약 200g)를 이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을 5% 아라비아검 용액에 현탁시킨 각종 농도의 현탁액을 시험 약제용으로 제조하였다. 대조용으로는 5% 아라비아검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험 약제 및 5% 아라비아검 용액을 각기 다른 동물들에게 5㎖/㎏(체중)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18시간이 경과한 후, 동물을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혈액을 체취 하여 원심분리한 다음, 혈청 GPT치를 측정하였다. 비교 시험약제로는 말로틸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A :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B : 말로틸레이트
* : 평균 ±표준오차

Claims (7)

  1. 다음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N-치환 아미드 유도체.
    Figure kpo00005
    식 중, A는 -CH(OH)-또는 -C(=O)-이고, R1은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1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1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 아세트아미드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N-메틸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 아세트아미드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N-메틸-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인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부탄아미드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N-(3,4-메틸렌디옥시페나실)-n-헥산아미드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N-메틸-N-(β-히드록시-3,4-메틸렌디옥시페네틸)아세트아미드인 화합물.
KR1019890009687A 1988-07-08 1989-07-07 N-치환 아미드 유도체 KR970002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70727 1988-07-08
JP17072788 198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673A KR900001673A (ko) 1990-02-27
KR970002232B1 true KR970002232B1 (ko) 1997-02-26

Family

ID=1591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87A KR970002232B1 (ko) 1988-07-08 1989-07-07 N-치환 아미드 유도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37360A (ko)
EP (1) EP0350251B1 (ko)
JP (1) JPH02124884A (ko)
KR (1) KR970002232B1 (ko)
AT (1) ATE102937T1 (ko)
CA (1) CA1328875C (ko)
DE (1) DE6891383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162A (ko) * 2016-11-22 2018-05-30 맥스엔지니어링(주) 면적차에 의해 연속 작동되는 피스톤과 절환 밸브가 내장된 선형 유체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678A (ja) * 1990-01-22 1993-11-22 Mitsubishi Kasei Corp 1−フェニルアルキル−3−フェニル尿素誘導体
CA2450801C (en) * 1992-07-24 2009-11-17 The Regent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rugs that enhance synaptic responses mediated by ampa receptors
US5426225A (en) * 1993-12-30 1995-06-20 American Cyanamid Company Perfluoroalkanoyl aminonitriles
MY119161A (en) * 1994-04-18 2005-04-30 Novartis Ag Delta-amino-gamma-hydroxy-omega-aryl-alkanoic acid amides with enzyme especially renin inhibiting activities
US5852008A (en) * 1995-01-24 1998-12-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teroatom substituted benzoyl derivatives that enhance synaptic response mediated by receptors
KR100345204B1 (ko) * 2000-03-21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벳 삽입 장치
KR100345203B1 (ko) * 2000-03-21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벳팅 장치
WO2023034510A1 (en) 2021-09-01 2023-03-09 ATAI Life Sciences AG Synthesis of mdma or its optically active ( r)- or ( s)-mdma isomers
US11845736B2 (en) 2021-10-01 2023-12-19 Empathbio, Inc. Prodrugs of MDMA, MDA, and derivatives thereof
US11912680B2 (en) 2021-12-28 2024-02-27 Empathbio, Inc. Nitric oxide releasing prodrugs of MDA and MDM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474C (de) * 1912-12-24 1921-02-01 Chem Fab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N-Alkyl-Acyl-Homopiperonylaminen
DE1543372A1 (de) * 1966-10-18 1971-04-01 Boehringer Sohn Ingel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substituierten 3,4-Dioxyphenylalkanolaminen
US4147799A (en) * 1971-06-24 1979-04-03 Kyowa Hakko Kogyo Co., Ltd. Process for reducing blood pressure and blocking β-adrenergic receptor
US4684651A (en) * 1981-03-17 1987-08-04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imited Alkylenedioxybenzene and acid addition salts thereof useful as hypotensives
ES8203876A1 (es) * 1981-05-13 1982-04-01 Ferrer Int Procedimiento de obtencion de nuevos a-amino derivados ci- clicos del 1-(3',4'-metilendioxifenil)etanol
CH664565A5 (de) * 1985-05-09 1988-03-15 Ciba Geigy Ag Mittel zum schuetzen von kulturpflanzen vor der phytotoxischen wirkung von herbizid wirksamen chloracetanilid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162A (ko) * 2016-11-22 2018-05-30 맥스엔지니어링(주) 면적차에 의해 연속 작동되는 피스톤과 절환 밸브가 내장된 선형 유체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3835T2 (de) 1994-06-30
DE68913835D1 (de) 1994-04-21
JPH0567634B2 (ko) 1993-09-27
JPH02124884A (ja) 1990-05-14
EP0350251A2 (en) 1990-01-10
EP0350251A3 (en) 1990-03-14
KR900001673A (ko) 1990-02-27
ATE102937T1 (de) 1994-04-15
US4937360A (en) 1990-06-26
EP0350251B1 (en) 1994-03-16
CA1328875C (en)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7310A (en) Quinoline-3-carboxamides
EP1497274B1 (fr) Derives de terphenyle, leur preparation,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US5589490A (en) Benzoic acid substituted derivatives having cardiovascular activity
KR970002232B1 (ko) N-치환 아미드 유도체
KR890004127B1 (ko) 항염 작용을 갖는 피롤아세트 아미드의 제조방법
RU2120435C1 (ru) Производные 2-амино-1,2,3,4-тетрагидронафталина ил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соли и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кардиоваскуля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PL175707B1 (pl) Nowe estry 1-aryloksy-3-alkiloamino-2-propanolu
US4760078A (en) Immunomodulator 1,2-dithiol-3-thione derivative composition, use method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KR910009980B1 (ko) 구아니디노벤조 에스테르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4785018A (en) Glycine derivatives
EP0030436B1 (en) 2-hydroxyoxanilic acid derivatives and salt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857536A (en) Antihistaminic benzimidazole derivatives
US5047430A (en) Amid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4521538A (en) Ester of the 1-methyl-5-p-toluoylpyrrole-2-acetic acid having antiinflammatory, mucolytic and antitussive properties,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877318A (en) Hydroquinone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US20040138232A1 (en) Acyl derivatives of 5-(2-(4-(1,2 benzisothiazole-3-yl)-1-piperazinyl)ethyl)-6-chloro-1,3-dihydro-2h-indol-2-one having neuroleptic activity
KR960007533B1 (ko) 티아졸리딘-2,4-디온 유도체, 이의 염 및 이의 제조방법
US5292751A (en) 5,7-dihydroxy-2-methyl-8-(4-(3-hydroxy-1-(1-propyl))piperidinyl)-4H-1-benzopyran-4-one, its preparation and its use
JPS6183163A (ja) 抗腫瘍剤
EP1511728B1 (fr) Derives d oxophenyl-cyclohexyl-propanolamine, leur preparati 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S62249984A (ja) D−ノル−7−エルゴリン誘導体、その製法、薬剤組成物及び使用
JPH02145572A (ja) N−置換アミド類
CA1256119A (en) Acetyldicarnitine
US4032643A (en) Novel thiazole derivatives
CA1075693A (en) Xanthi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