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819B1 -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 Google Patents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819B1
KR960014819B1 KR1019940017970A KR19940017970A KR960014819B1 KR 960014819 B1 KR960014819 B1 KR 960014819B1 KR 1019940017970 A KR1019940017970 A KR 1019940017970A KR 19940017970 A KR19940017970 A KR 19940017970A KR 960014819 B1 KR960014819 B1 KR 96001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machine
machine
package
conveying devi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493A (ko
Inventor
타이히 우도
함머슈미트 데트레프
Original Assignee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미카엘 하니쉬, 디이터 핑슈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미카엘 하니쉬, 디이터 핑슈텐 filed Critical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5000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4Supplying or transporting cross-wound packages, also combined with transporting the empty co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용 수송장치의 기본 개략도이고,
제2도는 결합체인 체인링크트레인이 있는 전기적 고차 컨베이어(electric overhead donveyor)의 부분품의 기본 개략도이고,
제3도는 가공처리 스테이션에 부레일 위에 연결되는 결합체인과 체인링크트레인이 있는 전기적고가 컨베이어의 개략도이고,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기계의 정면에 위치된 체인링크트레인의 걸기캐리지(hanging carriage)의 기본 개략도이고,
제5도는 섬유기계의 상면도(上面)이고,
제6도는 공급사 패키지 크릴로서 작용을 하는 수송장치(transport device)와 기계통로가 보이는 섬유기계의 측면도이고,
제7도는 공급사 패키지 크릴과 권취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도퍼를 구비한 수송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기계 6 : 순환코스
7 :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 10 : 아티큘레이트형 링크체인
14 : 부레일 15 : 방향전환트랙
22 : 임시저장소 23 : 대기 레일
24 : 셔틀수송장치 26 : 빈관
28, 29 : 램프 32 : 정지부
본 발명은 기계의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며 사 권취 유니트가 그에 연관되는 복수의 제조 또는 가공처리 스테이션과 권취유니트로 또는 그로부터 빈관 또는 만관 사 패키지를 수송하는 수송장치가 구비된 사를 제조 및/또는 가공처리하기 위한 섬유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송장치는 레일형태의 가이드웨이(guideway) 또는 트랙 시스템(track system)을 따라 이행하는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이런 유형의 섬유기재는 DE-OS 21 23 689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수송장치는 그 길이방향으로 전기적 고가 캐리지의 여러 캐리지로 이루어져 있다.
접합 캐리지는 각각의 가공처리 스테이션의 한 부분으로 그 위에 위치되는 사 패키지에 일치하며 그들의 길이에 상당할 수 있다. 캐리지는 전기적 고가 캐리지의 기관차(locomotive)에 의해 끌려져서 대개 그들이 방해하며 기계가 작동되지 않을 때 조차도 에너지가 소모되며 마모를 받게 되기 때문에(파워프리시스템)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들 각각의 캐리지는 사 패키지 수송장치를 위한 수송 컨테이너를 형성한다. 패키지 수송장치를 섬유기계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구동장치는 장치들을 안내 또는 수용하는 구역에 구비되어서 패키지 수송장치가 수송 컨테이너로 들어가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동하도록 되며 특히 마찰국동기어로서 이들 구동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공지의 패키지 수송장치는 비교적 좁은 곡면을 따라 이행하며 패키지가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버퍼될 때의 필요공간을 줄일 수 있는 반면 이 목적용으로 사용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비임 또는 패키지 수송장치가 더 좁은 만곡부를 한정하는 한 공간 활용은 아직 최적적이지 않다. 게다가, 고장나기 쉬운 다수의 부가 구동수단과 대응하는 복잡한 제어시스템에 의해서만 물질의 흐름, 특히 가공처리 기계로의 빈관(empty tube)의 이송을 유지할 수 있다.
만관 사 패키지를 수용하고자 각각의 가공처리 스테이션의 기계통로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가 이동하므로 스위치 및 필요한 고가 접촉 와이어의 설치에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가공처리 스테이션과 사 패키지용 수송장치가 있는 공지의 섬유 기계를 개량하여 실제 캐리지 구동을 위한 추가적 경비 발생 없이 각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및 각 스테이션으로의 물질유동을 간단화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레일 바로 이웃에 평행하여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레일에 이행하는 운반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견인기관과 그를 따라 이행하는 사 패키지용 운반장치와 함께 연장하는 상술한 유형의 섬유기계에서 달성된다. 운반장치는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을 따라 이행하는 체인링크 컨베이어로서 설계되고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는 체인링크트레인이다. 이런 연유로 이들 용어는 동일한 뜻으로 사용된다.
이런 유형의 컨베이어의 사용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기관차가 그 자체 사 패키지를 수용하는 체인링크트레인 또는 운반장치를 각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섬유기계의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만관 사 패키지를 제거하거나 빈관을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한 추가 정지구동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그래서, 섬유기계용 수송장치를 경제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가격도 알맞도록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체인링크트레인은 운반장치의 현수가 변경가능하여 운반장치상에 상호 가까이 인접하는 패키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현수운반장치는 걸기캐리지로서 기술된다. 각각의 운반장치는 만관 사 패키지 또는 빈관을 수용할 수 있거나 빈관 또는 만관 사 패키지가 그 위에 위치되는 적당한 수의 수용홈 또는 패키지 맨드렐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패키지 맨드렐 또는 수용홈의 수는 기계측의 권취스핀들수에 본질적으로 일치한다.
체인링크트레인이 아티큘레이트형 링크체인, 특히 카르단조인트체인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제2가이드웨이시스템의 기능 만곡반경을 매우 좁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유익하다. 더욱이, 카르단조인트체인의 사용으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즉 추진운동동안 개개 체인링크가 상호 억지로 밀고 들어가 작동장해를 일으키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특별히 가격면에서 유리한 수송장치의 구체예에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용 가이드웨이 시스템은 설정요소가 없는 경우 순환코스로서 설계되며 거기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주 트랙으로 체인링크트레인용의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은 순환코스로부터 일탈하는 라인연장부 부레일과 연관하여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주트랙으로부터 벗어나는 부레일은 각각의 가공처리 스테이션(processing station)으로부터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 빈관을 수송하기 위하여 사 패키지를 수송하는 작용을 한다. 이들 부레일은 주 트랙과 스위치에 의하여 연결된다. 스위치들은 기계등으로 선단에 각기 위치되며, 거기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의 주 트랙은 연장한다. 그래서, 스위치는 각 기계통로와 연관되어 있다. 기계통로로부터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주코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 스위치는 배치되어 주코스의 주이도방향에서 종결하게 된다. 각 스위치가 모우터, 공기압,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두개 연속하는 스위치중 어느 하나만 제어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각 경우에 주이동방향에 마주하여 첫번째 스위치가 작동된다. 예컨대, 제2스위치는 스프링에 의하여 그 분기위치에 설치되므로 주이동방향으로의 스프링력에 대하여 체인링크트레인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부레일이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그로의 수송통로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사 패키지 또는 빈관을 운반하는 체인링크트레인의 대기통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구체예에서 그러한 사 패키지를 대기시키는 작용을 하는 추가레일도 방향전환트랙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영역의 외부에 방향전환트랙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는 그 순환코스를 따라서 그 주위로 이행한다. 이로 인하여 대응결합후 다른 측으로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를 다시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방식에서는 기계통로로의 진입방향에 관련하여 한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패키지 맨드렐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것은 섬유기계의 A 및 B측에 공급하는데 유용한데, 이는 이 경우에 단일 수송장치를 구비하여 양 기계측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이다. 그러한 전환루프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어서 걸리캐리지로부터 동일측을 향하여 항상 사 패키지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기계통로에 가공처리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가 그 순환코스를 따라 이행하며 그렇게 하여 스위치가 통과될 때까지 그 순환코스로 병행하여 연장하는 주트랙을 따라서 결합체인링크트레인을 끌어당기게 도어 소정기계통로에 달하게 된다. 이 공정에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인접하는 스위칭텅은 마지막 체인링크의 통과시에 강제적으로 개방되며 그 일탈위치로 복귀한다. 그후 이동방향이 여전되어서 체인링크트레인은 스위치의 대응설정에 의해 이 기계통로로 이동하게 된다.
기계통로의 길이가 각기 두 연속기계통로중 하나에 이르는 두 연속스위치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다는 사실로 인하여,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의 후방선단은 공급되는 기계통로의 스위치를 통과하게 되지만,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의 전방선단은 다음 기계통로의 스위치를 이미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에, 공급되는 기계통로의 스위치는 예컨대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하여 그 분기위치에 자동적으로 대기할 수 있는 반면 제어가능한 스위치 가동 메카니즘에 의하여 다음 기계통로의 스위치는 개방되도록 제안된다.
기계통로로의 진입후에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는 체인링크트레인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대응결합후 동일한 방식으로 또 기계통로에서의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 이끌릴 수 있는 다음 체인링크트레인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공정절차는 가공처리 스테이션의 수에 따라 반복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단지 하나, 어떤 경우에는 구동장치로서 작용을 하는 소수의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만 사용하여 반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실제로 필요한 수송사이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섬유기계용 수송장치의 구동개념은 엘리베이터의 사용없이 작동수준을 변경할 수 있다는 추가적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 추가 개선점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레일(순환코스)이 플로어보다 높은 수준, 즉 운반장치 또는 걸기캐리지의 하부선단과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아래 통로를 따라 움직이기 위한 플로어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남길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는 인자에 둔 것이다.
반면에, 순환코스로부터 기계통로로의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가능한하 권취장치의 권취스핀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용홈 또는 그들의 돌출 패키지 맨드렐과 함께 거기에 연장할 수 있도록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시스템의 레일을 위치시켜 권취장치로부터 하방으로 만관 사 패키지 또는 권취장치로 하방으로 빈관이 회전하도록 한다.
더욱이, 이 배열은 기계통로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용 레일을 구비하고 있어서 체인링크트레인이 기계통로로 진입할 때(춘진작동)조차도 항상 체인링크트레인은 보유되어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연속 결합체인에 의하여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에 체인링크트레인을 연결할 수 있어서 유익하다. 그러한 결합체인은 예컨대 아티큘레이트형 링크체인, 특히 카르단조인트체인일 수 있다. 그러한 결합체인의 길이는 섬유기기의 기계정면의 모든 가공처리 스테이션을 향하는 빈관 또는 만관 사 패키지용 수송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는 치수로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든 가공처리 스테이션이 체인링크트레인의 단일위치에서 공급될 수 있는 체인링크트레인의 위치설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결합체인은 그 선단에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에 체인링크트레인을 접합하기 위한 결합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은 의도된 레일부분으로 수송되자마자 체인링크트레인으로부터 결합체인의 간단하고 신속한 분리를 달성하게 되며 대응해제후 연속하여 또 다른 체인링크트레인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수단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구체예 또는 가능한 실현 구체예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구체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다음 설명은 모든 도면에 적용된다.
실례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기계(1)는 기계통로(3)가 있는 복수의 가공처리 스테이션(2)으로 이루어진다. 가공처리 스테이션은 공통기계 정면을 따라 연장하며 하나의 기계통로에 연관되어 있다. 개개의 가공처리 스테이션(2)으로부터 만관 사 패키지(4)를 제거하거나 가공처리 스테이션(2)으로 빈관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송장치(5)가 사용된다. 이 수송장치(5)는 설정요소가 없을 때의 순환코스(6)를 따라 이행하는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형태의 수송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결합요소(11)에의하여 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에 부착된 것은 카르단 조인트체인으로서 구성되는 결합체인(8)이다. 결합요소(11)에 의하여 결합체인(8)에 연결된 것은 사 패키지(4)용 운반장치(9)로서 작용하는 체인링크트레인 또는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10)이다. 각 체인링크요소 컨베이어(10)는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순환코스(6)에 병행하여 연장하는 주레일(12)을 따라 이행한다. 대응설정요소(13)에 의하여 주레일(12)로부터 부레일(14)이 분기되어 가공처리 스테이션(2) 사이의 기계통로(3)에 이르게 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레일(14)은 상부 또는 하부로의 경사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과로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단일구동장치 또는 적어도 소수의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는 소정순서로 처리될 빈관 또는 만관 사 패키지(4)를 운반하는 각 경우의 요구조건과 일치하는 수의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를 개개의 가공처리 스테이션(2)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실행되고 있었던 복수의 구동장치의 사용은 생략될 수 있어서 단가가 줄어들고 고장가능성도 전체적으로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달리 말하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는 기관차 또는 트랙터라고 불릴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수송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으로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와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의 결합으로 비교적 적은 간격을 둔 사 패키지(4)의 경제적 수송을 달성할 수 있다.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는 대응 결합요소(11)에 의하여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에 연결을 형성하는 카르단조인트체인 형태의 결합체인(8)과 연관될 수 있다. 결합체인(8)은 요구조건에 따라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레일시스템은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를 위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을 형성한다.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은 결합체인(8)을 극단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는 어떤 설정요소없이 단순한 순환코스(6)를 따라 이행한다. 그래서 필요성에 따라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는 결합체인(8)에 의하여 레일시스템내 기관차의 형태로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를 이동시킨다.
제3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10)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에 의해 구동되는 결합체인(8)에 의해 소정위치로 밀리거나 끌어당겨지므로 부레일(14)을 따라 대기 또는 일시적 저장영역으로 또는 주레일(12)의 외부에 위치된 가공처리 스테이션(2)으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와 결합체인(8)과 함께 일정길이의 체인링크 용소 컨베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결합체인(8)으로의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부착으로 경사면을 쉽게 극복하여 좁은 만곡부를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또, 제4a도 및 제4b도에는 체인링크 요소 컨베이어의 요소가 거기에 연관된 권취장치를 어떻게 공급하는지에 관하여 예시하고 있다.
걸기캐리지(20)는 그 상부선단에 객개의 기계통로에 이르게 되는 부레일(14)을 따라 운반장치(9)에 의하여 이동하는 데 알맞게 되어 있다.
걸기캐리지(20)는 복수개의 개개 수준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이들 수준기는 만관 사 패키지(4)나 아니면 반관(26)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동일목적의 모든 수준기는 상호 동일하며 상호 사이의 수직간격도 동일하게 배치된다. 빈관(26) 또는 만관 사 패키지(4)는 일정방식으로 각기 기울어지며 수준기를 형성하는 홈상의 관의 외부선단에 위치된다.
예시된 도면으로부터 기계정면을 파열선의 좌측이다. 여기서 개개 사 권취유니트는 제6도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로 겹쳐 놓여진다.
걸기캐리지(20)의 수준기 배치는 실제 기계정면의 사 권취유니트의 배열에 해당한다. 기계정면과 걸기캐리지 사이에 배치된 것은 소위 말하는 중간프레임(27)이며, 이는 걸기캐리지(20)로부터 개개 사 권취유니트로의 새로운 빈관이송 및 같은 방식으로 사 권취 유니트로부터 걸기캐리지로의 가공마무리된 만관 사 패키지(4)의 이송을 위해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중간 프레임(27)에는 걸기캐리지(20)의 기울어진 수진기로 실제 전이없이 접속하는 램프(ramp)(28)(29)가 구비되어 있다. 걸기캐리지(20)의 수준기의 기울기는 실제 램프(28)(29)의 기울기에 해당하며, 수준기는 램프(28)(29)의 각각의 선단과 정렬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 빈관(26)을 지지하는 수준기(30)는 거기에 연관되어 만관 사 패키지(4)를 수용하는 각 수준기(31)위에 배치된다. 이것은 각기 겹쳐 위치하는 수준기의 빈관이 연관램프(28)에 의하여 패키지레버(43)(44)에 의해 수용되는 사 권취 유니트로 공급되어 권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만관 사 패키지(4)는 패키지 레버로부터 해제되며 각각의 램프(29)에 의하여 만관 사 패키지용 수준기(31)로 운반된다. 여기서 만관 사 패키지(4)는 정지부(3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서 걸기캐리지(20)에 의해 수송되면서 그들의 위치에서 확고하게 보유된다.
정지부가 패키지의 정표면을 넘어 돌출하는 각 관선단상에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기계의 정면에 걸기캐리지(20)의 예시된 위치에서 걸기캐리지(20)는 그 상부선단에서 운반장치(9) 및 그 하부선단에서 U-형상의 위치설장레일(21)에 의해 그 위치에 정확하게 고착되어 수준기(30)(31)는 램프(28)(29)의 자유선단으로부터 그들의 자유선단과 함께 단지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기본적으로, U-형상의 위치 설정 레일(21)은 부레일(14)의 전길이를 따라 평행하여 연장할 수 있다. 반면에, 섬유기계의 정면에서의 구역에서만 배치되는 레일의 길이를 구성한다.
제4b도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기캐리지(20), 권취기의 정면에서 그 위치에 걸기캐리지(20)를 중앙에 두고 있는 결합장치(57)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 결합장치(57)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59)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팔꿈치모양의 엘보우 레버(58)로 이루어진다. 그 자유선단에 엘보우레버(58)가 걸기캐리지(20)의 대응 센터링캐치(60)에서 결합함으로써 부레일(14)의 축방향으로 걸기캐리지가 섬유기계의 정면에 정확하게 위치설정되지 않는 것을 막는다. 본 구체예에서 센터링캐치(60)는 걸기캐리지(20)에 고정하여 연결되는 U-형 또는 V-형의 스트랩으로 이루어진다. 엘보우레버(58)의 자유선단은 캐리지(20)가 적당하게 위치되자마자 이 스트랩을 결합한다.
본 구체예에서 결합장치는 걸기캐리지(20)의 상부선단에 배치된다. 그러나, 설치 상황에 따라서 걸기캐리지(20)의 하부선단 또는 다른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기계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은 두 로울러에 의하여 U-형 위치설정 레일에서 걸기캐리지(20)를 그 자체 안내할 수 있는 기회가 내재한다. 이로 인해 걸기캐리지(20)가 의도치않게 전환되는 것으로부터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또, 제어방식으로 만관 사 패키지(4)의 이송 및 빈관(26)을 부리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여러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4a도의 구체예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제어메카니즘(33)(34)은 대응 피스톤-실린더 유니트(35)에 의한 운동으로 그들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비된다. 각각의 제어메카니즘(33)(34)은 구름-방지방향으로 먼저 도달되는 제어메카니즘(34)의 예시위치에서 전진하는 권취관을 먼저 정지시키는 정지부(36)를 연관권취관의 돌출선단의 구름-방지 높이에서 수유한다. 이정지부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볼 베어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전진하는 만관 사 패키지의 운동에너지는 단순한 회전에너지로 먼저 전환된 다음 균일하게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각각의 램프(29)가 실선으로 예시된 위치에서 만관 사 패키지(4)를 수용하였을 때 구름-방지 방향으로 먼저 오는 제어메카니즘(34)은 피스톤-실린더 유니트(35)에 의해 개구되는 반면, 구름-방지 방향에서 볼 때, 그후 도달되는 제어메카니즘(33)은 그 예시되어 폐쇄위치에 보유된다. 이어서 만관 사 패키지는 제2제어메카니즘(33)에 의해 대응방식으로 한정되는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 권취장치의 패키지 레버(43)가 추가의 빈관(26)을 수용하는 동안에 기본으로 추가의 빈관(26)이 걸리캐리지(20)로부터 대응램프(28)상으로 구르게 된다.
그러나,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빈관정지부(37)는 여전히 빈관(26)의 정면에 대기하고 있으며 빈관이 구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빈관정지부는 대응 피스톤-실린더 유니트(35)에 의해 운동을 하자마자 제2제어메카니즘(33)에 의해 작동된다. 이 때문에 제2제어메카니즘(33)은 그의 통로가 빈관정지부(37)의 자유선단과 교차하는 제2제어메카니즘(33)을 따라서 이동하는 정지부(38)을 소유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정지부(38)의 수직상부이동은 빈관정지부(37)를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지금까지 보유되었던 빈관(26)은 대응램프(28)에 도달하게 된다.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만관 사 패키지(4)가 해제됨과 동시에 제2제어메카니즘(33)의 정지부(36)는 측상으로 돌출하는 선단의 구름-방지통로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제어메카니즘(33)의 수행은 새로운 빈관의 해제와 그들의 제거를 기다리고 있는 만관 사 패키지(4)의 해제를 도시에 실행하기 때문에 이중가능을 근거로 하여 된 것이다.
그래서 걸기캐리지(20)가 지지된 빈관(26)을 해제하고 새로운 만관 사 패키지(4)를 수용한 후에는 만관 사 패키지(4)상술한 방식으로 제거된다.
제4a도의 구체예의 변형예로서 제4b도는 다른 가능한 제어메카니즘을 예시하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 중간프레임(27)은 사 패키지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여 연장하는 축(53) 주위로 회전가능하며 걸기캐리지(20)상의 패키지 수용수준기(31)를 향하는 램프(29)의 선단에 배치되는 연장부(52)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가능한 연장부(52)의 자유선단은 하방으로 요동되는 경우, 즉 한선단이 걸기캐리지(20)을 마주할 때, 회전축은 회전가능한 연장부(52)의 대향선단은 이 자유선단을 향하여 대기위치에 도시된 만관 사 패키지가 구르는 정도로 상승되도록 연장한다.
그래서, 걸기캐리지(20)를 향한 만관 사 패키지의 의도치 않은 구름을 방지하는 배리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예시된 바와 같은 이 한 회전위치에서 회전가능한 연장부(52)는 램프(29)를 차단한다. 회전가능한 연장부(520의 다른 가능한 선단위치에서 연장부(52) 걸기캐리지(20)상의 만관 사 패키지 수준기에 향하는 그 자유선단과 정렬하게 되며 그의 다른 선단은 램프(29)의 나머지 부분과 정렬하여서 전진하는 만관 사 패키지가 연속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제4b도의 예시구체예에서는 제1제어메카니즘(34)이 필요없으나 그를 따라 구르면서 만관 사 패키지를 골라내기 위해 여전히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가능한 연장부(52)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제2제어메카니즘(33)이 사용되어 회전가능한 연장부(52)의 장방형구멍(55)에서 대응핀(54)과 결합한다. 이를 위해 장방형구멍(55)은 회전가능한 연장부(52)의 환상으로 돌출하는 회전레버(56)에 구비된다.
따라서, 핀은 장방형구멍(55)에 동시에 결합되면서 제2제어메카니즘(33)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빈관정지부(37)의 효과를 정지부(38)가 제거함과 동시에 근본적으로 차단위치로 연장부(52)를 이동시키는 제어메카니즘(33)의 상부이동에서 회전가능한 연장부(52)로 운동을 부여한다. 따라서, 제2제어메카니즘(33)이 상술한 이중기능을 완수하는 이 구체예에도 적용한다.
이들 시스템에서 중요한 것은 빈관과 만관 사 패키지가 수준기(30)(31) 및 인접램프(28)(29)에 따라서 각기 그들이 중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를 수 있다는 점이다. 각 예에서 회전운동은 정지부(36)와 (38)(제4a도), 또는 정지부(38)만 (제4b도)과 조합하여 제어메카니즘(33)(34)(제4a도) 또는 제어메카니즘(33)단독 (제4b도) 사이의 협동에 의하여 실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6도를 참고로 제시하며 그 출원내용은 특허출원번호 P 43 42 434로 독일 특허청에 제출되어 있다.
또 제5도에 도시된 것은 상기 섬유기계의 상면도이다.
상기 설명을 보충하기 위하여 도면은 다음을 나타내고 있다 : 섬유기계중 단지 4개의 기계통로만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그러한 기계통로가 서로 평행하여 배치될 수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기계통로에 배치된 것은 스위치(117)에 의해 주트랙(19)으로부터 분기되는 부레일(14)이다. 주트랙(19)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레일에 실제 평행하여 연장한다. 이를 위채 참고로 상기 설명이 주어질 수 있다.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주이행방향은 (18)로 표시된다. 따라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는 원형 폐쇄-루프코스를 따라 이행하며 필요에 따라 체인링크트레인을 결합한다.
가공처리 스테이션(2)은 기계통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복수의 사 권취기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상부에 나란히 배치되는 폐쇄된 기계정면을 제시한다.
기계통로의 A 또는 B측이라도 하는 상호 마주하는 두 기계정면은 단일 기계통로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 방향전환레일(15)은 운반장치(9) 주위에서 전환하도록 하는 기계영역외부에 배치되어서 운반장치(9)가 방향전환레일의 영역으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요구방향에서 항상 그들의 패키지레버(44)를 향하게 된다. 제4a도에 도시된 구체예의 대응적용에서 이것은 또 만관 사 패키지용의 예시된 수용-수준기의 정렬에도 사용된다.
그 주이행방향(18)에 도달하는 체인링크트레인은 방향전환레일(15)에서 장해없이 통과되거나 방향전환레일(15)로의 입구스위치(39) 통과시 그 이행방향에 역전되어서 방향전환레일의 전환세그먼트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만관 사 패키지의 배열은 역전되고 다시 만관 사 패키지는 방향전환레일(15)이 출구스위치(40) 통과시 역전된 패키지 배열을 떠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강하게 제어된 스위치(39)(40)는 압력스프링(45)과 더불어 균일하게 예시된다. 이들 강하게 제어된 스위치의 예시는 방향전환트랙으로 진입하는 입구스위치(39)의 예시에 일치한다.
또 스위치텅의 위치가 사전 제어된 가동메카니즘에 의해 유발되는 사전 제어가능한 스위치가 있어서, 한 또는 다른 선단스위치로 스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이들 스위치들은 두개 가능한 설정방향으로 향하는 이중화살표로 각기 도시된다(예컨대, 기계통로의 진입선단에서의 스위치 참조). 방향전환레일의 스위치에 관하여 주레일의 직행길이로의 주이행방향(18)으로 입구스위치(39)가 향한다는 것은 본질적이다. 이 경우에 입구 스위치(39)에는 직행주트랙(19)에 대하여 항상 탄성적으로 기울어져 위치하는 텅을 구비한다. 입구스위치(39)상의 이행시 체인링크트레인의 마지막 요소가 스위치를 통과할 때까지 체인링크트레인은 그것이 통과됨으로써 그 자체 스위치를 개방한다. 그래서, 추가 스위치 가동메카니즘이 필요하지 않는 강하게 제어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달하는 체인링크트레인의 주 이행방향(18)에 만관 사 패키지가 이미 정확하게 배열되어 있고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기관차가 체인링크트레인의 후방선단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경우 체인링크트레인은 방향전환레일(15)을 통과함이 없이 앞서 곧바로 추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출구스위치(40)는 유사하게 상술방식으로 자기-개방되어서 더 이상의 제어가 필요치 않게 된다.
방향전환레일(15)과의 연결에서의 스위치배열의 이 특징과 입구 스위치(39) 및 출구스위치(40) 사이의 간격은 체인링크트레인의 길이보다 더 크다는 사실로 트레인의 정면에서의 위치에서 트레인 뒤의 위치까지의 여러 수단없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기관차를 이동시키며 입구스위치(39) 및 출스위치(40) 사이에 위치된 후 트레인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재부착되는 트레인뒤의 순환코스를 따라서 이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정지된 임시저장소(22)로 트레인을 추진할 수 있어서 유익하다. 그러므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가 임시저장소(22)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임시저장소로부터 나오기 위하여 전기적 고차 컨베이어용 레일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임시저장소(22)는 이의 공통수평면에서 그들의 선단이 종결하는 복수의 평행배치된 대기레일(23)로 이루어진다. 몇개의 이들 대기레일(23)은 상호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트랙(19)으로부터 저장트레인을 정지된 임시저장로(2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소위 일방적으로 접근가능한 사이드트랙(16)이 사용되며, 이는 주트랙(19)으로부터 분기된다. 대기레일(23)의 수평면과 동일한 면에서 기본적으로 연장하는 수평 또는 수직위치에서 이들 일방적으로 접근가능한 사이드트랙(16)은 각기 종결한다.
정지된 임시저장소(22)로 저장트레인을 이동시키기 위해 소위 말하는 셔틀수송장치(24)가 사용된다. 그러한 셔틀수송장치(24)는 대기레일(23)의 각 수준에 의해 구비된다. 셔틀수송장치는 수평면에서만 전후방 이동하는 데 알맞게 되어 있다. 각 경우에 셔틀 수송장치(24)의 연관된 수송레일(25)이 그 한 선단에서는 사이드트랙(16)과 타단에서는 자유선단의 대기레일(23)과 정렬하게 된다.
가능한한 콤팩트한 셔틀수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수송레일(25)은, 체인링크트레인이 대기레일(23)상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S-형상으로 수회 만곡된다. 체인링크트레인이 셔틀수송장치(24)로 이송된 후 임시저장소(22)에서 대응 대기레일(23)상에 수용된 체인링크트레인을 추진시키고 거기서 분리시킬 수 있는 한 이동의 그 수평면을 따라서 체인링크트레인은 이동한다.
임시저장소(22)는, 포장영역(41)에서의 작동이 24시간 계속되지 않을 경우 일정시간 동안 민관 사 패키지를 임시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사 패키지의 일정한 버핑 또는 임시저장은 연속작동으로 만관 사 패키지의 가공처리가 불가능 또는 필요없는 경우에도 항상 일어난다.
정지된 임시저장소(22)에 대해 중요한 점은 그 대기레일(23)의 길이가 적어도 하나의 체인링크트레인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일체의 다차선 체인링크트레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가 고려될 수 있다.
어떤 경우, 대기레일(23)은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에 연관되어서 체인링크트레인은 대기레일(23)상에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에 의해 추진될 수 있게 된다. 그후, 결합체인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와 운반장치(9) 사이의 결합요소(11)를 해제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으며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견인기관은 다음 수송순서에 적용할 수 있다.
저장으로부터 체인링크트레인의 제거는 역전방식으로 일어난다. 이를 위해 각 체인링크트레인은 셔틀수송장치(24)상의 임시저장소로부터 당겨진다.
그렇게 하기 위해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는 셔틀수송장치(24)의 개시후 대기하고 있는 체인링크트레인에 연결되어서 수송레일(25)에 의하여 임시저장소(22)로부터 제거된다. 그후 체인링크트레인은 셔틀수송장치(24)에 의하여 짐을 부리는 로보트(42)로 운반될 수 있다. 거기서 수송장치는 그 다음에 구분하고 의뢰하여 포장되며 포장영역(41)에서 선적을 위해 배달하는 만관 사 패키지(4)를 해방시킨다.
본 발명의 이 구체체의 특별한 이점은 정지된 임시저장소(22)의 정면에 주트랙(19)이 배치되며 이와 유사하게 일방적으로 접근가능한 사이드트랙(16)이 복합수준의 임시저장소(22)에 대한 어떠한 추가 경비도 없이 알맞게 될 수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단지 임시저장소의 폭을 가로지른 모든 수준기의 전높이에 상응하여 임시저장소의 정면에 상부 또는 하방으로 경사가 있는 주트랙(19)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어서 주트랙(19)은 임시저장소의 여러 수준기에서 그 두 선단이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사이드트랙(16)이 대기레일의 대응 수준기가 연장하는 높이에서 분기하는 경우 대기레일(23)의 정확한 수준을 단지 단일 상부 또는 하부로의 경사길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그러나, 길이가 상부 및 하부로 기울어지는 장소에서 셔틀수송장치(24)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설계되고 구성된다는 것을 감지해야 한다.
또 제6도에 도시된 것은 기계통로(3a,3b)가 있는 섬유기계의 측면도이다. 그러한 섬유기계는 제1통로(3a)(도면의 우측부분)를 갖추로 있으며 이에는 만관 사 패키지(4)가 공급사 패키지 크릴에 수용된다. 개개사는 공급패키지로부터 해사되어 가공처리(예컨대, 텍스춰가공)된 다음 다시 권취된다. 제2통로(3b)(도면의 좌측부분)에서 권취가 일어난다. 공급사 패키지 크릴이 걸기캐리지(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서 공급사 크릴은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되며, 그의 부레일(14)은 기계통로(3a,3b)로 또는 그로부터 걸기캐리지(20)를 공급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이 배열에서 공급사 크릴은 U-형상의 위치설정 레일(21)의 저부에서 고정하여 유지되어 그 가동성에도 불구하고 사 패키지의 신속한 대체를 위하여 정지공급사 크릴이 얻어진다.
이 개발에서의 중요한 이점은 예컨대 만관 사 패키지가 완전히 해사되는 경우 공급사 패키지 대치를 단시간에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조시 중단이 짧아질 수 있다. 이 이점으로 공급사 패키지 크릴이 기계통로 외부에서 이미 충분히 적재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만 대치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빈관(26)이 어떻게 좌측에 도시된 기계통로(3b)에서 예시된 섬유기계의 권취구역에서 만관 사 패키지(4)와 교환될 수 있는가를 도시하고 있다. 제4a도가 참고로 주어져 있으나 도달하는 빈관(26)이 램프(28)의 자유선단으로부터 그립퍼(46)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빈관은 낙하하는 차단레버(47)에 의해 선별된다.
그립퍼(46)의 운동통로가 패키지레버(43)의 통로와 교차하기 때문에 그들의 공통교차의 구역에서 그립퍼(46)로부터 패키지 레버로 이송할 수 있다.
또, 패키지레버(43)는 패키지레버의 중심맞추기판이 관선단으로 측상으로 결합하며 그들사이에 패키지가 죄어지는 직접 권취구역으로부터 제거되며 램프상에 패키지레버가 위치될 수 있는 한 램프(29)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애없이 이동될 수 있다. 중앙 맞추기 판의 축상 스프레딩은 사 패키지를 해방한 다음 걸기캐리지(20)상으로 수송될 수 있다.
제6도의 구체예에서 걸기캐리지(20)가 섬유기계(1)의 가공처리 스테이션과 직접 협동하는 한 제7도의 구체예는 도퍼(48)를 사용한다.
그러한 도퍼(48)는 기계정면을 따라 이행하며 예로 들면 수평면에서 회전가능한 도퍼아암(49)을 구비한다. 예컨대 도퍼아암(49)은 기계통로(3)로 유도되는 개개 권취스핀들(50)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어떤 경우에 도퍼아암(49)은 권취스핀들(50)의 정면에 정렬되고 위치되어서 권취스핀들로부터 도퍼아암상으로 만관사 패키지를 추진시키게 된다. 단순화하기 위하여, 도퍼(48)가 권취스핀들(50)로부터 만관사 패키지를 제거하고 그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컨베이어 스핀들(51)을 향하도록 그 아암을 위치시키고자 걸기캐리지(20)의 스핀들(51)을 배치할 수도 있다. 거기에서 정확하게 수용된 만관사 패키지는 밀어내어지므로써 제거되며 다음 권취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1)

  1. 기계의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면서 사 권취기가 연관되어 있는 복수의 제조 또는 가공처리 스테이션과 섬유기계의 구역으로 또는 구역으로부터 수송되는 반관 도는 만관사 패키지를 위하여 레일 형태의 가이드웨이 시스템을 따라 이행하는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수송장치를 구비한 사 제조 또는 가공처리를 위한 섬유기계에 있어서, 순환코스(6)를 바람직하게 형성하는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레일 바로 이웃에 평행하여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이 그를 따라 이행하는 사 패키지(4)용 운반장치(9)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의 레일에 이행하는 운반장치(9)에 알맞게 연결되는 견인기관과 함께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레일은 섬유기계를 따라 스위치없이 연장하는 반면,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은 스위치가 갖추어져 있으며 부레일이 그로부터 기계통로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섬유기계의 길이방향축에 실제 수직하며 정면선단을 따라 연장하도록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레일이 위치되며, 스위치뒤에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의 부레일이 기계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부분에 의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의 부레일이 각 섬유통로에 막다르게 되며,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향하는 섬유기계의 선단에서 종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장치(9)가 아티큘레이트형 링크체인(10)을 형성하도록 짐벌(수평자재)형태로 상호접합되는 개개 요소로 이루어지며, 개개요소가 사 패키지용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장치를 각기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와 운반장치(9)가 카르단 결합에 의해 상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운반장치(9)를 위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이 감소된 높이로 섬유기계(1)의 구역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은 기계의 구역외부에 방향전환트랙(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9. 제1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사이드트랙(16)이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이 주트랙(19)으로 이루어지며, 부레일(14)이 섬유기계의 구역으로 주트랙(19)으로부터 분기되며 주트랙(19)으로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며, 스위치가 전기적 고가 컨베이어(7)의 주이행방향에 자기-개방되며, 스위치텅이 주트랙(19)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져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운반장치(9)는 싣거나 내리기 위해 U-형상의 위치설정 레일중의 가공처리 스테이션(2)의 정면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는 걸기캐리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운반장치(9)를 위한 임시저장소(22)가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대기레일(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3. 제1항에 있어서, 정지된 임시저장소(22)가 공통수직면에서 종결하는 복수의 대기 레일(23)로 이루어지며, 트랙(25)상으로의 수송을 위해 운반장치(9)를 숭요하며 이어서 임시저장소(22)의 대기 레일(23)중 하나와 정렬하고 그 정면에 트랙(25)을 위치시키는 이동성 셔틀수송장치(24)로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4. 제1항에 있어서, 운반장치가 기계통로(3)로 공급 사 패키지(4)를 싣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알맞게 된 이동성 크릴로서 설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5.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제2가이드웨이 시스템이 기계정면과 사 권취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수송장치 사이에서 도퍼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기계정면으로부터 떨어져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6. 제1항에 규정된 바의 섬유기계의 구역으로 배달 또는 그 구역으로부터 제거되는 빈관 또는 만관사 패키지용 수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각 사 가공처리 스테이션에서 빈관상에 만관 패키지로 권취되는 사를 제조 또는 가공처리하기 위한 섬유기기에 있어서, 각 가공처리 스테이션의 정면에 빈관저장소 또는 만관사 패키지 저장소가 구비되며 수송장치가 각 가공처리 스테이션을 위해 하나의 만관사 패키지 또는 하나의 빈관을 각각 유지하는 저장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7. 제16항에 있어서, 빈관 저장소 또는 만관사 패키지 저장소가 각기 램프(28)(29)이며, 빈관(26)용 램프는 각자의 가공처리 스테이션을 향하여 기울어지며, 마관사 패키지(4)용 램프는 가공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떨어져 경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8. 제17항에 있어서, 만관 사 패키지 또는 빈관의 그름로를 따라서 제어메카니즘(33)(34)은 그에 의해 구름로로부터 제거되거나 구름으로 이동되는 정지부(36)(37)(38)를 가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메카니즘(33)(34)이 램프(28)(29)의 측상에 위치되며 패키지의 정면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관선단의 구름로에서 측상으로 결합하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가동로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섬유기계로부터 떨어져 향하는 만관 패키지 램프(29)의 선단에 연장부(52)가 제어메카니즘(33)(34)에 의한 회전을 위해 배치되며, 한 회전위치에서는 램프(29)와 정렬하며, 다른 회전위치에서는 섬유기계를 향하여 그 선단이 유도되는 구름-방지 배리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21. 제16항에 있어서, 수송장치는 기울어지는 만관 사 패키지 또는 빈관 각각을 위한 수준기(30)(31)로 이루어젼 수준기(30)(31)는 램프(28)(29)와 정렬되며 각자의 구름-방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
KR1019940017970A 1993-07-24 1994-07-25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KR96001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5381 1993-07-24
DEP4325381.4 1993-07-24
DEP4415317.1 1994-05-02
DE4415317 1994-05-02
DEP4421892.3 1994-06-23
DE4421892 1994-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493A KR950003493A (ko) 1995-02-17
KR960014819B1 true KR960014819B1 (ko) 1996-10-21

Family

ID=2720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970A KR960014819B1 (ko) 1993-07-24 1994-07-25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20345A (ko)
JP (1) JPH07145524A (ko)
KR (1) KR960014819B1 (ko)
DE (1) DE4424423A1 (ko)
IT (1) IT1273667B (ko)
TW (1) TW3581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1669A (zh) * 2020-07-19 2020-11-06 康赛妮集团有限公司 一种纱筒缓震车间运输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3972C2 (de) * 1995-02-07 1999-10-28 Josef Hafner Verfahren zum Befördern von Transportwagen oder Zügen in einer Transportvorrichtung für Spinnereianlagen und Transport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TW340145B (en) * 1995-04-11 1998-09-11 Barmag Barmer Maschf Crimping machine
CN104178953B (zh) * 2014-08-13 2016-05-25 芜湖富春染织有限公司 一种棉纱线运输蒸纱两用装置
DE102018111433A1 (de) * 2018-05-14 2019-11-14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zum Speichern und Transportieren von Hülsen an einer Textilmaschine sowie Textil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974A (en) * 1971-05-13 1976-10-26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ktiengesellschaft Movable bobbin transport apparatus
DE2123689A1 (de) * 1971-05-13 1972-11-23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Verfahrbare Spulentransportvorrichtung
FR2240636A5 (ko) * 1973-08-08 1975-03-07 Rhone Poulenc Textile
JPS5842106B2 (ja) * 1975-12-02 1983-09-17 帝人株式会社 タマアゲキ
JPS61111282A (ja) * 1984-11-02 1986-05-29 Murata Mach Ltd ワ−パ−クリ−ルへのパツケ−ジ供給装置
JPS6231671A (ja) * 1985-08-01 1987-02-10 Toray Eng Co Ltd 自動玉揚機
US4923132A (en) * 1986-12-26 1990-05-0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Doffing truck for a yarn false twisting machine
JP2534727B2 (ja) * 1987-09-12 1996-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糸搬送システム
DE3906718A1 (de) * 1989-03-03 1990-09-06 Palitex Project Co Gmbh Transport- und handhabungssystem fuer vielstellen-textilmaschinen insbesondere zwirnmaschinen
GB9021041D0 (en) * 1990-09-27 1990-11-07 Rieter Scragg Ltd Bobbin transportation arrangement
EP0531905B1 (de) * 1991-09-12 1995-05-24 Barmag Ag Vorrichtung zum Verladen von Spulhülsen
DE59202517D1 (de) * 1991-09-12 1995-07-20 Barmag Barmer Maschf Spinnanlage.
US5337967A (en) * 1991-10-18 1994-08-16 Barmag Ag Textile yarn processing apparatus
JPH0640664A (ja) * 1992-03-11 1994-02-15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械からのパッケージ搬出搬送方法および装置
DE4213122A1 (de) * 1992-04-21 1993-10-2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Hängewagen-Schienensystem
JPH06127837A (ja) * 1992-10-14 1994-05-10 Towa Kogyo Kk ワインダ上がりのチーズの整経機への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1669A (zh) * 2020-07-19 2020-11-06 康赛妮集团有限公司 一种纱筒缓震车间运输设备
CN111891669B (zh) * 2020-07-19 2022-03-08 康赛妮集团有限公司 一种纱筒缓震车间运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41523A0 (it) 1994-07-20
JPH07145524A (ja) 1995-06-06
ITMI941523A1 (it) 1996-01-20
TW358128B (en) 1999-05-11
DE4424423A1 (de) 1995-01-26
IT1273667B (it) 1997-07-09
KR950003493A (ko) 1995-02-17
US5520345A (en) 1996-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220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US4023339A (en) Automatic loading, unloading and transfer device on spinning machines
US5884746A (en) Modular assembly line system
JP5686501B2 (ja) 物品搬送設備
US4979360A (en) Transport and handling system for multi-position textile machines
US5141095A (en) Package transport device
JPS62170536A (ja) 精紡機における粗糸ボビン用搬送システム
WO2009142293A1 (ja) 車体に対する足回り部品の同期搬送システム及び同期搬送方法
JPH0557171B2 (ko)
US20200140208A1 (en) Convey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veying storage device
JP2004189018A (ja) 天井搬送車システム
SG187850A1 (en) Article conveying equipment
JP2005506941A (ja) 製品搬送および集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51083A (ko) 가공삭도 시스템의 주행 작동 수단의 저장 장치
US8528719B2 (en) Conveyor system
CN219008978U (zh) 纱线输送车组
KR960014819B1 (ko) 수송장치를 구비한 섬유기계
CN109941690B (zh) 一种丝车自动进给***及应用该***的自动进给方法
JPH02160937A (ja) 自動紡績機と空のケンスを一杯のケンスと交換するための装置とから成るユニツト
US3977224A (en) Conveying systems
JPH06305640A (ja) 綾巻ボビンを製造する機械から綾巻ボビンを取出しかつ当該機械に空の巻管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CN1048767C (zh) 带有粗纱筒管传送装置的精纺机
EP0392482B1 (en) Package conveying system
CN113994033A (zh) 熔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