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944B1 - 식기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944B1
KR960010944B1 KR1019940031828A KR19940031828A KR960010944B1 KR 960010944 B1 KR960010944 B1 KR 960010944B1 KR 1019940031828 A KR1019940031828 A KR 1019940031828A KR 19940031828 A KR19940031828 A KR 19940031828A KR 960010944 B1 KR960010944 B1 KR 96001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reservoir
water level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656A (ko
Inventor
아츠히토 가마
다다오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5001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식기세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어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6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수위센서 22 : 급수밸브
23 : 저류부 G : 기준수량기억수단
H : 수량비교수단 M : 피세정물
S : 수위비교수단 W : 수량계
본 발명은 식기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세정기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식기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식기세정기로서는 세정실내에 저류(貯留)시킨 세정수를 노즐암을 통하여 분출시켜 이것을 식기등의 피세정물로 분사하는 형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세정기는, 케이싱(1) 내에 형성된 세정실(2)의 앞측개방부를 도어(3)에 의하여 폐색한 것으로서, 세정실(2)의 바닥부에 세정수저류용 저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부(23)의 바닥벽에는 그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세정수여과용 여과용기(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몸통특부와 노즐암(6)의 입구를 세정펌프(62)에 의하여 연이어 통해져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저류부(23)에는 이 저류부(23)에서 전달되는 수압을 검지하는 수위센서(9)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수위센서(9)의 신호를 판단하는 급수제어장치(C1)에 의하여 급수관(25)에 접속된 개폐밸브(22)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운전스위치를 온(ON) 하면, 급수제어장치(C1)로 부터의 급수신호에 의하여 개폐밸브(22)가 열림과 동시에 저류부(23)로의 급수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저류부(23)내의 수위가 세정동작에 적합한 세정적정수위로 되면, 상기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9)의 신호를 판단하여 급수제어장치(C1)가 개폐밸브(22)를 닫음으로써 급수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완료후에는 세정펌프(62)의 작동이 개시되어 저류부(23)내의 세정수가 노즐암(6)에서 피세정물(M)로 분출됨으로써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하, 저류부(23)에서 흡입한 세정수를 피세정물(M)로 분출하는 상기 세정펌프(62) 및 노즐암(6)등을 총칭할 경우에는 세정수분출장치라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식기세정에 있어서는, 저류부(23)로의 급수시에 상기 저류부(23)내의 물이 넘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급수동작을 확보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에 씻겨져 내려온 피세정물(M)의 찌꺼기가 수위센서(9)와 저류부(23)가 연이어 통하는 부분에 쌓이게 되면, 수위센서(9)가 저류부(23)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저류부(23)내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여도 개폐밸브(22)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급수동작이 계속되고 결국에는 저류부(23)내의 세정수가 외부로 새어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류부(23)에서 흡인한 세정수를 이 저류부(23)의 상측에 수용된 피세정물(M)로 분출시키는 세정수분출장치와 ; 상기 저류부(23)로 급수하는 급수밸브(22)와 ; 상기 저류부(23)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9) ; 를 구비하며, 운전스위치가 조작되면 수위센서(9)에 의하여 저류부(23)내의 수위를 감시하면서 개폐밸브(22)를 열림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저류부(23)내에 소장량의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개폐밸브(22)를 닫은 후, 세정에 필요한 동작을 하도록 한 식기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시에 저류부(23)에서 세정수가 넘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급수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수단은 『저류부(23)내에서 세정수가 넘칠 우려가 있는 경계수위를 기억하는 경계수위기억수단(R) ; 상기 경계수위와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를 비교하여 후자의 검지수위가 전자의 경계수위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세정금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비교수단(S)과 ; 급수밸브(22)에서 저류부(23)로 공급한 물의 양을 누적하는 수량계(水量計)(W)와 ; 저류부(23)에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데 필요한 기준수량을 기억하는 기준수량기억수단(G)과 ; 이 기준수량기억수단(G)이 출력하는 기준수량과 상기 수량계(W)가 계측한 급수량을 비교하여 후자의 급수량이 전자의 기준수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급수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수량비교수단(H) ; 을 설치하고, 상기 수량비교수단(H)에서 급수정지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개폐밸브(22)를 닫은 후에 피세정물(M)을 세정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고, 수위비교수단(S)에서 세정금지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개폐밸브(22)를 닫힘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세정동작을 금지시키도록 한』것이다.
상기 기술적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제1도 참조).
본 발명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는, 수량계(W)를 이용하여 저류부(23)에 급수함과 아울러 그 급수동작을 수위센서(9)가 의하여 감시하도록 하여 신뢰성이 높은 급수동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수량계(W)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경우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그 작용을 설명한다.
[수량계(W)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경우]
수량계(W)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한, 수위센서(9)가 고장난 경우라도 다음과 같이 저류부(23)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전스위치를 온하면, 상기 종래의 식기세정기와 마찬가지로 개폐밸브(22)가 열리고 저류부(23)로의 급수가 개시된다. 그러면, 수량계(W)가 저류부(23)로의 급수량을 계측하기 시작하고, 이 계측수량과 기준수량기억수단(G)이 기억하는 기준수량 저류부(23)에 그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데 필요한 수량이 수량비교수단(H)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비교되면서, 마침내 수량계(W)의 계측수량이 기준수량기억수단(G)이 기억하는 기준수량과 일치하여 저류부(23)에 설정수위까지 급수된 상태로 되면, 상기 수량비교수단(H)에서 급수정지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급수정지신호에 의하여 개폐밸브(22)가 닫힌 후, 종래의 식기세정기와 마찬가지로 피세정물(M)을 세정하기 위한 동작이 시작된다. 따라서, 수량계(W)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한, 저류부(23)와 수위센서(9)의 연결부가 찌꺼기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된 작은 오물등으로 막혀서 상기 수위센서(9)가 수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하더라도 상기 저류부(23)에서 세정수가 넘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수량계(W)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경우]
이어서, 수량계(W)에 고장등이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량계(W)가 고장나서 작동하지 않게 되면, 저류부(23)로의 급수동작이 개시되어도 수량계(W)의 계측수량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면, 저류부(23)에 기준수량[기준수량기억수단(G)에 기억되어 있음]의 급수가 이루어져도 수량계(W)의 출력이 기준수량기억수단(G)에 설정된 상기 기준수량보다 커지지 않기 때문에 수량비교수단(H)에서 급수정지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저류부(23)로의 급수동작이 정지되지 않고 그 수위가 계속 상승하여 마침내 상기 저류부(23)의 수위가 경계수위기억수단(R)에 기억된 경계수위[저류부(23)에서 세정수가 넘칠 우려가 있는 수위]에 도달한다. 그러면, 상기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9)의 출력이 상기 경계수위와 일치하여 수위비교수단(S)에서 세정금지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금지신호에 의하여 개폐밸브(22)가 닫힘상태로 유지되어 저류부(23)로 부터 물이 새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세정을 위한 이후의 동작이 금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수단과 그 작용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가진다.
저류부(23)내의 수위가 경계수위까지 상승하여도 수량계(W)가 기준수량을 계측하기 않는 경우에는 급수밸브(22)를 강제로 닫아서 상기 저류부(23)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저류부(23)에 대한 급수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저류부(23)내가 설정수위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수위센서(9)만으로 감시하는 상기 종래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는 저류부(23)내의 수면이 흔들리면 그 검지수위가 변동되기 때문에, 저류부(23)내의 실제수위가 상기 설정수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급수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수단에 의하면, 수량계(W)의 출력에 의거하여 저류부(23)로 설정수량을 급수하기 때문에 상기 수면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급수정밀도가 저하될 염려는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1)내에는 앞측으로 개방되는 세정실(2)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앞측개방부는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3)에 의하여 폐색되어 있다. 또, 상기 세정실(2)내에는 래크(4)에 수용된 식기등의 피세정물(M)에 대하여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노즐암(6a, 6b)등의 세정수분출장치와 세정실(2)내에 건조용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장치(給氣裝置 ; 8)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관(25)에서 세정실(2)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감시하는 수량계(W)와 저류부(23)에서 전달되는 수압을 검지하여 그 수위를 판단하기 위한 수위센서(9)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수위센서(9)는 저류부(23)에서 전달되는 수압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는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저류부(23)내에 세정수가 고여 있지 않는 조건하에서의 상기 수위센서(9)는 주파수가 27.2Hz∼27.8Hz인 펄스를 출력하고, 수위가 1cm상승할 때마다 주파수가 2.4KHz씩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세정실(2)의 앞측개방단의 밑면이 세정실(2)의 저벽보다 소정높이만큼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실(2)의 바닥부에는 일정깊이의 저류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류부(23)의 바닥벽에는 여과망(70)을 구비한 여과용기(7)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여과용기(7)의 바닥벽에는 배수펌프(73)를 구비한 배수파이프(74)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저류부(23)의 상측에는 노즐암(6a, 6b)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측 노즐암(6a)은 세정실(2)의 바닥벽(21) 부분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고, 상측 노즐암(6b)은 세정실(2)의 후벽에서 돌출되는 지지암(61)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노즐암(6a, 6b)에는 상기 여과용기(7)에 접속된 세정펌프(62)와 연락회로(60)를 통하여 세정수가 공급된다.
또, 상기 각 노즐암(6a, 6b)의 상측에는 식기등의 피세정물(W)을 수용하는 래크(4)가 자유롭게 꺼내고 넣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 래크(4)는 세정실(2)의 양측벽에 설치된 레일(5)에 대하여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지지되고, 하측 래크(4)는 그 양측 하부에 배치된 롤러와 세정실(2)의 양측벽에 설치된 지지레일(R)에 의하여 자유롭게 꺼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1)의 상부에는 그 상측 앞면에 형성된 급기구(10)에서 세정실(2)의 천정벽(26)에 형성된 트인구멍(81)에 이르는 급기통로(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급기통로(83)에는 급기팬(80)과 히터등의 가열장치(82)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어(3)내에는 그 이면 하부의 유입구(35)에서 앞면 상단부의 배출구(36)로 연결되는 배기통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기세정기에 구비되어 있는 세정펌프(62)나 가열장치(82)등의 전기부품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 구비된 제어회로(79)에는 상기한 수량계(W), 수위센서(9), 급수밸브(22), 가열장치(82), 세정펌프(62), 배수펌프(73) 및 운전스위치(7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79)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제5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내용과 같은 제어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이하, 상기 세정기의 세정동작을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101)에 의하여 운전스위치(78)가 조작되는 것을 감시함과 아울러, 상기 운전스위치(78)가 조작되면 배수펌프(73)를 25초동안만 동작시켜 저류부(23)내에 체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잔류수(殘留水)를 배수한다. 이 상태에서 압력검지식 수위센서(9)가 검지하는 수위를 조사하여 저류부(23)내에 잔류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즉, 저류부(23)내에 잔류수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수위센서(9)가 출력하는 펄스의 주파수로서 이미 마이크로컴퓨터의 ROM내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주파수(27.2Hz∼27.8Hz)의 범위내에 상기 수위센서(9)의 출력이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위센서(9)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주파수의 범위에 들어가 있지 않는 경우에는, 배수펌프(73)등에 이상(異常)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102)에서 에러를 표시한다. 즉, 케이싱(1)의 앞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램프를 발광시켜 이상상태를 알리는 것이다.
한편, 수위센서(9)가 배수되었음을 검지하여 그 출력펄스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주파수(27.2Hz∼27.8Hz)의 범위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103)을 실행하여 수위센서(9)가 출력하는 펄스의 주파수를 기준수위(H0)로서 기억한다. 즉, 상기 배수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위센서(9)가 실제로 검지한 수위를 기준수위(H0)로서 기억하고, 후술하는 저류부(23)로의 급수동작시에는 상기 기준수위(H0)에 의거하여 상기 저류부(23)내의 수위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104)에 의하여 급수밸브(22)를 열러 저류부(23)로의 급수를 개시하고, 스탭(105)에 의하여 수량계(W)의 계측수량을 판단하면서 저류부(23)로 1리터만 급수한 후, 스텝(107)에 의하여 수위센서(9)의 출력이 변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서 수위센서(9)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밸브(22)가 1리터의 급수량을 계측할 때까지는 스텝(105)에 이어서 스텝(1006)을 실행함으로써, 저류부(23)로 공급한 세정수가 상기 저류부(23)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 수위를 감시한다. 즉, 저류부(23)내에서 세정수가 넘칠 염려가 있는 수위로서 이미 마이크로컴퓨터에 기억되는 있는 경계수위(H1)와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등을 이용하여 「경계수위(H1)수위센서(9)의 검지수위」의 연산을 실행하고, 이 연산식에 있어서 우변이 큰 경우에는 스텝(108)을 실행하여 급수밸브(22)를 닫음과 동시에 상기 스텝(102)을 실행하여 상기 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이어서, 상기 저류부(23)로 1리터를 급수한 결과,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가 상기 기준수위(H0)보다 적어도 체크수위(e)(1KHz)만큼 증가하여 상기 수위센서(9)의 검지출력이 「기준수위(H0)+체크수위(e)」보다 커진 경우에는, 상기 수위센서(9)가 고장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스텝(109)을 YES측으로 빠져나온 경우]. 그리고, 이 경우에는 수량계(W)의 계측수량을 「0」으로 하고, 다시 스텝(110)에 의하여 수량계(W)의 출력을 감시하면서 저류부(23)에 기준수량의 급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수량이란 피세정물(M)의 세정에 필요한 세정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저류부(23)내에 보충되어야만 하는 물의 양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리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저류부(23)에 1리터의 급수를 미리 실행하는 스텝(105)등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수량은 5미터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 급수시에는 상기 스텝(106)과 동일한 스텝(11)을 실행하여 상기 급수중에 저류부(23)에서 세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위를 감시함으로써, 저류부(23)에서 물이 새어 나올 위험이 있을 때에는 상기 스텝(10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108)에 의해서 급수밸브(22)를 닫은 후에 이상상태를 알리는 스텝(102)을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류부(23)에서 세정수가 넘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급수동작을 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기준수량을 기억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부는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수단에 기재된 기준수량기억수단(G)에 대응하고, 상기 기준수량과 수량계(W)의 계측수량을 비교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능부는 상기 기술적수단에 기재된 수량비교수단(H)에 대응한다. 또, 상기 경계수위(H1)를 기억하는 마이크로컴퓨터내의 메모리부는 상기 기술적수단에 기재된 경계수위기억수단(R)에 대응하고, 또한 이 경계수위(H1)와 수위센서(9)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스텝(106, 111)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내의 기능부는 상기 기술적수단에 기재된 수위비교수단(S)에 대응한다.
이어서, 저류부(23)로의 급수가 완료되었음이 스텝(110)에 의하여 확인되면, 스텝(112)에 의하여 급수밸브(22)가 닫힌 후, 피세정물(M)의 세정에 필요한 동작이 실행된다.
우선, 스텝(113)에 의하여 수위센서(9)의 출력을 판단하여, 타이머(T1)가 계측하는 5초의 대기시간중에 저류부(23)내가 피세정물(M)의 세정에 적합한 세정적정수위(H2)(이미 마이크로컴퓨터의 ROM내에 기억되어 있음)로 되었음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02)을 실행하여 이상상태를 알린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적정수위는 상기 기술적수단에 기재된 설정수위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가 세정적정수위(H2)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량계(W) 및 수위센서(9)가 소정의 정밀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114)에 의하여 세정동작을 실행한 후, 스텝(115)에 의하여 배수 및 건조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적정수위(H2)와 수위센서(9)의 출력을 비교하는 스텝(113)을 실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내의 기능부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나타낸 세정수위비교수단에 대응한다.
또, 상기 세정동작시에는 히터(20)에 의하여 가열된 저류부(23)내의 세정수가 세정펌프(62)에 의하여 흡입되고, 이 세정수가 노즐암(6a, 6b)에서 그 상측의 피세정물(M, M)을 향하여 분출된다. 상기 세정동작이 완료되면, 배수펌프(73)가 운전되어 저류부(23)내의 오염된 세정수를 배수함과 아울러 피세정물(M)을 헹구는 동작이 적당히 실행될 후, 급기장치(8)가 작동함으로써 가열장치(82)에 의하여 가열된 온풍이 세정실(2)내로 공급되어 피세정물(M, M)이 건조된다. 또한, 상기 온풍은 도어(3)내에 형성된 배기통로(34)를 통하여 식기세정기 바깥으로 배출된다.

Claims (2)

  1. 저류부(23)에서 흡인한 세정수를 상기 저류부(23)의 상측에 수용된 피세정물(M)로 분출시키는 세정수분출장치와 ; 상기 저류부(23)로 급수하는 급수밸브(22)와 ; 상기 저류부(23)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9) ; 를 구비하며, 운전스위치가 조작되면 스위센서(9)에 의하여 저류부(23)내의 수위를 감시하면서 급수밸브(22)를 열림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저류부(23)내에 소정량의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급수밸브(22)를 닫은 후, 세정에 필요한 동작을 하도록한 식기세정기에 있어서, 저류부(23)내에서 세정수가 넘칠 우려가 있는 경계수위를 기억하는 경계수위 기억수단(R)과 ; 상기 경계수위와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를 비교하여 후자와 검지수위가 전자의 경계수위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세정금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비교수단(S)과 ; 급수밸브(22)에서 저류부(23)로 공급한 물의 양을 누적하는 수량계(W)와 ; 저류부(23)에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데 필요한 기준수량을 기억하는 기준수량기억수단(G)과 ; 상기 기준수량기억수단(G)이 출력하는 기준수량과 상기 수량계(W)가 계측한 급수량을 비교하여 후자의 급수량의 전자의 기준수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급수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수량비교수단(H) ; 을 설치하며, 상기 수량비교수단(H)에서 급수정지신호가 출력하였을 때에는 급수밸브(22)를 닫은 후에 피세정물(M)을 세정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고, 수위비교수단(S)에서 세정금지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급수밸브(22)를 닫힘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세정동작을 금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설정수위와 수위센서(9)의 검지수위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였을 때에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수위비교기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수위비교기에서 정상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만 세정동작을 허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KR1019940031828A 1993-12-28 1994-11-29 식기세정기 KR960010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36578A JP2678342B2 (ja) 1993-12-28 1993-12-28 食器洗浄機
JP93-336578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56A KR950016656A (ko) 1995-07-20
KR960010944B1 true KR960010944B1 (ko) 1996-08-14

Family

ID=1830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828A KR960010944B1 (ko) 1993-12-28 1994-11-29 식기세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78342B2 (ko)
KR (1) KR960010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694B1 (ko) * 2013-12-26 2015-10-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1028A (ja) * 1984-02-17 1985-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S633831A (ja) * 1986-06-25 1988-01-08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等の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56A (ko) 1995-07-20
JPH07184818A (ja) 1995-07-25
JP2678342B2 (ja) 199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3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warewasher wash cycle duration, detecting water levels and priming warewasher chemical feed lines
KR20200023976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2006003410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펌프고장 감지방법
KR960010944B1 (ko) 식기세정기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20170082034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H0242555B2 (ko)
JPH0938602A (ja) 洗浄機
JP3281764B2 (ja) 洗浄機
KR100572777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과다 집수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26793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368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및 수위조절장치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KR960013167B1 (ko) 식기세정기에 대한 식기 건조방법
JP2004049535A (ja) 食器洗浄機
JP5491998B2 (ja) 洗浄機
JP2510483Y2 (ja) 食器自動洗浄装置
US11627862B2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essure therein
JPH0230067Y2 (ko)
JP6980459B2 (ja) 洗浄機
JP2950389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1259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6277170A (ja) 食器洗浄機
JP2024013995A (ja) 洗浄機及び濯ぎ水供給装置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