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333B1 - 자동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333B1
KR960007333B1 KR1019920007908A KR920007908A KR960007333B1 KR 960007333 B1 KR960007333 B1 KR 960007333B1 KR 1019920007908 A KR1019920007908 A KR 1019920007908A KR 920007908 A KR920007908 A KR 920007908A KR 960007333 B1 KR960007333 B1 KR 96000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body
manufacturing
assembl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90A (ko
Inventor
슈우지 니시모또
마사히로 오오스미
히사아끼 가쓰끼
데쓰야 무라가미
마사까쓰 오오쓰기
히로아끼 이노우에
마사미찌 고가이
노부오 기하라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11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20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5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164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 Y10T29/49829Advancing work to successive stations [i.e., assembly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2Joining plate edge perpendicularly to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4Assembling a subassembly, then assembling with a second sub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자동차의 제조공정도.
제 2 도는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사시도.
제 3 도는 사이드실 및 전면바닥부재의 결합구조의 주요부세로 단면도.
제 4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 5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 6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 7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 8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 9 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10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11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12도는 변형예에 관한 사이드실 및 전면바닥부재의 주요부 사시도.
제13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14도는 힌지기둥의 결합구조의 주요부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15-15선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15도 상당도.
제17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15도 상당도.
제18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15도 상당도.
제19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15도 상당도.
제20도는 차체조립라인의 전체공정 설명도.
제21도는 조립지그장치의 사시도.
제22도는 조립지그장치의 측면도.
제23도는 조립지그장치의 평면도.
제24도는 조립지그장치의 정면도.
제25도는 제20도의 차체조립라인의 주요부 공정 설명도.
제26도는 제20도의 차체조립라인의 주요부 공정 설명도.
제27도는 이송장치의 정면도.
제28도는 문공급 로보트 및 체결장치의 사시도.
제29도는 승강장치의 정면도.
제30도는 변형예에 관한 차체조립라인의 주요부 공정 설명도.
제31도는 자동차의 도장 공정도.
제32도는 하부차체동체와 차체부재와 도장용 지그장치의 사시도.
제33도는 제32도의 도장용 지그장치의 사시도.
제34도는 유지기구 부근의 주요부 사시도.
제35도는 제32도의 35-35선에 따른 단면도.
제36도는 변형예에 관한 조립지그장치의 제33도 상당도.
제37도는 차량조립라인의 전체공정 설명도.
제38도는 반송대차장치의 사시도.
제39도는 변형예에 관한 반송대차장치의 제38도 상당도.
제40도는 하부차체부를 갖는 의장라인의 공정 설명도.
제41도는 전면차체부를 위한 의장라인의 주요부 사시도.
제42도는 결합공정의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사시도.
제43도는 결합공정의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사시도.
제44도는 상부와 하부의 차체동체를 결합시키는 결합스테이션의 측면도.
제45도는 전기한 결합스테이션의 정면도.
제46도는 하부장치를 조립하는 결합스테이션의 측면도.
제47도는 변형예에 관한 차체조립공정의 전체공정 설명도.
제48도는 변형예에 결합공정의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의 사시도.
제49도는 변형예의 결합공정이 상부차체동체와 전면차체부의 사시도.
제50도는 변형예의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제 2 도 상당도.
제51도는 변형예의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제 2 도 상당도.
제52도는 변형예에 관한 차량 조립공정의 전체공정 설명도.
제53도는 변형예에 관한 결합구조의 제 3 도 상당도.
제54도는 변형예에 관한 차체의 확대사시도.
제55도는 사이드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6도는 바닥부재와 사이드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7도 내지 제6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전면바닥부재와 사이드실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차체동체 BU : 상부차체동체
BL : 하부차체동체 BD : 하부차체부
BF : 전면차체부 1 : 전면바닥부재
11 : 차체측면패널 13 : 루프부재
20 : 사이드실 35 : 수용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별개로 조립하고나서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하부차체동체의 하부차체부를 상대적을 전방으로부터 미끄러지게 이동시켜서 결합시키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의 제조방법에서는 강판 소재를 가공하는 프레스공정과 차체동체를 조립하는 조립공정과 도장을 시행하는 도장공정과 의장을 시행하는 차량 조립공정과를 경유해서 자동차를 제조한다.
종래의 자동차의 차체조립기술에서는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부 전면차체부 후면차체부 차체측면패널, 루프부재등을 미리 보조조립해서, 이들 차체구성부를 순차로 조립하므로서 차체동체를 조립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으나, 이와같이 차체동체의 조립완료후에 의장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의장작업의 자동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각종 제약을 수반하는 점에서 최근에는 차량조립공정의 자동화에 유리한 각종의 차체조립방법이나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35174호 공보에는 차체조립공정에 있어서 엔진실을 형성하는 전면차체부와 전면바닥과 중앙바닥과 후면바닥과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부와 차체측면패널과 루프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차체동체를 조립하고, 그후에 이들에게 필요한 의장품을 조립하는 의장을 시행하고, 그후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결합해서 하부차체동체로 하고, 이 하부차체동체에 대해 상부차체동체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부터 조립하므로서 차체동체를 조립하는 자동차의 조립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시 또 일본국 실개소 64-28377호 공보에는 차체조립공정에 있어서 전면차체부와 하부차체부로 된 하부차체동체와 차체측면패널과 루프부재와 카울부재로 된 상부차체동체를 조립하고, 이들 차체동체에 필요한 의장을 시행한후 하부차체동체에 대해 상부차체동체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부터 조립하므로서 양차체동체를 결합시키는 자동차의 조립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상부차체동체에는 사이드실(SIDE SILL) 상부부재를 하부차체동체에는 사이드실 하부부재를 설치하고, 양차체동체의 결합시에 사이드실 상부부재와 사이드실 하부부재의 수평플랜지끼리를 접합하므로서 결합부와 사이드실이 구성된다.
전기한 전자의 공보의 조립기술에 있어서는 바닥부재의 좌우양단말부에 아래쪽으로 뻗은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를 사이드실의 하부단말부의 접합 플랜지에 보울트로 결합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으나, 바닥부재측의 다수의 보울트 구멍과 사이드실측의 다수의 보울트 구멍과 합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것과 바닥부재나 상부차체동체의 폭치수의 오차가 커지면 플랜지부와 접합 플랜지가 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결합작업이 어렵게 되고 또 결합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는 것 등 각종의 문제가 있다.
전기한 후자의 공보의 조립기술에 있어서는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결합시에 사이드실 상부부재의 수평 플랜지와 사이드실 하부부재의 수평 플랜지를 접합할 필요가 있으나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조립 정밀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하지 않으면 수평 플랜지끼리가 합치하기 어렵고, 결합이 어렵게 되어 결합부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것과 양차체동체의 결합을 위해 그들의 구조가 복잡화 하는 것과, 결합부를 용접 접합시키는 경우에는 용접에 의해 도포막을 손상하는 것과 조립오차의 영향에 의해 자동장치에 보다 원활하게 결합시키기 어려운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고, 또한 결합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자동차의 차체동체중 루프부재와 좌우의 차체측면패널과 좌우의 사이드실을 포함하는 상부차체동체와 적어도 전면바닥을 포함하는 하부차체부와 이것과 별개 또는 일체의 전면차체부로 된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별개로 조립하고나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를 결합시키는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의 좌우 사이드실에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받는 수용부를 각각 형성하고, 전기한 전면차체부와 별개로 또는 일체의 하부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체전후방향의 후방으로 향하게 이동시켜서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양사이드실의 수용부상에 각각 걸어 맞추어서 전기한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수용부를 거쳐서 좌우의 사이드실에 각각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전기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적어도 좌우의 수용부에 각각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을 앞서 기재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이것과 일체의 전면차체부로 된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앞에 기재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고, 전기한 하부차체와 전면차체부와를 결합후, 이들 양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앞서 기재한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고, 전기한 하부차체를 상부차체동체에 결합후 전면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앞서의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조립후 이들 양차체동체에 도장을 시행한후 이들 양차체동체에 각각 의장을 시행한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앞서의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조립후 이들 3자에 도장을 실시후 다음에 이들 3자에 각각 의장을 실시해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앞서의 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조립후 이들 3자에 도장을 실시하고, 다음에 이들 3자에 각각 의장을 실시해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조립방법은 자동차의 차체동체에 있어서의 루프부재와 좌우의 측면패널과를 포함하는 상부차체동체와 적어도 전면바닥을 포함하는 하부차체부와, 이것과 별개로 또는 일체의 전면차체부와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별개로 조립후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를 결합시키는 자동차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상부차체동체의 좌우의 하부단말부에 하부차체부의 좌우양단말부를 받는 수용부를 각각 형성하고, 전기한 전면차체부와 별개 또는 일체의 하부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체전후방향 전방으로부터 이동시켜서 상부차체부의 좌우양단말부를 상부차체동체의 좌우의 수용부에 각각 걸어 맞추어서 지지시켜 전기한 하부차체부의 좌우양단말부를 상부차체동체의 좌우의 하부단말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은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별개로 조립한후 양차체동체를 결합시키는 자동차의 제조방법으로서 이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전면차체부와 별개 또는 일체의 하부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체전후방향의 후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의 사이드실에 미리 형성된 수용부상에 각각 걸어맞추어서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수용부를 거쳐서 좌우의 사이드실에 각각 결합시킨다.
따라서, 하부차체를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후방으로 향하게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고,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의 양사이드실의 수용부상에 각각 걸어맞추기 때문에 전면바닥과 사이드실의 결합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결합부의 신뢰성을 손상하지 않고 접착에 의한 고착도 가능하게 되고, 전면바닥이나 상부차체동체의 조립오차의 흡수도 용이하고,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결합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적어도 좌우의 수용부에 각각 접착하기 때문에 하부차체부와 상부차체동체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고, 결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보울트구멍등을 생략해서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고, 또 결합부의 밀폐성도 확보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이것과 일체의 전면차체부로 된 하부차체동체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의 조립의 자동화를 도모하기 쉽고, 조립작업의 생산성은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고,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결합후 이들 양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이들 3자의 조립의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고,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의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 결합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들 차체부에 의장을 시행하는데에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별개로 조립하고, 하부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결합후 전면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이들 3자의 조립의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고, 하부차체부와 상부차체동체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조립후 이들 양차체동체에 도장을 실시하고, 다음에 이들 양차체동체에 각각 의장을 시행해서 결합하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실시할 수 있고,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조립후 이들 3자에 도장을 시행하고, 다음에 이들 3자에 각각 의장을 시행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시행할 수가 있고,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조립후 이들 3자에 도장을 시행하고, 다음에 이들 3자에 각각 의장을 시행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시행할 수 있고,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다만, 상부차체동체의 좌우의 하부단말부에 수용부를 각각 형성하고, 하부차체부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의 수용부에 각각 걸어맞추어서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를들면 상부차체동체의 좌우의 하부단말부에 사이드실의 일부를 형성해서 그 수용부를 형성하고, 또 하부차체부의 좌우양단말부에 사이드실의 일부를 형성해서 그것을 수용부에 걸어맞추는 일도 있다.
전기한 작용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부차체동체의 좌우의 사이드실에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하부차체부를 상부차체동체에 대해 후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과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의 사이드실의 수용부상에 걸어맞추기 때문에 전면바닥과 사이드실의 결합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또 결합부의 신뢰성을 손상하지 않고 접착에 의한 고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과 조립오차의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과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결합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전면바닥의 좌우양단말부를 적어도 좌우의 수용부에 각각 접착하기 때문에 하부차체부와 상부차체동체와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결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보울트 구멍등을 생략해서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는 것과 결합부의 밀폐성도 확보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의 조립의 자동화를 도모하기 쉽고, 조립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의 조립의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고 하는 것과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그 결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이들 차체부에 의장을 시행하는 때에는 유리하게 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의 조립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과 하부차체부와 상부차체동체와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것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앞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동체와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시행할 수 있는 것과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전기한 바와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시행할 수 있는 것과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전기한 바와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와 하부차체부와 전면차체부와에 각각 능률적으로 의장을 시행할 수 있는 것과 의장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되는 것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전기한 바와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도어 세단차의 제조방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예이며, 차체의 전후 좌우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를 정의해서 설명한다.
자동차의 제조공정은 제 1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프레스 성형공정과 차체조립공정과, 도장공정과 차량조립공정으로 구성되고 차체조립공정에서는 제 2 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BD)와 이것과 별개 또는 일체의 전면차체부(BF)와로 된 하부차체동체(BL)과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 조립하고, 도장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에 대해 각각 필요한 도장을 시행하고, 차량조립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에 대해 각각 필요한 의장을 시행하고, 그후 전면차체부(BF)와 별개 또는 일체의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체전후방향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게 이동시켜서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거쳐서 하부차체동체(BL)과 상부차체동체(BU)와를 결합시키고,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로 된 차체동체(B)를 조립하고, 다음에 이 차체동체(B)에 대해 뚜껑물부재 및 하부장치(160)을 조립해서 자동차를 조립한다.
또한, 전기한 프레스공정은 일반적으로 주지의 공정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에 대해 제 2 도-제1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하부차체부(BD)는 전면바닥부재(1)과 좌우한쌍의 전면프레임과 축터널(2)와 제 2 가로부재(3)과 좌우한쌍의 좌석 브래키트(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바닥(1)을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벌집형상의 기판(1a)와 기판(1a)의 상하양면에 고착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강판(1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보강판(1b)는 강판제의 판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면차체부(BF)는 좌우한쌍의 전방측면프레임(7) 및 차륜에이프런 보강부재(8), 좌우의 차륜에이프런(9), 계기판구조(10), 계기판하부패널(5), 힌지기둥(6)(제15도 참조)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폐색단면구조(6A)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차체동체(BU)는 차체측면부를 구성하는 차체측면패널(11)과 차체후면부를 구성하는 후부차체(12)와 차체상부를 구성하는 루프패널(13)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측면패널(11)은 측면외부패널(14)와 측면내부패널(15)로 구성되고, 양패널(14),(15)에 의해 폐색단면형상의 전면기둥(16), 힌지기둥(6)의 후부를 구성하는 폐색단면구조(6B), 중앙기둥(18), 후면기둥(19), 좌우한쌍의 사이드실(20)등이 형성된다.
후부차체(12)는 후부바닥 주중앙바닥(40), 좌우한쌍의 후면프레임(21), 제 3 가로부재(41), 제 4 가로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5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중앙바닥(40) 및 제 3 가로부재(41)을 하부차체부(BD)에 부속시켜도 되고, 상부차체동체(BU)의 전면부의 강도와 강성을 높이기 위해 제 2 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계기판구조(10)의 계기판부재(10A)를 상부차체동체(BU)에 부속시켜도 된다.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좌우의 사이드실(20)의 내측 하부에는 압축성형 등에 의해 제작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 또는 기타 금속제의 수용부재(31)이 사이드실(20)의 전면단말부로부터 후면단말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수용부재(31)은 복수의 보울트(32)를 거쳐서 또는 용접에 의해 사이드실(20)에 고착되고, 수용부재(31)에는 안쪽으로 돌출한 상하한쌍의 수용부(31a),(31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양수용부(31a),(31b)간에는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추는 것이 가능한 걸어맞춤홈(33)이 사이드실(20)의 전면단말부로부터 대략 전장에 걸쳐서 형성되고, 하부차체부(BD)는 그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춤홈(33)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해서 삽입하고, 상부차체동체(BU)의 하부에 조립한다.
또한, 전기한 걸어맞춤홈(33)에 미리 접착제(30)을 도포한 상태에서 하부차체부(BD)를 조립해서 상부차체동체(BU)에 하부차체부(BD)를 결합하여 고착시킨다.
이 경우 걸어맞춤홈(33)에 접착제(30)을 충전해서 접착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가 있다.
단, 하부차체부(BD)를 조립한 후에 접착제(30)을 걸어맞춤홈(33)에 주입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결합해도 된다.
또, 접착에 추가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보울트로 체결해도 된다.
전기한 전면바닥(1)은 섬유강화 합성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전기한 전면바닥(1) 대신에 강판제의 전면바닥(1A)로 하는 경우에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내측 하부에 한쌍의 중합시킨 대략 엘(L)자 형상의 수용부재(31A)를 용접이나 보울트로 고착시켜 수용부재(31A)의 하부의 수용부(31c),(31d) 사이에 전면바닥(1A)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추는 것이 가능한 걸어맞춤홈(34)를 형성해도 된다.
또,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내측 하부에 상하한쌍의 대략 엘(L)자 형상의 수용부재(31B)를 상하대칭으로 용접이나 보울트로 고착시키고, 양수용부재(31B)의 수용부(31C),(31F) 사이에 전면바닥(1A)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추는 것이 가능한 걸어맞춤홈(34A)를 형성하고, 전면바닥(1A)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춤홈(34A)에 전방으로부터 삽입해서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의 하단부에 조립해도 된다.
전기한 사이드실(20)으로서 압출성형등에 의해 제작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제의 폐색단면구조의 사이드실에 대해 제 6 도-제13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좌우의 사이드실(20A)의 내측하부에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각각 아래쪽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35A)를 사이드실(20A)의 전면단말부로부터 후면단말부에 걸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수용부(35A)의 상측에 전방으로부터 미끄러져 이동시키므로서 삽입하고 양자를 접착제(30)이나 보울트로 고착시킨다.
또한, 2점 사슬금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보강폐색단면부(35C)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B)의 중간단계부에 수용부(35B)를 수용부(35A)와 평행으로 형성하고, 수용부(35A) 사이의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추는 것이 가능한 걸어맞춤홈(33A)를 형성하여 전면바닥(1)을 보울트 및/또는 접착제로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강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실(20B)의 내부에 발포 폴리우레탄(35E)를 충전시켜도 된다.
또, 제 8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바닥(1)의 조립을 일층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이드실(20C)의 수용부(35A)(35D)의 간격을 크게해서 수용부(35D)와 전면바닥(1)과의 사이에 접착제(30)을 충전해도 된다.
또,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D)의 내측하부와 중간단계부에 폐색단면구조의 수용부(35F),(35G)를 형성해서, 이들 양자간에 내부확대형상의 걸어맞춤홈(33A)를 형성하고, 전면바닥(1)의 양단말부에 폐색단면형상의 걸어맞춤부(37)을 형성하여 걸어맞춤부(37)의 전면단말면과 후면단말면과를 개방시켜 걸어맞춤홈(33A)내에 접착제(30)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걸어맞춤부(37)을 전방으로부터 걸어맞춤홈(33A)내에 삽입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결합시켜도 된다.
또,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E)의 수용부(35G)에 걸어맞춤홈(30A)내에 개방된 연달아 통하는 구멍(36a)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전면바닥면(1)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춤홈(33A)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달아 통하는 구멍으로부터 걸어맞춤홈(33A)내에 접착제(30)을 충전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결합시켜도 된다.
또,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의 사이드실(20F)의 내측하부에 수용부(35H)와 내부확대형상의 걸어맞춤홈(33B)를 형성함과 동시에 사이드실(20F)의 내측상부에 가로로 향한 티(T)자 형상의 걸어맞춤홈(38)을 형성하여 전면바닥(1)의 양단말의 걸어맞춤부(37A)를 걸어맞춤홈(33B)에 걸어맞추어서 수용부(35H)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걸어맞춤홈(38)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재(39)를 거쳐서 좌석브래키트(4) 및 제 2 가로부재(3)의 외부단말부를 사이드실(20A)에 결합시켜도 된다.
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이드실(20G)의 외측 중간단계부 및 하부 단말부에 걸어맞춤홈(33B),(33C)을 형성하여 걸어맞춤홈(33B),(33C)에 FRP제의 전면바닥(1B)의 외부단말부의 걸어맞춤부(37B)와 걸어맞춤부(37C)를 걸어맞추어서 수용부(35I)로 지지시키도록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결합시킨다.
전기한 제 3 가로부재(41)의 전면단말부에는 전면바닥(1),(1A),(1B)의 후면단말부에 따른 차폭방향으로 향한 플랜지부가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차체동체(BU)에 삽입된 전면바닥(1),(1A),(1B)의 후면단말부는 플랜지부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중첩되고, 양자는 접착제나 보올트 등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 3 가로부재(41)의 전면단말부에 전방으로 향해서 개방된 단면이고()자 형상의 수용부재를 전면바닥(1),(1A),(1B)의 후면단말부에 따라 형성하고, 전면바닥(1),(1A),(1B)의 후면단말부를 이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홈에 삽입해서 접착제나 보울트 등으로 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전기한 전면차체부(BF)와 상부차체동체(BU)와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제14도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기둥(6)을 구성하는 폐색단면구조가 차폭방향으로 향한 수직면에 대해 경사직 분할면(6a)로 전후한쌍의 폐색단면구조(6A),(6B)로 2분할되고, 전면차체부(BF)와, 상부차체동체(BU)에 폐색단면구조(6A),(6B)가 각각 설치되고,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차체부(BF)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양폐색단면구조(6A),(6B)를 조합해서 결합시킨다.
이와같이 전면차체부(BF), 상부차체동체(BU)에 폐색단면구조(6A),(6B)를 각각 형성하므로서 결합전에 있어서의 그들의 강도 강성 및 힌지기둥(6)의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부호(17)은 계기판의 보강부재이며, 이 보강부재(17)은 전면차체부(BF)측의 폐색단면구조(6A)에 결합된다.
또, 전기한 힌지기둥(6)을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폭방향으로 향한 수직의 분할면(6b)로 전후한쌍의 폐색단면구조(6C),(6D)로 2분할 해도된다.
전기한 결합구조로서 제17도,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기둥(6)을 차폭방향으로 향한 전면경사 형상으로 경사진 분할면(6C)로 2분할하고, 차체구조(BF),(BU)에 폐색단면구조(6E),(6F)를 각각 형성해도 된다.
또,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힌지기둥(6)을 상부차체동체(BU)측에 설치해도 되고, 제1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기둥 내부부재(6G)를 전면차체부(BF)에 또 힌지기둥 외부부재(6H)를 상부차체동체(BU)에 부속시키고, 전면차체부(BF)와 상부차체동체(BU)를 결합시키므로서 힌지기둥(6)을 구성해도 된다.
단, 제 6 도-제11도의 사이드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힌지기둥(6)의 하부 단말부는 사이드실에 보울트 등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전기한 전면차체부(BF)의 계기판 하부패널(5)의 후면단말부에는 전면바닥(1),(1A),(1B)의 전면단말부에 따라 차폭방향으로 향해 뻗은 플랜지부가 후방으로 향해서 돌출상태로 형성되고 전면바닥(1),(1A),(1B)의 전면단말부는 플랜지부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중첩되고 양자는 접착제나 보울트 등으로 결합된다.
또한, 계기판 하부패널(5)의 후면단말부에 후방으로 향해 개방된 단면이고 ()자 형상의 수용부재를 전면바닥(1),(1A),(1B)의 전면단말부에 따라서 차폭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하도 전면바닥(1),(1A),(1B)의 전면바닥부를 이 수용부재의 걸어맞춤홈에 삽입해서 접착제나 보울트 등으로 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자동차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체조립공정]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는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조립되지만 양차체부(BD),(BF)를 각각 조립하는 조립라인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부차체동체(BU)를 조립하는 조립라인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립라인(BUL)에는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9개의 스테이션(S1)-(S9)가 설치되고, 이들 9개의 스테이션(S1)-(S9)에 걸쳐서 조립지그장치(JIG UNIT)(JU)를 도시하지 않은 반송장치로 순차로 이송하고, 이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 차체부재를 그 내부패널을 기준으로 해서 순차로 위치결정 고정시켜서 상부차체동체(BU)를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립지그장치(JU)는 차종에 대응해서 복수종류준비해서 지그저장 스테이션(ST)에 대기시켜 두는 것으로 하고, 또 반송장치는 일반적인 구성인 라니어방식 리프트 및 캐리어방식의 반송장치이다.
우선, 조립지그장치에 대해 제21도-제2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조립지그장치(JU)는 팰릿(PALLET)(P)와 후면차체(12)를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키기 위한(RF) 유지기구와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를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좌우한쌍의(SP) 유지기구와 루프패널(ROOF PANEL)(13)의 전면헤더(FRONT HEADER)(22)와 후면헤더(23)을 각각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전후한쌍의(RH) 유지기구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기한(RF) 유지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팰릿(P)의 후부에는 좌우한쌍의 지지브래키트(45)가 전후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각 지지브래키트(45)에는 위치결정핀(46)과 고정장치(C1)이 설치되고, 후면차체(2)의 좌우의 후면프레임(21)의 전면단말부와 후면단말부에는 4개의 위치결정핀(46)에 의해 팰릿(P)상에 위치결정되고, 4개의 고정장치(C1)에 의해 팰랫(P)상에 고정된다.
전기한(SP) 유지기구는 좌우의 측면패널(15)를 각각 위치결정해서 소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팰릿(P)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나 좌우의(SP) 유지기구는 좌우 대칭의 구성이기 때문에 좌측의 것에 대해 설명한다.
팰릿(P)의 좌측부에는 고정대(47)이 설치되고, 고정대(47)상에는 지지판(48)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지지판(48)상에는 대략 가로로 향한 에프(F)자 형상의 지지프레임(49)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49)의 전후한쌍의 수직기둥(49a)의 상면단말부에는 측면내부패널(15)의 상부단말의 루프레일 내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2)가 각각 설치되고 지지판(48)에는 중앙기둥 내부부재(18A)의 대략 중간단계부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결정장치(P1)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3)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49)의 수평부재(49A)의 후면단말부에는 측면내부패널(15)의 후면중앙내부부재(19A)의 하부단말 근방부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장치(P2)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4)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또, 고정대(47)의 전방의 팰릿(P)상에는 지지대(50)이 설치되고, 지지대(50)상에는 가동판(5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가동판(51)에는 수직기둥(52)가 세워설치되고, 수직기둥(52)의 상부에는 대략 고()자 형상의 지지틀(53)이 설치되고 지지틀(53)에는 측면내부패널(15)의 힌지기둥 내부부재(17A)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장치(P3)과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한쌍의 고정장치(C5)가 설치되고, 좌측의 측면내부패널(15)는 위치결정장치(P1)-(P3)을 거쳐서 위치결정되고, 또 고정장치(P2)-(P5)를 거쳐서 고정된다.
전기한(RH) 유지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팰릿(P)의 좌우의 고정대(47) 사이에는 전후한쌍의 수직기둥(54)가 세워 설치되고, 양수직기둥(54)의 상부단말부간에는 지지프레임(55)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55)의 전면측 한쌍의 아암부(55a)의 단말부에는 전면헤더(22)의 양단말근방부를 하부측으로부터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장치(P4)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6)이 설치되고, 또 지지프레임(55)의 후부단말의 2가지 형상의 아암부(55b)의 후면단말부에는 후면헤더(23)의 양단말근방부를 하부측으로부터 각각 위치결정하기 위한 결정장치(P5)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7)이 설치되고 전면헤더(22)는 한쌍의 위치결정장치(P5)와 고정장치(C6)을 거쳐서 팰릿(P)에 대해 위치결정해서 고정되고 또 후면헤더(23)을 한쌍의 위치결정장치(P6)과 고정장치(C7)을 거쳐서 팰릿(P)에 대해 위치결정되어서 고정된다.
또한, 지지프레임(55)의 중앙부에 설치된 한쌍의 아암부(55C)의 양단말부에는 루프패널(13)에 보조조립된 루프보우(24)의 양단말근방부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장치(P6)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C8)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고정장치(C1)-(C8)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크랭크형상의 고정레버(56)과 고정레버(56)을 회전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57)을 구비한 일반적인 구성의 토글(TOGGLE) 고정장치이며, 또, 전기한 위치결정장치(P1)-(P6)은 위치결정핀(58)과 위치결정핀(58)을 진퇴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59)를 구비한 일반적인 구성의 것이다.
또한(SP) 유지기구에서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장치(C5)의 고정레버(45)를 측면내부패널(15)에 형성된 개방구(15a)로부터 삽입해서 측면내부패널(15)를 고정시킨다.
전기한 고정장치(C2)-(C4)와 위치결정장치(P1),(P2)는 지지판(48)과 지지프레임(49)를 거쳐서 또 고정장치(C5)와 위치결정장치(P3)은 수직기둥(52)와 가동판(51)을 거쳐서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 차체부재를 조립하는 때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한 조립위치로 이동 구동되고, 필요한 차체부재의 조립을 시행해서 상부차체구조(BU)를 조립한후에는 전면바닥(1)의 조립전의 바닥개방구(1C)(제24도 참조)로부터 조립지그장치(JU)를 아래쪽으로 빼낼 수 있도록 각각 가상선으로 도시한 퇴피 위치로 이동 구동된다.
다음에 전기한 차체조립라인(BUL)에 공급하는 차체부재에 대해 제20도, 제2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전기한 후면차체(12)는 제 1 보조라인(SL1)에서 보조조립된다.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는 내부패널본체와 루프내부부재와 충격 브래키트와 차륜하우징과 서스펜션 보강재등으로 구성되고 제 2 보조라인(SL2)에서 보조조립된다.
전기한 루프패널(13)의 루프내부부재로서의 전면헤더(22)와 후면헤더(23)은 각각 헤더내부패널과 헤더외부패널등으로 구성되고, 제 3 보조라인(SL3)에서 보조조립된다.
좌우의 측면외부패널(14)는 외부패널본체와 전면힌지 보강재와 후면힌지 보강재와 중앙기둥 보강재와 후면충격 보강재와 구석판 등으로 구성되고, 제 4 보조라인(SL4)에서 보조조립된다.
루프패널(13)은 외부패널 본체와 루프보우(24)등으로 구성되고, 제 5 보조라인(SL5)에서 보조조립된다.
보니트(25)와 트렁크 뚜껑(26)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보조라인에서 보조조립되고, 또 4개의 측면문(27)은 각각 문내부패널과 문외부패널과 새시등을 구비하고, 제 6 보조라인(SL6)에서 보조조립된다.
다음에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의 조립방법에 대해 제20도, 제25도-제2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부차체동체(BU)는 차체조립라인(BUL)의 스테이션(S1)-(S9)에 걸쳐서 순차로 이송되는 조립지그장치(JU)에 순차로 차체부재를 조립하기 때문에 각 스테이션(S1)-(S9)에 있어서의 조립작업내용을 상류측으로부터 순차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중의 스테이션(S1)-(S9)에 있는 조립지그장치(JU)는 도시를 생략했다.
제 1 스테이션(S1)에서는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지그저장 스테이션(ST)로부터 이송해서 위치결정한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서 제 1 보조라인(SL1)로부터 후면차체(12)를 공급후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후면차체(12)를 4개의 위치결정핀(46)과 4개의 고정장치(C1)을 거쳐서 각각 조립지그장치(JU)에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제 2 스테이션(S2)에서는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 1 스테이션(S1)으로부터 이송해서 위치결정한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서 제 2 보조라인(SL2)로부터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를 공급후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를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결정장치(P1)-(P3)과 고정장치(C2)-(C5)를 거쳐서 각각 조립지그장치(JU)에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여기서, 전기한 측면내부패널(15)를 제 2 스테이션(S2)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6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2 보조라인(SL2)의 하류단말의 상부와 제 2 스테이션(S2)의 상부와에 걸친 안내레일(도시생략)이 설치되고, 안내레일에는 아래쪽으로 뻗는 좌우한쌍의 수직프레임(61)이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약 수직프레임(61)에는 승강아암(62)가 한쪽편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승강아암(62)는 수직프레임(61)의 상부단말근방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승강 구동기구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각 승강아암(62)의 측면에는 안내레일(63)이 부설되고, 안내레일(63)에는 실린더(6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구동되는 기판(64)가 지지되고, 기판(64)에는 상하방향으로 향한 실린더(66)이 세워 설치되고, 실린더(66)의 피스톤 로드(66a)의 하부단말부에는 가동판(67)이 설치되고 가동판(67)에는 측면내부패널(15)의 문개방구로부터 삽입가능한 지지아암(68)과 요동방지아암(69)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측면내부패널(15)는 지지아암(68)을 거쳐서 지지되고 또, 요동방지아암(69)를 거쳐서 요동하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제 3 스테이션(S3)에서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결정된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 제 3 보조라인(SL3)으로부터 전면헤더(22), 후면헤더(23)과를 공급후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이때, 이들 헤더(22),(23)을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각 위치결정장치(P4),(P5)와 고정장치(C6),(C7)을 거쳐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한다.
그후 제 3 스테이션(S3)에 설치된 2대의 용접로보트(70)에 의해 헤더(22),(23)의 양단말부를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에 임시 용접함과 동시에 측면내부패널(15)를 후면차체(12)에 임시 용접한다.
제 4 스테이션(S4)에서는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2대의 용접용 로보트(71)로 고정용접해서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를 후면차체(12)에 결합시키고, 헤더(22),(23)을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에 결합시킨다.
제 5 스테이션(S5)에서는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 4 보조라인(SL4)로부터 좌우의 측면외부패널(14)를 공급하고, 조립지그장치(JU)에 고정된 좌우의 측면내부패널(15)에 대해 각각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제 6 스테이션(S6)에서는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 5 보조라인(SL5)로부터 루프패널(13)을 조립지그장치(JU)에 대해 공급해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패널(13)을 위치결정장치(P6)와 고정장치(C8)과를 거쳐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해서 고정시킨다.
그후, 2대의 용접로보트(72)에 의해 측면외부패널(14)를 측면내부패널(15)에 임시 용접하고, 루프패널(13)을 전후의 헤더(22),(23)과 측면외부패널(14)에 임시 용접한다.
제 7 스테이션(S7)에서는 제2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 6 스테이션(S6)에서 임시 용접한 차체부재에 대해 2대의 용접로보트(73)으로 고정 용접한다.
제 8 스테이션(S8)에서는 제26도, 제2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우한쌍의 문공급로보트(75)에 의해 제 6 보조라인(SL6)으로부터 전후의 측면문(27)을 순차로 공급하고, 측면문(27)에 상하한쌍의 힌지부재(76)을 체결장치(78)의 너트러너(79)로 측면외부패널(14)에 임시 고정시킨다.
전기한 문공급로보트(75)는 기존의 주지의 구성의 다관절로보트로서 그 손(75a)는 한쌍의 토글고정장치(80)을 구비한 틀몸체(81)이 설치되고, 창개방구로부터 고정장치(80)의 고정레버(80a)를 삽입하여 고정레버(80a)로 문의 새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9 스테이션(S9)에서는 제20도, 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테이션(S1)-(S8)에 조립된 상부차체구조(BU)를 승강장치(82)로 들어올려서 조립지그장치(JU)를 상부차체구조(BU)로부터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빼냄과 동시에 조립지그장치(JU)를 지그저장스테이션(ST)로 이송하고, 상부차체구조(BU)를 도장라인의 이송탑재스테이션(도시생략)으로 이송한다.
전기한 승강장치(82)에 대해 설명하면 제2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9 스테이션(S9)와 이송탑재스테이션의 우측부에는 수직기둥(833)이 전후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세워 설치되고, 양 수직기둥(83)에는 승강아암(84)가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양 승강아암(84)의 앞쪽 끝부분에는 지지프레임(85)가 설치되고, 전후의 지지프레임(85)간에는 안내레일(86)이 가설되고, 안내레일(86)은 지지프레임(85)와 승강아암(84) 모두 승강구동기구(87)에 의해 승강구동된다.
안내레일(86)에는 기판(88)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매달아 지지되고, 기판(88)의 4구석에는 상부차체동체(BU)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가능한 4개의 지지아암(89)가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 지지아암(89)는 지지프레임(85)의 아암부(85a)에 부설된 실린더(90)을 거쳐서 제29도에 1점 사슬금으로 도시한 사용위치와 2점 사슬금으로 도시한 퇴피위치와에 개폐구동되고,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차체동체(BU)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제 9 스테이션(S9)로부터 이송탑재 스테이션으로 상부차체동체(BU)를 이송하고, 제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탑재스테이션에서 이 상부차체동체(BU)를 하강시켜서 도장용 지그장치(91)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전기한 차체조립장치(BUL)을 부분적으로 변경한 변형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측면내부패널(15)와 측면외부패널(14)와를 보조조립해서 차체측면패널(11)을 조립하는 보조라인(SL20)을 설치하여 보조라인(SL20)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S20)에 좌우의 차체측면패널(11)을 공급하고, 이 좌우의 차체측면패널(11)을 제 1 스테이션(S1)으로부터 제 2 스테이션(S20)에 이송해서 위치결정한 조립지그장치(JU)에 위치결정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 2 보조라인(SL21)에서 미리 전후의 전면헤더(22)와 후면헤더(23)을 루프패널(13)에 보조조립한 루프패널조립부재(13A)를 제 3 스테이션(S3A)에 위치결정한 조립지그장치(JU)에 공급해서 위치결정 고정시키고, 조립지그장치(JU)에 조립한 차체부재에 대해 2대의 용접로보트(72A)로 임시 용접한다.
다음에 제 4 스테이션(S4A)에서 2대의 용접로보트(73A)로 고정용접을 시행해서 전기한 제 8 스테이션(S8)로 이송한다.
다음에 도장공정에 대해 제31도-제3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도장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단 이 상부차체동체(BU)에는 차체조립공정에 있어서 측면문(27) 및 트렁크 뚜껑(26)이 임시고정된다.]와 좌우의 전면 펜더(28)과 보니트(25)와를 동일한 도장용 지그장치(91)에 고정한 상태에서 필요한 도장을 순차로 시행함과 동시에 하부차체부(BD) 및 전면차체부(BF)와에 대해 각각 필요한 도장을 시행한다.
우선 도장용 지그장치(91)에 대해 설명하면, 제32도, 제3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4개의 차륜(92)를 거쳐 이동가능한 대략 장방형의 틀형상의 베이스프레임(93)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93)의 후부에는 상부차체동체(BU)의 후면프레임(21)을 고정유지하기 위한 좌우한쌍의 유지기구(94)가 설치되고, 기본프레임(93)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힌지기둥(17)의 후부의 폐색단면구조(6B)의 하부단말부를 고정유지시키기 위한 좌우한쌍의 유지기구(94)가 설치되고, 상부차체동체(BU)는 이들 4개의 유지기구(94)를 거쳐서 기본프레임(93)에 고정유지된다.
전기한 각 유지기구(94)는 제3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 브래키트(95)에 장착된 좌우방향으로 향한 고정핀(96)을 조작레버(97)로 바깥쪽으로 조작하여 고정핀(96)의 와부 단말부를 후면프레임(21) 또는 폐색단면구조(6B)의 기준구멍(도시생략)에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97)을 걸어맞춤부재(98)에 걸어맞추어서 상부차체동체(BU)를 기본프레임(93)에 고정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전면펜더(28) 및 보니트(25)를 기본프레임(93)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33도, 제3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본프레임(93)의 전면부에는 대략직방체틀형상의 지지프레임(99)가 형성되고, 좌우의 전면펜더(28)은 전면펜더 고정용의 3개의 나사구멍에 지지프레임(99)에 설치된 지지핀(100)을 삽입해서 기본프레임(93)에 고정되고, 또 보니트(25)는 보니트힌지(25a)를 지지프레임(99)에 설치된 좌우한쌍의 고정블록(101)에 나사로 임시고정 유지시킨다.
다음에 도장용 지그장치(91)을 사용해서 도장을 시행하는 도장공정에 대해 제3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된 4개의 측면문(27) 및 상부차체동체(BU)와 보니트(25)와 전면펜더(28)과는 도장용 지그장치(91)과 함께 행거(102)로 달아매지지되어서 도장라인의 각 스테이션에 순차로 이송되는 것으로 한다.
화상처리공정에서는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된 상부차체동체(BU)의 차체부재에 대해 예를들면, 알칼리 탈지제로서 탈지처리한 후 연속 스프레이방식으로 인산아연계의 화성피막을 형성하고, 그후 충분히 수세한다. 하부도장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와 차체부재를 도장용 지그장치(91)과 함께, 예를들면 에폭시계 전착도료를 수용한 도료탱크내에 침지하여 200-400V의 전압을 차체부재를 음극으로 해서 인가해서 양이온 전착도장을 시행하고, 전착도장후 충분히 수세를 행하고, 그후 170℃에서 25분간 가열 건조시킨다.
하부도장 도포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의 하부외면과 측면문(27)의 하부외면과 전면펜더(28)의 후부단말측 하부의 외부등에 폴리우레탄 또는 PVC 계의 내피칭도료를 스프레이로 도포해서 건조시켜 예를들면, 100-200㎛의 내피칭 도포막을 형성한다.
중간도장공정에서는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된 상부차체동체(BU)와 차체부재를 접지시킴과 동시에 예를들면, 에폭시 에스테르계의 도료를 -60~-90KV로 대전시켜서 정전도장을 시행하고, 도장후 5-10분의 시간을 두고 용제를 증발시켜 다음의 건조공정에서 140-150℃로 20-25분간 가열건조시킨다.
상부도장공정에서는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된 상부차체동체(BU)와 차체부재를 접지시킴과 동시에 예를들면, 멜라민 알키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계의 도료를 -60~-90KV로 대전시켜서 정전도장을 시행하고, 도장후 5-10분의 시간을 두고 용제를 증발시키고, 다음의 건조공정에서 140-150℃로 25분간 가열건조시킨다.
이와같이 화성처리공정에서 상부도장공정까지의 각 공정에 있어서 측면문(27) 및 상부차체동체(BU)와 전면펜더(28)과 보니트(25)와를 동일한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한 상태로 함께 도장하기 때문에 도장색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고, 도장라인이 복잡하거나 행거(102)를 포함하는 반송장치가 복잡화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경제면에서 유리하고, 더구나 행거(102)에 부착되는 전착도료의 인출량(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영비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지지프레임(99)의 전면부에 조명등 뚜껑이나 장식물등을 유지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이들 차체부재도 상부차체동체(BU)와 함께 도장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하부차체부(BD)의 도장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하부차체부 가공공정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의 필요개소에 대한 밀폐재의 도포하부차체부(BD)에 형성된 배출구멍에 대한 구멍덮개의 부착 멜트시이트의 부설등의 작업을 시행한다.
다음에 하부도장 도포공정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의 하면에 폴리우레탄 또는 PVC계의 내피칭 도료를 스프레이로 도포하고, 상부차체동체(BU)의 중간도장공정후의 건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건조로와 공통의 건조로로 가열건조시키고, 예를들면 100-200㎛의 내피칭 도포막을 형성한다. 또한 전기한 전면바닥(1)을 강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와 함께 동일한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해서 중간도장공정까지 함께 도장해도 된다.
전기한 전면차체부(BF)에 대해서는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와 마찬가지로 화성처리와 하부도장과를 하부도장도포해서 상부차체동체(BU)의 중간도장공정후의 건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건조로와 공통의 건조로에서 가열 건조시킨다. 이와같이 차체부(BD)(BF)를 상부차체동체(BU)와 공통의 건조로에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효율을 향상시켜서 운영비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설비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또한 상부도장공정후의 건조공정에 사용하는 건조로에 의해 차체부(BD)(BF)를 가열건조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제3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기한 도장용 지그장치(91)의 지지프레임(99)를 생략한 도장용 지그장치(91A)를 사용하여 기본프레임(93A)의 전면부에 전면차체부(BF)를 고정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94A)를 설치하여 이 유지기구(94A)를 거쳐서 전면차체부(BF)를 기본프레임(93A)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전면차체부(BF)에 대해 전면펜더(28) 및 보니트(25)를 임시고정시키고, 전면차체부(BF)를 측면문(27) 및 상부차체동체(BU)와 함께 도장하도록 해도 된다.
전기한 바와같이 해서 필요한 도장을 시행한 후 도장용 지그장치(91)로부터 상부차체동체(BU)와 좌우의 전면펜더(28)과 보니트(25)를 떼어내고 상부차체동체(BU)로부터 좌우의 측면문(27)과 트렁크 뚜껑(26)를 떼어내고, 도장용 지그장치(91)에 설치되어 있든 차체부재와 양차체부(BD)(BF)와를 차량조립공정의 각각의 전용의 의장라인으로 이송한다.
[차량조립공정]
다음에 차량조립공정에 대해 제37도-제4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차량조립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의 전용의 의장라인을 포함하는 의장라인이 주의장라인으로서 구성되고, 제3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주의장라인에 대해 각각 전용의 의장라인에서 의장된 양차체부(BD)(BF)와 뚜껑물부재등의 차체부재와 의장품을 순차로 공급하고, 이들을 상부차체동체(BU)에 조립해서 자동차를 조립한다.
우선 각 차체부재의 전용의 의장라인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의 전용의 의장라인에서는 제3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차체동체(BU)를 반송대차장치(110)에 설치해서 의장라인에 따라 반송하면서 반송대차장치(110)상에 설치된 의장용 로보트(115)에 의해 상부차체동체(BU)의 차실(29)측의 부분에 대해 스크류 그로밋, 화스너, 하니스, 내장장치(정상밀폐제, 선바이자, 실내거울등을 포함한다) 후면지주, 후면조합등, 패키지유니트(패키지트럼, 스피이커, 하이마운트램프등을 포함) 후면범퍼, 후면바닥매트, 후면좌석트렁크실장치, 후면창유리등의 의장품의 조립을 시행한다.
전기한 반송대차장치(11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의장라인에 따라 주행하는 자동주행식 반송대차(114)가 설치되고, 반송대차(114)상에는 상부차체동체(BU)를 위치결정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브래킷(116)이 세워설치되고 반송대차(114)의 중앙부에는 바닥 개방구(1c)로부터 상부차체동체(BU)의 차실(29)에 삽입되는 로보트(115)가 설치되고, 로보트(115)의 좌우양측에는 보조팰릿(117)이 설치되고, 각 보조팰릿(117)에는 소정의 배열로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되고, 로보트(115)의 좌측방향에는 공구설치대(118)이 상부차체동체(BU)의 외측에 설치되고, 공구설치대(118)상에는 로보트(11)의 손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복수의 공구가 소정의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보트(115)의 일반적인 구성의 다관절로보트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송대차(114)의 후부에는 로보트(1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상자(119)가 설치되고 로보트(115)는 이 제어상자(119)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해서 제어되고, 반송대차(114)를 이동시키면서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필요한 의장품을 순차로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부차체부(BD)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의장품을 조립하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BU)의 바닥개방구(1c)로부터 로보트(115)를 삽입할 수가 있고, 차실(29)내의 의장품의 조립작업을 대폭 자동화해서 능률적으로 의장품을 시행할 수가 있다. 또 반송대차(114)를 이동시키면서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의장을 시행하기 때문에 의장라인에 있어서 스테이션간의 반송을 위해 헛된 시간이 거의 발생하는 일이 없다.
단, 반송대차(114)를 복수의 스테이션에 걸쳐서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의장품의 조립을 행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제3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차체동체(BU)를 회전가능하게 회전식 지지기구를 구비한 반송대차장치(112)에 상부차체동체(BU)를 이송탑재시켜서 상부차체동체(BU)를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라인측에 설치된 자동기(113)에 의해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정상밀폐제(TP)등의 의장품을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더구나 전기한 바와같이 조립지그장치(JU)를 사용해서 내부패널기준으로 상부차체동체(BU)를 조립하므로서 그 조립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로보트(115)는 상부차체동체(BU)와 함께 반송대차(114)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한 로보트(115)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로보트(115)에 의한 자동의장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가 있다. 추가해서 로보트(115)나 반송대차(114)의 고장시에는 그들의 의장라인으로부터 떼어내둘 수가 있기 때문에 의장라인의 가동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 기종변경에 따른 의장내용의 변경시에는 의장라인 밖에서 로보트(115)에 대해 교육을 시킬 수도 있다. 다시 또 로보트(115)나 반송대차(114)의 신설이나 수리시에는 의장라인 밖에서 시험이 가능하다.
전기한 하부차체부(BD)의 전용의 의장라인에서는 제4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부차체부(BD)를 도시하지 않은 펠릿에 위치결정 고정시킨 상태로 의장라인의 복수의 스테이션에 걸쳐서 순차로 이송하고 우선 하부차체부(BD)에 대해 변환레버(150), 주차레버(151), 바닥매트(152), 후면좌석벨트(153)과 후면콘솔(154)등의 의장품을 조립하고, 다음에 화스너나 나사등의 소형물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로보트로 조립하고, 다음에 좌우의 전면좌석(155)를 도시하지 않은 로보트로 조립하고, 다음에 전면좌석(155)의 발목을 덮는 4개의 보호장치(156)을 조립한다. 이와같이 상부차체동체(BU)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전용의 의장라인에서 하부차체부(BD)에 대해 의장품을 조립하기 때문에 로보트를 채용하는 등 해서 의장품의 조립작업능률을 대폭 높일 수가 있다.
전기한 전면차체부(BF)의 전용의장라인에서는 제4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차체부(BF)를 반송대차장치(120)에 배치한 상태에서 의장라인을 순차로 이송시켜 액셀레이터패들, 브레이크패들, 와이퍼전동기 계기판장치(내부패널조립체, 공기조화기장치등을 포함)(157)등의 의장품을 조립한다.
전기한 반송대차장치(120)은 전면차체부(BF)를 대략 수평한 수평자세와, 실선으로 도시한 세운자세와에 걸쳐서 자세전환가능한 지지기구(123)을 구비하고 의장품에 따라 전면차체부(BF)의 자세를 전환해서 라인측의 자동기(122)에서 의장품의 조립을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계기판장치(157)등은 제4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인측의 공급장치(121)로서 세운자세로 유지된 전면차체부(BF)상에 위치결정탑재되고, 라인측의 자동기(122)로 전면차체부(BF)에 조립한다. 이와같이 전면차체부(BF)의 자세를 전환해서 의장품을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작업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의장품을 전면차체부(BF)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등을 생략할 수가 있다.
전기한 측면문(27)과 전면펜더(28)과 보니트(25)와 트렁크뚜껑(26)의 전용의 의장라인에서는 흑색도장, 2차 방청유의 도포, 몰딩 및 고무의 부착등을 행한 후, 하니스, 램프, 창조정기등의 필요한 의장품의 부착을 시행한다. 이와같이 뚜껑물 부재를 상부차체동체(BU)에서 떼어낸 상태에서 각각 전용의 의장라인에서 필요한 의장품의 부착을 행하기 때문에 이들의 작업능률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와 결합시키는 결합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4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면차체부(BF)를 하부차체부(BD)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해서 양차체부(BD)(BF)를 결합시키고, 일체화된 하부차체동체(BL)을 조립한다. 또한 양차체부(BD)(BF)의 결합은 보울트 너트결합, 접착결합, 용접결합 혹은 이들의 조합의 결합등을 채용한다.
다음에 제43도-제4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차체동체(BL)을 결합스테이션(CS1)의 가동대차(125)에 배치하고, 상부차체동체(BU)를 행거(127)로 매달아 지지해서 결합스테이션(CS1)의 좌우의 한쌍의 고정대(126)에 고정하고, 가동대차(125)를 차체전후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게 상부차체동체(BU)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하부차체동체(BL)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하고,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사이드실(20)의 좌우의 걸어맞춤홈(33)에 전방으로부터 각각 삽입해서 전면바닥(1)의 좌우양단말부를 걸어맞춤홈(33)의 수용부(31b)상에 걸어맞추어서 지지시켜서, 걸어맞춤홈(33)의 접착제(30)으로 고착시킨다. 이것과 병행해서 힌지기둥(6)을 구성하는 단면구조(6A)(6B)를 전후로 조합하고, 고정대(126) 사이에 설치된 체결용 로보트(128)등에 의해 전면바닥(1)과 상부차체동체(128)등에 의해 전면바닥(1)과 상부차체동체(BU)와 기타의 결합부[예를들면, 전면바닥(1)의 후부 단말부의 결합개소등]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폐색단면구조(6A)(6B)를 결합시키고, 이와같이 하부차체동체(BL)과 상부차체동체(BU)와를 결합시켜서 차체동체(B)를 조립한다. 또한 이 결합은 보울트너트결합, 접착결합, 용접결합 또는 이들의 조합의 결합등을 채용한다. 또한 상부차체동체(BU)에 계기판부재(10A)(제 2 도 참조)를 부속시킨 경우에는 전면좌석(155)의 상부단말부가 계기판 부재(10A)에 간섭하지 않게 하기 위해 리크라이닝 장치에 의해 전면좌석(155)의 좌석후부를 후방으로 넘어가게 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U)을 조합하게 된다.
전기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과 결합시키는 결합공정의 변형예로서 제47도-제4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최초에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해서 이들을 결합시킨 후 전면차체부(BF)를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해서 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차체동체(B)를 도시하지 않은 반송행거에 매달아 지지해서 뚜껑물 부재 조립을 위한 복수의 스테이션에 순차로 이송하고, 차체동체(B)에 대해 측면문(27)과 트렁크 뚜껑(26)과 전면유리를 조립조정한 후 순차로 조립한다.
이와같이 비교적 중량이 큰 하부장치(160)를 조립하기 전에 뚜껑물부재를 조립하기 때문에 반송행거등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반송장치를 극력 유효활용해서 차체동체(B)를 반송할 수 있다.
또 하부장치(160)의 조립에 의해 차체동체(B)측의 기준구멍이 숨겨지거나 덮여지거나 하기 이전에 뚜껑물 부재를 조립하기 때문에 차체동체(B)를 소정의 스테이션에 정밀도가 양호하게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뚜껑물 부재를 조립할 수가 있고, 더구나 강성이 큰 차체동체(B)에 대해 뚜껑물 부재를 조립하기 때문에 이들 뚜껑물 부재의 조립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시 또,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의 결합후에 전면유리를 조립하기 때문에 전면유리의 하부단말부가 전면좌석(155)의 상부단말부에 간섭하는 일 없이 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측면문(27)의 차체동체(B)에의 조립은 전기한 차체조립공정에서 사용한 문공급로보트(75) 및 체결장치(78)과 같은 구성의 문공급로보트 및 체결장치를 사용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차체동체(B)에 대해 하부장치(164)을 조립하는 하부장치조립공정에서는 제4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리 보조라인에서 팰릿(129)상에 위치결정 고정한 엔진(161)과 변속기(도시 생략) 전면과 후면의 서스펜션(162)와 배기관(163)과 연료탱크(164)등을 포함하는 하부장치(160)을 결합스테이션(CS2)의 콘베이어(130)상에 이송함과 동시에, 차체동체(B)를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치의 지지아암(131)로 매달아 지지해서 결합 스테이션(CS2)로 이송하고, 이 차체동체(B)를 하강시키므로서 차체동체(B)에 대해 하부장치(160)을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부터 조립하고, 결합스테이션(CS2)의 하부에 설치된 2대의 체결용 로보트(132)로 하부장치(160)을 차체동체(B)에 나사등에 의해 조립한다. 이와같이 강성이 큰 차체동체(B)에 대해 하부장치(160)을 조립하기 때문에 주행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하부장치(160)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좌우의 전면팬더와 보니트(25)를 차체동체(B)에 대해 조립조정한 후 조립함과 동시에 타이어등의 하부장치(160)에 대해 조립해서 자동차를 조립한다. 이와같이 하부장치(160)을 조립한 후 보니트(25)를 조립하기 때문에 차체동체(B)에 대해 하부장치(160)을 조립하는 때에 보니트(25)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고, 또한 보니트(25)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장치등을 생략할 수 있어서 설비경제적으로 유리하며 하부장치(160)의 조립작업능률을 높일 수가 있다.
전기한 차량조립공정에서는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한 의장작업에 약 39분, 하부차체부(BD)에 대한 의장작업에 약 9분, 전면차체부(BF)에 대한 의장작업에 약 25분의 시간을 요하고, 가장 의장작업에 시간을 요하는 상부차체동체(BU)의 의장라인을 포함하는 의장라인을 주의장라인으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주라인에 대해 정체하는 일이 없이 차체부(BD)(BF)를 공급할 수가 있고, 효율적으로 차량조립라인을 가동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전기한 자동차의 제조방법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체조립공정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를 일체화한 하부차체동체(BL)와 상부차체동체(BU)와를 각각 전용의 조립라인에서 조립된다. 또한 제5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계기판구조(10)의 계기판부재(10A)를 상부차체동체(BU)에 부속시켜도 되고, 제5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주중앙바닥(40)과 제 3 가로부재(41)과를 하부차체동체(BL)에 부속시켜도 된다.
다음에 도장공정에서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전기한 실시예와 같게해서 필요한 도장을 시행하고, 하부차체동체(BL)에 대해서는 전기한 하부차체부(BD)와 같은 필요한 가공을 시행한 후 전용의 도장라인에서 필요한 도장을 시행하고, 그후 상부차체동체(BU)의 중간도장공정 혹은 상부도장공정후의 건조공정에서 사용하는 건조로와 공통의 건조로로서 가열 건조시킨다.
다음에 차량조립공정에서는 제5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서는 전기한 실시예와 같은 필요한 의장품을 조립하고, 하부차체동체(BL)에 대해서는 전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와에 대해 조립한 의장품을 조립하고, 제43도-제4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차체동체(BL)을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하고, 양차체동체(BU)(BL)을 결합시킨다.
다시 또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판제의 사이드실(20H)가 전면바닥(1A)의 좌우의 양단말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폐색단면형상의 내부사이드실부(20a)와 상부차체동체(BU)의 차체측면패널의 하부단말부에 일체화된 폐색단면형상의 외부사이드실부(20b)과로 분할되고, 각 외부사이드실부(20b)의 내측하부단말부에는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수용부(35J)가 형성되고,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하부차체부(BD)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수용부(35J)상에 각각 걸어맞추어 지지시키고, 내부사이드실부(20a)와 외부사이드실부(20b)간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해서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결합구조를 채용하면 접착면적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하게 접착결합시킬 수가 있다.
혹은 제5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I)가 전기와 같은 벌집기판(1a)와 그 상하양면의 보강판(1b)로 된 전면바닥(1)의 좌우 양단말부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폐색단면형상의 내부사이드실부(20C)와 상부차체동체(BU)의 차체측면패널의 하부단말부에 일체화된 폐색단면형상의 외부사이드실부(20d)로 분할되고, 각 외부사이드실부(20d)의 내부하부단말부에는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수용부(35K)가 형성되고,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하부차체부(BD)의 좌우양단말부를 좌우의 수용부(35K)상에 각각 걸어맞추어서 지지하고, 내부사이드실부(20C)와 외부사이드실부(20d)간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해서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결합구조를 채용하면 접착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강력히 접착결합시킬 수가 있다. 전기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54도-제56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체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닥부재(1)은 전면좌석을 탑재시키는 제 1 수평면부(172)와 그 수평면부(172)의 뒤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위쪽으로 올라간 올라간 부(173)과 그 올라간 부(173)의 위치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뻗고 또한 후부좌석을 탑재시키는 제 2 의 수평면부(174)를 갖고 있으며, 상기한 제1, 제 2 수평면부(172)(173)은 다함께 알루미늄등으로 된 벌집형 구조의 것이며, 상기한 올라간 부(173)은 박판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은 바닥부재(1)이 삽입되는 상부차체측의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사이드실(20)의 전면부측에 상기한 제 1 의 수평면부(172)의 오목한 부인 측면가장자리부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제 1 의 오목한 부(175)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실(20)의 후부측에 차실내측으로 뻗어나온 대략 수평의 선반부(176)이 형성되고, 그 선반부(176)의 앞 가장자리부에 상기한 제 2 의 수평면부(174)의 오목한 부인 측면가장자리부가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제 1 의 오목한 부(17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하부차체(BL)을 상부차체(BU)측면부에 대해 그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조립하는 때에는 상기한 제 1 의 수평면부(172)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상기한 제 1 의 오목한 부(175)내에 상기한 제 2 의 수평면부(174)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상기한 제 2 의 오목한 부(177)내에 각각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맞추어서 이 끼워맞춘 상태대로 하부차체(BL)의 바닥부재(1)을 삽입하면 이 삽입동작이 상기한 2조의 측면가장자리부(오목한 부)와 오목한 부(175)(177)의 끼워맞춤에 의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같은 삽입에 의한 양차체(BU)(BL)의 조립에 의해 전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조립작업 나아가서는 차체의 조립작업의 대폭적인 용이화 및 신속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중(178)은 바닥부재(1) 올라간 부(173)에 대응해서 설치된 가로부재이다.
제57도-제67도를 참조해서 사이드실(20)가 바닥패널(1)의 조합구조를 설명한다.
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의 하면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오목한 부(18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상기한 오목한 부(181)에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볼록한 부(182)를 갖는 돌출편(18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오목한 부(181)과 볼록한 부(182)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차체부(BL)의 바닥부재(1)의 삽입이 안내하고, 또한 이 삽입이 종료한 때에는 전면부 바닥부재(1)을 사이드실(20)에 걸어맞춰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전면부 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는 사이드실(20)의 돌출편(183)을 하벽부로 하는 오목한 부(184)내에 상하방향으로 여유가 있는 상태로 삽입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185)(186)은 각각 전면부 바닥부재(1)의 상면에 설치된 가로부재 및 좌석벨트 부착용 브래키트이며, 이 양부재(185)(186)의 상부의 사이드실(20)의 양단말부에는 단면형상이 가로로 향한 티(T)자 형상의 갈고리부(186a)(브래키트의 것만 도시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사이드실(20)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고, 또한 상기한 갈고리부재(186a)가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오목한 부(18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부 바닥부재(1)의 삽입때 상기한 갈고리부(186a)를 상기한 오목한 부(187)내에 삽입하고 또 상기한 삽입에 의해 양차체(BU)(BL)의 조립과 동시에 상기한 양부재(185)(186)의 사이드실(20)의 조립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면부 바닥부재(1)이 실시예와 같이 벌집구조의 것의 경우 이 전면부 바닥부재(1)에 대해 오목한 부(181)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가공을 시행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그 때문에, 예를들면, 제5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바닥부재(188)의 차폭방향 중앙부를 벌집구조의 부재(188a)로 측면가장자리부를 알루미늄 추출성형의 부재(188b)로 각각 구성하고 상기한 알루미늄 추출성형부재(188b)에 오목한 부(181)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6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부 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고 또한 높이치수가 바닥부재(1)의 두께치수보다 큰 중공의 부재로 된 볼록한 부(19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상기한 볼록한 부(191)이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오목한 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에 하부차체부[전면부 바닥부재(1)]의 삽입전에 상기한 오목한 부(192)내에 접착제(193)를 충전주입하고(제60도 a참조) 그런 연후에 그 오목한 부(192)내에 상기한 볼록한 부(191)을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해서 끼워맞추고, 이 끼워맞춘상태채로 전면바닥부재(1)의 상부차체(BU)측에 향해서 삽입한다. 그러면 오목한 부(191)내에 접착제(193)가 유입해서 충전됨과 동시에 그 볼록한 부(192)의 외부표면이 접착제(193)에 의해 오목한 부(191)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고착시켜지게 된다.(제60도 b참조)
제6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부 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는 아래쪽으로 팽창해서 두께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운 볼록한 부로서의 두꺼운 부(20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상기한 두꺼운 부(201)가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오목한 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 전면바닥부재(1)의 삽입전에 상기한 오목한 부(201)내의 하부 벽면에 나사(203)(203)이든 접착제(204)를 도포하고, 이 접착제(204)상을 전면바닥부재(1)의 두꺼운 부(201)을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전면바닥부재(1)을 삽입해서 하부차체부(BL)과 상부차체부(BU)의 조립이 행해진다. 이 삽입시에는 상기한 전면바닥부재(1)의 두꺼운 부(201)이 나사(203)을 거쳐서 오목한 부(202)내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삽입작업을 가벼운 힘으로 원활히 행할 수가 있다.
제6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전면바닥부재(20)의 오목한 부인 측면가장자리부(1a)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오목한 부(21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오목한 부(211)의 외부원주를 둘러싸는 고()자 형상의 중공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 전면바닥부재(1)의 삽입전에 상기한 오목한 부(211)내에 열경화성의 접착제(213)을 도포하고(제62도 a참조)그런 연후에 그 오목한 부(211)내에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를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맞추어서 이 끼워맞춤상태인 채로 전면바닥부재(1)을 삽입한다.(제62도 b참조)
이어서 상기한 중공부(212)내에 증기(214)를 공급해서 그 열에 의해 상기한 오목한 부(211)내의 접착제(213)을 경화시켜서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1a)를 오목한 부(211)에 고착시킨다.
제6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221)내에 접착제(222)를 도포한 후 그 오목한 부(221)에는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한 부(223)을 끼워맞춘 상태인 채로 전면바닥부재(1)를 삽입할때 상기한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 하면에 돌출해서 형성된 돌기부(224)가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 오목한 부(225)를 상부단말면에 갖는 바닥수용부재(226)에 의해 전면바닥부재(1)을 지지하면서 삽입을 행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한 위치결정 오목한 부(225)와 돌기부(224)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전면바닥부재(1)의 차폭방향의 위치결정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삽입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6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는 전면바닥부재(1)의 오목한 부인 측면가장자리부(1a)이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오목한 부(231)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오목한 부(231)보다도 상측의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을 덮는 덮개부재(232)가 위치가장자리를 힌지측으로 해서 상하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체의 조립시 전면바닥부재(1)의 삽입전에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1a)상에 접착제(233)을 도포한다. 그런후 상기한 덮개부재(232)의 하단을 사이드실(20)으로부터 떨어지게 개방하고, 이 상태에서 전기한 오목한 부(231)내에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1a)의 전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맞추어서 전면바닥부재(1)을 삽입한다.(제64도 a참조)
계속해서 상기한 덮개부재(232)를 사이드실(20)에 중첩되도록 폐색하고, 그 덮개부재(232)의 하단 갈고리부(232a)로 상기한 전면바닥부재(1)[측면가장자리부(1a)]상의 접착제(233)을 그 측면가장자리부(1a)와 사이드실(20)의 오목한 부(231)과의 사이의 간격을 밀어넣어서 주입시킨다.(제64도 b참조)
이것에 의해 상기한 측면가장자리부(1a)가 접착제(233)에 의해 오목한 부(231)에 고착됨과 동시에 전기한 하단 갈고리부(232)가 전면바닥부재(1)상에 고착되고, 덮개부재(232)가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을 덮어서 고정된다.
제6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241)내에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1a)를 끼워맞추어서 전면바닥부재(1)을 삽입한 후 상기한 오목한 부(241)내에 주입구멍(242)로부터 발포 폴리우레탄수지로 된 접착제(243)을 주입해서 상기한 측면가장자리부(1a)를 오목한 부(241)에 고착시킨다. 이 방법에서는 전면바닥부재(1)의 삽입시에 저항을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착제(243)의 도포면으로부터의 박리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접착결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이 방법에서는 바닥부재(1)이 벌집구조의 것인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재(1)의 내부에 접착제(243)의 주입시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구멍(24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는 위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올라가는 측면부재(251)이 설치되고, 그 측면부재(251)의 외측면측 [사이드실(20)측]에는 밖으로 향해 개방되고 또한 개방구가 좁아진 오목한 부(252)가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실(20)의 차실내측에는 상기한 오목한 부(252)에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볼록한 부(2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에는 상기한 볼록한 부(253)과 오목한 부(252)와를 끼워맞춘 상태인 채로 전면 바닥부재(1)을 삽입해서 양차체(BU)(BL)의 조립을 행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상기한 측면부재(251)이 사이드실(20)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실(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로부재(185) 및 좌석벨트 부착용 브래키트(186)의 상부의 사이드실 측면단말부를 하부차체(BL)[전면바닥부재(1)]의 삽입전에 하부차체(BL)측의 측면부재(251)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제6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이드실(20)의 저면에는 아래로 향해 개방되는 제 1 의 오목한 부(261)이 사이드실(20)의 차외측 측면에는 밖으로 향해 개방된 제 2 의 오목한 부(262)가 각각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는 상기한 제 1 의 오목한 부(261)에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제 1 의 볼록한 부(263)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사이드실(20)의 하부표면에 따라 우회해서 차외측 측면까지 뻗은 연장부(264)가 형성되고, 그 연장부(264)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제 2 의 오목한 부(262)에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제 2 의 볼록한 부(2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에는 상기한 사이드실(20)의 각 오목한 부(261)(262)내 및 사이드실(20)의 하면에 접착제(266)을 도포한 후(제67도 a참조), 상기한 볼록한 부(263)(265)와 오목한 부(261)(262)와를 제 1 끼리 및 제 2 끼리 각각 끼워맞춘 상태채로 전면바닥부재(1)에 삽입해서 양차체부(BU)(BL)의 조립을 행한다.(제67도 b참조) 이 경우에는 전면바닥부재(1)의 연장부(264)가 사이드실(20)의 차외측 측면의 하반부를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사이드실(20)에 외관상의 강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 바닥부재(1)의 측면부형상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도 있다.
제6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전면바닥부재(1)의 측면가장자리부에는 위쪽으로 팽창된 하부사이드실(271)이 설치되고, 그 하부사이드실(271)의 상부에는 위로 향해 개방되고, 또한 개방구가 좁게된 오목한 부(272)가 전후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실(20)의 하부에는 상기한 오목한 부(272)에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볼록한 부(2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의 조립시에는 상기한 볼록한 부(273)과 오목한 부(272)를 끼워맞춘상태인 채로 전면바닥부재(1)을 삽입해서 양차체(BU)(BL)의 조립을 행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상기한 하부사이드실(271)이 사이드실(20)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실(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석벨트 부착용 브래키트(186)의 상부의 사이드실측 단말부를 하부차체(BL)[전면바닥부재(1)]에 삽입하기 전에 하부차체(BL)측의 하부사이드실(271)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Claims (21)

  1. 전면바닥부재(1)와 전면차체부(BF)를 가진 하부차체부(BD)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동체(BL)를 조립하는 단계와 루프부재(13)와 좌우의 차체측면패널(11)을 포함하는 상부차체동체(BU)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U)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부차체동체(BL)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하부차체동체(BL)을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차체동체(BU)의 하부단말부를 하부차체동체(BL)의 반대측 단말부를 차폭방향으로 끼워맞추는 단계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동체(BL)이 반대측 단말부에 볼록한 부가 형성되고, 상부차체동체(BU)는 볼록한 부에 끼워맞춰지는 오목한 부가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동체(BL)에는 그 반대측 단말부에 오목한 부가 형성되고, 상부차체동체(BU)에는 하부에 오목한 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한 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한 부와 볼록한 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의 상대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끼워맞추기전에 오목한 부의 표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끼워맞추기전에 오목한 부의 표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바닥부재(1)의 좌우 양단말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차체동체(BU)의 좌우 양사이드실(20)에 수용부(35A)가 형성되고,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의장라인으로 이송하여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각각 의장하고, 좌우 양사이드실(20)의 수용부(35A)에 전면바닥부재(1)의 반대측 측면단말부를 차폭방향으로 끼워 맞추기 위해 하부차체동체(BL)의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와 하부차체부(BD)와 일체로 형성된 전면차체부(BF)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동체(BL)이 의장품으로 의장된 후 하부차체동체(BL)의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와 하부차체부(BD)에 결합되지 않은 전면차체부(BF)가 각 의장품으로 의장된 후 양차체부(BD)(BF)가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와 하부차체부(BD)에 결합되지 않은 전면차체부(BF)가 의장품으로 의장된 후, 전면차체부(BF)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번거로운 의장공정이 필요한 하나의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의 전면차체부(BF)가 주의장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바닥부재(1)의 좌우의 단말부가 적어도 사이드실(20)의 좌우의 수용부(35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차체부(BD)의 좌우단말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차체동체(BU)의 좌우 사이드실(20)에 수용부(35A)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을 의장라인으로 이송하고, 상부와 하부차체동체(BU)(BL)을 각각 의장하는 단계와, 하부차체부(BD)의 좌우단말부를 상부차체동체(BU)의 좌우수용부에 끼워맞추기 위해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하부차체부(BD)의 좌우단말부를 하부차체동체(BL)의 좌우하부단말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바닥부재(1)의 좌우단말부를 수용하기 위해 하부차체동체(BL)의 좌우사이드실(20)에 수용부(35A)를 형성하고, 좌우사이드실(20)의 수용부(35A)에 전면바닥부재(1)의 반대측 측면단말부를 차폭방향으로 끼워맞추기 위해 하부차체동체(BL)의 하부차체부(BD)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하부차체동체(BL)을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를 포함하는 하부차체동체(BL)이 별도의 라인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L)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가 별도의 라인에서 조립되고, 하부차체부(BD)가 전면차체부(BF)에 결합된 후에,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가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가 별도라인에서 조립되고, 하부차체부(BD)가 상부차체동체(BU)에 결합된 후 전면차체부(BF)가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동체(BL)은 별도의 라인에서 조립되고, 양차체동체(BU)(BL)에 필요한 도장을 시행하고, 그후 양차체동체(BU)(BL)은 필요한 의장품으로 의장된 후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부차체동체(BU)와 하부차체부(BD)와 전면차체부(BF)는 함께 조립되고, 필요한 도장을 시행하고, 의장품이 의장되고, 함께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19. 바닥부재(1)을 포함하는 하부차체동체(BL)과 루프부재(13)와 좌우차체측면패널(11)과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부차체동체(BL)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하부차체동체(BL)을 상부차체동체(BU)에 삽입하므로서 상부차체동체(BU)의 차체측면패널(11)의 하부단말부에 끼워맞춰진 하부차체동체(BL)의 차폭방향의 반대측 측면단말부와, 하부차체동체(BL)의 상부차체동체(BU)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반대측면단말부와 하부단말부를 끼워 맞춰진 후에 용이하도록 하부단말부에 보강부가 구성되어 있는 반대측면단말부를 갖고 있는 구성의 차체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하부단말부의 끼워맞춤부가 차체측면패널(11)의 내부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차체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하부단말부의 끼워맞춤부가 차체측면패널(11)의 외부측에 형성되고, 측면단말부의 끼워맞춤부가 차체측면패널(11)의 외부표면의 일부를 둘러싸고 뻗어 있는 차체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제조방법.
KR1019920007908A 1991-05-10 1992-05-11 자동차의 제조방법 KR960007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11791A JP2912049B2 (ja) 1991-05-10 1991-05-10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及び車体構造
JP3135791A JP2911642B2 (ja) 1991-05-10 1991-05-10 自動車の製造方法
JP91-135785 1991-05-10
JP13578591 1991-05-10
JP91-135791 1991-05-10
JP91-106117 1991-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90A KR920021390A (ko) 1992-12-18
KR960007333B1 true KR960007333B1 (ko) 1996-05-31

Family

ID=2731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908A KR960007333B1 (ko) 1991-05-10 1992-05-11 자동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19784A (ko)
EP (1) EP0512576B1 (ko)
KR (1) KR960007333B1 (ko)
DE (1) DE692039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8120A1 (de) * 1992-08-25 1994-03-03 Opel Adam Ag Kraftfahrzeug in Modulbauweise
DE4406615B4 (de) * 1994-03-01 2007-11-08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ohbau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SE503705C2 (sv) * 1994-10-25 1996-08-05 Volvo Ab Lastbärande struktur för användning i en fordonskaross
DE19606779A1 (de) * 1996-02-23 1997-08-28 Opel Adam Ag Verfahren zur Montage und Farbgebung von Kraftfahrzeugen mit selbsttragender Karosserie
US6308411B1 (en) * 1996-10-24 2001-10-30 Freightliner Llc Truck cab sidewa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279217B1 (en) 1997-06-20 2001-08-28 Trn Business Trus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ailcar body
US6220502B1 (en) * 1997-06-20 2001-04-24 Trn Business Trus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ailcar roof
US6276058B1 (en) 1997-06-20 2001-08-21 Trn Business Trus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ailcar
GB2344322B (en) * 1997-08-02 2000-08-30 Unova Uk Ltd Vehicle body assembly
DE19749230B4 (de) * 1997-11-07 2004-05-13 Daimlerchrysler Ag Spannvorrichtung
DE69943250D1 (de) 1998-12-11 2011-04-14 Nissan Motor Fahrzeugherstellung
US6360421B1 (en) 1999-07-16 2002-03-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manufacturing system for frame component
JP3828329B2 (ja) * 2000-02-18 2006-10-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US6493920B1 (en) * 2000-09-07 2002-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rom preassembled modular components
JP3879968B2 (ja) * 2000-09-21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組立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組立方法
GB2378157A (en) * 2001-08-01 2003-02-05 Land Rover Uk Ltd Vehicle construction
US6755461B2 (en) * 2001-10-16 2004-06-29 Aloca Inc. Modular front end for a motor vehicle
US20030159264A1 (en) * 2002-02-22 2003-08-28 The Dow Chemical Company Automotive roof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of the module to an automotive vehicle
US6682129B2 (en) * 2002-06-24 2004-01-27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Flare module truck sleeper cab assembly
DE10239989A1 (de) * 2002-08-27 2004-03-18 Daimlerchrysler Ag Karosserie mit einer Tragstruktur aus zusammengesetzten Teilmodulen
DE10239992A1 (de) * 2002-08-27 2004-03-18 Daimlerchrysler Ag Kraftwagen-Karosserie mit einer Tragstruktur aus großformatigen Teilmodulen
JP2004210178A (ja) * 2003-01-07 2004-07-29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
DE10302756B4 (de) * 2003-01-24 2012-02-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gstruktur für eine Kraftwagenkarosserie
DE10302755B4 (de) * 2003-01-24 2012-02-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agstruktur für eine Kraftwagenkarosserie
DE10303022B4 (de) * 2003-01-27 2021-03-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arosserie mit zumindest einem Verbindungsbereich
US6976309B2 (en) * 2003-12-18 2005-1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underbody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WO2005108141A2 (en) * 2004-04-06 2005-11-17 Leblanc James C Sr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s and vehicles made thereby
DE102004053917B3 (de) * 2004-11-05 2006-04-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eitenwand eines Kraftfahrzeugs
MX2007011397A (es) 2005-03-17 2008-03-10 Ind Origami Inc Estructuras resistentes a la fatiga, de alta resistencia, plegadas con precision, y hojas para las mismas.
KR20070119047A (ko) * 2005-03-25 2007-12-18 인더스트리얼 오리가미, 엘엘씨. 정밀 폴드 기술로 형성된 3차원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FR2890367B1 (fr) * 2005-09-02 2007-11-30 Plastic Omnium Cie Caisse en blanc de vehicule automobile en plusieurs parties
FR2890368B1 (fr) * 2005-09-02 2007-11-30 Plastic Omnium Cie Caisse en blanc de vehicule automobile
US20080098787A1 (en) 2006-10-26 2008-05-01 Industrial Origami, Inc. Method of forming two-dimensional sheet material into three-dimensional structure
CN101578218A (zh) * 2006-12-19 2009-11-11 陶氏环球技术公司 底板模块
EP2118553A4 (en) 2007-02-09 2014-04-16 Ind Origami Inc LOAD-LOAD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KR100867848B1 (ko) * 2007-11-09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용 프레임을 이용한 저 지상고 확립 차량
WO2009086329A1 (en) * 2007-12-21 2009-07-09 Industrial Origami, Inc. Chassi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090230729A1 (en) * 2008-03-13 2009-09-17 Kevin Lusk Floor panel for a vehicle
GB2458956A (en) * 2008-04-04 2009-10-07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chassis
KR100916456B1 (ko) * 2008-04-11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런트 필라부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인 카울 컴플리트의후장착 구조
US8322771B2 (en) * 2009-10-05 2012-12-04 Honda Motor Co., Ltd. Connection between roof panel and side panel
DE102010023075A1 (de) * 2010-06-08 2011-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Hinterer Unterbau für ein Fahrzeug
EP2463181B1 (de) * 2010-12-07 2018-07-1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
US8757709B2 (en) * 2010-12-20 2014-06-24 Tesla Motors, Inc. Reinforced B-pillar assembly with reinforced rocker joint
US8960781B2 (en) * 2010-12-20 2015-02-24 Tesla Motors, Inc. Single piece vehicle rocker panel
US20120161472A1 (en) 2010-12-22 2012-06-28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US8702161B2 (en) * 2010-12-22 2014-04-22 Tesla Motors, Inc.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and side sill assembly
DE102010055959A1 (de) * 2010-12-23 2012-06-28 Daimler Ag Verfahren zum Montieren von Kraftwagen
US8936164B2 (en) 2012-07-06 2015-01-20 Industrial Origami, Inc. Solar panel rack
DE102012109892A1 (de) * 2012-10-17 2014-04-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fahr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e
ES1078070Y (es) * 2012-11-02 2013-02-15 Aloy Jordi Nadal Estructura para la construcción de un chasis de un vehículo, remolque o similar
JP6176467B2 (ja) 2014-02-25 2017-08-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および車体フロアの製造方法
US9393922B2 (en) * 2014-05-23 2016-07-19 Goog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n energy-absorbing end of a vehicle
US9187136B1 (en) * 2014-08-01 2015-11-17 Honda Motor Co., Ltd. Structural pan for automotive body/frame
DE102014112138A1 (de) * 2014-08-25 2016-02-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karosserie in Mischbauwei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in Mischbauweise
US9954260B2 (en) 2015-03-16 2018-04-24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system with heat exchange device
US10173687B2 (en) 2015-03-16 2019-01-08 Wellen Sham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 driver and determining whether driver can start vehicle
US10703211B2 (en) 2015-03-16 2020-07-0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pack,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method
US20160271926A1 (en) 2015-03-16 2016-09-22 Thunder Power Hong Kong Ltd. Fastening method for components
US9533551B2 (en) 2015-03-16 2017-01-03 Thunder Power Hong Kong Ltd. Electric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with series and parallel structure
US9469350B2 (en) 2015-03-16 2016-10-18 Thunder Power Hong Kong Ltd. Under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underbody
DE102015210330A1 (de) * 2015-06-03 2016-12-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ruppe von Kraftfahrzeugen
JP6228256B2 (ja) * 2016-04-13 2017-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JP6555235B2 (ja) * 2016-11-30 2019-08-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CN107054479A (zh) * 2017-05-05 2017-08-18 合肥亿恒机械有限公司 一种整体成型式suv前地板总成
DE102018214891A1 (de) * 2018-09-01 2020-03-05 Röchling Automotive SE & Co. KG Kfz-Karosserie mit Rohkarosse und Fahrzeugboden sowie einem Sicherungsstrukturbauteil
BR112022006738A2 (pt) * 2019-10-17 2022-07-12 Letenda Inc Ônibus de piso baixo
US11827380B2 (en) * 2021-01-26 2023-11-28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sub-assembly for installation
DE102021206369A1 (de) * 2021-06-22 2022-1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0176E (en) * 1927-01-08 1936-11-17 Automobile body and mounting
US2757447A (en) * 1951-12-11 1956-08-07 Daimler Benz Ag Method for assembling motor vehicles
JPS62111837A (ja) * 1985-11-06 1987-05-22 Denkoo:Kk 板状体取出し装置
JPS63235174A (ja) * 1987-03-23 1988-09-3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FR2618746B1 (fr) * 1987-07-28 1989-12-22 Peugeot Structure amovible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montage d'un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FR2643034B1 (fr) * 1989-01-24 1992-10-30 Peugeot Procede de construction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obtenu par ce procede
IT1237697B (it) * 1989-12-18 1993-06-15 Fiat Auto Spa Carrozzeria per un autoveico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19784A (en) 1997-04-15
DE69203928D1 (de) 1995-09-14
KR920021390A (ko) 1992-12-18
EP0512576A1 (en) 1992-11-11
DE69203928T2 (de) 1996-03-28
EP0512576B1 (en) 199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333B1 (ko) 자동차의 제조방법
US5540478A (en) Roof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US5319840A (en) Method for the assembly of automotive vehicles
US5819390A (en) Fabrication of hidden storage/utility system
AU722582B2 (en) Hidden storage/utility system and fabrication thereof
EP0076934A1 (en) A process for making the body of a vehicle utilising outer cladding elements made of synthetic plastics resins
KR101435769B1 (ko) 스폿 용접장치
JP2957780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H05105135A (ja) 自動車ボデイの搬送装置及び自動車の組立方法
GB2059884A (en) Vehicle sunroof structure
JP3045809B2 (ja) 自動車の製造方法
JP2907584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2911642B2 (ja) 自動車の製造方法
JP2907585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2911641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H05105133A (ja) 自動車の製造方法
JP3412587B2 (ja) 自動車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自動車
JPH05124548A (ja) 自動車の製造方法
KR960007332B1 (ko) 자동차의 제조방법
JPS63265780A (ja) 自動車組立方法
JPS63265782A (ja) 自動車組立方法
KR200151650Y1 (ko) 자동차의 부품 도장용 바디 랙크
JPS63265779A (ja) 自動車組立方法
JPH0597076A (ja) 自動車の組立方法
JPS63265783A (ja) 自動車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