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504B1 -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504B1
KR950008504B1 KR1019890016767A KR890016767A KR950008504B1 KR 950008504 B1 KR950008504 B1 KR 950008504B1 KR 1019890016767 A KR1019890016767 A KR 1019890016767A KR 890016767 A KR890016767 A KR 890016767A KR 950008504 B1 KR950008504 B1 KR 95000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ail
heavy
bogi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410A (ko
Inventor
후사오 소네하라
쇼오지 미야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 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6833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936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6672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060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 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쯔바기 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90000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Landscapes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제 개략평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2-2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코일보관상태의 설명도.
제6도 및 제7도는 코일대차가 레일교차위치를 주행할때의 설명도.
제8도 및 제9도는 셔틀식 콘베이어가 레일교차위치를 주행할때의 설명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인 반송장치의 평면도.
제l1도는 제10도의 좌측면도.
제12도는 제1셔틀식 콘베이어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워킹빔식 콘베이어의 사시도.
제14도는 다른 실시예인 직각방향 반송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우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중의 16-16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반송장치(중량물반송장치) 11 : 셔틀식 콘베이어(제1대차)
12 : 코일대차(제2대차) 13 : 코일재치대(중량물재치대)
20 : 연결로드 21,211: 내지
214: 대차 22 : 제1레일
22a : 잘린곳
23,231,232 ,234: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
24 : 유압실린더 25 : 승강기구
26 : 프레임 27,271,272: 차바퀴
27a : 차바퀴(27)의 가장자리 28 : 코일받음대
29 : 코일반입대 41 : 제2레일
41a : 잘린곳 42 :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
43 : 유압실린더 44 : 승강기구
45 : 프레임 46,461,462 :차바퀴
46a: 차바퀴(46)의 가장자리 47 : 코일반출대
48,49 : 패드 50 : 교차위치
51 : 대기위치 60 : 지주
61 : 지지체 111 : 제1셔틀식 콘베이어(제1대차)
112 : 제2셔틀식 콘베이어(제2대차) 113 : 코일재치대(중량물재치대)
114 : 턴테이블 121 : 대차
122 : 제1레일 123 :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
129 : 코일반입대 141 : 제2레일
142 :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 147 : 코일반출대
150 : 교차위치 170 : 대차
171 : 탑재레일 172 : 하부프레임
173 : 축 174 : 유압실린더
175 : 회전프레임 176 : 지지구
177 : 링형상의 레일 178 : 로울러
180 : 내지 183 : 패드
184 : 가요성지지구 211 : 워킹빔식 콘베이어
220 : 연결로드 221 : 대차
222 : 제1레일 223 :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
228 : 코일받음대 310 : 코일반송장치
313 : 코일재치대(중량물재치대) 314 : 턴테이블
344 : 고정프레임 345 : 모우터
346 : 피니온 347 : 링형상의 기어
348 : 회전구동기구 371 : 탑재레일
375 : 회전프레임 378 : 축
383 : 패드 W : 중량물(코일)
본 발명은, 예를들어 얇은 강판을 감은 코일과 같은 중량물을 반송하기 위한 중량물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코일을 반송하거나 혹은 반송장치에서 다른 반송장치로 이루동적재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크레인을 사용하면, 공간을 넓게 필요로 하고, 다른 설비에 여러가지의 제한을 준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량이 있는 코일을 매어단 상태에서 바꿔 옮기는 것은 코일에 손상을 주기쉬운 동시에, 위험이 따르고, 또한 건물을 강고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1)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를 구비하고 제1레일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와, 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일과 직교하는 제2레일위를 주행하는 제2대차와,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교차위치에 구비된 중량물재치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중량물반송장치, 및 (2)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를 구비하고 제1레일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와, 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를 구비하고 제1레일과 직교하는 제2레일위를 주행하는 제2대차와, 상기 제1대차와 제2대차를 교대로 탑재시키는 탑재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탑재레일을 수평회전시켜서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탑재레일의 윗쪽에 위치하는 중량물의 고정재치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중량물반송장치, 및 (3)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 적재부를 구비하고 제1레일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와, 중량물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를 구비하고 제1레일과 직교하는 제2레일위를 주행하는 제2대차와, 상기 제1대차와 제2대차를 교대로 탑재시키는 탑재레일을구비하고 상기 탑재레일을 수평회전시켜서 상기 제l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위에 상기 탑재레일의 윗쪽에 형성된 중량물 재치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중량물반송장치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1형태에서는, 중량물을 중량물적재부에 적재한 제1대차가 제1레일위를 주행하여 중량물 제치대까지 반송한다.
정지한 제1대차는, 중량물 적재부를 하강시켜서 중량물을 중량물재치대로 내리고, 제1레일위를 주행하여 중량물재치대로부터 벗어난다.
다음에, 비워진 제2대차가 중량물적재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2레일위를 주행하여 중량물재치대에서 정지한다.
정지된 제2의 중량물 대차는 중량물적재부를 상승시켜 중량물을 밀어올리도록 하여 제1대차로 부터 제2대차로 중량물이 옮겨 실어지게 되며, 중량물을 적재한 제2대차는 중량물재치대에서 떨어져서 중량물을 소정의 장소까지 반송한다.
제2형태에서는, 중량물은 제1대차에 의하여 중량물재치대까지 반송되고, 제1대차의 중량물적재부의 하강에 의하여 중량물재치대위에 일단 내려지며, 비워진 제1대차는 탑재레일로부터 제1레일로 되돌아 온 다음, 턴데이블이 90도 수평회전하여 탑재레일을 제2레일에 접속한다.
다음에, 중량물의 아래로 제2대차가 주행하고, 중량물적재부의 상승에 의하여 중량물은 제2대차로 옮겨실어져 반송됨으로써, 중량물은 수직방향으로 반송된 것으로 된다.
한편, 턴테이블은 90도로 역회전하고, 탑재레일은 제1레일에 접속하여 제1대차의 받아들임 대기상태로됨에 따라 중량물은 고정의 중량물재치대에 일단 내려지고, 제l대차에서 제2대차로 옮겨 실어지기때문에 대차의 주행방향에 대한 중량물의 방향이 바뀌어지나, 이 경우 반송 장치 전체에서 보면 중량물의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제3형태에서는, 중량물이 제1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제1대차에서 제2대차로 옮겨실어져서 반송되나, 중량물재치대가 턴테이블과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옮겨실을때에 중량물의 방향이 바뀌어지나, 대차의 주행방향에 대한 중량물의 방향은 항상 동일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코일반송장치(중량물반송장치)(10)은, 얇은 강판을 감은 코일(W)을 반송 및 옮겨 싣는 것으로서, 주로 셔틀식콘베이어(제1대차)(11)와, 코일대차(제2대차)(12)와, 코일재치대(중량물재치대)(13)로 구성되어 있다.
셔틀식 콘베이어(1l)는, 연결로드(20)로 연결된 4대의 대차(21)로 구성되며, 대차(21)의 연결피치(P)의 거리만큼 제1레일(22),(22)을 전진후퇴의 왕복이동을 하는 것이다.
각 대차(21)에는, 코일(W)을 적재하는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23)와, 코일적재부(23)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24)로 이루어지는 승강기구(25)가 구비되어 있고, 각 대차(21)의 프레임(26)의 양쪽에는 모두 8개의 차바퀴(27)가 구비되어 있다.
제1레일(22),(22)의 양쪽에는 긴변의 코일받음대(28),(28)(제2도, 제3도)가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장 후미의 대차인 첫번째의 대차(211)부근에는 코일반입대(29)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대차(21)는, 제1레일(22),(22)과 직교하는 제2레일(41),(41)을 왕복주행하는 것으로서, 코일(W)을 적재하는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42)와, 코일적재부(42)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43)로 이루어지는 승강기구(44)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대차(12)의 프레임(45)의 양쪽에는, 모두 8개의 차바퀴(46)가 구비되어있다.
제 2레일(41),(41)의 도중에는, 코일반출대(47)가 설치되어 있다.
셔틀식콘베이어(10)의 코일적재부(23)와 코일대차(12)의 코일적재부(42)에는, 단면이 V자 형상인 패드(48),(49)가 구비되어 있고, 방향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1, 제2레일(22),(41)의 직교부분에는, 잘린곳(22a),(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대차(21) 및 코일대차(12)가 이 부분을 통과할 때, 차바퀴(27),(46)의 가장자리(27a),(46a)를 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제2레일(22),(22),(41),(41)이 직교하고 있는 교차위치(50)에는, 지주(60),(60)에 지지되어 있는 4개의 지지체(61)로 이루어진 코일 재치대(I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셔틀식 콘베이어(l1)는, 코일반입대(29)에 미리 반입되어 있는 첫번째 코일(W)의 바로밑에 첫번째 대차(211)가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제1도의 상태).
그리고, 첫번째 대차(211)의 유압실린더(24)를 작동시켜 코일적재부(231)를 상승시켜서, 첫번째 코일(W)을 아래에서 밀어올리도록 하여 이 코일적재부(231)에 적재한다.
첫번깨 대차(211)에 코일(W)이 적재되면, 셔틀식 콘베이어(11)는, 코일적재부(231)를 상승시킨채로 코일재치대(13)쪽(제1도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대차의 연결피치(P)분량 만큼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때, 선두의 대차인 네번째의 대차(214)는 코일재치대(13)의 바로아래에서 정지한다.
그 다음에, 첫번째 대차(211)의 코일적재부(231)를 하강시켜, 코일(W)을 코일받음대(28),(28)로 내린다.
그 사이에, 코일반입대(29)에 두번째 코일(W)이 반입되고, 비워진 셔틀식 콘베이어(11)는, 코일적재부(231)를 하강시킨 채로 다시 첫번깨 대차(211)가 코일반입대(29)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전체적으로 제1도에 있어서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가장 후미에서 두번째의 대차(212)는 첫번째의 코일(W)의 바로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첫번째, 두번째 대차(211), (212)의 코일적재부(231), (232)를 상승시켜 첫번째 대차(211)에 두번째 코일(W)을, 두번째 대차(212)에 첫번째 코일(W)을 적재한다.
그 다음에, 셔틀식 콘베이어(11)는, 다시 코일재치대(13)쪽으로 대차의 연결피치(P)분량 만큼 이동하고, 첫번째, 두번째 대차(211),(212)의 코일적재부(231),(232)를 하강시켜서 첫번째, 두번째 코일(W)을 코일받음대(28),(28)로 내리며, 그 사이에 코일반입대(29)에 세번째 코일(W)이 반입된다.
비워진 셔틀식 콘베이어(11)는, 다시 첫번째의 대차(211)가 코일반입대(29)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전체가 이동하고, 첫번깨 대차(211)에 세번째 코일(W)을, 두번째 대차(212)에 두번째 코일(W)을, 세번째 대차(213)에 첫번째의 코일(W)을 적재한다 .
이와같이 하여, 셔틀식 콘베이어(11) 전체의 왕복이동과, 코일적재부(23)의 승강에 따라 코일적재부(23)와 코일받음대(28),(28)사이의 주고 받음에 의하여, 코일(W)이 대차의 연결피치(P)분량씨 순차적으로 코일재치대(13)쪽으로 운반되어 간다.
그리하여, 네번째 대차(214)에 첫번째 코일(W)을 적재한 셔틀식 콘베이어(11)는, 코일재치대(13)쪽으로 이동하여 네번째 대차(214)가 코일재치대(1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정지할 때, 코일 적재부(234)를 하캉시켜서 첫번째 코일(W)을 코일재치대(13)로 내린다.
비워진 셔틀식 콘베이어(11)는 코일반입대(29)쪽으로 이동하고 네번째 대차(214)는 코일재치대(13)로 부터 떨어진다.
코일재치대(13)에 코일이 놓여지면, 이번에는, 코일대차(12)가 코일적재부(42)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대기위치(51)로부터 코일재치대(13)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여 정지하며, 그 다음엔, 유압실린더(43)에 의하여 코일적재부(42)를 상승시켜, 코일재치대(13)위의 코일(W)을 아래에서 밀어올리도록 하여, 이 코일적재부(42)에 적재한다.
그리고, 코일대차(12)는, 코일적재부(42)를 상승시킨채로 코일재치대(13)에서 떨어져 코일반출대(47)에서 정지하며, 코일적재부(42)를 하강시켜 코일(W)을 코일반출대(47)로 내리고, 코일(W)을 내린 코일대차(12)는 대기위치(51)로 되돌아 온다.
코일대차(12)가 대기위치(51)로 되돌아오는 사이에 코일(W)은 코일반출대(47)로 부터 반출되며, 이때 대기위치는 코일재치대(13)와 코일반출대(47)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도 좋다.
코일대차(12)가 대기위치(51)로 되돌아오면, 상기와 같이 네번째 대차(214)가 다음의 코일(W)을 적재하여 코일재치대(13)의 바래 아래로 이동하여 코일(W)을 코일재치대(13)로 내린다.
그리고, 네번째 대차(214)가 코일재치대(13)로부터 떨어지면, 다시 코일대차(12)가 코일적재부(42)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코일재치대(13)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여 코일(W)을 적재한 후에 코일반출대(47)로 반송하여 내린다.
이와같이하여, 코일(W)은 셔틀식 콘베이어(11)에 의하여 코일반입대(29)로 부터 코일재치대(l3)까지 반송되고, 코일재치대(13)에서 코일대차(12)로 이동되며, 코일대차(l2)에 의하여 코일재치대(l3)에서 코일반출대(47)까지 반송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셔틀식콘베이어(11) 대신에 코일대차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1도에 있어서, 제1레일(22),(22)이 왼쪽끝단에서, 상기의 코일대차(12)에 상당하는 대차에 의하여, 코일(W)을 코일재치대(13)로 반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W)은 바닥(G)에 부설된 레일(22),(23)위로 반송하고, 옮겨실을 때는 코일재치대(13)에 일단 놓여지기 때문에, 크레인과는 달리 안전하고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건물을 견고하게 할 필요도 없게 된다.
또한, 코일적재부(23),(42)의 V자 형상의 패드(48),(49)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여 있기 때문에, 코일(W)의 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보관할 수 있고,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코일(W)의 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보관함으로써 보관면적을 적게할 수 있다.
즉, 코일(W)을 평면적으로 보아서 장방형일때, 가령, 제4도와 같이, 코일(W)의 방향을 가지런히 하지않고 보관하면 코일(W)이 어떠한 방향으로 놓여져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일(W) 1개당의 면적은, 1변의 길이가 상기 장방향의 긴변에 상당하는 길이에 정방형의 넓이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방향을 가지런히 하여 보관하면 (제5도), 보관면적은 장방형 그대로의 넓이로도 좋기 때문에, 보관면적을 작게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코일(W)을 평면적으로 보아 변의 길이가 2 : 3의 장방형일 때의 보관면적을 제4도와 제5도에서 비교하여 보면, 제5도쪽이 제4도보다 적은 면적으로 코일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대차(12)의 차바퀴(46)가 한쪽편에 4개씩 양쪽에 8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레일(41)의 잘린곳(41a)을 앞바퀴(461),(461) 및 뒷바퀴(462),(462)가 통과할 때, 항상 한쪽의 앞바퀴(461) 및 뒷바퀴(462)가 제2레일(4l)에 올라가 있어 레일의 잘린곳(41a)에 있어서의 코일대차(12)의 주행이 원활하게 됨과 동시에 레일의 손상방지도 된다.
특히, 코일(W)은 중량이 있기 때문에, 본 구조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틀식 콘베이어(11)의 각 대차(21)도 한쪽편에 4개씩 양쪽에 8개의 차바퀴를 가지고 있으나, 이것도 셔틀식 콘베이어(11)가 레일의 교차부분을 빠져나가도 좋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지 왕복운동만 하는 경우에도 제8도,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8도의 대차(214)의 앞바퀴(271),(271)만이 교차위치(50)를 통과하기 때문에, 제8도의 대차(21茄)는 양쪽 4개의 앞바퀴(271)와 양쪽 2개의 뒷바퀴(272)로 도합 6개의 차바퀴를 구비하면 좋다.
그리고, 다른 대차(21)는 도합 4개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그러나, 제2레일(41),(41)의 간격(Ll)이 앞쪽의 앞바퀴(271)와 뒷바퀴(272)의 간격(L2)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6개로 하여도 좋으나, 반대로 L1>L2인때는 뒷바퀴(272)도 잘린곳(22a)을 통과하기 때문에, 도합 8개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제4대차 어느것에나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중량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서는 차바퀴를 8개 구비하고 있으므로, 셔틀식 콘베이어도 교차부분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코일(중량물)반송장치(110)는, 얇은 강판을 감은 코일(W)을 직각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주로 제l, 제2셔틀식 콘베이어(제1대차, 제2대차)(111),(112)와, 턴테이블(114)과, 코일재치대(중량물 재치대(113)로 구성되어 있다.
제1셔틀식 콘베이어(111)는, 제12도와 같이 제1레일(112),(122)위를 주행하는 대차(l21)를 가지고 있고, 대차(121)에는 코일(W)을 적재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코일적재부(123)가 구비되어 있고, 제1레일(122)의 도중에는, 코일반입대(129)(한쪽편만 도시하였음)가 바닥(G)에 설치되어 있다.
제2셔틀식 콘베이어(112)는, 제10도, 제11도와 같이, 제1레일(122),(122)과 직교하는 제2레일(141),(141)을 주행하는 대차(170)를 가지고 있고, 대차(l70)에는, 코일(W)을 적재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코일적재부(142)가 구비되어있으며, 대차(170)의 전원케이블, 유압호오스등은 가요성지지구(184)에 의하여 보호되어 대차(170)가 이동하여도 손상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레일(141)의 도중에는, 코일반출대(147),(147)가 바닥(G)에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114)은, 대차(121)와 대차(170)기 교대로 얹히기 위한 탑재 레일(171),(171)을 윗면에 구비하고, 바닥(G)의 하부프레임(172)에 세워 설치된 축(173)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174)에 의하여 90도 만큼 왕복수평회전하는 회전프레임(175)을 가지고 있다.
유압실린더(l74)는 지지구(176)에 수평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프레임(l75)의 아랫면에는, 하부프레임(172)위에 구비된 링형상의 레일(177)을 주행하는 4개의 로울러(178)를 가지고 있다.
코일재치대(113)는, 제1, 제2레일(122),(122),(141),(141)이 직교하고 있는 교차위치(150)의 바닥(G)에 대차(121)와 대차(170)의 각 코일적재부(123),(1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4개로 분할되어서 바닥(G)에 설치되어 있다.
각 코일 적재부(123),(142), 코일 반출대(147), 코일재치대(113)에는, 대략 V자형상을 형성하도록 각각4개로 이루어진 패드(180),(181),(182),(183)가 구비되어 있으며, 방향은 모두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턴테이블(114)위의 탑재레일(171),(171)을 제1레일(122),(122)에 일직선의 상태로 향하게 하여 놓고, 제l셔틀식 콘베이어(111)의 코일반입대(129)로 코일(W)을 반입하여 적재한다.
반입된 코일(W)은, 아래에서 상승하여 오는 대차(121)의 코일적재부(123)에 적재되고, 코일적재부(123)가 상승한 채로 대차(121)의 주행에 의하여, 코일재치대(113),(113)의 바로 위의 위치까지 반송되고, 이때 대차(121)는 탑재레일(171)의 위에 얹혀 있으여, 코일(W)은 코일적재부(123)의 하강에 의해 코일재치대(113)위로 내려져 대차(121)는 비워지고, 비워진 대차(12l)는 제1레일(122),(122)로 되돌아온다.
그 다음에, 유압실린더(174)의 작동에 의하여, 턴데이블(114)은 제11도에서 왼쪽으로 90도 수평회전되고, 탑재레일(171),(171)이 제2레일(141),(141)과 일직선 상태로 되며, 대차(170)가 코일적재부(142)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코일재치대(113),(113)의 바로 아래로 주행하여 온다.
이때, 대차(170)는 탑재레일(171),(171)위에 얹혀 있다.
그 다음에, 코일 적재부(142)가 상승하고 아래에서 밀어 올리도륵 하여 코일(W)을 대차(170)에 적재한다.
제2대차(170)는 코일반출대(147),(147)까지 주행하며 코일적재부(142)를 하강시키고, 코일반출대(147),(147)에 의해 받아 내도록 하여, 코일반출대(147),(147)로 코일(W)을 내린다.
대차(170)가 제2레일(141),(141)을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턴테이블(114)은 오른쪽으로 90도 만큼 수평회전하여, 탑재레일(171),(171)이 제1레일(122),(122)과 일직선의 상태로 되어 대차(121)를 받아 들이기 위한 대기상태로 된다.
따라서, 코일(W)은 서로 직교하고 있는 제1,제2셔틀식 콘베이어(111),(112)에 의하여 직각으로 반송되기 때문에, 반송장치(110)의 설치면적을 적게할 수 있고, 반송장치(110)의 전체가 바닥(G)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반송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W)의 방향은, 제1셔틀식 콘베이어(111)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을 경우에는 반송방향과 동일하지안, 제2셔틀식 콘베이어(112)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을 경우에는 반송방향과 직각이기 때문에, 코일의 방향은 어느 위치에 있어든 동일하며,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의 제1셔틀식 콘베이어(111) 대신에, 제13도에 나타낸 워킹빔식 콘베이어(211)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콘베이어(211)는, 연결로드(220)에 의하여 같은 간격(P)으로 연결되고, 제1레일(222),(222)위를 상기 간격(P)의 거리만큼 전진후퇴의 왕복이동을 하는 3대의 대차(221)를 가지고 있으며, 각 대차(221)에는 코일(중량물)(W)을 적재하여 유압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하여 승강하는 코일적재부(중량물적재부)(223)가 구비되어 있다.
제1레일(222),(222)의 양쪽에는, 긴변의 코일받음대(한쪽편 도시생략)(228)가 상기 간격(P)과 동일한 간격으로 3대 설치되어 있고, 제13도에 있어서 가장 우측의 코일 받음대(228)와 코일재치대(113)와의 간격도(P) 이다.
워킹빔식 콘베이어(211)는, 제13도에 있어서 가장 왼쪽의 코일받음대(228)에 반입된 코일을, 대차(211)의 전진 후퇴의 왕복이동과, 코일적재부(223)의 승강의 반복에 의하여, 차례로 코일받음대(228)위로 옮겨바꾸어서, 코일재치대(113)로 이송된다.
또한, 제2셔틀식 콘베이어(112)도 동일하게 상기 워킹빔식 콘베이어로 하여도 좋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다른 실시예의 코일반송장치(310)로서, 턴테이블(314)에 코일재치대(313)를 설치한 것으로서, 대차등은 생략하고 있다.
턴테이블(314)은, 대차를 탑재하는 탑재레일(371),(371)을 윗면에 구비하고, 바닥(G)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44)에 구비된 축(378)을 중심으로 90도 만큼 왕복 수평회전하는 회전프레임(375)을 가지고 있다.
회전프레임(375)의 회전구동기구(348)는, 고정프레임(344)위의 모우터(345)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온(346)과, 이 피니온(346)이 이맞물림축(378)과 동축적으로 회전프레임(375)의 아랫면에 구비된 링형상의 기어(34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재치대(313)는, 코일을 얹어놓는 4개의 패드(383)가 탑재레일(371)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프레임(375)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턴테이블(3l4)위의 탑재레일(371),(371)을 제1레일(122),(122)과 일직선의 상태로 놓고, 코일을 적재하고 있는 제1대차를 제1레일(122)에서 탑재레일(371)위로 주행시키고 제1대차의 코일적재부를 하강시켜서 코일을 코일재치대(313)위로 내린다.
비워진 제1대차가 제1레일(122),(122)로 되돌아오면 모우터(345), 피니온(346), 기어(347)의 구동에 의하여 턴테이를(314)을 제14도에 있어서 왼쪽으로 90도 수평회전시켜, 탑재레일(371),(371)을 제2레일(14l),(14l)과 일직선의 상태로 한다.
다음에, 제1대차가 코일적재부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코일재치대(313)의 바로 아래로 주행하여 탑재레일(371),(371)의 위에 얹히고, 코일적재부를 상승시켜 코일(W)을 제2대차에 적재한다.
제2대차는 코일을 적재하여 반출위치까지 주행하여 가며, 제2대차가 코일을 반출위치까지 주행하여 가는 사이에, 턴데이블(314)은 90도 우측으로 수평회전하여, 탑재레일(371),(371)을 제 1레일(122),(122)과 일직선의 상태로 하여 제1대차를 받아들이는 대기상태로 한다.
이 직각방향 반송장치(310)에 의하면, 코일재치대(313)는, 턴테이블(314)과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중량물의 방향이 90도로 변하고, 제1대차가 반송할 때의 코일의 방향은 제1대차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며, 제2대차가 반송할 때의 코일의 방향의 제2대차의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각 대차의 코일적재부의 방향은 각 대차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코일 적재부의 구조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제1대차와 제2대차에 공통의 대차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코일을 매달지 않고 바닥위에서 반송과 이동적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일을 안전하고, 또한 손상을 주는일이 없이 옮겨싣기와 반송이 가능하다.
또한, 건물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건물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②제1레일과 제2레일의 교차위치에 코일재치대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적은 설치면적에 의하여, 코일을 직각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③코일의 방향을 항상 동일하게 반송과 옮겨싣기를 행하면 코일의 방향을 일정하게 보관할 수 있고,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보관면적을 적게할 수 있다.

Claims (10)

  1.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23)를 구비하고, 제1레일(22)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11),(21)와,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4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레일(22)과 직교하는 제2레일(41)위를 주행하는 제2대차(12)와, 상기 제1레일(22)과 상기 레일(41)의 교차위치(50)에 구비된 중량물재치대(1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중량물 반송장치.
  2.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123)를 구비하고, 제1레일(122)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111),(121)와,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142)를 구비하고, 제1레일(122)과 직교하는 제2레일(141)위를 주행하는 제2 대차(112),(170)와, 상기 제1대차(111),(121)와 제2대차(112),(170)를 교대로 탑재시키는 탑재레일(171)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레일(171)을 수평 회전시켜서 상기 제1레일(122)과 상기 제2레일(141)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턴테이블(114)과, 상기 탑재레일(171)윗쪽에 위치하는 중량물의 고정재치대(1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중량물 반송장치.
  3.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123)를 구비하고, 제1레일(122)위를 주행하는 제1대차(121)와, 중량물(W)을 적재하여 승강하는 중량물적재부(142)를 구비하고, 제1레일(122)과 직교하는제2레일(141)위를 주행하는 제2대차(112)와, 상기 제 1대차(121)와 제 2 대차(112)를 교대로 탑재시키는 탑재레일(371)을 구비하고, 상기 탑재레일(371)을 수평 회전시켜 상기 제1레일(122)과 상기 제2레일(141)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턴테이블(314)과, 상기 턴테이블(314)위에 상기 탑재레일(371)의 윗쪽으로 형성된 중량물재치대(313)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중량물 반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차(11),(12),(21)의 중량물적재부(23),(42)는 방향이 동일한 단면 V자형상인 중량물 반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차(111),(121),(112),(170)의 중량물적재부(123),(142)는 방향이 동일한 반면 V자형상인 중량물 반송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차(121),(112),(170)의 중량물 적재부(123),(142)는 방향이 서로 대략 직교한 단면 V자형상인 중량물 반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W)은 코일이고, 상기 각 대차(11),(12),(21)는 코일대차인 중량물 반송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W)은 코일이고, 상기 각 대차(111),(121),(112),(170)는 코일대차인 중량물 반송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W)은 코일이고, 상기 각 대차(121),(112).(170)는 코일대차인 중량을 반송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W)은 코일이고, 상기 각 대차(11),(12),(21)는 코일대차인 중량물 반송장치.
KR1019890016767A 1988-12-28 1989-11-18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KR95000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339 1988-12-28
JP1988168339U JPH0649369Y2 (ja) 1988-12-28 1988-12-28 コイル移載搬送装置
JP1989066721U JPH037060U (ko) 1989-06-09 1989-06-09
JP66721 198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410A KR900009410A (ko) 1990-07-04
KR950008504B1 true KR950008504B1 (ko) 1995-07-31

Family

ID=2640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767A KR950008504B1 (ko) 1988-12-28 1989-11-18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70B1 (ko) * 2012-06-08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카 교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69A (ko) * 2002-07-31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이송 적치장치
KR100825364B1 (ko) * 2006-11-10 2008-04-28 국보기전 주식회사 자동창고에서의 코일 크기 측정 및 적재방법
KR100856302B1 (ko) * 2006-12-15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사이의 코일 이송 대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70B1 (ko) * 2012-06-08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 버켓카 교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410A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487B2 (e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delivery of articles
US5320473A (en) Transfer apparatus, multilevel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lifting loads
JP5629267B2 (ja) 標準貨物保持器、特にisoコンテナおよびスワップボディを鉄道と道路との間で移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3212654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KR20000023671A (ko) 상품 출하 시스템
PL168838B1 (pl) Urzadzenie do przeladunku drobnicy PL
KR950008504B1 (ko) 중량물(重量物)반송장치
CN212221792U (zh)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FI89699C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pappersrullar i en anlaeggning, saosom tryckeri
JP2023539543A (ja) ロールシャトルおよび懸架式ロールシャトル
JPH08133467A (ja) 荷物搬出入用のパレット移送装置
US4357875A (en) Conveyor system with access way
JPH09150918A (ja) コンテナの立体格納設備
DE4311146A1 (de) Schnellumschlagterminal
CN221070093U (zh) 一种集装箱堆垛机的水平行走装置
CN219669090U (zh) 一种货物转运***
DE9321200U1 (de) Schnellumschlagterminal
CN218113859U (zh) 立体仓库***
KR0133931Y1 (ko) 플로팅 테이블을 갖춘 원주형상물 반송차
JPS61238618A (ja) パレツト化或いはコンテナ化積荷を車両に積卸すための処理・運搬方法と装置
JP4279908B2 (ja) 門形クレーンによるビレットの搬送方法
JPH0649369Y2 (ja) コイル移載搬送装置
JP5427467B2 (ja) 荷物貯蔵システム
DE4326436A1 (de) Schnellumschlagterminal
CN116495629A (zh) 集装箱装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