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81B1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81B1
KR950001481B1 KR1019910017451A KR910017451A KR950001481B1 KR 950001481 B1 KR950001481 B1 KR 950001481B1 KR 1019910017451 A KR1019910017451 A KR 1019910017451A KR 910017451 A KR910017451 A KR 910017451A KR 950001481 B1 KR950001481 B1 KR 95000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rill
air
outflo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427A (ko
Inventor
마사야 야마자키
켄이치 도미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0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실내유닛의 유출 그릴의 부착예를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개념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유출 그릴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상기 유출 그릴의 부분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유출 그릴의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 유닛 11 : 본체 케이싱
12 : 전면 패널 13 : 흡입 그릴
14 : 유출 그릴 15 : 통풍로
16 : 실내쪽 열교환기 17 : 송풍팬
22 : 유출구 23 : 제1그릴
24 : 제2그릴 25 : 링크기구(구동기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유닛의 유출 그릴을 개량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실내유닛의 공기 유출구에 회동가능한 유출 그릴을 설치하고 이 유출 그릴의 각도변화에 따라 공기 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예로서 제11도에 도시한 것은 케이싱(1)의 하부에서 열려있는 공기 유출구(2)에, 축심(a)의 주위에서 회동가능한 하나의 유출 그릴로서의 루버(louver)(3)를 설치하여 소위 회전식 그릴로 한 것이다.
또한 제12도에 도시된 것은 케이싱(1)의 공기 유출구(2)에 서로 평행한 축심(b)(c)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유출 그릴(루버 패널)(4)(5)을 설치하고 이러한 유출 그릴(4)(5)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본 특개소 63-206273호 참조)
상기 제12도에는 공기 유출구(2)에서 유출 그릴(4)(5)이 돌출되지 않으므로써 정지상태에서 공기 유출구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유출 그릴의 각도를 변화시키더라고 공기의 유출 개구면적은 거의 일정하므로 예를 들어 미풍 운전시에는 유출개구면적이 너무 커서 필요한 풍속을 얻을 수 없으므로 풍량감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냉난방 효과가 실내유닛이 설치된 주변에만 편증되게 나타나 실내 전체에서의 온도분포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능력 난방 운전시에도 동일한 이유때문에 공기가 소정거리까지 미치지 못하고 주위의 냉기를 끌어들여 간극풍이 빨려드는 소의 드래프트(draft)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부하 운전시에는 반대로 공기의 유출 면적이 불충분해져서 공기 저항에 의한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 유출 공기 온도 또는 풍량에 대응하여 유출 면적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풍 운전시에 냉온풍의 도달거리 확대 및 실내 온도분포의 개선이 도모되는 동시에 저능력 운전시 드래프트 감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대능력 운전시에는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유닛의 공기 유출구에 서로 평행한 축심의 주위에서 회동가능한 복수개의 그릴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그릴에 일체 또는 일체적인 각 링크의 다른쪽 끝에 연결링크의 한쪽 끝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연결링크 끼리의 다른쪽 끝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링크 기루로 각 그릴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도를 복수모드로 전환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기구로 복수의 그릴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도를 복수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유출 면적 및 유출 방향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풍 운전시에는 각 그릴을 유출 방향을 향해 점차로 폭이 좁아지는 각도의 모드로 설정하므로써 유출 면적을 작게 하여 냉온풍의 도달거리를 확대할 수 있어서 실내 온도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또 저능력 운전시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그래프트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능력 운전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각 그릴을 유출 방향을 향해 점파로 폭이 좁아지는 각도의 모드로 설정하므로써 유출 면적을 작게하여 냉온풍의 도달거리를 확대할 수 있어서 실내온도 분포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능력 운전시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드래프트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대능력 운전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각 그릴을 유출 방향을 향해 점차로 폭이 넓어지는 각도의 모드로 설정하므로써 유출 면적을 크게할 수 있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 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스플릿형 공기 조화 장치의 벽걸이형 실내유닛(10)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 실내유닛(10)은 본체 케이싱(11)의 전면에 전면패널(12)이 설치된다.
전면패널(12)의 상부에 흡입그릴(13)이 하부에 유출 그릴(14)이 각각 설치되고, 흡입그릴(13)과 유출 그릴(14)은 본체 케이싱(10)내에 형성되는 통풍로(15)를 경유하여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풍로(15)내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가능한 실내쪽 열교환기(16)와 횡류(橫流)팬으로 된 실내팬(17)이 배치된다.
부호 "18"은 에어필터이며, "19"는 풍향판, "20"은 정류리브이다.
제2도는 실내유닛의 유출 그릴(14)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구성을 작용이 용이해지도록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유닛의 본체 케이싱(11)의 전면패널(12) 하부의 공기 유출구 (22)에 유출 그릴(14)이 설치되고, 이 유출 그릴(14)은 두개의 루버(23,24)를 구비하고, 이들 각 루버(23,24)는 위치를 달리한 서로 평행한 축심(고정축)(A,B)의 주위에서 각각 전후 및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출 그릴(14)은 후방에서 낮게 배치된 루버(24)를 제1그릴로 하고, 전방에서 높게 배치된 루버(24)를 제2그릴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루버(23,24)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도를, 링크기구(25)에 의해 유출 공기 온도 또는 풍량에 대응하여 복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링크기구(25)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등의 한개의 동력원으로 동작하도록 한것으로서 각 루버(23,24)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26,27,28,29)에 의해 5절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링크(26)는 제1그릴(23)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돌출한 것으로서 이하 이것을 "메인링크"라고 한다. 또한, 또 하나의 링크(27)는 제2그릴(23)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돌출한 것으로서 이하 이것을 "서브링크"라 한다 .
또한 두개의 링크(28,29)는 메인링크(26)와 서브링크(27)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메인링크(26)쪽의 링크(28)를 제1연결링크, 서브링크(27)쪽의 링크(29)를 이하 "제2연결링크"라 한다.
양 연결링크끼리는 다른쪽 끝이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제1그릴(23)의 회동중심이 되는 상기 축심(A)은 메인링크(26)의 대략 중간부에 배치하고 또한 제2그릴(24)의 회동중심이 되는 상기의 축심(B)은 서브링크(27)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회동중심은 반드시 링크쪽의 중간부일 필요는 없으며 루버(23,24)쪽에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메인링크(26)의 앞쪽 끝(다른쪽 끝)과 제1연결링크(28)를 지지점(X)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연결링크(28)와 제2연결링크(29)를 지지점(Y)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제2연결링크(29)와 서브링크(27)의 앞쪽 끝을 지지점(Z)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제1연결링크(28)와 제2연결링크(29)는 동력원에 의해 전후방향(제2도 및 제3도의 좌우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메인링크(26) 및 서브링크(27)를 끼워서 제1그릴(23) 및 제2그릴(24)을 각 축심(A,B) 주위에서 동시에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연결링크(28)은 단독으로 제2연결링크(29)에 대하여 지지점(Y)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그릴(23)의 회동중심인 축심(A)과 지지점(Y)은 스프링(30)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3도에 실선 및 가상선을 도시한 것가 같이 제1연결링크(28)가 축심(28)과 지지점(Y)을 연결하는 직선의 양쪽에서 안정된 토글 스프링 기구를 형성하고 아래와 같이 두개의 모드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연결링크(28)는 스프링(30)의 우측위치(실선위치)와 좌측위치(가상선위치)에서 안정되므로 이들 양위치에서 제1그릴(23)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제1그릴(23)과 제2그릴(24)의 상대각도가 유출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지는 개방각도(α)가 된다.
이것이 제1모드이다.
또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그릴(23)과 제2그릴(24)의 상대각도가 유출 방향을 향해 점차커지는 개방각도 (β)가 된다.
이것이 제2모드이다.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려면 이하의 순서대로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그릴(24)을 고정상태로 해두고 제1그릴(23)만을 동력원에 의해 축심(A)의 주위에서 시계 반대방향(제3도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링크(26)와 제1연결링크(28)로 구성된 링크부는 스프링(30)의 장력에 맞서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스프링은 신축되면서 토글스프링으로서 기능하므로 메인링크(26)와 제1연결링크(28)로 구성된 링크부는 가상선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1그릴(23)은 제2그릴(24)에 대하여 큰 개방각(β)이 된 회동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려면 상기와 반대로 제1그릴(23)을 동력원에 의해 축심(A)의 주위에서 시계방향(제3도의 화살표 X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링(30)의 토글 스프링 기구에 의해 메인링크(26)와 제1연결링크(28)로 구성된 링크부는 실선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제1그릴(23)은 제2그릴(24)에 대하여 작은 개방각(α)이 된 회전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제1모드 및 제2모드의 두개의 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므로써 유출 면적의 크기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그 선택된 모드로 제1그릴(23)과 제2그릴(24)을 동시에 회동시키면 유출 면적과 함께 유출각도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이상의 구성에 의거하여 각종 토출그릴 사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제1도의 모드상태에서 제2연결링크(29)를 후방(우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제1그릴(23) 및 제2그릴(24)을 같은 열로 배치하고 이에 의해 유출구(22)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제4도의 상태에서 제2연결링크(29)를 전방(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제1그릴(23)및 제2그릴(24)이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여 유출 면적을 크게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유출 방향을 최대한 후방으로 설정한 경우(예를 들어 제6도의 경우)에서 메인링크(26) 및 서브링크(27)를 정지시켜 유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링크(26) 및 서브링크(27)의 선단을 각각 전면패널(12)쪽의 고정부(12a, 12b)에 맞닿게 하므로써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제1그릴(23) 및 제2그릴(24)은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부터 동작을 개시하려고 하면, 각각은 축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만, 제2그릴(24)은 소정의 회동각도에 도달하면 회동동작을 정지한다(제1각도는, 제2그릴(24)이 회동정지했을 때에 있어서의 제1그릴(23)의 회동각도를 의미한다.).
그러나 한편의 제1그릴(23)은 제1각도로부터 소정의 회동각도(제1각도)가 될때까지 회동을 계속한다. 그후에 제1그릴(23)은 회동방향을 반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용 개시운전과 같이 압축기 능력이 작은 미풍 운전시에는 열교환 온도가 낮으므로 유출온도가 하강한다.
따라서, 풍량을 적게하여 유출온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바람의 도달거리가 작아진다.
그래서, 제1모드의 선택에 의하여 그릴 개구면적을 작게하여 도달거리(풍속)을 높인다(예 : 제5도).
이에 따라 온풍의 도달거리를 확대할수 있어서 실내온도 분포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방시 저능력 운전시에도 유출온도 저하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풍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생각할수 있는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출 면적을 줄여 풍량을 떨어뜨리므로써 드래프트감을 경감할수 있게 된다.
또한 냉방운전시에도 열교환 온도가 작은 미풍상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냉방효과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1모드의 선택에 의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대능력 운전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유출 면적이 작으면 공기저항이 증대해서 소음이 커짐과 함께 풍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술한 경우에는 제2모드를 선택하여 유출 면적을 확대한다(예 : 제6도 또는 제7도).
상술한 바에 의해, 공기저항을 감소시켜서 저소음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풍량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드전환 수단으로서 토글 스프링기구를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토글 스프링 기구이외에도 다양한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링크(26)와 제1연결링크(28)의 연결부인 지점(X)에 요철면을 통해서 맞물리는 맞물림 클러치(31)를 적용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맞물림 클러치(31)의 맞물림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에 의해, 모드전환을 복수단계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재차유출 면적의 제어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인링크(26)와 제1연결링크(28)의 연결부인 지지점(X)에 마찰저항 축을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루버를 임의의 상대각도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그릴(23)을 직접 펄스모터등의 동력원에 직렬시킨 구성으로 하여 각종 센서등과 조합하여 자동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유출 그릴에 두개의 그릴을 설치하고 각 그릴끼리를 5절 링크기구로 연결한 예를 나타냈는데 유출 그릴에 3개 이상의 그릴을 설치하고 인접한 그릴끼리를 5절 링크기구로 연결하거나 또는 각 그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의 다른쪽 끝을 각각 연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 장치는 그릴에 의한 유출 면적 및 유출각을 복수모드로 링크모드에 의해 전환가능하게 한 것으로, 각종 모드전환에 따라 유출 면적을 선택하므로써 미풍 운전시에 풍속상승은 물론, 냉온풍에 도달거리 증대 및 실내온도 분포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대능력 운전시에 소음 방지도 도모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확대된 유출 면적을 유지하여 유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특히 난방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열교환기 및 팬장치를 배치한 실내 유닛과, 각각 축심의 주위를 회동하는 제1그릴 및 제2그릴을 갖는 공기유출수단을 상기 실내유닛의 공기 유출구에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수단은, 상기 제1그릴(23)의 회동중심에 일치하는 한쪽 끝부분(A)를 갖는 메인링크(26)와, 상기 제2그릴(24)의 회동중심에 일치하는 한쪽 끝부분(B)을 갖는 서브링크(27)와, 상기 메인링크의 다른쪽 끝부분(X)를 지지점으로 하는 제1연결링크(28)와, 상기 서브링크(27)의 다른쪽 끝부분(Z)을 지지점으로 하는 제2연결링크(29)와, 상기 제1연결링크(28) 및 제2연결링크(29)를 연결하는 연결부(Y)를 각각 가지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링크(28)를 상기 연결부(Y)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므로써 상기 제1그릴(23)과 제2그릴(24)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각도는, 공기의 유출 방향을 향해서 점차로 좁아지는 제1유출모드와, 유출방향을 향해서 점차로 넓어지는 제2유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9910017451A 1990-10-01 1991-10-01 공기 조화 장치 KR950001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0508A JP3069577B2 (ja) 1990-10-01 1990-10-01 空気調和装置
JP1990-260508 1990-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427A KR920008427A (ko) 1992-05-28
KR950001481B1 true KR950001481B1 (ko) 1995-02-24

Family

ID=1734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451A KR950001481B1 (ko) 1990-10-01 1991-10-01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34373A (ko)
JP (1) JP3069577B2 (ko)
KR (1) KR950001481B1 (ko)
IT (1) IT1250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985A (ja) * 1993-12-10 1995-08-1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0126751Y1 (ko) * 1994-08-11 1998-11-02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JP2993412B2 (ja) * 1995-11-20 1999-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吹出口及び該吹出口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3356257B2 (ja) * 1996-06-06 2002-12-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ES2229298T3 (es) * 1996-06-26 2005-04-16 Kabushiki Kaisha Toshiba Unidad interior para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ES2179926T3 (es) * 1996-10-15 2003-02-01 Aermec Spa Ventilador con elementos deflectores ajustables.
JP3765357B2 (ja) * 1997-06-20 2006-04-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100256413B1 (ko) * 1997-12-15 2000-05-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좌우풍향 조절장치
US6129627A (en) * 1998-10-21 2000-10-10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Air outlet assembly having outer air directing doors
EP1188993A4 (en) * 2000-04-19 2004-03-31 Daikin Ind Ltd AIR CONDITIONER
TW517148B (en) * 2001-08-24 2003-01-11 Sanyo Electric Co Wall mounting air conditioner
JP4110863B2 (ja) * 2002-07-12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BE1015700A3 (fr) * 2003-10-03 2005-07-05 Glaverbel Bombage de vitrage feuillete.
DE502005002658D1 (de) * 2005-05-03 2008-03-13 Behr France Rouffach Sas Stellvorrichtung für wenigstens drei Klappen einer Belüftungs-, Heizungs-oder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s
JP2007155186A (ja) * 2005-12-02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上下風向板駆動機構
DE102006027320A1 (de) * 2006-06-13 2007-12-20 Gea Happel Klimatechnik Produktions- Und Servicegesellschaft Mbh Auslass eines Gebläsekonvektors
JP5279622B2 (ja) * 2009-06-08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937325B (zh) * 2011-08-16 2015-09-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导风板的空调室内机
JP6004164B2 (ja) * 2012-07-02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3776146B (zh) * 2012-10-24 2016-12-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面板运动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WO2016133261A1 (ko) 2015-02-18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6153717A (ja) 2015-02-18 2016-08-2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天井埋込型室内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US10895388B2 (en) * 2016-02-03 2021-0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2080512B1 (ko) * 2017-09-06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598528B1 (ko) * 2018-05-16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941A (ja) * 1988-07-25 1990-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搬送装置
JPH0267841A (ja) * 1988-09-02 1990-03-07 Fujikura Ltd 車載用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788969B2 (ja) * 1989-11-20 1995-09-27 東芝エー・ブイ・イ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風向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34373A (en) 1993-08-10
IT1250784B (it) 1995-04-21
ITRM910729A0 (it) 1991-09-30
ITRM910729A1 (it) 1992-04-02
JPH04139351A (ja) 1992-05-13
KR920008427A (ko) 1992-05-28
JP3069577B2 (ja) 200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481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2055939B1 (ko) 공기 조화기
KR100210084B1 (ko) 공기조화기
JP2828434B2 (ja) 空気調和機の吸入口開閉装置
CN109812869B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US5924923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1114092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835036B2 (ja) ルーバ・アッセンブリ、及び空調システムのユニット
CN211575270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00111131A (ja) 送風装置の空気吹出口構造
JP20010478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126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140924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6814941B2 (ja) 床置型空気調和機
JPH0257856A (ja) 空気調和機
CN108507012B (zh)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14322085A (zh) 空调器
US11635213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JP2020193802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1477814B1 (ko) 공기 조화기
CN22082890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US20220260276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219735457U (zh) 空调器
KR19990018712U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4003111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