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339B1 -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339B1
KR940007339B1 KR1019900003721A KR900003721A KR940007339B1 KR 940007339 B1 KR940007339 B1 KR 940007339B1 KR 1019900003721 A KR1019900003721 A KR 1019900003721A KR 900003721 A KR900003721 A KR 900003721A KR 940007339 B1 KR940007339 B1 KR 94000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sheet
passage
guide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944A (ko
Inventor
도시유끼 나가노
마사나리 시라이
마사시 오오하시
다쓰야 시라또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67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66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74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86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56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66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8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66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540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86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59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8694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944A/ko
Priority to US07/750,417 priority Critical patent/US5249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4Manual suppl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92Manual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3Refeeding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제1도는 종래의 수동식 쉬트삽입기구를 갖춘 복사기의 측방향 수동식 쉬트 삽입형을 도시한 종단면 정면도.
제2도는 다른 종래의 수동식 쉬트삽입기구를 갖춘 복사기의 측방향 수동식 쉬트 삽입형을 도시한 제1도에 유사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요소 및 가이드판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사기를 도시한 약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복사기의 종단면 정면도.
제6a,6b 및 6c도는 가이드판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결합요소 및 가이드판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가이드판을 도시한 약측면도.
제9도는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쉬트누름수단을 도시한 약단면도.
제11도는 스위치가 선회가능한 커버에 의하여 전환되는 제5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생략된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배열로 구비된 약사시도.
제13도는 스위치가 선회가능한 커버에 의하여 전환되는 한 변형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약사시도.
제14도는 쉬트가 기준면으로부터 차례로 가압되는 제6실시예에 따른 결합요소 및 가이드간을 도시한 사시도.
제15a,15b,15c 및 15d도는 제14도 배열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제16a 및 16b도는 기준면으로부터 차례로 쉬트를 누르는 제7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쉬트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예컨대 수동식 쉬트 삽입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례로 삽입되는 쉬트를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 쉬트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1도에서 도시한 종래형태의 전기 복사기(100)는 다음의 방법으로 수동식 쉬트 삽입에 의하여 삽입된 쉬트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01)는 외부로 경사져 있으며, 쉬트와 같은 전사매체(102)는 트레이(101)로부터 이송되어진다.
전사매체(102)는 이송로울러(103,105) 및 정합로울러(106)에 의하여 반송되어지며 전사가이드(107,109)사이의 갭을 통하여 드럼(110) 쪽으로 통과된다.
드럼(110) 상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 챠저(Charger:111)에 의해 토너화상으로서 전사매체(102)에 전사될때, 전사매체(102)는 분리 챠저(112)에 의하여 드럼(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사매체(102)는 반송부(113)를 거쳐 토너화상이 정착되는 정착로울러부(115)로 반송된다. 정착된 전사매체(102)는 방출트레이(116)로 최종적으로 방출된다. 상기 작동동안, 전사매체(102)는 일정방향으로 반송된다.
복식화상이 형성될 때, 정착의 완성 후에 정착부(115)를 통하여 통과한 전사매체(102)는 매체 굴절판(117)에 의하여 양면/복식 복사 쉬트반송통로(119)쪽으로 반송된다. 전사매체(102)는 통로(119) 위를 통과하여 드럼(110) 및 정착로울러부(115)를 향하여 다시 반송된다. 화상을 전사매체(102)의 반대면상에 형성할때, 전사매체(102)의 방출시에 방출로울러(120)는 전도된다. 전사매체(102)는 매체 굴절판(117)에 의하여 안내되며 반송통로(119) 상부로 드럼(110)쪽으로 다시 반송된다.
그러나 상기 배열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컨대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01)가 복사기(100)의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동자는 우측으로 트레이(101)를 경사지게 하여 전사매체(102)를 그위에 놓을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복사기(100)의 우측에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복사기(100)의 설치에 대한 공간 효율이 저하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양면/복식 복사 쉬트반송통로(119)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사기(100)의 전방에 제공된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01)로부터 전사매체(102)가 이송되는 종래의 배열에 대해서 지적된다. 예컨대, 이 종래구조는 직교 반송을 위한 수단, 전사매체(102)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수단, 양면/복식복사 쉬트반송통로(119)의 반송기구를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기타 결합부품의 설비를 요구한다. 따라서 복사기(100)는 높이가 증가한다.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제한되어 왔다.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가 우측으로 돌출하고 쉬트 수용 트레이(카세트)가 전방쪽상에 복사기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양면/복식 복사 쉬트반송통로는 쉬트 수용 트레이 상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 배열은 상기한 바와 유사한 문제가 여전히 남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식 쉬트 삽입이 원활하게 수행되게 하는 쉬트반송장치 뿐만 아니라 이 쉬트반송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간에 다른면에 위치하며 대략 직각으로 상호 교차하는 2개의 쉬트반송통로(제 1반송통로와 제 2 반송통로) 및 그 교차점에서의 2개의 반송통로 사이에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한 한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쉬트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부쪽으로 쉬트를 안내하고, 제1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수단: 제1반송통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쉬트를 안내하고, 제2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수단: 제1및 제2반송통로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이 제1 및 제2반송통로가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상기제1 및 제2가이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반송통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제1가이드수단과 상기 제 2 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쉬트가 상기 제 1반송통로안으로 삽입될때 쉬트의 앞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는 쉬트반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부쪽으로 쉬트를 반송하는 제 1반송수단; 상기 제 1반송수단의 반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쉬트를 반송하는 제2반송수단; 및 상기 제2반송수단의 높이와 상기 제1반송수단의 높이를 수평하게 맞추어 상기 제2반송수단으로부터 반송된 쉬트가 상기 제1반송수단으로 반송되게 하는 높이맞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반송수단과 제 2 반송수단은 높이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된 쉬트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쉬트반송장치는 2개의 반송통로중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상기 가이드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판 구동수단, 및 쉬트의 반송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2개의 반송통로중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쉬트를 반송하기 위한 쉬트반송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구조는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반송통로가 상호간에 전환되는 종래 형태의 반송장치에서처럼 두반송 통로의 한쪽의 상부에 타방을 배치하는네 요구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사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 즉 소형 복사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예컨대 재이송 반송통로의 일부분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동식 쉬트 삽입 반송통로를 포함하는 형태의 양면/복식 복사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재이송 반송통로는 전방형 수동식 쉬트 삽입 반송통로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복사기의 내부공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1실시예는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3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고,제4도는 제1실시예가 적용되는 복사기의 외형을 도시한 약사시도이고, 제5도는 제4도 복사기의 종단면정면도이고, 그리고 제6a,6b 및 6c도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 약도이다.
복사기(1)는 수동식 쉬트삽입구(2), 선회가능한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3) 및 정면에 카세트(5)를 구비한 전방 부하형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쉬트(6)는 픽업로울러(7)에 의하여 카세트(5)로부터 이송되고, 이어서 반송로울러(9)에 의하여 정합로울러(10)로 반송된다.
쉬트(6)는 정합로울러(10)에 의하여 드럼(11)에 형성된 화상에 대해서 동기식으로 정합되며, 소정의 타이밍 반송된다.
이어서 드럼에 형성된 화상은 챠저(12)에 의하여 쉬트(6)로 전사되며, 쉬트(6)는 분리 챠저(13)에 의하여 드럼(11)으로부터 분리된다.
쉬트(6)는 정착을 위한 정착부로 반송부(15)위를 따라 반송된다.
한면에 복사된 단일화상을 가진 쉬트(6)는 방출로울러(17)에 의하여 방출된다.
만약 단일화상을 쉬트(6)의 다른면(이면)상에 복사하는 경우, 쉬트(6)의 실질적 부분은 방출로울러(17)에 의하여 방출될때, 방출로울러(17)는 전도되고 쉬트(6)는 플래퍼(19: flapper)에 의하여 아래의 양면/복식복사반송통로(20) 로 반송된다.
만약 복식 복사 화상이 쉬트(6)의 한면상에 형성되는 경우, 쉬트(6)는 플래퍼(19)에 의하여 양면/복식 복사반송통로(20) 로 반송되어 진다.
만약 복식 복사화상이 쉬트(6)의 한면에 형성되어진 후에, 단일화상을 각각의 면에 복사하는 경우, 쉬트(6)는 한쌍의 가이드판(21,22) 사이의 갭을 통하여 통과되고, 재이송로울러(23)에 의하여 정합로울러(10)쪽으로 다시 반송된다. 이후 소정의 복사공정이 수행된다.
양면/복식 복사를 위한 쉬트반송과 전방쪽의 수동식 쉬트삽입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는 제3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제5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바 있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장방형 가이드판(21,22)은 한쌍의 좌우핀(25)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복사기(1)의 본체에 회전식으로 체결된다.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 가이드(26)는 본체에 체결되어서 그 상부면은 외부로 개방된 수동식 쉬트 삽입트레이(3)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이 된다(제4도 참조).
하부 가이드(27) 및 상부 가이드(29)는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 가이드(26)를 바로 따르는 위치로 본체에 체결된다.
압력아암(31)은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 가이드(26) 및 하부 가이드(27) 아래 위치에서 본체에 고정되는 핀(30)에 의하여 피봇지지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아암(31)은 펄스 모우터 등(제9도 참조)에 의하여 구동되는 편심 캠(3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통상 상부로 가압되는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33)는 압력아암(31)의 내측부에 제공되머, 가이드판(22)을 상부로 밀기 위한 푸시업 피이스(35; push-up pieces)는 압력아암(31)의 내측 단부에 제공된다.
각 로울러(33)의 축은 지지되어 있어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압력아암(31)의 슬롯(33a)에서 그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이송 반송을 위한 구동로울러(36)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뻗어있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 되어있고,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릍 통하여 맞물리고 이탈한다.
가이드판(22)은 대응 구동로울러(36)가 삽입되는 개구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축과 일체로 형성된 제이송 반송을 위한 피구동 로울러(39)는 각각의 구동로울러(36)와 대향 위치한다.
각각이 수직 슬롯(42)을 가진 브라킷(41)은 가이드판(2l)에 체결되고, 그리고 각각의 축(40)의 대향 끝은이 수직 슬롯(42)과 맞물리고 인장스프링(43)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피구동 로울러(39)와 함께 가압된다.
대응 로울러(39)가 삽입되는 개구부(45)는 가이드판(21)에 형성된다.
축(40) 아래에 맞물림부를 가진 로울러 릴리스아암(46)은 가이드판(21)에 고정된 피봇핀(47)에 의하여 피봇지지되며, 로울러 릴리스아암(46)의 한 끝(46a)은 본체에 고정된 돌기 피이스(49)의 아래쪽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수동식 쉬트 삽입 구동로울러(50)는 아래쪽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29)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구동로울러(50)는 펄스 모우터 등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고 수동식 쉬트 삽입 피구동 로울러(33)에 대향위치한다.
수동식 삽입 쉬트(6)를 안내하기 위한 기준 가이드(57)는 수동식 쉬트 삽입 가이드(26)의 상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우측상에 형성된다(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으로 이송되는 쉬트의 방향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가이드판(21)의 외부단부는 셔터부(51)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부로 휘어져 있다.
셔터부(51)는 쉬트의 앞선단이 셔터부(51)를 칠때 이 앞선단과 접촉하게 되는 센서레버(52)를 구비하고있다.
광단속기(53: photointerrupter)는 센서레버(52)와 결합되어, 감지작동을 수행한다.
상부 가이드(29)는 수동식 삽입쉬트(6)의 끝단을 탐지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광단속기(56) 및 센서레버(55)를 구비하고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각각이 구동로울러(50) 및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33)로 구성되어 있는 한쌍의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는 쉬트(6)가 양면 복사 또는 복식 복사의 작동동안 통과하는 구역(C)내에위치한다.
구역(C)의 한계선(D)은 일점쇄선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수동식 쉬트 삽입의 작동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6a도를 참조하면, 양면/복식 복사 작동동안, 편심 캡(32)은 그것의 최소치의 편심 위치에 유지되고 압력아암(31)은 최하부 위치에서 유지된다.
압력아암(31)의 내측 단부상에 제공된 푸시 업 피이스(35)에 의하여 지지된 각각의 가이드판(21,22)의 좌측 단부는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 가이드(26) 상부면 아래에 위치하는 한편 셔터부(51)는 트레이 가이드(26)의 상부면의 평면을 가로지른다.
이 위치에서, 재이송 반송 피구동 및 구동로울러(39,36)는 정상 재이송 작동을 협력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쉬트(6)가 양면 복사 또는 복식 복사하도록 통과되는 구역(C)에 위치한 구동 및 피구동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33)의 어떤 것고 재이송동안 쉬트(6)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작동자는 양면 복사모드 또는 복식 복사모드의 어던 것도 작동하지 않고 커버로서 역할하는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3)를 제4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개방한다. 이어서 작동자는 쉬트의 앞선단이 셔터부(51)를 칠때까지 화살표(A) 방향으로 기준 가이드(57)를 따라서 수동식 쉬트 삽입구(2)를 통하여 쉬트(6)를 삽입한다(쉬트(6)의 앞선단이 센서레버(52)를 눌러서 장치를 수동식 쉬트 삽입모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수동식 쉬트 삽입 개시 신호가 버튼(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편심 캡(32)이 약 180°도로 회전하도록 하여서 압력아암(31)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가이드판(21,22)은 푸시 업 피이스(35: 제3도 참조)에 의하여 핀(25) 대하여 상부로 회전되어 가이드판(22)의 상부면을 하부가이드(27)의 상부면 약간 아래에 유지하게 한다. 압력아암(31) 및 편심 캠(32)의 치수는 모든 재이송 반송 구동로울러(36)가 가이드판(22)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하도륵 해야 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33)는 상부쪽 가압력에 의하여 셔터부(51)와 맞물린 수동식 삽입쉬트(6)를 통해 대응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에 대하여 가압되는 한편, 셔터부(51), 결과적으로 가이드판(21)은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로울러(33,50)와의 사이의 넓은 가이드판(21,2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공간에 맛서게 된다.
동시에 로울러 릴리스아암(46)의 단부(46a)는 돌기 피이스(49)와 맞물리게 되기 때문에, 로울러 릴리스아암(46)은 피봇 핀(47)에 대해 회전하여 내측부(46b)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장력 스프링(43)의 하방 가압력에 대향하여 축(40)을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재이송 반송 피구동 로울러(39)는 가이드판(21)의 아래쪽 상부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편심 캠(32)이 약 180도로 희전할때,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를 구동시켜 수동식 삽입 쉬트(6)를 소정속도로 내측쪽으로 반송시킨다.
이어서, 쉬트(6)의 끝단이 광단속기(56) 및 센서레버(55)에 의하여 탐지된후, 쉬트(6)가 소정거리까지 이송되고 구동 및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33)는 정지된다. 이 이동으로 쉬트(6)의 끝단이 상기한 구역(C)의 한계선(D)과 일치하게 된다.
이어서,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정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할때, 이 제어부는 편심 캠(32)용 구동원을 온시켜 약 180도 회전시킨다. 제6c도를 참조하며, 압력아암(31)은 아래로 이동하고 제6a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태로 재설정된다. 이어서, 편심 캠(32)구동용 구동원이 정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가 수용할때(또는 제어부가 소정의 펄스수를 계수할때), 제어부는 재이송 반송 구동 및 피구동 로울러(36,39)를 구동시켜 수동식 삽입 쉬트(6)를 수동식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제3도의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반송시킨다.
결과적으로, 쉬트(6)는 재이송 로울러(23; 제5도 참조) 및 정합로울러(10)에 의하여 화상형성구역(드럼(11),정착부(16)와 같은 요소를 포함하는 구역)으로 다시 반송된다.
제2실시예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7도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 구조 및 작동을 가진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간결성을 위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제2실시예는 로울러 릴리스아암(46)이 다른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다. 아래로부더 각각의 축(40)을 맞물리는 맞물림 아암(60)은 대향 양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3도에서 본체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 돌기 피이스(49)는 생략되어 있고, 이 돌기 피이스(49)와 맞물리는 돌기 피이스(49)의 단부 또한 생략되어 있다. 압력아암(31)은 각각의 맞물림 아암(60)의 아래쪽과 맞물리도록 뻗어있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압력아암(31)이 가이드판(21,22)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압력아암(31)의 신장 단부는 로울러 릴리스아암(46)과 맞물리고 피봇핀(47)에 대하여 상부로 이동되어서, 제1실시예와 유사한 작동이 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시 가이드판(21,22)의 본래 위치가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 가이드(26) 하부에 위치한다고 했으나, 이들간의 위치관계는 반대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압력아암(31), 핀(30), 편심 캠(32) 등이 수동 쉬트 삽입 트례이 가이드(26)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동 및 피구동 수동 쉬트 삽입 로울러(50,33) 사이의 위치관계는 수직으로 뒤바뀔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21)은 제6b도에서 도시한 위치를 취하도록 아래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재이송 반송 구동 및 피구동 로울러(36,39) 사이의 위치관계는 수직으로 뒤바뀔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열로 제l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쉬트(6)를 수동으로 삽입하는 작동을 달성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판(21,22)이 아래로 가압되지만, 이들은 진동을 피하기 위하여 압력아암(31)에 대해서 눌려진다.
그러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판(21,22) 위에 배치된 압력아암(31)에 대해서 눌리도록 가이드판(21,22)을 상부로 가압할 수 있다.
제3실시예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판(21,22)은 일체적이 아니라 분리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머, 각긱이 평행링크(61,62)에 의해서 회전식으로 지지된 핀(63,65)에 의하여 피봇지지되어 있다. 평행링크(61,62)의 회전식 구동은 편심 캠(32) 및 압력아암(31)의 기능을 하여, 가이드판(21,22)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재이송 반송 피구동 로울러에 압력을 가하고 이 로울러로부터 압력을 제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3실시에에 있어서, 가이드판(21,22)이 링크(61,62)의 각각에 의하여 피봇지지된다고 하였으나, 가이드판(21,22)은 일체적 배열로 형성될 수 있고, 핀(63,65)은 피봇지지하도록 한쪽에 배치될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l 내지 제 3 실시예의 어느 하나에 따르면, 수동식 삽입 쉬트(6)의 반송방향은 가이드수단(21,22)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제한수단(51)에 의하여 제한되며, 쉬트(6)는 가이드수단(2l,22)에 의하여제1반송통로(20)로부터 이송된다.
따라서 쉬트(6)의 빗나간 이송 또는 불완전한 이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써 화상이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다.
부가하여, 특정수단이 불필요하고, 예컨대 제한수단(51)이 가이드수단(21,22)의 일부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 소규모 및 저가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쉬트(6)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광단속기(56) 및 센서레버(55)는 가이드판(21,22)의 외부쪽에(제6도에 도시한 구역(C)의 상류쪽에) 배치된다.
그러나, 동등한 수단을 구역(C)의 내부쪽 또는 중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만약 기준점이 내부쪽에 배치된다면, 여러 쌍의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를 배치할 수 있고, 센서는 내부 기준점의 영역에 도달하는 쉬트(6)의 앞선단부를 탐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가이드판(21,22)이 상하로 이동되어 재이송 반송 구동 및 피구동 로울러(36,39)를 쉬트(6) 반송통로의 내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지만, 구동 및 피구동 로울러(36,39)는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은 제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제3 내지 8도에 있어서, 편심 캠(32), 재이송반송 구동로울러(36) 및 수동식 쉬트 삽입 구동로울러(50)를 작용시키기 위한 각각의,모우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가이드수단이 이동되는 동안 쉬트(6)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조는 제6도를 특별히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정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할 때, 제어부는 편심 캠(32)의 구동원을 작동시켜 약 180도 회전되게 한다,
제6c도를 참조하면; 압력아암(31)이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판(21,22)은 제6a도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하지만,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33)의 축은 압력아암(31)의 중간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로울러(33)는 상부로 가압되고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에 대해서, 가압된다(이 상태는 제6b 및 6c도에서 도시한 상태 사이의 중간상태에 대응한다).
압력아암(31)이 최하단에 도달했을때, 슬롯(33a)의 정단부는 로울러(33)의 상부쪽 가압력에 대해, 제6c도에 도시한 상태로 로울러(33)를 아래로 가압한다. 따라서 제6a도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준비가 시작된다.
보다 상세히는, 수동식 삽입 쉬트(6)는 로울러(50,33) 사이에서 먼저 물리고 그후 로울러(50,33)로부터 로울러(36,39)로 반송되는 동안, 로울러(50,33) 및 로울러(36,39) 사이에서 물린다.
따라서 수동식 삽입 쉬트(6)는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압력아암(31)은 제6c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이동하고, 제6a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상태로 재설정된다.
그러나 쉬트(6)는 재이송 반송을 위하여 구동 및 피구동 로울러(36,39) 사이에 물리게 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일시적 유지수단은 제10도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각각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작동을 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되었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각은 압력아암(31)에 형성된 선택길이의 슬롯(33a)에 의하여 수동식 삽입 쉬트(6)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쉬트(6)는 배기에 의해서 가이드판(22)에 유지된다.
가이드판(22)은 다수의 호울(22a)을 가지며 벨로우즈(60)는 호울(22a)을 밀폐시키도록 가이드판(22)의 아래쪽에 체결된다.
벨로우즈(60)로부터 뻗어있는 덕트(61)는 복사기(11)에 체결되며, 팬(62)은 덕트(61)의 연장 단부에 배치된다.
이 팬(62)이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될때, 덕트(61)에서의 공기는 제10도의 화살표(E) 방향으로 배기되어 덕트(61)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쉬트(6)는 호울(22a)을 통한 배기에 의하여 가이드판(22)에 유지된다.
수동식 삽입 쉬트(6)가 로울러(33,50)에 의하여 수송되고 쉬트(6)의 종단이 한계선(D)에 도달할 때, 제어부는 로울러(50) 작동용 구동원이 정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팬(62)의 모우터를 회전하도륵 작동시켜, 가이드판(22)에 쉬트가 유지되게 한다. 팬(62)이 회전하기 시작한 후 단시간내에, 제어부는 편심 캠(32)의 구동원을 작용시켜 약 180도 회전시킨다.
제6c도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면, 제어부는 편심 캠(32)의 구동원 및 팬(62)의 모우터를 동시에 정지시킨다.
제4실시예가 실무상 사용된다면, 상기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각각의 슬롯(33a)의 길이의 정밀한 조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의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로 부터 알 수 있듯이,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판(2l,22)은 또다른 반송통로(20)와 정렬상태로 이동하며 쉬트(6)는 유지수단(33a,33 또는 62)에 의해 정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쉬트(6)는 그 위치로 부터 치우칠 위험없이 반송되며, 이것에 의해 수동식 삽입 쉬트(6)의 반송정밀도는 향상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재이송 반송통로의 한 부분으로 이어지는 수동식 삽입 쉬트 반송통로(26)를 구비한 양면/복식 복사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배열로 재이송 반송통로(20)는 전방 수동식 쉬트 삽입 반송통로로서 사용될 수 있어서 사실상 공간 절감이 이 복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종래의 측방향 수동식 쉬트 삽입형의 복사기와 비교해 올때, 복사기를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커버부재상에 구비된 반송수단 및 개폐기를 포함하고 있는 제5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1도를 참조하면, 수동식 쉬트 삽입 개구부는 121로 나타내며, 수동식 쉬트 트레이(122; 커버부재)는 축(123)에 의하여 피봇지지되어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125)는 수동식 쉬트 트레이(122)의 하부(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에 배치되며 스프링 수단(126)에 의하여 안으로 가압된다.
돌기(127)는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의 하방 단부의 한쪽에 설치된다.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가 수평 개방상태(점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할때, 복사기의 본체에 제공된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129)는 피구동 로울러(125)에 대해서 가압되며 구동원 모우터에 의하여 작용된다.
전사지(P)의 기준 단부(끝만)를 감지하기 위한 부재(130)는 구동 로울러(129) 위치의 외부쪽에서 복사기(1)에 피봇지지되며, 단속기(131)가 감지부재(130)의 운동으로 부터 전사지(P)의 기준 단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의 상부 끝의 개구부 및 밀폐부가 개방 또는 밀폐되었는 가를 탐지하는 감지부재(132)는 복사기(1)에 부착되어 있다.
만약 밀폐상태가 탐지되었다면, 수동식 쉬트 삽입 금지명령이 내려지고 쉬트가 카세트(5)로부터 이송되게 하는 명령이 내려진다.
전사지(P)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133,135)은 일체적 부재로 형성되고 브라킷 수단(136a)은 내측 단부에 헝성되며, 이 브라킷 수단은 복사기(1)에 고정된 핀(136)에 의하여 피봇지지된다.
가이드판(133,135)이 수평위치로 유지될 때, 중앙면은 개방위치인 개방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의 상부면 하부에 위치한다.
수동식 쉬트 삽입 가이드(122)가 개방될 때, 가이드판(133,135) 사이의 중앙면의 입구는 개방 수동식 쉬트 삽입 가이드(l22)의 가이드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로 된다.
본체 반송 구동 로울러(137)는 구동원 모우터에 의하여 작동되게 되어 있으머, 축이 복사기(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뻗어 있는 방법으로 복사기(1)에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압력로울러(139)는 구동 로울러(137)와 대향하여 가이드판(133) 위에 배치되어서 가이드판(133)이 경사질 때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판(133)으로 부터 멀어지게 상부로 압력 로울러(139)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으로서, 제3도및 제7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여러가지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로울러(139)는 가이드판(133)을 경사시킴으로써 그리고 솔레노이드 등을 작동시킴으로써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압력 로울러(139)는 복사기(1)에 쇠하여 피봇지지된 아암에 부착될 수 있어서 경사 가이드판(133)은 아암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제11도에 도시한 배열에 있어서, 가이드(140)는 수동식 삽입 쉬트의 측단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의 한쪽에 배치된다.
상기한 배열을 가진 제4실시예에 있어서,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가 수동식 쉬트 삽입 개구부(121)로 부터 개방될 때, 감지수단(132)은 카세트(5)에 위치한 픽업로울러(7)를 정지시키도록 스위치를 오프하여서 카세트(5)로 부터 이송을 금지시킨다. 동시에, 돌기(127)는 수동식 쉬트삽입 트레이(122)의 상부면에 중앙면이 맞서도록 일체의 가이드판(133,135)을 경사시킨다.
한편, 본체 반송 구동 로울러(137)는 가이드판(135)으로 부터 멀리 외부로(아래로) 떨어지게 이동하며,압력로울러(139)는 가이드판(133)의 적어도 아래쪽으로 부터 약간 돌출한다.
결과적으로 수동식 삽입 전사지(P)는 가이드판(133,135) 사이의 갭안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125)는 대응 구동 로울러(129)에 대해서 가압한다.
그리고, 전사지(P)가 제11도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가이드(140)를 따라서 트레이(122) 상부에서 수동식으로 이송될 때, 전사지(P)의 선단부는 감지부재(130)를 가압하고 단속기(131)는 온되어 전사지(P)의 삽입을 탐지한다.
삽입을 지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129)는 회전하여 전사지(P)를 반송한다.
전사지(P)의 끝단(기준 단부)이 감지부재(130)를 통과하고 감지부재(130)가 아래로 기울매, 단속기(l31)는 오프되고 이와 동시에 발생된 단속기 차단 신호에 따라서, 전사지(P)의 기준 단부는 전사지(P)의 본체반송 기준선(141)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가 폐쇄되었을 때, 가이드판(133,135)은 수평위치로 재설정되고,로울러(125,129)는 전사지(P)를 물며, 동시에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125)는 반송통로로 부티 떨어지게 된다.
감지수단(132)이 온되고 이때 발생된 온 신호에 따라서, 본체 반송 구동로울러(l37)가 회전하여 화상형성용 수동식 삽입 전사지(P)가 반송된다.
제13도를 참조하면, 수동식 쉬트 삽입 트레이(122)는 축(1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축(123)이 모우터(142)에 의하여 전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동식 쉬트 삽입 및 본체로 부터 쉬트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1 내지 1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수동식 삽입 트레이(122)의 밀폐는 수동식 쉬트 삽입장치(125,l29)의 풀림, 제1반송통로로 가이드수단(133,135)의 이동, 반송수단(137,139)의 가압, 및 쉬트 삽입 장치(3)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에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전방 수동식 쉬트 삽입형의 쉬트 반송장치의 구조를 현저하게 단순화시키는 것과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수동식 쉬트 삽입을 위한 제2반송통로는 쉬트(P)를 반송시키기 위한 제1반송통로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이 되기 때문에 기계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요구되는 설치공간을 감소시킬수 있다.
더욱이 수동식 쉬트 삽입 개구부(121)가 덮혀질 수 있기 때문에, 위험이 방지되고 외형이 향상된다. 기준단부 쪽으로 부터 차례로 쉬트(6)를 가압하도록 배열된 제6실시예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4 내지 17도를 참조하면, 브라킷(41)은 적소 위치에 고정되며, 로울러 릴리스아암(246)은 브라킷(41)에 대해서 피봇 운동되게 핀(47)에 의하여 지지된다.
각각이,장방형 단면을 가진 브라킷(242)은 각각의 아암(246)의 한쪽 끝의 대향쪽에 각기 형성되며, 수직신장 슬롯(242a)은 브라킷(242)의 각각의 레그에 형성된다.
피구동 재이송 반송로울러(39)의 축(40)은 측방향으로 제한되고 수직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대응 슬롯(242a)을 통하여 삽입된다.
로울러 릴리스아암(246)의 외부 끝(246a)은 복사기(1)의 본체에 고정된 돌기(49)의 아래쪽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축(40) 및 피구동 로울러(39)는 각각의 인장 스프링(43)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가압되며, 가이드판(21)은 대응 로울러(39)가 가이드판(21)으로부터 돌출한 개구부(45)를 가진다.
수동식 쉬트 삽입의 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5a도를 참조하면, 양면/복식 복사 작동동안, 편심 캠(32)은 최소의 편심위치로 유지되며, 압력아암(31)은 최하부 위치로 유지된다.
압력아암(31)은 내측 단부에 제공된 푸시 업 피이스(35)에 의하여 지지되는 각각의 가이드판(21,22)의 좌측 단부는 수동식 시트 삽입트레이 가이드(26)의 상부면 하부에 위치하는 한편, 셔터부(51)는 트레이 가이드(26)의 상부면의 평면을 가로지른다.
이 위치에서 재이송 반송 피구동 및 구동 로울러(39,36)는 정상 재이송 작동을 수행하도록 협력한다.
보다 상세히는 양면/복식 복사 반송을 위하여 사용된 구역(C)에 위치한 구동 및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33)의 어느것도 재이송동안 쉬트(6)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작동자는 양면 복사모드 및 복식복사모드가 모두 작용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고, 쉬트(6)의 선단부가 셔터부(51)를 칠때까지 제14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기준 가이드(57)를 따라서 쉬트(6)를 삽입한다.
따라서 수동식 쉬트 삽입 출발 신호는 버튼(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편심 캠(32)을 약 180도로 회전시켜서, 압력아암(31)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가이드판(21,22)은 푸시 업 피이스(35: 제14도 창조)에 의하여 핀(25) 대하여 상부로 회전되어 가이드판(22)의 상부면을 하부 가이드(27)의 상부면의 약간 아래에 유지시킨다.
압력아암(31) 및 편심 캠(32)의 치수는 모든 재이송 반송구동 로울러(36)가 가이드판(22)의 상부면 하부에 위치하게 되도록 선택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피구동 수동 쉬트 삽입 로울러(33)는 셔터부(51)와 맞물린 수동식 삽입 쉬트(6)를 통하여 대응 구동 로울러(50)에 대해서 상부쪽 가압력에 의해서 가압되는 한편, 셔터부(51), 결국 가이드판(21)은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로울러 릴리스아암(246)의 단부(246a)는 돌출 피이스(49)와 맞물리게 되고 로울러 릴리스아암(246)의 내측부는 상부로 이동되어서, 인장 스프링(43)의 가압력에 대해서 축(4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재이송 반송 피구동 로울러(39)는 가이드판(21)의 아래쪽 상부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편심 캠(32)이 약 180도 회전할 매, 회전 완성 신호가 제어부에 전송된다.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를 구동시켜 소정 속도로 수동식 삽입 쉬트(6)를 내측쪽으로 반송시킨다(제15b도 참조).
따라서 쉬트(6)의 끝단이 센서레버(55) 빛 단속기(56)에 의하여 탐지된 후에, 쉬트(6)는 소정 거리까지 반송되고 구동 및 피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33)는 정지된다.
이 운동으로 쉬트(6)의 끝단을 상기한 구역(C)의 한계선(D)과 일치된다.
쉬트(6)의 상태는 제15c도 및 제15d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에 구동 수동식 쉬트 삽입 로울러(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정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할 때, 제어부는 편심 캠(32)용 구동원을 온시켜 약 180도로 회전시킨다.
제15c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축(40)은 각각의 슬롯(242a)의 저면에 위치하고 저면의 경사축을 따라 기울어진다.
쉬트(6)의 기준 단부(한계선 D)에 가장 가까운 피구동 재이송 반송 로울러(39), 상기 로울러(39) 다음으로 기준단부에 가장 가까운 로울러(39)등으로 차례로 쉬트(6)와 결과적으로 압착하게 된다.
이 작동동안, 각각의 축(40)은 좌측 슬롯(242a)의 저면으로 부터 점차 상승한다(제15a 내지 15d도 참조).
좌측 로울러(39)가 쉬트(6)에 대해서 가압되는 상태에 있어서, 축(40)은 제1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슬롯(242a)의 저면으로 부터 분리되어진다.
이런 방법으로 쉬트(6)는 대향 슬롯(242a) 사이의 거리, 하방 운동 동안 로울러 릴리스아암(246)의 경사, 각각의 슬롯(242a)의 길이 및, 각각의 인장 스프링(43)의 가압력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기준 단부로부터 차례로 가압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굽이친 쉬트(6) 조차도 기준 단부로 부터 순차로 가압되기 때문에, 반송통로(또는가이드판(21))를 따라서 쉬트(6)를 정확하게 위치설정할 수 있다.
편심 캠(32)의 구동원이 오프되었을 때, 로울러(36)의 구동원은 온되어 수동식 쉬트 삽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쉬트(6)를 반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제16a도 및 제16b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 있어서, 제15도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 및 작동을 가진 부재는동일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360)은 상부 가이드판(21)에 체결되며, 축(361)은 축에 대해 회전하기 위하여 프레임(360)에 의하여 수평지지된다.
대향 슬롯(363,365)은 축(361) 하부 위치에서 프레임(360)의 전후부에 각각 형성된다. 축(362)은 축방향으로 제한되고 수직으로 미끄럼 가능한 방법으로 슬롯(363,365)에 의하여 지지되고 3개의 재이송 반송로울러(339)는 축(362) 상에 끼워맞춤 된다.
맞물림 피이스(366) 각각은 상부에 적절한 원형개구부(367)를 갖고 하부에 연통하는 슬롯(369)을 가진다. 편심 캠(370,371)은 축(361)에 체결되며 각각의 맞물림 피이스(366)의 개구부(367)와 맞물린다.
축(362)은 각각의 맞물림 피이스(366)의 저면과 맞물린다.
축(361)은 프레임(360)의 후부에 장착된 모우터(372)에 의하여 구동된다.
캠(370,371)의 편심은 제1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1)이 아래로 이동할 때 쉬트(6)의 기준 단부쪽(도면에서 좌측)에 위치한 피구동 재이송 반송 로울러(339)가 쉬트(6)와 최초로 압착하도록 선택된다.
보다 상세히는, 모우터(372)는 제15a 내지 15d도에 도시한 편심 캠(32)에 대하여 적시에 단번에 180도로 축(361) 즉 편심 캠(370,371)을 회전시킨다.
제15도 및 제16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각각은 대응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쉬트(6)의 좌측을 기준단부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기준 단부는 양면/복식 복사 반송에 사용된 구역(C)의 내부쪽에 설정되면 족하다.
이러한 배열을 제15도의 실시예에 적용한다면, 로울러(39)는 제15a 내지 15d도에 도시한 브라킷(242)의 각각의 슬롯(242a)의 위치 또는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내부쪽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쉬트(6)를 가압할 수 있다. 제16a 및 16b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심 캠(370,371)의 편심을 적절히 선택하기 충분하다.
상기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4 내지 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쉬트(6)는 제2반송수단(33,50)에 의하여 제 2 반송통로(26)로 반송되고 제1반송수단(36,39)에 의하여 제1반송통로(20)로 반송된다.
이 과정동안, 제1반송수단(36,39)은 기준 단부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반송통로(20)상의 쉬트(6)와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쉬트(6)가 굽거나 이완된 부분를 가질지라도, 이 이완부는 기준단부에서부터 기준단부의 반대쪽으로 가압되어서 쉬트(6)는 제1반송통로(20)에 정확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쉬트 막힘이 없고 신뢰성있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형성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더욱이 제2반송통로(26) 및 제2반송수단(33,50)이 수동식 쉬트삽입 기구의 전방 부하형으로 배열되기매문에, 측방향 수동식 쉬트 삽입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용이성을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료되는 것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개시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환언하면,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및 동일 배열을 포괄하는 것이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변경 및 동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기 위하여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한다.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의 쉬트반송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부쪽으로 쉬트를 안내하고, 제1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제1가이드수단; 제1반송통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쉬트를 안내하고, 제2반송통로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수단; 제1및 제2반송통로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이 제1및 제2반송통로가 서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1및 제2가이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1및 제2반송통로가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제1가이드수단과 상기 제2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쉬트가 상기 제2반송통로안으로 삽입될때 쉬트의 앞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통로를 상기 제2반송통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수단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반송통로를 상기 제 2 반송통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2 가이드수단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식 쉬트 삽입 개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수동식 쉬트 삽입 개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수동식 쉬트 삽입 신호에 응답하여 작용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편심 회전 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송 통로가, 상기 제1가이드수단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제1반송통로와 상기 제2반송통로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2반송통로로부터 상기 제1반송통로로 상기 쉬트를 반송하도록 작동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수단이 위ㆍ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서로 멀리 그리고 가까이 이동되는 한쌍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송통로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수단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 1반송통로와 상기 제 2 반송통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때, 상기 회전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수단이 이동되는 동안에, 상기 제 1가이드수단에 상기 쉬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수동식 쉬트 삽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커버수단; 상기 커버수단이 개방 및 밀폐함에 따라서 서로 가까이 그리고 멀리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반송통로에 배치된 회전부재; 및 상기 커버수단의 개방 및 밀폐에 따라서 상기 제 1가이드수단을 선택적으로 상ㆍ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승되었을 때 경사져서 상기 구성부재중 상기 제2반송통로에 더 근접한 것이 다른 구성부재들 보다 상기제1반송통로에 더 가까이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성부재들이 상기 제2반송통로에더 가까운 구성부재부터 차례로 상기 쉬트를 누르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통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상기 쉬트를 안내하고, 상기 제 2 반송통로의 입구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방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로 상기 쉬트를 안내하는 제3반송통로, 및 상기쉬트를 상기 제3반송통로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정면으로부터 작동 가능한 카세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수단은 상기 제2반송통로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18. 화상형성장치의 쉬트반송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부쪽으로 쉬트를 반송하는 제1반송수단; 상기 제1반송수단의 반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쉬트를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 및 상기 제 2 반송수단의 높이와 상기 제 1반송수단의 높이를 수평하게 맞추어 상기 제 2 반송수단으로 부터 반송된 쉬트가 상기 제1반송수단으로 반송되게 하는 높이맞춤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반송수단과 제 2 반송수단은 높이방향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반송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수단이 상기 화상형성부에서 화상이 형성된 쉬트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재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송수단은 화상형성장치의 정면으로부터 삽입된 쉬트를 상기 제1반송수단쪽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00003721A 1989-03-20 1990-03-20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KR94000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50,417 US5249328A (en) 1990-03-20 1991-08-27 Vacuum cleaner beater brush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67917A JP2566646B2 (ja) 1989-03-20 1989-03-20 画像形成装置
JP1-067917 1989-03-20
JP1087462A JP2568682B2 (ja) 1989-04-06 1989-04-06 画像形成装置
JP1-087462 1989-04-06
JP1-105641 1989-04-24
JP1105641A JP2566650B2 (ja) 1989-04-24 1989-04-24 画像形成装置
JP1-118093 1989-05-10
JP1118093A JP2566651B2 (ja) 1989-05-10 1989-05-10 画像形成装置
JP1-154054 1989-06-15
JP1154054A JP2568691B2 (ja) 1989-06-15 1989-06-15 画像形成装置
JP1-159312 1989-06-21
JP1159312A JP2568694B2 (ja) 1989-06-21 1989-06-21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44A KR900014944A (ko) 1990-10-25
KR940007339B1 true KR940007339B1 (ko) 1994-08-13

Family

ID=2755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721A KR940007339B1 (ko) 1989-03-20 1990-03-20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88851B1 (ko)
KR (1) KR940007339B1 (ko)
DE (1) DE690162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8177B1 (en) * 1989-01-10 1995-08-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EP0478820B1 (de) * 1990-10-02 1996-01-03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Druck- oder Kopiergerät für ein- oder mehrfarbigen Simplex- und Duplexdruck
JP2634107B2 (ja) * 1991-07-24 1997-07-23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排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446A (en) * 1982-07-12 1986-04-01 Canon Kabushiki Kaisha Both-side recording system
US4745439A (en) * 1985-07-02 1988-05-1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US4727402A (en) * 1986-12-18 1988-02-23 Xerox Corporation Automatic copier signature set production
EP0378177B1 (en) * 1989-01-10 1995-08-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8851A3 (en) 1991-05-02
EP0388851B1 (en) 1995-01-25
DE69016234T2 (de) 1995-06-14
EP0388851A2 (en) 1990-09-26
DE69016234D1 (de) 1995-03-09
KR900014944A (ko) 199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5551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sheet
EP0760493B1 (en) Device for further processing after copying
EP0551861B1 (en) Original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ith it
US5645274A (en) Sheet supply apparatus
US5478061A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US482315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04377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940007339B1 (ko) 화상형성장치용 쉬트반송장치
JPH0613378B2 (ja) コピーシートの回転装置
JP3649269B2 (ja)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22821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72808A (ja) シート排出機構
JPH05330702A (ja) 用紙搬送装置
JP256869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152045A (ja) シート搬送装置
JPH1031031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610126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62881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2249857A (ja) 画像形成装置
JP3052482B2 (ja) 原稿押さえ装置
JPH0412048Y2 (ko)
JPH03182456A (ja) 画像形成装置
JPH02295851A (ja) 画像形成装置
JPS5852130A (ja) シ−ト整合装置の位置変更装置
JPH05132215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