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80B1 -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80B1
KR930007480B1 KR1019890000635A KR890000635A KR930007480B1 KR 930007480 B1 KR930007480 B1 KR 930007480B1 KR 1019890000635 A KR1019890000635 A KR 1019890000635A KR 890000635 A KR890000635 A KR 890000635A KR 930007480 B1 KR930007480 B1 KR 93000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ever
automatic
detec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721A (ko
Inventor
준 야마기시
코우이찌 시오따
마사하루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이 세이사꾸쇼
카지야마 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52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97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963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97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이 세이사꾸쇼, 카지야마 이찌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이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with pivotal or rotary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슬라이드 도어에 실제로 적용한 경우의 자동차의 부분절단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II방향으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로서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요부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 IV-IV방향에서 본 도면.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사용된 구동기구를 제1도의 화살표 V방향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VI-V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사용된 전기접속장치를 제1도의 화살표 VII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VIII-VIII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1실시예의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제1도와 마찬가지의 도면.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회로도.
제12도는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전기접속장치의 단면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전기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제2실시예의 전기회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차체
3 : 도어록장치 5 : 래치판
6 : 스트라이커 7 : 피구동레버
10 : 개방레버 14 : 폐쇄레버
11, 12 : 반래치검지스위치 16 : 와이어
20 : 완전래치검지스위치 21, 110 : 전기구동수단
22 : 모터 24 : 감속기
25 : 피니언 27 : 섹터기어
30 : 원위치검지스위치 31 : 도어측 장착제어장치
34 : 도어센싱스위치 35 : 차체측 장착제어장치
37 : 전기접속장치 38 : 제1접속부품
39 : 제2접속부품 40, 41 : 베이스구조체
42 : 안내구멍 43, 44, 118 : 접촉핀
45 : 압축스프링 116 : 원통형 케이스
116a : 구멍 122 : 스프링
212 : 작동기 제어장치 214 : 전기작동기
216 : 로킹손잡이 218 : 램프
220 : 버저 222 : 스위치
224 : 외부손잡이 A : 완전개방위치
B : 반래치위치 C : 완전래치위치
T, TT : 타이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절반이 폐쇄된 상태, 즉 반래치상태의 감지시, 도어를 자동적으로 완전래치위치로 폐쇄시키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중의 하나인 일본국 실개소 60-137067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보에 발표된 종래의 장치에는, 도어의 반래치상태로부터 완전래치상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폐쇄레버가 사용되었다. 즉, 폐쇄레버는 전기모터에 의해 웜 및 웜휠을 통해 회동되어, 그 회동도중에, 도어록장치의 래치판(더 명확히 말하면, 래치판의 연장부분)과 접촉하여 래치판을 강제로 반래치위치로부터 완전래치위치로 회동시킨다. 폐쇄레버는 록장치가 완전히 래치될 때마다 같은 방향으로 1회전한다. 즉, 폐쇄레버가 원위치로 회전하면, 레버의 다음번의 회전은 그 원위치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발표된 종래의 장치는 그 고유의 구조로 인해 다음의 결점을 갖는다.
첫째, 폐쇄레버의 원위치(혹은 개시위치)는 레버가 회전할 때마다 조금씩 변하는 경항이 있으며, 이러한 변동에 의해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다음회의 작동시기를 놓치기 쉽게 된다.
둘째, 상기 폐쇄레버는 래치판을 반래치위치로부터 완전래치위치로 회동시키는데 실제로 필요한 각도를 넘는 약 360도를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폐쇄레버의 회전시 매우 넓은 공간을 요하며, 이것에 의해 래치소자가 대형화 되고 따라서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이 없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성에 의하면, 폐쇄레버가 도어록장치의 래치판을 반래치위치에서 완전래치위치로 강제로 회동시키는데 이용되고 또한 래치판을 완전래치로 회동시킨 후에는 그의 적절한 휴지위치 즉 원위치로 강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성에 의하면, 폐쇄레버가 래치판을 완전래치위치로 회동시키는데 적은 각도분만큼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성에 의하면, 도어가 완전래치상태로 된때, 래치장치의 전기소자로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타이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네번째 특성에 의하면, 도어가 열릴 때 배터리와 차체장착접속기(즉, 전기콘센트) 사이의 회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도어센싱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특성에 의하면, 도어의 전단부와 차체의 도어개구부의 전단벽 사이에 이물질이 우연히 놓였을때 래치판이 완전래치위치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특성에 의하면, 도어의 반래치상태가 검지되었을때부터 주어진 시간내에 래치판이 완전래치상태로 되지 않았을때 패쇄레버를 그외 원위치로 강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타이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와 도어를 지닌 자동차용의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해방한 완전개방위치, 상기 스트라이커와 반쯤 결합한 반래치위치 및 상기 스트라이커와 완전히 결합한 완전래치위치를 취하도록 피벗지지된 래치판을 지니는 도어록장치와; 상기 래치판과 일체로 접속되어 함께 이동하는 피구동레버와; 원위치와 작동위치를 취하도록 피벗지지되어, 상기 원위치에서 작동위치를 향해 회동될 때 상기 래치판이 상기 반래치위치에서 상기 완전래치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구동레버를 미는 폐쇄레버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통전시 상기 폐쇄레버를 구동시키는 전기구동수단과; 상기 래치판의 반래치상태를 검지하는 반래치검지수단과; 상기 래치판의 완전래치상태를 검지하는 완전래치검지수단과; 상기 폐쇄레버가 상기 원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원위치검지수단과;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반래치검지수단, 완전래치검지수단 및 원위치검지수단에 의해 출력된 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와;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도어폐쇄방향으로 도어의 반래치위치 근방의 주어진 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전기구동수단, 상기 반래치검지수단, 상기 완전래치검지수단, 상기 원위치검지수단 및 상기 제1제어장치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에 관하여 유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1)은 자동차의 슬라이드 도어로서,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완전개방위치와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완전폐쇄위치 사이에서 차체(2)의 측벽을 따라 미끄럼가능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미끄럼운동을 위하여, 예를들면 차체(2)에 고정된 안내레일(도시안함)과 도어(1)에 부착되어 상기 안내래일 따라 이동하는 롤러(도시안함)로 구성된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가 사용된다. 도어의 개방동작의 초기단계에서는, 도어(1)가 완전히 닫힌 위치 즉 완전폐쇄위치에서 다소 바깥쪽으로 이동된 다음 완전폐쇄위치까지 차체(2)의 측면과 평행하게 뒤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레일이 굽어 있다.
제1도 및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는 도어(1)의 앞쪽으로 경사진 후단면(1a)을 지니고 있고, 이 후단면은 도어(1)가 그의 개방동작의 초기단계에 있을때 도어(1)의 이동궤적과 평행하여, 도어(1)의 후단부에는, 이후 설명하는 도어록장치(3)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록장치(3)는 도어(1)의 경사진 후단면(1a)과 직교하는 축(4)을 추축으로 도어(1)에 설치된 래치판(5)으로 구성된다. 이 래치판(5)은 차체(2)의 도어 개구부의 후단벽에 부착된 스트라이커(striker)(6)(제2도 및 제3도 참조)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의 개폐운동에 따라, 래치판(5)은 스트라이커(6)를 해방한 개방위치(A), 스트라이커(6)와 반쯤 결합한 반래치위치(B), 스트라이커(6)와 완전히 결합한 완전래치위치(C)를 취하도록 피벗지지된다.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에 있을 경우, 도어(1)는 차체의 도어개방에 대하여 완전히 폐쇄되어 래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판(5)에는 위쪽으로 뻗어 있는 피구동레버(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8)은 래치판(5)과 연동하는 톱니멈춤쇠(제3도 참조)로서, 래치판(5)의 상기 축(4)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축(9)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의 작동위치에 톱니멈춤쇠(8)가 위치하고 있을때는, 래치판(5)의 반래치위치(B) 혹은 완전래치위치(C)로부터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은 톱니멈춤쇠(8)에 의해 저지된다. 반면, 상기 톱니멈춤쇠(8)가 그의 비작동위치(도시생략)로 축(9)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할때에는, 래치판(5)은 자유로와진다. 더 자세히 말해서, 비작동위치에 있는 경우, 톱니멈춤쇠(8)는 래치판(5)의 주변가장자리부분에 위치한다. 즉, 톱니멈춤쇠(8)는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B) 또는 완전래치위치(C)에 있을 경우에만 도시된 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톱니멈춤쇠(8)의 축(9)선단부에는 삼각형의 개방레버(10)가 고정되어 이들이 함께 움직인다. 즉, 래치판(5)이 작동위치로 오는 경우, 개방레버(10)의 돌출부(10a)는 반래치검지스위치(11)의 검지핀(참조번호는 표기안함)과 접촉하여 톱니멈춤쇠(8)의 작동위치가 스위치(11)에 의해 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위치(11)는, 도어(1)의 폐쇄동작의 최초에 톱니멈춤쇠(8)가 작동위치에 도달한 경우, 이 톱니멈춤쇠(8)가 작동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스위치(11)는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B)에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사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톱니멈춤쇠(8)는 래치판(5)의 선회운동으로 인하여 두번 추축선회하여 두번 작동위치를 취한다. 즉, 첫번째 추축선회는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B)로 될때 일어나고 두번째 추축선회는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로 될때 일어난다. 이것은 제3도로부터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11)는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에 있는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경우, 후술할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는 생략할 수 있다. 개방레버(10)의 본래의 기능은, 도어외부손잡이(12)(제1도 참조), 도어내부손잡이 등 도어래치제어장치의 작동에 응하여 도어록장치(3)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나, 이 기능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4,762,348호 공보(1988년 8월 9일 발행)의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록장치(3)의 위쪽에 설치된 수평으로 뻗어있는 지지판(13)위에는 대략 L자형상의 폐쇄레버(14)가 축(15)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쇄레버(14)는 두개의 아암(arm)부 (14a)와 (14b)의 접합부에 축(15)을 가지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레버(14)는, 그 아암부(14a)가 래치판(5)의 피구동레버(7)의 회동궤적으로부터 떨어진 실선으로 표시된 그의 원위치와, 상기 아암부(14a)가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로 되는 위치까지 피구동레버(7)를 미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그의 작동위치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도에서 폐쇄레버(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아암부(14a)는 피구동레버(7)와 접촉하여 래치판(5)을 반래치위치(B)로부터 완전래치위치(C)로 회동시킨다.
폐쇄레버(14)의 다른쪽 아암부(14b)에는 와이어(16)의 한끝에 고정된 원주형상의 말단부재(16a)가 추축으로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제2도에서 이 와이어(16)를 후술하는 구동수단(21)에 의해 왼쪽으로 끌어당기면 폐쇄레버(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17)은 와이어(16)를 구동수단(21)까지 연결하는 안내관, (18)은 폐쇄레버(14)를 원위치를 향해 부세시키는 스프링, (19)는 폐쇄레버(14)가 작동위치에 도달한때 아암부(14b)가 접촉하는 스토퍼이다.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는 지지판(13)에 장착되어 있다. 즉 폐쇄레버(14)가 작동위치에 도달한 때 아암부(14b)는 스위치(20)의 검지핀(참조번호는 표기안함)과 접촉한다.
실제로,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를 지나 약간 과회동한때에, 폐쇄레버(14)는 작동위치에 도달하며, 이와 같이 스위치(20)는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를 지나 과회동한때에 완전래치위치(C)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도어(1)의 대략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구동수단(21)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수단(21)은 역회전가능한 전기모터(22)로 구성되고, 모터(22)의 출력은 감속기(24)로 공급되어 감속된 속도로 그 출력축(23)을 구동시킨다. 피니언(25)은 출력축(23)에 설치되어 섹터기어(27)와 작동적으로 맞물려 있고, 이 섹터기어(27)는 출력축(23)과 평행한 축(26)을 통해 도어(1)와 추축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섹터기어(27)는 그의 가장자리부분에 피니언(25)과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27a)를 가진다. 회동레버(28)는 섹터기어(27)의 축(26)에 대해서 추축으로 설치되어 있고 원주형상의 말단부재(16b)에 추축으로 접속된 와이어(16)의 다른 끝에 선단부(제6도 참조)를 가진다. 단, 회동레버(28)는 섹터기어(27)에 점용접되어 축(26)을 중심으로 함께 운동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레버(28)의 선단부는 뒤쪽으로 접혀져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둔 사이드부재(참조번호 표기안함)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 사이드부재에는 각각 정렬구멍(29)이 형성되어 있어, 이구멍(29)에 와이어(16)의 원주형상의 말단부재(16b)가 작동적으로 일치된다. 사이드부재중의 하나, 즉 사이드부재(28a)의 형상은 그 부재를 바깥쪽으로 휘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다른 것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이드부재(28a)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회동레버(28)로부터 원주형상의 단부(16b)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장치의 여러부품이 와이어(16)가 신장된 채 잠겨 있을 경우에는, 소위 "자동안전수단(fail safe means)"을 구성한다.
주목해야 할 점은 회동레버(28)의 정렬구멍(29)은 축(26)과 중심이 같은 아치형상의 긴 홈이라는 점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16)를 장시간 사용한 후 어느 정도 신장되더라도 이 신장된 부분은 아치형상의 정렬구멍(29)에 의해 흡수된다. 이것에 의해, 회동레버(28)에서 상기 폐쇄레버(14)의 운동은 와이어의 정지상태하에서 와이어가 구부러짐이 없이 확실하게 전달된다.
(30)은 상기 도어록장치(3)의 폐쇄레버(14)가 원위치(제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원위치검지스위치이다. 즉, 패쇄레버(14)가 원위치에 있을때, 섹터기어(27)와 회동레버(28)는 제5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원위치를 취하여, 섹터기어(27)가 스위치(30)의 검지핀(참조번호 표기안함)을 눌러 스위치(30)를 작동시킨다.
상기 전기모터(22)가 에너지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섹터기어(27)와 회동레버(28)는 제5도에서 와이어(16)를 왼쪽으로 잡아끌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같이 회동하며, 반면에 모터(22)가 에너지를 공급받아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섹터기어(27)와 회전레버(28)는 와이어를 우측으로 밀면서 원위치를 향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섹터기어(27)가 원위치에 이르면, 원위치검지스위치(30)가 작동하여 모터(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도어(1)안에는 제어장치(31)(이후, "도어측 장착제어장치"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는 리드선(참조번호 표기안함)을 통해서 반래치검지스위치(11),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 원위치검지스위치(30), 모터(20) 및 안전스위치(32)에 접속되어 있다. 안전스위치(32)는 도어(1)의 전단면(1b)에 장착된 압력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2)쪽에는, 다른 제어장치(35)(이후 "차체측 장착 제어장치"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는 리드선을 통해서 배터리(33)와 도어센싱스위치(34)(이후"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 또는 "차체측 장착급전스위치"라 칭함)에 접속되어 있다.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는 차체(2)의 하부측면에 추축으로 접속된 작동레버(36)와 조합시켜 설치되어 있다. 즉, 도어(1)가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주어진 위치까지 닫히면, 도어(1)의 일부가 작동레버(36)와 접촉하여 이를 회전시켜,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를 작동시킨다. 이때, 작동레버(36)의 캠부(36b)는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의 검지핀(참조번호 표기안함)과 접촉한다.
(37)은 전기접속장치로, 주어진 조건하에서, 차체(2)상에 장착된 배터리(33)와 도어(1)내에 장착된 전기부품을 접속시킨다. 이 전기접속장치(37)는, 도어(1)의 전단면(1b)에 장착된 제1접속부품(38)과 차체(2)의 기둥(2a)에 장착된 제2접속부품(3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어(1)가 폐쇄위치로 되면 이들 두 부품은 접촉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명백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장치(37)의 각 부품(38) 혹은 (39)은 2개의 평행한 안내구멍(42)을 지닌 부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구조체(40) 혹은 (41)로 구성되어 있고, 각 안내구멍(42)은 그속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접촉핀(43) 혹은 (44)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접촉핀(43) 또는 (44)은 압축스프링(45)에 의해 베이스구조체(40) 혹은 (4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각 접촉핀에는, 이 접촉핀의 안내구멍(4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참조번호 표기안함)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핀(43)은 구형상의 머리부분을 가지며, 반면에 접촉핀(44)은 평평한 머리부분을 갖는다.
(46)은 핀홀더이며, 핀(43) 또는 (44)의 원활한 운동을 위하여 각 안내구멍(42)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압축스프링(45)의 한끝은 핀홀더(46)에 고정되어 있으며, 탄성커버(47)는 제1접속부품(38)의 베이스구조체(40)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핀(43) 또는 (44)의 베이스부에 도어측 장착 제어장치(31) 또는 차체측 장착제어장치(35)에서 뻗어나온 리드선(48)이 접속되어 있다. 제1접속부품(38)의 베이스구조체(40)에는 그 후단부에 각 접촉핀(43)용의 한쌍의 돌출부(49)와 (49)(제8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49)와 (49)를 설치함으로써, 리드선(48)이 접속된 각 접촉핀의 후단부는 베이스구조체(40)내에서 원활하게 미끄럼운동하게 된다.
제1 및 제2접속부품(38) 및 (39)은,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가 도어(1)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작동위치로부터 도어(1)의 반래치위치까지의 주어진 영역을 도어(1)가 폐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접속품(38)의 접촉핀(43)은 제2접속부품(39)의 대응접촉핀(44)과 접촉하여 그들 사이에 전기접속을 이루며, 도어(1)가 완전폐쇄위치를 향해 더욱 이동하면 접촉핀(43)과 (44)은 관련안내구멍(42)으로 들어가 그들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1)가 스위치작동위치를 지나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면, 전력이 배터리(33)로부터 도어(1)에 장착된 전기부품에 공급된다.
제9도는 제1실시예의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동도에서, (R1), (R2), (R3), (R4)는 릴레이, (R1-1), (R2-1), (R3-1), (R4-1)은 릴레이의 각접점, (T)는 복귀시간 지연형 타이머, (T-1)은 그 타이머의 접점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작동에 대해 제1도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대하여 시작한다.
제1도에서 도어(1)를 왼쪽으로 밀면, 도어(1)는 그의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도어(1)가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스위치작동위치까지 도달하면,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는 작동레버(36)의 회전으로 인해 잠시동안 온상태로 절환, 즉 폐쇄되며, 이와 동시에 릴레이(R1)와 타이머(T)는 통전되어, 그들의 접점 (R1-1)과 (T-1)을 폐쇄한다. 이때, 타이머(T)는 경과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이머(T)는 약 10초를 카운트한때 그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설정하면 된다.
도어(1)가 스위치작동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이르면, 도어(1)상의 제1접속부품(38)은 차체(2)상의 제2접속부품(39)과 접촉함과 동시에 배터리(33)로부터 도어(1)내의 전기장치로의 전력공급이 시작된다.
다음에, 도어(1)가 반래치위치에 이르면, 반래치검지스위치(11)가 폐쇄됨과 동시에 릴레이(R3)는 통전되어 그 접점(R3-1)을 정상개방쪽으로 절환시킴으로써, 모터(22)는 통전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모터(22)의 회전에 의해, 구동수단(21)은 와이어(16)를 끌도록 작동하여 폐쇄레버(14)를 원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동시키고 래치판(5)의 피구동레버(7)를 이동시켜서, 래치판(5)을 반래치위치(B)에서 완전래치위치(C)로 강제로 회동시킨다. 이 상태하에서, 도어(1)는 완전히 폐쇄되어 래치된다.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에 도달하고 패쇄레버(14)가 작동위치에 이르면, 완전래치검지스위치 (20)는 폐쇄된다. 그러면, 릴레이(R2)는 통전되어 그 접점(R2-1)은 정상 개방쪽으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R3)의 통전이 차단되어 그 접점(R3-1)은 정상 폐쇄쪽으로 절환된다. 이때, 폐쇄레버(14)와 구동수단(21)의 섹터기어(27)는 그들의 원위치에서 이탈하여 원위치검지스위치(30)를 폐쇄하기 때문에, 릴레이(R4)는 통전되어 그 접점(R4-1)은 정상 개방쪽으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모터(22)에는 역방향의 전류가 흘러, 모터(22)는 역회전한다. 이 모터(22)의 역회전에 의해, 폐쇄레버(14)는 작동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 회동된다. 이때, 래치판(5)은 완전래치위치(C)를 취하므로, 레버(14)의 회동이 래치판(5)을 완전래치위치(C)에서 반래치위치(B)로 회동시키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상태에서, 레버(14)는 래치판(5)의 피구동레버(7)를 따라 회전한다.
폐쇄레버(14)와 섹터기어(27)가 그들의 원위치에 이르면, 원위치검지스위치(30)는 오프상태로 절환, 즉, 개방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R4)는 통전이 차단되어 그 접점(R4-1)이 정상 폐쇄쪽으로 절환되며, 이것에 의해 모터(22)로의 통전도 차단된다.
그후, 타이머(T)의 설정시간(약 10초)이 경과하면, 타이머(T)의 접점(T-1)이 개방되고 릴레이(R1)의 통전이 차단되어 접점(R-1)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33)로부터 도어(1)내의 전기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정지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도어(1)가 장시간 닫혀 있어도, 바람직하지 않은 배터리(33)의 과방전이나 릴레이의 과열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B)에서 완전래치위치(C)로 강제로 회동하는 동안, 승객의 옷, 수화물 등의 이물질이 도어(1)와 차체(2)사이에 우연히 놓인 경우, 안전스위치(32)가 폐쇄되어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C)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9도의 제어회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32)는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와 병렬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B)에서 완전래치위치(C)를 향해 회동할 동안에 안전스위치(32)가 폐쇄되면,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가 폐쇄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동이 발생하여, 폐쇄레버(14) 및 섹터기어(27)가 그들의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렇게 해서, 래치판(5)은 완전래치위치(C)로 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도어(1)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열리고, 이 경우, 도어(1)는 완전폐쇄위치로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이물질은 완전히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제10도 내지 제12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동도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대략 같은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고, 이들 부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 생략한다.
제10도에서, (1)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차체(2)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도어이며, 이 도어(1)의 후단부에는 도어록장치(3)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어(1)에는 도어록장치(3)의 래치판을 강제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10)이 장착되어 있고, 도어는 자체내에 장착된 도어측 장착 제어장치(31)를 구비하고 있다.
(37)은 도어(1)의 전단면(1b)에 부착된 제1접속부품(38)와 차체(2)의 기둥(2a)에 부착된 제2접속부품(39)으로 이루어진 전기접속장치이다.
제12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전기접속장치(37)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전기접속장치(37)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부품(38) 또는 (39)은 2개의 평행한 안내구멍(42)이 형성된 베이스구조체(40) 또는 (41)로 구성되어 있고, 각 안내구멍(42)은 그 속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접촉핀(43) 또는 (44)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접촉핀(43) 또는 (44)은 압축스프링(45)에 의해 베이스구조체(40) 또는 (4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접속부품(38)의 스프링(45)과 제2접속부품(39)의 스프링은 동일한 스프링상수를 지닌다. 각각의 접촉핀(43), (44)에는 이 접촉핀의 안내구멍(4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참조부호 표기안함)가 설치되어 있다. 핀홀더(46)는 각각의 안내구멍(42)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대용 접촉핀(43), (44)과 함께 움직인다. 탄성커버(47)는 제1접속부품(38)의 베이스구조체(40)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접속부품(38)의 접촉핀(43)중 한쪽에는 도어측 장착 제어장치(31)에서 연장된 리드선(48)이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쪽 접촉핀(43)은 이하 설명하는 방식으로 소위 반래치검지스위치(112)와 결합된다. 또, 제2접속부품(39)의 접촉핀(44)에는 차체측 장착 제어장치(35)(제10도 참조)에서 연장된 리드선(48)과 배터리(33)에서 연장된 리드선(48)이 접속되어 있다.
반래치검지스위치(112)는 접촉핀(43)의 후단면에 그의 개구부가 대면하도록 제1접속부품(38)의 베이스구조체(40)의 후부에 접속된 개구안내부(114)를 포함한다 .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케이스(116)는 그의 플랜지를 붙인 입구부에서 안내부(114)에 동축으로 접속되어 있다. 길이가 짧은 접촉핀(118)은 개구안내부(114)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원통형 케이스(116)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된 확대기저부(120)를 지닌다. 스프링(122)은 관련된 접촉핀(43)을 향해 접촉핀(118)을 부세시키도록 접촉핀(118)과 원통형 케이스(116)의 구멍(116a) 바닥면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또, 단자부재(124)는 구멍(116a) 바닥면과 스프링(122)사이에 배치된 부분을 지니므로 짧은 접촉핀(118)과 단자부재(124)는 스프링(122)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단자부재(124)는 리드선(48)을 토해 도어측 장착 제어장치(31)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제10도를 참조하면, (34)는 기둥(2a) 근방에 배치된 차체측에 장착된 도어센싱스위치이다. 도어가 도어(1)의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주어진 위치까지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면, 도어센싱스위치(34)는 단시간동안 온상태로 절환되어,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을 통해 차체측 장착 제어장치(35)에 접속된다. 이하 명확하게 설명되듯이, 도어(1)에 부착된 전기부품으로의 전력공급은 도어센싱스위치(34)와 차체측 장착 제어장치(35)에 의해 제어된다.
제1실시예의 구동수단(21)과 마찬가지로 구동수단(110)은 역회전가능한 전기모터(22)를 포함하며, 이 모터(22)에 의해 그 출력축에 피니언(25)이 배치된 감속장치(도시안됨)를 구동시킨다. 섹터기어(27)는 축(26)을 통해 추축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그의 가장자리부분에 피니언(25)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톱니를 지니고 있다. 회동레버(28)는 축(26)에 추축으로 접속되어 섹터기어(27)와 함께 회동하며, 또한, 폐쇄레버(14)에서 연장된 와이어(16)에 접속된 도선단부를 지닌다.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는 지지판(13)에 설치되어 도어록장치(3)의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한다. (30)은 폐쇄레버(14)가 원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원위치검지스위치이다.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해하기 쉽도록,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서 도어(1)가 좌측으로 밀리면 도어는 도어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어(1)가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스위치작동위치에 이르면, 차체측 장착 도어센싱스위치(34)는 단시간동안 온상태로 절환되고, 릴레이(R1)와 타이머(T)가 통전되어 이들의 접점(R1-1)과 (T-1)을 폐쇄하며, 이때 타이머(T)는 경과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도어(1)가 스위치작동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 이르면, 도어(1)상의 제1접속부품(38)은 차체(2)상의 제2접속부품(39)과 결합되며, 이때 배터리(33)로부터 도어(1)내의 전기장치로의 전력공급이 시작된다.
다음에, 도어(1)가 반래치위치에 이르면, 반래치검지스위치(112)는 접촉핀(43)과 (118)사이의 접촉에 기인하여 온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릴레이(R3)는 릴레이(R2)의 정상 폐쇄 접점(R2-1)의 폐쇄작동에 기인하여 통전되므로, 릴레이(R3)의 접점(R3-1)은 정상 개방쪽으로 절환되어, 이에 따라 모터(22)가 통전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모터(22)의 작동에 의해, 구동수단(110)은 와이어(16)를 끌도록 작동하여 폐쇄레버(14)를 원위치에서 도어록장치(3)의 래치판(5)의 피구동레버(7)를 움직이는 작동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따라서, 래치판(5)은 반래치위치에서 완전래치위치로 강제로 선회된다. 이 상태하에서, 도어(1)는 완전히 폐쇄되어 래치된다.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에 도달하고 폐쇄레버(14)가 작동위치에 이르면,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릴레이(R2)는 통전되어 그 접점(R2-1)은 정상개방쪽으로 절환되고, 이와 동시에 릴레이(R3)의 접점(R3-1)은 정상폐쇄쪽으로 절환된다. 이 상태하에서, 폐쇄레버(14)와 구동수단(21)의 섹터기어(27)는 그들의 원위치에서 분리되고 원위치검지스위치(30)를 온상태로 유지하므로, 릴레이(R4)는 통전되어 그의 접점(R4-1)은 정상개방쪽으로 절환된다.
이에 의해,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는 역전되므로, 모터(22)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22)의 작동에 의해, 폐쇄레버(14)는 작동위치에서 원위치로 회전된다. 이 상태하에서 래치판(5)은 완전래치위치를 취하므로, 폐쇄레버(14)의 복귀운동은 래치판(5)을 완전래치위치에서 반래치위치로 회동시키지는 않는다.
폐쇄레버(14)와 섹터기어(27)가 그들의 원위치로 되면 원위치검지스위치(30)는 오프상태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R4)는 통전이 차단되어 그 접점(R4-1)이 정상 폐쇄쪽으로 절환되며, 이것에 의해 모터(22)는 통전이 차단되어 그의 회동이 중단된다.
그후, 타이머(T)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릴레이(R1)는 통전이 차단되므로, 배터리(33)로부터 도어(1)내의 전기장치로의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주목해야할 점은 도어(1)가 장시간 폐쇄상태를 유지할 때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배터리(33)의 과방전이나 릴레이의 과열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어(1)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때 배터리(31)와 제2접속부품(39)사이의 전기회로는 개방된다. 즉, 도전성 이물이 부품(39)의 접촉핀(44)에 우연히 접촉될 때에도, 전기스파크가 일어날 염려는 없다.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장치를 제어하는 전기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변형예에서, 타이머(TT)는 도어측 장착 제어장치(31)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제어장치는, 도어의 반래치상태가 검지된 시간에서부터 경과된 주어진 시간내에 래치판(5)의 완전래치상태로 되지 않을때 그의 원위치로 폐쇄레버(14)를 강제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R1), (R2), (R3), (R4), (R5)는 릴레이, (R1-1), (R2-1), (R3-1), (R4-1), (R5-1), (R5-2)는 릴레이외 접점, (TT)는 복귀시간지연형 타이머, (TT-1), (TT-2)는 타이머(TT)의 접점이다. 또, (214)는 통전시 로킹 및 언로킹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로킹손잡이(216)(제10도 참조)를 움직이도록 구성된 전기작동기이며, (212)는 배터리(210)에 접속된 작동기(214)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이하, 이 변형예에 의한 장치의 동작을 제10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해하기 쉽도록, 제10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1)가 좌측으로 밀리면, 도어는 도어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어(1)가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스위치 작동위치로 되면 도어센싱스위치(34)는 단시간 동안 온상태로 절환되고, 차체측 장착 제어장치(35)내의 릴레이(R1)가 통전되어 그의 접점(R1-1)을 폐쇄하므로 차체(2)상의 제2접속부품(39)은 그의 대기위치를 취한다.
도어(1)가 스위치작동위치를 포함하는 주어진 영역에 이르면, 도어(1)상의 제1접속부품(38)은 차체(2)상의 제2접속부품(39)과 결합되므로, 이때 배터리(33)로부터 도어(1)내의 전기부품으로의 전력공급이 시작된다.
다음에, 도어(1)가 반래치위치에 이르면, 반래치검지스위치(112)는 짧은 접촉핀(118)에 대한 접촉핀(43)의 접촉에 의해 온상태로 절환되고, 이것에 의해, 릴레이(R2)는 릴레이(R3)의 접점(R3-1)과 타이머 접점(TT-1)의 정상폐쇄작동에 기인하여 통전되므로, 릴레이(R2)의 접점(R2-2)은 폐쇄되어 타이머(TT)를 통전시킨다.
이때, 타이머(TT)는 경과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이머(TT)는 5초를 계측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릴레이(R2)가 통전되면 릴레이(R2)의 접점(R2-1)은 정상 개방쪽으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모터(22)를 통전시켜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22)의 작동에 의해, 구동수단(110)은 와이어(16)를 끌도록 작동하여 폐쇄레버(14)를 원위치에서 도어록장치(3)의 래치판(5)의 피구동레버(7)를 움직이는 작동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따라서, 래치판(5)은 반래치위치에서 완전래치위치로 강제로 선회된다. 이 상태하에서, 도어(1)는 완전히 폐쇄되어 래치된다.
래치판(5)이 완전래치위치에 도달하고 폐쇄레버(14)가 작동위치에 이르면,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릴레이(R3)는 통전되어 그 접점(R3-1)을 정상 개방쪽과 정상 폐쇄쪽으로 절환하여 개방하므로, 릴레이(R2)의 접점(R2-1)은 정상 폐쇄쪽으로 복귀되어 모터(22)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 상태하에서, 폐쇄레버(14)와 구동수단(21)의 섹터기어(27)는 그들의 원위치에서 분리되고 원위치검지스위치(30)를 온상태로 유지하므로, 릴레이(R4)는 통전되어 그의 접점(R4-1)은 개방쪽으로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22)에 흐르는 전류는 역전되므로, 모터(22)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22)의 작동에 의해, 폐쇄레버(14)는 작동위치에서 원위치로 회전된다 . 이 상태하에서 래치판(5)은 완전래치위치를 취하므로, 폐쇄레버(14)의 복귀운동은 래치판(5)의 반래치위치로의 회동을 유발하지 않는다.
폐쇄레버(14)와 섹터기어(27)가 그들의 원위치에 이르면, 원위치검지스위치(30)는 오프상태로 절환되므로, 릴레이(R4)는 통전이 차단되어 그의 접점(R4-1)이 정상 폐쇄쪽으로 절환되며, 이것에 의해, 모터(22)는 통전이 차단되어 그의 회동이 중단된다.
그후, 타이머(TT)는, 릴레이(R2)가 통전이 차단되어 그의 접점(R2-2)을 개방할때 그의 시간계수작동을 정지한다.
도어(1)가 조작자(또는 승객)에 의해 완전래치위치로 강제로 이동될 때에 상기 언급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타이머(TT)의 통전상태는 릴레이(R3)의 접점(R3-1)이 절환될때 중단되므로, 그후, 모터(22)와 작동기(214)가 작동될 염려는 없다.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에서 완전래치위치를 향해 강제로 회동하는 동안에, 예를들면 승객의 옷, 수화물등과 같은 이물이 도어(1)와 차체(2)사이에 우연히 놓인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이 발생된다.
즉, 이런 이유로 해서 반래치위치의 래치판(5)이 주어진 시간(예를들면, 5초)내에 완전래치위치를 취하지 못하면, 타이머(TT)는 접점(TT-1)을 정상 개방쪽으로 다른 접점(TT-2)을 폐쇄쪽으로 절환하도록 작동한다.
비록 이때에 릴레이(R2)의 접점(R2-2)은 그의 통전의 차단에 기인하여 개방되지만, 타이머(TT)의 통전상태는 타이머(TT)의 접점(TT-2)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지속된다.
릴레이(R2)의 통전이 차단되면, 릴레이(R2)의 접점(R2-1)은 정상 폐쇄쪽으로 복귀되므로, 모터(22)는 정지된다. 모터(22)가 정지되면, 릴레이(R4)는 접점(R4-1)을 다른쪽으로 절환시켜, 모터(22)는 통전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섹터기어(27)는 그의 원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도어(1)는 반래치위치로 강제로 복귀되어 완전래치위치를 향한 운동을 즉각 중단한다. 그후, 도어(1)는 수동적인 힘에 의해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만약, 이때에 로킹손잡이(216)가 로킹위치를 취하면, 릴레이(R5)는 타이머(TT)의 계수작동이 시작된 때 통전되어, 접점(R5-1), (R5-2)을 이들의 정상 개방쪽으로 절환시키고, 이에 따라 작동기(214)는 로킹손잡이(216)의 로킹상태를 해제하므로, 도어(1)는 열쇠 또는 로킹손잡이(216)를 조작하지 않고도 열릴 수 있다.
만약 램프(218) 및/또는 버저(220)가 릴레이(R5)와 평행하게 배치된다면, 타이머(TT)가 그의 작동을 시작할때 시각 또는 청각 경보가 발생된다.
제14도는 제2실시예의 제어회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상기 언급한 타이머(TT) 대신에 도어(1)의 외부손잡이(224)(제10도 참조) 및/또는 내부손잡이(도시안됨)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222)를 사용한다. 스위치(222)는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와는 병렬로, 릴레이(R3), (R4)와는 직렬로 접속된다.
슬라이드 도어(1)가 반래치위치로 되어 반래치위치센서(118)가 작동되면, 도어(1)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취함으로써 완전래치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래치판(5)이 반래치위치에서 완전래치위치를 향해 강제로 회전되는 동안, 승객의 옷, 수화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도어(1)와 차체(2)사이에 우연히 놓임으로써 문을 완전히 폐쇄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 외부손잡이(224) 또는 내부손잡이를 조정해서, 스위치(222)가 온상태로 절환되면 완전래치검지스위치(20)가 온상태로 절환될 때 발생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R3)는 통전되어 접점(R3-1)을 정상개방쪽과 정상폐쇄쪽으로 절환하여 개방하므로 릴레이(R2)의 접점(R2-1)은 정상폐쇄쪽으로 복귀된다. 즉, 모터(22)는 정지되므로 도어의 래칭 동작은 중단된다. 이때 릴레이(R4)가 작동개시하여 모터(2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섹터기어(27)는 그의 원위치로 복귀되고 도어(1)는 반래치위치로 복귀된다.
필요시, 상기 언급한 제1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로킹손잡이 해제장치를 제2변형예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장치는 스위치(222)가 작동될 때 작동기(214)(제13도 참조)가 통전되어 로킹손잡이(216)의 로킹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필요하다면, 제13도의 회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222)를 타이머(TT)와 병렬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222)는 타이머(TT)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조정될 수 있다.

Claims (20)

  1. 차체(2)와 도어(1)를 지닌 자동차용의 도어의 자동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6)를 해방한 완전개방위치, 상기 스트라이커(6)와 반쯤 결합한 반래치위치 및 상기 스트라이커와 완전히 결합한 완전래치위치를 취하도록 피벗지지된 래치판(5)을 지니는 도어록장치(3)와, 상기 래치판(5)과 일체로 접속되어 함께 이동하는 피구동레버(7)와, 원위치와 작동위치를 취하도록 피벗지지되어, 상기 원위치에서 작동위치를 향해 회동될 때 상기 래치판이 상기 반래치위치에서 상기 완전래치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구동레버를 미는 폐쇄레버(14)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통전시 상기 폐쇄레버를 구동시키는 전기구동수단(21 ; 110)과, 상기 래치판의 반래치상태를 검지하는 반래치검지수단(11 ; 112)과, 상기 래치판의 완전래치상태를 검지하는 완전래치검지수단(20)과, 상기 폐쇄레버가 상기 원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원위치검지수단(30)과, 상기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반래치검지수단, 완전래치검지수단 및 원위치검지수단에 의해 출력된 정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31)와,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도어폐쇄방향으로 도어의 반래치위치 근방의 주어진 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전기구동수단, 상기 반래치검지수단, 상기 완전래치검지수단, 상기 원위치검지수단 및 상기 제1제어장치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수단(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31)는, 상기 반래치검지수단(11 ; 112)으로부터 래치판이 반래치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기구동수단(21 ; 110)을 통전시켜 상기 폐쇄레버(14)를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31)는, 상기 완전래치검지수단(20)으로부터 래치판이 완전래치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기구동수단(21)을 통전시켜 상기 폐쇄레버(14)를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31)는 상기 원위치검지수단(30)으로부터 상기 폐쇄레버가 원위치에 잇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전기구동수단(21 ; 110)에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5)은 주어진 시간내에서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타이머(T)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5)은, 상기 도어가 도어폐쇄방향으로 도어의 반래치위치인 다소 불충분한 위치까지 이동할 때 단시간동안 온상태로 절환되는 도어센싱스위치(3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5)은, 상기 차체(2)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센싱스위치(34)가 온상태로 절환된 때 상기 타이머의 시간계수동작을 개시시키는 제2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도어쪽에 장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는 제1접속부품(38)과 상기 차체쪽에 장착된 제2접속부품(39)을 지녀 상기 도어가 그의 반래치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접속부품과 제2접속부품이 결합해서 그들간의 전기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된 전기접속장치(3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품(38, 39)은 각각, 2개의 평행한 관통구멍(42)이 형성된 부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구조체(40, 41)와, 상기 각 구멍(42)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된 접촉핀(43, 44)과, 상기 각 접촉핀을 대응하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되도록 부세시키는 부세수단(45)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품(38, 39)은, 상기 도어가 상기 반래치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1접속부품의 접촉핀의 돌출부가 상기 제2접속부품의 접촉핀의 돌출부와 탄성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품(38)은 상기 반래치검지수단(112)쪽에 설치되고, 상기 반래치검지수단(112)은, 상기 제1접속부품의 상기 접촉핀(43)중 한쪽 접촉핀의 후단면에 그의 개구부가 대면하도록 상기 베이스구조체에 고정된 원통형 케이스(116)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된 접촉핀(118)과, 상기 접촉핀(118)을 상기 접촉핀(43)의 후단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부세시키는 부세수단(1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31)는, 도어의 반래치위치가 검지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소정시간내에 상기 래치판이 완전래치상태로 되지 않을 경우 상기 폐쇄레버를 원위치로 강제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되는 타이머(TT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통전시 로킹손잡이(116)를 로킹 및 언로킹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전기작동기(214)와, 상기 전기작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제어장치(21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가 동작을 개시한 때에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램프(218) 및 버저(220)중의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31)는, 상기 완전래치검지수단(20)과 병렬로 배치되어, 도어외부손잡이(224) 또는 도어내부손잡이의 수동조작에 응해서 작동되는 스위치(2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구동수단(21)은, 역회전가능한 전기모터(22)와, 상기 전기모터에 접속된 감속기(24)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23)상에 배치된 피니언(25)과, 상기 피니언과 작동적으로 결합하는 섹터기어(27)와, 상기 섹터기어와 상기 폐쇄레버사이에 뻗은 와이어(1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래치검지수단(11 ; 112)은, 상기 도어록장치(3)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판과 함께 움직이는 개방레버(10)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래치검지수단(20)은, 상기 폐쇄레버(14)의 일부분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검지수단(30)은, 상기 전기구동수단(21)의 일부분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KR1019890000635A 1988-01-21 1989-01-21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KR930007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9527 1988-01-21
JP952788A JPH0739783B2 (ja) 1988-01-21 1988-01-21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21963288A JPH0739784B2 (ja) 1988-09-03 1988-09-03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63-219632 1988-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21A KR890011721A (ko) 1989-08-22
KR930007480B1 true KR930007480B1 (ko) 1993-08-11

Family

ID=2634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635A KR930007480B1 (ko) 1988-01-21 1989-01-21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24B1 (ko) * 2007-06-26 2008-03-12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721A (ko) 198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8074A (en) Automatic door latching system
JP3656787B2 (ja) 車輛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505445Y2 (ja) ドアロックのハ―フラッチ及びフルラッチ検知装置
JPH0747585Y2 (ja) 自動ドア開扉装置
KR100236695B1 (ko) 슬라이드식 도어의 개폐 장치
JP6458946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3777270B2 (ja) 車両用扉のクロージャー装置
GB2287280A (en) A latch power supplying apparatus with contact detecting means
KR9300074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자동래치장치
JP4412590B2 (ja) 自動車用自動閉扉の制御装置
JPH0739783B2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2001280002A (ja) 車両用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JP356531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H0949356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のロック装置
JPH0739784B2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2594886B2 (ja)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装置
JP2864446B2 (ja) スライド式ドア用自動閉扉装置
JP2896301B2 (ja) スライド式ドア用オートクローズドアロック装置の電源コネクタ
JP2594883B2 (ja) スライド扉用自動閉扉機構の給電方法
JPH07279514A (ja) 車両ドア用自動閉扉装置
JP2512632Y2 (ja) 自動ドア閉止装置
JPH0746697Y2 (ja) 自動ドア閉止装置
JP2583477B2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JPH082381Y2 (ja) 自動ドア閉止装置
JP2588070B2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