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505B1 - 유압식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505B1
KR930002505B1 KR1019850000169A KR850000169A KR930002505B1 KR 930002505 B1 KR930002505 B1 KR 930002505B1 KR 1019850000169 A KR1019850000169 A KR 1019850000169A KR 850000169 A KR850000169 A KR 850000169A KR 930002505 B1 KR930002505 B1 KR 93000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ydraulic
actuator
accumula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367A (ko
Inventor
에이치. 로스만 알란
Original Assignee
에이치. 로스만 알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로스만 알란 filed Critical 에이치. 로스만 알란
Publication of KR85000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14Energy-recuperation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식 승강장치
제1도는 원동기가 가역 작동식이고 작동기가 통상적인 칸 승강(car-lifting) 실린더로 되어있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승강장치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
제2도는 작동기가 견인 실린더로 되어있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hoist)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제1도와 유사한 회로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회로에 다같이 사용되는 동력 적분기 부분의 개략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제1종측구간(A)에 부합되는 정렬부를 3A-3A로, 제3도의 계2종측구간(B)에 부합되는 정렬부를 3B-3B로 도시한 제3도의 선 4-4에서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5-5에서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원동기가 단방향 작동식인, 제1도의 유압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힌 제1도와 유사한 회로도.
제7도는 유압 모터를 통해 화물을 견인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0 : 승강기 칸, 11 : 피스톤,
14 : 축압기, 18, 95 : 회전 유채 이송장치,
21, 22 : 유체연결 포트, 26 : 유압작동기,
30 : 밸브, 37 : 배수조,
45 : 용기, 50 : 제어 회로,
51 : 제어 라인, 60 : 붇,
61 : 풀리, 71, 71' : 단부판,
74 : 회전자 축, 75 : 회전자.
본 발명은 유압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용량 내에서 변화되는 하중을 간헐적으로 수직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유압식 크레인, 지게차와 같은 유압식호이스트(hoist) 및 유압식 승강기 등에서 볼 수 있다.
통상적인 크레인 및 호이스트에서는 사용할 승강장치에 설계 용량에 따라 단일 디젤엔진 또는 다양한 전동모터중의 하나를 사용하고, 원동기의 정격 동력은 시스템의 최대 하중비를 확실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어림잡아 선택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시스템에는 기어박스, 감속기, 견인 드럼 및 안전 제동기가 필요하다. 예컨대, (lm/sec로) 1톤의 견인 능력을 갖는 크레인의 원동기는 15마력이 되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1m/sec) 10톤의 견인 능력을 갖는 크레인의 원동기는 150마력이 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진동모터 구동식 승강기는 견인 승강기로 알려져 있다, 이 승강기는 승강기 축(shaft)상단부에서 구동활차(sheave)의 한쪽에 승강기칸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구동활차의 다른쪽에 승강기 칸의 중량을상쇄할 수 있도록 설게된 평형추를 동일한 케이블에 메달아, 이론적으로 원동기가 장치의 활하중 까지의 하중을 작동시킬 수 있을 만큼의 동력만 공급하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승강기에서는 정지 상태에서 빠른 초기 가속을 얻기 위해서 비교적 높은 전류 용량이 필요하게 되므로 원동기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커지게 되는데, 즉 초기 가속 후에 하중을 설계 운행속도로 운행시키기 위해서는 3배의 용량이 필요하다.
이와는 반대로, 통상적인 유압 승강기 칸은 승강기 축의 하단부 밑에 있는 긴 실린더 내에서 작동되는 긴수직 구동 피스톤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견인 승강기에서 사용하는 평형추를 사용하지 않는다.승강기 칸을 상향이동시키는 원동기는 전동모터이며, 이는 펌프를 구동시켜 배수조로 부터 유압 유체를 끌어올려 적절히 제어되는 밸브수단을 통해 유압 승강 작동기의 헤드단에 유입시켜 승강기을 상향이동시키고 승강기 칸의 하향이동은 실린더의 헤드단으로 부터 유체를 적절히 제어되는 트로틀형 유동 연실기내의밸브수단을 통해 배수조로 배출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원동기의 동력은 속도 및 초기가속이 설정된 상태에서 장치의 최대 하중을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항상 갖추어야 한다.
1883년 베일리(BaileyT)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269, 994호에는 장치의 하중 위치설정 유압 실린더상의 평균 활하중에 기초하여 유압 축압기가 회전펌프 구동식 유압 승강기 장치의 평형추 역할을 하도록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베일리의 시스템은 축압기과 하중 위치설정 실린더 사이에서 사용하는 가역구동 기어펌프를 통한(시스템 밖으로의)돌이킬 수 없는 누설이 발생되어, 승강기 칸이 상승된 층 높이의 수준에서 확실하게 정지하게 되면, 베일리 기어펌프 양측면에 있는 두개의 차단밸브를 폐쇄하여야 하며, 베일리의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펌프를 고정시키는 제동기는 피할 수 없는 누설에 의해 승강기 칸을 고정시키지 못한다. 더우기, 베일리의 명세서에는 누설에 의해 손실된 유압 유체를 보충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도 기재되어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어진 장치 하중 용량에 대해 원동기 동력을 매우 경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전기한 특징을 갖는 개선된 유압식 승강 위치설정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된 하중 높이에서 하중을 고정할 수 있어서 보조 제동장치 및 차단장치가 필요없는 완전한 유압식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유압식 승강기 장치의 경우에 신규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장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승강기 칸 및 각 층의 승강대에 있는 층 지시 버튼과 같은 통상적인 전기 제어기에도사용할 수 있고 각 층 바닥으로부터 매끄러운 가속 및 각 층 바닥으로의 감속을 포함하는 다단 속도 작동이가능한 유압 제어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히 크레인 및 이와 유사한 호이스트 장치의 경우에 장치의 견인 용량내에서 하중의 순간적인 변화에 관계없이 하중의 높이 및 하중의 승강 속도를 단일 레버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압식 호이스트 장치를 마련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개괄적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초기 제조를 경비를 절감하고 작동 경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고유 특성을 갖는, 전기한 목적에 부합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목적들은 본인이 그 용어를 정의하는 동력 적분기(power integrator)를 충전된 유압 축압기와 하중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기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으며, 이동력 적분기는 부가해서 원동기와의 연결부를 가지며, 축압기의 가압 충전상태는 작동기상의 선택된 평균하중의 수준에 완전히 부합되도록 설정된다. 유압 회로에 체크 밸브를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며, 동력 적분기와 축압기 사이에 하나의 파일로트(pilot)작동식 체크밸브(check valve)가 위치하고 동력 적분기와 하중작동기 사이에도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가 위치한다.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는 다른 체크 밸브와협력하여, 동력 적분기의 선택된 제어 상태 또는 그를 통해 결정되는 바에 따라 가압하의 유압 유체를 축압기로 부터 하중 작동기로 또는 그 역으로 자동적으로 이송시킨다. 체크 밸브 장치는 동력 적분기의 회전과 연관되어 있는 펌프작동과 협력하여, 배수조로부터 적절한 양의 유체를 끌어올리고 파일로트 작동식 기능으로 이를 이송시키는데, 즉 상기 장치는 배수조의 기능적 중요성을 최소로 하면서 장치의 용량 내에서 하중의 제어된 승강시에 수반되는 축압기로부터 또는 축압기내로 가압된 유압 유체를 이송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최대로 보존할 수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는 다양한 원동기 및 하중 상태에 따른 여러 실시예와, 수동 작동식 제어 및 원격 작동식 전기 제어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기재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동력 적분기는 두개의 이격된 유체연결포트와 외부로 부터의 접근이 가능한 축 연결부를갖춘 내재된 회전자를 갖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이며, 위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회전"이란 표현은 회전자 축의 회전이 한쪽 포트를 통해 유압 유체를 유입시키고 다른 포트로는 배출시키는 기어 펌프 및 활주 날개 장치, 축방향 왕복운동 펌프 및 반경방향 왕복운동 펌프와 같은 공지된 회전펌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와같은 "회전"장치는 유압 유체 흐름을 제공하고, 유압 유체의흐름에 대한 외부 입출력 토오크 대응력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을 유압식 승강기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여기에서 승강기 칸(10)은복수개의 층에 정지시킬 수 있는 높이를 갖는(도시되지 않은) 수직축의 레일에 의해 적절히 안내된다. 통상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승강기 칸(10)은 긴 램(피스톤, 11)의 상단부 및 실린더와 같은 유압 승강 작동기(12)를 통해 밑으로 부터의 수직 이동력 및 정지력을 공급 받으며, 그에 사용되는 가압 유체는 유압 승강작동기(12)에 연결된 라인(13)을 통해 공급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것과 유사한 유압 구동 및 제어에 관한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층전된 유압 축압기(14)는 평형추 역할을 하게 되며, 라인(13)을 봉해 유압 승강 작동기(12)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승강기 칸(10) 및 피스톤(11)의 시하중(dead weight)과, 제로 상태의 활하중(live weight)과 최고 활하중의 중간, 대개는 최고 활하중의 1/2을 합한 상태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특히, 축압기(14)로 유체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배출하는 라인(15)는 밸브(16, 17)중의하나 또는 다른 밸브의 파일로트 작동식 개구부가 없는 경우에 축압기(14) 및 유압 승강 작동기(12)로부더유체 흐름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밸브(16, 17)을 거쳐 유압 승강 작동기(12)로 유체를공급 또는 그로부터 배출하는 라인(l3)에 연결되며, 동력 적분기로서 작용하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각각의 체크 밸브(16, 17)에 연결된 라인(15', 13')사이에 설치된다.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라인(l5', 13')이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유체 연결 포트(21, 22)를 가지며, 중간에 위치한 회전자는 가역 전동모터와 같은 원동기(24)에 연결되는 외부로 노출된 축 연결부(23)을 갖는다. 제1도의 화살표로 도시되고 제2도 및제3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술하는 것처럼 회전 유체 이송장치(제1도에서 유압식 승강기에 사용됨)는 가변 유량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량의 변화는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술하는 바와같이유압 작동기(26)의 피스톤 이동을 유발시킨다.
현 단계에서, 각 체크 밸브(16, 17)의 파일로트 개구부는 단일 작동 압력에 감응하는 형태인 것이 좋다. 따라서, 라인(27)은 체크 밸브(16, 17)의 각각의 파일로트 사이의 평행 연결을 형성하고, 제어라인(28)내의 충분한 유압이 존재하게 되면 체크 밸브(16, 17)을 정상 폐쇄 상태로부터 이동시키게 한다. 라인(28)제어 연결부는, 라인(28)내의 가압 유체를 배수조(31)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지만 솔레노이드로 작동될 수 있어서 회전 유체 이송장치 포트 라인(15', 13')내의 압력 유체를 라인(28)을 통해서 통과시켜서 양 체크 밸브(16, 17)을 동시에 파일로트 구동식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30)을 포함하며, (29)에서 밸브(30)에 후방끼리 연결된 분리된 체크 밸브(32, 33)은 전술한 파일로트 작동 연결 라인(28)의 연계성을 보장하게 된다.
저장조 또는 배수조(37)로부터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각 포트(21, 22)에 연결되는 분리된 라인(38, 39)에있는 다른 두개의 체크 밸브(35, 36)은 원동기(24)의 초기 구동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 유체 이송장치로의 초기 유체 공급을 확실하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각 체크 밸브(35, 36)은 배수조(37)로 배출되는 어떠한 흐름도 차단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분리 조절식 트로틀링 오리피스(41, 42)는 승강기 칸(10)의 가속 및 감속을 부드럽게 해주며, 솔레노이드밸브(43)의 작용으로 캠 작동식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층으로의 발착이 부드러워지는데,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 및 그 작동상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제1도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제 가변 유량 회전 유체 이송장치(18)과 원동기로써(양방향으로의 작동이 가능한)가역 전동모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의 회로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승강기 칸(10), 그에 수용된 하중 및 피스톤(램, 11)이 체크 밸브(17)을 폐쇄하는 라인(13)의 램 압력에 의해 특정 층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하면, 가압 충전된 가스(질소)의 부하는 상용의 용기(45)로부터 트로틀 밸브(46) 및 체크 밸브(47)을 통해 유압 유체의 적정 체적 이상으로 축압기(14)의 상단으로 공급되며, 이 가스압은 체크 밸브(47)에 의해 그리고 폐쇄된 체크 밸브(16)에 의해 차단 및 고정된 축압기의라인(15)에 의해 유지된다. 특정층 높이에서 활하중이 번화하여도, 체크 밸브(16)에 대한 축압기의 압력 및체크 밸브(17)에 대한 램의 압력은 거의 비슷하며, 활하중이 평균치보다 클 때에는 체크 밸브(17)에서의 압력이 약간 높고 활화중이 평균치보다 작을때에는 체크 밸브(16)에서의 압력이 약간 높다. 이와는 반대로, 첫째, 라인(28)의 파일로트 작동 압력이 배수조(31)로 배출되어 밸브(30)이 정상 상태(정지상태)가 되고 작동기(26)의 압축된 스프링이 회전 유체 이송장치 제어기(25)를 거의 영(zero)체적비로 복귀시킴으로써 체적비를 제어하는 유압 작동기(26)의 유체가 배수조(31')으로 배출되어 밸브(43)이 정상상태(정지상태)가 되며, 둘째로, 도시되지 않은 배출 연결부를 통해 배수조(37)로 누설되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축 밀봉부에서의 피할 수 없는 소량의 누설로 인해 라인(15', 13')의 파일로트 작동 압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체크밸브(16, 18)의 반대측 압력이 해제된다.
이제 승강기 칸(10)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상승되는 경우에 대하여 고찰해본다. 승강기 칸을 상승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전기 제어회로(50)을 사용하는데, 이는 승강기 칸 발착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있어 적절한 방향의 여기력을 상승 제어라인(51)을 통해 모터(24)에 공급하여,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이 유압유체를 포트(21)로 흡입하여 포트(22)로 배출시키는 저체적 펌프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펌프 작용에 포함되는 흡입력은 즉각적으로 잠시동안 라인(38) 및 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35)를 통해 배수조(37)로 부터 끌어 올려지는 유압유체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라인(13', 15')가 이미 충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잠시동안만 계속되고 유입된 유체의 양도 소량이 되어, 이 증가된 유압 유체는 라인(13r)을 통해 파일로트 작동 압력을 신속히 증가시키게 되며, 동시에 제어회로(50)은 라인(53)의 솔레노이드 작동신호를 밸브(30)으로 공급하여 라인(13')내의 파일로트 작동 압력이 라인(28, 27)을 통해 양 체크 밸브(16, 17)에 이송되어 양체크 밸브(16, 17)을 개방시킨다. 체크 밸브(16)이 부분적으로만 개방되어도 전 축압기 압력을 라인(15')으로 유입시켜 체크 밸브(35)를 폐쇄시키고 축압기 압력을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포트(21)에 공급하며, 마찬가지로 체크 밸브(17)이 개방되기 시작하면 전체 램(하중)압력이 라인(13')에 공급되어 체크밸브(36)을 졔속 폐쇄시키고 램 압력을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포트(22)로 공급한다.
모터인 원동기(24) 및 밸브(30)이 작동되면, 양 체크 밸브(16, 17)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포트(21)이즉시 축압기 압력과 동일하게 되고 포트(22)는 즉시 램 압력과 동일하게 된다. 승강기 칸(10) 및 그 내부하중의 상승 과정 중에 유압 유체를 축압기로부터 램 유압 승강 작동기(12)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원동기(24)가 계속 회전된다. 승강기 칸(10) 내부의 활하중이 평균치보다 작은 경우에, 포트(21)에서의 축압기압력은 포트(22)에서의 램 압력을 초과하여 축압기 압력 만으로도 승강기 칸(10)을 상승시키기에 충분하며, 이 경우에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회전자에 가해지는 유체 이동은 토오크력을 발생시켜 원동기(24)가 상당한 양의 전기에너지를 공급 그리드에 복귀시키는 발전기 역활을 한다. 한편, 활하중이 평균치보다 크게되면, 원동기(24)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에서의 펌프작용을 위해 계속 원동기 역활을 하여 포트(2l)에서의 입구 축압기 압력을 포트(22)에서 수준보다 높게하며, 축압기로부터의 유압 유체를 램 유압 승강 작동기로 공급한다.
원동기(24)의 기동시에,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저체적비로 설정되어 있고 작동기(26)내의 유체는 배수조(31')으로 배출된다. 이는 물론 승강기 칸의 초기 이동속도가(매끄러운 초기 가속을 나타내는) 느린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승강기 칸을 빠른 속도로 운행하기 위해, 모터가 가동되고 밸브(30)이 작동된 잠시후에 설정된 짧은 시간 동안 밸브(43)을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제어 라인(54)를 제어회로(50)에 마련한다.밸브(43)이 작동되면, 측정 오리피스(41)은 작동기(26)을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최대 체적 설정치까지 구동시키는 라인(28)의 축압기 압력비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때에 승강기 칸(10)은 최대 속도로 추진되며 작동기(26)에서의 작동 유체의 유동비는 승강기 칸 속도의 매끄러운 가속을 졀정하는 요소가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원하는 층에 승강기 칸이 도달하게 되면(제어회로에 포함된) 통상적인 스위치 및/또는 해지 장치가 라인(54)의 신호를 중단시켜 밸브(43)을 정지시키고 오리피스(42)에 의해 결정된 비율로 유체가 작동기(26)으로부터 배수조(31')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 경우에 작동기(26)의 압축 스프링이 유체를 배출시키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체적제어 설정치를 전체적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원하는 층에 접근될 때 감속 상태가 부드럽게 되도록 한다.
전술한 승강기 칸(10)의 상향이동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축압기(l4)는 평형추 역할을 하며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회전자 축에 필요한 토오크 또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토오크는 포트(2l, 22)에 순간적인 압력 차이를 형성하게 된다. 원동기(24)에 필요한 동력은 주로 유압 유체(오일)의 최대 유량으로얻어진다. 따라서, 사하중이 1135kg이고 활하중이 2270kg인 통상적인 승강기 칸(10)에 있어서, 밸브(46)에서 조절되는 충전 압력인 축압기 설정치는 측정된 활하중의 1/2무게로 승강기 칸과 균형을 이루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승강기 칸의 최대 속도를 0.61m/sec로하기 위해서, 모터인 원동기(24)의 동력은 최대 7마력이 필요한데, 이는 동일한 하중 용량 및 이동 속도를 갖는 종래의 유압 승강기에 필요한 25마력 모터에비해 매우 경제적이다.
상부층에서 아래층으로 승강기 칸(l0)을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작동 상태는 상향이동에 대해 설명한 사항과 유사하나, 원동기(24)가 제어회로로부터 라인(52)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유체 이송장치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포트(22)로부터 포트(21)로 이동되게 한다. 유압 유체의 증가는 초기에 신속하게 배수조(37)로 부터 라인(39) 및 체크 밸브(36)을 통해 유체를 끌러올려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이 펌프 작용을 하도록 하여 라인(13')에 축압기 압력과 최소한 일치되는 압력을 형성하고, 동시에 라인(53)의 출발 신호는 밸브(30)을 작동시켜 라인(15')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을 라인(28)을 통해 전달되게하여 양 체크 밸브(16, 17)을 파일로트 구동식으로 개방시킨다. 따라서, 램 압력은 라인(13')를 통해 이제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유입포트(22)로 전달되고, 포트(21)은 이를 통해 회전 유체이송장치(18)이 유압유체를 축압기에 복귀시키는 배출구로써 작용한다. 원동기(24)는 포트(21, 22) 사이의 압력차 신호에 따라공급 그리드로 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소모하거나 또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 그리드로 복귀시킨다.
출발 지점에서의 매끄러운 가속과 선택된 층 위치에 도착할 때의 매끄러운 감속에 대해 설명한 상기 사항은 하강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오리피스(41, 42)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체적 용량의 증가 및 감소 조절을 통해서 속도 증가 및 속도 감소 방향으로 작동기(26)의 유동비를 조절한다.
전술한 회로는 피할 수 없는 오일 누출에 의해 그 유압 유체의 양이 서서히 감소하게 되며, 누출된 오일은 중력에 의해 배수조(37)로 복귀한다. 이러한 누설은 그 양이 적거나 또는 속도가 느리더라도 유압 장치에 이를 보층시키는 방법을 마련해야 되며, 이 방법은 시스템내의(도시되지 않은) 유압 수준 감지기로 자동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회로(50)은 라인(52)를 통해 원동기(24)를 하향으로 기동시키는 수단을포함하는데, 상기 수단은 감지된 유체 보충의 필요성과 순간적인 밸브(30)의 작동 불능 상태에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원동기(24)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을 펌프로 작동시켜 감지기가 부족한 유체의보층이 완료된 것을 지시하여 밸브(30)으로 향한 제어 회로가 복구되어 작동되고 전체 장치가 재정비될 때가지 배수조(37)로부러 체크 밸브(36)을 통해 라인(15')으로, 그 다음에 체크 밸브(16)을 통해 축압기로 보충 유체를 공급한다. 적절한 보충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6도를 참조하여 하여 이후에 상술하겠다.
제1도의 회로에 도시된 다른 부품들은 안전과 유지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수동 차단(정지)밸브(55, 55', 55")은 제어 부품을 배수조(37), 축압기(14) 및 램 유압 승강 작동기(12)에서 각각 격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배수조(37)로 향해 수동 작동되는 배출관은 국소 배수조 용기(37', 37")을 통해 (축합기 측) 밸브(56) 및 (램측) 밸브(56')을 통해 가동되며, 압압 버튼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57)은 램 압력을 신속하게 해제시키고 배수조 용기로 유체를 신속하게 유입하여 칸(10)을 비상시에 신속하게 하강시킬 수 있으며, 압력 감응 스위치(59)는 램 유압 승강 작동기내의 감지된 과부하 상태에 응답하여 "작동정지" 명령 신호를 제어회로(50)에 보낸다. 압력 지시기(58, 58')은 축압기 압력 및 램 압력을 계속적으로 표시하며, 압력 지시기(58)은 밸브(46)이 축압기에 가스를 설정된 압력 수준으로 충진시킬 때에도 사용된다. 축압기 압력은 배수조에 연결된 해제 밸브(59')을 통해 해제된다.
제2도는 그 상단부는 현수 풀리(61)이 회전되도록 장착된 붐(60)을 갖는 크레인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유압 승강 작동기(62)는 붐(60)의 밑 부분에 장착되며, 그 피스톤 로드(63)은 위로 연장되어 그 상부단에 있는 다른 풀리(64)를 지탱한다. 로드(63)의 이동 거리는 현수 케이블(65)의 한쪽 단부를 붐(60)의 상단부에 있는 베일(bail) 또는 다른 고정장치(66)에 고정시키고 케이블을 양 풀리(64, 61)주위에 권취하므로써 2배가 되며, 케이블의 현수 단부는 고리(67)에서 종결된다. 고리(67)의 평형추의 이동을 제어하는 유압 제어회로는 라인(13)을 통해 유압 승강 작동기(62)의 추종단에 연결되며, 이는 제1도에 유압 승강기에서 설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한 간만한 크레인 구조에서는 이동을 자동 제어할 필요가 없고 가감속이 필요없기 때문에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되어 있다. 앞서설명한 부품들이 제2도의 크레인을 제어하는데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필요치 않고, 따라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크대로 사용한다.
제2도에 도시한 장치에서는 제1도의 (18)에 해당하는 가변 유량 회전 유체 이송장치를 사용하나, 체적비의 제어는(25')로 표시한 바와같이(서보 보조식으로) 수동 조작하며, 제2도의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18')로 표시하였고 그 수동 조작범위, 즉 영(zero)에서 최대 속도까지의 범위는 호형 간격(68)로 표시되어 있으며, 유압 승강 작동기의 이동 방향은 가역 전동 모터인 원동기(24)의 여기 방향을 선택함으로서 결정된다. 가역 전동 모터의 회전 방향은 속도 제어 레버(25')에 부착되어 있는 선택 스위치(69)로 선택하며, 제2도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스위치(69)로 부터 시작된 점선 연결 상태는 밸브(30)이 모터의 기동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리(67)의 시하중은 크레인 용량의 약 10% 정도이며, 이는 축압기(14)내의 유압 유체의 압력 상태를 조절하는 지시를 발생시켜 유압 승강 작동기의 평형력을 가변 활화중 용량의 약 50% 정도, 즉(사하중에 활화중을 더한)크레인 설정 용량의 55% 정도가 되게 한다.
제1도의 승강기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2도의 크레인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를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통상의 활주 날개식 회전펌프와 매우 유사한 것을 알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은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로 다같이 사용되어야 하며, 가역 전동모터인 원동기(24)의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나 쉽게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하우징 본체(70)에 내장되는데, 이 본체에는 볼트(69)로 본체(70)에 고정되는 착탈식 단부판(71, 71')이 있다. 이격된 베어링(72, 73)은 회전자 축(74)에 이격된 저널지지부를 마련하는데, 상기 축의 한쪽 단부는 밖으로 돌출되어 원동기(24)의 축에 키이 결합되어 있다. 회전자(75)는 (키이 묻힘, 스플라인 결합 또는 단일편으로 단조함으로써) 축(74)에 결합되고, 날개(76) 위치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다수의 반경방향 홈을 갖는다. 하우징 본체(70)의 공동(77)내에는 회전자(75) 및 그 날개(76)을 감싸는 원통형 캠링(78)이 위치하는데, 상기 링(78)은 (제5도에서 볼 때 수평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회전자(75) 및 그 축(74)에 대해 편심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장착상태는 반대 방향으로 평행한 링(78)의 회전면(79)와 하우징 본체 삽입구 상의 대응면(79')을 포함하며 그사이에는 니들 로울러 베어링 요소(80)이 위치한다.
편심 상대는 전체 편심변화 범위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는데, 영(zero)에 가까우나 영은 아닌 최소 체적이송위치와 제5도에 도시한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최대 체적 이송 설정위치인 최대 편심위치 사이에서조절된다. 제1도에 도시한 압력 감응 체적비 유압 작동기(26)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회전 유체이송장치의 특성을 갖는다. 이 작동기는 착탈식 본체 블럭(81)내에서 안내되고, 포트(84)로 유입되는 유압에 따라 캠링(78)과 수평 이동 접촉되는 피스톤(83)을 포합한다 상기 이동은 캠링(78)의 반대 방향 측면에있는 다른 착탈식 본체 블럭(82)내에서 안내되는 슈우를 통해 작용되는 압축 스프링(85)의 탄성 예비부하를극복하고 이루어진다. 제1나사형성 로드(86)을 너트로 체결하여 조절함으로써 캠링(78)의 설정된 최대 체적비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제2로드(87)의 유사한 조절 상태는 캠링(78)의 설정된 최소 체적비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블럭(81, 82)가 본체(70)의 대향된 구멍과 동일한 나사 형성 밀봉 결합부를 갖도록 하여, 특정 설치 상대에 있어서 소정 형태의 공간에 쉽게 부합되도톡 한다.
회전자 축(74)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캠링(78)의 구멍과 연속적으로 접촉되도록 모든 날개(76)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압하는 주압력은 폐쇄 단부판(71)로 형성된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각 포트(21, 22)를 통해 유입된다. 어떠한 주어진 상태에서도 캠링(78)의 구멍의 상부 반원통형 반부에 위치하는 회전자 날개(76)을 가동시키는 주압력은 통로(88)을 통해 포트(21)에서 본체 체결 단부판(7l)내의 반원형 주연부홈(89)내로 공급되는 유체로 마련되는데, 이 홈(89)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 날개(76)의 반경방향 내측단으로 향한 개개의 축방향 통로와 대략 반원형 상부 경간(α)에 걸쳐 매니폴드 연통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회전자 날개(76)이 어떠한 주어진 위치에서 캠링(78) 구멍의 하부 반원통형 반부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주압력은 포트(22)에서 통로(88')을 통해 폐쇄 단부판(71)내의 반대 방향으로 대향된 거의 반원형 주연부 홈(89')으로 공급되는 유체로 제공되는데, 홈(89')은 같은 크기인 반대 방향으로 대향된 거의 반원형 하부 경간(α)에 걸쳐 각 날개(76)의 반경방향 내부단에 압력을 공급하는 개개의 축방향 통로와 매니폴드 연통되어 있다. 적합하게는, 호형 매니폴드 홈(89, 89')의 인접단 사이의 간격(β)는 인접한 날개(76)의 각변위와 대략 일치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홈(89, 89')은 각각 펌프 및 모터 작동 홈(90, 92)와 동일한 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본체 폐쇄 단부판(71)의 상부 호형 홈(90)은 캠링(78)과 반경방향으로 겹쳐지는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축(74)의 회전 경로에서 날개(76)과 접촉되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 포트(21)과 직접 연통되며, 마찬가지 방법으로 본체 폐쇄 단부판(71)의 하부 호형 홈(92)는 캠링(78)과 반경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축(74)의 힉전 경로에서 날개(76)과 접촉되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 포트(2l)과 직접 연통되도록 한다. 포트 슬로트(90, 92)는 축(74)주위로 대향되게 대칭으로 되어 있으며,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경 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중가되며, 축(74)를 포함하는 수평면은 캠링(78)이 편심조절을 위해 전술한 수평 안내 방향에서 볼 때 대칭면이 된다. 주압력을 날개(76)으로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다른 폐쇄 단부판(71')의 축방향 내부면은 훔(89, 89')과 각 정렬을 이루고 호형 경간(α)를 갖는 상부 및 하부 매니폴팅 홈(91, 91^)으로 형성하며, 홈(90, 92)와 각 정렬을 이루고 호형 경간(α)를 갖는 펌프 및 모터 작동 홈(93, 93')으로 형성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캠링(78)의 어떠한 주어진 설정치에서도 포트(21, 22)를 통한 유체 이동 방향에 똑같이 응답한다, 제3도에서 포트(21)에굵은 화살표로 도시한 한쪽 유동방향의 경우에 포트(21)은 홈(90)의 상부 호형 부분에 있는 날개의 유입구역할을 하여 축(74)를 제4도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은 배출측 포트(22)에서는 유압 펌프 역할을 하고 유입측 포트(21)에서는 유압 모터 역할을 한다. 제2도의 포트(22)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반대측 유동 방향의 경우에는 포트(22)가 홈(92)의 하부 호형 부분에 있는날개의 유입구 역할을 하여 축(74)를 제4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상태에서 회전 유체이송장치(18)은 배출측 포트(21)에서 유압 펌프 역할을 하고 유입측 포트(22)에서 유압 모터 역할을 한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포트(21, 22) 사이의 유동 방향과는 관계없이 포트와 포트 사이의 압력차는 증감 되거나또는 제로가 된다. 회전 방향과는 상관없이, 통로(88, 88') 또는 홈(89, 89')은 모든 날개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주압력을 캠링(78)의 구멍과 반경방향 외측으로 접촉되도록 유입시킨다. 또한, 회전 방향과는 상관없이, 캠링의 순간적인 편심 위치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체적비를 결정하게 된다.
제6도의 크레인 호이스트 회로는 제2도의 회로 보다는 더 큰 중량을 취급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나, 다수의 부품은 제2도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였으며, 프라임 표시가 붙은 동인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제6도에 도시한 중량 화물 취급용 장치가 제2도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다른 것은 원동기(24')이 단방향으로서 예컨대 디젤엔진 또는 단방향 전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6도에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유체 보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회전 유체 이송장치(95)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회전 유체 이송장치와 유사하나, 제6도의 장치가 보다 중량의 화물을 취급하고 단방향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회전 유체 이송장치(95)는 예컨대 회전 경사판이 회전축에 대해 적절히 경사져 있어 체적비 만이 아니라 포트(21', 22') 사이의 유동 방향도 조절하여 체적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가변 용량 축방향 피스톤 펌프와 같은 피스톤 작동식 회전 유체배출 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체적비가 회전자 요소의 등속 회전에서 유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가변 용량반경방향 피스톤 펌프를 회전 유체 이송장치(95)로 사용한다. 체적비 조절은 복동식 실린더(26')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위 목적을 위해(비교적 작은 체적 및 낮은 압력으로 배출하는) 비교적 저용량의 보조펌프(96)을 사용하여 배수조(37)로 부터 유체를 끌러올려 유압유체를 공급하고복동식실린더(26')의 작동에 필요한 3위치 선택 밸브(97)을 수동으로 조절하는데 사용한다. 밸브(97)의 중립 위치에서, 복동식 실린더(26')을 통한 어떠한 작동도 일어나지 않으나 밸브(97)이 선택된 단부측 위치에 있게되면 어떠한 압력 유체가 펌프(96)에 의해 공급될 것인가가 결정되어 포트(21')에서 포트(22')으로 완전 체적비로 유체가 이동되도록 고리(67)을 상승시켜 회전 유체 이송장치(95)를 변위시키는데, 이는 축압기(14)로부터 유압 승강 작동기(62)로 유체가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며, 밸브(97)이 다른 단부측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포트(22')으로부터 포트(21')으로 유체가 완전 체적비로 고리(67)을 하강시킴으로써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장치의 유체를 축압기(14)로 복귀 시킨다.
제6도에서, 양 파일로트는 밸브(30)의 작동에 따라 라인(27, 28)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는 동일한 단일 작동압력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이 작동은 원동기의 작동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안전 장치로서, 유압 승강 작동기(62)로 향한 라인(13)의 고장으로 고리(67) 및 그에 따른 하중이 자유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98)이 오리피스(100)에 걸쳐있는 압력 강하에 감응하여 유압 승강 작동기(62)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이동시켜 유압 승강 작동기(62)가 유체의 배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위파라슈트 밸브(99)를 갖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블럭(98)은 유압 승강 작동기(62) 근처에 장착되는 것이 좋으며, 적합하게는 유압 승강 작동기(62)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제6도에서, 다른 유압제어장치와 같이 주 배수조로는 배수조(37)을 사용하며, 모든 배수조의 배수관이 여기에 연결되며, 따라서 전체 장치의 모든 유압 유체가 이곳으로 모여지게 된다. 장치의 전체 유압 유체체적은 축압기(14)내의 유체(A), 유압 승강 작동기(62)내의 유체(B), 배수조(37)내의 유체(C) 및 상기 부품들을 연결하는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한 체적의 소량의 유체(D)를 합한 양이 된다. 배수조(37)내의 유체의 수준은 체적(A), (B) 및 (D)를 합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 합계는 전술한 유압 평형추 장치가 계속 작동할 때는 설정된 수준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배수조(37)에 초기에 주어진 최소 수준 만큼 유압 유체를 공급하고, 이 최소 수준 주위의 여러 수준을 탐지하여 펌프(103)의 모터(102)를 언제 어느만큼 작동시켜 배수조(37)로부터 유체를 끌어올려 이를 라인(104)를 통해 축압기(14)에 보충 공급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위 목적을 위해, 설정된 최대 수준의 감지기와 이에 연관된(적절히 개방되게 조절되는) 전기 스위치를 마련하여 펌프 모터(102)의 여기를 조절한다. 그러나, 도시된 형태에서, 스위치(104)는 상부 수준 감지기(105)로 설정된 최고 수준을 감지할 때 모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시작하고 하부 수준 감지기(106)으로 설정된 최저 수준을 감지할 때 모터구동 신호를 중지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축압기(14)의 압력이 동일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하중 변이가 자동 보충시에 증가 또는 증가되지 않더라도유압 평형추 특성은 아무러한 영향도 받지 않아, 설정된 수준 내에서 체적(A), (B) 및 (D)의 합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제7도의 유압회로는 제6도의 회로와 동일하나, 단지 회전 유압 모터(110)으로 감속수단(111)을 통해 로프 윈치 또는 드럼(112)를 구동시켜 고리(67) 및 그 하중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형태인 것이 다르다. 모터(110)은 고정된 반송 모터이나, 제7도에서 모터(110)을 통과하는 제어 화살표는 모터(l10)이 가변 반소 모터일 경우도 가능함을 나타낸다. 회전 특징의 관점에서 볼 때, 모터(110)은 약간의 누설을 나타내게 되어서 고리(67)을 필요한 높이에서 유압식으로 고정시킬 수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해서 모터(110)에 제동기(113)을 장착하는네 이 장치는 라인(13)에 유체 유동이 없을 경우에 모터(110)의 축을 자동적으로 고정시키지만 저용량 펌프(96)에 의해 제어라인(114)에 작동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즉 펌프(96)이 작동 됨에 따라 제동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 라인(114)는 자동 파일로트 밸브(115)를 제7도에 도시한 위치로 변위시키고, 여기에서 제동력 해제 압력은 제동기(113)에서 작용된다. 라인(114)의 유압 회로에 압력이상이 발생하면 펌프(96)의 출구압력이 영(zero) 상태로 떨어지게 되어 밸브(115)가 스프링 작용으로 배수조(37)로 향한 배수정지 해제위치로 이동되고, 밸브(l15)의 배수조로 향한 트로틀링 오리피스는 라인(114)의 회로에 전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제동기(113)의 제제동 상태를 상당한 정도로 완층시키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을 고리(67) 및 그에 따른 화물을 상승시키는 유압 모터에 적용할 경우에, 장치 내의 유압 유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도 도시하였다. 위 목적을 위해, 모터(110)은 연결라인(116)으로 고리를 전체 설계 상승 구간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모터(110)에 필요한 유체의 체적 만큼의 용량을 갖는 특정 국소배수조(117)에 연결되며, 유체는 고리 및 그 하중이 제어된 하강을 할 때 배수조(117)로부터 자동적으로 끌어 올려져 결국 축압기(14)로 복귀하여 보존되게 된다. 그러나, 모터(110)에 누설이 발생되기 때문에 작동중에 국소 배수조(1l7)로 배출되는 유체는 고리(67)을 완전히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양보다 많아지게 된다.이 경우를 실제로 가정할 때, 배수조(117)은 배수조(118)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고리를 완전히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액체의 양을 초과하는 액체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시 수집하여 배수조(37)로 복귀시킨다. 초과되는 양의 액체가 배수조(37)로 복귀되기 때문에 시스템 내의 액체는 부족하지 않게 되며, 이 유체는 장치의 액체 저장 공급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6도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축압기(14)로 복귀되는 자동 보충 과정을 구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7도에는 배수조 액체를 끌어올리기 시작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체그 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체크 밸브(35, 36)은 전술한 바와같은 기능을 하나, 부가된(저용량) 체크 밸브(35, 36)은 펌프(96)이 배수조(37)의 연결라인으로 부터 라인(15', 13')에 고압이 존재하는 것에는 상관없이 액체를 직접 끌어올릴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끌어올려져 공급된 유체는 제어 밸브(97)을 즉시 회전 유체이송장치(95)이 체적비 설정상태로 가동시켜, 전술한 바와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설취할 수 있으며, 설치비를 매우 절감할 수있고, 유압 승강기 및/또는 크레인 및 다른 호이스트 장치의 작동 및 유지 경비를 절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한 범위내에서 유압 평형추 장치 내에 유체를 완전히 보존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자동 보충을 확실하케 하여 장치의 설계 하중, 속도 및 이동을 연속적이고 학실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특정 회전 날개형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유압 승강기 및 소형에서 중형까지의 크레인 및 호이스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부품들은 구조가 간단하고 관통 볼트(69')만 제거하면 수리 및 교환이 매우 쉽게 된다. 단일 밀봉 0링(94, 94')은 본체(70)과 단부판(7l) 사이 그리고 본체(70)과 단부판(71') 사이의 경계면에 모두 필요하며, 피스톤 및 압축 스프링 블럭(81, 82)는 가역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같은 특정 설치 조건을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이 장치는 축(74)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그리고 펌프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터로 작동되는가에 관계없이 자체 기동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의 승강기 또는 크레인에 농형 감응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양 포트 사이의 모터의 구동 압력차는 축 제동 토오크를 발생시키며, 이는 모터가 초동기 방식으로 구동되어 공급 그리드에 에너지를 다시 복귀시키게 된다. 예컨대, 위 특징을 갖는 60Hz 4극 모터는 정상적인 동기 상태의 무부하 회전 속도가 1800rpm이나, 모터가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에 토오크를 공급할 때는약1725rpm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양 포트 사이의 압력차가 모터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정도가 되면, 모터는 유압에 의해 1875rpm정도로 회전되고, 이 경우에 초동기 상태가 되어 그리드로 에너지를 복귀시키게 된다.
현 상태에서 본 발명의 하중 범위와 이동 범위 및 속도 범위등의 극한 한계, 평균등은 본 발명을 사용한 경험이 적어서 설명하기가 어렵다. 마찬가지로 축압기 체적의 유압 승강 작동기 행정 또는 모터 체적에 대한 비를 나타내기도 어렵고, 축압기의 가스가 충전된 체적의 액체 체적에 대한 비도 나타내기가 어렵다. 그러나, 축압기의 체적이 구동 단부 행정 체적의 8배 내지 10배가 되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장치 내에 유지되어 축압기(l4) 및 이에 연결된 작동기(12, 62 또는 110, 117)에 내장된 전체 액체의 체적은 연결된 작동기의 체적에 (예를 들어 10%인) 소량의 비율을 더한 값을 크게 넘지 않게 되면 축압기의 부유구가 모든 작동 상태에서 정상 작동을 할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Claims (35)

  1.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축압기(14)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18, 95)의 하나의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축압기로 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12, 62)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 (18, 95)의 다른쪽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기로 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축으로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원동기(24, 24')을 갖는 제어회로(50)과, 상기 체크 밸브로의 파일로트 작동 압력 라인을갖고 상기 원동기의 회전에 감응되는 수단(53, 30, 28, 27; 54, 43, 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24)가 가역 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24')이 단방향 형태이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 축의 회전 방향과 그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 사이의 관계를 가역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24')이 단방향 형태이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 축의 회전 방향과 그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 사이의 관계를 가역적으로 할 수 있으며, 원동기가 디젤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24)가 단방향 형태이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이 그 축의 회전 방향과 그를 통과하는 이동 방향 사이의 관계를 가역적으로 할 수 있으며, 원동기가 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 축의 회전과 그를 통한 유체의 유속 사이의 속도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7. 제l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 축의 회전 방향과 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사이의 속도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원동기가 등속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유체 이송장치가 그를 통과하는 유압 유체의 유동비를 변화시키는 유압 작동기(26)과 같은 수단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 축의 회전 방향과 그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사이의 속도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원동기가 가변 출력을 낼 수 있고 상기 회전 유체이숭장치가 그를 통과하는 유체를 고정 체적비로 통과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가, 유압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배수조(37)과, 체크 밸브(35)를 포함하고 배수조와 상기 한쪽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체크 밸브(36)를 포함하고 배수조와 상기다른쪽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배수조 연졀부의 체크 밸브는 배수조 방향으로의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양 포트(21, 22)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방향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유체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의 양 포트(21, 22)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방향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유체 용량을 가지며, 상기 회전자가 활주 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양,포트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동 방향과는무관하게 동일한 유체 용량을 가지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상기 회전자 축 주위에서 그에 결합된 다수의 반경방향 왕복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양 포트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동 방향과는무관하게 동일한 유체 용량을 가지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회전자(75)의 축 주위로 원주상으로 격설된 평행축 위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다수의 피스톤(83)과 상기 회전자로 반송되어 피스톤의 이동을 상기 회전자의 회전과 연동시키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양 포트가 그 장치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동방향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유체 용량를 가지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회전자(75)의 축과 교차되도록 경사진 중심대칭축 주위에 원주상으로 격설된 평행축 위에서 축방향 왕복 운동을 하도록 된 다수의 피스톤과 회전자 축주위로 상기 피스톤을 원주상으로 배열하도록 상기 회전자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승강 작동기(62)가 견인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승강 작동기가 회전 유압 모터(110)이고, 배수조(118, 37)은 상기 유압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배출되는 유압 유체를 수용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조 및 이에 연결된 모터는 상기 유압 모터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작동기를 통해 유압 승강기가 완전히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모터를 통해 유체를 복귀시키기에 충분한 체적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승강 작동기가 회전 유압 모터(110)이고, 배수조(118)은 상기 유압 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배출되는 유압 유체를 수용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조 및 이에 연결된 모터는 상기 유압 모터의 다른 방향의 회전시에 상기 작동기를 통해 유압 승강기가 완전히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모터를 통해 유체를 복귀시키기에 충분한 체적 용량을 가지며, 상기 유압 모터가 그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동기(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유압 모터로 또는 그로부터 제어 유동이 전혀 없는 동안에 상기 제동기를 제동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유압 모터로 또는 그로부터 제어 유동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동기를 해제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승강 작동기가 회전 유압 모터(110)이고 배수조(118)은 상기 유압 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배출되는 유압 유체를 수용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조 및 이에 연결된 모터는 상기 유압 모터의 다른 방향의 회전시에 상기 작동기를 통해 유압 승강기가 완전히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모터를 통해 유체를 복귀시키기에 충분한 체적 용량을 가지며, 상기 유압 모터가 그의 회전을저지하는 제동기(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유압 모터로 또는 그로부터 제어 유동이 전혀 없는 동안에 상기 제동기를 제동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유압 모터로 또는 그로부터 제어 유동이 형성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동기를 해제상태로 작동시키며, 상기 원동기(24')이 단방향 작동 형태이고,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제동기를 작동 및 해제시키는 독립된 유압 회로와 상기 원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독립된 유압회로에 작동 압력을 공급해주는 보조 펌프(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가 고정된 사하중 및 가변 활하중으로 구성된 하중 용량을 갖고 있고, 상기 축압기의 압력 수준은 활하중이 제로 활하중 상태와 최대 활하중 상태 사이의 선택된 수준에 있을때 상기 양 포트에서의 유압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승강장치의 균형을 맞추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가 고정된 사하중 및 가변 활하중으로 구성된 하중 용량을 갓고 있고, 상기 축압기의 압력 수준은 활하중이 제로 활하중 상태와 최대 활하중 상태 사이의 선택된 중간 수준에있을때 상기 양 포트에서의 유압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승강장치의 균형을 맞추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중간 수준이 상기 최대 하중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1. 설정된 작동 경간을 갖는 유체 보존 유압 호이스트 작동기와, 유압 축압기와, 각각 상기 작동기 및 상기 축압기에 연결된 제1 및 제 2 포트를 갖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
    (95)와, 상기 작동기로의 포트 연결부에있는 제 1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과(16)
    과, 상기 축압기로의 연결부에 있는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밸브(17)과, 상기 회전 수단으로 연결된 원동기 연결부와 상기 체크 밸브들의 파일로트를 작동시키도록된 원동기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 및 축압기 내에 저장된 유압 유체의 체적이 상기 작동기를 상기 작동경간 이상으로 작동시키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압기의 체적은 상기 유압 유체의 체적을 초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압기는 가스 압력하에 상기 작동기 상의 사하중 상태를 초과하는 하중과 균형을 이루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체크 밸브는 상기회전 유체 이송장치로 향하는 유동 방향을 차단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그를 통과하는포트와 포트 사이의 유체 유동에 대해 비틀림식으로 감응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작동기가 견인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작동기가 유체 보존 배수조(118)이 있는 회전 유압 모터(110)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두개의 포트 및 이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포트 사이를 통과하는 유량에 대해 비틀림 감응되는 회전자를 갖고 있고, 작동기 포트 중의 하나는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작동기를 통과하는 포트와 포트 사이의 유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조로 또는 그로부터 유체를배출 또는 유입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118)이 자체 저장되는 유압 유체의 설정된 체적을 초과하는 유체를 상기 배수조로 역류시키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를 통해 역류되는 유체를 수집하도록 연결된 배수조(37)과, 상기 축압기로 가압된 유체를 재순환 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조로부터 유체를 끌어올리도록 연결된 펌프(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25.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졀부를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가 그를 통하는 포트에서 포트로의 유동 방향을 가역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밸브(97)을 가지며, 상기승강장치가, 축압기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하나의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축압기로 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다른쪽 포트사이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기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축 연결부로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단방향 작동식 원동기(24')과, 상기 체크 밸브들의 파일로트들 사이에 삽입된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단일 제어 밸브(30)과 파일로트 작동 압력 공급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 체크 밸브에 연결된 단일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를 갖춘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6.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 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 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가, 축압기(14)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95)의 하나의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축압기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하며 파일로트가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 사이의 연결부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62)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95)의 다른쪽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기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하며 파일로트가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 사이의 연결부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축으로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원동기(24')을 갖는 제어수단과, 상기 체크 밸브의 파일로트들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원동기로 구성되는 펌프(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7.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 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축압기와 유압 유체 배수조(37)의 연결 포트중하나와의 사이에 제1연결부로 삽입되고 파일로트 작동되며 상기 포트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제1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와 유압 유체 배수조(37)의 연결 포트중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제 2 연결부로 삽입되고 파일로트 작동되며 상기 포트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2체크 밸브(17)과, 배수조와 상기 하나의 포트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조 쪽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3체크밸브(35)를 갖는 제3연결부와, 배수조와 상기 다른 하나의 포트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조 쪽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4체크 밸브(36)를 갖는 제4연결부와, 유동 연결 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후미와 후미가 상호 연결된 연결부에서 파일로트 작동 압력 공급원을 마련하도록 위치한 한쌍의 후미와 후미에서 연결된 체크 밸브(32, 33)과 상기 상호 연결부와 제1 및 제2체크 밸브의 파일로트 사이에 작동식으로삽입된 제어 밸브(30)을 포함하는 수단과, 상기 축에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가역 전동 모터인 원동기(24)와 이 원동기와 제어 밸브를 연관되게 작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회로(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8.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 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가, 축압기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하나의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축압기로 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다른쪽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기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축으로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갖는 원동기와 상기 체크 밸브로의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를 갖고 상기 원동기의 회전에 감응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제어회로가 후면과 후면이 연결되어 있고 파일로트 작동 압력을 후미와 후미와의 연결부로 공급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유체 포트에 각각 연졀된 한쌍의 체크 밸브(32, 33)과 상기 후미 대 후미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체크 밸브의 파일로트 사이에 가동적으로 위치한 제어 밸브(30)과 상기 원동기의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 밸브를 개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29. 하중 지지 케이블(65)를 한쪽 단부에서 현수 풀리에 지탱하도록 구성된 긴 본체와, 상기 본체와 고정되며 붐의 연장부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그 후미 단부가 붐의 풀리 단부에 면하여 실질적으로 오프셋되며 유압 승강 작동기를 지나 연장되고 케이블을 통해서 다양하게 상승된 하중을 이동시키기 위해하중 지지 케이블에 견인 이동을 부과하도록 구성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긴 견인 실린더인 유압 승강 작동기(62)와, 붐에 의해 지탱된 회전 유체 이송장치(18')을 갖는 유압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격설된 포트와 이 포트중 하나를 유압 승강 작동기의 후미 단부에 연결하는 제1파일로트작동식 제크 밸브(16)을 갖는 수단과 포트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유압 축압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을 갖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체크 밸브가 회전 유체 이송장치 쪽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자체를 통해서 포트에서 포트로 유동하는 유체에 대해 회전 감응 관계를 갖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인 스위치(69)가 회전 수단에 연결된 원동기와 체크 밸브의 파일로트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원동기 피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이, 유압 승강 작동기에 인접한 붐에 의해 지탱되고 제1체크 밸브를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결시키는 부재를 형성하는 파라슈트 밸브 수단(98, 9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레인 붐.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붐이, 로드(63)의 외향 연장 단부에서 회진하는 풀리(64)와, 하중 지기 케이블을 양 풀리에 팽팽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붕.
  32.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 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축압기와 유압 유체 배수조(37)의 연결 포트중하나와의 사이에 제1연결부로 삽입되고 차단형 파일로트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포트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1체크 밸브(16)과, 승강 작동기와 유압 유체 배수조(37)의 연결 포트중 다른 하나와의 사이에 제2연결부로 삽입되고 차단형 파일로트식으로 작동되며 상기 프트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2체크 밸브(17)과, 배수조와 상기 하나의 포트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조 쪽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3체크 밸브(35)를 갖는 제3연결부와, 배수조와 상기 다른 하나의 포트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수소 쪽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위치한 제4체크 밸브(36)을 갖는 제4연결부와, 상기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에 연결된 단일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와 상기 단일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와 유압 유체의 공급원 사이에 압력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하나의 제어 위치를 갖는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제어 밸브(30)을 모함하는 수단과, 상기 축에 연결된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원동기(24)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밸브가 단일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로의 압력 유체 연통이 차단되고 단일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에서 압력이 해제되는 또 다른 제어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33. 가압 유체 축압기가 유압 승강 작동기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축압기와작동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가 2개의 유체 연결 포트 및 외부로 돌출된 축 연결부를갖는 내재된 회전자를 포함하는 유압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축압기와 회전 유체 이송장치의 하나의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축압기로부터의 유체 이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1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승강작동기와 회전 유체 이중장치의 다른쪽 포트 사이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기로부터의 유체 이동을 차단하도록 위치된 제2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축으로의 토오크 감응 연결부를 갖는 원동기를 갖는 제어 회로(50)과, 각각의 포트로의 분리 유압 연결부(13', 15')을 가지며 상기 체크 밸브의 파일로트를 작동시키는 파일로트 작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승강장치.
  34. 설정된 작동 경간을 갖는 유체 보존 유압 승강 작동기(12)와, 유압 축압기(14)와, 각각 상기 작동기및 상기 축압기에 연결된 제1 및 제2포트를 갖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18)과, 상기 작동기로의 포트 연결부에 있는 제1차단형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6)과, 상기 축압기로의 연결부에 있는 제2차단형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17)과, 상기 회전수단으로 연결된 원동기 연결부를 갖는 제어회로(50)과,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된 파일로트 작동 압력 연결부(13', 15')을 가지며 상기 원동기(24)의 회전에 감응하는 수단을포함하며, 상기 작동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 및 축압기내에 저장된 유압 유체의 체적이 상기 작동기를 상기 작동경간 이상으로 작동시키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압기의 가스 압력하에 상기 작동기 상의 사하중 상태를 초과하는 하중과 균형을 이루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체크 밸브는 상기 회전유체 이송장치로 향하는 유동 방향을 차단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그를 통과하는 포트와 포트 사이의 유체 이동에 대해 비틀림식으로 감응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35. 설정된 작동 경간을 갖는 유체 보존 유압 승강 작동기와, 유압 축압기와, 각각 상기 작동기 및 상기축압기에 연결된 제 1 및 제2포트를 갖는 회전 유체 이송장치와, 상기 작동기로의 포트 연결부에 있는 제1차단형 파일로트 작동식 체크 밸브와, 상기 축압기로의 연결부에 있는 제2차단형 가일로트 작동식 체크밸브와, 각각의 포트 연결부로부터의 분리식 유체 연결부를 가지며 체크 밸브의 파일로트를 작동시키는 파일로트 작동 수단인 밸브(30)과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95)에 연결된 원동기(24') 연결부를 갖는 제어회로와, 상기 장치로 부터 누설되는 유압 유체를 수집하는 수단인 배수조(l18, 37)과, 상기 장치내의 유압 유체의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배출된 유압 유체를 배출 수단으로부터 축압기로 복귀시키는 펌프(103)을 갖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 및 축압기 내에 저장된 유압 유체의 체적이 상기 작동기를 상기 작동경간 이상으로 작동시키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압기의 체적은 상기유압 유체의 체적을 초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압기는 가스 압력하에 상기 작동기 상의 사하중 상태를초과하는 하중과 균형을 이루기에 충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체크 밸브는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로 향하는 유동 방향을 차단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전 유체 이송장치는 그를 통과하는 포트와 포트 사이의 유체 이동에 대해 비틀림식으로 감응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 장치.
KR1019850000169A 1984-01-13 1985-01-12 유압식 승강장치 KR930002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059084A 1984-01-13 1984-01-13
US570,590 1984-01-13
US601,481 1984-04-18
US06/601,481 US4715180A (en) 1984-01-13 1984-04-18 Hydraulic lift mechanism
US601481 1996-02-14
US570590 200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367A KR850005367A (ko) 1985-08-24
KR930002505B1 true KR930002505B1 (ko) 1993-04-03

Family

ID=2707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169A KR930002505B1 (ko) 1984-01-13 1985-01-12 유압식 승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5180A (ko)
JP (1) JPH0794313B2 (ko)
KR (1) KR930002505B1 (ko)
DE (1) DE35007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46B1 (ko) * 2019-10-20 2020-02-05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선박 크레인의 수동 과부하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126A (en) * 1987-02-24 1989-01-31 Dynamic Hydraulic Systems, Inc. Hydraulically operated lift mechanism
US5144801A (en) * 1989-04-28 1992-09-08 Parker Hannifin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actuator system
US5329767A (en) * 1993-01-21 1994-07-19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ydraulic circuit flow control
NL9401264A (nl) * 1994-08-02 1996-03-01 Blok Beheer Bv Hefinrichting.
DE19804204C2 (de) * 1998-02-03 2001-03-22 Tax Technical Consultancy Gmbh Fahrzeug zum Bewegen von Lasten
JP2002519597A (ja) * 1998-06-27 2002-07-02 ブラーン,ラーズ 移動型作業機
FR2782505A1 (fr) * 1998-08-19 2000-02-25 Dominique Raymond Henr Rouzaud Dispositif hydraulique pour manoeuvre d'ascenseur
KR100336353B1 (ko) * 1999-09-30 2002-05-13 장병우 유압 엘리베이터의 오일 주입방법
SE523397C2 (sv) * 2001-05-22 2004-04-13 Bruun Ecomate Ab Mobil hanteringsanordning
DE10128589C1 (de) * 2001-06-13 2003-07-03 Brueninghaus Hydromatik Gmbh Hydrostatischer Antrieb
KR100798038B1 (ko) * 2001-09-24 2008-01-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자연침하 방지 유압시스템
KR100452269B1 (ko) * 2002-03-11 2004-10-12 바이텍산업(주) 에어밸런스 시스템
US8083499B1 (en) 2003-12-01 2011-12-27 QuaLift Corporation Regenerative hydraulic lift system
WO2006002205A2 (en) 2004-06-21 2006-01-05 Cole Jeffrey E Truck assembly for a skateboard, wheeled platform, or vehicle
US7216876B2 (en) 2004-06-21 2007-05-15 Cole Jeffrey E Occupant-propelled fluid powered rotary device, truck, wheeled platform, or vehicle
US7232139B2 (en) 2004-06-21 2007-06-19 Cole Jeffrey E Truck assembly for a skateboard, wheeled platform, or vehicle
US7040638B2 (en) 2004-06-21 2006-05-09 Jeffrey Eaton Cole Occupant-propelled fluid powered rotary device, truck, wheeled platform, or vehicle
JP4667801B2 (ja) * 2004-09-10 2011-04-1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油圧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フォークリフト
US7635136B2 (en) 2005-06-21 2009-12-22 Jeffrey E. Cole Truck assembly for a skateboard, wheeled platform, or vehicle
US7360814B2 (en) 2005-12-02 2008-04-22 Castagno Leo L Interior space expansion system
US20090025379A1 (en) * 2007-07-24 2009-01-29 Parker-Hannifin Corporation System for recovering energy from a hydraulic lift
US8128386B2 (en) * 2008-06-26 2012-03-0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Variable flow pumping system
US8353369B2 (en) 2008-08-06 2013-01-15 Atlas Copco Secoroc, LLC Percussion assisted rotary earth b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10000745A1 (en) * 2009-07-01 2011-01-06 Richard Good Motorcycle lift for car wash
US8413728B2 (en) * 2009-08-07 2013-04-09 Atlas Copco Drilling Solutions Llc Break-out assembly for a drilling machine
US8267378B1 (en) * 2012-02-01 2012-09-18 Allan Rosman Triple cylinder with auxiliary gas over oil accumulator
US8944157B2 (en) * 2012-07-11 2015-02-03 Jacob MAIL Hydro pneumatic lifting system and method
NL2011132C2 (en) * 2013-07-10 2015-01-13 Stertil Bv Lifting system for lif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fting system.
US10029886B2 (en) * 2014-01-23 2018-07-24 Inventio Ag Method and mechanism for releasing hydraulic elevator brakes
CA2947844C (en) 2014-07-08 2018-06-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neumatic-on-top counterbalanced three-chamber cylinder for artificial lift operations
US9631463B2 (en) * 2014-07-08 2017-04-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ccumulator counterbalanced three chamber cylinder for artificial lift operations
CN104454749B (zh) * 2014-12-11 2017-01-18 湘电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大型电动轮自卸车楼梯液压控制集成***
US10472216B2 (en) * 2015-07-17 2019-11-12 Arnco Solutions Railcar vibrator lifter
CN106956996A (zh) * 2017-05-05 2017-07-18 四川泰升液压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提速电梯
JP7182441B2 (ja) * 2018-12-05 2022-12-02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EP4067127B1 (en) * 2021-03-31 2024-06-19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Suspension hydraulic lift actuator for axle trim height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994A (en) * 1883-01-02 Walter m
US2780204A (en) * 1953-12-29 1957-02-05 Harris Seybold Co Hydraulic motive power system
US3238722A (en) * 1963-09-24 1966-03-08 Vsesouzny Nii Str I Dorozhnogo Platform slewing gear of single-motor universal type crane-excavator
US3400636A (en) * 1966-04-12 1968-09-10 Ervin J. Schneider Pneumatic circuit for rapidly transferring fluid under pressure from a work cylinderto a storage tank for subsequent use
US3747351A (en) * 1971-10-22 1973-07-24 Bertea Corp Hydraulic system
US3911677A (en) * 1971-12-28 1975-10-14 British Industrial Plastics Injection moulding machines
FR2194274A5 (ko) * 1972-07-28 1974-02-22 Richier Sa
US3939656A (en) * 1973-02-02 1976-02-24 Inca Inks, Inc. Hydrostatic transmission pump
DE2357182C2 (de) * 1973-11-16 1985-05-23 Mannesmann Rexroth GmbH, 8770 Lohr Verstellbare Flügelzellenpumpe
US3971215A (en) * 1974-06-06 1976-07-27 Marion Power Shovel Company, Inc. Power shovel and crowd system therefor
US3943824A (en) * 1975-01-22 1976-03-16 Deere & Company Hydraulic system
US4008571A (en) * 1976-03-31 1977-02-22 Towmotor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for electric lift trucks
US4111283A (en) * 1976-12-20 1978-09-05 Clark Equipment Company Regulator valve
US4325215A (en) * 1977-03-10 1982-04-20 Teijin Seiki Company Limited Hydraulic apparatus
US4188787A (en) * 1978-06-05 1980-02-19 National Advanced Drilling Machines, Inc. Hydraulic control apparatus
US4259039A (en) * 1979-03-20 1981-03-31 Integral Hydraulic & Co. Adjustable volume vane-type pump
US4341149A (en) * 1979-08-30 1982-07-27 Caterpillar Tractor Co. Selectively actuatable fluid control system for a work element
US4546607A (en) * 1980-11-24 1985-10-15 Hydro-Horse, Inc. Pumping apparatus
US4571941A (en) * 1980-12-27 1986-02-2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power system
US4480963A (en) * 1982-11-22 1984-11-06 Deere & Company Pump swashplate control ass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46B1 (ko) * 2019-10-20 2020-02-05 주식회사 동남티에스 선박 크레인의 수동 과부하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367A (ko) 1985-08-24
JPH0794313B2 (ja) 1995-10-11
JPS60236990A (ja) 1985-11-25
US4715180A (en) 1987-12-29
DE3500726A1 (de) 1985-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505B1 (ko) 유압식 승강장치
US4761953A (en) Hydraulic elevator mechanism
CN101734565B (zh) 起重机卷扬控制***及起重机
EP0652845B1 (en) Procedure for operating an elevator and elevator machinery
CN201321358Y (zh) 起重机卷扬控制***及起重机
US6005360A (en) Power unit for the supply of hydraulic actuators
CN100427771C (zh) 一种液压配重可变的节能液压升降***
CN108946547B (zh) 通过智能卷扬装置提升与释放下降机构的方法
CN105502234B (zh) 可调速大推力液压升降台
CN109231051B (zh) 一种高位绞车安全自锁和远程应急液压***及其操作方法
WO2010094160A1 (zh) 矿用索道液压驱动***
CN101709725A (zh) 一种采用多泵组合技术的井下防爆提升机液压控制***
NO119561B (ko)
CN108083116A (zh) 一种用于起重机的液压控制***
WO2010123378A1 (en) Recycling of energy
CN104495586B (zh) 气动伸缩式电梯
US4686828A (en) Hydraulically operated clamshell device
CN112833060B (zh) 一种云梯车专用平衡阀组、液压控制***及其控制方法
US3036435A (en) Portable builder's hoist
CN114873461A (zh) 一种单轨吊机车起吊梁液压控制***及其工作方法
CN103979388A (zh) 无机房无底坑无障碍电梯
KR101052623B1 (ko) 수문의 제어성능이 향상된 유압 핀잭형 수문 권양기
US2749708A (en) Hydraulic drive for elevators and the like
CA1263287A (en) Hydraulic lift mechanism
CN114278624B (zh) 一种闭式泵控快速起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