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17B1 -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17B1
KR920003117B1 KR1019880017688A KR880017688A KR920003117B1 KR 920003117 B1 KR920003117 B1 KR 920003117B1 KR 1019880017688 A KR1019880017688 A KR 1019880017688A KR 880017688 A KR880017688 A KR 880017688A KR 920003117 B1 KR920003117 B1 KR 92000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dichlorocumene
isomer
dcc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822A (ko
Inventor
분시 야마다
미찌오 기무라
요시오 노구찌
Original Assignee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다 모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다 모리오 filed Critical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00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alogen atom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02Monocyclic aromatic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17/389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on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제1도는 모의 이동베드를 사용하여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연속흡착분리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크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디클로로큐멘의 특정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클로로큐멘, 특히 3,5-디클로로큐멘(이후 "3,5-DCC"라함)은 농화학약품, 의약 및 염료용 중간물질로서 중요하다.
디클로로큐멘은 촉매의 존재하에 디클로로벤젠을 프로필렌 또는 할로겐화 이소프로필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3,5-DCC는 촉매의 존재하에 2,4-디클로로큐멘(이후 "2,4-DCC"라함)의 이성질화에 의해 얻어진다. 2,4-DCC는 m-디클로로벤젠(이후 "m-DCB"라함)의 알킬화에 의해 얻어진다. 결과된 디클로로큐멘의 이성질체 혼합물은 열평형에서 주로 2.,4-DCC와 3,5-DCC를 함유하며, m-DCB의 미반응물질, 2,5-디클로로큐멘(이후 "2,5-DCC"라함)의 부산물, 디클로로디이소 프로필벤젠(이후 "DCDIPB"라함)의 부산물, 및 촉매를 함유한다.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반응혼합물로부터 촉매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고비점을 갖는 미반응 m-DCB와 DCDIPB를 증류에 의해 제거한다. 그러나, 증류에 의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혼합물로부터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에는 그것들의 비점이 서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한다.
그러므로, 앞서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알킬화하여, 이로써 2,4-DCC를 선택적으로 DCDIPB로 전환시키고, 그후 증류에 유리하게 함으로써 3,5-DCC를 분리한다(USP 4,104,315).
그러나, 이와 같이 얻은 3,5-DCC는 여전히 소량의 미반응 2,4-DCC와 부산되는 2,5-DCC를 함유하기 때문에, 3,5-DCC를 브롬화시켜, 이로써 3,5-DCC를 선택적으로 브롬화시키고 증류에 의해 분리 및 정제 할 수 있다(USP 4,087,473).
회수된 미반응 m-DCB와 부산되는 DCDIPB는 앞의 알킬화 공정에 공급되고, 이로써 m-DCB와 DCDIPB는 트랜스 알킬화에 의해 2,4-DCC로 전환되고 재사용된다(USP 4,329,524)
그러나, 같은 반응과 증류가 반복되는 앞의 분리정제방법은 에너지 면에서 경제적 및 공업적 용도에 불리하다.
더우기, 반응의 반복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의 증가를 일으킨다. 종래기술에는 경제적 단점과 생성물의 저품질 둘다에 문제가 남아있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높은 효율로 특정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정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흡착하는 높은 능력을 갖는 흡착제를 사용하여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착제에 흡착된 이성질체를 추방하는 바람직한 능력을 갖는 탈착제를 사용하여 티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목적은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높은 효율로 3,5-DCC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더 이상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충분히 밝혀질 것이다.
이들 목적은 이성질체 혼합물을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이 적어도 2이고 기공도 0.6 내지 1.0㎚인인 제올라이트 흡착제와 접촉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기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디클로로큐멘의 혼합물이며, 이것은 보통 주로 2,4-DCC, 2,5-DCC 및 3,5-DCC를 함유하며 DCDIPB의 부산물을 더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흡착제로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이 적어도 2이고 기공도 0.6내지 1.0㎚인 제올라이트이다.
제올라이트는 3차원 망상구조로 구성되는 결정인데, 이것은 SiO4정사면체와 AIO4정사면체가 산소원자를 공유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결합형태에 따라 제올라이트는 여러종류의 형태의 공극 및 기공로를 갖는다. 이 공극의 입장을 기공이라 부르며 기공은 균일한 유효직경(이후 "기공도"라함)을 갖는다. 이 기공도는 제올라이트의 결정구조 및 AIO4의 마이너스 전하에 대응하는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약간 가변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올라이트는 0.6 내지 1.0㎚의 기공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기공도가 0.6㎚ 미만 또는 1.0㎚ 이상이라면,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는 흡착분리에 의해 분리될 수 없다.
더욱이, 본 발명에 사용된 제올라이트는 적어도 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의 실리카/알루미나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이 2미만이라면,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는 흡수분리에 의해 분리 될 수 없다.
어떤 제올라이트든지 이들 특성을 가질 때, 즉, 적어도 2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과 0.6 내지 1.0㎚의 기공도를 가질 때,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적어도 2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과 0.6 내지 1.0㎚의 기공도를 갖는 제올라이트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들면,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 L형 제올라이트, 베타형 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형 제올라이트, 펜타실형 제올라이트, 오메가형 제올라이트, 및 오프렐라이트형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 L형 제올라이트, 베타형 제올라이트가 본 발명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는 다음식으로 나타낸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
(0.9±0.2)M2/nO : Al2O3:XSiO2: yH2O
상기식에서 M은 프로톤, 암모늄이온, 1가 금속양이온, 2가 금속양이온 및 3가 양이온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표시하며, n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가리키며, y값은 수화도에 따라 다르다.
상기식으로 나타낸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는 상기식에서 x가 2.5±0.5의 범위인 X형과 상기식에서 x가 3 내지 6인 Y형으로 분류된다.
즉, X형 제올라이트는 2.5±0.5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을 가지며 Y형 제올라이트는 3 내지 6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을 갖는다. X형 제올라이트와 Y형 제올라이트는 둘다 전형적으로 약 0.74㎚의 기공도를 가지나, 제올라이트의 양이온을 변화시킴으로써 0.6 내지 0.9㎚의 기공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요된 L형 제올라이트는 다음식으로 나타낸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
(1.0±0.1)M2/nO : Al2O3: (5 내지 8) SiO2: yH2O
상기식에서 M은 프로톤, 암모늄이온, 1가 금속양이온, 2가 금속양이온 및 3가 양이온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 표시하며, n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가리키며, y값은 0 내지 7의 임의적 숫자이다.
즉, L형 제올라이트는 5 내지 8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을 가지며, 전형적으로 약 0.71㎚의 기공도를 가지나, 제올라이트의 양이온을 변화시킴으로써 0.6 내지 0.9㎚의 기공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베타형 제올라이트는 다음식으로 나타낸 사용상태의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
M2/nO : Al2O3: (5 내지 100) SiO2: yH2O
상기식에서 M은 프로톤, 암모늄이온, 1가 금속양이온, 2가 금속양이온 및 3가 양이온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표시하며, n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가리키며, y값은 수화도에 따라 다르다.
즉, 베타형 제올라이트는 5 내지 100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을 가지며, 제올라이트의 양이온을 변화시킴으로써 0.6 내지 0.9㎚의 기공도를 갖는다.
양이온 M은 주기율표의 ⅠA, ⅠB 및 ⅡA족은 금속, 양성자 및 암모늄이온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 인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 은, 금, 프로톤 및 암모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가지가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이다.
이들 양이온은 이온교환에 의한 흡착제에 양이온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어떤 공지의 이온교환 과정이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통상, 이온교환은 요구되는 양이온의 수용성염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실행된다. 프로톤은 암모늄염에 의해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 이온을 하소시킴으로써 흡착제에 양이온으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올라이트는 임의의 방법으로 얻어지며, 예를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No.28126/1978, 일본특허공보 No.3675/1961, 또는 USP 3,308,06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흡착분리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라피분리법 또는 모의 이동베드를 사용되는 연속흡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속흡착분리기술에서는, 흡착제로 충전된 복수의 흡착실을 갖는 모의 이동베드가 사용된다. 이 흡착분리 기술은 기초 조작들로서 흡착조작, 농축조작, 탈착조작 및 탈착제 회수조작으로 이루어지며, 이것들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들 기초조작은 다음과 같다.
(1) 흡착조작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출발혼합물을 흡착제 베드와 접촉하도록 가져오고 고흡착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시킨다. 잔유하는 약흡착성 성분을 추출 찌꺼기흐름의 형태로 탈착제와 함께 흡착제 베드로부터 끌어낸다.
(2) 농축조작
강흡착성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한 흡착제를 흡착제상의 약흡착성성분을 추방하고 강흡착성 성분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후기하는 추출물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가져온다.
(3) 탈착조작
증가된 순도를 갖는 강흡착성 성분을 함유하는 흡착제베드를 탈착제와 접촉하도록 가져오고 증가된 순도를 갖는 고흡착성분을 추출물 흐름의 형태로 탈착제와 함께 흡착제 베드로부터 끌어낸다.
(4) 회수조작
탈착제를 함유하는 흡착제베드를 추출 찌꺼기 흐름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가져오고 탈착제를 흡착제 베드로부터 끌어낸다. 모의 이동 베드조작의 전형적인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작업실시예에서 후기할 것이다.
사용된 모의 이동베드를 이제 제1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4개의 흡착실(1 내지 4)은 연속하여 연결되어있고, 참고번호 5, 6, 7, 8 및 9는 탈착제공급라인, 추출물회수라인, 원료공급라인, 추출찌꺼기회수라인 및 탈착제회수라인을 각각 나타낸다. 탈착조작은 흡착실(1)에서 수행되고, 농축조작은 흡착실(2)에서 수행되며 흡착조작은 흡착실(3)에서 수행되고 회수조작은 흡착실(4)에서 수행된다. 액체는 도면의 아래로 흐른다.
흡착실(1 내지 4)간의 라인은 밸브(10)에 의해 닫힌다. 추출물 및 추출찌꺼기 흐름은 정류기 컬럼에 의해 디클로로큐맨 이성질체성분과 탈착제 성분으로 분리된다.
모든 소정의 시간간격(이후 "전환시간"이라함)에서 라인(5 내지 9) 및 밸브(10)는 한 흡착실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라인 및 밸브가 제1도에서 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흡착실(1 내지 4)은 명백히 한 추출물 흐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고 추출물은 라인(6)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상기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 혼합물은 라인(7)으로부터 공급되고 추출찌꺼기 흐름은 라인(8)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잔유 액체는 라인(9)으로부터 회수되었다.
본 흡착분리방법에서 사용된 탈착제는 할로겐화 알킬벤젠 및 할로겐벤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클로로톨루엔, 디클로로벤젠, 디클로로톨루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탈착제로서 적어도 두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 한 이성질체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이 탈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흡착분리는 대기압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내지 40㎏/㎠G의 압력하에, 실온 내지 350℃, 바람직하게는 50°내지 250℃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흡착분리는 증기상에서 아니면 액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출발 혼합물 또는 탈착제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조작은 액상에서 저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을 이제 다음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흡착제의 흡착특성은 다음의 흡착 선택성 αA/B로 표현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A와 B는 각가 다른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지칭하며, S는 흡착상을 지칭하고 L은 흡착상과 평화된 액상을 지칭한다.
만일 αA/B값이 1보다 더 크다면, 성분 A는 선택적으로 흡착되며 만일 αA/B값이 1보다 작다면 성분 B가 선택적으로 흡착된다. 만일 αA/B값이 흡착제에서 1보다 더 크다면(또는 1보다 작고 0에 가깝다면), 성분 A와 B의 흡착분리는 더 용이해진다.
실시예에서, 탈착제의 탈착특성은 다음의 탈착선택성 αDES/DCC로 표현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DES는 탈착제를 지칭하며, DCC는 흡착제에 의해 가장 강하게 흡착되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S는 흡착된 상을 지칭하며 L은 흡착된 상과 평형화된 액상을 지칭한다.
αDES/DCC값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1에 가깝다. 만일 αDES/DCC값이 1보다 크다면, 탈착은 강하게 수행된고 다음 흡착이 어렵게 된다.
αDES/DCC값이 1보다 작고 0에 가까우면 흡착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는 충분히 탈착 될 수 없다.
[실시예1]
5.5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과 약 0.74㎚의 기공도를 갖는 Na-Y형의 과립상 제올라이트를 90℃ 2시간 동안 5㎖/g의 고체/액체 비율로 양이온 대응 질산칼륨의 수용액으로 이온교환 처리시켰다.
이 처리를 10회 반복하여 98몰% 이상의 나트륨이온을 칼륨 이온으로 치환하고 이로써 K-Y제올라이트의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이온교환후, 결과된 K-Y제올라이트를 90℃에서 5㎖/g의 고체/액체 비율에서 10회 순수한 물로 세척한 다음, 120℃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얻은 K-Y제올라이트를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 흡착용 K-Y제올라이트 흡착제의 선택적 흡착 바로전에 5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시켰다.
DCDIPB를 함유하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흡착을 위한 K-Y제올라이트의 이 흡착제의 흡착선택성을 결정하기 위해, 약 2g의 K-Y제올라이트와 2.5㎖의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혼합물A)을 5㎖의 내부용량을 갖는 오오토 클레이브에 충전시키고 때때로 교반을 행하면서 150℃에서 0.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충전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혼합물 A)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혼합물 A]
2,4-DCC 36(중량부)
2,5-DCC 1
3,5-DCC 56
DCDIPB 7
n-노난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위한 내부표준물질롯 첨가하였고 그것은 실험조건하에서 흡착에 비교적 실질적으로 비활성이었다.
흡착제와 접촉후 액상 혼합물의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에 대한 흡착선택성을 상기한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에 2 내지 6]
Na-Y형의 제올라이트의 대신에, 20.0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을 갖는 Na-베타 제올라이트를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이온교환처리시켜 K-베타 제올라이트를 얻었다.
4.8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과 약 0.74㎚의 기공도를 갖는 Na-Y제올라이트를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질산 바륨의 수용액으로 이온교환 처리시켜 Ba-Y제올라이트를 얻었다.
4.8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과 약 0.74㎚의 기공도를 갖는 Na-Y제올라이트를 0.15 양이온-대응질산암모늄과 0.85 양이온 대응질산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0.3 양이온 대응질산 암모늄과 0.7 양이온 대응질산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각각으로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방법으로 이온교환 처리시켜 0.15H-K-Y제올라이트와 0.3H-K-Y제올라이트 각각을 얻었다. 결과된 0.15H-K-Y제올라이트와 0.3H-K-Y제올라이트를 하소시켜, 이로써 암모늄을 프로톤화 시켰다.
6.1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과 약 0.71㎚의 기공도를 갖는 K-L제올라이트, 결과된 K-베타제올라이트, 결과된 0.15-K-L제올라이트 및 결과를 0.3H-K-Y제올라이트를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방법으로 시험하고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에 대한 흡착선택성을 결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3
[실시예 7 내지 13]
2.5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과 약 0.74㎚의 기공도를 갖는 Na-X제올라이트와 4.8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과 약 0.74㎚의 기공도를 갖는 Na-Y제올라이트 각각을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방법으로 이온교환 처리시켜 표 2에 나타낸 여러가지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얻었다.
표 1에 나타낸 결과된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다음의 혼합물[혼합물 B]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고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에 대한 흡착선택성을 결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혼합물 B]
2,4-DCC 40(중량부)
3,5-DCC 60
[표 2]
Figure kpo00004
[비교예 1]
2.0의 실리카/알루미나 몰비율과 약 0.42㎚의 기공도를 갖는 Na-A형 제올라이트를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러나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로 DCDIPB도 흡착되지 않았다.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어떠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14 내지 23]
실시예 5에 의해 얻은 0.15H-K-Y제올라이트를 디크로로큐멘 이성질체와 표 3에 나타낸 각각의 탈착제를 함유하는 다음의 혼합물[혼합물 C]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고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에 대한 흡착선택성과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와 탈착제에 대한 흡착 선택성을 결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혼합물 C]
표 3에 나타낸 탈착제 50(중량부)
2,4-DCC 15
2,5-DCC 15
3,5-DCC 20
[표 3]
Figure kpo00005
a)는 2,4-디클로로톨루엔 34%, 2,5-디클로로톨루엔 63%, 2,6-디클로로톨루엔 2%, 및 2,3-디클로로톨루엔 1%의 혼합물이며, b)는 2,4-디클로로톨루엔 35.6%, 2,5-디클로로톨루엔 38.5%, 2,6-디클로로톨루엔 7.5%, 3,4-디클로로톨루엔 7.4%, 3,5-디클로로톨루엔 3.0% 및 2,3-디클로로톨루엔 8.0%의 혼합물이다.
[비교예 2 내지 14]
실시예 5에 의해 얻은 0.15H-K-Y제올라이트를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와 표 4에 나타낸 각각의 탈착제를 함유하는 다음의 혼합물[혼합물 D]을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고,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에 대한 흡착선택성과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와 탈착제에 대한 흡착선택성을 결정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혼합물 C]
표 4에 나타낸 탈착제 50(중량부)
2,4-DCC 15
2,5-DCC 15
3,5-DCC 20
[표 4]
Figure kpo00006
[실시예 24]
3,5-DCC이성질체를 다음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와 DCDIPB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의 이동베드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3,5-DCC 63.3%
2,4-DCC 35.6%
2,5-DCC 0.7%
DCDIPB 0.4%
실시예 1에서 얻은 K-Y제올라이트를 4개의 흡착실(1,2,3 및 4)에 충전시켰으며 그것들은 모두 각각 약 40㎖의 내부용량을 갖는다.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상기한 흡착물은 라인(7)으로부터 12.6㎖/시의 속도로 공급되었고 탈착제로서 다음의 조성을 갖는 디클로로톨루엔 혼합물을 라인(5)으로부터 422㎖/시의 공급하였다.
2,4-디클로로톨루엔 34%
2,5-디클로로톨루엔 63%
2,6-디클로로톨루엔 2%
2,3-디클로로톨루엔 1%
추출물흐름을 라인(6)으로부터 61.7㎖/시의 속도로 회수하였고 추출찌꺼기 흐름을 라인(8)으로부터 66.9㎖/시의 속도로 회수하였다. 잔유액체는 라인(9)로부터 회수하였다. 흡착실(1과 4)간의 라인은 밸브(10)에 의해 폐쇄시켰다. 150초의 모든 전환시간에서, 동시적으로 흡착실(1)은 흡착실(4)로 이동되었고 흡착실(4)은 흡착실(3)로 이동되었으며 흡착실(3)은 흡착실(2)로 이동되었고, 흡착실(2)은 흡착실(1)로 이동되었다.
흡착온도는 170℃이었고 흡착압력은 20㎏/㎠이었다. 추출물흐름중의 DCC성분중의 3,5-DCC의 순도는 99.8%이었고 3,5-DCC의 회수율은 91.7%이었다.

Claims (7)

  1. 이성질체 혼합물을 적어도 2의 실리카/알루미나 몰 비율과 0.6 내지 1.0㎚의 기공도를 갖는 제올라이트 흡착제와 접촉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디믈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흡착제에 흡착된 이성질체를 탈착제에 의해 추방시켜 흡착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더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제는 할로겐화 벤젠과 할로겐화 알킬벤젠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포우저사이트형 제올라이트, L형 제올라이트 및 베타형 제올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프로톤, 암모늄, 및 주기율표의 ⅠA,ⅠB 및 ⅡA족의 금속양이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에 의해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 은, 금, 프로톤 및 암모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는 클로로톨루엔, 디클로로벤젠, 디클로로톨루엔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는 3,5-디클로로큐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17688A 1987-12-28 1988-12-28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KR920003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501587 1987-12-28
JP62-335,015 1987-12-28
JP62-335015 198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822A KR890009822A (ko) 1989-08-04
KR920003117B1 true KR920003117B1 (ko) 1992-04-20

Family

ID=1828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688A KR920003117B1 (ko) 1987-12-28 1988-12-28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22039A (ko)
EP (1) EP0322869B1 (ko)
KR (1) KR920003117B1 (ko)
DE (1) DE387450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987A (en) * 1993-07-22 1995-07-25 Pq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mmonium zeolites of low alkali metal content
DE4325484A1 (de) * 1993-07-29 1995-02-02 Bayer Ag Verfahren zur Trennung von Gemischen von m- und p-Dichlorbenzol
US6320087B2 (en) * 1998-04-09 2001-11-20 Toray Industries, Inc. Adsorbent for separating halogenated aromatic compounds and separation method
US6462248B1 (en) 1998-09-09 2002-10-08 Toray Industries, Inc. Method for producing aromatic compounds having alkyl group with at least three carbon atoms
US6201161B1 (en) * 2000-04-17 2001-03-13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reducing benzaldehyde or benzotrihalide content in a mix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4203C3 (de) * 1978-02-01 1980-09-2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Trennung von isomeren Dichlortoluolen
US4329524A (en) * 1979-06-22 1982-05-11 The Dow Chemical Company Separation of 3,5-dichlorocumene from a mixture of 3,5-dichlorocumene and 2,4-dichlorocumene
JPS59122433A (ja) * 1982-12-28 1984-07-14 Toray Ind Inc 3,5−キシレノ−ルの分離回収方法
JPS59199642A (ja) * 1983-04-28 1984-11-12 Toray Ind Inc 2,6−ジクロルトルエン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2869B1 (en) 1992-09-09
US4922039A (en) 1990-05-01
DE3874507D1 (de) 1992-10-15
EP0322869A2 (en) 1989-07-05
KR890009822A (ko) 1989-08-04
EP0322869A3 (en) 1989-08-16
DE3874507T2 (de)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6107A (en) Improved hydrocarbon separation process
EP0412623B1 (en) Process for separating 2-chloro-m-xylene
JPH0381236A (ja) m―クロロトルエンまたはm―およびp―クロロトルエンの製造方法
US4605799A (en) Process for separating a halogenated toluene isomer
JP2707240B2 (ja) ベータゼオライト上での選択的吸着によるキシレンからのエチルベンゼンの分離方法
KR920003117B1 (ko) 디클로로큐멘 이성질체의 분리방법
JPS6323976B2 (ko)
EP0894782B1 (en) Method for separating halogenated ethylbenzene isomers
JPH0446931B2 (ko)
JP3092218B2 (ja) 1,3,5−トリクロルベンゼンの製造方法
JPS6324981B2 (ko)
JP3807061B2 (ja) ハロゲン化エチルベンゼン異性体の分離方法
JPS6324495B2 (ko)
JP2576725B2 (ja) 2,4−ジクロロトルエンの分離方法
JPH0565494B2 (ko)
JPH0446932B2 (ko)
JPH0112734B2 (ko)
JPH09188638A (ja) ジハロゲン化ベンゼン異性体の分離方法
JPH0651650B2 (ja) 3,5―ジクロルクメン異性体の分離法
JPH0112733B2 (ko)
JPH0446930B2 (ko)
JPS6013727A (ja) 3,5−ジクロルトルエンの分離方法
JPS6240338B2 (ko)
JPH0112732B2 (ko)
JPS58131922A (ja) クロルベンゾトリフルオライド異性体の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