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352B1 - 광전센서 - Google Patents

광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352B1
KR920002352B1 KR1019880014085A KR880014085A KR920002352B1 KR 920002352 B1 KR920002352 B1 KR 920002352B1 KR 1019880014085 A KR1019880014085 A KR 1019880014085A KR 880014085 A KR880014085 A KR 880014085A KR 920002352 B1 KR920002352 B1 KR 92000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circuit block
casing
photoelectric sensor
opt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21A (ko
Inventor
가와 마사미 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고오
고시바 노리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고오, 고시바 노리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고오
Priority to KR101988001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352B1/ko
Publication of KR90000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전센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광전센서의 외관 설명도이며, 그 도면의 제1a도는 측면도, 제1b도는 정면도, 제1c도는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광전센서의 부품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광전센서의 부착상태에서의 종단면도.
제4도는 광학체의 설명도이며 그 도면의 제4a도는 광학체의 측면도, 제4b도는 정면도, 제4c도는 제4b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제4b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d)는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광전센서의 외관 설명도이며 그 도면의 제5a도는 측면도, 제5b도는 정면도, 제5c도는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내는 광전센서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나타내는 광전센서의 부착상태에서의 종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광전센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은 집광광학계의 광전변환소자를 구비한 광전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센서는 접촉없이 사람이나 물체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각종기계의 자동화 컨베이어라인에 의한 반송 물체의 검지, 자동도어등에 있어서의 사람의 접근 검출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전센서의 투광기,수광기는 어느 것이나 상자모양의 케이스 벽에 원형의 구멍을 뚫어서, 볼록렌즈를 고착하고, 그 초점에 발광 다이오드등의 발광소자, 또는 포토트랜지스터등의 수광소자에 의한 광전 소자를 설치되게 하고, 볼록렌즈로부터 광전소자에 이르는 빛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점등 구동회로, 또는 신호 증촉회로, 및 동작표시등, 가변저항기등의 부품을 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착하여 각 부품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에 전선코드를 접속하여 케이스 밖으로 돌출시켜, 뚜껑을 닫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8도는 이러한 종래의 광전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면에서 A는 케이싱(B)의 전면에 설치한 집광용 볼록렌즈, 51은 볼록렌즈(A)의 집광점 위치에 설치된 광전 변환소자, 22는 배선기판, 23은 배선기판(22)상에 배설(配設)되는 각종 전자부품, 24는 동작표시등이다.
또한 31은 케이싱(B)의 뒷면 판넬, C는 동작표시등과 배선기판(22)의 배선이다.
그리고 기계 이외의 부착에는 브라켓등을 사용하며 나사등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근래, 광전센서는 사용자로부터 소형화의 요청이 높아져 해마다 소형화를 기하고 있으나, 구조상 소형화를 방해하는 두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첫째 문제점은 광전센서의 케이스 내벽에 부품을 부착하려면 케이스 내부에 드라이버, 핀셋, 납땜 인두등의 공구를 꽂아넣고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케이스가 소형화 될수록 그 작업공정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전센서의 소형화와 조립작업의 능률화와는 서로 무순되었으며, 두 번째의 문제점은 집광광학계에 볼록렌즈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전 소자에 이르는 빛 경로에 원추형상을 한 상당히 큰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결국, 광전센서의 성능을 좋게하려면 렌즈의 구경을 크게하여 입광량을 증가시키고, 렌즈 초점 거리도 적당히 길게하여 외란광(外亂光)의 영향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었다.
따라서 큰 구경과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구할 경우 원추형상의 빛 경로 공간이 큰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이 역시, 광전센서의 소형화와 광학특성의 향상과는 서로 모순되는 것이었다.
셋째 문제점은 취급상의 불편에 관한 것으로, 즉, 형상이 크고 기계등에 부착하더라도 장소를 많이 차지하므로 사람이나 물건에 접촉하기 쉽고 광축이 빛나가서 잘못동작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먼지나 기름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면 청소하기 어려운 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작업성 및 광학특성이 좋고 소형으로 취급하기 쉬운 광학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광전센서는, 광학체와 이 광학체의 뒷면에 배설되는 회로블럭을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통과 이 연결통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광학체 및 회로 블록을 수납하기 위하여 투명 수지재로 형성되는 대물(大物)방향으로 바닥부분을 갖는 통체 형상의 케이싱 및 회로블럭의 바깥측면에 부착되는 전선콘넨겉와, 광학체, 회로블럭, 전선콘넨겉을 수납하는 케이싱의 후단개구부(後端開口部)에 장착되는 뚜껑체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체와 회로블럭과, 이러한 것을 수납하는 통 형상체의 케이싱과, 부착된 회로블럭과 함께 케이싱에 한쪽 개구끝을 감합하는 뚜껑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양자의 광전센서에 있어서, 광학체는 투명 수지재로 단면이 거의 반월형상을 이루고, 대물면측으로 되는 일면년을 원형의 평면에, 다른면 측, 즉, 대소자면측으로 되는 면을 원형 블록 형상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원형 대물면측 중앙에는 상기 원형대 소자면이 약
Figure kpo00002
정도의 직경를 갖는 오목형상의 바닥면과 이 중앙에 돌설한 대물렌즈로서 볼록부를 갖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대 소자면측의 중앙에는 제1함몰부와 대향하여 광전변환소자에 대향하는 집광렌즈부로서의 상기 오목형상 바닥면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볼록형상 바닥면 또는 프레넬 바닥면을 갖는 제2함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함몰부에서의 오목형상 바닥면의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증착 도금수단에 의해 거울면(鏡面)으로서 제2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 대 소자면의 제2함몰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증착 도금수단에 의해 경면으로서 제1반사부를 형성하고, 더욱이 원형대 소자면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스커트부를, 또한 제1반사부의 적당한 개소에는 동작표시등의 광속(光束)을 원형 평면측에 투과하기위한 표시등 집광렌즈부로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의 투명 바닥부 또는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入射)한 적외광은 광학체의 제1반사부에서 제1회째의 반사가 이루어지고, 제2반사부에 이르러, 제2회째의 반사가 이루어져 집광렌즈를 통하고, 집광렌즈 초점에 위치하는 광전변환소자에 의해서 수광된다.
또한, 제1함몰부에서의 대물렌즈에 입사한 적외광은 집광렌즈를 통하여 광전변환소자에 의해서 수광되고, 광전변환소자에 의해서 수광된 적외광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입사하는 적외광의 광량 변화는 즉시로 전기신호로서 포착되므로, 광전센서 전방의 광로에 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상, 수광기의 경우에 대하여 빛의 통과 경로를 설명하였으나, 투광기의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된다.
그리고 광학체는 복수의 반사부를 가짐으로써 광전센서로 입사하고 나서 광전변환소자에서의 초점까지의 빛 경로를 말하자면 접은 상태에서 얇은 판의 광학체안으로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도는 광전센서의 외관도이며 그 도면의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제2도는 광전센서의 부품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판넬(P)에 부착한 상태의 광전센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투명 수지재로 형성하는 광학체, 2는 마찬가지로 투명 수지재로 형성된 케이싱으로 바닥면(대물면)(2a)을 갖는 통체를 이루며, 외주벽에는 나사부(2b)가, 또한 외주벽의 바닥면(2a)측의 끝 부분에는 소토퍼(2c)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1은 광학체(1)와 이 후면에 접합하는 회로블럭(42)을 감합 수납하는 연결통이며, 양쪽바닥이 개구하는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45는 회로블럭(42)의 뒷면에 배설되는 전선 코넥터, 46은 케이싱(2) 후면에 장착되는 뚜껑체이며, 전선콘넨겉(45)를 수납하는 몰록부(46a)를 가지고 있다.
47은 케이싱(2)의 나사부(2b)에 나합하는 록 너트이며, 고무와샤(R)와 함께 스토퍼(2c)와의 사이에서 부착하여 판넬(P)을 협지(挾持)하여, 광전센서를 필요로 개소에 유지고정한다.
48은 케이싱(2)의 나사부(2b)에 나합하여 케이싱(2)에 뚜껑체(46)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이다.
49는 광학체(1)와 회로블럭(42)을 접합하기 위한 수지로 형성되는 통체형상의 스페이서, 50은 연결통(41)에 감합하고, 이에 수납되는 광학체(1)와 회로블럭(42)을 고정하기 위하여 바닥이 있는 통체 형상을 이루며 수지로 형성되는 스페이서이다.
연결통(41)의 주벽에는 구멍부분(41a)이 120도의 간격으로 3개 형성되고, 이러한 것에 대응하여 스페이서(50)의 둘레에 구비된 돌기(50a)에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회로블럭(42)은, 원형의 회로기판(43)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단자기판(44)으로 되는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회로기판(43)의 표면에는 광전변환소자(51)와 동작표시등(52)이, 이면에는 전자회로 부품(34a)이 각각 탑재되어 있다.
또한 회로기판(43)과 단자기판(44)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다.
다음에 제4도에 따라 광학체(1)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4도(a),(b),(c),(d)는 각각 광학체의 측면도, 정면도, 종단면도, 배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투명 수지재로서 일체로 형성한 광전센서용 광학체이며, 직경 24mm의 단면이 반월형상을 이루고 있다.
21은 광학체(1)의 검출대상 물체에 대한 면, 즉, 대물면이며, 원형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직경 22.2mm).
또한 이 광학체(1)는 1m 전후보다 가까운 위치의 물체 검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물면은 완만한 볼록면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3은 광전변환소자에 대한 면, 즉, 대소자면이며, 직경 22.2mm의 원형 볼록형상(R=16.75mm이며 비구형면(非球型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대물면(21) 중앙부분에는 상기 원형 대소자면의
Figure kpo00003
의 직경(9mm)의 오목형상바닥면(R=12mm로 구형면)을 갖는 제1함몰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함몰부(4)의 오목형상 바닥면에는 진공증착도금이된 제2반사부(4a)가 형성되어 있다.
5는 상기 오목 형성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대몰렌즈로서의 볼록부(직경 2.8mm)이다.
6은 상기 대소자면(3)의 중앙부에 제1함몰부(4)와 대향하여 형성된 제2함몰부이며, 상기 제1함몰부(4)의 오목형상 바닥면 보다 약간 작은 직경(9:7)의 볼록형상 바닥면(7)(R=10.57mm이며 구형면)이 집광렌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함몰부에는 회로블럭(42)의 광전변환소자(51)가 대항 또는 감합한다.
8은 원형대소자면(3)의 끝가장자리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 스커트부(높이 약 3.7mm), 9는 동작표시등의 광속을 원형 대물면 방향 즉, 원형대물면(21)을 통과하여 방사하므로 대소자면에 형성한 동작표시등, 집광렌즈부로서의 구멍부분이며, 볼록면 바닥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동작표시등 집광렌즈부(9)의 바닥부분은 이와 같은 볼록면으로 하지 않고 프레넬면에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 구멍(9)에 동작표시등(52)이 대향 또는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3a는 원형 대소자면(3)에 진공증착 도금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한 제1반사부이고, 그리고 광학체(1)이외의 각 구성부품은 광학체(1)의 상기 칫수에 합친 칫수로 형성되며, 이 실시예에서 광전센서의 바깥직경은 30mm, 두께는 약 17mm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케이싱(2)의 전면(2a)을 통하여 광학체(1)의 원형 대물면(21)측에서 입사하는 근 적외광(近赤外)은 제1반사부(3a)에서 반사되어 제2반사부(4a)에 이르며, 2회째의 반사에 의해 집광렌즈부(7)를 통과하여 광전변환소자(51)의 위치로 집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한 대물렌즈(5)에 입사한 빛은 반사부를 경유하지 않고 집광렌즈(7)를 통하여 직접 광전변환소자(51)에 도달하고, 마찬가지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입사광량의 변화는 즉시 전기신호로서 포착되므로, 센서 전면, 즉, 케이싱(2)의 전면(2a) 또는 원형 대물면(21) 방향으로서의 광로에 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광학체(1)는 제1반사부, 제2반사부를 가짐으로서 제8도의 종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렌즈(A)의 원형 대물면으로부터 광전변환소자(51)에서의 초점까지의 빛 경로를, 말하자면, 접은 상태에서 얇은 판형상의 광학체(1)안에 수납할 수 있다.
동작표시 등로로서의 발광다이오드(52)로부터의 빛은 표시등 집광렌즈부(9)를 통하여 광학체(1)의 대물면 방향으로 방사된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7도에 의거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도는 광전센서의 외관 설명도이며, 그 도면의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 제6도는 광저센서의 부품 구성도.
제7도는 판넬(P)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광전센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완전히 동일한 광학체, 2는 양쪽 바닥을 개구하는 통 형상의 케이싱이며, 그 외주벽에는 나사부(2b)가 형성되며, 또한 외주벽의 끝부분(대물면측)에는 링 형상의 스토퍼(2c)가 케이싱(2) 외주벽의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120도 간격으로 구멍(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뚜껑체(46)의 외주벽에 형성된 돌기(46b)가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6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광학체(1)의 제1함몰부(4)에 감합하여 제2반사부(4a)의 경면을 보호하기 위한 원형상의 프로텍터이며, 광학체(1)의 대물렌즈(5)를 감압 협지하기 위한 탄성구멍부분(60a)을 가지고 투명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42는 회로블럭으로서, 회로기판(43)과 그 일면 탑재된 광전변환소자(51), 동작표시등(52) 및 양면에 부착한 전자회로부품(4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용의 전선코드(53)는 직접회로기판(43)에 접속되어, 회로기판(43)에 따라서 바깥쪽(광전센서 외주의 ㄴㄴ 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광전센서의 두께가 상술한 실시예보다 얇게 되어 있다.
46은 바닥이 있는 통체 형상의 뚜껑체, 0은 광학체(1)와 뚜껑체(46)사이에 개장(介裝)되는 0-링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체(1)는 제1함몰부(4)가 전면이 되도록 케이싱(2)에 감합되고, 이어서 회로블럭(42)을 부착한 뚜껑체(46)가 0-링을 통하여 광학체(1)의 뒷면과 대향하도록 케이싱(2)에 감합된다.
회로블럭(42)은 뚜껑체(46)의 통체부분에 감합 삽입 되어 있으며, 그리고 뚜껑체(46)의 통체부분은 광학체(1)의 스커트부(8)에 감합하고 있고, 뚜껑체(46)의 바닥부와 회로기판(43)과의 사이에는 수지재가 충전되어 있다.
광학체(1)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리고 광학체(1)에 맞추어서 다른 구성부품도 각각 대응한 칫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이 실시예에서의 광전센서는 그 외부직경 30mm, 두께 약 11mm의 소형이고 얇은형의 원판체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2)의 전면이 개구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예보다 빛의 투과율이 향상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관한 광전센서는 종래와 같이 케이스가 좁은 내부에 공구를 꽂아서 조립작업을 하는 등의 번잡한 수동식 작업이 전혀 없어지고, 자동부품 탑재기나 자동조립기증에 의한 대량생산 공정이 가능하고 대폭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면 반월형상의 광학체의 의해서 빛의 경로에 필요한 원추형상의 공간을 접도록 하여 스스로의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형상이 매우 얇고 소형화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두께가 약
Figure kpo00004
이하로 된다.)
따라서 공장, 사무소, 점포, 가정등에 설치할때, 벽표면 기타에 직접 부탁하더라도 미관을 손상되지 않고 부착작업도 간단하다.
또한 투광기, 수광기로서 어느 것이나 소형이면서 광학계의 구경이 크고, 또 초점거리도 길기 때문에 수광기의 입광량이 증대하여 감도가 향상되며, 외관량(外亂光)의 영향도 적으며, 이러한 상승효과에 의해 투과형의 경우는 투광기와 수광기와의 대향거리가 현저하게 길어지며, 마찬가지로 반사형의 경우는 광전센서와 대상물체와의 검출간격 거리가 매우 길어지며, 대상물의 검출범위가 넓어진다.

Claims (10)

  1. 광학체와, 이 광학체의 후면에 배설되는 회로블럭을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통과, 이 연결통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상기 광학체 및 회로블럭을 수납하기 위하여 투명 수지재로 형성되며 대물방향으로 바닥부분을 갖는 통체 형상의 케이싱과, 회로블럭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전선콘넥터와, 광학체, 회로블럭, 및 전선콘넥터를 수납하는 케이싱의 후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체로 구성되어, 상기 광학체는 투명수지재로 단면이 거의 반월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원현 평면측은 대물면으로 다른 원형 볼록면은 대소자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대물면은 그 중앙에 상기 원형 대소자면의 약 정도의 직경을 갖는 오목형상 바닥면과 그 중앙에 돌설한 대물렌즈로서의 볼록부를 갖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소자면측의 중앙에는 제1함몰부와 대향하여 광전변환소자에 대향하는 집광렌즈부로서의 상기 오목형상의 바닥면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볼록형상의 바닥면을 갖는 제2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함몰부에서의 오목형상 바닥면의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 도금수단에 의해 거울면으로하여 제2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볼록면의 제2함몰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증착 도금수단에 의해 거울면으로 하여 제1반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원형대소자면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스커트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반사부의 적당한 개소에 동작표시등의 광속을 원형 대물면측에 투과하기 위한 표시등 집광렌즈부로서의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회로블럭은 앞면에 광전변환소자 및 동작표시등을 구비하며, 양면에는 전자부품을 탑재하는 회로기판과 회로의 단자부를 갖는 단자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벽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록 너트를 나합하고 상기 록 너트와 케이싱의 바닥 부분측의 외주벽에 형성한 스트퍼부에서 피(被)부착제를 협지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체는 케이싱의 나사부에 나합하는 조여붙임(clamping) 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광학체와 회로블럭과의 사이에는 연질 프라스틱재에 의해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개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회로블럭에 있어 회로기판과 단자기판과의 사이에는 수지재를 충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회로블럭과 뚜껑체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개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6. 광학체와, 회로블럭과, 이러한 것을 수납하는 통 형상체의 케이싱과, 부착된 회로블럭과 함께 케이싱에 한쪽 개구끝으로 감합하는 뚜껑체로 구성되어, 상기 광학체는 투명 수지재로 단면이 거의 반월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원형 평면은 대물면으로 다른 원형볼록면은 대소자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대물면은 그 중앙의 상기 원형 대소자면의 약 정도의 직경을 갖는 오목형상 바닥면과 이 중앙에 돌설한 대물렌즈로서의 볼록부를 갖는 제1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 대소자면의 중앙에는 제1함몰부와 대향하여 광전변환소자에 대향하는 집광렌즈부로서의 상기 오목형상 바닥면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볼록형상 바닥면을 갖는 제2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항 함몰부에서의 오목형상 바닥면의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증착 도금수단에 의해 거울면으로 하여 제2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대소자면의 제2함몰부를 제외한 부분을 진공중착 도금수단에 의해 거울면으로하여 제1반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형대소자면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스커트부를 또한 제1반사부의 적당한 개소에는 동작표시등의 광속을 원형 대물면측에 투과하기 위한 표시등 집광렌즈로부터의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함몰부에는 제2반사부의 경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재로 형성되는 프로덱터를 감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벽면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록 너트를 나합하고, 상기 록 너트와 케이싱의 외주벽면에 설치한 스토퍼부에서 피(被)부착제를 협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8. 제6항에 있어서, 회로블럭은 광학체에 대한 면에는 광전변환소자 및 동작표시등을 양면에는 전자회로 부품을 각각 탑재한 회로기판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9. 제6항에 있어서, 회로블럭과 뚜껑체와의 사이에는 수지재를 충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10. 제8항에 있어서, 입출력용의 전선코드는 케이싱의 둘레벽을 통하여 회로기판에 직접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센서.
KR1019880014085A 1988-10-28 1988-10-28 광전센서 KR92000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085A KR920002352B1 (ko) 1988-10-28 1988-10-28 광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085A KR920002352B1 (ko) 1988-10-28 1988-10-28 광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21A KR900007121A (ko) 1990-05-09
KR920002352B1 true KR920002352B1 (ko) 1992-03-21

Family

ID=192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085A KR920002352B1 (ko) 1988-10-28 1988-10-28 광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3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21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8843A (en) Photoelectric sensor having a folded light path
US4880974A (en) Photoelectric sensor employing custom lens member
US4792685A (en) Photoelectric sensor
US4967069A (en) Spherical photoelectric sensor
US4652745A (en) Optical moisture sensor for a window or windshield
JP2786030B2 (ja) 光電センサーの投光器
EP0534431A1 (en) Optical receptacle
US5198664A (en) Photoelectric sensor assembly having compressible and sealing members
US5105239A (en) Reflective type optical sensor device
KR920002352B1 (ko) 광전센서
JP2854605B2 (ja) 光電センサ
JPS5861408A (ja) 透過形光結合装置
JP2001267594A (ja) 光学装置
JPH0296622A (ja) 光電センサ
JPH05196843A (ja) 光レセプタクル
JPH06111694A (ja) 光電スイッチ
JP3278921B2 (ja) 光電スイッチ
JP2515971Y2 (ja) 光電センサー
JP2001155597A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S586480A (ja) 反射検知装置
JPH02141709A (ja) 光ファイバラインモニタ
JPS6134674Y2 (ko)
KR900002057A (ko) 포토다이오드의 광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한 물체의 검지장치
JPH0722838Y2 (ja) 光電センサ
JPH0714935Y2 (ja) 光電式反射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