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32B1 -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32B1
KR910000932B1 KR1019850002483A KR850002483A KR910000932B1 KR 910000932 B1 KR910000932 B1 KR 910000932B1 KR 1019850002483 A KR1019850002483 A KR 1019850002483A KR 850002483 A KR850002483 A KR 850002483A KR 910000932 B1 KR910000932 B1 KR 91000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shaft
inpu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762A (ko
Inventor
마사히로 오꾸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7767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223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77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2232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아다치 마사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킨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5000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60K17/34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 B60K17/34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 B60K17/3467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a transfer gear the transfer gear being a differential gear combined with a change speed gearing, e.g. range gea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3 : 커버
5 : 전륜구동용 샤프트 6 : 후륜구동용 샤프트
16 : 캐리어 17 : 기어
20 : 중간입력기어 23 : 제1의 기어
25 : 중간출력기어 30, 50 : 맞물림 클러치
45 : 록크입력기어 48 : 록크출력기어
70, 71 : 동심축부
본 발명은 4륜구동식 차량에 사용되는 트랜스퍼장치에 관하여, 특히 건설용 차량, 휠 로우더, 휠 크레인이나 지프 등에 적합한 트랜스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차량의 일부에는 주변속기의 변속기어의 비율을 보충하기 위한 부변속기나 4균구동과 2륜구동의 전환기구를 구비하고, 또 차동기구를 거쳐서 전륜구동축과 후륜구동축에 동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에서는 울퉁불퉁한 곳을 주행하는 경우, 부변속기를 로우기어범위로 유지해서 4륜구동상태에서 운전할 수가 있다. 또, 하이기어범위에서 타이어가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에서는 차동기어를 록크상태(비동작상태)로 하고, 타이어가 미끄러지지 않는 장소에는 차동기어를 동작상태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하이기어범위에서는 연료비를 줄이기 위하여 2륜구동상태로 운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에서는 주행조건등에 맞추어서 가장 적합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에서는 상기의 여러 가지 기구를 개별적으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대형으로 되어,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구조에서는 조작기구가 복잡하게 되어 조작을 단순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차동기구를 변속기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력 도입부에서 지지되는 중간입력기어와 중간입력기어에 맞물림하는 중간출력기어를 갖는 중간기어기구, 이 중간입력기어에 맞물림하는 제1의 기어, 제1의 기어에 연결된 제1의 샤프트, 중간출력기어에 연결할 수 있는 제2의 출력부, 제2의 출력부에 연결할 수 있는 제2의 샤프트, 제1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제1의 보조출력부, 중간출력기어와 제2의 출력부 및 제1의 보조출력부 사이에 설치되고, 중간출력기어를 제2의 출력부에 연결하는 차동기어 동작위치와 중간출력기어를 제1의 보조출력부 및 제2의 출력부의 양쪽에 연결하는 차동기어 비동작위치의 사이에서 전환가능한 맞물림 클러치, 중간기어기구에 연결하는 록크기어기구, 록크기어기구를 정지부에 대해서 자유롭게 분리하도록 연결하는 록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제1도에 따라 제1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하우징(1)의 본체의 앞끝과 뒤 끝에 각각 커버(2), (3)을 볼트로 고정해서 하우징 조립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전륜구동용 샤프트(5)(제1의 샤프트)와 후륜구동용 샤프트(6)(제2의 샤프트)을 동심으로, 또한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샤프트(5)는 커버(3)의 내부에서 커버(2)의 약간 앞쪽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앞부분이 베어링(7)을 거쳐서 커버(2)의 앞끝벽보스에 지지됨과 동시에, 앞끝부에 고정된 이음매(8)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전륜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6)은 커버(3)의 내부에서 커버(3)의 약간 뒤쪽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부가 베어링(9)를 거쳐서 커버(3)의 뒤끝벽 보스에 지지됨과 동시에 뒤끝부분에 고정된 이음매(10)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후륜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6)은 앞끝에 소지름부(11)을 구비하고, 소지름부(11)의 바깥둘레가 부쉬(12)를 거쳐서 샤프트(5)의 뒤끝의 구멍의 안쪽둘레에 끼워맞춰져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 있어서 샤프트(5)의 주위에는 유성기어(planetary gear)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유성기어기구(15)의 환형캐리어(16)은 바깥둘레에 기어(17)(회전력 도입부)를 구비하고, 기어(17)이 도시하지 않은 전동장치 출력기어에 맞물림되어 있다. 캐리어(16)은 안쪽둘레부에서 앞쪽으로 돌출한 통형상보스(18)을 구비하고, 보스(18)의 바깥둘레가 베어링(14)를 거쳐서 하우징(1)의 앞끝의 환상 보스로 지지되어 있다. 캐리어(16)의 원주방향의 여러곳에는 뒤쪽으로 돌출한 핀(19)가 고정되고, 핀(19)의 주위에 유성기어(20)(중간입력기어)이 부쉬(21)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기어(20)과 맞물림하는 썬 기어(230)전륜구동용 기어(제1의 기어))은 안쪽둘레의 스플라인에 의해 샤프트(5)의 바깥둘레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20)이 맞물림하는 내부링기어(25)(후륜구동용 기어(중간출력기어))는 커버(3)의 근방에 안쪽으로 향해서 환상부(26)을 일체로 형성하고, 환상부(26)의 안쪽둘레에서 커버(3)안으로 돌출한 통형상부(27)의 뒤끝부분 근방에는 맞물림 클러치(30)이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클러치(30)의 입력부(31)과 출력부(32), (33)은 모두 환형상 또는 통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부쉬를 사이에 두고 전후의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입력부(31)은 안쪽둘레 스플라인에 의해 통형상부(27)의 뒤끝 바깥둘레 부분에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출력부(32)(제1의 보조출력부)는 앞쪽으로 돌출한 통형상 보스(35)가 샤프트(5)의 뒤끝 바깥둘레에 스플라인 끼워 맞춤하여 고정되어 있다. 출력부(33), 제2의 출력부는 뒤쪽으로 돌출된 통형상보스(36)이 샤프트(6)의 앞끝부 바깥둘레에 스플라인을 끼워 맞춤하여 고정되어 있다.
입력부(31)과 출력부(32), (33)은 각각 바깥둘레에도 스플라인 s1, s2, s3을 구비하고, 그들의 주위에 통형상의 부재로 되는 연결부(37)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37)은 안쪽둘레에 스플라인을 구비하고, 이 스플라인은 연결부(37)의 위치에 따라서 스플라인 s1, s2, s3에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37)은 바깥둘레에 환형상홈(38)을 구비하고, 홈(38)에 시프트 포오크(shift fork)(40)이 끼워 맞춰져 있다. 시프트 포오크(40)은 시프트 로드(41)의 앞 끝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41)은 샤프트(6)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중간부가 커버(3)의 구멍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커버(3) 밖으로 돌출한 끝부분에, 예를 들면 링크기구등(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조작레버(42)가 연결되어 있다. 레버(42)는 4개의 포지션, A, B, C, D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37)은 앞끝부 바깥둘레에 외부 스플라인(100)을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28)의 근방에 있어서 커버(3)의 내면에는 환형상의 부재(101)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플라인(100)과 맞물림할 수 있는 내부 스플라인(102)가 부재(101)의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엔진출력은 주전동장치를 거쳐서 캐리어(16)으로 전달되고, 기어(20)은 항상 캐리어(16)과 함께 샤프트(5)를 중심으로 공전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운전조건을 설정할 수가 있다.
(1) 저속 : 4륜구동 : 차동기어 작동, 레버포지션 : C
이 상태에서는 연결부(3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을 출력부(33)에만 연결하고 있으며, 기어(25)는 샤프트(6)에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직선주행시등, 전륜측 타이어와 후륜측 타이어의 회전이 동일한 경우, 전륜구동용 기어(23)와 후륜구동용 기어(25) 및 동력의 입력부, 캐리어(16)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 차량의 스티어링시등, 전륜측 타이어와 후륜측 타이어의 회전차가 필요한 경우 입력부의 캐리어(16)위의 유성기어(20)의 작용에 의해 유성기어(20)과 맞물림하고 있는 전륜구동용 기어(23)과 후륜구동용 기어(25)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서 변화한다. 즉, 유성기어기구(15)가 차동기어작용을 한다.
(2) 저속 : 4륜구동 : 차동기어 비작동(록트), 레버포지션 : D
이 상태에서 연결부(37)은 입력부(31)을 양 출력부(32), (33)과 연결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며, 샤프트(5), (6)은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기어(25)도, 샤프트(5), 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20)은 핀(19)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일 없이 캐리어(16)과 함께 공전하고, 캐리어(16)에서 핀(19)을 거쳐서 기어(20)에 전달된 회전력은 기어(23)이나 기어(25)를 거쳐서 샤프트(5), (6)에 전달된다.
(3) 고속 : 2륜구동, 레버포지션 : A
이 상태에서는 스플라인(100)이 스플라인(102)에 맞물림하고 있다. 또, 연결부(37)의 내부 스플라인은 입력부(31)의 스플라인 s1에만 맞물림하고 있으며, 고정부재(101)은 연결부(37)이나 입력부(31)을 거쳐서 기어(25)의 회전을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25)와 맞물림하는 기어(20)은 캐리어(16)과 함께 공전하면서 핀(19)의 주위를 자전한다. 따라서, 기어(20)은 상기 4륜으로 구동할때보다도 기어(23)을 고속으로 구동하여, 샤프트(5)의 회전수가 증가한다. 또, 샤프트(6)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4) 중립범위, 레버포지션 : B
이 상태에서는 스플라인(100)이 스플라인(102)에 맞물림하고 있지 않으며, 또 연결부(37)의 내부 스플라인은 출력부(32)의 스플라인 s2에만 맞물림하고 있다. 따라서, 기어(25)는 기어(20)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며, 기어(20)은 기어(23), (25)를 구동할 수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성기어기구(15)에 의해 구성되는 차동기구에 맞물림 클러치(30)을 마련하고, 클러치(30)에 의해 기어(25)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차동기어기구를 변속기구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구조를 소형으로 간략화하여 원가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기구(레버(42))도 단순화하여 조작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클러치(30)을 이용하여 2륜구동범위나 중립범위를 얻을 수가 있어, 여러 가지의 운전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트랜스퍼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에서 제1도의 각부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베벨기어(116), (117), (118)을 갖는 차동기구(110)이 사용되고 있다. 차동기구(110)의 차동하우징(11)은 양끝의 통형상 보스가 베어링(112), (113)을 거쳐서 커버(2), (3)으로 지지되어 있다. 입력기어(17)은 하우징(111)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원주방향의 여러곳에는 샤프트(5)측으로 돌출한 스파이더(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파이더(115)에 의해 피니언기어(116)이 지지되어 있다. 기어(116)에는 양측에서 사이드 기어(117), (118)이 맞물림하고 있다. 기어(117)은 안쪽둘레의 스플라인을 거쳐서 샤프트(5)에 고정되어 있다. 기어(118)은 안쪽둘레의 통형상 보스(27)이 제2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맞물림 클러치(30)에 연결되어 있다. 또, 기어(117), (118)은 부쉬를 거쳐서 하우징(111)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1)이 제1도의 캐리어(16)과 마찬가지로 작용하고, 또 기어(116), (117), (118)이 각각 제1도의 기어(20), (23), (25)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것에 의해, 제1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맞물림 클러치(30)을 1개의 레버(42)로 조작하도록 하였으나 2개의 레버로 클러치(30)을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3도의 제3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의 록크기구(100), (101), (102)를 마련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기어(20)에는 지름이 큰 기어(45)(록크입력기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45)는 기어(20)과 캐리어(16)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쪽둘레가 부쉬를 거쳐서 핀(19)로 지지되어 있다. 기어(45)는 통형상 샤프트(46)의 뒤끝부의 지름이 작은 기어(45)(록크출력기어)와 맞물림하고 있다. 샤프트(46)은 부쉬(47)을 거쳐서 보스(18)의 안쪽둘레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보스(18)보다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샤프트(46)의 돌출한 앞끝부분은 바깥둘레에 스플라인을 구비하고, 이 스플라인에 맞물림 클러치(50)(록크기구)의 환형상 피제동 부재(51)의 안쪽둘레에 스플라인에 의해 끼워 맞추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부재(51)은 스플라인(52)를 바깥둘레에 구비하고 있으며, 스플라인(52)에 맞물림 클러치(50)의 통형상 연결부(53)이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끼워 맞춰져 있다. 연결부(53)은 바깥둘레에 환형상 홈(54)를 가지며, 홈(54)에 시프트 포오크(55)가 끼워 맞춰져 있다. 포오크(55)는 시프트 로드(56)의 뒤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56)은 샤프트(5)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중간부가 커버(2)의 구멍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커버(2)의 밖으로 돌출한 끝부분에 링크 기구등을 거쳐서 조작레버(57)이 연결되어 있다. 레버(57)은 2개의 포지션 E, F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결부(53)은 뒤쪽 바깥둘레에 내부 스플라인(59)를 구비하고, 스플라인(59)는 고정부재(60)의 내부 스플라인(61)에 맞물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재(60)은 환형상으로써 하우징(1)과 커버(2) 사이에 지지되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제3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의 운전조건을 설정할 수가 있다. 즉,
(1) 저속 : 4륜구동 : 차동기어 비동작(록크), 레버포지션 : C, F
이 상태에서는 포오크(55)가 연결부(53)을 스플라인(61)과 맞물리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있으며, 고정부재(60)은 연결부(53), 부재(51)을 거쳐서 샤프트(46)의 회전을 저지하여 샤프트(46)의 기어(48)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기어(48)과 맞물림하는 기어(45)의 자전은 제한을 받고, 출력 샤프트(5)와 연결하고 있는 기어(23)의 회전은 기어(45)와 그것에 맞물림하는 기어(48)의 기어비와 기어(20)과 그것에 맞물림하는 기어(23)의 기어바의 감소 비율분만큼 저속으로 회전한다. 또, 연결부(37)은 시프트 포오크(40)에 의해 이동되어 입력부(31)의 스플라인 s1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출력부(32), (33)의 스플라인 s2, s3을 연결한다. 따라서, 입력부(31)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기어(25)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다. 이 상태에서 기어(23)에서 샤프트(5)에 전달된 회전력은 출력부(32)에서 연결부(37), 출력부(33)을 거쳐서 샤프트(6)에도 전달된다. 또, 유성기어기구(15)는 차동기능을 하지 않는다.
(2) 고속 : 4륜구동 : 차동기어 비동작, 레저포지션 B, E
이 상태에서는 연결부(53)이 고정부재(60)에서 떨어지므로, 샤프트(46)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기어(48)은 기어(45)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 연결부(37)은 입력부(31)을 양 출력부(32), (33)에 연결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며, 샤프트(5), (6)은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기어(25)도 샤프트(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20)은 핀(19)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일없이 캐리어(16)과 함께 공전하고, 캐리어(16)에서 핀(19)를 거쳐 기어(20)에 전달된 회전력은 기어(23)이나 기어(25)를 거쳐 샤프트(5), (6)에 전달된다.
(3) 고속 : 4륜구동 : 차동기어 동작, 레버(42), (57)의 포지션 : D, E
이 상태에서는 연결부(53)이 고정부재(60)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기어(48)은 기어(45)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부(3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을 출력부(33)에 연결하고 있으며, 기어(25)는 샤프트(6)에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직선주행시등, 전륜측 타이어와 후륜측 타이어의 회전수가 동일한 경우, 양 샤프트(5), (6)의 회전이 동일하기 때문에 기어(23)과 기어(25) 및 캐리어(16)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 차량이 스티어링 주행시등 전륜측 타이어와 후륜측 타이어의 회전차가 필요할때에는 입력부의 캐리어(16)위의 유성기어(20)의 작용에 의해 유성기어(20)과 맞물림하고 있는 전륜구동기어(23)과 후륜구동기어(25)의 회전은 필요에 따라서 변화한다. 즉, 유성기어기구(15)가 차동작용을 한다.
(4) 고속 : 2륜구동, 레버포지션 : A, E
이 상태에서도 연결부(53)이 고정부재(60)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기어(48)은 기어(45)의 회전에 저향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부(37)은 입력부(31)을 출력부(32)에만 연결하고, 기어(25)는 샤프트(5)에만 연결된다. 따라서 기어(20)은 기어(23), (25)를 거쳐서 샤프트(5)를 구동하고, 샤프트(5)는 캐리어(16)과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또, 샤프트(6)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5)의 주위에 유성기어기구(15)를 마련함과 동시에, 유성기어기구(15)의 동작상태나 샤프트(5), (6)의 연결상태를 제어하는 맞물림 클러치(30)이나 맞물림 클러치(50)(록크기구)을 설치하고, 유성기어기구(15)를 전환(해제)가능한 차동장치나 변속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맞물림 클러치(30)을 기어(25)의 연결상태 제어기구로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샤프트(6)의 분리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여러 가지의 운전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트랜스퍼장치를 간단한 구조로서, 값싸게 제조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4도를 사용해서 제4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샤프트(5)는 샤프트(46)에서 돌출한 부분에서 분할되어 있고, 2개의 동심축부(70), (71)에 의해 샤프트(5)가 형성되어 있다. 동심축부(70)은 샤프트(46)에서 돌출한 선단부의 중심에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구멍의 안쪽둘레에 동심축부(71)의 지름이 작은 선단부가 부쉬(72)를 거쳐서 끼워 맞춤하고 있다.
동심축부(70), (71)의 인접하는 끝부분의 주위에는 맞물림 클러치(75)가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클러치(75)의 한쪽에 환상부재(76)은 동심축부(70)의 선단부 바깥둘레에 스플라인을 끼워 맞춤하고, 다른쪽의 환상부재(77)은 동심축부(71)의 선단부 바깥둘레에 스플라인을 끼워 맞춤하고 있다. 부재(76), (77)의 바깥둘레 스플라인에는 통형상의 연결부(78)의 안쪽둘레 스플라인이 끼워 맞춤하고 있다.
연결부(78)은 바깥둘레에 환형상홈(79)을 구비하고, 홈(79)에 포오크(80)이 끼워 맞춤하고 있다. 포오크(80)은 로드(81)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81)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2개의 포지션 G, H로 전환이 가능한 레버(82)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에 의하면, 레버(82)를 포지션 H에 설정하였을때에 연결부(78)은 부재(76), (77)을 서로 연결하고 동심축부(70), (71)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그 이외의 레버(42), (57)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운전조건을 설정할 수가 있다.
레버(82)를 포지션 G로 전환하면 연결부(78)은 부재(76)에서 떨어지는 위치까지 포오크(80)에 의해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동심축부(71)은 동심축부(70)에서 분리되게 되어 동심축부(71)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42), (57)을 각각 포지션 D, F로 설정하면 운전상태를 고속 2륜구동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즉, 레버(42)가 포지션 D에 있는 것에 의해 입력부(31)은 출력부(33)에만 연결된다. 한편, 레버(57)이 포지션 F에 있는 것에 의해 샤프트(46)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기어(48)과 맞물림하는 기어(45) 및 기어(20)은 핀(19)의 주위를 자전하고, 기어(25)는 기어(20)의 공전뿐만 아니라, 기어(20)의 자전에 의해서도 구동된다. 따라서 기어(25)는 제1도의 고속으로 운전할때보다도 더욱 고속으로 구동되어 샤프트(5), (6)중, 샤프트(6)만이 구속으로 구동된다.
레버(42), (57), (82)의 포지션을 각각 B, E, G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중속(제3도의 구조에 있어서의 고속)2륜구동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즉 포지션 E에서는 연결부(53)이 고정부재(60)에서 떨어지므로, 샤프트(46)은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기어(48)은 기어(45)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 포지션 B에서는 연결부(37)이 입력부(31)과 출력부(32), (33)을 연결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며, 샤프트(6)과 동심축부(70)은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기어(25)도 샤프트(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20)은 핀(19)의 주위를 회전하는 일 없이 캐리어(16)과 함께 공전하고, 캐리어(16)에서 핀(19)를 거쳐 기어(20)에 전달된 회전력을 기어(23)이나 기어(25)를 거쳐 샤프트(6)과 동심축부(70)에 전달된다. 그리고 포지션 G에서는 동심축부(71)이 동심축부(70)에서 분리되어 있으므로, 동심축부(70)에 전달된 회전력은 동심축부(71)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샤프트(6)만이 중속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3의 실시예와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록크입력기어(45)에 치수가 다른 록크출력기어(45)(외부기어)를 맞물림하여 기어(48)에 의한 기어(45)의 고정 및 해제에 따라 기어(20)의 회전속도를 변경하고 있으나, 이 구조 대신에 치수가 다른 내부링기어를 기어(45)에 맞물림하여 그 링기어에 의해 기어(45)나 기어(20)의 회전에 제한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4)

  1. 회전력 도입부(17)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입력기어(20)과 중간입력기어(20)에 맞물림하는 중간출력기어(25)를 갖는 중간기어기구, 상기 중간입력기어(20)과 맞물리고 제1의 출력부를 형성하는 제1의 기어(23), 상기 제1의 기어(23)에 연결된 제1의 샤프트(5), 중간출력기어(25)에 연결가능한 제2의 출력부(33), 제2의 출력부(33)에 연결가능한 제2의 샤프트(6), 제1의 샤프트(5)에 연결된 제1의 보조출력부(32), 중간출력기어(25)와 제2의 출력부(33) 및 제1의 보조출력부(32) 사이에 마련되고, 중간출력기어(25) 제2의 출력부(33)에 연결하는 차동기어 동작위치와 중간출력기어(25)를 제1의 보조출력부(32) 및 제2의 출력부(33)의 양쪽에 연결하는 차동기어 비동작위치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한 맞물림 클러치(30), 중간기어기구에 연결된 록크기어기구와 록크기어기구를 정지부에 대해서 자유롭게 분리하여 연결하는 록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클러치(30)은 중간출력기어(25)를 제1의 보조출력부(32) 및 제2의 출력부(33)의 어느쪽에도 연결되지 않는 중립위치로 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록크기어지구는 중간출력기어(25)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연결된 맞물림 클러치의 입력부(31)를 포함하며, 상기 록크기구는 맞물림 클러치(30)의 가동연결부(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3. 회전력 도입부(17)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입력기어(20)과 중간입력기어(20)에 맞물림하는 중간출력기어(25)를 갖는 중간기어기구, 상기 중간입력기어(20)과 맞물리고 제1의 출력부를 형성하는 제1의 기어(23), 상기 제1의 기어(23)에 연결된 제1의 샤프트(5), 중간출력기어(25)에 연결가능한 제2의 출력부(33), 제2의 출력부(33)에 연결가능한 제2의 샤프트(6), 제1의 샤프트(5)에 연결된 제1의 보조출력부(32), 중간입력기어(20)에 동축으로 견고하게 마련된 록크입력기어(45)와 상기 록크입력기어(45)에 맞물림하는 록크출력기어(48)로 구성된 록크기어기구와 맞물림 클러치(30)과는 별도의 맞물림 클러치(50)을 포함하는 록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샤프트(5)는 제1의 입력축부(70)과 출력축부(71)로 분할되고, 상기 제1의 기어(23) 및 제1의 보조출력부(32)는 제1의 입력축부(70)에 고정되며, 맞물림 클러치(75)는 제1의 입력축부(70)과 제1의 출력축부(71)을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KR1019850002483A 1984-04-18 1985-04-13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KR910000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77677A JPS60222326A (ja) 1984-04-18 1984-04-18 車輌用トランスフア装置
JP59077678A JPS60222327A (ja) 1984-04-18 1984-04-18 車輌用トランスフア装置
JP59-77678 1984-04-18
JP59-77677 1984-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762A KR850007762A (ko) 1985-12-09
KR910000932B1 true KR910000932B1 (ko) 1991-02-19

Family

ID=2641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483A KR910000932B1 (ko) 1984-04-18 1985-04-13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73892A (ko)
KR (1) KR910000932B1 (ko)
DE (1) DE3513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2930A1 (de) * 1986-01-31 1987-08-06 Porsche Ag Allradantrieb fuer ein kraftfahrzeug
WO1991018226A1 (en) * 1990-05-17 1991-11-28 Dyneer Corporation Improved interaxle differential
US5067935A (en) * 1990-05-17 1991-11-26 Dyneer Corporation Interaxle differential
US5342255A (en) * 1992-11-16 1994-08-30 Eaton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driving axle differential
US6432021B1 (en) * 2000-07-07 2002-08-13 Warn Industries, Inc. Three mode differential
US6540634B2 (en) * 2000-10-25 2003-04-01 Dana Corporation Wheel differential shift mechanism
US6513615B2 (en) 2001-03-26 2003-02-04 New Venture Gear, Inc. Full-time all-wheel drive power take-off unit for motor vehicle
KR20030015762A (ko) * 2001-08-17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동기어 경고오인 제어장치
JP4203550B2 (ja) * 2002-08-19 2009-01-0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輌用差動歯車装置
JP2004114193A (ja) * 2002-09-25 2004-04-15 Honda Motor Co Ltd 動力伝達装置の組立方法
ATE390407T1 (de) 2002-10-28 2008-04-15 Glaxo Group Ltd Phenethanolamin-derivate zur behandlung von atemwegserkrankungen
GB0404547D0 (en) * 2004-02-28 2004-03-31 Mason Kevin A Differential locking system
JP2007255642A (ja) * 2006-03-24 2007-10-04 Aisin Ai Co Ltd 遊星歯車式変速機
US20100248884A1 (en) * 2009-03-31 2010-09-30 Richard Tremblay Transmission for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9541183B2 (en) * 2015-02-27 2017-01-10 Caterpiller Inc. Output transfer group for mobile machine powertrain
US9511667B2 (en) * 2015-02-27 2016-12-06 Caterpillar Inc. Output transfer group for mobile machine powertrain
DE102016002198A1 (de) * 2015-02-27 2016-09-01 Caterpillar Inc. (n.d.Ges.d. Staates Delaware) Ausgabeübertragungsgruppe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r mobilen 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3890A (en) * 1951-09-18 1958-09-30 Borg Warner Transmission
US2737829A (en) * 1953-02-17 1956-03-13 Kirkstall Forge Engineering Lt Differential and reduction gear means for road vehicle axles
US2834229A (en) * 1954-09-23 1958-05-13 Clinton L Graybill Reversing mechanism
US3031900A (en) * 1956-11-08 1962-05-01 Daimler Benz Ag Axle drive arrangement
US2913929A (en) * 1957-10-07 1959-11-24 Martin E Anderson Selective drive differential gear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
JPS5414700B2 (ko) * 1972-04-27 1979-06-08
US3915267A (en) * 1973-08-02 1975-10-28 Dana Corp Differential and braking assembly
US3908775A (en) * 1974-12-16 1975-09-30 Int Harvester Co Transfer case assembly with a double duty differential
US4286480A (en) * 1979-09-14 1981-09-01 Champion Road Machinery Limited Speed reducer
US4295798A (en) * 1979-10-01 1981-10-20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two-speed pump assembly
JPS57182527A (en) * 1981-04-30 1982-11-10 Nissan Motor Co Ltd 4-wheel-dr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13888A1 (de) 1985-10-31
US4873892A (en) 1989-10-17
KR850007762A (ko) 1985-12-09
DE3513888C2 (ko) 199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932B1 (ko) 차량용 트랜스퍼장치
JP4461582B2 (ja) 駆動力切換機構
US4299140A (en) Transfer device for four wheel drive
US4645029A (en) Four-wheel vehicle drive system
JPH0111551Y2 (ko)
US4799399A (en) Manually controlled multiple speed ratio transmission
JPH0554574B2 (ko)
JP2626167B2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ー装置
JPH02169327A (ja) トランスファデフロック制御装置
KR870001671Y1 (ko) 작업차의 전 · 후진 변환장치
JP2529245B2 (ja) デフアレンシヤル装置
EP0984870B1 (en) Transmission for four-wheel drive vehicle
JP2987879B2 (ja) トラクタの伝動装置
JP4477983B2 (ja) 作業車両
GB2148419A (en) Transmission for a riding mower
JP4581272B2 (ja) 四輪駆動車の動力分配装置
KR900005708B1 (ko) 4륜 구동차의 동력 전달장치
JPH0542842A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ア装置
JPH1076863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H0243651B2 (ko)
GB2280481A (en) Drive unit for four wheel drive has shifting sleeve within a sun gear of one planetary gearing
JPH09177942A (ja) 4輪駆動車の動力伝達用センタ―デフ
JPS6320234A (ja) 自動車の2輪・4輪駆動切換装置
JPH0243650B2 (ko)
JPH04483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