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17Y1 - X-y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X-y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17Y1
KR890002617Y1 KR2019840005494U KR840005494U KR890002617Y1 KR 890002617 Y1 KR890002617 Y1 KR 890002617Y1 KR 2019840005494 U KR2019840005494 U KR 2019840005494U KR 840005494 U KR840005494 U KR 840005494U KR 890002617 Y1 KR890002617 Y1 KR 890002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roller
rotating
input device
upper cas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5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034U (ko
Inventor
고에 쥰이찌 호소
유우 이찌 이다
모또 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80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0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X-Y방향 입력장치
제1도는 X-Y방향 입력장치를 포함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X-Y방향 입력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하부케이스의 상면도.
제4도는 하부케이스의 정면 단면도.
제5도는 하부케이스의 저면도.
제6도는 고리형 지지체의 상면도.
제7도는 고리형 지지체의 정면 단면도.
제8도는 고리형 지지체의 측면도.
제9도는 상부케이스의 상면도.
제10도는 상부케이스의 정면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A-A선의 단면도.
제12도는 상부케이스의 저면도.
제13도는 스위치 레버의 상면도.
제14도는 스위치 레버의 정면 단면도.
제15도는 스위치 레버의 저면도.
제16도는 X-Y방향 입력장치 전체의 조립 단면도.
제17도는 스위치 레버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X-Y방향 입력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18도는 X-Y방향 입력장치의 회전량 검출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베이스 8 : 케이싱
9 : 하부케이스 10 : 상부케이스
13 : 스위치레버 14 : 조작단
22 : 개구 28 : 고리모양 지지체
53 : 피회전구체 59 : 제1의 종동롤러
60 : 제2의 종동롤러 61 : 마찰력 부여롤러
64 : 제1의 회전량 검출수단 65 :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
본 고안은 X-Y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형 입력장치 등에 알맞은 X-Y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디스플레이장치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 디스플레이 콘트롤러(display controller), 데이터채널(data channel) 및 각종 X-Y입력장치 등으로서 구성된다.
본 장치는 하나로 진벌(ginbal)기구로 지지된 레버를 조작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눕히면 그 방향과 눕힘 각도를 검출하여,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각 성분의 전압 혹은 디지틀 신호를 발생하는 죠이스틱(JOYSTICK)이 있다.
그런데 이 X-Y방향 입력장치는 레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는 동시에 입력신호의 안정성 등에도 문제가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년에는 당 고안이 대상으로 하는 소위 「마우스」(mouse)라 불리는 X-Y방향 입력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X-Y방향 입력장치는 회전 자유로히 배치된, 예를 들어 강구(鋼球) 등으로 이루어진 피회전구체(이하 구체라고 약칭한다)와, 그 구체와 접하여, 구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의 종동롤러와 구체와 접하여 구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이 상기 제1의 종동롤러의 축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제2의 종동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의 종동롤러의 회전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가변 저항기나 엔코더 등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과 이들 구체와, 제1, 제2의 종동롤러 및 제1의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등을 수용하는 케이싱에 의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이 개구를 통하여 구체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케이싱을 가지고 구체를 소정의 베이스상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전동함으로써 제1 및 제2의 종동롤러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들 종동롤러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제1 및,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에 의해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각 성분의 전압 혹은 디지틀 신호로 인출하여 그들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 종류의 X-Y방향 입력장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X-Y방향 입력장치의 종래예에서는 스위치 케이스의 하부에 모든 내부기구가 부착되고, 케이스 상부에는 단지 이 내부기구를 커버하는 뚜껑체의 역할만을 가지며, 또한 상부케이스에 부착된 스위치레버는 카티레버 스프링이며, 그 끝부를 케이스의 내벽에 리베팅고정시켰으므로, 초기에 스위치의 조작부(14)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레버(13)가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종래예의 문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며 이하 본고안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에 관한 X-Y방향 입력장치를 포함한 그래픽·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테이블(1)상에는 스크린, 콘트롤러 및 데이타 채널등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2)와, 작동키를 가지는 입력장치(3)와, 본 고안의 실시에 관한 X-Y방향 입력장치(4)가 배치된다. 그리고 X-Y방향 입력장치(4)는 테이블(1)상에 깔아놓은 전용 시이트(5)위에서 조작되고, 이 조작에 의하여,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6)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cursor)(7)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X-Y방향 입력장치(4)의 측면도이다.
케이싱(8)은 예를 들어 ABS수지등으로 성형된 하부케이스(9)와 상부케이스(10)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9)와 상부케이스(10)의 접합부로 부터 케이싱(8)안쪽으로 먼지나 물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9)와 상부케이스(10)의 접합부 전둘레에 단을 주어 접합시킨다.
상부케이스(10)는 조작자가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고, 그 상벽부(11)의 앞쪽의 소정 위치에는 상부케이스(1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삽입구멍(12)이 형성된다. 이 삽입구멍(12)에는 장방형을 한 스위치 레버(13)의 조작단(14)이 상부케이스(10)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벽부(11)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레버(13)의 아래쪽에는 그것에 대응하여 누름 스위치가 배치되며, 이들은 X-Y방향 입력장치(4) 자체의 스위치 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2)에서 커서(7)의 바로위 혹은 바로 아래에 있는 표시 패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혹은 다른 표시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기타의 변환이나 제어등의 각종 신호처리에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2)와 X-Y방향 입력장치(4)는 코드(15) 및 삽입플러그(16)에 의해 접속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각각 하부케이스(9)의 평면도, 단면도, 저면도이다. 하부케이스(9)에 있어서의 밑바닥부(17)의 외주부에는 전주에 걸쳐 주벽부(18)가 연속으로 입설되어 있고, 앞쪽의 가진부분 2개소와 뒷쪽의 중앙부에는 작은구멍(19), (20), (21)은 각각의 중심점을 연결하면 이등변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위치설정되어 있다.
또 밑바닥부(17)의 중앙에는 큰 지름의 개구부(22)가 설치되고 개구부(22)의 아래 모서리에 고리모양의 단부(段部)(22a)를 형성함과 동시에 아래 모서리의 일부에는 각형(角形)의 홈부(22b)를 형성하고, 개구부(22)의 주변 4개소에 나사구멍(23)이 형성된다.
또한 밑바닥부(17)의 앞쪽 중앙부와 뒤쪽 각진부분 2개소에는 나사 삽입구멍(24), (25), (2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나사 삽입구멍(24)와 상기개구부(22)과 주벽(18)사이에는 필요한 개소에 보강용 리브(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후술하는 피회전구체를 지지하는 고리모양 지지체(28)를 나타내며 제6도는 평면도, 제7도는 정면 단면도, 제8도는 측면도이다.
이 고리 모양 지지체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며 중앙에는 피회전구체보다 지름이 큰 관통부(29)를 가지며 관통부(29)의 주위에 3개의 공동부(30), (31), (32)를 구비한다. 공동(30), (31), (32)은 각각 후술하는 제1, 제2의 종동롤러와 마찰 부여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관통부(29)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 고리모양 지지체(28)는 상기 관통부(29)의 상부에 돔 모양의 보호커버(33)를 일체로 가진다. 보호커버(33)의 피회전 구체가 관통부(29)내에서 필요이상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커버(33)의 상면 2개소에 설치된 T자형태의 돌기는 스위치레버(13)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대(34)이며, 제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리모양 지지체(28)의 정점(頂点)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공동부(30)의 양측 및 공동부(31), (32)의 끝부에 나사구멍(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4개의 나사구멍(35)과 상기 하부케이스(9)의 나사구멍(23)을 나사로 연결함으로써 고리모양 지지체(28)를 하부케이스(9)에 고착한다.
제9도는 상부케이스의 상면도, 제10도는 상부케이스의 정면 단면도, 제11도는 상부케이스의 제9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12도는 상부케이스의 저면도이다.
상부케이스(10)는 사용자의 수중에 수납되도록 만곡된 상벽부(11)를 가지며(제2도 참조), 상벽부(11)의 앞쪽에는 2개의 스위치레버(13)의 조작단(14)이 노출되도록 창(36)을 뚫려 있다. 이 상벽부(11)의 내면에는 상기 하부케이스(9)의 나사 삽입구멍(24), (25), (26)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구멍(37), (38), (39)가 형성되며 하부케이스(9)의 구멍 (19), (20), (21)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중앙에 구멍을 뚫은 보스(40), (41), (42)가 돌설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9)의 개구부(22)와 대응하는 상벽부(11)의 내면에는 상기 고리모양 지지체(28)의 보호커버(33) 상면과 당접하는 고리모양 돌출벽(43)이 형성되고, 얇은 보호커버(33)를 위쪽에서 눌러서 보강하고 있다. 이 고리모양 돌출벽(43)의 주의 2개소에는 상기 고리모양 지지체(28)의 받침대(34)와 대응하는 위치에 받침대(34)와 동일 형태의 T자형 누름부(44)가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부(44)의 근방에 3개의 용착핀(45)에 의해 고정된 스위치레버(13)의 끝부를 이 누름부(44)와 받침대(34)로 협지(狹持)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0)의 주벽(46)과 보스(40), (41), (42) 및 나사구멍 (37), (38), (39) 등의 사이에는 보강리브(47)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제13도는 스위치레버(13)의 상면도, 제14도는 정면단면도, 제15도는 저면도이다.
스위치레버(13)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며, 단면이 대략 〈 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그리고 한쪽 끝에는 단면 ㄷ자형의 조작단(14)을 가지며, 이 조작단(14)의 하벽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작부(14a)를 형성하고 타단은 약간 협소한 폭의 협지부(48)와 이 협지부(48)의 내측에 뚫려 있는 3개의 작은구멍(49)을 구비하고 작은구멍(49)의 바로 안쪽에는 스위치레버(13)의 조작성을 높이기 위해 얇은부분(50)이 형성된다. 또한 조작단(14)의 선단에는 플랜지부(14b)를 형성하고, 상부케이스(10)의 창(36)에 당접시켜, 스위치레버(13)의 복귀 동작의 정지구 역할을 하고, 또한 스위치레버(13)의 절곡된 부분에는 보강리브(51)를 형성한다.
제16도는 입력장치(4)의 조립단면도이다.
즉, 하부케이스(9)와 상부케이스(10)는 상기 나사삽입구멍(24), (25), (26)과 나사구멍 (37), (38), (39)을 나사(52)로 연결함으로써 일체화 된다.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9)로 이루어진 케이싱(8)의 중앙부에는 강구(鋼球)로 형성된 피회전구체(53)가 배치되고, 이 피회전구체(53)는 하부케이스(9)의 개구부(22)의 단부(22a)에 끼워맞춰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 덮개체(54)와 고리모양 지지체(28)에 의해 케이싱(8)내에 보전되고 하부끝이 덮개체(54)의 개구(54a)로부터 아래쪽으로 노출하여 베이스(5)위를 전동(轉動)함으로써 고리모양 지지체(28)의 관통부(29)내에서 X-Y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하부케이스(9)의 3개의 구멍(19), (20), (21)내에는 작은구(小球)(55)가 수납되어 있고 작은구(55)는 상부케이스(10)의 보스(40), (41), (42)에 위쪽이동이 규제되어, 하부면이 하부케이스(9)저면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부케이스(10)의 상벽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레버(13)의 일단이 용착핀(45)에 의해 고정된다. 이 고정은 3개의 용착핀(45)을 스위치 레버(13)의 작은구멍(49)에 관통삽입한 후 핀(45)의 선단을 녹여서 코오킹 고정한 것으로 이로써 스위치레버(13)는 그 조작단(14)이 코오킹 고정부를 지점으로 하여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오킹 고정부의 근방인 스위치레버(13)의 선단의 협지부(38)는 고리모양 지지체(28)의 상부면에 설치된 받침대(34)와 상부케이스(10)의 하벽에 설치된 누름부(44)와의 사이에 협지되며, 비록 코오킹 고정부의 고착강도가 열화하여도 스위치레버(13)의 동작은 코오킹 고정부를 지점으로 하여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레버(13)에 의해 조작되는 X-Y방향 입력장치의 스위치장치는 누름스위치(56)이며, 기판(57)상에 장착되고,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9)의 보스(58)상에 고정된다. 이 누름스위치(56)의 위쪽에는 상기 스위치레버(13)의 조작부(14a)가 대향하여 있고, 조작단(14)을 밀어 넣으면 조작부(14a)가 누름스위치(56)에 당접되어 스위치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모양 지지체(28)에 형성된 돔 형상의 보호커버(33)는 통상 사용상태에서는 피회전구체(53)의 상면에서 약간 격리된 위치에 있고 피 회전구체(53)의 전동에는 하등의 지장을 가져오지 않지만 X-Y방향 입력장치(4)를 전동시키거나 베이스(5)로부터 낙하시켰을 경우에, 피회전구체(53)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피회전구체(53)의 표면 및 상부케이스(10)등을 보호한다. 피회전구체(53)는 그회전량을 정확히 검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통상 강구와 같이 중량이 크고 정밀도 높은 표면을 갖는 것이 요구되며, 이것이 함부로 케이스 내벽등에 접촉하면 표면을 손상시켜, 회전량 검출이 불안정하게 된다. 그래서 피회전구체(53)의 위쪽을 피회전구체(53)의 곡률(曲率)에 가까운 곡률을 가진 돔 모양의 보호커버(33)로 피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X-Y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의 회전량 검출원리를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의 종동롤러(59)및 제2의 종동롤러(60)에는 마찰력 부여롤러(61)에 의해 피회전구체(53)가 압접된다. 제1의 종동롤러(59)와 제2의 종동롤러(60)의 축방향은 직교하고 피회전구체(53)의 표면에 대하여는 서로 직각인 방향에서 접촉한다.
마찰력 부여롤러(61)는 상기 제1, 제2의 종동롤러(59), (60)의 축선이 교차되는 점 (Q)와, 피회전구체(53)의 중심(0)을 연결하는 직선위에 배열되고, 피회전구체(53)을 제1, 제2의 종동롤러(59), (60)에 대하여 균등한 힘으로 누른다.
또한 마찰력 부여롤러(61)는 광체(筐體)(62)를 스프링(63)으로 작용함으로써, 누르는 힘을 얻는다.
상기 제1, 제2의 종동롤러(59), (60) 축에는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64), (65)이 설치된다.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64), (65)은 종동롤러의 회전량을 엔코더 회전형 가변 저항기등에 의해 검출하는 것으로서, 피회전구체(63)의 회전량을 X방향, Y방향의 각각의 성분으로 나누어서 검출함으로써 피회전구체(53)의 회전상태를 알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것이며, 회전 자유로히 배치된 피회전구체와, 그 피회전구체와 접하여 피회전구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의 종동롤러와, 피회전구체와 접하여 피회전구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이 상기 제1의 종동롤러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의 종동롤러와, 상기 제1의 종동롤러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의 회전량 검출수단과, 상기 제2의 종동롤러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과 상기 피회전구체를 제1의 종동롤러 및 제2의 종동롤러측에 탄성적으로 가세하여 피회전구체와 종동롤러의 사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력 부여롤러와, 이들 피회전구체, 제1 및 제2의 종동롤러 및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피회전구체의 일부가 이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피회전구체를 베이스상에서 전동시키도록 하는 X-Y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상하로 2분할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하고 상부케이스에는 조작단을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게 노출한 스위치레버의 다른끝을 코오킹 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제1, 제2의 종동롤러 및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 및 상기 마찰 부여롤러를 지지하는 고리모양 지지체를 고정하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고리모양 지지체에 의하여 스위치레버의 코오킹 고정부 근방을 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상에 X-Y방향 입력장치를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그 이동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레버는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융착핀에 의한 코오킹 고정외에 상부케이스와 고리모양 지지체와의 협지에 의해 이루어졌으므로 비록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융착핀에 의한 코오킹 고정이 불안정하게 되어도 스위치 작동을 충분히 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회전자유로히 배치된 피회전구체(53)와 이 피회전구체(53)와 접하며 피회전구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의 종동롤러(59)와 피회전구체(53)와 접하여 피회전구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이 제1의 종동롤러(59)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2의 종동롤러(60)와 상기 제1의 종동롤러(59)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의 회전량 검출수단(64)과, 상기 제2의 종동롤러(6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65)과 상기 피회전구체(53)를 제1의 종동롤러(59) 및 제2의 종동롤러(60)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세하여 피회전구체(53)와 상기 제1, 제2의(59)(60) 사이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력 부여롤러(61)와 이들 피회전구체(53), 제1, 제2의 종동롤러 (59), (60),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64), (65)등을 수납하는 케이싱(8)을 구비하고, 케이싱(8)의 하부(9)에 개구(22)를 형성하여 피회전구체(53)의 일부가 개구(2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피회전구체(53)를 베이스(5)상에서 전동시키도록 하는 X-Y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8)을 상하로 2분할한 상부케이스(10)과 하부케이스(9)로 구성하고, 상부케이스(10)에 조작단(14)이 외부에서 조작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레버(13)의 타단을 코오킹 고정하고, 하부케이스(9)에 상기 제1 및 제2의 종동롤러(59), (60) 및 제1, 제2의 회전량 검출수단(64), (65)와 마찰 부여롤러(61)를 지지하는 고리모양 지지체(28)를 고정하고,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9)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0)와 고리모양 지지체(28)에 의해 스위치레버(13)의 코오킹 고정 근방을 지지 보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Y방향 입력장치.
KR2019840005494U 1983-07-14 1984-06-12 X-y방향 입력장치 KR8900026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08263U JPS6020648U (ja) 1983-07-14 1983-07-14 X−y方向入力装置
JP58-108263 1983-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034U KR850008034U (ko) 1985-10-26
KR890002617Y1 true KR890002617Y1 (ko) 1989-04-29

Family

ID=1448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5494U KR890002617Y1 (ko) 1983-07-14 1984-06-12 X-y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13853A (ko)
JP (1) JPS6020648U (ko)
KR (1) KR890002617Y1 (ko)
CA (1) CA1227552A (ko)
DE (1) DE3425932A1 (ko)
GB (1) GB2145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4543A1 (de) * 1985-02-16 1986-08-21 Alps Electric Co Ltd X-y-positionseingabevorrichtung fuer ein anzeigesystem
JPS6244339U (ko) * 1985-08-31 1987-03-17
DE3662320D1 (en) * 1986-10-25 1989-04-13 Hewlett Packard Gmbh Devi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a picture screen cursor
JPS63150723A (ja) * 1986-12-16 1988-06-23 Yamaha Corp 座標入力装置
JPH0197335A (ja) * 1987-10-08 1989-04-14 Omron Tateisi Electron Co マイクロスイッチ
US4954817A (en) * 1988-05-02 1990-09-04 Levine Neil A Finger worn graphic interface device
JP2517932Y2 (ja) * 1988-05-31 1996-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ツチ作動用押しボタン装置
JPH04502679A (ja) * 1989-10-23 1992-05-14 マイクロソフト コーポレイション キーボードに取り付け可能な調節自在のクランプを備えた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5187468A (en) * 1989-10-23 1993-02-16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with adjustable clamp attachable to a keyboard
US5414445A (en) * 1992-10-07 1995-05-09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pointing device
US7322011B2 (en) * 1994-01-06 2008-01-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characteristics of a displayable data file using an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US6097371A (en) 1996-01-02 2000-08-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characteristics of a displayable data file using an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US6940488B1 (en) 1994-01-06 2005-09-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characteristics of a displayable data file using an ergonomic computer input device
US5473344A (en) * 1994-01-06 1995-12-05 Microsoft Corporation 3-D cursor positioning device
US5664668A (en) * 1994-09-14 1997-09-09 Motorola, Inc. Tactile button with snapped on pivot and deflecting mechanism
US5828364A (en) * 1995-01-03 1998-10-27 Microsoft Corporation One-piece case top and integrated switch for a computer pointing device
USD385542S (en) * 1996-01-05 1997-10-28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USD382550S (en) * 1996-01-16 1997-08-19 Microsoft Corporation Rear portion of a pointing device
US6031518A (en) * 1997-05-30 2000-02-29 Microsoft Corporation Ergonomic input device
US5813520A (en) * 1997-07-17 1998-09-29 Ericsson, Inc. Housing and actuator button assembly
US7006075B1 (en) 1997-11-10 2006-02-28 Micron Technology Inc. Ergonomic computer mouse
US6469693B1 (en) * 2000-01-11 2002-10-22 Logitech Europe S.A. Computer mouse with single-piece top and single-piece bottom
GB0001776D0 (en) * 2000-01-27 2000-03-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ouse
US6552714B1 (en) 2000-06-30 2003-04-22 Lyle A. Vust Portable pointing device
WO2005048630A1 (en) * 2003-11-12 2005-05-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Data-capable network prioritization with reduced delays in data service
CN106816332A (zh) * 2015-11-27 2017-06-09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936A (en) * 1952-11-15 1956-09-04 Edwards Company Inc Push-operator switch construction
US3250882A (en) * 1964-08-26 1966-05-10 Stackpole Carbon Co Electric line switch
US3987685A (en) * 1974-12-16 1976-10-26 Xerox Corporation Cursor position device
US4177367A (en) * 1978-07-18 1979-12-04 Amf Incorporated Push button switch
US4464652A (en) * 1982-07-19 1984-08-07 Apple Computer, Inc. Cursor control device for use with display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25932A1 (de) 1985-01-31
US4613853A (en) 1986-09-23
CA1227552A (en) 1987-09-29
JPS6020648U (ja) 1985-02-13
GB2145200A (en) 1985-03-20
GB8417879D0 (en) 1984-08-15
DE3425932C2 (ko) 1987-10-15
GB2145200B (en) 1987-01-21
KR850008034U (ko) 198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617Y1 (ko) X-y방향 입력장치
US7463239B2 (e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6075518A (en) Rotational X-axis pointing device
JP2000322193A (ja) z軸スイッチを持つ、ジンバル取り付け型ジョイスティック
KR19990015509A (ko)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컴퓨터
US6160537A (en) Computer joystick for moving an object in three dimensions
US4581609A (en) X-Y position input device for display system
KR890002616Y1 (ko) X-y방향 입력장치
US4881065A (en) X-Y position input apparatus including preventing dust interference
US4739315A (en) X-Y input device
KR100330160B1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H0353319Y2 (ko)
JP2880492B1 (ja) 座標入力装置
JPS59163512A (ja) X−y方向入力装置の組立方法
KR200340180Y1 (ko) 컴퓨터용 마우스
JPS605394Y2 (ja) X−y方向入力装置
JPS61184628A (ja) X−y方向入力システム
KR0129814B1 (ko) 조작 키이장치
JPS60662Y2 (ja) X−y方向入力装置
JPH0330908Y2 (ko)
JPH0337064Y2 (ko)
JPS60661Y2 (ja) X−y方向入力装置
JPH11161418A (ja) 座標入力装置
JPH0119367Y2 (ko)
JPS60663Y2 (ja) X−y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