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19B1 -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19B1
KR860000919B1 KR8203277A KR820003277A KR860000919B1 KR 860000919 B1 KR860000919 B1 KR 860000919B1 KR 8203277 A KR8203277 A KR 8203277A KR 820003277 A KR820003277 A KR 820003277A KR 860000919 B1 KR860000919 B1 KR 86000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worm wheel
arm
record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36A (ko
Inventor
아끼라 후꾸미쓰
시게도시 사가라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8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the disc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for recording reproducing, e.g. cooperating with an extractable t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3/34Driving or guid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3/38Guiding, e.g.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providing linear or other special tracking characteristic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제1도는 종래와 본 발명에 대한 레코오드 재생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아암 이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 제4도는 종래와 본 발명의 레코오드 재생장치에서 사용하는 턴테이블의 승강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5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아암 이송장치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아암이송장치를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를 절취해서 도시한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측면도.
제8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아암이 송장치에 사용하는 클러치를 도시하고, 각각 별도의 동장상태에 있을때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레코오드 16 : 재생장치 본체
25 : 턴 테이블 26 : 지지체
28 : 픽업 아암 29 : 캐리지
293 : 택 32 : 모우터
35 : 워엄 58 : 클러치
59 : 중심스핀들 60 : 피니언(pinion)
61 : 워엄휘일 62 : 클러치 스프링
63 : 인장스프링 66 : 압압부재
본 발명은 레코오드재생장치의 턴테이블위에 재치된 레코오드의 직경방향으로픽업아암을 이송하기 위한 아암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의 비재생시에 픽업아암을 자동적으로 위치(스타아트위치)에 복귀시킬 수있고 또 아암의 이송시에 복잡한 기어기구나 픽업아암이 스타아트 위치로 복귀했을때 반발동작의 방지기구를 필요없게 한 아암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자켓을 레코오드 재생장치내에 삽입하여 레코오드에 직접 사람의 손을 대지 않고 레코오드의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한 구성의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사용할때,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악용 레코오드는 이 레코오드를 재생장치(이하, 플레이어라 칭한다)로 재생하는 경우에 자켓내에서 레코오드를 손으로 집어서 꺼내어 플레이어의 턴테이블위에 재치하여 재생을 하고 있다. 또, 레코오드의 재생종료후는 재차손으로 턴테이블 위에서 레코오드를 들어서 이 레코오드를 빈 자켓안에 수납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PCM 레코오드가 주목을 끌고있고 일부는 이미 상품화되고 있다. 또, 이 PCM 레코오드와 동일하게 음악은 물론이고 화상까지 레코오드에 기록한 비데오디스크 레코오드도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PCM레코오드 및 비데오디스크 레코오드도 다같이 이하, 레코오드로서 설명한다. 이들 레코오드는 종래의 레코오드와는 달리미세한 비트에 의한 디지탈 신호기록에 의해서 신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이 미세한 비트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아트리지도 고정밀도의 것이 필요한다. 예를들면, 레이저 광을 이용하거나 사파이어나 다이어몬드에 전극을 형성한 스타일러스 등이 사용된다. 이와같이 수미크론 정도의 비트를 검출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레코오드를 직접 사람의 손으로 자켓으로부터 꺼내고 수납하고 하는 조작을 하면 레코오드기록면에 사람의 손때나 먼지가 부착하기 쉽고 이들의 이물이 부착했을 경우에는 잡음으로 재생음, 재생화면에 나타나기도 하고, 또는 스타일러스를 손상시키는 등의 결함이 있다. 그래서 레코오드에 직접손을 대지않고 자켓에 레코오드를 수납한 상태로 플레이어속에 자켓을 삽입하고 이 플레이어 내에서 레코오드를 자켓에서 자동적으로 꺼내어 빈 자켓만을 플레이어 밖으로 꺼내고 플레이어내에 남겨진 레코오드를 턴테이블위에 재치해서 재생동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재생종료 후에는 빈 자켓을 플레이어내에 삽입하면 자동적으로 플레이어 내에서 레코오드가 자켓내에 수납되고, 플레이어에서 자켓을 꺼내면 자켓내에 레코오드가 수납된 상태로 꺼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하, 이러한 방법의 비데오디스크 재생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러한 자켓과 플레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자켓(11)은 엷은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측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2)는 덮개(13)에 의해서 덮어져 있고 이 덮개(13)에는 환형 스핀(14)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 스핀(14)는 대략 링형상이고 이 공간내에 레코오드(15)가 수용된다.
한편, 플레이어본체(16)에는 이 자켓(11)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17)가 형성되고, 자켓(11)을 삽입할 경우에는 도면중 화살표의 표시와같이, 자켓(11)의 덮개(13)측에서 플레이어 본체(16)의 삽입구(17)를 통해서 플레이어본체(16)내에 자켓(11)을 삽입해간다.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자켓(11)은 플레이어 본체(16)내에 형성된 처킹장치(도시 생략에 의해서 자켓(11)의 덮개(13)가 플레이어 본체(16)내에 고정유지된다. 그후 자켓(11)을 플레이어 본체(16)로부터 뽑아내면, 플레이어 본체(16)내에는 덮개(13), 스핀(14) 및 레코오드(15)가 남고 빈 자켓(11)만 나온다. 또, 재생 종류후에 빈 자켓(11)을 플레이어본체(16)내에 삽입하면, 플레이어본체(16)내의 처킹장치의 고정유지기능이 해제되어 자켓(11)내에는 재생종료후의 레코오드(15) 및 스핀(14), 개체(13)가 원상태로 수납된다. 그후, 자켓(11)을 플레이어 본체(16)에서 뽑아내므로써 자켓(11)은 레코오드(15)가 수납된 상태로 꺼내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조금도 레코오드에 손을 대지않고 재생조작을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플레이어 본체(16)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샤시(21)위에는 상기 삽입구(17)와 정렬된 높은 위치에서 자켓(11)을 소정의 통로에 따라 삽입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레일(22)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레일(22)은 예컨대 샤시(21)위에 수직방향으로 장착한 부샤시(23)에 장착된다. 또, 상기 자켓삽입구(17)에 대향해서 셔터기구(24)가 설치된다. 이 셔터기구(24)는 재생동작중 자켓이 오삽입되거나 또는 자켓이외의 이물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샤시(21)위에는 턴테이블(25)의 주변에 복수(예를들면 4개)의 지지체(26)가 설치된다. 이들 지지체(26)는 자켓(11)이 삽입되었을때 그 자켓(11)을 지지하고, 또 자켓(11)이 뽑아졌을때 레코오드(15) 및 스핀(1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턴테이블(25)은 이지지체(26)의 상면보다도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질 수 있도록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승강의 이유 및 그 승강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 샤시(21)위의 상기 자켓(11)의 삽입 종단부에는 상기 스핀(14)의 덮개(13)를 처킹하기 위한 처킹장치(27)가 설치된다. 이 처킹장치(27)에 대해서는 본건 특허출원인이 소화 56년 4월18일에 특허출원한 특원소 56-59008호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동 특허출원인이 소화 55년 10월 3일에 특허출원한 특원소 55-137572호에도 제시되어 있다. 어쨋든 이 처킹장치(27)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턴테이블(25)위에 픽업아암(28)이 배치되고 이 턴테이블(25)위에 레코오드(15)가 재치되어 있으므로 재생동작중에는 이 픽업아암(28)이 그 레코오드(15)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직경방향으로 상기 픽업아암(28)을 보내기 위해서 아암(28)의 일단부는 캐리지(29)에 고정되고 이 캐리지(29)가 가이드 포올(30)에 따라서 반송되므로써 아암(28)도 이송된다. 상기 캐리지(29)를 반송하기 위하여 구동기구(31)가 설치된다.
이 구동기구(31)는 모우터(32), 이 모우터(32)의 회전추(33)에 벨트(34)를 통해서 연결되는 워엄(35), 이 워엄(35)에 교합되는 제1의 기어(36), 이 제1기어(36)와 함께 회전하는 소경의 제2의 기어(37), 및 이 제2도의 기어(37)에 교합하는 제3의 기어(38)등이 구비된다. 또, 이 제3의 기어(38)의 회전중심부에 설치한 제1의 풀리(39), 이 제1의 풀리(39)와 소정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한 제2의 풀리(40), 및 이 양풀리(39), (40)간에 가설한 와이어(41)를 구비하여, 이 와이어(41)의 일부를 상기 캐리지(29)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핀(4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32)의 회전을 상기 벨트(34), 워엄(35), 기어(36), (37), (38)으로 구성되는 감속수단을 통하여 제1풀리(39)에 전달하고 풀리(39), (40) 사이의 와이어(41)가 직선운동을 하므로써 캐리지(29)를 가이드포올(30)에 따라 이송한다.
이 캐리지(29)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아암(28)에 형성한 카아트리지(281)내의 신호 재생침(도시생략)이 레코오드(15)의 면에 접점하여 신호를 픽업할 수 있다.
다음에 이 레코오드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제3도, 제4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에서 처음에는 턴테이블(25)이 지지체(26)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 레코오드(15), 스핀(14)이 수납된 자켓(11)을 플레이어(16)의 삽입구(17)로부터 삽입하면, 자켓(16)은 지지체(26)에 지지되면서 처킹장치(27)에 의해서 스핀(14)이 잡힌다. 이 처킹후 자켓(11)을 뽑으면, 스핀(14)과 레코오드(15)만이 플레이어내의 지지체(26)위에 지지된다.
상기 턴테이블(25)은 회전축(43)을 구비하고 있고, 또 회전축(43)의 회전을 받는 축받침(44)이 설치되고, 기리고 이 축받침(44)은 하우징(45)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 하우징(45)은 샤시(21)에 고정된다. 또, 턴테이블(25)의 샤시회전축(43)과 축받침(44)의 관계는 스러스트(thrust) 방향에 대해서는 자유이고, 이 턴테이블(25)은 축받침(44)을 따라서 상하이동할 수 있다.
이것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더(46)가 설치되어있다. 이 슬라이더(46)는 샤시(21)에서 제3도의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장착되고, 그 저변부는 고부(47), 저부(48)및 이 양부를 연결하는 사면부(49)로 구성되고, 이 슬라이더(46)를 미끄러지게하므로써 회전축(43)의 선단부(431)가 사면부(49)의 위를 활주하고 그로인해서 회전축(43)이 승강한다. 즉, 턴테이블(25)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6)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해서 레버(50)를 슬라이더(46)에 장착하고 있고 이레버(50)가 제3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턴테이블(25)은 사면부(49)를 따라 하강하여 회전축(43)의 선단부(431)가 상기 저부48에서 정지된다.
또, 상기 레버(50)가 제4도와 같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도(46)도 함께 이동하고 회전축(43)의 선단부(431)는 사면부(49)를 따라 고부(47)로 이동하고 턴테이블(25)이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으로 상기 지지체(26)에 지지되면 레코오드(15)는 턴테이블(25)의 상면에 재치되어 재생이 가능해진다.
재생버튼을 누르면, 턴테이블(25)이 회전하고, 픽업아암(28)이 레코오드(15)의 직경방향으로 보내지고 신호재생침에 의해서 레코오드(15)에 기록된 신호가 재생된다. 재생종료가 끝나면, 턴테이블(25)이 하강해서 제3도와 같이 레코오드(15)가 재차 지지체(26)위에 지지된다. 그리고 빈 자켓(11)을 삽입하면, 처킹장치에 의한 처킹이 해제되어 레코오드(27)와 스핀(15)이 자켓(14)내에 수납되고, 자켓(11)을 뽑으면 레코오드(15)와 함께 스핀(14)도 플레이어(16)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 상기 턴테이블(25)은 재생동작중의 리세트버튼을 누름으로써 하강해서 자켓(11)을 삽입을 가능케한다. 이때, 자켓(11)의 삽입에 의해 픽업아암(28)이 자켓(11)에 밀려 스타아트 위치로 복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상기한 턴테이블(25)의 승강수단으로서의 슬라이더(46)에 대해서는 본건 특허출원인이 소화 55년 7월 11일에 실용신안등록 출원한 실원소 55-97840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캐리지(29)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기구(31)가 많은 기어와이어(41)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극히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지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또, 캐리지(29)를 스타아트 위치로 복귀시켰을때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므로 재차 재생동작시킬 때에는 정규의 스타아트 위치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리바운드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신설할 필요가 있었다.
또, 재생중에 리세트버튼을 압압해서 픽업아암(28)의 이송을 중지했을때 이 아암(28)이 도중 위치에서 멈추고 자켓(11)의 삽입에 의해서 이 아암(28)을 스타아트위치로 되밀어 복귀시키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켓(11)의 삽입시에 불필요한 힘이들어 자켓삽입시의 부하가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에 대처하여 캐리지(29)의 이송기구를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아암의 리바운드 방지수단도 필요없고, 또한 재생종료후 또는 리세트버튼을 압압했을때 자동적으로 픽없아암을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키고, 그리고 자켓의 삽입시에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고신뢰성의 동작을 가능케하는 아암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아암이송장치에 대하여 제5도-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으나, 제1도-제4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기술한다.
제5도, 제6도는 아암 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특히 샤시(21)의 상면부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특히 샤시(21)의 하면부를 도시한 것이며, 또 제7a도는 제5도, 제6도를 포함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7b도는 그 측면도이다.
제5도에서 샤시(21)의 상면에는 부샤시(23)가 직립적으로 장착되고, 그 깊은 단부 및 도중부분을 바깥 방향으로 절곡부(51), (52)를 형성하고 각 절곡부(51), (52)에는 구멍(511), (521)이 형성된다. 이들 절곡부(51)와 (52)의 사이에는 상기 캐리지(29)가 배치되고 이 캐리지(29)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구멍(291), (292)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291), (292)에 가이드 포올(30)을 관통시킨다. 이 가이드포올(30)의 양단부는 상기 절곡부(51), (52)의 구멍(511), (521)을 통해서 고정되고 캐리지(29)는 이가이드포올(30)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캐리지(29)의 저면부에는 그 길이방향(이동 방향)으로 택(293)을 형성하는 동시에 설편(294)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부샤시(23)의 저면부에는 그 일부를 절기하여 모우터(32)를 장착하는 지지편(53)을 형성한다. 이 지지편에는 구멍(53)을 형성하고 상기 모우터(531)의 회전축(32)을 이 구멍(33)에 끼워서 장치하게 한다.
또, 이 지지편(531)에 근접해서 부샤시(53)의 저면부에 축받침(23)을 설치하고, 이 축받침(54)에 축(54)을 장치하고 이 축(55)의 외주에 워엄(35)을 회전가능하게 장치한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32)의 회전축(33)과 워엄(35)과의 상이에 벨트(34)를 걸어 모우터(32)의 회전을 벨트(34)통하여 워엄(35)에 전달하게 하고 있다.
또, 부샤시(23)의 상기 절곡부(51) 및 (52) 사이의 수직부분에는 보스(56)를 형성하여 이 보스(56)에 축봉(57)을 나사식으로 끼워서 공정하고 이축봉(57)의 외주에는 클러치(58)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이 클러치(58)의 구성은 상기 축봉(57)의 외주에 장착되는 중간 스핀들(59), 이 중간스핀들(59)의 외주에 장착되는 피니언(60), 의 피니언(60)의 외주에 마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워엄휘일(61), 및 상기 미들 스핀들(59)과 워엄휘일(61) 사이에 장착되는 클러치스프링(62)으로 구성된다.
이 클러치(58)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스핀들(59)은 그 양단에 플랜지부(591), (592)를 가지고, 한쪽의 플랜지부(591)는 다른쪽의 플랜지부(592)보다도 그경을 크게 하고 다른쪽의 플랜지부(592)는 중간스핀들(59)의 외주에 피니언(60), 워엄휘일(61), 클러치스프링(62)을 장착한 후 커어킹등의 수단으로 형성한다. 또는 플랜지부(592) 대신에 너트등을 고정해도 좋다. 또, 피니언(60)은 소경의 원통부(601)와 대경의 원통부(602) 및 그 중간에 위치하는 테이퍼부(603)로 구성되고 대경의 원통부(602)의 외주에 기어를 형성한다. 그리고 워엄휘일(61)은 상기 피니언(60)의 소경원통부(601)의 외주에 따라 접접이동 가능한 원통부(611)와 상기 테이퍼부(603)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고 테이퍼상으로 형성한 원추부(612)와 대경원의 기어(613)로 구성된다. 또, 클러치스프링(62)은 상기 워엄휘일(61)의 원통부(611)의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기어(613)와 상기 중간스핀들(59)의 플랜지부(59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서 통상 워엄휘일(61)의 원추부(612)와 피니언(60)의 테이퍼부(603)가 어느정도 큰 마찰계수를 가지고 접하기 때문에 워엄휘일(61)이 회전하면 피니언(60)도 함께 회전한다. 또, 스프링(62)에 의해서압압되는 중간 스핀들(59)도 함께 회전한다.
또, 워엄휘일(61)이 제9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랜지부(591)의 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압압된 경우는 원추부(612)와 테이퍼부(603)가 떨어지기 때문에 마찰계 수가 대단히 작아져서 피니언(60)은 워엄휘일(61)에 대하여 자유상태로 회전가능이 된다.
제5도에서 상기 클러치(58)의 워엄휘일(61)의 기어(613)와 상기 워엄(35)은 교합하여 워엄(35)의 회전에 의해서 워엄휘일(61)이 회전한다.
또, 피니언(60)의 대경원통부(602)의 외주에 형성한 기어와 상기 캐리지(29)의 택(293)이 교합하도록하여 피니언(60)의 회전에 의해서 캐리지(29)가 가이드포올(30)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부샤시(23)의 절곡부(51)에는 창(512)을 형성하듯이 절기하여 (513)을 형성하고, 이 창(512)에 인장스프링(63)의 일단을 끼우고, 그 일단을 상기 캐리지(29)의 설편(294)에 걸리게한다. 또 상기 절기부(513)에는 풀리(64)를 회전자재로 장치하고 이풀리(64)에 인장스프링(63)을 설치한다.
또, 샤시(21)의 상기 클러치(58)에 대향하는 부분의 각부에는 절결부(65)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65)에서 압압부재(66)를 삽입해서 샤시(21)에 대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또한, 부샤시(23)의 저면부의 상기 절결부(65)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요결부(67)를 형성한다. 상기 압압부재(66)는 상기 클러치(58)의 워엄휘일(61)을 제9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압압하는 역할을 하고 샤시(21)에 대한 장착상태를 제6도에 도시하다.
이 제6도는 주로 샤시(21)의 하면부에 배치되는 부품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압압부재(66)는 일단에 대체로 V자 모양으로 기립한 아암(661)이 있고 타단에는 이 아암(661)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한 절곡부(662)가 있다. 또 본체부분의 길이방향에는 슬릿(663)을 형성하고 이 슬릿(663)의 양옆에 장공(664)을 형성한다. 또, 슬릿(663)의 아암(661)측의 가장자리에는 스프링(68)의 일단을 걸기위한 계지부(665)가 형성된다 상기 샤시(21)에는 상기 슬릿(663)에 대향해서 슬릿(69)을 형성하고, 이 슬릿(69)에는 상기 계지부(665)에 대응해서 동일하게 상기 스프링(68)의 타단을 걸기위한 계지부(691)가 있고, 스프링(68)을 걸므로써 압압부재(66)는 통상 제6도의 화살표 D방향으로 인장된다.
또, 샤시(21)의 하면에서 이 샤시(21)에 상기 압압부재(66)의 상기 장공(664)을 통해서 나사(70)를 끼워서 이 장공(664)의 길이의 범위내에서 압압부재(66)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샤시(21)의 하면에는 제3도의 설명한 바와같이 턴테이블(25)을 승강시키기 위한 슬라이더(46)가 장치되고 이슬라이더(46)에는 이것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5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 레버(5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제6도 및 제7a도에 도시된 모우터(71), 워엄(72), 기어(73) 및 벨트(74)가 있다. 상기 모우터(71)는 그 회전축(711)과 상기 워엄(72)의 풀리(721) 사이에 벨트(74)가 걸려있고, 이 워엄(72)은 상기 기어(73)와 교합되는 것으로 이들 모우터(71), 워엄(72), 기어(73)는 모두다 장착부재(75)에 장착된다. 또, 모우터(71) 는장착부재(35)의 지지편(751)에 지지되고, 워엄(72)은 지지편(752)에 지지되고, 또 기어(73)는 축(76)에 의해서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그리고 장착부재(75)는 나사(77)에 의해서 샤시(2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50)의 타단은 기어(73)의 주연부의 일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모우터(71)가 회전하면 벨트(74)를 통하여 워엄(72)이 회전하고, 또 기어(73)도 회전한다. 이 기어(73)의 회전운동은 레버(50)에 대하여 화살표 A-B방향의 직선운동을 부여한다. 이것으로 슬라이더(46)는 제3도,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드 해서 턴테이블(25)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다. 또, 제3도의 화살표 A방향과 제4도의 화살표 B방향은 제6도의 화살표 A-B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것과 동일하게 슬라이더(46)가 A방향으로 이동했을때는 턴테이블(25)의 강하가 실행되고 B방향으로 이동했을때는 반대로 상승히 실행된다.
또, 상기 레버(50)의 대략 중간부에는 제2의 레버(78)의 일단이 핀(79)에 의해서 장착되고, 이 제2의 레버(78)는 타단이 굴곡되고 이 굴곡이 시작하는 부분을 핀(80)으로 샤시(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굴곡부분의 선단(781)을 상기 압압부재(66)의 절곡부(662)에 대향접촉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50)가 A-B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의 레버(78)는 핀(80)을 지점으로하여 회동하고, 굴곡부의 선단(781)이 화살표 E-F방향으로 이동해서 그 E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압압부재(66)을 화살표 C방향으로 밀어서 F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압압부재(66)에서 떨어지고 스프링(68)에 의해서 압압부재(66)는 화살표 D방향으로 인장된다.
또, 샤시(21)의 깊숙한 부분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뻗는 계지부재(81)가 장치되고 그 정부(811)에 제5도에서 도시한 인장스프링(63)의 타단을 걸도록 한다. 이 스프링(63)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29)는 상기 인장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캐리지(29)에는 픽업아암(28)의 일단이 장착되고 본 발명의 아암이송 장치가 구성된다.
제5도, 제6도를 조립한 상태를 제7a도의 평면도 및 제7b도의 측면도에 도시한다.
다음에 이 아암이송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는 제3도와같이 턴테이블(25)이 강하상태에 있고 슬라이더(46)에 연결한 레버(50)는 제7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의 레버(78)는 핀(80)을 지점으로 하여 굴곡된 선단(781)을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인해 압압부재(66)가 화살표 C 방향으로 밀려서 그 아암(661)이 클러치(58)의 워엄휘일(61)을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압압한다. 따라서 클러치(58)의 피니언(60)이 워엄휘일(61)에서 떨어져서 이 피니언(60)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캐리지(29)는 그 택(293)이 피니언(60)과 교합되고 또 인장스프링(63)에 의해서 인장되기 때문에 부샤시(23)의 절곡부(51)까지 가이드포올(30)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피니언(60)은 그 캐리지(29)의 이동시에 회전한다. 캐리지(29)가 이 절곡부(51)에 위치한 상태가 스타아트 위치이다.
그런데, 레코오드(15) 및 스핀(14)이 수납된 상태의 자켓(11)이 플레이어(16)에 삽입되면 처킹장치(27)에 의하여 스핀(14)이 처킹되고 그 처킹후 자켓(11)을 뽑으면 스핀(14)과 레코오드(15)는 지지체(26)위에 지지된다. 다음, 제7도의 모우터(71)가 회전을 시작해서 워엄(72), 기어(73)가 회전하고, 레버(50)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인장된다. 이로인해 턴테이블(25)은 제4도와 같이 상승하고 이 턴테이블(25)위에는 레코오드(15)만이 재치된다. 이와같이 턴테이블(25)이 상승한 후에는 모우터(71)가 회전을 정지한다. 이때, 레버(50)의 동작에 의해서 제2의 레버(78)가 핀(80)을 지점으로하여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고 압압부재(66)의 절곡편(662)에서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압압부재(66)는 스프링(68)의 힘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암(661)은 클러치(58)의 워엄휘일(61)을 미는 것을 중지하고, 또 클러치(58)는 제8도와 같이 클러치스프링(62)의 힘으로 워엄휘일(61)의 원추부(612)를 피니언(60)의 테이퍼부(603)에 압접한다.
이로인해 피니언(60)과 워엄휘일(61)은 콘 마찰계수로써 맞닿게 되고, 피니언(60)과 워엄휘일(61)은 대략 일체적인 것이 되어 피니언(60)이 자유로운 회전을 하지않게 된다. 즉, 워엄휘일(61)이 회전할때에 함께 회전한다.
한편, 캐리지(29)의 택(293)은 상기 피니언(60)에 교합되기 때문에 피니언(60)의 회전에 의하여 스타아트 위치를 출발해서 이동해간다. 즉, 픽업아암(28)이 반송되는 것이다. 이 아암(28)이 레코오드(15)의 직경방향으로 동작하므로써 신호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재생중에 티세트버튼을 압압했을 때에는 모우터(32)가 정지하고 아암(28)의 이송은 중지되나 이때 턴테이블(25)의 승강용 모우터(32)가 회전을 시작하여 레버(50)가 이번에는 화살표 A방향으로 동작해서 제3도와 같이 턴테이블(25)이 하강한다. 이때, 제2의 레버(78)는 그 굴곡선단부(781)가 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번에는 압압부재(66)가 화살표 C방향으로 동작해서 아암(661)에 의하여 클러치(58)의 워엄휘일(61)을 스프링(62)에 반발해서 압압하게 된다. 이로인해,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피니언(60)의 테이퍼부(603)와 워엄휘일(61)의 원추부(612)가 이탈해서 피니언(6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캐리지(29)가 인장스프링(63)에 의해서 인장되기 때문에 스타아트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 복귀할때에는 피니언(60)이 택(293)에 의해서 회전된다. 또, 워엄휘일(61)은 워엄(35)이 정지하고 있으므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또, 캐리지(29)가 인장스프링(63)의 해서 인장되어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했을 때에도 스프링(63)의 인장력이 항시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지(29)가 리바, 드 할 수 없으므로 종래와 같은 리바운드 방지장치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아암 이송장치는 턴테이블(25)이 상승위치에 있을때, 즉 재생동작시에는 모우터(32)의 회전력에 의해서 캐리지(29)가 이송되고, 턴테이블(25)이 강하위치에 있을때, 즉 비재생시에는 자동적으로 캐리지(29)가 스타아트위치에 복귀한다.
또, 클러치(58)는 제8도와 같이 피니언(60)이 워엄휘일(61)에 압접해서 양자가 함께 회전할때, 스프링(62)이 중심스핀들(59)과 워엄휘일(61)의 사이에서 어느정도 강한 탄성력을 가지고 개재되기 때문에 워엄휘일(61)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62)과 중심스핀들(59)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모우터(32)의 부하를 극히 작게할 수 있다. 만약 클러치스프링(62)이 함께 회전되지 않으면, 이 클러치스프링(62)에 대해서 워엄휘일(61)이 마찰계수를 지니고 회전하게 되어 모우터(32)의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클러치스프링(62)과 중심스핀들(59)이 함께 회전하는 것은 대단히 유리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아암이송장치가 동작하고, 픽업아암(28), 재생동작중에는 모우터(32)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스타아트 위치에서 종단위치까지의 사이를 입의로 반송할 수가 있고, 또 재생 동작을 정지했을 때는 클러치(58) 및 인장스프링(63)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스타아트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재생동작의 도중에서 리세트버튼을 압압했을때, 종래는 픽업아암이 도중의 지점에서 멈추게 되어 자켓의 삽입에 의해 아암(28)이 자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자켓 삽입시에는 저항이 적어지고, 원활한 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인장스프링(63)의 힘에 의해서 픽업아암(28)이 항상 스타아트위치로 인장되고 있으므로 아암(28)의 복귀했을때 리바운드현상이 일어나는 일도 없고, 따라서 리바운드장치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아울러, 제7b도에서 명확한 바와같이, 클러치(58)를 설치한 것으로 인해 캐리지(29)의 반송기구가 종래와 비교해서 극히 간단한 구성이 되고 종래와 같이 많은 기어기구나 와이어등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아암이송장치에 의하면, 레코오드 재생장치내에서 다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는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4)

  1. 레코오드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소자를 내장하는 픽업아암(28) 및 이 픽업아암의 일단에 고정된 캐리지(29)를 가지고, 상기 픽업아암을 레코오드의 직경방향에 따라 초기 위치와 종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캐리지(29)를 가이드포올(30)에 접동가능하게 장착한아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9)를 항상 상기 초기위치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인장스프링(63)과, 상기 캐리지의 접동방향을 따라 이 캐리지에 형성한 랙(293)과, 이 랙(293)과 교합해서 회전가능한 피니언(60) 및 이피니언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계수를 지니고 접촉하도록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이 피니언과 동축적으로 장착된 워엄휘일(61)을 가지며 또한 상기 마찰계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클러치(58)와, 상기 워엄휘일(61)을 회전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32,33,34,35)과, 레코오드 재생장치가 재생중에는 상기 클러치(58)의 상기 마찰계수를 크게하여 상기 피니언과 워엄휘일을 같이 회전시키고, 비재생중에는 마찰계수를 작게하여 상기 피니언을 상기 워엄휘일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마찰계수를 제어하는 수단(50,78,66,62)을 구비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9)는 레코오드 재생장치가 재생중에는 상기 클러치의 상기 마찰계수를 크게해서 상기 구동수단(32,33,34,35)에 의해서 반송되고, 비재생중에는 상기 클러치의 마찰계수를 작게해서 상기 인장스프링(63)에 의해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58)는 그 양단에 플랜지부(591, 592)를 가지는 원통상의 중심스핀들(59)과, 이 중심 스핀들 외주의 상기 양플랜지부 사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한쪽의 플랜지부(591)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를 소경으로 하고 다른쪽 플랜지부(592)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를 대경으로 하여 그 중간부분의 외주면이 테이퍼상을 이루고 상기 대경부의 외주에 기어를 형성한 피니언(60)과, 상기 피니언의 소경부(601)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591)와 상기 테이퍼상의 부분(603)과의 사이에서 접동가능한 원통부(611)를 가지고 이 원통부의 외주면에 기여를 형성한 워엄휘일(61)과,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591)와 상기 워엄휘일(61)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워엄휘일을 항상 상기 테이퍼상 부분(603)측으로 압압하도록한 클러치 스프링(62)을 구비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58)의 상기 마찰계수를 가변하는 수단은 상기 워엄휘일(60)을 상기 클러치스프링(62)의 힘에 반발해서 상기 한쪽의 플랜지부(591)측으로 힘을 가하는 압압부재(66)를 설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KR8203277A 1981-07-29 1982-07-22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KR860000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18753A JPS5819773A (ja) 1981-07-29 1981-07-29 レコ−ド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JP56-118753 1981-07-29
JP118753 1981-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36A KR840000936A (ko) 1984-03-26
KR860000919B1 true KR860000919B1 (ko) 1986-07-18

Family

ID=1474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277A KR860000919B1 (ko) 1981-07-29 1982-07-22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07769A (ko)
JP (1) JPS5819773A (ko)
KR (1) KR860000919B1 (ko)
DE (1) DE3228356C2 (ko)
GB (1) GB2105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5462A (ja) * 1981-12-17 1983-06-23 Toshiba Corp 記録円盤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US4670802A (en) * 1982-10-18 1987-06-02 Canon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loading and ejection of recording medium on a disc unit
US4723185A (en) * 1983-09-17 1988-02-02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94448A (en) * 1984-05-15 1987-09-15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isc case
JPH0636267B2 (ja) * 1984-09-19 1994-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
BE901937A (fr) * 1985-03-14 1985-07-01 Staar Sa Dispositif d'insertion et d'ejection automatique de supports d'informations.
JPS645666U (ko) * 1987-06-29 1989-01-12
US5043969A (en) * 1988-12-20 1991-08-27 Literal Corporation Two-stage linear drive apparatus for an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system
KR20020092850A (ko) * 2002-09-10 2002-12-12 양기해 자연 포기에 의한 종벌레 증식 억제를 통한 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9553B (de) * 1967-09-07 TDK Electronics Co Ltd, Tokio Magnettongerat
GB638483A (en) * 1945-07-30 1950-06-07 Murphy Radio Ltd Automatic stop and record-changer mechanism for gramophones
US4227699A (en) * 1978-02-13 1980-10-14 Rca Corporation Manual scanning mechanism for video disc player
NL7801870A (nl) * 1978-02-20 1979-08-22 Philips Nv Optische platenspeler.
JPS5593567A (en) * 1978-12-29 1980-07-16 Ozen Corp Simple record player
JPS57138166U (ko) * 1981-02-19 1982-08-28
US4351046A (en) * 1981-02-25 1982-09-21 Rca Corporation Video disc player having carriage detent mechanism
JPS57186260A (en) * 1981-05-09 1982-11-16 Toshiba Corp Cartridge engaging device
JPS58105462A (ja) * 1981-12-17 1983-06-23 Toshiba Corp 記録円盤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28356C2 (de) 1986-12-04
DE3228356A1 (de) 1983-02-17
GB2105090A (en) 1983-03-16
KR840000936A (ko) 1984-03-26
JPS5819773A (ja) 1983-02-04
JPS6256595B2 (ko) 1987-11-26
US4507769A (en) 1985-03-26
GB2105090B (en) 198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19B1 (ko)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US4326284A (en) Video disc player having turntable assist apparatus
US4220339A (en) Caddy-actuated declutching mechanism for video disc player
KR860000656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JPH0226312B2 (ko)
US4196906A (en) Video disc player
GB2120834A (en) Disc player having record handling apparatus
US5058095A (en) Automatic loading and driving record medium player
US4216969A (en) Carriage translating apparatus for video disc player
US4305145A (en) Spindle retracting mechanism for disc record player
KR860000657B1 (ko) 디스크 로우딩기구
JPS58203667A (ja) レコ−ド容器締出し装置
US4175751A (en) Toggle mechanism for video disc player
GB2108749A (en) Carriage translating mechanism for disc record player
JPS635817B2 (ko)
JPS6214905B2 (ko)
JPS59121662A (ja) 記録円盤再生装置におけるア−ム送り装置
JPS59121646A (ja) レコ−ド再生装置
KR850001006B1 (ko) 디스코 레코드 플레이어 장치
JPS6349889Y2 (ko)
KR870000669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픽업승강 장치
JPH0432459B2 (ko)
KR830001224B1 (ko)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비데오 디스크 지지 및 노선 설정장치
JPS59121647A (ja) 記録円盤昇降装置
JPH0668574A (ja) ディス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