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656B1 - 기록원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원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656B1
KR860000656B1 KR8203033A KR820003033A KR860000656B1 KR 860000656 B1 KR860000656 B1 KR 860000656B1 KR 8203033 A KR8203033 A KR 8203033A KR 820003033 A KR820003033 A KR 820003033A KR 860000656 B1 KR860000656 B1 KR 86000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lever
disk
disc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32A (ko
Inventor
마지메 키구찌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9Insertion of discs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prior to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원반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록원반 재생장치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자켓, 디스크 및 리드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제10도는 본 발명장치의 개략적 동작을 보이는 동작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하는 디스크 받침대의 승강수단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3도, 제14도는 제12도의 동작설명용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하는 처킹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6도는, 제17도는 제15도의 동작설명용 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하는 승강 드라이브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0도-제23도는 그 승강드라이브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플레이어 13 : 자켓삽입구
14 : 자켓 15 : 디스크
16 : 리드플레이트 17 : 턴테이블
18 : 디스크 받침대 19 : 처킹장치
20 : 개구수단 21 : 와이어
22 : 로울러 30 : 승강구동기구
33 : 승강용레버 42 : 솔레노이드
43 : 솔레노이드레버 46 : 중간기어
48 : 워엄풀리 51 : 승강용모우터
54 : 로크레버 56 : 캠레버
57 : 스톱레버 58 : 인장스프링
60 : 연결판 62 : 캠기어
63 : 스프링받침로울러 67, 68 : 스위치
69 : 토글레버
본 발명은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어 등의 기록원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를 턴테이블위에 재치하기 위한 승강 구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원반 재생장치는 턴테이블위에 재치한 기록원반에 재생침을 맞닿게하여 이 원반에 기록한 신호를 픽업해서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한 기록원반(이하, 비데오 디스크 또는 단순히 디스크로 호칭한다)은 고밀도에서 기록되고 있으므로 이 디스크에 먼지나 손때 등의 이물이 부착되면 재생한 화상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일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에 직접 손을 대지않고 턴테이블 위에 재치하거나 들어낼 수 있도록하는 장치가 여러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재생장치(이하, 플레이어로 호칭한다)는 디스크를 자켓내에 수납하여 이 자켓의 개구부를 리드플레이트로 폐색한 상태로해서 플레이어내에 삽입하고, 다음에 자켓을 끌어내면 디스크 및 리드플레이 트 만이플레이어내에 남게되고, 재생종료후에 빈 자켓을 재차 플레이어내에 삽입하므로써 디스크 및 리드플레이트를 자켓내에 수납한 상태로 빼낼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디스크 및 리드플레이트가 수납된 자켓을 플레이트내에 삽입했을때 플레이어내에서 상기 리드플레이트 및 디스크를 로크하고, 또 재생종료후에 빈 자켓을 삽입했을때 상기 리드플레이트 및 디스크의 로크를 해제하는 수단(이하, 처킹장치로 호칭한다)이 필요해지는 한편, 자켓을 삽입할때 디스크를 재치하는 디스크 받침대가 이 자켓에 접촉되지 않도록 디스크 및 리드플레이트를 처킹장치에 의해서 처킹한후에 빈 자켓을 플레이어로부터 꺼내고, 그 다음에 디스크를 재치 유지하기 위한 위치에 디스크 받침대를 상승시키고, 재생할때는 턴테이블 위에 디스크를 올려놓기 위해서 디스크 받침대를 하강시키고, 또 재생종료시에는 디스크 받침대를 소정의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구성한 승강기구가 필요했었다.
또, 자켓내에서 디스크를 뽑아내거나 또는 자켓내에 디스크를 수납할때에 디스크의 신호기록면과 자켓내면이 접점되어서 신호기록면이 손상되는 염려가 있으므로, 이와같은 일을 방지하는 자켓의 개구장치가 필요했었다. 더우기, 디스크와 자켓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자켓을 삽입 또는 뽑아낼때 큰힘이 필요하므로 이것을 작은 힘으로 삽입하고 뽑아내도록하는 것이 요망된다.
아울러, 디스크가 디스크받침대에 재치된채로 턴테이블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어의 전원을 차단하고 그대로 방치해 놓으면 디스크가 자중으로 변형되어 튀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고 디스크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을 충족하기 위해서 연구된 것으로, 그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레이어의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이 플레이어 본체(11)에는 외부에서 조작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조작버튼(12)과, 또한 자켓삽입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구(13)는 자켓(14)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자켓(14)은 제1도의 도시와 같이 상자형을 이루고 있는데, 그 개구부(141)를 통해서 디스크(15)를 수납한다. 또 수납된 디스크(15)가 개구부(141)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플레이트(16)로서 개구부(141)를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또, 리드플레이트(16)의 양측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한쌍의 슬릿(161),(161)을 형성하고, 이들슬릿(161)의 바깥쪽에 로크부(162),(162)를 형성하고, 이들 로크부(162)의 단부는 경사면을 이루고, 또로크부(162)의 외측면에 돌출해서 잠금쇠(163),(163)를 설치한다. 또한, 자켓(14)내측면의 상기 잠금쇠(16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잠금쇠가 걸리는 계지부(142)가 형성된다. 이들 로크부(162), 잠금쇠(163), 계지부(142(등이 게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15)를 리드플레이트(16)와 같이 자켓(14)에 수납하는 잠금쇠(163)가 계지부(142)에 끼워져서 리드플레이트(16)가 자켓개구부(141)를 폐색하게 된다.
다음에, 이 플레이어(11)의 동작을 자켓(14)의 삽입 및 빼냄과 관련시켜 제3도-제10도를 참조하면서 차례로 설명한다. 또, 제3도-제10도는 상기 플레이어(11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3도는 자켓(14)이 플레이어(11)에 삽입되기전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플레이어내에는 턴테이블(17), 디스크받침대(18), 처킹장치(19) 및 개구수단(20)을 구비하고, 또 도시는 생략했으나 디스크 받침대(18)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턴테이블(17)은 그 상면에 디스크(15)를 올려놓기 위한 것이고, 디스크 받침대(18)는 디스크(15)를 턴테이블(17)에 올려놓기전의 단계에서 디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처킹장치(19)는 자켓(14)내의 디스크(15)의 외주부(무기록부) 및 리드플레이트(16)를 쥐기 위한 것으로서, 2장의 핑거(191),(192)를 지니고, 하부핑거(192)는 피아노선등의 와이어(21)로 단부가 인장된다. 개구수단(20)은 자켓(14)을 플레이어에 삽입했을때 개구부(141)를 열어서 디스크(15)를 꺼내는 것을 쉽게하는 역할을 한다. 또, 이 개구수단(20)에는 하방에 로울러(22)가 있다.
그런데 자켓(14)이 제4도와 같이 플레이어(11)에 삽입되면 개구수단(20)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그것을 그대로 밀어넣으면 제5도와 같이 자켓(14)의 개구부(141)가 개구수단(20)에 의하여 확개된다.
다시 이 상태로 자켓(14)이 삽입되면 디스크 반침대(18)에 충돌되기 때문에 상기의 승강기구에 의해서 디스크 반침대(18)는 제6도와 같이 하강된다. 또 자켓(14)이 깊숙이 삽입되면 제7도와 같이 처킹장치(19)의 양핑거(191),(192)에 의해서 디스크(15)의 외주부와 리드플레이트(16)가 쥐어진다.
이와같은 처킹후에 자켓(140을 잡아빼면, 디스크(15)와 리드플레이트(16)가 플레이어(11)내에 남게되고, 또 제8도와 같이 승강기구에 의해서 디스크 받침대(18)가 상승한다. 이 상승의 타이밍은 자켓(14)이 이 받침대(18)위를 통과한후에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크(15)는 제9도와 같이 받침대(18)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 자켓(14)이 플레이어(11)의 밖으로 나온후에 제10도와 같이 와이어(21)의 인장력이 이완되어 처킹장치(19)의 하부핑거(192)가 회동하고, 이어서 디스크 받침대(18)가 하강해서 디스크(15)는 턴테이블(17)상에 재치된다. 또, 리드플레이트(16)는 하부핑거(1920가 회동한후에도 다른수단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와같이 한후에 플레이어의 조작버튼이 압압되면, 턴테이블(17)이 회전하여 소정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재생동작이 종료된후에 디스크(15) 및 리드플레이트(16)를 꺼내려면 디스크 받침대(18)와 하부핑거(192)가 상승하여 다시 제9도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빈 자켓(14)을 삽입하면 제8도, 제7도의 상태로 점차 이행하여 처킹이 해제된다. 처킹장치(19)는 빈 자켓(14)이 삽입될때는 처킹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이것이 해제된 후에 자켓(14)을 꺼내면 제6도, 제5도, 제4도, 제3도의 상태로 점차 이행하여 자켓(14)에는 재차 디스크(15)와 리드플레이트(16)가 수납되어서 꺼내진다.
따라서, 디스크(15)에는 직접 손을 대지않고 재생이 가능해지지만 조작자의 실수로 인해 제9도의 도시와같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면 디스크(15)는 자중으로 변형하여 튀게된다. 이처럼 디스크(15)가 튀게되면 재생시에 면이 진동해서 재생화상에 악영향을 주게된다.
이로인해, 그 대책으로 제9도의 상태로 수분간이 경과한 후에는 디스크(15)가 턴테이블위에 자동적으로 재치되는 전기적 회로가 설치되는 것도 있으나 이러한 회로를 사용한 것이라 해도 제9도의 상태 그대로 전원스위치가 절단되면 회로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아무런 소용도 없게된다.
그러므로, 전원스위치가 절단되어 도디스크 를자동적으로 턴테이블 위에 재치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 요망을 충족하고, 또 제3도-제10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구체적인 내부구조를 제11도에 도시한다. 또, 제11도중 턴테이블(17)은 투명체로 그려서 그 구조를 알기쉽게 하고자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투명체가 아니다.
제11도에 있어서, 개구수단(20)은 플레이어(11)의 상기 자켓 삽입구(13)와 같은 높이위치에 있고 2장의 열림덮개판(201),(202)에 의해서 제3도-제10도의 도시와 같은 동작으로 자켓(14)의 개구부(141)를 열게된다. 또, 이 개구수단(20)으로는 제11도의 도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본건 특허출원인이 선출원한 특원소 55-180380호의 제9도의 도시와 같은 구조를 사용해도 되고, 이 개구수단(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처킹장치(19)에 대해서는 2장의 핑거(191),(192)가 있고 하부핑거(192)를 와이어(21)의 인장 조작에 의해서 회동하는 점이 중요한 점이므로 이점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하겠으나, 그 주변부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선출원한 특원소 55-180380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 턴테이블(17)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 턴테이블(17)의 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픽업아암(23)이 설치된다. 이 픽업아암(23)에는 카아트리지(24)가 있고, 이속에 재생바늘(도시생략)이 수납되고, 상기 턴테이블(17)위에 디스크(15)가 재치되었을때 이 디스크(15)에 대하여 재생바늘을 접촉시켜서 신호를 픽업하도록 하고있다.
이 제11도의 좌측 아래부분에서 번호(30)로 도시된 부분은 상기 디스크받침대(18)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구이고, 이 승강구동기구(30)에 관련해서 상기 디스크받침대(18)나 와이어(21), 개구수단(20)등이 장착된다. 이 승강구동기구(30) 및 이것과 관련하는 주변기구에 대해서는 제12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2도-제14도는 턴테이블(17)에 대하여 디스크받침대(18)의 승강 원리를 설명한 것으로서 턴테이블(17)의 중심부에는 중심스핀들(171)이 있고, 이 스핀들(171)의 주변에는 예를들면 동심원적 위치에 복수(본 도면에서는 4개)의 구멍(172)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 받침대(18)는 상하에 서로 대향해서 2개의 링(181),(182)이 있고, 상측 링(181)은 턴테이블(17)의 상 면측에, 하측링(182)은 이면측에 배치해서 이 2개의 링(181),(182)을 복수의 연결봉(183)으로 연결 고정하고 있다. 이 연결봉(183)은 상기 구멍(172)에 끼울수 있도록 그 직경을 구멍(172)의 내경보다 작게해서 이 구멍(172)안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로히 움직일 수 있게되어 있다.
이와같이 디스크받침대(18)는 턴테이블면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을 할수 있다. 그리고 그 상승 또는 하강 수단으로서 디스크 받침대(18)의 하부에 슬라이더(3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31)는 중심부에 상기 턴테이블(17)의 회전축(173)이 통하도록 구멍(311)이 형성되고 이 구멍(311)안에 상기 회전축(173)의 축받침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1)의 일단부(312)에는 그 측면부에 핀(313)이 있고 이것에 레버(33)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레버(33)는 상기의 승강구동기구 (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2도의 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31)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이 슬라이더(31)의 하면부에는 캠판(314)이 일체로 설치되어있고 이 캠판(314)에는 경사홈(3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315)에는 가이드핀(34)이 헐겁게 끼워진다. 이로인해 레버(33)가 상기 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1)가 경사홈(315)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 상승 및 하강의 상태는 제13도, 제14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13도는 상승상태를 나타내고, 제14도는 하강 상태를 도시한다. 즉, 레버(33)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방향 및 상승 방향으로 이동하고,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방향과 하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상기 가이드핀(34)은 제12도의 하면샤시(35)에 고정되어 있고, 이 하면샤시(35)보다 상방에 주샤시(36)가 있다. 제13도와 제14도에 있어서는 가이드핀(34)은 검은 동그라미로 그 위치를 표시했다. 또 상기 슬라이더(31)의 구멍(311)(제12도)은 슬라이더(31) A,B의 방향으로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장원공으로 구성했다.
이와같이 슬라이더(31)의 승강에 따라 디스크받침대(18)가 상승 및 하강한다.
다음에 제15도-제17도를 참조해서 처킹장치(19)에 대해 설명한다. 제15도는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고 제16도, 제17도는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부핑거(191), 하부핑거(191)는 각각 일단 양측면에 서로 대향해서 돌편(193),(194)이 있고, 타단측에는 상기 자켓(14)의 삽입방향에 대향해서 연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핑거(191)의 한쪽의 돌편(193)은 하방으로 연장한 스토퍼(195)를 형성한다. 또 하부핑거(192)의 일단측에는 설편(196)이 있고, 또 하축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된 절곡편(197)도 있다. 이들 상부 및 하부 핑거(191),(192)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시(36)에 대하여 기립한 부샤시(37)가 있고, 이 부샤시(37)에는 상기 돌편(193),(194)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지지편(371)을 설치하고 양지지편(371)의 중간부분에 창문(372) 및 받침부(37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편(1930,(194) 및 지지편(371)에는 구멍을 설치하고 이들의 구멍을 중합해서 지지편(371)의 내측에 돌편(193),(194)을 감합축(38)을 삽입하고 이 축(38)을 지점으로 하여 핑거(191),(192)를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하부 핑거(192)의 절곡편(197)과 부샤시(37)간에는 스프링(39)을 장치하므로써 제16도와 같이 하부핑거(192)는 타단부가 하방으로 향해서상부핑거(192)에 대하여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 하부핑거(192)의 아래방향의 회전 규칙은 설편(196)이 창(372)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실시된다. 이 하부핑거(192)의 상기 설편(196)에는 상기한 와이어(21)의 단부가 고정되고, 이 와이어(21)는 활차(40)를 통하여 상기 승강구동기구(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와이어(21)가 이완되었을때는 상기 스프링(39)의 힘에 의해서 제16도와 같이 하부핑거(192)가 열리고, 와이어(21)가 제17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지면, 스프링(39)의 힘에 반발해서 하부핑거(192)가 축(38)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상부핑거(192)에 근접대향된다. 또 하부핑거(192)의 상측방향으로의 회동 규칙은 설편(196)이 받침부(373)에 맞닿음으로서 실시된다. 또 스토퍼(195)는 상측핑거(191)의 하측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했으나 상측핑거(191)의 상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수단도 있다.
이와같은 와이어(21)와 인장조작에 의하여 처킹장치(19)의 작동이 연동된다.
다음에 제18도-제23도는 상기의 승강구동기구(3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18도는 그것을 분해해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19도는 그것을 조립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또 제20도-제23도는 그 동작을 평면도로써 도시한 것이다.
제18도에서 샤시(41)의 위에는 솔레노이드(42)가 설치되고, 그 솔레노이드(42)의 가동단(421)이 솔레노이드레버(43)의 일단에 핀(44)으로 장착된다. 이 솔레노이드(43)는 거의 중심에 돌설부(431)가 있고, 이 돌설부(431)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샤시(41)의 이면으로부터 핀(45)을 삽입해서 축지부(411)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 핀(45)을 중심으로 솔레노이드레버(43)는 회동 가능하게 샤시(41)에 지지된다. 또, 이 솔레노이드레버(43)의 타단부 상면에는 중간기어(46)가 핀(4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중간기어(46)에는 상기 워엄폴리(48)가 교합되도록 이 워엄풀리(48)를 샤시(41)의 절기부(412)로 축(49)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이 워엄풀리(48)의 일단에는 벨트(50)가 걸리고 이 벨트(5)는 모우터(51)의 회전축(511)에도 걸려서 모우터(51)의 회전력을 워엄풀리(48)에 전달한다. 이 모우터(51)는 예를들면 샤시(41)의 절곡부(413)에 나사(52)등으로 장착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레버(43)의 일단은 또 나사(53)를 통하여 로크레버(54)의 일단(541)을 걸어 맞추고, 이 일단부(541)에 형성한 돌기(542)를 솔레노이드레버(43)의 일단부에 맞닿게 할수 있게 하고 있다. 이 로크레버(54)의 중심부에 회전축(543)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543)은 샤시(41)의 촉지부(414)에 핀(55)을 가지고 회도 가능으로 지지되고, 도 이 핀(55)은 캠레버(56)의 회전축(561)에 삽입되어 스톱레버(57)의 구멍(571)에 삽입된다. 따라서, 로크레버(54), 캠레버(56) 및 스톱레버(57)는 핀(55)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로크레버(54)의 타단에 캠부(544)를 형성하고 이 캠부(544)에 근접해서 상기 개구수단(20)의 로울러(22)가 위치한다. 이 로울러(22)는 개구수단(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고 개구수단(20)이 플레이어(11)의 상기 자켓삽입구(13)측에 있을때, 이 로울러(22)가 캠부(544)에 근접한다.
또, 상기 캠레버(56)는 도시와 같이 대체로 L자형상으로 굴곡되는데, 그 일단부(562)에는 인장스프링(58)의 일단이 걸리도록 구성되고, 타단부(563)에는 대체로 L자형상의 창(564)이 형성되고, 또 그 타단부의 측면에는 핀(59)이 장착되고, 이 핀(59)이 상기 레버(33)의 타단에 고정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33)는 이 캠레버(56)의 회동에 따라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동작한다. 또, 이 캠레버(56)의 외측의 측면은 곡면(565)을 이루고, 내측 측면부에는 상방으로 향해서 돌체(56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레버(57)의 일단(572)은 대체적으론 부채꼴을 이루고 로울러(22)의 이동규제의 역할을 하고 타단(573)은 연결판(6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걸어 맞춘다.
상기 샤시(41)위에는 핀(61)에 의하여 캠기어(6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캠기어(62)는 상기 중간기어(46)에 근접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레버(43)가 회동했을때 중간기어(46)와 캠기어(62)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캠기어(62)상면부에는 그 중심체 지축(621)을 설치하고 또 이 지축(621)의 주변부에 포울(623) 및 통축(624)을 설치하는 동시에 스프링 받침 로울러(63)가 장착된다. 상기 지축(621)은 캠기어(62)의 회전중심 위치에서 핀(61)이 삽입관통되고 이 핀(61)의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21)를 활차(64) 통하여 연결한다. 상기스프링받침로울러(63)는 핀(65)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상기 통축(624)에는 핀(66)을 삽입관통해서 그 단부에 상기 연결판(60)의 타단을 헐겁게 끼운다. 또, 캠기어(62) 이면측에는 작은 원판구(625)를 일체로 지니고 있고 그 원판부(625)의 일부를 절결해서 캠면(626)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원판부(625)에 서로 대향해서 한쌍의 마이크로스위치(67),(68)가 배치되고, 이들 마이크로스위치(67),(68)는 상기 캠면(626)이 대향된 위치에서 온. 오프되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포올(623)에는 상기 인장스프링(58)의 타단이 장착된다.
상기 캠레버(56)의 상기 창(564)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글레버(69)가 장치된다. 이 토글레버(69)는 굴곡한 형상을 이루고 그 대략적 중심부에는 아래방향으로 원통부(691)가 있고 이 원통부(691)는 상기 샤시(41)의 축지부(415)에 핀(70)으로 지지되고, 이 핀(70)을 중심으로하여 토글레버(69)는 회동이 가능하다. 토글레버(69)의 일단에는 2개의 이편(692),(693)이 있고 상면부에는 돌기(694)가 있다. 이 돌기(694)를 상기 캠레버(56)의 창(564)에 끼워맞춘다. 또, 토글레버(69)의 타단(695)에는 스프링(71)의 일단이 걸리고, 이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샤시(41)에 형성한 절기편(416)에 걸린다.
이와같이 승강구동기구(30)가 구성되는데, 이제 이 제18도를 조립한 상태를 제19도 또는 제20도에 도시한다.
다음에 이 승강구동기구(30)의 동작에 대해 제20도-제23도를 참고하여 이를 제3도-제10도와 관련시켜서 설명한다.
제20도에서는 플레이어(11)의 전원이 들어있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는데, 여기서는 솔레노이드(4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42)의 가동단421)은 움직이지 않으며, 솔레노이드레버(43)는 핀(45)을 지점으로하여 스프링(53)에 의해서 인장되고, 중간기어(46)는 캠기어(62)와 맞물리지 아니한다. 이 상태로 자켓(14)을 삽입하려해도(삽입방향을 화살표 X표로 나타낸다), 개구수단(20)의 로울러(22)가 스톱레버(57)의 일단(572)에 맞닿기 때문에 개구수단(20)은 플레이어(11)의 깊숙히로 이동을 못하고 전원이 들어있지 않을때 자켓(14)의 삽입을 저지한다.
또, 레버(33)가 움직이지 않을뿐만아니라 슬라이더(31)도 움직이지 않으므로 디스크 받침대(18)는 하강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와이어(21)도 인장되지않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처킹장치(19)의 하부핑거(192)는 열린 상태에 있다(제16도 참조).
다음에 전원을 넣으면, 솔레노이드(42)에도 전원이 공급되고 가동단(421)이 흡수되어 제21도와 같이 솔레노이드레버(43)가 핀(45)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중간기어(46)가 캠기어(62)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스프링(53)에 의해서 로크레버(54)로 회동하려고 하나 캠면(544)이 로울러(22)에 맞닿기 때문에 회동하지 않니다. 이 상태로 승강용모우터(51)에 통전되면, 벨트(50)를 통해서 워엄풀리(48)가 회전하고, 중간기어(46)를 통해서 캠기어(62)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서 연결판(60)이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톱레버(57)도 핀(55)을 지점으로해서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캠레버(56)는 일단(562)이 연장스프링(58)에 의해서 인장되고 또 돌체(567)가 스톱레버(57)의 압접으로 인해서 스톱레버(57)의 회동에 따라 캠레버(56)도 회동한다(화살표 A방향으로). 인장스프링(58)은 캠기어(62)의 회전으로 스프링 받침로울러(63)에 감긴다.
상기 캠레버(56)의 회전은 승강용레버(33)를 도외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인장하게 되고 슬라이더(31)가 거리 L1만큼 이동한다. 이 이동은 제13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디스크받침대(18)를 상승시키게 된다. 인장스프링(58)은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져도 균일하게 신장이 가능하다.
다시 캠기어의 회전이 진행되면, 제22도와 같이 연결판(60)은 더욱 D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톱레버(57)가 회동하고 그 일단(572)이 이제는 개구수단(20)의 로울러에의 침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캠레버(56)는 창(564)속에 끼워진 토글레버(69)의 돌기(694)가 그 창(564)의 가장자리에 걸리기 때문에 스톱레버(57)의 회동에는 연동을 하지않고 회동이 규제된다. 또 캠기어(62)위의 포올(623)에 와이어(21)가 감기기 때문에 와이어(21)는 C방향으로 인장된다.
이것은 제17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킹장치(19)의 부하핑거(192)가 폐색되고 이때의 상태는 제3도의 도시와 같다.
이와 같이 캠기어(62)의 회전에 의해 최초는 디스크받침대(18)가 어느정도 상승하고 그 다음에 처킹장치(19)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캠기어(62)가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때 캠기어(62)의 이면에 형성한 원판부(625)의 캠면(626)이 마이크로스위치(68)에 대향한 위치에와서 이 스위치(68)의 동작으로 모우터(51)가 정지된다. 즉, 이 스위치(68)는 디스크받침대(18)의 상승검지의 역할을하고, 이 스위치(68)을 이용해서 디스크받침대(18)가 상승하고 자켓(14)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받침대(18)가 상승하여 처킹장치(19)의 하부핑거(192)가 닫힌 단계에서 자켓(14)을 삽입하면 개구수단(20)의 로울러(22)가 제23도와 같이 일점 새선 G의 발향으로 이동하고, 로크레버(54)의 일단은 스프링(53)에 인장되어 솔레노이드레버(43)의 일단에 맞닿게해서 중간기어(46)와 캠기어(62)가 서로 맞물린 위치를 로크한다. 또, 로울러(22)는 캠레버(56)의 곡면부(565)를 인장스프링(58)의 힘에 반발해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밀고 다시 토글레버(69)의 이편(692)을 동일하게 화살표 G방향으로 밀어서 토글레버(69)를 핀(70)을 지점으로해서 회동시키고, 돌기(694)를 창(564)내의 도시의 위치에 이동하고 캠레버(56)를 그 위치에 로크한다.
로울러(22)의 이동에 의하여 캠레버(56)가 움직이면 승강용레버(33)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31)를 동작시켜서 제1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받침대(18)를 하강시킨다(제6도 참조).
다시 자켓(14)을 삽입하면, 처킹장이(19)에 의해서 디스키(15)와 리드플레이트(16)가 처킹된다(제7도참조).
이 처킹후 자켓(14)을 빼내면, 제23도에서 로울러(22)가 이번에는 토글레버(69)의 이편(693)을 도면의 아래방향(화살표 G와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이 토글레버(69)를 원상태로 회동시키고, 돌기(694)도 위치를 바꾸고, 또 캠레버(56)가 인장스프링(58)의 힘으로 도면의 좌측방향(화살표 B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승강용레버(33)도 제21도와 같은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고, 슬라이더(31)를 이동시켜서 디스크받침대(18)를 상승시킨다(제13도, 제8도 참조). 자켓(14)을 완전히 빼내면, 제22도의 상태로 복귀하여 제9도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모우터(51)를 역회전시키면 캠기어(62)도 역회전해서 제21도의 상태, 즉 와이어(21)가 이완되어서 처킹장치(19)의 하부핑거(192)가 열린상태를 거쳐서 다시 캠기어(62)가 제20도의 곳까지 회전한다. 즉, 레버(33)에 의해서 디스크받침대(18)를 하강시킨 상태가 된다. 이때 캠기어(62)의 원판부(625)의 캠면(626)이 마이크로스위치(67)의 위치에 대항되고, 이 스위치(67)의 방작으로 승강동모우터(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태는 제10도에 도시되고, 디스크(15)가 턴테이블(17)에 재치된다. 또, 마이크로스위치(67)는 디스크(15)가 하강하여 턴테이블(17)의 회전을 가능케하는 일, 즉 재생이 가능함을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플레이어(11)의 클레이 스위치를 압압하여 턴테이블(17)을 회전시키고 소정의 재생을 실시한다.
재생종료후에 재차 모우터(51)를 회전시키면, 제22도의 상태(제9도의 상태)로 할수 있고, 이 상태로 빈 자켓을 삽입하면, 일단 제23도의 상태를 거쳐서 제22도의 상태가 되고, 이때 처킹이 해제되어 자켓(14)내에는 디스크(15)와 리드플레이트(16)가 수납되고 자켓(14)의 발취가 가능하다. 이때도 자켓(14)은 디스크받침대(18)에 맞닿게되는 일이 없도록 승강동작을 하는 것은 명확하다. 그 다음에 모우터(51)를 역회전시켜서 와이어(21)를 이완시킨후 디스크받침대(18)를 하강시킨다. 그 다음에 전원스위치를 끊으면, 솔레노이드(42)의 통전도 점단되어 재차 제20도의 소기상태로 안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작자의 조작미스로 제9도의 상태로 전원스위치를 단절하고 장시간 방치하면, 디스크(15)는 그 자중으로 변형되어 튀거나 휘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대한 대책도 강구되어 있다. 즉, 제9도의 상태에 있을때 승강구동기구(30)는 제22도의 상태에 있으나 만약 이때에 전원스위치가 절단되면, 솔레노이드(42)에의 통전도 절단되어 그 가동단(421)에의 흡인력이 없어져시 솔레노이드(43)는 스프링(53)에 인장되어 제20도와 같이 핀(45)을 지점으로하여 회동하고, 중간기어(46)와 캠기어(62)의 교합이 해제되고 캠기어(62)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58)의 수축력에 의해서 캠기어(62)가 회전해서 제20도의 초기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로인해, 와이어(21)가 이완되고 디스크 받침대(18)도 하강하여 디스크(15)는 자동적으로 턴테이블(17)의 위에 재치되고, 디스크(15)는 턴테이블(17)에 의해서 전면적으로 지지되고 상기와 같은 변형이나 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42)의 동작에 의하여 모우터동력의 캠기어(62)에의 전달 절환을 실시할 수 있고, 캠기어(62)의 회전 스톱후의 위치로크가 워엄풀리(48)와 중간기어(46)의 구성에 의해서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로크효과를 낼 수 있다.
또, 개구장치(20)에 설치한 로울러(22)에 의하여 로크레버(54)를 동작시켜서 솔레노이드레버(43)를 로크함으로써, 자켓(14)이 플레이어내에 있을때는 플레이어의 전원을 절단해도 캠기어(62)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일이없고, 자켓(14)이 플레이어의 밖에 있을때만 전원이 차단되므로 캠기어(62)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동작에 신뢰성이 있다. 그리고, 전원차단시에 캠기어(62)의 초기상태에의 복귀는 인장스프링(58)의 힘으로하고, 또 이 인장스프링(58)은 캠레버(56)의 동력원으로도 되어있고 구조상의 간략화도 도모된다.
또한, 토글레버(69)에서 개구수단(20)의 로울러(22) 캠레버(56)를 동작시켜서 통과한 후도 동작위치를 유지할수 있고, 자켓 개구수단(20)의 복귀에 따라 토글레버(69)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자켓(14)의 삽입, 이탈에 따라 디스크받침대(18)의 승강이 원활해진다.
아울러, 스톱레버(57)을 캠기어(62)와 연동시키므로써 디스크(15)가 플레이어내에 있을때의 재생중일때는 로울러(22)가 스톱레버(57)에 충돌해서 자켓(14)의 삽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디스크(15)의 보호를 할 수 있고, 안정성이 향상된다.
끝으로, 와이어(21) 및 레버(33)에 의한 처킹 동작 또는 승강 동작이 캠기어(62)의 포울(523)의 위치의 선정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타이밍으로 동작하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이점을 구비할 것이다.

Claims (2)

  1. 신호가 기록된 기록원반(15)을 개구부(141)를 통해서 수납하는 자켓(14)과, 이 자켓(14)을 삽입하고 빼낼수 있는 자켓삽입구(13)를 형성한 하우징(16)과, 이 하우징(16)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재생동작중에 기록원반(15)을 지지하는 텐테이블(17)과, 이 턴테이블(17)면에 대하여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승위치에서는 상기 기록원반(15)을 턴테이블(17)면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할수 있고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기록원반(15)을 턴테이블(17)위에 재치할수 있도록한 받침대(18)와, 기록원반(15)이 수납된 자켓(14)이 자켓삽입구(13)로부터 삽입되었을때 기록원반의 외조부를 처킹하고 빈자켓이 삽입되었을때 그 처킹을 해제하도록한 처킹장치(19)와, 자켓(14)의 삽잇시에 자켓의 개구부(141)를 열고 또 자켓(14)의 삽입 및 이탈에 연동해서 하우징(16)내에서 이동가능한 개구수단(2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켓(14)의 삽입에 따라 그 자켓(14)이 받침대(18)에 근접할때 그 받침대(18)를 하강시키고 반대로 자켓(14)의 이탈에 따라 그 받침대(18)를 상승시키는 제1의 기능과, 받침대(18)를 하강시키고 그후 처킹을 해제하므로써 처킹상태의 기록원반(15)을 텐테이블(17) 위에 재치시키는 제2의 기능과, 상기 받침대(18)가 상승위치에 있을때 그 위에 기록원반(15)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기록원반재생장치의 전원의 차단에 응동하여 상기 받침대(18)를 하강시키고 또 처킹을 해제하는 제3의 기능을 갖는 승강구동기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기구(30)의 상기 제1의 기능이 개구수단(20)의 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록원반 재생장치.
KR8203033A 1981-07-07 1982-07-07 기록원반 재생장치 KR860000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973 1981-07-07
JP56-104973 1981-07-07
JP56104973A JPS589256A (ja) 1981-07-07 1981-07-07 記録円盤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32A KR840000932A (ko) 1984-03-26
KR860000656B1 true KR860000656B1 (ko) 1986-05-28

Family

ID=1439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033A KR860000656B1 (ko) 1981-07-07 1982-07-07 기록원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89407A (ko)
JP (1) JPS589256A (ko)
KR (1) KR860000656B1 (ko)
DE (1) DE3225402C2 (ko)
GB (1) GB2103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668U (ja) * 1981-09-11 1983-03-24 株式会社東芝 ソレノイドクラツチの駆動回路
JPS5860458A (ja) * 1981-10-05 1983-04-09 Hitachi Ltd ビデオデイスクプレ−ヤ
JPS5914167U (ja) * 1982-07-16 1984-01-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US4670802A (en) * 1982-10-18 1987-06-02 Canon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loading and ejection of recording medium on a disc unit
JPS6063762A (ja) * 1983-09-16 1985-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JPS63140450A (ja) * 1986-12-03 1988-06-13 Asahi Optical Co Ltd 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セツト機構
NL8703009A (nl) * 1987-12-14 1989-07-03 Philips Nv Apparaat voor het afspelen van een roterend aandrijfbare plaat.
JP3038754B2 (ja) * 1990-01-20 2000-05-08 ソニー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装置
US5255255A (en) * 1990-11-27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loading device
JP2667942B2 (ja) * 1992-10-15 1997-10-27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1158A (en) * 1980-02-07 1981-09-02 Victor Co Of Japan Ltd Playback device for disc-shap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25402C2 (de) 1986-02-27
DE3225402A1 (de) 1983-01-27
GB2103863B (en) 1985-06-19
GB2103863A (en) 1983-02-23
JPS589256A (ja) 1983-01-19
KR840000932A (ko) 1984-03-26
US4489407A (en) 198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51B1 (ko) 디스크형 기록 매체용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850001456B1 (ko) 오토 로우딩(auto-loading)장치
JP3384856B2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KR860000656B1 (ko) 기록원반 재생장치
US4610008A (en) Disc playing system with continuous playing function
GB2106696A (en) Rotary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KR860000919B1 (ko) 레코오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이송장치
US4467466A (en) Video disk player having door lock mechanism
KR850001457B1 (ko) 기록 원반 재생장치
JPS62120601A (ja) 選択式音響再生機のレコ−ド盤交換機構
JP2874557B2 (ja) ディスクプレイヤ
JPS6310500B2 (ko)
KR830000381B1 (ko) 레코드 플레이어
US4468764A (en)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S58188365A (ja) 記録円盤再生装置に於けるシヤツタ−装置
KR100503784B1 (ko) 슬림형 디스크 플레이어
JPS5913098B2 (ja) レコ−ドプレ−ヤ
JPH073624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S6316039Y2 (ko)
JPH067484Y2 (ja) デイスクプレ−ヤ
JPS635817B2 (ko)
KR850001801B1 (ko) 재킷 삽입구 덮개장치
GB2074361A (en) Disc-shaped record reproducing apparatus
JPS59121647A (ja) 記録円盤昇降装置
JP2844644B2 (ja) 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ケース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