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972B1 - 함공(含孔)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겹층구조물(Laminated Structure) - Google Patents

함공(含孔)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겹층구조물(Laminate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972B1
KR840000972B1 KR1019800002953A KR800002953A KR840000972B1 KR 840000972 B1 KR840000972 B1 KR 840000972B1 KR 1019800002953 A KR1019800002953 A KR 1019800002953A KR 800002953 A KR800002953 A KR 800002953A KR 840000972 B1 KR840000972 B1 KR 84000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elastic body
layer
elastic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619A (ko
Inventor
알후레드 피이니이악 하인쯔
리이 렙케에 바아지니어
Original Assignee
죤선 엔드 죤선 베이비 푸로덕쓰 컴파니
노오만 세인트 란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선 엔드 죤선 베이비 푸로덕쓰 컴파니, 노오만 세인트 란도오 filed Critical 죤선 엔드 죤선 베이비 푸로덕쓰 컴파니
Publication of KR83000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619A/ko
Priority to KR101984000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함공(含孔) 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겹층구조물(Laminated Structure)
제1도는 본 발명의 겹층구조물의 한 실시의 태양에 사용할 수 있는 망사형 탄성체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기저귀를 평면으로 펼쳐놓은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기저귀 에레멘트의 상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실행하는 1회용 기저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실행하는 1회용 기저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7-7선에서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9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의 이 밖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0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1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부분 절단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2도는 내부를 상세히 보이기 위하여 일부를 뒤로 접은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내의를 평면으로 펼쳐 놓은 평면도.
제13도는 착용했을 때의 모양으로 된 제12도의 1회용 내의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기저귀의 구성부분의 조립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계통도.
본 발명은 인체의 특정부위에 잘맞도록 조이는데 사용되는 개량된 겹층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값이 싼 의상과 새롭고 값이 싼 구조부품의 개발 및 의상제품의 제조방법등에 대한 요망이 증대되어온 것을 볼 수 있었다.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쓰고 버릴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값이 저렴한 의상이 요구되어 왔다. 새로운 탄성 중합물질과 이 물질을 의류의 부분품으로 사용하는 방법등도 개발되어 이런 종류의 의류가 인체에 맞도록 하는 요구를 충족시켜 왔다. 예를 들어서, 미합중국 특허 제3,639,917호는 1회용 병원용 까운의 단부를 조일수 있는 열회복성 탄성중합물질 띠편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어린이 기저귀를 사용할때 아기의 다리둘레에 신축성을 갖게하기 위하여 그 기저귀의 길이쪽 언저리에 탄성체 또는 신장체(伸張體)를 부착한 1회용 기저귀가 시판되어 왔다. 기저귀의 길이방향 언저리에 탄성체가 부착된 신축성 기저귀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3,860,003호 및 동 제4,050,462호에 기재되어 있다. 아기에게 사용하였을 때 기저귀의 다리 및 넓적다리를 둘러싸는 부분이 되는 그 기저귀의 길이쪽 측면을 탄성적으로 수축하게 하므로서 아이의 다리둘레에 그 기저귀를 압착시킬수가 있다. 이 압착으로 인하여 기저귀는 아기의 다리에서 벗겨질 염려가 적어지고 또 더 꽉 조여줄수록 그 만큼 더 벗겨질 염려가 적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그 맞춤이 지나치게 조여질 경우에는 넓적다리의 연한부분에 아픈 자극을 이르키게 하며 특히 기저귀가 젖었을때 더욱 자극이 심해진다. 또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서 기저귀를 꼭 맞게하는 1회용 기저귀의 허리둘레 부분을 신축성 있게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는 특허도 여러개 있는바, 그 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3,995,637호 및 동 제3,995,640호에 기재된 것을 들수있다. 1회용 기저귀는 통산 신장성이 거의 같고 또 다소 작은 흡수성 속심 또는 흡수성 판이 그 중간에 끼워져 있는 전면층과 받침층으로 구성된다. 전면층과 받침충은 그들의 주변에서 열용해 접착제 또는 기타 공지의 접착물질로 상호 접착되어 있다. 신축성 기저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신장된 또는 부분적으로 신장된 상태에 있는 탄성체는 그 기저귀의 한쪽 또는 한쪽 이상의 언저리를 따라 전면부와 받침부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탄성체는 전면부 및 또는 받침부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접착되어 그 기저귀의 언저리에서 탄성부분을 형성하게 한다. 1회용 기저귀에 탄성체를 끼우는 방법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4,081,301호에서 공개되어 있다.
1회용 기저귀에 이들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 1회용 기저귀의 재료비와 제조비를 모두 증대시키게 된다. 비함공(非含孔) 고체 탄성체는 전면 시이트와 받침 시이트의 측면 언저리를 직접 접착시키거나 또는 이것들을 탄성체에 상호 부착하므로서 서로 부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법을 간소화 하기 위하여 탄성체를 기저귀 속에 부착하는 전공정을 통하여 동일한 접착제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접착제가 탄성체, 가소성 필름 받침재료 및 연성직물 받침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또 접착성을 가질 필요가 있게 된다. 이 밖에 1회용 기저귀 속에 구멍이 없는 탄성체를 접착식으로 고정할 경우, 이 선택한 접착제는 탄성중합성을 갖거나 또는 단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접착으로 인해 기저귀가 너무 굳어져서 조일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대조하여 본 발명의 함공 탄성체는 전면부 또는 받침부 중 어느 곳에도 접착시킬 필요가 없으며 또 전면부를 받침부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접착제가 탄성중합성을 가질 필요도 없으며, 단지 전면부 및 받침부와 혼합될 수 있고 접착성을 가지면 되는 것이지 탄성체와는 아무 상관이 없게 된다.
본 발명자 등이 발명한 것은 인체의 특정부위에서 잘 맞도록 조이는데 사용되는 개량된 겹층구조물과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겹층구조물은 가요성의 조일수 있는 재료로 된 일차층 및 이차층 기재와 이들 층기재들 사이에 위치한 함공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는 구멍들을 형성케 하는 서로 연결된 여러개의 탄성소재를 갖고 있으며 겹층구조물에서 일차 및 이차층 기재는 일정수 이상의 구머을 통하여 함께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겹층구조물은 어떠한 맞춤의 류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값이 싸고, 사용후 버릴 수 있는 의상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겹층구조물은 의상제품의 팔소매, 다리 싸메는 부분, 목둘레와 허리등에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 겹층구조물은 1회용 기저귀 또는 기타 1회용 내의의 허리 및 넓적다리 둘레부분 양쪽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량된 겹층구조물은 착용자의 피부에 가해진 압력을 줄이며, 또 1회용 기저귀나 내의에서는 젖었을 때의 자극과 발진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놀랍게도 구멍을 갖는 이 탄성체는 일차 및 이차 층기재 사이에 쉽게 끼워질 수 있고 또 이들 기재들은 탄성체를 제자리에 유지하면서 고속으로 양호한 신뢰도와 저렴한 경비로 쉽게 접착시킬 수가 있다.
이밖에 고형체의 1면 또는 양면에 별도의 접착제층 또는 접착제 두께만큼이 추가되어야만 하는 비함공 탄성체를 사용하는 유사한 구조물과 비교할 때, 기공체의 구멍을 통하여 층을 고정시키는 겹층구조물에서의 본 발명의 함공체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겹층구조물의 두께를 줄일수 있게 된다.
탄성체 구멍을 사용함으로서 감소된 이 겹층의 두께는 주로 조여주는 제품부분의 질량감소의 주원인으로 되어 최종제품에서의 조이는 힘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 감소된 두께와 구멍의 결합은 또한 착용자의 단부둘레, 일예로서 기저기 제품에서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더 잘 부합되며, 또 더 잘 합치시키도록 직접 전달 되는 탄성력을 더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의외의 효과를 추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자의 개량된 겹층구조물은 가요성이 있고 조일 수 있는 물질로 된 일차 및 이차 층기재와 구멍을 형성하는 여러개의 서로 연결된 탄성소재를 포함하는 함공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일차 및 이차 층기재는 최소한 약간의 그 구멍들을 통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다. 가급적이면 이 탄성체는 약
Figure kpo00001
인치 내지
Figure kpo00002
이치의 폭을 갖고 1내지 50밀, 호적하게는 5 내지 20밀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 탄성체는 신장하였다가 회복될 수 있고 100% 신장에서 평방인치당 약 20 내지 2000파운드의 탄성계수를 갖는 보통의 필름물질이면 어느 것으로도 만들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1회용 기저귀에서 탄성체는 이 기저귀의 길이쪽 언저리에서 이 기저귀의 받침부와 전면부 사이에 위치시킬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겹층구조물을 사용하는 1회용 기저귀 제조의 한방법에서 기저귀의 전면부 및 받침부는 과거와 같이 접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즉 접착제는 받침부에 놓이고 또 흡수성 속심은 그 받침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전면부는 언저리에서 접착된다.
받침부의 언저리에 한쪽 또는 그 이상에 놓인 탄성체의 구멍들은 받침부에 놓인 접착제가 구멍들을 통하여 전면부에 접착하게 한다. 또한 이 새로운 구멍을 가진 탄성체를 사용하여 그 구멍을 통하여 전면부를 받침부에 접착할 때에는 구멍이 없는 고형체를 사용할때 대개 요구되는 바와 같은 탄성체 외측에서 전면부를 받침부에 접착할 필요성은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망사형 또는 구멍을 갖는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서 이 탄성체를 제품에 삽입시키고 또 접착시키는 것이 간소화되며 따라서 제조공정상에서 상당히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구멍 또는 개구들은 신축성 층과 비신축성 층 사이에 균일한 단속적 겹층을 확실히 이루게 하며 또 접착제 사용의 임계점을 줄인다. 또한 개구 또는 구멍들을 통한 층막의 접착과함께 이 개구 또는 구멍들은 최종의 겹층이 신장 및 회복 및 유사한 탄성에 있어서 본래의 방사형 또는 구멍을 가진 탄성체와 거의 같게 작용을 함으로서 최종제품의 질과 성능을 더 확실히 보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함공고형 탄성체를 사용할때는 신장성, 회복성 또는 유사한 탄성과 관련하여 최종제품의 작용은 비탄성층부에 대한 접착방법 및 정도와 그 비탄성 층부의 특성으로 인하여 변하게 된다.
이밖에 정방형 또는 장방형 구멍을 형성하는 가로 및 세로로 전개된 엘레멘트를 갖는 본 발명의 탄성체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였을 때 이탄성체의 ″넥킹 다운″즉, 이 탄성체의 가로폭의 축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가로방향의 안정성은 이 탄성체가 겹쳐지게 되는 물질의 언저리 또는 그 근처에서 전개된 상태에서 이 탄성체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겹층 사이에 탄성체를 끼워넣는 새롭고 개량된 방법에는 상당한 이점이 내재하게 된다. 또한 이 탄성체의 탄성이 풀리는 경우에도 탄성체의 확대라던가 또 이 탄성체가 겹쳐지는 물질에 탄성체를 고착시키는 접촉부의 부수적인 확대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겹층구조물에 있어서, 함공 탄성체는 일정한 최소탄성회복성을 갖는 쉽게 늘어나는, 호적하게는 열가소체로 되어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탄성체″는 신축성 항복점의 10% 내까지 신장하여 다음 공식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최소 90%의 회복성을 갖는 시이트, 필름, 리번, 피라멘트 및 그 유사품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Lo=시험물의 본래길이
Le=최대로 신장된 길이
Lt=신장상태가 해소되고 3초 후에 측정한 시험물의 길이
탄성체의 두께는 약 1 내지 50밀(
Figure kpo00004
)로 할수 있으며 또 호적하게는 약 5 내지 20밀로 하고, 폭은 1/4인치에서 2인치로 하고 또 어린이 기저귀에 사용할 때는 가급적 1/2 내지 1 인치 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신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탄성체를 100% 신장시켰을 때의 탄성계수가 약 2000파운드/평방인치를 초과해서는 아니되며, 또 호적하게는 약 2000파운드/평방인치 이하로 상당히 낮추는 것이 좋으며 또 가장 바람직하기는 약 75 내지 400파운드/평방인치로 하은 것이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망사형″은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어 그물형 구조를 이루는 개구 또는 구멍을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제1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망사형 탄성체(21)의 개구 또는 구멍(20)은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나, 장방형이나 정사각형 모양이 본 발명에서 꼭 필요한 것은 아니며 개구는 원형, 타원형 또는 기타 형의 모양을 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함공″탄성체는 망사체의 장방형 구멍처럼 균일하고 일정한 배열의 구멍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으나 구멍을 형성케하는 상호 연결되는 탄성체 소재를 단순히 여러개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물질의 탄성계수와 탄성체의 두께 및 폭에 따라 개구의 수는 탄성체의 세로 및 가로방향 양쪽으로 인치 길이당 두개에서 100개 개구까지로 할수있다. 또한 탄성체 소재는 세로 또는 가로방향에서 폭을 다르게 할수도 있으며 또 소재간의 간격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다를 수도 있다.
제2도를 보면 본 발명을 실현하는 1회용 기저귀(25)는 세로쪽 가장자리(26) 및 (27)를 갖고 있다. 양쪽 까장자리의 중앙부는 아기 넓적다리 둘레에 잘 맞을 수 있게 신축성을 갖게하였다. 세로방향 양쪽 가장자리의 탄성체(28) 및 (29)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형 필름체로 되어 있다. 제2도의 1회용 기저귀의 개별성분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기저귀는 추가로 습기가 침투못하는 물질로 만든 일차층 또는 받침층(30)과 이 받침층 위에 겹쳐있고 또한 그 받침층에 융착된 일련의 접착선(35)으로 고착된 장방형의 흡수성 속솜(31) 및 습기가 침투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고 속솜에 겹치는 식으로 놓이는 이차층 또는 전면층(32)을 포함하고 있다. 흡수성 속솜은 받침층의 거의 중앙에 놓여있을 때 받침층 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기저귀의 가로, 세로측면에 모두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흡수성 속솜은 그 속솜의 긴쪽 가장자리에 대체로 평행되게 놓여 있는 망사형의 탄성체(28) 및 (29)를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에 갖고 있다. 또한 이 솜은 펼쳐진 상태에서 정착선(35)을 이용하여 받침층과 전면층 사이에 고착되어 있다. 습기가 침투할 수 있는 면층(31)은 그 흡수성 속솜 위에 겹쳐져 있으며 접착선(35)의 단부와 측면부를 이용하여 받침층에 고착되어 있다.
면층은 또한 망사형 필름체의 개구 사이에서 받침층에 고착되어 있다. 아기에게 기저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 기저귀에는 압착식 테이프끈(33) 및 (34)이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 제조시에 망사체(28) 및 (29)의 중앙부분(36) 및(37)만 신축성을 유지하게 되어 있으며 전면층과 받침층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면층 및 또는 받침층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탄성체 단부들은 필요에 따라 망사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망사형 또는 구멍을 갖는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조이는 힘을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같은 길이와 폭으로 된 구멍이 없는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망사형 탄성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3,881,381호 및 3,632,269호에 나타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모양 형성롤 및 받침롤닢 사이에 적합한 신장성 및 회복성 필름을 통과시키는 등의 각종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저귀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받침 및 전면층 사이에 접착시킬 필요가 있는 부분을 따라 망사형 탄성체에 접착제를 직접 도장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기술은 탄성체가 고착되게 되어 있는 받침층 또는 전면층의 부분에 접착제를 도장하는 것이다. 이 기저귀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탄성체의 개구를 통하여 전면층과 받침층을 함께접착시키기 위하여 탄성체구역내의 기저귀에 압력을 가한다.
1회용 기저귀의 구성부분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방법에 따라 조립할수도 있다. 받침층 180, 흡수성 속솜 182, 전면층 184, 연속상의 탄성체리번 186을 조립위치에 위치시킨다. 탄성체는 압축롤러 190의 회전속도 보다 저속인 닢롤러 200을 가동시켜 조립부로 가는 도중에 신장시킨다.
본 실시 방법에서 접착제는 노즐 188로 탄성체에 가해진다. 압축롤러 190의 압축부를 통하여 최소한 탄성체 부위를 통과시켜 줌으로서 압력을 그 기저귀 조립물에 가한다.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쪽 롤러의 면을 탄력성을 갖게 할수도 있다.
전면층에 받침층을 접착하기 위하여 기저귀에 가한 압력은 탄성체 내의 개구를 통하여 접착제를 짜내게 하여, 접착제가 원래의 받침층 및 전면층 또는 탄성체의 표면중 하나에만 가해졌을 때에도 전면층에 받침층을 접착하게 할 수 있다.
전면층과 받침층이 탄성체의 개구를 통하여 서로 접착하게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부쪽의 압축롤러 190을 매우 탄성적인 물질로 만들거나 또는 그 외면을 매우 탄력이 있는 덮개로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적인 표면은 그 롤러표면이 탄성체 개구로 만곡되게 하며, 또 단지 전면층과 받침층만이 있는 엷은 부위를 함께 압착한다.
기저귀 구성체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탄성체 부분은 전면층과 받침서이에서 기저귀 안쪽으로 수축하여 있게 할 수 있다. 물질층을 조이지 않고서 탄성체의 일부를 수축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같은 기술의 하나는 이 탄성체의 일부에서만 전면층 및 또는 받침층으로 이 탄성체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 탄성체를 후에 개별적인 기저귀를 만들기 위하여 절단칼 192 및 받침롤러앤빌 194로 절단하는 등의 고정않된 부분에서 절단하였을 때 이 탄성체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은 이 탄성체가 전면층 또는 받침층과 고착된 구역으로 수축한다. 이러한 수축은 전면층 및 받침층에서 조이게 하는 효과를 갖지 못하게 된다.
특정구역에 접착제를 가하지 않거나 또는 탄성체의 절단후까지 특정구역에 압력이 가지않게 하거나 또는 시리콘과 같은 이탈제로 탄성체의 일부를 처리함으로서, 이탄성체가 전면층 또는 받침층에 접착되지 않게 하거나 또는 탄성체의 일부가 전면층과 받침전면층을 조이지 못하게 하는 기타 유사방법과 같은 각종 기술을 이용하여 탄성체가 일정한 부분에서 전면층과 받침층에 고착되지 않게 할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 4각형 또는 장방형의 개구를 가진 새로운 망사형의 탄성체를 사용할 경우의 중요하고 예기치않던 장점은 이 탄성체가 ″넥 크다운″, 즉 길이방향으로 신장했을 때 폭 또는 가로치수를 감소시키는 현상이 유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탄성체가 기저귀 안에 부착될 때 길이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넥크ㄷ운 현상의 제거는 이 탄성체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한 부착되게 한다. 탄성체는 가장자리를 다듬지 않은 상태에서 이탄성체 외측으로 다른 재료가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최종제품의 층부로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전면층과 받침층의 최단 가장자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우기, 기저귀 속으로 탄성체를 적합히 삽입시키는데 요구되는 허용한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한 장점들은 이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게 되며, 그 결과로서 경제적으로 유익한 것이다. 제4도는 4방 가장자리부가 모두, 즉 2개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41) 및 (42)와 전단 및 후단부(43) 및 (44)가 모두 전면층과 받침층 사이에 중앙부분이 탄성인 망사형 탄성체를 끼워주었다는 것 이외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다른 1회용 기저귀(40)를 보여주고 있다.
제5도는 기저귀의 전면 중앙 허리부분(52)에 망사형 탄성체(51)가 있어서 어린이 허리둘레에 잘 맞도록 하였다는 것이외에는 제2도에서 표시한 기저귀에 유사한 1회용 기저귀(50)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에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받침층(62) 및 전면층 (63) 사이에 끼워있는 거의 장방형인 판막(61)을 갖고 있는 1회용 기저귀(60)가 도시되어 있고 이 판막(61)은 받침층 및 전면층과 함께 가장자리부(64) 및 (65)를 형성하고 잇다. 더 잘 몸에 맞도록 하기 위하여 곡선 절단부가 전면층 및 받침층의 각기 측면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미리 펼쳐진 망사형 열가소성 탄성체(68)를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에 위치시키고 또 흡수성 속판의 길이 방향 측면을 따라 받침층 및 전면층에 고정되어 있다. 망사형 탄성체는 이들의 단부위치(69) 및(70)에서는 신축성을 갖지 않게 하였다.
열가소성 탄성체의 단부를 신축성을 갖지 않게 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는 열가소성물질의 탄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가열대역에서 충분히 그 단부를 가열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같은 기술은 관련 기술과 함께 1979년 12월 21일 출원 접수된 심사계류중인 특허원 제106,336호에서 공개되어 설명하고 있으며 본문에서는 참고로 사용한 것이다. 접착선(71)은 전면층과 흡수성 속판을 받침층에 고정시키며 또 접착테이프줄(72) 및 (73)은 기저귀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7도에 대해 설명하면 이는 제6도의 7-7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접착선 (74) 및 (75)으로 받침부(62) 및 전면부(63) 사이에 고정된 망사형의 탄성리번(68)을 가진 불투과성 받침부(62)를 보여주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실시의 태양에서 1회용 기저귀(80)는 흡수성 속솜(81)을 갖고 있고 또한 곡선으로 된 측면 절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속솜은 유사한 절단부를 가진 전면층(82) 및 받침층(83)사이에 끼워져 있다. 접착선(84)은 속솜과 전면층을 받침층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망사형의 탄성 리번(85)은 대체로 장방형의 기저귀 측면부에 자리잡고 있다.
그 망사형의 탄성리번은 중앙부(86)에서 접착선(88)으로 전면층 및 받침층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접착선(88)은 접착선(84)과 같은 시간에 가해질 수 있고 또한 같은 줄을 따라 놓이게 할 수 있다.
흡수성 속솜의 돌출부(89) 및(90)는 기저귀의 4개 모서리에 겹치게 되어 있으며, 또 이들 대역에서 탄성체가 전면층에 고착되지 않게 한다. 탄성체의 각단에서의 접착방지는 이 밖의 다른 여러 방법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밖의 방법으로는 망사형 탄성체가 그 단부에서는 접착되지 않도록 적합한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이밖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심사계류 중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872,860호에 기술된 방법과 같이 이들 끝부분에 열 또는 기타 에너지를 사용해서 탄성을 풀어주거나 탄성체를 태워주는 방법이 있다. 접착테이프줄(91) 및 (92)는 받침층에 고정시키고 기저귀를 어린애한테 고착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제9도에 도시된 실시의 태양에서 본 발명 1회용 기저귀(100)는 불투과성 받침부(101), 시계유리형태 흡수성 패드(102)와 상부 전면층(104)으로 구성된다. 이 배열에서 상부층과 불투과성 받침층은 주변 모서리의 일부로서 대역(105) 및(106)을 형성한다. 이 주변모서리 대역은 흡수성 속심물질을 갖고있지 않다. 이는 어린애 다리 사이의 두툼한 물질의 크기를 감소시켜 준다. 기저귀의 각 측면에서 불투과성 받침층과 침투성 전면층 사이에 망사형 탄성체(109)를 삽입한다.
기저귀는 허리부분 흡수체가 가랭이 부분 흡수체보다 그 폭이 넓은 시계유리 형태의 흡수체를 갖는다.
기저귀 허리부분 뒷쪽에는 접착테이프줄(113) 및(114)가 받침부에 접착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의 태양은 받침부에 접착된 접착선을 접착된 적은 면적을 가진 흡수성속심 (122)을 가진 장방형의 불투과성 받침부(121)로 구성된 1회용 기저귀(120)이다.
그 흡수성 속심 위에는 받침부와 함께 전개되어 길이 방향 측면부(125)및 (126)과 단부 가정자리(127) 및 (128)를 형성하고 있는 전면부(124)가 있다.
바람직한 구조로서는 망사형의 탄성체(129)를 전면 허리부(128)에서 받침부와 전면부 사이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 유사한 망사형의 탄성체를 이 기저귀의 받침부 허리부분(127) 안쪽으로 끼워줄수도 있다. 접착성 테이프줄(133) 및(134)은 받침부에 접착되고 기저귀를 어린이 몸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구상하는 기저귀에 사용하기 적합한 탄성체는 압출되거나 롤러칼렌더로 제조한 필름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필름으로 부터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때 고무질의 탄성물질로 만든 저신장계수의 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두께와 개구의 모양을 갖게할 수 있다. 특히 탄성중합성분으로 제조된 가황시키지 않은 열가소성 조성물과 필요한 경우 비교적 저분자량의 열가소성 중합체이고 주위온도에서 고형인 혼합 가능한 변형체가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한 탄성체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탄성중합성분을 예시하면 터미널 열가소성 중합체 불록과 일정량 이상의 비터미널 또는 중간탄성중합체 불록 등을 포함하는 불록공중합체가 있다. 이 일반적인 형태의 불록공중합체는 단계식 중합개시제 예를 들어, 오르가노리튜움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불록중합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공지된 사실이다.
탄성체 성분은 단순 A1-B 불록공중합물을 갖는 선형 또는 방사형 A1-B-A2불록공중합물 또는 그 혼합물일 수가 있으며, 이때 A1및 A2는 유사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물질일 수도 있으며, 열가소성 중합체불록, 예를 들어 폴리(비닐아렌) 불록과 같은 것을 나타내며, 또 B는 공액디엔 또는 저급(즉, C1-C4) 알켄과 같은 탄성중합체불록을 나타낸다. 변형체성분은 약 500-7500의 평균분자량을 가진 저분자량 열가소성 중합체이며, 또 탄성중합체성분 100중량부당 0부터 약 200중량부까지의 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하고 있다.
탄성체 제조용으로 바람직한 열가소성 필름 조성물은 다음의 일반적인 배열, 즉 A1-B-A2모양으로된 비가황 선형불록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탄성중합 성분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A1및 A2및 B는 상기한 바와 같은 뜻을 갖고 있다. 이들 블록공중합체에서는 A불록은 스틸렌 또는 스틸렌 동족체로부터 유도되었고, 또 B불록은 공액디엔 또는 저급알켄으로부터 유도되었다.
열가소성 중합변형체는 탄성중합성분과 혼합하며 또 전술한 비가황 불록공중합체의 열가소성 터미널불록과 원칙적으로 결합한다. 열가소성 중합변형체는 가급적이면 약1000-3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또 필름조성물에 탄성중합성분의 100중량부당 약 80-20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고 있다.바람직한 A1-B-A2불록공중합체는 스틸렌 또는 스틸렌 동족체로 부터 유도한,즉 중합 또는 공중합된 A불록을 갖고 있으며, 또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과 같은 공액디엔으로 부터 에틸렌 및 부틸렌과 같은 저급알켄으로 부터 유도된 B불록을 갖고 있다. 소량의 기타 모노머 또한 불록공중합체에 혼입될 수도 있다. 각개 A불록은 최소한 약 6000, 호적하게는 약 8000-3000의 범위내의 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또 이 A불록 구성체가 불록공중합물 중량의 약 5-50중량%, 호적하게는 약 10-30중량%를 구성한다.
선형 A1-B-A2불록공중합물 제조용 B불록체의 평균분자량은 약 45000-180 000의 범위이고, 또 선형 공중합물 자체의 평균분자량을 호적하게는 약 75000-200000범위에 있게 한다.
방사형 A1-B-A2불록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은 가급적 약 125000-400000의 범위에 있게 한다. 용어 ″선형불록공중합체″(또는 공중합체)들은 분기되지 않은 A1-B -A2공중합체들 뿐 아니라 분기된 A1-B-A2공중합체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용 탄성체 제조에 유용한 방사형 A1-B-A2공중합물은 미합중국 특허등록 제3,281,383호로서 재린스키 등에 허여된 특허에 기술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다음 일반식(A-B-nx)에 일치하며 여기서 A는 스틸렌 또는 스틸렌 동족체로 부터 중합된 열가소성 불록체이며, B는 상기와 같이 공액디엔 또는 저급알켄으로 부터 유도된 탄성중합체불록이고, X는 동 특허 제3,281,383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약 2-4의 기능을 가진 또는 1974년 6월 11일부 발행 ″케미컬 위크″잡지3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제목 ″새로운 고무가 스타의 위치에 서게 되었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더 높은 기능을 가질 수도 있는 유기 또는 무기연결 분자이다.
상기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n'″ 는 X의 기능에 부합되는 치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탄성체는 고도로 열가소성이며 또 탄성중합성이기는 하나 비교적 예민한 융점을 나타내고 열성형을 할 수 있는 고무와는 다르다. 또한 탄성체는 부직포 또는 유사품과 같은 기재에 대하여 비교적 낮은 열접착온도, 대체로 약 350°F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영구 열접착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탄성체는 매우 유연하고 신장성이 있고 연질이며, 또 통상적으로는 1밀의 필름두께에서 약 1 또는 그 이하의 기얼리 강성 (Gurley stiffness)을 나타낸다.
1회용 기저귀용으로 특히 적합한 탄성체는 열가소성 고무 및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같은 결합에 사용된 열가소성 고무는 폴리 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의 불록체와 폴리스티렌 불록체를 갖는 불록공중합체이다.
이들 물질을 재차 기재하고 있는 평론기사로는 1976년 11월 발생 폴리머 제17부 p938-956에서 SL 아가발이 쓴 ″불록공중합체의 구조와 성질 및 다상 중합체계의 현재상태와 미래의 잠재성의 계론″이 있다.
이들 결합체에서 유용되는 열가소성 고무의 2개의 대표적인 형은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의 중간불록과 폴리스티렌의 최종 불록을 가진 선형불록공중합체 (A-B-A)와 공동중심에 연결된 4-20개의 팔을 가진 ″별형″또는″방사형″ 불록공중합체들이다.
각개 팔은 하나의 A-B 불록공중합체이며, 또 안쪽부분은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이소프렌이며 바깥쪽은 폴리스티렌 이다. 주로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무의 고유 고무질 특성을 유지한채 열가소성 고무에 첨가 또는 결합시키는 물질은 비결정질 폴리프로피렌 이다.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은 공지의 물질이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약 20중량 퍼센트를 초과하지 않는 이소틱틱 함량을, 호적하게는 10 중량 퍼센트를 초과하지 않는 함량을 가진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이다.
비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엷은 필름 또는 시이트를 압출할 때 열가소성 고무의 가공성을 개선할만큼 충분한 양을 사용한다. 사용해야 할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정확한 최소량은 경우에 따라 다소 변화되나, 중량기준 또는 고무 플라스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기준으로 약 10중량 %가 보통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 기준으로 약 5중량 %만큼 낮을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상한 또한 성분의 특성 및 제품의 용도에 따라 케이스별로 변하게 된다. 동일기준으로 약35중량 퍼센트 이상의 비율에서 제품 고유의 고무질의 탄성체 특성이 많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어떤 용도에는 허용될 수도 있으나 기타 용도에는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비결정질 폴리프로필렌의 상한은 그 제품이 고무질 탄성중합 특징을 상당히 유지하는 상한점이어야 한다.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되는 기타 재래물질은 그것들의 공지 목적으로 혼합물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물질로는 안료, 볼록방지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접합조제, 기타 등등이다.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의 한 실시의 태양에서 탄성체는 그 몸체에 열 또는 기타 형태의 에너지를 부가하여 이 몸체에 수축시켜서 탄성 특성을 일으킨 몸체이다. 이 탄성체 일부는 탄성수단을 갖도록 처리하여 기타 부분은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1회용 기저귀에서 탄성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열수축성 필름은 일정한 정도로 회전변형되고 또 열수축하였을 때 탄성을 갖게 되는 폴리올레핀 필름일 수도 있다. 보통 열수축탄성 특성을 갖도록 폴리에틸렌 필름을 수정하는 바람직한 기술은 영국 특허 제866,820호에서 제안된 것과 같은 방사선 조사방법이 있다. 또한 열수축 탄성체로서 유용한 것으로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와 그 유사체를 들수 있다. 이같은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된 것이며, 또 이같은 물질을 형성시키는 특정방법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2,200,429호 및 동 제2,953,551호에 설명되어 있다. 공중합체가 형성되어 필름으로 제조된 후에 전술한 영국특허 제866,820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절한 수정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되는 함공 탄성체 또한 자연고무, 합성고무 및 그 유사체와 같은 기타 물질로도 만들 수 있다. 이 탄성체는 망사형이 아닌 부품으로 분리되어 망사형으로 만들어진 간헐적인 길이쪽부분을 가진 필름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필름은 필요로 하는 폭으로 절단되어 기저귀의 받침시이드와 전면 시이트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광의적으로 탄성체는 20-1000%, 또 호적하게는 약 50-500%까지의 신장성을 갖고 또 20-100%의 범위, 호적하게는 70-100% 범위의 회복성을 갖는 물질로 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 물질을 100% 늘리는데 30-2000g의 힘을 가해야 한다. 기억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이 물질을 최종제품에 넣었을 때 이 품질이 앞에서 규정한대로 탄성을 가짐으로서, 최종제품에서 탄성수단으로서 기능을 가져야 한다. 예를들어서 기저귀의 다리 밴드 구역에서는 이 탄성체가 매우 짧은 기간에, 호적하게는 거의 동시에 90% 또는 그 이상의 회복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그 다리밴드 구역을 본래의 길이로 도펴지게 하는데 비교적 적은 량의 힘을 필요로 하게 하여야 한다. 이 같은 힘은 200g이하이어야 하며 또 20g까지 낮출 수도 있다. 함공 탄성체는 받침층에 접착제를 가하고 그 접착제상에 함공탄성체를 위치시켜 접착시킬 수도 있다.
전면층은 이 함공 탄성체 위에 위치시키고 롤을 이용해서 압력을 가하여 접착제가 이탄성체의 개구를 통하여 통과하게 하여 최소한 전면층과 받침층을 함께 접착하도록 한다. 또 하나의 기술로는 탄성체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받침부와 전면부를 서로 반대쪽에 위치시켜 이들이 접착할 수 있도록 함께 압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전면부와 받침부가 탄성체의 개구를 통하여 같이 접착되었을 경우에는 이 탄성체 바깥쪽에서 전면부와 받침부를 같이 접착시킬 필요는 없다. 사실상 전면부와 받침부가 탄성체 바같쪽에서 서로 접착시키지 않을 경우, 기저귀의 언저리는 그 언저리를 따라 부드럽고 기분좋은 주름 효과를 갖게 된다. 지금까지 장방형의 탄성체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이 탄성체는 최종제품이 필요로 하는 형태에 따라 필요로 하는 모양을 갖게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1도에 도시한 1회용 기저귀(140)는 장고꼴 흡수성 속솜(141) 습기 불투과성 받침층(142)과 습기 침투성 전면층(143)을 갖고 있다. 그 기저귀(140)는 곡선으로 된 망사형 탄성체(146) 및 (147)를 안에 갖고 있는 측면 언저리부분(144) 및 (145)을 포함하고 있다. 기저귀가 장고 모양을 갖도록 전면층과 받침층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하였다. 전면 및 받침층들은 탄성체의 구멍들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이 탄성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테이프줄(148) 및 (149)이 기저귀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제12도는 어린아기를 대소변보기 훈련시키는데 사용하거나 대소변을 자제할 수 없는 어린이 또는 성인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1회용 속옥(160)을 도시하고 있다. 그 속옷은 전면부(161)와 후면부(162)를 갖고 있으며 또 외부층(165)과 습기 침투성 내부층(166) 사이에 위치시킨 액체 흡수성 중간 속판(164)으로 구성된 가랑이부(163)를 갖고 있다.
이 속옷의 허리밴드는 뒷부분에서 내부 및 외부층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 또한 앞부분에서 내부와 외부층의 단부사이에 선택적으로 놓여있는 망사형 신축성 멤버(167)로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이 속옷은 가랑이 구역의 측면 언저리부에서 내부 및 외부층 사이에 놓여있는 망사형 탄성체(168)를 갖게 할수도 있다.
제13도는 제12도의 1회용 속옷(160)을 사용자가 입고 있는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전면부의 양쪽 옆 언저리부(169) 및 (170)는 후면부의 각기 해당 언저리부(171) 및 (172)에 합쳐져서 허리부(173)와 저절로 형성되는 다리구성(174)을 형성한다.
몇개의 각기 다른 전면층 물질을 1회용 속옷에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전면부는 Liloia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63,34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75% 내지 98%의 량이 짧은 목재펄프섬유 또는 조면 등과 같은 값이 싸고 짧은 셀룰로오즈섬유로 대부분 구성되고 나머지 성분은 레이온으로 구성되는 섬유 혼합물로 만든 부직포일수도 있다.
본 발명의 1회용 속옷용으로 적합한 부직포 전면부 물질은 평방야드당 약 0.5 내지 5온스 범위로 직포부게와 0.15g/cc 보다 작은 밀도 대체로 약 0.05 내지 0.1g/cc 범위의 밀도를 갖게할 수 있다. 평방야드당 약 21.5온스의 무게를 가진 직포용 전면 시이트의 건조강도는 기계작동방향의 1인치 넓이당 0.15파운드 이상이고 또 횡단방향 1인치 폭당 0.1파운드 이상이다.
그러한 직포는 신장성이 좋으며 고상하고 부드럽고 잘 늘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전면부는 또한 함께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2,862,251호 및 동 제3,081,514호 및 동 제3,081,515호 등에 따라 제조된 구멍을 갖는 직포를 부터 제조할 수도 있다. 이밖에 전면부는 또한 Evans에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3,485,706호에 설명 공개된 것들과 같은 기타 직포들로부터 만들수도 있다.
이같은 전면부들은 자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방으로 만들 수도 있다. 폴리에스텔형 섬유로 만든 전형적인 전면부는 평방야드당 약 0.75온스의 무게를 갖고 있다.
전면부는 받침부와 같은 치수이고 동일 한계로 되게할 수도 있고 또 한편으로는 전면부가 받침부 보다 넓어서 그 언저리를 안쪽으로 접게 함으로서 전면부와 받침부와 언저리가 같게할 수도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3,612,055호의 제3도 참조).
후자의 경우, 탄성체는 안쪽으로 접은 전면 언저리부 위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밖에 전면부는 등방성부직포 등과 같은 구멍이 없는 물질로 만들수도 있고 필요로하는 습기 침투성을 갖는 구멍난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텔 필름으로 만들수 도 있다.
전술한 모든 전면부에서 재료들을 전면부 내의 침투성을 늦출 수 있도록 다소는 소수성이라야 한다.
전면 부 및 받침부 보다 작은 필요로 하는 형의 습기 흡수성 속솜이나 판막은 Mesek등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12,055호의 설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1회용 속옷용으로 적합한 받침재료는 불투명한 폴리올레핀 예로서, 0.001인치 두께의 폴리에틸렌으로 할 수 있다. 본 목적에 적합한 또다른 재료는 약 0.005인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이다.
사용시, 1회용 기저귀를 단일 평면에 펼쳐놓고 그 위에 아기를 놓고 입힌다. 허리가 놓이는 기저귀 단부는 채우는 끈을 갖는 쪽이며, 이의 반대쪽 단부는 아기 가랭이 사이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펼쳐지게 한다. 다음에 이 기저귀의 아래 쪽으로 펼쳐진 단부를 아기 가랭이 사이로 올려서 음부를 덮고 아기허리의 압부분에 위치하도록 접는다.
그 후에 복부를 덮는 단부의 허리부분의 모서리를 최대한으로 아기몸 아래 놓이는 기저귀단부의 모서리를 먼저의 모서리와 겹쳐지게 가져오므로서 기저귀가 아기허리를 꼭 둘러싸고 잘 맞게하여 아기에게 기저귀를 고정시킨다.
이때에 접착성 테이프 부착물을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하고 이 테이프에 접촉하여 누르기만 함으로서 그 기저귀를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킨다. 어떤 경우에는 기저귀를 더 잘맞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기의 넓적다리 바로 위와 정상적인 부착장치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는 2차 부착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앞의 도면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해서는 아니된다. 또 다른 변경이나 변형도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에 벗어나지 않고서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가요성의 조일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 상호 인접하여 위치한 일차층 기재 및 이차층 기재; 여러 개의 탄성소재를 상호 연결하여 이로서 구멍을 형성한 탄성체를 전기 양측 기재 중간에 위치시켜서 적어도 이 구멍의 일부를 통하여 이차층과 일차층을 고착시키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인체 특정부위에 잘 조일수 있도록 협착 사용되는 겹층구조물.
KR1019800002953A 1979-07-25 1980-07-25 함공(含孔)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겹층구조물(Laminated Structure) KR84000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810A KR840000971B1 (ko) 1979-07-25 1984-02-20 함공(含孔) 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탄성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0479A 1979-07-25 1979-07-25
US60704 1979-07-25
US13436980A 1980-03-27 1980-03-27
US134369 1980-03-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810A Division KR840000971B1 (ko) 1979-07-25 1984-02-20 함공(含孔) 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탄성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19A KR830003619A (ko) 1983-06-21
KR840000972B1 true KR840000972B1 (ko) 1984-07-02

Family

ID=22031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953A KR840000972B1 (ko) 1979-07-25 1980-07-25 함공(含孔)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겹층구조물(Laminated Structure)
KR1019840000810A KR840000971B1 (ko) 1979-07-25 1984-02-20 함공(含孔) 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탄성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810A KR840000971B1 (ko) 1979-07-25 1984-02-20 함공(含孔) 탄성체가 내장된 조일수 있는 탄성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625441A (ko)
KR (2) KR840000972B1 (ko)
IN (1) IN154935B (ko)
ZA (1) ZA8044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03A (ja) * 1981-07-20 1983-01-26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伸縮部材の取付け方法
US4525407A (en) * 1982-08-27 1985-06-25 Chicopee Elastic composites
JPS5953925U (ja) * 1982-10-01 1984-04-09 藤倉化成株式会社 シ−ト状吸水材
JPS59179031U (ja) * 1983-05-17 1984-11-30 昭和電工株式会社 積層構造体
JP2575347B2 (ja) * 1984-02-15 1997-01-22 花王 株式会社 つかいすておむつ
JPH01272802A (ja) * 1988-04-26 1989-10-31 Koyo:Kk 使い捨ておむつ
US4988345A (en) * 1988-05-24 1991-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rapid acquiring absorbent cores
DE60233678D1 (de) 2001-12-28 2009-10-22 Sca Hygiene Prod Ab Elastische bah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ihre herstellung sowie saugfähiger wegwerfartikel mit einer elastischen bahn
JP5669498B2 (ja) * 2010-09-24 2015-02-1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625441A (en) 1981-03-11
IN154935B (ko) 1984-12-22
KR830003619A (ko) 1983-06-21
ZA804481B (en) 1982-03-31
KR840000971B1 (ko) 198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991A (en) Gatherable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n apertured elastic member
US4300562A (en) Laminated structures having gathered marginal portions
US4407284A (en) Laminated structures having gathered and ungathered marginal por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333782A (en) Method of making laminated structures having gathered and ungathered marginal portions
US4935021A (en) Disposal diaper with center gathers
EP0023804A1 (en) A gatherable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an apertured elastic mem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680378B2 (ja) 吸収性物品
JP4173545B2 (ja) 伸張可能なゾーンを含む吸収性物品
KR100385276B1 (ko) 일회용 흡수가먼트 및 이에 결합된 선택적으로 탄성화된 연속밴드
US4430086A (e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body conformity and liquid retention
US4413623A (en) Laminated structures having gathered and ungathered marginal por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324245A (en) Comformable disposable diapers having absorbent panel with bulged side members
US4337771A (en) Conformable disposable diaper having reinforced portions
JP3605730B2 (ja) ブラウス状外カバーを有する下着に似た使い捨て吸収物品
CN100482190C (zh) 一次性套穿衣服
AU2003204935B8 (en) Absorbent article with an elastic waistband having a preferred ratio of elastic to non-elastic materials
KR950024750A (ko) 일회용 기저귀
JP2009515637A (ja) 展開可能なシャーシイア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910005920B1 (ko) 1회용 기저귀
RU2002102552A (ru) Эффективный эластич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разделенный на зоны
JPH08502181A (ja) 弾性臀部パネルを有する動的弾性特性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0521248A (ja) 展開可能なシャーシ耳部、及び伸縮性ウエストバンドを有するおむつ
KR20010033762A (ko) 내연신성이 다른 대역들을 가진 개인 위생용품
JP2010517658A (ja) 腹部伸縮性パネルを有するおむつ
JPH0262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