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7694A -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 Google Patents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7694A
KR20240087694A KR1020247008748A KR20247008748A KR20240087694A KR 20240087694 A KR20240087694 A KR 20240087694A KR 1020247008748 A KR1020247008748 A KR 1020247008748A KR 20247008748 A KR20247008748 A KR 20247008748A KR 20240087694 A KR20240087694 A KR 2024008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film
multilayer laminated
layer
thermoplastic resin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마츠오
다카유키 우토
신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8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7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부재에 사용했을 때에 투영 각도의 차이에 의한 영상의 휘도차를 경감할 수 있는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51층 이상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며,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평균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본 발명은,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부재에 사용했을 때에 투영 각도의 차이에 의한 영상의 휘도차를 경감할 수 있는 다층 적층 필름 및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 확장 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은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의 투과율이 높다. 그리고,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는, P파이면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반사율이 저하되어 0%가 된 후에 다시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S파이면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반사율도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P파란 경계면에 광이 입사될 때, 이 입사면과 광의 진동 방향이 평행한 편광이고, S파란 입사면과 광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편광을 말한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의 투과율이 높고,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도,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P파와 S파의 양쪽의 반사율이 증대되는 다층 적층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다층 적층체는, 광학 장치의 단일의 광 빔을 2개의 방향으로 나누는 빔 스플리터의 용도이며,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P파와 S파의 양쪽의 반사율이 증대되고, P파와 S파의 반사율의 차가 작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
확장 현실 장치란, 예를 들어 실재하는 풍경에 버추얼의 시각 정보를 겹쳐 표시함으로써, 눈앞에 있는 세계를 가상적으로 확장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 중 하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하, HMD)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HMD 등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로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의 투과율이 높고,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의 반사를 이용하고,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P파의 반사율이 증대되는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9/198635호 국제 공개 제1997/036195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다층 적층 필름은,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P파의 반사율이 증대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필름을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하여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킨 경우,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해 반사율이 다르고, 투영상의 휘도에 차가 발생하는 과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P파의 반사율이 높아져, 파장 400㎚ 내지 700㎚ 범위의 가시광에 있어서의 P파의 평균 반사율에 대해서, 각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P파의 반사율 편차(표준 편차)가 커지기 쉽다. 또한, 반사율이 너무 높아지면, P파의 영상이 투영되는 것에 더하여, 자연광에 의한 반사상도 발생하기 쉬워지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51층 이상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며,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이다.
여기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의 각각의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파장 400㎚로부터 700㎚까지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했을 때의 평균값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사용했을 때에 투영 각도의 차이에 의한 영상의 휘도차를 경감할 수 있는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즉, 입사각이 변화해도 P파의 반사율이 변화하기 어렵고, 파장 400㎚ 내지 700㎚ 범위의 가시광에 있어서의 편차가 작고, 투영상의 휘도에 차가 발생하기 어려워, 필요 충분한 반사 특성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투명 수지 필름의,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의 입사 각도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을 반사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의 입사 각도 의존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의,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의 입사 각도 의존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의 입사 각도 의존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층 A와 층 B의 층 두께의 분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최표면의 방위각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의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T*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다층 적층 필름의 온도 미분 곡선 A(T)의 최댓값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DSC 1st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4의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의 (a)는 종래 기술, (b)는 본 발명의 경사 방향의 반사 특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의 입사 각도 의존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를 실장하는 효과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51층 이상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며,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이다. 여기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의 각각의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경은 당연히 있을 수 있다. 또한, 설명을 간략화하는 목적으로 일부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 중 하나인, 다른 2종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 다층 적층 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3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51층 이상 적층된 구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성이 다른 열 가소성 수지층이 다층 적층 필름에 복수종 존재하고, 또한 이들 열 가소성 수지층의 굴절률이 필름의 면내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직교하는 2방향 또는 해당 면에 수직인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 0.01 이상 다른 경우에 「열 가소성 수지층이 복수종 존재한다.」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교호로 적층되었다고 함은, 다른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 두께 방향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양태의 구체예로서는, 다층 적층 필름이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A)과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B)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A(BA)n, B(AB)n(n은 자연수, 이하 동일함)과 같이 차례로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층 적층 필름이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A),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B), 및 제3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C)을 포함하는 경우이면, 그 배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C(BA)nC나 C(ABC)n, C(ACBC)n 등과 같이 일정한 규칙성을 갖고 차례로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률 등의 광학적 성질이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적층됨으로써, 각 층의 굴절률의 차와 층 두께의 관계로부터 원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간섭 반사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층 적층 필름의 층수가 50층 이하인 경우에는, 원하는 파장 대역에 있어서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없다. 전술한 간섭 반사는, 층수가 증가할수록 보다 넓은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하여 높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반사하는 다층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점에서, 다층 적층 필름의 층수는 바람직하게는 400층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층 이상이다. 또한, 층수에 상한은 없지만,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조 장치의 대형화에 수반하는 제조 비용의 증가나, 필름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핸들링성의 악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10000층 정도가 실용 범위가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다층 적층 필름면의 법선에 대하여 0°의 각도를 의미함)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다」란, 구체적으로는,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파장 400 내지 700㎚라는 가시광 영역의 광의 투과율이 높음으로써, 투명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과 같은 투명성을 갖고,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다층 적층 필름을 통해 배경을 관찰했을 때, 배경의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당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당해 투과율이 90% 이상이면, 이용자는 다층 적층 필름의 존재를 느끼지 않고 배경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투과율의 상한은 실현 용이성의 관점에서 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로 입사 각도 θ=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투과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측정 조건은 후술한다.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은,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 사이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가 0.06 이하이면 당해 투과율을 50% 이상으로, 0.04 이하이면 당해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굴절률 차가 0.02 이하이면 당해 투과율을 80% 이상으로, 굴절률 차가 0.01 이하이면 당해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란, 2종류의 열 가소성 수지층간의 면내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2종류의 층을 층 A, 층 B로 한 경우는, 층 A와 층 B의 면내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P파의 반사율이란,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에 있어서의 P파의 평균 반사율로 한다. 이 P파의 반사율(%)은 분광 광도계로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한 측정 조건은 후술한다.
P파의 반사율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는, 투명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의 일반적인 투명 기판의 경우,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20°로부터 점차 입사 각도를 크게 해 가면, 편광의 하나인 P파의 반사율은 저하되고, 브루스터각이라고 불리는 각도에서 반사율은 0%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투명 기판에서는 정면 방향을 투과하여, 경사 방향의 P파를 반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다층 적층 필름에서는,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큰 값을 취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필름을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하여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킨 경우,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브루스터각을 구비하지 않고 필름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P파의 반사가 가능하다. 또한, 반사율에 있어서,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의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의 가장 바람직한 값은 0%이지만, 실현 가능성의 관점에서 0.1%가 된다. 투영시키는 각도는, 입사 각도 θ=20°, 30°, 40°, 50°의 범위에서 휘도차가 작아지면, 실용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P파를 반사하고, 또한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작은 다층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와 층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를 크게 함으로써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P파를 반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당해 굴절률차는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차를 너무 크게 하면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커져 버리므로, 당해 굴절률차는 0.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면내 굴절률차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인접하는 층 중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차가 0.01보다도 크지만, 면내 굴절률차는 작은 것이다. 한편, 면내 굴절률의 차를 너무 크게 하면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50%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면내 굴절률차는 0.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적층 필름의 반사 파장 영역을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은,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면직 굴절률차, 적층수, 층 두께 분포, 제막 조건(예를 들어 연신 배율, 연신 속도, 연신 온도, 열 처리 온도, 열 처리 시간)의 조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면직 굴절률이란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고, 면직 굴절률차란 인접하는 층 사이의 면직 굴절률의 차를 말한다.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2종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적층된 구성을 갖고,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층 A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층 B로 했을 때, 층 A가 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층 B가 비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층 A가 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층 B가 비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층 A가 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층 B가 비결정성의 열 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층을 구성하는 전성분을 100질량%로 했을 때, 6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포함되는 성분을 말한다. 또한, 반사율이 높아져 적층수가 적어지므로, 층 A와 층 B의 면직 굴절률차는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커지지 않는 범위에서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 두께 분포는 인접하는 층 A와 층 B의 광학 두께가 하기 (A)식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λ는 반사 파장, nA는 층 A의 면직 굴절률, dA는 층 A의 두께, nB는 층 B의 면직 굴절률, dB는 층 B의 두께이다.
층 두께의 분포는, 다층 적층 필름면의 한쪽으로부터 반대측의 면을 향하여 일정한 층 두께 분포로 하는 것, 다층 적층 필름면의 한쪽으로부터 반대측을 향하여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층 두께 분포로 하는 것, 다층 적층 필름면의 한쪽으로부터 필름 중심을 향하여 층 두께가 증가한 후 감소하는 층 두께 분포로 하는 것, 다층 적층 필름면의 한쪽으로부터 필름 중심을 향하여 층 두께가 감소한 후 증가하는 층 두께 분포로 하는 것, 및 이들 분포를 조합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두께 분포의 변화의 방법으로서는, 선형, 등비, 계차 수열과 같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나, 10층 내지 50층 정도의 층이 거의 동일한 층 두께를 갖고, 그 층 두께가 스텝 형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적층 필름의 양쪽 표층에는, 보호층으로서 두께가 다층 적층 필름 전체의 두께의 1% 이상인 층을 바람직하게 마련할 수 있고, 보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다층 적층 필름의 두께 전체에 대하여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제막 시의 플로 마크의 억제나 설계에 대한 실제의 각 층의 층 두께의 정밀도 향상, 다른 필름이나 성형체와의 라미네이트 공정 및 라미네이트 공정 후에 있어서의 다층 적층 필름 중의 박막층의 변형 억제, 내압박성 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상이면, 다층 적층 필름의 탄력이 강해져 핸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300㎛ 이하이면, 다층 적층 필름의 탄력이 과도하게 강해지지 않아, 성형성이 향상된다.
또한, 다층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프라이머층, 하드 코트층, 내마모성층, 흠집 방지층, 반사 방지층, 색 보정층, 자외선 흡수층, 광 안정화층, 열선 흡수층, 인쇄층, 가스 배리어층, 점착층 등의 기능성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층은 단층 구성이어도 다층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하나의 층에 복수의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또한, 다층 적층 필름 중에,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HALS), 열선 흡수제, 결정핵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열 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아세탈 등의 쇄상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류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체, 부가 중합체, 다른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체인 지환족 폴리올레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폴리머,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아세트산비닐코폴리머, 폴리아세탈, 폴리글루콜산,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4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에틸렌 수지, 3불화염화에틸렌 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강도·내열성·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특히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공중합체여도, 2종 이상의 수지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란, 디카르복실산 단위와 디올 단위가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연결된 분자 구조를 갖는 수지를 말한다.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다이머산, 도데칸디온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굴절률을 발현하는 테레프탈산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되고, 나아가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된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소르베이트, 스피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각 층의 주성분이 되는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중합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나아가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헥사메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등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각 층의 주성분이 되는 열 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각 열 가소성 수지의 SP값의 차의 절댓값이 1.0 이하인 조합이 바람직하다. SP값의 차의 절댓값이 1.0 이하이면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폴리머는 동일한 기본 골격을 제공한 조합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기본 골격이란, 열 가소성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 단위이며 가장 많이 포함되는 단위이고, 구체예를 들면, 열 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면, 그 기본 골격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골격이 된다. 예를 들어, 한쪽의 열 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정밀도의 적층 구조가 실현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동일한 기본 골격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열 가소성 수지가 동일한 기본 골격을 포함하는 수지이면, 적층 정밀도가 높아지고, 또한 적층 계면에서의 층간 박리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 중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기계 이활제, 안료, 염료, 유기 또는 무기의 미립자, 충전제, 대전 방지제, 및 핵제 등을, 그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단독으로 또는 복수 성분을 조합하여 첨가시킬 수 있다.
<P파와 S파의 반사율에 대해서>
P파 및 S파는 이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전자파(광)가 물체의 표측의 면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됐을 때에 있어서, P파란 전계 성분이 입사면에 평행한 전자파(입사면에 평행하게 진동하는 직선 편광), S파란 전계 성분이 입사면에 수직인 전자파(입사면에 수직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를 나타낸다. 이 P파와 S파의 반사 특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투명 수지 필름 등에 의한 일반적인 투명 기판에 대해서, 도 2는 종래의 광을 반사하는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 도 3은 특허문헌 1이나 2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각 필름에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광이 입사됐을 때의 반사율의 각도 의존성을 도시한 그래프(일례)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파장 550㎚로 나타냈지만, 다른 가시광의 파장이나 파장 400㎚ 내지 700㎚의 평균 반사율과 같은 가시광 전역의 반사율에 있어서도, 각 필름은 각각 도 1 내지 4에서 도시한 것과 대체로 마찬가지의 관계성을 갖는다. 또한, 도 1 내지 4에 있어서 부호 1, 2는 각각 P파의 반사율(1), S파의 반사율(2)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투명 기판은 프레넬의 식에 따라, P파의 반사율(1)은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저하되어 0%가 된 후, 다시 증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S파의 반사율(2)은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증대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광을 반사하는 다층 적층 필름은, P파도 S파도 입사 각도 0도에서 일정한 높은 반사율을 갖고(바꿔 말하면 투과율이 낮음), 입사 각도 증대와 함께 P파, S파 양쪽의 반사율이 증대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이나 2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은, 입사 각도 0도에서는 P파와 S파 양쪽의 반사율이 낮고(바꿔 말하면 투과율이 높음), 입사 각도 증대와 함께 P파와 S파 양쪽의 반사율이 증대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입사 각도 0°에서는, P파, S파 양쪽의 반사율이 낮고(바꿔 말하면 투과율이 높음), P파의 반사율(1)은 브루스터각을 갖지 않고 경사 방향의 입사 각도에서 0%보다도 높은 일정한 반사율을 갖지만, 입사 각도 20° 내지 50°의 반사율의 변화가 작은(=표준 편차가 작음) 경향을 나타낸다. S파의 반사율(2)은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증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P파의 입사 각도 20° 내지 50°의 반사율의 변화가 작고 표준 편차가 작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에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도 4 각각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20° 내지 50°의 Rp20, Rp30, Rp40 및 Rp50의 P파의 반사율(1)의 표준 편차는, 도 3에서는 7%, 도 4에서는 1%이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일 필요가 있다. Rp60이란, 도 4에 있어서, P파의 반사율(1)의 곡선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60° 시점의 값이고, 일례에서는 약 17%이다. Rp60 및 Rp70이 3% 이상임으로써, 다층 적층 필름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의 투영 각도가 60°, 70°여도 충분한 투영상은 시인하기 위한 충분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Rp60 및 Rp70이 50% 이하임으로써, 배경을 비추는 광의 투과율이 과잉으로 낮아지지 않는 것이나, 영상 이외의 주위의 풍경의 투영이 경감되어, 자연광에 의한 반사상도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을 통해 배경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경감된다. 상기 관점에서, Rp60 및 Rp70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Rp60 및 Rp70을 3% 이상 5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다층 적층 필름 중의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면직 굴절률의 차)와 층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면직 굴절률차를 0.1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의 차가 0.01보다도 큰 것이다. 한편, 그 차를 너무 크게 하면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50%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면내 굴절률차는 0.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수를 증가시킴으로써도 Rp60 및 Rp70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의 최솟값이 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 방향의 반사율이 적어도 3% 이상임으로써, 다층 적층 필름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 폭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시인하기 위한 충분한 휘도를 투영상에 갖게 할 수 있다. Rp20 내지 Rp70의 최솟값을 3%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층 적층 필름 중의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와 층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면직 굴절률차는 0.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 중, Rp30, Rp40, Rp50 중 어느 것이 최솟값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Rp30과 Rp40과 Rp50 중 적어도 하나가 최솟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 중, 최솟값이 Rp30, Rp40, Rp50 중 어느 것이 됨으로써,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 중, 최솟값을 Rp30, Rp40, Rp50 중 어느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층 적층 필름 중의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의 인접하는 층 사이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와 층수를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내 굴절률차가 0.01보다도 큰 것이다. 또한, 면직 굴절률차가 너무 작으면 Rp60과 Rp70이 3% 이하로 되기 때문에, 면직 굴절률차는 0.0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면직 굴절률차가 너무 크면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커져 버리기 때문에, 면직 굴절률차는 0.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사광의 채도가 5 이하이다. 이하, 「다층 적층 필름면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의 각도로 입사됐을 때의 P파의 반사광의 채도」를 「P파의 반사광의 채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P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것은, 가시광의 파장 영역 전반에 걸쳐서 균일한 반사(각 가시광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변화가 작음)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와 같은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광에 기인하는 채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입사광의 색에 대하여 반사광의 색이 변화하여 착색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적층 필름을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투영 영상을 P파로 투영한 경우에 표시되는 투영 영상의 색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조사된 영상과 거의 동일한 색으로서 재현되기 때문에, 채색이 변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채도(=C*값)란 JIS-Z-8781-4(2013)에 기초하여, CIE1976 색 공간 L*a*b* 중 a*, b*에 대하여 입사 각도 θ=60°의 P파의 반사율 스펙트럼과 C 광원의 분광 분포와 XYZ계의 등색 함수를 사용하여 C 광원 하에서의 XYZ값, 및 XYZ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채도 C*값으로서 a*와 b*의 제곱합의 평방근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P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상이 되는 것은,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 스펙트럼의 표준 편차가 크고 특정한 색의 파장의 반사율이 높아지는 것, 또는 특정한 색의 파장의 반사율이 낮아지는 것이 원인이다. 따라서,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율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식 (A)로부터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를 반사하는 층 A와 층 B의 두께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를 반사하는 층 A와 층 B의 두께의 균일한 분배 배치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횡축에 다층 적층 내의 층 A와 층 B의 위치를, 종축에 층 A와 층 B의 두께(㎚)를 취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 (A)에 따라서, 파장 400㎚를 반사하는 층 A와 층 B의 두께로부터 파장 700㎚를 반사하는 층 A와 층 B의 두께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층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400㎚ 내지 700㎚의 범위를 반사하는 층 A의 두께와 층 B의 두께를 균일하게 분배 배치함으로써, 당해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표준 편차를 10% 이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층수 401층의 다층 적층 필름으로 층 A의 면직 굴절률(nA)을 1.5, 층 B의 면직 굴절률(nB)을 1.6으로 하고, 필름 표면의 층의 위치를 1로 하고 반대의 필름 표면의 층의 위치 401까지의 층 A와 층 B의 이상적인 층 두께 분포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는 장치의 설계 정밀도나 필름 제막 장치의 가동 안정성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 5와 같은 이상적인 층 두께로부터의 오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401층을 포함하는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계산한 층의 위치 1로부터 층의 위치 401까지의 각각의 층의 위치에서의 오차를 층 1로부터 층 401까지 평균한 오차가 ±10% 정도 이내이면, 다층 적층 필름의 법선에 대하여 60°의 각도로 입사됐을 때의 P파의 반사광의 채도를 20 이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의 오차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2종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적층된 구성을 예로 설명한다. 2종의 열 가소성 수지 각각을 용융시키고, 적층 장치를 사용하여 교호로 적층하고, 그 용융 적층체를 T형 구금 등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함으로써 다층 적층 구조를 얻을 수 있지만, 이 용융 적층체의 층의 흐트러짐을 억제하는 것이 두께의 오차의 억제로 연결된다. 그 방법으로서는, 용융 적층체의 최표층에 두꺼운 층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최표층의 두께는 용융 적층체 전체의 두께에 대하여,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또한, 한쪽의 최표층뿐만 아니라 양쪽의 최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의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위각이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다층 적층 필름(3)의 필름면의 면내에 있어서, 주배향축 방향의 방위각을 0°로 했을 때의 각 방위각(0°, 45°, 90°, 135°, 180°)을 나타낸다. 주배향축 방향이란 필름면 내에서 가장 배향도가 큰 방향을 말한다. 또한, 배향도는 공지의 분자 배향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분자 배향계로서는, 예를 들어 현 오지 게이소쿠 기키(주)의 분자 배향계 MOA-701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위각 변동이란, 상기 방위각(0°, 45°, 90°, 135°, 180°)에 있어서 측정한 Rp60(0°), Rp60(45°), Rp60(90°), Rp60(135°), Rp60(180°)의 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말한다.
Rp60(0°), Rp60(45°), Rp60(90°), Rp60(135°), Rp60(180°)은, 분광 광도계로 입사 각도 θ=6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방향인 방위각은 다층 적층 필름의 주배향축 방향의 방위각을 0°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우회전으로 0°, 45°, 90°, 135°, 180°의 5개를 채용한다. Rp60의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임으로써, 어느 방위로부터 영상을 투영해도 그 정보의 밝기 등의 표시성을 동일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Rp60의 방위각 변동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면내 방향의 굴절률 불균일을 작게 하는 것을 들 수 있고, 필름의 면내 방향의 굴절률 불균일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2축 연신 시에 필름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배향 상태의 차를 작게 하도록 연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배향 상태의 차를 작게 하는 연신 조건은 사용하는 열 가소성 수지나 그 조합에 따라 다르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보다도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약간 높게 한 조건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이 효과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특징 중 하나이고, 편광 반사 필름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효과이다.
<다층 적층 필름의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A)과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B)이 교호로 적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로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열 가소성 수지」란 층 A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전체를 말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란 층 B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전체를 말한다. 「층 A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다」란, 제1 열 가소성 수지 중에 6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층 B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다」란, 제2 열 가소성 수지 중에 6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교호로 적층된 2종의 열 가소성 수지층 중, 어느 쪽을 층 A로 하는지에 대해서는, 면직 굴절률의 비교에 의해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직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쪽을 층 A로 하고, 이를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를 「제1 열 가소성 수지」로 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면내 굴절률과 면직 굴절률을 모두 높이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양쪽 층의 다층 적층 필름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를 0.06 내지 0.12의 범위로,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에 대해서,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제1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을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제2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그 차를 0.01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열 가소성 수지와 제2 열 가소성 수지에 의한 각 층은,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높은 층과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낮은 층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수 평균 분자량 200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 200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 가소성 수지를 다른 열 가소성 수지와 소량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열 가소성 수지의 면내 굴절률과 면직 굴절률의 평균 굴절률을 유지하면서 또한 유리 전이 온도를 효율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제1 열 가소성 수지와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가 작아져, 다층 적층 필름 연신 시의 공연신도 용이해진다. 이것은,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주성분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의 반사율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더욱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알킬렌글리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은 200 이상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이 200 이상임으로써, 알킬렌글리콜의 휘발성이 낮게 억제되기 때문에, 열 가소성 수지를 합성할 때에 알킬렌글리콜이 충분히 폴리머 중에 도입되고, 그 결과, 유리 전이 온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또한,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이 2000 이하임으로써, 열 가소성 수지를 제조할 때의 반응성 저하가 억제되어, 열 가소성 수지가 보다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에 적합한 것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2종류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2종류 이상의 알킬디올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수 평균 분자량 200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은 1H-NMR의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고, 측정 조건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 다층 적층 필름 중의 제1 열 가소성 수지와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모두 면 배향하고 있고, 그 면 배향의 강도가 제1 열 가소성 수지보다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쪽이 작은 관계로 함으로써, 다층 적층 필름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를 0.06 내지 0.12의 범위로,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차에 대해서,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작은 쪽의 열 가소성 수지(제1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을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큰 쪽의 열 가소성 수지(제2 열 가소성 수지)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게 할 수 있고, 그 차를 0.01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한 일례로서,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15㏖% 내지 25㏖% 또는 75㏖% 내지 85㏖%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고, 2축 연신을 실시하여 2축 연신 후에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한 다층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한 융해 엔탈피(ΔHm)가 3J/g 이상을 나타내는 피크가 2개 이상 존재하고, 상기 융해 엔탈피를 나타내는 피크보다도 저온측에 3J/g 미만의 피크가 존재하는 다층 적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수 평균 분자량 200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특성을 보다 달성하기 쉬워진다.
특허문헌 1에는 다층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2종의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층 A를 구성하는 수지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층 B를 구성하는 수지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인 다층 적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비결정성을 나타내는 수지란 JIS K 7122(1999)에 준하여, 승온 속도 20℃/분에서 수지를 25℃로부터 300℃의 온도까지 20℃/분의 승온 속도로 가열(1st RUN), 그 상태에서 5분간 유지 후, 이어서 25℃의 온도 이하가 되도록 급랭하고, 다시 실온으로부터 20℃/분의 승온 속도로 300℃의 온도까지 승온을 행하여, 얻어진 2nd RUN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차트에 있어서, 융해 피크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결정 융해 열량 ΔHm이, 5J/g 이하의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융해에 상당하는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수지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다층 적층 필름은, 층 A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층 B에 상기의 정의로 비결정성을 나타내는 수지를 사용한 다층 적층 필름을 온도 150℃에서 2시간 가열하면 다층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는 과제를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것은, 층 B에 사용한 수지는 상기의 DSC 측정에 있어서 비결정성을 나타냈다고 해도,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가열한 경우는 결정화(열 결정화)가 진행되고, 그 결정 사이즈가 조대하기 때문에 광의 산란이 발생하여 다층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층 A는 가열 전의 시점에서 결정 구조를 갖지만, 필름을 연신하여 열 처리함으로써 결정 사이즈가 작고 그 결정이 치밀하게 존재하는 배향 결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는 낮고,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가열해도 그 배향 결정화 구조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다층 적층 필름이 2종의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층 A와 층 B 모두 배향 결정화시킴으로써, 150℃에서 2시간 가열의 다층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P파의 반사율이 작고 또한 표준 편차도 작은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지만,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낮은 층과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높은 층으로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결정성이 낮은 층은, 예를 들어 융점을 나타내는 공중합된 열 가소성 수지를 배향 결정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은 이하의 측정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있어서, 흡수 열량의 절댓값이 최대가 되는 온도, 즉, 다층 적층 필름을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서,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하여 얻은 DSC 1st 곡선에 있어서, 흡수 열량의 절댓값이 최대가 되는 융해 피크 온도를 Tm(℃), 하기의 방법에 의해 결정한 온도를 T*(℃)로 할 때, Tm-T*>27(℃)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T*는 이하의 (1), (2)에 의해 측정한다.
(1)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을 A(T)=dDSC/dT(㎽/℃)로 하고, 온도 미분 곡선 A(T)의 그래프에 있어서, 150(℃)으로부터 Tm(℃)까지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A(T)의 최솟값을 Amin, 그때 온도를 Tmin(℃)으로 했을 때, Tmin(℃)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의 온도 미분 곡선 A(T)와 직선 A'(T)=0.2Amin의 복수의 교점을, 온도가 낮은 순으로, Tn(℃)(n=1, 2, 3…)으로 한다.
(2) (1)을 충족하는 Tn(℃) 중, Tn으로부터 Tn+5℃의 온도 범위에서, 항상 A(T)<0.2Amin을 충족하는 Tn(℃) 중, 최소의 온도가 되는 Tn(℃)을 T*(℃)로 한다.
Tm-T*>27을 충족할 때,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층 A뿐만 아니라 층 B도 배향 결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150℃ 2시간 가열 처리의 내부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내부 헤이즈를 0.8%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Tm-T*≤27의 경우는, 층 B의 배향 결정화가 약하고 150℃ 2시간 가열에 의해 열 결정화가 진행되는 비결정 부분의 비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Tm-T*≤27의 경우는, 150℃ 2시간 가열에 의해 다층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의 상승이 높고, 그 내부 헤이즈는 0.8%보다도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150℃ 2시간의 가열 조건은,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제작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과 투명 지지체를 적층할 때의 가공 조건으로서 예로 들 수 있다. 150℃ 2시간 가열 후의 내부 헤이즈가 0.8%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확장 현실 장치에 사용했을 때에 흐림이 없이 외부의 풍경을 시인할 수 있다. Tm-T*의 값을 크게 할수록 150℃ 2시간 조건 가열 후의 내부 헤이즈가 억제되고, Tm-T*>30에서 내부 헤이즈가 0.5% 이하가 되어, 보다 흐림이 없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Tm-T*(℃)에 상한은 없지만, Tm-T*가 일정한 값 이상이면 내부 헤이즈가 0.1%보다도 작아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Tm-T*는 50 이하가 된다. 한편, Tm-T*≤27이 될 때, 층 B의 배향 결정화가 약하고 150℃ 2시간 가열에 의해 열 결정화가 진행되는 비결정 부분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해당 조건 가열 후의 내부 헤이즈는 0.8%를 상회하고, 확장 현실 장치에 사용했을 때에 외부의 풍경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Tm-T*는,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제2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층 B의 결정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값이 클수록, 결정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150℃ 2시간의 가열 조건 후의 내부 헤이즈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2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층 B가 결정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층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세는 후술하지만,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아지도록 열 가소성 수지를 선정하고, 2축 연신 후에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 미만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그 열 처리 온도는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5℃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다. 2축 연신 후에 제1 및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 미만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다층 적층 필름 중의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A와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B 모두 결정 사이즈가 치밀하면서 견고한 배향 결정화가 진행되고, 150℃ 2시간 가열해도 그 결정 구조는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열 처리 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다층 적층 필름 중의 제2 열 가소성 수지는 열 처리에 의해 그 배향 결정화 구조가 융해되고, 열 결정화가 진행되는 비결정 부분의 비율이 높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150℃ 2시간 조건으로 가열하면,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비결정 부분이 재결정화되어, 조대 결정으로서 성장하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가 올라가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계속해서, 도 7, 8을 사용하여, Tm, T*, Tm-T*, 및 Tm-T*>27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각각, Tm-T*>27(부호 4), 및 Tm-T*≤27(부호 5)을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이다. 도 8은 당해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의 그래프의 예이다.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는, 각 온도에 있어서의 DSC 1st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고, A(T)=0이 될 때, DSC 1st 곡선은 극소 또는 극대를 나타낸다. 특히, A(T)=0을 경계로 해서 A(T)가 음으로부터 양으로 된 경우, 그 온도에서는, 융해 엔탈피(ΔHm)를 나타내는 피크가 존재하는 것에 상당한다.
도 7에 있어서, 200℃ 내지 280℃에서 흡수 열량이 최대가 되는 피크가 존재하고 있고, 흡수 열량의 절댓값이 최대, 즉 극소가 되는 온도를 Tm으로 한다. 이 흡수 열량의 피크는,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에 상당한다. 이 열 가소성 수지는 결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측정 방법으로 얻어지는 T*는, A(T)가 일정한 값 이하, 즉 DSC 1st 곡선의 접선의 기울기에 있어서, 어느 일정 이하의 기울기, 즉 약한 흡열 피크가 관측되는 온도 중, 최소의 온도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Tm-T*>27이 되는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실선, 부호 4)은, Tm-T*≤27의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점선, 부호 5)에 비해 200℃ 주변으로부터 열 흡수가 보이고, 그래프의 경향으로서 감소 정도가 커지고 있다. 즉, 도 8에 있어서, 200℃ 부근에서는 Tm-T*>27을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부호 6)의 쪽이 Tm-T*≤27의 다층 적층 필름(부호 7)보다 A(T)의 값이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제1 열 가소성 수지 이외의 제2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층 B가 결정 상태에 있고, 그것이 융해되어 열 흡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 있다. 한편 Tm-T*≤27을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부호 7)은, 제2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층 B가 결정 상태가 아니라,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과 필름면에 수직인 굴절률의 차가 0.01 정도 미만의 등방 비결정 상태이다. 그 때문에, 200℃ 부근에서는 열 흡수가 없고, DSC 1st 곡선에서는, 제1 열 가소성 수지 유래의 융해 피크만 측정된다.
계속해서, T*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는 DSC 1st 곡선의 접선 중, 어느 일정 이하의 기울기가 되는 온도 중, 최소의 온도이다. T*의 측정 방법 (1)에 있는 바와 같이, 150℃<T<Tm에 있어서의 A(T)의 최솟값을 Amin, 그때 T를 Tmin으로 했을 때, T<Tmin의 범위에 있어서의 A(T) 곡선과 직선 A'(T)=0.2Amin의 교점을 각각 구한다. 여기서, 0.2Amin은, A(T)의 150℃<T<Tm에 있어서의 최솟값 Amin의 1/5의 값이고, A(T)가 최솟값 Amin의 1/5 이하의 값이 될 때, DSC 1st 곡선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 유래의 열 흡수가 측정되는 것에 상당한다. 열 흡수인 경우, Amin은 음의 값이다. 한편, A(T)가 최솟값 Amin의 1/5보다 높은 경우, 다층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에 의한 열 흡수가 측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상당한다. 이렇게 해서, 곡선 A(T)와, 직선 A(T)=0.2Amin의 교점 Tn(n=1, 2, 3…)을 얻는다. n은 온도가 낮은 쪽으로부터 넘버링한다. Amin의 1/5 이하의 값이 되면, 층 A 또는 층 B 중 어느 것이 결정화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계속해서, T*의 측정 방법 (2)에 관해서, 측정 방법 (1)에서 얻은 Tn 중, Tn 내지 Tn+5℃의 범위에서 항상 온도 미분 곡선: A(T)<0.2Amin을 충족하는 Tn 중, 최소의 Tn을 T*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T)=0.2Amin은 제1 또는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 유래의 열 흡수의 유무를 나타내는 역치이지만, 이 융해 거동도,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결정의 융해 거동과, 열 처리 공정에 의한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열 결정 부분의 융해 거동의 2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있어서, T*의 측정 방법 (1)에 해당하는 Tn이 T1 내지 T5의 5점 존재한다. 각 Tn에서 온도 T(℃) 내지 T+5℃의 범위에서 항상 A(T)<0.2Amin을 충족하는 것은 T3, T5이고, 이 중 최소가 되는 것은 T3이기 때문에, T3이 T*가 된다. T3은 제2 열 가소성 수지 유래의 융해 피크, T5는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 피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T1과 같이, T 내지 T+5℃의 범위에서 일부라도 A(T)≥0.2Amin이 되는 T는, 열 처리에 의한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열 결정 부분의 융해 피크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상기 A(T)에 관해서, 150℃<T<Tm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0.0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T)에 관해서, 150℃<T<Tm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0.040 이하인 경우, 다층 적층 필름면에 대하여 P파가 되는 광선을 60°로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이 10% 이상이 되고, 선명한 투영상으로 하는 정도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150℃<T<Tm에 있어서의 A(T)의 최댓값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각각 150℃<T<Tm에 있어서의 A(T)의 최댓값이 0.040 이하(부호 8) 및 0.040 초과(부호 9)의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호 8과 부호 9의 온도 미분 곡선: A(T)의 그래프이다. 150℃<T<Tm에 있어서 A(T)>0이 되는 것은 도 10과 같이,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 피크의 극소를 지난, 그래프로서 상승 경향에 있는 온도 영역이다. A(T)의 해당 최댓값이 클수록,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해 엔탈피(ΔHm)가 큰 융해 피크(융해 엔탈피는 3J/g 이상)를 나타내고 있고, 제2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층 B는 결정 상태에 있다. 한편, A(T)의 최댓값이 0.040 이하인 경우, 3J/g 미만의 피크 혹은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층 B는 결정이 완화된 상태에 있다. 또한,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열 처리에 의한 열 결정화 유래의 융해 피크는 융해 엔탈피가 3J/g 미만이기 때문에, A(T)의 최댓값은 0.040 이하가 된다.
상기 A(T)에 관해서, 150℃<T<Tm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0.040 이하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제2 열 가소성 수지에 융점이 있는 경우는,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높아지도록 열 가소성 수지를 선정하고, 2축 연신 후에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 -20℃ 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10℃ 이상에서 열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제2 열 가소성 수지에 융점이 없는 경우는, 2축 연신 후의 열 처리를,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60℃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다층 적층 필름 중의 층 B의 결정이 완화되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면직 굴절률이 커지고, 2개의 열 가소성 수지층 사이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면직 굴절률차를 발현시킴으로써, 필름면에 대하여 P파가 되는 광선을 60°로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이 3% 이상이 된다. 또한, 이 면직 굴절률차를 0.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처리 온도의 상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층 B의 결정 상태가 완화되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이 커지는 한편, 150℃ 2시간 가열 후의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기 때문에, 제2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이 있는 경우는 융점 정도, 융점이 없는 경우는 제1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30℃이다. 한편, 상기 A(T)에 관해서, 150℃<T<Tm에 있어서의 최댓값이 0.040보다도 큰 경우, 층 B가 결정 상태에 있기 때문에 결정성 수지의 층 A와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굴절률차가 0.050 미만이 되어 차가 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P파가 되는 광선을 60°로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이 3% 미만이 되고, 경사로부터 입사시킨 투영상을 선명하게는 시인할 수 없다.
<다층 적층 필름의 제작에 대해서>
이하,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작에 대해서, 일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이 전술한 다층 적층 필름 구성을 취하는 경우, 51층 이상의 적층 구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층 A에 대응하는 압출기 A와 층 B에 대응하는 압출기 B의 2대로부터 제1 열 가소성 수지 및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용융한 상태로 공급하고, 각각의 유로로부터의 용융 열 가소성 수지를, 공지의 적층 장치인 멀티 매니폴드 타입의 피드 블록과 스퀘어 믹서, 혹은 콤 타입의 피드 블록에만 의해 51층 이상으로 적층한다. 이어서 그 용융 적층체를 T형 구금 등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그 후, 캐스팅 드럼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을 얻는다. 층 A와 층 B의 적층 정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0789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69191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164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하다면, 층 A에 사용하는 열 가소성 수지와 층 B에 사용하는 열 가소성 수지를 건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A)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B)이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이 되도록, 각 열 가소성 수지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이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에 연신 및 열 처리를 실시한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축차 이축 연신법, 혹은 동시 2축 연신법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미연신 적층 필름의 유리 전이점 온도 이상 내지 유리 전이점 온도+8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 2배 내지 8배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배의 범위이고,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 배율차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의 연신은, 세로 연신기의 롤 사이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후의 폭 방향의 연신은, 공지의 텐터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축 연신 다층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대향하는 클립의 간격을 폭 방향으로 넓힘으로써 폭 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또한, 텐터로 동시 2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동시 2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각 롤 상에 캐스트된 미연신 적층 필름을, 동시 2축 텐터로 유도하고, 그 폭 방향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동시 및/또는 단계적으로 연신한다. 길이 방향의 연신은, 동일 사이드의 클립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또한 폭 방향의 연신은 클립이 주행하는 레일의 간격을 넓혀서 대향하는 클립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신·열 처리를 실시하는 텐터 클립은, 리니어 모터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팬터그래프 방식, 스크루 방식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리니어 모터 방식은, 개개의 클립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연신 배율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연신 후에 열 처리를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열 처리 온도는, 연신 온도 이상 내지 층 B의 열 가소성 수지의 융점 이하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처리 후에 열 처리 온도-30℃ 이하의 범위에서 냉각 공정을 거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열 수축률을 작게 하기 위해, 열 처리 공정 중 또는 냉각 공정 중에 필름을 폭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줄이는(릴랙스) 것도 바람직하다. 릴랙스의 비율로서는 1% 내지 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이다. 마지막으로 권취기로 필름을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이 제조된다.
<투영 화상 표시 부재와 확장 현실 장치에 대해서>
이하,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양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양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3)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에 임의의 반사 방지층(12)과 기능층(13)을 적층한 구성이다. 반사 방지층(12)은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면 반사를 방지하는 층이고, 다층 적층 필름(13)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층 적층 필름(3)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반사 방지층(12)을 가짐으로써,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의 S파의 경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확장 현실 장치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영상 이외의 주위의 풍경의 투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층 적층 필름(3)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기능층(13)을 갖는 양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12의 B의 양태는 양면에 기능층(13)을 갖는 양태이다.). 기능층(13)으로서는, 하드 코트층, 내마모성층, 흠집 방지층, 반사 방지층, 색 보정층, 자외선 흡수층, 광 안정화층, 열선 흡수층, 인쇄층, 가스 배리어층, 점착층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층은 단층 구성이어도 다층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1개의 층에 복수의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다른 양태의 일례로서, 투명 지지체(14)와 다층 적층 필름(3)을 적층한 적층체(도 13의 A 내지 C)나, 투명 지지체(14) 사이에 다층 적층 필름(3)이 위치하는 적층체(도 14의 A 내지 C)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반사 방지층(12)과 기능층(13)의 적층은 임의이다. 적 투명 지지체(4)는 유리나 투명 수지 기재 등을 들 수 있고, 지지성을 갖게 하기 위해 그 두께는 1㎜ 이상이 바람직하다. 투명 지지체(14)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두께가 과도하게 커지면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투명 지지체(14)의 유리로서는, 단층 유리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등으로 사용되는 접합 유리나 강화 유리, 유리 건축재의 판 유리, 강화 유리, 복층 유리, 진공 유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지지체(14)의 투명 수지 기재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및 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투명 수지 기재는, 단일의 성분이어도, 복수종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투명 지지체(14)와 다층 적층 필름(3)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도 13의 A나 도 14의 A와 같이 직접 접합해도 되지만, 도 13의 B, C, 도 14의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층(15)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접합 등도 가능하다. 점착제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에테르, 니트릴 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계, 천연 고무계, 클로로프렌 고무계, 폴리아미드계, 에폭시 수지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수지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이소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점착제나 접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복수종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한 점착성 조정제, 가소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착색제, 가교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접착제의 가공 전의 형태로서는 액상, 겔상, 괴상, 분말상, 필름상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고화 방법으로서는, 용제 휘산, 습기 경화, 가열 경화, 경화제 혼합, 혐기 경화, 자외선 경화, 열 용융 냉각, 감압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방법으로서는 라미네이트 성형, 인젝션 성형,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압공 병용 성형 등을 들 수 있고, 가열, 가압, 상술한 접착층의 고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투영 화상 표시 부재가 제작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한 확장 현실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 또는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구비하고, 그 표시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는 영상 투영 장치를 구비하는 확장 현실 장치이다. 그 이용 형태로서는 헤드부에 장착하는 것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형의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도 15에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영상 투영 장치(16)로부터 조사된 투영 영상(17)을 도광 부재(18) 내를 통과시켜 반사 부재(19)에서 반사하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에서 반사함으로써, 배경(21)의 시인성을 확보한 상태로, 확장 현실 장치 이용자의 눈(22)에 영상을 투영시킨다. 영상 투영 장치(16)로서는 액정 프로젝터, RGB 레이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부재(19)로서는 지지체의 표면에 금속층이나 유전체 다층막을 마련한 미러나 굴절률이 다른 열 가소성 수지를 교호로 적층한 다층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도광 부재(18)로서는 투영 영상의 흡수가 적고 투명한 것이나 투영 영상의 편광을 흐트러뜨리지 않기 위해 위상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올레핀, 폴리메틸펜텐 및 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의 발생 경감의 관점에서,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의 표시면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에 차지하는 P파의 강도(P파의 강도/(P파의 강도+S파의 강도))가 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시면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에 차지하는 P파의 강도를 단순히 「P파의 강도」라는 경우가 있다. 이하 확장 현실 장치의 과제로서, 표시 화상의 이중상의 문제가 있다. 이 과제는, 도 16의 (a) 종래 기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한 종래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23)는 경사로부터 입사된 S파를 반사하고 P파를 투과한다. 그 때문에,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시면에 입사되는 투영 영상의 광으로서 S파를 사용하고 있다. 표시 화상의 이중상은, 화상 표시 부재(23)의 표측과 이측의 표면 각각의 면에서 광을 반사하고, 그 광선이 어긋나 표시 화상이 이중으로 보임으로써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는,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로부터 입사된 P파를 반사하기 때문에,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시면에 입사되는 투영 영상의 광으로서 P파를 사용할 수 있다. P파는 필름 내부에서만 반사하고, 표측과 이측의 표면에서는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상의 문제가 경감된다. 상기 관점에서, P파의 강도는 5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편광 제어 정밀도의 관점에서 상한은 99% 정도이다.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는, P파의 강도를 51% 이상으로 한 경우, 영상의 근원이 되는 광의 입사 각도는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범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P파는 입사 각도 30° 이상으로부터 반사율이 저하되고, 특히 50° 내지 70°의 범위에서 크게 저하된다. 그 때문에, 상기 입사 각도에서 P파의 투영 영상을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입사시킴으로써 이중상의 억제 효과가 커진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 또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사용한 확장 현실 장치의 다른 이용 형태로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영상 투영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확장 현실 장치는, 영상 투영 장치(16)로부터 투영 영상(17)을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에 조사하고, 확장 현실 장치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 상에 영상을 투영시킨다. 또한, 주위의 풍경의 정보가 되는 배경(21)을 투영 화상 표시 부재(20)를 통과시킴으로써, 확장 현실 장치 이용자의 눈(22)은 영상과 주위의 풍경을 중첩하여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이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수직(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의 법선에 대하여 0°의 각도를 의미함)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다」란, 구체적으로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수직으로 입사된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평균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파장 400 내지 700㎚라는 가시광 영역의 광의 투과율이 높음으로써, 투명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과 같은 투명성을 갖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통해 배경을 관찰했을 때, 배경의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투과율이 90% 이상이면, 이용자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존재를 느끼지 않고 배경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의 상한은 실현 용이성의 관점에서 99%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로 입사 각도 θ=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광의 투과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투명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의 일반적인 투명 기판의 경우, 표면의 법선에 대하여 20°로부터 점차 입사 각도를 크게 해 감에 따라, 편광 중 하나인 P파의 반사율은 저하되고, 브루스터각이라고 불리는 각도에서 반사율은 0%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투명 기판에서는 정면 방향을 투과하고, 경사 방향의 P파를 반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필름에서는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가 5%보다 큰 값을 취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필름을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하여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킨 경우,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브루스터각을 구비하지 않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P파의 반사가 가능하다. 그 때문에,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의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의 가장 바람직한 값은 0%이지만, 실현 가능성의 관점에서 0.1%가 된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p60 및 Rp70이 3% 이상임으로써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의 투영 각도가 60°, 70°여도 충분한 투영상은 시인하기 위한 충분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Rp60 및 Rp70이 50% 이하임으로써, 배경을 비추는 광의 투과율이 과잉으로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통해 배경을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경감된다. 상기 관점에서, Rp60 및 Rp70이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투명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해서, 공기 중으로부터 각 필름에 파장 550㎚의 P파와 S파의 광이 입사됐을 때의 반사율의 각도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의 일례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파장 550㎚로 도시하였지만, 다른 가시광의 파장이나 파장 400㎚ 내지 700㎚의 평균 반사율과 같은 가시광 전역의 반사율에 있어서도, 도 18에서 도시한 것과 대략 마찬가지의 관계성을 갖는다. 도 18에 있어서 부호 1, 2는 각각 P파의 반사율, S파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입사 각도 0°에서는, P파, S파 양쪽의 반사율이 낮고(=투과율이 높고), P파는 브루스터각을 갖지 않고 경사 방향의 입사 각도로 일정한 반사율을 갖지만, 입사 각도 20° 내지 50°의 반사율의 표준 편차가 작은 경향을 나타낸다. S파의 반사율은 입사 각도가 증대됨과 함께 증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P파의 입사 각도 20° 내지 50°의 반사율의 표준 편차가 작기 때문에,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에 P파의 영상을 투영시키는 각도에 의한 투영상의 휘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Rp20 내지 Rp70, 즉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 중, Rp30, Rp40 또는 Rp50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솟값이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 방향의 반사율이 적어도 3% 이상임으로써,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P파의 영상을 투영했을 때, 폭넓은 각도 범위에 걸쳐서 시인하기 위한 충분한 휘도를 투영상에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Rp20 내지 Rp70 중, 최솟값이 Rp30 내지 Rp50 중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Rp20 내지 Rp70 중, 최솟값이 Rp30 내지 Rp50 중 어느 것이 됨으로써, Rp20 내지 Rp50의 표준 편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의 각도로 입사됐을 때의 P파의 반사광의 채도」를 「P파의 반사광의 채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P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것은, 가시광의 파장 영역 전반에 걸쳐서 균일한 반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이러한 양태로 함으로써 반사광에 기인하는 채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확장 현실 장치 등의 투영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투영 영상을 P파로 투영한 경우에 표시되는 투영 영상의 색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조사된 영상과 거의 동일한 색으로서 재현된다.
본 발명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상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Rp60)의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Rp60의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임으로써, 어느 방위로부터 영상을 투영해도 그 정보의 밝기 등의 표시성을 동일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해서 실시예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성의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의 평가 방법]
특성값의 평가 방법 그리고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다층 적층 필름의 적층수와 표층 두께, 필름 내부의 층 두께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단면을 잘라낸 샘플에 대해서,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을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다층 적층 필름의 적층수와 표층의 두께를 확인하였다. 또한 단면 사진의 촬영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 H-7100FA형((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75㎸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또한, 표층의 두께는 현미경의 측장 기능에 의해 측정하였다.
TEM 화상을,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Pro Plus ver.4를 사용하여, 이 파일을 열고, 화상 해석을 행하였다. 화상 해석 처리는 수직 시크 프로파일 모드에서, 두께 방향 위치와 폭 방향의 2개의 라인 사이에서 끼워진 영역의 평균 밝기의 관계를, 수치 데이터로서 판독하였다. 표 계산 소프트웨어 "Excel"(등록 상표)(Microsoft사 Office365)을 사용하여, 위치(㎚)와 밝기의 데이터에 대하여, 5점 이동 평균의 수치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얻어진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데이터를 미분하고, VBA(비주얼·베이직·포·애플리케이션스) 프로그램에 의해, 그 미분 곡선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읽어들이고, 인접하는 이들의 간격을 1층의 층 두께로 하여 층 두께를 산출하였다. 이 조작을 화상마다 행하고, 모든 층의 층 두께를 산출함으로써 필름 내부의 층 두께를 구하였다. 적층수는, 밝기의 변화에 있어서의 명부의 층과 암부의 층을 각각 1층으로 간주하여, 명부의 층과 암부의 층의 합계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적층수를 구하였다.
(2) 다층 적층 필름,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가시광의 투과율
히타치 세이사쿠쇼(주)제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의 표준 구성(고체 측정 시스템)으로, 입사 각도 θ=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투과율을 1㎚ 단위로 측정하고, 그 평균 투과율을 구하고, 얻어진 값을 다층 적층 필름 또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가시광의 투과율로 하였다. 측정 조건: 슬릿은 2㎚(가시)/자동 제어(적외)로 하고, 게인은 2로 설정하고, 주사 속도를 600㎚/분으로 하였다.
(3) 다층 적층 필름,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반사율(Rp20, Rp30, Rp40, Rp50, Rp60, Rp70),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 60°로 입사된 P파의 반사광의 채도
히타치 세이사쿠쇼(주)제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에 부속의 각도 가변 반사 유닛과 글랜 테일러 편광자를 설치하고,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각각 1㎚ 단위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반사율로부터 입사 각도 20°, 30°, 40°, 50°, 60°, 7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에 있어서의 P파의 평균 반사율로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을 구하였다. 또한,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각 입사 각도의 경사 방향은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는 필름의 주배향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해서는 짧은 변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였다. 60°로 입사된 P파의 반사광의 채도는, JIS-Z-8781-4(2013)에 기초하여, CIE1976 색 공간 L*a*b* 중 a*, b*에 대하여 θ=60°의 P파의 반사율 스펙트럼과 C 광원의 분광 분포와 XYZ계의 등색 함수를 사용하여 C 광원 하에서의 XYZ값, 및 XYZ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채도 C*값으로서 a*와 b*의 제곱합의 평방근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4) 다층 적층 필름,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반사율(Rp60(0°), Rp60(45°), Rp60(90°), Rp60(135°), Rp60(180°), 방위각 변동)
히타치 세이사쿠쇼(주)제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에 부속의 각도 가변 반사 유닛과 글랜 테일러 편광자를 설치하고, 다층 적층 필름에 대해서는 필름면의 주배향축 방향의 방위각 0°를 기준으로 하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해서는 짧은 변 방향을 기준으로 우회전으로 0°, 45°, 90°, 135°, 180°의 5점 각각의 방위각 방향에 대하여, 입사 각도 θ=6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반사율로부터 각 방위각 방향에 있어서의 입사 각도 60°에 있어서의 파장 400㎚ 내지 700㎚의 범위의 P파의 평균 반사율로서, Rp60(0°), Rp60(45°), Rp60(90°), Rp60(135°), Rp60(180°)을 구하였다. 또한, 구한 Rp60(0°), Rp60(45°), Rp60(90°), Rp60(135°), Rp60(180°)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방위각 변동으로 하였다.
(5) 주배향축 방향
샘플 사이즈를 10㎝×10㎝로 하고, 필름 폭 방향 중앙에 있어서, 샘플을 잘라냈다. 오지 게이소쿠 기키(주)제의 분자 배향계 MOA-7015를 사용하여 배향도를 측정하고, 가장 배향도가 큰 방향을 주배향축 방향으로 하였다. 주배향축 방향은, 최표면의 면내 방위각 0°의 방향이 된다.
(6) 다층 적층 필름의 융해 엔탈피
다층 적층 필름을 전자 천칭으로 5㎎ 계량하고, 알루미늄 팬 사이에 끼워 넣고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주)제 로봇 DSC-RDC220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JIS-K-7122(2012년)에 따라,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데이터 해석은 동사제 디스크 세션 SSC/5200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DSC 데이터로부터 융해 엔탈피(ΔHm)가 3J/g 이상을 나타내는 피크의 개수와, 융해 엔탈피를 나타내는 피크보다도 저온측에 3J/g 미만의 피크의 존재의 유무에 대해서 해석하였다.
(7) 다층 적층 필름, 수지의 유리 전이점 온도, 융점
다층 적층 필름 또는 수지 펠릿을 전자 천칭으로 5㎎ 계량하고, 알루미늄 팬 사이에 끼워 넣고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주)제 로봇 DSC-RDC220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JIS-K-7122(2012년)에 따라,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데이터 해석은 동사제 디스크 세션 SSC/5200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DSC 데이터로부터 유리 전이점 온도(Tg), 융점(Tm), 융해 엔탈피(ΔHm)가 3J/g 이상을 나타내는 피크 개수, 융해 엔탈피를 나타내는 피크보다도 저온측에 있는 3J/g 미만의 피크 개수를 구하였다.
(8) Tm, T*의 측정 방법
다층 적층 필름을 전자 천칭으로 5㎎ 계량하고, 알루미늄 팬 사이에 끼워 넣고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주)제 로봇 DSC-RDC220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JIS-K-7122(2012년)에 따라,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 1℃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고, DSC 1st 곡선을 얻었다. 흡수 열량의 절댓값이 최대가 되는 융해 피크 온도를 Tm(℃)으로 하고,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결정한 온도를 T*(℃)로 하고, Tm-T*를 구하였다.
<T*의 측정 방법>
이하의 (1), (2)에 의해 결정한다.
(1)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을 A(T)=dDSC/dT(㎽/℃)로 하고, 온도 미분 곡선 A(T)의 그래프에 있어서, 150(℃)으로부터 Tm(℃)까지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A(T)의 최솟값을 Amin, 그때 온도를 Tmin(℃)으로 했을 때, Tmin(℃)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의 온도 미분 곡선 A(T)와 직선 A'(T)=0.2Amin의 복수의 교점을, 온도가 낮은 순으로, Tn(℃)(n=1, 2, 3…)으로 한다.
(2) (1)을 충족하는 Tn(℃) 중, Tn으로부터 Tn+5℃의 온도 범위에서, 항상 A(T)<0.2Amin을 충족하는 Tn(℃) 중, 최소의 온도가 되는 Tn(℃)을 T*(℃)로 한다.
(9) 수지의 굴절률
나트륨 D선(파장 589㎚)을 광원으로 하고, 마운트액으로서 요오드화 메틸렌을 사용하고, 25℃에서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수지 펠릿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수지 펠릿의 굴절률의 측정은 70℃ 48시간, 진공 건조시킨 수지 펠릿을 280℃에서 용융 후,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프레스하고, 그 후 급랭함으로써, 두께 200㎛의 시트를 제작하고, 그 시트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10) 다층 적층 필름의 A층의 굴절률
사일론 테크놀로지사제 프리즘 커플러 SPA-400을 사용하여 다층 적층 필름 최표층의 굴절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레이저의 파장은 633㎚이고, 면내 굴절률은 주배향축 방향, 주배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양쪽의 최표층에서 구한 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면직 굴절률은 주배향축 방향측으로부터 측정한 값과 주배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측으로부터 측정한 값의 평균값 각각에 있어서, 양쪽의 최표층에서 구한 값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11) 다층 적층 필름의 B층의 굴절률
B층은 다층 적층 필름 내부의 층이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이 아니라, 다층 적층 필름과 동일한 연신 조건·열 처리 조건에 의해 제작한 B층 수지 단체의 필름에 대해서, 사일론 테크놀로지사제 프리즘 커플러 SPA-400을 사용하여 굴절률 측정을 행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레이저의 파장은 633㎚이고, 면내 굴절률은 주배향축 방향, 주배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필름의 양쪽의 면에서 구한 값의 평균값을 구하고, 면직 굴절률은 주배향축 방향측으로부터 측정한 값과 주배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측으로부터 측정한 값의 평균값 각각에 있어서, 필름의 양쪽의 면에서 구한 값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다층 적층 필름의 B층의 굴절률의 검증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1)항에서 구한 다층 적층 필름의 층 두께와 (10)항에서 구한 다층 적층 필름의 층 A의 굴절률과 (11)항에서 구한 층 B의 굴절률을 사용하여 반사율의 광학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그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와 (3)항에서 측정한 반사율의 비교를 행하고, 양자의 차가 ±3% 이하인 경우 (11)항에서 구한 층 B의 굴절률은 다층 적층 필름의 층 B의 굴절률이라고 간주하였다. 광학 시뮬레이션은 광학 박막의 특성 매트릭스법(고히야마 미츠노부(2006). 광학 박막 필터 디자인 가부시키가이샤 옵트로닉스사)을 사용하여 VBA 프로그램으로 계산을 행하였다.
(12)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
필름을 HFIP-d2(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이중수소화물)에 용해시켜, 1H-NMR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스펙트럼에 대해서, 케미컬 시프트 3.8ppm의 피크를 갖는 시그널의 면적을 S1, 케미컬 시프트 3.9ppm에 피크를 갖는 시그널의 면적을 S2로 했을 때, S1/S2×44(44: 에틸렌글리콜의 반복 단위의 식량)로써 알킬렌글리콜의 분자량으로 하였다.
(13) 고유 점도(IV)의 측정 방법
용매로서 오르토 클로로페놀을 사용하여, 온도 100℃에서 20분 용해시킨 후, 온도 25℃에서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용액 점도로부터 산출하였다.
(14) 다층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
액체 측정용 석영 셀에 넣어서 유동 파라핀을 충전한 석영 셀 중에 다층 적층 필름을 넣고, (주)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 헤이즈 미터(HM-150N)를 사용하여 측정(JIS K 7136:2000)을 행함으로써, 필름 표면 헤이즈를 제외한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평가는 다층 적층 필름의 150℃ 2시간 가열 전후의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15) 확장 현실 장치 평가
광원에 드림 메이커사제 디스플레이(SP-133CM)를 사용하고, 광원에 대하여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45°의 각도로 설치(광원으로부터 수직으로 나온 광은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에 대하여 입사 각도 45°의 각도를 취함) 하고,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향하여 조사시키는 정보가 P파가 되도록 편광판을 광원 상에 설치하고, 광원으로부터 투영 화상 표시 부재에 대하여 P파의 정보를 투영하였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장 현실 장치 이용자는 입사각 20°로부터 70°의 범위에서 투영된 영상을 시인한다. 또한, 도 19에서는 배경의 투과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생략하고 있다. 이 육안 평가에 의해, 배경의 시인성, 입사각 20° 내지 50°의 투영상의 휘도차, 입사 각도 60°, 70°의 투영상의 시인성, 입사 각도 20° 내지 70°의 투영상의 휘도 누출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배경의 시인성의 평가 기준)
A: 배경이 선명하게 보임
B: 배경이 보임
C: 배경이 어둡게 보임
(입사각 20° 내지 50°의 투영상의 휘도차)
A: 휘도의 차를 인식할 수 없음
B: 휘도의 차를 인식할 수 있음
(입사 각도 60°, 70°의 투영상의 시인성)
A: 투영 영상이 선명하게 보임
B: 투영 영상이 보임
C: 투영 영상이 어둡게 보임
(입사 각도 20° 내지 70°의 투영상의 휘도 누출)
A: 휘도의 누출이 없음
B: 휘도의 누출이 있음(영상을 시인하기 어려운 각도가 존재함)
배경의 시인성의 평가 기준에 있어서, A가 우수하지만, A와 B가 양호하여 합격 레벨이다. 입사 각도 60°, 70°의 투영상의 시인성의 평가 기준에 있어서, A가 우수하지만, A와 B가 양호하여 합격 레벨이다.
[필름에 사용한 열 가소성 수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사용한 필름의 제조에는 이하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은 모두 열 가소성 수지이고, 수지 A, 수지 B, 수지 D, 수지 E, 수지 F, 수지 H, 수지 J, 수지 K, 수지 M, 수지 N, 수지 O가 결정성 수지이고, 수지 C, 수지 G, 수지 I가 비결정성 수지이다.
수지 A: IV=0.67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12㏖%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7, Tg=75℃, Tm=227℃.
수지 B: IV=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8, Tg=78℃, Tm=254℃.
수지 C: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파라크실렌글리콜 성분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35㏖%,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8㏖%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 1.64, Tg=87℃, Tm은 관측되지 않았다.
수지 D: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15㏖%,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5㏖%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3, Tg=88℃, Tm=226℃.
수지 E: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15㏖%,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3㏖%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3, Tg=92℃, Tm=228℃.
수지 F: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20㏖%, 분자량 2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8㏖%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3, Tg=98℃, 수지 펠릿에서는 Tm, ΔHm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100℃에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3.3배 연신을 행한 B층 수지 단체의 필름은 Tm=215℃였다.
수지 G: IV=0.7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시클로헥산디메탄올 성분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33㏖%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7, Tg=80℃, Tm은 관측되지 않았다.
수지 H: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5, Tg=120℃, Tm=265℃.
수지 I: IV=0.67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5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62, Tg=105℃, Tm은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수지 I는 산 성분 중에 있어서의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과 테레프탈산 성분이 동등한 수지이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취급한다.
수지 J: IV=0.67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15㏖%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7, Tg=75℃, Tm=220℃.
수지 K: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30㏖%,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디올 성분 전체에 대하여 6㏖%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3, Tg=73℃, Tm, ΔHm은 관측되지 않았다.
수지 M: IV=0.64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이소프탈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굴절률=1.63, Tg=102℃, Tm, ΔHm은 관측되지 않았다.
수지 N: IV=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1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8, Tg=83℃, Tm233℃.
수지 O: IV=0.64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2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굴절률=1.58, Tg=90℃, 수지 펠릿에서는 Tm, ΔHm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100℃에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3.3배 연신을 행한 B층 수지 단체의 필름은 Tm=220℃였다.
이하, 각 실시예, 각 비교예와 같이 다층 적층 필름과 필름을 제작하고, 그 조건을 표 1에, 평가 결과를 표 2, 표 3에 나타낸다. 표 2 중, Rp20, Rp30, Rp40, Rp50의 표준 편차는, 어느 각도에 있어서의 P파의 반사율이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층 A를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로서 수지 A를, 층 B를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로서 수지 C를 사용하였다. 수지 A 및 수지 C를, 각각, 압출기로 280℃에서 용융시키고, FSS 타입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5매 개재한 후, 기어 펌프로 토출비(적층비)가 수지 A/수지 C=1.2가 되도록 계량하면서, 입사각 50°에서의 P파의 반사 파장이 400㎚ 내지 800㎚의 범위가 되도록 설계한 201층 피드 블록(층 A가 101층, 층 B가 100층)에서, 양쪽 표층이 수지 A가 되도록 교호로 합류시켰다. 이어서, T 다이에 공급하고,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와이어로 8㎸의 정전 인가 전압을 가하면서, 표면 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랭 고화시켜,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다층 적층 필름을, 온도 95℃, 연신 배율 3.5배로 세로 연신하고, 그 양면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양면에 (유리 전이 온도가 18℃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 전이 온도가 82℃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 용이층 형성막 도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얻어진 1축 연신 다층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여 텐터로 유도하고, 온도 115℃, 연신 배율 3.8배로 가로 연신한 후, 205℃에서 열 처리 및 3%의 폭 방향 릴랙스를 실시하고, 100℃에서 냉각시켰다. 이렇게 하여 두께 20㎛(양쪽 표층의 두께 1㎛)의 다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5, 비교예 2 내지 7)
각 층의 수지, 층수, 표층의 두께, 전체 두께, 적층비, 제막 조건을 표 1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다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층 구성은 모두 층 A와 층 B의 교호 적층이고, 또한 양측의 최표층이 층 A인 양태로 하였다. 또한, 각 층의 두께는 입사각 50°에서의 P파의 반사 파장이 400㎚ 내지 800㎚의 범위가 되도록 설계한 피드 블록으로 제어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9와 실시예 12는 B층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의 수지 K와 수지 M의 차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의 차이이고, 얻어진 다층 적층 필름의 특성은 실시예 9와 12에서 큰 차는 없지만, 실시예 12의 수지 M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공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리 전이점의 온도가 높고, A층과 B층의 유리 전이점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의 연신 불균일이 발생하여 품위가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7과 실시예 15는 B층을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의 수지 N과 수지 O의 차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공중합량의 차이이고, 비교예 7의 다층 적층 필름은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A층과 B층의 굴절률차(면직 굴절률의 차)가 0.03으로 작기 때문에 Rp60이 1%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다층 적층 필름은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의 A층과 B층의 굴절률차(면직 굴절률의 차)가 0.14로 크기 때문에 Rp20 내지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상이고, 또한 비교예 3은 Rp60과 Rp70이 50% 이상이다. 비교예 4는 A층과 B층의 면내 굴절률의 차가 0.08로 높기 때문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33%로 낮고, 또한 Rp20 내지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상이다. 비교예 5는 한쪽 방향으로만 연신을 행한 1축 연신 필름이고,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2축 연신을 행하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과 연신이 다르다. 1축 방향으로만 연신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Rp60의 방위각 변동이 5%를 초과한 51%로 매우 높다. 또한,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44%로 낮고, Rp20 내지 Rp70 모두 100%이고, 도 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P파의 반사 특성을 갖고 있지 않다.
비교예 6과 실시예 15는 열 처리 온도가 다르며, 비교예 6은 B층의 융점 이상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ΔHm 피크 개수는 1개이고, A층과 B층의 면내 굴절률의 차가 0.07로 높기 때문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은 46%로 낮다. 또한, Tm-T*가 23으로 낮고, 150℃·2시간 가열 후에 B층이 결정화되어 그 결정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내부 헤이즈가 1.4%로 높게 되어 있다.
또한 B층에 수지 C를 사용한 다층 적층 필름은 수지 C의 비결정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150℃·2시간 가열해도 층 B가 결정화되지 않기 때문에, 150℃·2시간 가열해도 내부 헤이즈는 높게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실시예 9, 12, 비교예 2, 3의 B층에 사용한 수지 F, 수지 K, 수지 M은 펠릿으로부터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았지만, 150℃·2시간 가열함으로써 결정화가 발생하는 약간의 결정성을 갖기 때문에, 다층 적층 필름을 150℃·2시간 가열함으로써 내부 헤이즈가 상승하고 있다.
(비교예 1)
층 A를 구성하는 열 가소성 수지로서 수지 B를 사용하였다. 압출기로 280℃에서 용융시켜, FSS 타입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5매 개재한 후, T 다이에 공급하고,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와이어로 8㎸의 정전 인가 전압을 가하면서, 표면 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 드럼 상에서 급랭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온도 95℃, 연신 배율 3.4배로 세로 연신을 행하고, 필름의 양면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필름 양면의 처리면에 (유리 전이 온도가 18℃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 전이 온도가 82℃의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의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 용이층 형성막 도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1축 연신 다층 적층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여 텐터로 유도하고, 온도 115℃, 연신 배율 3.7배로 가로 연신한 후, 230℃에서 열 처리 및 3%의 폭 방향 릴랙스를 실시하고, 100℃에서 냉각시켰다. 이렇게 하여 두께 50㎛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12)항의 다층 적층 필름의 B층의 굴절률의 검증을 행한 결과, 양자의 차는 모두 ±3% 이하이었기 때문에, (11)항에서 구한 층 B의 굴절률은 다층 적층 필름의 층 B의 굴절률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29, 비교예 8 내지 14)
표 3에 나타내는 필름을 두께 2㎜, 350㎜×290㎜ 사이즈의 투명 아크릴판에 두께 15㎛의 아크릴계 접착제로 접합하여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사용하여 확장 현실 장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필름면이 시인측이 되도록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설치하였다. 확장 현실 장치 평가 결과와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본 발명은, 투영 각도의 차이에 의한 영상의 휘도차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다층 적층 필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은 투영 화상 표시 부재, 확장 현실 장치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P파의 반사율
2: S파의 반사율
3: 다층 적층 필름
4: Tm-T*>27을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
5: Tm-T*≤27을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
6: 4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
7: 5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
8: A(T)의 최댓값이 0.04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
9: A(T)의 최댓값이 0.040을 상회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DSC 1st 곡선
10: 8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
11: 9의 온도 미분 곡선, A(T)=dDSC/dT(㎽/℃)
12: 반사 방지층
13: 기능층
14: 투명 지지체
15: 접착층
16: 영상 투영 장치
17: 투영 영상
18: 도광 부재
19: 반사 부재
20: 투영 화상 표시 부재
21: 배경
22: 확장 현실 장치 이용자의 눈
23: 유리나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한 종래의 투영 화상 표시 부재
24: 영상의 근원이 되는 광의 입사 각도
25: 입사각 20°의 투영 영상
26: 입사각 45°의 투영 영상
27: 입사각 70°의 투영 영상

Claims (17)

  1. 다른 복수의 열 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51층 이상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며,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평균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Rp60 및 Rp70이 3% 이상 5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여기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의 각각의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파장 400㎚로부터 700㎚까지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했을 때의 평균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p20, 상기 Rp30, 상기 Rp40, 상기 Rp50, 상기 Rp60, 상기 Rp70의 최솟값이 3% 이상 5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p20, 상기 Rp30, 상기 Rp40, 상기 Rp50, 상기 Rp60, 상기 Rp70 중, Rp30, Rp40 또는 Rp50 중 적어도 하나가 최솟값을 취하는, 다층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적층 필름을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할 때,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하여 얻은 DSC 1st 곡선에 있어서, 흡수 열량의 절댓값이 최대가 되는 융해 피크 온도를 Tm(℃)으로 하고,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결정한 온도를 T*(℃)로 할 때, Tm-T*>27(℃)를 충족하는, 다층 적층 필름.
    <T*의 측정 방법>
    이하의 (1), (2)에 의해 결정한다.
    (1) DSC 1st 곡선의 온도 미분 곡선을 A(T)=dDSC/dT(㎽/℃)로 하고, 온도 미분 곡선 A(T)의 그래프에 있어서, 150(℃)으로부터 Tm(℃)까지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A(T)의 최솟값을 Amin, 그때 온도를 Tmin(℃)으로 했을 때, Tmin(℃)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의 온도 미분 곡선 A(T)와 직선 A'(T)=0.2Amin의 복수의 교점을, 온도가 낮은 순으로, Tn(℃)(n=1, 2, 3…)으로 한다.
    (2) (1)을 충족하는 Tn(℃) 중, Tn으로부터 Tn+5℃의 온도 범위에서, 항상 A(T)<0.2Amin을 충족하는 Tn(℃) 중, 최소의 온도가 되는 Tn(℃)을 T*(℃)로 한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미분 곡선 A(T)에 있어서, 150(℃) 내지 Tm(℃)의 범위 내에서의 최댓값이 0.04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적층 필름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 Rp60의 면내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인, 다층 적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적층 필름이, 제1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A)과 제2 열 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층 B)이 교호로 적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제1 열 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층 적층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 가소성 수지가, 수 평균 분자량 200 이상 2000 이하인 알킬렌글리콜에서 유래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다층 적층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적층 필름이 융점을 갖고,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한 융해 엔탈피(ΔHm)가 3J/g 이상을 나타내는 용융 피크가 2개 이상 존재하고, 상기 융해 엔탈피가 3J/g 이상을 나타내는 상기 용해 피크보다도 저온측에 추가로 3J/g 미만의 용해 피크가 존재하는, 다층 적층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이, 투명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이, 적어도 2개의 투명 부재 사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
  13. 투영 화상 표시 부재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50%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의 표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20°, 30°, 40°, 50°, 60°, 70°가 되도록 가시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P파의 반사율을 차례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으로 했을 때, Rp20, Rp30, Rp40 및 Rp50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이고, 상기 Rp60 및 상기 Rp70이 3% 이상 50% 이하이고, 상기 Rp20 내지 상기 Rp70의 최솟값이 3% 이상이고, 또한 상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채도가 20 이하인, 투영 화상 표시 부재.
    여기서, Rp20(%), Rp30(%), Rp40(%), Rp50(%), Rp60(%), Rp70(%)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입사 각도 θ=20°, 30°, 40°, 50°, 60°, 70°의 각각의 입사 각도에 있어서의 파장 400㎚로부터 700㎚까지의 범위의 P파의 반사율을 1㎚ 단위로 측정했을 때의 평균값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p20, 상기 Rp30, 상기 Rp40, 상기 Rp50, 상기 Rp60, 상기 Rp70 중, Rp30, Rp40 또는 Rp50 중 적어도 하나가 최솟값을 취하는, 투영 화상 표시 부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화상 표시 부재면에, 그 법선과의 이루는 각이 60°가 되도록 P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율의 방위각 변동이 5% 이하인, 투영 화상 표시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적층 필름, 또는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영 화상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확장 현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확장 현실 장치.
KR1020247008748A 2021-09-29 2022-09-21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KR20240087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8863 2021-09-29
JP2021158863 2021-09-29
PCT/JP2022/035170 WO2023054117A1 (ja) 2021-09-29 2022-09-21 多層積層フィルム及び投影画像表示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7694A true KR20240087694A (ko) 2024-06-19

Family

ID=8578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748A KR20240087694A (ko) 2021-09-29 2022-09-21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32057B1 (ko)
KR (1) KR20240087694A (ko)
CN (1) CN117897638A (ko)
WO (1) WO20230541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6195A1 (en) 1996-03-27 1997-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polarizing beamsplitter
WO2019198635A1 (ja) 2018-04-10 2019-10-17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910B2 (ja) 2004-06-11 2011-06-01 東レ株式会社 スクリーン用反射体およびスクリーン
JP4816419B2 (ja) 2005-11-29 2011-11-16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2007307893A (ja) 2006-04-20 2007-11-29 Toray Ind Inc マット調フィルムおよび成形品
US20210405439A1 (en) * 2018-12-12 2021-12-30 Toray Industries, Inc. Light source unit, display device, and film
KR20210140743A (ko) * 2019-03-26 2021-11-2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도광판 유닛, 광원 유닛, 표시 장치, 투영 화상 표시 부재, 투영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표시 화면용 필터
JP2021054061A (ja) * 2019-09-26 2021-04-08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6195A1 (en) 1996-03-27 1997-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polarizing beamsplitter
WO2019198635A1 (ja) 2018-04-10 2019-10-17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54117A1 (ko) 2023-04-06
CN117897638A (zh) 2024-04-16
WO2023054117A1 (ja) 2023-04-06
JP7332057B1 (ja)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7203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窓部材、合わせガラス
JP5807466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窓ガラス
KR102470780B1 (ko) 적층 필름
JP5609086B2 (ja) 偏光反射体
JP7276127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7400723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740072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6225495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部材
US20210003757A1 (en) Multilayer laminated film
JP7392344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TW201901261A (zh) 多層積層薄膜
KR20240087694A (ko) 다층 적층 필름 및 투영 화상 표시 부재
WO2020196090A1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導光板ユニット、光源ユニット、表示装置、投影画像表示部材、投影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表示画面用フィルター
CN112771417B (zh) 光源单元、显示装置和膜
JP2021054061A (ja) 積層フィルム
CN110869826B (zh) 多层层叠薄膜
JP2017181889A (ja) 表示装置に用い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22140986A (ja) 積層体
JP2022179920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23142603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7259207B2 (ja) フィルム
JP2023121739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24046876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2024021151A (ja) 投影画像表示部材
JP2023177790A (ja) 多層積層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