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4205A -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4205A
KR20240074205A KR1020220156017A KR20220156017A KR20240074205A KR 20240074205 A KR20240074205 A KR 20240074205A KR 1020220156017 A KR1020220156017 A KR 1020220156017A KR 20220156017 A KR20220156017 A KR 20220156017A KR 20240074205 A KR20240074205 A KR 2024007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axis
fusion splic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가희
서영배
Original Assignee
서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가희 filed Critical 서가희
Priority to KR102022015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4205A/ko
Publication of KR2024007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4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02B6/2556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including a fibre supporting member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lignment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심 광섬유 접속과 다심 광섬유 접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제 1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1 광섬유홀더,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1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접속부, 제 2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2 광섬유홀더, 상기 제 2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2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접속부 및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2 광섬유홀더를 촬영하는 광학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HYBRID FUSION SPLICER FOR OPTICAL FIB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이란 광섬유케이블(Optical Fiber Cable)이라고도 불리는 광통신용 케이블을 말하며 석영 등을 소재로 한 가는 실선을 여러 가닥씩 묶어 케이블을 만든 것이다.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광통신의 핵심기술인 광섬유는 광대역, 저손실, 무유도, 경량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내부에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된 광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더욱이 다심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광섬유를 동시에 연결해야 하므로 더욱 어렵다.
광섬유의 접속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녹여 붙이는 융착 접속(Fusion splicing)방법과 매칭젤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는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방법이 있으며 현재는 융착 접속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광섬유는 심선 수에 따라 1개의 광섬유로 된 단심과 2개 이상을 리본 형태로 묶은 다심으로 분류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심 광섬유(a1, a2)의 융착 접속기(10)는 홀더(11a, 11b)와 분리된 V-그루브 블록(12a, 12b)의 축을 서로 회전하며 1 개의 교차되는 지점에 광섬유를 정렬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다심 광섬유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심 광섬유(b1, b2)의 융착 접속기(20)는 상호 중심이 일치하는 홈들을 가지는 V-그루브 블록(22)에 광섬유를 거치하며 각 홀더(21a, 21b)를 z축으로 이동하여 기계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 때, 각각의 광섬유 중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의 영향에 의해 하나의 광섬유라도 정렬이 기준범위에 맞지 않는 경우, 다심 광섬유 전체의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심 광섬유와 다심 광섬유를 모두 접속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심 광섬유 접속과 다심 광섬유 접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제 1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1 광섬유홀더,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1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접속부, 제 2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2 광섬유홀더, 상기 제 2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2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접속부 및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2 광섬유홀더를 촬영하는 광학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1 V-그루브 블록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2 V-그루브 블록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홀더는 x축, z축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 2 광섬유홀더는y축, z축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는, 단심 광섬유 또는 다심 광섬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제 1 광축 상에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의 접촉점이 위치하는 제 1 카메라부, 제 2 광축, 제 2 광축과 교차하는 제 3 광축 및 상기 제 2 광축과 상기 제 3 광축의 교차점 위치하는 광로변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광축 상에 상기 접촉점이 위치하는 제 2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단심 광섬유를 촬영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다심 광섬유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에 각각 접촉되어 구성되고 접속점에 아크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장비를 통해 단심 광섬유와 다심 광섬유를 모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단심 광섬유용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2 은 종래의 다심 광섬유용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단심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도 4 에서 v-그루브 블록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은 다심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7 는 도 6 에서 v-그루브 블록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광학부 및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구성도이고, 도 4 는 단심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고, 도 5 는 도 4 에서 v-그루브 블록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 은 다심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개략도이고, 도 7 는 도 6 에서 v-그루브 블록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광학부 및 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100)는, 단심 광섬유(a1, a2) 또는 다심 광섬유(b1, b2)를 모두 접속할 수 있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2 접속부(110, 120), 광학부(130), 전극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 1 접속부(110)는 덮개(112)와 함께 단심 또는 다심 제 1 광섬유(a1, b1)를 고정시키는 제 1광섬유홀더(111),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삽입하기 위한 홈(113a)들을 갖는 제 1 V-그루브 블록(113)을 포함한다.
제 2 접속부(120)는, 덮개(122)와 함께 단심 또는 다심 제 2 광섬유(a2, b2)를 고정시키는 제 2광섬유홀더(121),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삽입하기 위한 홈(123a)들을 갖는 제 2 V-그루브 블록(123)을 포함한다.
제 1, 2 접속부(110, 120)는 z축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V-그루브 블록(113) 및 제 2 V-그루브 블록(123)은 z축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때, V-그루브 블록(113, 123)은 광섬유홀더(111, 121)에 고정된다. 즉, 제 1 광섬유홀더(111)와 제 1 V-그루브 블록(113)은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제 2 광섬유홀더(121)와 제 2 V-그루브 블록(123)은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섬유홀더(111, 121)와 V-그루브 블록(113, 123)의 중심은 상호간에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홀더(111, 121)에 V-그루브 블록(113, 123)을 고정하는 경우, 광섬유홀더(111, 121) 내부에 고정되는 광섬유와 V-그루브 블록(113, 123)에 지지되는 광섬유의 중심이 일치한 상태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광섬유홀더(111, 121) 내부에는 축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섬유홀더(111, 121)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x축, y축, z 축 중 하나 이상의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어, 광섬유를 최적의 접속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광섬유홀더(111)는 제 1 광섬유(a1, b1)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상태의 광섬유(a1, b1)를 각각x축, z축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2 광섬유(a2, b2)와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광섬유홀더(121)는 제 2 광섬유(a2, b2)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상태의 제 2 광섬유(a2, b2)를 각각 y축, z축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광섬유(a1, b1)와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부(130)는, 광섬유를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카메라부(131a, 131b), 제 2 카메라부(132a, 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부(131a, 131b)는 예를 들면 단심 광섬유용 카메라로서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 1 광축(c1)이 광섬유를 융착시키는 융착 포인트(P)인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의 교점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 1 카메라부(131a, 131b)는 각각 융착 포인트(P)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카메라부(131a, 131b)는 서로 대략 90도 각도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사각 없이 단심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부(132a, 132b)는 예를 들면 다심 광섬유용 카메라로서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광축(c2), 제 2 광축(c2)과 교차하는 제 3 광축(c3) 및 상기 제 2 광축(c2)과 상기 제 3 광축(c3)의 교차점 위치하는 광로변환수단(133a, 133b)를 구비한다. 광로변환수단(133a, 133b)은 예를 들면 프리즘이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광축(c3) 상에 광섬유의 융착포인트(P)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카메라부(132a, 132b)는 각각 광로변환수단(133a, 133b)을 통해 광섬유의 융착포인트(P)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카메라부(132a, 132b)는 서로 대략 90도 각도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의 사각 없이 다심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광학부(130)에 의해 촬영되는 광섬유와 주변 상황은 디스플레이(미도시 됨)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영상에 따라 제 1, 2 접속부(110, 120)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부(130)는 단심용 카메라 및 다심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어, 광섬유의 종류에 관계없이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프리즘을 통해 카메라의 배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전극부(140)는 한 쌍의 전극(141, 142)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 대상인 2개의 광섬유에 각각 접촉되어 구성되고 상기 2개의 광섬유의 접속점에 아크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접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전극부(140)는 복수의 아크 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어,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극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 1, 2접속부(110, 120), 광학부(130) 및 전극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100)를 활용한 단심 광섬유(a1, a2)의 융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단심 광섬유(a1, a2)는 제 1, 2광섬유홀더(111, 121) 내부에 고정되며, 제 1, 2 V-그루브 블록(113, 123)의 복수의 홈(113a, 123a) 중 하나의 홈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심 광섬유(a1, a2)는 복수의 홈 중 중심에 위치하는 홈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 1, 2 광섬유홀더(111, 121)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 1 광섬유홀더(111)를 x축, z축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 광섬유홀더(121)를 y축, z 축을 따라 이동시켜, 제 1 광섬유홀더(111)에 지지된 제 1 광섬유(a1)와 제 2 광섬유홀더(121)에 지지된 제 2 광섬유(a2)를 최적의 접속 위치로 정렬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전극부(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광섬유(a1, a2)의 접속점에 아크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호간에 접합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100)를 활용한 다심 광섬유(b1, b2)의 융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다심 광섬유(b1, b2)는 제 1, 2광섬유홀더(111, 121) 내부에 고정되며, 제 1, 2 V-그루브 블록(113, 123)의 복수의 홈(113a, 123a) 각각에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 1, 2 광섬유홀더(111, 121)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 1 광섬유홀더(111)를 x축, z축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 2 광섬유홀더(121)를 y축, z축을 따라 이동시켜, 제 1 광섬유홀더(111)에 지지된 제 1 광섬유(b1)와 제 2 광섬유홀더(121)에 지지된 제 2 광섬유(b2)를 최적의 접속 위치로 정렬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전극부(140)의 구동을 제어하여, 광섬유(b1, b2)의 접속점에 아크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상호간에 접합시킨다. 이와 같이, 다심 광섬유(b1, b2)를 정렬하면,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다심 광섬유(b1, b2) 중 일부가 소정의 정렬범위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전체 평균정렬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정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100)에서는, 하나의 장비를 통해 단심 광섬유(a1, a2)와 다심 광섬유(b1, b2)를 모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110 제 1 접속부
120 제 2 접속부
130 광학부
140 전극부
150 제어부

Claims (7)

  1. 단심 광섬유 접속과 다심 광섬유 접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제 1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1 광섬유홀더,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1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1 접속부;
    제 2 광섬유를 고정하는 제 2 광섬유홀더, 상기 제 2 광섬유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광섬유를 정렬하기 위한 홈들을 갖는 제 2 V-그루브 블록을 포함하는 제 2 접속부; 및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2 광섬유홀더를 촬영하는 광학부;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1 V-그루브 블록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광섬유홀더와 상기 제 2 V-그루브 블록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홀더는 x축, z축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 2 광섬유홀더는y축, z축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는, 단심 광섬유 또는 다심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제 1 광축 상에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의 접촉점이 위치하는 제 1 카메라부 및
    제 2 광축, 제 2 광축과 교차하는 제 3 광축 및 상기 제 2 광축과 상기 제 3 광축의 교차점 위치하는 광로변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광축 상에 상기 접촉점이 위치하는 제 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는 단심 광섬유를 촬영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다심 광섬유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섬유 및 상기 제 2 광섬유에 각각 접촉되어 구성되고 접속점에 아크 방전이 발생되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20220156017A 2022-11-21 2022-11-21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20240074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017A KR20240074205A (ko) 2022-11-21 2022-11-21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017A KR20240074205A (ko) 2022-11-21 2022-11-21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4205A true KR20240074205A (ko) 2024-05-28

Family

ID=9127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017A KR20240074205A (ko) 2022-11-21 2022-11-21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42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483A (en) Method of fabricating a collective optical coupling device and device obtained by such a method
EP3521881B1 (en) Optical connector
JP3500850B2 (ja) リボン型光ファイバの突き合せ部を観察する方法及び観察装置
CA2751329C (en) Fiber optic jack and connector
GB2301197A (en) In line two pass fibre optic rotary joint
JPWO2019131441A1 (ja) 接続装置、光コネクタ製造装置、接続方法及び光コネクタ製造方法
JP2013054116A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の結合方法
JPS6247604A (ja) マルチコアフアイバの端末部
KR100969225B1 (ko) 하나로 모듈화된 얼라인베이스·메인스테이지를 통한 정밀제어가 향상된 광섬유 융착 접속기
CN112305678B (zh) 光学连接器
KR20240074205A (ko) 하이브리드 광섬유 융착 접속기
US20130287342A1 (en) Lead-in formations in optical fiber segments and methods of forming lead-in formations
WO2023067772A1 (ja) 光接続モジュール
US11624876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having a connector with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12981B2 (en) Compact, active alignment fusion splicer with automatic view-angle compensation
JP2014052496A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同士の光接続器
KR102064838B1 (ko) 광섬유 융착접속기
JPS6343111A (ja) 光フアイバ分岐装置
JPS59136708A (ja) 光フアイバ自動接続装置
JP3273489B2 (ja) 光ファイバのコア軸合せ方法
JPS62297809A (ja) バンチフアイバ接続用光導波型接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WO2023166542A1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接続装置およびマルチコアファイバ接続方法
JPH0526167B2 (ko)
CN213934302U (zh) 一种光纤适配器
WO2023170862A1 (ja) コア位置特定方法、光ファイバ接続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