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471A -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471A
KR20240020471A KR1020220098538A KR20220098538A KR20240020471A KR 20240020471 A KR20240020471 A KR 20240020471A KR 1020220098538 A KR1020220098538 A KR 1020220098538A KR 20220098538 A KR20220098538 A KR 20220098538A KR 20240020471 A KR20240020471 A KR 20240020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rotating drum
seasoning
pickled cabbage
pick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곤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채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채가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채가미
Priority to KR102022009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471A/ko
Publication of KR2024002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23P20/13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involving agitation of the foodstuff inside a rotating apparatus, e.g.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 B01F29/401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ross-section of the receptacle, e.g. of Y-, Z -, S -, or X shape
    • B01F29/40113Conical, double-conicalor diabolo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 B01F29/402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disposition or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receptacles
    • B01F29/4022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 B01F29/40221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provided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드럼에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넣고 절임배추의 충격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절임배추와 양념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는 절임배추가 투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111)와 배출구(121)가 마련되고, 양념소가 공급되어 절임배추와 혼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된 회전드럼(100)을 가진다. 회전드럼(100)에는 투입구(111)에서 배출구(121)를 향해 나선형으로 나선체(150)가 감겨진다. 또한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회전드럼(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되는 버무림 가이드체(160)를 구비한다.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들어올려진 절임배추가 자중에 따라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절임배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회전드럼(10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나선체(150)와의 사이에서 절임배추의 폭보다 크고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의 배추 배향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Cabbage kimchi seasoning mixing device}
본 발명은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회전 드럼에 공급하고 회전에 따라 그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버무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가 가속화되고 외식 문화와 급식의 확대 등으로 김치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김치의 수요가 계속 증가되고 있다. 김치의 수요 증대로 종래 수작업 중심의 김치 제조 공정, 특히 양념소 넣기 공정은 점차 기계화 또는 자동화 공정으로 대체되면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추김치를 담글 때 주재료로서 2절 또는 4절된 절임배추에 부재료가 혼합되는데, 이러한 부재료로서 파, 마늘, 생강 등의 양념과 젓갈, 고춧가루 등의 여러가지 재료가 이용된다. 이러한 부재료는 김치소, 김칫소, 김칫속, 또는 양념소라 지칭되고 있는데, 이하 상기 부재료를 양념소라 칭한다.
이러한 배추김치의 양념소 넣기 공정의 기계화 또는 자동화 공정 관련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3069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회전돌기가 마련된 회전통에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넣고 회전통 회전과 그 회전각 조절로 절임배추와 양념소의 고른 혼합을 기대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경우, 회전돌기가 절임배추를 강제적으로 뒤섞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절임배추 손상으로 물러지거나 변색되어 배추김치 품질 저하가 문제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회전통의 회전과 그 회전각 조정을 병행하여 양념소의 고른 혼합을 예정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어가 어려워 절임배추와 양념소의 고른 혼합을 실현하기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회전통 입구에 뚜껑을 달아 회전각 조정에 의해 하나의 입구에서 절임배추를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구성이므로, 배추김치 배출시 입구가 기울어지므로 절임배추와 함께 양념소가 입구로 이동하면서 양념소가 과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양념소 낭비 뿐만 아니라 별도 작업으로 과적된 양념소를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해서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다른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0985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회전드럼에 넣고 회전시켜 그 내면에 마련된 돌출 보스와 나선형 격벽에 의해 절임배추가 이송되면서 양념소가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경우, 나선형 격벽에 의해 절임배추가 점진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나 양념소가 절임배추 내부로 깊이 버무려질 수 없고, 회전드럼 내면의 돌출 보스가 오히려 절임배추를 손상시켜 물러지거나 변색됨으로써 배추김치 품질 저하가 문제된다. 또한 회전드럼의 경우, 배출구 측이 원추형이나 전체적으로 원통형이어서 절임배추에 양념소가 과적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배출구 측으로 절임배추를 강제적으로 밀어내므로 배추김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상기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다른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9727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회전드럼에 넣고 회전시키되 그 내면이나 나선형 격벽에 돌출된 후쿠부재, 및 회전드럼 내면에 고정된 나선형 격벽을 배치하여 절임배추가 이송되면서 양념소가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역시, 나선형 격벽에 의해 절임배추가 점진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나 양념소가 절임배추 내부로 깊숙이 버무려질 수 없고, 회전드럼 내면과 나선형 격벽에 돌출된 후크 부재가 오히려 절임배추를 손상시켜 물러지거나 변색됨으로써 배추김치 품질 저하가 문제된다. 또한 회전드럼의 경우, 배출구 측이 원추형이나 전체적으로 원통형이어서 절임배추에 양념소가 과적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배출구 측으로 절임배추를 강제적으로 밀어내므로 배추김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상기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그 다른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92222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회전드럼에 넣고 회전시키되 그 내면이나 나선형 격벽에 돌출된 핀부재, 원봉 분산구, 및 회전드럼 내면에 고정된 나선형 격벽을 배치하여 절임배추가 이송되면서 양념소가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역시, 나선형 격벽에 의해 절임배추가 점진적으로 이송될 수 있으나 양념소가 절임배추 내부로 깊숙이 버무려질 수 없고, 회전드럼 내면과 나선형 격벽에 돌출된 핀부재가 오히려 절임배추를 손상시켜 물러지거나 변색됨으로써 배추김치 품질 저하가 문제되며, 더욱이 원봉 분산구에 의해 절임배추를 강제적으로 뒤섞는 과정에서 절임배추들이 충돌 및 충격으로 절임배추를 손상시켜 고품질의 배추김치를 양산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회전드럼의 경우, 배출구 측이 원추형이나 전체적으로 원통형이어서 절임배추에 양념소가 과적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배출구 측으로 절임배추를 강제적으로 밀어내므로 배추김치 손상을 피할 수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3069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0985호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9727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2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드럼에 절임배추와 양념소를 넣고 절임배추의 충격이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절임배추와 양념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는, 절임배추가 투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양념소가 공급되어 절임배추와 혼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회전드럼의 내부 공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나선체;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들어올려진 절임배추가 자중에 따라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절임배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나선체와의 사이에서 절임배추의 폭보다 크고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의 배추 배향로를 형성하는 버무림 가이드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나선체는, 그 외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타원 또는 곡면인 중실 또는 중공의 바가 나선형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회전드럼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유동될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추 배향로는,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와 나선체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형성되거나,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버무림 가이드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추 배향로가 점차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배추 배향로의 입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입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배추 배향로의 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에 이격하여 회전드럼의 내면에 고정되는 유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유입 가이드부와 유출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 가이드부에서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배향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위치한 투입부;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배출부; 그리고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점차 내부공간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는 축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축경부에 걸쳐 부분적으로 양념소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축경부를 향해 점차 내부공간이 확대되는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 위치한 나선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양념소가 직접 유동하지 않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에 돌출 벽체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축경부에 위치한 나선체는, 그 외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타원 또는 곡면인 중실 또는 중공의 바가 회전드럼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유동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배추 배향로를 형성하는 버무림 가이드체와 나선체에 의해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회전드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양념소로 적셔진 2절 또는 4절된 절임배추가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양념소가 절임배추 잎 사이로 자연스럽게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버무림 가이드체와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윤활제 역할을 하여 양념소와 함께 자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세가 변경되면서 절임배추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내주면을 타고 미끄러져 회전드럼 하측에 고여있는 양념소로 내려 앉도록 함으로써 절임배추의 충격이나 손상을 줄임과 동시에 절임배추 속으로 양념소가 고루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고품질의 배추김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찹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적용된 회전드럼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회전드럼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축경부에 위치한 나선체와 버무림 가이드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나선부 사이에 위치한 버무림 가이드체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에서 절임배추가 배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절임배추의 밑동과 윗동이 버무림 자이드체의 유입 가이드부에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b)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배향 가이드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c)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출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에서 절임배추가 배향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절임배추의 밑동과 윗동이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입 가이드부에 회전드럼의 폭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b)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배향 가이드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c)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출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먼저,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원추를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자르고 그 위의 새로 생기 원추를 제거한 형상을 원추대형, 원뿔대형, 절두 원추대형(frusto-conical)이라 지칭되고 있는데, 이를 지칭하는 용어로 "원추대형"이라 칭한다. 또한,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점진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3차원 공간의 곡선과 같이 매끄러운 곡선형으로 감겨지거나 배치 또는 배열된 형태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나선형", 그 부재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나선체"라 하고, 또한 회전드럼의 1회전에 대해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지칭하는 용어로 "피치"라 한다. 그리고,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에서 절임배추가 투입, 이송 및 배출되는 방향을 x방향, 회전드럼의 폭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x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드럼이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찹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는, 절임배추와 양념소가 공급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임배추가 투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111)와 배출구(121)가 마련되고, 양념소가 공급되어 절임배추와 혼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된 회전드럼(100), 상기 회전드럼(1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210) 구동하여 구동롤러(220)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00), 상기 회전드럼(100)의 투입구(111)와 배출구(121)에 인접하여 배치된 작업테이블(300),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10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드럼(100)의 경우, 그 길이방향에서 투입부(110), 배출부(120), 및 축경부(130)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상기 투입부(110)는 투입구(111)가 위치하여 투입구(111)를 통해 절임배추가 투입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며, 상기 배출부(120)는 배출구(121)가 위치하여 배출구(121)를 통해 버무려진 배추김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며, 그리고 축경부(130)는 투입부(110)와 배출부(120) 사이의 그 중간부에 위치하여 절임배추가 이송되면서 양념소와 혼합되어 버무려질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투입부(110)와 축경부(130), 및 축경부(130)와 배출부(120) 경계에는 회전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레일(103)이 위치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400)에는 가이드레일(10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4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롤러(410) 위에 회전드럼(100)의 가이드레일(103)이 안착되며, 또한 가이드레일(103)과 구동롤러(220)가 접촉하여 마찰 전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의 모터(210) 구동에 따라 구동롤러(220)와 가이드레일(103)의 마찰 전동에 따라 회전드럼(100)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 전달 장치의 경우,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동력전달장치, 예컨데, 기어, 체인 또는 벨트 동력 전달 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300)은 작업자가 회전드럼(100)에 절임배추를 투입하거나, 회전드럼(100)으로부터 배출된 배추김치를 포장하기 위한 작업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자동 이송 장치로, 예컨데 벨트 컨베이어 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에 적용된 회전드럼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회전드럼의 종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예로서 회전드럼(100)의 경우, 배출부(120)는 원통형이고, 축경부(130)는 배출부(120)를 향해 내부 공간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이며, 또한 투입부(110)는 축경부(130)에 걸쳐 부분적으로 양념소(S)가 고일 수 있도록 축경부(130)를 향해 내부공간이 확대되는 원추대형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배출부(120)는 도시된 예와 달리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절임배추와 양념소(S)가 혼합된 후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가이드 구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부(110) 역시 도시된 예와 달리 원통형으로 할 수 있으나, 상기 축경부(130)를 향해 양념소(S)가 점진적으로 많아지도록 하고 보다 신속히 절임배추가 투입될 수 있도록 축경부의 원추대형보다 큰 원추각의 원추대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전드럼(100)의 내부에 양념소(S)가 모아져 고이는 지점에 가이드레일(103)이 위치하고 있고 구동롤러(220)와 지지롤러(410)로 회전 지지되므로 회전드럼(100)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100)을 기울여 배치하거나 배치 각도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어 보다 단순하고 안정적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축경부에 위치한 나선체와 버무림 가이드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예로서 회전드럼(100)은, 그 내부 공간에 투입구(111)에서 배출구(121)를 향해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큰 간격의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나선체(150)를 구비한다. 상기 나선체(150)는 절임배추와의 접촉 및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타원 또는 곡면인 중실 또는 중공의 바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드럼(100)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양념소(S)가 회전드럼(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유동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100)의 내면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나선체(150)의 경우,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나선형 격벽이나, 통공 형성의 나선형 격벽이 회전드럼(100)의 내면에 직접 부착된 것일 수 있으나, 점질성의 양념소(S)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소구경의 원형바 형상의 나선체(1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나선체(150)를 따라 일정 간격, 도시된 예의 경우, 90°간격으로 배치된 지지대(151)를 매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임배추의 경우, 상기 회전드럼(100)의 내면과 나선체(150)의 사이를 통과하여 회전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통과할 수 없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절임배추의 두께보다 작은 길이의 지지대(151)를 이용하여 나선체(150)를 고정함으로써 회전드럼(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나선체(150)의 이격 간격이 절임배추의 두께보다 좁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예의 경우, 하나의 바 형상 나선체(150)가 연속적으로 감겨진 형태가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나선체(1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속적인 형태의 나선체가 나선상으로 배치된 것도 가능하며, 그러나 절임배추의 버무림 과정에서 절임배추의 마찰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기 위해 연속적으로 감겨진 하나의 일체로 된 나선체(150)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드럼(100)의 투입부(110)에 배치된 나선체(150a)의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하여 양념소(S)를 공급할 경우, 축경부(130) 내부로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양념소(S)를 이송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양념소(S)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드럼(100)의 내면에 돌출 벽체 형상을 가지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나선형 격벽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100)의 배출부(120)에 배치된 나선체(150b)의 경우에도, 축경부(130)를 통과한 배추김치가 배출구(121)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투입부(110)에 배치된 나선형 격벽과 같은 유사한 형태의 나선체(150b)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시된 예의 경우, 구성의 단순화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념소 공급을 위한 호퍼나 공급관, 또는 이송 펌프와 같은 양념소 공급장치가 생략되었으나,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양념소 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예로서 회전드럼(100)은, 버무림 가이드체(160)를 구비한다.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회전드럼(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절임배추가 걸려 들어올려질 수 있는 형태라면 절곡된 바나 완만하게 라운드진 판재가 회전드럼(100)의 내면에 돌출 형상으로 고정된 것일 수 있으며, 절임배추의 유동시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회전드럼(100)의 직경방향 돌출 높이의 경우 나선체(150)의 돌출 높이 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회전드럼(100)의 길이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지대(151)나 이에 인접하는 나선체(150)에 회전드럼(100)의 내면과 예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용접 고정하여 회전드럼(10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눕혀진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나선체(150)를 따라 일정 간격, 도시된 예의 경우, 90°간격으로 배치되며, 특히 양념소가 뭉쳐지지 않고 절임배추가 걸리지 않고 원할히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151)가 고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가 90°이상으로 들어올려질 경우, 절임배추가 무작위로 낙하하면서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나선체(150)를 따라 배치되는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배치 간격은 90°또는 그 이내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가 들어올려진 후 자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드럼(100)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나선부 사이에 위치한 버무림 가이드체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감겨진 나선체(150)에 있어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나선체 부분을 투입측 나선부(153)와 배출측 나선부(154)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투입측 나선부(153)는 버무림 가이드체(160)를 기준으로 투입구 방향에 위치한 나선체 부분이며, 상기 배출측 나선부(154)는 배출구 방향의 나선체 부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들어올려진 절임배추가 자중에 따라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절임배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회전드럼(100)의 회전방향(R)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나선체(150)와의 사이에서 절임배추의 폭보다 크고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는 배추 배향로(P)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배추 배향로(P)의 입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 도시된 예의 경우 투입측 나선부(153)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입 가이드부(160a), 그리고 상기 배추 배향로(P)의 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 도시된 예의 경우 투입측 나선부(153) 및 배출측 나선부(154)에 각각 이격하여 회전드럼의 내면에 고정되는 유출 가이드부(160c)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입 가이드부(160a)와 유출 가이드(160c) 사이에 배향 가이드부(160b)가 위치하며, 상기 배향 가이드부(160b)는 유입 가이드부(160a)로부터 완만하게 절곡된 형상이며, 그 절곡 방향은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방향을 향한다. 여기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완만하게 2단 절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배추 배향로(P)는 버무림 가이드체(160)와 배출측 나선부(154)와의 사이에서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경우, 유입 가이드부(160a)가 투입측 나선부(153)에 접하여 배치된 일예로서, 이 경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는 판재로 이루어진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도시된 예의 그 대칭 구조로서, 유입 가이드부(160a)가 배출측 나선부(154)에 접하여 고정되는 그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 경우 배향 가이드부(160b)는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의 경우, 절임배추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투입측 나선부(153)에 의해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선체(150 : 도 3 참조)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바형상이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또한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구조이므로, 절임배추의 원할한 이송을 위해 유입 가이드부(160a)가 배출측 나선부(154) 보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측 나선부(153)에 접하여 배치되는 구조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로 도시된 일예는, 1개의 버무림 가이드체(160)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배추 배향로(P)가 형성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투입측 나선부(153)과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2개의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배치에 따라 배추 배향로(P)가 형성되는 그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판재 형상의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이송될 수 있으나, 보다 컴팩트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버무림 가이드체(160)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의 이격된 간격 조정에 의해 배추 배향로(P)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 가이드부(160a)와 배출측 나선부(154)사이의 간격(P1)은 실질적으로 투입측 나선부(153)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의 간격(P1)과 같으며, 이는 회전드럼(100)의 1회전에 대해 나선체(150)에 의해 절임배추가 회전드럼(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 즉 1 피치(P1)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유출 가이드부(160c)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의 간격(P2)은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작으며, 절임배추가 그 길이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절임배추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출 가이드부(160c)는 투입측 나선부(153)에서 배출측 나선부(154)를 향해 1/4 피치(P1) 이상으로 전방 돌출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예시로서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나선체(150)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므로, 회전드럼(100)의 1/4 회전에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가 나선체(150)를 따라 배치, 또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므로 결국 1/4 피치(P1)만큼 절임배추가 이동할 수 있으며, 하나의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의 1/4 피치(P1) 이동이 보장되므로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절임배추들은 서로 뒤섞이지 않고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회전드럼(100)의 1회전에 대해 4회 승하강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1 피치(P1)만큼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를 이용한 배추김치의 양념소 혼합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배추김치의 양념소 혼합과정은, 회전드럼 회전단계, 양념소 공급단계, 절임배추 공급단계, 양념소 속넣기단계, 양념소 속량 최적화단계, 및 배추김치 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00)이 지지프레임(400)에 수평하게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구동부(200)를 구동하여 회전드럼(100)을 시계방향(R)으로 회전시키고 작업자가 양념소를 투입구(111)로 공급하면, 회전드럼(100) 내의 나선체(150a)에 의해 양념소는 점진적으로 투입구간(H)을 지나 혼합드럼(100)의 내부 공간(S)에 들어간다. 투입부(110)와 축경부(130)는 원추대형으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투입부(110)와 축경부(130) 경계 지점이 최저점이고 이를 중심으로 양념소(S)가 고이게 되며 투입부(110)와 축경부(130)에 걸쳐 양념소 속넣기 구간(I)에 위치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드럼(100) 내의 양념소 속넣기 구간(I)에 양념소(S)가 고여있는 상태에서, 작업테이블(300)로부터 절임배추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투입구(111)에 넣으면,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투입부(110)에 배치된 벽체 형상의 나선체(150a)에 의해 절임배추가 양념소(S)와 혼합되는 양이 많아지면서 점진적으로 투입구간(H)을 지나 축경부(130)의 내부로 진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나선체(150)를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가 배치되므로, 축경부(130)로 진입된 절임배추는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배추 배향로(P ; 도 4 참조)에서 배향되어 내려오는 것을 반복하면서 절임배추와 양념소(S)가 혼합된다. 상기 축경부(130)에 마련된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나선체(150)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므로, 회전드럼(100)의 1/4 회전에 대해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가 상승, 배향 및 하강하면서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1/4 피치만큼 회전드럼(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드럼(100)의 1회전의 경우,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의 상승, 배향, 하강, 및 이동이 4회 반복되고, 도시된 예의 경우, 양념소 속넣기 구간(I)에 나선체(150)가 5회 감겨져 있으므로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위 과정이 20회 반복되면서 절임배추의 양념소 속넣기 작업이 이루어지진다. 이러한 20회의 반복 과정을 통해 절임배추는 다양한 자세로 놓여지면서 양념소(S)와 혼합되며, 또한 양념소(S)가 가장 많이 고여있는 축경부(130) 초입부분에서 양념소(S)가 점차 적어지는 배출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양념소(S)의 혼합 양이 적어지도록 조정되면서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으로 이송된다.
상기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 역시 나선체(150)를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가 배치되므로, 상기 양념소 속넣기 구간(I)에서와 같이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의 상승, 배향, 하강, 및 이동이 4회 반복되고, 도시된 예의 경우,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에 나선체(150)가 4회 감겨져 있으므로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위 과정이 16회 반복된다. 그런데, 상기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의 경우, 그 하부에 양념소가 고여 있지 않다는 점에서 앞서 살펴본 바의 양념 속넣기 구간(I)과 다르다. 상기 양념 속넣기 구간(I)의 경우, 절임배추가 다양한 자세로 양념소(S)와 혼합되면서 부분적으로 과적될 수 있으나,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에서 절임배추가 상승, 배향, 하강, 및 이동 과정을 통해 양념소가 절임배추 속으로 깊숙히 침투되도록 하고 다지면서 과적된 양념소가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 역시 원추대형이므로 절임배추에서 빠져 나온 양념소는 축경부(130)의 내면과 나선체(150) 사이를 통과하여 양념소 속넣기 구간(I)으로 이동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양념소 속량 최적화 구간(J)을 통과하면서 절임배추에 양념소가 최적화되도록 버무려진 배추김치는 원통형의 배출부(120)에 위치하며, 벽체 형상의 나선체(150b)에 의해 배추김치가 점진적으로 배출구간(K)을 통과하여 배출구(121)로 안내되어 대기 및 배출되며, 작업자는 작업테이블(300)에서 배추김치를 검수 및 포장하여 출하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에서 절임배추가 배향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투입측 나선부(153)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의 간격은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넓고, 회전드럼(100) 하측에 절임배추가 다양한 자세로 놓여져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나선체(150)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유출 가이드부(160c)가 배출측 나선부(154)를 향해 전방 돌출하고 있고, 또한 유출 가이드부(160c)와 배출측 나선부(154)와의 간격은 배추 배향로(P)에서 절임배추가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절임배추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는 회전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버무림 가이드체(160)가 나선체(150)을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므로, 회전드럼(100)의 1/4 회전에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는 1/4 피치(P1)만큼 이동이 보장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절임배추들은 서로 뒤섞이지 않고 개별적으로 구분되어 회전드럼(100)의 승하강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양념소 속넣기 구간(I)의 경우, 절임배추가 양념소(S)에 묻혀 있으므로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절임배추와 함께 양념소(S)를 함께 들어올린다. 통상 2절 또는 4절된 절임배추를 사용하므로,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절임배추를 들어올릴 때 양념소가 절임배추 속으로 보다 깊숙히 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에서 절임배추가 배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절임배추의 밑동과 윗동이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입 가이드부에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b)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배향 가이드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c)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출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도 5의 (b)와 (c)에서 투입측 나선부의 배향 전 위치가 파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절임배추(C)의 밑동과 윗동이 투입측 나선부(153)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에서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놓여 있다. 이는 절임배추가 배추 배향로(P)의 입구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유입 가이드부(160a : 도 4 참조)에 위치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00: 도 2 참조)의 회전에 따라 나선체(150)와 버무림 가이드체(160) 역시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하는데, 배출측 나선부(154)와의 사이에서 절임배추(C)가 자중에 따라 배향 가이드부(150b : 도 4 참조)로 기울면서 자세가 변경되고, 배출측 나선부(154)와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윤할제와 같이 작용하여 절임배추가 자중에 의해 배향 가이드부(160b)를 따라 미끄러진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00 : 도 2 참조)의 회전에 따라 나선체(150)와 버무림 가이드체(160) 역시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하는데, 절임배추(C)가 유출 가이드부(150c : 도 4 참조)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배추 배향로(P)의 출구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절임배추(C)가 자중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배향되면서 유출 가이드부(150c : 도 4 참조)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를 통과하여 회전드럼(100 : 도 2 참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배추 배향로에서 절임배추가 배향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절임배추의 밑동과 윗동이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입 가이드부에 회전드럼의 폭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b)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배향 가이드부에 의해 자세가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고, (c)는 절임배추가 버무림 가이드체의 유출 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측면도이다. 도 6의 (b)와 (c)에서 투입측 나선부의 배향 전 위치는 파선으로 도시되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절임배추(C)의 밑동과 윗동이 회전드럼의 폭방향으로 놓여 있다. 이는 절임배추가 배추 배향로(P)의 입구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버무림 가이드체(160)의 유입 가이드부(160a : 도 4 참조)에 위치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00: 도 2 참조)의 회전에 따라 나선체(150)와 버무림 가이드체(160) 역시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하는데, 절임배추(C)가 자중에 따라 배향 가이드부(150b : 도 4 참조)로 기울면서 자세가 변경되고, 배출측 나선부(154)와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윤할제와 같이 작용하여 절임배추가 자연스럽게 배향 가이드부(160b)를 따라 미끄러진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회전드럼(100 : 도 2 참조)의 회전에 따라 나선체(150)와 버무림 가이드체(160) 역시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하는데, 절임배추(C)가 유출 가이드부(150c : 도 4 참조)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에 위치한다. 이는 배추 배향로(P)의 출구에 위치하는 경우로서 절임배추(C)가 자중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배향되면서 유출 가이드부(150c : 도 4 참조)와 배출측 나선부(154) 사이를 통과하여 회전드럼(100 : 도 2 참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간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버무림 가이드체(160)는, 90°간격으로 나선체(150)를 따라 배치되므로 절임배추는 양념소의 윤활제와 같은 도움으로 부드럽게 회전드럼(100)의 내주면을 타고 내려올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버무림 가이드체(16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절임배추(C)는, 그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내려올 때 밑동 부분이나 윗동 부분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분이 먼저 내려올 수 있는데, 밑동 부분이 먼저 내려올 경우에는 회전드럼(100)의 하측에 고인 양념소(S)에 보다 깊숙히 잠겨질 수 있고, 윗동 부분이 먼저 내려올 경우에는 절임배추(C)가 회전드럼(100)의 내면을 타고 내려올 때 잎사귀가 자연스럽게 벌어져 하측의 양념소(S)가 잎사귀 사이로 다량 배일 수 있다. 그런데 절임배추(C)가 내려올 때, 밑동 부분과 윗동 부분 중에서 어느 부분이 먼저 내려올 것인가는 1/2 확률이고, 회전드럼 1회전에 대해 4회 승하강이 반복되므로 결국 밑동 부분 2회, 윗동 부분 2회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경우, 배향로(P)를 형성하는 버무림 가이드체(160)와 나선체(150)에 의해 회전드럼(100)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C)가 회전드럼(100)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양념소(S)로 적셔진 2절 또는 4절된 절임배추(C)가 회전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양념소(S)가 효과적으로 절임배추(C) 잎 사이로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버무림 가이드체(160)와의 사이에서 양념소(S)가 윤활제 역할을 하여 양념소(S)와 함께 자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세가 변경되면서 절임배추(C)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절임배추(C)가 회전드럼의 내면을 타고 미끄러져 회전드럼(100) 하측에 고여있는 양념소(S)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내려앉도록 함으로써 절임배추(C)의 충격이나 손상을 줄임과 동시에 절임배추(C) 속으로 양념소(S)가 고루 배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고품질의 배추김치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가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100 : 회전드럼 103 : 가이드 레일
110 : 투입부 111 : 투입구
120 : 배출부 121 : 배출구
130 : 축경부 150, 150a, 150b : 나선체
153 : 투입측 나선부 154 : 배출측 나선부
151 : 지지대 160 : 버무림 가이드체
160a : 유입 가이드부 160b : 배향 가이드부
160c : 유출 가이드부 200 : 구동부
210 : 모터 220 : 구동롤러
300 : 작업 테이블 400 : 지지프레임
410 : 지지롤러 P : 배추 배향로
H: 투입구간 I: 양념소 속넣기 구간
J: 양념소 속량 최적화구간 K: 배추김치 배출구간

Claims (9)

  1. 절임배추가 투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마련되고, 양념소가 공급되어 절임배추와 혼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회전드럼의 내부 공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나선체;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절임배추가 걸려 회전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따라 들어올려진 절임배추가 자중에 따라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절임배추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어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나선체와의 사이에서 절임배추의 폭보다 크고 절임배추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의 배추 배향로를 형성하는 버무림 가이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는,
    그 외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타원 또는 곡면인 중실 또는 중공의 바가 나선형으로 배치된 것이며;
    상기 회전드럼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유동될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추 배향로는,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와 나선체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버무림 가이드체의 이격된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추 배향로가 점차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배추 배향로의 입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에 접하여 고정되는 유입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배추 배향로의 출구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나선체에 이격하여 회전드럼의 내면에 고정되는 유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무림 가이드체는,
    상기 유입 가이드부와 유출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 가이드부에서 절임배추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배향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투입구가 위치한 투입부;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배출부; 그리고
    상기 투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점차 내부공간이 축소되는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는 축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축경부에 걸쳐 부분적으로 양념소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축경부를 향해 점차 내부공간이 확대되는 원추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위치한 나선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양념소가 직접 유동하지 않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에 돌출 벽체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축경부에 위치한 나선체는, 그 외주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나 타원 또는 곡면인 중실 또는 중공의 바가 회전드럼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양념소가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직접 유동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KR1020220098538A 2022-08-08 2022-08-08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KR20240020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538A KR20240020471A (ko) 2022-08-08 2022-08-08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538A KR20240020471A (ko) 2022-08-08 2022-08-08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471A true KR20240020471A (ko) 2024-02-15

Family

ID=8989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538A KR20240020471A (ko) 2022-08-08 2022-08-08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047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69B1 (ko) 2014-07-28 2016-05-23 한국식품연구원 배추김치 양념소넣기 장치
KR101910985B1 (ko) 2018-01-22 2018-10-24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89727Y1 (ko) 2018-10-17 2019-07-31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92222Y1 (ko)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69B1 (ko) 2014-07-28 2016-05-23 한국식품연구원 배추김치 양념소넣기 장치
KR101910985B1 (ko) 2018-01-22 2018-10-24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89727Y1 (ko) 2018-10-17 2019-07-31 타프기계공업(주)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92222Y1 (ko)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22Y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DE60125680T2 (de) Vorrichtung zur Panierung von Nahrungsmitteln
WO2012049526A2 (de) Automat für palatschinkenbacken, vorzugsweise für fettreiche, dünne palatschinken
KR20240020471A (ko)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DE202008009174U1 (de) Versorgungseinheit
DE243222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uellen von behaeltern
DE2434140A1 (de)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nahrungsmitteln mit einem aus feinen teilchen bestehenden beschichtungsmaterial und vorrichtung zur ausuebung des verfahrens
AU2006206245A1 (en) Continuous meat marin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665295B1 (ko) 볼 선별장치
DE2714761B2 (de) Hochtemperatur-Ofen zum Backen von Pizzen u.dgl
CN108901979A (zh) 滚筒式鳗鱼选苗器及其工作方法
CN213469805U (zh) 一种锚具自动切割装置
JP2016097366A (ja) 微小鮮魚選別装置
KR102438045B1 (ko) 김치제조장치
KR101919992B1 (ko) 오징어 자동 자숙 배합기
JP6302662B2 (ja) 攪拌装置
JP4396806B2 (ja) フィリング充填装置及びフィリング充填方法
DE2541583C3 (de) Vorrichtung zum Einebnen und Ausräumen von Schüttgut in bzw. aus Gutbehandlungsräumen, insbesondere für Mälzereien
JP4019383B2 (ja) 可塑生食品素材の充填装置
JPH01191633A (ja) 乾燥用カップ内の麺整列装置
DE1532232C3 (de)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eines Zigarettenstroms geringerer Tiefe in einen Zigarettenstrom größerer Tiefe
DE3018137C2 (de) Automatischer Grillspieß-Röstapparat
CN113598633B (zh) 悬臂支撑的斜倒置转塔上快卸物料挂笼的食品油炸设备
RU2580362C1 (ru) Станок для выделения семян
DE553102C (de) Kaffee-Zubereitungsmas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