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985B1 - 김치 양념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김치 양념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985B1
KR101910985B1 KR1020180007538A KR20180007538A KR101910985B1 KR 101910985 B1 KR101910985 B1 KR 101910985B1 KR 1020180007538 A KR1020180007538 A KR 1020180007538A KR 20180007538 A KR20180007538 A KR 20180007538A KR 101910985 B1 KR101910985 B1 KR 10191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seasoning
vegetables
hopp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환
Original Assignee
타프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프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타프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8000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 B01F29/402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disposition or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receptacles
    • B01F29/4022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 B01F29/40221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provided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01F9/02
    • B01F2009/0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215/001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양념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념재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는 양념공급부; 상기 이송펌프의 송출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덮개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이 형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혼합부의 덮개를 통해 야채를 공급하는 컨베어벨트가 형성된 야채공급부; 상기 혼합부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야채와 양념이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양념과 야채를 동시에 투입한 후 버무려서 양념이 배추나 무에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치 양념 혼합장치{Kimchi seasoning mixing device}
본 발명은 김치 양념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추, 무 등의 야채와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절임식품(salting food)은, 소금을 첨가하여 저장성을 높인 식품으로써, 김치, 단무지, 짠지, 오이지 등이 있으며, 특히 김치가 대표적이다.
종래 대표적인 절임식품인 김치를 제조하기 위해, 수십겹으로 내부가 감싸져 있는 통배추를 공급받은 다음, 상기 통배추 하나하나를 절임과 세척 작업이 용이하도록 2분절 또는 4분절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배추는 염도가 조절된 염수에 일정 시간 담가 절임을 한 다음 적당히 간이 배인 배추는 염수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배추를 세척한다.
세척이 완료된 배추는 세척통에서 걷어올려 갖가지 양념과 채소로 버무려진 속을 넣은 다음 포기김치를 포장하거나 숙성을 위해 보관한다.
그러나 절임 배추를 이송한 다음 양념 및 채소를 버무리고 배추속에 버무려진 속을 넣고, 포기김치를 검수하는 포기김치 양념 속 넣기 등의 일련의 과정은 자동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작업자가 각각의 공정에 배치되어 수작업으로 이송하거나 속 넣기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종래 김치 제조는 공정마다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될 수 밖에 없고, 제조 물량도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한국 특허출원 10-1998-000890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양념과 야채를 동시에 투입한 후 버무려서 양념이 배추나 무에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김치 양념 혼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념재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는 양념공급부; 상기 이송펌프의 송출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덮개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이 형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혼합부의 덮개를 통해 야채를 공급하는 컨베어벨트가 형성된 야채공급부; 상기 혼합부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야채와 양념이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념과 야채를 동시에 투입한 후 버무려서 양념이 배추나 무에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하여 인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양념 혼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양념 혼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양념 혼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양념 혼합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김치 양념 혼합장치는, 크게 양념공급부(100), 혼합부(200), 구동부(300), 야채공급부(400),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념공급부(100)는 양념재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호퍼(120)와, 상기 호퍼(120)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펌프(140)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120)는 하부에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서 원추형상으로 형성된다.
호퍼(120)의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거나 또는 뚜껑 없이 상부에 장착대가 형성된다.
뚜껑 또는 장착대에 모터(111)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모터(111)의 축에 연결되어 샤프트(112)가 호퍼(120)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샤프트(112)의 하단 외주면에 다수 형성되는 스크류날(114)이 형성되어 혼합부재(110)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111)가 구동되면 혼합부재(110)가 회전되면서 양념을 혼합시켜줄 수 있고, 아울러 양념입자를 골고루 혼합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혼합부재(110)를 이용한 교반작업에 의해 양념이 층분리되지 않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으며, 경화되지 않아 좋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부(200)는 개구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부가 형성되며, 축소부의 끝단에 배출구(280)가 형성된 회전드럼(220)으로 구성된다.
회전드럼(220)의 외주면에는 구동부(300)의 롤러(370)가 접촉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레일(2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드럼(220)의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격벽(240)에는 다수의 통공(242)이 형성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액상의 양념이 다수의 통공(242)을 통과하게 되고, 입자가 작은 재료도 같이 통과되면서 혼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작은 재료는 일정시간 통공(242)에 끼인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교반기능을 하게 되어 양념과 야채의 혼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22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된 보스(250)가 형성되어 혼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보스(250)는 배출구(280)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부(200)의 회전드럼(220)의 개구부에 마감판이 부착되고, 마감판의 중앙에 소정 직경을 갖도록 개구공이 형성되며, 이 개구공에 덮개(260)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개구공에는 베어링이 구비된 회전링부재(290)가 결합되고, 이 회전링부재(290)의 내측에 덮개(260)가 결합되며, 덮개(260)는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드럼(220)이 회전하더라도 회전링부재(290)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회전링부재(290)는 회전되지 않고 아울러 덮개(260)도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드럼(22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240)이 형성되며 배출구(28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60)의 일측에는 이송펌프(140)의 송출관(142)의 단부가 통하도록 결합되어 양념이 투입되도록 하고, 덮개(260)의 타측에는 상기 야채공급부(400)의 컨베어벨트(420)의 단부가 연결되어 야채가 투입되는 제2투입공(2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2투입공(264)은 컨베어벨트(420)의 폭에 적합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혼합부(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혼합부(200)가 안착되며 외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다수의 롤러(370)가 형성된 기대(224); 상기 기대(224)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370)가 다수 결합된 회전축(350); 상기 회전축(350)의 단부에 형성된 종동스프로켓(340)과, 기대(224)에 부착된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에 형성된 주동스프로켓(320)과, 상기 주동스프로켓(320)과 종동스프로켓(340)을 연결하는 체인(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300)의 모터(310)의 온-오프(on-off) 및 회전속도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야채공급부(400)는 혼합부(200)의 덮개(260)를 통해 야채를 공급하는 컨베어벨트(4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500)는 혼합부(200)의 회전드럼(220)의 배출구(280)에 형성되어 야채와 양념이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야채공급부(400) 및 이송부(500) 각각은, 일정 거리를 주행하는 컨베어벨트(420)와, 이 컨베어벨트(420)를 연속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40)이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대(460)와, 상기 받침대(460)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440)은 모터 및 모터에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축이며, 다수의 구동축에 컨베어벨트가 권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20)에 고춧가루와 액젓 등으로 이루어진 액상의 양념을 투입하고, 혼합부재(110)를 온 작동시켜 양념을 혼합하여 이송시켜시켜준다.
이후 이송펌프(140)가 구동되면 양념을 흡입하여 혼합부(200)의 회전드럼(220)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덮개(260)의 일측에 배치된 야채공급부(400)에서 절인 배추나 무우 등을 공급하여 회전드럼(220)으로 투입된다.
양념과 야채가 투입된 회전드럼(220)을 구동부(300)의 온(on) 작동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회전드럼(220)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혼합물은 나선형 격벽(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혼합되면서 배출구(280)로 이송된다.
배출구(280)를 통해 배출되는 야채와 양념이 버무려져 완성된 김치는 이송부(500)를 통해 배출된 후 용기에 담겨져 포장된다.
상기와 같은 김치 양념 혼합장치는 맛김치,깍두기 또는 총각무 등에 양념을 골고루 혼합 버무릴 수 있고, 절임배추 또는 포기김치 등에 양념을 골고루 속넣기 하기에 편리한 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양념공급부 120 ; 호퍼
140 : 이송펌프 200 ; 혼합부
220 ; 회전드럼 240 : 나선형 격벽
222 : 가이드레일 242 : 통공
250 : 보스 280 : 배출구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주동스프로켓 340 : 종동스프로켓
350 : 회전축 370 : 롤러
400 : 야채공급부 500 : 이송부

Claims (8)

  1. 양념재료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양념을 가압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로 구성되는 양념공급부;
    상기 이송펌프의 송출관이 통하도록 연결되는 덮개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이 형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혼합부;
    상기 혼합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혼합부의 덮개를 통해 야채를 공급하는 컨베어벨트가 형성된 야채공급부;
    상기 혼합부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야채와 양념이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개구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부가 형성되며, 축소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의 내주면에 나선형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격벽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액상의 양념이 통과 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드럼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보스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하부에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모터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 외주면에 다수 형성되는 스크류날로 이루어진 혼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스는 배출구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송펌프의 송출관이 일측에 결합되어 양념이 투입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야채공급부의 컨베어벨트의 단부가 연결되어 야채가 투입되는 제2투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혼합부가 안착되며 외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다수의 롤러가 형성된 기대;
    상기 기대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다수 결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된 종동스프로켓과, 기대에 부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형성된 주동스프로켓과, 상기 주동스프로켓과 종동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1020180007538A 2018-01-22 2018-01-22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10191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38A KR101910985B1 (ko) 2018-01-22 2018-01-22 김치 양념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38A KR101910985B1 (ko) 2018-01-22 2018-01-22 김치 양념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985B1 true KR101910985B1 (ko) 2018-10-24

Family

ID=6413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38A KR101910985B1 (ko) 2018-01-22 2018-01-22 김치 양념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98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22Y1 (ko) *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CN112156675A (zh) * 2020-08-13 2021-01-01 广东天机工业智能***有限公司 搅拌单元以及自动配胶水***
KR20210112585A (ko) * 2020-03-05 2021-09-15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KR102490663B1 (ko) * 2022-08-08 2023-01-27 김건일 육가공장치
KR20230112407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우리집식품 김치 배합 장치
KR102598158B1 (ko) 2023-03-21 2023-11-06 이경옥 용기 포장 김치의 자동 운반 공급장치
KR102603905B1 (ko) * 2022-05-31 2023-11-20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KR102619448B1 (ko) 2023-03-21 2023-12-29 이경옥 용기 포장 김치의 공급과정에서 막힘 방지장치
KR20240020471A (ko) 2022-08-08 2024-0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채가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96B1 (ko)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444761B1 (ko) * 2013-11-19 2014-09-30 한국식품연구원 양념 속 넣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96B1 (ko) 2012-03-12 2012-07-09 이경옥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444761B1 (ko) * 2013-11-19 2014-09-30 한국식품연구원 양념 속 넣기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22Y1 (ko) * 2019-11-05 2020-08-31 홍병환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210112585A (ko) * 2020-03-05 2021-09-15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KR102438045B1 (ko) * 2020-03-05 2022-08-29 임홍균 김치제조장치
CN112156675A (zh) * 2020-08-13 2021-01-01 广东天机工业智能***有限公司 搅拌单元以及自动配胶水***
KR20230112407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우리집식품 김치 배합 장치
KR102603905B1 (ko) * 2022-05-31 2023-11-20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자동 배합장치
KR102490663B1 (ko) * 2022-08-08 2023-01-27 김건일 육가공장치
KR20240020471A (ko) 2022-08-08 2024-0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채가미 배추김치 양념소 혼합장치
KR102598158B1 (ko) 2023-03-21 2023-11-06 이경옥 용기 포장 김치의 자동 운반 공급장치
KR102619448B1 (ko) 2023-03-21 2023-12-29 이경옥 용기 포장 김치의 공급과정에서 막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985B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200489727Y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101163096B1 (ko)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492222Y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101444761B1 (ko) 양념 속 넣기 장치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KR101235875B1 (ko)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CN107980884A (zh) 一种海鲜制干清洗装置
KR20090040503A (ko) 반제품 속재료를 포함한 식품재료 외피를 자동으로둘둘마는 식품기계
KR101623069B1 (ko) 배추김치 양념소넣기 장치
CN207042325U (zh) 一种辣酱生产用进料均匀型搅拌装置
CN102715631A (zh) 食品上浆机
US3955529A (en) Automatic breading machine
CN209749775U (zh) 一种可自动分离的坚果类食品炒制机
US10966450B2 (en) Coating of food products with a particulate coating material
KR101732071B1 (ko) 젓갈 제조장치
CN207415698U (zh) 一种改性发泡水泥的自动化生产装置
CN109875074B (zh) 一种可自动分离的坚果类食品炒制机
JP3065942B2 (ja) 食品材料の搬送構造
CN103120293A (zh) 一种自动化酱腌菜生产***
KR101919992B1 (ko) 오징어 자동 자숙 배합기
KR101847116B1 (ko)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CN109222136B (zh) 一种手摇式荸荠削皮机
KR20120036607A (ko) 정량 분할 기능을 갖는 파래의 투입장치
CN210017697U (zh) 一种螺杆式茶叶拼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