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0020A -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0020A
KR20240020020A KR1020220097953A KR20220097953A KR20240020020A KR 20240020020 A KR20240020020 A KR 20240020020A KR 1020220097953 A KR1020220097953 A KR 1020220097953A KR 20220097953 A KR20220097953 A KR 20220097953A KR 20240020020 A KR20240020020 A KR 2024002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ransistors
voltage
discharg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두희
이상훈
강정일
우원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0020A/ko
Priority to PCT/KR2023/006296 priority patent/WO2024029689A1/ko
Priority to US18/200,890 priority patent/US20240048055A1/en
Publication of KR2024002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0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 전압 및 대기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출력단에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버터,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대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커버터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전압을 방전하도록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방전 회로부를 갖는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된다.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의 발광형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화면 전체에 걸쳐 적절한 세기 이상의 광을 출력해야 하는데, 그러한 과정에 있어서 상당한 전력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구동 중 상당한 발열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 사용되는 더미 저항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회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전원 공급 장치는 이러한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동 전압 및 대기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출력단에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버터,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대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커버터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전압을 방전하도록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및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더미 저항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더미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은 하나의 노드를 통해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더미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더미 저항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는 제1 전압을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전압을 상기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상기 제2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및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출력단이 연결된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센싱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기는, 제1 입력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기는,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센싱 저항과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의 노드로부터 검출되는 센싱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더미 저항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중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센싱 저항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 저항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 저항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일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제1 노드를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는 제1 분배 저항이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제2 분배 저항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전압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변환된 전원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변환된 전원 및 상기 대기 전압을 기초로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출력단, 상기 제2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1 출력단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는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컨버터, 상기 대기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버터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컨버터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2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1 출력단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는 본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는 출력단에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대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커버터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전압을 방전하도록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더미 저항에 액티브한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더미 저항에 의한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가 일 군으로 결합된 해당 트랜지스터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더미 저항과 연결된 트랜지스터가 열화됨에 따른 후속적인 발열까지 예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 및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이 참조되며,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예들이 도면들 내에서 예시로서 도시된다. 또한, 다양한 예들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본체(200) 및 전원 공급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본체(20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로 호칭될 수 있다. 본체(200) 외부에 마련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본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케이블을 통해 본체(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무선으로 전원을 본체(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가 본체(200)로 전원을 전달하는 수단은 전술한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0)에 내장되는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로 호칭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본체(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정류부(210), 구동부(220), 제2 컨트롤러(들)(240))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2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전자 칠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정류부(110), 역률 개선부(120), 및 컨버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부(110)는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110)는 교류 전압을 정류 및 평활화하여 소정의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류를 위해 반파 회로 또는 전파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활을 위해 커패시터가 정류부(110)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률 개선부(120)는 정류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역률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률 개선부(120)는 역률이 조정된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률 개선부(120)는 정류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위상과 모양을 보정하여 무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률 개선부(120)는 출력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통해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여 구동 전압(Vdrv)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컨버터부(130)(예를 들어, 구동 컨버터부(131), 멀티 컨버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컨버터부(130)(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부(13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여 구동 전압(Vdrv) 및 대기 전압(Vstb)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출력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부(130)는 구동 전압(Vdrv)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단(151), 대기 전압(Vstb)을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단(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제1 출력단(151) 또는 제2 출력단(152)에서 구동 전압(Vdrv) 또는 대기 전압(Vstb)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의 제1 출력단(151)의 양 단에는 제1 커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의 제2 출력단(152)의 양 단에는 제2 커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전압(Vdrv)은 제1 출력단(151)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전압(Vstb)은 제2 출력단(152)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방전 회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회로부(160)는 컨버터부(130)의 출력단(15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구동 전압(Vdrv)과 연관된 제1 커패시터의 양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전 회로부(160)는 제1 커패시터의 양 단과 연결되어,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구동 전압(Vdrv)을 방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에서 출력된 구동 전압(Vdrv) 및 대기 전압(Vstb)은 본체(200)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20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부터 제공되거나 수신된 구동 전압(Vdrv) 및 대기 전압(Vstb)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본체(20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구동 전압(Vdrv)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턴-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대기 전압(Vstb)을 이용하여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제1 컨트롤러(140)로 호칭할 수 있고, 본체(200)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러로 호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가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컨트롤러(140)는 제2 컨트롤러(도 2의 24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140)는 컨버터부(130) 및 방전 회로부(16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140)는 컨버터부(130) 및 방전 회로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버터부(130) 및 방전 회로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신호는 소정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14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40)는 전술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싱 회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200)는 컨버터부(210), 구동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제2 컨트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200)는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센서부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210)는 수신된 구동 전압(Vdrv)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들(예를 들어, 제1 변환 전압(Vdrv1), 제2 변환 전압(Vdrv2))을 본체(200)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구동부(220) 및/또는 제2 컨트롤러(2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20)는 컨버터부(210)로부터 수신된 변환된 제1 변환 전압(Vdrv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20)는 제2 컨트롤러(24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구성하는 각 픽셀에 전압이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각 픽셀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ED) AMOLED(active-matrix O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컨트롤러(24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트롤러(2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컨트롤러(240)는 전술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싱 회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컨트롤러(240)는 전원 공급 장치(도 1의 100)으로부터 제공된 제2 변환 전압(Vdrv2) 및/또는 대기 전압(Vstb)을 이용하여 본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20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는 본체(2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본체(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또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들 및 인스트럭션들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도 1에서 전술한 전원 공급 장치(100)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구동 컨버터부(131), 대기 전압을 출력하는 멀티 컨버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버터부(131)의 출력단(151)에는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 컨버터부(132)의 출력단(152)에는 제2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구동 컨버터부(131)의 제1 출력단(151)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컨버터부(130)는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출력단(151), 제2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단(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제1 출력단(151)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방전 회로부(160)에 하나의 더미 저항이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둘 이상의 더미 저항이 직렬 또는 병렬로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 및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Rdm), 및 더미 저항(Rdm)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은, 예를 들어, 소스-드레인 전극들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은 하나의 노드를 통해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더미 저항(R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트랜지스터는, 더미 저항(Rdm)과 소스-드레인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방전 트랜지스터들은 상기의 더미 저항(R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더미 저항(Rdm)의 일 단은 제1 커패시터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저항(Rdm)의 일 단은 제1 커패시터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더미 저항(Rdm)의 타 단은 전술한 방전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커패시터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는, 더미 저항(Rdm)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는 더미 저항(R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는 전압(Vdis)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러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는 전압(Vdis)을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이 공통으로 형성하는 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하나 이상의 저항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사이에 배열된 저항은 저항 분배기로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러가 전압(Vdis)을 상기의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하면, 제공된 전압은 게이트 전극과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저하엥 의해 전압 분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에 제공될 소정의 전압은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패시터는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공되는 전압(Vdis)을 저장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저항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전압(Vdis)의 공급이 중단되는 시간동안 커패시터에 인가된 전압 값은 RC 값에 기초하여 감소될 수 있다. 커패시터에 인가된 전압 값이 감소됨에 따라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은 다시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한편,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구동 전압(Vdrv)은 더미 저항(Rdm)에 의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이 활성화됨에 따라 더미 저항(Rdm)에는 더미 전류(Idm)가 흐르게 되고,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되어 있던 전압은 열과 같은 다른 에너지원으로 전환되어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Rdm), 더미 저항(Rdm)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게이트 전극은 제1 전압(Vdco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압(Vdcon)은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활성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압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압(Vdcon)은 제1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컨트롤러는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활성화 상태를 제1 전압(Vdcon)을 갖는 전기 신호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게이트 전극은 하나의 노드를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은 제1 노드(N1)를 기준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압(Vdcon)은 제1 노드(N1)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R2)을 거쳐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입력 저항(R1)을 통해 제2 전압(VCC)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R2)을 통해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분배 저항(R3)을 거쳐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저항(R1), 제1 분배 저항(R2) 및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노드(N2)를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은 제3 노드(N3)를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배 저항(R2) 및 제2 분배 저항(R3)은 제3 노드(N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컨트롤러는 제2 전압(VCC)을 제2 노드(N2)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노드(N2)로 제공되는 전압(VCC)은,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입력 저항(R1), 제1 분배 저항(R2) 및 제2 분배 저항(R3)에 의해 전압 분배될 수 있다. 단, 제2 노드(N2)로 제공되는 전압(VCC)은,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3 노드(N3)로 전압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즉, 제3 노드(N3))에 전압이 인가되거나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압(VCC)은 제1 컨트롤러에 의해 방전 회로부(160)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는, 더미 저항(Rdm)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러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을 활성화시키는 제1 전압(Vdcon)을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전압(VCC)을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제2 전압은,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제2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이 활성화될 수 있고,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더미 저항(Rdm)에 더미 전류(Idm)가 흐르며 제1 커패시터(도 5 참조)에 저장된 구동 전압(Vdrv)이 방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전 회로부(160)는 더미 저항(Rdm)에 흐르는 과전류로부터 전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경우로서, 더미 저항(Rdm)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저항 자체의 발열에 의한 저항 발화를 막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저항 손상에 의해 저항 값이 작아진 경우에는 더미 저항(Rdm)에 대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Rdm), 및 더미 저항(Rdm)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 및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과 출력단이 연결된 비교기 (Comparator, 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전 회로부(160)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방전 회로부(160)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일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게이트 전극과 제3 노드(N3)를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노드(N3)는 제2 노드(N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는 제1 분배 저항(R2)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노드(N1)와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제2 분배 저항(R3)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은 도 6에서 전술한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소스-드레인 전극이 제3 노드(N3)와 연결됨에 따라,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활성화 상태가 제3 노드(N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3 노드(N3)에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3 노드(N3)에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센싱 저항(R4)을 거쳐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센싱 저항(R4)은 제4 노드(N4)를 형성하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노드(N4)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비교기(C)의 입력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4 노드(N4)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센싱 전압(Vsen)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타측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 및 제2 분배 저항(R3) 및 센싱 저항(R4)은 하나의 노드를 공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비교기(C)는,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Vref)과 제4 노드(N4)에서 검출된 센싱 전압(Vsen)에 기초하여,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활성화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를 들어,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Vref)의 크기가 센싱 전압(Vsen)의 크기(예를 들어, 2.5V)보다 크게 유지되는 동안, 비교기(C)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Vref)의 크기가 센싱 전압(Vsen)의 크기보다 작게 유지되는 동안, 비교기(C)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가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제3 노드(N3)에는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을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더미 저항(Rdm) 및 제4 노드(N4)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더미 저항(Rdm)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됨에 따라, 더미 저항(Rdm)에 과전류가 흐름에 따른 과열 또는 발화가 미리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교기(C)의 출력단에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전압을 소정의 시간동안 제공하기 위한 회로 소자(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C)의 출력 단에는 하나 이상의 저항,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에는 하나 이상의 저항 및 상기 저항(미도시)과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 및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모두 하나 이상의 저항 및 상기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M2) 및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들 및 커패시터들은 하나의 공통된 노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에서, 센싱 저항(R4)에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미도시)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저항(R4)과 병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의 일 단은 제4 노드(N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에는 과전류에 따른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하에 근거하여 제4 노드(N4)의 센싱 전압(Vsen)이 결정될 수 있으며, 결정된 전압(Vsen)은 비교기(C)의 입력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비교기(C)는 적어도 일부로 연산 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산 증폭기는 제1 입력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Vref)을 입력받고, 제2 입력단을 통해 센싱 저항(R4)과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M1)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의 노드로부터 검출되는 센싱 전압(Vsen)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산 증폭기는 참조 전압의 크기가 센싱 전압(Vsen)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활성화할 수 있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산 증폭기는 참조 전압의 크기가 센싱 전압(Vsen)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제2 제어 트랜지스터(M3)를 활성화할 수 없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구동 전압 및 대기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출력단에서 상기 구동 전압 및 상기 대기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버터,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대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커버터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전압을 방전하도록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및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더미 저항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더미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는 전압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은 하나의 노드를 통해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더미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더미 저항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는 제1 전압을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하고,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2 전압을 상기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되지 않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이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에 제공된 상기 제2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및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출력단이 연결된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트랜지스터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센싱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는, 제1 입력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참조 전압을 입력받고,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센싱 저항과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의 노드로부터 검출되는 센싱 전압을 입력받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더미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중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센싱 저항과 연결되고,
    상기 더미 저항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 저항은 상기 제1 커패시터의 타 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부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일측 소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제1 노드를 형성하며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는 제1 분배 저항이 배열되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타측 소스-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제2 분배 저항이 배열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전압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부, 상기 변환된 전원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변환된 전원 및 상기 대기 전압을 기초로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출력단, 상기 제2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1 출력단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는 상기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컨버터부, 상기 대기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컨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버터부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1 커패시터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컨버터부의 출력단에는 상기 제2 커패시터가 연결되며, 상기 방전 회로부는 상기 제1 출력단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5. 출력단에서 구동 전압 및 대기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버터;
    상기 구동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버터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상기 대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커버터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전압을 방전하도록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방전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더미 저항, 상기 더미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1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 군의 제1 제어 트랜지스터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소스-드레인 전극은 제2 분배 저항을 거쳐 상기 일 군의 방전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220097953A 2022-08-05 2022-08-05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20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53A KR20240020020A (ko) 2022-08-05 2022-08-05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6296 WO2024029689A1 (ko) 2022-08-05 2023-05-09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200,890 US20240048055A1 (en) 2022-08-05 2023-05-23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953A KR20240020020A (ko) 2022-08-05 2022-08-05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020A true KR20240020020A (ko) 2024-02-14

Family

ID=8984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953A KR20240020020A (ko) 2022-08-05 2022-08-05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0020A (ko)
WO (1) WO20240296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261A (ja) * 1999-09-27 2001-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用電源回路
JP5645700B2 (ja) * 2011-02-16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電回路、放電回路を有する電源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125010A1 (ja) * 2012-02-23 2013-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2016039641A (ja) * 2014-08-05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放電装置
KR20220008617A (ko) * 2020-07-14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9689A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834B1 (ko) Dc― dc 컨버터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10523122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14671B2 (en) Power supply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6160469B (zh) Dc-dc转换器及具有dc-dc转换器的有机发光显示设备
JP6838976B2 (ja) Dc−dcコンバータ
KR10062872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1906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10204797A1 (en) LED array control circuit with voltage adjustment function and driver circuit and method for the same
US8711119B2 (en) Display systems with touch screens
JP201103403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電圧設定方法
KR102071004B1 (ko)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60181935A1 (en) Isolated dc/dc converter, power supply, power supply adaptor,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primary side controller
TWI462648B (zh) 背光驅動電路以及背光驅動方法
JP2011107674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2008000806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60181932A1 (en) Isolated dc/dc converter,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adap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feedback amplifier integrated circuit
JP2011022550A (ja) 電流源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14090654A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1329620B1 (ko) 영상표시장치의 전원공급회로
KR20240020020A (ko) 전자 장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315544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48055A1 (en)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76764B2 (en)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2014011832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70021943A (ko) 전원 공급부 및 그의 구동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