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030A -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030A
KR20230147030A KR1020237012952A KR20237012952A KR20230147030A KR 20230147030 A KR20230147030 A KR 20230147030A KR 1020237012952 A KR1020237012952 A KR 1020237012952A KR 20237012952 A KR20237012952 A KR 20237012952A KR 20230147030 A KR20230147030 A KR 2023014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earring
tension
elastic memb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다이 우지이에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며,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고,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고,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본 발명은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얼굴에 장착하는 마스크의 구성으로서, 장착자의 얼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에 각각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 즉 마스크 본체를 그 장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장착자의 각 귀에 걸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마스크에 사용되는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는 끈상인 경우가 많았지만,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시트상의 귀걸이 부재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마스크는, 양 귀걸이부가 접속부에서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는 단일 시트상의 귀걸이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최근, 마스크의 수요는 증대하여, 마스크는 남녀노소의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되게 되었다. 이에 수반하여,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 형태, 취향의 사용감 등에 대응한 다양한 구성의 귀걸이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762803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마스크에서는, 귀걸이 시트로서, 장척 연장 방향보다 당해 장척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기 쉬운 부직포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조 라인에 있어서는, 귀걸이 시트띠를 장척 방향으로 반송하여, 타발 처리하고, 마스크 본체에 접합하고 있다. 그러나, 당해 방법에 있어서 귀걸이 부재의 설계 (크기, 형상 등) 를 변경하려면, 타발형 자체를 변경할 필요가 있고, 비용이나 시간이 들게 되어, 다양한 구성의 귀걸이부를 제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마스크의 제조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를 감안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설계 변경이 용이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며,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고,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고,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설계 변경이 용이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크를 내측 (얼굴측) 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1 쌍의 귀걸이부가 각각 측방으로 벌어진 후의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귀걸이부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마스크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 은, 이완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내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마스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보조재를 포함하지 않는 마스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모식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부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그와 같은 마스크용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 있어서는, 먼저, 본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스크의 기본 구성)
본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는, 장착자의 얼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자의 적어도 코 및 입을 덮을 수 있는 마스크이면 된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는, 이물질이 얼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장착자로부터 발생되는 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위생 마스크 또는 서지컬 마스크라고도 불린다. 본 형태는, 일회용의 마스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세탁 등에 의해서 반복 사용 가능한 마스크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도 1 에, 마스크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마스크 (1) 를 외면측, 즉 장착시에 얼굴에 대향하지 않고 외부에 노출시키는 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또, 도 2 에, 마스크를 내면측 (얼굴측) 에서 바라 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에는, 도 1 의 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정면에 배치되고, 장착자의 주로 코 및 입을 덮을 수 있는 마스크 본체 (10) 와, 마스크 본체 (10) 에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 (10) 는,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세로 방향 (D1) 과, 세로 방향 (D1) 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 (D2) (장착시에 장착자의 얼굴의 좌우 방향으로 대응하는 방향) 을 갖는다. 도 1 의 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10) 는, 가로 방향 (D2) 으로 장변을 갖는 장방형의 평면에서 바라 본 형상을 갖지만, 마스크 본체 (10) 의 평면에서 바라 본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 (10) 는, 세로 방향 (D1) 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주름 (플리츠) 에 의해서 형성되는 플리츠 구조 (15) 를 갖고 있다. 플리츠 구조 (15) 의 주름은, 마스크 본체 (10) 를 구성하는 시트를, 가로 방향 (D2) 을 따른 접음선에서 복수 회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 (10) 의 측부 (가로 방향 (D2) 단부) 가 고정된다. 그 때문에, 마스크 (1) 의 사용시에는, 플리츠 구조 (15) 의 주름을 세로 방향 (D1) 으로 넓힘으로써, 가로 방향 (D2) 중앙이, 마스크 (1) 의 외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얼굴의 입체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플리츠 구조 (15) 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는 공지된 구성이면 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20a) 는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 환상 (혹은 닫은 띠상) 이거나, 또는 고리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장착시에는, 귀걸이부 (20a) 의 고리의 내측, 즉 귀걸이부 (20a) 의 중앙의 개구 (29) 에 장착자의 귀가 들어오도록 하여, 귀걸이부 (20a) 를 귀에 걸 수 있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가로 방향 (D2)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1 장의 시트상의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시트) (20) 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시트상」또는「시트」란, 길이 및 폭이 두께에 비해서 크고, 일 평면 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연장 가능한 형상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형태에 있어서의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끈상 또는 사상 (絲狀) 의 귀걸이부와는 상이하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귀걸이부 시트 (20) 로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 장착시에 귀걸이부 (20a) 를 귀에 걸었을 때에, 귀걸이부 (20a) 가 귓불의 이면에 면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귀 및 귀의 주변 부분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여, 위화감이나 아픔을 저감할 수 있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분리 가능한 결합부 (28) 의 결합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자의 통상적인 힘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분리 가능한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연속인 절입 (컷부) 을 넣어 절취선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결합부 (28) 는, 절취선이 아니고, 시트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 또는 그 밖의 수단에 의해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경계를 취약화하거나, 응력이 가해지기 쉽게 하거나 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 (10) 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 (먼지, 화분, 세균, 바이러스 등) 을 포집하는 기능이 높여진 중간층을, 외측층 및 내측층 사이에 끼운 3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구조이면 된다. 마스크 본체 (10) 를 구성하는 각 층은,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멜트 블론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 중간층에는, 가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는 멜트 블론 부직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 함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수지 섬유이면 바람직하고, 수지 섬유의 수지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외측층 및 내측층의 겉보기 중량은, 10 ∼ 50 g/㎡ 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 50 g/㎡ 이면 된다. 이물질 포집성이 높은 중간층의 겉보기 중량은, 10 ∼ 100 g/㎡ 이면 바람직하고, 15 ∼ 50 g/㎡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의 측부 (가로 방향 (D2) 단부) 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각각,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외단부에서 접합되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그 이외의 부분은, 마스크 본체 (10) 에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 의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각각, 보조재 (30, 30) 를 개재하여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에 결합되어 있다. 보조재 (30, 30) 는, 마스크 (1) 의 세로 방향 (D1) 을 따라서 연장되는 시트상의 부재이면 된다. 그리고, 보조재 (30, 30) 는,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와 각각, 외측 접합부 (50, 50) 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보조재 (30, 30) 는, 귀걸이부 시트 (20) 의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와 각각, 내측 접합부 (60, 60) 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조재 (30) 와 마스크 본체 (10) 의 외측 접합부 (50) 때문에, 및 보조재 (30) 와 귀걸이부 시트 (20) 의 내측 접합부 (60) 를 위해서 각각 최적의 결합 형식을 선택할 수 있어,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 (10) 를 직접 접합시켰을 경우에 비해서 보다 견뢰한 마스크 (1) 가 얻어진다. 보조재 (30) 는 신축성이어도 되지만, 귀걸이부 시트 (20) 의 신축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의 사용을 개시할 때에, 사용자는, 마스크 (1) 의 장착 전에,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끼리의 분리 가능한 결합부 (28) 를 해제하여, 귀걸이부 (20a, 20a) 를 서로 분리시키고, 귀걸이부 (20a, 20a) 의 마스크 본체 (10) 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로 방향 (D2) 측방으로 벌린다. 이와 같은 분리·전개, 및 이것들의 동작에 관련하는 구성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귀걸이부의 분리·전개)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크 (1) 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의 손으로 잡거나 또는 파지하여, 서로 반대 방향에서 잡아 당길 수 있다. 이로써, 먼저, 분리 가능한 결합부 (28) 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파지한 채로,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측방으로) 각각 벌릴 수 있다.
도 4 에, 도 1 의 마스크 (1) 의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측방으로 전개한 후의 도면을 나타낸다. 또, 도 5 에, 도 4 의 II-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벌리면, 귀걸이부 (20a, 20a) 가 뒤집어지고, 그 때까지 마스크 본체 (10) 와 대향하고 있던 면이 노출된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의 거의 전체도 노출된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내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도 1 ∼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1) 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끼리의 분리를 해제하여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릴 때에, 마스크 본체 (10) 의 내면을 만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거나 또는 그 가능성을 없앨 수 있어, 위생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을 위로 하여 마스크 (1) 가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손으로 파지하여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린 후,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파지한 채로 마스크 (1) 를 타인 (장착자) 의 얼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스크 본체 (10) 를 그 타인의 얼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잡는 법을 바꾸지 않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각각 타인의 귀에 걸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 (1) 는, 예를 들어 아이, 환자 등의, 마스크를 스스로 장착하기 곤란한 사람에게 마스크를 장착시키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에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서로 분리하여 가로 방향 (D2) 외방으로 벌릴 때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25, 25)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손잡이부 (25, 25)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마스크 본체 (10)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1) 의 하단 (또는 마스크 본체 (10) 의 하단)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 (25, 25) 가 마스크 본체 (10)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마스크 본체 (10) 자체에, 즉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 및 내면 중 어느 쪽도 만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만지지 않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손잡이부 (25, 25) 를 잡을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 (10) 를 만지지 않거나 또는 거의 만지지 않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분리·전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의 위생에 충분한 배려를 할 수 없는 상황이어도, 양호한 위생 상태의 마스크 (1) 를 스스로에게 또는 타인에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 (25) 가 마스크 본체 (10)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 돌출된 부분의 세로 방향 (D1) 의 최대의 길이는, 5 ∼ 20 ㎜ 이면 바람직하고, 8 ∼ 15 ㎜ 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귀걸이부 (20a) 가 손잡이부 (25, 25) 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귀걸이부 (20a) 를 장착자의 귀에 걸 때 또는 건 후에, 손잡이부 (25, 25) 로 귀걸이부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도 있다. 즉, 손잡이부 (25, 25) 로, 귀걸이부 (20a) 를, 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귀걸이부 (20a) 의 둘레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 혹은 귀걸이부 (20a) 를 후측을 향하여 잡아 당기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여 귀걸이부 (20a) 의 당김 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형태에서는,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가 마스크 본체 (10) 의 내면 (얼굴측의 면) 이 아니고, 외면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도 3 ∼ 도 5 등), 마스크 (1) 의 장착시, 즉 귀걸이부 (20a, 20a) 를 측방으로 벌려 귀에 걸고 있는 상태에서는,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는, 귀걸이부 (20a) 에 의해서 외면측으로부터 얼굴을 향하여 눌린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 (10) 와 얼굴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마스크의 기능, 예를 들어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 장착자가 발한 비말을 비산시키지 않는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체의 양 측부의 내면측 (얼굴측) 에 귀걸이부 (20a) 가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장착 중에, 마스크 본체 (10) 의 양 측부에 있어서 귀걸이부 (20a) 가 장착자의 얼굴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위화감도 저감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 (10) 에는, 마스크 본체 (10) 의 외면 및 내면의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마크 (18) 를, 엠보싱 가공, 인쇄, 시접 등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마크 (18) 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또는 만짐으로써 면의 내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마크 (18)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여도 되고, 숫자, 기호, 도형, 로고 등이어도 된다.
(귀걸이 부재)
본 형태에 있어서의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시트) (20), 혹은 귀걸이부 (20a, 20a) 는, 적어도 가로 방향 (D2) 으로 신축성 혹은 탄성을 갖는다. 도 6 에, 귀걸이부 시트 (20) 의 부분적인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에, 귀걸이부 시트 (20) 에 외력을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 (자연 상태) 를, 도 6(b) 에는, 귀걸이부 시트 (20) 가, 가로 방향 (D2) 의 외방을 향하여 잡아 당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시트 (20) 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시트이면 된다. 도 6 의 예에서는, 귀걸이부 시트 (20) 는, 신축성 부재 (5) 를 구비하고 있고, 신축성 부재 (5) 의 일방의 면인 제 1 면에 제 1 표면재 (2) 가, 제 1 면의 반대측의 면인 제 2 면에 제 2 표면재 (3) 가 배치되어 있다. 양 표면재는 비신축성이면 된다. 신축성 부재 (5) 와 제 1 표면재 (2) 및 제 2 표면재 (3) 는, 이간하여 배치된 접합부 (4, 4, …) 에서 접합되어 있다. 귀걸이부 시트 (20) 는, 신축성 부재 (5) 와, 신축성 부재 (5) 의 일방의 면에만 배치된 비신축성의 표면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표면재가 양면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촉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귀걸이부 시트 (20) 의 제조에 대해서는 후에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신축성 부재 (5) 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배치하며 또한 접합부 (4, 4, …) 에서 접합한 후, 신축성 부재 (5) 의 신장을 해제한다 (신축성 부재 (5) 를 이완시킨다). 그 때문에, 귀걸이부 시트 (20) 에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표면재 (제 1 표면재 (2) 및 제 2 표면재 (3)) 에는 주름이 발생되어 있다 (도 6(a)). 또한, 신축성 부재 (5) 를 신장시키는 방향은, 분해했을 경우에 폭 방향 (D2) 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면 되고, 폭 방향 (D2) 이면 바람직하다.
귀걸이부 (20a) 의 신축성은, 귀걸이부 (20a) 가 신축성 부재 (5) 를 갖는 것에서 주로 기인한다. 또한, 신축성 부재 (5) 의「신축성」이란,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적어도 1 개의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며, 또한 가하고 있던 인장력을 해제함으로써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래의 길이 (자연 길이) 로 돌아오는 성질이다.
도 6 의 예에서는, 신축성 부재 (5) 로서 신축성 필름, 즉, 신축성 부재 (5) 가, 두께가 거의 균일한 연속하는 필름상의 성형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신축성 필름 대신에, 실 고무 등의 사상 신축체 (혹은 사상 탄성체) 를 복수 병설 하여 이루어지는 사상 신축체 집합체를 사용해도 되고, 신축성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신축성 핫 멜트 접착제는, 선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면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신축성 필름은, 사상 신축체 등의 다른 신축성 부재와 비교하여 높은 신축성 또는 신장성을 귀걸이 부재 (20) 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신축성 필름은, 제조시의 취급도 용이하다.
신축성 필름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성 필름의 신축성은, 인장 시험기에 의한 측정으로 최대 신장률이 자연 길이의 3.5 ∼ 4.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축성 필름은, 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표면재 (표면재가 신축성 부재 (5) 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표면재 (2) 및/또는 제 2 표면재 (3)) 는, 섬유 구조체이면 바람직하다. 섬유 구조체로는,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부직포는, 촉감, 통기성이 좋고, 장착감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부직포로는,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케미컬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보풀 발생이 없고, 강도가 높은 스펀본드 부직포, 부드러움이 있는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부직포에 포함되는 섬유는 수지 섬유이면 바람직하고, 수지 섬유의 수지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재가 부직포인 경우,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5 ∼ 50 g/㎡ 이면 되고, 특히 8 ∼ 25 g/㎡ 가 바람직하다. 표면재가 신축성 부재 (5) 의 양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 1 표면재 (2) 및 제 2 표면재 (3)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은, (a)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는 신장 공정과, (b) 발생시킨 텐션을 유지하면서,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는 배치 공정과, (c) 신축성 부재와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는 접합 공정과, (d) 접합체를, 신장시킨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텐션을 저감하여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는 이완 공정과, (e) 이완시킨 상태 (소정의 이완 상태) 의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타발 공정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는, (A)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는 신장 수단과, (B) 발생시킨 텐션을 유지하면서,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는 적층 수단과, (C) 신축성 부재와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는 접합 수단과, (D) 접합체를, 신장시킨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키고, 텐션을 저감하여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는 이완 수단과, (E) 이완시킨 상태 (소정의 이완 상태) 의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타발 수단을 포함한다.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에,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와, 마스크 부재 조합 장치 (200) 를 포함하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 (300) 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는, 마스크의 제조 장치 (300) 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에 의해서 제조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는, 마스크 부재 조합 장치 (200) 에 있어서 마스크의 다른 부재와 조합되어, 최종 제품인 마스크가 얻어진다.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는, 후에 신축성 부재 (5) 가 되는 신축성 부재띠 (5A) 를 공급하는 신축성 부재띠 공급 수단 (123), 후에 제 1 표면재 (2) 가 되는 제 1 표면재띠 (2A) 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표면재띠 공급 수단 (121), 및 후에 제 2 표면재 (3) 가 되는 제 2 표면재띠 (3A) 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표면재띠 공급 수단 (122)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각 공급 수단으로부터 장척의 소재, 즉, 신축성 부재띠 (5A),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가, 적층 수단 (130) 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적층 수단 (130) 에 있어서, 신축성 부재띠 (5A) 의 일방의 면 (제 1 면) 에 제 1 표면재띠 (2A) 가, 타방의 면 (제 2 면) 에 제 2 표면재띠 (3A) 가 중첩되어, 적층체 (다층 구조체) (6A) 가 형성된다. 적층체 (6A) 는 반송 방향 Dt 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신축성 부재띠 (5A) 는, 신장 수단 (120) 에 있어서 반송 방향 Dt 로 신장되고, 그 신장된 상태에서, 요컨대 반송 방향 Dt 로 외력 (인장력) 이 가해진 상태에서 반송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신축성 부재띠 (5A) 에는, 외력에 대항하는 응력 (인장 응력) 이 발생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인장력 및 상기 인장 응력을 모두 텐션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신축성 부재띠 (5A) 는, 제 1 텐션 t1 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 (신장된 상태) 를 유지하면서,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모두 표면재띠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가 적층된다. 또한, 반송 방향 Dt 는, 얻어지는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시트) (20) 의 가로 방향 (D2) 으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신축성 부재띠 (5A) 의 제 1 텐션 t1, 혹은 신축성 부재띠 (5A) 의 신장 정도는, 신축성 부재띠 공급 수단 (123) 의 조출 속도, 및 반송 수단 (도시 생략) 에 의해서 제어된다. 신축성 부재띠 (5A) 는, 예를 들어, 자연 길이의 1.5 ∼ 4.0 배, 바람직하게는 2.0 ∼ 3.0 배 정도가 되도록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는, 자연 길이를 갖는 상태 (잡아 당겨져 있지 않은 상태) 에서 반송할 수 있다. 신축성 부재띠 (5A) 의 제 1 텐션 t1 혹은 신장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귀걸이 부재 (20) 의 신축 특성 (예를 들어, 최대 신장 길이 등) 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부재 (5) 혹은 신축성 부재띠 (5A) 의 재료, 및 표면재 혹은 표면재띠의 재료를 변경하지 않아도, 신축 특성이 상이한 귀걸이 부재 (20) 를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귀걸이 부재 (20) 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 (6A) 는 접합 수단 (140) 으로 보내지고, 신축성 부재띠 (5A) 와 제 1 표면재띠 (2A) 가 접합되며, 또한 신축성 부재띠 (5A) 와 제 2 표면재띠 (3A) 가 접합된다. 당해 접합은, 불연속인 접합부 (4, 4, …) 를, 적층체 (6A) 전체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행한다. 접합 수단 (140) 에서의 접합은,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등이면 바람직하다. 불연속인 복수의 접합부 (4, 4, …) 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트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합 수단 (140) 에 있어서 적층체 (6A) 의 층간이 접합됨으로써, 접합체 (8A) 를 얻을 수 있다 (도 6(b), 도 7 의 부분 III 의 확대도).
접합체 (8A) 에는, 신축성 부재띠 (5A) 에, 반송 방향 Dt 로 제 1 텐션 t1 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 (반송 방향 Dt 로 신장된 상태) 에서, 신축성 부재띠 (5A) 와 제 1 표면재띠 (2A) 사이, 및 신축성 부재띠 (5A) 와 제 2 표면재띠 (3A) 사이에 접합부 (4, 4, …) 가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 개의 접합부 (4)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기준 직경은 0.2 ∼ 1.0 ㎜ 이면 된다. 또, 접합부 (4, 4, …)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은, 시트 면적의 1.8 ∼ 19.1 % 이면 된다.
접합체 (8A) 는, 후속의 이완 수단 (160) 으로 보내진다.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 신축성 부재띠 (5A) 에 반송 방향 Dt 로 발생되어 있던 텐션이 저감되고, 초기의 제 1 텐션 t1 보다 작은 제 2 텐션 t2 를 갖는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텐션 t2 는, 제 1 텐션 t1 미만이면 되지만, 제로여도 된다 (0 ≤ t2 < t1). 즉, 접합체 (8A) 가 이완 수단 (160) 을 통과한 후에는, 텐션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상태 (자연 상태) 로 되어도 된다.
신축성 부재띠 (5A) 에 발생되어 있던 텐션이 저감되면, 신축성 부재띠 (5A) 의 길이는 반송 방향 Dt 로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는 비신축성이고, 또 간헐적으로 배치된 접합부 (4, 4, …) 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의 접합부 (4, 4, …) 이외의 부분은, 신축성 부재띠 (5A) 에 추종하지 않고 느슨하게 신축성 부재띠 (5A) 의 표면으로부터 솟아 오른다. 그 때문에,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에는, 반송 방향 Dt 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반송 방향 Dt 로 나란한 작은 주름이 다수 형성된 귀걸이부 시트띠 (20A) 가 형성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귀걸이부 시트띠 (20A) 에 배치된 제 1 표면재띠 (2A) 및 제 2 표면재띠 (3A) 에는 각각, 연속된 요철이 반송 방향 Dt 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 6(a), 도 7 의 부분 IV 의 확대도).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의 텐션의 저감 정도 (접합체 (8A) 의 이완 정도), 혹은 이완 수단 (160) 에 의해서 얻어지는 제 2 텐션 t2 를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완 수단 (160) 에 포함되는 상류 롤 (161) 및/또는 하류 롤 (162) 을 롤띠로서 구성하고, 그 롤띠에 포함되는 롤간의 가압을 변경해도 되며, 상류 롤 (161) 및/또는 하류 롤 (162) 과 접합체 (8A) 의 마찰 저항을 변경해도 된다. 혹은, 이완 수단 (160) 에 들어가기 전의 상류의 위치에서, 접합체 (8A) 에 가해지는 텐션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 주로 반송의 역할을 담당하는 상류 롤 (161) 및 하류 롤 (162) 이외에, 텐션 조정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 조정 부재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션 조정 롤 (165) 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텐션 조정 롤 (165) 은,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접합체 (8A) 의 반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부재이다. 텐션 조정 롤 (165) 은, 반송 방향 Dt 에 대해서 임의의 (접합체 (8A) 의 면 방향에 대해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도 된다. 또, 텐션 조정 롤 (165) 의 이동 후의 위치는, 볼트 등에 의해서 위치 고정시킬 수 있어도 된다. 텐션 조정 롤 (165) 은,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의 다른 부재에 대해서, 상하로 (접합체 (8A) 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또한/또는 좌우로 (접합체 (8A) 의 면 방향에 대해서 평행으로 또한 반송 방향 Dt 에 대해서 수직으로) 가동 (可動) 하면 되지만, 적어도 상하로 가동하면 바람직하다. 텐션 조정 롤 (165) 을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합체 (8A) 를 밀어 내리거나 또는 밀어 올릴 수 있어,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의 접합체 (8A) 의 반송 거리를 길거나 또는 짧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 에, 텐션 조정 롤 (165) 을 포함하는 이완 수단 (160) 의 모식적인 확대도를 나타낸다. 텐션 조정 롤 (165) 은, 상류 롤 (161) 과 하류 롤 (16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상류 롤 (161) 과 하류 롤 (162) 사이에서, 접합체 (8A) 는 평면상 (측방에서 보았을 때 거의 직선상) 으로 반송되고 있다. 이에 비해서, 도 8(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텐션 조정 롤 (165) 이 도면 중의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류 롤 (161) 과 하류 롤 (162) 사이에 있어서, 접합체 (8A) 의 반송 궤적이 하방으로 일탈하여, 접합체 (8A) 의 반송 거리가 길어지고 있다.
종래, 이완 수단에 있어서의 반송 거리가 짧으면, 표면재로부터의 저항 등에 의해서, 이완 수단 내에서 신축성 부재의 이완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해서, 예를 들어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롤 (161) 과 하류 롤 (162) 사이에 있어서 접합체 (8A) 의 반송 거리를 길게 하면, 연장된 거리만큼, 접합체 (8A) 의 이완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이완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 이완 수단에 있어서의 이완 공정은, 특히 고속으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양호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형태와 같이 텐션 조정 부재에 의해서 반송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이완의 진행 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를 고속 운전시키고 있어도, 이완 수단 (160) 후의 텐션 t2 를 원하는 텐션 (t2 = 0 의 경우도 포함한다) 으로 할 수 있다. 텐션 조정 롤 (165) 에 의해서 증대시킬 수 있는 반송 거리의 길이는, 원하는 이완 상태에 따라서, 이완 수단 (160) 전체의 구성 (상류 롤 (161) 및/또는 하류 롤 (162) 의 구성), 이완 수단 (160) 보다 상류에 있어서 적층체 (6A) 및 접합체 (8A) 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의 구성, 운전 속도 (접합체 (8A) 의 반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완 수단 (160) 에 형성된 텐션 조정 롤은, 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접합체 (8A) 의 반송 궤적을 변경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체 (8A) 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어, 반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완 수단 (160) 의 설치 면적을 크게 하지 않아도 (예를 들어 상류 롤 (161) 과 하류 롤 (162) 의 간격을 넓히지 않아도), 컴팩트한 구성으로, 접합체 (8A) 의 반송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접합체 (8A) 의 이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완 수단 (160) 으로부터의 반출시의 접합체 (8A) 에 가해지고 있는 텐션 (혹은 접합체 (8A) 에 발생되어 있는 텐션), 즉 상기 서술한 제 2 텐션 t2 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텐션 조정 롤은,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텐션 조정 부재는, 벨트 반송 수단으로서 구성되고, 당해 벨트 반송 수단의 벨트면이 접합체 (8A) 에 접촉한 상태에서 조작되어도 된다. 그 경우, 벨트 반송 수단의 벨트의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접합체 (8A) 의 이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트 반송 수단은, 제 2 텐션 t2 를 제로로 하고자 하는 경우, 즉, 접합체 (8A) 에 포함되는 신축성 부재 (5) 를 자연 길이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하다. 라인의 반송 속도가 과도하게 빠를 경우,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 신축성 부재 (5) 를 충분히 이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 벨트 반송 수단의 벨트의 속도, 벨트면의 거칠기 등을 조정함으로써,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의 접합체 (8A) 의 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신축성 부재 (5) 를 충분히 이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형태와 같이, 이완 수단 (160) 이 텐션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접합체 (8A) 의 이완 상태를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얻어진 귀걸이부 시트띠 (20A) (접합체 (8A)) 는, 타발 수단 (180) 에 의해서 소정 형상으로, 즉 개개의 귀걸이부 시트 (20) 의 형상으로 타발된다. 이로써, 복수의 귀걸이부 시트 (20, 20, …) 를 얻을 수 있다. 이 때에, 귀걸이부 시트띠 (20A) 는, 이완 수단 (160) 으로 이완된 소정의 이완 상태 그대로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귀걸이부 시트띠 (20A) 가, 이완 수단 (160) 으로 이완된 소정의 이완 상태를 유지한 채로, 타발 수단 (180) 으로 반송되고, 소정 형상으로 타발된다. 즉, 제 1 텐션 t1 로부터 저감된 제 2 텐션 t2 를 유지한 채로 타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완 수단 (160) 을 통과한 후에 얻어진 제 2 텐션 t2 가 비교적 높을 경우, 즉 귀걸이부 시트띠 (20A) 의 텐션을 그다지 저감하지 않은 경우에, 그 이완 상태를 유지한 채로 타발을 행했다고 하면, 타발 공정 후에 귀걸이부 시트 (20) 로부터 텐션이 제거되면, 귀걸이부 시트 (20) 는 반송 방향 Dt (마스크에 있어서 가로 방향 (D2) 이 되는 방향) 로 줄어들게 되어, 그 형상 및 치수가 변화된다. 따라서, 적어도 가로 방향 (D2) 의 치수가 보다 작은 귀걸이 부재 (20) 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제 2 텐션 t2 를 제로로, 즉 귀걸이부 시트띠 (20A) 에 가하는 텐션을 없앤 상태 (자연 상태) 로까지 이완시켰을 경우, 그 이완 상태를 유지한 채로 타발을 행했다고 하면, 얻어지는 귀걸이부 시트 (20) 의 형상은, 타발 공정 직후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이완 수단 (160) 에 있어서 얻어지는 이완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타발형이어도, 상이한 형상, 치수를 갖고, 나아가서는 상이한 사용감을 갖는 귀걸이 부재 (20) 를 제조할 수 있다. 즉, 귀걸이 부재 (20) 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타발 수단 (180) 에 의해서 얻어진 귀걸이부 시트 (20, 20, …) 는, 마스크 부재 조합 장치 (200) 로 보내진다. 마스크 부재 조합 장치 (200) 에 있어서는,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 (10) 가 조합된다. 여기에서는, 보조재 (30, 30) 를 포함하는 마스크 (1) (도 1 ∼ 도 5) 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에 의해서 얻어진 귀걸이부 시트 (20) 의 일방의 면에 보조재띠 (30A) 가 배치된다. 이 후에, 귀걸이부 시트 (20) 와 보조재띠 (30A) 가 히트 시일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내측 접합부 (60, 60) (도 1 등)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띠 공급 수단 (221) 으로부터, 후에 마스크 본체 (10) 가 되는 마스크 본체띠 (10A) 가, 보조재띠 (30A) 가 배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공급된다. 그리고, 보조재띠 (30A) 와 마스크 본체띠 (10A) 가 히트 시일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외측 접합부 (50, 50) (도 1 등) 를 형성할 수 있다.
귀걸이부 시트 (20), 보조재띠 (30A), 및 마스크 본체띠 (10A) 가 조합된 후에는, 예를 들어 절단 수단 (190) 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에 의해서, 개개의 마스크 (1) 를 얻을 수 있다. 절단은,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띠 (10A) 의 접합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본 형태에서는, 귀걸이부 시트 (20) 를 마스크 본체띠 (10A) 에 조합할 때에, 귀걸이부 시트 (20) 를, 당해 귀걸이부 시트 (20) 에 가로 방향 (D2) 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띠 (10A) 에 접합할 수 있다. 귀걸이부 시트 (20) 에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로 하려면, 상기 서술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의 타발 수단 (180) 에 의해서 타발되어 얻어진 귀걸이부 시트 (20) 를 각각,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에서 (반송 방향 Dt 의 상류 및 하류에서) 고정시키고,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로부터, 가로 방향 (D2) 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잡아 당기면서 반송하고, 귀걸이부 시트 (20) 를 마스크 본체띠 (10A) 에 중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도 7).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00) 의 이완 수단 (160) 에 의해서 텐션이 저감되어 얻어진 제 2 텐션 t2 를 유지하면서, 귀걸이부 시트띠 (20A) 를 반송하고, 마스크 본체띠 (10A) 에 배치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혹은, 제 2 텐션 t2 와 상이한, 즉 제 2 텐션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제 3 텐션 t3 이 발생되어 있는 귀걸이부 시트 (20) 를, 제 3 텐션 t3 을 유지한 채로, 마스크 본체띠 (10A) 에 접합해도 된다.
도 9 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귀걸이부 시트 (20) 에 가로 방향 (D2) 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귀걸이부 시트 (20) 가 마스크 본체띠 (10A) 에 접합되어 얻어진 마스크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a) 에는, 마스크 (1') 의 사용 개시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개시 전의 마스크 (1') 의 귀걸이부 시트 (20) 에는, 가로 방향 (D2) 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마스크 (1') 를 사용 개시시에, 분리 가능한 결합부 (28) 를 분리하여,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마스크를 평면 상에 재치 (載置) 한 상태에서 분리하면,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가로 방향 (D2) 의 치수는 작아지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가로 방향 (D2) 중앙측의 단부끼리가 이간한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 (10) 에 대해서 비교적 작은 치수의 귀걸이부 (20a, 20a) 가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 개시 전의 마스크의 귀걸이 부재 (20) 에 있어서 가로 방향 (D2) 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지는, 예를 들어, 마스크를 평면 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사용 개시 전의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가로 방향 (D2) 의 합계 길이 (귀걸이부 시트 (20) 의 가로 방향 (D2) 의 길이) 와, 결합부 (28) 에서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끼리를 분리한 후의, 귀걸이부 (20a, 20a) 의 가로 방향 (D2) 의 합계 길이를 비교하여, 후자가 작아져 있음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마스크 (1') 는, 마스크 본체 (10) 의 치수는 크게 해 두고자 하지만, 귀걸이부 (20a, 20a) 의 치수를 보다 작게 하여 귀에 피트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치수에 대해서 귀걸이부 (20a, 20a) 의 가로 방향 (D2) 의 치수를 작게 한 마스크를 제조하려고 했을 경우,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지 않으면, 통상적으로는, 귀걸이부 시트 (20) 의 마스크 본체 (10) 에 대한 접합 위치가 가로 방향 (D2) 의 중심에 가깝게 되어 버려, 장착시에 마스크 본체 (10) 전체를 활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혹은, 귀걸이부 시트 (20) 의 구성은 단념하고, 1 쌍의 귀걸이부 (20a, 20a) 를 분리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 (10) 의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에 각각 접합할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는, 제조 프로세스가 번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에 비해서, 본 형태에 의한 마스크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귀걸이부 시트 (20) 의 치수를 변경해도,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 (10) 의 접합 위치를 변경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변경하지 않고, 원하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형태는, 도 1 의 마스크 (1) 와는 달리, 보조재 (30, 30) 를 포함하지 않는 마스크 (1'') 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띠 (10A) 를 직접 중첩하여, 귀걸이부 시트 (20) 의 가로 방향 (D2) 의 양 단부에서, 귀걸이부 시트 (20) 와 마스크 본체 (10) 를 접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기재한다.
(부기 1)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며,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고,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고,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귀걸이 부재의 재료가, 신축성 부재와, 당해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되는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조에 있어서는,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고, 당해 텐션을 유지하면서 신축성 부재에 표면재를 중첩하여 양자를 접합한다. 따라서, 신축성 부재에 발생시키는 텐션을 조정 (신축성 부재의 신장 정도를 조정) 함으로써, 귀걸이 부재의 재료를 변경하지 않아도 동일한 재료로, 신축 특성 (최대 신장 길이) 이 상이한 귀걸이 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에서는, 신축성 부재와 표면재의 접합체를 이완시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고, 당해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한다. 그 때문에, 타발시의 접합체의 이완 상태를 조정 (신축성 부재의 텐션의 저감 정도를 조정) 함으로써, 타발형을 변경하지 않아도 동일한 타발형으로, 상이한 구성 (크기, 형상, 사용감 등) 을 갖는 귀걸이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부기 2)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이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를, 텐션 조정 부재에 의해서 조정하고, 상기 텐션 조정 부재가, 상기 접합체의 반송 궤적을, 상기 접합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변경한다.
상기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복잡한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텐션의 이완 상태를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부기 3)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텐션 조정 부재가, 상기 접합체를 밀어 내림 또는 밀어 올림 가능한 롤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텐션 조정 부재를, 비교적 단순한 롤이라는 부재에 의해서 접합체의 이완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부기 4)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신축성 부재가, 제 1 면과 당해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면에 제 1 표면재를 중첩하며, 또한 상기 제 2 면에 제 2 표면재를 중첩하고,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제 1 표면재를 접합하며, 또한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제 2 표면재를 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신축성 부재의 양면에 표면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쪽의 면을 만져도 기분 좋은 감촉이 얻어지는 귀걸이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부기 5)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는 신장 수단과,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는 적층 수단과,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 수단과,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는 이완 수단과,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타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가 얻어진다.
(부기 6)
부기 6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가,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이며, 상기 귀걸이부 시트를 마스크 본체에 중첩하고, 상기 귀걸이부 시트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단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기 6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것에 관련된 양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부기 7)
부기 7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귀걸이부 시트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한다.
상기 부기 7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동일한 치수의 귀걸이부 시트를 사용하여,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비교적 큰 마스크를 제조하는 경우,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시트) 와 마스크 본체의 접합 위치를 바꾸지 않고,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에 따라서 귀걸이부 시트를 가로 방향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에 접합하면, 귀걸이부 시트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를 각각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접합시킬 수 있다. 또, 귀걸이 부재 (귀걸이부 시트) 를, 1 쌍의 귀걸이부끼리를 분리시킨 형태로 변경할 필요도 없다.
또, 얻어진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개시시에, 귀걸이부 시트에 포함되는 1 쌍의 귀걸이부끼리를 가로 방향 중앙에서 분리시키지만, 그 때에, 귀걸이 부재 내에 발생되어 있던 텐션이 소실된다. 이로써, 1 쌍의 귀걸이 부재는, 소실된 텐션의 분만큼 가로 방향에 줄어들고, 서로 가로 방향으로 이간하여, 1 쌍의 귀걸이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는, 사용 개시 전의 외형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에 비해서, 귀걸이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작은 마스크를 얻을 수 있다.
(부기 8)
부기 8 에 관련된 양태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접합되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 시트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마스크이다.
상기 부기 8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부기 7 에 관련된 양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부기 9)
부기 9 에 관련된 양태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접합되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를 평면 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분리하면, 상기 1 쌍의 귀걸이부의 분리된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마스크이다.
상기 부기 9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부기 7 또는 부기 8 에 관련된 양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21년 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2636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원용한다.
1 : 마스크
2 : 제 1 표면재
2A : 제 1 표면재띠
3 : 제 2 표면재
3A : 제 2 표면재띠
4 : 접합부
5 : 신축성 부재 (신축성 필름)
5A : 신축성 부재띠 (신축성 필름띠)
6A : 적층체
8A : 접합체
10 : 마스크 본체
10A : 마스크 본체띠
15 : 플리츠
20 : 귀걸이부 시트 (귀걸이 부재)
20a : 귀걸이부
20A : 귀걸이부 시트띠
28 : 분리 가능한 결합부
29 : 개구
30 : 보조재
30A : 보조재띠
50 : 외측 접합부
60: 내측 접합부
100 :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121 : 제 1 표면재띠 공급 수단
122 : 제 2 표면재띠 공급 수단
123 : 신축성 부재띠 공급 수단
130 : 적층 수단
140 : 접합 수단
160 : 이완 수단
161 : 상류 롤
162 : 하류 롤
165 : 텐션 조정 부재 (텐션 조정 롤)
180 : 타발 수단
200 : 마스크 부재 조합 장치
221 : 마스크 본체띠 공급 수단
300 : 마스크 제조 장치
D1 : 마스크의 세로 방향
D2 : 마스크의 가로 방향
Dt : 반송 방향

Claims (9)

  1.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며,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얻고,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고,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를, 텐션 조정 부재에 의해서 조정하고,
    상기 텐션 조정 부재가, 상기 접합체의 반송 궤적을, 상기 접합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정 부재가, 상기 접합체를 밀어 내림 또는 밀어 올림 가능한 롤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 부재가, 제 1 면과 당해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을 갖고,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면에 제 1 표면재를 중첩하며, 또한 상기 제 2 면에 제 2 표면재를 중첩하고,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제 1 표면재를 접합하며, 또한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제 2 표면재를 접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5.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로서,
    신축성 부재를, 소정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도록 신장시키는 신장 수단과,
    상기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신축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비신축성의 표면재를 중첩하는 적층 수단과,
    상기 신축성 부재와 상기 표면재를 접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 수단과,
    상기 접합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완시켜, 상기 텐션을 저감한 소정의 이완 상태로 하는 이완 수단과,
    상기 소정의 이완 상태에 있는 상기 접합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는 타발 수단을 구비하는,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가,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이고,
    상기 귀걸이부 시트를 마스크 본체에 중첩하고, 상기 귀걸이부 시트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단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하는, 마스크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 시트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하는, 마스크의 제조 방법.
  8.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접합되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 시트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텐션이 발생되어 있는, 마스크.
  9.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접합되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귀걸이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를 평면 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합된 1 쌍의 귀걸이부를 분리하면, 상기 1 쌍의 귀걸이부의 분리된 단부끼리가 이간하는, 마스크.
KR1020237012952A 2021-02-22 2022-01-05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KR202301470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6368A JP2022128056A (ja) 2021-02-22 2021-02-22 マスク用耳掛け部材の製造方法、マスク用耳掛け部材の製造装置、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
JPJP-P-2021-026368 2021-02-22
PCT/JP2022/000119 WO2022176415A1 (ja) 2021-02-22 2022-01-05 マスク用耳掛け部材の製造方法、マスク用耳掛け部材の製造装置、マスク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030A true KR20230147030A (ko) 2023-10-20

Family

ID=8293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952A KR20230147030A (ko) 2021-02-22 2022-01-05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95922A1 (ko)
JP (1) JP2022128056A (ko)
KR (1) KR20230147030A (ko)
CN (1) CN116568372A (ko)
TW (1) TW202233277A (ko)
WO (1) WO20221764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803U (ko) 1980-09-30 1982-04-14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530B2 (ja) * 2003-09-08 2007-02-21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762803B2 (ja) 2011-04-08 2015-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TWI645883B (zh) * 2017-07-24 2019-01-01 台灣康匠製造股份有限公司 具展翼之口罩及其製造工序
JP7312049B2 (ja) 2019-08-01 2023-07-20 ニッタン株式会社 熱感知器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CN111165984A (zh) * 2020-02-24 2020-05-19 美佳爽(中国)有限公司 一种一次性口罩的制备方法
KR200492367Y1 (ko) * 2020-06-29 2020-09-24 지한준 신축 가능한 귀걸이 부재를 갖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2803U (ko) 1980-09-30 1982-04-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68372A (zh) 2023-08-08
EP4295922A1 (en) 2023-12-27
TW202233277A (zh) 2022-09-01
WO2022176415A1 (ja) 2022-08-25
JP2022128056A (ja)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5497A (ja) 特に失禁処理用の使い捨てオムツ
JP4541937B2 (ja) 止着テープ、及びこの止着テープを用いた使い捨ておむつ、並びにその製造方法
TWI577358B (zh) Dispose of disposable shorts
JP2007501034A (ja) ベルトつき使い捨てオムツ
JP6209162B2 (ja) 複合シート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JP5294819B2 (ja) パンツ型着用物品
KR20230147030A (ko)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방법, 마스크용 귀걸이 부재의 제조 장치,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JP2010005481A (ja) 止着テープ、及びこの止着テープを用いた使い捨ておむつ、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558067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386760B2 (ja) マスクの製造方法
EP4190195A1 (e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JP2007167426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7261774B2 (ja) マスク用耳掛け部、マスク、マスク用耳掛け部の製造方法、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CN115315204A (zh) 口罩
WO2022201872A1 (ja) マスク用耳掛け部材、及びマスク
WO2018066432A1 (ja) 下半身用使い捨て衣類
CN116583201A (zh) 口罩
WO2017135248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3138428A1 (en) Apron with improved neck opening size adaptation
WO2017082206A1 (ja) 使い捨てボトム衣類
JP2012235808A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