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694A -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694A
KR20230145694A KR1020220044366A KR20220044366A KR20230145694A KR 20230145694 A KR20230145694 A KR 20230145694A KR 1020220044366 A KR1020220044366 A KR 1020220044366A KR 20220044366 A KR20220044366 A KR 20220044366A KR 20230145694 A KR20230145694 A KR 2023014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accommodating
joint structure
accommodating par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박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2022004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694A/ko
Publication of KR2023014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은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연결하기 위한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로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1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용부; 및 양단이 개구된 제2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본 기술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대형 완구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Joint structure for toys}
본 발명은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을 위한 대형 완구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을 위한 다양한 완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2268호(발명명칭: 완구용 경량블럭)는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어린이가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경량재질로 형성되는 완구용 경량블럭을 보여준다. 이 선행특허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경량의 블록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적층하거나,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다양한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준다. 다만, 쌓기 놀이에 제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130호(발명명칭: 놀이용 건축물)는 일반적인 완구 수준이 아닌 아이들의 키높이 수준 이상의 크기로 제작되어 실제 건축물을 짓는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자기가 제작한 건축물 내부로 출입할 수도 있는 놀이용 건축물을 보여준다. 앞서 언급한 선행특허 대비 아이들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를 갖는다. 그러나, 실제 구성들을 살펴보면, 지붕지지모듈, 바닥모듈, 벽체모듈 등 놀이용 건축물을 구성하는 개별 부품들은 그 자체에 마련된 요철 형상을 통한 상호간 직접 결합 방식으로써, 아이들의 안전에 위험 요소를 수반한다. 요철 형상들로 인해 유발되는 뾰족한 부분들이 매우 많아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대형 완구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연결하기 위한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로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1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용부; 및 양단이 개구된 제2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구와 제2 완구는 발사 나무 재질이고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완구와 상기 제2 완구는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은 제3 완구를 더욱 연결하되,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3 채널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상기 제3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내지 제3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벽부들이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벽부들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제1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1 철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일단 부근에서 상기 다수의 제1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free) 구간,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제2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 철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양단 부근에서 상기 다수의 제2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free) 구간들,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중 상기 타측에만 상기 다수의 제2 철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1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은 제4 완구를 더욱 연결하되,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4 채널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상기 제4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4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4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4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내지 제4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 상기 제3 수용부의 타단 및 상기 제4 수용부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3 수용부 및 상기 제4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의 양단의 개구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3 수용부 및 상기 제4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가 배치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대형 완구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사용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아이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대형 완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활용하여 두 개의 막대 형상의 완구들을 서로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 공간의 모서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부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도 3은 도 1의 정면도를,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활용하여 두 개의 막대 형상의 완구들을 서로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1A)(이하, 간단히 '조인트 구조물'이라 함)은 제1 막대 완구(T1)와 제2 막대 완구(T2)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조인트 구조물(1A)은 제1 막대 완구(T1)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는 제1 수용부(10), 및 제2 막대 완구(T2)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 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20)를 포함한다.
제1 막대 완구(T1)나 제2 막대 완구(T2)는 각목 형상의 완구일 수 있다. 아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인 발사(balsa) 나무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포 수지 등과 같은 완구용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각목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막대 완구는 둥근 봉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막대 완구가 각목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막대 완구가 봉 형상인 경우 그에 맞게 조인트 구조물의 수용 공간(S1, S2)의 형상도 원 기둥 형상으로 변경되면 되며 후술하는 설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I방향과 II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막대 완구들(T1, T2)을 연결하는 하나의 조인트 구조물(1A)만을 표현하였으나, 여러 개의 막대 완구들과 조인트 구조물들이 서로 연결되면 집이나 돔과 같은 커다란 건축물을 만들 수도 있다.
조인트 구조물(1A)도 아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드럽고 가벼운 소재인 실리콘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수용 공간(S1, S2)의 크기가 막대 완구(T1, T2)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더라도 소재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해 아이들의 힘으로 끼우고 뺄 수 있는 정도의 체결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재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린이에게 완구용으로 안전하다면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도 적용될 수도 있다.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은 모두 몰딩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조인트 구조물이 여러 수용부들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유리하다. 즉, 여러 수용부들을 갖는 조인트 구조물을 일체로 성형하는 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아이들의 대근육 발달을 위한 커다란 건축물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막대 완구는 대략 아이들이 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하는 단면 크기(4~5 cm 정도의 폭)를 가지므로, 막대 완구와 조인트 구조물은 서로 딱맞게 끼워지고 빠지고 할 수 있는 스케일이다. 이보다 큰 스케일은 조인트 구조물이 두꺼워지는만큼 체결력이 그만큼 높아져 다루기 어렵다. 이보다 작은 스케일은 조인트 구조물이 얇아지는만큼 헐렁해져 마찬가지로 다루기 쉽지 않다. 한편으로는, 막대 완구가 발사 나무인 경우 표면이 매우 무른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조인트 구조물의 수용 공간에 딱맞는 크기를 갖더라도 표면이 약간씩 변형되면서 아이들의 힘으로 끼워지고 빠지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열어줄 수 있다. 즉, 막대 완구나 조인트 구조물 중 어느 하나만이 약간의 신축성 또는 약간의 무른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으로 적합하다.
제1 수용부(10)는 제1 막대 완구(T1)의 수용이 시작되는 일단(11), 제1 막대 완구의 수용이 종료되는 타단(12) 및 이들 사이에 제1 채널(13)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목 형상인 제1 막대 완구의 한 쪽 끝을 다른 막대 완구(즉, 제2 막대 완구)와 연결한다.
제2 수용부(20)는 제2 막대 완구(T2)가 관통되는 양단(21, 22)과 이들 사이에 제2 채널(23)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목 형싱인 제2 막대 완구의 임의의 지점을 다른 막대 완구(즉, 제1 막대 완구)와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1 막대 완구와 제2 막대 완구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0)와 제2 수용부(20)는 모두 막대 완구들(T1, T2)의 수용을 위한 공간(S1, S2)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나, 제1 수용부는 닫힌 공간을 제공하고, 제2 수용부는 열린 공간을 제공한다는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구조물은 구조 형성의 효율성을 위해 제1 수용 공간(S1)과 제2 수용 공간(S2)을 구별하는 칸막이를 하나로 형성한다. 즉, 제1 수용부(10)의 타단(12)이 칸막이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제1 수용부의 타단(12)은 일측으로는 제1 수용 공간(S1)과 접하고 타측으로는 제2 수용 공간(S2)과 접한다. 즉, 제1 수용부의 타단(12)은 일측으로는 제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제2 수용 공간(S2)을 형성한다. 제1 채널(13)을 형성하는 벽부들(131, 132, 133, 134, 도 7 참조) 및 제2 채널(23)을 형성하는 벽부들(231, 232, 233, 234, 도 2 참조)에 있어서, 하나의 벽부가 공유된다. 이러한 벽부들(131, 132, 133, 134, 231, 232, 233, 234)은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조인트 구조물 자체의 구조를 간소화한다. 조인트 구조물의 제작이 쉬워지고 단가를 낮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들(10, 20)은 수용 공간(S1, S2)의 내벽에 마련되는 철부들(PT)을 포함할 수 있다. 철부들은 수용 공간 내로 진입한 막대 완구들과 마찰력을 높인다. 잦은 사용시 헐거워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 철부들도 수용부들과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구조물의 II방향으로의 길이가 4.5 cm인 경우라면 철부가 채널의 벽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대략 0.5~1.5 mm일 수 있다. 철부는 막대 완구의 진입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여러 줄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가 나란히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채널의 철부들은 제1 막대 완구의 진입 방향인 I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제2 채널의 철부들은 제2 막대 완구의 진입 방향인 III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채널(13)의 벽부들에 마련되는 철부들을 제1 철부들로 참조한다. 제2 채널(23)의 벽부들에 마련되는 철부들을 제2 철부들로 참조한다. 제1 철부들은 제1 채널이 제1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제1 막대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갖도록 지원한다. 제2 철부들은 제2 채널이 제2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제2 막대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갖도록 지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채널(13)은 일단(11) 부근에서 다수의 제1 철부들(PT)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free) 구간(S_FPT),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구간(S_PT)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23)은 양단(21, 22) 부근에서 다수의 제2 철부들(PT)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 구간들(S_FPT1, S_FPT2),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 구간(S_PT)을 포함한다. 이는 수용 공간과 꼭맞는 크기로 형성되는 막대 완구의 진입을 원활하게 한다. 진입간 철부들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고서 쉽게 수용 공간 내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막대 완구가 일방향으로만 진입이 가능한 제1 채널에서는 철부-프리 구간이 한 쪽에만 마련됨에 비해(도 2 참조), 막대 완구가 양방향으로 진입이 가능한 제2 채널에서는 철부-프리 구간이 양 쪽에 마련됨을 주목한다(도 3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 공간의 모서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20)가 갖는 제2 수용 공간의 모서리(RN)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 처리는 막대 완구의 외관 형상을 따른다. 막대 완구의 모서리가 아이들에게 안전한 놀이 환경을 제공하도록 라운드 처리될 수 있고, 막대 완구의 외관과 꼭맞는 크기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도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라운드의 곡률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는 제2 수용 공간에 대해서만 도시되었으나 제1 수용 공간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부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의 어느 하나의 벽부(232)에 마련되는 철부들(PT)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 방향은 동일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철부들이 직선 형상인 것에 대비된다. 다르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의 어느 하나의 벽부(232)에 마련되는 철부들(PT)은 도 1에 도시된 철부들과는 연장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이는 막대 완구의 진입간 철부들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작용을 하므로, 조인트 구조물 및 막대 완구간 체결력과 관련한 설계에 있어서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도 6에서 철부들의 구조만 변경되었을 뿐 상술한 철부-프리 구간 및 철부-형성 구간이 나타남은 동일하다. 도 6에서는 제2 채널의 어느 하나의 벽부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제1 채널의 어느 하나의 벽부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수용부를 일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황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 즉, 제1 수용부의 타단(12)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들(AH)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부들은 칸막이를 완전히 관통한다. 이는 닫힌 공간으로 제공되는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기 저항을 감소시킨다. 즉, 제1 수용부로/로부터 제1 막대 완구의 진입/인출간 불필요한 내부 공기 저항에 의한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체결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의 타단(12)이 구성하는 내벽부(121)에는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부분은 막대 완구의 진입간 필요한 마찰력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타단(12)이 구성하는 외벽부(122, 도 2 참조)에는 철부들(즉, 제2 철부들)이 형성된다. 이 부분은 막대 완구(즉, 제2 막대 완구)의 진입간 필요한 마찰력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물(1B)은 제3 수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용부(30)는 상술한 제2 수용부(20)를 기준으로 상술한 제1 수용부(10)에 대해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수용부(30)는 제3 막대 완구(미도시)의 수용이 시작되는 일단(31), 제3 막대 완구의 수용이 종료되는 타단(32) 및 이들 사이에 제3 채널(33)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목 형상인 제3 막대 완구(미도시)의 한 쪽 끝을 다른 막대 완구들(즉, 제1 및 제2 막대 완구들)과 연결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와 제3 수용부가 좌우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도 8 대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와 제3 수용부는 서로 직각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는 점만 변경되었을 뿐 조인트 구조물(1C)에 대해서도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물(1D)은 제4 수용부(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4 수용부(40)는 상술한 제3 수용부(30)에 대해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수용부(40)는 제4 막대 완구(미도시)의 수용이 시작되는 일단(41), 제4 막대 완구의 수용이 종료되는 타단(42) 및 이들 사이에 제4 채널(43)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목 형상인 제4 막대 완구(미도시)의 한 쪽 끝을 다른 막대 완구들(즉, 제1 내지 제3 막대 완구들)과 연결한다. 제3 및 제4 수용부들을 더 포함한다는 점만 변경되었을 뿐 조인트 구조물(1D)에 대해서도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인트 구조물(1E)은 제5 수용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5 수용부(50)는 상술한 제1 수용부(10)에 대해 반대쪽에 마련될 수 있다. 제5 수용부(50)는 제5 막대 완구(미도시)의 수용이 시작되는 일단(51), 제5 막대 완구의 수용이 종료되는 타단(52) 및 이들 사이에 제5 채널(53)을 포함한다. 대체로, 각목 형상인 제5 막대 완구(미도시)의 한 쪽 끝을 다른 막대 완구들(즉, 제1 내지 제4 막대 완구들)과 연결한다. 제3 내지 제5 수용부들을 더 포함한다는 점만 변경되었을 뿐 조인트 구조물(1E)에 대해서도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물(1F)은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 8 대비, 제2 수용부(2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수용부(10)와 제3 수용부(30)가 각각 소정의 각도(α)만큼 II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막대 완구 내지 제3 막대 완구가 약간 기울어지도록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의 제2 채널(23)을 형성하는 일부 벽부들(231, 232)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부의 제2 수용 공간이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사각 기둥 구조 대비, 사다리꼴 기둥 구조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물(1G)은 방사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0 대비, 제1, 제3 및 제4 수용부들이 서로 동일한 각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제3 및 제4 막대 완구들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수용부의 제2 수용 공간이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사각 기둥 구조 대비, 삼각 기둥 구조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구조물(1H)은 테트라 포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기울어진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제3 및 제4 막대 완구들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돔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제2 수용부의 제2 수용 공간이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사각 기둥 구조 대비, 입체 기둥 구조(도면상 아랫 면을 삼각형 윗면을 육각형으로 하는 입체 기둥 구조)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용부로 수용되는 제2 막대 완구는 막대 형상인 것보다는 이러한 입체 기둥 구조에 꼭 맞는 크기의 토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간 단일의 칸막이 구조를 통하여 안전하고 흥미로운 대형 건축물 완구를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용부들의 다양한 확장성을 통해 여러 개의 막대 완구들을 연결하는 구조로 손쉬운 확장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A, 1B, 1C, 1D, 1E, 1F, 1G, 1H :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0 : 제1 수용부
11 : 제1 수용부의 일단
12 : 제1 수용부의 타단
121 : 제1 수용부의 타단의 내벽부
122 : 제1 수용부의 타단의 외벽부
13 : 제1 채널
131, 132, 133, 134 : 제1 채널의 벽부
20 : 제2 수용부
21, 22 : 제2 수용부의 양단
23 : 제2 채널
231, 232, 233, 234 : 제2 채널의 벽부
30 : 제3 수용부
31 : 제3 수용부의 일단
32 : 제3 수용부의 타단
33 : 제3 채널
40 : 제4 수용부
41 : 제4 수용부의 일단
42 : 제4 수용부의 타단
43 : 제4 채널
50 : 제5 수용부
S`1 : 제1 수용 공간
S2 : 제2 수용 공간
PT : 철부들
T1 : 제1 막대 완구
T2 : 제2 막대 완구
S_FPT, S_FPT1, S_FPT2 : 철부-프리 구간
S_PT : 철부-형성 구간

Claims (16)

  1. 제1 완구와 제2 완구를 연결하기 위한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로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1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용부; 및
    양단이 개구된 제2 채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와 제2 완구는 발사 나무 재질이고 막대 형상인,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구와 상기 제2 완구는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은 제3 완구를 더욱 연결하되,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3 채널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상기 제3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3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내지 제3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벽부들이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벽부들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3 수용부는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들이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제1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1 철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일단 부근에서 상기 다수의 제1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free) 구간,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 구간을 포함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진입한 상기 제2 완구와 억지끼움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 철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양단 부근에서 상기 다수의 제2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 철부-프리(free) 구간들, 및 이를 제외한 나머지 철부-형성 구간을 포함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중 상기 타측에만 상기 다수의 제2 철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1 철부들이 형성되지 않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은 제4 완구를 더욱 연결하되,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제4 채널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상기 제4 완구의 수용을 위한 제4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4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수용부의 타단은 일측으로는 상기 제4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내지 제4 수용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수용부의 타단, 상기 제3 수용부의 타단 및 상기 제4 수용부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3 수용부 및 상기 제4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의 양단의 개구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3 수용부 및 상기 제4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가 배치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 배치되는,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KR1020220044366A 2022-04-11 2022-04-11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KR2023014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66A KR20230145694A (ko) 2022-04-11 2022-04-11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366A KR20230145694A (ko) 2022-04-11 2022-04-11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694A true KR20230145694A (ko) 2023-10-18

Family

ID=8850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366A KR20230145694A (ko) 2022-04-11 2022-04-11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56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162B2 (en) Building set for toy houses
US10039991B2 (en) Didactic set of pieces for assembling structures
US2691242A (en) Interlocking toy building panels and blocks built therefrom
US7316598B1 (en) Toy construction set
JP4563458B2 (ja) 玩具建造セット
US20110045733A1 (en) Block Toy
US20090298382A1 (en) Polyhedral Toy
US6511073B2 (en) Games and toys
KR20100087087A (ko) 조립 완구
US20050191932A1 (en) Building block
JPH0439349B2 (ko)
WO2017094981A1 (ko) 레고형 삼각 고양이 놀이 구조물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KR101896144B1 (ko) 조립식 완구블럭
ES2258992T3 (es) Dado que puede ser abierto,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y molde.
US6146232A (en) Toy logs having novel shape
KR200449456Y1 (ko) 유아용 소프트 놀이블록
KR20230145694A (ko) 완구용 조인트 구조물
US20170106309A1 (en) Toy construction set
US20090130947A1 (en) Toy building set
CN203899151U (zh) 一种拼接式积木
JPH0924165A (ja) 組立おもちゃ
KR20110039789A (ko) 퍼즐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퍼즐
KR100853574B1 (ko) 조립식 집짓기 완구
CN214075060U (zh) 一种积木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