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484A -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484A
KR20230144484A KR1020230045451A KR20230045451A KR20230144484A KR 20230144484 A KR20230144484 A KR 20230144484A KR 1020230045451 A KR1020230045451 A KR 1020230045451A KR 20230045451 A KR20230045451 A KR 20230045451A KR 20230144484 A KR20230144484 A KR 20230144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cancer
formula
alkoxy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혜진
이미소
김효진
김하나
이준형
신원화
Original Assignee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MUTANT RON INHIBITOR AND ANTI-PD-1 ANTIBODY}
본 발명은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세포는 T 세포를 비활성 상태로 만드는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면역세포의 공격을 회피하고 암 미세환경을 변화시키며, 빠르게 분열할 뿐 아니라 해당 암세포가 발생한 조직을 벗어나 다른 조직에 전이될 수 있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암세포는 빠른 성장 및 전이를 위해 요구되는 영양분을 얻고자 스스로 혈관을 만들어 낸다(Tumor angiogenesis).
조절 T 세포는 암세포의 면역회피에 관여하는 주된 세포로 알려져 있으며, 암 조직 내 조절 T 세포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치료전략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면역 항암제는 개체의 체중이 감소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여 개체의 삶의 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암 치료 또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요구된다.
Wagh PK. et. al. Adv Cancer Res. 2008
본원 발명자들은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단독 또는 항-PD-1 항체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 이들을 병용 투여한 경우 암을 치료 및/또는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것을 지시하는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단독 또는 항-PD-1 항체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 이들을 병용 투여한 경우 암을 치료 및/또는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U937 세포 유래 M0 마크로파지(macrophage)에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처리하고 M1 마크로파지 마커(CD68 및 CD86) 및 M2 마크로파지 마커(CD206)의 발현을 유세포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한 것이고(좌측 도면), ARG-1 및 MRC-1이 M2 마크로파지 마커임을 확인한 것이다(우측 도면).
도 2는 SW620 대장암 세포주 스페로이드와 PBMC의 공동배양에서 종양침윤림프구(TIL)의 발현을 확인한 것이다.
도 3a는 인간 유래 대장암 세포주 SW620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양성 대조군(10 mg/kg) 단독 및 양성 대조군(10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3 mg/kg)을 투여하였을 때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3b는 실험예 3a의 동물실험 종료 후 적출한 종양 조직에서 마크로파지의 분포 정도 및 종양 내 사이토카인 분비 정도를 유세포분석 방법 및 사이토카인 다중 분석 키트를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다.
도 4a는 인간 유래 폐암 세포주 NCI-H358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양성 대조군(5 mg/kg) 단독, 실시예 1의 화합물(5 mg/kg) 단독 및 양성 대조군(5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5 mg/kg)을 투여하였을 때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4b는 실험예 4a의 동물실험 종료 후 종양 조직을 적출하여 hCD45 세포의 분포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5a는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양성 대조군(10 mg/kg) 단독,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단독 및 양성 대조군(10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을 투여하였을 때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5b는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양성 대조군(10 mg/kg) 단독,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단독 및 양성 대조군(10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을 투여하였을 때 종양 조직 내의 M1/M2 마크로파지 비율 및 CD45+ 종양침윤성림프구(TIL)를 확인한 것이다.
도 6a는 건강한 정상인 및 폐암 환자의 마크로파지의 RON 유전자형 분석을 위해 RT-PCR 및 생어 염기서열 분석법(sanger sequencing)을 이용하여 정상형 RON 및 변이체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도 6b는 정상형 RON 마크로파지 및 RON 변이체 마크로파지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이 MSP의 유무에 따라 M1 마크로파지 또는 M2 마크로파지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M1 마크로파지 마커(CXCL10)와 M2 마크로파지 마커(ARG-1 및 MRC-1)의 발현을 real-time PCR로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은 인간의 MST1R(Macrophage stimulating 1 receptor)유전자에 암호화된 단백질이다. RON은 c-MET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 수용체로서, 간에서 분비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혈청 단백질(Macrophage-stimulating protein; MSP)의 수용체이다. 세포 표면에서의 리간드 결합은 세포 내 도메인에서 RON이 인산화를 유도하여 하류 신호 전달 분자를 위한 도킹 사이트를 제공한다. RON의 신호는 상피세포 이동, 증식 및 상처 부위에서의 생존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대식세포의 이동 및 식균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선천적 면역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또한, RON은 MST1 리간드 이외의 성장 인자에 반응하여 세포 이동 및 증식과 같은 신호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는 돌연변이된 RON을 저해하는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상기 C1-10알킬은 C1-6알킬, C1-3알킬, C3-10알킬, C3-6알킬, C6-10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10알콕시는 C1-6알콕시, C1-3알콕시, C3-10알콕시, C3-6알콕시, C6-10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4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4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 5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5 또는 6원의 헤테로사이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C(-R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를 형성하고;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아제티딘일, 디아제티딘일, 피롤리딘일, 피롤릴, 이미다졸리딘일, 이미다졸릴, 피라졸리딘일, 피라졸릴, 옥사졸리딘일, 옥사졸릴, 이속사졸리딘일, 이속사졸릴, 티아졸리딘일,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리딘일, 이소티아졸릴, 피페리딘일, 피리딘일, 피페라진일, 디아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아제판일, 디아제판일, 또는 이들에 C1-6알킬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2H4- 또는 -C3H6-일 수 있다. 또한 R9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거나, 또는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에서 R1 내지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5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6) t-부틸 {[6-(7-{4-[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도]-2-플루오로페녹시}티에노[3,2-b]피리딘-2-일)피리딘-3-일]메틸}(2-메톡시에틸)카바메이트;
7)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8)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9) N-(3-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0)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1) 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N-(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3) 1-(4-클로로페닐)-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4)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5)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6)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5-메틸-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5-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0)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1)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6-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3) 5-브로모-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4) 5-클로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6)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6-디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0)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2)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3) 4-에톡시-N-{3-플루오로-4-[(2-{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4)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5)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로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6) N-[3-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37) N-[2-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기타 공지된 방법 및/또는 유기합성 분야의 기술에 근간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을 기초로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들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6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6]
.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상기 C1-6 알킬은 C1-3 알킬, C3-6 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6 알콕시는 C1-3 알콕시, C3-6 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플루오로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플루오로이고, R4는 수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이미다졸릴, 또는 피라졸릴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란일, 모폴리노, 모폴리닐, 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또는 옥세탄일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아릴 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 하나 이상의 N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N 원자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및 R2는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3 및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며,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A는 퀴놀린, 퀴나졸린, 피리딘, 피리미딘, 티에노피리딘, 피롤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딘, 이미다조피리딘, 피롤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롤로피리미딘, 퓨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미딘, 퓨린 또는 인다졸이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미노, 상기 알킬, 상기 알콕시, 상기 아릴 및 상기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가 아릴, 헤테로아릴 등의 고리를 포함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동시에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 또한 R5가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등의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치환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는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R6는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일 수 있다. 이때 R5는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6는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시아노, C1-4 할로알킬, C1-6 알킬,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Ax-(CH2)a-L1-(CH2)b-L2-, 또는 Ax-(CH2)a-L1-(CH2)b-L2-피리디닐이고, Ax는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H-, -C(=O)-NH-, 또는 -NH-C(=O)-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b가 0인 경우에 L2는 단일결합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C1-6 알킬, 메톡시, 메톡시메틸, 디메틸아미노, 및 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40)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1)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2)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3)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3-플루오로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4) N-(3-플루오로-4-((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5) N-(3-플루오로-4-((7-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6) N-(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7) N-(4-((6-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8) N-(3-플루오로-4-((7-메톡시-6-(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9) N-(4-((6-(디메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0)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1) N-(4-((6-(에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2) N-(4-((6-아세트아미도-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3)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6)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7)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78)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9)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0)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4)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5)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6)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7) N-(4-((7-(3-(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8)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0)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2)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4)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5) N-(4-((7-(3-(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6)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7)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8)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9)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0)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1) N-(3-플루오로-4-((6-메톡시-7-(3-(4-옥소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2) N-(4-((7-(3-(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4) N-(3-플루오로-4-((7-(3-(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5) N-(4-((7-(3-(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6)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7) N-(4-((7-(3-(4,4-디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8)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0)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1)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4)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5)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6)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7)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0)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2)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4) N-(4-((7-(2-(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5) N-(4-((7-(2-(3-에티닐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6)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7) N-(4-((7-(2-(3,3-디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8) N-(4-((7-(2-(3-(디메틸아미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0)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2)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4) N-(4-((7-(2-(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5)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6)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7)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8)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0) N-(3-플루오로-4-((6-메톡시-7-(2-(4-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2) N-(4-((7-(2-(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3)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4) N-(3-플루오로-4-((7-(2-(4-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5) N-(4-((7-(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7) N-(4-((7-(2-(4,4-디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0)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1)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메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2)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3)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4)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5) N-(3-플루오로-4-((6-메톡시-7-(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7) N-(3-플루오로-4-((7(2-모폴리닐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8)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9)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160) N-(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1) 7-(2-(3-플루오로-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2) 7-(2-(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3)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4)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5) N-(3-플루오로-4-((6-메톡시-7-(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6) N-(3-플루오로-4-((7-(메틸카르바모일)-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7)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8)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9) N-(3-플루오로-4-((7-(2-모폴리노에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0)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1) N-4-((6-클로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2) N-4-((6-클로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3) N-(4-((6-시아노-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4) N-(4-((6-시아노-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7) N-(3-플루오로-4-((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8) N-(3-플루오로-4-((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9) N-(4-((6-아미노-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0)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판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1) N-(4-((7-아미노-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2)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3)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파나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4) N-(4-((7-아세트아미도-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7)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및
188)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들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당업자라면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반응식은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조 단계별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 6의 여러 화합물들은 이하 제조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약과 용매를 변경하거나 반응 순서를 바꿔 제조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래 반응식 1 및 2의 절차에 따라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X는 상기 화학식 6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은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화합물(2)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Formylation) 반응에 의하여 화학식(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반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포름화된 락톤 화합물(3)과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을 이용하여 화합물(4)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무수 조건하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N,N-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4)을 나트륨 에톡시드 존재 하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원형화(Cyclization)된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또는, 원형화된 화합물(5)를 제조하기 위해 단계 4에서와 같이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사염화티타늄과 피리딘의 존재 하에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며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온에서 시작하여 상온에서 수행한다.
이후 단계 5에서,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합물(6)을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 반응(Formylation)과 원형화에 의하여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온 및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6에서는, 상기 단계 3과 단계 5에서 제조한 원형화된 화합물(5)을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반응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나 수산화리튬 수용액과 같은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수산화리튬 수용액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에탄올, 메탄올, 데트라하아드로퓨란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R1 내지 R6, X 및 Y는 상기 화학식 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이탈기이다.
상기 반응식 2는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화합물(10)은 상기 화학식 6에서 L이 -NH-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환 또는 이환 화합물(7)을 탄산칼륨 등의 염기 존재 하에서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니트로 페놀 화합물과 반응시켜 페녹시 화합물(8)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페놀 화합물의 에테르 생성 반응으로 에테르 생성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예로는 나트륨수화물(NaH),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세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사이드(Alk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페닐에테르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니트로 페놀 화합물(8)을 철과 염화암모늄 존재 하에서 환원하여 아민 화합물(9)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니트로 화합물의 아민으로의 환원 반응으로 수소, 철, 주석(±염화물, 아연 등 다양한 환원제(Reducing agent)를 사용하여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며, 반응에 따라 물을 조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아민 화합물(9)과 반응식 1에서 제조된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을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일반적인 아미드화 반응(Amidation reaction)을 통해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시약으로는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EDC), 1,3-디사이클로헥실 카르보이미드(DCC), 1,1-카르보닐 디이미다졸(CDI),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등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아미드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염기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생성된 목적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관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10 알킬"은 1 내지 10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10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할로알킬은 동종의 할로겐이 2개 이상 치환되거나 2종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일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앞에 정의한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화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기의 알킬 부분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O-CH3 또는 -OMe), 에톡시(-OCH2CH3 또는 -OEt), t-부톡시(-O-C(CH3)3 또는 -O-tBu) 등이 있다.
용어 "아릴"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기는 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또는 6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중에 탄소원자만을 포함하는 포화 모노사이클 또는 폴리사이클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은, 모노사이클로서는 3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바이사이클로서는 7 내지 12 탄소원자를, 폴리사이클로서는 최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피리디닐, 피롤릴,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퓨리닐, 퓨라닐, 티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카르바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다질, 피리미딜, 피라질(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의 고리를 의미하며,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고, 단일고리 또는 다중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원자 및 탄소원자를 포함하여 총 4 내지 10개의 원자로 골격이 이루어진 헤테로사이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아제티딘, 디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롤,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 피라졸리딘, 피라졸, 옥사졸리딘, 옥사졸, 이속사졸리딘, 이속사졸, 티아졸리딘, 티아졸, 이소티아졸리딘, 이소티아졸, 피페리딘, 피리딘, 피페라진, 디아진, 모폴린, 티오모폴린, 아제판, 디아제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해 고리가 방향성(Aromatic)을 갖지 않는 범위에서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헤테로원자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제티딘일, 아지리딘일, 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호모피페라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테트라히드로퓨란일, 테트라히드로티오퓨란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피란일(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탄소(C) 이외의 원자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질소(N), 산소(O) 또는 황(S) 원자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1개, 1개 내지 2개, 1개 내지 3개, 또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치환"은, 지정된 원자 상의 원자가(Valence)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치환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되도록, 분자 구조체 내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룹 A가 치환기 B로 치환"된다거나 또는 "그룹 A가 치환기 B를 갖는다"는 것은, 그룹 A의 골격을 구성하는 탄소 등의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치환기 B로 대체되어, 그룹 A와 치환기 B가 공유 결합을 형성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탈리가 가능한 수소 원자를 갖지 않는 그룹은 치환기를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하고, 이에 본 명세서에서 치환기를 가지기 어려운 그룹을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의 범위를 예시하는 경우에는, 치환기 불가능한 것이 자명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은 그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생물학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물질, 즉 어떤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야기하거나 그것이 포함되어 있는 약학 조성물의 어떤 다른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상기 조성물과 함께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인간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하며, 모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임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 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산으로는 무기 산 또는 유기 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무기 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일 수 있고, 유기 산은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석신산, 락트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합물 6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등)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칼륨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합물 6의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미용해된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및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키랄 탄소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 화합물,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개개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무독성 및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각각 물 및 알코올성 용매(특히, 에탄올 등)의 1 내지 5개의 분자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D-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은 CD279로 지칭되며, 활성화된 T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L1(B7-H1) 및 PD-L2(B7-DC)와 반응하여 TCR(T cell receptor) 및 CD28로 매개된 T-세포 활성,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여 음성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PD-1 억제제는 PD-1에 결합하는 중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압타머 또는 PD-1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이거나, PD-1의 기능을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용어 "항 PD-1 항체"는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PD-1과, 그 결합 상대인 PD-L1 또는 PD-L2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시그널 전달을 저감, 저해, 및/또는 간섭하는 작용을 갖는 항체를 의미한다.
항 PD-1 항체는 예를 들어, AMP-224(Amplimmune, GlaxoSmith Klein), AMP-514(MEDI0680, Amplimmune, GlaxoSmith Klein), 니볼루맙(Nivolumab, Opdivo, Bristol Myers Squib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Keytruda, Merck), 세미플리맙(Cemiplimab, Libtayo, Sanofi), 스파르탈리주맙(Spartalizumab, Novartis), 도스탈리맙(Dostarlimab, Jemperli, GlaxoSmith Klein), 피딜리주맙(Pidilizumab, Cure Tech), 피미발리맙(Pimivalimab, Jounce Therapeutics), 캄렐리주맙(Camrelizumab, Jiangsu Hengrui Medicine), 신틸리맙(Sintilimab, Innovent Biologics), 티스렐리주맙(Tislelizumab, BeiGene), 토리팔리맙(Toripalimab, Shanghai Junshi Biosciences), BGB-A317(BeiGene, Celgene), PF-06801591(Pfizer), PDR001(Novartis), TSR-042(Tesaro, GlaxoSmithKline), MGA012(Incyte/MacroGenics), IBI308(Innovent, Eli Lilly), 및 BI 754091(Boehringer Ingelheim)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조합", "조합물" 또는 "조합 투여"가 사용될 때, 이것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됨으로써,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단독 투여 대비 암의 치료 또는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단독 또는 항-PD-1 항체 단독 투여한 경우에 비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항-PD-1 항체와 병용 투여한 경우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모두 증가하여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예컨대, 단독 투여에 비해 병용 투여에서 발현량이 증가되는 상기 사이토카인은 TNF-α, Granzyme B 및/또는 INF-γ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으로서,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대 항-PD-1 항체는 동일한 용량 또는 서로 다른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중증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항-PD-1 항체의 투여량 비는 1:1 내지 5:1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항-PD-1 항체의 투여량 비는 1:1, 2:1, 3:1, 4:1 또는 5: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되어 1일 1회, 2회 또는 3회 이상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개별적으로 투여될 때 이들의 투여주기는 각각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약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물질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국소적(topically), 비경구적(parenterally), 경구적(orally), 정맥 내(intravenously), 근육 내(intramuscularly), 피하(subcutaneously) 투여 또는 분무(aerosol)에 의한 투여를 통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경구투여되거나 정맥 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 조성물"은 소정의 양 또는 비율의 명시된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적접으로 명시된 양으로 명시된 성분을 조합하여 야기되는 임의의 생성물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로 배합되는 통상적이고 무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예는 감미제, 결합제, 용매, 용해 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수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윤활제, 활택제, 충전제, 향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글리신,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검, 알긴산, 나트륨 알기네이트,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한천,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에센스, 딸기 에센스, 바닐라 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투여(예컨대, 정제, 환제, 산제, 캡슐제, 시럽 또는 에멀젼) 또는 비경구 투여(예컨대,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주사)를 위한 다양한 제제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제로 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셀룰로스, 칼슘 실리케이트,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칼슘 포스페이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 활석,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택제(Glidant)의 예로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uim Sillicate) 등이 있고; 희석제(Diluent)의 예로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락토오스 Fast Flo(등록상표) 락토오스 무수물(Lactose Anhydrous), 락토오스 1수화물(Lactose Monohydrate), 규화(Silicified) MCC HD 90 등이 있으며, 붕해제(Disintegrant)의 예로는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Croscarmellose Sodium),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등이 있고; 윤활제(Lubricant)의 예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이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암"은 비제어되거나 또는 비조절된 세포 증식, 감소된 세포 분화, 주위 조직을 침입하는 부적절한 능력, 및/또는 이소성 부위에서 새로운 성장을 확립하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장애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대상 질환인 "종양"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또한, 암은 고형 종양 및 혈액매개(blood-borne) 종양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아가 피부, 조직, 기관, 뼈, 연골, 혈액 및 혈관의 질병이나 원발성 종양 및 전이성 종양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방광암, 골암, 혈액암, 흑색종양,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골수암, 직장암, 인후암, 후두암, 식도암, 설암, 뇌종양, 담낭암, 담도암, 구강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위암, 전립선암, 자궁암, 난소암, 신장암, 췌장암, 간암, 대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및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암을 억제하거나 암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지칭하며, 용어 "치료"는 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대상체와 동의어로 사용되며,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암의 치료 또는 암세포 성장 억제가 필요한 개체는 암 재발이 발생하거나 또는 암 재발을 경험할 위험에 있는 개체일 수 있고, 암의 치료 또는 암세포 성장 억제가 필요한 개체는 수술, 방사선, 화학 치료요법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암 치료요법으로 치료된 적이 있는 개체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항-PD-1 항체의 종류, 암의 종류, 개체, 투여량 및 투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것을 지시하는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항-PD-1 항체의 종류, 암의 종류, 개체, 투여량 및 투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항-PD-1 항체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항-PD-1 항체의 종류, 암의 종류, 개체, 투여량 및 투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항-PD-1 항체의 종류, 암의 종류, 개체, 투여량 및 투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
단계 1: 3-((디메틸아미노)메틸렌)-디히드로퓨란-2-(3H)-온의 합성
감마-부티로락톤(2.69 mL, 35.0 mmol)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11.62 mL, 87.5 mmol)을 교반한 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30℃ 온도에서 70분 이상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과량의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제거하였다. 디에틸에테르로 고체화하고, 침전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9 g, 수율: 59%, 갈색빛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13 (s, 1H), 4.24 (t, J = 7.5 Hz, 2H), 3.11 (t, J = 7.5 Hz, 2H), 3.03 (s, 6H); 1H NMR (500 MHz, DMSO-d6) δ 7.00 (t, J = 1.5 Hz, 1H), 4.11 (t, J = 7.5 Hz, 2H), 3.06 (t, J = 7.5 Hz, 2H), 3.00 (s, 3H)
단계 2: 3-((디메틸아미노)메틸렌)-2-(3H)-디히드로퓨라닐리덴 에틸 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1.085 g, 7.68 mmol)을 8 ㎖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1.729 g, 7.68 mmol)을 첨가하고 1일 이상 상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핵자기공명기로 출발 물질과 생성 물질이 약 15:85의 비율로 생성됨을 확인하고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93 (s, 1H), 4.86-4.82 (m, 2H), 4.51 (q, J = 7.0 Hz, 2H), 3.33 (s, 3H), 3.30 (t, J = 8.5 Hz, 2H), 3.26 (s, 3H), 1.36 (t, J = 7.0 Hz, 3H)
단계 3: 에틸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비정제 혼합물(1.96 g)을 10 ㎖의 에탄올에 녹인 후, 0℃ 온도의 수조에서 나트륨 에톡시드(20 wt%의 에탄올 용액, 2.56 ㎖, 6.53 mmol)를 첨가한 후, 서서히 상온까지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에틸 3-((4-플루오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1.47 g, 6.5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00 mg, 수율: 39% (단계 2 및 단계 3 총수율 기준) /46% (단계 3 수율 기준),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70 (t, J = 1.5 Hz, 1H), 7.42-7.40 (m, 2H), 7.34-7.31 (m, 2H), 4.74 (t, J = 8.0 Hz, 2H), 4.17 (q, J = 7.0 Hz, 2H), 3.05 (td, J = 8.0 Hz, 2H), 1.21 (t, J = 7.0 Hz, 3H)
단계 4: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0.9 g, 2.97 mmol)을 10 ㎖의 에탄올과 5 ㎖의 증류수에 녹인 후,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49 mg, 5.94 mmol)을 첨가하고 50℃ 온도로 가온하여 4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물층에 1N 염산 용액을 첨가한 뒤,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잔여물에 소량의 디클로로메탄과 디에틸에테르로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한 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680 mg, 수율: 84%, 미색의 고체)를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4.5 (bs, OH), 7.97 (s, 1H), 7.54-7.51 (m, 2H), 7.41-7.37 (m, 2H), 4.90 (t, J = 8.5 Hz, 2H), 3.11 (td, J = 8.5, 1.0 Hz, 2H)
실시예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66 (s, 1H), 8.81 (s, 1H), 8.60 (d, J = 5.0 Hz, 1H), 8.48 (s, 1H), 8.43 (d, J = 5.0 Hz, 1H), 8.23 (d, J = 5.0 Hz, 1H), 7.96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2-7.45 (m, 4H), 7.39-7.36 (m, 2H), 6.83 (d, J = 5.0 Hz, 1H), 6.53 (d, J = 10.0 Hz, 1H), 4.44 (s, 2H), 4.26 (qt, J = 5.0 H, 2H), 3.96-3.94 (m, 2H), 3.77 (t, J = 10.0 Hz, 2H), 3.32-3.30 (m, 2H), 3.14 (qt, J = 10.0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70 (brs, 1H), 9.50 (brs, 2H), 8.80 (s, 1H), 8.69 (d, J = 5.0 Hz, 1H), 8.47 (s, 1H), 8.44 (d, J = 5.0 Hz, 1H), 8.22 (dd, J = 10.0 and 5.0 Hz, 1H), 7.99 (d, J = 10.0 Hz, 1H), 7.88 (d, J = 5.0 Hz, 1H), 7.57-7.40 (m, 7H), 6.97 (d, J = 5.0 Hz, 1H), 6.53 (d, J = 5.0 Hz, 1H), 4.29-4.25 (m, 4H), 3.65 (t, J = 5.0 Hz, 2H), 3.31 (s, 3H), 3.16-3.12 (m,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3: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4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68 (s, 1H), 8.82 (brs, 1H), 8.61 (d, J = 5.0 Hz, 1H), 8.47 (s, 1H), 8.41 (d, J = 5.0 Hz, 1H), 8.23 (s, 1H), 7.97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6-7.46 (m, 5H), 7.42-7.40 (m, 2H), 6.86 (d, J = 5.0 Hz, 1H), 6.52 (d, J = 5.0 Hz, 1H), 4.26 (qt, J = 5.0 H, 2H), 3.93 (brs, 8H), 3.58 (brs, 2H), 2.81 (s, 3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4: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5730호의 실시예 78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1.89 (s, 1H), 8.48 (d, J = 5.0 Hz, 1H), 8.00 (d, J = 10.0 Hz, 1H), 7.88 (s, 1H), 7.54-7.49 (m, 3H), 7.45-7.37 (m, 5H), 6.48 (d, J = 5.0 Hz, 1H), 4.85 (t, J = 10.0 Hz, 2H), 4.32 (brs, 2H), 3.95 (s, 3H), 3.63 (brs, 4H), 3.11 (t, J = 10.0 Hz, 2H), 2.52 (m, 2H, partially overlapped with DMSO), 2.50 (m, 4H, overlapped with DMSO)
실시예 5: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5730호의 실시예 88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04 (S, 1H), 8.48 (d, J = 5.2 Hz, 1H), 8.03 (dd, J = 12.4, 2.4 Hz, 1H), 7.57 (s, 1H), 7.40-7.37 (m, 5H), 7.26-7.22 (m, 2H), 7.17 (t, J = 8.8 Hz, 1H), 6.44 (d, J = 5.6 Hz, 1H), 5.01 (t, J = 8.4 Hz, 2H), 4.26 (t, J = 6.4 Hz, 2H), 4.03 (s, 3H), 3.64 (t, J = 11.6 Hz, 4H), 3.20 (t, J = 8.0 Hz, 2H), 2.81 (t, J = 6.8 Hz, 2H), 2.05 (q, J = 6.8 Hz, 3H)
양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의 화합물은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이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화합물 처리시 M2 마크로파지 마커(CD206) 감소 확인
마크로파지 분화를 위해서 U937 세포를 2x104 cell로 24-well 플레이트(Eppendorf)에 도말하고 PMA(Invitrogen)를 150 nM로 자극하고,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마크로파지로 분화시켰다. 48시간 뒤 조심스럽게 상층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양액과 함께 실시예 1의 화합물을 50 nM로 자극하였다.
48시간 동안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반응 후, 세포주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뒤 0.25% trypsin-EDTA를 2 ml 처리해준다. 떼어낸 세포는 2% FBS와 0.05% sodium aside를 첨가한 PBS(이하, FACS 버퍼) 8 ml로 희석한 뒤, 1200 rpm에서 1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다. 분리한 세포를 비 특이성 항체 반응을 차단하기 위해 anti-human Fc block(BD, cat. #564219)을 2 μg씩 넣어주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각 샘플에 CD68, CD86, CD206 항체를(BD) 넣고 4℃에서 30분간 빛을 차단한 상태로 반응시켰다. 반응 후 Stain Buffer 1 ml을 넣어주어 세척한 뒤,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여 세포를 모은 후 Stain Buffer를 200 μl씩 넣어주고 BD LSRFortessa™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합물 처리시 M2 마크로파지의 대표 마커인 CD206이 감소하였다(도 1).
실험예 2. 대장암 세포에서의 스페로이드의 크기 및 면역원성 세포 사멸(immunogenic cell death: ICD) 확인
대장암 세포 스페로이드 형성을 위해, SW620 대장암 세포를 2x104 cell로 U-Bottom 96-well 플레이트(Nunc, 174925)에 접종하여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PBMC를 12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에 재부유 시켰다. CFSE(Invitrogen, C34554)에 DMSO 18 μl를 넣어 5 mM 농도로 만들고, PBS에 1 mM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세포 1x106 cell/ml당 1 mM CFSE 1 μl씩 넣어준 뒤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PBS양의 5배 분량의 FBS가 포함된 배지를 염색한 PBMC에 넣어준 뒤,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12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배지에 재부유 시켰다. 그 후에 형성된 스페로이드를 2 well씩 초 저 부착 96-Well 플레이트(Corning, CLS3474)에 옮긴 후, CFSE를 염색한 PBMC를 1x105 cell로 seeding하여 37℃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공동배양 하였다. 종양침윤림프구(TIL)는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고, 스페로이드의 크기는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image J를 통해 면적을 측정하였다.
형성된 스페로이드와 주변의 상층액을 튜브에 모아 1200 rpm에서 2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다. 세포 펠렛(pellet)은 0.25% trypsin-EDTA 500 μl를 처리해 단일세포로 만들어 준 후, 2% FBS 및 0.05% NaN3를 첨가한 PBS(이하, FACS 버퍼) 2 ml로 희석한 뒤,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다. 세포 펠렛을 FACS 버퍼 200 μl에 재 부유시킨 후, CD45 항체(BD)를 넣고 4℃에서 30분간 염색시켰다. 각 튜브에 FACS 버퍼 1 ml씩 넣고, 12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이 과정을 총 2번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PI(Invitrogen)를 넣고 상온에서 빛을 차단한 뒤 5분간 반응 후 BD LSRFortessa™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IgG는 음성대조군이다.
그 결과, SW620 대장암 세포주 스페로이드에 펨브롤리주맙 및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병용처리하면 스페로이드의 크기가 감소하며, 면역원성 세포 사멸(immunogenic cell death: ICD)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3A. 인간 유래 대장암 세포주 SW620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의 종양 형성 억제능 확인
14주령 암컷 CD34+ 인간화 마우스(Gem biosciences)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Human 대장암 세포인 SW620 세포주(5X106 cells/mice)를 PBS에 희석하여 마우스의 오른쪽 배 측면에 피하(100 ㎕)로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10 mg/kg) 단독, 및 양성대조군(10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3 mg/kg) 병용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1주 2회 복강 투여, 실시예 1의 화합물은 1일 1회 경구 투여로 24일 동안 투여 진행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병용 투여군에서 높은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도 3a).
실험예 3B. 마크로파지의 분포 정도 및 종양 내 사이토카인 분비 정도 확인
실험예 3A의 동물실험 종료 후 적출한 종양 조직을 취하여 종양 조직에 대해 collagenase B(Roche, cat. #11088815001)를 37℃에서 2시간 이상 종양이 분해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종양 조직이 완전히 세포로 분해되면 1 ml 파이펫으로 잘 섞어 주어서 단일세포로 분리하였다. 세포를 50 ml 튜브(SPL, cat. #50050)로 옮긴 뒤, PBS를 20 ml 넣어주고 세척하였다.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고, Dnase I(Roche, cat. #11284932001)을 넣어 준 뒤,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PBS를 20 ml 넣어주고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버린 뒤, 0.25% Trysin/EDTA(GIBCO, cat. #15400-054)를 넣어 주었다. 세포를 잘 섞은 뒤, 새로운 50 ml 튜브위에 cell strainer(SPL, cat. #93070)을 올리고 세포를 걸러 주었다. 걸러진 세포가 있는 튜브에 다시 PBS 20 ml을 넣고 잘 섞어 주었다.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버린 뒤, Stain Buffer(BD, cat. #554656) 1 ml를 넣어주어 세척하였다.
분리한 세포를 비 특이성 항체 반응을 차단하기 위해 anti-human Fc block(BD, cat. #564219)을 2 μg씩 넣어주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CD45, CD206 항체를 넣고 4℃에서 30분간 빛을 차단한 상태로 반응시켰다. 반응 후 Stain Buffer 1 ml을 넣어주어 세척한 뒤, 1200 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여 세포를 모은 후 Stain Buffer를 200 μl씩 넣어주고 BD LSRFortessa™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분리한 종양 조직의 상층액은 1.5 ml ep-tube에 모아 CBA assay를 통해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Capture bead 및 PE detection reagent를 샘플 수에 맞게 mixed capture bead를 만든 다음 50 μl씩 assay tube에 넣어 주었다. 그 다음 샘플을 50 μl씩 assay tube에 넣고 1시간 RT, dark 상태에서 반응시켰다. 1시간 반응 후,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PE detection reagent를 50 μl씩 넣고 잘 섞어준 후 2시간 더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Wash buffer 1 ml로 세척 후, Buffer를 200 μl씩 넣어주고 BD LSRFortessa™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한편, Vehicle은 음성대조군이다.
그 결과, 펨브롤리주맙 및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병용처리한 마우스의 종양 조직에 침윤된 M2 마크로파지가 감소되었고,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GranzymeB 및 IFNγ가 증가하였다(도 3b).
실험예 4A. 인간 유래 폐암 세포주 NCI-H358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의 종양 형성 억제능 확인
16주령 암컷 CD34+ 인간화 마우스(Gem biosciences)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Human 폐암 세포주인 NCI-H358 세포주(5X106 cells/mice)를 PBS와 Matrigel에 희석하여 마우스의 오른쪽 배 측면에 피하(200 ㎕)로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 양성대조군(5 mg/kg) 단독, 실시예 1의 화합물(5 mg/kg) 단독, 및 양성대조군(5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5 mg/kg) 병용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1주 2회 복강 투여, 실시예 1의 화합물은 1일 1회 경구 투여로 3주 동안 투여 진행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병용 투여군에서 높은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도 4a).
실험예 4B.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hCD45 세포의 분포 정도 확인
실험예 4A의 동물실험 종료 후 적출한 종양 조직의 절편을 탈파라핀화하고 재수화한뒤, 열-유도된 에피토프 복구를 위해 표적 복구 완충액에 담근 뒤 전자레인지에 넣고 15분 동안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표적 복구 완충액에 30분의 추가 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트리스 완충 식염수-0.05% 트윈 20(TBS-T)에서 3번 세척 후, 블록킹 용액으로 블록킹하고 60분 후 IGSF1(Santacruz, sc-393786)을 1:100 혼합하여 4℃에 하루동안(overnight) 결합시켰다. 다음날 TBS-T로 3번 세척 후, 내인성 퍼옥시다제 차단 시약(Cell Marque, 925B)으로 상온에서 5분간 반응한 후, 2차 항체(Vector, PK-6101 PK-6102)를 상온에서 60분간 결합시켰다. TBS-T로 3번 세척 후, 아비딘-바이오틴을 60분동안 반응시켰다. 최종 DAB 염색(Vector, SK-4100)을 한 후 다시 탈수 과정을 거쳐 조직 염색을 마무리하였다. 현미경 사진은 Digital Microscope & Scanner인 PreciPoint M8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한편, Vehicle은 음성대조군이다.
그 결과, 병용 투여군에서 hCD45 세포의 분포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4b).
실험예 5A.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의 종양 형성 억제능 확인
5주령 암컷 BALB/c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2.5X105 cells/mice)을 PBS에 희석하여 마우스의 오른쪽 배 측면에 피하 (100 ㎕)로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평균 50 내지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대조군,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단독, 양성대조군(10 mg/kg) 단독 및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 양성대조군(10 mg/kg) 병용 투여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1회 1일 경구 투여, 양성대조군은 1회 3일 복강 투여로 17일 동안 투여 진행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병용 투여군에서 높은 종양 형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도 5a).
실험예 5B.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을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종양 조직 내의 M1/M2 마크로파지 비율 및 CD45+ leukocyte 확인
마우스 대장암 세포주 CT26을 이용한 동물모델의 종양 조직을 잘게 조각 낸 후, collagenase B(2.4 mg/ml) 및 5% 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배양액에 넣어 2 내지 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2 내지 4시간 후, 1200 rpm의 속도로 3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펠렛에 생리식염수를 넣고 피펫으로 혼합한 후, 300 x g의 속도로 상온에서 7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펠렛에 0.3 mg/ml의 Dnase I이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 피펫으로 혼합한 후 37℃의 온도로 진탕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resuspension한 후 300 x g의 속도로 상온에서 7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펠렛에 Trypsin-EDTA 용액을 넣어 피펫으로 혼합해주어 종양 조직내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후 70 uM 크기의 여과기로 걸러주어 종양 조직내의 단세포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단세포는 mouse Fc Block을 10분동안 처리하여 blocking한 후 마우스 CD45-Brilliant Violet 786 항체, 마우스 Inos-Alexafluor 488 및 마우스 Arginase 1-Alexafluor 700 항체를 30분 동안 빛을 차단하여 처리하였다. 이후 LTR FortessaTM 유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종양 조직내의 M1/M2 마크로파지 비율 및 CD45+ leukocyt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성대조군(10 mg/kg) 단독,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단독, 및 양성대조군(10 mg/kg) +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kg) 병용 투여를 진행하였을 때 병용 투여군의 종양 조직 내의 M1/M2 마크로파지의 비율이 단독 투여 대비 증가하였으며 종양 조직내로 침투하는 CD45+ 종양침윤림프구(TIL) 또한 단독 투여 대비 병용 투여 군에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5b).
실험예 6A. 건강한 정상인 및 폐암 환자 마크로파지의 RON 유전자형 분석
건강한 정상인(8건) 및 폐암 환자(17건)로부터 얻은 PBMC를 24-well plate에 1% penicillin/streptomycin 및 10% 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RPMI-1640 배양 배지에 50 ng/ml human M-CSF와 20 ng/ml IL-4를 첨가하여 10일간 배양을 통해 마크로파지 분화 유도 후 마크로파지 세포 펠렛을 수확하였다. 각 세포 펠렛은 trizol 및 chlorofor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고 nano-drop 기기를 이용하여 RNA의 농도 및 qualilty를 측정하였다. cDNA는 총 RNA 1 μg으로 AccuPower® RT PreMix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RT-PCR은 Veriti 96well Thermal cycler(Applided Biosystems)에서 수행되었고 주형 증폭을 위해 Gold Multiplex PCR premix에 cDNA 1 μl,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각각 1 μl씩 첨가 후 증류수로 총 20 μl 부피를 맞추고 denaturation은 94℃에서 45초, annealing은 60℃에서 45초, elongation은 72℃에서 45초로 총 35회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RON 프라이머는 서열은 정방향: ATCTGTGGCCAGCATCTAAC, 역방향: CTTGGTATCCTGCTGCCTTT이고, GAPDH 프라이머 서열은 정방향: GGACTGAGGCTCCCACCTTT, 역방향: CCTGCAGCGTACTCCCCACA이며(표 1), GAPDH는 로딩 컨트롤로 사용하였다. RT-PCR 산물을 1% 아가로스 젤에서 전기영동 확인 후 PCR purification kit를 이용하여 정화하여 생어 염기서열 분석법(sanger sequencing)을 통해 RON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서열번호 이름 서열 (5' to 3')
1 RON 정방향 프라이머 ATCTGTGGCCAGCATCTAAC
2 RON 역방향 프라이머 CTTGGTATCCTGCTGCCTTT
3 GAPDH 정방향 프라이머 GGACTGAGGCTCCCACCTTT
4 GAPDH 역방향 프라이머 CCTGCAGCGTACTCCCCACA
그 결과, 건겅한 정상인 8건의 마크로파지 중 3건은 RON 발현이 확인되지 않았고 5건은 정상형 RON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폐암 환자 17건의 마크로파지 중 12건은 정상형 RON 유전자가 확인돠었고 5건은 RON 변이체 유전자가 확인되었다(도 6a).
실험예 6B. 실시예 1의 화합물 또는 MSP 유무에 따른 M1 마크로파지 마커(CXCL10)와 M2 마크로파지 마커(ARG-1 및 MRC-1)의 발현 확인
정상형 RON 마크로파지 및 RON 변이체 마크로파지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이 MSP의 유무에 따라 M1 마크로파지 또는 M2 마크로파지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예 6B를 수행하였다.
실험예 6A에서 확인한 폐암 환자의 마크로파지 중 정상형 RON과 변이체 마크로파지에 50 ng/ml MSP 또는 50 nM 실시예 1의 화합물을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확하였다. 각 세포 펠렛은 trizol 및 chloroform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고 nano-drop 기기를 이용하여 RNA의 농도 및 qualilty를 측정하였다. cDNA는 총 RNA 1 μg으로 AccuPower® RT PreMix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Real-time PCR은 LightCycler® 480에서 수행하였고 주형 증폭을 위해 SFCgreen® Fast qPCR Master Mix 2X 10 μl, cDNA 2 μl,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각각 1 μl씩, 증류수를 6 μl를 첨가하여 총 부피가 20 μl가 되도록 하였다. 사용된 ARG-1 프라이머 서열은 정방향: GTGAAGAACCCACGGTCTGT, 역방향: GCCAGAGATGCTTCCAACTG이고, MRC-1 프라이머 서열은 정방향: AGCCAACACCAGCTCCTCAAGA, 역방향: CAAAACGCTCGCGCATTGTCCA이며, CXCL10 프라이머 서열은 정방향: GAAAGCAGTTAGCAAGGAAAGGTC, 역방향: ATGTAGGGAAGTGATGGGAGAGG이고, GAPDH 프라이머 서열은 정방향: GGACTGAGGCTCCCACCTTT, 역방향: CCTGCAGCGTACTCCCCACA이며(표 2), 모든 발현 증폭 수준은 각 샘플에서 GAPDH 증폭값으로 보정하였다. Real-time PCR의 정량화는 LightCycler® 480 시스템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이름 서열 (5' to 3')
5 ARG-1 정방향 프라이머 GTGAAGAACCCACGGTCTGT
6 ARG-1 역방향 프라이머 GCCAGAGATGCTTCCAACTG
7 MRC-1 정방향 프라이머 AGCCAACACCAGCTCCTCAAGA
8 MRC-1 역방향 프라이머 CAAAACGCTCGCGCATTGTCCA
그 결과, 정상형 RON 마크로파지에서 MSP 의존적으로 M2 마크로파지 마커가 증가하고 M1 마크로파지 마커가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해 M2 마크로파지 마커가 감소하고 M1 마크로파지 마커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RON 변이체 마크로파지는 MSP와는 무관하게 실시예 1의 화합물에 의해 M2 마크로파지 마커는 감소했으며 M1 마크로파지 마커는 증가하였다(도 6b).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는 AMP-224, AMP-514,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세미플리맙, 스파르탈리주맙, 도스탈리맙, 피딜리주맙, 피미발리맙, 캄렐리주맙, 신틸리맙, 티스렐리주맙, 토리팔리맙, BGB-A317, PF-06801591, PDR001, TSR-042, MGA012, IBI308 및 BI 75409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항-PD-1 항체의 투여량 비는 1:1 내지 5:1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고형 종양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방광암, 골암, 혈액암, 흑색종양,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골수암, 직장암, 인후암, 후두암, 식도암, 설암, 뇌종양, 담낭암, 담도암, 구강암, 항문 부근암, 결장암, 위암, 전립선암, 자궁암, 난소암, 신장암, 췌장암, 간암, 대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갑상선암 및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용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1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항-PD-1 항체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것을 지시하는 취급 설명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KR1020230045451A 2022-04-06 2023-04-06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44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907 2022-04-06
KR20220042907 2022-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484A true KR20230144484A (ko) 2023-10-16

Family

ID=8824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451A KR20230144484A (ko) 2022-04-06 2023-04-06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4484A (ko)
WO (1) WO20231958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742B1 (ko) * 2016-08-30 2023-02-10 다나-파버 캔서 인스티튜트 인크. 약물 전달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5916210A (zh) * 2020-05-18 2023-04-04 伟迈可生物有限公司 用于预防或治疗与ron突变相关的小细胞肺癌的药物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20230242521A1 (en) * 2020-05-18 2023-08-03 Wellmarker Bio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CN116390729A (zh) * 2020-05-18 2023-07-04 伟迈可生物有限公司 用于预防或治疗与ron突变相关的非小细胞肺癌的药物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2653960B1 (ko) * 2020-07-23 2024-04-03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암 치료를 위한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의 병용 요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agh PK. et. al. Adv Cancer Res.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807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679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associated with kras mutation
JP6703075B2 (ja) Rhoキナーゼ阻害剤
RU2686323C2 (ru) 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fasn
JP4667537B2 (ja) アシルチオウレア化合物又はその塩、及びその用途
KR102388312B1 (ko) 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A122221C2 (uk) 4Н-ПІРОЛО[3,2-c]ПІРИДИН-4-ОНОВІ ПОХІДНІ
KR20180083421A (ko)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의학적 용도
KR20160132470A (ko) 피페리딘-다이온 유도체
EA020144B1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ид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HU229549B1 (en) Substituted 3-cyano quinolines, process for producing them and use of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4011885A1 (en) Oxo-pyridine fusion ring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20060281763A1 (en) Carboxamide inhibitors of TGFbeta
JPWO2015151490A1 (ja) 新規な三環性キノン誘導体
KR20170029495A (ko)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메틸기를 갖는 피리돈 유도체
EP3888652A1 (en) Heterocyclic compound
EP415489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mall-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nts and method using same
EP415489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KR20160068957A (ko) Ror-gamma-t의 메틸렌 결합 퀴놀리닐 조절제
JP6391687B2 (ja) Rorγtのヘテロアリール結合キノリニルモジュレーター
EP415489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KR20230144484A (ko)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30012A1 (en) Compounds for mutant kras protein degradation and uses thereof
CN113214230B (zh) 2-取代吡唑氨基-4-取代氨基-5-嘧啶甲酰胺类化合物、组合物及其应用
US11529321B2 (en) Use of aminomethylenecyclohexane-1,3-dione compound
KR20230144483A (ko)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