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483A -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483A
KR20230144483A KR1020230045431A KR20230045431A KR20230144483A KR 20230144483 A KR20230144483 A KR 20230144483A KR 1020230045431 A KR1020230045431 A KR 1020230045431A KR 20230045431 A KR20230045431 A KR 20230045431A KR 20230144483 A KR20230144483 A KR 2023014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n
oxo
oxy
carboxamide
fluoro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늘
김민화
고은희
류현
신지민
고지현
배승건
Original Assignee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4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06Pharmacogenomics, i.e. genetic variability in individual responses to drugs and drug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RON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두경부암 환자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약학 조성물은 종래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세툭시맙 등에 내성이 있으며, RON△155, RON△160 또는 RON△165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D AND NECK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본 발명은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은 전세계적으로 매년 600,000명 정도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 6번째로 흔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란 뇌 아래에서 가슴 윗 부분 사이를 말하고, 두경부에는 비강, 혀, 입, 후두, 침샘 등 음식을 먹거나 목소리를 내는 등의 기능을 하는 기관이 있으며 이런 기관에 생긴 암을 두경부암이라고 통틀어 말한다.
세툭시맙(Cetuximab)은 상기 두경부암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치료제로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암세포에서 EGFR이 과발현되는데, 상기 항체는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그러나, 상기 세툭시맙에 내성을 갖는 환자는 세툭시맙을 이용할 수 없다. 세툭시맙에 내성을 가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 돌연변이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RON의 활성 여부는 종양의 발생, 진행 및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RON의 과발현 또는 과활성은 종양의 침윤 및 전이를 유도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RON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RON과 관련된 여러 질환, 특히 두경부암과 같은 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은 c-MET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 수용체로서, 간에서 분비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혈청 단백질(Macrophage-stimulating protein; MSP)의 수용체이다. 세툭시맙과 같은 항암 치료의 효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RON의 돌연변이 여부로 암 환자의 약물의 반응 및 생존 기간을 의미 있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해서, 종래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는 RON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암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항암제가 필요하다.
Zhou YQ et al., Oncogene 2003, 22(2): 186-197
본 발명의 목적은 RON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발명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이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RON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두경부암 환자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약학 조성물은 종래 항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세툭시맙 등에 내성이 있으며, RON△155, RON△160 또는 RON△165에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돌연변이 RON△15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CAL27 세포주와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 세포주에서 RON siRNA를 처리한 후 세포 사멸율과 이러한 세포사멸이 카스파제(caspase)에 의존적으로 일어나는 아폽토시스(apotosis)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4종의 두경부암 세포주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 및 양성대조군을 처리한 후 RON 유전자형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4종의 두경부암 세포주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 및 양성대조군을 처리한 후 RON 유전자형에 따른 세포사멸 효능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인간 유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을 3 mg/kg, 10 mg/kg 또는 3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인간 유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 실시예 1의 화합물을 3 mg/kg, 10 mg/kg 또는 3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후, 종양 조직을 면역화학염색한 것이다.
도 6은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환자 유래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0 mg/kg, 30 mg/kg 또는 5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후, 종양의 성장율을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 서열을 분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상기 C1-10알킬은 C1-6알킬, C1-3알킬, C3-10알킬, C3-6알킬, C6-10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10알콕시는 C1-6알콕시, C1-3알콕시, C3-10알콕시, C3-6알콕시, C6-10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4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4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 5 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 5 또는 6원의 헤테로사이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C(-R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를 형성하고;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R6과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아제티딘일, 디아제티딘일, 피롤리딘일, 피롤릴, 이미다졸리딘일, 이미다졸릴, 피라졸리딘일, 피라졸릴, 옥사졸리딘일, 옥사졸릴, 이속사졸리딘일, 이속사졸릴, 티아졸리딘일,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리딘일, 이소티아졸릴, 피페리딘일, 피리딘일, 피페라진일, 디아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아제판일, 디아제판일, 또는 이들에 C1-6알킬이 치환된 헤테로사이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 -C2H4- 또는 -C3H6-일 수 있다. 또한 R9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톡시,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거나, 또는 R6과 R7은 서로 결합하여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7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이고;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5는 H 또는 할로겐이고;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일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으며, 이때 R3 및 R4는 동시에 H가 아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5에서 R1 내지 R5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렌이고; A는 -N(-R9)- 또는 -O-이고, R9는 C1-6알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5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또한, R4는 할로겐, 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다. 또한, R5는 H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또한, Ra 및 Rb는 이들이 결합된 N 및 A와 함께 모폴리노 또는 메틸피페라진일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6) t-부틸 {[6-(7-{4-[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도]-2-플루오로페녹시}티에노[3,2-b]피리딘-2-일)피리딘-3-일]메틸}(2-메톡시에틸)카바메이트;
7)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8)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9) N-(3-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0)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1) 1-(4-플루오로페닐)-4-메톡시-N-(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3) 1-(4-클로로페닐)-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톡시-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4)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5)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6)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3-메톡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1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5-메틸-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5-메틸-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1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3-옥소-2-페닐-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0)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2,3-디히드로피리다진-4-카르복스아미드;
21)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6-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2)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6-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3) 5-브로모-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4) 5-클로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5)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4-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6) N-(2-클로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7)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6-디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8)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메틸-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29) 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5-메틸-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0)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2)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3) 4-에톡시-N-{3-플루오로-4-[(2-{5-[(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4)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5) 1-(4-클로로페닐)-4-에톡시-N-[3-플로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36) N-[3-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37) N-[2-클로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기타 공지된 방법 및/또는 유기합성 분야의 기술에 근간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을 기초로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들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6 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화학식 6]
.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상기 C1-6 알킬은 C1-3 알킬, C3-6 알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1-6 알콕시는 C1-3 알콕시, C3-6 알콕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여기서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플루오로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플루오로이고, R4는 수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6 알킬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이미다졸릴, 또는 피라졸릴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란일, 모폴리노, 모폴리닐, 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또는 옥세탄일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또는 사이클로헥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아릴 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 하나 이상의 N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N 원자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1 및 R2는 수소, C1-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이고, R3 및 R4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며, X는 O 또는 -CH(-Rx)-이고, Rx는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A는 퀴놀린, 퀴나졸린, 피리딘, 피리미딘, 티에노피리딘, 피롤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딘, 이미다조피리딘, 피롤로피리미딘, 디히드로피롤로피리미딘, 퓨로피리딘, 피라졸로피리미딘, 퓨린 또는 인다졸이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상기 아미노, 상기 알킬, 상기 알콕시, 상기 아릴 및 상기 헤테로아릴은 각각 독립적으로 C1-6 알킬;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동시에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가 아릴, 헤테로아릴 등의 고리를 포함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동시에 포함하지는 않을 수 있다. 또한 R5가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등의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치환될 경우, R6는 이들 고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R5는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이고, R6는 수소, 니트로,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일 수 있다. 이때 R5는 C1-6 알킬; 또는 C1-6 알콕시-C1-6 알킬아미노,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및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된 C1-6 알킬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R6는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6에서,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시아노, C1-4 할로알킬, C1-6 알킬,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Ax-(CH2)a-L1-(CH2)b-L2-, 또는 Ax-(CH2)a-L1-(CH2)b-L2-피리디닐이고, Ax는 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6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O-, -NH-, -C(=O)-NH-, 또는 -NH-C(=O)-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b가 0인 경우에 L2는 단일결합이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C1-6 알킬, 메톡시, 메톡시메틸, 디메틸아미노, 및 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 및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40)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1)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2)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3) N-(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6-옥소-5-(3-플루오로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4) N-(3-플루오로-4-((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5) N-(3-플루오로-4-((7-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6) N-(4-((6,7-디메톡시퀴나졸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7) N-(4-((6-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8) N-(3-플루오로-4-((7-메톡시-6-(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49) N-(4-((6-(디메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0)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1) N-(4-((6-(에틸카르바모일)-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2) N-(4-((6-아세트아미도-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53)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6)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7)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78)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79)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6-옥소-5-페닐-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0)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4)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5)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6)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7) N-(4-((7-(3-(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8)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8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틸아제티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0)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1)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2)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롤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4) N-(3-플루오로-4-((7-(3-(3-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5) N-(4-((7-(3-(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6)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7)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8) N-(3-플루오로-4-((7-(3-(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99)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0)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1) N-(3-플루오로-4-((6-메톡시-7-(3-(4-옥소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2) N-(4-((7-(3-(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3) N-(3-플루오로-4-(6-메톡시-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4) N-(3-플루오로-4-((7-(3-(4-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5) N-(4-((7-(3-(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6) N-(3-플루오로-4-((6-메톡시-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7) N-(4-((7-(3-(4,4-디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8)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09) N-(3-플루오로-4-((6-메톡시-7-(3-((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0)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1) N-(3-플루오로-4-((6-메톡시-7-(3-((옥세탄-3-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2)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3)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4) N-(3-플루오로-4-((7-(3-(((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5)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6) N-(3-플루오로-4-((6-메톡시-7-(3-(((테트라히드로-2H-파이란-4-일)메틸)아미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7)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1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0)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2)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4) N-(4-((7-(2-(3,3-디플루오로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5) N-(4-((7-(2-(3-에티닐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6)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7) N-(4-((7-(2-(3,3-디메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8) N-(4-((7-(2-(3-(디메틸아미노)아제티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29)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0)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2)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롤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3) N-(3-플루오로-4-((7-(2-(3-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4) N-(4-((7-(2-(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5)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6)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7)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8)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3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0) N-(3-플루오로-4-((6-메톡시-7-(2-(4-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1) N-(3-플루오로-4-((6-메톡시-7-(2-(3-옥소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2) N-(4-((7-(2-(1,1-디옥시도티오모폴리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3) N-(3-플루오로-4-((6-메톡시-7-(2-(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4) N-(3-플루오로-4-((7-(2-(4-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5) N-(4-((7-(2-(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7) N-(4-((7-(2-(4,4-디메틸피페리딘-1-일)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8)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49) N-(3-플루오로-4-((6-메톡시-7-(2-((3-메톡시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0)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1) N-(3-플루오로-4-((6-메톡시-7-(2-((옥세탄-3-일메틸)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2) N-(3-플루오로-4-((7-(2-((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3)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4) N-(3-플루오로-4-((7-(2-(((3-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메틸)아미노)에톡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5) N-(3-플루오로-4-((6-메톡시-7-(2-((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6) N-(3-플루오로-4-((6-메톡시-7-(2-((4-메톡시사이클로헥실)아미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7) N-(3-플루오로-4-((7(2-모폴리닐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8)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59)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2-(4-플루오로페닐)-3-옥소-3,5,6,7-테트라히드로-2H-사이클로펜타[c]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160) N-(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1) 7-(2-(3-플루오로-4-((7-(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2) 7-(2-(3-플루오로-4-((7-(3-(4-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아세틸)-5-(4-플루오로페닐)-3,5-디히드로퓨로[3,2-c]피리딘-6(2H)-온;
163)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4) N-(3-플루오로-4-((6-(메틸카르바모일)-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5) N-(3-플루오로-4-((6-메톡시-7-(메틸카르바모일)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6) N-(3-플루오로-4-((7-(메틸카르바모일)-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7)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8) N-(3-플루오로-4-((6-플루오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69) N-(3-플루오로-4-((7-(2-모폴리노에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0) N-(3-플루오로-4-((7-(3-모폴리노프로폭시)-6-(트리플루오로메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1) N-4-((6-클로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2) N-4-((6-클로로-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3) N-(4-((6-시아노-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4) N-(4-((6-시아노-7-(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7) N-(3-플루오로-4-((6-(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8) N-(3-플루오로-4-((6-(3-모폴리노프로폭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79) N-(4-((6-아미노-7-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0)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판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1) N-(4-((7-아미노-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2)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아세트아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3)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파나미도)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4) N-(4-((7-아세트아미도-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5) N-(3-플루오로-4-((7-메톡시-6-((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6) N-(3-플루오로-4-((7-메톡시-6-((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187)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틸)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및
188) N-(3-플루오로-4-((6-메톡시-7-((3-모폴리노프로필)아미노)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들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당업자라면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반응식은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조 단계별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 6의 여러 화합물들은 이하 제조 단계에서 사용되는 시약과 용매를 변경하거나 반응 순서를 바꿔 제조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래 반응식 1 및 2의 절차에 따라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X는 상기 화학식 6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1은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 1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화합물(2)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Formylation) 반응에 의하여 화학식(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반응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포름화된 락톤 화합물(3)과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을 이용하여 화합물(4)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무수 조건하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N,N-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상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4)을 나트륨 에톡시드 존재 하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원형화(cyclization)된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한다.
또는, 원형화된 화합물(5)를 제조하기 위해 단계 4에서와 같이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락톤 계열의 화합물(2)를 출발물질로 하여 사염화티타늄과 피리딘의 존재 하에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에틸-3-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6)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며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냉온 내지 상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온에서 시작하여 상온에서 수행한다.
이후 단계 5에서,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합물(6)을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이용하여 포르밀화 반응(formylation)과 원형화에 의하여 화합물(5)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온 및 고온 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6에서는, 상기 단계 3과 단계 5에서 제조한 원형화된 화합물(5)을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반응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나 수산화리튬 수용액과 같은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수산화리튬 수용액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에탄올, 메탄올, 데트라하아드로퓨란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하여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제조한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R1 내지 R6, X 및 Y는 상기 화학식 6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이탈기이다.
상기 반응식 2는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화합물(10)은 상기 화학식 6에서 L이 -NH-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단계 1에서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환 또는 이환 화합물(7)을 탄산칼륨 등의 염기 존재 하에서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니트로 페놀 화합물과 반응시켜 페녹시 화합물(8)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페놀 화합물의 에테르 생성 반응으로 에테르 생성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예로는 나트륨수화물(NaH),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세슘, 나트륨 또는 칼륨 알콕사이드(alk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 에테르, 톨루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페닐에테르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니트로 페놀 화합물(8)을 철과 염화암모늄 존재 하에서 환원하여 아민 화합물(9)을 제조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니트로 화합물의 아민으로의 환원 반응으로 수소, 철, 주석(±염화물, 아연 등 다양한 환원제(reducing agent)를 사용하여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하며, 반응에 따라 물을 조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온 하에서 수행한다.
단계 3에서는,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아민 화합물(9)과 반응식 1에서 제조된 카르복실산 화합물(6a)을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을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일반적인 아미드화 반응(amidation reaction)을 통해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 시약으로는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EDC), 1,3-디사이클로헥실 카르보이미드(DCC), 1,1-카르보닐 디이미다졸(CDI),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등을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아미드화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염기인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 N-메틸모폴린 또는 디메틸페닐아민 등의 존재 하에서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응은 상온 내지 가온 하에 수행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0)을 제조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생성된 목적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관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10 알킬"은 1 내지 10개 탄소로 골격이 이루어진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1-10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t-펜틸, sec-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할로알킬은 동종의 할로겐이 2개 이상 치환되거나 2종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알킬일 수 있다.
용어 "알콕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앞에 정의한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화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기의 알킬 부분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O-CH3 또는 -OMe), 에톡시(-OCH2CH3 또는 -OEt), t-부톡시(-O-C(CH3)3 또는 -O-tBu) 등이 있다.
용어 "아릴"은 모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릴기는 6 내지 20개의 탄소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원자, 또는 6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중에 탄소원자만을 포함하는 포화 모노사이클 또는 폴리사이클을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은, 모노사이클로서는 3 내지 7개의 탄소원자를, 바이사이클로서는 7 내지 12 탄소원자를, 폴리사이클로서는 최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피리디닐, 피롤릴,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퓨리닐, 퓨라닐, 티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카르바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다질, 피리미딜, 피라질(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의 고리를 의미하며,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고, 단일고리 또는 다중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헤테로원자 및 탄소원자를 포함하여 총 4 내지 10개의 원자로 골격이 이루어진 헤테로사이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은 아제티딘, 디아제티딘, 피롤리딘, 피롤,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 피라졸리딘, 피라졸, 옥사졸리딘, 옥사졸, 이속사졸리딘, 이속사졸, 티아졸리딘, 티아졸, 이소티아졸리딘, 이소티아졸, 피페리딘, 피리딘, 피페라진, 디아진, 모폴린, 티오모폴린, 아제판, 디아제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릴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이중 결합의 존재로 인해 고리가 방향성(Aromatic)을 갖지 않는 범위에서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헤테로원자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제티딘일, 아지리딘일, 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호모피페라진일, 모폴리노, 티오모폴리노, 테트라히드로퓨란일, 테트라히드로티오퓨란일, 테트라히드로피란일, 피란일(이들은 고리에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음)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탄소(C) 이외의 원자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질소(N), 산소(O) 또는 황(S) 원자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1개, 1개 내지 2개, 1개 내지 3개, 또는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치환"은, 지정된 원자 상의 원자가(Valence)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치환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이 되도록, 분자 구조체 내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룹 A가 치환기 B로 치환"된다거나 또는 "그룹 A가 치환기 B를 갖는다"는 것은, 그룹 A의 골격을 구성하는 탄소 등의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치환기 B로 대체되어, 그룹 A와 치환기 B가 공유 결합을 형성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탈리가 가능한 수소 원자를 갖지 않는 그룹은 치환기를 갖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렵거나 불가능하고, 이에 본 명세서에서 치환기를 가지기 어려운 그룹을 포함하는 다양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의 범위를 예시하는 경우에는, 치환기 불가능한 것이 자명한 그룹과 치환기의 조합은 그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두경부"는 뇌 아래에서 가슴 윗 부분 사이를 말하고, 두경부에는 비강, 혀, 입, 후두, 침샘 등 음식을 먹거나 목소리를 내는 등의 기능을 하는 기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두경부암"은 두경부에 위치하는 기관에 생긴 암을 지칭한다. 두경부암은 예를 들어, 비강암, 부비동암,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암, 경부 식도암, 침샘암, 타액선암 및 설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암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두경부암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두경부암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및 파니투무맙(Panitumuma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은 인간의 MST1R(Macrophage stimulating 1 receptor)유전자에 암호화된 단백질이다. RON은 c-MET 계열에 속하는 단백질 수용체로서, 간에서 분비되며 대식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혈청 단백질(Macrophage-stimulating protein; MSP)의 수용체이다. 세포 표면에서의 리간드 결합은 세포 내 도메인에서 RON이 인산화를 유도하여 하류 신호 전달 분자를 위한 도킹 사이트를 제공한다. RON의 신호는 상피세포 이동, 증식 및 상처 부위에서의 생존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대식세포의 이동 및 식균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선천적 면역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또한, RON은 또한 MST1 리간드 이외의 성장 인자에 반응하여 세포 이동 및 증식과 같은 신호를 촉진할 수 있다. RON은 주로 간, 폐, 내장, 신장, 뇌, 뼈, 부신, 피부 등의 상피세포에서 발현한다.
상기 RON가 돌연변이된 형태는 두경부암, 비소세포 폐암(NSCLC), 소세포 폐암(SCLC), 췌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연변이된 RON은 서열번호 1, 2 또는 3의 염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MST1R 유전자"는 MST1 리간드에 결합함으로써 세포질로 신호를 전달하는 티로신 키나아제 수용체다. 세포의 생존, 이동 및 분화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RON△155의 cDNA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RON△160의 cDNA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 RON△165의 cDNA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내성"은 해당 약물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아니하여 약물의 효능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EGFR 표적 치료제"는 EGFR을 표적(Target)으로 하는 항암제를 의미하며,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한, 어떠한 EGFR 표적 치료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또는 파니투무맙(Panitumumab)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맙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생물학적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닌 물질, 즉 어떤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야기하거나 그것이 포함되어 있는 약학 조성물의 어떤 다른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상기 조성물과 함께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인간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하며, 모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임의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 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산으로는 무기 산 또는 유기 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무기 산은 염산, 황산, 질산, 인산, 과염소산, 브롬산 등일 수 있고, 유기 산은 아세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론산, 프탈산, 석신산, 락트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말산, 옥살산, 벤조산, 엠본산,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등)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칼륨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미용해된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및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키랄 탄소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 화합물,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개개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는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무독성 및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각각 물 및 알코올성 용매(특히, 에탄올 등)의 1 내지 5개의 분자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7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로 배합되는 통상적이고 무독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의 예는 감미제, 결합제, 용매, 용해 보조제, 습윤제, 유화제, 등장화제, 흡수제, 붕해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윤활제, 활택제, 충전제, 향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글리신,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스테아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검, 알긴산, 나트륨 알기네이트,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한천, 물, 에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오렌지 에센스, 딸기 에센스, 바닐라 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예컨대, 정제, 환제, 산제, 캡슐제, 시럽 또는 에멀젼) 또는 비경구 투여(예컨대,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주사)를 위한 다양한 제제 형태로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제로 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셀룰로스, 칼슘 실리케이트,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칼슘 포스페이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 활석,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택제(Glidant)의 예로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uim Sillicate) 등이 있고; 희석제(Diluent)의 예로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락토오스 Fast Flo(등록상표) 락토오스 무수물(Lactose Anhydrous), 락토오스 1수화물(Lactose Monohydrate), 규화(Silicified) MCC HD 90 등이 있으며, 붕해제(Disintegrant)의 예로는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Croscarmellose Sodium),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등이 있고; 윤활제(Lubricant)의 예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이 있다.
또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두경부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두경부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여기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 또는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으로서,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약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물질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또는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kg 당 약 0.1 mg 내지 약 1,000 mg, 또는 약 5 mg 내지 약 2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면역요법, 호르몬 치료, 골수 이식, 줄기세포 대체치료, 다른 생물학적 치료, 수술적 개입 또는 이들의 조합과 병용하여 종양 요법을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다른 치료 전략과 함께 보조 요법으로 사용되거나, 중증 환자에서 종양 퇴행 또는 화학 예방 요법 후 환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유효성분은 항-증식 화합물, 예컨대, 아로마타제 저해제, 항-에스트로겐, 토포이소머라제 I 저해제, 토포이소머라제 II 저해제, 미세소관 활성 화합물, 알킬화 화합물,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저해제, 세포 분화 과정을 유도하는 화합물, 시클로옥시게나제 저해제, MMP 저해제, mTOR 저해제, 항-신생물, 항-대사물질, 백금계 화합물, 단백질 또는 지질 키나제 활성을 표적화/감소시키는 화합물, 항-혈관 신생 화합물, 단백질 또는 지질 포스파타제의 활성을 표적화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저해하는 화합물, 고나도렐린 효능제, 항-안드로겐, 메티오닌 아미노펩티다제 저해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생물학적 반응 개질제, 항-증식성 항체, 헤파라나제 저해제, Ras 종양원성 이소형의 저해제, 텔로머라제 저해제, 프로테아솜 저해제, 혈액계 악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Flt-3의 활성을 표적화하거나 감소시키거나 저해하는 화합물, Hsp90 저해제, 키네신 스핀들 단백질 저해제, MEK 저해제, 류코보린, EDG 결합제, 항-백혈병 화합물, 리보뉴클레오티드 리덕타제 저해제, S-아데노실메티오닌 데카르복실라제 저해제, 지혈성 스테로이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다른 화학요법 화합물, 또는 광감작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가의 유효성분은 공지의 항암제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NA 알킬화제(DNA alkylating agents)로 메클로에타민(Mechloethamine), 클로람부칠(Chlorambucil),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무스타드(Mustard),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부술판(Busulfan), 티오테파(Thiotepa), 시스플라틴(Cisplatin) 및 카보플라틴(Carboplatin); 항암 항생제(Anti-cancer antibiotics)로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actinomycin D), 독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및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및 식물 알카로이드(Plant alkaloids)로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시드(Etopos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및 이리노테칸(Irinotecan)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또는 파니투무맙(Panitumuma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RON, RON의 돌연변이, 약학 조성물, 투여, 예방, 및 치료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개체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말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 혈액, 혈장, 혈청, 골수액, 림프액, 타액,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RON의 돌연변이와 관련된 질병, 예를 들어 두경부암을 앓는 환자이거나 두경부암을 앓을 가능성이 큰 개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개체에게 항암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시, 개별, 또는 순차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투여 방법은 예를 들어,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내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다회, 또는 1주일에 1회,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또는 4주일에 1회 내지 1년에 1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항암 치료에 적합하다"는 항암 치료에 이용 가능함을 의미하고, "항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은 항암 치료에 이용 가능한 약물로서의 선택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생물학적 시료, RON, RON의 돌연변이, 약학 조성물, 개체, 예방, 및 치료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두경부암,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
단계 1: 3-((디메틸아미노)메틸렌)-디히드로퓨란-2-(3H)-온의 합성
감마-부티로락톤(2.69 mL, 35.0 mmol)과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11.62 mL, 87.5 mmol)을 교반한 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230℃ 온도에서 70분 이상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과량의 디메틸디메톡시아세탈을 제거하였다. 디에틸에테르로 고체화하고, 침전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면서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2.9 g, 수율: 59%, 갈색빛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13 (s, 1H), 4.24 (t, J = 7.5 Hz, 2H), 3.11 (t, J = 7.5 Hz, 2H), 3.03 (s, 6H); 1H NMR (500 MHz, DMSO-d6) δ 7.00 (t, J = 1.5 Hz, 1H), 4.11 (t, J = 7.5 Hz, 2H), 3.06 (t, J = 7.5 Hz, 2H), 3.00 (s, 3H)
단계 2: 3-((디메틸아미노)메틸렌)-2-(3H)-디히드로퓨라닐리덴 에틸 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1.085 g, 7.68 mmol)을 8 ㎖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트리에틸옥소늄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염(1.729 g, 7.68 mmol)을 첨가하고 1일 이상 상온에서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핵자기공명기로 출발 물질과 생성 물질이 약 15:85의 비율로 생성됨을 확인하고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93 (s, 1H), 4.86-4.82 (m, 2H), 4.51 (q, J = 7.0 Hz, 2H), 3.33 (s, 3H), 3.30 (t, J = 8.5 Hz, 2H), 3.26 (s, 3H), 1.36 (t, J = 7.0 Hz, 3H)
단계 3: 에틸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비정제 혼합물(1.96 g)을 10 ㎖의 에탄올에 녹인 후, 0℃ 온도의 수조에서 나트륨 에톡시드(20 wt%의 에탄올 용액, 2.56 ㎖, 6.53 mmol)를 첨가한 후, 서서히 상온까지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에틸 3-((4-플루오로페닐)아미노)-3-옥소프로피오네이트(1.47 g, 6.5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잔여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00 mg, 수율: 39% (단계 2 및 단계 3 총수율 기준) /46% (단계 3 수율 기준), 노란색 고체)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7.70 (t, J = 1.5 Hz, 1H), 7.42-7.40 (m, 2H), 7.34-7.31 (m, 2H), 4.74 (t, J = 8.0 Hz, 2H), 4.17 (q, J = 7.0 Hz, 2H), 3.05 (td, J = 8.0 Hz, 2H), 1.21 (t, J = 7.0 Hz, 3H)
단계 4: 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실산의 합성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0.9 g, 2.97 mmol)을 10 ㎖의 에탄올과 5 ㎖의 증류수에 녹인 후,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49 mg, 5.94 mmol)을 첨가하고 50℃온도로 가온하여 4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물층에 1N 염산 용액을 첨가한 뒤, 물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한 잔여물에 소량의 디클로로메탄과 디에틸에테르로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한 뒤, 여과된 고체를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680 mg, 수율: 84%, 미색의 고체)를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4.5 (bs, OH), 7.97 (s, 1H), 7.54-7.51 (m, 2H), 7.41-7.37 (m, 2H), 4.90 (t, J = 8.5 Hz, 2H), 3.11 (td, J = 8.5, 1.0 Hz, 2H)
실시예 1: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66 (s, 1H), 8.81 (s, 1H), 8.60 (d, J = 5.0 Hz, 1H), 8.48 (s, 1H), 8.43 (d, J = 5.0 Hz, 1H), 8.23 (d, J = 5.0 Hz, 1H), 7.96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2-7.45 (m, 4H), 7.39-7.36 (m, 2H), 6.83 (d, J = 5.0 Hz, 1H), 6.53 (d, J = 10.0 Hz, 1H), 4.44 (s, 2H), 4.26 (qt, J = 5.0 H, 2H), 3.96-3.94 (m, 2H), 3.77 (t, J = 10.0 Hz, 2H), 3.32-3.30 (m, 2H), 3.14 (qt, J = 10.0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2: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70 (brs, 1H), 9.50 (brs, 2H), 8.80 (s, 1H), 8.69 (d, J = 5.0 Hz, 1H), 8.47 (s, 1H), 8.44 (d, J = 5.0 Hz, 1H), 8.22 (dd, J = 10.0 and 5.0 Hz, 1H), 7.99 (d, J = 10.0 Hz, 1H), 7.88 (d, J = 5.0 Hz, 1H), 7.57-7.40 (m, 7H), 6.97 (d, J = 5.0 Hz, 1H), 6.53 (d, J = 5.0 Hz, 1H), 4.29-4.25 (m, 4H), 3.65 (t, J = 5.0 Hz, 2H), 3.31 (s, 3H), 3.16-3.12 (m, 2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3: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염산염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1689호의 실시예 34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0.68 (s, 1H), 8.82 (brs, 1H), 8.61 (d, J = 5.0 Hz, 1H), 8.47 (s, 1H), 8.41 (d, J = 5.0 Hz, 1H), 8.23 (s, 1H), 7.97 (d, J = 15.0 Hz, 1H), 7.87 (d, J = 5.0 Hz, 1H), 7.56-7.46 (m, 5H), 7.42-7.40 (m, 2H), 6.86 (d, J = 5.0 Hz, 1H), 6.52 (d, J = 5.0 Hz, 1H), 4.26 (qt, J = 5.0 H, 2H), 3.93 (brs, 8H), 3.58 (brs, 2H), 2.81 (s, 3H), 1.31 (t, J = 5.0 Hz, 3H)
실시예 4: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5730호의 실시예 78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1.89 (s, 1H), 8.48 (d, J = 5.0 Hz, 1H), 8.00 (d, J = 10.0 Hz, 1H), 7.88 (s, 1H), 7.54-7.49 (m, 3H), 7.45-7.37 (m, 5H), 6.48 (d, J = 5.0 Hz, 1H), 4.85 (t, J = 10.0 Hz, 2H), 4.32 (brs, 2H), 3.95 (s, 3H), 3.63 (brs, 4H), 3.11 (t, J = 10.0 Hz, 2H), 2.52 (m, 2H, partially overlapped with DMSO), 2.50 (m, 4H, overlapped with DMSO)
실시예 5: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표제 화합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5730호의 실시예 88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04 (S, 1H), 8.48 (d, J = 5.2 Hz, 1H), 8.03 (dd, J = 12.4, 2.4 Hz, 1H), 7.57 (s, 1H), 7.40-7.37 (m, 5H), 7.26-7.22 (m, 2H), 7.17 (t, J = 8.8 Hz, 1H), 6.44 (d, J = 5.6 Hz, 1H), 5.01 (t, J = 8.4 Hz, 2H), 4.26 (t, J = 6.4 Hz, 2H), 4.03 (s, 3H), 3.64 (t, J = 11.6 Hz, 4H), 3.20 (t, J = 8.0 Hz, 2H), 2.81 (t, J = 6.8 Hz, 2H), 2.05 (q, J = 6.8 Hz, 3H)
양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의 화합물로서, 미국 등록특허 제8,536,200 B2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 1인 N-{4-[(2-아미노-3-클로로-4-피리디닐)옥시]-3-플루오로페닐}-4-에톡시-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3-피리딘카르복스아미드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BMS-777607로 잘 알려진 RON 저해제이다.
실험예 1. 두경부암 세포주(CAL27: mtRON△155, FaDu: mtRON△155)에서의 mtRON 억제 세포 사멸 효능 및 apotosis 유도 확인
mtRON△155, mt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CAL27, FaDu 세포주에 mtRON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siRNA를 이용하여 발현을 억제한 후 세포 사멸 유도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tRON△155, mt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CAL27(DMEM, 제조회사: welgene, cat no: LM001-05, 배지조성: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 FaDu(MEM, 제조회사: welgene, cat no: LM007-07, 배지조성: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를 계수하여 각각 1X105개의 세포를 60 mm Cell Culture Dish(SPL, cat no: 20060)에 접종(seeding)하여 37℃, 5% CO2 incubator에 보관하였다. 24시간 후 Lipofectamine 2000(Invitrogen, cat no: 11668019)을 이용하여 shRNA(scramble; AAUUCUCCGAACGUGUCACGU UCUC ACGUGACACGUUCGGAGAAUU UU(서열번호 4)), shRON(exon13; CAGCUAGUUCUUCCUCCCAACCUGA UCUCUCAGGUUGGGAGGAAGAACUAGCUG UU (서열번호 5))를 각각 200 pmole씩 처리하였다. 37℃, 5% CO2 incubator에서 보관 후 72시간이 경과한 뒤에 배지를 모두 15 ml cornical tube(SPL, cat no: 50015)에 옮기고, 1X PBS(20X PBS, 제조회사: T&1, cat no: BPB-9121-010LB를 증류수로 20배 희석하여 고압 멸균 후 사용)로 1회 세척한 뒤 0.05% trypsin-EDTA(Welgene, cat no: LS015-09) 1 ml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모두 수거하여 1500 rpm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고 세포를 1X PBS로 재현탁 하여 트리판 블루 용액(trypan blue solution)(Gibco, cat no: 15250061)으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혈구계산판(hemocytometer)을 사용하여 계수하였고 세포 계수는 중복(duplicate)으로 진행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기 위하여 SDS-PAGE를 통해 단백질을 분리한 후, 멤브레인 Immobilion-PVDF(EMD Millipore, Billerica, MA, USA)으로 옮긴 후, 다양한 항체(anti-RON(Santa Cruz), anti-actin(Santa Cruz), anti-cleaved caspase 3(Cell signaling, Beverly, CA, USA))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tRON 발현을 저해한 조건에서 세포 사멸이 유의미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세포사멸은 caspase 의존적으로 일어나는 apoptosis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험예 2. 두경부암 세포주들에서 RON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효능 확인
mtRON△15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Cal-27(DMEM, 제조회사: welgene, cat no: LM001-05, 배지조성: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와 mtRON△165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MEM, 제조회사: welgene, cat no: LM007-07, 배지조성: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 YD-10B, YD-15(RPMI, 제조회사: welgene, cat no: LM011-01, 배지조성: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cin)를 각 웰당 2000~3000개의 세포로 96-웰-플레이트(SPL, cat no: 30096)에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 그리고 양성 대조군(BMS-777607)을 10 μM부터 1/2씩 희석하여 9개 농도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에는 배지에 희석한 약물의 양만큼의 DMSO(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하여 분주하였다. 약물 처리 후 72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새로운 배지를 100 ㎕/well씩 분주한 후 MTS 용액(Promega, cat no: G3582)을 20 ㎕/well씩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Victor X5(Perkinelmer)를 사용하여 1시간 단위로 490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여 음성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간의 비가 8배 이상 정도 되었을 때를 최적으로 판단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GraphPad prism 5를 사용하여 x축은 약물의 농도, y축은 % 상대적 세포 생존율(relative cell viability)로 나타내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을 처리한 돌연변이 RON 유형인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양성 대조군(BMS-777607)에 대비하여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3.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RON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세포 사멸 효능 확인
mtRON△15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Cal-27와 mt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 YD-10B, YD-15 세포주를 계수하여 각각 1~2X105개의 세포를 60 mm cell culture dish에 접종(seeding)하고, 24시간 후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 그리고 양성 대조군(BMS-777607)을 각각 5 μM씩 처리하였다. 48시간 또는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지를 모두 15 ml cornical tube에 옮기고, 1X PBS로 1회 세척한 뒤 트립신(tyrpsin-EDTA)을 처리하여 세포를 모두 수거하였다. 15 ml cornical tube를 1500 rpm에서 4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총 세포 수는 트립판 블루(trypan blue) 염료를 이용하여 혈구계산기로 각각의 시료를 두 번씩 집계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화합물을 처리한 돌연변이 RON 유형인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양성 대조군(BMS-777607)에 대비하여 높은 세포 사멸률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 4. 두경부암 세포주(FaDu: mtRON△165) 이식 동물 모델에서 실시예 1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 효능 확인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 실시예 1의 화합물을 3 mg/kg, 10 mg/kg 및 30 mg/kg 용량으로 투여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5주령 암컷 BALB/c-nude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인간 유래 두경부암 세포주 FaDu(2.5X106 cells/mice)를 PBS에 희석하여 마우스의 오른쪽 배 측면에 피하(100 ㎕)로 주사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화합물을 3, 10 또는 30 mg/k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1일 1회, 4주 동안 투여 진행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합물을 3, 10 또는 3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투여용량에 비례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나아가,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농도별(3 mg/kg, 10 mg/kg, 30 mg/kg)로 투여한 후 종양을 적출하여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두경부암 세포주인 FaDu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약물 반응성 실험을 진행한 후 분리한 종양조직을 이용하여 파라핀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탈 파라핀 작업을 위해 Histo-clear(cat# HS-200)를 이용하여 5분씩 2회 진행하고, citrate buffer(pH6.0)(Cat # CBB999)에 담궈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항원복구 과정을 수행하였다. 상온에서 충분히 식혀준 뒤 Animal-Free Blocker® and Diluent(cat# SP-5035)을 이용하여 블로킹(blocking) 과정을 진행하였다. pTyr-mtRON 항체(anti-CD136(RON)(pY1238/1239) antibody, #MBS 462024), RON(anti-RON antibody, #ab52927), Cleaved caspase 3(C-cas3(Asp175) antibody, MAB835), Cyclin D1(Cyclin D1(SP4) antibody, #Z2027RS) 항체를 사용하였으며 pRON, Cyclin D1 항체는 1:100, RON, Cleaved caspas e3 항체는 1:50 으로 각각 희석하여 4℃ 조건에서 마르지 않도록 주의하여 overnight 반응시켰다. 다음 날, 2차 항체(VECTASTAIN Elite rabbit ABC HRP Kit(cat# PK-6101))를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DAB SUBSTRATE KIT(cat# SK-4100)를 첨가하고 RT에서 원하는 만큼의 발색이 되도록 기다린 다음 염색이 끝난 슬라이드에 Richard-Allan Scientific Mounting Media, Non-Aqueous(cat# 4112)를 몇 방울 떨어뜨린 뒤 커버 슬라이드를 덮고 1시간 이상 말려준 뒤 슬라이드 스캐너(slide scanner(cat: M8), PreciPoint)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합물을 고농도로 처리할수록 pTyr-mtRON과 Cyclin D1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Cleaved caspase 3는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험예 5. 두경부암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동물 모델(CTG-2130: mtRON△165)에서 실시예 1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 효능 확인
환자 유래 이종 이식 동물 모델(patient-derived xenograft(PDX) mouse model)을 이용한 돌연변이 RON△165 유형의 두경부암 마우스 모델에서 음성대조군, 실시예 1 화합물을 10 mg/kg, 30 mg/kg 및 50 mg/kg 용량으로 투여하여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8 주령 암컷 Athymic Nude-Foxn1nu(immune-compromised)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 동안 순화 후, 환자 유래 두경부암 종양 조직을 마우스의 왼쪽 배 측면 피하에 이식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약 100 ~ 200 mm3이 되었을 때 음성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0, 30 또는 50 mg/k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1일 1회, 총 53일 동안 투여 진행하였으며, 주 2회 종양 크기와 체중을 측정하였다. PDX 실험은 Champions oncology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합물을 10, 30 또는 5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용량상관성 있게 종양 성장 억제능을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6.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 분석
두경부암 세포주 4종에 대해서 High Pure RNA isolation Kit(Roche, Cat# 11828665001)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메뉴얼에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그 후, 1 ㎍의 total RNA를 oligo(dT)를 이용하여 총 부피 20 ㎕의 cDNA를 합성하였다. 이 중 2 ㎕를 이용하여 RON 변이체 분석을 위한 RT-PCR을 진행하였다.
RON Exon 5&6 결손은 Forward: 5'-GAGCTGGTCAGGTCACTAAAC-3'(서열번호 6), Reverse: 5'-CAGACACTCAGTCCCATTGAC-3'(서열번호 7)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denaturation 95℃, 30초/annealing 59℃, 30초/extension 72℃, 45초로 총 35 사이클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RON Exon 11 결손은 Forward: 5'-ATCTGTGGCCAGCATCTAAC-3'(서열번호 8), Reverse: 5'-AAAGGCAGCAGGATACCAAG-3'(서열번호 9)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조건과 동일하게 PCR을 수행하였다.
internal control로는 하우스 키핑(house keeping) 유전자인 GAPDH를 사용하였다. PCR 산물은 QIA quick PCR purification kit(Qiagen, cat# 28106)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코스모진텍(Cosmogenetech)사에 서열분석(Sequencing)을 의뢰하였다. 서열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RON 돌연변이 및 돌연변이 유형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두경부암 세포주에서 RON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고, exon 11 결손인 돌연변이 RONΔ165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7).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콕시 또는 할로C1-10알킬이고;
    X는 -C(-R3)= 또는 -N=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C1-10알킬, 또는 C1-10알콕시이고;
    R5는 H, 할로겐, 또는 C1-10알킬이고;
    R6 및 R7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4 내지 10원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또는 R6는 -C2H4-O-CH3이고, R7은 H, 메틸 또는 t-부톡시카보닐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R6과 R7이 결합된 N 원자 이외에도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더 갖거나 갖지 않으며, 또한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및 C1-6알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화학식 6]

    상기 화학식 6에서,
    L은 -NH- 또는 -CH2-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3-7 사이클로알킬, C6-10 아릴, 5원 내지 9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X는 O, S, -CH(-Rx)- 또는 -N(-Rx)-이고,
    Rx는 수소,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2-4 알케닐, C2-4 알키닐,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미노, 할로겐, 시아노,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C1-6 알콕시, 아미노카르보닐, C1-6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또는 C1-6 알킬-아미노-C1-6 알콕시이고,
    이때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3원 내지 9원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3원 내지 9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고,
    상기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할로겐, 옥소, 시아노, 히드록시, 히드록시-C1-6 알킬, 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콕시-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고,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4-에톡시-N-[3-플루오로-4-({2-[5-(모르폴리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1-(4-플루오로페닐)-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에톡시-N-(3-플루오로-4-{[2-(5-{[(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및
    4-에톡시-N-{3-플루오로-4-[(2-{5-[(-메틸피페라진-1-일)메틸]피리딘-2-일}티에노[3,2-b]피리딘-7-일)옥시]페닐}-2-옥소-1-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N-(3-플루오로-4-((6-메톡시-7-(2-모폴리노에톡시)퀴놀린-4-일)옥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 또는
    N-(4-((7-(3-(3-시아노아제티딘-1-일)프로폭시)-6-메톡시퀴놀린-4-일)옥시)-3-플루오로페닐)-5-(4-플루오로페닐)-6-옥소-2,3,5,6-테트라히드로퓨로[3,2-c]피리딘-7-카르복스아미드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경부암은 RON(Recepteur d'origine nantais)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것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경부암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GFR 표적 치료제는 세툭시맙(Cetuximab), 게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아파티닙(Apatinib), 이코티닙(Icotinib), 브리가티닙(Brigatinib), 라파티닙(Lapatinib), 카네르티닙(Canertinib), AEE788, XL647, 작티마(Zactima) 및 파니투무맙(Panitumuma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경부암은 비강암, 부비동암, 구강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후두암, 경부 식도암, 침샘암, 타액선암 및 설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 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경부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0. 두경부암에 걸린 개체로부터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RON의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RON 돌연변이는 엑손 5번, 6번 및 11번이 결손된 RON△155, 엑손 5번및 6번이 결손된 RON△160, 또는 엑손 11번이 결손된 RON△165인 것인 단계; 및
    상기 RON의 돌연변이가 검출된 개체에게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이 두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암 치료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30045431A 2022-04-06 2023-04-06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44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2906 2022-04-06
KR1020220042906 2022-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483A true KR20230144483A (ko) 2023-10-16

Family

ID=8824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431A KR20230144483A (ko) 2022-04-06 2023-04-06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44483A (ko)
WO (1) WO20231958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6175B (zh) * 2011-06-09 2015-12-16 上海汇伦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杂环并吡啶酮类化合物,其中间体、制备方法和用途
KR101350006B1 (ko) * 2012-09-06 2014-02-13 씨제이제일제당 (주) 피리돈 유도체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
ES2876232T3 (es) * 2014-09-03 2021-11-12 Wellmarker Bio Co Ltd Biomarcador para predecir la sensibilidad al inhibidor de proteína quinasa y uso de este
KR20210100557A (ko) * 2020-02-06 2021-08-17 웰마커바이오 주식회사 Kras 돌연변이와 관련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30099204A1 (en) * 2020-03-03 2023-03-30 Wellmarker Bio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in which kras mutation and activated ron are pres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ou YQ et al., Oncogene 2003, 22(2): 186-1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803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2929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s associated with kras mutation
AU2009234978B2 (en) Acylthiourea Compound or Salt Thereof, and use thereof
US20230172914A1 (en) Biomarker-based therapeutic composition
WO2017132928A1 (en) 3,5-disubstituted pyrazoles useful as checkpoint kinase 1 (chk1) inhibitors, and their preparations and applications
WO2001083456A1 (fr) Derives d'heteroaryle condenses
US20220235064A1 (en) Oxo-pyridine fusion ring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415489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EP415489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mall-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nts and method using same
KR101964479B1 (ko) 신규 푸라논 유도체
US20160347740A1 (en) Pyrrole-substituted indolon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use thereof
EP415489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ssociated with ron mutation and method using same
US11407760B2 (en) Dioxinoquinoline compound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KR20230144483A (ko)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두경부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529321B2 (en) Use of aminomethylenecyclohexane-1,3-dione compound
KR101777475B1 (ko) 신규한 디히드로피라노피리미디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KR20220152155A (ko) Ron 돌연변이와 관련된 담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44484A (ko) 돌연변이형 ron 저해제 및 항-pd-1 항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4519482A (ja) 抗がん活性を有するフェニル-o-キノリン、キナゾリン、チエノピリジン、チエノピリミジン、ピロロピリジン、ピロロピリミジン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