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803A -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 - Google Patents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803A
KR20230132803A KR1020237026874A KR20237026874A KR20230132803A KR 20230132803 A KR20230132803 A KR 20230132803A KR 1020237026874 A KR1020237026874 A KR 1020237026874A KR 20237026874 A KR20237026874 A KR 20237026874A KR 20230132803 A KR20230132803 A KR 2023013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
adhesive
electrostatic ink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호리우치
게이스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2Sacks with laminated or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4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level indicators, detachable tab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03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epoxy compounds having no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4Di-epoxy compounds carb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8Isocyanates; Thio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 C08G59/4246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polymers with carboxylic terminal groups
    • C08G59/426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indings
    • C08G59/4276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3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굴곡부를 갖는 동체부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동체부는, 적어도 1 장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는, 기재, 프라이머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기 실란트층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는 인쇄면을 갖고, 상기 접착제층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
본 개시는,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용기는, 특히, 적어도 1 장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굴곡부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 등의 피포장물을 밀봉 보존하는 용기 (예를 들어, 포장백) 가 알려져 있다. 당해 용기로는, 얇은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한 패키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는, 장식, 제품, 브랜드, 및 제조원 등의 여러 가지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쇄를 실시하는 수단으로서, 정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디지털 인쇄가 알려져 있다. 디지털 인쇄에는 디지털 인쇄기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PET 필름 등의 제 1 가요성 기재에 프라이머 수지를 도포하여 도포면을 얻는 것, 당해 도포면에 디지털 인쇄기 (HP 사 제조, Indigo20000 라벨 및 패키지용 디지털 인쇄기) 를 사용하여 정전 인쇄를 실시하는 것, 및 가교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공정을 실시한 후, 소정의 성분이 도포된 제 1 가요성 기재와, 제 2 가요성 기재를 라미네이트하여 적층체 (용기용의 포장재) 를 얻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530478호
정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는 디지털 인쇄는 소로트에서의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인쇄를 실시한 적층체가 여러 가지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인쇄기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부로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은, 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 사이 또는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적층체가 굴곡되어, 그 변형이 큰 경우에는, 적층간에 발생하는 응력이 커,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 또는 접착제층 사이에서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예를 들어, 용기로서의 기능이 저해되는 것, 및 인쇄면에 어긋남 등이 발생하여 인쇄면에 기재되는 인쇄 정보의 판독이 곤란해지는 것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굴곡부에 인쇄면을 형성하지 않는 대책도 생각할 수 있지만,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굴곡부에 대해서도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굴곡부를 갖는 경우라도 용기로서의 기능이 저해되지 않고, 또 인쇄 정보가 저해되지 않는 용기가 있으면 유용하다.
또, 디지털 인쇄기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 잉크층은, 인접하는 층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수단으로 제조한 포장재를, 예를 들어, 보일, 및 레토르트 등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한 포장백에 사용하면, 가열시에 포장백이 파대 (破袋) 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의 하나는,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인쇄가 실시된 인쇄면을 가지면서도,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굴곡부에 있어서도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및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가 억제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개시의 목적의 하나는,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정전 잉크층을 가지면서, 가열 처리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굴곡부를 갖는 동체부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동체부는, 적어도 1 장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는, 기재, 프라이머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기 실란트층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는 인쇄부를 갖고, 상기 접착제층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접착제층이 특정한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굴곡부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및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가 억제되어 있다. 또, 굴곡부에 있어서도 각 층간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쇄부의 어긋남의 발생 등이 억제되어 있어, 굴곡부를 포함하는 동체부에 있어서의 인쇄 정보를, 인쇄를 실시한 초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용기의 사용의 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용기의 절곡 등에 의해 새롭게 굴곡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각 층간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용기로서의 기능 (예를 들어, 배리어성 등) 이 사용 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동일하게 사용 기간에 걸쳐, 용기 자체의 파대나 인쇄 정보의 열화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에 상기 인쇄부를 가져도 된다. 본 개시에 관련된 용기는, 동체부가 상기 서술한 특정한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굴곡부에 인쇄부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인쇄 정보의 변화가 억제되어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해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이 2 관능임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과의 가교점을 늘려, 프라이머층의 주면 (인쇄면) 과 접착제층을 보다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은, 특히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높은 라미네이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반응성이 우수하다. 이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성이 향상되어, 인쇄부 (정전 잉크층) 와 프라이머층의 계면, 및 인쇄부 (정전 잉크층) 와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동체부와 접속하는 입구 마개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상기 입구 마개는, 통상의 주출구와, 상기 주출구의 하단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동체부가 1 장의 상기 적층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동체부가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상기 적층체와 바닥면 시트가 되는 1 장의 상기 적층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련된 가열용 포장백은, 기재, 프라이머층, 정전 잉크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로 구성되는,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접착제층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정전 잉크 조성물의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부는, 다른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내열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정전 잉크 조성물에서 유래하는 인쇄부 (정전 잉크층) 를 갖는 적층체를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에 적용하고자 하면, 인쇄면 부근에 있어서의 접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포장백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경화됨으로써, 가열 등에 의한 적층체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가열 처리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이 얻어진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갖기 때문에, 내수성도 향상되어, 특히 보일 열처리 또는 레토르트 열처리와 같이,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의 가열 처리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성이 얻어질 수 있다.
외주부에 2 장의 적층체의 상기 실란트층끼리를 접착하는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은 300 % 이하인 양태로 해도 된다. 시일부는, 히트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접착 가공이 실시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다른 영역보다 파손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해,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시일부에 대해서도 가열 처리에 대해 보다 충분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가열 처리에 대해 보다 강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임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과의 가교점을 늘려, 접착제층과 프라이머층의 인쇄면을 보다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은, 특히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높은 접착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가열용 포장백에 대해 가열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도, 정전 잉크 조성물의 파단이나, 포장백으로서의 파손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반응성이 우수하다. 이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열용 포장백의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인쇄가 실시된 인쇄면을 가지면서도,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굴곡부에 있어서도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및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가 억제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정전 잉크층을 가지면서, 가열 처리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이 제공된다.
도 1 은,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입구 마개를 구비하는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은,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적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포장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포장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박리 억제 성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박리 억제 성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박리 억제 성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2 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포장체의 시일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경우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개시를 이하의 내용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하좌우 등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시하는 재료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의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용기]
용기의 일 실시형태는, 굴곡부를 갖는 동체부를 구비하는 용기이고, 상기 동체부는, 적어도 1 장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는, 기재, 프라이머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기 실란트층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는 인쇄부를 갖는다. 용기는, 예를 들어, 포장백, 튜브 용기, 및 스탠딩 파우치 등이어도 된다. 포장백은, 상온에서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열용, 및 냉동용 등의 온도 변화에 노출되는 포장백이어도 된다. 용기는, 예를 들어, 사용시에 추가로 접힌 자국이 형성되는 것을 상정한 용기여도 된다. 튜브 용기 등에 있어서는, 동체부를 압압 (押壓) 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피포장물을 용기 밖으로 꺼낼 때, 동체부에 새로운 접힌 자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용기이면,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각 층간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용기로서의 기능 (예를 들어, 배리어성 등) 이 사용 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도 1 은,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용기 (100) 는, 1 장의 적층체 (300) 의 시트로 구성된다. 용기 (100) 는, 먼저 대략 직사각형의 적층체 (300) 가 갖는 대향하는 2 변의 실란트층끼리를 소정의 폭으로 첩합 (貼合) 하여 시일부 (101) 를 형성하여 통체를 구성하고, 그 후, 추가로 그 통체가 갖는 개구부의 일방에 있어서 실란트층끼리를 소정의 폭으로 첩합하여 시일부 (103) 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용기이다. 용기 (100) 는, 동체부 (200) 에, 굴곡부 (60) 와 시일부 (101, 103) 를 갖는다. 굴곡부 (60) 는, 용기로서 사용할 때의 취급성 등의 향상을 위해서 시일부 (101) 를 동체부 (200) 의 측면을 따르도록 절곡한 것이다.
도 1 에 기재된 용기 (100) 에서는, 시일부 (101, 103), 및 비시일부 (시트부) 에 의해 형성되는, 피포장물 (예를 들어, 음식품 등) 이 수용되는 수용부 (102) 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고, 밀봉한 것을 특히 포장체라고도 한다. 또한, 하단부의 시일부 (103) 는, 피포장물을 수용부 (102) 에 충전한 후에 시일해도 된다. 시일부 (101, 103) 는, 적층체 (300) 가 갖는 실란트층끼리가 히트 시일되어 구성된다.
용기 (100) 는, 상기 동체부 (200) 와 접속하는 입구 마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2 는, 입구 마개를 구비하는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에서는, 상기 용기 (100) 의 시일되어 있지 않은 상단부에 입구 마개 (70) 를 배치하고, 입구 마개 (70) 에 대해 실란트층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용기 (100) 의 동체부 (200) 와 입구 마개를 접속한 용기의 예를 나타냈다. 이 경우, 용기 (100) 는, 동체부 (200) 와 입구 마개 (70) 를 구비하고, 동체부 (200) 를 압압함으로써 피포장물을 입구 마개로부터 꺼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용기를 튜브 용기라고도 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입구 마개 (70) 는, 통상의 주출구 (72) 와, 상기 주출구 (72) 의 하단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 (74) 로 이루어지는 예로 나타냈다. 상기 입구 마개는, 통상의 주출구와, 상기 주출구의 하단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를 가져도 되고, 예를 들어, 스파우트 등이어도 된다. 입구 마개가 형성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구 마개가 스파우트인 경우, 이른바, 센터 스파우트여도 되고, 코너 스파우트여도 된다.
도 3 및 도 4 에,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당해 용기 (110) 는 동체부 (200) 가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적층체 (300) 와 바닥면 시트가 되는 1 장의 적층체 (306) 로 구성된다. 용기 (110) 는,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적층체 (300) 와, 바닥면 시트가 되는 1 장의 적층체 (306) 의 실란트층끼리를 첩합하여 구성된다. 용기 (110) 는,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적층체 (300) 끼리의 첩부 (貼付) 에 의해 얻어지는 시일부 (122) 와, 바닥면 시트가 되는 적층체 (306) 와,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적층체 (300) 의 첩부에 의해 얻어지는 시일부 (121) 를 갖고, 이로써 백상의 형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수용부 (102) 의 용적을 확장할 수 있다. 바닥면 시트가 되는 적층체 (306) 는, 용기 (110) 를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굴곡부 (60) 를 갖는다. 또한, 용기 (110) 의 상단부에 있어서, 해방되어 있는 비시일부는, 피포장물을 수용부 (112) 에 충전한 후에 시일해도 된다. 시일부 (122, 121) 는, 적층체 (300) 가 갖는 실란트층끼리가 히트 시일되어 구성된다.
용기 (110) 를 구성하는 3 장의 적층체는, 동일한 층 구성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층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용기 (100, 110) 는, 시일부 (101 , 121, 122) 에 포위된 비시일부 (시트부) 에, 피포장물을 수용해도 되고,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밀봉한 것을 특히 포장체라고도 한다. 용기는,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봉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개봉 수단은, 측단부의 비시일부, 또는 측단부의 시일부 (122) 에 형성되는 V 자상의 노치로 이루어지는 1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와, 1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 사이 절개 (切開) 의 궤도가 되는 하프 컷선을 가져도 된다. 하프 컷선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개봉 용이 가공부는, V 자상의 노치에 한정되지 않고, U 자상 또는 I 자상 등의 노치여도 되고, 상흔군이어도 된다.
상기 용기 (100, 110) 를 구성하는 적층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 (두께 방향) 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적층체 (302) 는,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접착제층 (30), 및 실란트층 (20) 을 이 순서로 갖는다.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접착제층 (30), 및 실란트층 (20) 은, 각각 필름상의 형상이어도 된다. 프라이머층 (40) 의 실란트층 (20) 측의 주면 (인쇄면) 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는 인쇄부 (52)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인쇄면에는, 1 또는 2 이상의 인쇄부 (52) 로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 (50) 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프라이머층 (40) 의 1 쌍의 주면 중 실란트층 (20) 부근의 일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쇄부 (52) 로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 (50)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적층체 (30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5 ∼ 200 ㎛, 또는 18 ∼ 120 ㎛ 여도 된다.
기재 (10) 및 실란트층 (20) 은 가요성 기재여도 된다. 가요성 기재로는, 예를 들어, 2 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B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배향 폴리아미드 (OPA),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CPP), 직사슬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10) 로는, 예를 들어, 가요성 기재 상에 금속박을 첩합한 복합 필름이어도 되고, 가요성 기재 상에 금속 등을 증착한 증착 필름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금속 등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단체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이어도 된다. 기재 (10) 는,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PET 필름에 알루미늄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이 증착된 증착 필름 (투명 증착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10) 의 두께는, 예를 들어, 7 ∼ 150 ㎛, 15 ∼ 90 ㎛, 또는 20 ∼ 80 ㎛ 여도 된다.
실란트층 (20) 으로는, 예를 들어, CPP 필름, LLDPE 필름, 및 OPP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실란트층 (20) 의 두께는, 기재 (10) 의 두께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예를 들어, 7 ∼ 150 ㎛, 15 ∼ 90 ㎛, 또는 20 ∼ 80 ㎛ 여도 된다.
프라이머층 (40) 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머 하이드록실 함유 수지,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및 아민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인쇄 대상이 되는 기재 상에 프라이머층 (40) 이 형성됨으로써,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한 정전 잉크 조성물의 인쇄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40) 을 구성하는 수지의 도포량은, 예를 들어, 0.01 ∼ 1.5 g/㎡, 또는 0.05 ∼ 1.0 g/㎡ 여도 된다.
적층체 (302) 는, 프라이머층 (40) 의 기재 (10) 와는 반대측의 주면 (인쇄면) 상에 인쇄부 (52) 를 구비한다. 인쇄면에는, 복수의 인쇄부 (52) 로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 (50) 이 형성되어 있다. 정전 잉크층 (50) 은,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한 정전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에 있어서 복수 있는 인쇄부 (52) 는, 동일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조성을 가짐으로써 상이한 색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인쇄부 (52) 는, 프라이머층 (40) 상에 점재되도록 형성되어도 되고, 프라이머층 (40) 의 일방면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정전 잉크층 (50) 에 있어서의 인쇄부 (52) 는, 정전 잉크 조성물의 원형의 망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색으로 일정하게 보여도, 망점간에는 무지의 영역을 갖는다. 정전 잉크층 (50) 은, 인쇄 대상이 되는 소정의 영역을 단색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망점이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2 색 이상으로 인쇄하는 경우에는, 1 색째에 인쇄된 망점 사이 또는 1 색째에 인쇄된 망점에 일부 겹치도록 하여 2 색째 이후의 정전 잉크 조성물의 원형의 망점이 배치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망점의 사이즈를 바꿈으로써 인쇄면 상에 있어서의 색의 농담을 조정할 수 있고, 상이한 색의 망점을 배치함으로써, 인쇄면에 있어서의 색조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정전 잉크층 (50) 을 구성하는 각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은 500 % 이하이지만, 예를 들어, 450 % 이하, 또는 400 % 이하여도 된다.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보다 우수하고, 또한 복수의 잉크를 사용한 인쇄가 가능하여, 다양한 인쇄에도 대응시킬 수 있다.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20 % 이상, 50 % 이상, 80 % 이상, 또는 100 % 이상이어도 된다.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은 상기 서술한 범위 내에서 조정해도 되고, 예를 들어, 20 ∼ 500 %, 50 ∼ 400 %, 100 ∼ 400 %, 또는 100 ∼ 300 % 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잉크 피복률 (잉크 커버리지) 이란, 단위 면적당 망점 면적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인쇄 대상이 되는 소정의 영역을 단색으로 일정하게 인쇄했을 때의 잉크 피복률을 100 % 로 하고, 인쇄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영역의 잉크 피복률을 0 % 로 하는 값이다. 복수의 색의 잉크에 의해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색의 잉크에 대해 잉크 피복률을 산출하고, 그 합계를 대상의 인쇄부 및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로 한다. 잉크 피복률은, 디지털 인쇄기로 설정되고, 잉크 피복률의 설정에 있어서 원하는 값을 지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인쇄기로는, 예를 들어, HP 사 제조의 「Indigo20000 라벨 및 패키지용 디지털 인쇄기」 (제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또는 적층체의 인쇄면에 대한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해, 대상이 되는 적층체에 있어서의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부 (52) 가 정전 잉크 조성물의 원형의 망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잉크 피복률이 100 % 인 경우에도, 정전 잉크층 (50) 의 실란트층 (20) 측의 면을 광학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면, 프라이머층 (40) 의 주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잉크 피복률이 100 % 여도 프라이머층 (40) 과 접착제층 (30) 은 직접 접착할 수 있다. 한편으로, 잉크 피복률이 큰 값이 됨에 따라, 인쇄부 (52) 와 접착제층 (30) 의 접착면 (계면) 에 있어서의 프라이머층 (40) 의 존재 비율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잉크 피복률이 커지면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또는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적층체로서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기대하는 만큼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관련된 적층체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잉크 피복률이 큰 경우에도 충분한 라미네이트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된 적층체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적층체 (300) 의 팽창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 (40) 의 실란트층 (20) 측의 주면 (인쇄면) 에 있어서의 잉크 도포량은, 예를 들어, 0.5 g/㎡ 이상, 1.0 g/㎡ 이상, 2.0 g/㎡ 이상, 또는 3.0 g/㎡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잉크 도포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복수색으로 구성된 다채로운 인쇄 표현을 얻을 수 있다. 프라이머층 (40) 의 실란트층 (20) 측의 주면에 있어서의 잉크 도포량은, 예를 들어, 8.0 g/㎡ 이하, 또는 6.0 g/㎡ 이하여도 된다. 상기 잉크 도포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정전 잉크층 (50) 과 프라이머층 (40) 의 계면, 또는 정전 잉크층 (50) 과 접착제층 (30) 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의 저하를 보다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잉크 도포량이란,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 조성물의 총량 (고형분량) 을 의미하고, 다색으로 인쇄한 경우에는 그 합계값을 의미한다.
도 6 은, 적층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의 적층체 (304) 는, 프라이머층 (40) 의 일방면의 전체가 정전 잉크층 (51) (인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인쇄부 (52)) 으로 덮여 있는 점에서, 도 5 의 적층체 (302) 와 상이하다. 즉, 적층체 (304) 에서는, 정전 잉크층 (51) 에 의한 프라이머층 (40) 의 주면에 대한 피복 비율이 100 면적% 이다. 후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프라이머층 (40) 과 접착제층 (30) 의 직접적인 접착 면적의 충분한 확보가 어려운 적층체 (304) 와 같은 구성이어도,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갖고, 적층체 (304) 에 있어서의 층간 박리 등이 억제되어 있다.
적층체 (302, 304) 에 있어서, 정전 잉크층 (50, 51) 을 구성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은, 액체 전자 사진 인쇄, 즉 정전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이고, 종이 및 플라스틱 등의 기재, 또는 프라이머층 상에 인쇄된다. 정전 잉크 조성물은, 안료 및 염료 등의 착색제, 그리고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정전 잉크 조성물은 또한, 캐리어 유체 또는 캐리어 액체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정전 잉크 조성물은, 예를 들어, 차지 디렉터, 차지 아쥬반트, 계면 활성제, 점도 조절제, 유화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착색제로는, 예를 들어, 시안 안료, 마젠타 안료, 옐로 안료, 및 블랙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디지털 인쇄를 용이하게 실시하는 관점에서 수지로는, 비교적 융점이 낮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비교적 융점이 낮다란, 예를 들어, 100 ℃ 이하여도 된다.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프로필렌아크릴산 코폴리머,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 프로필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수지는,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유체 및 캐리어 액체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 실리콘 오일, 및 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 탄화수소, 분기 사슬 지방족 탄화수소, 및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정전 잉크 조성물은, 기재 상에 인쇄된 경우에, 캐리어 유체 및 캐리어 액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캐리어 유체 및 캐리어 액체는, 예를 들어, 인쇄 중의 전기 영동 프로세스 또는 증발에 의해 제거해도 된다. 상기 제거 조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고형분만이 기재 또는 프라이머층 상에 전사된다.
차지 디렉터는, 정전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입자에 충분한 정전 전하를 유지하는 작용을 갖는다. 차지 디렉터로는, 예를 들어, 지방산의 금속염, 술포숙시네이트의 금속염, 옥시포스페이트의 금속염, 알킬벤젠술폰산의 금속염,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및 방향족 술폰산의 금속염 등의 이온성 화합물,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화알킬아민, 레시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다가 알코올의 유기산 에스테르와 같은 쌍카운터 이온성 및 비이온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차지 아쥬반트는, 정전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입자의 전하를 증대시키거나 또는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차지 아쥬반트로는, 예를 들어, 바륨페트로네이트, 칼슘페트로네이트, 나프텐산 Co 염, 나프텐산 Ca 염, 나프텐산 Cu 염, 나프텐산 Mn 염, 나프텐산 Ni 염, 나프텐산 Zn 염, 나프텐산 Fe 염, 스테아르산 Ba 염, 스테아르산 Co 염, 스테아르산 Pb 염, 스테아르산 Zn 염, 스테아르산 Al 염, 스테아르산 Cu 염, 스테아르산 Fe 염, 및 금속 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정전 잉크층 (50, 51) 은, 접착제층 (30) 및 프라이머층 (40) 의 적어도 일방에 포함되는 성분에 의해 가교된 가교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가교물을 포함함으로써, 정전 잉크층 (50, 51) 자체의 강도, 그리고, 프라이머층 (40) 의 인쇄면과 정전 잉크층 (50) 의 접착 강도, 및 정전 잉크층 (50) 과 접착제층 (30) 의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인쇄부 (52) 와 접착제층 (30) 은 서로 접착되어 있다. 즉, 인쇄부 (52) 가 접착제층 (30) 과의 접착면으로 되어 있고, 정전 잉크 조성물과 접착제 조성물이 직접 접촉하고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한다. 에폭시 화합물이 정전 잉크 조성물, 접착제층 및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성분과, 반응하여 경화됨으로써, 접착제층과 프라이머층의 인쇄면을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은 그 자체가 경화되어 경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3 성분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 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반응하여 경화되어 경화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제층 (30) 은, 접착제 조성물, 그 경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주제 및 경화제로서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접착제) 을 생성한다.
에폭시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접착제층 (30) 의 접착 강도를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화합물, 및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 중의 에폭시 화합물은, 접착제층에 인접하는 층 (예를 들어, 프라이머층, 정전 잉크층, 및 실란트층 등) 에 침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투함으로써, 에폭시 화합물의 경화 후의 각 층간의 접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라이머층, 정전 잉크층, 및 실란트층은, 에폭시 화합물 및 그 경화물 (에폭시 수지 등) 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500 이하, 450 이하, 또는 400 이하여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정전 잉크층을 구성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 중에 에폭시 화합물을 보다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량의 하한은, 예를 들어, 98 이상이어도 된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및 비스(에폭시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1 분자 중에 1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1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1 분자 중에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2 관능의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및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1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 (I) 로 나타내는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부탄올의 1,2-에폭시-4-(2-옥시라닐)시클로헥산 부가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I) 중, n 은, 1 ∼ 4 의 정수 (整數) 여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관능임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 및 프라이머 수지와의 가교점을 늘려 접착제의 경화 반응을 촉진하여, 경화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에폭시 화합물이 지환식임으로써, 입체 장해에 의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정적으로 경화되어, 인쇄부 (52) 와 접착제층 (30) 의 계면의 밀착성을 충분히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폴리올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예를 들어, 수평균 분자량이 400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10000 이하여도 된다.
폴리올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폴리에테르폴리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해도 된다. 이 중,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접착제층 (30) 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높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해도 되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과, 다염기산, 다염기산의 알킬에스테르, 다염기산의 산 무수물, 또는 다염기산의 산 할라이드와의 축합 반응,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저분자량 디올, 저분자량 트리올, 수산기를 4 개 이상 갖는 저분자량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저분자량 디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3,3-디메틸올헵탄, 및 2-에틸-2-부틸-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저분자량 트리올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2-메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2,4-디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펜탄,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2-메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2,4-디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펜탄, 및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3-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4 개 이상 갖는 저분자량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올메탄,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D-소르비톨, 자일리톨, D-만니톨, 및 D-만니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의 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다염기산의 메틸에스테르, 다염기산의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의 산 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다염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의 산 무수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수 옥살산,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2-알킬 (탄소수 12 ∼ 18) 숙신산,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및 무수 트리멜리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의 산 할라이드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다염기산의 알킬에스테르 또는 다염기산의 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산 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의 산 할라이드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신산디클로라이드, 아디프산디클로라이드, 및 세바친산디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예를 들어, 저분자량 폴리올을 개시제로 하여,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 등이어도 된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글리콜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는 또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개환 중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올의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 (NCO/OH) 는, 예를 들어, 0.5 ∼ 10 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 조성물은, 높은 접착 강도를 가지면서 유연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P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카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4-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ω,ω'-디이소시아네이트-1,4-디에틸벤젠, 및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올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에 대한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의 함유량은, 주제 (예를 들어, 폴리올) 와의 반응성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질량% 이상, 20 질량% 이상, 30 질량% 이상, 또는 40 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전체에 대한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의 함유량을 3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반응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할 수 있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1,3-시클로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펜텐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3-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로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2,6-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NBDI)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다량체, 알로파네이트 변성체, 폴리올 변성체, 단량체와 알코올류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올 변성체, 뷰렛 변성체, 우레아 변성체, 옥사디아진트리온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우레트디온 변성체, 및 우레톤이민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레폴리머는, 적어도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분자 말단에 갖는 우레탄 프레폴리머이다.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레폴리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과, 폴리올을, 우레탄화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이 때, 폴리올의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 (NCO/OH) 는, 예를 들어, 0.5 이상, 0.6 이상, 0.8 이상, 1 이상, 또는 1.5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몰비 (NCO/OH) 는, 10 이하, 5 이하, 4 이하, 또는 3 이하여도 된다. 몰비 (NCO/OH) 의 수치 범위의 예로서 예를 들어, 0.5 ∼ 10, 0.5 ∼ 5, 0.8 ∼ 4, 및 0.6 ∼ 3 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 100 질량부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높은 접착 강도와 우수한 전단 억제력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3 ∼ 25 질량부, 6 ∼ 25 질량부, 또는 8 ∼ 20 질량부여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과대해지면, 우수한 전단 억제력이 저해되는 경향이 있다. 즉, 접착제층 (30) 을 형성했을 때에 접착면이 어긋나거나, 접착제 조성물이 비어져 나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배합량이 과소해지면, 고온 열수 처리 조건하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 100 질량부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은, 시일 강도 및 고온 열수 처리 조건하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높게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 50 질량부, 15 ∼ 35 질량부, 또는 20 ∼ 30 질량부여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에 포함되는 에폭시기의 몰비는, 예를 들어, 0.5 ∼ 10, 1.5 ∼ 9, 또는 2.0 ∼ 6.5 여도 된다. 이로써, 고온 열수 처리 조건하에 있어서 보다 충분히 높은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접착제층 (30) 을 구성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성분 외에, 첨가제 등의 임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충전제,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 수지, 촉매, 도공성 개량제, 레벨링제, 핵제, 활제, 이형제, 소포제, 가소제, 계면 활성제, 안료, 염료, 유기 미립자, 무기 미립자, 방미제, 및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유기 용매 등의 용제를 함유해도 된다.
접착제 조성물은, 정전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부 (52) 와 실란트층 (20) 을 접착한다. 접착제층 (30) 과 실란트층 (20) 사이에는 임의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적층체 (302, 304) 는, 예를 들어, 접착제층 (30) 및 실란트층 (20) 사이에 배리어층 등을 추가로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접착제 조성물은, 인쇄부 (52) 와 임의의 층 (예를 들어, 배리어층 등) 을 접착한다.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보다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공존하에서도, 우레탄 결합의 형성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인쇄부 (52) 와, 실란트층 (20) 또는 임의의 층을, 보다 충분히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우레탄 결합의 형성과 함께 정전 잉크층 (50, 51) 을 형성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을 가교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인쇄면과 실란트층 (20) 또는 임의의 층의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정전 잉크층 (50) 에 의한 프라이머층 (40) 의 주면 (인쇄면) 에 대한 피복 비율이 높아지는 경우, 또는 인쇄부 (52) (정전 잉크층 (50, 51)) 에 있어서의 잉크 피복률이 높아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전 잉크층 (50) 과 접착제층 (30) 의 접착력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 서술한 접착제 조성물의 경우, 충분한 접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정전 잉크층 (50) 에 의한 프라이머층 (40) 의 주면에 대한 피복 비율, 또는 인쇄부 (52) (정전 잉크층 (50, 51)) 에 있어서의 잉크 피복률이 높아지는 경우, 그에 따라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을 늘림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 (50, 51) 에, 에폭시 화합물을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어, 접착 강도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침투한 에폭시 화합물은, 정전 잉크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 (정전 잉크층 (50, 51)) 의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인쇄부 (52) 에 있어서의 잉크 피복률 등이 높고, 또한 레토르트 열처리와 같은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에도 접착 강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열처리 후에 있어서도 높은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으로, 포트 라이프도 우수하다. 이 때문에, 인쇄면과 기재를 접착할 때의, 도공 및 라미네이트 가공 등의 작업성도 우수하다.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고, 우레탄을 형성하는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해도 되고, 이들의 적어도 일부가 경화물이 되어 접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것은, 폴리우레탄만을 포함하는 접착제층과 에폭시 코팅층을 따로따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적층체 (300) 를 구성하는 층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롤 투 롤로 적층체를 제조할 때, 에이징 후의 롤의 사행, 및 블로킹 등에 의한 주름의 발생 등이 억제될 수 있다. 또, 코팅 후의 에이징 공정을 삭감하여, 제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인쇄면 상에 있어서의 정전 잉크층 (50, 51) 과 접착제층 (30) 이 직접 접하는 적층체 (302, 304) 에서는,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이, 경우에 따라,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성분이, 정전 잉크층 (50, 51) 중에 충분히 침투한다. 이로써, 정전 잉크층 (50, 51) 을 구성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을 가교하여, 정전 잉크 조성물 (정전 잉크층 (50, 51))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층간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5 와 같이 인쇄면 상에 정전 잉크층 (50) 이 없는 무지 부분 (투명 부분) 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에폭시 화합물은 접착제층 중에 포함되기 때문에, 끈적거림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접착제층 (30) 과 별도로 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하면, 인쇄면 상에 무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무지 부분의 근방에서 에폭시 화합물이 과잉이 되어, 끈적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적층체 (300) 는, 인쇄부 (52)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지 부분을 포함하는 인쇄면을 높은 접착 강도로 접착하면서, 끈적거림을 없앨 수 있다.
적층체 (302, 30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전 잉크층 (50, 51) 과,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및 접착제층 (30) 사이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굴곡부 (60) 에 있어서도 정전 잉크층 (50, 51) 과,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및 접착제층 (30) 사이에서의 박리가 억제된 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서는, 굴곡부 (60) 에 있어서도 각 층간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쇄면의 어긋남의 발생 등이 억제되어 있어, 굴곡부 (60) 를 포함하는 동체부 (200) 에 있어서의 인쇄 정보를, 인쇄를 실시한 초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용기의 사용의 과정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용기의 절곡 등에 의해 새롭게 굴곡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각 층간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용기로서의 기능 (예를 들어, 배리어성 등) 이 사용 기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동일하게 사용 기간에 걸쳐, 용기 자체의 파대나 인쇄 정보의 열화 등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서는 또한, 굴곡부가 인쇄면을 갖는 경우에도, 적층간의 박리 등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인쇄면에 기재된 정보를 판독 가능하여, 외관이 중시되는 음식품 및 위생품 등의 용기로서 유익하다. 단, 용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온 열수 처리 및 레토르트 열처리 후에 있어서도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우수하므로, 레토르트용의 용기, 전자 레인지 대응의 용기, 및 자비용 (煮沸用) 의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해도 된다.
변형예에 관련된 적층체에 있어서는, 기재 (10) 와 실란트층 (20) 의 대향면의 각각에 프라이머층 (40) 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기재 (10) 및 실란트층 (20) 사이에는, 적층체 (302, 304) 의 가스 배리어성 및 수증기 배리어성 향상의 관점에서, 기재 (10) 와 프라이머층 (40) 사이, 및/또는 실란트층 (20) 과 접착제층 (30) 사이에,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층, 및 나일론 필름 등의 수지층의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적층체의 층 구조의 구체예를 이하에 예시한다. 각 예시에 있어서, 좌단이 기재 (10), 우단이 실란트층 (20) 에 대응하고, 좌에서 우를 향하여 차례로 각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제 1 접착제층은 접착제층 (30) 이고, 제 2 접착제층 및 제 3 접착제층은, 종래의 접착제층이어도 된다.
(1) 투명 증착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나일론층/제 2 접착제층/CPP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2)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알루미늄층/제 2 접착제층/나일론층/제 3 접착제층/CPP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3)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나일론층/제 2 접착제층/CPP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4)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알루미늄층/제 2 접착제층/폴리에틸렌 필름
상기 각 구체예에 있어서, 제 1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 (2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층을 형성해도 된다. (1) 및 (2) 는 레토르트용의 적층체, (3) 은 전자 레인지용의 적층체, (4) 는 내용물을 서플리먼트나 페이스 마스크로 하는 적층체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용도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적층체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적층체 (302) 를 제조한다. 먼저, 필름상의 기재 (10) 의 일방면 상에 프라이머층 (40) 을 형성하는 공정과, 프라이머층 (40) 상에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하여 인쇄부 (52) 로 구성되는 정전 잉크층 (50) 을 형성하는 공정과, 정전 잉크층 (50) 과 실란트층 (20) 의 일방면을, 상기 서술한 특정한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접착하는 공정을 갖는다.
프라이머층 (40) 은, 기재 (10) 의 일방면 상에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어 인쇄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 (40) 은, 수지 원료를,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켜도 된다. 가교는, 자외광, 가열, 전자빔과 같은 이온화 방사선, 및 마이크로파 방사선과 같은 비이온화 방사선을 조사하여 실시해도 된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인쇄는,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한 정전 인쇄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정전 잉크층 (50) 과 실란트층 (20) 의 일방면의 접착제 조성물에 의한 접착은, 라미네이트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이, 경우에 따라,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정전 잉크층 (50) 을 구성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 및 프라이머층 (40) 에 침투하여, 정전 잉크 조성물 및 프라이머층 (40) 에 포함되는 성분과 가교 반응해도 된다. 이로써, 정전 잉크층 (50) 의 강도가 향상됨과 함께, 각 층의 계면이 충분히 결착된 적층체 (300) 를 얻을 수 있다. 라미네이트시에, 접착제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경화되어 경화물로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정전 잉크층 (50), 접착제층 (30) 및 실란트층 (20) 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 (302) 를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 (304) 및 변형예에 관련된 적층체도, 적층체 (302)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302, 304) 는, 이들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성상을 갖는다. 적층체 (302, 304) 및 이들의 변형예에 관련된 설명 내용은,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의 설명에도 적용된다.
[가열용 포장백]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 (120) (가열용 포장백) 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백 (120) 은, 기재, 프라이머층, 정전 잉크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300) 로 구성된다. 적층체 (300) 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장백 (120) 은, 예를 들어, 음식품 등의 피포장물을 수용한 상태로 밀봉되는 봉투여도 된다. 포장백 (120) 은, 굴곡부를 가져도 되고, 굴곡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또, 포장백 (120) 은, 가열용 포장백이다. 가열용 포장백이란, 피포장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상정한 포장백이다. 가열 처리에는, 「레토르트 열처리」, 「보일 열처리」, 및 「레인지 가열 처리」 등을 포함한다. 레토르트 열처리란, 예를 들어,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100 ℃ 이상의 열이 가해지는 상태로 가압 가열하는 처리로서, 예를 들어, 증기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 보일 열처리란, 가온된 물 (온수) 중에서 포장백을 가열하는 처리이고, 100 ℃ 까지의 조건에서 가열된다. 또, 레인지 가열 처리는, 소위 전자 레인지를 사용한 가열 처리이고, 전자파 (마이크로파) 에 의해 수분자를 진동·회전시킴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물질을 발열시키는 처리이다. 어느 처리도, 포장백 또는 피포장물의 살균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경우가 많은 처리이다.
포장백 (120) 은, 1 쌍의 적층체 (300) 의 실란트층끼리를 첩합하여 구성된다. 포장백 (120) 은, 필름상의 대략 직사각형의 1 쌍의 적층체 (300) 의 둘레 가장자리를 첩합한 (시일된) 시일부 (101) 와, 시일부 (101) 에 의해 1 쌍의 적층체 (30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 (124) 를 구비한다. 시일부 (101) 는, 직사각형의 포장백 (120) 에 있어서의 1 쌍의 측단부, 하단부 및 상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포장백 (120)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실란트층끼리를 중첩한 상태의 1 쌍의 적층체 (300) 각각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시일부 (101)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124) 에는, 예를 들어, 피포장물 (예를 들어, 음식품) 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피포장물을 수용하고, 밀봉한 것을 특히 포장체 (400)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단부의 시일부 (101) 는, 피포장물을 수용부 (124) 에 충전한 후에 시일해도 된다. 시일부 (101) 는, 적층체 (300) 가 갖는 실란트층끼리가 히트 시일되어 구성된다.
또한, 포장백 (120) 을 구성하는 1 쌍의 적층체 (300) 는, 서로 동일한 층 구성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어, 1 쌍의 적층체가 서로 상이한 층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포장백 (120) 은,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봉 수단 (14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개봉 수단 (140) 은, 측단부의 시일부 (101) 에 형성되는 V 자상의 노치로 이루어지는 1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 (144) 와, 1 쌍의 개봉 용이 가공부 (144) 사이에 절개의 궤도가 되는 하프 컷선 (141) 을 갖는다. 하프 컷선 (141) 은, 예를 들어,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개봉 용이 가공부 (144) 는, V 자상의 노치에 한정되지 않고, U 자상 또는 I 자상 등의 노치여도 되고, 상흔군이어도 된다.
적층체 (300) 를 사용하여 포장백 (120) 및 포장체 (400) 를 제조하는 순서를 이하에 설명한다.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1 쌍의 적층체 (300) 를 준비한다. 각각의 적층체 (300) 의 일방면에 형성된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켜, 실란트층끼리를 접착한다. 이 때, 1 쌍의 측단부와, 하단부 (또는 상단부) 에 대해 시일부 (101) 를 형성함으로써, 네 변 중 세 변이 폐쇄된 상태의 시일부 (101) 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비시일부가 형성된다. 이 결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단부만 (또는 하단부만) 이 시일되어 있지 않은 포장백 (130) 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미시일 상태에 있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 로부터 포장백 (130) 의 수용부 (132) 의 내부에 피포장물을 충전한다. 그 후, 미시일 상태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에 있어서 적층체 (300) 의 실란트층끼리를 접착하여, 상단부 (또는 하단부) 에 시일부 (101) 를 형성한다. 이 결과, 포장백 (120) 과 그 안에 수용된 피포장물을 구비한 포장체 (400) 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포장백 (12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포장물이 수용된 상태, 즉 포장체 (400) 로서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포장백이다. 상기 서술한 가열 처리에 의하면, 포장백 (120) 자체가 가열되기 때문에, 열에 대한 내성이 요구된다. 또, 어느 가열 처리에 있어서도, 고온 환경하에서 주변에 수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내수성이 요구된다. 또, 포장백 (120) 에서는, 피수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처리가 실시되므로, 특히 시일부 (101) 가 가열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요구에 대해, 포장백 (120) 은 적층체 (300) 를 구성하는 각 층을 특정한 재료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적층체로서의 내수성·내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포장백 (120) 으로는, 시일부 (101) 에 있어서의 적층체 (300) 의 구성의 일부를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가열 처리시의 시일부 (101) 에 있어서의 포장백 (120) 의 파손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장백 (120) 을 구성하는 적층체 (300) 는, 상기 서술한 용기의 구성 재료로서 설명한 적층체 (302, 304) 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그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 등은, 상기 서술한 용기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대응하는 층의 설명시에 예시한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층체 (300) 로서, 상기 서술한 적층체 (302) 를 사용하는 예로 설명한다.
프라이머층 (40) 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포장백 (120) 을 가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한다. 또, 프라이머층 (40) 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에 더하여,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수지, 카르복실기 함유 수지, 및 아민계 폴리머 등의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인쇄 대상이 되는 기재 상에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40) 이 형성됨으로써, 내수성이 향상되어, 가열 처리에 적합한 적층체 (302) 를 제조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40) 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이민 수지의 함유량은, 80 질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90 질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97 질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프라이머층 (40) 을 구성하는 수지의 도포량은, 예를 들어 0.01 ∼ 1.5 g/㎡, 또는 0.05 ∼ 1.0 g/㎡ 여도 된다.
적층체 (302) 는, 프라이머층 (40) 의 1 쌍의 주면 중 실란트층 (20) 부근의 일 주면 (인쇄면) 에 인쇄부 (52) 를 구비한다. 인쇄면에는, 정전 잉크층 (50) 이 형성되어 있다. 정전 잉크층 (50) 은,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한 정전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도 5 에 있어서 복수 있는 인쇄부 (52) 는, 동일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조성을 가짐으로써 상이한 색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정전 잉크층 (50) 은, 프라이머층 (40) 상에 점재되도록 형성된 인쇄부 (52) 로 구성되어도 되고, 프라이머층 (40) 의 일방면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인쇄부 (52) 로 구성되어도 된다.
포장백 (120) 을 가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정전 잉크층 (50) 을 구성하는 각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은 100 ∼ 400 % 여도 된다. 인쇄부 (52) 의 잉크 피복률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복수의 잉크를 사용한 인쇄가 가능하여, 다양한 인쇄에도 대응시킬 수 있다.
적층체 (300 (302, 30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전 잉크층 (50, 51) 과,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및 접착제층 (30) 사이의 접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적층체 (300) 를 가열용 포장백으로서 사용하여, 가열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 정전 잉크층 (50, 51) 과,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및 접착제층 (30) 사이에서의 박리가 억제된다.
포장백 (120) 을 가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적층체의 층 구조의 구체예를, 이하에 예시한다. 각 예시에 있어서, 좌단이 기재 (10), 우단이 실란트층 (20) 에 대응하고, 좌에서 우를 향하여 차례로 각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제 1 접착제층은 접착제층 (30) 이고, 제 2 접착제층 및 제 3 접착제층은, 종래의 접착제층이어도 된다.
(5) 투명 증착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나일론층/제 2 접착제층/CPP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6)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알루미늄층/제 2 접착제층/나일론층/제 3 접착제층/CPP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7) 나일론층/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L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8) PET 필름/프라이머층/정전 잉크층/제 1 접착제층/나일론층/제 2 접착제층/CPP 필름
상기 각 구체예에 있어서, 제 1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 (2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의 (5) (6) 은, 주로 레토르트 열처리의 실시가 상정되는 포장백에 사용되고, (7) 은, 주로 보일 열처리의 실시가 상정되는 포장백에 사용되고, (8) 은, 주로 레인지 가열 처리의 실시가 상정되는 포장백에 사용된다. 단, 용도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적층체는, 상기 서술한 용기의 구성 재료로서의 적층체와 동일한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조제할 수 있다.
[작용]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백 (120) (가열용 포장백) 은, 기재 (10), 프라이머층 (40), 접착제층 (30), 및 실란트층 (20)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 (300)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접착제층 (30) 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과, 당해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고 있다. 또,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프라이머층 (40) 은,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정전 잉크 조성물은, 다른 잉크에 비해 내열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정전 잉크 조성물 유래의 정전 잉크층을 갖는 적층체를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에 적용하고자 하면, 포장백의 파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대해,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경화됨으로써, 가열 등에 의한 적층체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가열 처리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이 얻어진다. 또,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갖는 경우, 내수성도 향상되고, 특히 보일 열처리 또는 레토르트 열처리와 같이, 수분이 많이 존재하는 환경하에서의 가열 처리에 대해서도 보다 충분한 내성이 얻어진다.
또, 포장백 (120) (가열용 포장백) 은, 외주부에 2 장의 적층체 (300) 의 실란트층 (20) 끼리를 접착하는 시일부 (101) 를 포함한다. 또, 시일부 (101) 는, 정전 잉크층 (50) 의 잉크 피복률은 300 % 이하여도 된다. 시일부 (101) 는, 히트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접착 가공이 실시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다른 영역보다 파손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대해,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시일부에 대해서도 가열 처리에 대해 보다 충분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가열 처리에 대해 보다 강한 내성을 갖는 가열용 포장백을 얻을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임으로써, 정전 잉크 조성물과의 가교점을 늘려 인쇄면과 강고하게 접착한다.
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폴리올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고, 에폭시 화합물은,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 (30) 은, 특히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높은 접착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적층체 (300) 를 조합하여 포장백을 제조했을 때, 정전 잉크 조성물이 파단되거나, 포장백이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해도 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은 반응성이 우수하다. 이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적층체 (300) 및 포장백의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300 (302, 304)) 및 포장백은, 이들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성상을 갖는다. 적층체 (300), 포장백 및 이들의 변형예에 관련된 설명 내용은, 상기 서술한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의 설명에도 적용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서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I-1)
[적층체의 제조]
기재로서, 알루미나 증착 PET 필름 (토판 인쇄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GLARH12, 두께 : 12 ㎛) 을 준비하였다. 이 알루미나 증착면에 수성 프라이머 수지 (폴리에틸렌이민을 함유하는 수지, Michelman 사 제조, 상품명 : DP050) 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수성 폴리에틸렌이민의 도포량이 0.10 ∼ 0.18 g/㎡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디지털 인쇄기 (HP 사 제조, Indigo20000 라벨 및 패키지용 디지털 인쇄기) 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크릴산의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 (HP Indigo 일렉트로 잉크)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으로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황색 (Y), 마젠타 (M) 및 시안 (C)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 및 잉크 피복률이 상이한 복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잉크 피복률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각 잉크 피복률은, 상기 디지털 인쇄기의 설정에 의해 조절하였다. 잉크 피복률의 합계는 200 % 였다.
주제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락 A626, 이하 「(A)」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네이트 A50, 이하 「(B)」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이하, 「C」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및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배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36.5 질량% 인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에폭시 화합물의 구조는 하기 식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각 성분의 질량 기준의 배합비 (질량 기준) 는, (A) : (B) : (C) = 8 : 1 : 0.28 로 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면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제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량은 4.0 g/㎡ 로 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나일론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시판되는 접착제로 첩합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기재 상의 접착제층과 상기 적층 필름의 나일론 필름이 마주보도록 하여, 나일론 필름과 접착제층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양생 시간 (에이징) 은, 40 ℃ 에서 2 일간으로 하였다.
(비교예 I-1)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에폭시 화합물 ((C) 성분) 을 배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조제하였다.
<적층체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1>
실시예 I-1 및 비교예 I-1 에서 조제한 적층체의 각각에 대해, 가열시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둘로 접어 굴곡부를 형성하고, 클립으로 고정시킨 것을 평가용 샘플로 하고, 평가용 샘플을 표 1 에 기재된 가열 온도하에서 45 분간 가열하고, 가열 후의 평가용 샘플의 굴곡부의 상황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실시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 박리가 관찰되지 않는다.
B : 적층간에 약간 공극이 확인된다.
C : 적층간에 박리가 관찰된다.
Figure pct00003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I-1 의 적층체에서는, 소정의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굴곡부에 있어서도 충분한 박리 억제 성능이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I-1 의 적층체에 있어서는, 정전 잉크층의 수지 성분이 용융되어, 박리가 발생한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비교예 I-1 에 있어서는, 가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그 경향은 현저한 것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I-1 의 적층체에 있어서는, 열시여도 충분한 박리 억제 성능이 유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I-1 의 적층체는, 수지 성분이 고화 (固化) 되어 있는 비열시 (예를 들어, 상온) 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충분한 박리 억제 효과가 기대된다.
<적층체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2>
실시예 I-1 및 비교예 I-1 에서 조제한 적층체의 각각에 대해,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적층체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열시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변경해도 상기 「적층체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1」 과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I-1 의 적층체의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관련된 용기이면, 120 ℃ 이상의 레토르트 열처리 (예를 들어, 120 ℃, 30 분간의 가열 가압 살균 처리) 에 대해서도 충분한 내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굴곡부에 있어서의 열 시일 시험 :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3>
다음으로, 굴곡부를 형성한 상태에서의 시일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I-1 및 비교예 I-1 에서 조제한 적층체를 각각 3 장 준비하고, 동일한 적층체 3 장으로 구성되는 스탠딩 파우치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용기) 를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적층체 사이에, 바닥면 시트가 되는 시트를 둘로 접기 하여 배치하고, 열경사 시험기를 사용하여, 0.2 ㎫ 의 압력을 적층체에 인가하고, 1 초간, 표 3 에 나타내는 온도로 처리하고, 시일하였다. 또한, 스탠딩 파우치의 바닥면 시트 부분이 되는 적층체는 밖으로 나오게 접었을 때, 실란트층 측이 용기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열경사 시험기로는, 주식회사 토요 정기 제작소 제조의 「HG-100」 (제품명) 을 사용하였다. 조제 후, 스탠딩 파우치의 바닥면 시트 부분을 포함하는 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상기 「적층체의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1」 과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참고를 위해, 도 9 에, 실시예 I-1 및 비교예 I-1 의 바닥면 시트가 되는 적층체의 굴곡부의 외관에 대해, 시일 전 및 210 ℃ 에서의 시일 후의 상황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란트층끼리를 첩합하는 것과 같은, 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의 가열 처리에 있어서도, 실시예 I-1 에서 조제한 적층체에 있어서는 박리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굴곡부에 있어서의 열 시일 시험 :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4>
시일시에 인가하는 압력 조건, 또는 시일시의 시간을 변경하여, 상기 「굴곡부에 있어서의 열 시일 시험 : 박리 억제 성능의 평가 그 3」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 그리고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4 및 표 5, 그리고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I-1 의 적층체이면, 적층체의 시일에 의해 용기를 제조할 때의 일반적인 시일 조건하에서는, 열 시일 조건하에서도 충분히 박리가 억제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 I-1 및 비교예 I-1 의 결과로부터,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간의 박리 억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박리 억제 효과의 요인으로는, 정전 잉크 조성물의 강도의 향상, 및 각 층간의 접착 강도의 향상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참고로,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을 조정한 예를 나타낸다.
(참고예 I-1)
[적층체의 제조]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질량 기준의 배합비를 (A) : (B) : (C) 를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또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라미네이트 강도를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
참고예 I-1 에서 조제한 적층체에 대해, JIS K 6854-1 : 1999 의 기재에 준거하여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조제한 적층체를 15 ㎜ 폭으로 컷하여 측정 샘플로 하였다. 측정 샘플의 단부에 있어서의 층간을 박리한 후,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min, 및 실온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층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상온 (20 ℃) 에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참고예 I-2)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락 A626) 로 이루어지는 제 1 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네이트 A50) 및 에폭시 화합물 (C) 로 이루어지는 제 2 액이, 따로따로 용기에 수용된 2 액형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제 1 액과 제 2 액을 혼합하여, 표 6 에 나타내는 배합의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2)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에폭시 화합물 (C) 를 배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참고예 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3)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면에 대해, 식 (1) 의 에폭시 화합물을 도포하여 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 에폭시 코팅층에, 비교예 I-2 의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에폭시 코팅층의 도포량은, 표 5 에 나타내는 배합에 있어서 0.53 질량부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8
표 6 의 [(B)/(A)] × 100 의 란에는, 100 질량부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량 (질량부) 을 나타내고 있다. 표 6 의 [(C)/(A)] × 100 의 란에는, 100 질량부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의 배합량 (질량부) 을 나타내고 있다. 표 6 의 「에폭시기/이소시아네이트기」 의 란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 (C) 에 포함되는 에폭시기의 몰비를 나타내고 있다.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층과 인쇄면을 접착한 참고예 I-1 ∼ I-2 의 적층체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층과 인쇄면을 접착한 비교예 I-2 의 적층체보다 접착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I-3 에서는, 비교적 높은 접착 강도가 얻어졌지만, 접착제층에 더하여 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하였다. 에폭시 코팅층의 경화 (에이징) 에는 2 일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I-2 의 적층체에서는,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부근에서 박리되어 있었다. 비교예 I-3 의 적층체에서는, 정전 잉크층이 응집 파괴되어 있었다. 한편, 참고예 I-1 ∼ I-2 의 적층체에서는, 충분한 라미네이트 강도를 발휘하고 있고, 굳이 하중을 가한 경우에는,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되어 있어, 정전 잉크층의 응집 파괴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정전 잉크층의 응집력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참고예 I-1 ∼ I-2 에 있어서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의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0.5 ∼ 10 의 범위 내였다.
다음으로, 참고예 I-1 과 비교예 I-3 의 적층체에 대해, 라미네이트 강도에 더하여, 열수 라미네이트 강도 및 시일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에는, 잉크 피복률의 합계가 500 % 인 것과, 20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 순서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열수 라미네이트 강도의 측정]
참고예 I-1 과 비교예 I-3 의 적층체를, 각각 15 ㎜ 폭으로 컷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측정용 샘플의 단부에 있어서의 층간을 박리한 후, 90 ℃ 의 열수에 담근 상태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즉, 박리 각도 : 프리, 인장 속도 : 300 ㎜/분간으로 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열수 라미네이트 강도로서 표 7 에 나타낸다.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참고예 I-1 의 1 쌍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끼리가 중첩되도록 하여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시일부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끼리를 열용착시켜, 15 ㎜ 폭의 측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JIS K 7127 : 1999 에 준거하여, 제조한 측정 샘플의 시일부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박리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분간, 및 상온 (20 ℃) 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히트 시일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열처리 전」 의 시일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3 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 샘플을 제조하고,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시일 강도 (보일 후) 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을, 100 ℃ 의 수중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과 동일한 순서로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 의 「보일 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레토르트 (120 ℃) 후의 시일 강도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의 레토르트 열처리 (120 ℃ × 30 분간) 를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 의 「120 ℃ × 30 분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레토르트 (130 ℃) 후의 시일 강도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의 레토르트 열처리 (130 ℃ × 30 분간) 를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강도 (열처리 없음) 의 측정」 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7 의 「130 ℃ × 30 분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9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수 라미네이트 강도는 참고예 I-1 쪽이 비교예 I-3 보다 대폭 높았다. 또, 시일 강도도, 참고예 I-1 쪽이 비교예 I-3 보다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참고예 I-1 의 시일 강도는 보일 후에도 충분히 높았던 것에 반해, 비교예 I-3 의 시일 강도는 보일 후에 대폭 저하되었다. 비교예 I-3 의 적층체는, 수분 존재하에서 가열한 경우에 라미네이트 강도 및 시일 강도가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II-1)
[적층체의 제조]
기재로서, 나일론 필름 (두께 : 15 ㎛) 을 준비하였다. 이 나일론 필름의 일방의 주면에 수성 프라이머 수지 (폴리에틸렌이민을 함유하는 수지, Michelman 사 제조, 상품명 : DP050) 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수성 폴리에틸렌이민의 도포량이 0.10 ∼ 0.18 g/㎡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디지털 인쇄기 (HP 사 제조, Indigo20000 라벨 및 패키지용 디지털 인쇄기) 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크릴산의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 (HP Indigo 일렉트로 잉크)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으로는,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 (W) 및 시안 (C)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 및 잉크 피복률이 상이한 복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잉크 피복률은,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각 잉크 피복률은, 상기 디지털 인쇄기의 설정에 의해 조절하였다.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피복률의 합계는 100 ∼ 300 % 였다.
주제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락 A626, 이하 「(A)」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네이트 A50, 이하 「(B)」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이하, 「C」 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및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배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36.5 질량% 인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에폭시 화합물의 구조는 하기 식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각 성분의 질량 기준의 배합비 (질량 기준) 는, (A) : (B) : (C) = 8 : 1 : 0.28 로 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면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제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량은 4.0 g/㎡ 로 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ct00010
LLDPE 필름 (후타무라 화학사 제조, 상품명 : XMTN, 두께 : 60 ㎛) 을 준비하고,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기재 상의 접착제층과 상기 LLDPE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양생 시간 (에이징) 은, 40 ℃ 에서 2 일간으로 하였다.
(실시예 II-2, II-3)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 및 잉크 피복률을 표 8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조제하였다.
(비교예 II-1 ∼ II-3)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에폭시 화합물 ((C) 성분) 을 배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각각 실시예 II-1 ∼ II-3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조제하였다.
[포장체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의 각각에 대해, 150 ㎜ × 200 ㎜ 의 장방형상의 적층체를 2 장 준비하였다. 이 때, 실시예 II-1 및 비교예 II-1 의 적층체는, 폭 10 ㎜ 의 외주부에는, 정전 잉크 조성물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것을 준비하고, 실시예 II-2 ∼ II-3 및 비교예 II-2 ∼ II-3 의 적층체는, 외주부에도 정전 잉크 조성물이 도포된 것을 준비하였다. 2 장의 적층체를 LLDPE 필름측의 주면이 대향하는 상태에서 겹치고, 히트 시일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른 1 쌍의 단부, 및 폭 방향을 따른 일방의 단부를 첩합함으로써, 적층체의 주위의 네 변 중 세 변에 시일부를 형성하였다. 도 12 에서는, 적층체 (310) 의 주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최초의 히트 시일에 의해 적층체 (310) 의 세 변에 시일부 (111) 를 형성하여, 세 변이 폐쇄된 상태의 포장백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시일부 (111) 의 폭 (T) (도 12 참조) 은 10 ㎜ 로 하였다. 시일부 (11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한 변에 대해서도 히트 시일에 의해 2 장의 적층체를 첩합함으로써 시일부 (114) 를 형성하였다. 시일부 (114) 에 대해서도, 폭 (T) 을 10 ㎜ 로 하였다. 요컨대, 실시예 II-1 및 비교예 II-1 의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시일부 (111, 114) 에서는, 적층체 내에 정전 잉크 조성물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포장백을 준비하였다.
또한, 시일부 (114) 를 완전히 시일하여 내부를 밀봉한 상태로 하기 전에, 포장백 내의 내용물로서 500 ml 의 물을 도입하였다. 이로써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포장체의 내부에는 500 ml 의 물이 충전되어 있었다.
<라미네이트 강도 (보일 전) 의 평가>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의 각각에 대해, JIS K 6854-1 : 1999 의 기재에 준거하여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조제한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 대신에, 물을 충전하기 전의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적층체를 15 ㎜ 폭으로 컷하여 측정 샘플로 하였다. 측정 샘플의 단부에 있어서의 층간을 박리한 후,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min, 및 실온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층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상온 (20 ℃) 에서의 라미네이트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라미네이트 강도 (보일 후) 의 평가>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의 각각을, 90 ℃ 의 수중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보일 열처리). 그 후, 상기 서술한 <라미네이트 강도 (보일 전) 의 평가> 와 동일한 순서로 포장체의 일부를 잘라내어,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1
상기의 결과로부터, 정전 잉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시예 II-1, 비교예 II-1) 와 비교하여, 정전 잉크층이 존재함으로써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고, 또, 잉크 피복률이 커지면,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잉크 피복률이 300 % 가 되면, 비교예 II-3 에 대해서는, 보일 전 및 보일 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포장체 (적층체) 에 있어서도 라미네이트 강도가 2 이하가 되어,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으로서의 사용에 견딜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모두에 있어서, 보일 후에 라미네이트 강도가 커져 있다. 이것은, 보일을 실시할 때,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이 진행된 것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일 강도 (보일 전) 의 평가>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의 각각에 대해, 물을 충전하기 전 (시일부 (114) 를 완전히 시일하여 내부를 밀봉한 상태로 하기 전) 에, 시일부를 포함하도록 잘라내어, 15 ㎜ 폭의 측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JIS K 7127 : 1999 에 준거하여, 제조한 측정 샘플의 시일부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박리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min, 및 상온 (20 ℃) 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히트 시일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열처리 전」 의 시일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시일 강도 (보일 후) 의 평가>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포장체의 각각을, 90 ℃ 의 수중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보일 열처리). 그 후, 포장체를 개봉하고,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물을 제거하고 A 후에,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보일 전) 의 평가」 와 동일한 순서로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표 9 에 있어서의 「필름 파단」 이란, 필름이 파단된 상태에서 측정이 종료된 것을 나타낸다. 또, 「삼각 박리」 란, 1 쌍의 적층체의 적어도 일방에서, 층간에서의 박리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에지 절단」 이란, 히트 시일부와 백 내측의 경계부에서 파손이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상기의 결과로부터, 정전 잉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시예 II-1, 비교예 II-1) 와 비교하여, 정전 잉크층이 존재함으로써 시일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고, 또, 잉크 피복률이 커지면, 시일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II-2, II-3 에 대해서는, 보일 전 및 보일 후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가 40 N/15 ㎜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으로서의 사용에 견딜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함기 (含氣) 보일 시험>
상기의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각각에 대해, 150 ㎜ × 200 ㎜ 의 장방형상의 적층체를 2 장 준비하고, 상기 서술한 포장체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함기 보일 시험용의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시일부 (114) 를 완전히 시일하여 내부를 밀봉한 상태로 하기 전에, 포장백 내의 내용물로서 300 ml 의 물을 도입한 후, 추가로, 100 ml 의 공기를 충전한 점이, 라미네이트 강도 및 시일 강도용의 포장체와 상이하다. 이로써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에 관련된 함기 보일 시험용의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포장체의 내부에는, 300 ml 의 물 및 100 ml 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 II-1 ∼ II-3 및 비교예 II-1 ∼ II-3 의 포장체를 각각 3 개씩 준비하고, 각각에 대해, 100 ℃ 의 수중에서 60 분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의 포장체의 표면을 육안 관찰하고, 적층체의 표면의 정전 잉크 조성물에 의한 인쇄면의 들뜸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3
상기 서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열 처리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가열 처리에 대한 내성의 향상의 요인으로는, 정전 잉크 조성물의 강도의 향상, 및 각 층간의 접착 강도의 향상이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의 향상 작용을 검증하기 위해,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고예 II-1)
[접착제 조성물 및 적층체의 제조]
기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필름, 두께 : 12 ㎛) 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의 일방면에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수성 프라이머 수지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수성 폴리에틸렌이민의 도포량도 실시예 II-1 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II-1 에서 사용한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에 표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및 에틸렌메타크릴산의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정전 잉크 조성물 (HP Indigo 일렉트로 잉크)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으로는, 표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 (W), 황색 (Y), 마젠타 (M), 시안 (C) 을 사용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 및 잉크 피복률이 상이한 복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 색의 잉크 피복률 및 그 합계는, 표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표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피복률의 합계는 200 ∼ 500 % 였다.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순서로 인쇄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량은 4.0 g/㎡ 로 하였다.
알루미늄박 (토요 알루미늄 주식회사 제조, 두께 : 7 ㎛), 나일론 필름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 필름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II-1 과 동일한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여, 기재 상의 접착제층과 적층 필름의 알루미늄박이 마주보도록 하여, 알루미늄박과 접착제층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양생 시간 (에이징) 은, 40 ℃ 에서 2 일간으로 하였다.
[접착 강도 (상온) 의 측정]
JIS K 6854-1 : 1999 에 준거하여, 제조한 적층체의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조한 적층체를 15 ㎜ 폭으로 컷하여 측정 샘플로 하였다. 측정 샘플의 단부에 있어서의 층간을 박리한 후,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min, 및 실온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층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상온 (20 ℃) 에서의 접착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참고예 II-2 ∼ II-6)
접착제 조성물의 배합을, 표 11 및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1 및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참고예 II-7)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락 A626) 로 이루어지는 제 1 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타케네이트 A50) 및 에폭시 화합물 (C) 로 이루어지는 제 2 액이, 따로따로 용기에 수용된 2 액형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제 1 액과 제 2 액을 혼합하여, 표 12 에 나타내는 배합의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I-4)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에폭시 화합물 (C) 를 배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참고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I-5)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면에 대해, 식 (1) 의 에폭시 화합물을 도포하여 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한 것, 이 에폭시 코팅층에, 비교예 II-4 의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고, 접착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에폭시 코팅층의 도포량은, 표 11 에 나타내는 배합에 있어서 0.53 질량부에 상당하는 양으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표 11 및 표 12 의 [(B)/(A)] × 100 의 란에는, 100 질량부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량 (질량부) 을 나타내고 있다. 표 11 및 표 12 의 [(C)/(A)] × 100 의 란에는, 100 질량부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의 배합량 (질량부) 을 나타내고 있다. 표 11 및 표 12 의 「에폭시기/이소시아네이트기」 의 란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한, 에폭시 화합물 (C) 에 포함되는 에폭시기의 몰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1 및 표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층과 인쇄면을 접착한 참고예 II-1 ∼ II-7 의 적층체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접착제층과 인쇄면을 접착한 비교예 II-4 의 적층체보다 접착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II-5 에서는, 비교적 높은 접착 강도가 얻어졌지만, 접착제층에 더하여 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하였다. 에폭시 코팅층의 경화 (에이징) 에는 2 일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비교예 II-4 의 적층체에서는,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부근에서 박리되어 있었다. 비교예 II-5 의 적층체에서는, 정전 잉크층이 응집 파괴되어 있었다. 한편, 참고예 II-1 ∼ II-7 의 적층체에서는,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서 박리되어 있고, 정전 잉크층의 응집 파괴는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정전 잉크층의 응집력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참고예 II-1 ∼ II-7 에 있어서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의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0.5 ∼ 10 의 범위 내였다.
다음으로, 참고예 II-5 와 비교예 II-5 의 적층체의 접착 강도, 열수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에는, 잉크 피복률의 합계가 500 % 인 것과, 20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 순서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열수 접착 강도의 측정]
참고예 II-5 와 비교예 II-5 의 적층체를, 각각 15 ㎜ 폭으로 컷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측정용 샘플의 단부에 있어서의 층간을 박리한 후, 90 ℃ 의 열수에 담근 상태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즉, 박리 각도 : 프리, 인장 속도 : 300 ㎜/min 으로 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열수 접착 강도로서 표 13 에 나타낸다.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참고예 II-5 의 1 쌍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끼리가 중첩하도록 하여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시일부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끼리를 열용착시켜 15 ㎜ 폭의 측정 샘플을 제조하였다. JIS K 7127 : 1999 에 준거하여, 제조한 측정 샘플의 시일부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박리 각도 : 90°, 인장 속도 : 300 ㎜/min, 및 상온 (20 ℃) 의 조건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히트 시일간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박리 강도를 「열처리 전」 의 시일 강도로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I-5 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 샘플을 제조하고,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시일 강도 (보일 후) 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을, 100 ℃ 의 수중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없음) 의 측정」 과 동일한 순서로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 의 「보일 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레토르트 (120 ℃) 후의 시일 강도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의 레토르트 열처리 (120 ℃ × 30 분간) 를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 의 「120 ℃ × 30 분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레토르트 (130 ℃) 후의 시일 강도의 측정]
상기 서술한 「시일 강도 (열처리 전) 의 측정」 에서 제조한 측정 샘플의 레토르트 열처리 (130 ℃ × 30 분간) 를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일 강도 (열처리 없음) 의 측정」 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 의 「130 ℃ × 30 분간」 의 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6
표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수 접착 강도는 참고예 II-5 쪽이 비교예 II-5 보다 대폭 높았다. 또, 시일 강도도, 참고예 II-5 쪽이 비교예 II-5 보다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참고예 II-5 의 시일 강도는 보일 후에도 충분히 높았던 데에 반해, 비교예 II-5 의 시일 강도는 보일 후에 대폭 저하되었다. 비교예 II-5 의 적층체는, 수분 존재하에서 가열했을 경우에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II-8)
[접착제 조성물 및 적층체의 제조]
기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필름, 두께 : 12 ㎛) 을 준비하였다. 이 PET 필름의 일방면에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수성 프라이머 수지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수성 폴리에틸렌이민의 도포량도 실시예 II-1 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II-1 에서 사용한 디지털 인쇄기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에 표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으로는, 백색 (W), 황색 (Y), 마젠타 (M), 시안 (C) 을 사용하였다. 잉크 피복률로서, W 200 % 인 것과, C 100 % + M 100 % + Y 100 % + W 200 % 인 것을 조제하였다. 표 14 에서는, 전자를 「잉크 피복률 (1)」 로 하고, 후자를 「잉크 피복률 (2)」 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정전 잉크 조성물의 잉크 피복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II-1 과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여, 실시예 II-1 과 동일한 순서로 인쇄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량은 4.0 g/㎡ 로 하였다.
실시예 II-1 에서 사용한, 적층 필름 (나일론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시판되는 접착제로 첩합하여 얻은 적층 필름) 을, 실시예 II-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접착제층에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양생 시간 (에이징) 은, 40 ℃ × 2 일간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의 시일 강도 (열처리 전) 및 시일 강도 (보일 후) 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 접착 강도 (열처리 전) 및 열간 접착 강도 (120 ℃) 를 이하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참고예 II-8 의 1 쌍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끼리가 중첩되도록 하여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시일부를 갖는 삼방 봉투를 제조하였다. 이 삼방 봉투에 물을 봉입 (封入) 하였다. 그 후, 레토르트 처리 장치 (히사카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레토르트 열처리 (120 ℃ × 30 분간) 를 실시하였다. 레토르트 열처리 후, 15 ㎜ 폭으로 컷하고, 시일부의 샘플을 채취하고, 정전 잉크층과 정전 잉크층에 접하는 층의 층간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박리 강도를, 표 14 의 「열간 접착 강도 (120 ℃)」 의 란에 나타낸다. 또한, 표 14 에는, 레토르트 열처리 전의 접착 강도도 아울러 나타냈다.
(참고예 II-9 ∼ II-12)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의 배합량을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II-8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적층체를, 참고예 II-8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I-6)
정전 잉크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면에 대한 라미네이트를, 드라이 라미네이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 라미네이터기로 실시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II-4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정전 잉크 조성물의 색 및 잉크 피복률은,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제조한 적층체를, 참고예 II-8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7
표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참고예에서는 가열 조건하에 있어서도 높은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의 배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열간 접착 강도 (120 ℃), 그리고 시일 강도 (열처리 전 및 보일 후) 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에폭시 화합물 (C) 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II-6 에서는, 고온 열수 처리 조건에 노출되면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고예 II-8 ∼ II-12 에 있어서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 에 포함되는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0.5 ∼ 10 의 범위 내였다.
(참고예 II-13 ∼ II-17)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1)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락 A525),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네이트 A52), 및 에폭시 화합물 (C) 로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를 배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배합 비율은, 표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이와 같은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각각 참고예 II-8 ∼ II-12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II-7)
폴리올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1)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락 A525),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네이트 A52) 을 배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배합 비율은, 표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이와 같은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II-4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18
표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조합을 변경한 경우에도, 각 참고예에서는 높은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1) 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의 배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열간 접착 강도 (120 ℃), 그리고 시일 강도 (열처리 없음 및 보일 후) 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에폭시 화합물 (C) 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II-7 에서는, 고온 열수 처리 조건에 노출되면 접착 강도 및 시일 강도가 대폭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참고예 II-13 ∼ II-17 에 있어서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 (A1) 에 포함되는 수산기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에 포함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0.5 ∼ 10 의 범위 내였다.
본 개시에 의하면,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인쇄가 실시된 인쇄면을 가지면서도,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굴곡부에 있어서도 정전 잉크층과 프라이머층의 계면, 및 정전 잉크층과 접착제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가 억제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디지털 인쇄기에 의한 정전 잉크층을 가지면서 가열 처리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갖는 포장백을 제공할 수 있다.
10 : 기재
20 : 실란트층
30 : 접착제층
40 : 프라이머층
50, 51 : 정전 잉크층
52 : 인쇄부
60 : 굴곡부
70 : 입구 마개
72 : 주출구
74 : 플랜지
100, 110 : 용기
101, 103, 111, 114, 121, 122 : 시일부
102, 112, 124, 132 : 수용부
120, 130 : 포장백
140 : 개봉 수단
141 : 하프 컷선
144 : 개봉 용이 가공부
200 : 동체부
300, 302, 304, 306, 310 : 적층체
400 : 포장체

Claims (15)

  1. 굴곡부를 갖는 동체부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동체부는, 적어도 1 장의 적층체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는, 기재, 프라이머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기 실란트층 측의 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 잉크 조성물로 구성되는 인쇄부를 갖고,
    상기 접착제층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에 상기 인쇄부를 갖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와 접속하는 입구 마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마개는, 통상의 주출구와, 상기 주출구의 하단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를 갖는,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가 1 장의 상기 적층체로 구성되는,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가 측면 시트가 되는 2 장의 상기 적층체와 바닥면 시트가 되는 1 장의 상기 적층체로 구성되는, 용기.
  10. 기재, 프라이머층, 정전 잉크층, 접착제층, 및 실란트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로 구성되는, 가열 처리용의 포장백으로서,
    상기 접착제층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가열용 포장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폴리에틸렌이민 수지를 포함하는, 가열용 포장백.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외주부에 2 장의 적층체의 상기 실란트층끼리를 접착하는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정전 잉크층의 잉크 피복률은 300 % 이하인, 가열용 포장백.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2 관능의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열용 포장백.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양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가열용 포장백.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가열용 포장백.
KR1020237026874A 2021-01-13 2021-12-02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 KR20230132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3413 2021-01-13
JPJP-P-2021-003413 2021-01-13
JPJP-P-2021-004251 2021-01-14
JP2021004251 2021-01-14
PCT/JP2021/044265 WO2022153705A1 (ja) 2021-01-13 2021-12-02 容器、及び加熱用包装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803A true KR20230132803A (ko) 2023-09-18

Family

ID=8244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874A KR20230132803A (ko) 2021-01-13 2021-12-02 용기, 및 가열용 포장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369342B2 (ko)
KR (1) KR20230132803A (ko)
TW (1) TW202237494A (ko)
WO (1) WO2022153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214770D0 (en) * 2022-10-07 2022-11-23 Sun Chemical Corp Primers for digital prin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0478A (ja) 2015-10-23 2018-10-18 エイチピー・インディゴ・ビー・ブイHP Indigo B.V. フレキシブル包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6852B2 (ja) * 2001-07-31 2009-02-18 三井化学ポリウレタン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接着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4352905A (ja) 2003-05-30 2004-12-16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水系ポリウレタンラミネート接着剤
JP2006327590A (ja) * 2005-05-23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電子レンジ用包装袋
US20110315223A1 (en) 2010-06-25 2011-12-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ating having improved hydrolytic resistance
CN103270092B (zh) 2010-11-01 2014-10-01 陶氏巴西股份有限公司 具有一个或多个改性表面以改善其与多异氰酸酯官能粘合剂粘附的聚烯烃
US20160152880A1 (en) * 2013-07-19 2016-06-02 Dic Corporation Laminate adhesive composition
JP6451987B2 (ja) * 2015-03-17 2019-01-16 Dic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
JP6584227B2 (ja) 2015-08-26 2019-10-02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接着剤
JP6233551B1 (ja) 2016-03-25 2017-11-22 Dic株式会社 2液硬化型ラミネート接着剤、その硬化物、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2液硬化型ラミネート接着剤用アミン溶液
JP2019199259A (ja) * 2018-05-14 2019-11-21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2020059535A (ja) 2018-10-11 2020-04-16 共同印刷株式会社 ガセット袋
CN112823127B (zh) * 2018-10-19 2023-03-28 凸版印刷株式会社 管容器及其制造方法
JP2021066782A (ja) * 2019-10-21 2021-04-30 Dic株式会社 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プレポリマー、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接着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0478A (ja) 2015-10-23 2018-10-18 エイチピー・インディゴ・ビー・ブイHP Indigo B.V. フレキシブル包装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494A (zh) 2022-10-01
JP7369342B2 (ja) 2023-10-26
WO2022153705A1 (ja) 2022-07-21
JP2023121833A (ja) 2023-08-31
JPWO2022153705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9278B1 (en) Laminate film
JP6940014B2 (ja) 硬化剤、2液型接着剤、接着剤組成物、硬化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材、並びに包装体
US8507059B2 (en) Multilayer film using solvent-free adhesiv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ackaging container
WO2016190431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JP2023121833A (ja) 容器、及び加熱用包装袋
WO2022138379A1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スパウト付きパウチ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材、包装袋並びに包装体
JP2022179591A (ja) 積層体で構成される袋
CN116710277A (zh) 容器以及加热用包装袋
JP2022110285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包装材及び包装体
WO2024034532A1 (ja) 包装袋及び包装体
JP2022106075A (ja) 包装袋
WO2022137992A1 (ja) 缶用ラベル
JP2022102513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包装袋並びに包装体
KR102663946B1 (ko) 성형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90903A1 (ja) 積層体及び包装袋
JP7480625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袋
JP2023183633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袋
JP2023111747A (ja) 包装袋
JP2023183632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袋
JP2023149144A (ja) 積層体及び包装袋
JP2023111750A (ja) 包装袋
JP2023097273A (ja) パウ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