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136A -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136A
KR20230125136A KR1020230104897A KR20230104897A KR20230125136A KR 20230125136 A KR20230125136 A KR 20230125136A KR 1020230104897 A KR1020230104897 A KR 1020230104897A KR 20230104897 A KR20230104897 A KR 20230104897A KR 20230125136 A KR20230125136 A KR 2023012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hyaluronic acid
polylysine
wound
p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393B1 (ko
Inventor
엄향매
설자영
Original Assignee
(주)유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레 filed Critical (주)유레
Publication of KR2023012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collagen, fibr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9Materials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6Glycosaminoglycans, e.g. heparin, hyaluronic acid, chondroi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4Anti-adhes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1) 히알루론산 칼슘염과 폴리라이신 수용액의 pH를 각각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다음 혼합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으로부터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WOUND DRESSING COMPRISING HYALURONIC ACID-CALCIUM AND POLYLYSI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과적인 시술 및 신체적 외상들로 인한 혈관의 손상은 출혈을 야기한다. 가벼운 표면 출혈은 혈관, 혈소판 및 혈장 인자들 간의 복합적인 연쇄작용인 생리학적 지혈로 최종적으로 멈춘다. 그러나 출혈이 심각한 경우에는 외과적 및 내과적 지혈 수단이 필요해진다. 외과적 지혈에서는 파열된 혈관의 봉합이나 지혈 스폰지 등을 상처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외과적 지혈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지혈 스폰지 또는 조성물들은 외과수술이나 혈관, 치과 수술 등에 유용하다.
기존에 개발된 지혈 제품으로는 생체 내 지혈 응고 인자를 함유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스펀지 형태의 Tachcomb
Figure pat00001
Topical Thrombin, 혈액을 흡수하여 혈액 응고 효과를 나타내는 Surgicel, Avitene, ChitoClot 등이 있다. Tachcomb Topical Thrombin은 소나 인간의 혈액에서 추출된 피브리노겐, 트롬빈, 콜라겐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처치 시에 감염 위험성과 과민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Surgicel, Avitene, ChitoClot은 혈액 응고 능력과 상처에 대한 부착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생체 적합성이 낮아서 출혈 부위의 재생 효과가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뛰어난 지혈능을 가지는 손상된 상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창상 피복재가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피부의 상처를 치유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외부 창상 피복재는 치유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제공하며, 감염 방지, 보온 효과, 상처면의 부착 방지, 사용 용이성, 경제성, 흡수성, 투습성 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심부 체강 창상 피복재는 생체 내부의 상처 부위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일반 창상 피복재의 요건에 더하여, 생체 내에서 수화되어 상처 치유 기간 동안 상처를 보호하되, 치유가 완료된 이후에는 자연적으로 흡수 및 제거되어 정상적인 조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고, 유착 방지 기능 또한 보유하여야 한다.
유착(adhesion)이란 염증, 창상, 마찰, 수술 등에 의한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치유 반응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섬유 조직(fibrous tissue)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고, 이로 인해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할 주변 장기 또는 조직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든 종류의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장기 유착 발생률은 55% 내지 93%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착 방지를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는 조직의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인접한 조직 사이의 유착 형성을 막아주는 유착 방지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유착 방지재는 형태 상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필름, 부직포, 스폰지와 같은 막 형태이며, 둘째는 겔 형과 같은 용액 형태이다. 기존에 개발된 제품으로는 인터가드, 하이펜스, 하이배리, 젠타큐, 메디커튼, 콜라템프G, RegenPack, 가딕스 등이 있다. 기존의 막형 유착 방지재는 유착 억제 효과가 탁월하지만, 최근 확대되고 있는 복강경 등을 이용하는 현미경적 수술 형태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용액형 유착 방지재는 수술 후 발생하는 혈액 등의 삼출물로 인해 방지재의 부착이 어렵고, 삼출물 제거 시 함께 제거되거나 복강 내에서 빠르게 흡수되어 유착 방지를 위한 방벽 역할이 충분히 지속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착 방지재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체 고분자인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콜라겐은 대부분 소나 돼지의 피부 또는 근육에서 추출된 것이기 때문에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콜라겐 단백질이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더욱이 소 유래의 콜라겐은 소해면상뇌병증 (Bovine spongeform encephalopathy, 'BSE') 인자에 의한 안전성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다른 동물에서 추출된 콜라겐 역시 동물 바이러스 감염이라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히알루론산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생체 내에서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되고, 단시간에 상처의 표면으로부터 확산하여 흘러내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히알루론산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BDDE, DVS, EDC/HoBt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가교에 의해 히알루론산 겔 조성물을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가교제를 제거하는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생분해성 등으로 안전성이 문제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창상 피복재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생체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며, 혈액 흡수, 지혈 효과 및 유착 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생체 외부의 창상은 물론 심부 체강 창상에 대해서도 짧은 시간 내에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창상 피복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한 공극과 지지체 구조를 유지하고, 혈액 흡수가 빠르며, 주변 조직에 대한 창상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 내부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지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1.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2.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을 4: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창상 피복재.
3.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을 2:1 내지 4: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창상 피복재.
4.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을 2: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의 창상 피복재.
5.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2×106 내지 3×106 Da인 상기 1의 창상 피복재.
6. 액상, 폼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지는 것인 상기 1의 창상 피복재.
7. (1)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히알루론산 칼슘염의 수용액을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폴리라이신 수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으로부터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8. 히알루론산 칼슘염의 수용액 및 폴리라이신 수용액의 pH를 각각 8.4 내지 9.0 범위로 조절하는 것인, 상기 7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9.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으로부터 액상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상기 7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10.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액을 동결 건조시켜 폼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상기 7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11.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거나 틀에 부은 다음 건조시켜 필름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상기 7의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라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액상, 폼 및 필름형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히알루론산의 칼슘염 수용액과 폴리라이신 수용액을 혼합한 혼합액으로부터 생체 내/외부 상처 부위에 적용이 가능한 창상 피복재로서 액상, 폼 및 필름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는 심부 체강 창상 피복제로서의 요건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학적 가교 없는 생체 유래 물질인 히알루론산을 사용함으로써 이물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잔류 독성 문제가 없으며, 일정 시간 동안 체내에서 머문 후 분해 및 흡수되며, 수술 후 상처가 치유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수술 부위에 적용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착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칼슘 및 폴리라이신의 사용으로 월등한 지혈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혈액 유출로 인한 응고로 인해 발생율이 높아질 수 있는 조직 유착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폴리라이신이 가지는 항균력으로 인한 상처의 감염 억제 효과 역시 부여되어 기존의 제품들과 차별화된 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창상 피복재는 칼슘에 의한 지혈 작용과 히알루론산의 창상 치유 효과 및 제형의 특성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폼(foam)형 창상 피복재는 적절한 공극과 지지체 형태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서 혈액 흡수가 빠르고, 접착력을 가지며, 혈액 응고를 촉진시켜 지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조직에 대한 창상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생분해성이 있어서 인체 내부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폼형 창상 피복재는 부드러운 질감 및 고른 표면 형태를 가지며, 상처 부위의 혈액과 삼출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상처 부위에 대한 고정능과 뛰어난 지혈 성능을 보유하여 창상 감염 억제 및 상처 치유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필름 형은 상기에서 열거한 특성 이외에도 습윤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형태가 유지되므로 창상 부위 보호와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의 히알루론산과 폴리라이신의 중량비에 따른 외형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의 고분해 주사현미경(투과전자 현미경,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HA 함량 0.5%) 및 비교예의 혈액 응고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HA 함량 1.0%) 및 비교예의 혈액 응고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및 비교예의 혈액 응고 특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HA 함량 0.5%) 및 비교예의 응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혈액 응고 특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HA 함량 1.0%) 및 비교예의 응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혈액 응고 특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패드 및 비교예의 시편에 혈액이 완전히 흡수되었을 때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히알루론산 칼슘염(HA-Ca), 히알루론산 나트륨염(HA-Na),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 (HA-Ca-PLL),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 (HA-Na-PLL) 및 비교예의 지혈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히알루론산 칼슘염(HA-Ca), 히알루론산 나트륨염(HA-Na),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 (HA-Ca-PLL),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 (HA-Na-PLL) 및 비교예에 대해 간문맥 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지혈 효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히알루론산과 폴리라이신을 가교 결합시켜 제조한 패드의 외형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액상형 창상피복재를 충진한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의 외형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필름형 창상 피복재의 외형 사진이다.
히알루론산(이하, 'HA'로 지칭되기도 함)은 β-D-글루쿠론산(β-D-glucuronic acid)과 β-D-N-아세틸글루코사민(β-D-N-acetylglucosamine)이 상호 베타 결합으로 이루어진 긴 선형의 다당류로서, 분자량이 1,000 Da에서 10,000,000 Da의 넓은 분포를 가지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생분해성 및 생체 적합성 천연 고분자이다.
히알루론산은 많은 양의 물과 결합하여 높은 점성을 띠는 겔 상태로, 눈의 유리체, 관절액, 연골 및 피부에 다량 존재하여, 관절의 윤활 작용, 피부의 유연성 부여 및 높은 점성에 의해 세균의 피부 침투를 막는 보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퇴행성 관절염, 백내장, 주름 개선, 약물 전달, 줄기세포 지지체, 화장품 보습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직의 세포외 기질에 다량 존재하여,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고, 상처 치유 효과 (Erika Nyman et al., J. Plasr Surg Hand Surg. 2013; 47; 89-92) 및 상처 치유 기작 (Richard D Price et al., Am J Clin Dermatol; 2005; 6(6) 393-402)이 보고되어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이 손상된 조직 주변의 혈관 재생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상처를 효율적으로 치유시킬 수 있다는 약리 작용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히알루론산은 창상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약물 전달 시스템 및 조직공학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우수한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조직 유착을 방지하는 특성으로 인해 그 자체로 유착 방지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나트륨염의 형태로 제공되는 기존의 히알루론산은 지혈 작용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라이신(ε-Poly-L-lysine, polylysine, 이하, 'PLL'로 지칭되기도 함)은 강염기성 아미노산인 L-라이신(L-Lysine)이 25 내지 35개가 결합되어 양(+)이온 전하를 띤다. 이와 같이 양(+)이온 전하를 띄고 있는 폴리라이신은 음(-)이온의 전하를 띠는 미생물의 세포막과 이온 결합하고, 이를 통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LL은 천연 항균제 (천연 보존제, 천연 방부제)나 천연의 식품 보존료 (natural preservatives)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라이신은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서 모든 균 (그람 양성, 그람 음성, 진균류)에 대한 항균성을 나타내며, pH 변화에도 안정하여 약산성 내지 중성 (pH 4.0 내지 8.0) 영역에서 최소 억제 농도(MIC)의 큰 변화 없이 항균 활성이 유지된다. 열에 대해서도 안정하여 열에 의한 향균력 감소도 없다. 그 외에도 폴리라이신은 혈소판의 응집을 유도한다는 것과, 분자 크기에 따라 혈소판의 응집 유도능이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칼슘은 창상 치료에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마그네슘과 더불어 단백질 합성과 콜라게나아제의 활성(collagenase activity)에 필요하며, 상처의 출혈을 멈추게 하는 응고 효과를 촉진하기도 하고, 각질 형성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생체 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칼슘의 창상 치유의 효능을 이용하는 시판 드레싱으로는 칼슘 알지네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 적합성 및 상처 치유 능력이 있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염의 나트륨 이온을 칼슘 이온으로 치환하여 지혈 효과를 부여하고, 여기에 항균력 및 혈소판 응집 능력이 있는 폴리-L-라이신 (PLL)을 배합하여, 사용이 용이한 용액 형태의 겔뿐만 아니라, 생체 외부는 물론 생체 내부에 존재하는 상처 부위에 대한 부착이 가능한 폼형 패드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폼형 패드 및 필름 형태의 피복재는 생체 적합성, 혈액 흡수 및 지혈 효과, 유착 방지 효과를 보임으로써, 생체 외부의 창상은 물론, 심부 체강 창상에 대해서도 짧은 시간 내에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 (이하, 'HA-PLL' 또는 'HA-Ca-PLL'로 지칭되기도 함)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심부 체강 창상에 적용되어 상처 치유가 완료된 이후에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제거되는 데에 적합한 범위,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체내 반감기를 가져 물리적인 장벽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는 2×106 내지 3×106 Da 범위이다.
상기 창상 피복재는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을 4:1 내지 1: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4:3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L-라이신(PLL)의 혼합 비율을 위와 같은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창상 피복재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질감 및 강도를 가지며, 최적의 공극이 유지되어 혈액의 흡수 속도와 지혈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폼 또는 필름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피복재는 상기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액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의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1)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히알루론산 칼슘염의 수용액을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폴리라이신 수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으로부터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은 그대로 액상의 창상 피복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경우 창상 피복재를 폼 또는 패드 형태로 얻을 수 있고, 상기 혼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거나 틀에 부은 다음 건조시켜 필름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매우 큰 고분자이며, 일반적으로 말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나트륨염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사용하는 히알루론산 칼슘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염의 수용액에 칼슘염 수용액을 가하여 나트륨 이온을 칼슘 이온으로 치환한 것일 수 있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염을 칼슘염으로 전환함에 있어서는 종래에 알려져 있는 어떤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치환에서 히알루론산의 수용액의 농도는 0.5 내지 1.0 중량% 범위, 칼슘염 수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0.2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칼슘염 수용액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칼슘염을 얻는다. 칼슘염 수용액은 히알루론산 수용액 중의 나트륨 이온을 칼슘 이온으로 치환하는 데에 충분한 양, 즉 히알루론산 수용액에 대해 1 당량 이상이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은 치환에 사용될 수 있는 칼슘염은 예를 들면, 염화칼슘, 아세트산칼슘 등의 무기산염 또는 유기산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분야에 알려져 있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칼슘염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에서는 히알루론산 칼슘염과 폴리라이신 수용액의 pH를 각각 8.4 이상으로 조절한 다음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든다.
히알루론산으로부터 폼 형태의 패드를 제조하려면 동결 건조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경우 패드가 푸석거리거나 거친 표면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균일한 표면을 갖도록 하는 데에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을 폴리-L-라이신과 혼합하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서로 엉겨서 침전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폼 형태로 만들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론산 칼슘염과 폴리-L-라이신을 혼합할 때 혼합액의 pH를 염기성 범위, 바람직하게는 pH 8.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8.4 내지 9.0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반응물이 침전되지 않고 균일한 혼합액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pH 8.4 미만에서는 히알루론산 칼슘염과 폴리-L-라이신이 균일하게 섞이지 않고 침전물을 형성한다. pH 9.0을 초과하는 경우 폼 형성은 가능하지만, 인체에 안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인체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폴리-L-라이신 수용액 각각의 pH를 조정하지 않고 혼합하는 경우 침전물이 형성되는데, 혼합 이후에 pH를 8.4 이상으로 조정하면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폴리-L-라이신 수용액이 서로 혼합된다. 그러나, 이미 형성된 침전물이 균질 혼합액을 만드는데 방해를 하고, 이는 균질한 미세 구조를 가지는 패드 형태의 폼으로 형성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론산 칼슘염을 염기 용액으로 pH 8.4 이상으로 조정하고, 여기에 pH 8.4 이상으로 조정한 폴리-L-라이신의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pH 조절을 위한 염기 용액으로는 NaOH, KOH, NaHCO3 등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는 단계 (1)에서 얻는 혼합액을 프리필드 시린지에 충진하여 액상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을 수도 있고, 히알루론산 칼슘염과 폴리-L-라이신의 혼합액을 냉장 온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통상의 동결 건조 조건, 예를 들면, -10 내지 -20℃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냉동시킨 다음, 48 내지 60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폼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거나 틀에 부은 다음 40℃ 내지 60℃에서 12 내지 16시간 동안 건조시켜 필름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을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 폼형 창상 피복재 (패드)의 제조
히알루론산 5 g을 정제수 450 ml에 가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aCl2 1.1 g을 정제수 50 ml에 용해시켜 상기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칼슘염을 생성시켰다. 그 다음, 총 10 ml 부피의 제조액에 하기 [표 1]에 표시한 양으로 각각 pH 8.4로 조정한 HA와 PLL의 혼합액을 0 내지 4℃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안정화한 후, -10 내지 -20℃에서 10 내지 12 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동결 건조하여 HA-PLL 폼형 창상 피복재 (이하, 'HA-PLL 패드' 또는 'HA-Ca-PLL 패드'로 지칭되기도 함)를 제조하고, 폼 형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표 1에서 비교예 1 및 2는 PLL 없이 칼슘염으로 치환된 HA만으로 제조한 패드이다.
구분 HA-Ca 함량 (%) PLL 함량 (%) 패드 형성 여부
실시예 1 0.05g (0.5%) 0.025g (0.25%)
실시예 2 0.05g (0.5%) 0.05g (0.5%)
실시예 3 0.05g (0.5%) 0.075g (0.75%)
실시예 4 0.1g (1%) 0.025g (0.25%)
실시예 5 0.1g (1%) 0.05g (0.5%)
실시예 6 0.1g (1%) 0.075g (0.75%)
비교예 1 0.05g (0.5%) -
비교예 2 0.1g (1%) -
실시예 7: 액상형 창상 피복재의 제조
실시예 2 조성의 혼합액에 0.8%가 되도록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프리필드 시린지에 담아 액상 형태의 창상 피복재 시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8: 필름형 창상 피복재의 제조
실시예 2 조성의 혼합액을 10cm×10cm 크기의 틀에 붓고, 40℃의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내지 16시간 방치하여 필름형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패드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조예 1 내지 6 조성 모두 패드 형성은 잘되었다. 그러나 HA 함량이 높을수록 패드는 더 단단해졌고, PLL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패드가 딱딱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PLL의 함량이 제조액에 대해 0.75%(w/v)를 초과하거나, HA 함량이 1%(w/v)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정도가 커서 부스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상 피복재를 폼형 또는 필름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HA 함량은 1.0%를, PLL 함량은 0.7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혈 효능이 제일 높은 것으로 확인된 실시예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패드의 공극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고분자 주사현미경(투과전자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0.5% HA-Ca (제조액 총 부피에 대한 HA-Ca의 함량이 0.5%(w/v)인 경우)으로 제조한 패드에 비하여, 여기에 0.5% PLL을 더 혼합 (제조액 총 부피에 대해 HA-Ca의 함량이 0.5%(w/v), PLL 함량이 0.5%(w/v)인 경우)하여 제조한 패드의 공극이 더 조밀한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1: 칼슘(Ca)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2, 5,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패드의 칼슘 치환률을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EDTA를 사용한 Ca 정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패드 약 0.1g을 취하여 증류수 25 mL, 완충용액 (pH 10.0) 3 mL에 녹인 다음, EBT 지시약 6 방울을 넣고 EDTA 시약을 이용하여 붉은색이 파란색으로 변하는 시점까지 적정하였다. EDTA 시약은 0.3 g Na 2 H 2 EDTA×2H 2 O (80℃에서 1시간 건조시켜 데시케이터에 보관한 것)을 250 mL 증류수에 녹여 준비하였다. 완충용액(pH 10.0)은 28 wt% NH 4 OH 142 mL에 NH 4 Cl 17.5g을 넣고 2차 증류수로 최종 부피가 250 mL가 되도록 맞추었다. EBT (Eriochrome black T indicator) 시약은 EBT 0.2 g을 트리에탄올아민 15 mL와 에탄올 (absolute ethanol) 5 mL 혼합 용액에 녹여 준비하였다. 히알루론산 칼슘과 폴리라이신의 혼합 질량에 따른 패드의 칼슘의 질량 및 함량 (중량%)을 각각 하기 식 1 및 2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식 2]
패드 칼슘 함량 (중량%)
실시예 2 0.5% HA-0.5% PLL 1.67
실시예 5 1% HA-0.5% PLL 1.76
비교예 1 0.5% HA 3.8
비교예 2 1% HA 3.9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PLL이 혼합된 경우, HA만으로 제조한 패드에 비해 칼슘 함량이 5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혈액 응고 특성 (흡광도) 평가
1㎝ × 1㎝ (가로×세로)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에 각각 혈액과 항응고제 (구연산나트륨, 3.8w/v%)를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혼합액 100㎕를 적가하고, 0.2M CaCl2 수용액 10 μl를 첨가하여 10분간 37℃ 인큐베이터에서 응고시킨 후, 응고에 참여하지 않은 혈액을 다시 증류수 12.5 ml에 용출하였다. 그 용출액 1 ml를 채취하여 54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AB]를 측정하고, 증류수 1 ml를 취하여 54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AW]를 측정하였다. 혈액 용출액에 포함된 증류수의 흡광도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다음 식 1에 따라 혈액 응고 특성 (흡광도)을 계산하였다.
[식 3]
흡광도 = 혈액 용출액 흡광도[AB] - 증류수 흡광도[AW]
일반 거즈 (비교예 3), 시판되는 타사의 창상 피복재 Alge Derm (지종, 비교예 4) 및 RegenPack (제네웰, 비교예 5)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께 표시하였다. Algi Derm은 칼슘 알지네이트 (calcium alginate)가 포함된 것이고, RegenPack은 콜라겐이 포함된 폼형 창상 피복재이다. 혈액 (blood)에 대해서는 지혈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고 혈액 단독만으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A-PLL 폼형 패드의 HA와 PLL의 혼합 비율에 따른 혈액 응고 특성 측정 결과를 표 3, 도 3 (HA 함량 0.5%) 및 도 4 (HA 함량 1.0%)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순수한 혈액(Blood), PLL 함량에 따른 0.5%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 및 비교예 1, 3 내지 5의 혈액 용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구분 HA-Ca PLL 혈액 응고 효능 지표*
실시예 1 0.05g (0.5%) 0.025g (0.25%) 1.5
실시예 2 0.05g (0.5%) 0.05g (0.5%) 1
실시예 3 0.05g (0.5%) 0.075g (0.75%) 2
실시예 4 0.1g (1%) 0.025g (0.25%) 2
실시예 5 0.1g (1%) 0.05g (0.5%) 1
실시예 6 0.1g (1%) 0.075g (0.75%) 2
비교예 1 0.05g (0.5%) - 2.2
비교예 2 0.1g (1%) - 3
상품명(제조사) 주요 성분
비교예 3 멸균거즈
(대한위재상사)
면실 5
비교예 4 Algi Derm(지종) Calcium alginate 2
비교예 5 RegenPack(제네웰) Collagen 1
* 혈액 응고 효능 지표는 혈액 응고 특성 평가 흡광도(O.D) 측정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 0.1 이하; 2: 0.1 초과 0.2 이하; 3: 0.2 초과 0.25 이하, 4: 0.25 초과 0.3 이하; 5: 0.3 이상.
실험예 3: 혈액 응고 속도 (흡광도) 평가
37℃ 인큐베이터에서의 혈액 응고 시간을 각각 1, 2, 3, 5 및 10분간 응고시킨 시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혈액 용출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액 응고 속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은 HA 함량이 0.5%인 경우, 도 7은 HA 함량이 1.0%인 경우 PLL의 함량에 따른 흡광도 (O.D.) 계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예 4: 혈액 흡수 속도 평가
혈액 흡수 속도를 1㎝ × 1㎝ (가로×세로) 크기의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 함유 패드에 100㎕의 혈액을 적가한 후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평가하고, 이로부터 지혈용 패드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시판되는 Algi Derm과 RegenPack 두 가지 제품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HA 함량이 0.5%인 폼형 패드의 혈액 적가 후 5초 이내에 촬영한 사진이다.
표 4 및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1% HA-Ca와 0.5% HA-Ca 모두 PLL이 혼합된 경우 지혈능이 더 좋았고, PLL 함량이 0.5%인 경우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LL 함량이 0.5% 이상인 경우 지혈능이 오히려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1% HA와 0.5% HA는 지혈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액 흡수 속도는 0.5% HA가 더 빨랐다. 비용 관점에서는 0.5% HA가 더 나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lgi Derm과 RegenPack 모두 지혈능이 우수한 편이었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조한 패드가 이들 시판 제품에 비해 더 높은 지혈능을 나타내었다. RegenPack 제품은 혈액의 흡수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였다.
구분 HA 함량 (%) PLL 함량 (%) 혈액 흡수 속도 지표*
실시예 1 0.05g (0.5%) 0.025g (0.25%) 1.5
실시예 2 0.05g (0.5%) 0.05g (0.5%) 1
실시예 3 0.05g (0.5%) 0.075g (0.75%) 1
실시예 4 0.1g (1%) 0.025g (0.25%) 2
실시예 5 0.1g (1%) 0.05g (0.5%) 1.5
실시예 6 0.1g (1%) 0.075g (0.75%) 1.5
비교예 1 0.05g (0.5%) - 3
비교예 2 0.1g (1%) - 3
상품명(제조사) 주요 성분
비교예 3 멸균거즈
(대한위재상사)
면실 1
비교예 4 Algi Derm(지종) Calcium alginate 1
비교예 5 RegenPack(제네웰) Collagen 3
*혈액 흡수 속도 지표는 혈액이 완전히 흡수되는 시간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1: 10초 이내; 2: 30초 이내; 3: 1분 이상.
실험예 5: 혈액 응고 특성에 미치는 Ca과 PLL의 영향 평가
칼슘과 PLL이 혈액 응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히알루론산 칼슘염(HA-Ca), 히알루론산 나트륨염(HA-Na),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HA-Ca-PLL), 및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폴리라이신(HA-Na-PLL) 함유 폼형 패드를 제조하고, 실험예 2에 기재된 방식으로 혈액 용출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칼슘으로 치환하지 않은 히알루론산 패드(HA-Na)는 지혈능이 없었으며, 칼슘으로만 치환한 히알루론산 패드(HA-Ca)는 지혈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칼슘이 지혈능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칼슘 치환 없이 PLL만을 혼합하여 제조한 패드(HA-Na-PLL)의 경우도 어느 정도 지혈능을 보여주었다. 칼슘으로 치환한 히알루론산으로 제조한 패드의 경우도 지혈능이 있었으나 여기에 PLL을 혼합하여 제조한 경우 (HA-Ca-PLL) 지혈능이 더 높아진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로부터 PLL도 지혈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간문맥 손상 모델을 이용한 지혈 효능 평가
히알루론산 칼슘염(HA-Ca), 히알루론산 나트륨염(HA-Na),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HA-Ca-PLL), 및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폴리라이신(HA-Na-PLL) 함유 패드의 지혈 성능을 각각 마우스(mouse)를 이용한 간문맥 손상모델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마취된 8주령 수컷 마우스를 간문맥이 잘 보이도록 복부 중앙을 절개하였다. 18 G 니들로 혈관에 펀칭한 후 출혈 부위에 1㎝×1㎝ 크기의 시편을 덮고 지혈이 될 때까지의 시간 (clooting time)을 측정하였다. 지혈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CMC)를 히알루론산 나트륨염과 혼합하여 만든 패드(HA-CMC)를 비교예로 추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실험예 5에서 확인된 것과 일치하였다. 칼슘으로 치환하지 않은 히알루론산은 지혈능이 없었으며, 칼슘으로만 치환을 한 히알루론산은 지혈능을 보여주었다. 칼슘으로 치환을 하지 않고 PLL만을 혼합하여 제조한 패드도 어느 정도 지혈능을 보여주었다. 칼슘으로 치환한 히알루론산으로 제조한 패드도 지혈능이 있었으나 여기에 PLL을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 지혈능이 더 높아진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예상과 달리 CMC 혼합 패드는 특별한 지혈능을 보여주지 않았으며, RegenPack도 본 발명 패드에 비해 지혈능이 낮았다.
실험예 7: 래트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에서의 유착 방지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창상 피복재의 유착 방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래트 맹장/복벽 찰과상 모델을 이용하였다. 실험 동물로는 7주령의 수컷 스프라그-다울리 래트(Sparague-Dawley rat, SLC, Japan)을 1군당 5마리씩 사용하였다. 유착 유발을 위해 실험 동물에 KetaminㅇHCL을 복강 주사(0.1ml/100g)하여 마취한 후, 복부의 털을 깎고 70% 에탄올로 소독한 다음, 4-5 cm정도로 중앙선을 따라 개복하였다. 그 후 맹장을 꺼내어 1.2 cm X 1.2 cm 크기로 멸균된 거즈를 이용하여 출혈이 일어날 정도로 장막에 손상을 가하고, 마주 보이는 복강막에 같은 크기로 시약용 스푼을 이용하여 손상을 가하였다. 두 손상 면을 맞닿도록 마찰 손상 부위로부터 1 cm 떨어진 2 곳을 5-0 나일론 봉합사로 고정하여 유착 형성을 촉진시켰다.
음성 대조군에는 손상 부위에 생리 식염수를 점적하고, 실험군에는 손상 부위에 실시예 1 내지 3, 8, 비교예 1, 4, 5의 창상 피복재를 각각 1cm X 1cm 크기로 잘라서 부착하거나 실시예 7의 액상 창상 피복재를 1ml 점적하고, 복강막과 피부를 봉합하였다. 수술이 끝난 동물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주며 1 주간 키운 후 희생시키고, 유착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그 성적을 합산하여 평균값을 얻었다(Am. J. Obstet. Gynecol., 146, 88-92, 1983).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모든 결과는 각 실험군의 평균ㅁ표준 오차로 표시하였으며, 각 군의 유의성은 p<0.05 수준으로 검정하였다.
유착 정도를 기준에 따라 0에서 5까지 평가하였다 (0: 유착이 없는 경우, 1: 하나의 얇은 필름형 유착, 2: 둘 이상의 얇은 필름형 유착, 3: 점상의 집중화된 두꺼운 유착, 4: 판상의 집중화된 유착, 5: 혈관이 형성된 매우 두꺼운 유착 혹은 하나 이상의 판상의 두꺼운 유착).
유착의 강도를 기준에 따라 1에서 4까지 평가하였다 (1: 필름형이며 매우 약한 힘으로도 떨어지는 유착, 2: 중간 정도의 힘이 요구되는 유착, 3: 상당한 압력이 걸려야 떨어지는 유착, 4: 유착이 매우 강해서 떼기 힘들거나, 매우 큰 압력이 요구되는 유착)
유착 정도 유착 강도 유착 면적(cm2) 유착 면적 감소율(%)
음성대조군 3.73 ± 0.46 3.00 ± 0.00 0.80 ± 0.16 0
실시예 1 1.50 ± 1.08** 1.25 ± 0.84** 0.12 ± 0.12** 85.0
실시예 2 1.40 ± 1.26** 1.20 ± 0.84** 0.07 ± 0.11** 91.1
실시예 3 1.65 ± 1.15** 1.30 ± 0.76** 0.12 ± 0.08** 85.0
실시예 7 1.87 ± 1.09** 1.60 ± 0.75** 0.26 ± 0.10** 67.5
실시예 8 1.41 ± 1.15** 1.15 ± 0.65** 0.08 ± 0.15** 90.0
비교예 1 1.75 ± 1.07** 1.35 ± 0.84** 0.16 ± 0.08** 80.0
비교예 4 2.25 ± 1.50 1.50 ± 1.00* 0.27 ± 0.18** 62.5
비교예 5 1.75 ± 1.26* 1.25 ± 0.96** 0.26 ± 0.09** 67.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라이신이 혼합되지 않고 히알루론산만으로 만든 창상 패드인 비교예 1의 경우에도 시판되는 창상 패드인 비교예 4, 5보다 높은 유착 방지 효과를 보여주었고, 폴리라이신을 0.25%, 0.5%, O.75%로 혼합하여 만든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창상 패드를 적용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조직유착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이는 상기 실험예에서 확인한 지혈 효능 실험 결과에 부합되는 것으로, 폴리라이신이 0.5%로 혼합된 경우의 유착 방지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7의 액상형 및 실시예 8의 필름형 역시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6: 가교 결합형 HA-PLL 패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HA 및 PLL을 포함하는 폼형 창상 피복재와의 비교를 위해, 가교제를 사용하여 HA와 PLL을 가교시켜 패드를 제조해보았다.
가교제로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EDC)를 사용하였다. 히알루론산의 농도를 3%(w/v)로 하고, 폴리라이신과 가교제(EDC)와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을 히알루론산과 같은 몰수로 넣은 다음, PLL의 HCl 양과 동일한 몰비로 NaOH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20분 동안 상온에서 150 내지 200 rpm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30℃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기계 교반기를 이용하여 섞어준 다음, 1% PBS 용액 100 ml를 넣어 희석시키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가교 중합체를 여과 및 동결 건조하여 가교 결합된 HA-PLL을 얻었다. 가교 결합된 HA-PLL을 증류수 10ml에 녹인 수용액을 60π 접시에 넣어서 0 내지 4℃에서 6시간 안정화시킨 후, -10 내지 -20℃에서 10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동결 건조하여 패드를 만들었다. 이와 같이 제조한 패드의 사진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HA-EDC-PLL 혼합액에서는 균일한 액상이 형성되지 않고 수중에서 엉기는 현상을 보여 패드 형태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고,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은 서로 화학적으로 가교되어 있지 않으며,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이 4: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인 창상 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이 2:1 내지 4: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인 창상 피복재.
  3.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이 2: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인 창상 피복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칼슘 중의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2×106 내지 3×106 Da인 창상 피복재.
  5. 제1항에 있어서, 액상, 폼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지는 것인 창상 피복재.
  6. (1)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히알루론산 칼슘염의 수용액을 pH 8.4 이상으로 조절한 폴리라이신 수용액과 히알루론산-칼슘과 폴리라이신이 4:1 내지 1:1.5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지는 혼합액으로부터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
    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히알루론산 칼슘염의 수용액 및 폴리라이신 수용액의 pH를 각각 8.4 내지 9.0 범위로 조절하는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혼합액으로부터 액상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액을 동결 건조시켜 폼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거나 틀에 부은 다음 건조시켜 필름 형태의 창상 피복재를 얻는 것인 창상 피복재의 제조 방법.
KR1020230104897A 2017-07-26 2023-08-10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7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693 2017-07-26
KR20170094693 2017-07-26
KR1020180086517A KR20190012120A (ko) 2017-07-26 2018-07-25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517A Division KR20190012120A (ko) 2017-07-26 2018-07-25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136A true KR20230125136A (ko) 2023-08-29
KR102667393B1 KR102667393B1 (ko) 2024-05-20

Family

ID=65040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517A KR20190012120A (ko) 2017-07-26 2018-07-25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30104897A KR102667393B1 (ko) 2017-07-26 2023-08-10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517A KR20190012120A (ko) 2017-07-26 2018-07-25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10228768A1 (ko)
EP (1) EP3659631B1 (ko)
JP (1) JP6868314B2 (ko)
KR (2) KR20190012120A (ko)
CN (1) CN110997019A (ko)
WO (1) WO2019022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GB0817796D0 (en) 2008-09-29 2008-11-05 Convatec Inc wound dressing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US10207031B2 (en) 2010-12-08 2019-02-19 Convatec Technologies Inc. Integrated system for assessing wound exudates
US9526816B2 (en) 2010-12-08 2016-12-27 Convatec Technologies Inc. Wound exudate monitor accessory
GB201115182D0 (en) 2011-09-02 2011-10-19 Trio Healthcare Ltd Skin contact material
GB2497406A (en) 2011-11-29 2013-06-12 Webtec Converting Llc Dressing with a perforated binder layer
MX2015007771A (es) 2012-12-20 2015-09-04 Convatec Technologies Inc Procesamiento de fibras celulosicas quimicamente modificadas.
WO2017168249A2 (en) 2016-03-30 2017-10-05 Qualizyme Diagnostics Gmbh & Co Kg Detecting microbial infection in wounds
BR112018070248B1 (pt) 2016-03-30 2023-03-28 Synovo Gmbh Curativo para detecção de infecções microbianas em feridas
KR20190028467A (ko) 2016-07-08 2019-03-18 컨바텍 테크놀러지스 인크 체액 수집 장치
EP3481360B1 (en) 2016-07-08 2022-03-09 ConvaTec Technologies Inc. Fluid flow sensing
DK3481349T3 (da) 2016-07-08 2021-07-12 Convatec Technologies Inc Fleksibelt undertrykssystem
US11331221B2 (en) 2019-12-27 2022-05-17 Convatec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US11771819B2 (en) 2019-12-27 2023-10-03 Convatec Limited Low profile filter devices suitable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CN113174092B (zh) * 2021-05-17 2022-10-25 西安交通大学 透明质酸-ε-聚赖氨酸盐酸盐的聚离子复合物、制备方法及应用
KR20230017722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타임바이오 제대혈간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창상 치료 촉진용 조성물
WO2023037368A1 (en) * 2021-09-08 2023-03-16 Ariel Scientific Innovations Ltd. Methods of treating non-bleeding wounds, chronic wounds, inflammatory pain and nociceptive p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52B1 (ko) * 2000-01-24 2007-05-25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수팽윤성 고분자 겔 및 그 제조법
KR20170056423A (ko) * 2015-11-13 2017-05-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유착 방지용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0B2 (ja) * 1989-04-11 1994-03-30 株式会社紀文食品 ヒアルロン酸塩シートの製造方法
CZ12015U1 (cs) * 2002-01-18 2002-02-25 Cpn Spol. S R.O. Přípravek pro prevenci adheze bandáľe na ránu
AU2003256381A1 (en) * 2002-07-03 2004-01-23 Pericor Science, Inc Compositions of hyaluronic acid and methods of use
US7956180B2 (en) * 2004-05-27 2011-06-07 Novozymes A/S Dried and agglomerated hyaluronic acid product
CN101745139A (zh) * 2010-01-09 2010-06-23 褚加冕 一种含有透明质酸钠的生物抗菌敷料
CN102772821B (zh) * 2012-08-01 2015-07-01 苏州博创同康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组织诱导性且可吸收、止血的多功能颗粒及其制备和应用
US20160051723A1 (en) * 2014-08-21 2016-02-25 Gregory J. Pomrink Bioresorbable tissue repair composition
US9950091B2 (en) * 2015-01-20 2018-04-24 Deena S. Mousa Composition and method for stopping hemorrhage, infection, and accelerating healing in various types of wound or burns
CN104841008B (zh) * 2015-06-11 2016-10-12 新乡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CN106110377B (zh) * 2016-08-08 2019-09-20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基于ε-聚赖氨酸的生物粘合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52B1 (ko) * 2000-01-24 2007-05-25 쿠라레 메디카루 가부시키가이샤 수팽윤성 고분자 겔 및 그 제조법
KR20170056423A (ko) * 2015-11-13 2017-05-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유착 방지용 하이드로젤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rte Butergerds, 등. pH-Dependent Growth Laws and Viscoelastic Parameters of Poly-l-Lysine/Hyaluronic Acid Multilayers.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Wiley. 2017, 4, 1600592(내부페이지 1-9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120A (ko) 2019-02-08
US20240066179A1 (en) 2024-02-29
CN110997019A (zh) 2020-04-10
WO2019022493A1 (ko) 2019-01-31
JP6868314B2 (ja) 2021-05-12
JP2020527987A (ja) 2020-09-17
KR102667393B1 (ko) 2024-05-20
EP3659631A4 (en) 2021-04-14
EP3659631B1 (en) 2023-08-30
US20210228768A1 (en) 2021-07-29
EP3659631A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7393B1 (ko) 히알루론산-칼슘 및 폴리라이신을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US8912168B2 (en) Modified starch material of biocompatible hemostasis
KR101330652B1 (ko) 성장인자 담지 가능한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JPH02107267A (ja) 創傷充填用組成物
KR101468287B1 (ko)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탄성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1649792B1 (ko)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비압박 지혈 팩킹용 고분자 폼
GB2488915A (en) Haemostatic agent
KR101678402B1 (ko) 창상치료용 알긴산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US11413192B2 (en) Hemostatic pas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Logun et al. Expanding hydrophobically modified chitosan foam for internal surgical hemostasis: Safety evaluation in a murine model
KR20190084840A (ko) 온도 감응성 고분자 조성물
Matsumoto et al. Development of a wound dressing composed of a hyaluronic acid sponge containing arginine
JP6916353B1 (ja) 癒着防止用高分子組成物
EP3873548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oxidized cellulose
KR20020011955A (ko) 유착방지제
WO2021128050A1 (en) Hemostatic paste and uses thereof
CN105126153B (zh) 一种含有凝血酶的复合止血膜及其制备方法
US20120282320A1 (en) Hemostatic dressing
KR20220155555A (ko) 폴리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ser Adhesive polymer films for the prevention of postsurgical adhe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