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353A - 전기 주전자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353A
KR20230091353A KR1020210180393A KR20210180393A KR20230091353A KR 20230091353 A KR20230091353 A KR 20230091353A KR 1020210180393 A KR1020210180393 A KR 1020210180393A KR 20210180393 A KR20210180393 A KR 20210180393A KR 20230091353 A KR20230091353 A KR 2023009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ctric kettle
lid
magnet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시민규
강대용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353A/ko
Publication of KR2023009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의 커버가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기 주전자의 뚜껑에서 녹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주전자{Electric kettle}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이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 등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대부분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종래기술에서도 여전히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뚜껑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물 압력 등에 의해 뚜껑이 열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뚜껑의 손쉬운 결합을 위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21-0103851호와 같은 전기주전자가 발명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에 메탈로 된 뚜껑의 측면에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1-010385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껑의 닫힘이 견고하게 유지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에 자석(磁石)을 구비하여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의 개방이 방지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녹 발생이 방지되도록 사출성형으로 성형되는 뚜껑이 구비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버패킹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이 구비된다. 따라서 뚜껑에서의 녹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 또는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된다. 따라서,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이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커버와 체결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의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다수의 자석(磁石)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자석(磁石)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등(等)간격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면부와 측면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磁石)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패킹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자석(磁石)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패킹에는, 상기 바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커버패킹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결합후크와 후크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나 금속재질의 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자석(磁石)을 고정 지지하는 자석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테는,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 외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테에는, 상기 자석(磁石)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자석고정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바디에 설치되는 자석(磁石)은 출수구 및 손잡이 방항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 또는 바디에 자석(磁石)이 설치된다. 따라서,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이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므로 바디 내부의 물 등을 따르기 위해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뚜껑이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바디 내부의 물 압력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상커버와 하커버가 결합후크와 체결홈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제조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셋, 본 발명에서는 하커버를 구성하는 저면부와 측면부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메탈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작업공정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탈커버로 인한 녹 발생이 없는 장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커버패킹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을 끓이는 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해 에어벤트가 차단되어 증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한편, 바디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벤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 바디 내부의 공기압 저하가 방지된다. 즉 바디 내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져서 물 따름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바디에 구비되는 자석(磁石)은 출수구 및 손잡이 부근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출수구와 손잡이 부분에서 강한 자력(磁力)이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를 기울여 출수구를 통해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출수구와 손잡이의 자석(磁石)에 의해 뚜껑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뚜껑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상단에 커버캡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캡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을 손으로 잡는 것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성이 증가되며,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경량화 및 고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자석(磁石)이 등(等)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한편,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뚜껑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없이 바디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바디에 구비되는 자석(磁石)은 서로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므로, 뚜껑을 바디 상단부에 근접시키면 자력(磁力)에 의해 저절로 뚜껑이 닫혀지는 것을 사용자가 감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이 자력(磁力)에 의해 바디에 결합되는 밀착감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제품 사용시 불안감이 해소되고 안정감이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상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하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설치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바디에 자석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바디에서 자석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주전자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물이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출수구(3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 그리고, 손잡이(40) 및 히팅모듈(50), 베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바디(10)의 상단 우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 전원 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단에는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일단에는 출수구(spout)(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30)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30)는 상기 바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따르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3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며, 데코와 탄성재질의 그립부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외장은 고급스럽게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그립부분 등)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피시비(PCB)가 구비될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브라켓(15)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손잡이브라켓(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사용자가 뚜껑(20)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상기 바디(10)에 결합하기 편하도록 하는 기능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부착 또는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는 온도센서(53)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1)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바디(1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하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형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단부에는 히팅모듈(50)이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10)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바디(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는 아우터바디(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사이에는 틈새공간(102)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 틈새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은 단열 틈새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은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PCB)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의 단열 틈새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과 이너바디(12)의 상단은 서로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상단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아우터바디(11)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상단부(121)는 이너바디(1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게 이중 연장되어 외측 끝단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의 상부는 상기 이너상단부(121)에 의해 차폐된다. 물론,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 등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아우터바디(1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손잡이홀(111)과 상기 출수구(3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출수구홀(112)이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홀인 손잡이홀(111)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출수구홀(112)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출수구홀(112)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구홀(112)은 상기 출수구(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전면과 이너바디(12)의 전면에는 각각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아래에서 설명할 투시창(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투시창(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출수공(125)이 다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상기 출구수(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형태(상방에서 볼 경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의 좌측단은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체결기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단은 상기 손잡이(40)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이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 장착되면, 손잡이브라켓(15)의 우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을 통해 외측(우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볼트(bolt) 및 너트(nut)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111)과 출수구홀(112) 등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틈새공간(102) 하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하단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상기 바텀커버(56)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바텀커버(56) 등의 부품이 결합되기 전이므로 전해액이 틈새공간(102)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틈새공간(102)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된다.
상기 투시창(13)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투시하여, 바디(10) 내부의 물 등과 같은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더 구비되어, 투시창(13)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시창(13)과 이너홀(123) 또는 아우터홀(113)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이너홀(123)과 투시창(1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13)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이너홀(123)에 상기 투시창(13)이 고정 장착되면, 상기 투시창(13)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3)의 전면도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3)과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바디(11) 등에 추가의 가스켓 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히팅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열을 생성하는 히터어셈블리(51)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 전원 모듈(55)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커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히팅모듈(50)과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 전원 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텀 커버(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이너바디(12)의 저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버 피시비(PC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PCB)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터(5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5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에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을 실링하게 된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이너바디(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홀(124)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온도센서(53)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3)와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센서패킹(53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에는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는 상기 뚜껑(20)의 구성과 설치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8 및 도 9에는 상기 뚜껑(20)을 상측과 하측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뚜껑(2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는 상기 뚜껑(2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와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상기 뚜껑(20)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의 상단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형의 테두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커버(2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 또는 바디(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자석(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등(等)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0)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22)와,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22)와 체결되는 하커버(23)와,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커버패킹(2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킹(24)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커버(2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캡(21)은 상기 뚜껑(20)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량화와 고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소재에 전착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캡(21)에는 클리어 코팅(clear coat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리어 코팅(clear coating)은 제품의 표면에 투명한 액상의 코팅액을 발라서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커버캡(21)의 표면을 코팅처리하게 되면 미관상으로는 광택과 평활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으며, 탈색이 방지되고 내후성(耐朽性), 내습성(耐濕性)과 내절성(耐切性) 등이 향상된다.
상기 커버캡(21)의 저면 중앙부에는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탭(t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캡(21)은, 체결볼트(250)에 의해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250)는 상기 상커버(22)에 고정 설치되거나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볼트(250)는, 하단(머리부)이 상기 상커버(22)의 중앙부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상커버(22)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커버(2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커버(22)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캡(21)이 안착되는 캡홈부(212)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캡홈부(2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캡홈부(212)에 상기 커버캡(21)의 하단이 수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캡홈부(212)의 직경은 상기 캡바디(210)의 하단부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커버(22)와 커버캡(21) 사이에는 캡패킹(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캡(21)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커버(22)와 커버캡(21)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세척시 등의 경우에 상기 바디(10)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캡패킹(27)은 상기 캡홈부(21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패킹(27)은 상기 캡홈부(212)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홈부(212)의 바닥면에 수용되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커버(22)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23)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패킹(24)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23)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패킹(24)은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커버(23)의 상단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될 때 뚜껑(20)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은 중앙부가 테두리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리브(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리브(222)는 아래에서 설명할 자석(26)의 내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상커버(22)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는 체결리브(2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224)는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후크(233)가 삽입되는 후크홀(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홀(2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리브(224)를 측방으로 관통하는 홀(hole)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후크(23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2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리브(222)보다 상하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리브(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커버(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와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자석(磁石) 등이 설치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커버(23)는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커버(23)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저면부(231)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23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면부(2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중앙부가 테두리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231)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부(232)는 상기 저면부(231)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면부(231)와 측면부(232)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커버(23)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거나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커버(23)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녹발생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커버(23)가 100℃로 가열된 후 24시간 이상 방치되는 경우에도 녹이 생성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커버(23)가 고온의 물 등과 접촉하는 사용상태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하커버(23)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26)(磁石)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상기 하커버(23)에는 상기 자석(26)(磁石)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26)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자석(26)(磁石)은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등(等)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커버(23)에 형성되는 자석수용홈(234)은 등(等)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뚜껑(20)에 다수의 자석(26)이 등(等)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은 방향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뚜껑(20)을 바디(10)의 상부에 결합할 때 사용자가 방향에 관계없이 뚜껑(20)을 닫더라도 상기 뚜껑(20)에는 다수의 자석(2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자석(26)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의 이너자석(126)과 근접한 위치에 놓여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의 자석테(127)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뚜껑(20)에 다수의 자석(26)이 등(等)간격으로 구비되면, 이러한 자석(26)의 자력(磁力)이 금속재질의 자석테(127)에 작용하게 되므로 뚜껑(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즉, 전기주전자를 기울일 때 상기 바디(10)내부의 물 압력이 상기 뚜껑(20)에 작용하더라도 뚜껑(20)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석(26)(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석(26)(磁石)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은 네오디뮴과 철 및 붕소를 2:14:1의 비율로 분말 야금법으로 합금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강한 자력과 양호한 가공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자석(26)은 방향이 일정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자석(26)이 모두 'N'극 또는 'S'극이 외측을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에 설치되는 자석(26)과 서로 자력(磁力)의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하커버(23)에 설치되는 자석(26)의 'N'극이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바디(12)의 이너자석(126)도 'N'극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의 자석(26)과 바디(10)의 이너자석(126)이 서로 끌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커버(23)에는 결합후크(23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2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커버(23)의 측면부(232) 내측부분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끝단부가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결합후크(233)와 후크홀(226)은 상기 하커버(23)와 상커버(22)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후크(233)의 상기 후크홀(226)과 위치 및 수량이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후크(233)는 갈고리 형상의 후크(hook)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끝단부(도 10에서는 상단부)가 측방으로 벤딩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커버(23)의 저면부(231) 상면에는 하리브(236)와 내부리브(2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리브(2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리브(237)는 상기 하커버(23)의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리브(236)는 상기 자석수용홈(234)의 내측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커버(23)의 저면부(23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26)의 안정적인 안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리브(222)와 하리브(236)는, 상기 상커버(22)의 저면과 상기 하커버(23)의 상면 테두리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링(ring)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자석(26)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26)의 내측은 상리브(222)와 하리브(236)가 지지하며, 상기 자석(26)의 외측은 상기 하커버(23)의 측면부(232)가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26)은 상기 하커버(23)의 측면부(232)와 상리브(222) 및 하리브(2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킹(24)은 도시된 같이 상기 뚜껑(2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외측 테두리가 상기 하커버(23)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뚜껑(20)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함으로써,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 물이 뚜껑(20) 위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패킹(24)에는 상기 바디(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245)(air ven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벤트(245)는 상기 커버패킹(24)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벤트(245)는 상기 커버패킹(24)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패킹(24)의 전후좌우에 등(等)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벤트(245)(air vent)를 다수개 형성하게 되면, 상기 바디(10)를 기울여 물을 따르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에어벤트(245)가 수증기나 물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도 다른 부위의 에어벤트(245)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패킹(24)에는 상기 하커버(23)의 상단이 삽입되는 패킹홈(2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패킹(24)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링(ring) 형상의 패킹홈(242)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홈(242)에는 상기 하커버(23)의 측면부(232)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상기 바디(10)에도 자석(磁石)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4에는 상기 이너바디(12)에 자석(磁石)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이너바디(12)에서 자석(磁石)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상단에도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자석(磁石)은 이너자석(126)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하커버(23)의 자석(26)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자석(磁石)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이너자석(126)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상기 이너자석(126)을 고정 지지하는 자석테(1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자석테(127)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테(127)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테(127)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 외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자석테(127)에는 상기 이너자석(126)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자석고정부(127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자석테(127)는 링(ring) 형상의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자석고정부(12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자석(126)의 외측면과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설치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을 상기 출수구(30) 또는 손잡이(40) 설치위치에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상기 뚜껑(20)을 고정하여 바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주전자를 손잡이를 잡고 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일 때 상기 자석(26)과 이너자석(126)이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전기주전자를 손잡이(40)를 잡고 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일 때 상기 출수구(30)측의 이너자석(126)과 상기 손잡이(40)의 이너자석(126)이 각각 상기 바디(10)의 자석(26)과의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이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편(43)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투시홀(433)과 같은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 등을 조작하여 상기 가열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오프 버튼인 상기 제1조작부(431)를 눌러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가열과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작부(432)를 눌러 조작함으로서 온도의 설정 및 조작의 지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조작부(누름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3)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며,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
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결합은 기존적으로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의 결합 등으로 가능하다. 먼저 상기 자석(26)을 하커버(23)의 자석수용홈(234)에 끼운다. 그리고, 상기 커버패킹(24)을 상기 하커버(23)의 상측에 덮어 장착한다. 이때 상기 커버패킹(24)의 패킹홈(242)에 상기 하커버(23)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상커버(22)를 상측으로부터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패킹(24)의 외측 테두리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하커버(23)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 둘출된 상태로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는 상하로 서로 근접하는 과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하커버(23)의 결합후크(233)가 상기 상커버(22)의 후크홀(226)에 수용되면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커버(22)의 캡홈부(212)에는 상기 커버캡(21)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25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캡(21)이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캡(21)은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정위치에 안착되고, 상커버(22)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의 결합 이전에 상기 상커버(22)에 커버캡(21)을 결합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뚜껑(2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뚜껑(20)을 상기 바디(10)의 상방을 차폐하도록 바디(10)의 상단에 결합한 후,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밀폐되어 내부의 음식물이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에도 상기 이너자석(126)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너바디(12)의 이너자석(126)과 뚜껑(20)의 자석(26)이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끌리게 되므로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잡고 바디(10)를 기울여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상기 뚜껑(20)은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바디(10) 상부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24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커버(22) 및 하커버(23)와 바디(10) 사이의 틈새 그리고, 상기 커버패킹(24)의 에어벤트(245)를 통해 상기 바디(10)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벤트(245)를 통한 공기의 통로는 미세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물이 끓을 때에는 수증기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에어벤트(245)가 막혀 외부로의 증기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물을 따르기 위해 상기 바디(10)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벤트(24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디(10) 내부의 진공 상태가 방지되어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쉽게 따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후크(233)가 상기 하커버(23)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홀(226)이 상기 상커버(22)에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결합후크(233)가 상기 상커버(22)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홀(226)이 상기 하커버(23)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전기주전자 10.바디
11.아우터바디 12.이너바디
13.투시창 15.손잡이브라켓
20.뚜껑 21.캡
22.상커버 23.하커버
24.커버패킹 25.메탈커버
26.자석 30.출수구
40.손잡이 50. 히팅모듈
51.히터어셈블리 52.히팅플레이트
53.온도센서 54.히터
55.어퍼 전원 모듈 56.바컴커버
60.베이스 64.로어 전원 모듈
101.가열공간 102.틈새공간
111.손잡이홀 112.출수구홀
113.아우터홀 121.이너상단부
234.자석수용홈 242. 패킹홈
245.에어벤트 250.캡볼트

Claims (20)

  1.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커버와 체결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의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다수의 자석(磁石)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자석(磁石)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등(等)간격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측면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킹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자석(磁石)이 수용되는 자석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킹에는,
    상기 바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커버패킹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커버패킹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나 금속재질의 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결합후크와 후크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리브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체결리브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브의 길이는,
    상기 상리브보다 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브는 상기 상리브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하리브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킹에는 상기 하커버의 상단이 삽입되는 패킹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KR1020210180393A 2021-12-16 2021-12-16 전기 주전자 KR2023009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93A KR20230091353A (ko) 2021-12-16 2021-12-16 전기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93A KR20230091353A (ko) 2021-12-16 2021-12-16 전기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353A true KR20230091353A (ko) 2023-06-23

Family

ID=869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93A KR20230091353A (ko) 2021-12-16 2021-12-16 전기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3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51A (ko) 2020-02-14 202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51A (ko) 2020-02-14 202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1640A1 (en) Electric kettle
US11363905B2 (en) Electric kettle
EP371163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6B1 (en) Electric kettle
CN109984597B (zh) 一种液体加热器
KR20230091353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2592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7548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03851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2591A (ko) 전기 주전자
KR102573902B1 (ko) 전기 주전자
US20230060143A1 (en) Electric kettle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JP3498699B2 (ja) 炊飯器
KR20230071495A (ko) 전기 주전자
CN208286850U (zh) 烹饪器具
KR20210114803A (ko) 전기 주전자
CN220937710U (zh) 一种使用可靠的锅具
CN219720384U (zh) 烹饪器具
CN220045569U (zh) 烹饪器具
KR20210117549A (ko) 전기 주전자
JPH05344930A (ja) 電気ポット
CN215271975U (zh) 烹饪器具及其内锅
CN215348359U (zh) 一种开水煲
CN211117925U (zh) 一种使用便捷的水龙头开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