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851A - 전기 주전자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851A
KR20210103851A KR1020200018544A KR20200018544A KR20210103851A KR 20210103851 A KR20210103851 A KR 20210103851A KR 1020200018544 A KR1020200018544 A KR 1020200018544A KR 20200018544 A KR20200018544 A KR 20200018544A KR 20210103851 A KR20210103851 A KR 2021010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electric kettle
li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훈
서운규
최현
이상기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3851A/ko
Priority to PCT/KR2020/002176 priority patent/WO2021162151A1/ko
Priority to PCT/KR2020/018923 priority patent/WO2021149926A1/ko
Publication of KR2021010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磁石)이 뚜껑에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 또는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전자를 기울일 때에도 뚜껑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주전자{Electric kettle}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磁石)이 뚜껑에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 등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대부분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종래기술에서도 여전히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번호 제10-1631556호에서와 같이 단순히 뚜껑이 본체를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뚜껑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74313호에도 '블랜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뚜껑은 결합턱에 의해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본체 내부의 물 압력에 의해 뚜껑이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포트나 전기주전자에서는, 바디로부터 뚜껑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은 뚜껑이나 바디의 세척이 손쉬운 장점은 있으나, 뚜껑과 바디 사이의 밀폐를 위해서 별도의 조작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비용 및 제조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이러한 별도의 조작이나 장치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31556호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7431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껑의 닫힘이 견고하게 유지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에 자석(磁石)을 구비하여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의 개방이 방지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과 본체에 서로 대응되는 자석(磁石)이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뚜껑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silicon) 재질의 뚜껑패킹이 뚜껑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본체 내부의 물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전지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패킹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물과 접촉하는 뚜껑의 하단부에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과 바디 사이에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뚜껑이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틈새가 밀폐되는 전기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디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바디에 결합할 때, 뚜껑의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 없이 바디에 결합 가능한 전기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뚜껑 또는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된다. 따라서,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이 바디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상하단의 커버캡과 메탈커버가 체결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해 뚜껑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한번에 조립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패킹에 하나 이상의 에어벤트가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하단부에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슨 체결볼트가 메탈커버의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캡에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메탈커버와 커버캡이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 또는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와 형합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 또는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와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는 위한 뚜껑패킹과; 상기 하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와; 상기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커버캡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캡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상커버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메탈커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은, 상기 메탈커버의 상면 중앙에 용접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패킹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의 외측테두리는 상기 하커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패킹에는, 상기 하커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자석(磁石)과 뚜껑패킹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벽에는 외측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자석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벽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磁石)의 일면을 지지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의 결합리브과 결합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리브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측리브와 외측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외측이 내측보다 더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리브가 위치되는 단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수용홈의 내면에는, 상기 자석(磁石)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패킹의 결합리브에는, 상기 자석(磁石)의 상면이 수용되는 패킹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캡이 안착되는 캡홈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커버캡의 하단 내면을 지지하는 캡가이드리브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캡홈부와 상기 커버캡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캡돌기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캡이 상기 상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홈부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스크류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자석(磁石)을 고정 지지하는 자석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테는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 외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테에는 상기 자석(磁石)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자석고정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바디에 설치되는 자석(磁石)은 출수구 및 손잡이 방항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바디에 각각 자석(磁石)이 설치된다. 따라서, 자력(磁力)에 의해 뚜껑이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므로 바디 내부의 물 등을 따르기 위해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뚜껑이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바디 내부의 물 압력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즉, 뚜껑을 구성하는 메탈커버에 고정 장착된 체결볼트가 커버캡에 나사 체결되면 메탈커버와 커버캡 사이의 상커버 및 하커버도 동시에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뚜껑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셋,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볼트가 메탈커버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에도 체결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수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silicon) 재질의 뚜껑패킹이 뚜껑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즉, 뚜껑패킹이 상커버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어 바디와 뚜껑사이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물을 끓이거나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실리콘 재질의 뚜껑패킹이 바디 내부의 물과는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패킹의 접촉으로 인한 물맛의 변화 및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뚜껑패킹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을 끓이는 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해 에어벤트가 차단되어 증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한편, 바디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벤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 바디 내부의 공기압 저하가 방지된다. 즉 바디 내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져서 물 따름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하단부에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에만 접촉되므로 위생적이며, 뚜껑을 바디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메탈커버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바디에 구비되는 자석(磁石)은 출수구 및 손잡이 부근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출수구와 손잡이 부분에서 강한 자력(磁力)이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를 기울여 출수구를 통해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출수구와 손잡이의 자석(磁石)에 의해 뚜껑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뚜껑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상단에 커버캡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캡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을 손으로 잡는 것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성이 증가되며,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경량화 및 고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홉, 본 발명에서는 상커버와 커버캡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캡돌기홈이 각각 형성되다. 따라서, 커버캡이 상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므로, 제품 불량 및 사용상 불편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열,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자석(磁石)이 등(等)간격으로 구비되는 한편, 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뚜껑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없이 바디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하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바디에 구비되는 자석(磁石)의 힘과 뚜껑패킹에 의해 뚜껑과 바디 사이의 틈새 밀폐가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조작이나 장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열둘,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바디에 구비되는 자석(磁石)은 서로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설치되므로, 뚜껑을 바디 상단부에 근접시키면 자력(磁力)에 의해 저절로 뚜껑이 닫혀지는 것을 사용자가 감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이 자력(磁力)에 의해 바디에 결합되는 밀착감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제품 사용시 불안감이 해소되고 안정감이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열셋, 본 발명에서는 자석(磁石)이 뚜껑내부 및 이너바디와 아우터바디 사이에 위치되므로, 자석(磁石)이 바디의 외부나 내부 그리고,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석(磁石) 설치에 따른 외관의 손상이 방지되고 미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서포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서포터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핸들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메인피시비와 터치피시비의 구성을 보인 상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메인피시비와 터치피시비의 구성을 보인 하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터치부스터의 상방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터치부스터의 하방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엘이디커버 상방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엘이디커버 하방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브라켓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1에서 핸들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절개사시도
도 24는 도 21의 손잡이가 바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5는 도 21의 손잡이가 이너바디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6은 도 21의 손잡이가 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7은 도 21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서포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분해사시도.
도 32는 도 30의 분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에서 메탈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하시도.
도 3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5는 도 34의 하부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다른 방향의 종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커버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상커버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3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상커버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40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뚜껑패킹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뚜껑패킹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뚜껑패킹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하커버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하커버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바디에 자석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너바디에서 자석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주전자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물이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출수구(3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 그리고, 손잡이(40) 및 히팅모듈(50), 베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바디(10)의 상단 우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 전원 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단에는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일단에는 출수구(spout)(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30)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30)는 상기 바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따르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3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며, 데코와 탄성재질의 그립부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외장은 고급스럽게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그립부분 등)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피시비(PCB)가 구비될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브라켓(15)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손잡이브라켓(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사용자가 뚜껑(20)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상기 바디(10)에 결합하기 편하도록 하는 기능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부착 또는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는 온도센서(53)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1)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바디(1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하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형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단부에는 히팅모듈(50)이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10)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바디(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는 아우터바디(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사이에는 틈새공간(102)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 틈새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은 단열 틈새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은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PCB)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의 단열 틈새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과 이너바디(12)의 상단은 서로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상단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아우터바디(11)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상단부(121)는 이너바디(1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게 이중 연장되어 외측 끝단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의 상부는 상기 이너상단부(121)에 의해 차폐된다. 물론,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 등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아우터바디(1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손잡이홀(111)과 상기 출수구(3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출수구홀(112)이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홀인 손잡이홀(111)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출수구홀(112)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출수구홀(112)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구홀(112)은 상기 출수구(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전면과 이너바디(12)의 전면에는 각각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아래에서 설명할 투시창(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투시창(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출수공(125)이 다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상기 출구수(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형태(상방에서 볼 경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의 좌측단은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체결기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단은 상기 손잡이(40)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이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 장착되면, 손잡이브라켓(15)의 우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을 통해 외측(우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볼트(bolt) 및 너트(nut)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111)과 출수구홀(112) 등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틈새공간(102) 하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하단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상기 바텀커버(56)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바텀커버(56) 등의 부품이 결합되기 전이므로 전해액이 틈새공간(102)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틈새공간(102)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된다.
상기 투시창(13)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투시하여, 바디(10) 내부의 물 등과 같은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더 구비되어, 투시창(13)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시창(13)과 이너홀(123) 또는 아우터홀(113)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이너홀(123)과 투시창(1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13)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이너홀(123)에 상기 투시창(13)이 고정 장착되면, 상기 투시창(13)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3)의 전면도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3)과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바디(11) 등에 추가의 가스켓 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히팅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열을 생성하는 히터어셈블리(51)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 전원 모듈(55)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커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히팅모듈(50)과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 전원 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텀 커버(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이너바디(12)의 저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버 피시비(PC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PCB)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터(5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5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에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을 실링하게 된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이너바디(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홀(124)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온도센서(53)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3)와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센서패킹(53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에는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20에는 상기 손잡이(4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과 도 12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41)의 사시도와 후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커버(42)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와 도 15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메인피시비(46)와 터치피시비(47)의 구성이 상방 및 하방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16과 도 17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터치부스터(48)의 상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과 도 19에는 상기 손잡이(40)를 구성하는 엘이디커버(49)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결합되는 손잡이브라켓(15)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골격을 이루는 핸들서포터(41)와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을 감싸는 핸들커버(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골격을 이루는 핸들서포터(41)와, 상기 핸들서포터(41)와 결합되어 핸들서포터(41)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감싸는 것과 동시에 데코 역할을 하는 핸들커버(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서포터(41)는,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을 감싸는 측벽프레임(41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기둥프레임(4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41)는, 사람의 손이 감싸는 부분이 되는 기둥프레임(412)과,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상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수단(45)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프레임(411)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는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바디(10)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등이 내장되는 측벽프레임(41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단(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기둥프레임(412) 등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기둥프레임(412)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지 아니하고, 예각을 가지거나 둔각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과 체결되는 브라켓체결단(413)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선단부에는 브라켓체결단(413)이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전방은 개구되고, 이러한 개구된 부분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브라켓체결단(413)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브라켓체결단(413)은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에는 볼트(bolt)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브라켓체결홀(413a)이 전후로 관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일단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 선단에는 소정 크기의 걸이단(415)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측벽프레임(411)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걸리는 걸이단(415)이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된 걸이단(415)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접합부(415a)에 의해 상기 측벽프레임(411)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접합부(415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걸이단(415)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하단에 걸리게 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선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상단에 걸리게 될 것이다.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일측에는,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413b)가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후측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는 보강리브(413b)가 하나 또는 2개가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은 상기 보강리브(413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걸이단(415)의 일면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단(415)의 후면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에 걸릴 때,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부에 위치되어 후면은 아우터바디(11)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415)의 후면과 아우터바디(11)의 내면 곡률이 일치하므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부스터지지단(487)이 수용되는 지지단홈(416)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후단에는 상방이 개구된 '∪'형상의 지지단홈(4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측벽후크홈(417)이 형성되며, 이러한 측벽후크홈(417)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벽후크(443)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걸림리브(488)가 안착되는 걸림리브홈(418)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전면에는 그립부(401)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그립부(401)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나 실리콘 재질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립부(401)가 플라스틱이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그립부(4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측면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전면은 물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저면에도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01)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이나 측벽프레임(411)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부(401)는 상기 기둥프레임(412)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가는 원기둥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401)의 일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철 형상 또는 주름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401)를 안정적으로 쥐고 상기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립부(401)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한층 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저면에는 손잡이캡(40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캡(402)은 상기 손잡이(40)의 하단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기둥프레임(412)에 용접 또는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도 12에서는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기둥후크홀(40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둥후크홀(403)이 상하로 2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둥후크홀(40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둥후크(444)가 체결된다.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바디(10) 등과 같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40)의 외형을 형성하여 외장재(decoration) 기능을 하기도 한다.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는 기둥편(422)과, 상기 기둥편(422)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부를 감싸는 측편(421)과,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상편(4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편(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편(422)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 곡률 및 형상과 대응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편(421)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을 감싸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기둥편(422)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편(43)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개구된 측벽프레임(411) 상방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측편(4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핸들커버(42)의 상기 손잡이(4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고급스러운 질감을 가지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 등과 같은 견고하면서도 매끈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커버(42)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후크(hook)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서포터(41)와 핸들커버(42)는, 후크(hook)가 더 구비되어 원터치(one touch)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커버(42)의 내측면에는 커버브라켓(44)이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버브라켓(44)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hook)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측부(441)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둥부(442)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442)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부(441)는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커버브라켓(44)의 형상은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 형상 및 곡률과도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커버브라켓(44)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브라켓(44)은 상기 핸들커버(42)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로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원터치(one touch)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들커버(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서포터(41)와 커버브라켓(44)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는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 등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후크(443,444)와 후크홈(403,417)은 상기 측벽프레임(411)과 측부(441)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412)과 기둥부(442)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크(443,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의 측부(441)에 구비되는 측벽후크(443)와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에 구비되는 기둥후크(444)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후크(443)와 기둥후크(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으로부터 절개되어 밴딩(bending)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측벽프레임(411)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 측면에 각각 한 쌍의 측벽후크홈(417)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후면에는 기둥후크홀(403)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후크홀(403)은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기둥후크홀(403)이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을 전후로 관통하는 홀(hole) 형태 외에 내측(전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브라켓(44)에는 측벽후크(443)와 기둥후크(44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벽후크(4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브라켓(44)의 측부(441)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것이며,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것이다.
상기 측벽후크(443)는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측벽후크홈(41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측벽후크(443)가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후크(4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측부(441)에 연결되고, 상단은 내측으로 밴딩(bending)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측벽후크(443)의 상단부가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되어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의 상방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기둥후크홀(40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기둥후크(444)가 상기 기둥후크홀(403)에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둥후크(4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기둥부(442)에 연결되고, 하단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와 상기 핸들서포터(41)가 서로 결합될 때 핸들커버(42)를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아래로 내리면 상기 기둥후크(444)가 상기 기둥후크홀(403)에 저절로 삽입되어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기둥후크(444)는, 상기 기둥부(442)로부터 절개되어 기둥부(442)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수용부(444a)와, 상기 수용부(444a)의 일단(상단)으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상기 수용부(444a)와 기둥부(442)를 연결하는 지지부(444b)와, 상기 수용부(444a)의 다른 일단(하단)으로부터 밴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444c)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기둥후크(444)는 전체적으로는 '┏'형상(우측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의 가이드부(444c)는 전방(우측에서 볼 경우에는 좌측)으로 밴딩(blending)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44a)와 상기 기둥부(442)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후면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 후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아래로 내리면, 상기 기둥후크(444)의 가이드부(444c)가 상기 기둥후크홀(403) 속으로 저절로 들어가게 되고, 계속 핸들커버(42)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수용부(444a)는 상기 기둥프레임(41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에는, 피시비(PCB)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rib)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는 부착부(151)와,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에 결합되는 체결부(152)와, 서로 이격된 상기 부착부(151)와 체결부(15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1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부(151)가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착부(151)는 3개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체결부(152)는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부(152)는 상기 브라켓체결단(413)과 대응되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bolt) 등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54)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40)에는, 상기 히팅모듈(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상기 바디(10) 내부의 내용물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45)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45)은, 상기 핸들서포터(41)와 핸들커버(42)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손잡이(40)의 핸들서포터(41)를 구성하는 측벽프레임(411)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다수의 전장부품을 포함하는 제어수단(4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은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하는 조작부 또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touch)에 의해 전기 주전자(1)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제1조작부(431)와,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touch)에 의해 상기 바디(10) 내부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제2조작부(4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4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중심부는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조작부(432)는 상기 제1조작부(431)의 앞측에 구비되며, 이러한 제2조작부(432)도 상하로 유동되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제2조작부(432)의 전후에는 제2조작부(432)가 상하로 일정 부분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의 절개선(432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조작부(432)의 전방 즉, 상기 상편(43) 중 바디(10)에 근접한 부분에는 다수의 투시홀(43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투시홀(433)은 아래에서 설명할 발광소자(477) 불빛이 상기 상편(43) 상측으로 투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홀(hole)이다.
그리고, 이러한 투시홀(433) 옆에는 투시홀(433)에 표시되는 빛이 온도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표시가 더 인쇄되기도 한다.
상기 제어수단(45)은, 다수의 제어부품이 구비되는 메인피시비(46)와, 상기 상편(43)의 제1조작부(431) 또는/및 제2조작부(432)를 통해 전달되는 누름 또는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피시비(47)와, 상기 상편(43)의 제1조작부(431) 또는/및 제2조작부(432)의 누름이나 터치가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오작동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터치부스터(48)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 하측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가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부스터(48)와 핸들커버(42)의 상편(43) 사이에는 터치부스터(48)가 상편(43)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면테이프(451)가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가 설치된다. 상기 터치피시비(47)도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저면에 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터치부스터(48)와 터치피시비(47) 사이에도 두 부품의 결합을 위한 양면테이프(45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피시비(47)의 하측에는 메인피시비(46)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전기 주전자(1)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거나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전장부품 등이 설치된다. 즉,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전기 주전자(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히터모듈(5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피시비(46)는 상기 터치피시비(47)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터치피시비(47)와 메인피시비(46)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상커넥터(47a)와 하커넥터(46a)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피시비(46)의 하측에는 전원연결 또는 데이터 인출입을 위한 연결커넥터(46b)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피시비(47)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누름 동작이나 터치(touch)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인디게이터기판(471)과,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터치전달부(481)로부터 전달되는 누름 동작을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센서로 전달하는 터치기판(473)과,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과 터치기판(47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에 구비되는 센서가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차단되도록 보호하는 보호기판(475)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피시비(47)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하측에는 터치센서(472)와 같은 사용자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는 인디게이터기판(471)이 구비되고,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상측에는 터치센서(472) 등과 같은 부품들이 외부 타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판(475)이 구비되며, 이러한 보호기판(475)의 상측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을 터치센서(472) 등에 전달하기 위한 터치기판(473)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센서(472)는 오감지를 방지하고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핸들커버(42)의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압전소자를 이용한 피에조(Piezo) 타입의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431,432)의 조작시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의 변형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 빈번하게 닿을 수 있는 상기 손잡이(40)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고 유효 조작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472)는 상기 조작부(431,432)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31,4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터치센서(472)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측 또는 일단에는, 상기 바디(10)의 온도 상태 또는 온도 설정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즉,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선단(도 14에서는 좌측단)에는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477)는 상기 투시홀(433)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선단(도 14에서는 좌측단)에는 다수의 발광소자(477)가 구비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소자(477)가 총 5개의 세트로 등(等)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하나의 세트에는 각각 빨강 불빛과 흰색 불빛을 발산하는 2개의 엘이디(LED)가 쌍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가열 상태나 보온 상태 등을 서로 다른 불빛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례로 계속 가열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477)의 엘이디(LED) 중 백색 엘이디(LED)가 켜지도록 하여 가열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고, 가열이 완료되어 보온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477) 중 적색 엘이디(LED)가 켜지도록 하여 상기 투시홀(433)을 통해 적색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온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477)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선단에 등(等)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서로 다른 색상을 표출하는 2개 이상의 엘이디(LED)가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측에는, 상기 발광소자(477)를 감싸는 엘이디커버(49)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광소자(477) 상측에는 엘이디커버(49)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의 상측을 감싸게 된다.
상기 엘이디커버(49)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477)에서 발광되는 빛이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엘이디커버(49)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이디커버(49)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빛의 확산 및 분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에서 조사되는 빛이 보다 밝게 빛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엘이디커버(49)는,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477)를 각각 감싸는 다수의 개별커버(491)와, 상기 개별커버(49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를 지지하는 커버대(492)와,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와 상기 커버대(492)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버연결부(49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개별커버(491)는, 상기에서 설명한 각각의 발광소자(477) 즉, 2개의 엘이디(LED)가 세트로 이루어져 한 쌍(적색LED와 백색LED)을 구성하는 총 5개의 발광소자(477)를 각각 덮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개별커버(49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커버대(492)에 연결된다.
상기 개별커버(491)에는, 상기 발광소자(477)가 수용되는 엘이디홈(494)이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개별커버(491)는 상기 발광소자(477)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별커버(491)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엘이디홈(494)이 형성되고, 이러한 엘이디홈(494)은 상기 엘이디커버(49)가 상기 발광소자(477)를 덮을 때 각각의 발광소자(477)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개별커버(491)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일면에 접하는 베이스돔(491a)과, 상기 베이스돔(491a)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중간돔(491b)과, 상기 중간돔(491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상단돔(491c)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돔(491a)은 상기 개별커버(491)의 하단을 구성하여 터치피시비(47)의 상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며,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커버홈(483)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중간돔(491b)은 상기 베이스돔(491a)의 상면으로부터 싱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베이스돔(491a)보다 작은 크기의 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돔(491b)은 아래에서 설명할 터치부스터(48)의 중간홀(484)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중간돔(491b)은 아래에서 설명할 중간홀(484)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돔(49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돔(491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간돔(491b)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투시홀(433)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투시홀(433)과 대응되는 형상(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단돔(491c)의 외경은 상기 투시홀(433)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돔(491c)은 상기 투시홀(43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시홀(433)을 통해 상기 손잡이(40)의 외부에서 내부로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누름 동작을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전달하는 터치전달부(48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설치위치와 오버랩(overlap)되는 위치에 터치전달부(48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 형성되는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의 중앙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터치부스터(48)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리브(482a)에 의해 터치부스터(48)에 연결되어 상하로 탄성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중앙부가 상하로 일정 부분 유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제1조작부(431)와 제2조작부(432) 하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부스터홀(48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부스터홀(482)의 중앙에 상기 터치전달부(481)가 소정 크기의 사각평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부스터홀(482)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이러한 터치전달부(481)를 상기 터치부스터(48)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리브(482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리브(482a)는, 'ㄱ' 또는 'ㄴ' 형상(상방에서 볼 때)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양단은 상기 터치전달부(481)와 터치부스터(48)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전달부(481)가 상기 부스터홀(482) 중앙에 연결리브(482a)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상기 터치피시비(47)로 잘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터치전달부(481)는 상기 연결리브(482a)에 의해 탄성을 가져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핸들커버(42)의 제1조작부(431)와 제2조작부(432)에 정확하게 누름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누름 동작이 상기 터치피시비(47)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터치전달부(481)의 일면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481a)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전달부(481)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481a)가 더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81a)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기판누름부(473a) 상면에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 오버랩(overlap)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기판(473)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누름돌기(481a)와 접하여, 상기 누름돌기(481a)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인디게이터기판(471)의 센서로 전달하는 기판누름부(473a)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상기 터치기판(47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터치리브(473b)에 의해 연결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터치전달부(481)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누름부(473a)도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기판(473)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부스터홀(482)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기판홀(473c)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기판홀(473c)의 중앙에는 기판누름부(47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전후좌우로 형성된 터치리브(473b)에 의해 상기 터치부스터(48)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누름부(473a)는 상하로 소정 크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터치피시비(47)로부터 전달되는 정확한 누름 동작만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터치부스터(48)에는, 상기 개별커버(491)의 베이스돔(491a)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커버홈(483)과, 상기 개별커버(491)의 중간돔(491b)이 삽입 설치되는 중간홀(48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선단(도 17에서는 좌측단)에는, 터치부스터(48)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홈(483)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커버벽(485)이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측단(도 17에서)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커버벽(485)이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벽(485)의 내부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커버홈(48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홈(483)은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베이스돔(491a)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홈(483)의 상면에는 중간홀(48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중간홀(484)은 상기에서 설명한 엘이디커버(49)의 중간돔(491b)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간홀(484)에는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중간돔(491b)이 삽입된다.
상기 커버벽(485)에는, 상기 커버연결부(493)가 수용되는 연결홈(485a)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벽(485)의 우측(도 17에서) 벽에는 연결홈(485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홈(485a)은 상기 터치부스터(48)의 하측에 상기 엘이디커버(49)가 결합될 때, 상기 엘이디커버(49)의 커버연결부(493)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벽(485)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홈(483)에 수용된 상기 베이스돔(491a)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커버후크(486)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벽(485)의 좌측단에는 좌측 또는 하측으로 더 돌출된 커버후크(486)가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홈(483)에 수용된 상기 베이스돔(491a)이 다시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일단에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상단에 수용되는 부스터지지단(487)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우측단(도 17에서)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부스터지지단(487)이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스터지지단(487)은 상기에서 설명한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하단이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 하단에 안착되면, 상기 터치부스터(48)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기 된다. 따라서,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은 상기 핸들서포터(41) 기둥프레임(412)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일면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 또는 메인피시비(46)의 일단을 지지하는 기판지지턱(487a)이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내면(도 17에서는 좌측면)에는 좌측(도 17에서)으로 돌출된 기판지지턱(487a)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판지지턱(487a)에는 상기 터치피시비(47)의 인디게이터기판(471) 후단이 놓여져 지지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기판지지턱(487a)이 상기 부스터지지단(487)의 하단에 추가로 더 형성되어, 상기 메인피시비(46)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부스터(48)의 좌우 양단(도 17에서는 전후단)에는 걸림리브(488)가 전후(도 17에서)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리브(488)는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걸림리브홈(41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커버(42)의 상편(43)에는, 상기 상단돔(491c)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시홀(43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투시홀(433)에는 상기 상단돔(491c)이 수용되어 상기 발광소자(477)의 빛이 상기 손잡이(40) 외부로 조사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40)의 상방에서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 중인지 아니면 보온 중인지 등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 내부의 공간에는 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의 내부 공간에 통신부가 구비되어 전기 주전자(1)가 무선 통신으로 제어되거나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엔에프시(NFC)와 같은 통신 가능한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메인피시비(46) 등과도 연결되어 전기 주전자(1)의 전체적인 동작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8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1와 도 22에는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커버(42)가 제거된 상태의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가 바디(10)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와 26에는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가 이너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과 도 28에는 상기 손잡이서포터(41) 및 손잡이브라켓(15)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손잡이(40)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것도 동일한 부품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40)를 구성하는 핸들서포터(41) 및 손잡이브라켓(15)의 구성만 일부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서포터(41)는 선단부에 브라켓체결단(413)이 소정 크기의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브라켓체결단(413)은 전체적으로는 '⊃'형상(우측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며, 3개의 스크류단(413c)이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은 손잡이브라켓(15)에 3개의 스크류(screw) 등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413b)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413b)는 상기 스크류단(413c)을 서로 연결하거나, 중앙의 스크류단(413c)과 걸이단(415)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상단에는 걸이단(415)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상면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이단(415)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41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상단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에는 피시비(PCB)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착리브(411a)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프레임(411)의 내측면 하반부에는 좌우에 쌍으로 안착리브(411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리브(411a)의 상단은 상기 메인피시비(46)의 좌우 양단 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메인피시비(46)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서포터(41)의 지지단홈(416) 하측에는 작업홈(416a)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작업홈(416a)은 작업자가 드라이버(driver) 등을 핸들서포터(41)의 후방(도 25에서는 우측)에서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단(413c)에 스크루(screw) 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hole)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브라켓(15)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도 28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도 손잡이브라켓(15)은 3개의 스크루(screw)를 사용하여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 외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각 부의 기능과 형태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는 부착부(151)와,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에 결합되는 체결부(152)와, 서로 이격된 상기 부착부(151)와 체결부(15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53)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1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다만, 여기에서는 스크류(screw)가 체결되는 체결홀(154)이 3군데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151)도 좌우 외에도 하측에 추가로 하나 더 형성되는 구성이 상기에서와 상이할 뿐 나머지 기능과 역할은 동일하다.
도 29 내지 도 44에는 상기 뚜껑(2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9 및 도 30에는 상기 뚜껑(20)을 상부와 하부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1 및 도 32에는 도 29와 도 30에 도시된 뚜껑(20)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33에는 상기 뚜껑(20)에서 메탈커버(25)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부분 분해하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4와 도 35에는 상기 뚜껑(2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및 이의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6에는 도 34와 다른 방향에서 절단한 상기 뚜껑(2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7에는 상기 뚜껑(20)의 커버캡(21)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8 및 도 39에는 상기 뚜껑(20)의 상커버(22)를 상부와 하부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0 및 도 41에는 상기 뚜껑(20)의 뚜껑패킹(24)을 상부와 하부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2에는 상기 뚜껑(20)의 뚜껑패킹(24) 구성을 보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3 및 도 44에는 상기 뚜껑(20)의 하커버(23)를 상부와 하부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 또는 바디(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자석(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등(等)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0)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22)와,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22)와 형합하는 하커버(23)와, 상기 상커버(22) 또는 하커버(23)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는 위한 뚜껑패킹(24)과, 상기 하커버(23)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25)와, 상기 하커버(23)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26)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커버(2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상기 뚜껑(20)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량화와 고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소재에 전착 코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면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탈커버(25)의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탭(tap)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체결볼트(250)에 의해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250)는 상기 메탈커버(25)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250)의 하단(머리부)은, 상기 메탈커버(25)의 상면 중앙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캡(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차폐된 소정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캡(21)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캡바디(210)와, 상기 캡바디(210)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캡상편(212)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캡(21)의 내부 즉, 상기 캡바디(210)의 내부 중앙에는 볼트체결부(214)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캡상편(212)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의 볼트체결부(214)가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체결부(214)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는 탭홈(214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탭홈(214a)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체결부(214)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250)와 대응되는 너트(nut)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탭홈(214a)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볼트(250)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탭(tap)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체결부(214)의 측방에는 원통형상의 캡돌기부(2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캡돌기부(216)의 상하 길이는 상기 볼트체결부(214)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캡돌기홈(216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캡돌기홈(216a)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16)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캡돌기홈(216a)의 내경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16)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캡돌기홈(216a)에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16)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버캡(21)이 상기 상커버(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캡돌기부(216)는 상기 캡상편(21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캡돌기부(216)의 측면은 상기 캡바디(210)와 캡연결부(218)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상커버(2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커버(22)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커버단(220)을 형성한다.
상기 상커버(22)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캡(21)이 안착되는 캡홈부(21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캡홈부(2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캡홈부(212)에 상기 커버캡(21)의 캡바디(210)가 수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캡홈부(212)의 직경은 상기 캡바디(210)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홈부(2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커버캡(21)의 하단 내면을 지지하는 캡가이드리브(214)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캡홈부(212)의 바닥면에는 캡홈부(212)의 내주면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캡가이드리브(214)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캡가이드리브(214)와 캡홈부(212)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커버캡(21)의 캡바디(210) 하단이 수용되어 결합된다.
상기 캡가이드리브(214)의 일단(도 38에서는 좌측단 부근)에는 소정 크기의 연결부홈(214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홈(214a)은 상기 커버캡(21)의 캡연결부(218)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캡홈부(212)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250)가 관통되는 스크류홀(21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류홀(215)의 일측(도 38에서는 좌측)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회전방지돌기(216)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류홀(215)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돌기홈(216a)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캡홈부(212)와 상기 커버캡(21)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216)와 캡돌기홈(216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캡(21)이 상기 상커버(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돌기(216)와 캡돌기홈(216a)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회전방지돌기(216)가 상기 커버캡(21)에 형성되고, 상기 캡돌기홈(216a)이 상기 상커버(22)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뚜껑패킹(24)은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뚜껑패킹(24)은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커버(22)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23)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24)의 외측테두리는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뚜껑패킹(24)의 외경 크기는, 상기 상커버(22)의 외경보다는 작고 상기 하커버(23)의 외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뚜껑패킹(24)은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를 벗어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뚜껑패킹(24)은 고무나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뚜껑패킹(24)에는 상기 하커버(2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리브(240)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뚜껑패킹(24)은 소정 폭을 가지는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뚜껑패킹(24)의 내주면은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패킹단(241)을 형성한다. 상기 패킹단(241)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커버(23)의 내측벽(231) 내면에 걸리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리브(240)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측리브(240a)와 외측리브(240b)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결합리브(2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패킹(24)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리브(240a)와 외측리브(24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패킹(24)의 저면 중앙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리브(240a)와 외측리브(240b)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커버(23)의 외측벽(232) 상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뚜껑패킹(24)의 결합리브(240)에는, 자석(26)의 상면이 수용되는 패킹홈(242)이 더 형성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하커버(23)에 다수의 자석(26)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자석(26)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뚜껑패킹(24)의 저면에 패킹홈(242)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패킹(24)의 저면에는 상기 메탈커버(25)의 테두리 끝단이 수용되는 메탈홈(243)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메탈홈(243)이 상기 뚜껑패킹(24)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메탈커버(25)의 테두리 상단이 메탈홈(243)에 수용되므로, 외부로부터 뚜껑(20) 내부로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뚜껑패킹(24)의 테두리 끝단에는 내측보다는 다소 두께가 크게 형성되는 패킹테두리(244)가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테두리(244)와 상기 외측리브(240b) 사이에는 소정 깊이를 가지는 메탈홈(243)이 형성된다.
상기 메탈홈(243)은 상기 외측리브(240b)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메탈홈(243)에는 상기 아래에서 설명할 메탈커버(25)의 메탈테(252) 상단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테두리(244)에 다수의 에어벤트(245)가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에어벤트(245)의 함몰 깊이는 상기 메탈홈(243)의 함몰 깊이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탈커버(25)와 뚜껑패킹(24)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벤트(245)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에어벤트(245)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패킹(24)의 전후좌우에 각각 총 4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하커버(23)는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뚜껑패킹(24)을 밀착 고정하게 된다.
상기 하커버(23)에는 다수의 자석(26)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26)은 내열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다수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서는 사각박스 형태의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뚜껑(20)에 다수의 자석(26)이 등(等)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은 방향성을 고려한 것이다. 즉, 상기 뚜껑(20)을 바디(10)의 상부에 결합할 때 사용자가 방향에 관계없이 뚜껑(20)을 닫더라도 상기 뚜껑(20)에는 다수의 자석(2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자석(26)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의 이너자석(126)과 근접한 위치에 놓여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의 자석테(127)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뚜껑(20)에 다수의 자석(26)이 등(等)간격으로 구비되면, 이러한 자석(26)의 자력(磁力)이 금속재질의 자석테(127)에 작용하게 되므로 뚜껑(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즉, 전기주전자를 기울일 때 상기 바디(10)내부의 물 압력이 상기 뚜껑(20)에 작용하더라도 뚜껑(20)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커버(23)에는 상기 자석(26)과 뚜껑패킹(24)을 지지하는 지지벽(23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하커버(23)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벽(230)이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벽(230)에는 외측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자석수용홈(234)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수용홈(234)은 상방 및 측방향 외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여기에 상기 자석(26)이 수용된다.
상기 지지벽(230)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26)의 일면을 지지하는 내측벽(231)과, 상기 내측벽(23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24)의 결합리브(240)과 결합되는 외측벽(232)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커버(23)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 외측벽(232)이 형성되며, 이러한 외측벽(232)의 내부에는 외측벽(2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벽(23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231)은 소정 직경을 가지는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내측벽(231)의 외면에 상기 다수의 자석(26)이 밀착 고정된다.
상기 외측벽(232)과 내측벽(231)의 상단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측벽(232)의 상단은 외측이 내측보다 더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리브(240b)가 위치되는 단차면(232a)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결합리브(240)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측리브(240a)와 외측리브(240b)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측벽(232)의 상단은 외측이 내측보다 더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리브(240b)가 위치되는 단차면(23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벽(232)의 상단 테두리면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단차면(232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차면(232a)은 상기 결합리브(240)의 외측리브(240b)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자석수용홈(234)의 내면에는, 상기 자석(26)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234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수용홈(234)은 소정 크기의 사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자석수용홈(234)의 좌우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리브(234a)가 더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고정리브(234a)는 상기 자석수용홈(234)의 좌우 내면에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좌측면이나 우측면에 하나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의 자석(26)은 방향이 일정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자석(26)이 모두 'N'극 또는 'S'극이 외측을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10)에 설치되는 자석(26)과 서로 자력(磁力)의 인력(引力)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하커버(23)에 설치되는 자석(26)의 'N'극이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바디(12)의 이너자석(126)도 'N'극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의 자석(26)과 바디(10)의 이너자석(126)이 서로 끌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커버(23)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하커버홀(235)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커버홀(235)은 상기 체결볼트(250)가 통과하여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커버홀(235)의 외측에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지지테(23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지지테(236)는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 등을 하게 된다.
상기 메탈커버(25)는 상기 하커버(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커버(23)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커버(25)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커버(25)를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메탈커버(25)가 바디(10) 내부에서 가열되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위생을 고려한 것이며, 동시에 상기 뚜껑(20)이 외부로 노출될 때 보다 수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탈커버(25)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메탈베이스(251)와, 상기 메탈베이스(25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메탈테(2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탈베이스(251)는 상기 하커버(23)의 하부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커버(23)의 하부를 감싸는 부분이며, 이러한 메탈베이스(251)의 상면 중앙에는 체결볼트(250)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메탈베이스(251)의 상면 중앙부에 상기 체결볼트(250)의 머리부가 고정되도록 용접된다.
상기 메탈테(252)는 상기 메탈베이스(251)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메탈테(252)의 높이는 상기 하커버(23)의 지지벽(230)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커버(23)의 측면을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메탈테(252)의 상단은 상기 뚜껑패킹(24)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뚜껑(20)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물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5 및 도 46에는 상기 바디(10)에도 자석(磁石)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5에는 상기 이너바디(12)에 자석(磁石)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6에는 도 45에 도시된 이너바디(12)에서 자석(磁石)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상단에도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자석(磁石)은 이너자석(126)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하커버(23)의 자석(26)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자석(磁石)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이너자석(126)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상기 이너자석(126)을 고정 지지하는 자석테(12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자석테(127)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석테(127)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테(127)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 외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자석테(127)에는 상기 이너자석(126)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자석고정부(127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자석테(127)는 링(ring) 형상의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치의 편의 등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구주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자석고정부(12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자석(126)의 외측면과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설치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이너바디(12)에 설치되는 이너자석(126)을 상기 출수구(30) 또는 손잡이(40) 설치위치에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보다 견고하게 상기 뚜껑(20)을 고정하여 바디(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자석(126)은 상기 출수구(30) 및 손잡이(40) 방항에 각각 설치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주전자를 손잡이를 잡고 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일 때 상기 자석(26)과 이너자석(126)이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전기주전자를 손잡이(40)를 잡고 물을 따르기 위해 기울일 때 상기 출수구(30)측의 이너자석(126)과 상기 손잡이(40)의 이너자석(126)이 각각 상기 바디(10)의 자석(26)과의 인력(引力)에 의해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이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상편(43)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투시홀(433)과 같은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조작부(431) 또는 제2조작부(432) 등을 조작하여 상기 가열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오프 버튼인 상기 제1조작부(431)를 눌러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가열과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작부(432)를 눌러 조작함으로서 온도의 설정 및 조작의 지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조작부(누름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3)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며,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
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손잡이(4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핸들서포터(41)에는 상기 제어수단(45)들과 같은 부품들이 장착을 완료하고, 다음으로는 상기 핸들서포터(41)에 핸들커버(42)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커버(42)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브라켓(44)이 용접 등으로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의 후측에서 근접시킨다.
정확하게는 상기 핸들커버(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보다 약간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핸들커버(42)의 후면이 핸들서포터(41)의 후면에 밀착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커버(42)를 아래로 내린다.
상기 핸들커버(42)가 아래로 내려오면, 상기 커버브라켓(44)의 기둥부(442)가 상기 핸들서포터(41)의 기둥프레임(412) 후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기둥후크(444)의 가이드부(444c)가 상기 기둥후크홀(40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측벽후크(443)는 상기 측벽후크홈(417)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핸들커버(42)는 핸들서포터(41)에 밀착 고정되고, 손잡이(40)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손잡이(40)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으로는 상기 손잡이(40)를 상기 바디(10)에 체결한다.
이처럼 상기 손잡이(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40)의 선단을 상기 바디(10)의 선단에 근접시킨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 측으로 약간 기울이면서 근접시키면, 상기 손잡이(40)의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아우터바디(11)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40)를 바로세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40)의 브라켓체결단(413)이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밀착되므로, 스크류(screw) 등을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체결단(413)과 손잡이브라켓(15)을 서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체결단(413)과 손잡이브라켓(15) 체결시 2개의 스크류(screw)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구성과 3개의 스크류(screw)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이 모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단(415)이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내려 상기 브라켓체결단(413)과 손잡이브라켓(15) 체결하게 된다. 즉, 첫번째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다음 아래로 내려 체결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의 다른 손잡이(40)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단(415)이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40)를 바디(10)에 밀착시킨 다음 위로 올려 체결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걸이단(415)이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 결합된 상태가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40)를 먼저 조립하지 아니하고, 상기 손잡이(40)의 핸들서포터(41)를 먼저 상기 바디(10)에 결합한 다음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먼저 상기 핸들서포터(41)를 도 25 및 도 26과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를 통과시켜 걸이단(415)이 손잡이홀(111)에 걸리도록 한 다음, 스크류(screw)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체결단(413)을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핸들커버(42)를 상기 핸들서포터(41)에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핸들커버(42)의 결합 이전에 상기 제어수단(45) 등이 먼저 설치되어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자석(26)을 하커버(23)의 자석수용홈(234)에 끼운다. 이때 상기 자석수용홈(234)에는 좌우면에 고정리브(23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석(26)이 이러한 고정리브(234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뚜껑패킹(24)을 상기 하커버(23)의 상측에 덮어 장착한다. 이때 상기 뚜껑패킹(24)의 결합리브(240)가 상기 하커버(23)의 지지벽(230) 상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상커버(22)를 상측으로부터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뚜껑패킹(24)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하커버(23)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 둘출된 상태로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커버(22)의 캡홈부(212)에 상기 커버캡(21)을 끼운다. 이때 상기 캡바디(210)는 상기 캡홈부(212)의 내주면과 캡가이드리브(2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216)는 커버캡(21)의 캡돌기홈(216a)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캡(21)은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정위치에 안착되고, 상커버(22)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고 나면 도 33과 같은 상태가 되고, 다음으로는 상기 메탈커버(25)를 하측으로부터 결합한다. 즉, 상기 메탈커버(25)를 도 33과 같이 상기 하커버(23)의 하부로부터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메탈커버(25)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볼트(2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볼트(250)는 상기 하커버(23)의 하커버홀(235)을 통과한 다음 상기 상커버(22)의 스크류홀(215)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캡(21)의 탭홈(214a)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체결볼트(250)를 상기 탭홈(214a)에 나사체결하는 과정은 상기 메탈커버(2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볼트(250)는 상기 메탈커버(25)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메탈커버(25)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계방향(하측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볼트(250)가 커버캡(21)의 탭홈(214a)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뚜껑(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뚜껑(2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상기 바디(10)의 상방을 차폐하도록 바디(10)의 상단에 결합하면,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밀폐되어 내부의 음식물이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에도 상기 이너자석(126)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너바디(12)의 이너자석(126)과 뚜껑(20)의 자석(26)이 서로 인력(引力)에 의해 끌리게 되므로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잡고 바디(10)를 기울여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상기 뚜껑(20)은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바디(10) 상부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24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커버(22) 및 하커버(23)의 틈새와 상기 뚜껑패킹(24)의 에어벤트(245)를 통해 상기 바디(10)의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벤트(245)를 통한 공기의 통로는 미세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물이 끓을 때에는 수증기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에어벤트(245)가 막혀 외부로의 증기 유출이 차단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물을 따르기 위해 상기 바디(10)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벤트(24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디(10) 내부의 진공 상태가 방지되어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쉽게 따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전기주전자 10.바디
11.아우터바디 12.이너바디
13.투시창 15.손잡이브라켓
20.뚜껑 21.캡
22.상커버 23.하커버
24.커버패킹 25.메탈커버
26.자석 30.출수구
40.손잡이 41.핸들서포터
42.핸들커버 43.상편
44.커버브라켓 45.제어수단
46.메인피시비 46a.하커넥터
46b.연결커넥터 47.터치피시비
47a.상커넥터 48.터치부스터
49.엘이디커버 50. 히팅모듈
51.히터어셈블리 52.히팅플레이트
53.온도센서 54.히터
55.어퍼 전원 모듈 56.바컴커버
60.베이스 64.로어 전원 모듈
101.가열공간 102.틈새공간
111.손잡이홀 112.출수구홀
113.아우터홀 121.이너상단부
123.이너홀 124.센서홀
125.출수공 135. 투시창가스켓
151.부착부 152.체결부
153.연결부 154.체결홀
234.자석수용홈 242. 패킹홈
245.에어벤트 250.캡볼트
251.메탈베이스 401.그립부
402.손잡이캡 403.기둥후크홀
411.측벽프레임 411a.안착리브
412.기둥프레임 413.브라켓체결단
413a.브라켓체결홀 413b.보강리브
413c.스크류단 415.걸이단
415a.접합부 416.지지단홈
416a.작업홈 417.측벽후크홈
418.걸림리브홈 421.측편
422.기둥편 431.제1조작부
432.제2조작부 432a.절개선
433.투시홀 441.측부
442.기둥부 443.측벽후크
444.기둥후크 444a.수용부
444b.지지부 444c.가이드부
451.양면테이프 471.인디게이터기판
472.터치센서 473.터치기판
473a.기판누름부 473b.터치리브
473c.기판홀 475.보호기판
477.발광소자 481.터치전달부
481a.누름돌기 482.부스터홀
482a.연결리브 483.커버홈
484.중간홀 485.커버벽
485a.연결홈 486.커버후크
487.부스터지지단 487a.기판지지턱
488.걸림리브 491.개별커버
491a.베이스돔 491b.중간돔
491c.상단돔 492.커버대
493.커버연결부 494.엘이디홈
521.온도센서장착홀 531.센서패킹
561.바텀홀

Claims (26)

  1.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 또는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磁石)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磁石)은,
    영구자석(永久磁石)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바디의 상단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와 형합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 또는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와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는 위한 뚜껑패킹과;
    상기 하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와;
    상기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磁石)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커버캡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캡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상커버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메탈커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은,
    상기 메탈커버의 상면 중앙에 용접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패킹은,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외경은 상기 하커버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의 외측테두리는 상기 하커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패킹에는,
    상기 하커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자석(磁石)과 뚜껑패킹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에는 외측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자석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磁石)의 일면을 지지하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패킹의 결합리브과 결합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측리브와 외측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측벽의 상단은, 외측이 내측보다 더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리브가 위치되는 단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수용홈의 내면에는,
    상기 자석(磁石)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패킹의 결합리브에는,
    상기 자석(磁石)의 상면이 수용되는 패킹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캡이 안착되는 캡홈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캡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커버캡의 하단 내면을 지지하는 캡가이드리브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캡홈부와 상기 커버캡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캡돌기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캡이 상기 상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캡홈부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스크류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자석(磁石)은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자석(磁石)을 고정 지지하는 자석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테는,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 외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테에는,
    상기 자석(磁石)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자석고정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에 설치되는 자석(磁石)은 출수구 및 손잡이 방항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KR1020200018544A 2020-01-22 2020-02-14 전기 주전자 KR20210103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44A KR20210103851A (ko) 2020-02-14 2020-02-14 전기 주전자
PCT/KR2020/002176 WO2021162151A1 (ko) 2020-02-14 2020-02-14 전기 주전자
PCT/KR2020/018923 WO2021149926A1 (ko) 2020-01-22 2020-12-22 전기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44A KR20210103851A (ko) 2020-02-14 2020-02-14 전기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51A true KR20210103851A (ko) 2021-08-24

Family

ID=7729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44A KR20210103851A (ko) 2020-01-22 2020-02-14 전기 주전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3851A (ko)
WO (1) WO20211621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353A (ko) 2021-12-16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56B1 (ko)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20170074313A (ko) 2015-12-21 2017-06-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렌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4676U (ja) * 1983-10-29 1985-05-25 山本 厚 陶磁器急須の蓋ずれ落防止装置
JP5458511B2 (ja) * 2008-06-05 2014-04-0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ケトル
CN201290594Y (zh) * 2008-11-05 2009-08-19 李建弟 带旋转式壶盖的电热水壶
KR102392702B1 (ko) * 2016-01-29 2022-04-29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
CN212234077U (zh) * 2017-06-07 2020-12-29 株式会社惠人 榨汁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56B1 (ko)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20170074313A (ko) 2015-12-21 2017-06-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렌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353A (ko) 2021-12-16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151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11327B2 (en) Electric kettle
EP391544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6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7B1 (en) Electric kettle
KR20210103851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7549A (ko) 전기 주전자
KR102573902B1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2592A (ko) 전기 주전자
WO2013093506A2 (en) Liquid heating vessel and control
KR20220072375A (ko) 전기 주전자
KR20210094983A (ko) 전기 주전자
KR20210094984A (ko) 전기 주전자
CN216020411U (zh) 盖体和烹饪器具
US11944228B2 (en) Electric kettle
KR20210112591A (ko) 전기 주전자
WO2015051558A1 (zh) 一种可加热的玻璃复合锅
KR20210117548A (ko) 전기 주전자
KR20230091353A (ko) 전기 주전자
CN220546167U (zh) 烹饪器具
CN212165616U (zh) 装饰片、控制装置组件和烹饪器具
CN211862544U (zh) 液体加热装置及其底座
CN219877977U (zh) 煲体和烹饪器具
CN220124447U (zh) 煲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1324531U (zh) 一种智能显温真空保温壶
CN218484335U (zh) 一种液体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