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592A - 전기 주전자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592A
KR20210112592A KR1020200027782A KR20200027782A KR20210112592A KR 20210112592 A KR20210112592 A KR 20210112592A KR 1020200027782 A KR1020200027782 A KR 1020200027782A KR 20200027782 A KR20200027782 A KR 20200027782A KR 20210112592 A KR20210112592 A KR 2021011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rib
cover
li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592A/ko
Publication of KR2021011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에 에어벤트(air vent)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는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전자의 물을 따를 때에도 내외부의 기압차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주전자{Electric kettle}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에 에어벤트(air vent)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 등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대부분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러한 전기 주전자는 본체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 구성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플라스틱의 유해 성분 또는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고온의 물에 용해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고 그로 인한 내부의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를 유리 소재로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위생상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뛰어나지만, 충격 등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으며, 무게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며, 성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본체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매우 위생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종래기술에서도 여전히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번호 제10-1631556호에서와 같이 단순히 뚜껑이 본체를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뚜껑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74313호에도 '블랜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도 뚜껑은 결합턱에 의해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본체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본체 내부의 물 압력에 의해 뚜껑이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포트나 전기주전자에서는, 바디로부터 뚜껑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은 뚜껑이나 바디의 세척이 손쉬운 장점은 있으나, 뚜껑과 바디 사이의 밀폐를 위해서 별도의 조작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비용 및 제조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이러한 별도의 조작이나 장치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뚜껑과 바디 사이의 밀폐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주전자를 기울여 내부의 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 전기포트나 전기주전자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물 배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31556호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7431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이 방지하여 물 배출이 원활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air vent)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 가능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에 다수의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되도록 하여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에어벤트(air vent)는 주전자 내부의 물에 잠기지 않게 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에 2이상의 리브가 구비되는 패킹이 구비되어 뚜껑과 바디의 밀착이 강화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뚜껑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디 내부의 물과 접촉하는 뚜껑의 하단부에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 사이에는 미세 틈새가 형성되어 주전자를 기울일 때 외부의 공기가 주전자 내부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주전자의 뚜껑에 구비되는 에어벤트(air vent)는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벤트(air vent)는 물의 수면 위에 위치되어 주전자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전자의 뚜껑을 구성하는 상커버와 패킹에는 다수의 홈 등이 형성되어 미세한 틈새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커버에 패킹이 밀착되는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에는, 2이상의 리브가 구비되는 패킹이 뚜껑에 구비되어 뚜껑과 바디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구비되는 패킹에 형성된 2 이상의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뚜껑 장착시 중첩되어 바디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커버캡과 하커버가 체결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해 뚜껑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한번에 조립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뚜껑에는, 이중으로 패킹이 구비되어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함과 더불어 뚜껑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하단부에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는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3곳 이상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은, 상기 뚜껑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는 리브패킹과, 상기 뚜껑의 내부에 구비되어 뚜껑 내부로의 물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브패킹에는 2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이중으로 상기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며, 상기 차단패킹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패킹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와 형합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 또는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와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는 위한 리브패킹과; 상기 하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와; 상기 메탈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커버와 메탈커버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상커버나 하커버 또는 리브패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리브패킹과 상커버 또는 하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바디 외부의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패킹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킹외단과, 상기 패킹외단의 내측에 이격 형성되는 패킹내단과, 상기 패킹외단의 외면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단상리브와, 상기 패킹외단의 외면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하단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외단의 상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패킹에어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단하리브는, 상기 외단상리브보다 상기 패킹외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커버체결돌기와 커버체결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패킹이 고정 지지되는 패킹지지단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이 수용되는 패킹지지단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의 상면을 압착 고정하는 패킹압착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압착리브는, 상기 패킹지지단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킹지지단의 상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리브패킹과 차단패킹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는 수직테두리가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테두리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걸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테두리)의 외면에는 상기 차단패킹이 걸리는 패킹턱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패킹지지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상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의 상리브가 삽입되는 패킹리브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패킹압착리브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은 절개되어 패킹압착리브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에어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압착리브와 패킹지지단 사이에는, 상기 에어유로 형성을 위한 한 쌍의 에어가이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커버의 패킹지지단 외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지지단에어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에어홈은 상기 에어유로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상커버의 상리브가 삽입되는 하리브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리브홀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하에어홈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공기 유동이 가능한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을 끓이는 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해 에어벤트(air vent)가 차단되어 증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는 한편, 바디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벤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되므로 바디 내부의 공기압 저하가 방지된다. 즉 바디 내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물을 쉽게 따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형성되는 에어벤트(air vent)가 적어도 3곳 이상에 등(等)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에어벤트(air vent)는 주전자 내부의 물에 잠기지 않게 되므로, 주전자 외부의 공기가 주전자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장점이 있다.
셋,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상커버에 에어유로 및 에어가이드와 지지단에어홈 등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커버에 패킹이 밀착 고정되는 경우에도 미세한 틈새가 형성되어 공기 유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리브패킹에도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패킹에어홈이 별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리브패킹을 가로지리는 틈새가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리브패킹에 형성되는 패킹에어홈과 상커버에 형성되는 에어유로 및 지지단에어홈 등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커버와 리브패킹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서는 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통과 가능하게 되어, 주전자 뚜껑을 통해서는 공기만 유동되고 물의 배출은 차단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의 역할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2이상의 리브가 구비되는 리브패킹이 구비되며, 이러한 이상의 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뚜껑 장착시 중첩되어 바디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가 없어도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 등을 따르기 위해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뚜껑이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전기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바디 내부의 물 압력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즉, 뚜껑을 구성하는 커버캡과 상커버 및 하커버가 하나의 체결볼트에 의해 동시에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뚜껑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이중으로 패킹이 구비되어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함과 더불어 뚜껑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한다. 즉, 리브패킹 외에 차단패킹이 더 구비되어 뚜껑 내부로의 물이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므로, 뚜껑 및 내부 음식물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아홉,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하단부에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의 물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메탈커버에만 접촉되므로 위생적이며, 뚜껑을 바디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메탈커버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열,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상단에 커버캡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캡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을 손으로 잡는 것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성이 증가되며,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경량화 및 고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열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커버와 커버캡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캡돌기홈이 각각 형성되다. 따라서, 커버캡이 상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므로, 제품 불량 및 사용상 불편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전기 주전자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상방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디의 구성을 보인 하방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에서 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상커버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하커버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하커버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리브패킹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리브패킹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메탈커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주전자의 상방 및 하방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과, 상기 바디(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디(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물이나 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출수구(30)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20) 그리고, 손잡이(40) 및 히팅모듈(50), 베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띠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바디(10)의 상단 우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 전원 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단에는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팅모듈(50)과 바텀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바디(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일단에는 출수구(spout)(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30)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10)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30)는 상기 바디(10)의 좌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따르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바디(30)의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1)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며, 데코와 탄성재질의 그립부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외장은 고급스럽게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그립부분 등)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40)에는 사용자가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구비되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피시비(PCB)가 구비될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브라켓(15)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손잡이브라켓(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이너바디(12)의 외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부에는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사용자가 뚜껑(20)을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상기 바디(10)에 결합하기 편하도록 하는 기능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부착 또는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바디(10)에 체결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는 온도센서(53)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1)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바디(1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하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는 전체적으로는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형성되는 공간에는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고, 하단부에는 히팅모듈(50)이 구비되어 바디(10)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이중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10)는,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바디(12)와,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바디(11)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바디(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는 아우터바디(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사이에는 틈새공간(102)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이너바디(12)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 틈새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은 단열 틈새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은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PCB)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사이의 단열 틈새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이너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과 이너바디(12)의 상단은 서로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상단부(1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아우터바디(11)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상단부(121)는 이너바디(1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게 이중 연장되어 외측 끝단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틈새공간(102)의 상부는 상기 이너상단부(121)에 의해 차폐된다. 물론,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 등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40)와 출수구(30)는 상기 아우터바디(1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바디(11)에는 상기 손잡이(4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손잡이홀(111)과 상기 출수구(30)가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한 출수구홀(112)이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홀인 손잡이홀(111)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1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출수구홀(112)이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출수구홀(112) 형성되며, 이러한 출수구홀(112)은 상기 출수구(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전면과 이너바디(12)의 전면에는 각각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아래에서 설명할 투시창(13)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홀(113)과 이너홀(123)은 투시창(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좌측면 상단부에는 출수공(125)이 다수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공(125)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상기 출구수(3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출수공(125)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우측면 상단부에는 손잡이브라켓(15)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은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형태(상방에서 볼 경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의 좌측단은 상기 이너바디(12)에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체결기구 등에 의해 결합되고, 우측단은 상기 손잡이(40)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브라켓(15)이 상기 이너바디(12)에 고정 장착되면, 손잡이브라켓(15)의 우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손잡이홀(111)을 통해 외측(우측)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브라켓(15)에 볼트(bolt) 및 너트(nut)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틈새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111)과 출수구홀(112) 등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틈새공간(102) 하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의 하단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상기 바텀커버(56)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바텀커버(56) 등의 부품이 결합되기 전이므로 전해액이 틈새공간(102)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바디(12)와 아우터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틈새공간(102)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20)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이너바디(12)에 결합된다.
상기 투시창(13)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투시하여, 바디(10) 내부의 물 등과 같은 음식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바디(10)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더 구비되어, 투시창(13)과 바디(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시창(13)과 이너홀(123) 또는 아우터홀(113) 사이에는 투시창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이너홀(123)과 투시창(1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13)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바디(12)의 이너홀(123)에 상기 투시창(13)이 고정 장착되면, 상기 투시창(13)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3)의 전면도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아우터바디(11)의 외측면보다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3)과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투시창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바디(11) 등에 추가의 가스켓 또는 패킹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히팅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여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열을 생성하는 히터어셈블리(51)와, 상기 이너바디(12)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와, 상기 히터어셈블리(5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 전원 모듈(55)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50)의 하측에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커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히팅모듈(50)과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 전원 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50)은 상기 바텀 커버(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아우터바디(1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히터어셈블리(51)는,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에 부착 결합되는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는 히터(5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중앙에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이너바디(12)의 저면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버 피시비(PC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PCB)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이너바디(12)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플레이트(52)와 상기 히터(5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에는 상기 온도센서(53)가 장착되는 온도센서 장착홀(5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에는 센서패킹(5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패킹(531)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을 실링하게 된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바디(1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이너바디(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팅플레이트(52)는 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바디(12)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노출되는 센서홀(1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홀(124)은 상기 온도센서 장착홀(521)과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온도센서(53)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 높이는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3)와 이너바디(1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센서패킹(53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53)의 상단이 상기 이너바디(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53)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에는 바텀홀(561)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홀(561)을 통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9에는 상기 뚜껑(2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뚜껑(20)을 상부와 하부에서 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는 도 8와 도 9에 도시된 뚜껑(20)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상기 뚜껑(20)에서 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상기 뚜껑(2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상기 뚜껑(20)을 구성하는 상커버(22)의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과 도 16에는 상기 뚜껑(20)을 구성하는 하커버(23)의 구성을 보인 상부 및 하부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과 도 18에는 상기 뚜껑(20)을 구성하는 리브패킹(24)의 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상기 뚜껑(20)을 구성하는 메탈커버(2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으로 패킹(24,26)이 구비되어 뚜껑(20)과 바디(10)의 틈새를 차단함과 더불어 뚜껑(2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24,26)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1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리브패킹(24) 또는 상커버(22)와 하커버(23) 등에는 상기 바디(10) 내부와 외부 상호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한 홈 등이 형성되어 에어벤트(air vent)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뚜껑(20)의 테두리에 3곳 이상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뚜껑(20)에 다수곳에 형성됨일 바람직하다.
이는 여러 곳에 형성되어야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에어벤트(air vent)는 주전자 내부의 물에 잠기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즉,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에어벤트(air vent)는 물이 고이지 않는 상측에 위치되어 외부 공기가 주전자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상커버(22)나 하커버(23) 또는 리브패킹(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사용자가 전기 주전자를 기울여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상기 리브패킹(24)과 상커버(22) 또는 하커버(2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바디(10)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에어벤트(air vent)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양한 형태의 에어홈이나 에어유로 등으로 이루어지며, 미세한 틈새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끓게 되는 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해 차폐되어 바디(10) 외부 공기가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바디(10) 내부로 유입되지는 않게 된다.
상기 뚜껑(20)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22)와,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22)와 형합하는 하커버(23)와, 상기 상커버(22) 또는 하커버(23)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기 위한 리브패킹(24)과, 상기 하커버(23)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25)와, 상기 메탈커버(25)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커버(23)와 메탈커버(25)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패킹(26)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커버(2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커버캡(21)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캡(21)은 상기 뚜껑(20)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량화와 고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소재에 전착 코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면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탭(tap)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캡(21)은, 체결볼트(250)에 의해 상기 상커버(22)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체결볼트(250)는 상기 커버캡(21)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및 커버캡(21)이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커버캡(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차폐된 소정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캡(21)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캡바디(210)와, 상기 캡바디(210)의 상면을 차폐하며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캡상편(212)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캡(21)의 내부 즉, 상기 캡바디(210)의 내부 중앙에는 볼트체결부(214)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캡상편(212)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의 볼트체결부(214)가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체결부(214)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는 탭홈(214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탭홈(214a)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250)가 나사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체결부(214)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볼트(250)와 대응되는 너트(nut)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탭홈(214a)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볼트(250)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탭(tap)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체결부(214)의 측방에는 원통형상의 캡돌기부(2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캡돌기부(216)의 상하 길이는 상기 볼트체결부(214)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캡돌기홈(216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캡돌기홈(216a)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28)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캡돌기홈(216a)의 내경은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28)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캡돌기홈(216a)에 아래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회전방지돌기(228)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버캡(21)이 상기 상커버(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커버(22)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커버캡(21)이 안착되는 캡홈부(220)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캡홈부(2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캡홈부(220)에 상기 커버캡(21)의 캡바디(210)가 수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캡홈부(220)의 내경 크기는 상기 캡바디(210)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홈부(220)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250)가 관통되는 스크류홀(22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류홀(225)의 일측(도 10에서는 우측)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회전방지돌기(228)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2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류홀(225)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캡돌기홈(216a)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캡홈부(220)와 상기 커버캡(21)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228)와 캡돌기홈(216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캡(21)이 상기 상커버(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돌기(228)와 캡돌기홈(216a)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회전방지돌기(228)가 상기 커버캡(21)에 형성되고, 상기 캡돌기홈(216a)이 상기 상커버(22)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뚜껑(20)에 구비되는 패킹(24,26)은, 상기 뚜껑(2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20)과 바디(10)의 틈새를 차단하는 리브패킹(24)과, 상기 뚜껑(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뚜껑(20) 내부로의 물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패킹(26)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패킹(24)에는 2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이중으로 상기 뚜껑(20)과 바디(10)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리브패킹(24)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킹외단(240)과, 상기 패킹외단(240)의 내측에 이격 형성되는 패킹내단(241)과, 상기 패킹외단(240)의 외면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단상리브(242)와, 상기 패킹외단(240)의 외면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단하리브(24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단상리브(242)와 외단하리브(243)의 외측 길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단하리브(243)는 상기 외단상리브(242)보다 상기 패킹외단(240)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단하리브(243)가 상기 외단상리브(242)보다 더 폭이 크도록 형성하는 것은 상기 바디(10)와 뚜껑(20) 사이의 틈새를 견고하게 차단함과 아울러 뚜껑(20)이 바디(10)에 탄성 밀착되는 밀착력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외단하리브(243)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상단 내부에 밀착될 때, 상기 외단하리브(243)는 중첩(절곡되어 겹쳐짐)되어 상기 바디(10)의 상단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물 유입 등 이물질의 침투도 방지된다.
상기 차단패킹(26)은, 상기 리브패킹(24)과 마찬가지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패킹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커버체결돌기(232a)와 커버체결홀(224a)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체결돌기(232a)와 커버체결홀(224a)이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가 상하로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체결홀(224a)은 상커버(22)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결돌기(232a)는 하커버(23)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커버(22)와 하커버(23)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상기 상커버(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상기 리브패킹(24)이 고정 지지되는 패킹지지단(221)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커버(22)의 저면 테두리 부근에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패킹지지단(221)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킹지지단(221)은 아래에서 설명할 리브패킹(24)의 패킹지지단홈(244)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패킹(24)의 상면을 압착 고정하는 패킹압착리브(22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외측에 상기 패킹압착리브(222)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압착리브(222)는 상기 패킹지지단(22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상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킹지지단(221)은 아래에서 설명할 리브패킹(24)의 패킹지지단홈(244)에 수용되고,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는 상기 리브패킹(24)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상기 상커버(22)의 패킹지지단(221)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상리브(221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상리브(221a)는 아래에서 설명할 리브패킹(24)에 형성되는 패킹리브홀(245) 및 하커버(23)의 하리브홀(237)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상커버(22)의 패킹압착리브(222)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은 절개되어 패킹압착리브(222)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에어유로(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압착리브(222)와 패킹지지단(221)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유로(223) 형성을 위한 한 쌍의 에어가이드(223a)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는 일부가 절개되고, 이러한 절개부위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다음 연장되어 한 쌍의 에어가이드(223a)를 형성하며, 상기 에어가이드(223a)의 외측 끝단은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가이드(223a)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패킹지지단(221)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상커버(22)의 패킹지지단(221) 외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지지단에어홈(221b)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지지단에어홈(221b)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단에어홈(221b)은 상기 에어유로(223)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뚜껑(20)의 외부로부터 상기 패킹압착리브(222)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가이드(223a)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외면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지지단에어홈(221b)을 통해 패킹지지단(221)의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로(223) 및 에어가이드(223a)와 지지단에어홈(22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에 3곳 이상에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어유로(223) 및 에어가이드(223a)와 지지단에어홈(221b)이 에어벤트(air vent)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가이 주전자를 기울일 경우에도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에어유로(223) 및 에어가이드(223a)와 지지단에어홈(221b)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내측에는 다수의 커버체결부(22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커버체결부(2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커버체결부(224)에는 측방으로 관통되는 커버체결홀(224a)이 형성되다.
상기 커버체결홀(224a)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커버(23)의 커버체결돌기(232a)가 걸려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는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심리브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의 저면에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상중심리브(225)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상중심리브(225)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내측에 형성되며 패킹지지단(2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커버(22)의 중심에는 체결볼트(250)가 관통되는 상부홀(226)이 상하로 관통되게 더 형성된다.
상기 하커버(23)는 상기 상커버(22)와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는 원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커버(23)의 외경 크기는 상기 상커버(22)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는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수평단부(231)를 더 형성한다.
상기 하커버(23)에는, 상기 리브패킹(24)과 차단패킹(26)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는 수직테두리(232)가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테두리(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커버(23)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테두리(232)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체결돌기(232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테두리(232)의 외면에는 상기 차단패킹(26)이 걸리는 패킹턱(232b)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직테두리(232)의 내면 상단부에는 후크 형상의 커버체결돌기(232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체결돌기(232a)는 상기에서 설명할 상커버(22)의 커버체결홀(224a)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패킹턱(232b)은 상기 수직테두리(232)의 외면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턱(232b)은 상기 차단패킹(26)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커버(23)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하체결홀(233)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체결홀(233)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하커버(2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체결부(233a)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커버체결돌기(23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체결홀(233)의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커버(23)에도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심리브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커버(23)의 상면 중앙부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링(ring) 형상의 하중심리브(234)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하커버(23)의 상면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스크류체결부(235)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류체결부(235)의 내측에는 스크류홈(23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커버(23)의 저면 중심부에는, 상기 체결볼트(25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스크류홈(235a)이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커버(23)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을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236)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하커버(23)에는, 상기 상커버(22)의 상리브(221a)가 삽입되는 하리브홀(237)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하리브홀(237)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상커버(22)의 상리브(221a)가 삽입된다. 즉, 상기 상커버(22)의 패킹지지단(221)에 형성되는 상리브(221a)가 아래에서 설명할 리브패킹(24)에 형성되는 패킹리브홀(245)을 통과하여 상기 하리브홀(237)에 삽입된다.
상기 하리브홀(237)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하에어홈(237a)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리브홀(237)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하에어홈(237a)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에어홈(237a)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에어벤트(air vent)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 부근에는 다수의 메탈리브홀(238)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탈리브(252)가 관통하는 메탈리브홀(238)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메탈리브홀(238)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탈커버(25)의 메탈리브(25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커버(23)의 상면 테두리에는, 작업홈(239)이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하커버(23)의 상면 테두리부분에 형성되는 메탈리브홀(238)의 내외측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작업홈(239)을 형성한다.
이러한 작업홈(239)은, 뚜껑(20)의 조립시 상기 메탈커버(25)가 상기 하커버(23)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생산자)가 외부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납작한 작업도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틈(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브패킹(24)에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이 수용되는 패킹지지단홈(24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외단(240)과 패킹내단(241)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패킹외단(240)과 패킹내단(241)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패킹지지단홈(2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외단(240)과 패킹내단(241)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패킹외단(240)과 패킹내단(241) 사이에는 상방이 개구된 패킹지지단홈(244)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패킹(24)에는, 상기 패킹지지단(221)의 상리브(221a)가 삽입되는 패킹리브홀(245)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패킹외단(240)과 패킹내단(241)의 하단은 패킹연결부(245a)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패킹연결부(245a)에는 상하로 관통된 패킹리브홀(2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내단(241)의 내면에는 내상단리브(246)와 내하단리브(247)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내단(241)의 내면 상단에는 내상단리브(246)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패킹내단(241)의 내면 하단에는 내하단리브(247)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킹외단(240)의 상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패킹에어홈(248)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패킹에어홈(248)도 공기의 유동을 위한 에어벤트(air vent)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패킹에어홈(248)도 상기 리브패킹(24)의 3곳 이상에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은 주전자의 물을 따를 때 공기 유동 통로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리브패킹(24)에 형성되는 패킹에어홈(248)은 상기 상커버(22)에 형성되는 에어유로(223) 및 에어가이드(223a)와 지지단에어홈(221b) 등과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형성위치가 서로 상이한 곳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상커버(22)에 리브패킹(24)을 조립할 때 상기 지지단에어홈(221b) 등과 패킹에어홈(248)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단에어홈(221b)과 에어유로(223) 등이 상기 패킹에어홈(248)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에도 상기 상커버(22)와 상기 리브패킹(24)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존재하므로, 상기 지지단에어홈(221b)과 에어유로(223)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패킹에어홈(248)으로 유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지지단에어홈(221b)과 에어유로(223) 등이 상기 패킹에어홈(248)의 위치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상커버(22)와 상기 리브패킹(24)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서는 바디(10) 내부의 물이 통과하지 못하고, 바디(10) 외부의 공기만 통과하여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것이므로 물의 유동은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동만 가능하게 하는 상기 에어벤트(air vent)의 역할이 더 효율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탈커버(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커버(23)의 하부를 감싸게 되며, 테두리부근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게 휘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탈커버(25)는 상기 하커버(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커버(23)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커버(25)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커버(25)를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메탈커버(25)가 바디(10) 내부에서 가열되는 물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위생을 고려한 것이며, 동시에 상기 뚜껑(20)이 외부로 노출될 때 보다 수려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메탈커버(25)의 테두리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2 이상의 메탈리브(2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메탈리브(252)는 상기 하커버(23)의 메탈리브홀(238)에 삽입되어 메탈커버(25)가 하커버(23)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메탈커버(25)의 메탈리브(252)는 상기 하커버(23)의 패킹리브홀(245)을 관통하여 하커버(23)의 테두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상기 작업홈(239)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탈커버(25)를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커버(23)에 밀착시키면, 상기 메탈커버(25)의 메탈리브(252)는 상기 하커버(23)의 패킹리브홀(245)을 관통하여 하커버(23)의 테두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작업자 등이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홈(239)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상기 메탈리브(252)를 내측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 상측으로 돌출된 메탈리브(252)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벤딩되면 상기 작업홈(239)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리브(252)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커버(23)의 상면에 밀착되면, 상기 메탈커버(25)는 상기 하커버(23)에 고정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이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뚜껑(20)을 상기 바디(10) 상단에 밀착시켜 닫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뚜껑(20)의 리브패킹(24)에 의해 상기 뚜껑(20)이 바디(10)에 밀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온오프 버튼을 눌러 상기 히터(5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물의 가열과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등의 조작으로 온도의 설정 및 조작의 지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두개 이상의 조작부(누름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3)의 감지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며,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
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커버(22)에 상기 리브패킹(24)을 끼운다. 상기 리브패킹(24)은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밀착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상커버(22)의 패킹지지단(221)은 상기 리브패킹(24)의 패킹지지단홈(244)에 수용되고, 상기 상커버(22)의 상리브(221a)는 상기 리브패킹(24)의 패킹리브홀(245)을 관통하여 리브패킹(24)의 하측으로 하단이 돌출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하커버(23)를 상기 상커버(22)의 하측에 밀착시켜 서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에 각각 형성되는 커버체결홀(224a)과 커버체결돌기(232a)에 의해 상기 하커버(23)는 상커버(2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커버(22)의 캡홈부(220)에 상기 커버캡(21)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체결볼트(250)를 상기 하커버(23)의 스크류홈(235a)에 삽입하여 체결볼트(250)를 상기 커버캡(21)에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커버(22)와 하커버(23) 및 커버캡(21)의 체결이 완료되며, 그 다음으로는 상기 하커버(23)의 수직테두리(232) 하단부에 상기 차단패킹(26)을 끼운다. 이때 상기 차단패킹(26)은 상기 하커버(23)의 패킹턱(232b)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는 상기 메탈커버(25)를 상기 하커버(23)의 하측으로부터 밀착시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커버(25)를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커버(23)에 밀착시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탈커버(25)의 메탈리브(252)는 상기 하커버(23)의 패킹리브홀(245)을 관통하여 하커버(23)의 테두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때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홈(239)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상기 메탈리브(252)를 내측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커버(23)의 테두리 상측으로 돌출된 메탈리브(252)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내측으로 벤딩되고, 메탈리브(252)는 상기 작업홈(239)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리브(252)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커버(23)의 상면에 밀착되면, 상기 메탈커버(25)는 상기 하커버(23)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뚜껑(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뚜껑(2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상기 바디(10)의 상방을 차폐하도록 바디(10)의 상단에 결합하면, 상기 바디(10)의 내부가 밀폐되어 내부의 음식물이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브패킹(24)에는 2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이중으로 상기 뚜껑(20)과 바디(10)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이 상기 바디(10)의 상단 내부에 밀착될 때에는 상기 외단하리브(243)가 중첩(절곡되어 겹쳐짐)되어 상기 바디(10)의 상단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뚜껑(20)이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뚜껑(20)은 상기 바디(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잡고 바디(10)를 기울여 내부의 물을 따르는 경우에도 상기 뚜껑(20)은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바디(10) 상부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커버(22) 및 하커버(23)의 틈새와 상기 리브패킹(24)의 패킹에어홈(248) 등과 같은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상기 바디(10)의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한 공기의 통로는 미세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10) 내부에서 물이 끓을 때에는 수증기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면서 자연스럽게 에어벤트(air vent)를 구성하는 홈 등의 틈새가 막혀 외부로의 증기 유출이 차단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물을 따르기 위해 상기 바디(10)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디(10) 내부의 진공 상태가 방지되어 상기 출수구(30)를 통해 물을 쉽게 따를 수 있게 된다.
도 2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전자 내부의 물을 따르기 위해 주전자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주전자 외부의 공기가 도 20의 화살표처럼 상기 리브패킹(24)의 패킹에어홈(248)과 상기 상커버(22)의 에어유로(223)와 지지단에어홈(221b) 등과 같은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패킹리브홀(245)과 하커버(23)의 하에어홈(237a) 등을 통해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바디(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물을 따르기 위해 상기 바디(10)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다수의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바디(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바디(10) 내부의 물을 쉽게 따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전기주전자 10.바디
11.아우터바디 12.이너바디
13.투시창 15.손잡이브라켓
20.뚜껑 21.캡
22.상커버 23.하커버
24.리브패킹 25.메탈커버
26.차단패킹 30.출수구
40.손잡이 41.핸들서포터
42.핸들커버 43.상편
44.커버브라켓 45.제어수단
46.메인피시비 46a.하커넥터
46b.연결커넥터 47.터치피시비
47a.상커넥터 48.터치부스터
49.엘이디커버 50. 히팅모듈
51.히터어셈블리 52.히팅플레이트
53.온도센서 54.히터
55.어퍼 전원 모듈 56.바컴커버
60.베이스 64.로어 전원 모듈
101.가열공간 102.틈새공간
111.손잡이홀 112.출수구홀
113.아우터홀 121.이너상단부
123.이너홀 124.센서홀
125.출수공 135. 투시창가스켓
151.부착부 152.체결부
153.연결부 210. 캡바디
212. 캡상편 220. 캡홈부
228. 회전방지돌기 222. 패킹압착리브
224. 커버체결부 231. 수평단부
232. 수직테두리 240. 패킹외단
241. 패팅내단 242. 외단상리브
243. 외단하리브 250.체결볼트
251.메탈베이스 401.그립부
402.손잡이캡 403.기둥후크홀
411.측벽프레임 411a.안착리브
412.기둥프레임 413.브라켓체결단
413a.브라켓체결홀 413b.보강리브
413c.스크류단 415.걸이단
415a.접합부 416.지지단홈
416a.작업홈 417.측벽후크홈
418.걸림리브홈 421.측편
422.기둥편 431.제1조작부
432.제2조작부 432a.절개선
433.투시홀 441.측부
442.기둥부 443.측벽후크
444.기둥후크 444a.수용부
444b.지지부 444c.가이드부
451.양면테이프 471.인디게이터기판
472.터치센서 473.터치기판
473a.기판누름부 473b.터치리브
473c.기판홀 475.보호기판
477.발광소자 481.터치전달부
481a.누름돌기 482.부스터홀
482a.연결리브 483.커버홈
484.중간홀 485.커버벽
485a.연결홈 486.커버후크
487.부스터지지단 487a.기판지지턱
488.걸림리브 491.개별커버
491a.베이스돔 491b.중간돔
491c.상단돔 492.커버대
493.커버연결부 494.엘이디홈
521.온도센서장착홀 531.센서패킹
561.바텀홀

Claims (21)

  1.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이 수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뚜껑과;
    상기 바디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바디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열을 가하는 히팅모듈과;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손으로 붙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는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는 패킹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 vent)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뚜껑의 테두리에 3곳 이상 등(等)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뚜껑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는 리브패킹과, 상기 뚜껑의 내부에 구비되어 뚜껑 내부로의 물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패킹에는 2 이상의 리브가 구비되어 이중으로 상기 뚜껑과 바디의 틈새를 차단하며, 상기 차단패킹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패킹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커버와;
    상기 상커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커버와 형합하는 하커버와;
    상기 상커버 또는 하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와 뚜껑 사이의 틈새를 밀페하는 위한 리브패킹과;
    상기 하커버의 하측에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메탈커버와;
    상기 메탈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커버와 메탈커버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상커버나 하커버 또는 리브패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air vent)는,
    상기 리브패킹과 상커버 또는 하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바디 외부의 공기가 바디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패킹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킹외단과, 상기 패킹외단의 내측에 이격 형성되는 패킹내단과, 상기 패킹외단의 외면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단상리브와, 상기 패킹외단의 외면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하단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외단의 상단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패킹에어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단하리브는,
    상기 외단상리브보다 상기 패킹외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와 하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커버체결돌기와 커버체결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패킹이 고정 지지되는 패킹지지단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이 수용되는 패킹지지단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의 상면을 압착 고정하는 패킹압착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압착리브는,
    상기 패킹지지단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패킹지지단의 상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리브패킹과 차단패킹의 내면을 밀착 지지하는 수직테두리가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테두리의 내면에는 상기 커버걸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테두리)의 외면에는 상기 차단패킹이 걸리는 패킹턱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패킹지지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상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리브패킹에는,
    상기 패킹지지단의 상리브가 삽입되는 패킹리브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패킹압착리브는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은 절개되어 패킹압착리브를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는 에어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압착리브와 패킹지지단 사이에는,
    상기 에어유로 형성을 위한 한 쌍의 에어가이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커버의 패킹지지단 외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지지단에어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에어홈은 상기 에어유로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상커버의 상리브가 삽입되는 하리브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리브홀의 일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하에어홈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KR1020200027782A 2020-03-05 2020-03-05 전기 주전자 KR20210112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82A KR20210112592A (ko) 2020-03-05 2020-03-05 전기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82A KR20210112592A (ko) 2020-03-05 2020-03-05 전기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92A true KR20210112592A (ko) 2021-09-15

Family

ID=7779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82A KR20210112592A (ko) 2020-03-05 2020-03-05 전기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5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0011A (zh) * 2022-06-18 2022-09-13 佛山市顺德区康雅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负压吸附的稳定型电热水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56B1 (ko)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20170074313A (ko) 2015-12-21 2017-06-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렌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56B1 (ko) 2014-05-29 2016-06-20 주식회사 오쿠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20170074313A (ko) 2015-12-21 2017-06-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렌더 및 스티머 겸용 전기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0011A (zh) * 2022-06-18 2022-09-13 佛山市顺德区康雅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负压吸附的稳定型电热水壶
CN115040011B (zh) * 2022-06-18 2023-10-13 佛山市顺德区康雅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负压吸附的稳定型电热水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1640B1 (en) Electric kettle
CN113347909B (zh) 电水壶
EP391544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7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8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6B1 (en) Electric kettle
KR20210112592A (ko) 전기 주전자
CN109984597B (zh) 一种液体加热器
KR20210112591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03851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7548A (ko) 전기 주전자
KR102573902B1 (ko) 전기 주전자
US20230060143A1 (en) Electric kettle
EP3714739B1 (en) Electric kettle
KR20230091353A (ko) 전기 주전자
KR20220072375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7549A (ko) 전기 주전자
KR20210094983A (ko) 전기 주전자
CN212165616U (zh) 装饰片、控制装置组件和烹饪器具
KR20210094984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4803A (ko) 전기 주전자
KR20230071495A (ko) 전기 주전자
CN217488597U (zh) 一种机门组件及洗碗机
CN219538125U (zh) 锅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