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959A -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 Google Patents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959A
KR20230041959A KR1020227042286A KR20227042286A KR20230041959A KR 20230041959 A KR20230041959 A KR 20230041959A KR 1020227042286 A KR1020227042286 A KR 1020227042286A KR 20227042286 A KR20227042286 A KR 20227042286A KR 20230041959 A KR20230041959 A KR 2023004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q
fibers
polystyrene
nonwoven fabric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샤 코스트룩스
그레고리 티. 디
마이클 오스트런더
존 데이비드 핀치
매튜 올슨
Original Assignee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디디피 스페셜티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4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2000 nm이고, 용량이 0.05 meq/g 내지 2.0 meq/g인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섬유.

Description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폰화를 통한 폴리스티렌 섬유의 작용화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Nitanan Todsapon, 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2014, 13(2), 191-197]에는 제어된 방출 약물 전달에서 사용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섬유의 설폰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에는 금속 이온의 제거를 위한 부직포 매트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설폰화된 섬유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2000 nm이고, 용량이 0.05 meq/g 내지 2.0 meq/g인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중량%)이고, 모든 온도는 ℃ 단위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평균은 산술 평균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작업은 실온(18 내지 25℃)에서 수행된다. 용량은 먼저 산 부위를 4.0 M NaNO3 수용액과 교환하고, 이어서 생성된 산성화 용액을 Mettler Toledo T90 자동 적정기에 의해 0.1M NaOH로 적정함으로써 측정되거나, 설폰화 반응의 질량 균형에 의해 계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은 고열 결정질 폴리스티렌이고,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가공에서 허용가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의 평균 직경은 적어도 480 n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n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20 nm; 바람직하게는 175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75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 n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기술(Hybrid Membrane Technology, HMT)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7618579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비양성자성 용매 중의 폴리스티렌 용액으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한 용매는 실온에서 폴리스티렌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 에틸 케톤, 디클로로메탄 및 톨루엔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은 섬유 특성이 달라지도록 공지된 기술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전기블로잉(electroblowing)을 통해 가공되어, 부직포 섬유 매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 중의 폴리스티렌의 농도는 1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7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은 단일 구멍 또는 다중 구멍 전기블로잉 장치 상에서 가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회전 드럼 상으로 방적된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설폰화 전에 폴리스티렌을 가교결합할 수 있는 가교결합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한 가교결합제는 알데하이드 및 디알데하이드, 바람직하게는 포름알데하이드/황산 또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황산, 바람직하게는 포름알데하이드/황산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분자의 적어도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4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중량%는 가교결합을 함유한다. 가교결합되는 폴리스티렌 분자의 중량%는 디클로로에탄에 섬유를 침지시키고, 가교결합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분자인 불용성 물질을 칭량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2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5℃;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의 온도에서 가교결합제로 처리된다. 시간 및 온도 둘 모두는 원하는 가교결합 등급을 생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제로 처리하는 것은 상기 주어진 조건 하에서 촉매 없이 수행된다. 촉매가 사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Ag2SO4), 주어진 온도에서 시간은 훨씬 단축될 것이고,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제로 처리하여 생성된 섬유는 이들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중량%(나머지 적어도 95 중량% 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4 중량% 설폰화제와 접촉시킴으로써 설폰화된다. 설폰화제는 방향족 고리를 설폰화할 수 있는 시약이다. 바람직한 설폰화제에는 황산, 클로로설폰산 및 발연 황산(oleum)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황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는 3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시간 및 온도 둘 모두는 원하는 용량을 생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6시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용량이 0.4 meq/g 내지 2.0 meq/g 또는 그 안에 함유된 임의의 원하는 범위인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섬유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진한 황산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는 상기 주어진 조건 하에서 촉매 없이 수행된다. 촉매가 사용되는 경우(예를 들어, Ag2SO4, 아세트산 무수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주어진 온도에서 시간은 훨씬 단축될 것이고,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된 부직포의 용량은 적어도 0.2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5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0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5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60 meq/g,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65 meq/g; 바람직하게는 1.8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6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4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meq/g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meq/g 이하이다.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숫자 뒤의 "C"(예를 들어, 30C)는 ℃ 단위의 온도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섬유 제조:
Aldrich로부터 얻은 PS 685 D 등급의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폴리스티렌(PS) 용액을 제조하였다.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였다. 21 내지 25 중량% 범위의 농도를 갖는 용액을 이용하였다. 샘플 용액을 단일 구멍 전기블로잉 장치 상으로 방적하였다. 섬유를 회전 드럼 상으로 방적하고, 샘플 부직포를 실행 후 드럼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용액을 기준으로 0.1 중량% 염이 첨가된 21 중량% 용액으로부터 전형적인 샘플을 제조하였다. 전형적인 평량은 60 내지 100 gsm으로 다양하였다. 방사 팩과 드럼 수집기 사이의 전형적인 거리는 33 cm였다. 인가된 전형적인 전압은 100 kV였다. 전형적인 방사 셀 온도는 30C였다. 전형적인 샘플의 평균 흐름 유동점은 1 마이크론이었다.
황산 및 포르말린으로 처리
나노섬유 멤브레인(1700 nm 평균 섬유 직경)을 시약 등급의 진한 황산과 포르말린(37 중량% 포름알데하이드)의 혼합물, 전형적으로 90:10 황산: 포르말린(V/V)을 담고 있는 욕으로 침지시킨다. 욕을 전형적으로 3시간 동안 70C까지 가열하고, 60 내지 120 rpm으로 회전 진탕기 상에서 약하게 진탕한다. 다음으로, 욕을 <50C까지 냉각시키고, 반응 유체의 상층을 분리하고, 멤브레인을 50% 황산으로 서서히 수화시키고, 멤브레인을 순수한 DI 수로 점차적으로 희석시킨다.
설폰화
황산/포르말린으로 처리한 후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진한 황산(전형적으로 96%)에 침지시킨 후 회전 상에서 진탕하면서 0 내지 8시간 동안 90C까지 가열한다. 다음으로, 욕을 <50C까지 냉각시키고, 반응 유체의 상층을 분리하고, 멤브레인을 50% 황산으로 서서히 수화시키고, 이어서 순수한 DI 수로 점차적으로 희석시킨다.
Figure pct00001
PS 멤브레인 및 AmberTec TMUP1400 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금속 잔여물을 세척한다:
47 mm 디스크 부직포 PS 멤브레인(평균 섬유 직경: 1718 nm, 용량: 0.67 meq/g), UP1400 수지(강산 양이온 교환) (d = 4 cm, h = 6 cm)
시약: 저 금속 수준 HCl
체적 유량: 멤브레인에 대해 6.9 ml/분, 이온 교환 수지에 대해 5 ml/분.
부직포 PS 멤브레인의 금속 함량은 210분 안에 9.76 ppb로 감소하고, 이 시점에서 수지는 여전히 20.26 ppb의 금속 함량을 가졌다.
HCl 세척 후, 매질을 DI 수를 사용하여 적어도 pH > 5까지 추가로 세정한다.
PS 멤브레인 및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스파이크된 용매로부터 금속의 제거
각각 100 ppb의 Al, Ca, Cr, Cu, Fe, Mg, Mn, Ni, K, Na, Sn, Ti 및 Zn으로 스파이크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를 UP1400 수지 및 47 mm PS 디스크로 패킹된 4 cm x 6 cm (D x h) 컬럼을 통해 통과시키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HCl 및 DI 수로 세척하였다. 체적 유량: 멤브레인에 대해 6.9 ml/분, 이온 교환 수지에 대해 5 ml/분. 수지 상에서의 체류 시간은 15분인 반면, PS 멤브레인 디스크에서의 체류 시간은 3.5초이다. 초기 수지 상 유출물 중의 전체 금속 함량은 512.7 ppb였고, 멤브레인 디스크 유출물 중의 전체 금속은 823.4 ppb였다. 멤브레인 디스크는 3.5초의 최초 체류 시간에서 초기 금속의 96%를 제거한 반면, 이온 교환 수지는 15분의 최초 체류 시간에서 초기 금속의 94%를 제거한다.

Claims (10)

  1.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2000 nm이고, 용량이 0.05 meq/g 내지 2.0 meq/g인 섬유를 포함하는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용량이 0.4 내지 1.5 meq/g인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1750 nm인, 부직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분자의 적어도 90 중량%는 가교결합을 함유하는, 부직포.
  5.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
    a)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2000 nm인 폴리스티렌 부직포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스티렌 섬유를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가교결합제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단계 b)의 생성물을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적어도 90 중량%의 황산과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1750 nm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 c)를, 용량이 0.4 meq/g 내지 2.0 meq/g인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섬유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결합제는 황산 및 알데하이드 또는 디알데하이드이고,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섬유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단계 b)를 수행하며, 상기 섬유의 적어도 90 중량%는 가교결합을 함유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 c)를, 용량이 0.4 meq/g 내지 1.5 meq/g인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섬유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10. 액체로부터 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를, 평균 직경이 450 nm 내지 2000 nm이고 용량이 0.05 meq/g 내지 2.0 meq/g인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부직포와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42286A 2020-05-11 2021-05-03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KR20230041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2718P 2020-05-11 2020-05-11
US63/022,718 2020-05-11
PCT/US2021/030406 WO2021231114A1 (en) 2020-05-11 2021-05-03 Sulfonated polystyrene nonwov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959A true KR20230041959A (ko) 2023-03-27

Family

ID=7601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86A KR20230041959A (ko) 2020-05-11 2021-05-03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50143A1 (ko)
JP (1) JP2023526197A (ko)
KR (1) KR20230041959A (ko)
CN (1) CN115702268A (ko)
WO (1) WO20212311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3722A (en) * 1987-11-17 1993-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king a separator material for a storage battery
TW288051B (ko) * 1994-11-22 1996-10-11 Ebara Corp
KR100549140B1 (ko) * 2002-03-26 2006-02-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한 초극세 나노섬유 웹제조방법
EP2033324B1 (en) * 2006-05-24 2016-04-13 Ben 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Membran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8883012B2 (en) * 2007-01-19 2014-11-11 Purolite Corporation Reduced fouling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KR20080090079A (ko) * 2007-04-04 2008-10-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성 이온교환 촉매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JP5062630B2 (ja) * 2008-05-14 2012-10-31 栗田工業株式会社 複合繊維体、その製造方法、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方法
KR100992557B1 (ko) * 2008-08-30 2010-1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기 폴리스틸렌과 반응형 아크릴산 수지를 이용한 이온선택성 나노섬유 구조체 제조방법
JP5867828B2 (ja) * 2011-04-28 2016-02-2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複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96959B2 (en) * 2012-02-22 2015-08-04 Ut-Battelle, Llc Method for production of carbon nanofiber mat or carbon paper
WO2014126575A1 (en) * 2013-02-14 2014-08-21 Nanofiber Separations, Llc Multi-chip module with a compressible structure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chips in the module
KR101628899B1 (ko) * 2013-05-22 2016-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술폰화된 나노 섬유 웹을 이용한 액체처리 케미컬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6256443B2 (ja) * 2015-09-30 2018-01-10 栗田工業株式会社 製品洗浄方法
CN109647534A (zh) * 2018-12-18 2019-04-19 辽宁石油化工大学 一种NiB/PANI纳米纤维催化剂的制备方法及其在硼氢化钠水解制氢中的应用
CN109898322A (zh) * 2019-03-15 2019-06-18 天津工业大学 一种磺化非织造布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6197A (ja) 2023-06-21
EP4150143A1 (en) 2023-03-22
WO2021231114A1 (en) 2021-11-18
CN115702268A (zh)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8949B (zh) 一种用于去除水体污染物的聚合物多孔膜的制备方法
KR20230041959A (ko) 설폰화된 폴리스티렌 부직포
JPS5891732A (ja) ポリフツ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膜及びその製法
JPS5831204B2 (ja) ポリスルホン半透膜
US20240141566A1 (en) Sulfonated polystyrene nonwoven
CN107206321A (zh) 用铜浸渍的过滤器
EP0044872A1 (en) Process for selectively separating water-soluble valuable materials from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ame
CN112387132A (zh) 一种基于多尺度纤维素纳米纤维油水分离膜的制备方法
KR100581206B1 (ko)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과 그 제조방법
JP4878415B2 (ja) 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方法
JP3805634B2 (ja) 多孔質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0341B2 (ja) 血球除去用吸着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5060B2 (ja) ポリスルホン系血液処理膜
LakshmiD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PU/Cpsf Blend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Removal of Heavy Metal Ion Rejection Studies
US20170253999A1 (en) Fiber for protein adsorption and column for protein adsorption
NO147190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fibre som inneholder kompleksdannere i okkludert form
CN101596416A (zh) 用于血液浓缩的共混聚偏氟乙烯中空纤维膜的制备
US4409162A (en) Process for producing acrylonitrile separation membranes in fibrous form
JPS5836090B2 (ja) ポリ(2,6−ジフェニル−1,4−フェニレンオキシド)の湿式紡糸法
JPS63258603A (ja) 芳香族重合体膜
JPH08208878A (ja) 多孔質膜とその製造方法
JPS5929198B2 (ja) 蛋白質の捕集法
JPH041015B2 (ko)
JPH02289628A (ja) 極細イオン交換繊維およびその製法
JPS5820319B2 (ja) 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