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000A -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000A
KR20230039000A KR1020210121802A KR20210121802A KR20230039000A KR 20230039000 A KR20230039000 A KR 20230039000A KR 1020210121802 A KR1020210121802 A KR 1020210121802A KR 20210121802 A KR20210121802 A KR 20210121802A KR 20230039000 A KR20230039000 A KR 2023003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ight
elevator
floor number
optical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호
김형섭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000A/ko
Publication of KR2023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17/943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emitters or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 승강장에는 승객이 목적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입력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 내에는 탑승객이 도어의 개폐 및 목적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소정 버튼조작을 행하도록 도어 개폐버튼 및 행선층 입력버튼을 구비하는 호출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호출 입력수단의 경우, 도어 개폐버튼 및 행선층 입력 버튼은 일반적으로 누름 버튼 방식이 적용되며,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해당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가압 조작이 아닌 터치 방식의 입력 버튼 또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출 입력 수단은 행선층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해야 하는 등 입력 버튼에 손가락이 접촉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 버튼의 표면에는 많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다양한 이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묻어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입력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기를 꺼려하여 우산 등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입력 버튼을 누르는 등 입력 버튼의 청결 상태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입력 버튼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 방식의 층수 입력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들은 입력 버튼이 장착된 부위에 별도의 접근 감지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접근 감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입력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좋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22979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입력 버튼에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층수 입력 모듈;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층수 입력 모듈은 상기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실내 공간에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입력 버튼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 이격된 가상 평면을 따라 상기 입력 버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버튼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센서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버튼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입력 버튼에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층수 입력 모듈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상호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오작동 방지에 대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층수 입력 모듈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상호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오작동 방지에 대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100) 내부에 장착되며 비접촉 방식으로 층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층수 입력 모듈(200)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과, 카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120)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110)과,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130)을 통해 측벽을 이루고, 이러한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이 배치된다.
층수 입력 모듈(200)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층수 입력 모듈(200)은 일반적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에 설치되며, 측면 패널 등에도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카 제어부(400)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카 제어부(400)는 생성한 입력 신호를 중앙 제어부(600)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600)는 구동부(50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층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층수 입력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는데, 이때,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수 입력 모듈(200)이 전방 패널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이 배치된 전방 패널(110)의 우측과 인접한 좌측면 패널(130)에 배치된다.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입력 버튼(210)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d) 이격된 가상 평면(P)을 따라 입력 버튼(2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310)를 포함한다.
광센서(310)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센서 케이스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모두 내장되는 일체형 센서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센서(310)는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입력 버튼(210)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
층수 입력 모듈(200)의 복수개 입력 버튼(210)은 하나의 평판형 지지판(220)에 열과 행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개의 광센서(310)는 하나의 센서 모듈 하우징(300)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복수개의 광센서(310)에 의한 검사광은 전술한 가상 평면(P)을 따라 입력 버튼(2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 버튼(210)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 및 제2열을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센서(310)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입력 버튼(210)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된다.
카 제어부(400)는 복수개의 광센서(310)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310)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310)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카 제어부(400)는 광센서(310)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310)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에 대해 하나의 검사광을 조사하도록 하나의 광센서(310)가 적용된다고 할 때, 하나의 광센서(310)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존재하므로, 검사광을 조사하고 외부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한다. 카 제어부(400)는 광센서(310)에 다시 돌아오는 반사광의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여 이를 기초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열 아래에서 3번째 입력 버튼(210)(B13)을 향해 접근하면, 아래에서 3번째 광센서(310)에서 조사한 검사광이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3번째 광센서(310)에 입사된다. 이 경우, 3번째 광센서(310)에서 수광하는 반사광의 수광 시간이 평상시와는 다르게 변화(더 짧게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된 수광 시간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정보는 미리 실험 결과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놓을 수 있다.
손가락이 제2열 아래에서 2번째 입력 버튼(210)(B22)을 향해 접근하는 경우, 해당 광센서(310)(아래에서 2번째 광센서(310))에서 반사광의 수광 시간 또한 변화하게 되는데, 입력 버튼(210)의 제1열과 제2열의 위치는 광센서(310)로부터 서로 상이하므로, 광센서(310)의 반사광 수광 시간 또한 제1열과 제2열의 입력 버튼(210)에 대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제1열의 입력 버튼(210)에 손가락이 접근하면,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T1이고, 제2열의 입력 버튼(210)에 손가락이 접근하면,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은 상대적으로 긴 T2이다. 이러한 T1,T2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해놓고, 특정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 변화시 해당 광센서(310)의 변화된 수광 시간과 저장장치의 정보를 매칭시켜 손가락의 접근 위치가 제1열인지 제2열인지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가 상하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입력 버튼(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 접근시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 손가락 접근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광센서(310)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과 동일한 개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센싱 정확도 등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며 입력 버튼(210)의 개수보다 더욱 많은 개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210)을 접촉하거나 가압하지 않고 단순히 목표 입력 버튼(210)을 향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에 의해 손가락의 접근을 감지하고, 카 제어부(400)는 손가락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을 연산 산출하고,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200)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층수 입력 모듈(200)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튼(210)은 비접촉 방식으로도 작동함은 물론 종래 방식인 가압 방식으로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시각 장애인 등 비접촉 방식으로는 입력 버튼(210)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는 경우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시각 장애인 등이 점자를 이용하여 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210)을 누르는 경우, 카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시각 장애인의 행동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누름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 제어부(400)는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310)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310)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310)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310)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310)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은 입력 버튼(210)의 점자 확인을 위해 손가락으로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을 만지게 되는데, 이 경우, 손가락이 입력 버튼(210)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에 의해 접근 상태가 감지된다. 일반적인 경우, 손가락 하나만 특정 입력 버튼(210)을 향해 접근하게 되므로,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1개이지만, 시각 장애인의 경우,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가 상하 연속 배치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2개 이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광센서(310)를 기초로 판단한 입력 버튼(210)에 대해서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서만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동작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구성을 통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200)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전술한 제어 방식을 통해 입력 신호의 생성이 방지되므로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엘리베이터 카
110: 전방 패널
130: 측면 패널
200: 층수 입력 모듈
210: 입력 버튼
300: 접근 감지 센싱 모듈
310: 광센서
400: 카 제어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층수 입력 모듈;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층수 입력 모듈은 상기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실내 공간에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입력 버튼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 이격된 가상 평면을 따라 상기 입력 버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센서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버튼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KR1020210121802A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KR20230039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00A true KR20230039000A (ko) 2023-03-21

Family

ID=8580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91B1 (ko) 2020-09-22 2021-03-22 주식회사 알엔디플러스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터치장치 및 그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91B1 (ko) 2020-09-22 2021-03-22 주식회사 알엔디플러스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터치장치 및 그 설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US11738970B2 (en) * 2020-06-30 2023-08-29 Upward Technology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5160B1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KR102136737B1 (ko)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
JP2013124166A (ja) エレベータ
KR101592060B1 (ko)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JP2021195217A (ja) エレベータ用操作盤
KR102229791B1 (ko) 비접촉식 엘리베이터 터치장치 및 그 설정방법
KR20230039000A (ko)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JP2022156181A (ja) 操作ボタンスイッチ、操作装置、エレベータおよび自動運転車両
JP7044190B1 (ja) エレベータ
JP2005263378A (ja) エレベータの登録ボタン
JP2020067668A (ja) 入力システム
KR200700902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터치 패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7573A (ko) 레이저를 이용한 비접촉식 버튼 입력 장치
JP7480067B2 (ja) 操作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EP4009525B1 (en) Sensor button with gesture control
JP2022120597A (ja) 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及び該エレベータ用操作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7173237B1 (ja) エレベータ
KR20080014120A (ko) 광스위치와 연동된 접촉식 엘리베이터 버튼
JP724412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ボタンとそのタッチフリー誘導方法
KR20210156143A (ko) 손동작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입력장치
KR102418599B1 (ko) 홀로그램 엘리베이터
US20220177267A1 (en) User input devices
CN211920512U (zh) 带有无感染按键功能的电梯
CN114735554B (zh) 操作装置以及电梯
JP7211480B1 (ja) エレベーターの操作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