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59A -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459A
KR20230006459A KR1020227034837A KR20227034837A KR20230006459A KR 20230006459 A KR20230006459 A KR 20230006459A KR 1020227034837 A KR1020227034837 A KR 1020227034837A KR 20227034837 A KR20227034837 A KR 20227034837A KR 20230006459 A KR20230006459 A KR 2023000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film
fine particles
film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하타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하는 층(a)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 및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b)을 갖고, 상기 층(b)은,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있고, 두께가 1 μm 이상 5 μm 이하이고, 상기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이 0.10 μm 이상 0.80 μm 이하이고, 상기 미립자 C의 상기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적층 필름.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와,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1, 2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또는 노르보르넨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노르보르넨 수지에 더하여, 미립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4999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816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11394호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갖는 편광판은, 고온 또는 고습도의 분위기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도의 현저한 저하,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분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가수 분해에서 기인하는 투명성의 저하 등, 성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성능의 저하를 저감하기 위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대신에 지환식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면, 필름의 미끄러짐성이 충분하지는 않은 경우가 있다. 미끄러짐성이 충분하지 않은 편광자 보호 필름은, 핸들링성이 부족하여, 반송이나 보존 등의 목적을 위하여 롤에 권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3에서는,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환식 폴리올레핀 수지와 소정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층을 표면에 구비하는 적층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길이가 2000 m를 초과하는 장척의 적층 필름을 롤의 형태로 한 경우에는, 권심 부근에는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가 있어, 권심 부근에 블로킹이 발생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3의 적층 필름은, 큰 하중을 건 경우의 미끄러짐성이 충분하지는 않았다.
한편, 적층 필름을 반송할 때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층 필름의 충격 강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큰 하중을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성이 우수하고, 충격 강도가 높은 적층 필름; 및, 당해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a)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와 미립자를 포함하는 층(b)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미립자의 수평균 입자경, 미립자의 중량 비율, 및 층(b)의 두께가, 소정의 범위인 적층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하는 층(a)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 및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b)을 갖고,
상기 층(b)은,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있고, 두께가 1 μm 이상 5 μm 이하이고,
상기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이 0.10 μm 이상 0.80 μm 이하이고,
상기 층(b)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자 C의 상기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적층 필름.
[2] 상기 미립자 C가,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인,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 상기 미립자 C가,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미립자인,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4] 상기 수지 B의 굴절률 nb와, 상기 미립자 C의 굴절률 nc가, 하기 식(1)을 만족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nb - nc| ≤ 0.03 (1)
[5] 상기 미립자 C가, 실리카의 미립자인,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6] 상기 층(a)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
[7]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과, 상기 적층 필름 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큰 하중을 걸었을 때의 미끄러짐성이 우수하고, 충격 강도가 높은 적층 필름; 및, 당해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이란, 폭에 대하여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0배 혹은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한다. 필름의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폭에 대하여 10만배 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의 경사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면내 방향으로서, 그 필름의 길이 방향과 평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문언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의 문언은,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1. 적층 필름의 개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하는 층(a)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 및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b)을 갖는다. 적층 필름은, 층(a) 및 층(b) 외에, 임의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단, 층(b)은, 적층 필름의 가장 표면에 배치되고, 층(b)은 적층 필름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층(b)이 적층 필름의 최표면에 있음으로써, 적층 필름이 우수한 미끄러짐성을 구비할 수 있다.
[1.1. 층(a)]
층(a)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한다. 층(a)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내열성 및 내습성을 높일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란, 주쇄 및/또는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말한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로는, 적층 필름의 기계 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는, 예를 들어, 포화 지환 탄화수소(시클로알칸) 구조, 불포화 지환 탄화수소(시클로알켄, 시클로알킨)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 강도 및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시클로알칸 구조 및 시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시클로알칸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 4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고, 통상 3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고도로 밸런스되어 호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에서 차지하는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적층 필름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100 중량% 중에서 차지하는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고, 통상 100 중량% 이하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에서 차지하는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적층 필름의 투명성 및 내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은, 투명성과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호적하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개환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부가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1302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의 구체예로는, 니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JSR사 제조 「아톤」; TOPAS ADVANCED POLYMERS사 제조 「TOPAS」를 들 수 있다.
수지 A는, 1종류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수지 A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임의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이점을 현저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임의의 중합체의 양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중합체의 구체적인 양은 적층 필름의 용도나 두께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A의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임의의 중합체의 비율은,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통상 0 중량부 이상이고, 0 중량부여도 된다. 수지 A는, 임의의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A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상술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임의 성분의 예로는,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근적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활제, 가소제 등의 수지 개질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대전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수지 A는, 임의 성분을 1종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수지 A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성분(상기 임의의 중합체, 및 그 밖의 임의 성분)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바람직한 비율은 적층 필름의 용도나 두께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A의 100 중량부에 대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성분의 비율은,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통상 0 중량부 이상이고, 0 중량부여도 된다.
층(a)은, 수지 A 이외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이 자외선에 대한 내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 등의 광학 필름으로서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 및 이 적층 필름에 의해 보호되는 편광자 등의 보호 대상을, 자외선에 의한 열화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 하이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이 사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로는,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비스(2-하이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1종류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층(a)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수지 A 및 자외선 흡수제를 공급해 혼련하여, 층(a)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층(a)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3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이다. 자외선 흡수제의 중량 비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 불량에 의해 적층 필름에 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적층 필름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층(a)의 두께는, 적층 필름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층(a)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μm 이상 99 μm 이하로 할 수 있다.
[1.2. 층(b)]
층(b)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 및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이다. 층(b)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를 포함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의 내열성 및 내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상은, 층(b)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를 포함함으로써 층(a)과의 친화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층(a)과 층(b)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수지 B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는, 수지 A에 포함될 수 있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 및 바람직한 예와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수지 A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와, 수지 B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수지 B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임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임의 성분의 예로는, 수지 A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 성분과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수지 B는, 임의 성분을 1종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수지 B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이외의 임의 성분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 성분의 구체적인 양은 적층 필름의 용도나 두께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B의 100 중량부에 대한 임의 성분의 비율은,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통상 0 중량부 이상이고, 0 중량부여도 된다.
미립자 C는, 무기 입자여도 되고, 유기 입자여도 되며, 무기 재료 및 유기 재료를 조합한 복합 입자여도 된다. 미립자 C는,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립자 C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입자이고, 미립자의 굴절률 조정을 용이하게 하여, 입도 분포의 확대를 좁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의 미립자이다.
미립자 C를 구성할 수 있는 유기 중합체의 예로는,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 및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굴절률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미립자 C는,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와 가까운 굴절률을 갖는 미립자로 하는 관점에서, 미립자 C는, 바람직하게는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미립자이다.
상기와 같이, 미립자 C는,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여도 된다. 여기서,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란, 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 및 가교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가교성 단량체의 예로는, 1 분자당 2 이상의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현탁 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 스티렌, 및 가교성 단량체의 중량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로는, 여러 가지 평균 입자경의 미립자가 시판되어, 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립자의 시판품의 예로는,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테크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립자 C는,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미립자여도 된다. 여기서,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란,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가 가교된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의 예 및 바람직한 예,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의 바람직한 범위,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반복 단위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수지 A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에 대하여 설명한 예 및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미립자 C를,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미립자로 함으로써, 미립자 C의 굴절률을 층(b)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의 굴절률과 가까운 것으로 하여,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효과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계 가교 중합체, 단환의 고리형 올레핀계 가교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가교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가교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가교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은, 투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호적하다.
노르보르넨계 가교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단위의 가교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이것과 공중합할 수 있는 임의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가교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여도 되고, 부가 공중합체여도 된다.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를, 가교제 존재 하에서 현탁 중합시킴으로써 가교시킨 입자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가교제 존재 하에서 가교시킨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 C는, 무기 입자여도 된다. 무기 입자의 예로는, 실리카 입자, 합성 제올라이트 입자, 및 유리 입자를 들 수 있다.
입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관점에서, 미립자 C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의 미립자이다.
실리카의 미립자로는, 여러 가지 평균 입자경의 미립자가 시판되어, 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품의 예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QSG」 시리즈, 닛폰 촉매사 제조 「시호스타」 시리즈, 애드마텍스사 제조 「애드마나노」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은, 통상 0.10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0.20 μm 이상이고, 통상 0.80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0 μm 이하이다. 수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적층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B와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용융물을, 폴리머 필터에 통과시킨 경우에, 폴리머 필터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적층 필름의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미립자 C가 유기 입자인 경우,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8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μm 이하이다.
미립자 C가 무기 입자인 경우,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μm 이하이다.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미립자 C는, 입자경이 1 μm 이상인 조대 입자의 체적 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지 B와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용융물을, 폴리머 필터에 통과시킨 경우에, 폴리머 필터의 막힘을 보다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적층 필름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다. 미립자 C에 있어서의, 입자경이 1 μm 이상인 조대 입자의 체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고, 통상 0% 이상이며, 0%가 바람직하지만, 0.01% 이상이어도 된다. 조대 입자의 비율의 계산상, 조대 입자의 입자경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mm 이하로 할 수 있다. 단, 통상의 제조에 있어서 입자경이 1 mm 초과인 입자는 완전히 제거되므로, 1 mm 초과인 입자를 계산에 포함시켰다고 해도, 조대 입자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술한 값과 동일하다.
미립자 C에 있어서의 상기 조대 입자의 체적 비율은, 미립자 C를 체질 등에 의해 분급하여 조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수지 B의 굴절률 nb 및 미립자 C의 굴절률 nc는, 하기 식(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 nc| ≤ 0.03 (1)
굴절률 nb 및 굴절률 nc가, 상기 식(1)을 만족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nb - nc|의 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며, 통상 0 이상이고, 이상적으로는 0이지만, 0.005 이상이어도 된다.
굴절률은, 파장 589 nm의 광에 대하여, 실시예 기재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nb - nc|의 값은, 예를 들어, 미립자 C를 유기 중합체의 미립자로 하고, 유기 중합체의 원료의 종류나 양 등을 조정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중합체의 원료로서, 수지 B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원료와 공통되는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nb - nc|의 값을 작게 할 수 있다.
층(b)에 있어서, 미립자 C의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은, 통상 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이상이고, 통상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하이다.
미립자 C의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적층 필름이 길이 2000 m를 초과하는 장척의 필름으로서, 롤로 하였을 때에 권심의 부근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것인 경우에는, 필름의 미끄러짐성이 부족하여, 권심 부근에서 블로킹이 발생하여, 스크래치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미립자 C의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층(b)의 표면 거칠기가 적당한 것이 되어, 적층 필름의 외부 헤이즈의 상승이 억제된다. 그 결과, 적층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한 경우에,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 필름에 하드 코트층 등의 임의의 추가의 층을 적층할 때에, 층(b)과 추가의 층의 밀착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미립자 C의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제조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층(b)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를 제조할 때에, 미립자 C의 수지 B에 대한 분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층(b)은, 수지 B 및 미립자 C 외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층(b)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수지 B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이고, 통상 0 중량부 이상이며, 0 중량부여도 되고, 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층(b)의 두께는, 통상 1 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μm 이상이고, 통상 5 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3 μm 이하이다.
층(b)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예를 들어 공압출법 등의 압출 성형에 의해 층(b)을 성형할 때에, 두께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층(b)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b)의 미끄러짐성과 층(b)의 강도 저하가 밸런스되어, 적층 필름의 강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적층 필름을 반송할 때에, 적층 필름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적층 필름의 핸들링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 필름이 복수층의 층(b)을 갖는 경우, 각각의 층(b)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b)의 두께의, 층(a)의 두께에 대한 비(층(b)의 두께/층(a)의 두께)는 0.32 이하가 바람직하고, 0.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1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적층 필름의 강도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는 0.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0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적층 필름의 두께 제어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층 필름이 복수층의 층(b)을 갖는 경우, 각각의 층(b)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1.3. 적층 필름의 층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층(a)과 층(b)을 갖는다. 적층 필름은, 층(a) 및 층(b)의 2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층 필름은 층(a) 및 층(b) 외에, 임의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임의의 층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임의의 층이 2층 이상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층은, 두께, 재료 등이 동일한 층이어도 되고, 다른 층이어도 된다. 또한,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층(b)이 배치되어 있는 한, 임의의 층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을 박형화하는 관점에서, 적층 필름은, 층(a) 및 층(b) 이외의 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은, 층(b)을 2개 갖고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이 2개의 층(b)을 갖는 경우, 통상 적층 필름은, 층(b), 층(a), 및 층(b)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 필름으로, 통상 층(b)은, 적층 필름의 양방의 표면에 배치되어, 2개의 층(b)의 각각이, 적층 필름의 양방의 표면의 각각에 노출되어 있다.
적층 필름은, 층(a)이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자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하고, 미끄러짐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층(b)을 2개 갖고, 제1 층(b), 층(a), 및 제2 층(b)을 이 순서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이 층(b)을 2개 갖는 경우, 2개의 층(b)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어도 되고,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지만 두께가 달라도 되며, 성분의 종류, 성분의 중량비 등이 다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이 층(b)을 2개 갖는 경우,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적층 필름의 컬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층(b)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적층 필름은, 층(a)을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이 층(a)을 복수 갖는 경우, 복수의 층(a)은 각각, 성분의 종류, 성분의 중량비 등이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0)은, 층(a)(110)과, 층(a)의 일방의 면(110U)과 접하도록 배치된 층(b)(120)을 구비한다. 층(b)(120)은, 적층 필름(100)의 가장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 층(b)(120)의 면(120U)이 노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200)은, 층(b)(221)과, 층(a)(210)과, 층(b)(222)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층(b)(221)은, 층(a)(210)의 일방의 면(210U)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층(b)(222)은, 층(a)(210)의 다른 일방의 면(210D)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층(b)(221) 및 층(b)(222)은, 각각 적층 필름(200)의 가장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 층(b)(221)의 면(221U) 및 층(b)(222)의 면(222D)이 노출되어 있다.
[1.4. 적층 필름의 두께, 길이, 물성]
(두께)
적층 필름의 두께는, 임의의 두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상 10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상 80 μm 이하로 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층(a) 및 층(b)을 포함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내열성 및 내습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적층 필름의 두께를 상기 범위와 같이 얇게 해도, 적층 필름의 내열성 및 내습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길이)
적층 필름은, 매엽이어도 되고, 장척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은, 권심 부근에서의 블로킹의 발생, 스크래치 등의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장척이며, 롤의 형태이다. 적층 필름이 장척인 경우, 적층 필름의 길이는, 2000 m를 초과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은, 이와 같이 장척의 필름을 권회하여 롤의 형태로 한 경우라도, 상기와 같이 권심 부근에서의 블로킹의 발생, 스크래치 등의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자외선 투과율)
적층 필름은,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은, 파장 380 nm의 자외선의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고, 통상 0% 이상이며, 0%여도 된다. 자외선 투과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인 적층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특히,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구성 요소, 편광자 등)의 보호 필름으로서 호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층의 어느 하나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적층 필름의 자외선 투과율을 저감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층 중, 층(a)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층(b)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층(a) 및 층(b)의 양방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층(a) 및 층(b)의 어느 것도 아닌 임의의 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적층 필름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필름인 경우, 층(a)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층(b)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러짐성: 정마찰 계수)
적층 필름은, 우수한 미끄러짐성을 구비한다. 미끄러짐성은,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K7125에 준거하고, 하중을 1 kg으로 하여 적층 필름의 정마찰 계수를 구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정마찰 계수가,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하중 1 kg으로서 측정된 적층 필름의 정마찰 계수가, 상기 하한값 이상임으로써, 적층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적당한 것으로 하여, 적층 필름의 권취시의 핸들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중 1 kg으로서 측정된 적층 필름의 정마찰 계수가, 상기 상한값 이하임으로써, 적층 필름이 길이 2000 m를 초과하는 장척의 필름과 같이, 롤로 하였을 때에 권심의 부근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것이라도, 권심 부근에서의 블로킹을 저감하여, 스크래치 등의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내부 헤이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내부 헤이즈가 낮다.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0.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고, 통상 0.0% 이상이며, 이상적으로는 0.0%이다.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가 낮음으로써, 적층 필름을, 세밀한 표시 성능이 요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실시예의 항목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충격 강도: 50% 파괴 에너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충격 강도가 크다. 필름의 충격 강도는, JIS K7124-1에 준거하여, 실시예의 항목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50% 파괴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50% 파괴 에너지란, 시료로 한 필름편 수의 50%를 파괴하기 위한 에너지이다.
적층 필름의 50% 파괴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0.03 J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J 이상이고,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0.5 J 이하여도 된다.
적층 필름의 50% 파괴 에너지가 큼으로써, 적층 필름을 반송할 때에, 적층 필름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적층 필름의 핸들링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1.5.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은, 예를 들어,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 방법, 층(a)을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층(b)을 구성하는 수지 용액을 코팅하는 코팅 성형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이 적당히 이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효율이나, 필름 중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이 바람직하다.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 중에서도, 공압출 T 다이법이 바람직하다. 공압출 T 다이법의 예로는, 피드블록 방식 및 멀티매니폴드 방식을 들 수 있다.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층(a)을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수지 A와,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등의 임의 성분을,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층(b)을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어, 수지 B와, 미립자 C와,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을,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을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층(a)을 구성하는 재료 및 층(b)을 구성하는 재료를, 예를 들어 단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다이로부터 함께 압출하여 용융 수지의 층을 형성하고, 압출된 용융 수지의 층을 냉각 드럼 상에서 냉각한다. 이에 의해, 연속적으로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적층 필름은, 공압출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된 후, 연신 등의 임의의 공정을 거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 필름은, 공압출된 후에, 종1축 연신, 횡1축 연신, 종횡 동시 2축 연신, 축차 2축 연신, 경사 연신 등의, 임의의 연신 공정을 거친 필름이어도 된다. 따라서, 적층 필름은, 연신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된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미연신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편광을 흩뜨리기 어려운 것, 필름 제조시에 입자의 탈락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 및 적층 필름의 표층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기 어려워, 적층 필름과 타부재의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의 세 가지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2.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은, 상기 적층 필름과, 상기 적층 필름 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을 포함한다.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은, 적층 필름 상에 직접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과 하드 코트층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내찰상성, 방현성, 대전 방지성, 저반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은, 하드 코트층을 복수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이 하드 코트층을 2개 구비하고, 적층 필름의 2개의 면 상에 각각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는, 경화 후에 JIS K5600-5-4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서, 「HB」 이상의 경도를 나타내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예로는, 유기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력이 양호하여, 강인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또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1,5-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1,8-옥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가 알코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1 몰에 4 몰 이상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진 디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1 몰에 2 몰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진 디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 도막(하드 코트층)의 내찰상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 도막의 착색을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부위가 지방족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화합물이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형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2-메틸-1,3-디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산, 2-메틸-1,5-디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상기 직쇄 또는 분기쇄형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3량화한 3량화물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하드 코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직쇄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하이드록시기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가 알코올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가의 알코올의 모노 또는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혹은, 이들 알코올성 하이드록시기의 일부를 ε-카프로락톤으로 변성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모노 및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의 하이드록시기와 3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혹은, 당해 화합물을 ε-카프로락톤으로 더 변성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옥시알킬렌 사슬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부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블록 구조의 옥시알킬렌 사슬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테트라메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테트라메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랜덤 구조의 옥시알킬렌 사슬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임의의 비율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 도막(하드 코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 분자 중에 4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1 분자 중에 4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1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상기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1종에 대하여, 1종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하드 코트층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용제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아세톤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및 글리콜 유도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틸에틸케토옥심 등의 옥심류; 및 이들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에 방현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입자를 혼합하는 등을 하여, 하드 코트층 표면의 요철 형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입자의 예로는, 미립자 C로서 예시한 미립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미립자, 지르코니아 미립자, 티타니아 미립자, 산화주석 미립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ATO)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방현성 및 내찰상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입자로서, 통상 유기 입자보다 경도가 높은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입자경은, 평균 입자경이 1 nm~2.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nm~2.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표면의 요철 형상은, 하기의 어느 하나의 식을 만족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을 θa, 요철 구조의 스큐니스를 Sk, 산술 평균 거칠기를 Ra, 요철 형상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Rz로 한다.
0.01° ≤ θa ≤ 0.10°
|Sk| ≤ 0.5
0.02 μm ≤ Ra ≤ 0.10 μm
Rz < 0.5 μm
하드 코트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제의 예로는, 산화주석 미립자, ATO 입자 등의 도전성 입자;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 및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에 저반사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중공 실리카, 불화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입자; 저굴절률 수지인 불소계 수지; 및/또는, 실리카 혹은 불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은 그 굴절률이 1.45 이하, 특히 1.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상기의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예,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소포제, 레벨링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μm 이상 20 μ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μm 이상 13 μm 이하이다.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의 제조 방법)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임의이며,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의 제조 방법의 예로는, (1) 층(a) 및 층(b)을 포함하는 상기의 적층 필름을 준비하고, (2) 이어서 적층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성물을 도공하여 적층 필름 상에 도공층을 형성하는 공정, (3) 이어서, 필요에 따라 도공층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 및/또는 필요에 따라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 등의 공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및 상압의 조건에 있어서 행하였다.
[평가 방법]
(필름의 각 층의 두께)
필름을 마이크로톰(야마토 코키사 제조 「RV-240」)을 사용하여 0.05 μm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현미경 하에서 단면 관찰을 행하고,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에 의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 「DSC70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고, 승온 속도 20℃/min, 유지 시간 30 min으로 행하였다.
(굴절률)
수지 또는 미립자의 굴절률은, 베케법(JIS K7142)으로 측정하였다. 수지 펠릿 또는 미립자를, 굴절률 기지의 액체에 담그어 수지 펠릿 또는 미립자의 윤곽을 확인함으로써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현미경의 광원으로서, 단색광인 파장 589 nm의 나트륨 D선을 사용하였다.
(미립자의 수평균 입자경)
미립자의 수평균 입자경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미립자 농도가 2 중량%인 물 슬러리를 제작하고, 세이신 기업 주식회사 제조 「LMS-3000」을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필름의 정마찰 계수)
마찰 시험기(토요 세이키 제작소 제조 「TR-2」)를 사용하고, JIS K7125에 준거하여, 각 예에서 얻어진 필름의 정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험편의 크기가 140 mm × 65 mm, 하중이 1 kg, 속도가 500 mm/min인 조건으로 행하였다. 정마찰 계수가 작을수록 필름의 미끄러짐성이 크다.
(필름의 자외선 투과율)
분광 광도계(닛폰 분광 주식회사 제조 「V-7200DS」)를 사용하여, 파장 380 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의 측정을 행하였다.
(내부 헤이즈의 측정)
높이 55 mm, 가로 40 mm, 폭 14 mm의 석영 셀 내에, 브롬화아연을 순수로 희석한 브롬화아연 수용액(굴절률 1.53)을 넣었다.
석영 셀을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사 제조 「NDH7000」)에 설치하여, 헤이즈를 측정하고, 제로 보정을 행하였다.
이어서, 각 예에서 얻어진 필름을 장방형상으로 잘라내고, 잘라내진 필름편을 상기 석영 셀 중에 삽입하였다. 필름편을 삽입한 석영 셀을 헤이즈미터(닛폰 덴쇼쿠사 제조 「NDH7000」)에 설치하여,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필름의 충격 강도)
JIS K7124-1에 준거하고, 무게 5.5 g의 진구상의 추를 사용하여, 필름편 수의 50%를 파괴하기 위한 에너지(50% 파괴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50% 파괴 에너지가 클수록, 필름의 충격 강도가 크다. 필름의 충격 강도가 클수록, 필름의 반송시에 있어서의 파단이 보다 억제되는 것이 예상된다.
[실시예 1]
(층(a)용 재료의 조제)
수지 A로서의 니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1600」(유리 전이 온도 160℃, 굴절률 1.53)을 100 중량부와, 자외선 흡수제(ADEKA사 제조 「아데카스타브 LA-31」(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를 5 중량부를, 동일 방향 회전 2축 혼련기(파커 코포레이션 제조 「HK-25D」, Φ = 25 mm, L/D = 41)에 공급하고, 혼련 온도 280℃에서 혼련하여, 층(a)을 위한 수지(a)를 얻었다. 「제오노아 1600」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노르보르넨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아데카스타브 LA-31」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이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
수지 B로서의 니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1600」(유리 전이 온도 160℃, 굴절률 1.53)을 100 중량부와, 미립자 C로서의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수평균 입자경 0.5 μm, 굴절률 1.53)를 4 중량부를, 동일 방향 회전 2축 혼련기(파커 코포레이션 제조 「HK-25D」, Φ = 25 mm, L/D = 41)에 공급하고, 혼련 온도 280℃에서 혼련하여, 층(b1) 및 층(b2)을 위한 수지(b)를 얻었다. 「테크폴리머」는,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이다.
(적층 필름의 제조)
피드 블록을 갖는, 3종 3층 다층 압출기(Collin사 제조)를 사용하여, 공압출에 의해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당해 피드 블록은, 층(b1)/층(a)/층(b2)의 3층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층(a)의 수지로서 수지(a)를 사용하고, 층(b1) 및 층(b2)의 수지로서 수지(b)를 사용하였다. 압출기의 다이로부터 냉각 드럼 상에 적층된 용융 수지를 토출시키고 냉각하여, 층(b1), 층(a), 및 층(b2)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압출 가공 온도는 285℃로 하고, 냉각 드럼의 온도는 118℃로 하였다.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2 μm, 층(a)의 두께가 36 μm, 적층 필름의 총 두께가 40 μm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였다.
[실시예 2]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를 8 중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3]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 4 중량부 대신에, 실리카 입자(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QSG-100」, 수평균 입자경 0.1 μm, 굴절률 1.43)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 4 중량부 대신에, 실리카 입자(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QSG-170」, 수평균 입자경 0.17 μm, 굴절률 1.43) 10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를 1 중량부로 하였다.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10 μm, 층(a)의 두께가 20 μm, 적층 필름의 총 두께가 40 μm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였다.
[비교예 3]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를 8 중량부로 하였다.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10 μm, 층(a)의 두께가 20 μm, 적층 필름의 총 두께가 40 μm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였다.
[비교예 4]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를 8 중량부로 하였다.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7 μm, 층(a)의 두께가 26 μm, 적층 필름의 총 두께가 40 μm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였다.
[비교예 5]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 4 중량부 대신에, 실리카 입자(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QSG-030」, 수평균 입자경 0.03 μm, 굴절률 1.43) 6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6]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 4 중량부 대신에, 실리카 입자(DIC사 제조, 수평균 입자경 0.30 μm, 굴절률 1.43) 0.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7]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 4 중량부 대신에, 실리카 입자(DIC사 제조, 수평균 입자경 0.30 μm, 굴절률 1.43) 2.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8]
이하의 사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층(b1) 및 층(b2)용 재료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수평균 입자경 0.5 μm, 굴절률 1.53) 4 중량부 대신에,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폴리머 비즈 「테크폴리머」(수평균 입자경 0.72 μm, 굴절률 1.53) 2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8 μm, 층(a)의 두께가 16 μm, 적층 필름의 총 두께가 32 μm가 되도록, 압출 조건을 조정하였다.
[결과]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하기 표에 있어서의 약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ZNR1600」: 니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1600」
「LA-31」: ADEKA사 제조 「아데카스타브 LA-31」
「nb」: 수지 B의 굴절률
「nc」: 미립자 C의 굴절률
하기 표의 정마찰 계수에 관련된 평가에 있어서, 「측정 불능」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정마찰 계수가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측정 가능 범위보다 크기 때문에, 정마찰 계수를 구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사항을 알 수 있다.
층(b1) 및 층(b2)이 미립자 C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적층 필름은, 미끄러짐성이 떨어지고, 50% 파괴 에너지가 작아 필름의 충격 강도가 불충분하다.
층(b1) 및 층(b2)의 두께가, 각각 5 μm보다 큰 비교예 2~4, 및 8의 적층 필름은, 50% 파괴 에너지가 작아 필름의 충격 강도가 불충분하다.
미립자 C의 중량 비율이, 3 중량% 미만인 비교예 2, 6, 7, 및 8의 적층 필름은, 미끄러짐성이 떨어진다.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이 0.10 μm 미만인 비교예 5의 적층 필름은, 미끄러짐성이 떨어지고, 50% 파괴 에너지가 작아 필름의 충격 강도가 불충분하다.
실시예의 적층 필름은, 미끄러짐성이 우수하고, 50% 파괴 에너지가 0.03 J 이상으로서 커, 필름의 충격 강도가 충분하다. 또한, 내부 헤이즈가 0.7% 미만으로서 양호하다.
100 적층 필름
110 층(a)
110U 면
120 층(b)
120U 면
200 적층 필름
210 층(a)
210U 면
210D 면
221 층(b)
221U 면
222 층(b)
222D 면

Claims (7)

  1.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A를 포함하는 층(a)과,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B 및 미립자 C를 포함하는 층(b)을 갖고,
    상기 층(b)은 상기 적층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있고, 두께가 1 μm 이상 5 μm 이하이고,
    상기 미립자 C의 수평균 입자경이 0.10 μm 이상 0.80 μm 이하이고,
    상기 층(b)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자 C의 상기 수지 B에 대한 중량 비율이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C가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가교 공중합체의 미립자인, 적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C가 지환식 구조 함유 가교 중합체의 미립자인,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B의 굴절률 nb와, 상기 미립자 C의 굴절률 nc가 하기 식(1)을 만족하는, 적층 필름.
    |nb - nc| ≤ 0.03 (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C가 실리카의 미립자인,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a)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과, 상기 적층 필름 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KR1020227034837A 2020-04-24 2021-04-14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KR20230006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7705 2020-04-24
JP2020077705 2020-04-24
PCT/JP2021/015390 WO2021215317A1 (ja) 2020-04-24 2021-04-14 積層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層付き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459A true KR20230006459A (ko) 2023-01-10

Family

ID=7826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837A KR20230006459A (ko) 2020-04-24 2021-04-14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15317A1 (ko)
KR (1) KR20230006459A (ko)
CN (1) CN115379949A (ko)
TW (1) TW202208171A (ko)
WO (1) WO202121531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974B1 (ko) 1969-09-26 1974-03-07
JP2005181615A (ja) 2003-12-18 2005-07-07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
JP2011011394A (ja) 2009-06-30 2011-01-20 Nippon Zeon Co Ltd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9111B2 (ja) * 2010-10-29 2013-10-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330367B2 (ja) * 2014-02-28 2018-05-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554817B2 (ja) * 2015-02-26 2019-08-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ハードコート積層体、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402064B2 (ja) * 2015-03-31 2018-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880746B2 (ja) * 2017-01-06 2021-06-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偏光板
TWI783986B (zh) * 2018-04-11 2022-11-2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導光板方式液晶顯示器用光學片材、導光板方式液晶顯示器用背光單元及導光板方式液晶顯示器
CN109031487A (zh) * 2018-09-28 2018-12-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扩散膜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974B1 (ko) 1969-09-26 1974-03-07
JP2005181615A (ja) 2003-12-18 2005-07-07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
JP2011011394A (ja) 2009-06-30 2011-01-20 Nippon Zeon Co Ltd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317A1 (ja) 2021-10-28
TW202208171A (zh) 2022-03-01
CN115379949A (zh) 2022-11-22
JPWO2021215317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602B1 (ko) 광학 적층체
KR102120575B1 (ko) 광학 적층체
KR101931400B1 (ko) 광학 적층체
KR102248947B1 (ko) 광학 적층체
KR102632656B1 (ko) 광학 적층체
KR20070113157A (ko) 편광판용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3165A (ko) 편광판용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3866A (ko) 광학 적층체
KR102342375B1 (ko) 광학 적층체
KR101915284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WO2019026622A1 (ja) 積層フィルム
KR20230006459A (ko) 적층 필름, 및 하드 코트층 형성 필름
EP3912812A1 (en) Extruded resin layered body and cured coat-attached extruded resin layered body
WO2023074385A1 (ja) 多層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02328B (zh) 热塑性树脂叠层拉伸膜
JP2023079882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3153542A1 (en)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layered produc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7072846A (ja) 光学積層体
KR20170090919A (ko) 내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15285B1 (ko) 방현 필름,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240102687A (ko) 반사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22011118A (ja) 積層体
CN115113318A (zh) 光学层叠体及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