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311U -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311U
KR20230002311U KR2020220001312U KR20220001312U KR20230002311U KR 20230002311 U KR20230002311 U KR 20230002311U KR 2020220001312 U KR2020220001312 U KR 2020220001312U KR 20220001312 U KR20220001312 U KR 20220001312U KR 20230002311 U KR20230002311 U KR 202300023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central ring
elastic
protection ma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무 김
Original Assignee
성 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무 김 filed Critical 성 무 김
Priority to KR2020220001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311U/ko
Publication of KR20230002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3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잔디 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되고 저면에 하부 지지기둥이 돌출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의 저면에 구비되고 팩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는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고정부는 지면에 밀착되고 상기 팩이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중앙고리와;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일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타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고리를 중심으로 상기 제1탄성편의 맞은편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탄성편;으로 구성되어, 지면에 잔디보호매트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사람들에게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고 하부 지지기둥이 땅 속을 파고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Lawn protection mat with multi-function fixing part}
본 고안은 잔디가 식재된 토양에 설치하여 잔디를 보호해주는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고, 동시에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잔디보호매트가 땅 속을 파고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 잔디구장 및 공원의 잔디밭 등과 같은 잔디 생육지역에서 사람이나 차량이 주로 다니는 통로부분에 식재되어 있는 잔디는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려지면서 손상되기 때문에 잔디의 개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잔디 생육지역 중 특히 통로부분 등에는 잔디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갈 때 그 하중을 완충시켜 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는 잔디보호매트가 시공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잔디보호매트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는 구조로 제작되고, 이 기본 골격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지지기둥이 돌출되며, 기본 골격의 꼭지점들 또는 가장자리의 일정 지점들에는 팩과 같은 고정구를 박아서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잔디보호매트를 밟고 지나갈 때 기본 골격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기둥은 사람들의 발바닥에 닿고 하면에 형성된 지지기둥은 지면에 닿는다.
이렇게 사람들이 잔디보호매트를 밟을 때 기본 골격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기둥은 지면을 파고 들어가 점차 깊이 땅에 박히면서 땅을 헤집어 오히려 잔디의 생육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면에 형성된 지지기둥은 딱딱한 느낌을 사람들의 발바닥에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발바닥에 불편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06327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박히는 팩에 의해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사람들이 밟고 지나갈 때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여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잔디보호매트가 땅 속을 파고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는 잔디 통과홀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되고 저면에 하부 지지기둥이 돌출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바디의 저면에 구비되고 팩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는 탄성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고정부는 지면에 밀착되고 상기 팩이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중앙고리와;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일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타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고리를 중심으로 상기 제1탄성편의 맞은편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탄성편;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 고정부의 높이는 상기 바디의 하부 지지기둥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고리와 제1,2탄성편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중앙고리의 외경은 제1,2탄성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은 일측면에 후크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후크홀이 형성되어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인접 설치될 때 상기 후크가 인접한 후크홀에 끼워지는데, 상기 후크는 일단이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연결편과, 끝단이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삽입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면이 상기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홀과 연결되는 하부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의 상부 몸체 상부홀 내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로 구성된 상하연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는 탄성 고정부가 팩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므로 지면에 잔디보호매트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람들이 밟고 지나갈 때 작용하는 하중을 탄성 고정부가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하므로 사람들에게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하고 하부 지지기둥이 땅 속을 파고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성 고정부의 높이와 하부 지지기둥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잔디보호매트가 지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중이 작용할 때는 일부 하중을 탄성 고정부가 흡수하여 하부 지지기둥에 나머지 하중만 작용하도록 하여 하부 지지기둥이 땅 속을 파고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고리의 외경을 크게 형성하여 지면에 대한 중앙고리의 접촉면적을 넓혀 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고리가 지면 속으로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삽입편의 끝단이 연결편의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삽입편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후크가 구성되므로, 화살표 모양의 후크를 끼울 때보다 후크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잔디보호매트의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부에 있는 상하연결구의 하부 몸체가 하부에 있는 상하연결구의 상부 몸체 상부홀 내에 삽입되므로,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의 주요 부위를 보인 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를 측방에서 본 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의 상하연결구를 보인 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의 주요 부위를 보인 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를 측방에서 본 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잔디보호매트의 상하연결구를 보인 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는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과, 상기 바디(10)의 저면에 구비된 탄성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잔디 통과홀(1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는 상면에 다수의 상부 지지기둥(11)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하부 지지기둥(1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기둥(11)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리프(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잔디 통과홀(10a)은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시공했을 때 잔디가 통과하여 생육이 가능하도록 만든 공간이다.
상기 상부 지지기둥(11)은 기본 골격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시공한 상태에서 그 위를 사람들이 밟고 걸어갈 때 사람들의 신발 밑창 부분에 접촉하면서 사람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 지지기둥(12)은 기본 골격의 저면에 상부 지지기둥(11)과 같은 수직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시공한 잔디보호매트 위를 사람들이 밟고 걸어갈 때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지면을 헤집으면서 파고 들어간다. 이러한 하부 지지기둥(12)은 위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저항하여 상부 지지기둥(11)과 함께 바디(10)를 지지해준다.
상기 완충리프(13)는 바디(10)의 기본 골격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완충리프(13)는 그 높이가 상부 지지기둥(11)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사람들이 걸어갈 때 신발 밑창이 상부 지지기둥(11)에 앞서 먼저 완충리프(13)에 접촉된다.
상기 외곽프레임(20)은 바디(10)의 외곽을 4각 형태로 둘러쌈으로써 잔디보호매트의 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4각의 외곽프레임(20) 중 2개의 일측면에는 후크(21)가 구비되고, 나머지 2개의 타측면에는 후크홀(22)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21)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지면 위에 인접 설치될 때 인접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홀(22)에 끼워진다.
이러한 후크(21)는 연결편(21a)과, 상기 연결편(21a)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편(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편(21a)은 일단이 외곽프레임(20)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로서, 외곽프레임(20)의 외측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곽프레임(20)에서 휨이나 절곡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편(21b)은 끝단이 연결편(21a)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특정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21)를 인접 배치된 잔디보호매트의 후크홀(22)에 끼우고자 하면 삽입편(21b)과 연결편(21a)이 밀착된 상태에서 후크홀(22) 안쪽으로 진입하게 되고, 후크홀(22)을 관통한 이후에는 삽입편(21b)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30)는 지면에 박히는 팩(P)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중앙고리(31)와, 상기 중앙고리(3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탄성편(32)과, 상기 중앙고리(31)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1탄성편(32)의 맞은편에 형성되는 제2탄성편(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고리(31)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서 중앙에 팩(P)이 관통하는 체결홀(31a)이 형성되고, 이 팩(P)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저면이 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탄성편(32)은 기본 골격의 저면 일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끝단이 중앙고리(31)의 외측면 일측에 연결된다.
즉 제1탄성편(32)은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일단이 기본 골격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고리(31)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2탄성편(33)은 기본 공격의 저면 타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중앙고리(31)를 중심으로 상기 제1탄성편(32)의 맞은편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탄성편(33)은 끝단이 중앙고리(31)의 타측에 연결된다.
즉, 제2탄성편(33)은 제1탄성편(32)과 마찬가지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일단이 기본 골격의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중앙고리(31)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 고정부(30)는 중앙고리(31)를 중심으로 양쪽에 곡면 형상의 제1탄성편(32)과 제2탄성편(33)이 구비되므로, 그 전체적인 형태가 하측(지면)을 향해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성 고정부(30)는 팩(P)에 의해 지면에 밀착됨으로써 잔디보호매트를 지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하중이 작용할 때 제1탄성편(32)과 제2탄성편(33)이 휘어지거나 절곡되는 것과 같은 변형을 하면서 하중 일부를 흡수하고 완충 작용을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 고정부(30)는 그 높이가 바디(10) 상면에 형성된 하부 지지기둥(1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고정부(30)의 중앙고리(31)에 팩(P)을 박아 중앙고리(31)를 지면에 밀착시켰을 때 하부 지지기둥(12)도 지면에 밀착되어 잔디보호매트가 지면에서 들뜨지 않게 된다.
또한, 사람들이 잔디보호매트에 하중을 가하면 그 하중에 의해 하부 지지기둥(12)이 땅을 파고 들어가서 오히려 잔디의 생육을 방해할 수 있는데, 이때 동일한 높이를 갖는 탄성 고정부(30)가 상당량의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하부 지지기둥(12)이 지면을 덜 파고 들어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고리(31)와 제1,2탄성편(32,33)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되, 중앙고리(31)의 외경은 제1,2탄성편(32,33)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 고정부(30)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어느 부분이든 동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하중 작용시 균일한 변형이 되도록 하고, 중앙고리(31)의 외경을 최대한 확장하여 중앙고리(31)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중앙고리(31)가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중앙고리(31)가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커지면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커져서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중앙고리(31) 자체가 지면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로 적층할 때 적층된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한쪽으로 쓰러지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연결구(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하연결구(40)는 상부 몸체(41)와, 상기 상부 몸체(4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몸체(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41)는 측면이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부홀(41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42)는 다수의 잔디보호매트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때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40)의 상부 몸체(41)에 형성된 상부홀(41a)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하부 몸체(4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부홀(42a)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홀(42a)은 상부홀(41a)과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상부홀(41a)과 하부홀(42a)이 각각 상부 몸체(41)와 하부 몸체(42)에 형성됨으로써, 상부 몸체(41)와 하부 몸체(42)는 원래 재질(합성수지)이 갖는 탄성력에, 상부홀(41a)과 하부홀(42a)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확장과 축소가 가능한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갖게 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41)의 상부홀(41a) 직경과 하부 몸체(42)의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하부 몸체(42)를 상부 몸체(41)의 상부홀(41a) 내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고, 상부 몸체(41)의 내측면에 하부 몸체(42)의 외측면이 좀 더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10: 바디 10a: 잔디 통과홀
11: 상부 지지기둥 12: 하부 지지기둥
13: 완충리프 20: 외곽프레임
21: 후크 21a: 연결편
21b: 삽입편 22: 후크홀
30: 탄성 고정부 31: 중앙고리
31a: 체결홀 32: 제1탄성편
33: 제2탄성편 40: 상하연결구
41: 상부 몸체 41a: 상부홀
42: 하부 몸체 42a: 하부홀
P: 팩

Claims (5)

  1. 잔디 통과홀(10a)이 형성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본 골격이 반복 연결되어 형성되고 저면에 하부 지지기둥(12)이 돌출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프레임(20)과, 상기 바디(10)의 저면에 구비되고 팩(P)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는 탄성 고정부(3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고정부(30)는 지면에 밀착되고 상기 팩(P)이 관통하는 체결홀(31a)이 형성된 중앙고리(31)와;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일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3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탄성편(32)과;
    상기 기본 골격의 저면 타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앙고리(31)를 중심으로 상기 제1탄성편(32)의 맞은편에 구비되어 끝단이 상기 중앙고리(3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탄성편(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부(30)의 높이는 상기 바디(10)의 하부 지지기둥(12)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고리(31)와 제1,2탄성편(32,33)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되, 중앙고리(31)의 외경은 제1,2탄성편(32,3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20)은 일측면에 후크(21)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후크홀(22)이 형성되어 다수의 잔디보호매트가 인접 설치될 때 상기 후크(21)가 인접한 후크홀(22)에 끼워지되,
    상기 후크(21)는 일단이 상기 외곽프레임(20)의 외측면에 연결된 탄성재질의 연결편(21a)과, 끝단이 상기 연결편(21a)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삽입편(21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이 상기 기본 골격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부홀(41a)이 형성된 상부 몸체(41)와;
    상기 상부 몸체(41)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홀(41a)과 연결되는 하부홀(4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잔디보호매트에 구비된 상하연결구(40)의 상부 몸체(41) 상부홀(41a) 내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42);로 구성된 상하연결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KR2020220001312U 2022-05-30 2022-05-30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KR202300023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12U KR20230002311U (ko) 2022-05-30 2022-05-30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12U KR20230002311U (ko) 2022-05-30 2022-05-30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311U true KR20230002311U (ko) 2023-12-07

Family

ID=891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312U KR20230002311U (ko) 2022-05-30 2022-05-30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31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71B1 (ko) 2008-07-29 2011-09-0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71B1 (ko) 2008-07-29 2011-09-07 손창섭 잔디 보호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285B1 (en) Plant cultivation mat
JP4886699B2 (ja) 芝保護マット及びこれを含むマット組立体
KR101083294B1 (ko) 잔디 보호매트
US8099915B2 (en) Modular floor tile with resilient support members
KR101755658B1 (ko) 잔디 보호 매트
KR101769737B1 (ko) 일체형 조립 방식의 잔디보호매트 및 잔디보호매트의 시공 방법
US5117583A (en) Landscape terracing material
JP2010029182A (ja) 芝保護マット
CN108617363B (zh) 软地层用草坪保护垫及其施工方法
KR101882618B1 (ko) 잔디보호 매트
CN105121744A (zh) 互锁且减震的地砖***
EP2059115A1 (en) Grass protection mat
KR100807329B1 (ko) 잔디 보호 매트
KR20230002311U (ko) 다기능 고정부를 구비한 잔디보호매트
US4169339A (en) Plate for grating and grating resulting therefrom
AU611176B2 (en) Tiles for playground surfaces
JP2887470B1 (ja) 植栽樹木の根鉢用締結具
KR102431091B1 (ko) 푹신한 잔디보호매트
KR20230166210A (ko) 적재가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KR200469908Y1 (ko) 잔디 보호용 매트
KR102431092B1 (ko) 다종 재질의 잔디보호매트
KR102431090B1 (ko) 설치가 간편한 잔디보호매트
KR102181285B1 (ko) 잔디 생육 지역용 받침 매트
KR200274540Y1 (ko) 잔디 보호용 매트
KR20170123584A (ko) 인조잔디 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