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584A - 인조잔디 블록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584A
KR20170123584A KR1020170119728A KR20170119728A KR20170123584A KR 20170123584 A KR20170123584 A KR 20170123584A KR 1020170119728 A KR1020170119728 A KR 1020170119728A KR 20170119728 A KR20170119728 A KR 20170119728A KR 20170123584 A KR20170123584 A KR 2017012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rtificial turf
block
engaging portio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록
이철동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584A/ko
Publication of KR2017012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판; 상기 제1 판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 매트 상에 적층되고,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인조잔디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인조잔디홀이 형성된 제2 판을 포함하는 잔디블록을 형성하여, 인조잔디 매트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는 제1 판과 제2 판을 통해 블록을 구현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블록{Artificial Turf block}
본 실시예는 잔디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조잔디블록에 관한 것이다.
블록에 천연잔디를 식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의 사이에 식생토를 충진 후 식생토에 천연잔디를 식모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85502호(2005.05.27.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잔디블록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잔디블록은 시멘트를 소재로 하는 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블록에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에 흙이나 인공토양 등을 채워 잔디 씨를 파종하거나, 생육된 잔디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잔디블록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천연잔디를 하나씩 파종하거나 이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공 기한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연잔디의 경우, 계절에 따라 식생에 한계가 있다. 특히 블록의 설치장소가 주차장과 같이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인 경우, 천연잔디의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하중에 대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85502 (2005. 05. 21등록)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인조잔디를 사용하면서,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잔디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적층되는 인조잔디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인조잔디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판에 적층되는 제2 판을 포함하는 잔디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판은 에지를 따라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인조잔디홀의 에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디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 중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결합부를 상기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함께 지반에 고정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 중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와 대응하지 않는 제1 결합부를 상기 지반에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 할수 있다.
상기 제1 판은 틀형 부재이며,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판은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핀 결합부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 및 상기 상기 복수개의 핀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벽 또는 상기 외벽에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은 신축성 있는 판상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미리 지정된 평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1 블록;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 각각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과 서로 교대로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록보다 높이가 낮도록 구현되는 복수개의 제2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 각각의 상부면에 상기 제2 블록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인조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디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록과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록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행자의 보행 안정성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인조잔디가 배치된 상기 제2 블록의 상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인조잔디 매트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는 제1 판과 제2 판을 통해 블록을 구현함으로써, 천연잔디 블록이 갖는 계절에 따른 식생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시공을 할 수 있다.
실시예는,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인조잔디를 사용함으로써, 주차장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차량 하중 및 차량 조향에도 인조잔디 내구성을 높이고,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제2 판이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과 내벽을 포함하여, 인조잔디 매트를 그대로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 블록에 인가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판의 제1 변형례의 저면도,
도 8은 제2 판의 제2 변형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제2 판의 제2 변형례의 저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한 잔디블록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틀 형태의 제1 판의 시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판상 부재의 제2 판의 시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인조잔디 위에 시공되는 제2 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천연잔디의 경우, 식생 환경에 제약이 크며, 시공 및 유지 보수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천연잔디는 블록의 상단보다 높게 성장될 수 있어, 주차장과 같이 차량의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식생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연잔디를 인조잔디로 대체하여 시공의 용이성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잔디블록은 제1 판(100)과 인조잔디 매트(200)와 제2 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100) 위에 인조잔디 매트(200)가 적층되며, 인조잔디 매트(200) 위에 제2 판(300)이 적층된다. 이때 인조잔디 매트(200)는 제1 판(100) 또는 제2 판(300)의 구현 패턴이나 형상에 무관하게 적층된다.
제1 판(100)은 하판으로서 지면 또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판(100)은 사각형의 판상부재 또는 프레임들이 연결된 틀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판(100)은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와 복수개의 고정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판(100)은 굴곡이 있는 지면에도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제1 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판의 제1 변형례에서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가 상세하게 표시되도록, 하부면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100)은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연결되는 틀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들은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투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100)은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와 복수개의 고정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결합부(110)는 제1 판(100)에서 하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판(100)에서 하향하여 돌출된 형태의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는 제1 판(10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지반이 모래와 같이 부드러운 지반인 경우,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 각각은 바닥면의 내부로 파고들어 제1 판(100)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 각각의 내부에는 지반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현될 수 있다. 지반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와 같이 단단한 재질로 구현된 경우,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가 지반 내부로 파고들지 못하여 제1 판(100)이 지반의 상부면 상에 고정될 수 없다. 이때 체결부재가 체결홀을 통해 지반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판(100)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부(110) 중 후술하는 제2 판(300)의 제2 결합부(3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에는 체결부재(400)가 제1 결합부뿐만 아니라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지반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판(100)을 지반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1 판(100)과 제2 판(300)를 결합한다. 이때 체결부재(400)가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310)를 모두 관통하여 지반에 삽입되므로 제1 판(100) 및 제2 판(300)의 사이에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200) 또한 함께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310)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제1 결합부(110)는 일부는 체결부재(400)가 곧바로 체결홀을 통해 지반에 될 수 있다. 이는 제1 판(100)이 지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체결부재(400)는 제1 판(100)만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부재(410)과 제1 판(100)과 인조잔디 매트(200) 및 제2 판(300)를 결합함과 동시에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4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20)는 제2판(300)로부터 지반까지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1 판(100)만을 지반에 고정하는 제1 체결부재(4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구현된다. 다만 제2 체결부재(420)는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판(2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복수개의 고정 핀은 제1 판(100)에서 상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판(100)의 하부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여 복수개의 고정 핀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판(100)에서 상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 핀은 제1 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판(300)의 위치를 지정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조잔디 블록(200)이 제1 판(100)의 위에 적층되고, 제2 판(300)은 인조잔디 매트(200)의 위에 다시 적층되므로, 인조잔디 블록을 시공할 때, 제2 판(300)을 제1 판(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제1 판(100)과 제2 판(300)의 사이에 배치된 인조잔디에 의해 시공자는 제2 판(300)의 제2 결합부(310)가 결합되어야 할 제1 판(100)의 제1 결합부(110)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1 판(100)은 복수개의 고정 핀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고정 핀이 인조잔디 매트(200)를 통과하여 상향하여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자가 제2 판(300)을 제1 판(100)에 대응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 핀은 인조잔디 매트(200)를 통과하여 상향 돌출됨에 따라 인조잔디 매트(200)를 제1 판(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2 판(300)의 복수개의 핀 결합부(330) 중 대응하는 핀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제2 체결부재(420)가 제1 판(100)과 제2 판(300)을 결합하여 지반에 고정하기 이전에 제2 판(300)이 제1 판(1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제1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판(100)은 판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100)은 신축성 있는 소재(고무, 플라스틱 수지 등)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판(100)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200)는 제1 판(100) 위에 적층된다. 인조잔디 매트(200)의 잔디 파일(pile)은 폴리에틸렌(PE)나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조잔디 매트(200)의 백코팅은 일예로 라텍스 코팅, PE Coating, PU Coating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조잔디 매트(200)는 제1 판(100) 및 제2 판(300)의 크기, 구조 및 패턴과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잔디 블록, 특히 천연 잔디 블록의 경우, 천연 잔디의 식생을 고려해야만 하므로, 제2 판(300)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 분산되어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즉 후술하는 제2 판(300)의 패턴에서 홀이 형성된 영역에만 잔디가 배치된다.
그리고 기존의 인조잔디 블록의 경우에도 제1 판(100)과 제2 판(300)이 결합되는 위치에 인조잔디가 배치되지 않도록, 제2 판(300)에 형성된 인조잔디홀(320)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을 갖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개별 잔디 파일을 별도로 활용하도록 생산되지 않고, 미리 지정된 크기의 백코팅에 인조잔디 파일이 결합된 매트(mat) 형태로 생산되고, 인조잔디 매트는 롤(roll) 형상으로 감겨서 판매가 된다. 이러한 인조잔디 매트(200)를 기존과 같이 제2 판(300) 형태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백코팅에 결합되도록 구현하는 경우,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의 패턴과 상판의 패턴을 매칭시켜야 하므로 시공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판(100) 및 제2 판(300)의 패턴에 무관하게 별도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인조잔디 매트(200)를 제1 판(100) 위에 적층시킨다. 인조잔디는 제1 판(100)이 지면에 고정된 이후, 롤 형태로 감겨진 인조잔디 매트(200)를 펼치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펼쳐진 인조잔디 매트(200)에서 제1 판(100)이 시공되지 않은 여백 영역은 커팅하여, 제1 판(100)이 시공된 공사 영역에 인조잔디의 크기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후 인조잔디 매트(200)의 위에 제2 판(300)를 적층시킨다. 이 경우, 제2 판(300)의 패턴에 따라 제1 판(100)과 제2 판(200)이 결합되는 위치의 인조잔디 매트(200)에 하중이 인가되지만 인조잔디는 천연 잔디와 달리 식생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판(100)과 제2 판(200)이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200)가 인조잔디 블록에 인가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 부재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조잔디 블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제2 판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2 판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판(300)은 복수개의 제2 결합부(310)와 복수개의 인조잔디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결합부(310)는 제1 판(100)의 제1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제1 판(100)에 제2 판(300)을 결합시키고 인조잔디 매트(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인조잔디 매트(200) 위에 제2 판(300)이 적층 되었을 때, 제2 결합부(310)는 제1 결합부(110)에 정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310)는 제1 결합부(110)의 체결홀에 정렬되는 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310)를 관통하여 제1 결합부(11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400)는 제1 판(100)과 인조잔디 매트(200) 및 제2 판(300)를 결합하면서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체결부재(42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결합부(310)에 보호캡(3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판(300) 위를 지나는 보행자 및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형례로서, 제2 판(300)은 외곽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형례로서, 제2 판(30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인조잔디홀(320)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판(300) 내의 복수개의 인조잔디홀(320)이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제2 판의 제1 변형례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제2 판의 제2 변형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 판의 제2 변형례의 저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판(300)은 외벽(301)과 내벽(30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301)은 제2 판(300)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내벽(302)은 인조잔디홀(320)를 따라 형성된다. 외벽(301)과 내벽(30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판(300)의 하부에서 바라본 외벽(301)과 내벽(302)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일부 공간의 깊이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01) 또는 내벽(302)보다 깊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판(300)의 외벽(301)과 내벽(302) 사이 공간에는 인조잔디홀(320)을 관통하는 인조잔디 매트(200)의 이외의 인조잔디 매트(200)들이 위치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제2판(300)은 외벽(301)과 내벽(302) 사이 공간에 소정의 굵기로 형성된 제2 결합부(310) 및 인조잔디홀(320)을 관통하지 않은 인조잔디 매트(200)를 같이 수용할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판(300)은 그 하부에서 인조잔디홀(320)을 관통하지 않은 인조잔디 매트(200)와 소정의 굵기로 형성된 제2 결합부(310)를 수용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판(100)과 제2 판(300)의 결합성을 높이게 높이게 되며, 동시에 인조잔디 매트(200)가 인조잔디 블록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도 5 및 도 6 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개의 핀 결합부(33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핀 결합부(330)는 제1 판(100)에서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 핀(미도시)이 삽입되는 홀로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핀 결합부(330)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310)와 마찬가지로 제1 판(100)에 제2 판(300)을 정렬하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핀 결합부(330)는 제2 판(300)를 제1 판(100)과 함께 지반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는 구성이 아니라, 제2 체결부재(420)가 제1 및 제2 결합부(110, 3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에 제2 판(300)을 제1 판(100)에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체결부재(420)가 삽입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핀 결합부(330)는 제2 결합부(310)와 달리 제2 판(300)의 상부면까지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구현되지 않는다. 즉 제2 판(300)의 상부면에서는 핀 결합부(330)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핀 결합부(330)는 시공자가 제2 결합부(310)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홀의 크기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으며, 내벽(302)에는 제2 결합부(310)가 형성되고, 외벽(301)에는 핀 결합부(330)가 형성되거나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결합부(310)와 핀 결합부(330)는 외벽(301) 또는 내벽(302)와 무관하게 외벽(301)과 내벽(30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결합부(310)와 핀 결합부(330)가 외벽(301) 또는 내벽(302)에 인접하거나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면, 제2 결합부(310)와 핀 결합부(330)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하중이 외벽(301) 또는 내벽(302)으로 분산될 수 있어,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으로서, 제1 판(100)은 판상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축성 있는 소재(고무, 플라스틱 수지 등)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판(100)은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는 경우, 제1 결합부(110)로서,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310)는 끝 단이 제1 판(100)에 닿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10 에서는 체결부재(400)가 제1 판(100)까지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체결부재(400)는 제1 판(100)과 인조잔디 매트(200) 및 제2 판(300)을 모두 결합하여 지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판(100)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체결부재(400)가 제1 판(100)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구현되는 것은 콘크리트 지반에 사용시 인조잔디 블록이 지반에서 뜨는 현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골재지반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한 잔디블록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잔디블록으로서, 내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구현되는 복수개의 제1 블록(500)과 복수개의 제2 블록(600)이 서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11 및 도12 에서는 복수개의 제1 블록(500)과 복수개의 제2 블록(600)이 단순히 동일 크기의 사각형 평면형상로 구현되어, 서로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제1 블록(500)은 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미리 지정된 평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블록(600)은 복수개의 제1 블록(500)과 서로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블록(500)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블록(500)과 제2 블록(6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500)과 제2 블록(600)은 투수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블록(500)보다 높이가 낮은 제2 블록(600)의 상단에는 인조잔디(7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인조잔디(700)는 제2 블록(600)의 상단 형태에 대응하여 절단되어 배치된다. 제2 블록(600)이 복수개의 제1 블록(500)과 서로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인조잔디(700)는 별도의 결합부재나 고정 수단 없이도, 제2 블록(600)보다 높이가 높은 주변의 제1 블록(500)에 의해 제2 블록(60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블록(600)의 상단과 인조잔디(700) 사이에 접착제(800)가 도포되어 인조잔디(700)를 제2 블록(60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600)과 인조잔디(70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접착제(800) 이외에 콘크리트 앵커나 콘크리트 못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높이가 낮은 제2 블록(600)의 상단에 비록 인조잔디(700)가 고정되더라도, 제1 및 제2 블록(500, 600)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해 보행자의 보행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조잔디(700)가 고정된 제2 블록(600)의 상단에는 모래와 같은 골재(900)가 추가로 충진될 수 잇다.
도 13은 틀 형태의 제1 판의 시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판상 부재의 제2 판의 시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공영역에 일정 크기를 갖는 틀 형태의 복수개의 제1 판(100)을 지면(1)에 거치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일정 크기를 갖는 판상 부재의 제1 판(100)을 지면(1)에 거치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인조잔디 위에 시공되는 제2 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히면, 도 13 또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에 제1 판(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에 인조잔디 매트(200)를 설치할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200)는 제1 판(100)의 크기보다 큰 대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 매트(200)는 시공영역 전체를 덮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제2 판(300)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시공영역 전체를 덮도록 인조잔디가 시공된 이후, 인조잔디 위에 제2 판(300)이 설치될 수 있다. 일정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제2 판(300)들을 하나씩 인조잔디 매트(200)의 아래에 배치된 제1 판(100)과 결합시켜 인조잔디 매트(200) 전체를 덮도록 시공을 진행한다. 때문에 시공영역에 하나씩 이식하여야 하는 천연잔디의 시공방법 보다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이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잔디블록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판
110: 제1 결합부
200: 인조잔디 매트
300: 제2 판
301: 외벽
302: 내벽
310: 제2 결합부
311: 보호캡
320: 인조잔디홀
400: 체결부재

Claims (3)

  1. 체결홀이 형성되어 하향 돌출된 복수개의 제1 결합부와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고, 투수공간 확보를 위해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틀형 부재인 제1 판;
    상기 제1 판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조잔디 매트 상에 적층되고,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인조잔디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인조잔디홀이 형성된 제2 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 전에 상기 제1판 및 제2판을 정렬하여 사전 결합하기 위한 상기 상향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판은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판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인조잔디홀의 에지를 따라 상기 제1 판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서 상기 외벽과 사이에 소정의 굵기로 형성된 상기 제2 결합부 및 인조잔디를 같이 수용할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 및 상기 복수개의 핀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벽 또는 상기 외벽에 적어도 일단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 중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결합부를 상기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함께 상기 제2판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지반에 고정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부 중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부와 대응하지 않는 제1 결합부를 상기 지반에 고정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잔디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은 신축성 있는 판상 부재이고,
    상기 인조잔디가 수용되는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일부 공간의 깊이는 상기 외벽 및 내벽보다 깊게 형성되는 잔디블록.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를 덮는 보호 캡을 더 포함하는 잔디블록.
KR1020170119728A 2017-09-18 2017-09-18 인조잔디 블록 KR2017012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28A KR20170123584A (ko) 2017-09-18 2017-09-18 인조잔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28A KR20170123584A (ko) 2017-09-18 2017-09-18 인조잔디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389 Division 2016-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584A true KR20170123584A (ko) 2017-11-08

Family

ID=6038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28A KR20170123584A (ko) 2017-09-18 2017-09-18 인조잔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5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80B1 (ko) * 2020-06-22 2020-09-04 주식회사 공공스토리사업단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80B1 (ko) * 2020-06-22 2020-09-04 주식회사 공공스토리사업단 인조잔디식재 및 조립이 용이한 잔디보호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073B2 (en) Water-permeable ground grid for pavings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011907B1 (ko)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CA2523849C (en) Sports flo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ports floor
CN105121744A (zh) 互锁且减震的地砖***
HUT74233A (en) Structure of a walking surface for horses, in particular for a riding area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818870B2 (ja) 土砂又は植物の敷設ユニット
KR20150145681A (ko) 멀티기능을 가진 보도블록
KR20170123584A (ko) 인조잔디 블록
KR101405441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US10400417B1 (en) Ground stabilization grid
JP4407916B2 (ja) 路肩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1266A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축조방법
KR20150107437A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022495B1 (ko) 사면용 시공석 조립체
KR101597933B1 (ko) 쏘일시멘트층 미끌림 방지용 주름관을 이용한 사면 표층유실 방지공법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JP5651559B2 (ja) 緑化舗装材
KR20120064873A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1919923B1 (ko) 도로포장매트 및 도로포장구조체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