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86A -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86A
KR20230002186A KR1020220174453A KR20220174453A KR20230002186A KR 20230002186 A KR20230002186 A KR 20230002186A KR 1020220174453 A KR1020220174453 A KR 1020220174453A KR 20220174453 A KR20220174453 A KR 20220174453A KR 20230002186 A KR20230002186 A KR 2023000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mask body
vertica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에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에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에프엠
Priority to KR102022017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186A/ko
Publication of KR2023000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착용 시에 사용자의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스크 내측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바디, 마스크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DISPOSABLE MASK WITH A FRAME}
실시예들은 프레임(frame)이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내측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염병이나 미세먼지를 피하며 야외에서 활동하기 위한 마스크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위생이 중요해지면서 부직포를 사용한 일회용 마스크의 수요가 높다.
이와 같은 일회용 마스크는 크게 평면형 마스크와 컵 형상으로 미리 성형한 마스크, 3단 접 이식이나 새부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얼굴의 입체적 형상에 맞추는 다양한 마스크가 판매되고 있다.
이들 중에 평면형 마스크는 평면의 부직포 여러 겹 (통상 3겹)을 수평방향으로 주름을 여러 개 넣어서 제작하고 착용자가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주름이 얼굴에 맞추어 펴지면서 입체성을 갖고 안면부를 감싸게 된다. 평면형 마스크는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아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스크 형태 중의 하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평면형 마스크의 단점은 입체성을 단순히 주름이 펴지는 현상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마스크 내측이 얼굴 특히 코 및 입 주위에 쉽게 밀착하게 되어 숨을 쉴 경우 마스크 내측이 코와 입주위에 달라 붙어 호흡 저항이 증가하며 또한 호흡으로 인한 습기가 마스크 내부에 응결됨으로써 피부 트러블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마스크 내부에 프레임을 사용자가 설치하여 공간을 확보하며 호흡을 더욱 용이하게 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마스크 프레임을 마스크 착용 시 마다 매번 손으로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일부 모델은 매우 무거우며 착용 후 마스크 내부에서 이동함으로써 또 다른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와 입 주위에 매우 넓은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서 손 쉽게 호흡이 용이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는, 하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단포켓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바디; 마스크 바디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하단포켓부는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단포켓부는, 입구에서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융착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마스크 바디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은 하단포켓부에 삽입되는 하단부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바디는, 마스크 바디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마스크 바디의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의 주변에 마련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걸이부가 마련되는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 사이의 길이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전체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바디는, 마스크 바디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마스크 바디의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의 주변에 마련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걸이부가 마련되는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 사이의 길이는, 하단 부착부가 상기 하단 포켓부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직선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어 마스크의 착용을 돕는 상단융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단융착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고, 마스크 바디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이 접하는 것에 대응하여 마스크 바디가 휘어지게 하는 상단융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바디는 복수 개의 주름부를 가지고, 복수 개의 주름부는 서로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바디는 상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단포켓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상단은 상기 상단포켓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 시에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스크 내측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더 쾌적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펼치기 전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펼친 후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펼친 후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펼치기 전 마스크의 주름부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펼치기 전 마스크의 주름부가 일부 겹쳐진 상태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타 실시 예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 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펼치기 전 구성도를 예시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100)이 구비된 마스크(1)는 마스크 바디(10), 마스크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귀끈(20) 및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마스크 바디(10)는 부직포로 구성되며 통상 3겹(외피(11), 메인필터(12), 내피(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스크 바디(10)는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하면 얼굴의 윤곽에 맞추어 입체성이 나타나도록 생산 시 주름부(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주름부(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 바디(10)는, 마스크 바디(10)의 상단에 코에 마스크가 잘 밀착되도록 하는 코편(45)을 더 포함한다. 마스크 바디(10)는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단포켓부(50)를 더 포함한다. 하단포켓부(50)는 주름부(30) 중 하단의 한개를 사용하여 마스크 바디(10)를 구성하는 여러 겹의 부직포를 관통하여 융착됨으로써 포켓의 형태로 프레임(100)의 하단을 착용자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귀끈(20)은 끈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2 개의 귀끈(20) 각각은, 마스크 바디(10)의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의 주변에 부착되어 걸이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2 개의 귀끈(20) 각각은, 사용자가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를 착용 시,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귀끈(20)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성 또는 비탄성 소재를 포함하여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끈(20) 사이의 거리는 L3로 지칭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100)은 마스크를 펼치기 전에는 평면의 형태로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나 마스크를 펼치고 프레임(100)의 하단부착부(140)를 마스크 바디(10)의 하단포켓부(50)에 삽입하면 마스크 바디(10) 내부에 숨을 쉬기 편한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은 마스크 바디(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공간을 만들기 위한 수직프레임부(110)와 수평방향으로 공간을 만들기 위한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수직프레임부(110)는 마스크 바디(10)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다. 수직프레임부(110)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부(110)는 구부러지기 쉬운 재료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부(110)는 마스크 착용 시 마스크와 함께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에서 시작하여 턱 밑에 까지 이르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프레임부(110)는, 수직 방향의 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입체적인 마스크(1)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부(110)의 상단은 마스크(1) 생산 시 코편(45)에 중첩되거나 약간 하측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며 상단융착부(130)를 만들 수 있다. 수직프레임부(110)는 한 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호 교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한 사항은 도 6에서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수평프레임부(120)는 마스크 바디(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하는 프레임이다. 즉,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0°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90°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0°의 각도를 가지고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부(120)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하나의 수평프레임부(120)가 결합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부(1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부(120)가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복수 개가 결합된 경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수평프레임부(120)를 사이에 두고 수직프레임부(110)와 간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부(120)는 막대 형상과 이를 조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방사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수평프레임부(120)가 곧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방패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프레임부(120)는 호흡을 편안하게 돕기 위하여 수직프레임부(1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수평 공간의 확보의 견고함을 돕기 위하여 수직프레임부(1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부(120)는 마스크(1)의 수평 방향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는, 구부러지기 쉬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프레임부(120)는 수평방향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평프레임부(120)는, 수평 방향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마스크(1)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평프레임부(120)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 프레임부(110)를 두 개 이상 사용하여 그들을 교차시키거나 간격을 띄어서 배치함으로써 수평프레임부(120)의 역할을 대신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한 사항은 도 6에서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부(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부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착부(140)는 사용자가 마스크(1)를 사용할 때 마스크(1)를 펼친 후 마스크 바디(10)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포켓부(5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하단부착부(140)는 마스크 바디(10)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포켓부(5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스크(1)를 사용하기 전에 마스크 바디(10)를 펼치고 그 하단에 위치한 하단포켓부(50)에 하단부착부(140)를 삽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포켓부(50)는 마스크 바디(10) 전체에 프레임(100)의 하단부착부(14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00)은, 마스크 바디(10)와 더욱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하단포켓부(50)는, 운동을 하거나 말을 하며 몸 전체나 입 주위의 근육이 크게 흔들리는 경우에도 프레임(100)이 마스크 바디(10)로부터 떨어지거나 위치가 틀어져서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단포켓부(50)를 프레임(100)의 일측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하단포켓부(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단포켓부(50)는 마스크 바디(10)의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부착부(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포켓부(50)는 마스크 바디(10)의 하단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하단포켓부(50)는 마스크 바디(10)의 일측에 치우쳐서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마스크 바디(10)에 하나의 하단포켓부(50)가 마련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하단포켓부(50)는 복수 개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개수가 2 개인 경우, 프레임(100)을 각각 삽입하기 위하여 마스크 바디(10)에는 2 개의 하단포켓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도, 프레임(100)을 삽입하는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기 위하여, 마스크 바디(10)에 복수 개의 하단포켓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포켓부(50)는 융착선(5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융착선(51)은, 하단부착부(140)를 하단포켓부(50)에 용이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입구가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마름모 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융착선(51)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면 원형, 다각형 등 어떤 형태이어도 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평면의 형태로 되어 프레스 등의 공법으로 값싸게 제작하기 용이하며 일회용 마스크 바디(10)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쉽게 부착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다른 구부러지기 쉬운 재료로서 통상 마스크(1)의 코편(45)에 사용하는 것과 같이 유연한 플라스틱이나 플라스틱과 그 내부에 가는 철사가 삽입된 형태도 가능하다. 이 같은 재료는 롤(roll)이 회전하며 생산하는 공법을 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하단포켓부(50)에 장착하기 전에는 평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하단 포켓부(50)에 장착된 후에는 잘 휘어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호흡에 대하여, 호흡 압력을 견디면서 휘어짐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0)의 두께나 폭은 사용 용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어린이용이나 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스크에 마련되는 경우 좀 더 얇은 두께를 갖거나 또는 좀 더 가벼운 무게를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00)은 더 유연하게 잘 휘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스포츠 용이나 성인 용과 같이 큰 호흡압력을 요구하는 마스크에는 더 두꺼운 프레임(1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은, 생산 시 평면 형태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 전 마스크(1)와 연합하여 입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가지며, 적당한 호흡압력에도 그 입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춘 재료이면 어떤 재료 또는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즉, 프레임(100)은, 어떤 경우에도 기본적인 유연함이 유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두께, 재질, 무게를 갖는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를 펼치기 전 평면 형태의 수직프레임(110) 전체 길이는 L1으로 칭한다. 즉, L1은 수직 프레임(110)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펼친 후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1)(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마스크)는 마스크 바디(1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마스크 바디), 마스크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귀끈(2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귀끈) 및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0)(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100)의 하단 부착부(140)는, 완전히 펼쳐진 마스크 바디(10)의 하단에 위치한 하단 포켓부(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바디(10)의 주름부(30)가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바디(10)는, 내측에 프레임(100)이 휘어짐에 따라, 입체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휘어진 프레임(100)의 수직방향의 직선거리를 L2로 칭한다. L2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콧등에서 턱 부위까지의 직선 거리와 거의 같을 수 있다.
또한, L2는 귀끈 사이의 거리인 L3보다 크게 정한다. 즉, L2>L3 이므로 프레임(100)은 수직방향으로 좁아지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은, L2보다 작은 길이인 L3의 간격으로 귀끈(20)을 통해 당겨지는 장력을 마스크 바디(10) 및 주름부(30)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과 마스크 바디(10)는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마스크를 착용 후 숨을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프레임(100)이 마스크 바디(10) 내측으로 휘어지는 곡률은, L3를 L2에 비해 더 작아지게 함으로써, 더 커질 수 있다. 그러나, 곡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스크 바디(10)의 내측이 콧구멍이나 입에 닿지 않고 편안하게 숨을 쉴 수 있으며 외관 상의 미려함과 마스크(1)의 전체 밀폐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0)의 휘어지기 전 길이인 L1이 가장 길기 때문에 이들 길이(L1, L2, L3) 간의 관계는 L1>L2>L3의 부등식이 성립된다.
도 3은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를 펼친 후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1)(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마스크)는 마스크 바디(10)(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마스크 바디) 및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0)(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바디(10)는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주름부(30), 코편(45) 및 프레임(100)의 하단부착부(140)가 부착되는 하단포켓부(50)를 포함한다.
도 3의 주름부(30)는 마스크 바디(10)의 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서는, 마스크 바디(10)의 단면이 펼쳐진 상태로서 주름부(30)를 이루는 주름선들만 나타나있다. 주름부(30)가 펼쳐지고 그 내측에 장착된 프레임(100)은, 호흡 압력에도 불구하고 그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여 마스크 내피(13)가 사용자의 콧구멍이나 입술에 닿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부(110) 및 수직프레임부(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단융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프레임부(110)는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는 수직프레임(110)이 양 끝에서 압력을 고루 받을 때 자연스럽게 휘어지며 나타나는 단면의 형태인 원의 일부가 아니고, 코와 입술의 윤곽에 맞추어 비 원형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수직프레임(110)의 특정 위치에 구멍이나 홈을 마련하여 다른 부분보다 더욱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는 수직프레임(110)이 양 끝에서 압력을 받을 때 수직프레임(110)의 다른 부분보다 더욱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게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는, 프레임(10)이 휘는 것을 돕기 위하여 프레임(10)의 일부가 부재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 변형부(111)는, 구멍이 형성된 통공일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 변형부(111)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비통공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레임(10)의 일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의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10)의 일부에 대해 홈이 형성 되어 프레임(10)이 휘는 것을 돕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이때, 홈은 통공 및 비통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는 단면이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타원형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수직프레임 변형부(111, 112, 113)는, 수직프레임(110)이 코와 입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지게 하면서도 마스크 바디(10)의 외곽선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단융착부(130)는, 마스크(1) 생산 시, 수직프레임부(110)의 상단이 코편(45)에 중첩되거나 약간 하측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단융착부(130)는 통상 초음파를 이용하여 융착될 수 있다. 이때, 융착 시 압력이 가해지고 기구적 변형이 일어나는 방향을 마스크 외피(11) 방향으로 정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에너지가 외피(11)를 통해 수직프레임부(110)의 상단융착부(130)에 전해지면 순간적으로 수직프레임(110)의 표면은 일정 깊이로 고체가 액체로 변하며 융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0)의 상단융착부(130)가 마스크 바디(10)의 내피(13) 방향, 즉, 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같이 휘어진 수직프레임(110)은 착용 후 수직프레임(110)이 코에서 더욱 떨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착용 시 강한 호흡 압력으로 수직프레임(110)이 일부 코의 방향으로 휘어져도 코에 수직프레임(110)이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0)은, 수직프레임(110)이 코에 닿는 경우에도, 그 압력을 저감시켜 착용자의 콧등에 프레임(100)이 접촉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주는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상단융착부(130)는 안정적인 융착과 더불어 이와 같은 기구적 변형이 쉽게 일어나도록 수직프레임부(110) 상단부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 자 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상단포켓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단융착부(130)는 경우에 따라 상단포켓부로 프레임(100)을 마스크 바디(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상단포켓부는 하단포켓부(50)와 같은 형태로서, 위 아래가 바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상단포켓부는 입구가 넓고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마름모 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면 원형, 다각형 등 어떤 형태이어도 취할 수 있다.
이때 상단포켓부는 코편(45)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은, 프레임(100)의 상부를 상단포켓부에 삽입함으로써 마스크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1)는, 상단포켓부를 더 마련함으로써, 원가를 더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펼치기 전 마스크의 주름부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1)는 마스크 바디(10), 마스크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귀끈(20) 및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바디(10)는 마스크 바디(10)의 내부에 주름부(30), 코편(45) 및 하단포켓부(50) 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예들에 따른 주름부(30)는 하나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예시로서 마스크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하는 제1주름부(31), 두 번째에 위치하는 제2주름부(32) 및 세 번째에 위치하는 제3주름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2, 3주름부(31, 32, 33)는 외측주름선(311, 321, 331) 및 내측주름선(312, 322, 332)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예시로서 제1외측주름선(311)과 제2내측주름선(322) 사이의 거리 (d1) 및 제2외측주름선(321)과 제3내측주름선(332) 사이의 거리(d2)가 모두 0인 경우 제1주름부(31)와 제2주름부(32) 및 제3주름부(33)는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름이 잡히지 않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2, 3주름부들(31, 32, 33)의 접힌 상태에서의 거리는 각각의 외측주름선(311, 321, 331)과 내측주름선(312, 322, 332) 사이의 거리가 되며 이를 각각 T1, T2, T3으로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1, 2, 3주름부들(31,32,33)이 펼쳐졌을 때 거리는 3XT1, 3XT2, 3XT3로 T1, T2, T3의 3배씩 늘어나게 된다.
즉, 마스크 바디(1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2, 3주름부(31,32,33)의 총 거리는 d1=d2=0으로 가정한 경우 T1+T2+T3가 되며 마스크 바디(10)가 펼쳐졌을 때 제1, 2, 3주름부(31,32,33)의 총 거리는 3X(T1+T2+T3)가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부(30)는 제 3 주름부(33)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 4 주름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귀끈(20) 사이의 거리인 L3는 마스크 바디(1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2, 3주름부(31,32,33)의 총 거리, T1+T2+T3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다.
귀끈(20)은 끈 형상을 가지고 마스크 바디(10)의 일측의 상단의 모서리와 일측의 하단의 모서리의 주변에 부착되어 걸이부를 형성하므로 T1+T2+T3에 제4주름부(34)의 길이 T4를 더하고, 여기에 S1과 S2를 더하면 L3을 형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대로 L3를 줄여서 프레임(100)이 휘어지는 정도를 더욱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펼치기 전 마스크의 주름부가 일부 겹쳐진 상태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외측주름선(311)과 제2내측주름선(322) 사이의 거리(d3)가 0보다 큰 경우, 제1주름부(31)와 제2주름부(32)는 일부가 겹쳐질 수 있다.
즉, 마스크 바디(10)가 펼쳐졌을 때의 거리는 제1, 2, 3주름부(31,32,33)의 총 거리인 3X(T1+T2+T3)로서 동일하나, 마스크 바디(10)가 접힌 상태에서는, 제1, 2, 3주름부(31,32,33)의 총 거리는 T1+T2+T3 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즉, 주름부(30) 중 일부가 겹쳐짐으로써, L3는 더욱 작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100)은 더 휘어질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의 타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도 6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가 하나의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가 수직 프레임부(110)를 하나만 포함하는 경우, 원가를 극히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부(110)는 원가 절감을 더 극대화하기 위하여, 막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b)는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가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11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110)는 서로 0°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교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부(110)는, 수직 방향 외에 수평 방향으로도 입체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수직프레임부(110)는 원가 절감을 위하여 막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c)는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가 수직프레임부(110)와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프레임부(110)와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해 0°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스크(1)는, 수직프레임부(110)와 수직프레임부(110)를 가로질러 걸쳐있는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1)는, 하나의 수직프레임부(110)와, 수직프레임부(110)에 결합한 2 개의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 시에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d)는,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가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110) 및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110)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110)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부(120)는,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하여 0°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1)는, 2 개의 수직프레임부(110)와, 2 개의 수직프레임부(110)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프레임부(110)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갖는 수평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직프레임부(110)와 수평프레임부(120)는 서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1)는, 사용자가 마스크 착용 시에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스크 착용 시에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스크 내측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스크 착용 시에 코와 입 주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마스크 내측이 피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마스크
10: 바디
11: 외피
12: 메인필터
13: 내피
20: 귀끈
30: 주름부
31: 제1주름부
32: 제2주름부
33: 제3주름부
34: 제4주름부
45: 코편
50: 하단포켓부
51: 융착선
100: 프레임
110: 수직프레임부
111, 112, 113: 수직프레임 변형부
120: 수평프레임부
130: 상단융착부
140: 하단부착부
311: 제1내측주름선
312: 제1외측주름선
321: 제2내측주름선
322: 제2외측주름선
331: 제3내측주름선
332: 제3외측주름선

Claims (1)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바디;
    상기 주름부 중 하나에 형성되는 하단 포켓부; 및
    일단은 상기 마스크 바디의 상단에 중첩되고, 타단은 상기 하단 포켓부에 삽입되어 상기 마스크 바디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프레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일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0220174453A 2021-05-10 2022-12-14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KR20230002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453A KR20230002186A (ko) 2021-05-10 2022-12-14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293A KR20220152847A (ko) 2021-05-10 2021-05-10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0220174453A KR20230002186A (ko) 2021-05-10 2022-12-14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93A Division KR20220152847A (ko) 2021-05-10 2021-05-10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86A true KR20230002186A (ko) 2023-01-05

Family

ID=84029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93A KR20220152847A (ko) 2021-05-10 2021-05-10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KR1020220174453A KR20230002186A (ko) 2021-05-10 2022-12-14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93A KR20220152847A (ko) 2021-05-10 2021-05-10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152847A (ko)
WO (1) WO2022240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1802B1 (en) * 2022-08-17 2024-01-16 Integrated Pharma Services, Llc Pleating spacer and its use to provide improved facial masks and respira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65Y1 (ko) * 2005-12-30 2006-03-15 손세화 형성공간 고정지지체를 갖는 마스크
KR101932445B1 (ko) * 2017-03-16 2018-12-26 주식회사 에버그린 위생 마스크
JP3221798U (ja) * 2019-04-04 2019-06-20 株式会社パームデザイン マスク形状保持具及びマスク
JP3227129U (ja) * 2020-04-27 2020-08-06 有限会社板原金属 マスク用フレーム
JP3229358U (ja) * 2020-09-24 2020-12-03 株式会社藤本コーポレーション マスクシールおよびマスクシー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47A (ko) 2022-11-17
WO2022240034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6388B1 (en) Mask
KR100986665B1 (ko) 마스크
US11969611B2 (en) Face mask with supporting strip
JP7121965B2 (ja) マスク
KR101248351B1 (ko) 코 마스크
JP7264579B2 (ja) 使い捨てマスク
US20220007755A1 (en) Transparent and multi-faceted face mask
WO2011116173A2 (en) Mask with leak preventing section
KR20230002186A (ko)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KR101171703B1 (ko) 코주머니형 마스크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TW201318665A (zh) 摺疊式之立體口罩
KR20130040211A (ko) 입체 마스크
KR102095295B1 (ko) 착용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WO2011052454A1 (ja) マスク
KR102617198B1 (ko) 착용성이 개선된 입체형 마스크
JP2021179045A (ja) 口元空間を拡張させたマスク
KR102669719B1 (ko) 주름 방지부를 구비한 마스크
TWI767562B (zh) 口罩
TWI812303B (zh) 雙平面口罩
JP6928979B1 (ja) マスクカバー
KR102331044B1 (ko) 누설률을 개선시킨 평면형 마스크
KR102346193B1 (ko) 프레임이 구비된 마스크
CN212088206U (zh) 口罩
KR20220122463A (ko) 입체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