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843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843A
KR20220155843A KR1020210063631A KR20210063631A KR20220155843A KR 20220155843 A KR20220155843 A KR 20220155843A KR 1020210063631 A KR1020210063631 A KR 1020210063631A KR 20210063631 A KR20210063631 A KR 20210063631A KR 20220155843 A KR20220155843 A KR 2022015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upport
accommodating
packing mem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택
유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06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843A/ko
Publication of KR2022015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 연통공; 상기 하부 연통공을 덮게 배치되며, 상기 공간의 압력에 따라 연신되어 상기 하부 연통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패킹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을 연통하는 버퍼 공간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안착 방향과 무관하게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임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물질을 일컫는다. 화장품은 액상, 고상 또는 액상과 고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화장품은 용기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 운송 및 판매된다. 이때, 외부의 압력에 의해 용기가 형상 변형되거나 압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에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용기의 형상 유지를 위한 기체가 함께 수용된다. 상기 기체는 용기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압력을 인가하여, 용기가 원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기체는 온도, 압력 등 외부 환경의 요인에 의해 부피가 쉽게 변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용기가 생산된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 체류될 경우는 별론, 다른 환경에 체류될 경우 내부에 수용된 기체가 초기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다.
또한, 용기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동됨에 따라,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가 새로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체 역시 용기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을 용기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용기가 외측을 향해 지속적인 외력을 받게 됨에 따라 용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에 의한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동시에, 화장품의 수용 및 오염 방지라는 용기 본연의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화장품이 수용된 용기 내부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66561호는 누설 방지 및 공기차단형 화장품 용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형상 변화되어 탄성개폐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탄성캡을 구비하여, 화장품 용기 내부와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화장품 용기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화장품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정립되어 있는 경우는 별론, 화장품 용기가 눕혀진 경우, 화장품에 의해 상기 유로가 폐쇄되거나 상기 유로를 따라 화장품이 누설될 염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16719호는 화장품용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용기가 펌핑 조작되는 경우에만 용기에 저장된 액상 화장품이 압출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용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의 압출에 대해서만 고려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화장품용기의 내부에 체류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66561호 (2008.11.0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916719호 (2009.09.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운송 등의 과정에서 발생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되, 외부의 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임의 유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가 지면 등에 안착된 방향과 무관하게 발생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시 화장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 연통공; 상기 하부 연통공을 덮게 배치되며, 상기 공간의 압력에 따라 연신되어 상기 하부 연통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패킹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을 연통하는 버퍼 공간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에 덮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패킹 부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통공은 상기 패킹 부재 가압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공간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수용 부재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버퍼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수용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몸체를 형성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 부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버퍼 공간부, 상기 하부 연통공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용기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하는 내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하는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나선부와 나사 결합되는 지지 나선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나선부 상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맞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나선부 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맞춤 홈에 삽입되는 맞춤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고, 내부에 상기 하부 연통공 및 상기 버퍼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버퍼 공간부와 각각 연통되는 상부 연통공이 내부에 관통 형성된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패킹 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패킹 부재를 지지하는 패킹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에 덮이며, 그 내부에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패킹 부재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패킹 부재 지지부는, 상기 패킹 부재 가압부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공간부의 부피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의 부피의 합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의 부피의 51%를 초과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부재가 눕혀질 경우,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가 상기 버퍼 공간부로 유입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공간부로 유입된 상기 화장품의 표면은, 상기 하부 연통공의 중심축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화장품은 수용 부재의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다.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는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에는 상부 연통공이, 하부 하우징에는 하부 연통공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에는 수용 부재의 수용 공간부 및 하부 연통공과 각각 연통되는 공간인 버퍼 공간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에 수용 및 발생된 기체는 버퍼 공간부를 통해 하부 연통공 및 상부 연통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캡 부재에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하부 연통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게 구성되는 패킹 부재가 구비된다. 패킹 부재는 하부 연통공을 덮어 밀폐하도록 배치되고,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패킹 부재 지지부에 의해 하부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부 하우징에는 상부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돌출된 패킹 부재 가압부가 형성된다. 하부 연통공은 패킹 부재 가압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패킹 부재는 패킹 부재 가압부를 덮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신된 상태로 하부 연통공을 덮게 배치된다.
즉, 패킹 부재는 패킹 부재 가압부에 의해 상측을 향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로 패킹 부재 가압부 및 하부 연통공을 덮게 되고, 상기 상태는 패킹 부재 지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패킹 부재는 하측, 즉 패킹 부재 가압부 및 하부 연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하부 연통공을 덮게 되어, 하부 연통공이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에서 기체가 발생되어 압력이 증가된 경우, 기체는 튜브 중공부를 통과하여 하부 연통공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체에 의한 압력이 증가되어 패킹 부재의 복원력을 초과하게 되면, 패킹 부재가 상기 기체에 의해 상측으로 연신되며 하부 연통공이 개방된다.
따라서, 패킹 부재는 수용 공간부에서 발생된 기체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수용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이때, 기체의 유로는 수용 공간부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생성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의 공기는 하부 연통공으로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수용 공간부에서 발생된 기체는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에는 수용 부재의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는 공간인 버퍼 공간부가 형성된다. 화장품 용기가 횡립, 즉 눕혀질 경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는 버퍼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다.
버퍼 공간부에는 지지 부재가 수용된다. 지지 부재의 내부에는 버퍼 공간부 및 수용 공간부와 각각 연통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된다. 화장품 용기가 횡립, 즉 눕혀질 경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 또는 기체는 삽입 공간부(즉, 버퍼 공간부의 내부에 수용되는)로 유입될 수 있다.
삽입 공간 부는 상부 연통공 및 하부 연통공과 각각 연통된다. 삽입 공간부로 유입된 기체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패킹 부재가 연신됨에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용 부재가 정립, 즉 세워진 경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기체와 접촉되는 부분, 즉 화장품의 수면은 수용 부재의 수용 개구부의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상태에서, 화장품은 버퍼 공간부 또는 삽입 공간부로 유동되지 않는다.
수용 부재가 횡립, 즉 눕혀진 경우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는 수용 개구부를 통해 버퍼 공간부 또는 삽입 공간부로 유동된다. 이때, 화장품의 수면은 상부 연통공 및 하부 연통공의 중심축에 비해 하측에 위치된다. 즉, 버퍼 공간부 또는 삽입 공간부로 유입된 화장품의 수면은 상부 연통공 및 하부 연통공과 이격되어, 상부 연통공 또는 하부 연통공으로 유입되거나 이들과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 부재가 지면에 놓인 상태와 무관하게 수용 부재에 수용된 화장품이 임의 유출되지 않고, 생성된 기체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장품 용기에는 스포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스포이드 부재는 캡 부재가 탈거된 후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포이드 부재는 수용 공간부로 연장되어, 그 하측 단부가 수용 공간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가압 조작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가압부가 누름 조작되면, 연장부를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수용 공간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포이드 부재를 누름 조작하여 화장품을 용이하고도 정확한 양만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부재에 구비되는 캡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a), A-A 단면도(b) 및 B-B 단면도(c)이다.
도 7은 도 6의 캡 부재에 구비되는 외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다른 각도의 사시도(b)이다.
도 8은 도 6의 캡 부재에 구비되는 탄성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캡 부재에 구비되는 제1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다른 각도의 사시도(b)이다.
도 10은 도 6의 캡 부재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a) 및 다른 각도의 사시도(b)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화장품"이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유체를 의미한다. 상기 유체는 액체 또는 고체를 포함하는 액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에 의해 내압이 변화될 경우, 외부와 연통되어 발생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압이 변화되지 않은 경우,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수용된 화장품이 임의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내압이 변화되어 화장품 용기(1)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는 경우에도, 발생된 기체는 외부로 배출되되 수용된 화장품은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화장품 용기(1)의 각 구성 요소는 경량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운송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화장품 용기(1)의 각 구성 요소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화장품 용기(1)는 수용 부재(10) 및 캡 부재(20)를 포함한다.
(1) 수용 부재(10)의 설명
수용 부재(10)는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한다. 수용 부재(10)에 수용된 화장품은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용 부재(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용 부재(10)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부(15)가 형성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부재(10)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15)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 부재(10)의 형상은 화장품을 수용하고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용 부재(10)는 캡 부재(2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화장품 용기(1)가 운반 또는 이동되는 경우, 수용 부재(10)는 캡 부재(20)와 결합되어 화장품의 임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가 사용되는 경우, 후술될 스포이드 부재(600)가 결합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의 화장품을 용이하게 추출하여 피부 등에 도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부재(10)는 직립(stand)되어 사용됨을 전제한다. 다만, 후술될 바와 같이, 운송 및 보관 중 의도치 않게 수용 부재(10)가 눕혀지는(lie down)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화장품의 임의 누설을 방지하되 발생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각 부재는 캡 부재(20)에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부재(10)는 본체(11), 넥부(12), 수용 나선부(13), 수용 개구부(14), 수용 공간부(15) 및 수용 경사부(16)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수용 부재(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본체(11)의 내부에는 공간(즉, 수용 공간부(15))가 수용되어,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다.
본체(11)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크기만큼 내압이 변화되는 경우 형상 변형되며 변화된 압력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의 내부에는 수용 개구부(14), 수용 공간부(15) 및 수용 경사부(16)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본체(1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본체(11)의 형상은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넥부(12)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의 상부는 넥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사상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은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따라 원활하게 수용 개구부(14)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1)는 넥부(12)와 연속된다.
넥부(12)는 수용 부재(10)가 캡 부재(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넥부(12)는 캡 부재(2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넥부(12)는 본체(11)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넥부(12)는 본체(11)가 연장되는 방향의 단부 중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넥부(1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넥부(12)의 단면의 직경은 본체(1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와 넥부(12)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방사상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이 형성된다.
넥부(12)의 외주면에는 수용 나선부(13)가 형성된다.
수용 나선부(13)는 캡 부재(20)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500)가 결합된다. 수용 나선부(13)는 넥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나선(spiral)의 형태로 넥부(12)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수용 나선부(13)는 지지 부재(500)의 용기 지지부(57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도면 부호 미부여)와 나사 결합된다.
수용 개구부(14)는 수용 부재(1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로 기능된다. 수용 개구부(14)는 수용 공간부(15)와 수용 부재(10)의 외부를 연통한다.
수용 개구부(14)는 넥부(12)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수용 개구부(14)는 넥부(12)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넥부(12)의 단면은 내부에 수용 개구부(14)가 관통 형성된 환형(ring shape)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수용 개구부(14)의 상측은 외부와 연통된다. 수용 개구부(14)의 하측은 수용 공간부(15)와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5)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화장품은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상태로 운송되어 수요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15)에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기체 또한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15)는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부(15)의 수평 방향 및 하측은 본체(11)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부(15)는 수용 개구부(14)와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은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화장품은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15)의 일부,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부(15)의 상측 부분(즉, 화장품이 수용되지 않은 공간)은 캡 부재(20)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부(15)는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튜브 중공부(630)를 통해 상부 연통공(120), 하부 연통공(350), 버퍼 공간부(360), 삽입 공간부(520) 및 용기 삽입부(56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부(15)에서 형성된 기체,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등이 수용 부재(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용 공간부(15)는 수용 경사부(16)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수용 경사부(16)는 본체(11)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또한, 수용 경사부(16)는 수용 공간부(15)를 외측에서 둘러싼다.
수용 경사부(16)는 본체(1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경사부(16)는 상측으로 갈수록 방사상 외측을 향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방사상 내측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15)의 단면의 직경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수용 공간부(15)에 형성된 화장품은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 경사부(16)를 따라 수용 개구부(14)를 향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2) 캡 부재(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캡 부재(20)를 포함한다.
캡 부재(20)는 수용 부재(1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 부재(10)를 밀폐한다. 따라서, 수용 부재(10)에 화장품이 수용된 후 캡 부재(20)가 결합되면, 화장품 용기(1)가 이동되거나 보관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수용된 화장품이 임의 누설되지 않게 된다.
또한, 캡 부재(20)는 그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공간은 수용 부재(10)의 수용 공간부(15)와 연통되어, 수용 공간부(15)에서 발생된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로 기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캡 부재(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캡 부재(20)의 단면의 직경은 수용 부재(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 부재(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캡 부재(20)는 상부 하우징(100), 패킹 부재(200), 하부 하우징(300),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캡 부재(20)는 스포이드 부재(600)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상부 하우징(100)은 수용 부재(10)에 반대되는 캡 부재(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100)은 캡 부재(20)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상부 하우징(100)은 하부 하우징(300)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300)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하부 하우징(300)의 하부 넥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0)은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 하우징(300)과 결합된다. 상기 공간에는 패킹 부재(200)가 형상 변형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하우징(10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00)의 단면의 직경은 하부 하우징(30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하우징(100)은 상부 몸체(110), 상부 연통공(120), 패킹 부재 지지부(130), 상부 공간부(140) 및 제한 돌출부(15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110)는 상부 하우징(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몸체(110)는 상부 하우징(100)의 몸체를 형성하여, 상부 하우징(100)의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다.
상부 몸체(1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상부 몸체(110)의 외주는 수용 부재(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부 몸체(110)의 상측 면 및 그 외주면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의 일부에는 패킹 부재(200)가 형상 변형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부 연통공(120)이 형성된다.
상부 연통공(120)은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연통공(120)은 상부 하우징(100)의 상측과 상부 공간부(140)를 연통한다. 수용 공간부(15)에 체류되던 기체는 상부 공간부(140) 및 상부 연통공(1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연통공(120)은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연통공(12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부 몸체(1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나, 그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연통공(120)은 단수 개 형성되나, 상부 연통공(12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통공(120)과 연통되는 상부 공간부(140)의 내부에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가 구비된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공간부(140) 및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된 패킹 부재(200)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수용 공간부(15)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에 의한 상측으로의 패킹 부재(200)가 임의 요동되지 않을 수 있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의 하측 단부는 패킹 부재(200)에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몸체(11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의 단면의 직경은 패킹 부재(20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패킹 부재(20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몸체(110)의 상면의 내측에서 패킹 부재(200) 또는 하부 하우징(3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몸체(110)의 내주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와 상부 몸체(110)의 외주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하부 하우징(300)의 하부 넥부(320)가 수용된다.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상부 공간부(140)를 둘러싼다.
상부 공간부(140)는 수용 부재(10)의 내압에 의한 패킹 부재(200)의 형상 변형을 완충한다. 달리 표현하면, 상부 공간부(140)는 패킹 부재(200)가 형상 변형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된다.
상부 공간부(140)는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공간부(140)는 상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인 상부 공간부(140)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임이 이해될 것이다.
상부 공간부(140)에는 패킹 부재(2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는 상태이므로, 패킹 부재(200)는 상부 공간부(140)에 수용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수용 부재(10)의 내압에 의해 연신(elongation)될 수 있다.
상부 공간부(140)는 상부 연통공(120)과 연통된다. 상부 공간부(140)로 유입된 기체, 즉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는 상부 공간부(140)를 통과하여 상부 연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공간부(1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300)의 패킹 부재 수용부(330)와 연통된다.
상부 공간부(14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제한 돌출부(150)가 구비된다.
제한 돌출부(150)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 패킹 부재(200)가, 상측으로 이동 또는 연신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제한 돌출부(150)가 구비됨에 따라, 패킹 부재(200)가 이동 또는 연신되어 외부와 수용 공간부(15)를 연통하되, 패킹 부재(200)가 상부 연통공(120)을 폐쇄하지 않게 된다.
제한 돌출부(150)는 상부 공간부(140)의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한 돌출부(150)는 상부 공간부(140)를 상측에서 둘러싸는 상부 몸체(110)의 내면에서 하부 하우징(3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한 돌출부(150)는 그 단면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공간부(14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 및 제한 돌출부(150)에 둘러싸인 공간 및 제한 돌출부(15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한 돌출부(150)의 단면의 직경은 패킹 부재 지지부(13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한 돌출부(150)의 단면의 직경은 패킹 부재(20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한 돌출부(150)는 패킹 부재(200)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에서,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되, 제한 돌출부(150)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수용 부재(10)의 내압에 의해 패킹 부재(200)가 연신될 때, 패킹 부재(200)의 방사 방향은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므로, 패킹 부재(200)는 제한 돌출부(150)를 향해 이동된다.
패킹 부재(200)가 소정의 길이만큼 연신되면(즉, 소정의 거리만큼 제한 돌출부(150)를 향해 이동되면), 제한 돌출부(150)와 패킹 부재(200)가 접촉되어 패킹 부재(200)가 추가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킹 부재(200)가 연신되더라도 상부 연통공(120)이 폐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압의 상승을 유발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는 내압의 변화에 따라 연신되어, 수용 부재(10)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거나 폐쇄한다. 패킹 부재(200)가 구비됨에 따라, 수용 부재(10)에 수용된 화장품은 외부로 임의 누설되지 않으면서도, 발생된 기체는 외부로 배출되어 수용 부재(10)가 과압에 의해 손상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이용하여 형상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20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는 상부 하우징(100) 및 하부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된다. 패킹 부재(200)는 하부 하우징(300)의 내부에 형성된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되되, 패킹 부재 지지부(130) 및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가압 및 지지된다.
즉, 도 6의 (b)를 참조하여 그 단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패킹 부재(200)의 외주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지지된다. 패킹 부재(20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으로 갈수록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패킹 부재(200)는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10) 내부의 기체가 배출될 때, 패킹 부재(200)의 외주 부분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되, 패킹 부재(200)의 내부, 즉 그 중심으로부터 패킹 부재 지지부(130)의 방사상 내측 사이의 부분이 연신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상측에는 제한 돌출부(150)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패킹 부재(200)가 연신되었을 때 이동되는 한계 거리에 대응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되어, 수용 부재(10)의 내압에 따라 연신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20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패킹 부재(200)의 단면의 직경은 패킹 부재 수용부(330)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형상 변형된 상태로 수용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200)의 외주는 패킹 부재 수용부(330)를 둘러싸는 하부 넥부(320)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된다. 이때, 패킹 부재(200)는 하부 연통공(350)을 덮으며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안착된다. 패킹 부재(200)의 외주에 인접한 부분은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하측을 향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200)는 패킹 몸체(210) 및 패킹 관통공(220)을 포함한다.
패킹 몸체(210)는 패킹 부재(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패킹 몸체(21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연신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몸체(2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나, 그 형상은 패킹 부재 수용부(33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패킹 몸체(210)의 내부에는 패킹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패킹 관통공(220)은 패킹 몸체(2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패킹 관통공(220)은 패킹 몸체(210)가 연신됨에 따라 발생되는 부피 증가분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 부재(200)는 제한 돌출부(150)를 향해 상측으로 연신되되, 방사 방향으로의 연신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패킹 관통공(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패킹 관통공(22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패킹 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관통공(220)은 네 개 형성되어, 그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패킹 몸체(210)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하부 하우징(300)은 상부 하우징(100)과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결합되어, 패킹 부재(200)를 수용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300)은 지지 부재(500)와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300)은 상부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하우징(300)의 하부 넥부(32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 몸체(110)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 결합된다.
하부 하우징(3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100)의 패킹 부재 지지부(130)는 하부 하우징(300)의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된다. 하부 하우징(300)의 상기 내부의 공간에는 패킹 부재(200)가 연신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하우징(300)은 패킹 부재(200)가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상 변형된 상태로 지지한다. 이는 하부 하우징(300)의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달성된다.
하부 하우징(300)은 수용 공간부(15)와 상부 공간부(140)를 연통한다. 이는 하부 하우징(30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하부 연통공(350)이 패킹 부재(200)에 의해 개방되어 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00)은 가스켓 부재(400)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켓 부재(400)는 하부 하우징(300)의 내부에 형성된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된다.
하부 하우징(300)은 지지 부재(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500)는 버퍼 공간부(360)에 탈거 가능하게 수용되어, 하부 하우징(300)과 결합된다. 이때, 하부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부 나선부 및 지지 부재(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 나선부(530)가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하우징(300)은 하부 몸체(310), 하부 넥부(320), 패킹 부재 수용부(330), 패킹 부재 가압부(340), 하부 연통공(350), 버퍼 공간부(360), 하부 나선부(370) 및 맞춤 홈(380)을 포함한다.
하부 몸체(310)는 하부 하우징(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몸체(310)는 하부 하우징(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하부 몸체(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가 수용된다. 상기 공간은 수용 공간부(15)와 연통되는 버퍼 공간부(36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몸체(310)는 수용 부재(1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몸체(31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하부 몸체(310)는 상부 하우징(1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부 몸체(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도 9b 참조). 상기 공간에는 상술한 구성 요소 중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몸체(310)의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내주면 중 일부에는 나사산인 하부 나선부(370)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지지 부재(500)의 지지 나선부(530)와 나사 결합된다.
하부 몸체(310)의 상측에는 하부 넥부(320)가 형성된다.
하부 넥부(320)는 하부 하우징(300)이 상부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하부 넥부(3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 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넥부(320)는 환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실린더(cylinder) 형상이다. 하부 넥부(320)의 단면의 외경은 하부 몸체(310)의 단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300)이 결합되면, 상부 하우징(100)과 하부 하우징(300)의 외주면은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넥부(3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패킹 부재(200)가 연신 가능하게 수용되는 바, 상기 공간은 패킹 부재 수용부(330)로 정의될 수 있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패킹 부재(200)가 연신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그 하측이 하부 몸체(310)에 감싸지고, 방사 방향으로 하부 넥부(32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상부 하우징(100)의 상부 공간부(140) 및 하부 연통공(350)과 연통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는 하부 연통공(350) 및 패킹 부재 수용부(3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 공간부(140)로 유동될 수 있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의 단면의 직경은 패킹 부재(200)의 단면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경의 차이가 패킹 부재 가압부(340)의 존재에 기인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는 제한 돌출부(15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가 위치된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패킹 부재(20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패킹 부재(200)를 소정의 복원력을 저장하며 상측으로 볼록하도록 형상 변형시킨다. 따라서,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그 중심부가 상측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그 외주 부분이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하측을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패킹 부재(200)가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패킹 부재 수용부(330)를 하측에서 감싸는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몸체(310)의 상측 면에서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그 돌출 길이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낮아지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그 중심의 높이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된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는 패킹 부재(200)가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패킹 부재 가압부(340)는 상부 하우징(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의 형상은 패킹 부재(200)를 지지하고 가압하여 패킹 부재(20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패킹 부재 수용부(330)에 수용된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가압부(340)와 제한 돌출부(150) 사이에서 연신되어 이동됨에 이해될 것이다.
패킹 부재 가압부(340)의 내부에는 하부 연통공(350)이 관통 형성된다.
하부 연통공(350)은 수용 부재(10)의 수용 공간부(15)와 패킹 부재 수용부(330)를 연통한다. 수용 공간부(15)에서 발생된 기체는 하부 연통공(350)을 통과하여 패킹 부재 수용부(330)로 유동될 수 있다. 패킹 부재 수용부(330)는 상부 공간부(140)와 연통되어, 유입된 기체는 화장품 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연통공(350)은 패킹 부재 가압부(34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연통공(350)은 하부 몸체(310) 및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관통 형성된다. 하부 연통공(350)은 하부 몸체(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연통공(350)은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개방 형성된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통공(350)의 상측 단부는 개방 형성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통공(350)의 하측 단부 또한 개방 형성되어 버퍼 공간부(360)와 연통된다.
즉, 하부 연통공(350)은 패킹 부재 수용부(330)와 버퍼 공간부(360)를 연통하는 통로로 기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킹 부재(200)는 하부 연통공(350)을 덮으며 패킹 부재 가압부(340)에 안착된다. 따라서, 수용 부재(1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패킹 부재(200)는 하부 연통공(35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패킹 부재 수용부(330)와 버퍼 공간부(360)의 연통이 차단되어, 결과적으로 수용 공간부(15)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수용 부재(10)의 내부 압력이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어 화장품의 유동에 의해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가 발생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된 경우, 발생된 기체는 하부 연통공(350)으로 유입되어 패킹 부재(200)를 가압한다.
발생된 기체가 패킹 부재(200)를 가압하는 힘이 패킹 부재(200)에 저장된 복원력을 초과될 경우, 패킹 부재(200)는 상측으로 연신되며 하부 연통공(350)의 상측 단부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패킹 부재 수용부(330)와 버퍼 공간부(360)가 연통되어, 결과적으로 수용 공간부(15)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버퍼 공간부(360)는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기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버퍼 공간부(360)는 하부 몸체(310)의 내주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버퍼 공간부(360)는 하부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버퍼 공간부(360)는 하부 넥부(320)에 반대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버퍼 공간부(36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으로 형성된다. 버퍼 공간부(360)의 상측은 하부 연통공(350)과 연통된다. 하부 연통공(350)의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의 지지 몸체(510)가 수용될 수 있다.
버퍼 공간부(360)는 수용 공간부(15)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버퍼 공간부(360)는 지지 부재(500)의 삽입 공간부(520) 및 용기 삽입부(560)를 통해 수용 공간부(15)와 연통된다.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기체는 화장품 용기(1)의 거치 상태에 따라 버퍼 공간부(360)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용기(1)의 거치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화장품의 임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 나선부(370)는 버퍼 공간부(36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또한, 하부 나선부(370)는 지지 부재(500)의 지지 나선부(530) 가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다.
하부 나선부(370)는 하부 몸체(3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하부 나선부(370)는 하부 몸체(310)의 내주면의 하측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하부 나선부(370) 상에는 맞춤 홈(380)이 형성된다.
맞춤 홈(380)은 지지 부재(500)의 맞춤 돌기(540)가 삽입 결합되는 공간이다. 하부 하우징(300) 및 지지 부재(500)는 맞춤 돌기(540)가 맞춤 홈(380)에 삽입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맞춤 돌기(540)가 맞춤 홈(380)에 삽입됨에 따라, 하부 하우징(300)과 지지 부재(50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임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맞춤 홈(380)은 하부 몸체(31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맞춤 홈(380)은 하부 몸체(310)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 나선부(370) 상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맞춤 홈(380)은 지지 부재(500)를 향하는 일측, 즉 하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맞춤 돌기(54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맞춤 홈(380)의 형상은 맞춤 돌기(54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스켓 부재(400)는 지지 부재(500)와 수용 부재(10)의 밀폐 결합을 유지한다.
가스켓 부재(400)는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된다. 또한, 가스켓 부재(400)는 버퍼 공간부(360)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500)의 용기 지지부(570)가 관통 결합된다. 가스켓 부재(400)는 용기 지지부(570)와 넥부(12) 사이에 위치되어, 용기 지지부(570)와 넥부(12)에 의해 각각 압착된다.
즉, 가스켓 부재(400)는 수용 부재(10)와 캡 부재(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공기는 버퍼 공간부(360)로 진입될 뿐, 용기 삽입부(560) 등 다른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장품 또는 공기의 임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가스켓 부재(400)는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어 압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켓 부재(400)는 고무 소재로 형성된 가스켓(gaske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스켓 부재(400)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외주가 원형인 환형으로 형성된다. 가스켓 부재(400)의 외주는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된다. 가스켓 부재(400)의 상기 관통공에는 지지 보스부(550)가 관통 결합된다.
가스켓 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외주의 직경은 지지 보스부(550)의 외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 부재(400)의 외주의 직경은 버퍼 공간부(360)의 외주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 부재(400)의 내주의 직경은 지지 보스부(550)의 외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 부재(400)는 지지 보스부(550)에 끼움 결합되며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500)와 수용 부재(10) 간의 기밀성 있는 결합이 보장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캡 부재(20)가 수용 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지지 부재(500)는 수용 공간부(15)를 버퍼 공간부(360)와 연통한다.
지지 부재(500)는 수용 부재(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500)는 수용 부재(1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용기 지지부(57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수용 나선부(13)가 나사 결합되어 달성된다.
지지 부재(500)는 가스켓 부재(4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500)의 지지 보스부(550)는 가스켓 부재(40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에 관통 결합된다.
지지 부재(500)는 하부 하우징(3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500)는 하부 하우징(300)의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500)는 버퍼 공간부(360)에 완전히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하부 하우징(300)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500)는 하부 하우징(30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지지 나선부(530)가 하부 나선부(370)와 나사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500)는 지지 몸체(510), 삽입 공간부(520), 지지 나선부(530), 맞춤 돌기(540), 지지 보스부(550), 용기 삽입부(560) 및 용기 지지부(570)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510)는 지지 부재(5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몸체(510)는 그 외주가 원호 형상이며, 내부에 공간, 즉 삽입 공간부(520)가 형성된다. 즉, 지지 몸체(510)는 그 단면이 환형이며,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510)의 연장 길이, 즉 상하 방향의 길이는 버퍼 공간부(360)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500)는 버퍼 공간부(36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지지 몸체(510)는 하부 하우징(3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510)는 버퍼 공간부(36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몸체(510)의 외주는 버퍼 공간부(360)를 둘러싸며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된다.
따라서, 캡 부재(20)가 조립되었을 때, 버퍼 공간부(360)는 그 상측은 하부 몸체(310)에 둘러싸이고, 수평 방향은 지지 몸체(510)의 외주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 몸체(510)의 내부에는 삽입 공간부(520)가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520)는 지지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삽입 공간부(520)는 수용 공간부(15) 및 버퍼 공간부(360)와 각각 연통된다.
삽입 공간부(520)는 상하 방향으로 버퍼 공간부(36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0)가 버퍼 공간부(360)에 수용되면, 삽입 공간부(520)는 버퍼 공간부(360)와 연통되게 겹쳐진다.
삽입 공간부(520)는 지지 몸체(5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공간부(520)는 지지 몸체(51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어,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에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52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삽입 공간부(520)의 단면의 직경은 버퍼 공간부(360)의 단면의 직경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520)에는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 또는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공간부(520)는 버퍼 공간부(360)의 내부에 위치되어 서로 연통되므로, 화장품 및 기체는 버퍼 공간부(360)에 유입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 공간부(520)의 상측, 즉 상부 하우징(100)을 향하는 일 측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삽입 공간부(520)의 하측, 즉 수용 부재(10)를 향하는 타 측 또한 개방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520)는 용기 삽입부(560) 및 수용 공간부(15)와 각각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520)는 지지 경사부(521)를 포함한다.
지지 경사부(521)는 삽입 공간부(520)를 외측에서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경사부(521)는 삽입 공간부(520)를 둘러싸는 지지 몸체(510)의 내주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 경사부(521)는 지지 몸체(5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다. 수평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마주하는 지지 경사부(521) 사이의 거리는 수용 부재(1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되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경사부(521)는 그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방사상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삽입 공간부(520)로 유동된 화장품 또는 기체는, 화장품 용기(1)가 직립되면 지지 경사부(521)를 따라 유동되며 다시 수용 공간부(15)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지지 나선부(530)는 지지 부재(500)와 하부 하우징(300)을 결합시킨다. 지지 나선부(530)에 의해, 지지 부재(500)와 하부 하우징(300)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나선부(530)는 하부 하우징(300)의 하부 나선부(37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나선부(530)는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나선부(530)는 지지 몸체(51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지지 나선부(530)의 형상 및 위치는 하부 나선부(370)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나선부(530) 상에는 맞춤 돌기(540)가 형성된다.
맞춤 돌기(540)는 하부 하우징(300)의 맞춤 홈(380)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하부 하우징(300) 및 지지 부재(500)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하부 하우징(300) 및 지지 부재(500)가 서로에 대해 임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맞춤 돌기(540)는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 맞춤 돌기(540)는 지지 나선부(530) 상에서 방사상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맞춤 돌기(540)는 지지 몸체(5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맞춤 돌기(540)의 연장 길이는 맞춤 홈(380)의 연장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맞춤 돌기(540)의 위치 및 형상은 맞춤 홈(38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550)는 가스켓 부재(400)와 결합되어, 수용 부재(10)의 넥부(12)를 지지한다. 지지 보스부(550)에 의해, 수용 부재(10)가 지지 부재(500)에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550)는 삽입 공간부(520)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보스부(550)는 지지 몸체(510)의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지지 보스부(550)는 지지 몸체(51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지지 보스부(550)는 지지 몸체(5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 보스부(550)는 삽입 공간부(5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부(520)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지지 보스부(550)는 가스켓 부재(4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보스부(550)는 가스켓 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보스부(550)는 가스켓 부재(4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550)에 결합된 가스켓 부재(400)는 수용 부재(10)의 넥부(12)의 상측 면에 압착되어, 수용 부재(10)를 지지한다.
지지 보스부(550)의 방사상 내측에는 삽입 공간부(520)와 연통되는 중공(hollow)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상측은 개방되어 삽입 공간부(520)와 연통된다. 상기 중공의 하측 또한 개방되어 용기 삽입부(560)와 연통된다.
지지 보스부(550)의 하측에는 용기 삽입부(560)가 형성된다.
용기 삽입부(560)는 수용 부재(10)의 넥부(12)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용기 삽입부(560)는 지지 보스부(550) 및 용기 지지부(57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용기 삽입부(560)는 버퍼 공간부(360) 및 삽입 공간부(5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용기 삽입부(560)는 버퍼 공간부(360) 및 삽입 공간부(520)와 각각 연통된다. 용기 삽입부(560)에 수용된 수용 부재(10)의 수용 공간부(15)는 지지 보스부(55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중공을 통해 버퍼 공간부(360) 및 삽입 공간부(52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용기 삽입부(560)의 상측은 지지 보스부(55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용기 삽입부(560)의 방사상 외측은 용기 지지부(570)에 의해 둘러싸인다.
용기 지지부(570)는 용기 삽입부(560)에 수용된 수용 부재(10)의 넥부(12)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서 지지한다. 용기 지지부(570)는 지지 부재(500)가 수용 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용기 지지부(570)는 지지 보스부(55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용기 지지부(570)는 용기 삽입부(56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용기 지지부(570)는 용기 삽입부(560)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용기 지지부(570)는 환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용기 지지부(570)는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용기 지지부(570)는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과 이격 배치된다. 용기 지지부(570)와 지지 몸체(51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수용 부재(10)가 결합됨에 따른 용기 지지부(570)의 형상 변경을 위한 완충 공간으로 기능될 수 있다.
용기 지지부(570)는 지지 몸체(5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용기 지지부(570)의 상측 단부는 삽입 공간부(520)를 하측에서 둘러싸는 지지 몸체(510)의 내면과 연속된다. 용기 지지부(570)의 하측 단부는 지지 몸체(510)의 하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
용기 지지부(57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수용 부재(10)의 수용 나선부(13)와 나사 결합된다. 즉, 용기 지지부(570)의 상기 나사산은 지지 부재(500)와 수용 부재(10)를 결합시킨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효과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버퍼 공간부(360)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300)을 포함하여, 수용 부재(10)가 놓인 상태, 즉 직립 상태 또는 누운 상태 여부와 상관없이 수용 부재(10)의 내부에서 형성된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부재(10)의 내부에 과다한 양의 기체가 형성되어 수용 부재(10)의 내압이 증가되면, 상기 유로의 일부를 통과한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패킹 부재(200)가 연신되며 하부 연통공(350)이 개방되어, 수용 공간부(15)부터 외부까지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가 횡립, 즉 가로 방향으로 놓인 경우,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는 버퍼 공간부(360)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의 수면(W.L)은 하부 연통공(350)의 하측에 형성되어, 화장품이 하부 연통공(350)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버퍼 공간부(360)는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이 형성하는 수면(W.L)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유로에는 화장품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생성된 기체는 안정적으로 배출하면서도 화장품의 임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작동 과정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가 세워진 상태, 즉 직립 상태가 도시된다.
도 11의 수직 방향으로 도시된 일점 쇄선은 화장품 용기(1)의 중심축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은 상부 하우징(100), 패킹 부재(200), 하부 하우징(300),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의 중심축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화장품 용기(1)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용된 화장품이 형성하는 수면(W.L)은 수용 개구부(14)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상태에서 화장품이 임의 누설될 염려는 없다.
상기 상태에서, 화장품이 수용 공간부(15)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발생된 기체의 배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품 용기(1)의 운반 과정에서 수용된 화장품이 요동되어 기체가 발생된다. 통상, 발생된 기체는 화장품보다 작은 밀도를 갖게 되는 바, 기체는 수면(W.L)을 넘어 수용 공간부(15)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수용 공간부(15)는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지지 보스부(550)의 중공 및 버퍼 공간부(360)와 연통된다. 따라서, 발생된 기체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수용 공간부(15)의 압력이 증가되어 생성된 기체가 버퍼 공간부(360)로 유동된다.
버퍼 공간부(360)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버퍼 공간부(360)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버퍼 공간부(360)에 유입된 기체는 하부 연통공(350)으로 유입되어, 패킹 부재(20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패킹 부재(200)가 상측으로 연신되며 하부 연통공(350)의 상측이 개방되어 상부 공간부(140)와 연통된다. 하부 연통공(350)에서 유동되는 기체는 상부 공간부(140)로 유입된다.
상부 공간부(140)는 상부 연통공(12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부(15)에서 생성된 기체는 화장품 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그 외주에 인접한 부분이 하측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패킹 부재(200)의 내부(즉, 중심에 인접한 부분)가 연신되어 유로가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화장품 용기(1)가 직립된 상태에서 발생된 기체는 상술한 단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최초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 개구부(14)는 화장품의 수면(W.L)의 상측에 위치되어 화장품과 접촉되지 않아, 화장품은 누설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가 눕혀진 상태가 도시된다. 도 12에서는 상부 하우징(100)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 수용 부재(10)를 향하는 방향을 우측, 화장품이 채워지는 일측(즉, 도 12의 아래쪽)을 하측, 기체가 채워지는 타측(즉, 도 12의 위쪽)을 상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수평 방향으로 도시된 일점 쇄선은 화장품 용기(1)의 중심축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축은 상부 하우징(100), 패킹 부재(200), 하부 하우징(300), 가스켓 부재(400) 및 지지 부재(500)의 중심축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수용된 화장품은 수용 공간부(15)를 둘러싸는 수용 경사부(16)를 향해 유동된다. 이때, 화장품의 일부는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지지 보스부(550)의 중공을 통과하여 버퍼 공간부(360)로 유동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1)의 내부에서 화장품이 체류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어, 수면(W.L)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면(W.L)은 상기 중심축의 하측에 위치되되, 수용 개구부(14)를 둘러싸는 넥부(12)의 내주면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이 하부 연통공(350)의 중심축과 같음을 상기하면, 수면(W.L)은 하부 연통공(350)의 하측에 형성되어 화장품이 하부 연통공(350)으로 유입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화장품이 수용 공간부(15)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발생된 기체의 배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품 용기(1)의 운반 과정에서 수용된 화장품이 요동되어 기체가 발생된다. 통상, 발생된 기체는 화장품보다 작은 밀도를 갖게 되는 바, 기체는 수면(W.L)을 넘어 수용 공간부(15)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수용 공간부(15)는 수용 개구부(14)를 통해 지지 보스부(550)의 중공 및 버퍼 공간부(360)와 연통된다. 따라서, 발생된 기체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수용 공간부(15)의 압력이 증가되어 생성된 기체가 버퍼 공간부(360)로 유동된다.
버퍼 공간부(360)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버퍼 공간부(360)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버퍼 공간부(360)에 유입된 기체는 하부 연통공(350)으로 유입되어, 패킹 부재(20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패킹 부재(200)가 상측으로 연신되며 하부 연통공(350)의 상측이 개방되어 상부 공간부(140)와 연통된다. 하부 연통공(350)에서 유동되는 기체는 상부 공간부(140)로 유입된다.
상부 공간부(140)는 상부 연통공(12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부(15)에서 생성된 기체는 화장품 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패킹 부재(200)는 패킹 부재 지지부(130)에 의해 그 외주에 인접한 부분이 하측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기체의 압력에 의해 패킹 부재(200)의 내부(즉, 중심에 인접한 부분)가 연신되어 유로가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화장품 용기(1)가 직립된 상태에서 발생된 기체는 상술한 단계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최초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 개구부(14)는 화장품의 수면(W.L)의 상측에 위치되어 화장품과 접촉되지 않아, 화장품은 누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한 조건을 고려해볼 수 있다. 즉, 상기 조건은 버퍼 공간부(360)의 부피(Vx),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의 부피(Va) 및 수용 공간부(15)의 부피(Vb)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따르면, 버퍼 공간부(360)의 부피(Vx)와 수용 공간부(15)의 부피(Vb)의 합은,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의 부피(Va)의 51%를 초과할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바람직하게는, 실제 제조 및 사용상의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버퍼 공간부(360)의 부피(Vx)와 수용 공간부(15)의 부피(Vb)의 합은,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의 부피(Va)의 55%를 초과하게 설계될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설명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이동됨을 전제한다. 이에,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1)에 수용된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이하게 배출이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수용 부재(1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스포이드 부재(600)를 포함한다. 스포이드 부재(600)는 캡 부재(20)가 수용 부재(10)에서 탈거된 후, 수용 부재(1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용 부재(10)는 상술한 실시 예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용 부재(1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이드 부재(600)에 대해 설명한다.
스포이드 부재(600)는 수용 부재(1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포이드 부재(600)는 수용 부재(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포이드 부재(600)는 연장부(610), 가압부(620), 중공부(630) 및 스포이드 결합부(640)를 포함한다.
연장부(610)는 수용 부재(10)의 수용 공간부(15)와 가압부(6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연장부(610)의 내부에는 중공부(630)가 형성되어, 화장품이 배출되기 위한 유로로 기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6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610)의 하측 단부는 수용 공간부(15)의 내부에 수용된다. 연장부(610)의 상측 단부는 가압부(620)와 결합된다.
가압부(62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또는 가압 조작되어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이 중공부(630)로 유동되기 위한 압력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부(620)는 중공부(630)와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630)는 수용 공간부(15)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를 향해 유동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중공부(630)는 연장부(610)의 내부에, 연장부(6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중공부(630)의 하측 단부는 화장품에 접촉될 수 있다. 중공부(630)의 상측 단부는 가압부(6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스포이드 결합부(640)는 스포이드 부재(600)가 수용 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스포이드 결합부(640)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용 부재(10)의 수용 나선부(1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스포이드 부재(60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화장품을 정확하고 위생적으로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수용 부재
11: 본체
12: 넥부
13: 수용 나선부
14: 수용 개구부
15: 수용 공간부
16: 수용 경사부
20: 캡 부재
100: 상부 하우징
110: 상부 몸체
120: 상부 연통공
130: 패킹 부재 지지부
140: 상부 공간부
150: 제한 돌출부
200: 패킹 부재
210: 패킹 몸체
220: 패킹 관통공
300: 하부 하우징
310: 하부 몸체
320: 하부 넥부
330: 패킹 부재 수용부
340: 패킹 부재 가압부
350: 하부 연통공
360: 버퍼 공간부
370: 하부 나선부
380: 맞춤 홈
400: 가스켓 부재
500: 지지 부재
510: 지지 몸체
520: 삽입 공간부
521: 지지 경사부
530: 지지 나선부
540: 맞춤 돌기
550: 지지 보스부
560: 용기 삽입부
570: 용기 지지부
600: 스포이드 부재
610: 연장부
620: 가압부
630: 중공부
640: 스포이드 결합부
W.L: 수면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 부재는,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하부 연통공;
    상기 하부 연통공을 덮게 배치되며, 상기 공간의 압력에 따라 연신되어 상기 하부 연통공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패킹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상기 하부 연통공을 연통하는 버퍼 공간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에 덮이며,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패킹 부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통공은 상기 패킹 부재 가압부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 부재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 공간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수용 부재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버퍼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수용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몸체를 형성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 부재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버퍼 공간부, 상기 하부 연통공 및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삽입 공간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수용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경사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하는 내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하는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나선부와 나사 결합되는 지지 나선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나선부 상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맞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나선부 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맞춤 홈에 삽입되는 맞춤 돌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패킹 부재를 수용하고, 내부에 상기 하부 연통공 및 상기 버퍼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및 상기 버퍼 공간부와 각각 연통되는 상부 연통공이 내부에 관통 형성된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의 외주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패킹 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패킹 부재를 지지하는 패킹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패킹 부재에 덮이며, 그 내부에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패킹 부재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패킹 부재 지지부는,
    상기 패킹 부재 가압부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공간부의 부피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의 부피의 합은,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의 부피의 51%를 초과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가 눕혀질 경우, 상기 수용 부재의 상기 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의 일부가 상기 버퍼 공간부로 유입되는,
    화장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공간부로 유입된 상기 화장품의 표면은, 상기 하부 연통공의 중심축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063631A 2021-05-17 2021-05-17 화장품 용기 KR20220155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1A KR20220155843A (ko) 2021-05-17 2021-05-17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1A KR20220155843A (ko) 2021-05-17 2021-05-1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843A true KR20220155843A (ko) 2022-11-24

Family

ID=8423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31A KR20220155843A (ko) 2021-05-17 2021-05-1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584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61B1 (ko) 2008-03-03 2008-11-03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누설 방지 및 공기차단형 화장품 용기
KR100916719B1 (ko)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19B1 (ko)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0866561B1 (ko) 2008-03-03 2008-11-03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누설 방지 및 공기차단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WO2018062436A1 (ja) 吐出容器
KR100701225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KR101930278B1 (ko) 토출 용기
US10781017B2 (en) Cap and discharge container
JP6973908B2 (ja) 積層剥離容器
US20110049169A1 (en) Vented closure for container
JPH0648455A (ja) 通気弁としてのスリット弁を有する容器とこの容器中に収容された液体とからなるシステム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JP2017132508A (ja) 吐出容器
MX2012009852A (es) Embalaje.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JP2017081628A (ja) 吐出容器
KR20220155843A (ko) 화장품 용기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KR20220144965A (ko) 화장품 용기
CN109328169B (zh) 排出容器
KR10215158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7292788B2 (ja) 倒立二重容器
JP2008296948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JP6847524B2 (ja) 吐出容器
JP7074522B2 (ja) 吐出キャップ
JP6938419B2 (ja) 注出容器
JP6833283B2 (ja) 吐出容器
JP7427335B2 (ja) 液体入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