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113A -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113A
KR20220144113A KR1020210050365A KR20210050365A KR20220144113A KR 20220144113 A KR20220144113 A KR 20220144113A KR 1020210050365 A KR1020210050365 A KR 1020210050365A KR 20210050365 A KR20210050365 A KR 20210050365A KR 20220144113 A KR20220144113 A KR 2022014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spection
door
elevator
lan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0062B1 (en
Inventor
이태룡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6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The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of a car door provided in an elevator car and the open/closed state of a landing door disposed at each platform where the elevator car operates; and a mode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car to a disabled mod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based o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detected by the door detection un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afety of a worker even if the worker enters the hoistway or the pit without stopping the elevator opera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시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기 위해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고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전환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고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자동으로 중단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worker manually opens a landing door to enter a hoistway or a pit during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it is detected and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annot be stopped It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automatically stopped even if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switching to the mode.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 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purposes for smooth vertical movement of passengers looking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와 와이어 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와,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 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 등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수직 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경로를 승강로의 수직 레일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롤러 가이드 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다.A general elevator includes an elevator car arranged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in a hoistway, a counterweight connected by a wire rope to the elevator car, and a hoisting machine that moves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wire rope on the upper side of the hoistway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composed of one form. In the hoistway, vertical rails are install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guide the hoisting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 car is usually equipped with a roller guide device to guide the traveling path of the elevator car along the vertical rail of the hoistway.

엘리베이터 카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엘리베이터 카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이루는 월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패널 모듈과, 케이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패널 모듈을 포함한다.The elevator car is made in the form of a cag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that passengers can ride therein. That is, the elevator car includes a wall panel module forming the front, side and rear surfaces, a ceiling panel module forming the ceiling of the cage, and a floor panel modul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ge.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안전검사나 유지보수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의 상측에 올라탄 상태로 승강로 내부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작업자가 승강로 하측의 피트(pit) 내부에 들어가서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e safe use of the elevator car,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car are required. The safety inspection or maintenance of the elevator car may be performed inside the hoistway while the operator is on the upper side of the elevator car, or the operator enters a pit at the lower side of the hoistway.

이와 같은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켜야 한다. 그리고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들어간 작업자는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점검 모드란 엘리베이터 카가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하도록 하는 모드로, 안전검사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을 점검하거나 작업의 편의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모드이다.In order to safely perform such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the operator must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efore entering the hoistway or pit. Then, the operator who enters the hoistway or pit operates the inspection switch to change the elevator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Here, the insp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only by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a mod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the operator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during safety inspection or maintenance or moving the elevator car f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to be.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과정이 번거롭고,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하여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지 않으며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면 일반적인 운행은 중단된다는 이유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운행 중단 과정을 생략하고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하여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because the process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umbersome, the time until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and operates the inspection switch is not long, and the general operation is interrupted when the inspection switch is operated, the operator must stop the process of stopping the elevator operation. Omitting it, entering the hoistway or inside the pit and manipulating the check switch has occurred.

하지만, 이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하여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기까지의 시간이 짧다 하더라도,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은 상태로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로 진입한다면 그 짧은 시간 동안에도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However, even if the time until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and operates the check switch is short, if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is way, the elevator car i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ile driv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특허 제10-1452668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Patent No. 10-1452668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작업자가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시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기 위해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고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전환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고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자동으로 중단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when the operator manually opens the landing door to enter the hoistway or pit during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and the elevator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automatically stopped even if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작업자의 점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점검 모드의 해제시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하여, 미처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기 전에 작업자가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점검 모드로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기 전에는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operation mode to a disabled mode regardless of the mode before switching to the inspection mode when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of the inspection switch, so that the operator can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that prevents the elevator from operating before the operator returns the elevator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even if the inspection switch is operated to switch to the inspection mo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의 개방을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의 개방과 구별하여 감지하고, 작업자의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이 승강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지 또는 피트 내부에서 이루어지는지 구분하여 판단하여, 피트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다른 작업자가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다른층의 승강장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승강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다른 작업자가 피트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최하층의 승강장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d distinguish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lowest floor platform from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and whether the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operator is performed inside the hoistway. Or, it is judged whether it is done inside the pit, and when work is done in the pit, prevent other workers from manually operating the elevator car on the hoistway or return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on the platform of another flo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that prevents other workers from manually operating the elevator car in the pit or return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on the platform of the lowest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카 도어 감지센서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되는 각 승강장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승장 도어 감지센서, 그리고 카 도어 감지센서와 승장 도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카 도어의 개폐 상태와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카 도어와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모드를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The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do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n/close state of a car door provided in an elevator car, and a landing door for detecting the open/close state of each platform door in which the elevator car operates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ar door detection sensor and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and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anding door, and operate the elevator car based on the determined car door and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anding door It includes a control panel that switches the mode to a disabled mod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pped.

이때, 제어반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판단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판단되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mode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determined as the open state.

또한, 제어반은 피트(pit)에 배치되는 제1 점검 스위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피트 외의 승강로에 배치되는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을 판단하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모드 제어부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제1 점검 스위치 및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운행 모드를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점검 모드로 전환하거나 점검 모드를 해제하고, 점검 모드의 해제시에는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further includes a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judg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disposed in the pit or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disposed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or in the hoistway other than the pit, the mod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witch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and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determined by the department,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or's operation, or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and when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before conversion to the inspection mode Regardless of the mode of ,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to disabled mode.

또한, 스위치 상태 판단부는 제1 점검 스위치의 조작을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과 구별하여 판단하고, 모드 제어부는, 제1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운행 모드를 피트에서 작업하는 제1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하고,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운행 모드를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제2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and the mode control unit is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or working in the pit. It can be switched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can be switched to the second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operator working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 그리고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2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반은 제1 승장 도어 감지신호와 제2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받아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하는 도어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모드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제1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감지되면 운행 모드를 제1 불능 모드로 전환하고,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감지되면 운행 모드를 제2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first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lowest floor platform and generates a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a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open/close state and generates a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panel receives the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receives and receive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landing door Further comprising a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to distinguish and determine, the mode control unit, when the car door is detected a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landing door is detected as op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first disabled mode, , when the car door is sensed a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least one second landing door is sensed as open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mode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disabled mode.

또한, 제어반은,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복귀 수단 또는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2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구분하여 판단하는 복귀 조작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모드 제어부는, 제1 불능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운행 모드를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 운행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불능 모드에서는 제2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further includes a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for classifyingly determining whether a retur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in the first return means disposed on the lowest platform platform or the second return means disposed on a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and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In the first disabled mode, when a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first return means,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a normal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operates normally, and in the second disabled mode, when a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return means, the operation mode is returned to normal. mode can be switched.

또한, 모드 제어부는, 제1 불능 모드 또는 제1 점검 모드에서는 제2 불능 모드 또는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제2 불능 모드 또는 제2 점검 모드에서는 제1 불능 모드 또는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control unit does not switch to the second disabled mode or the second inspection mode in the first disabled mode or the first inspection mode, but switches to the first disabled mode or the first inspection mode in the second disabled mode or the second inspection mode may not convert.

또한, 다수개의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서로 간에 직렬로 도어 상태 판단부에 연결되고,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다수개의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와 병렬로 도어 상태 판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ng door detection senso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with the door state determining unit, and the first elevating door detecting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ng door detecting sensors and the door condition determining uni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시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기 위해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하면 이를 감지하고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전환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고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자동으로 중단됨으로써,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고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or manually opens the landing door to enter the hoistway or pit during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the operator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detecting this and changing the elevator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automatically stopped even when entering the hoistway or pit without causing the operator to enter the hoistway or pit withou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guaranteed.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점검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점검 모드의 해제시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하여, 미처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기 전에 작업자가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점검 모드로 전환하였다 하더라도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기 전에는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검 모드 해제한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서 빠져나오는 동안에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regardless of the mode before switching to the inspection mode when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of the inspection switch, and the operator switches the inspection switch to the disabled mode before automatically switching to the disabled mode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while the operator who has released the inspection mode exits the hoistway or pit by preventing the elevator from operating until the operator returns the elevator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even if it is operated and switched to the inspection mode can prevent

또한, 본 발명은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의 개방을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의 개방과 구별하여 감지하고, 작업자의 안전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이 승강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지 또는 피트 내부에서 이루어지는지 구분하여 판단하여, 피트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다른 작업자가 승강로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다른층의 승강장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승강장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에는 다른 작업자가 피트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최하층의 승강장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다른 공간의 작업자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lowest floor platform by distinguishing it from the opening of the landing door disposed on a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and whether the operator's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inside the hoistway or inside the pit. By determining whether work is done in the pit, other workers are not allowed to manually operate the elevator car on the hoistway or return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on the platform of another floor. By manually operating the elevator car in the pit or preventing the operation mode from returning to the normal mode at the platform of the lowest fl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ssible safety accident because the operator does not recognize the operator in another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의 제어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하고 점검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승장 도어 감지부가 각 승장 도어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의 전환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the operating mode from the normal mode to the disabled mode in the elevator operating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and releasing the inspection mode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door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each landing door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version of the operation mode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by being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several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n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운행을 중단시키지 않았더라도,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모드를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작업자의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서의 안전한 작업을 보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stop the elevator oper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the pit,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ca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in which the elevator operation is stopped. Ensure safe operation.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이하, '모드 전환 시스템'이라 한다.)은 엘리베이터 카에 배치되는 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카 도어 감지센서(10)와,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되는 각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승장 도어 감지센서(20), 그리고 카 도어와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반(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로 전환되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하며 이동 불가한 상태가 된다. 즉, 불능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자동 운행 및 수동 운행이 모두 중단된다.To this end, the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r door detection sensor 10 that detects an open/close state of a car door disposed in an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 car A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0 that detects the open/closed state of a landing door disposed at each operating platform, and a control panel 30 that converts the operating mode of the elevator car to a disabled mode based o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It may be composed of Here, 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elevator car is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the elevator car is stopped and becomes an impossible state. That is, in the disabled mode, both automatic operation and manual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are stopped.

카 도어 감지센서(10)는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와, 송신부가 송신한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구비하며,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는 카 도어의 개폐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적외선 수신부가 적외선을 수신하고 카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는 적외선 수신부가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도록 적외선 송신부와 수신부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는 적외선의 수신 여부에 따라 카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반(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ar door detection sensor 10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er that transmits infrared rays and an infrared receiver that receives the infrared ray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and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the infrared receive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ath of the car door interposed therebetween. can In this case, the infrared transmitter and receiver may be disposed so that the infrared receiver receives infrared rays when the car door is closed and the infrared receiver does not receive infrared rays when the car door is opened. The infrared receiver may generate a car door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infrared radiation is received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panel 30 .

승장 도어 감지센서(20)는 각 승강장에 배치되는 승장 도어 주변에 설치되어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한다는 점만 다를 뿐 상술한 카 도어 감지센서(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장 도어 감지센서(20) 또한, 적외선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생성한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제어반(30)에 제공할 수 있다.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0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landing door disposed at each platform and is configured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car door detection sensor 10 except that it detects the open/close state of the landing door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for the landing door. can be And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0 may also provide the control panel 30 with the door detection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nfrared rays are received.

제어반(30)은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려 할 때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 시 카 도어는 승객의 엘리베이터 카 출입을 위해 개방되며, 승장 도어의 개방 없이 카 도어의 개방만으로는 승객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카 도어는 반드시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와 함께 연동하여 개방된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 내부가 아닌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할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하지 않은 승강장의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 후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 진입하게 되며, 이때 카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다. 즉, 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개방되었다면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로 진입하려 한다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30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when the operator tries to enter the hoistway or pit. When the elevator is operating normally, the car door is opened for the passenger to enter the elevator car, and since it is impossible for the passenger to enter only by opening the car door without opening the landing door, the car door is always opened in conjunction with any one of the landing doors. However, when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instead of inside the elevator car during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vator car, the landing door of the platform where the elevator car is not located is manually opened and then entered into the hoistway or pit. The door does not open. That is, if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opened while the car door is clos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or intends to enter the hoistway or the pit.

따라서, 제어반(30)은 제공받은 카 도어 감지신호와 승장 도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카 도어 또는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판단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판단되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에 진입하려 할 때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 panel 30 determine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or the landing door based on the received car door detection signal and the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 car door is determined to be closed,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ope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the operation mode may be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when the operator attempts to enter the hoistway or pit.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시에도 카 도어와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가 정확하게 동시에 개방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개방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간차 개방에 의해 정상 운행 중에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어반(30)은 소정 시간 이상 동안(예를 들면 3초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감지되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However, even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car door and any one of the landing doors are not opened precisely at the same time, but may be opened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In order to do this, preferably, the control panel 3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when the car door is detected a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for example, for 3 seconds) and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detected as open at the same time can do.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작업자가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된 것을 확인한 후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로 진입하도록,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경보 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보 수단(40)은 각 승강장에 설치되며, 제어반(30)의 제어에 의해 빛 또는 소리 또는 문자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alarm means 40 for notifying the operator when the op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so that the operator enters the hoistway or pit after confirming that the op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may be included. The warning means 40 is installed in each platform, and by outputting light, sound, or t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30,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바람직하게 경보 수단(40)은 불능 모드로의 전환시뿐만 아니라 다른 모드로의 전환시에도 경보룰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운행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경보 수단(40)은 전환된 모드에 따라 출력하는 빛 또는 소리 또는 문자를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전환된 모드가 어떤 모드인지 작업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warning means 40 may output an alarm rule not only when switching to the disabled mode but also when switching to another mode to inform the operator that the operation mode has been switched. At this time, the alarm means 40 may distinguish and output the light, sound, or text output according to the switched mode, so that the operator recognizes which mode the switched mode is.

한편,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에서의 작업을 완료 후 승강로 또는 피트에서 승강장으로 복귀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되도록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who returns to the platform from the hoistway or pit after completing the work in the hoistway or pit should be able to return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so that the elevator operates normally.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정의 복귀 조작을 수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귀 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turn means 50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return operation.

구체적으로 복귀 수단(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장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복귀 수단(50)은 작업자가 소지한 특정 키를 삽입 후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귀 수단(50)은 작업자가 특정 키를 삽입 후 일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타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제1 조작 신호 또는 제2 조작 신호는 제어반(30)에 제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turn means 5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r more platforms, and each return means 50 may be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after inserting a specific key possessed by an operator. Specifically, the return means 50 may generate a first operation signal when the operator rotates to one side after inserting a specific key and generates a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the operator rotates to the other side, and the generated first operation signal or The second operati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panel 30 .

이때, 제어반(30)은 제공받은 제1 조작 신호와 제2 조작 신호의 횟수와 순서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귀 조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panel 3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retur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correctly based on the number and sequence of the received first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operation signal, and switches the operation mode from the disabled mode to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do it

한편, 작업자는 안전검사 또는 유지 보수 과정에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을 점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승강로 내부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 그리고 피트 내부에 배치되는 점검 스위치(6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must move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or check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for the convenience of work in the safety inspection or maintenance process. To this end,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heck switch 60 disposed inside the hoistway or at the top of the elevator car, and inside the pit.

점검 스위치(6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6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스위치(6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온 신호를 지속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는 제어반(30)에 제공되며, 제어반(30)은 제공받은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점검 스위치(60)의 조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조작 상태에 따라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하거나 점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The check switch 60 may generate a signal by a user operation. For example, the check switch 60 may generate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by a user operation. In addition, the check switch 60 may continuously generate or stop generating an ON signal by a user operation. The on-signal or off-signal generated in this way is provided to the control panel 30, and the control panel 30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spection switch 60 based on the received on-signal or off-signal,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state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to the inspection mode or the inspection mode can be canceled.

여기서 점검 모드란 엘리베이터 카가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작동하도록 하는 모드로, 엘리베이터 카 상단과 피트 내부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수동 조작 버튼이 구비되며, 점검 모드시 작업자는 수동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할 수 있다.Here, the insp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only by the operator's manual operation. A separate manual operation button for manually operating the elevator car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and inside the pit, and in the inspection mode, the operator operates the manual operation button. The elevator car can be operated manual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의 제어반의 기능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제어반(30)을 살펴보면, 제어반(30)은 카 도어와 승장 도어의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도어 상태 판단부(31)와, 복귀 수단(50)을 이용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복귀 조작 판단부(32)와, 점검 스위치(60)의 조작 상태를 판단하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와, 운행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34), 그리고 경보 수단(40)을 제어하는 경보 제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trol panel 30 of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control panel 30 includes a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that determine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and the landing door, and a return means ( 50) a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that determines whether a return operation has been made, a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heck switch 60, and a mode control unit 34 tha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 and the alarm control unit 35 for controlling the alarm means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카 도어 감지센서(10)와 승장 도어 감지센서(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카 도어의 개폐 상태와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may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door detection sensor 10 and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0 to determine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ar door and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anding door.

복귀 조작 판단부(32)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복귀 수단(50)의 조작 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복귀 수단(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특정 키를 삽입 후 일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타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제1 조작 신호와 제2 조작 신호를 복귀 조작 판단부(32)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귀 조작 판단부(32)는 제공받은 제1 조작 신호와 제2 조작 신호의 횟수와 순서가 사전에 설정된 횟수와 순서인지 판단하여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된 복귀 조작이 일측 및 타측으로 3회 교번하는 조작이라면, 복귀 조작 판단부(32)는 소정 시간 이내에 제1 조작 신호 및 제2 조작 신호를 3회 교번 수신시에 사전에 설정된 복귀 조작이 올바르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may receive the operation signal of the return means 50 generated by the operator's operation, and determine whether a preset retur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return means 50 may generate a first operation signal when the operator rotates to one side after inserting a specific key and generates a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the operator rotates to the other si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nerated first operation signal and a second operati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 In addition,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may determine whether the retur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and order of the received first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operation signal are a preset number and order. For example, if the preset return operation is an operation that alternates three times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receives the first operation signal and the second operation signal alternately three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adva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t return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correctly.

스위치 상태 판단부(33)는 점검 스위치(60)로부터 생성한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점검 스위치(60)의 ON/OFF 조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receives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generated from the inspection switch 60, and can determine the ON/OFF operation state of the inspection switch 60 based on the received on signal or off signal. have.

모드 제어부(34)는 도어 상태 판단부(31)의 판단과, 복귀 조작 판단부(32)의 판단, 그리고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의 판단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vator system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 the determination of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 .

구체적으로, 모드 제어부(34)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도어 상태 판단부(31)의 판단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이고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이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normal mode state, the mode control unit 34 determines that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and at the same time,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opened. In the open state,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또한, 모드 제어부(34)는 불능 모드 상태에서, 복귀 조작 판단부(32)의 판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귀 수단(50)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지면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lso, in the disabled mode state,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he driving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a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t least one return means 50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

또한, 모드 제어부(34)는 정상 모드 또는 불능 모드 상태에서,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의 판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점검 스위치(60)가 온 상태이면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제어부(34)는 점검 모드 상태에서,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의 판단에 기초하여 모든 점검 스위치(60)가 오프 상태이면 점검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when at least one inspection switch 60 is turned 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in the normal mode or the disabled mode state. . In addition,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release the inspection mode when all the inspection switches 60 are in the off stat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 state determining unit 33 in the inspection mode state.

그런데 작업자가 승장 도어를 개방 후 3초를 기다리지 않고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로 진입하여 점검 스위치(60)를 온 조작하였다면,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에서 곧 바로 점검 모드로 전환되었을 것이다. 이때, 작업을 끝마친 작업자가 점검 스위치(60)를 오프 조작하여 점검 모드가 해지되고 정상 모드로 되돌아간다면 작업자가 승강로 또는 피트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operator entered the hoistway or pit without waiting for 3 seconds after opening the landing door and operated the inspection switch 60 on, the operation mode would have been directly switch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inspection mode. At this time, if the operator who has finished the operation operates the inspection switch 60 to turn off the inspection mode and returns to the normal mod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cannot get out of the hoistway or pit.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모드 제어부(34)는 점검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가 정상 모드였다 하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점검 모드 해제시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모드 제어부(34)는 점검 모드의 해제시에는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preferably,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when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regardless of whether the mode before the switching to the inspection mode state was the normal mode. That is, when the maintenance mode is released, the mode controller 34 may convert the driving mode to the disabled mode regardless of the mode before the switching to the maintenance mode.

한편, 경보 제어부(35)는 모드 제어부(34)에서 운행 모드를 전환하면 전환한 모드에 따라 경보 수단(40)을 작동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운행 모드 전환을 인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수단(40)이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선택하여 출력 가능하다면, 경보 제어부(35)는 불능 모드로의 전환시 소정 시간 동안 적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경보 수단(40)을 작동 제어하고, 점검 모드로의 전환시 소정 시간 동안 녹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경보 수단(40)을 작동 제어하며, 정상 모드로의 전환시 소정 시간 동안 청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경보 수단(40)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by the mode control unit 34 , the alarm control unit 35 may operate and control the alarm means 40 according to the switched mode to notify the operator of the operation mode change. For example, if the alarm means 40 selects and outputs red, green, and blue light, the alarm control unit 35 outputs the red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larm control unit 35 is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operation and control, the alarm means 40 is operated to output green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switching to the inspection mode, and the alarm means 40 to output blue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switching to the normal mod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또한, 경보 제어부(35)는 도어 상태 판단부(31)의 판단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닫힘 상태이고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이면 경보 수단(40)이 문 열림 경보를 출력하도록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하는 문 열림 경보는 모드 전환을 알리는 경보와 구분된 경보일 수 있으며, 경보 제어부(35)는 승장 도어가 닫힘 상태로 판단될 때까지 문 열림 경보를 지속하여 출력하도록 경보 수단(40)을 작동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승장 도어를 닫은 상태로 작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번거로움을 이유로 작업자가 승장 도어를 열어둔 체로 작업을 수행한다면 열린 승장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alarm control unit 35,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oor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31, if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seconds) or more and at least one landing door is open at the same time, the alarm means ( 40) can be controlled to output a door open alarm. At this time, the door open alarm output may be a separate alarm from the alarm notifying the mode change, and the alarm control unit 35 continuously outputs the door open alarm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ding door is clos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work with the landing door closed. This is because, if the operator performs work with the landing door open for the sake of inconvenienc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open landing doo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the operating mode from the normal mode to the disabled mode in the elevator operating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모드 제어부(34)는 도어 상태 판단부(31)의 판단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승장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Referring to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driving mode from the normal mode to the disabled mode in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3 , first, the mode control unit 34 determines on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above landing door is opened (S11).

모드 제어부(34)는 어느 하나의 승장 도어도 개방되지 않았다면(S11-N), 승장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반면에 하나 이상의 승장 도어가 개방되었다면(S11-Y), 모드 제어부(34)는 도어 상태 판단부(31)의 판단에 기초하여 카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If any of the landing doors are not opened (S11-N),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wait until the landing doors are opened. On the other hand, if one or more landing doors are opened (S11-Y),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determine whether the car door is ope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S12).

만약, 카 도어가 개방되었다면(S12-Y), 모드 제어부(34)는 다른 승장 도어가 추가로 개방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반면에 카 도어가 개방되지 않았다면(S12-N), 모드 제어부(34)는 승장 도어가 개방되고 동시에 카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3초 이상 지속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If the car door is opened (S12-Y),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wait until another landing door is additionally opened. On the other hand, if the car door is not opened (S12-N),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determine whether the landing door is ope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car door is not opened at the same time lasts for 3 seconds or more (S13).

만약, 3초 이상 지속되지 않고 승장 도어가 닫혔거나 카 도어가 개방되었다면(S13), 모드 제어부(34)는 다른 승장 도어가 추가로 개방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반면에 3초 이상 지속되었다면(S13-Y), 모드 제어부(34)는 현재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4).If, for more than 3 seconds, the landing door is closed or the car door is opened (S13),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wait until another landing door is additionally opened. On the other hand, if the duration is longer than 3 seconds (S13-Y), the mode controller 34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S14).

만약, 현재 모드가 정상 모드라면(S14-Y), 모드 제어부는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에서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5).If the current mode is the normal mode (S14-Y), the mode controller may switch the driving mode from the normal mode to the disabled mode (S15).

반면에, 현재의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가 아닌 점검 모드 또는 불능 모드라면(S14-N), 모드 제어부(34)는 현재의 운행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상 모드에서만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이유는 현재의 운행 모드가 불능 모드인 경우에는 불능 모드로의 전환이 불필요하며, 점검 모드인 경우 불능 모드로 전환하면 승강로 또는 피트 내부 작업자에게 혼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driving mode is not the normal mode but the inspection mode or the disabled mode ( S14 -N ), the mode controller 34 may maintain the current driving mode. The reason for switching to disabled mode only in normal mode is that it is unnecessary to switch to disabled mode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disabled mode, and switching to disabled mode in the inspection mode may cause confusion for workers inside the hoistway or pit. because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하고 점검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and releasing the inspection mode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점검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모드 제어부(34)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의 판단에 기초하여 각 점검 스위치(60)의 조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1).Referring to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or canceling the inspection mode in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4 , first, the mode control unit 34 responds to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heck switch 60 can be determined (S31).

만약, 모든 점검 스위치(60)가 오프 상태라면(S31-N), 모드 제어부(34)는 대기하고, 반면에, 하나 이상의 점검 스위치(60)가 온 상태로 조작되었다면(S31-Y), 모드 제어부(34)는 운행 모드를 점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2). 이때, 모드 제어부(34)는 현재의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거나 불능 모드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점검 모드로 전환하고, 이미 점검 모드였다면 점검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If all the inspection switches 60 are in the off state (S31-N), the mode control unit 34 waits, on the other hand, if one or more inspection switches 60 are operated in the on state (S31-Y), the mode Th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he driving mode to the inspection mode (S32). In this case,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switch to the inspection mode as described above if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or the disabled mode, and may maintain the inspection mode if it has already been in the inspection mode.

점검 모드로 전환되면, 모드 제어부(34)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의 판단에 기초하여 모든 점검 스위치(60)가 오프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33).When the inspection mode is switched,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determine whether all the inspection switches 60 are in an off stat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 S33 ).

만약, 하나의 점검 스위치(60)라도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S33-N), 모드 제어부(34)는 점검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모든 점검 스위치(60)가 오프 상태라면(S33-Y), 모드 제어부(34)는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4).If even one inspection switch 60 maintains the on state ( S33 -N ),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maintain the inspection mode. On the other hand, if all the check switches 60 are in the off state (S33-Y),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convert the driving mode to the disabled mode (S3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장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c)가 운행되는 각 승강장에 배치된다. 이때, 승장 도어는 최하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승장 도어(pd1)와, 최하층 외의 다른층에 설치되는 제2 승장 도어(pd2)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c)가 1층에서 5층까지 운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예로 하면, 최하층인 1층 승강장에 설치된 승장 도어는 제1 승장 도어(pd1)이며, 그 외의 다른 층인 2층에서 5층까지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장 도어는 제2 승장 도어(pd1)일 수 있다. The landing door is disposed at each platform in which the elevator car (c) operat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landing doo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landing door pd1 disposed on the platform of the lowest floor and a second landing door pd2 installed on another floor other than the lowest floor. As shown in FIG. 5, if the elevator car (c) is operated from the first floor to the fifth floor as an example, the landing door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platform, which is the lowest floor, is the first landing door (pd1), and the other floors are The landing door installed in the platform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fifth floor may be the second landing door pd1.

이때,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승장 도어 감지센서(20)는 제1 승장 도어(pd1)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21)와, 제2 승장 도어(pd2)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로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0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landing door is the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1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irst landing door pd1, and the second landing door pd2. It can be divided into a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2 for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복귀 수단(50) 또한 승장 도어와 마찬가지로 최하층의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복귀 수단(51)과 최하층 외의 다른층에 설치되는 제2 복귀 수단(5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1층에서 5층까지 운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예로 하면, 최하층인 1층 승강장에 설치된 복귀 수단은 제1 복귀 수단(51)이며, 그 외의 다른 층인 2층에서 5층까지의 승강장에 설치된 복귀 수단은 제2 복귀 수단(52)일 수 있다.The return means 50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return means 51 disposed on the platform of the lowest floor and a second return means 52 installed on a floor other than the lowest floor, similar to the landing door. As shown in FIG. 5 , taking an elevator system in which an elevator car operates from the first floor to the fifth floor, the return means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platform, which is the lowest floor, is the first return means 51 , and 5 on the second floor, which is the other floor. The return means installed in the platform up to the floor may be the second return means 52 .

그리고 점검 스위치(60) 또한 제1 점검 스위치(61)와 제2 점검 스위치(6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점검 스위치(61)는 피트(p) 내부 벽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점검 스위치(62)는 승강로(w) 내부 벽면 또는 엘리베이터 카(c)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점검 스위치(62)가 승강로(w) 내부 벽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점검 스위치(62)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eck switch 6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heck switch 61 and a second check switch 62 . The first check switch 61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t (p), and the second check switch 62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istway (w) or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car (c). Here, when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62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w, a plurality of second inspection switches 62 may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승장 도어 감지부가 각 승장 도어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anding door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each landing door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21)와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가 구분되는 경우,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제1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와 제2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1 and the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2 are distinguished,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determine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first landing door and the second landing door. It can be judged by distinguishing the open/closed state.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는 서로 간에 직렬로 도어 상태 판단부(31)에 연결되고,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21)는 다수개의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와 병렬로 도어 상태 판단부(31)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plurality of second elevating door detection sensors 22 are connected to the door state determining unit 31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elevating door detecting sensor 21 is a plurality of 2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in parallel with the door detection sensor 22 .

이러한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의 직렬연결로 인해,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제2 승장 도어로부터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제공받았을 때 제공받은 승장 도어 감지신호가 어떤 제2 승장 도어로부터 제공된 것인지는 판단할 수 없다. 즉,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모든 제2 승장 도어가 닫힘 상태인지 또는 하나 이상의 제2 승장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만을 판단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의 직렬연결은 시공비용을 절감시키고 배선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serial connection of the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2, the door state determining unit 31 receives the seungjang door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ungjang door from any second seungjang door. It cannot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at is,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can determine only whether all of the second landing doors are in a closed state or one or more second landing doors are in an open state. However, such a serial connection of the second elevator door detection sensor 22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simplifying the wiring.

반면에,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21)는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와 병렬연결되어,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21)로부터 수신한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22)로부터 수신한 승장 도어 감지신호와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상태 판단부(31)는 제1 승장 도어의 개방 상태를 제2 승장 도어와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oor detection sensor 2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oor detection sensor 22, and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detects the door detec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oor detection sensor 21. The signal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door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2. Accordingly,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may determine the open state of the first landing door by distinguishing it from the second landing door.

이러한 직렬/병렬연결관계는 복귀 조작 판단부(32)와 복귀 수단(50) 간의 연결, 그리고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와 점검 스위치(60) 간의 연결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This series/parallel connection relationship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and the return means 5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and the inspection switch 60 .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제2 복귀 수단(52)은 서로 간에 직렬로 복귀 조작 판단부(32)에 연결되고, 제1 복귀 수단(51)은 다수개의 제2 복귀 수단(52)과 병렬로 복귀 조작 판단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조작 판단부(32)는 제2 복귀 수단(52)에서 복귀 조작이 수행되었을 경우 어느 제2 복귀 수단(52)에서 복귀 조작이 수행되었는지 특정할 수는 없지만 제1 복귀 수단(51)에서 수행된 복귀 조작과 제2 복귀 수단(52)에서 수행된 복귀 조작은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econd return means 52 are connected to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ing unit 32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return means 51 is operated to return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return means 52 . It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32 . Accordingly, although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2 cannot specify in which second return means 52 the return operation was performed when the return operation was performed in the second return means 52, the first return means 51 The return operation performed in , and the return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cond return means 52 may be separately determined.

또한, 다수개의 제2 점검 스위치(62)는 서로 간에 직렬로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에 연결되고, 제1 점검 스위치(61)는 다수개의 점검 스위치(60)와 병렬로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상태 판단부(33)는 제2 점검 스위치(62)에서 on/off 조작 발생했을 경우 어느 제2 복귀 수단(52)에서 on/off 조작이 발생하였는지 특정할 수는 없지만 제1 점검 스위치(61)에서 발생한 on/off 조작과 제2 점검 스위치(62)에서 발생한 on/off 조작은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check switches 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to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the first check switch 61 is a plurality of check switches 60 and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in parallel ( 33) can be connected. Therefore,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cannot specify whether the on/off operation occurred in which second return means 52 when the on/off operation occurred in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62, but the first inspection switch The on/off operation generated in (61) and the on/off operation generated in the second check switch 62 may be determined separate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에서 운행 모드의 전환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version of the operation mode in th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상태 판단부(31)가 제1 승장 도어와 제2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하고, 복귀 조작 판단부(32)가 제1 복귀 수단(51)과 제2 복귀 수단(52)에서 수행된 복귀 조작을 구분하여 판단하며, 스위치 상태 판단부(33)에서 제1 점검 스위치(61)와 제2 점검 스위치(62)의 on/off 조작을 구분하여 판단할 때, 모드 제어부(34) 불능 모드를 제1 불능 모드와 제2 불능 모드로 구분하여 전환하고, 점검 모드를 제1 점검 모드와 제2 점검 모드로 구분하여 전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1 distinguishe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first landing door and the second landing door, and the return operation determining unit 32 determines the first return means 51 and the second return means. When determining by dividing the return operation performed in (52),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3 distinguishes between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61 and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62, the mode The control unit 34 may divide and switch the disabled mode into the first disabled mode and the second disabled mode, and divide and switch the inspection mode into the first inspection mode and the second inspection mode.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드 제어부(34)는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일 때,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단힘 상태로 판단되고 동시에 제1 승장 도어가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운행 모드를 제1 불능 모드로 전환하고,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카 도어가 단힘 상태로 판단되고 동시에 제2 승장 도어가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운행 모드를 제2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7 , when the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the mode control unit 34 determines that the car door is in a clo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landing door is in an open state,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to the first disabled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 second landing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mode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disabled mode.

따라서, 작업자가 최하층의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하여 피트 내에 진입할 때에는 제1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고, 작업자가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장 도어를 수동 개방하여 승강로 내에 진입할 때에는 제2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manually opens the landing door on the lowest floor and enters the pit,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irst disabled mode, and when the operator manually opens the landing door on another floor other than the lowest floor and enters the hoistway,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second disabled mode can be

이때, 제1 불능 모드와 제2 불능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불가능한 모드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제1 불능 모드에서는 제1 점검 모드로 전환 가능하지만 제2 점검 모드로 전환될 수 없고, 제2 불능 모드에서는 제2 점검 모드로 전환 가능하지만 제1 점검 모드로 전환될 수 없다는 점에서 상이하다.In this case, the first disabled mode and the second disabled mode are the same in that they are modes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is impossible. However, it is different in that in the first disabled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but not to the second inspection mode, and in the second disabled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second inspection mode but not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do.

구체적으로, 모드 제어부(34)는 제1 점검 스위치(61)가 온 상태로 조작되면, 현재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 또는 제1 불능 모드인지 판단하고, 현재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이거나 또는 제1 불능 모드일 때에만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제어부(34)는 제2 점검 스위치(62)가 온 상태로 조작되면, 현재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 또는 제2 불능 모드인지 판단하고, 현재 운행 모드가 정상 모드이거나 또는 제2 불능 모드일 때에만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모드 제어부(34)는 제2 불능 모드 또는 제2 점검 모드에서는 제1 점검 스위치(61)가 온 상태로 조작되더라도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으며, 제1 불능 모드 또는 제1 점검 모드에서는 제2 점검 스위치(62)가 온 상태로 조작되더라도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inspection switch 61 is operated in an on state, the mode control unit 3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or the first disabled mode, and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or the first disabled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only when .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heck switch 62 is operated in the on state, the mode control unit 3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or the second disabled mode, and whether the current driving mode is the normal mode or the second disabled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second inspection mode only when That is, in the second disabled mode or the second inspection mode, the mode control unit 34 does not switch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even i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61 is operated in the on state, and in the first disabled mode or the first inspection mode Even if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62 is operated in an on state, it may not be switched to the second inspection mode.

여기서, 제1 점검 모드는 피트 내부에서 작업하는 제1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엘리베이터 카가 조작 가능하도록 피트 내부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 버튼에 의해서만 엘리베이터 카가 조작되도록 하는 모드이고, 제2 점검 모드는 승강로 내부에서 작업하는 제2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엘리베이터 카가 조작 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 상단에 설치되는 수동 조작 버튼에 의해서만 엘리베이터 카가 조작되도록 하는 모드이다.Here, the first inspec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only by the manual operation button installed inside the pit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be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or working inside the pit, and the second inspection mode is in the hoistway. It is a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only by the manual operation butto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be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orker who works.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시스템은 제1 작업자가 피트 내부에 선 진입하여 작업 중일 때 제2 작업자가 제1 작업자가 피트 내부에서 작업 중임을 모르고 승강로 내부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제2 작업자가 승강로 내부에 선 진입하여 작업 중일 때 제1 작업자가 제2 작업자가 승강로 내부에서 작업 중임을 모르고 피트 내부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ode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operator enters the pit and is working, the second operator manually operates the elevator car in the hoistway without knowing that the first operator is working inside the pit, or When the second worker enters the hoistway and is working, the first worker does not know that the second worker is working inside the hoistway and manually operates the elevator car inside the pit, thereby preventing a possible safety accident.

또한, 모드 제어부(34)는 제1 불능 모드에서는 제1 복귀 수단(51)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제2 불능 모드에서는 제2 복귀 수단(52)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드 제어부(34)는 제1 불능 모드일 때에는 제2 복귀 수단(52)에서 복귀 조작이 수행되더라도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제2 불능 모드일 때에는 제1 복귀 수단(51)에서 복귀 조작이 수행되더라도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전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 승강장의 승장 도어를 통해 피트에 진입하여 제1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었을 때에는 최하층 외 다른 승강장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하고, 다른층 승강장의 승장 도어를 통해 승강로에 진입하여 제2 불능 모드로 자동 전환되었을 때에는 최하층 승강장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시키지 못한다. 이로 인해, 피트 내부 또는 승강로 내부에 작업자가 존재함을 모르고 다른 층에서 운행 모드를 정상 모드로 복귀시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lso, in the first disabled mode, the mode control unit 34 switches the driving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a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first return means 51 in the first disabled mode, and returns from the second return means 52 in the second disabled mode When the operation is made,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to the normal mode. In other words, the mode control unit 34 does not switch the driving mode to the normal mode even if the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econd return means 52 in the first disabled mode, and the first return means 51 in the second disabled mode Even if the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 the driving mode may not be switched to the normal mode. Therefore, when entering the pit through the landing door of the lowest floor and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irst disabled mode, it cannot return to the normal mode at any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When automatically switched to , it cannot return to normal mode from the lowest platform.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ssible safety accident by return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on another floor without knowing that the operator exists inside the pit or inside the hoistwa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제어부(34)는 점검 모드의 해제시에는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모드 제어부(34)는 제1 불능 모드와 제2 불능 모드로 구분하여 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점검 모드에서 제1 점검 스위치(61)가 오프 상태가 되었다면, 모드 제어부(34)는 제1 점검 모드를 해제하고 제1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점검 모드에서 모든 제2 점검 스위치(62)가 오프 상태가 되었다면 모드 제어부(34)는 제2 점검 모드를 해제하고 제2 불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tenance mode is released,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convert the driving mode to the disabled mode regardless of the mode before the switching to the maintenance mode.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divide the information into the first disabled mode and the second disabled mode. Specifically, i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61 is turned off in the first inspection mode,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release the first inspection mode and switch to the first disabled mode. In addition, if all the second inspection switches 62 are turned off in the second inspection mode, the mode control unit 34 may release the second inspection mode and switch to the second disabled mod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카 도어 감지센서
20: 승장 도어 감지센서
21: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
22: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
30: 제어반
31: 도어 상태 판단부
32: 복귀 조작 판단부
33: 스위치 상태 판단부
34: 모드 제어부
35: 경보 제어부
40: 경보 수단
50: 복귀 수단
51: 제1 복귀 수단
52: 제2 복귀 수단
60: 점검 스위치
61: 제1 점검 스위치
62: 제2 점검 스위치
10: car door detection sensor
20: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1: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22: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30: control panel
31: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32: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3: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34: mode control
35: alarm control
40: alarm means
50: return means
51: first return means
52: second return means
60: check switch
61: first check switch
62: second check switch

Claims (8)

엘리베이터 카에 구비되는 카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카 도어 감지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되는 각 승강장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승장 도어 감지센서; 및
상기 카 도어 감지센서와 상기 승장 도어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폐 상태와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상기 카 도어와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모드를 운행이 중단되는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a car do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n/closed state of a car door provided in an elevator car;
a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n/closed state of each platform landing door in which the elevator car operates; and
Upon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 door detection sensor and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the elevator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including a control panel for conver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ar to the disabled mod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판단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운행 모드를 상기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de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disable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that at least one of the landing doors is determined to be open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피트(pit)에 배치되는 제1 점검 스위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상기 피트 외의 승강로에 배치되는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을 판단하는 스위치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상태 판단부로부터 판단된 상기 제1 점검 스위치 및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행 모드를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점검 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점검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점검 모드의 해제시에는 상기 점검 모드로 전환되기 이전의 모드와 상관없이 상기 운행 모드를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panel
Further comprising a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judg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eck switch disposed in a pit or a second check switch disposed in an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or a hoistway other than the pit,
The mode control uni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o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and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determined by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or releases the inspection mode,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spection mode is released,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disabled mode regardless of the mode before the conversion to the inspection m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점검 스위치의 조작을 상기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과 구별하여 판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제1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행 모드를 상기 피트에서 작업하는 제1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점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행 모드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제2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운행되는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witch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eck switch by distinguishing it from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heck switch,
The mode control uni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first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or working in the p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inspection switch,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inspection switch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a second inspection mod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operator working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제1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와,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2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제1 승장 도어 감지신호와 상기 제2 승장 도어 감지신호를 제공받고, 제공받아 상기 승장 도어의 개폐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하는 도어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운행 모드를 제1 불능 모드로 전환하고,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감지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승장 도어가 열림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운행 모드를 제2 불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is
The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first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lowest platform and generates a first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landing door disposed on the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by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Including a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panel further comprises a door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receiving the first door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landing door detection signal, receiving the provided, and distinguish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landing door,
The mode control unit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the first disabled mode when the car door is detected a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 first landing door is detected as open at the same time, and the car door is cl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disabled mode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landing door is detected as the open state as well as the closed state is detec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최하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1 복귀 수단 또는 최하층 외의 다른층 승강장에 배치되는 제2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구분하여 판단하는 복귀 조작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제1 불능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상기 운행 모드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 운행되는 정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불능 모드에서는 상기 제2 복귀 수단에서 복귀 조작이 이루어졌을 시 상기 운행 모드를 상기 정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panel,
Further comprising a retur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a return operation has been made in the first return means disposed on the lowest platform or the second return means disposed on a platform other than the lowest floor,
The mode control unit, in the first disabled mode,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a normal mode in which the elevator car operates normally when a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first return means, and in the second disabled mode, the second return means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the return operation is made in th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제1 불능 모드 또는 제1 점검 모드에서는 상기 제2 불능 모드 또는 상기 제2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상기 제2 불능 모드 또는 제2 점검 모드에서는 상기 제1 불능 모드 또는 제1 점검 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de control unit,
In the first disabled mode or the first inspection mode, the second disabled mode or the second inspection mode is not switched, and in the second disabled mode or the second inspection mode, the first disabled mode or the first inspection mode is switched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not.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서로 간에 직렬로 상기 도어 상태 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승장 도어 감지센서는 다수개의 상기 제2 승장 도어 감지센서와 병렬로 상기 도어 상태 판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second elevating door detection sens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with the door state determining unit, and the first elevating door detecting sensor is connected to the door condition determining unit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eungjang door detecting sensors. Elevator operation mode conver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50365A 2021-04-19 2021-04-19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KR102530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65A KR102530062B1 (en) 2021-04-19 2021-04-19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65A KR102530062B1 (en) 2021-04-19 2021-04-19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13A true KR20220144113A (en) 2022-10-26
KR102530062B1 KR102530062B1 (en) 2023-05-09

Family

ID=8378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65A KR102530062B1 (en) 2021-04-19 2021-04-19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46A (en) * 2004-01-23 2005-08-04 Otis Elevator Co Method for maintaining and inspecting elevator device
KR101452668B1 (en) 2010-10-01 2014-10-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46A (en) * 2004-01-23 2005-08-04 Otis Elevator Co Method for maintaining and inspecting elevator device
KR101452668B1 (en) 2010-10-01 2014-10-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62B1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0725A1 (en) Elevator system
JP6646117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WO2019063406A1 (en) Safe access to elevator shaft
EP3687929B1 (en) Safe elevator shaft and car roof access
JP4912722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CN109850710B (en) Elevator hall door safety device, elevator hall door safety device driving method, and elevator
WO2010100713A1 (en) Controlled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KR102530062B1 (e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EP3587324A1 (en) Elevator system
WO2010067406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2162342A (en) Elevator safety apparatus,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KR101324093B1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vator entrance
JP2011131998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5001864B2 (en) Mounting structure of emergency drive switch and communication means to elevator car
JP5955071B2 (en) Elevator passenger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JP2011213477A (en) Elevator system
JP6488229B2 (en) Elevator device and confinement rescue operation method
EP3301054B1 (en) Optimized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utilizing remaining capacity for multi-copartment elevators
JP5032999B2 (en) Elevator safety device
CN114599598A (en) Elevator device and door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device
JPH0859119A (en)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maintenance provided at landing
JP2005231813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also serving for wheelchair
CN110785366B (en) 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626807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657301B2 (en) Elevator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